KR200448919Y1 - 락타입 푸쉬버튼을 이용한 퍼즐 완구 - Google Patents

락타입 푸쉬버튼을 이용한 퍼즐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48919Y1
KR200448919Y1 KR2020090010316U KR20090010316U KR200448919Y1 KR 200448919 Y1 KR200448919 Y1 KR 200448919Y1 KR 2020090010316 U KR2020090010316 U KR 2020090010316U KR 20090010316 U KR20090010316 U KR 20090010316U KR 200448919 Y1 KR200448919 Y1 KR 2004489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zzle
button
push button
pieces
game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900103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삼복
Original Assignee
임삼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삼복 filed Critical 임삼복
Priority to KR20200900103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4891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489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48919Y1/ko
Priority to PCT/KR2010/005205 priority patent/WO2011016704A2/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10Two-dimensional jig-saw puzz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12Three-dimensional jig-saw puzzles
    • A63F9/1204Puzzles consisting of non-interlocking identical blocks, e.g. children's block puzz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4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 A63H33/06Building blocks, strips, or similar building parts to be assembled without the use of additional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08Puzzles provided with elements movable in relation, i.e. movably connected, to each other
    • A63F9/0826Three-dimensional puzzles with slidable or rotatable elements or groups of elements, the main configuration remaining unchanged, e.g. Rubik's cube
    • A63F9/0838Three-dimensional puzzles with slidable or rotatable elements or groups of elements, the main configuration remaining unchanged, e.g. Rubik's cube with an element, e.g. invisible core, staying permanently in a central position having the function of central retaining spider and with groups of elements rotatable about at least three axes intersecting in one point
    • A63F2009/0846Three-dimensional puzzles with slidable or rotatable elements or groups of elements, the main configuration remaining unchanged, e.g. Rubik's cube with an element, e.g. invisible core, staying permanently in a central position having the function of central retaining spider and with groups of elements rotatable about at least three axes intersecting in one point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puzzl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0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9/06Patience; Other games for self-amusement
    • A63F9/12Three-dimensional jig-saw puzzles
    • A63F2009/1236Three-dimensional jig-saw puzzles with a final configuration thereof, i.e. the solution, being packed in a box or containe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250/00Miscellaneous game characteristics
    • A63F2250/48Miscellaneous game characteristic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gripping by hand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2250/00Miscellaneous game characteristics
    • A63F2250/48Miscellaneous game characteristic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gripping by hand
    • A63F2250/481Miscellaneous game characteristics with special provisions for gripping by hand for picking up or for gripping from a cavity, e.g. a recess next to a storing sp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퍼즐완구의 게임판에 퍼즐조각의 삽입 및 분리를 손쉽게 하는 동작방법 구현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게임판의 결합부 바닥면에 LOCK 타입 푸쉬버튼을 접착하고 퍼즐조각을 푸쉬버튼의 버튼면 위에 올려놓고 누르면 푸쉬버튼의 LOCK 기능이 동작하여 버튼면의 일정 높이가 낮아진 상태가 유지되어 퍼즐조각이 삽입되고, 삽입된 퍼즐조각의 윗면을 손가락으로 누르면 퍼즐조각 밑에 위치한 푸쉬버튼에 힘이 전달되어 푸쉬버튼의 LOCK 기능이 해제되고 스프링이 버튼면을 상승시켜 퍼즐조각을 위로 밀어내면 삽입된 다른 퍼즐조각들 보다 돌출되므로 손쉽게 퍼즐조각을 분리할 수 있는 퍼즐완구에 관한 것이다.
퍼즐, 퍼즐조각, 결합부, LOCK 타입 푸쉬버튼, 그림맞추기

Description

락타입 푸쉬버튼을 이용한 퍼즐 완구{Puzzle Toy using lock-type push button}
본 고안은 게임판의 결합부에 퍼즐조각의 삽입 및 분리 동작을 LOCK 타입 푸쉬버튼을 이용하여 손가락 누름으로 간편하게 퍼즐을 삽입하고, 원하는 퍼즐조각을 손가락으로 누르면 삽입된 푸쉬버튼의 LOCK 기능이 해제되어 퍼즐조각을 상승시켜 다른 퍼즐조각들 보다 돌출되고 손쉽게 퍼즐조각을 분리할 수 있는 퍼즐완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퍼즐은 게임판에 퍼즐조각을 정확한 위치에 삽입하여 그림을 완성하는 게임으로, 게임판 중간에 빠진 퍼즐조각을 삽입하거나 이미 삽입된 퍼즐조각을 다른 곳으로 이동하기 위해서는 핀셋 등의 날카로운 도구를 사용하여 퍼즐조각들 간의 틈을 강제로 벌려서 퍼즐조각을 분리하였다.
따라서 퍼즐조각의 삽입과 분리 과정이 불편하였고 퍼즐조각의 손상을 유발시켰다. 더욱이 육면체 퍼즐조각은 게임판에 퍼즐조각을 고정하는 사각틀이 없는 경우 퍼즐조각을 결합할 때 주변의 틈을 벌려서 퍼즐조각이 들어갈 공간을 확보하고 삽입한 후 다시 퍼즐조각을 정리하여 퍼즐조각 사이의 틈을 없애주어야 했으며, 퍼즐조각을 고정하는 사각틀이 있는 경우 삽입은 간편하지만 퍼즐조각을 분리하여 다른 곳으로 이동할 경우 퍼즐조각들을 고정하는 사각틀 간격이 너무 좁아 손가락을 집어넣고 분리하기가 매우 어려우며, 사각틀의 간격이 넓은 경우 완성된 그림형태가 자연스럽지 못하였다.
따라서 이러한 단점들을 해소하기 위해서는, 퍼즐조각을 쉽게 삽입 및 분리할 수 있는 새로운 퍼즐 조작방식이 가능한 퍼즐완구가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게임판 위에 퍼즐조각의 삽입 및 분리하는 동작이 간편한 완구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퍼즐완구는, 퍼즐조각을 삽입 및 분리할 게임판의 결합부에 LOCK 타입 푸쉬버튼을 장착하고 푸쉬버튼의 버튼면 위로 퍼즐조각을 올려놓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퍼즐조각을 결합부의 푸쉬버튼 버튼면 위에 올려놓고 손가락으로 누르면 퍼즐조각이 삽입된 상태로 고정되며, 삽입된 퍼즐조각을 분리할 경우 퍼즐조각의 윗면을 손가락으로 누르면 푸쉬버튼이 퍼즐조각을 밀어내도록 동작하여 편리하게 퍼즐조각을 손으로 집을 수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퍼즐완구는 퍼즐조각의 삽입 및 분리가 손가락 누르기만으로 가능하도록 하여 게임운용의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퍼즐완구는, 퍼즐조각을 고정할 게임판(1)과 낱개의 퍼즐조각(2) 또는 연결된 퍼즐조각(5)을 결합할 때의 고정작용과 분리할 때의 배출작용을 할 버튼장치(6)로 구성된다.
퍼즐조각(2)을 게임판(1)의 결합부(3)에 삽입할 경우, 도 3에서와 같이 퍼즐조각(2)을 손으로 집어서 게임판(1)의 결합부(3)의 입구에 맞추고 손가락으로 누르면 힘이 아래 방향으로 작용하여 버튼면(7)이 푸쉬버튼(6) 프레임 속으로 함몰되고 푸쉬버튼(6)의 LOCK 기능이 동작하여 일정 높이가 낮아진 상태가 유지되며, 퍼즐조각(2)은 게임판(1)의 결합부(3)에 삽입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2개 이상으로 연결된 퍼즐조각(5)은 도 2에서 나타난 다양한 형태의 모양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연결된 퍼즐조각(5)은 게임판(1)의 결합부(3)에 삽입시 도 4에서와 같이 다수의 결합부(3)에 동시에 삽입되거나 분리되므로 각각의 결합부(3) 위치에서 손가락으로 누르는 힘을 동일하게 적용받아 푸쉬버튼(6)의 LOCK 기능 또한 동시에 동작한다.
퍼즐조각(2)을 게임판(1)에서 분리할 경우, 도 5에서와 같이 게임판(1)의 결합부(3)에 삽입된 퍼즐조각(2)의 윗면을 손가락으로 누르면 퍼즐조각(2)의 밑에 위치한 버튼면(7)에 힘이 전달되고 푸시버튼(6)의 LOCK 기능은 해제되어 푸시버튼(6) 프레임의 스프링이 버튼면(7)을 상향시키고, 버튼면(7) 위에 얹혀진 퍼즐조각(5)을 위로 밀어내어 결합부(3)에서 배출된다. 배출된 퍼즐조각(5)은 삽입된 다른 퍼즐조각(5)들 보다 돌출되어 손으로 집어서 분리한다.
이상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고안의 상술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고안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을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돼서는 안 될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그림맞추기 게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고안의 2개 이상 연결된 퍼즐조각을 이용하여 모양맞추기 게임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낱개의 퍼즐조각이 결합부에 삽입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2개 이상 연결된 퍼즐조각이 결합부에 삽입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결합된 퍼즐조각을 버튼장치가 밀어내어 분리되는 동작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Claims (4)

  1. 다수의 배열로 분할되고 사방이 장착벽으로 둘러쌓여 그 내측에 장착공간이 마련되는 게임판;
    상기 게임판의 장착공간에 LOCK 타입의 푸쉬버튼을 버튼면이 위로 향하게 하여 장착공간의 바닥면과 접착되어 구성되는 결합부;
    상기 게임판의 결합부에 삽입되거나 분리되는 퍼즐조각; 및
    상기 결합부에 퍼즐조각을 모두 삽입하여 그림 또는 모양을 완성하는 퍼즐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퍼즐조각은 낱개 또는 측면으로 2개 이상 연결되어 다양한 모양을 형성하고, 낱개의 퍼즐조각은 하나의 결합부에 삽입되거나 분리되며, 연결된 퍼즐조각은 다수의 결합부에 동시에 삽입되거나 분리되므로 결합부의 푸쉬버튼 LOCK 기능이 동시에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완구.
  3. 제1항에 있어서,
    푸쉬버튼의 버튼면을 위에서 아래로 누르면 푸쉬버튼의 버튼면이 일정 높이가 낮아진 상태를 유지하는 LOCK 기능이 동작되고, 다시 버튼면을 누르면 LOCK 기능이 해제되어 버튼면이 원래 높이로 상승되는 동작을 하는 LOCK 타입 푸쉬버튼을 결합부 바닥면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완구.
  4. 제1항에 있어서,
    결합부에 퍼즐조각을 삽입하고 힘을 가하면 퍼즐조각이 푸쉬버튼의 버튼면을 누르게 되어 LOCK 기능이 동작되고 버튼면의 일정 높이가 낮아진 상태로 유지되고, 결합부에 삽입된 퍼즐조각의 윗면을 손가락으로 누르면 퍼즐조각의 밑에 위치한 푸쉬버튼에 힘이 전달되고 LOCK 기능이 해제되어 버튼면이 상승하여 위에 올려진 퍼즐조각을 밀어내는 동작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퍼즐완구
KR2020090010316U 2009-08-07 2009-08-07 락타입 푸쉬버튼을 이용한 퍼즐 완구 KR2004489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316U KR200448919Y1 (ko) 2009-08-07 2009-08-07 락타입 푸쉬버튼을 이용한 퍼즐 완구
PCT/KR2010/005205 WO2011016704A2 (ko) 2009-08-07 2010-08-09 락타입 푸쉬버튼을 이용한 퍼즐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90010316U KR200448919Y1 (ko) 2009-08-07 2009-08-07 락타입 푸쉬버튼을 이용한 퍼즐 완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48919Y1 true KR200448919Y1 (ko) 2010-06-07

Family

ID=435448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90010316U KR200448919Y1 (ko) 2009-08-07 2009-08-07 락타입 푸쉬버튼을 이용한 퍼즐 완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48919Y1 (ko)
WO (1) WO2011016704A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9324A1 (ko) * 2015-12-10 2017-06-15 염상익 모바일 직소 퍼즐 구조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08018B (zh) * 2017-04-28 2021-09-14 广东乐博士教育装备有限公司 一种积木拼图装配结构及积木玩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29246Y1 (ko) 2006-07-13 2006-10-19 김현석 조립식 블록을 이용한 놀이기구
KR100758027B1 (ko) 2006-04-14 2007-09-11 양기웅 퍼즐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18347A (ja) * 1996-10-17 1998-05-12 Bandai Co Ltd 押釦玩具
JP2006280752A (ja) * 2005-04-01 2006-10-19 Aruze Corp 遊技機用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4828213B2 (ja) * 2005-11-29 2011-11-30 株式会社平和 遊技機における押しボタン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027B1 (ko) 2006-04-14 2007-09-11 양기웅 퍼즐
KR200429246Y1 (ko) 2006-07-13 2006-10-19 김현석 조립식 블록을 이용한 놀이기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099324A1 (ko) * 2015-12-10 2017-06-15 염상익 모바일 직소 퍼즐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16704A3 (ko) 2011-06-30
WO2011016704A2 (ko) 2011-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48919Y1 (ko) 락타입 푸쉬버튼을 이용한 퍼즐 완구
DK1188400T3 (da) Magasin til espresso-kaffekapsler
KR102084429B1 (ko) 버튼을 누르면 책이 나오는 책꽂이
CA128480S (en) Television set
CN104138660A (zh) 一种电子拼图
CN103182190A (zh) 一种多功能的组合玩具
CN202306878U (zh) 多功能卡片游戏、学习器
TW201905644A (zh) 滑鼠
CN208389342U (zh) 一种具有多功能的多米诺骨牌
CN203953072U (zh) 一种游戏床底摇机构
CN203060816U (zh) 一种能读取插片内容的智能语音玩具
CN211158546U (zh) 一种具有收纳功能的骰子盒
CN201978453U (zh) 多功能扑克(卡片)游戏、学习器
CN210302345U (zh) 一种华容道玩具电子手写板
CN203183694U (zh) 一种多功能的玩具车队
JP5029668B2 (ja) ワニクリップリムーバー
CN215561439U (zh) 一种经编仿灯芯绒面料
CN218686340U (zh) 一种多功能玩具盾牌
CN211705874U (zh) 电动理牌机
CN218594653U (zh) 一种快速贴膜器
CN216418260U (zh) 一种智能华容道棋类游戏
CN206081578U (zh) 具有记忆训练功能的捉迷藏棋
CN109011541A (zh) 一种园林景观拼画
CN209142604U (zh) 剥药器
CN210874048U (zh) 一种方便摆放且耐用的象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