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6300A - 암파쇄 방호벽 - Google Patents

암파쇄 방호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6300A
KR20180126300A KR1020170061186A KR20170061186A KR20180126300A KR 20180126300 A KR20180126300 A KR 20180126300A KR 1020170061186 A KR1020170061186 A KR 1020170061186A KR 20170061186 A KR20170061186 A KR 20170061186A KR 20180126300 A KR20180126300 A KR 201801263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wall
support bar
rock
fixed
leaf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11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서현
Original Assignee
박서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서현 filed Critical 박서현
Priority to KR10201700611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6300A/ko
Publication of KR201801263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63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설치와 철거가 용이하면서 낙석이나 토사의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방호벽체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암파쇄 방호벽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은 방호벽체(B)의 후측면에는 지지바(21)를 상호 고정하는 한쌍의 고정바(22)가 구비되고, 방호벽체(B)의 전면에는 방호벽체(B)는 후방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판스프링(30)이 구비되어, 상기 방호벽체(B)의 지지바(21)가 상호 견고하게 고정될 뿐 아니라, 상기 방호벽체(B)의 후측면에 낙석이나 토사가 충돌하면, 상기 판스프링(30)이 변형되면서 방호벽체(B)가 전방으로 후퇴되어 낙석이나 토사가 충돌할 때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함으로, 암파쇄 방호벽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암파쇄 방호벽 및 그 시공방법{rock crushing protective wall}
본 발명은 설치와 철거가 용이하면서 낙석이나 토사의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방호벽체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암파쇄 방호벽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를 확장하는 확장공사를 할 때 발생되는 낙석이나 토사로부터 차량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암파쇄 방호벽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를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양측에는 결합홈(11)이 형성된 복수개의 지주(A)와, 양단이 상기 결합홈(11)에 결합되어 상기 지주(A) 사이의 공간을 막도록 된 방호벽체(B)로 구성된다.
상기 지주(A)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웨브(12)와, 상기 웨브(12)의 전후단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전후방플랜지(13,14)로 구성되어, 양측에 상기 결합홈(11)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방호벽체(B)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여러개의 지지바(21)를 상호 상하방향으로 적층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바(21)는 강도가 높으면서 적절한 탄성을 갖는 목재 또는 금속재로 구성된 것으로, 복수개의 지지바(21)를 양단이 상기 결합홈(11)에 결합되도록 순차적으로 결합하면, 지지바(21)가 상호 상하방향으로 적층되어 상기 방호벽체(B)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도로의 일측에 상기 지주(A)를 설치한 후, 양단이 상기 결합홈(11)에 결합되도록 여러개의 지지바(21)를 상기 지주(A)의 사이에 결합하여 방호벽체(B)를 구성함으로써, 암파쇄 방호벽을 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암파쇄 방호벽은 도로의 일측에 도로를 따라 길게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확장공사시 낙석이나 토사가 흘러내릴 경우, 낙석이나 토사가 암파쇄 방호벽에 충돌하여 정지되도록 함으로써,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을 보호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암파쇄 방호벽은 상기 방호벽체(B)는 상기 지주(A)의 결합홈(11)에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하게 결합고정된다.
이를 위해, 상기 결합홈(11)의 전후방향 폭과 상기 방호벽체(B)의 전후방향 두께가 거의 동일한 사이즈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방호벽체(B)를 이루는 지지바(21)의 양단을 상기 결합홈(11)에 삽입하면, 지지바(21)의 양단이 결합홈(11)에 끼워져 지지바(21)가 잘 승강되지 못하게 됨으로, 방호벽체(B)를 조립하기 위해서 여러개의 지지바(21)를 끼우거나 시공된 암파쇄 방호벽을 철거하기 위해 지지바(21)를 상기 결합홈(11)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매우 큰 힘이 필요하게 되며, 이에 따라, 암파쇄 방호벽의 시공이나 철거가 매우 번거롭고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암파쇄 방호벽은, 상기 방호벽체(B)의 양단이 강도가 높은 금속재로 구성된 지주(A)에 고정됨으로, 낙석이나 토사가 상기 지지바(21)의 후측면에 충돌할 경우, 낙석이나 토사에 의해 지지바(21)에 가해지는 충격을 상기 방호벽체(B)가 전부 흡수하여야 하며, 이에 따라, 낙석이나 토사가 방호벽체(B)에 충돌할 경우, 방호벽체(B)가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고 손상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1138708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설치와 철거가 용이하면서 낙석이나 토사의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방호벽체(B)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암파쇄 방호벽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로를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양측에는 결합홈(11)이 형성된 복수개의 지주(A)와, 양단이 상기 결합홈(11)에 결합되어 상기 지주(A) 사이의 공간을 막도록 된 방호벽체(B)를 포함하고, 상기 지주(A)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웨브(12)와, 상기 웨브(12)의 전후단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전후방플랜지(13,14)로 구성되어, 양측에 상기 결합홈(11)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방호벽체(B)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여러개의 지지바(21)가 상호 상하방향으로 적층되어 구성된 암파쇄 방호벽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21)의 전후방향 두께는 상기 결합홈(11)의 전후방향 폭에 비해 좁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바(21)의 양단이 상기 결합홈(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금속판재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방호벽체(B)의 후측면 양측에 볼트(22a)로 고정결합되어 상기 지지바(21)를 상호 고정하는 한쌍의 고정바(22)와,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중앙부에 비해 양단이 전방에 위치되도록 벤딩된 탄성이 있는 금속재질의 판형상으로 구성되며 중앙부는 상기 방호벽체(B)의 전면에 볼트(31)로 고정되고 양단은 상기 결합홈(11)에 삽입되어 방호벽체(B)를 후방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판스프링(30)을 더 포함하여, 상기 방호벽체(B)의 후측면에 낙석이나 토사가 충돌하면, 상기 판스프링(30)이 변형되면서 방호벽체(B)가 전방으로 밀리면서 낙석이나 토사가 충돌할 때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파쇄 방호벽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판스프링(30)의 양단에는 로울러(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파쇄 방호벽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암파쇄 방호벽을 시공하는 시공방법으로써, 양측에 결합홈(11)이 형성된 복수개의 지주(A)를 도로를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지지바(21)의 양단을 상기 결합홈(11)에 삽입한 후 상기 지지바(21)의 후측면 양단이 상기 고정바(22)에 볼트(22a)로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지지바(21)의 전면에 판스프링(30)을 고정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후측면에 고정바(22)가 고정되고 전면에 판스프링(30)이 고정된 방호벽체(B)를 양단이 상기 지지바(21)의 결합홈(11)에 삽입되도록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파쇄 방호벽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은 방호벽체(B)의 후측면에는 지지바(21)를 상호 고정하는 한쌍의 고정바(22)가 구비되고, 방호벽체(B)의 전면에는 방호벽체(B)는 후방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판스프링(30)이 구비되어, 상기 방호벽체(B)의 지지바(21)가 상호 견고하게 고정될 뿐 아니라, 상기 방호벽체(B)의 후측면에 낙석이나 토사가 충돌하면, 상기 판스프링(30)이 변형되면서 방호벽체(B)가 전방으로 후퇴되어 낙석이나 토사가 충돌할 때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함으로, 암파쇄 방호벽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암파쇄 방호벽을 도시한 후측면도,
도 2는 종래의 암파쇄 방호벽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을 도시한 후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을 도시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을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의 작용을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의 제2 실시예의 판스프링을 도시한 정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의 제2 실시예의 분해상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을 도시한 것으로, 도로를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양측에는 결합홈(11)이 형성된 복수개의 지주(A)와, 양단이 상기 결합홈(11)에 결합되어 상기 지주(A) 사이의 공간을 막도록 된 방호벽체(B)로 구성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지주(A)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웨브(12)와, 상기 웨브(12)의 전후단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전후방플랜지(13,14)로 구성되어, 양측에 상기 결합홈(11)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방호벽체(B)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여러개의 지지바(21)를 상호 상하방향으로 적층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바(21)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금속판재를 이용하는 것으로, 전후방향 두께가 상기 결합홈(11)의 전후방향 폭에 비해 좁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바(21)의 양단이 상기 결합홈(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방호벽체(B)의 후측면에는 각각의 지지바(21)를 상호 고정하기 위한 고정바(22)가 결합되며, 상기 방호벽체(B)의 전면에는 방호벽체(B)의 전면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판스프링(30)이 결합된다
상기 고정바(22)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금속판재를 이용하는 것으로, 좌우 한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방호벽체(B)의 후측면 양측에 볼트(22a)로 고정결합된다
상기 판스프링(30)은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중앙부에 비해 양단이 전방에 위치되도록 벤딩된 탄성이 있는 금속재질의 판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중앙부는 상기 방호벽체(B)의 전면에 볼트(31)로 고정되고 양단은 상기 결합홈(11)에 삽입되어 방호벽체(B)를 후방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상기 방호벽체(B)의 후측면이 상기 후방플랜지(14)에 밀착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암파쇄 방호벽 시공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양측에 결합홈(11)이 형성된 복수개의 지주(A)를 도로를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지지바(21)의 양단을 상기 결합홈(11)에 삽입하고, 상기 지지바(21)의 후측면 양단이 상기 고정바(22)에 볼트(22a)로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지지바(21)의 전면에 판스프링(30)을 고정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후측면에 고정바(22)가 고정되고 전면에 판스프링(30)이 고정된 방호벽체(B)를 양단이 상기 지지바(21)의 결합홈(11)에 삽입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암파쇄 방호벽의 시공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방호벽체(B)의 후측면에 낙석이나 토사가 충돌하면,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판스프링(30)이 변형되면서 방호벽체(B)가 전방으로 밀리면서 낙석이나 토사가 충돌할 때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의 배면에는 구조체의 직업적인 횡압의 영향을 줄 수 있는 토사 및 토석의 적체물을 방호시설물 최대높이의 1/3이하로 제한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암파쇄 방호벽은 방호벽체(B)의 후측면에는 지지바(21)를 상호 고정하는 한쌍의 고정바(22)가 구비되고, 방호벽체(B)의 전면에는 방호벽체(B)는 후방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판스프링(30)이 구비되어, 상기 방호벽체(B)의 지지바(21)가 상호 견고하게 고정될 뿐 아니라, 상기 방호벽체(B)의 후측면에 낙석이나 토사가 충돌하면, 상기 판스프링(30)이 변형되면서 방호벽체(B)가 전방으로 후퇴되어 낙석이나 토사가 충돌할 때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함으로, 암파쇄 방호벽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지지바(21)의 전후방향 두께는 상기 지주(A)에 형성되는 결합홈(11)의 전후방향 폭에 비해 좁게 형성되어, 지지바(21)의 설치와 철거가 매우 용이한 장점이 있다.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판스프링(30)의 양단에는 로울러(40)가 구비된다.
상기 로울러(40)는 상기 판스프링(30)의 양단에 형성된 오목부(32)의 내부에 구비된 것으로, 상기 지주(A)의 전방 플랜지(13)의 후측면에 밀착되어, 상기 방호벽체(B)에 낙석이나 토사가 충돌하여 방호벽체(B)가 전방으로 밀릴 때, 상기 판스프링(30)의 단부가 전방 플랜지(13)의 후측면에 밀착된 상태로 원활히 측방향으로 밀려, 방호벽체(B)가 부드럽게 전방으로 밀려 충격을 흡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의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A. 지주 B. 방호벽체
30. 완충부재

Claims (3)

  1. 도로를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양측에는 결합홈(11)이 형성된 복수개의 지주(A)와,
    양단이 상기 결합홈(11)에 결합되어 상기 지주(A) 사이의 공간을 막도록 된 방호벽체(B)를 포함하고,
    상기 지주(A)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웨브(12)와,
    상기 웨브(12)의 전후단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전후방플랜지(13,14)로 구성되어,
    양측에 상기 결합홈(11)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방호벽체(B)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여러개의 지지바(21)가 상호 상하방향으로 적층되어 구성된 암파쇄 방호벽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21)의 전후방향 두께는 상기 결합홈(11)의 전후방향 폭에 비해 좁게 형성되어, 상기 지지바(21)의 양단이 상기 결합홈(11)에 삽입된 상태에서 전후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며,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금속판재 형상으로 구성되며 상기 방호벽체(B)의 후측면 양측에 볼트(22a)로 고정결합되어 상기 지지바(21)를 상호 고정하는 한쌍의 고정바(22)와,
    측방향으로 연장되고 중앙부에 비해 양단이 전방에 위치되도록 벤딩된 탄성이 있는 금속재질의 판형상으로 구성되며 중앙부는 상기 방호벽체(B)의 전면에 볼트(31)로 고정되고 양단은 상기 결합홈(11)에 삽입되어 방호벽체(B)를 후방으로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판스프링(30)을 더 포함하여,
    상기 방호벽체(B)의 후측면에 낙석이나 토사가 충돌하면, 상기 판스프링(30)이 변형되면서 방호벽체(B)가 전방으로 밀리면서 낙석이나 토사가 충돌할 때 발생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파쇄 방호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판스프링(30)의 양단에는 로울러(40)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파쇄 방호벽.
  3. 제 1항에 나타난 암파쇄 방호벽을 시공하는 시공방법으로써,
    양측에 결합홈(11)이 형성된 복수개의 지주(A)를 도로를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지지바(21)의 양단을 상기 결합홈(11)에 삽입한 후 상기 지지바(21)의 후측면 양단이 상기 고정바(22)에 볼트(22a)로 고정되도록 하고, 상기 지지바(21)의 전면에 판스프링(30)을 고정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후측면에 고정바(22)가 고정되고 전면에 판스프링(30)이 고정된 방호벽체(B)를 양단이 상기 지지바(21)의 결합홈(11)에 삽입되도록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파쇄 방호벽 시공방법.
KR1020170061186A 2017-05-17 2017-05-17 암파쇄 방호벽 KR201801263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186A KR20180126300A (ko) 2017-05-17 2017-05-17 암파쇄 방호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1186A KR20180126300A (ko) 2017-05-17 2017-05-17 암파쇄 방호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6300A true KR20180126300A (ko) 2018-11-27

Family

ID=646034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1186A KR20180126300A (ko) 2017-05-17 2017-05-17 암파쇄 방호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2630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260B1 (ko) * 2020-01-23 2020-07-21 한태훈 암파쇄 방호벽 및 그 시공방법
KR102136259B1 (ko) * 2019-11-12 2020-07-21 한지호 암파쇄 방호벽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259B1 (ko) * 2019-11-12 2020-07-21 한지호 암파쇄 방호벽 및 그 시공방법
KR102136260B1 (ko) * 2020-01-23 2020-07-21 한태훈 암파쇄 방호벽 및 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84381B1 (en) Post
KR20180126300A (ko) 암파쇄 방호벽
CN210507226U (zh) 一种路桥防撞保护装置
KR101307683B1 (ko) 충격 흡수 가능한 차량용 방호책
CN211142857U (zh) 一种桩林式泥石流拦挡结构
CN203144898U (zh) 桥梁防撞护栏
KR20140014309A (ko) 가드 레일의 지지 구조 및 그 시공 방법
KR102244853B1 (ko) 암파쇄 방호벽 및 그 시공방법
EP2626470A1 (en) Integrated road barrier
CN217001251U (zh) 用于建筑施工的基坑护栏结构
KR101351635B1 (ko) 안전 가드레일 기초부
KR20170008310A (ko) 유구조의 방호 구조체
KR102136259B1 (ko) 암파쇄 방호벽 및 그 시공방법
KR101269118B1 (ko) 암파쇄 방호시설의 충격흡수용 토류장치
JP7089956B2 (ja) 擁壁用ブロックおよび擁壁
CN214883084U (zh) 一种矿山开采用拦石坝
KR20120063048A (ko) 토류판재 지지장치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60105723A (ko) 측구 설치형 차량 방호울타리 보강 구조
KR101164944B1 (ko) 가드레일용 전면보강부재
KR200409937Y1 (ko) 암 파쇄 방호장치
KR200304428Y1 (ko) 암파쇄 방호장치
JP3806681B2 (ja) 道路の構築方法及び構築材
JP4372487B2 (ja) 落石防護柵
CN218027751U (zh) 一种可调式防沉降的路基边坡防护装置
KR101421031B1 (ko) 노측용 가드레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1180;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0316

Effective date: 201906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