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4853B1 - 암파쇄 방호벽 및 그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암파쇄 방호벽 및 그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4853B1
KR102244853B1 KR1020200133234A KR20200133234A KR102244853B1 KR 102244853 B1 KR102244853 B1 KR 102244853B1 KR 1020200133234 A KR1020200133234 A KR 1020200133234A KR 20200133234 A KR20200133234 A KR 20200133234A KR 102244853 B1 KR102244853 B1 KR 1022448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support
protective wall
support member
elastic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33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태웅
Original Assignee
한태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태웅 filed Critical 한태웅
Priority to KR10202001332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48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48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48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7/00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 sand drifts, side-wind effects,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Anti-dazzle arrangements ; Sight-screens for roads, e.g. to mask accident site
    • E01F7/04Device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nowslides, avalanches or falling rocks, e.g. avalanche preventing structures, galleries
    • E01F7/04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otecting against falling rocks, e.g. galleries, nets, rock tra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Affording Protection Of Roads Or Walls For Sou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낙석이나 토사의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방호벽체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암파쇄 방호벽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은, 상기 지지부재(A)가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이 상기 지주(10)의 결합홈(14)에 삽입되는 지지판(22)과, 상기 지지판(22)의 전면에 구비되며 양단이 상기 지지판(22)에 측방향으로 유동되도록 고정결합된 탄성판(23)과, 상기 지지판(22)의 전면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판(23)의 양단을 지지하는 댐퍼(24)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재(A)의 양단 전후면에는 고무재질의 전후방 탄성부재(31,32)가 구비됨으로, 낙석이나 토사가 흘러내릴 경우, 낙석이나 토사가 탄성판(23)에 충돌하여 충격이 흡수되며, 지지판(22)에 전달된 충격은 상기 후방 탄성부재(32)에 의해 2차로 흡수됨으로, 충격에 의해 방호벽체(20)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암파쇄 방호벽 및 그 시공방법{protection wall and the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낙석이나 토사의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방호벽체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암파쇄 방호벽 및 그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를 확장하는 확장공사를 할 때 발생되는 낙석이나 토사로부터 차량을 보호하기 위해 설치되는 암파쇄 방호벽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로를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양측에는 결합홈(14)이 형성된 복수개의 지주(10)와, 양단이 상기 결합홈(14)에 결합되어 상기 지주(10) 사이의 공간을 막도록 된 방호벽체(20)로 구성된다.
상기 지주(1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웨브(11)와, 상기 웨브(11)의 전후단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전후방 플랜지(12,13)로 구성되어, 양측에 상기 결합홈(14)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로 구성된다.
상기 방호벽체(20)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여러개의 지지바(21)를 상호 상하방향으로 적층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바(21)는 강도가 높으면서 적절한 탄성을 갖는 목재 또는 금속재로 구성된 것으로, 복수개의 지지바(21)를 양단이 상기 결합홈(14)에 결합되도록 순차적으로 결합하면, 지지바(21)가 상호 상하방향으로 적층되어 상기 방호벽체(20)를 이루게 된다.
따라서, 도로의 일측에 상기 지주(10)를 설치한 후, 양단이 상기 결합홈(14)에 결합되도록 여러개의 지지바(21)를 상기 지주(10)의 사이에 결합하여 방호벽체(20)를 구성함으로써, 암파쇄 방호벽을 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암파쇄 방호벽은 도로의 일측에 도로를 따라 길게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확장공사시 낙석이나 토사가 흘러내릴 경우, 낙석이나 토사가 암파쇄 방호벽에 충돌하여 정지되도록 함으로써,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을 보호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암파쇄 방호벽은 상기 방호벽체(20)의 양단이 강도가 높은 금속재로 구성된 지주(10)에 고정됨으로, 낙석이나 토사가 상기 지지바(21)의 전면에 충돌할 경우, 낙석이나 토사에 의해 지지바(21)에 가해지는 충격을 상기 방호벽체(20)가 전부 흡수하여야 한다.
그런데, 상기 방호벽은 목재나 금속재의 바형상으로 구성됨으로, 충격을 흡수하는데 한계가 있어서, 강한 충격이 가해질 경우,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고 손상될 가능성이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방법이 필요하게 되었다.
등록특허 10-1138708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낙석이나 토사의 충돌시 발생되는 충격에 의해 방호벽체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된 새로운 구조의 암파쇄 방호벽 및 그 시공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도로를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양측에는 결합홈(14)이 형성된 복수개의 지주(10)와, 양단이 상기 결합홈(14)에 결합되어 상기 지주(10) 사이의 공간을 막도록 된 방호벽체(20)를 포함하는 암파쇄 방호벽에 있어서, 상기 방호벽체(20)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이 상기 지주(10)의 결합홈(14)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A)를 상호 상하방향으로 적층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재(A)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이 상기 지주(10)의 결합홈(14)에 삽입되는 지지판(22)과, 상기 지지판(22)의 전면에 구비되며 양단이 상기 지지판(22)에 측방향으로 유동되도록 고정결합된 탄성판(23)과, 상기 지지판(22)의 전면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판(23)의 양단을 지지하는 댐퍼(24)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A)의 양단 전후면에 밀착되어 상기 결합홈(14)에 삽입된 지지부재(A)의 양단이 전후방향으로 유동되지 않으면서 지지부재(A)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된 고무재질의 전후방 탄성부재(31,3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판(22)의 양단 전면에는 전방으로 연장된 나사축(22a)이 구비되고, 상기 탄성판(23)은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중앙부는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라운드지게 구성되고 양단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23b)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23b)에는 상기 나사축(22a)이 관통하는 장공(23c)이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나사축(22a)이 장공(23c)을 관통하도록 탄성판(23)을 결합하고, 상기 나사축(22a)의 전단부에 너트(22b)를 결합하여 조임으로써, 상기 탄성판(23)의 양단이 상기 지지판(22)에 측방향으로 유동되도록 고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파쇄 방호벽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주(10)의 전방을 덮어 가리도록 상기 탄성판(23)에 결합된 전방덮개(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방덮개(4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측방향 폭은 상기 지주(10)의 측방향 폭에 비해 넓게 구성된 전면판(41)과, 상기 전면판(41)의 양측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판(42)을 포함하고, 상기 측판(42)에는 상기 탄성판(23)이 삽입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홈(43)이 상기 탄성판(23)의 간격에 대응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43)은 상기 탄성판(23)이 삽입되도록 측판(42)의 후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수평부(43a)와, 상기 수평부(43a)의 전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수직부(43b)를 포함하여, 상기 수평부(43a)에 탄성판(23)이 삽입되도록 한 후 전방덮개(40)를 하강시키면 상기 탄성판(23)의 상측둘레부가 상기 수직부(43b)에 삽입되어, 전방덮개(40)를 탄성판(23)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파쇄 방호벽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댐퍼(24)는 상기 지지판(22)의 양단 전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수직부(24b)와 상기 수직부(24b)의 전단부에서 상기 지지판(22)의 단부 전면을 덮도록 연장된 수평부(24c)를 포함하는 지지부재(24a)와, 상기 지지부재(24a)의 내부에 수직부(24b)와 지지판(22)의 양단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비된 고무재질의 댐퍼블록(24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파쇄 방호벽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지부재(A)의 수직부(24b)와 댐퍼블록(24d)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비된 압력감지수단(51)과, 상기 지주(10)의 후측면에 구비된 경보수단(52)과, 상기 압력감지수단(51)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댐퍼블록(24d)에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경보수단(52)의 작동시키도록 된 제어수단(5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파쇄 방호벽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기 지주(10)를 도로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지지부재(A)를 양단이 상기 지주(10)의 결합홈(14)에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지지부재(A)의 양단 전후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결합홈(14)에 전후방 탄성부재(31,32)를 삽입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방호벽체(20)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지주(10)의 전면을 덮도록 상기 전방덮개(40)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파쇄 방호벽 시공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은, 상기 지지부재(A)가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이 상기 지주(10)의 결합홈(14)에 삽입되는 지지판(22)과, 상기 지지판(22)의 전면에 구비되며 양단이 상기 지지판(22)에 측방향으로 유동되도록 고정결합된 탄성판(23)과, 상기 지지판(22)의 전면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판(23)의 양단을 지지하는 댐퍼(24)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재(A)의 양단 전후면에는 고무재질의 전후방 탄성부재(31,32)가 구비됨으로, 낙석이나 토사가 흘러내릴 경우, 낙석이나 토사가 탄성판(23)에 충돌하여 충격이 흡수되며, 지지판(22)에 전달된 충격은 상기 후방 탄성부재(32)에 의해 2차로 흡수됨으로, 충격에 의해 방호벽체(20)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암파쇄 방호벽을 도시한 정면도,
도 2는 종래의 암파쇄 방호벽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을 도시한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을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의 요부를 확대도시한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의 측단면도,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의 제2 실시예를 3도시한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의 제2 실시예의 요부를 확대도시한 평면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의 제2 실시예의 회로구성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의 제2 실시예의 작용을 도시한 참고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암파쇄 방호벽을 도시한 것으로, 도로를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양측에는 결합홈(14)이 형성된 복수개의 지주(10)와, 양단이 상기 결합홈(14)에 결합되어 상기 지주(10) 사이의 공간을 막도록 된 방호벽체(20)가 구비된 것은 종래와 동일하다.
이때, 상기 지주(10)는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웨브(11)와, 상기 웨브(11)의 전후단에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구비되는 전후방 플랜지(12,13)로 구성되어, 양측에 상기 결합홈(14)이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강도가 높은 금속재질로 구성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방호벽체(20)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이 상기 지주(10)의 결합홈(14)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A)를 상호 상하방향으로 적층하여 구성된다.
상기 지지부재(A)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이 상기 지주(10)의 결합홈(14)에 삽입되는 지지판(22)과, 상기 지지판(22)의 전면에 구비되며 양단이 상기 지지판(22)에 측방향으로 유동되도록 고정결합된 탄성판(23)과, 상기 지지판(22)의 전면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판(23)의 양단을 지지하는 댐퍼(24)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판(22)은 측방향으로 연장된 사각바 형상으로 구성된 것으로, 금속재질 또는 목재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부재(A)의 전후방향 폭은 상기 결합홈(14)의 전후방향 폭, 즉, 상기 전후방 플랜지(12,13)의 간격에 비해 좁게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22)의 양단 전면에는 전방으로 연장된 나사축(22a)이 구비된다.
상기 탄성판(23)은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중앙부는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라운드지게 구성되고 양단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23b)가 형성된 것으로, 탄성이 높은 금속재질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연장부(23b)에는 상기 나사축(22a)이 관통하는 장공(23c)이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나사축(22a)이 장공(23c)을 관통하도록 탄성판(23)을 지지판(22)의 전면에 결합하고, 상기 나사축(22a)의 전단부에 너트(22b)를 결합하여 조임으로써, 상기 탄성판(23)의 양단이 상기 지지판(22)에 측방향으로 유동되도록 고정결합할 수 있다.
상기 댐퍼(24)는 상기 지지판(22)의 양단 전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수직부(24b)와 상기 수직부(24b)의 전단부에서 상기 지지판(22)의 단부 전면, 즉, 상기 연장부(23b)의 단부 전면을 덮도록 연장된 수평부(24c)를 포함하는 지지부재(24a)와, 상기 지지부재(24a)의 내부에 수직부(24b)와 지지판(22)의 양단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비된 고무재질의 댐퍼블록(24d)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A)의 양단 전후면에 밀착되어 상기 결합홈(14)에 삽입된 지지부재(A)의 양단이 전후방향으로 유동되지 않으면서 지지부재(A)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된 고무재질의 전후방 탄성부재(31,32)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주(10)의 전방을 덮어 가리도록 상기 탄성판(23)에 결합된 전방덮개(40)가 더 구비된다.
상기 전후방 탄성부재(31,32)는 상하방향의 높이가 상기 지지판(22)의 높이와 동일한 사각형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지지판(22)의 후측면 양측과 댐퍼(24)의 전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결합홈(14)에 삽입된다.
이때, 상기 전방 탄성부재(31)는 후방 탄성부재(32)에 비해 전후방향의 두께가 두껍게 구성된다.
상기 전방덮개(4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측방향 폭은 상기 지주(10)의 측방향 폭에 비해 넓게 구성된 전면판(41)과, 상기 전면판(41)의 양측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판(42)으로 구성된 것으로, 강도가 높은 금속재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측판(42)에는 상기 탄성판(23)이 삽입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홈(43)이 상기 탄성판(23)의 간격에 대응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결합홈(43)은 상기 탄성판(23)이 삽입되도록 측판(42)의 후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수평부(43a)와, 상기 수평부(43a)의 전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수직부(43b)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탄성판(23)의 전방에서, 상기 수평부(43a)에 탄성판(23)이 삽입되도록 한 후 전방덮개(40)를 하강시키면 상기 탄성판(23)의 상측둘레부가 상기 수직부(43b)에 삽입되어, 전방덮개(40)를 탄성판(23)에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암파쇄 방호벽을 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상기 지주(10)를 도로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한다.
양단이 상기 댐퍼(24)의 수평부(24c) 내부로 삽입되도록 상기 탄성판(23)을 지지판(22)의 전면에 결합하여 상기 지지부재(A)를 조립하고, 지지부재(A)를 양단이 상기 지주(10)의 결합홈(14)에 삽입되도록 한 후, 상기 지지부재(A)의 양단 전후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결합홈(14)에 탄성부재를 삽입함으로써, 상기 지주(10)에 지지부재(A)를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여러개의 지지부재(A)가 상호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도록 지주(10)에 결합함으로써, 상하방향으로 넓은 방호벽체(20)를 설치할 수 있다.
그리고, 방호벽체(20)의 설치가 완료되면, 상기 지주(10)의 전면을 덮도록 상기 전방덮개(40)를 설치함으로써, 암파쇄 방호벽의 시공을 완료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암파쇄 방호벽은, 상기 지지부재(A)가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이 상기 지주(10)의 결합홈(14)에 삽입되는 지지판(22)과, 상기 지지판(22)의 전면에 구비되며 양단이 상기 지지판(22)에 측방향으로 유동되도록 고정결합된 탄성판(23)과, 상기 지지판(22)의 전면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판(23)의 양단을 지지하는 댐퍼(24)로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재(A)의 양단 전후면에는 고무재질의 전후방 탄성부재(31,32)가 구비됨으로, 낙석이나 토사가 흘러내릴 경우, 낙석이나 토사가 탄성판(23)에 충돌하여 충격이 흡수되며, 지지판(22)에 전달된 충격은 상기 후방 탄성부재(32)에 의해 2차로 흡수됨으로, 충격에 의해 방호벽체(20)가 손상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상기 탄성판(23)은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중앙부는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라운드지게 구성되고 양단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23b)가 형성되어, 도 7 및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탄성판(23)의 전면에 낙석이나 토사가 충돌할 경우, 중앙부가 후방으로 밀리면서 양단측의 연장부(23b)가 상기 나사축(22a)과 너트(22b)에 지지된 상태로 측방향으로 밀려나게 됨으로, 전후방향으로 가해지는 하중을 측방향으로 분산시켜, 더욱 강한 힘을 견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지판(22)의 전면 양측에는 상기 탄성판(23)의 양단을 지지하는 댐퍼(24)가 구비됨으로, 탄성판(23)에 낙석이나 토사가 충돌하여 탄성판(23) 양측의 연장부(23b)가 측방향으로 밀려날 때,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댐퍼(24)의 댐퍼블록(24d)이 압축되면서 탄성판(23)의 양측을 지지한다.
따라서, 탄성판(23)이 더욱 강한 힘을 견딜 수 있게 되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주(10)의 전방에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주(10)의 전방을 덮어 가리도록 상기 탄성판(23)에 결합된 전방덮개(40)가 구비된다.
따라서, 도 9 및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낙석이나 토사가 전방덮개(40)에 충돌하면, 양측에 위치된 탄성판(23)이 후방으로 가압변형되면서 전방덮개(40)에 가해진 충격을 흡수하게 됨으로, 낙석이나 토사가 지주(10)에 직접 충돌하여 지주(10)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1 내지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댐퍼(24)의 지지부재(24a)의 수직부(24b)와 댐퍼블록(24d)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비된 압력감지수단(51)과, 상기 지주(10)의 후측면에 구비된 경보수단(52)과, 상기 압력감지수단(51)의 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경보수단(52)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수단(53)이 더 구비된다.
상기 압력감지수단(51)은 압력이 가해지면 이를 실시간으로 측정하고 측정된 압력값을 상기 제어수단(53)으로 전송하는 로드셀을 이용한다.
상기 경보수단(52)은 지주(10)의 후측면에 구비된 LED램프를 이용한다.
상기 제어수단(53)은 상기 압력감지수단(51)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댐퍼블록(24d)에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경보수단(52)의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53)은 태양광발전기 등을 전원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암파쇄 방호벽은 토사나 낙석 등이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탄성판(23)이나 전방덮개(40)에 충돌하여 탄성판(23)이 변형되면서 탄성판(23)의 연장부(23b)가 댐퍼(24)의 댐퍼블록(24d)을 가압하면, 상기 압력감지수단(51)이 이를 측정하여 상기 제어수단(53)으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53)은 상기 압력감지수단(51)에 측정된 압력값이 미리 설정된 압력값의 이상으로 상승되면, 상기 탄성판(23)이나 전방덮개(40)에 낙석이나 토사가 충돌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경보수단(52)을 점등시킨다.
따라서, 도로를 통과하는 차량의 운전자가 상기 경보수단(52)을 육안으로 확인하고, 해당위치에 낙석이나 토사의 흐름이 발생된 것을 확인함으로써, 안전운전을 도모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 지주 20. 방호벽체
A. 지지부재 31, 32. 전후방 탄성부재
40. 전방덮개

Claims (5)

  1. 도로를 따라 상호 일정간격 이격되도록 구비되며 양측에는 결합홈(14)이 형성된 복수개의 지주(10)와,
    양단이 상기 결합홈(14)에 결합되어 상기 지주(10) 사이의 공간을 막도록 된 방호벽체(20)를 포함하는 암파쇄 방호벽에 있어서,
    상기 방호벽체(20)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이 상기 지주(10)의 결합홈(14)에 삽입되는 복수개의 지지부재(A)를 상호 상하방향으로 적층하여 구성되고,
    상기 지지부재(A)는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양단이 상기 지주(10)의 결합홈(14)에 삽입되는 지지판(22)과,
    상기 지지판(22)의 전면에 구비되며 양단이 상기 지지판(22)에 측방향으로 유동되도록 고정결합된 탄성판(23)과,
    상기 지지판(22)의 전면 양측에 구비되어 상기 탄성판(23)의 양단을 지지하는 댐퍼(24)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부재(A)의 양단 전후면에 밀착되어 상기 결합홈(14)에 삽입된 지지부재(A)의 양단이 전후방향으로 유동되지 않으면서 지지부재(A)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하도록 된 고무재질의 전후방 탄성부재(31,32)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판(22)의 양단 전면에는 전방으로 연장된 나사축(22a)이 구비되고,
    상기 탄성판(23)은 측방향으로 연장되며 중앙부는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라운드지게 구성되고 양단에는 측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23b)가 형성되며,
    상기 연장부(23b)에는 상기 나사축(22a)이 관통하는 장공(23c)이 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나사축(22a)이 장공(23c)을 관통하도록 탄성판(23)을 결합하고, 상기 나사축(22a)의 전단부에 너트(22b)를 결합하여 조임으로써, 상기 탄성판(23)의 양단이 상기 지지판(22)에 측방향으로 유동되도록 고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파쇄 방호벽.
  2. 제 1항에 있어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주(10)의 전방을 덮어 가리도록 상기 탄성판(23)에 결합된 전방덮개(4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방덮개(4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측방향 폭은 상기 지주(10)의 측방향 폭에 비해 넓게 구성된 전면판(41)과,
    상기 전면판(41)의 양측에서 측방향으로 연장된 한 쌍의 측판(42)을 포함하고,
    상기 측판(42)에는 상기 탄성판(23)이 삽입결합되는 복수개의 결합홈(43)이 상기 탄성판(23)의 간격에 대응되도록 상하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43)은
    상기 탄성판(23)이 삽입되도록 측판(42)의 후단부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수평부(43a)와,
    상기 수평부(43a)의 전단부에서 상측으로 연장된 수직부(43b)를 포함하여,
    상기 수평부(43a)에 탄성판(23)이 삽입되도록 한 후 전방덮개(40)를 하강시키면 상기 탄성판(23)의 상측둘레부가 상기 수직부(43b)에 삽입되어, 전방덮개(40)를 탄성판(23)에 고정할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파쇄 방호벽.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24)는
    상기 지지판(22)의 양단 전면에서 전방으로 연장된 수직부(24b)와 상기 수직부(24b)의 전단부에서 상기 지지판(22)의 단부 전면을 덮도록 연장된 수평부(24c)를 포함하는 지지부재(24a)와,
    상기 지지부재(24a)의 내부에 수직부(24b)와 지지판(22)의 양단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비된 고무재질의 댐퍼블록(24d)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파쇄 방호벽.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A)의 수직부(24b)와 댐퍼블록(24d)의 사이에 위치되도록 구비된 압력감지수단(51)과,
    상기 지주(10)의 후측면에 구비된 경보수단(52)과,
    상기 압력감지수단(51)의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댐퍼블록(24d)에 미리 설정된 값 이상의 압력이 가해지면 상기 경보수단(52)의 작동시키도록 된 제어수단(5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파쇄 방호벽.
  5. 청구항 2에 나타난 암파쇄 방호벽을 시공하는 방법으로,
    상기 지주(10)를 도로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도록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지지부재(A)를 양단이 상기 지주(10)의 결합홈(14)에 삽입되도록 하고 상기 지지부재(A)의 양단 전후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결합홈(14)에 전후방 탄성부재(31,32)를 삽입하는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방호벽체(20)를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지주(10)의 전면을 덮도록 상기 전방덮개(40)를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암파쇄 방호벽 시공방법.
KR1020200133234A 2020-10-15 2020-10-15 암파쇄 방호벽 및 그 시공방법 KR1022448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234A KR102244853B1 (ko) 2020-10-15 2020-10-15 암파쇄 방호벽 및 그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33234A KR102244853B1 (ko) 2020-10-15 2020-10-15 암파쇄 방호벽 및 그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4853B1 true KR102244853B1 (ko) 2021-04-27

Family

ID=757258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33234A KR102244853B1 (ko) 2020-10-15 2020-10-15 암파쇄 방호벽 및 그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485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9915B1 (ko) 2022-03-24 2022-09-30 라파이엔씨 주식회사 암파쇄 방호시설용 토류판 수평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암파쇄 방호시설 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708B1 (ko) 2011-08-11 2012-04-25 (주) 태평양지질 암파쇄 복합자재 방호벽 구조물
KR102136259B1 (ko) * 2019-11-12 2020-07-21 한지호 암파쇄 방호벽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8708B1 (ko) 2011-08-11 2012-04-25 (주) 태평양지질 암파쇄 복합자재 방호벽 구조물
KR102136259B1 (ko) * 2019-11-12 2020-07-21 한지호 암파쇄 방호벽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9915B1 (ko) 2022-03-24 2022-09-30 라파이엔씨 주식회사 암파쇄 방호시설용 토류판 수평조절장치 및 이를 이용한 암파쇄 방호시설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26257B1 (ko) 다이크 설치용 지주 보강구조
KR101978160B1 (ko) 도로변 배전용 전신주의 추돌 방지장치
KR102244853B1 (ko) 암파쇄 방호벽 및 그 시공방법
KR20190122110A (ko) 도로의 충격흡수 받침대
KR101626255B1 (ko) 다이크 설치용 지주 보강구조
KR100847736B1 (ko) 와이어로프를 이용한 충격흡수용 가드레일
WO2007071725A1 (en) Anti-vehicle barrier
CN211142857U (zh) 一种桩林式泥石流拦挡结构
JP5688040B2 (ja) 仕切り構造体
WO2020157074A1 (en) Road restraint system with elements for anchorage of the poles to improve performance
KR20130116619A (ko) 보강형 방호울타리
EP2626470A1 (en) Integrated road barrier
KR20180126300A (ko) 암파쇄 방호벽
JP2000170130A (ja) 防護柵端部緩衝装置
KR100581091B1 (ko) 도로의 낙석방지펜스
KR101073874B1 (ko) 가로보의 설치구조
KR200304428Y1 (ko) 암파쇄 방호장치
JP2000170131A (ja) 防護柵端部緩衝装置
JP4170800B2 (ja) 防護柵設置対応型擁壁ブロック
KR101351635B1 (ko) 안전 가드레일 기초부
KR100597776B1 (ko) 고강도 낙석방지책
JP4088542B2 (ja) 防護柵付l型擁壁ブロックの構造
KR100515386B1 (ko) 도로용 충격흡수 방호시설
CN220365417U (zh) 一种防护栏
KR100691874B1 (ko) 성토지의 방호울타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