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5579A - 유체 라인을 위한 연결장치 및 관련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유체 라인을 위한 연결장치 및 관련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5579A
KR20180125579A KR1020187031172A KR20187031172A KR20180125579A KR 20180125579 A KR20180125579 A KR 20180125579A KR 1020187031172 A KR1020187031172 A KR 1020187031172A KR 20187031172 A KR20187031172 A KR 20187031172A KR 20180125579 A KR20180125579 A KR 20180125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fluid line
retaining element
carrier par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311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틴 바이쓰
Original Assignee
페스토 악티엔 게젤샤프트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페스토 악티엔 게젤샤프트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페스토 악티엔 게젤샤프트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80125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55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1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ring provided with teeth or fingers
    • F16L37/091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a ring provided with teeth or fingers with a separate member for releasing the coup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Branch Pipes, Bends, And The Like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연결 유닛 (4) 을 구비하는, 유체 라인 (5) 을 위한 연결장치 (1) 가 제안되며, 상기 연결 유닛은 고무 탄성적 재료로 구성되는 고정 몸체 (12) 의 수나사 (20) 를 구비하는 나사 섹션 (17) 를 이용해, 암나사 (21) 를 갖춘 캐리어 부품 (2) 의 고정 개구부 (3) 안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나사 섹션 (17) 에, 축방향으로 상기 나사 섹션과 관련하여 보다 큰 지름을 갖는 헤드 섹션 (18) 이 이어지고, 상기 헤드 섹션 안에 고리 모양의 리테이닝 요소 (24) 가 고정된다. 상기 연결 유닛 (4) 은 삽입 개구부 (26) 에 의해 관통되며, 상기 삽입 개구부 안으로, 상기 연결되어야 하는 유체 라인 (5) 이 삽입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유체 라인은 상기 고리 모양의 리테이닝 요소 (24) 를 관통하여 돌출하고, 이 리테이닝 요소 (24) 의 리테이닝 클로들 (37) 에 의해 꽉 잡힌다.

Description

유체 라인을 위한 연결장치 및 관련 조립방법
본 발명은 연결 유닛 (connecting unit) 을 갖는, 유체 라인을 위한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며, 상기 연결 유닛은 축방향으로 삽입 개구부 (insertion opening) 에 의해 관통되고, 상기 삽입 개구부 안으로 뒷면으로부터, 연결되어야 하는 유체 라인이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연결 유닛은 일체형 고정 몸체 (fixing body) 를 구비하고, 상기 고정 몸체는 수나사를 갖춘 나사 섹션 (threaded section) 과, 뒤쪽에서 상기 나사 섹션에 이어지는 헤드 섹션 (head section) 을 구비하며, 상기 고정 몸체는 상기 삽입 개구부에 대해 동축으로 배치된, 고리 모양의 리테이닝 요소 (retaining element) 를 받치고 있고, 상기 리테이닝 요소는 상기 삽입 개구부 안으로 돌출하는 다수의 리테이닝 클로들 (retaining claws) 을 구비하며, 상기 리테이닝 클로들은, 상기 삽입 개구부 안으로 삽입된 상기 유체 라인의 바깥둘레를 상기 유체 라인을 꽉 잡기 위한 목적으로 가압하기 위해 형성되고,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연결 유닛의 나사 섹션을 이용해, 별도의 캐리어 부품 (carrier component) 의 암나사를 구비하는 고정 개구부 안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사용위치를 취하기 위해 이 고정 개구부의 상기 암나사와의 맞물림 (engagement) 을 통해 상기 캐리어 부품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연결장치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EP 0 185 802 A1 로부터 공지된 이러한 종류의 연결장치는 연결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연결 유닛은 나사의 유형으로 설계된 고정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고정 몸체를 이용해 상기 연결 유닛은 별도의 캐리어 부품의 암나사를 갖춘 고정 개구부 안으로 나사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 유닛은 축방향으로 삽입 개구부에 의해 관통되고, 상기 삽입 개구부 안으로, 연결되어야 하는 유체 라인은 상기 캐리어 부품의 외부에 놓여 있는 뒷면으로부터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삽입 개구부에 대해 동축적인 리테이닝 요소가 상기 고정 몸체에 고정되며, 상기 리테이닝 요소는, 비스듬히 방사상으로 안쪽으로 돌출하는 다수의 리테이닝 클로들을 구비하고, 상기 리테이닝 클로들은 기본 몸체의 앞면에서 상기 삽입 개구부 앞으로 돌출한다. 유체 라인을 삽입할 때 상기 리테이닝 클로들은 밖으로 눌려지고, 따라서 상기 리테이닝 클로들은 초기인장 (initial tension) 하에서 상기 유체 라인의 바깥둘레에 밀착하고, 상기 유체 라인이 상기 연결 유닛 밖으로 끌어내지지 않도록 안전하게 한다. 상기 리테이닝 요소는 앞으로부터 상기 고정 몸체의 나사 섹션 위에 꽂히고, 상기 고정 몸체는 상기 캐리어 부품의 암나사에 맞춰진 수나사를 구비한다. 조립시 상기 연결 유닛은, 축방향으로 상기 나사 섹션에 이어지는 상기 고정 몸체의 헤드 섹션이 상기 캐리어 부품의 외면에 밀착하고 상기 캐리어 부품과 텐셔닝될 때까지, 상기 고정 몸체를 이용해 상기 캐리어 부품의 상기 고정 개구부 안으로 나사결합된다.
리테이닝 커프 (retaining cuff) 를 구비하는 연결장치가 DE 10 2012 021 683 A1 로부터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리테이닝 커프는 엘라스토머 재료로 구성되는 커버링 몸체와, 상기 커버링 몸체 안으로 매립된 (embedded), 비스듬한 리테이닝 클로들을 구비하는 리테이닝 요소로 구성된다. 리테이닝 커프의 사용위치에서 상기 리테이닝 커프는 캐리어 부품의 고정 개구부 안으로 스냅되고 (snapped in), 상기 리테이닝 커프는 상기 캐리어 부품 안에 형성된 고리 모양의 방사상 돌출부가 상기 커버링 몸체의 바깥둘레에 형성된 환상 그루브 (annular groove) 와 맞물림으로써 고정된다.
슬리브 몸체 (sleeve body) 를 구비하는 연결장치가 GB 1 550 624 로부터 공지되어 있으며, 상기 슬리브 몸체 안에 환상 그루브가 형성되고, 상기 환상 그루브 안에, 스프링 탄성적 리테이닝 요소와 밀폐 요소로 구성되는 조합 부품이 고정된다. 상기 리테이닝 요소는 부분적으로 상기 밀폐 요소 안으로 매립된다. 상기 밀폐 요소는 상기 슬리브 몸체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삽입된 유체 라인에 대해서도 밀폐하기 위해 쓰인다.
본 발명의 목적은 비용절감적인 구성에 있어서 캐리어 부품의 고정 개구부 안에서의 연결 유닛의 확실한 지지를 가능하게 하는, 유체 라인을 위한 연결장치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연결장치를 조립하기 위한 유리한 방법이 제공되어야 한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도입부에서 언급된 종류의 연결장치에 있어서, 수나사를 포함하는 일체형 고정 몸체가 고무 탄성적 특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며, 고리 모양의 리테이닝 요소는 나사 섹션과의 맞물림 없이 오로지 상기 고정 몸체의 헤드 섹션 안에 앵커링되는 (anchored) 것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는 단지 적은 부품들로만 구성되는 그리고 그렇기 때문에 비용절감적으로 제조될 수 있는 연결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 몸체는 수나사를 갖춘 나사 섹션을 구비하며, 상기 나사 섹션을 이용해 상기 고정 몸체는 별도의 캐리어 부품의 암나사 안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고무 탄성적 재료선택은 보통의 경우 추가적 밀폐요소 없이도 상기 캐리어 부품과 관련해서 뿐만 아니라 삽입된 유체 라인에 대해서도 확실한 밀폐를 보장한다. 상기 연결 유닛의 사용위치에서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연결 유닛의 고정 몸체의 상기 나사 섹션의 수나사를 이용해 상기 캐리어 부품의 암나사와 맞물리고, 이를 통해 형상 결합으로 상기 캐리어 부품 안에 앵커링된다. 상기 재료의 탄성에 근거하여, 보다 큰 제조허용오차들이 문제 없이 보상되고, 따라서 제조 정밀에 대한 요구가 비교적 적고, 이는 제조비용에 유리하게 작용한다. 상기 오로지 상기 헤드 섹션 안에서 수행된 상기 리테이닝 요소의 고정은, 상기 나사 섹션이 상기 나사 섹션의 최소 크기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닝 요소의 크기에 구속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연결장치를 고정 개구부들의 작은 지름들에 있어서도 삽입하는 것을 허용한다. 삽입된 유체 라인은 상기 리테이닝 요소의, 바람직하게 비스듬히 방사상으로 안쪽으로 삽입 개구부 안으로 돌출하는 리테이닝 클로들에 의해 확실히 꽉 잡힌다.
본 발명의 유리한 개선들은 종속항들에 나타나 있다.
상기 연결 유닛의 조립된 사용위치에서 상기 캐리어 부품의 상기 고정 개구부의 외부에 배치된 상기 헤드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나사 섹션보다 큰 바깥지름을 가지며, 바람직하게 고리 모양인 단차부를 통하여 상기 나사 섹션에 이어진다. 상기 고리 모양의 단차부는 바람직하게, 축방향으로 앞으로 상기 나사 섹션으로의 방향을 가리키는, 바람직하게는 고리 모양인 지지면을 규정하며, 지지를 위한 상기 지지면은 상기 연결 유닛의 사용위치에서 상기 캐리어 부품의 상기 고정 개구부의 마우스 (mouth) 를 빙 둘러싸는 대응 지지면에 형성된다. 적어도 조립과정의 끝은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 몸체의 회전운동의 형태로 나타나고, 따라서 상기 고정 몸체의 지지면은 상기 캐리어 부품의 대응 지지면과 축방향으로 텐셔닝되고 (tensioned), 상기 고정 몸체의 확실한 지지가 보장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수나사는 오로지 상기 나사 섹션을 따라서 연장되고, 반면 상기 헤드 섹션은 수나사를 가지고 있지 않다. 상기 헤드 섹션은 외부가 바람직하게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고, 하지만 다각형으로도 윤곽을 가질 수 있고 그리고/또는 토크 (torque) 를 도입하기에 적합한 조작 공구를 부착할 수 있기 위해 적어도 2개의 평평부를 가질 수 있다. 하지만, 보통의 경우 상기 고정 몸체의 고무 탄성을 근거로 충분한 고정이 이미, 상기 고정 몸체가 손에 의해 단단히 조여짐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나사 섹션의 상기 수나사는, 상기 수나사가 단지 상기 나사 섹션의 부분길이에 걸쳐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나사는 상기 나사 섹션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상기 헤드 섹션은 바람직하게는 바로 상기 수나사에 이어진다.
상기 수나사는 바람직하게 중단되지 않은, 보통의 나사선을 갖는다. 하지만, 상기 수나사가 세그먼트화되는 그리고 나사선이 서로 간격을 두고 연속되는 다수의 나사선 섹션들로 구성되는 구조도 가능하다.
상기 삽입 개구부의 축방향과 관련하여 상기 리테이닝 요소는 바람직하게 상기 헤드 섹션보다 짧은 크기를 가지며, 상기 리테이닝 요소는, 상기 리테이닝 요소가 상기 헤드 섹션으로부터 축방향으로 양쪽에서 돌출하도록 상기 헤드 섹션 안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테이닝 요소는 디스크 모양으로 평평하게 형성된다.
상기 리테이닝 요소의 특히 비용절감적인 구성은, 상기 리테이닝 요소가 다만 환상 몸체와, 상기 환상 몸체와 일체로 연결된 리테이닝 클로들로만 구성되는 것을 제공한다. 상기 환상 몸체를 통하여 상기 리테이닝 요소는 상기 고정 몸체 안에 앵커링되고, 그렇기 때문에 상기 환상 몸체는 앵커링-환상 몸체라 불릴 수 있다.
전체적으로 상기 리테이닝 요소는 바람직하게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리테이닝 요소는 특히 스프링 탄성적 금속으로, 특히 특수강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리테이닝 요소는 조합된 스탬핑 (stamping) 및 벤딩 (bending) 과정을 통해 제조되고, 따라서 상기 리테이닝 요소는 이른바 스탬핑 벤딩 부품으로서 존재한다.
고무 탄성적인 상기 고정 몸체는 바람직하게 사출 성형 (injection molding) 부품이며, 상기 고정 몸체는 사출 성형을 통한 상기 고정 몸체의 제조시 바로 상기 미리 별도로 제조된 리테이닝 요소에 성형되고, 따라서 상기 리테이닝 요소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고정 몸체의 재료 안으로 매립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고정 몸체와 상기 리테이닝 요소 사이의 특히 밀접한 결합이 발생한다.
바람직하게는, 고무 탄성적인 상기 고정 몸체는 엘라스토머 재료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 몸체는 예컨대 NBR (니트릴 부타디엔 고무) 로 구성될 수 있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 (TPE) 로 이루어진 실현이 특히 목적에 맞는다고 증명되었다.
고무 탄성적 재료로 구성되는 상기 고정 몸체는 바로 그 자체가 비용절감적으로 실현 가능한 밀폐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밀폐 구조는 상기 캐리어 부품과 관련해서 뿐만 아니라 삽입된 유체 라인과 관련해서도 상기 고정 몸체의 밀폐를 야기한다. 상기 고정 몸체는 이때 바람직하게 상기 캐리어 부품에 밀폐적으로 밀착하기 위해 제공된, 고리 모양의 적어도 하나의 외부 밀폐 섹션을 규정하며, 게다가 삽입된 상기 유체 라인을 상기 유체 라인의 바깥둘레에서 밀폐적으로 둘러싸는 고리 모양의 적어도 하나의 내부 밀폐 섹션을 규정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별도의 밀폐요소들, 특히 밀폐링들을 상기 연결장치에 설치하는 것이 불필요하다.
바람직하게 상기 고정 몸체는 상기 나사 섹션의 영역에서, 상기 삽입 개구부와 관련하여 동심적으로 배치된, 방사상으로 안쪽으로 상기 삽입 개구부 안으로 튀어나와 있는, 고리 모양의 적어도 하나의 밀폐 벌지부를 구비하며, 상기 밀폐 벌지부는 삽입된 유체 라인의 바깥둘레면에 밀폐적으로 밀착하기 위해 제공된다. 이 밀폐 벌지부의 영역에서의 상기 삽입 개구부의 안지름은 유체 라인의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유체 라인의 바깥지름보다 작다. 이로 인해 상기 고리 모양의 밀폐 벌지부는 상기 유체 라인을 삽입할 때 탄성적으로 변형되고, 높은 밀폐력으로 상기 유체 라인의 상기 바깥둘레면에 눌려진다. 하지만 동시에 상기 밀폐 벌지부는 방사상으로도 확장되고, 따라서 상기 나사 섹션의 수나사도, 적어도 상기 밀폐 벌지부를 구비하는 길이섹션 (length section) 에서,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변형되고, 활발히 상기 캐리어 부품의 상기 고정 개구부의 암나사 안으로 눌려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고정 몸체와 상기 캐리어 부품 사이의 신뢰성 있는 밀폐가 발생한다. 동시에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고정 몸체와 상기 캐리어 부품 사이의 마찰 결합식 연결이 실현되고, 상기 마찰 결합식 연결은 상기 고정 몸체의 비틀림 및 만일의 풀림을 저지한다. 그렇기 때문에, 상기 고정 몸체는 삽입된 유체 라인에 있어서, 상기 고정 몸체가 미리 단지 적은 힘으로 그리고 예컨대 순전히 수동으로 단단히 조여졌을 때에도 확실히 상기 캐리어 부품 안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 몸체의 탄성은, 스크루잉 과정 (screwing process) 없이도, 상기 암나사를 갖춘 고정 개구부 안으로의 상기 나사 섹션의 축방향 삽입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특히 충분히 높다. 이는 조립과정을 간단하게 하고, 상기 연결 유닛과 상기 캐리어 부품의 빠른 조립을 간단하게 한다. 상기 조립과정은 여러 번의 록킹 (locking) 과정과 비교 가능하다.
상기 연결장치가 삽입된 유체 라인을 필요시 언제나 간단히 그리고 손상 없이 다시 상기 연결 유닛 밖으로 제거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공해야 하면, 상기 연결 유닛은 바람직하게 해제 슬리브 (release sleeve) 를 갖출 수 있고 또는 갖추고 있고, 상기 해제 슬리브는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상기 고정 몸체 안에 배치되고, 수동으로 가압될 수 있는 조작 섹션과 함께 뒤쪽에서 상기 고정 몸체 밖으로 돌출한다. 상기 고정 몸체의 내부에서 상기 해제 슬리브는 상기 리테이닝 클로들의 앞에 축방향으로 밖에 놓여 있고, 따라서 상기 해제 슬리브는 상기 조작 섹션에의 압력에 의해 상기 리테이닝 클로들에 작용하고, 상기 리테이닝 클로들을 삽입된 유체 라인의 바깥둘레에서 들어낼 수 있다.
상기 해제 슬리브는 상기 고정 몸체의 내부에서 바람직하게, 상기 삽입 개구부의 환상 그루브 모양의 확장부로서 형성된 안전 그루브 (securing groove) 안에 꽉 잡힌다. 상기 고정 몸체의 고무 탄성을 근거로 상기 해제 슬리브는 매우 간단히 상기 안전 그루브 안으로 록킹될 수 있다.
상기 연결장치에 바람직하게 참여한 상기 캐리어 부품 안에, 바람직하게는 유체 채널이 형성되고, 상기 유체 채널은 상기 고정 개구부와 연통 (communicate) 한다. 그러므로, 유체 라인 안에 형성된 라인 채널은 연결된 유체 라인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부품의 상기 유체 채널과 유체연결되어 있다.
상기 캐리어 부품은 바람직하게 유체 기술적 구성요소의, 예컨대 밸브의 또는 유체에 의해 작동되는 드라이브의 하우징 몸체 (housing body) 이다. 상기 연결 유닛은 이러한 방식으로 매우 간단히 직접적으로 유체 기술적 구성요소에 조립될 수 있다.
상기 연결장치를 조립하기 위한 특히 목적에 맞는 방법은, 상기 연결 유닛을 상기 연결 유닛의 고정 몸체의 상기 나사 섹션을 이용해 상기 수나사의 탄성적 변형하에서 스크루잉 과정 없이 축방향으로 상기 캐리어 부품의 상기 고정 개구부 안으로 누르는 것을 제공하며, 따라서 상기 나사 섹션의 상기 수나사는 상기 캐리어 부품의 상기 고정 개구부의 상기 암나사와 형상 결합으로 맞물려 있다. 그 후 비로소 최종적인 조립단계에서 상기 고정 몸체는 약간 비틀리고 (twisted), 이로부터 스크루잉 과정이 생기고, 상기 스크루잉 과정은 상기 고정 몸체가 상기 캐리어 부품과 축방향으로 텐셔닝되는 것을 초래한다. 상기 축방향 텐셔닝은 특히 상기 고정 개구부에 대해 동축적인 상기 캐리어 부품의 대응 지지면에, 상기 헤드 섹션에 형성된, 축방향으로 방향지어진 지지면을 축방향으로 밀어붙임으로써 발생한다. 상기 연결 유닛의 분해는 바람직하게 순전한 스크루잉 과정을 통해 수행된다.
상기 나사 섹션의 상기 수나사를 위해 규격화된 나사 치수가 사용되면, 암나사를 갖춘 고정 개구부를 구비하는 임의의 캐리어 부품들에 상기 연결장치를 설치할 수 있고 또는 추가적으로 설치할 수도 있다.
상기 캐리어 부품은 적어도 상기 고정 개구부의 영역에서 바람직하게 강성 (rigid) 재료로, 예컨대 금속으로 또는 플라스틱 재료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근거로 상세히 설명된다.
도 1 은 연결 유닛은 캐리어 부품 안에 삽입된 상기 연결 유닛의 사용위치에서 도시되고, 연결된 유체 라인은 일점쇄선으로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연결장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통한 세로방향 단면을 나타내고,
도 2 는 도 1 로부터의 배열체를 투시 분해도로 나타내고,
도 3 은 도 2 로부터의 분해도를 세로방향 단면으로 나타내고,
도 4 는 연결 유닛의 개별도면을 측면도로 나타내고,
도 5 는 선택적인 해제 슬리브와, 캐리어 부품이 일점쇄선으로만 도시된, 연결장치의 세로방향 단면을 나타내고,
도 6 은 도면 1 내지 도면 5 의 연결장치에서 이용되는 리테이닝 요소의 투시 개별도면을 나타내고,
도 7 은 도 6 으로부터의 화살표 VII 에 따른 시선방향을 갖는 리테이닝 요소의 평면도를 나타내고,
도 8 은 도 7 로부터의 화살표 VIII 에 따른 시선방향을 갖는 리테이닝 요소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전체적으로 참조부호 (1) 로 표시된 연결장치의, 도면에 도시된 유리한 실시형태는 연결 유닛 (4) 을 포함하며, 상기 연결 유닛은 상기 연결 유닛의 사용위치에서 캐리어 부품 (2) 의 고정 개구부 (3) 와 맞물리고, 이 고정 개구부 (3) 안에 고정된다.
연결장치 (1) 는 유체 라인 (5) 을 연결하기 위해 적합하며, 상기 유체 라인은 압축공기 또는 압축액과 같은 유체적 압력매체를 통과시키기 위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가능한 유체 라인 (5) 은 플렉시블 호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유체 라인은 강성 파이프일 수도 있다. 도면 1 에서 유체 라인 (5) 은 연결된 상태에서 도시된다.
실시예와 달리, 이미 연결 유닛 (4) 은 단독으로 연결장치 (1) 를 형성할 수 있다. 연결 유닛 (4) 은 적합하게 형성된 고정 개구부 (3) 를 구비하는 각각의 임의의 캐리어 부품 (2) 과 조합될 수 있다. 그러므로, 특히, 이미 존재하는 캐리어 부품들 (2) 에 필요에 따라 하나 또는 다수의 연결 유닛 (4) 을 설치하는 또는 추가적으로 설치하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바람직하게는, 연결장치 (1) 는 실시예에 상응하여 조립체로서 실시되고, 상기 조립체는 적어도 하나의 연결 유닛 (4) 과 캐리어 부품 (2) 으로 구성되며, 상기 캐리어 부품은 연결 유닛 (4) 에 맞춰진 적어도 하나의 고정 개구부 (3) 를 구비한다. 이때, 연결 유닛 (4) 은 이미 공장 인도시에 상기 연결 유닛의 사용위치를 취하고 캐리어 부품 (2) 에 조립되어 있을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연결 유닛 (4) 과 캐리어 부품 (2) 은 서로 분리된 부품들로서도 인도될 수 있고, 상기 부품들은 사용자에 의해 비로소 조립되고, 즉 결합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캐리어 부품 (2) 은 예컨대 밸브, 유체에 의해 작동되는 드라이브 또는 압축공기-정비장치와 같은 유체 기술적 구성요소의 부품에 의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캐리어 부품 (2) 은 이러한 유체 기술적 구성요소의 하우징 몸체에 의해 표현되고, 예컨대 실린더 하우징 또는 밸브 하우징에 의해 표현된다. 도면에서 캐리어 부품 (2) 은 매우 간략히 나타내진다.
연결장치 (1) 의 도시되지 않은 실시형태에 상응하여, 캐리어 부품 (2) 은 적어도 하나의 고정 개구부 (3) 에 대해 추가적으로 그 밖의 고정 인터페이스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 인터페이스를 이용해 상기 캐리어 부품은 전술한 종류의 유체 기술적 구성요소에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캐리어 부품 (2) 은, 연결 유닛 (4) 과 그것을 갖출 수 있는 유체 기술적 구성요소 사이의 결속 요소로서 기능을 수행한다.
캐리어 부품 (2) 안에 리세스 (recess) 의 유형으로 형성된 고정 개구부 (3) 는 마우스 개구부 (mouth opening, 19) 를 이용해, 하기에서 연결-외면 (7) 으로 표시되는 캐리어 부품 (2) 의 외면으로 통하고, 세로축 (15) 을 갖는다. 캐리어 부품 (2) 의 내부에서 고정 개구부 (3) 에, 특히 동축적 정렬로, 유체 채널 (8) 이 이어지고, 유체 라인 (5) 을 관통하는 라인 채널 (9) 은 연결된 유체 라인 (5) 에 있어서 상기 유체 채널과 유체연결되어 있다.
연결 유닛 (4) 은 세로축 (16) 을 가지며, 이 세로축 (16) 에 대해 직각으로 고리 모양의 횡단면을 갖는다. 상기 연결 유닛은 축방향으로 방향지어진 앞면 (22) 과 이와 관련하여 축방향으로 마주 대한 뒷면 (23) 을 가지며, 동축으로 관통되고, 이때 한편으로는 앞면 (22) 으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뒷면 (23) 으로 통하는 관통부는 삽입 개구부 (26) 라 불린다. 연결되어야 하는 유체 라인 (5) 은 뒷면 (23) 으로부터 삽입 개구부 (26)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연결 유닛 (4) 은 예시적으로 2개의 구성요소로 구성되며, 보다 정확히 말하면 커프 (cuff) 모양으로 형성된 그리고 그렇기 때문에 리테이닝 커프 (6) 라 불리는 제 1 구성요소와, 풀 수 있게 또는 풀 수 없게 리테이닝 커프 (6) 에 고정된 해제 슬리브 (57) 로 구성되고, 상기 해제 슬리브는, 이전에 연결된 유체 라인 (5) 의 쉬운 풀림을 허용한다. 그러나, 해제 슬리브 (57) 는 선택적이며 생략될 수도 있고, 따라서 연결 유닛 (4) 은 오로지 리테이닝 커프 (6) 로 구성된다.
연결 유닛 (4) 과 예시적으로 상기 연결 유닛의 리테이닝 커프 (6) 는 일체형 고정 몸체 (12) 와, 상기 고정 몸체 (12) 에 고정된, 고리 모양의 리테이닝 요소 (24) 를 포함한다. 리테이닝 요소 (24) 는 동축으로 관통 개구부 (13) 에 의해 관통되고, 상기 관통 개구부는 해제 슬리브 (57) 가 존재하지 않을시 그 자체가 단독으로 삽입 개구부 (26) 를 형성한다. 선택적인 해제 슬리브 (57) 는 뒷면 (23) 으로부터 고정 몸체 (12) 의 관통 개구부 (13) 와 맞물리고, 따라서 상기 해제 슬리브로 둘러싸인, 축방향으로 연속적인 슬리브 개구부 (14) 는 동축으로 관통 개구부 (13) 와 정렬되고, 상기 경우에서 삽입 개구부 (26) 는 유체 라인 (5) 을 위해 함께 슬리브 개구부 (14) 에 의해, 그리고 해제 슬리브 (57) 와 고정 몸체 (12) 의 앞면 (22) 사이에 연장되는 관통 개구부 (13) 의 길이섹션에 의해 형성된다.
고정 몸체 (12) 는 상기 고정 몸체의 세로방향에서 일체로 서로 섞이는 다수의 섹션들로 분할되고, 이때 상기 고정 몸체는 앞면 (22) 에서 시작하는 나사 섹션 (17) 과, 뒤쪽에서 상기 나사 섹션에 이어지는 헤드 섹션 (18) 을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 몸체 (12) 는 오로지 나사 섹션 (17) 과 헤드 섹션 (18) 으로 구성된다.
헤드 섹션 (18) 은 바람직하게 나사 섹션 (17) 보다 큰 바깥지름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헤드 섹션 (18) 은 고리 모양의 단차부 (29) 를 통하여 나사 섹션 (17) 에 이어지고, 축방향으로 앞으로, 앞면 (22) 으로의 방향을 가리키는 고리 모양의 지지면 (29a) 을 규정한다.
나사 섹션 (17) 은 상기 나사 섹션의 주변 바깥둘레면에 수나사 (20) 를 구비한다. 수나사 (20) 는 바람직하게는 나사 섹션 (17) 의 전체 축방향 길이에 걸쳐 연장된다. 어쨌든 수나사 (20) 가 축방향으로 바로 헤드 섹션 (18) 쪽으로까지 연장되면, 그리고 이로써 비로소 상기 고리 모양의 단차부 (29) 에서 끝나면 목적에 맞는다.
수나사 (20) 는 임의의 나사 타입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미터 나사 (metric thread) 이고, 하지만 인치 나사 (inch thread) 가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그 자체가 알려져 있는 방식으로, 수나사 (20) 는 바람직하게 나선형으로 세로축 (16) 둘레로 연장되는 고랑 (20a) 과, 이 나선형 고랑 (20a) 을 각각 축방향으로 양쪽에서 좌우를 둘러싸는 그리고 마찬가지로 나선형으로 세로축 (16) 둘레로 연장되는 융기부 (20b) 로 구성된다. 하지만, 수나사 (20) 를 나선-세로방향에서 세그먼트화하는 것도 간단히 가능하다.
고정 개구부 (3) 는 상기 고정 개구부의 안둘레면에서, 고정 몸체 (12) 의 수나사 (20) 에 맞춰진 그리고 이와 관련하여 특히 상호보완적으로 형성된 암나사 (21) 를 갖추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고정 개구부 (3) 를 나사 개구부 또는 나사 보어라고도 부를 수 있다.
연결 유닛 (4) 은 도면 1 과 도면 5 에서 볼 수 있는 상기 연결 유닛의 사용위치에서 나사 섹션 (17) 을 이용해 미리 고정 개구부 (3) 안으로 가라앉고, 이때 상기 나사 섹션의 수나사 (20) 는 암나사 (21) 와 맞물려 있다. 이때, 고정 몸체 (12) 는, 상기 고정 몸체가 상기 고정 몸체의 고리 모양의 지지면 (29a) 을 이용해 초기인장하에서 대응 지지면으로서 기능을 수행하는 연결-외면 (7) 에 밀착하도록 캐리어 부품 (2) 과 나사결합된다. 텐셔닝하기 위해 필요한 토크는 헤드 섹션 (18) 을 통하여 고정 몸체 (12) 안으로 도입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헤드 섹션 (18) 은 원통 모양의 외부윤곽을 가지며, 따라서 상기 헤드 섹션은 단단히 조이기 위해 매우 간단히 한 손의 손가락들로 붙잡힐 수 있다. 헤드 섹션 (18) 은 수나사를 가지고 있지 않고, 특히 표면이 매끄럽게 형성되고, 이는 오염물의 퇴적을 저지한다. 하지만, 헤드 섹션 (18) 의 주변 측면에 다수의 평평부를 제공하는 것이 전적으로 가능하고, 상기 평평부들은 토크의 도입을 특히 촉진하고, 특히 적합하게 형성된 스크루잉 공구 (screwing tool) 를 부착하기 위한 가능성을 제공한다.
고정 몸체 (12) 는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고정 몸체의 수나사 (20) 를 포함하여 고무 탄성적 특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 몸체는 바람직하게는 엘라스토머 재료로 구성되고, 이때 특히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로 구성된다. 고정 몸체 (12) 는 특히 사출 성형 가능한 플라스틱 재료로부터 사출 성형을 통해 제조된다.
바람직하게는, 고정 몸체 (12) 의 고무 탄성은, 상기 고정 몸체가 수나사 (20) 의 탄성적 변형하에서 스크루잉 과정 없이, 암나사 (21) 를 갖춘 고정 개구부 (3) 안으로 축방향으로 눌려질 수 있도록 선택된다. 고정 개구부 (3) 안으로의 이 축방향 누름에 있어서, 연속되는 록킹 과정들 또는 스냅 과정들이 행해지고, 상기 록킹 과정들 또는 스냅 과정들에서 수나사 (20) 의 융기부들 (20b) 은 잇달아 상기 암나사 (21) 의 연속되는 나선 섹션들 안으로 록킹되고 또는 스냅된다. 이로써, 캐리어 부품 (2) 에서의 연결 유닛 (4) 의 조립은 매우 시간 절약적으로 행해질 수 있다. 상기 고정 몸체가 상기 고정 몸체의 지지면 (29a) 을 이용해 상기 예시적으로 연결-외면 (7) 에 의해 형성된 캐리어 부품 (2) 의 대응 지지면에 밀착할 정도로 고정 몸체 (12) 가 고정 개구부 (3) 안으로 삽입되면 비로소, 고정 몸체 (12) 는, 고정 몸체 (12) 가 캐리어 부품 (2) 과 충분히 강하게 축방향으로 텐셔닝될 때까지, 헤드 섹션 (18) 안으로의 토크의 도입을 통해 더 약간 비틀린다. 이 축방향 텐셔닝에 있어서 지지면 (29a) 은 상기 대응 지지면과 텐셔닝된다.
고정 몸체 (12) 의 고무 탄성을 근거로 고정 몸체 (12) 는 순전히 수동으로도 충분히 단단히 조여질 수 있다.
이러한 유리한 조립 가능성에도 불구하고, 고정 몸체 (12) 는 물론 종래적으로도 상기 고정 몸체가 처음부터 상기 고정 몸체의 수나사 (20) 를 이용해 암나사 (21) 안으로 나사결합됨으로써 고정 개구부 (3) 안에 고정될 수 있다.
연결 유닛 (4) 이 어떤 시점에서 캐리어 부품 (2) 으로부터 분리되어야 하면, 이는 헤드 섹션 (18) 안으로의 상응하여 방향지어진 토크의 도입을 통해, 나사를 풀어 고정 몸체 (12) 가 고정 개구부 (3) 밖으로 빼내짐으로써 간단히 수행될 수 있다. 나사 섹션 (17) 의 충분한 탄성에 있어서 그리고 상응하여 큰 인장력에 있어서, 적어도 우선 축방향 텐셔닝이 고정 몸체 (12) 의 약간의 비틀림을 통해 해제된 후, 고정 몸체 (12) 를 스크루잉 과정 없이 고정 개구부 (3) 밖으로 끌어내는 가능성도 존재한다.
상기에서 언급된 고리 모양의 리테이닝 요소 (24) 는, 관통 개구부 (13) 와 관련하여 동축인 정렬로 고정 몸체 (12) 에 고정되고, 특히 풀 수 없는 방식으로 고정된다.
고리 모양의 리테이닝 요소 (24) 는 환상 개구부 (32) 를 둘러싸며, 상기 환상 개구부는 고정 몸체 (12) 의 관통 개구부 (13) 에 대해 동축으로 정렬되고, 그 결과 삽입 개구부 (26) 의 길이섹션도 규정한다. 연결 유닛 (4) 안으로 삽입된 유체 라인 (5) 은 리테이닝 요소 (24) 의 환상 개구부 (32) 도 관통한다.
리테이닝 요소 (24) 는 오로지 고정 몸체 (12) 의 헤드 섹션 (18) 안에 앵커링된다. 상기 리테이닝 요소는 나사 섹션 (17) 과 맞물리지 않는다. 이를 통해, 나사 섹션 (17) 은 작은 지름들을 위해 문제 없이 설계될 수 있다. 리테이닝 요소 (24) 는 바람직하게 축방향에서 헤드 섹션 (18) 보다 짧은 크기를 가지며, 상기 리테이닝 요소는, 상기 리테이닝 요소가 축방향으로 양쪽에서 헤드 섹션 (18) 의 길이섹션들로부터 돌출하도록 헤드 섹션 (18) 안에 배치된다.
연결 유닛 (4) 의 조립된 사용위치에서, 고리 모양의 리테이닝 요소 (24) 는 그 전체가 고정 개구부 (3) 의 외부에 있다.
리테이닝 요소 (24) 는 바람직하게 고리 모양의 섹션을 구비하며, 상기 고리 모양의 섹션은 고정 몸체 (12) 안에 앵커링하기 위해 사용되고, 그렇기 때문에 앵커링-환상 몸체 (36) 라 불린다. 앵커링-환상 몸체 (36) 는, 도면 6 과 도면 7 에서 이중 화살표를 통해 알기 쉽게 만들어진 그리고 연결 유닛 (4) 의 세로축 (16) 둘레로의 방향인 원주방향을 갖는다.
앵커링-환상 몸체 (36) 는 다수의 리테이닝 클로들 (37) 을 받치고 있고, 상기 리테이닝 클로들은 앵커링-환상 몸체 (36) 에서 상기 앵커링-환상 몸체의 원주방향 (42) 을 따라 분배되어 배치된다. 원주방향 (42) 에서 각각 바로 이웃한 리테이닝 클로들 (37) 사이에는 바람직하게 간격이 있다. 전체적으로 리테이닝 클로들 (37) 은 세로축 (16) 둘레로 연장되는 하나의 리테이닝 클로 링을 형성한다.
리테이닝 클로들 (37) 은 각각 앵커링-환상 몸체 (36) 에서 시작하여 바람직하게 비스듬히 방사상으로 안쪽으로 그리고 동시에 축방향으로 앞면 (22) 으로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 결과, 상기 리테이닝 클로들은 각각 하나의 비스듬한 뒷면 (44) 을 가지며, 상기 뒷면은 고정 몸체 (12) 의 관통 개구부 (13) 의 뒤쪽 마우스 개구부 (13a) 를 향해 있다. 앵커링-환상 몸체 (36) 는 고정 몸체 (12) 의 헤드 섹션 (18) 안으로 매립되고, 이때 바람직하게 두 축방향 단부면들 및 방사상으로 밖에 놓여 있는 앵커링-환상 몸체 (36) 의 측면은 고정 몸체 (12) 의 재료로 덮혀진다.
바람직하게는, 앵커링-환상 몸체 (36) 의 안지름은, 헤드 섹션 (18) 안에서 연장되는 관통 개구부 (13) 의 길이섹션의 안지름에 상응하고, 따라서 리테이닝 요소 (24) 에서 다만 리테이닝 클로들 (37) 이 관통 개구부 (13) 안으로 방사상으로 밖으로부터 돌출한다.
리테이닝 요소 (24) 는 바람직하게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리테이닝 요소의 앵커링-환상 몸체 (36) 는 바람직하게는 슬릿을 가지지 않고, 그러므로 빙 둘러 그 자체가 닫혀 있다. 바람직하게 리테이닝 요소 (24) 는 스프링 탄성적 금속으로, 특히 특수강으로 구성된다. 상기 리테이닝 요소는 비용절감적으로 스탬핑 벤딩 부품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리테이닝 커프 (6) 는 특히, 고무 탄성적 고정 몸체 (12) 가 사출 성형을 통해 제조되고, 상기 고정 몸체가 상기 고정 몸체의 사출 성형 제조시 바로 리테이닝 요소 (24) 에 성형됨으로써 만들어내진다. 이를 통해, 특히 고정 몸체 (12) 의 고무 탄성적 재료와, 상기 고정 몸체의 재료로 덮혀진 리테이닝 요소 (24) 의 표면 섹션들 사이의 재료 결합식 연결이 존재한다.
도시되지 않은 실시예에서, 고리 모양의 리테이닝 요소 (24) 는 상기 먼저 별도로 제조된 고정 몸체 (12) 의 헤드 섹션 (18) 의 안둘레에 형성된 리테이닝 오목부 안으로 스냅된다.
원주방향 (42) 으로 서로 이웃한 리테이닝 클로들 (37) 사이에 있는 중간공간들은 비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중간공간들은 도면 3 이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 몸체 (12) 를 실현하기 위해 사용된 고무 탄성적 재료에 의해 채워질 수도 있다. 이 재료의 고무 탄성에 근거하여, 리테이닝 클로들 (37) 의 가동성이 이로 인해 침해되는 것이 아니다.
리테이닝 클로들 (37) 은 바람직하게 앵커링-환상 몸체 (36) 와 마주 대한 각각 하나의 리테이닝 모서리 (43) 를 갖는다. 리테이닝 클로들 (37) 의 변형되지 않은, 응력 중립적 상태에서, 전체 리테이닝 모서리들 (43) 은 고정되어야 하는 유체 라인 (5) 의 바깥지름보다 작은 지름 위에 놓여 있다. 유체 라인 (5) 을 연결하기 위해, 상기 유체 라인은 라인 단부와 함께 미리 뒷면 (23) 으로부터 삽입 개구부 (26) 안으로 삽입되고, 이때 고리 모양의 리테이닝 요소 (24) 의 환상 개구부 (32) 를 관통하여서도 꽂힌다. 삽입할 때 유체 라인 (5) 은 상기 유체 라인의 선행하는 단부면과 함께 리테이닝 클로들 (37) 의 비스듬한 뒷면들 (44) 에 부딪치고, 이로써 상기 리테이닝 클로들은 탄력 있는 복원력의 생성하에서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선회되고 또는 변형되고, 따라서 상기 리테이닝 클로들은 상기 리테이닝 클로들의 리테이닝 모서리들 (43) 과 함께 초기인장하에서 유체 라인 (5) 의 바깥둘레면 (28) 에 밀착하고, 유체 라인 (5) 의 재료에 의존하여 심지어 바깥둘레면 (28) 안으로 밀어 넣어질 수 있고 또는 파묻힐 수 있다. 유체 라인 (5) 의 바깥둘레에 리테이닝 그루브를 제공하는 가능성도 존재하고, 리테이닝 클로들 (37) 은 상기 리테이닝 클로들의 리테이닝 모서리들 (43) 과 함께 상기 리테이닝 그루브 안으로 록킹될 수 있다.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고무 탄성적 고정 몸체 (12) 는 동시에 밀폐 구조 (27) 를 형성하며, 상기 밀폐 구조는 연결 유닛 (4) 의 사용위치에서 일부 영역에서는 캐리어 부품 (2) 과 그리고 마찬가지로 일부 영역에서는 삽입된 유체 라인 (5) 의 바깥둘레면 (28) 과 밀폐적으로 함께 작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특별한 밀폐요소들이 이용될 필요없이, 고정 개구부 (3) 밖으로의 주변으로의 컨트롤되지 않은 유체유출이 방지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캐리어 부품 (2) 과 관련된 그리고 삽입된 유체 라인 (5) 과 관련된 리테이닝 커프 (6) 의 밀폐는 오로지 고정 몸체 (12) 를 통해, 좋은 밀폐특성을 갖는 상기 고정 몸체의 고무 탄성적 재료를 이용해 수행된다. 이러한 이유로 연결장치 (1) 는 하나 또는 다수의 추가적인 고무 탄성적 밀폐요소를 갖추고 있지 않다.
고정 몸체 (12) 는 또는 고정 몸체 (12) 에 의해 규정된 밀폐 구조 (27) 는 바람직하게는 캐리어 부품 (2) 과 밀폐적으로 함께 작용하는 고리 모양의 적어도 하나의 외부 밀폐 섹션 (27a) 과, 삽입된 유체 라인 (5) 과 밀폐적으로 함께 작용하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밀폐 섹션 (27b) 을 구비한다.
외부 밀폐 섹션 (27a) 은 바람직하게는 직접적으로 나사 섹션 (17) 의 수나사 (20) 에 의해 형성된다. 고무 탄성적 수나사 (20) 와 캐리어 부품 (2) 의 강성적 암나사 (21) 사이의 나사 맞물림을 통해, 캐리어 부품 (2) 과 고정 몸체 (12) 사이의 유체 관통을 저지하는 신뢰성 있는 밀폐가 실현된다.
추가적인 특별한 조치들은 바람직하게, 수나사 (20) 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활발히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눌려지고, 이를 통해 고정 개구부 (3) 의 암나사 (21) 와 방사상으로 텐셔닝되는 것을 보장한다. 이는 한편으로는 밀폐성을 높이고, 다른 한편으로는 두 나사 (20, 21) 사이의 마찰 결합을 보장하고, 상기 마찰 결합은 고정 몸체 (12) 와 캐리어 부품 (2) 사이의 나사결합의 의도치 않은 풀림을 저지한다.
특별한 조치들은, 고정 몸체 (12) 의 나사 섹션 (17) 이, 관통 개구부 (13) 를 방사상으로 한정하는 상기 나사 섹션의 안둘레에서, 동심적으로 배치된, 방사상으로 안쪽으로 튀어나와 있는, 고리 모양의 적어도 하나의 밀폐 벌지부 (55) 를 구비하는 데에 있다. 이 밀폐 벌지부 (55) 는 고정 몸체 (12) 의 일체형 구성요소이다. 상기 밀폐 벌지부는 고정 몸체 (12) 의 축방향으로 이웃한 영역들과 관련하여 방사상으로 안쪽으로 튀어나와 있고, 응력 중립적 상태에서 안지름을 빙 둘러 경계짓고, 상기 안지름은 연결되어야 하는 유체 라인 (5) 의 바깥지름보다 작다. 삽입된 유체 라인 (5) 에 의해 밀폐 벌지부 (55) 는 방사상으로 변형되며, 상기 밀폐 벌지부의 안지름에 있어서 확장되고, 따라서 상기 밀폐 벌지부는 생성되는 탄성적 복원력에 근거하여 초기인장하에서 그리고 최적의 밀폐로 유체 라인 (5) 의 바깥둘레면 (28) 에 밀착한다.
적어도 하나의 밀폐 벌지부 (55) 의 상기 방사상 변형은, 나사 섹션 (17) 의 그리고 상기 나사 섹션에 위치한 수나사 (20) 의 길이섹션의 적어도 밀폐 벌지부 (55) 를 구비하는 길이섹션이 탄성적으로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눌려지는 것도 초래하고, 이는 수나사 (20) 와 암나사 (21) 사이의 이미 언급된 방사상 텐셔닝을 초래한다.
그러므로, 고정 몸체 (12) 는 바로 삽입된 상기 유체 라인 (5) 을 통해 고정 개구부 (3) 안에서의 상기 고정 몸체의 고정력의 강화를 경험한다.
유체 라인 (5) 이 나중에 다시 연결 유닛 (4) 밖으로 제거되면, 삽입된 유체 라인 (5) 과 관련된 고정력들도 다시 감소되고, 따라서 리테이닝 커프 (6) 는 필요시 다시 비교적 쉽게, 나사를 풀어 고정 개구부 (3) 밖으로 빼내질 수 있고 또는 심지어 끌어내질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고리 모양의 밀폐 벌지부 (55) 는 바람직하게 상기 언급된 내부 밀폐 섹션 (27b) 을 형성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밀폐 벌지부 (55) 는 바람직하게는 상기 밀폐 벌지부가 헤드 섹션 (18) 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앞면 (22) 에 있는 고정 몸체 (12) 의 단부면에 대해서도 간격을 갖도록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나사 섹션 (17) 은 방사상으로 안쪽으로 돌출하는 고리 모양의 스톱 칼라 (stop collar, 45)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스톱 칼라는 나사 섹션 (17) 의 일체형 구성요소이고, 이에 상응하여 또한 고무 탄성적 특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된다. 이 스톱 칼라 (45) 는 존재하는 밀폐 벌지부 (55) 에 있어서 이 적어도 하나의 밀폐 벌지부 (55) 보다 연결 유닛 (4) 의 앞면 (22) 에 가까이 놓여 있다.
고리 모양의 스톱 칼라 (45) 는 자유 횡단면을 한정하고, 상기 자유 횡단면의 지름은 연결되어야 하는 유체 라인 (5) 의 바깥지름보다 작고, 상기 자유 횡단면은 바람직하게는, 상기 유체 라인이 상대적으로 큰 힘으로 연결 유닛 (4) 안으로 눌려지는 때에도 유체 라인 (5) 이 상기 자유 횡단면을 관통하여 꽂힐 수 없을 정도로 작다. 그러므로, 스톱 칼라 (45) 는 유체 라인 (5) 의 최대 삽입깊이를 규정한다. 스톱 칼라 (45) 에 의해 빙 둘러싸인 상기 자유 횡단면은 바람직하게, 적어도 하나의 밀폐 벌지부 (55) 에 의해 빙 둘러싸인 횡단면보다 작다. 바람직하게는, 스톱 칼라 (45) 에 의해 빙 둘러싸인 상기 자유 횡단면은 적어도 본질적으로 라인 채널 (9) 의 횡단면에 상응한다.
스톱 칼라 (45) 는 바람직하게 바로 나사 섹션 (17) 의 앞면 (22) 에서 형성된다.
삽입된 유체 라인 (5) 이 다시 쉽게 제거될 수 있어야 하면, 연결장치 (1) 에 상기에서 이미 언급된 해제 슬리브 (57) 를 설치하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해제 슬리브 (57) 는 동축으로 고정 몸체 (12) 안에서 연장되고, 상기 고정 몸체의 관통 개구부 (13) 안으로, 상기 해제 슬리브는 뒷면 (23) 으로부터 동축으로 가라앉는다. 해제 슬리브 (57) 의 전방 단부섹션 (58) 은 축방향으로 리테이닝 클로들 (37) 의 뒷면들 (44) 과 마주 보며 끝나고, 반면 해제 슬리브 (57) 의 뒤쪽 조작 섹션 (59) 은 뒷면 (23) 의 영역에서 축방향으로 리테이닝 커프 (6) 밖으로 돌출한다. 연결 과정시 유체 라인 (5) 은 해제 슬리브 (57) 를 관통하여서도 꽂힌다. 유체 라인 (5) 을 풀기 위해, 앞으로 향한 누르는 힘이 해제 슬리브 (57) 의 조작 섹션 (59) 에 가해질 수 있고, 따라서 해제 슬리브 (57) 는 리테이닝 요소 (24) 의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해제 슬리브의 전방 단부섹션 (58) 과 함께 리테이닝 클로들 (37) 의 뒷면들 (44) 을 누른다. 리테이닝 클로들 (37) 은 이를 통해 탄성적 변형하에서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구부러지고, 삽입된 유체 라인 (5) 의 바깥둘레면 (28) 에서 들어내지고, 상기 유체 라인은 이로 인해 다시 편안히 끌어내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해제 슬리브 (57) 는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리테이닝 커프 (6) 에 고정된다. 고정 몸체 (12) 는 헤드 섹션 (18) 안에, 상기 헤드 섹션 안에서 연장되는 관통 개구부 (13) 의 길이섹션의 내부에서, 안전 그루브 (47) 라 불리는, 환상 그루브 모양의 확장부를 구비한다. 해제 슬리브 (57) 는 관통 개구부 (13) 안으로 돌출하는 상기 해제 슬리브의 길이섹션에서,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안전 돌출부 (48) 를 구비하며, 상기 안전 돌출부는 바람직하게는 고리 모양으로 형성되고, 상기 안전 돌출부의 축방향 길이는 안전 그루브 (47) 의 길이보다 작다.
안전 그루브 (47) 는 바람직하게 리테이닝 요소 (24) 와 뒤쪽 마우스 개구부 (13a) 사이에 연장되는 관통 개구부 (13) 의 길이섹션 안에 있다.
안전 돌출부 (48) 는 방사상으로 안쪽으로부터 안전 그루브 (47) 와 맞물리고, 이때 상기 언급된 서로의 길이와 관련된 조정은, 해제 슬리브 (57) 와 리테이닝 커프 (6) 사이의 풀림 과정을 위해 필요한 축방향 상대운동을 보장한다. 안전 그루브 (47) 와의 맞물림을 통해, 안전 돌출부 (48) 는 또한, 해제 슬리브 (57) 가 분실되지 않도록 고정 몸체 (12) 에 꽉 잡히고, 관통 개구부 (13) 밖으로 떨어질 수 없는 것을 보장한다.
리테이닝 커프 (6) 안에서의 해제 슬리브 (57) 의 조립은 헤드 섹션 (18) 의 고무 탄성에 근거하여 특히 간단하다고 증명된다. 간단한 록킹과정의 범위에서, 해제 슬리브 (57) 는 축방향으로 뒷면 (23) 으로부터 관통 개구부 (13) 안으로 눌려질 수 있고, 이때 헤드 섹션 (18) 의 재료는, 상기 안전 돌출부가 결국 안전 그루브 (47) 안으로 스냅될 때까지 안전 돌출부 (48) 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된다. 반대의 운동 시퀀스로, 해제 슬리브 (57) 는 이러한 방식으로 또한 언제든지 다시 매우 간단히 리테이닝 커프 (6) 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그러므로, 연결장치 (1) 의 사용자는 공구의 사용 없이 리테이닝 커프 (6) 에 필요시 해제 슬리브 (57) 를 설치하는 유리한 가능성을 갖는다.

Claims (16)

  1. 연결 유닛 (4) 을 갖는, 유체 라인을 위한 연결장치로서,
    상기 연결 유닛은 축방향으로 삽입 개구부 (26) 에 의해 관통되며, 상기 삽입 개구부 안으로 뒷면 (23) 으로부터, 연결되어야 하는 유체 라인 (5) 이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연결 유닛 (4) 은 일체형 고정 몸체 (12) 를 구비하며, 상기 고정 몸체는 수나사 (20) 를 갖춘 나사 섹션 (17) 과, 뒤쪽에서 상기 나사 섹션에 이어지는 헤드 섹션 (18) 을 구비하고, 상기 고정 몸체는 상기 삽입 개구부 (26) 에 대해 동축으로 배치된, 고리 모양의 리테이닝 요소 (24) 를 받치고 있고, 상기 리테이닝 요소는 상기 삽입 개구부 (26) 안으로 돌출하는 다수의 리테이닝 클로들 (retaining claws, 37) 을 구비하며, 상기 리테이닝 클로들은, 상기 삽입 개구부 (26) 안으로 삽입된 상기 유체 라인 (5) 의 바깥둘레를 상기 유체 라인을 꽉 잡기 위한 목적으로 가압하기 위해 형성되고,
    상기 연결 유닛 (4) 은 상기 연결 유닛의 나사 섹션 (17) 을 이용해, 별도의 캐리어 부품 (2) 의 암나사 (21) 를 구비하는 고정 개구부 (3) 안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사용위치를 취하기 위해 이 고정 개구부 (3) 의 상기 암나사 (21) 와의 맞물림을 통해 상기 캐리어 부품 (2) 에 고정될 수 있고,
    상기 수나사 (20) 를 포함하는 상기 일체형 고정 몸체 (12) 는 고무 탄성적 특성을 갖는 재료로 구성되며, 상기 고리 모양의 리테이닝 요소 (24) 는 상기 나사 섹션 (17) 과의 맞물림 없이 오로지 상기 고정 몸체 (12) 의 상기 헤드 섹션 (18) 안에 앵커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을 위한 연결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섹션 (18) 은 상기 나사 섹션 (17) 보다 큰 바깥지름을 가지며, 고리 모양의 단차부 (29) 를 통하여 상기 나사 섹션 (17) 에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을 위한 연결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고리 모양의 단차부 (29) 는, 축방향으로 앞으로 상기 나사 섹션 (17) 으로의 방향을 가리키는 지지면 (29a) 을 규정하며, 지지를 위한 상기 지지면은 상기 연결 유닛 (4) 의 상기 사용위치에서 상기 캐리어 부품 (2) 의 상기 고정 개구부 (3) 의 마우스 (mouth) 를 빙 둘러싸는 대응 지지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을 위한 연결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섹션 (18) 은 수나사 없이 형성되고 그리고/또는 원통 모양의 외부윤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을 위한 연결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섹션 (17) 의 상기 수나사 (20) 는 축방향으로 바로 상기 헤드 섹션 (18) 쪽으로까지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을 위한 연결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닝 요소 (24) 는 전체적으로 상기 고정 몸체 (12) 의 상기 헤드 섹션 (18) 보다 짧은 축방향 크기를 가지며, 상기 리테이닝 요소는, 상기 리테이닝 요소가 축방향으로 양쪽에서 상기 헤드 섹션 (18) 으로부터 돌출하도록 상기 나사 섹션 (17) 에 대해 축방향 간격을 갖고 상기 헤드 섹션 (18) 안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을 위한 연결장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닝 요소 (24) 는 앵커링-환상 몸체 (36) 를 구비하며, 상기 앵커링-환상 몸체를 이용해 상기 리테이닝 요소는 상기 삽입 개구부 (26) 에 대해 동축으로 상기 고정 몸체 (12) 안으로 매립되고 (embedded), 상기 리테이닝 클로들 (37) 은, 특히 비스듬히 방사상으로 안쪽으로 돌출하며, 일체로 상기 고정 몸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을 위한 연결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닝 요소 (24) 는 전체적으로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리테이닝 요소는 바람직하게 스프링 탄성적 재료로 구성되고, 특히 스탬핑 벤딩 부품으로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을 위한 연결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무 탄성적인 상기 고정 몸체 (12) 는 사출 성형을 통한 상기 고정 몸체의 제조시 바로 상기 리테이닝 요소 (24) 에 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을 위한 연결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무 탄성적인 상기 고정 몸체 (12) 는 엘라스토머 재료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재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을 위한 연결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무 탄성적인 상기 고정 몸체 (12) 는 밀폐 구조 (27) 를 형성하며, 상기 밀폐 구조는, 상기 사용위치에서 상기 캐리어 부품 (2) 에 밀폐적으로 밀착하기 위해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밀폐 섹션 (27a) 과, 삽입된 상기 유체 라인 (5) 을 상기 유체 라인의 바깥둘레면 (28) 에서 밀폐적으로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내부 밀폐 섹션 (27b) 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을 위한 연결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몸체 (12) 는 상기 나사 섹션 (17) 의 영역에서, 상기 삽입 개구부 (26) 에 대해 동심적으로 배치된 그리고 방사상으로 안쪽으로 상기 삽입 개구부 (26) 안으로 튀어나와 있는, 고리 모양의 적어도 하나의 밀폐 벌지부 (55) 를 구비하며, 상기 밀폐 벌지부는 삽입된 상기 유체 라인 (5) 의 상기 바깥둘레면 (28) 에 밀폐적으로 밀착하기 위해 제공되고, 상기 밀폐 벌지부는 삽입된 상기 유체 라인 (5) 에 의해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눌려질 수 있고, 따라서 상기 나사 섹션 (17) 의 상기 수나사 (20) 도, 상기 연결 유닛 (4) 의 상기 사용위치에서 밀폐하에서 상기 캐리어 부품 (2) 의 상기 암나사 (21) 와 텐셔닝되기 위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방사상으로 바깥쪽으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을 위한 연결장치.
  13. 제 1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몸체 (12) 는, 상기 고정 몸체가 상기 사용위치에 상기 연결 유닛 (4) 을 고정하기 위해 상기 고정 몸체의 나사 섹션 (17) 을 이용해 상기 수나사 (20) 의 탄성적 변형하에서 스크루잉 과정 (screwing process) 없이 축방향으로 상기 캐리어 부품 (2) 의 상기 고정 개구부 (3) 의 상기 암나사 (21) 안으로 눌려질 수 있도록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을 위한 연결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테이닝 클로들 (37) 을 해제 조작하기 위해 쓰이는 해제 슬리브 (57) 는 이동 가능하게 상기 고정 몸체 (12) 안에 설치되며, 상기 해제 슬리브는 조작 섹션 (59) 과 함께 뒤쪽에서 상기 고정 몸체 (12) 밖으로 돌출하고, 상기 해제 슬리브는 바람직하게 상기 헤드 섹션 (18) 안에 형성된 안전 그루브 (securing groove, 47) 안으로 록킹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을 위한 연결장치.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어 부품 (2) 은 상기 연결장치 (1) 에 속하며, 바람직하게 하우징 몸체이고, 상기 고정 개구부 (3) 와 연통하는 유체 채널 (8) 은 상기 하우징 몸체 안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을 위한 연결장치.
  16. 제 1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체 라인을 위한 연결장치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상기 연결 유닛 (4) 은 상기 연결 유닛의 고정 몸체 (12) 의 상기 나사 섹션 (17) 을 이용해 상기 수나사 (20) 의 탄성적 변형하에서 스크루잉 과정 없이 축방향으로 상기 캐리어 부품 (2) 의 상기 고정 개구부 (3) 안으로 눌려지고, 따라서 상기 나사 섹션 (17) 의 상기 수나사 (20) 는 상기 캐리어 부품 (2) 의 상기 고정 개구부 (3) 의 상기 암나사 (21) 와 형상 결합으로 맞물려 있고, 이에 뒤따르는 단계에서 상기 고정 몸체 (12) 는, 상기 고정 몸체 (12) 가 상기 캐리어 부품 (2) 과 축방향으로 텐셔닝될 때까지, 스크루잉 과정을 실행하기 위해 상기 캐리어 부품 (2) 에 대해 상대적으로 비틀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체 라인을 위한 연결장치를 조립하기 위한 방법.
KR1020187031172A 2016-04-05 2017-02-16 유체 라인을 위한 연결장치 및 관련 조립방법 KR2018012557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205621.2A DE102016205621B3 (de) 2016-04-05 2016-04-05 Anschlussvorrichtung für eine Fluidleitung und diesbezügliches Montageverfahren
DE102016205621.2 2016-04-05
PCT/EP2017/053529 WO2017174246A1 (de) 2016-04-05 2017-02-16 Anschlussvorrichtung für eine fluidleitung und diesbezügliches montageverfahr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5579A true KR20180125579A (ko) 2018-11-23

Family

ID=580466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31172A KR20180125579A (ko) 2016-04-05 2017-02-16 유체 라인을 위한 연결장치 및 관련 조립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81217B2 (ko)
KR (1) KR20180125579A (ko)
CN (1) CN109073125A (ko)
DE (1) DE102016205621B3 (ko)
WO (1) WO20171742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6224730B3 (de) 2016-12-12 2017-11-09 Festo Ag & Co. Kg Anschlussvorrichtung für eine Fluidleitung und diesbezügliches Montageverfahren
DE102017214350B4 (de) 2017-08-17 2021-10-28 Festo Se & Co. Kg Druckluft-Wartungseinheit
IT201900004657A1 (it) * 2019-03-28 2020-09-28 C Matic S P A Attacco rapido per tubazioni e simili
DE102019113471A1 (de) * 2019-05-21 2020-11-26 Dr. Ing. H.C. F. Porsche Aktiengesellschaft Verbindungselement zum Verbinden zweier Fluidleitungen oder einer Fluidleitung mit einem Aggregat
DE102019216782A1 (de) * 2019-10-30 2021-05-06 Contitech Mgw Gmbh Fluidleitungskupplung
DE202022104511U1 (de) * 2022-08-08 2023-11-09 Neoperl Gmbh Schlauchaufnahm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550624A (en) * 1976-06-17 1979-08-15 British Steel Corp Pipe joints and pipe couplings
EP0185802B1 (de) * 1984-12-28 1990-02-28 Armaturenfabrik Hermann Voss GmbH + Co. Verbindungsvorrichtung für Druckleitungen mit unverlierbarem Haltering
DE3923579C2 (de) 1988-07-21 1996-12-12 Schaefer Stettiner Schrauben Anschlußarmatur für Rohre, insbesondere für Kunststoffrohre
DE8908670U1 (ko) * 1988-07-21 1989-09-14 Johannes Schaefer Vorm. Stettiner Schraubenwerke Gmbh & Co Kg, 6303 Hungen, De
ES2145104T3 (es) * 1994-09-14 2000-07-01 Guest John D Anillo de mordaza.
US5553895A (en) * 1995-05-03 1996-09-10 Aeroquip Corporation Coupling assembly
FR2757442B1 (fr) * 1996-12-20 1999-02-05 Tecnoma Procede de fabrication d'un raccord a monter sur un tube lisse et raccord obtenu par ce procede
DE29701182U1 (de) * 1997-01-24 1997-03-20 Feldhoff Helmut Steckvorrichtung für Rohrleitungen
EP0957305B1 (en) 1998-05-06 2003-08-27 SISTEM PNEUMATICA S.r.l. A pneumatic connector
JP2003004180A (ja) * 2001-06-21 2003-01-08 Sasaki Isamu 管継手
JP4329063B2 (ja) * 2003-05-23 2009-09-09 Smc株式会社 管継手
US8262094B2 (en) * 2005-07-13 2012-09-11 Beele Engineering B.V. System for sealing a space between an inner wall of a tubular opening and at least one tube or duct at least partly received in the opening
DE202005013126U1 (de) * 2005-08-19 2005-11-03 Festo Ag & Co. Anschlussvorrichtung für eine Fluidleitung
CN201836571U (zh) * 2010-09-29 2011-05-18 拉卡萨安吉拉股份有限公司 一种管道快速接头
DE102012021683A1 (de) * 2012-11-03 2014-05-08 Festo Ag & Co. Kg Anschlussvorrichtung für mindestens eine Fluiddleitung
CN203431372U (zh) * 2013-09-09 2014-02-12 赵逸 一种易拆装管道接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81217B2 (en) 2021-11-23
DE102016205621B3 (de) 2017-03-23
CN109073125A (zh) 2018-12-21
WO2017174246A1 (de) 2017-10-12
US20200326023A1 (en) 2020-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5579A (ko) 유체 라인을 위한 연결장치 및 관련 조립방법
US8870235B2 (en) Pipe fitting
US7581763B2 (en) Connector device for pipes
US6439620B1 (en) Tube support
JP2013534603A5 (ko)
JP5092062B1 (ja) ケーブルクランプ
JP4040461B2 (ja) 流体ダクト結合装置
US7150478B2 (en) Integrated seal for tube to hose connection
US7850485B2 (en) Plug connector for front plate or back plate assembly
JP4174738B2 (ja) ホース継手
KR20010015048A (ko) 관 조인트
GB2253666A (en) A plug-in coupling for connecting a tube to a pipe which has a peripheral retaining rib
US8226128B2 (en) Releasable nut-free C-clip secured pipe fitting
US5516985A (en) Cable end cap
FR2980444A1 (fr) Dispositif pour la fixation etanche d'un element d'equipement a un element de caisse d'un vehicule
US20200072402A1 (en) Conduit boot with bushing
CN110036230B (zh) 用于流体管路的联接装置和与此相关的装配方法
CN113007351B (zh) 径向轴密封件,波纹管法兰及其安装方法
KR20040045453A (ko) 연결조립체
US11187365B2 (en) Connector for piping networks
KR200142430Y1 (ko) 호오스의 연결장치
JP4198708B2 (ja) 合成樹脂製のシリンダヘッドカバーに対するプラグチューブガスケットの取付構造
EP3336402A1 (en) Improved universal fitting for taps
KR20100009875A (ko) 연료 펌프 장착 구조
JP4383756B2 (ja) 燃料噴射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