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0045453A - 연결조립체 - Google Patents

연결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0045453A
KR20040045453A KR10-2004-7004274A KR20047004274A KR20040045453A KR 20040045453 A KR20040045453 A KR 20040045453A KR 20047004274 A KR20047004274 A KR 20047004274A KR 20040045453 A KR20040045453 A KR 200400454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member
assembly according
protrusion
inlet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04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폴 안토니 데이비슨
Original Assignee
오이스터텍 피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0123814A external-priority patent/GB0123814D0/en
Priority claimed from GB0201104A external-priority patent/GB0201104D0/en
Priority claimed from GB0216557A external-priority patent/GB0216557D0/en
Application filed by 오이스터텍 피엘씨 filed Critical 오이스터텍 피엘씨
Publication of KR200400454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5453A/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16L37/09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 F16L37/0985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by means of flexible hooks the flexible hook extending radially inwardly from an outer part and engaging a bead, recess or the like on an inner par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for branching pipes; for joining pipes to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33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using flexible hoo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 Transmission Of Braking Force In Braking Systems (AREA)
  • Separation By Low-Temperature Treatments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 Joints With Sleeves (AREA)
  • Crystals, And After-Treatments Of Crystals (AREA)
  • Valve Device For Special Equipments (AREA)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 Valve-Gear Or Valve Arrang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2개의 본체를 고정시키는 연결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이 연결조립체는 제2본체를 수용하는 입구를 갖춘 제1본체와, 제2본체에 제1본체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및, 제2본체에 대해 제1본체를 밀봉시키는 밀봉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고정수단은 제2본체와 맞물리는 제1고정부재를 구비하고, 이 제1고정부재는 상기 입구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고서 제1본체와 맞물리는 수단을 갖추어, 제1본체의 입구에서 제2본체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한편, 상기 연결조립체는 둘 이상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연결구 또는 예컨대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과 같은 작동유니트에 파이프를 연결시키는 커플링으로 될 수 있다.

Description

연결조립체{Connections}
예컨대 파이프와 같은 2개의 본체를 연결하도록 된 알려진 수단은, 예컨대 까다로운 기계가공을 수반하도록 전형적으로 복잡하고, 다수의 부품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들 부품은 고정구가 필요한 현장에서 조립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공지된 고정구는 어떤 유압용도에서 고압이 필요하거나 작은 구멍의 본체들이 필요한 곳을 더욱 복잡하게 만드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제1본체와 제2본체를 연결하는 데에 적합한 고정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파이프 연결부를 염두에 두었으나, 상기 본체들은 파이프와 다른 것으로 될 수 있으며, 다양한 유형과 형상으로 될 수 있고, 여러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1고정부재의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제1고정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연결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되,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에 있는 제2본체의 보유지지에 도움이 되는 수단을 추가로 도시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6은 제2본체의 보유지지에 도움이 되는 수단의 일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7은 제2본체의 보유지지에 도움이 되는 수단의 다른 실시예의 일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다른 위치에 있는 밀봉수단을 갖춘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의 다른 실시예의 일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의 관형부재를 보유지지하는 수단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극복하거나 줄일 수 있는, 본체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2개의 본체를 고정시키는 연결조립체를 제공하는 바, 이 연결조립체는 제2본체를 수용하는 입구를 갖춘 제1본체와, 제2본체에 대해 제1본체를 밀봉시키는 밀봉수단 및, 제2본체에 제1본체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을 구비하되, 이 고정수단은 제2본체와 맞물리는 제1고정부재를 구비하고, 이 제1고정부재는 상기 입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고서 제1본체와 맞물리는 수단을 갖추어, 제1본체의 입구에서 제2본체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바람직하기로 제1본체와 맞물리도록 제1고정부재를 보유지지하여 제2본체의 맞물림위치에 제1고정부재를 보유지지하는 제2고정부재를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제2고정부재는 제2본체와 제1고정부재 사이에서 입구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된다.
상기 제1본체는 작동유니트, 또는 작동유니트나 다른 시스템에 연결되는 중간유니트로 될 수 있다. 이 제1본체는 예컨대 브레이크 실린더블록과 같이 자동차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작동유니트로 될 수 있다. 상기 제2본체는 파이프로 될 수 있다. 제1본체는 예컨대 가스스토브와 같은 가스설비에 있는 가스용 파이프를 연결하는 어댑터로 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1본체는 또 다른 본체에 제2본체를 연결하는 연결구로 될 수 있는데, 이 경우에 제1본체는 각각 다른 본체를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추가 입구를 갖출 수 있다. 예컨대, 제1본체는 2개의 파이프용 연결구로 될 수 있다. 다른 본체에 연결하는 수단도 본 발명에 따른 연결조립체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제2본체는 그 외부면에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다. 바람직하기로 이 돌출부는 외주로 뻗어 있다. 제2본체의 외부면에 구비된 돌출부는, 예컨대 파이프인 제2본체가 구멍을 갖고 있다면 이 구멍이 영향을 받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바람직하기로 제1고정부재는 이 돌출부와 맞물리게 된다.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제1고정부재의 한끝이 돌출부와 맞물리게 된다. 더구나, 상기 돌출부는 예컨대 제1본체의 입구에 있는 접합면과 이 돌출부를 맞물리게 함으로써, 제1본체 내부에서 제2본체의 앞쪽으로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제2본체는 그 외부면에 홈을 구비하여서, 제1고정부재가 이 홈과 맞물리게 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제1고정부재는 제2본체 주위에 위치하도록 링 또는 실린더의 형태로 된다. 바람직하기로, 제2본체와 맞물리는 끝에서 멀리 떨어진 제1고정부재의 다른쪽 끝은 방사상으로 변형가능하다. 상기 링 또는 실린더는 그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외주에서 끊어져 있는데, 예컨대 실린더는 그 본체에 길이방향 슬릿을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이 실린더는 다수의 예컨대 4개의 길이방향 슬릿을 갖추고 있다. 제1고정부재는 제2본체가 작은 직경을 가질 때에도 단일한 구성부품의 형태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기로, 홈이 제1본체에 구비되어, 제1고정부재가 이 홈에 맞물리게 된다. 바람직하기로 이 홈은 외주로 뻗어 있다. 더욱 바람직하기로, 상기 홈은 제1본체의 입구 벽에 있게 된다. 또한, 바람직하기로 제1고정부재는 상기 홈에 맞물리도록 그 외부면에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구비하고 있다. 제1고정부재는 외주로 뻗은 돌출부를 갖출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돌출부는 제1고정부재의 삽입시 제1본체의 홈으로 끼워넣어질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기로 제1고정부재는 그 돌출부와 제2본체를 맞물리게 하는 방사상 안쪽으로 향한 부분에 의해 제2본체와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더욱 바람직하기로, 제1고정부재의 끝은 방사상 안쪽으로 향한 부분을 구비하고 있다.따라서, 제1고정부재의 나머지 부분은 제2본체와 이격되게 되고, 공간에 제2고정부재를 수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제1고정부재는 제2본체에 보유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이 제1고정부재는 제2본체의 돌출부에 보유지지될 수 있다. 제1고정부재는 제2본체에 이 고정부재를 보유지지하기 위한 수단을 갖출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이 수단은 제2본체의 돌출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본체에 제1고정부재를 보유지지하는 수단은 제2본체의 돌출부와 맞물리는 제1고정부재의 끝에 또는 그 근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본체에 제1고정부재를 보유지지하는 수단은 제2본체의 돌출부에 위치되는 환형상부와, 돌출부의 양쪽에 위치되는 방사상 안쪽으로 향한 부분을 구비하여서, 제2본체의 돌출부에 제1고정부재를 보유지지하게 된다. 바람직하기로, 방사상 안쪽으로 향한 부분들 중 앞에 있는, 즉 사용시 제1본체의 입구의 가장 안쪽에 있는 것은 다른 방사상 안쪽으로 향한 부분 보다 작은 범위로 방사상 안쪽으로 뻗어 있다. 다른 방사상 안쪽으로 향한 부분, 즉 제1본체의 입구에 가까이 있는 것은 제2본체의 돌출부와 맞물리는 전술된 방사상 안쪽으로 향한 부분으로 될 수 있어서, 제1본체에서 제2본체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게 한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환형상부는 탄성이 있어서, 적어도 제1본체에 삽입하기 전에 방사상 안쪽으로 향한 부분들 중 앞쪽 있는 것이 돌출부에 맞춰지게 하고, 이어서 돌출부에 환형상부를 확실히 위치시키도록 다시 교정되게 한다. 따라서, 제1고정부재는 제2본체의 돌출부에 효과적으로 조여지거나 분리될 수 있다. 환형상부에 관계된 환형상이라는 용어는 외주에 연속적이거나 불연속적인 것 모두를 포함한다. 환형상부가 적어도 그길이의 일부에 걸쳐 외주에 불연속적인, 예컨대 하나 이상의 슬롯을 갖춘 실시예들이 바람직하게 요구되는 탄성을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 환형상부는 제2본체의 돌출부 주위로 위치된 다수의 예컨대 3개 또는 4개의 탄력있는 핑거를 구비한다. 환형상부는 바람직하기로 제2본체의 돌출부 표면에 가까이 인접해 있거나 접촉하고 있다. 바람직하기로, 환형상부의 외경은 제1본체의 입구의 내경과 가깝다. 제1고정부재가 제2본체에 보유지지되어 분실될 수 없다. 더구나, 조립체는 이미 그 위에 보유지지되어 있는 제1고정부재에 의해 제1본체의 입구로 제2본체를 간단히 밀어넣음으로써 조립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고정부재가 입구에 들어가기 시작할 때 환형상의 보유지지부의 외경은 입구의 구멍에 꼭 맞게 되어 제1고정부재가 제2본체로부터 분리될 수 없는데, 즉 제2본체에 놓이게 되고, 제1고정부재를 완전히 삽입하는 데에 필요한 모든 힘이 제2본체를 밀어넣음으로써 가해질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제2고정부재는 제2본체 주위에 위치되는 링 또는 실린더의 형태로 된다. 더욱 바람직하기로, 제2고정부재는 제2본체와 제1고정부재 사이의 공간에 위치된다. 따라서, 제2고정부재는 제2본체 주위에 위치되되, 제1고정부재의 내부에 있는 작은 환형상부재로 될 수 있다.
밀봉수단은 제1본체와 제2본체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밀봉부재를 구비한다.
통상, 밀봉수단은 O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는 이들이 편리하고, 간단하며, 경제적이고, 광범위한 크기로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으면서 예컨대 물과 가스의 밀봉용도로 적합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임의의 적당한 유형의 밀봉수단이 연결부의 고정구가 사용되어질 용도 또는 환경에 따라 이용될 수 있다. 따라서, 밀봉부는 예컨대 적합하다면 탄성중합체, 플라스틱 재료, 금속 및 복합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마찬가지로, 밀봉수단은 예컨대 용도에 필요하다면 복합 다부품 밀봉부를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상기 밀봉수단은 제2본체의 돌출부로부터 이격되어 위치된다. 바람직하기로, 이 밀봉수단은 제2본체의 표면과 맞물려 밀봉되는 제1본체 입구의 좁은 직경의 영역 내에 위치된다. 하지만, 예컨대 제2본체가 작은 직경을 갖는 곳과 같이 작은 직경의 고정구가 필요한 곳에서 이 밀봉수단은 돌출부의 바로 아래, 즉 제1본체와 제2본체의 돌출부 사이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편리하다. 와셔와 같은 다른 밀봉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밀봉수단이 제2본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본체들과 고정부재들은 예컨대 금속이나 플라스틱 등과 같은 다양한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기로, 고정부재들은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은 간단하면서 신뢰성 있는 구조의 고정구를 제공하는 바, 그 구성요소의 수는 적다, 상기 고정구는 조립될 수 있고, 밀어맞춤될 수 있어서 예컨대 생산라인에서 복잡하고 시간을 소모하는 작업이 필요없다. 더구나, 밀봉수단과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와 같은 일부 또는 모든 구성요소들은 고정구를 조립하기 전에 제2본체에 위치될 수 있다. 예컨대,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는 돌출부가 제2본체에 형성되기 전에 제2본체에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구의 조립작업은 아주 간단하고, 구성요소를 잘못 놓게 될 여지가 적게 된다. 제1고정부재는 제1본체와 제2본체 모두와 맞물릴 수 있고, 제2고정부재는 제1고정부재 및 제1본체와 맞물릴 수 있어 고정구의 강도에 추가된다. 더욱이, 상기 고정구는 예컨대 유압용도에서 높은 압력을 견딜 수 있고, 임의의 고압유체는 고정구에 의해 억제될 수 있다. 덧붙여, 고정구는 이 고정구 내에 어떤 내부압력없이 기계적인 연결부를 구성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는데, 이 연결부는 아주 높은 분리힘을 견딜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와 밀봉수단은 각각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기로는 주로 제1본체의 입구 내에 위치될 수 있는 바, 이는 고정구를 매우 밀집되게 하고, 미적으로 우수하며,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덜 손상되게 한다.
고정구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구성요소들과, 밀봉수단, 제1고정부재 및, 제2고정부재는 돌출부를 형성하기 전에 제2본체에 맞춤고정될 필요가 없고, 제2본체의 다른 끝으로부터 접근시킬 필요가 없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제1고정부재는 둘 이상의 부분으로 분할되어서 제2본체 주위에 맞춤고정될 수 있거나, 선택적으로 그 안쪽 끝에서 변형될 수 있어 돌출부에 맞춤고정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제2본체의 돌출부와 제1고정부재 사이에서 제2본체 주위에 위치되고서 마찬가지로 분할되거나 변형가능한 칼라가 추가로 필요하다. 제2고정부재는 유사하게 분할되거나 변형가능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2고정부재는 필요없게 될 수 있다. 제1고정부재는 바람직하기로 플라스틱이나, 스프링강, 또는 다른 변형가능하거나 탄성있는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제1고정부재는 제1본체와 제2본체 사이에서 입구에 비교적 빽빽히 끼워맞춰질 수 있다. 이 제1고정부재는 제1본체와 제2본체 사이의 공간을 대체로 채울 수 있게 된다. 제1고정부재에 있는 돌출부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이 제1고정부재가 삽입될 때 제1본체의 입구에 있는 홈에 넣어지도록 배치되어 제1본체에 고정부재를 확실히 위치시키게 된다. 제1고정부재의 캡 또는 플랜지는 제1본체의 외부에 위치될 수 있고, 분리가 필요할 때 제1본체의 입구에서 고정부재를 당기거나 지레로 움직이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기술의 연결조립체에 대해 여러 가지의 장점을 갖고 있는 바, 이들 장점으로는 나사산이 있는 부재가 없으며, 간단한 밀어맞춤조립체이고, 구성부품들이 과도하게 조여지지 않으며, 느슨하게 작용할 수 없고, 보유지지링이 그 바람직한 위치에 완전히 안착되지 않으면 체결링이 삽입될 수 없기 때문에 부정확하게 조립될 수 없으며, 밀봉성능이 품질이나 개개인의 조립과정이 아닌 고정구의 부품크기에 의해 결정되게 된다.
이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이 첨부도면을 참조로 하여 단지 예로서 설명될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는 바, 이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2)를 도시하고 있다. 이 고정구는 입구(8)를 갖춘 본체(4)를 구비하며, 이 본체(4)는 자동차의 브레이크 실린더와 같은 작동유니트의 일부를 형성한다. 중공의 관형부재(6)가 상기 본체(4)의내부와 유체가 연통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4)의 입구(8)에 위치된다.
상기 입구(8)는 그 입구 근처에 2단의 단차부(7,9)를 구비하여 입구(8)의 내벽(23)쪽으로 유도한다. 제1단차부(7)는 아래에 더 상세히 기술되는 바와 같이 체결링(26)의 플랜지끝 일부를 수용하도록 되어 있는 한편, 제2단차부(9)는 보유지지링(16)의 끝 주위로 접근할 수 있어 보유지지링(16)을 용이하게 제거하도록 압축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관형부재(6)의 끝(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8)의 좁은 구멍부(25) 안에서 끝난다. 하지만, 관형부재(6)는 점선(6")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4) 내부로 더욱 뻗을 수 있다.
이 관형부재(6)는 입구(8)의 내벽(23) 내부에 맞춤고정되면서 관형부재(6)의 표면 주위에 외주방향으로 돌출한 돌출부(10)를 구비하고 있다. 입구(8)의 기저부에서 방사상의 접합면(12)과 돌출부(10)의 연장부 사이에서 겹치는 공간은 본체(4)에 있는 관형부재(6)의 이동거리를 제한한다. 입구의 구멍부(25)에 있는 홈(27)에는 O링(14)이 위치되어 본체(4)와 관형부재(6) 사이에 고압밀봉을 제공한다.
상기 관형부재(6)는 보유지지링(16)의 형태로 된 제1고정부재에 의해 본체(4)에 고정된다. 이 보유지지링(16)은 길이방향으로 뻗은 환형상의 벽(18)과, 관형부재(6)를 수용하도록 그 중심에 구멍(19)을 갖추고서 방사상 안쪽으로 향한 끝(20)을 구비한다. 보유지지링(16)의 끝(20)은 관형부재(6)의 돌출부(10)와 맞물린다. 또한, 보유지지링(16)은 입구(8)의 내벽(23)에 있는 홈에 맞물리는 끝(20)에서부터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고서 바깥으로 향한 외면의 돌출부(22)를 갖추고 있다.
상기 보유지지링(16)은 그 길이방향 벽(18)에 길이방향으로 향한 4개의슬릿(17)을 구비하는데, 이 4개의 슬릿은 보유지지링(16) 주위로 등간격으로 떨어져 있어서, 길이방향으로 뻗은 벽(18)을 4개의 영역으로 분할하게 된다. 이렇게 하여, 보유지지링(16)의 벽(18)은 방사상으로 변형될 수 있게 된다.
이 보유지지링(16)은 관형부재(6)의 돌출부(10)와 맞물려 보유지지되고, 체결링(26)에 의해 본체(4)의 홈(24)과 맞물려 보유지지된다. 이 체결링(26)은 길이방향으로 뻗은 환형상부(28)와 방사상 바깥쪽으로 뻗은 끝플랜지부(30)를 구비하고 있다. 이 체결링(26)은 보유지지링(16)의 내부면과 관형부재(6) 사이에 놓이면서 길이방향으로 뻗은 환형상부(28)와 맞춰지게 위치되어서, 이들 사이의 공간을 차지하여 돌출부(22)가 홈(24)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한다. 이렇게 하여, 보유지지링(16)은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어, 마찬가지로 관형부재(6)가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체결링(26)에 있는 방사상의 끝플랜지부(30)는 그 선단(34)에 외주방향의 홈(32)을 구비하고 있다. 이 외주방향의 홈(32)은 제거용 도구가 그 안에 삽입되게 하여 고정구로부터 체결링(26)을 지레식으로 분리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결합시, 관형부재(6)는 본체(4)의 입구로 삽입되어 돌출부(10)가 접합면(12)에 대해 접하게 된다. 그 다음에, 보유지지링(16)이 본체(4)의 입구로 삽입되어 이 관형부재(6)와 맞물리게 된다. 이를 위해서, 보유지지링(16)의 변형가능한 환형상의 벽(18)이 안쪽으로 변형되어, 이 보유지지링(16)의 끝(20)이 관형부재(6)의 돌출부(10)와 맞물릴 때까지 보유지지링(16)의 외부에 있는 외주방향의 돌출부(22)가 입구(8)의 내벽 안쪽을 통과하게 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돌출부(22)는 인접한홈(24)에 위치되는데, 이 지점에서 상기 보유지지링(16)이 방사상 바깥쪽으로 교정될 수 있어서 돌출부(22)가 홈(24) 안에 위치되는 것이다. 끝으로, 체결링(26)이 관형부재(6)와 보유지지링(16) 사이의 영역을 채우도록 삽입되어 보유지지링(16)이 차후에 방사상 안쪽으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고, 이로써 돌출부(22)가 확실히 홈(24) 안에 위치되게 한다. 확실히 위치된 돌출부(22)에 의해서, 보유지지링(16)은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보유지지링(16)의 끝(20)과 돌출부(10)가 맞물림으로써, 관형부재(6)도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체(4)에서 관형부재(6)를 분리하기 위해서는, 이 고정구(2)는 통상 전술한 작동의 역순으로 분해된다. 레버도구(도시되지 않음)가 체결링(26)의 홈(32)으로 삽입되어 이 체결링(26)이 고정구로부터 멀리 당겨지거나 지레식으로 제거된다. 체결링(26)이 제거되면, 보유지지링(16)은 끝(20)에서 멀리 떨어진 벽(18)의 끝을 방사상 안쪽으로 변형시킴으로써 제거되고, 이로써 본체(4)의 입구에 있는 홈(24)에서 돌출부(22)가 빠져나오게 된다. 그 후에, 보유지지링(16)은 본체(4)의 입구(8)로부터 축방향으로 제거될 수 있다. 이어서, 관형부재(6)가 자유롭게 되어 본체(4)로부터 분리된다.
도 1에서는 작동유니트 또는 블록의 일부로서 본체(4)를 도시하고 있지만, 본체(4)는 예컨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로 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이 본체(4)는 각 끝에 위치된 2개의 입구를 갖추는데, 이들 각각은 관형부재(6)를 받아들이게 된다. 따라서, 본체(4)는 2개의 관형부재(6)를 위한 연결구를 형성한다. 연결구인 본체(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곧은 커플링과 다르게 구성될 수 있고,예컨대 3개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T형 고정구와 같은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더구나, 하나 이상의 다른 입구가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와 다른 고정구를 구비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로 하는 바, 이는 보유지지링(16)이 그 원위끝, 즉 끝(20)에서 멀리 떨어진 끝에 이 보유지지링(16)의 삽입 또는 제거를 위해 보유지지링(16)을 잡게 되는 도구를 위치시킬 방사상 바깥쪽으로 향한 외주돌기(40)를 구비하고 있다는 점만 제외하고, 전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덧붙여 또는 선택적으로, 상기 보유지지링(16)은 그 원위끝 근처의 벽(18)의 내면에 있는 외주방향의 홈(42)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 홈(42)은 체결링(26)의 표면에 있는 외주방향의 돌출부(44)가 그 안에서 맞물려, 고정구에 있는 체결링(26)이 더욱 확실하게 보유지지되게 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된 수단에 덧붙여 또는 선택적으로 고정구에 있는 체결링(26)의 확실한 보유지지를 위한 또 다른 수단은 참조부호 54로 표시된 클립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이 클립수단(54)은 체결링(26)의 끝플랜지부(30) 측면에 있는 외주방향의 홈에 위치되어 입구(8)의 벽에 있는 인접한 외주방향의 홈으로 예컨대 스프링작용에 의해 맞물리도록 되어 있거나, 반대로 위치될 수 있다. 이 클립수단(54)은 여러 형상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는데, 그 바람직한 예가 도 6과 도 7에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로 하는 바, 이는 그 선단(34)에 외주방향의 홈(52)을 갖춘 체결링(26)의 플랜지의 일부를 도시하고 있다. 본체(4)의 입구(8)의 벽에 있는 상응한 외주방향의 홈(56)은 사용시 인접한 홈(52)을 위치시키기 위해 구비된다. 안쪽으로치우친 써클립(58:circlip)의 형태로 된 클립수단(54)이 상기 홈(56)에 위치되어서, 체결링(26)이 삽입될 때 끝플랜지부(30)의 선단(34)의 앞부분(3)이 써클립을 통과할 때까지 이 써클립은 먼저 바깥쪽으로 변형되고, 이어서 써클립(58)은 체결링(26)의 플랜지에 있는 홈(52)에 맞물리도록 안쪽으로 교정된다.
도 7을 참조로 하는 바, 이는 클립수단(54)이 걸쇠수단(60)을 구비한 점을 제외하고, 클립수단(54)에 대한 유사한 구조를 도시하고 있다. 걸쇠수단(60)은 본체(4)의 홈(56)에 위치되는 링의 형태로 된 플라스틱 본체(62)를 구비하고, 이로부터 전체적으로 아래쪽과 안쪽으로 경사져 달려 있는 변형가능한 걸쇠부재(64)를 갖추고 있다. 체결링(26)이 삽입될 때, 이 걸쇠부재(64)는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링(26)에 있는 홈(52) 안으로 스냅고정될 때까지 먼저 바깥쪽으로 변형되어서, 체결링(26)을 보유지지하게 된다.
도 8을 참조로 하는 바, 이는 작은 직경의 고정구에 아주 적당한 밀봉용 O링(14)의 다른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구멍부(25)에 O링을 위치시키는 것 대신에, O링(14)은 돌출부(10)와 접합면(12) 사이에 위치되어 본체(4)와 관형부재(6) 사이에 고압밀봉을 제공하게 된다.
결합시, O링(14)은 본체(4)의 입구 바닥부로 삽입되어 O링이 접합면(12)에 안착된다. 다음으로, 관형부재(6)가 본체(4)의 입구로 삽입되어 돌출부(10)가 O링(14)에 대해 밀봉하게 된다. 선택적으로, O링은 돌출부(10)의 앞쪽에서 관형부재(6)에 놓일 수 있어서, 관형부재(6)가 삽입되면 자동적으로 도시된 위치에 O링을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도 9에는, 보유지지링(16)과 체결링(26:도시되지 않음)이 돌출부(10)가 형성된 후 제2본체(6)에 맞춤고정될 수 있고 제2본체(6)의 다른 끝에서부터 접근할 필요가 없는 고정구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보유지지링(16)은 2개의 부분으로 또는 절반으로 분할되어 있어서, 이들 절반부가 제2본체(6) 주위에서 맞춰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보유지지링(16)은 그 안쪽 끝(20)에서 변형될 수 있어 돌출부에 맞춤고정될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는 유사하게 2개의 절반부로 분할될 수 있거나 단일한 틈을 갖추고서 변형될 수 있으며, 제2본체(6)의 돌출부(10)와 보유지지링(16) 사이의 제2본체(6) 주위에 위치될 수 있는 칼라(76:collar)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이 칼라(76)는 보유지지링(16)이 맞물리도록 확대된 직경부를 구비한다. 이렇게 하여, 보유지지링(16)의 끝(20)에 있는 구멍은 제2본체(6)의 돌출부(10)를 거쳐 통과할 수 있고, 칼라(76)와 맞물림으로써 보유지지링(16) 대신에 제2본체(6)의 이동을 방지하게 된다.
도 10을 참조로 하는 바, 이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연결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다. 이 연결조립체는 도시된 바와 같이 가스용 파이프(6)를 수용하는 입구를 갖춘 본체(4)를 구비하고 있다. 이 본체(4)는 가스공급원(도시되지 않음)에 파이프(6)를 연결하는 가스스토브에서 볼 수 있는 것과 같은 어댑터의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파이프(6)는 어댑터로부터 가스스토브의 버너로 이어질 수 있다.
상기 입구는 대체로 평행한 측면으로 된 원통형 구멍을 갖추고 있다. 파이프(6)의 벌어진 끝(86)은 도시된 바와 같이 구멍 안쪽에서 끝난다. 벌어진 끝(86)은 이 벌어진 끝(86)과 파이프에 있는 외주방향의 돌출부(10) 사이에O링(14)이 위치될 수 있게 한다. O링(14)은 파이프(6)와 본체(4)의 입구 사이에 고압밀봉을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O링은 도 1 내지 도 9의 실시예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4)에 위치될 수 있다.
파이프(6)는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 보유지지링(96)의 형태로 된 고정부재에 의해 본체(4)에 고정된다. 이 보유지지링(96)은 외주의 방사상 바깥쪽으로 뻗은 돌출부(92)를 갖춘 파이프(6)를 위해 길이방향으로 뻗은 환형상의 슬리이브를 구비한다. 보유지지링(96)은 파이프(6)의 이동을 제한하는 본체(4)에 있는 입구의 벽과 파이프(6) 사이의 공간에 꼭 맞는 접합부이다. 상기 보유지지링(96)의 끝(93)은 파이프(6)의 돌출부(10)와 맞물린다. 바깥쪽으로 뻗은 돌출부(92)는 입구의 벽에 있는 외주방향의 홈(24)에 맞물리게 되어 이 입구에 있는 보유지지링(96)을 확실하게 보유지지하게 된다.
상기 보유지지링(96)의 다른쪽 끝은 본체(4)의 입구 외부에 놓이고서 방사상 바깥쪽으로 뻗은 끝플랜지부(94)를 구비하고 있다. 이 끝플랜지부(94)는 입구로부터 멀리 이 끝플랜지부(94)를 당기거나 지레식으로 움직임으로써 보유지지링(96)을 제거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결합시, 도시된 바와 같이 O링(14)이 위치된 파이프(6)의 끝이 본체(4)의 입구로 삽입된다. 이어서, 파이프(6)에 이미 있는 보유지지링(96)이 입구 내로 밀어넣어져 파이프 주위의 입구에 있는 공간을 채우게 된다. 돌출부(92)는 최초 삽입동안 입구의 벽에 대해 통과된다. 보유지지링(96)의 돌출부(92)가 입구의 인접한 홈(24)에 위치될 때까지 보유지지링(96)이 밀어넣어지는데, 이 지점에서돌출부(92)는 방사상 바깥쪽으로 나와서 이 돌출부(92)가 홈(24)에 끼워넣어진다. 확실히 위치된 돌출부(92)에 의해서, 보유지지링(96)은 입구에서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된다. 이 구조에서, 파이프(6)는 보유지지링(96)의 끝과 돌출부(10)가 맞물림으로써 입구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본체(4)로부터 파이프(6)를 분리하기 위해서, 홈(24)으로부터 돌출부(92)를 당겨 입구에서 보유지지링(96)을 제거할 수 있도록 보유지지링(96)의 끝플랜지부(94) 아래에 레버가 사용될 수 있다. 보유지지링(96)이 제거되면, 파이프(6)는 입구에서부터 축방향으로 분리될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입구에 파이프(6)를 보유지지시키기 위해 단지 하나의 고정링이 필요하여서, 그 구조를 단순화시킬 수 있다.
도 11을 참조로 하는 바, 이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고정구를 도시하고 있다. 이 고정구는 입구(8)를 갖춘 본체(4)를 구비하고 있다. 중공의 관형부재(6)는 예컨대 본체(4)의 내부와 유체가 연통하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4)의 입구(8)에 위치된다.
상기 입구(8)는 대체로 원통형이고, 관형부재(6)의 끝(6')은 도시된 바와 같이 입구(8)의 좁은 구멍부(25) 내부에서 끝난다. 입구의 좁은 구멍부(25)에 있는 외주방향의 홈(27)에 O링(14)이 위치되어, 본체(4)와 관형부재(6) 사이에 고압밀봉을 제공한다.
이 관형부재(6)는 입구(8) 내부에 맞춤고정되는 관형부재(6)의 표면 주위에 외주로 돌출하는 돌출부(10)를 구비한다.
상기 관형부재(6)는 보유지지링(16)의 형태로 된 제1고정부재에 의해 본체(4)에 고정된다. 이 보유지지링(16)은 길이방향으로 뻗은 환형상의 벽(18)과, 관형부재(6)를 수용하도록 그 중심에 구멍(19)을 갖추고서 방사상 안쪽으로 향한 부분(20)을 구비하고 있다. 보유지지링(16)의 방사상 안쪽으로 향한 부분(20)은 관형부재(6)의 돌출부(10)와 맞물린다. 보유지지링(16)은 관형부재에 있는 돌출부(10)를 체결함으로써 관형부재(6)에 보유지지될 수 있다. 보유지지링(16)이 돌출부(10)를 체결하도록 하기 위해서, 이 보유지지링은 돌출부에 위치되는 환형상부(106)와, 방사상 안쪽으로 향한 부분(20)에 대해 돌출부의 다른 측면에 위치되는 다른 방사상 안쪽으로 향한 부분(108)을 구비하여, 돌출부에 보유지지링(16)을 보유지지하게 된다. 또한, 안쪽으로 향한 부분(108)은 돌출부(10)와 겹쳐지나, 이 방사상 안쪽으로 향한 부분(108)은 상기 방사상 안쪽으로 향한 부분(20)보다 적은 범위로 방사상 안쪽으로 뻗을 수 있다.
상기 환형상부(106)는 탄성이 있어서 본체(4)의 입구(8)에 삽입되기 전에 방사상 안쪽으로 향한 부분(108)이 돌출부(10)에 맞춤고정되도록 방사상 바깥쪽으로 변형될 수 있고, 이어서 도시된 바와 같이 돌출부에 환형상부를 확실히 위치시키도록 다시 교정될 수 있다. 환형상부(106)는 입구의 내부에 있으면 관형부재(6)의 돌출부(10)로부터 보유지지링(16)이 제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입구에 삽입될 때 본체(4)의 입구의 내경과 돌출부의 표면에 근접하여 있게 된다.
또한, 보유지지링(16)은 환형상부(106)를 갖춘 끝에서 길이방향으로 이격되어 있고서 바깥쪽을 향항 외주방향의 돌출부(22)를 갖추는데, 이는 본체(4)의 보유지지링(16)을 보유지지하기 위해서 입구(8)의 벽에 있는 홈(24)과 맞물리게 된다.
상기 보유지지링(16)은 그 돌출부(22)가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체결링(26)과 유사하면서 보유지지링(16)과 관형부재(6)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체결링(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본체(4)의 홈(24)에 맞물려 있도록 보유지지될 수 있다. 이렇게 하여, 보유지지링(16)은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고, 마찬가지로 관형부재(6)가 본체(4)의 입구(8)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결합시, 탄성이 있는 환형상부(106)와 방사상 안쪽으로 향한 부분(20,108)에 의해 보유지지링(16)은 본체(4)의 입구에 삽입되기 전에 관형부재(6)의 돌출부(10)에 고정될 수 있다. 그 후에, 관형부재(6)는 이미 보유지지된 보유지지링(16)에 의해 본체(4)의 입구 내로 밀어넣어질 수 있다. 환형상부(106)를 구비하는 상기 보유지지링의 외경은 입구(8)의 구멍에 꼭 맞게 된다. 따라서, 보유지지링(16)이 입구로 들어가기 시작할 때 이 보유지지링(16)은 관형부재(6)로부터 제거될 수 없는데, 즉 관형부재(6)의 돌출부(10)에 걸리게 되고, 보유지지링(16)을 완전히 삽입하는 데에 필요한 힘은 관형부재(6)를 밀어넣음으로써 가해질 수 있게 된다.
상기 보유지지링(16)의 환형상의 벽(18)은 변형가능하여서, 돌출부(22)가 인접한 홈(24)에 위치될 때까지 보유지지링(16)의 외부에 있는 외주방향의 돌출부(22)가 입구(8)의 내벽 안을 통과할 수 있도록 안쪽으로 변형될 수 있는데, 이 지점에서 보유지지링(16)은 돌출부(22)가 홈(24) 안에 위치되게 방사상 바깥쪽으로 교정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전술된 바와 같이 보유지지링(16)은 적소에 보유지지될 수 있어, 그 돌출부(22)는 관형부재(6)와 보유지지링(16) 사이에 삽입될수 있는 체결링(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본체(4)의 홈(24)에 맞물려 있게 된다. 확실히 위치된 돌출부(22)에 의해, 보유지지링(16)은 길이방향으로의 이동이 방지된다. 또한, 이 보유지지링(16)의 방사상 안쪽으로 향한 부분(20)과 돌출부(10)가 맞물림으로써, 관형부재(6)가 본체의 입구(8)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게 된다.
도 12는 고정구(200)를 도시하는 바, 여기서는 이전 실시예들의 돌출된 칼라 또는 돌출부(10)가 제2본체(6)의 외주 주위로 뻗은 함몰부 또는 홈(202)으로 대체되어 있다. 본체(4)는 제2본체(6)를 받아들이는 입구(8)를 갖추고 있는데, 이 입구는 작은 제2직경부(204)로 감소되는 제1직경부를 갖고 있다. 보유지지링(206)은 입구의 제1직경부에 있는 구멍(212)과 상호작용하면서 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벽(210)의 형태로 된 제1직경부를 갖추고 있다. 이 보유지지링(206)의 안쪽 끝에는, 제2본체(6)의 홈(202)에 맞춰지는 방사상 안쪽으로 향한 돌출부(216)를 갖춘 직경이 감소된 직경부(214)가 있다. 본체(4)의 감소된 직경부(204)에 있는 구멍(218)은 보유지지링(206)의 감소된 직경부(214) 주위에 꼭 맞춰져서 홈(202)에서 돌출부(216)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보유지지링(206)은 길이방향의 틈(도시되지 않음)을 갖추고 유연성이 있어서, 제2본체(6:이 경우에는 유체도관)가 그 안에 삽입될 수 있도록 방사상 방향으로 벌어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보유지지링은 둘 이상의 통상 직경방향으로 분할된 절반부로 될 수 있어서, 제2본체(6) 주위에 놓일 수 있으며, 예컨대 비교적 딱딱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다. 보유지지링과 제2본체는 입구(8)의 제1직경부에 있는 구멍의 상호작용하는 외주방향의 홈(222)과 보유지지링(206)의 외경에 있는 외주방향의 돌출부(220)가 맞물림으로써 본체(4)에보유지지된다. 상기 돌출부(220)는 제2본체(6) 주위에 맞춤고정되면서 사용시 제2본체(6)와 보유지지링(206) 사이에 형성된 환형상의 틈새에 있는 체결링(226)에 의해 홈(222)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 체결링(226)은 보유지지링의 환형상부(210)와 제2본체(6) 사이에 놓이고서 축방향으로 뻗은 환형상의 본체부(228)와, 사용자가 고정구에 이를 삽입하도록 압력을 가할 수 있거나 선택적으로 고정구가 분리될 수 있도록 파지하여 제거할 수 있는 플랜지부(230)를 갖추고 있다. 제2본체(6)는 본체(4)의 더 작은 제3직경부(236)에 있는 홈(234)에 놓이는 밀봉부재(232)에 의해 본체(4)에 대해 밀봉된다.
보유지지링(206)의 환형상부(210)는 상기한 도 2 및 도 3에 대해 설명된 방식으로 축방향으로 향한 틈(도시되지 않음)을 구비하여, 고정구(200)를 분리하기 위해 체결링(226)을 제거한 후 돌출부(220)가 홈(222)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도 13에는 유체도관인 제2본체가 이 제2본체(6)의 적어도 인접한 부분(254)보다 큰 직경으로 된 돌출단(252)을 구비한 고정구(250)의 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돌출단(252)은 상기 인접한 부분(254)의 직경보다 큰 직경으로 된 3개의 외주방향으로 향한 돌출부(256,258,260)를 갖추고 있다. 상기 돌출단은 예컨대 두꺼운 벽부를 갖추고서 그 안에 홈(262,264)을 형성하는 도관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돌출부들은 예컨대 대체로 일정한 벽두께를 가진 도관을 팽경(膨經)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본체(4)는 입구(8)에 인접한 제1직경부(266)와 이로부터 축방향 안쪽으로 향한 보다 작은 제2직경부(268)를 갖추고 있다. 제2본체(6)는 돌출단(252)의 돌출부(256,258) 사이에 형성된 홈(262)에 맞춰지고서 안쪽으로 향한플랜지부(272)를 갖춘 보유지지링(270)에 의해 본체(4)에 보유지지된다. 보유지지링은 이 보유지지링의 환형상의 벽부(276)에 있고서 바깥쪽으로 향한 외주방향의 돌출부(274)를 갖추고 있는데, 이 돌출부는 제1직경부(266)의 벽에 있는 홈(278)과 상호작용하게 된다. 돌출부(274)는 보유지지링(270)과 제2본체의 인접한 부분(254) 사이에 삽입된 체결링(280)에 의해 홈(278)에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고, 따라서 보유지지링(270)의 벽부(276)가 방사상 안쪽으로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체결링(280)은 이전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된 바와 같은 용도로 플랜지부(284)와 축방향으로 향한 환형상의 벽부(282)를 갖추고 있다. 하지만, 플랜지부(284)는 본체(4)쪽을 향해 아래로 뻗은 테두리(290)와, 그 주위에서 안쪽으로 향한 립부(lip:292)를 갖추고 있다. 이 립부(292)는 보유지지링(270)의 벽부(276) 끝에 있는 바깥쪽으로 향한 립부(294)와 상호작용하여, 보유지지링과 체결링을 맞물린 상태로 유지하고 체결링의 우발적인 빠짐을 방지하게 된다.
하지만, 2개의 립부(292,294)는 바깥방향으로 체결링(280)에 힘을 가함으로써 의도적으로 분리될 수 있는 탄성걸쇠를 형성한다. 상기 도관인 제2본체(6)의 돌출단(252)은 외주방향의 돌출부(258,260)에 의해 형성된 홈(264)에 놓이고서 본체(4)의 제2직경부(268)의 구멍에 대해 밀봉시키는 밀봉링(298)에 의해 본체(4)에 대해 밀봉된다.
도 14는 도 11과 도 13에 대해 설명된 바와 유사하게 여기에 포함된 원리로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3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이 실시예에서, 도관인 제2본체(6)의 끝은 인접한 부분(304)의 직경에 비해 확대된 확대직경부(302)를갖춘다. 확대직경부(302)는 제2본체(6)에 큰 직경부를 형성하는 외주방향의 돌출부(306)와, 제2본체의 끝에 인접한 홈(308)을 갖추고 있다. 도 13과 유사하게, 확대직경부(302)는 끝에서 두꺼운 벽부를 갖춘 도관의 일부로 될 수 있고, 돌출부(306)와 홈(308)의 형태는 임의의 수단으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돌출부(306)는 대체로 일정한 두께의 벽을 팽경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고, 홈(308)은 2개의 돌출부(310,312) 사이에 형성된다. 도 11의 보유지지링(16)의 형상과 유사한 보유지지링(314)은 방사상 안쪽으로 향한 플랜지부(316)와, 립부(318)의 형상으로 되고서 유사하게 방사상 안쪽으로 향한 제2플랜지부를 갖추며, 플랜지부(316)와 립부(318)가 돌출부(306)의 양쪽에 놓이되, 립부(318)가 고정구의 더욱 안쪽 끝에 있게 된다. 하지만, 도 11의 실시예와 비교하여, 립부(318)는 보유지지링(314)이 제2본체(6)의 끝에 용이하게 고정되거나 분리될 수 있게 하는 탄성부를 형성한다. 보유지지링(314)과 체결링(320)의 나머지 부분의 구성상 특징과 작동은 본질적으로 도 13에 대해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여기서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고정구의 본체(4)에 대해 제2본체(6)를 밀봉시키도록 다른 실시예들과 같이 홈(308)에 밀봉링(322)이 구비된다.
여러 실시예들이 위에서 설명되었지만, 각 실시예의 다양한 특징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구의 개별적인 용도에 따라 실시예들 사이에서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도 6 또는 도 7의 체결링이 본체와 체결링 또는 보유지지링을 적당히 변경시킴으로써 도 13 또는 도 14에 설명된 실시예에 적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예컨대 축방향 슬릿(17)과 관련된 도 1 내지 도 13의 보유지지링(16)의 형태는 필요하면적절한 임의의 다른 실시예에 사용될 수 있다. 본체에 대한 제2본체(6)의 밀봉과 관련된 특징은 O링과, 와셔, 주입식 액상경화밀봉제 및, 이와 유사한 것을 포함하는 임의의 적당한 수단으로 성취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된 실시예들의 많은 응용과 변경이 연결조립체 및 고정구 분야의 숙련자들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되, 본 발명의 범주는 첨부된 청구범위로 한정된다.

Claims (38)

  1. 제2본체를 수용하는 입구를 갖춘 제1본체와, 제2본체에 제1본체를 고정시키는 고정수단 및, 제2본체에 대해 제1본체를 밀봉시키는 밀봉수단을 구비하되, 상기 고정수단은 제2본체와 맞물리는 제1고정부재를 구비하고, 이 제1고정부재는 상기 입구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고서 제1본체와 맞물리는 수단을 갖추어, 제1본체의 입구에서 제2본체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되어 있는, 2개의 본체를 고정시키는 연결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와 맞물리도록 제1고정부재를 보유지지하는 제2고정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연결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본체와 맞물리도록 제1고정부재를 보유지지하는 제2고정부재를 추가로 구비하는 연결조립체.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재는 제2본체와 제1고정부재 사이에서 입구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위치되는 연결조립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본체는 파이프로 되어 있는 연결조립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본체는 그 외부면에 돌출부를 구비하는 연결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외주로 뻗어 있는 연결조립체.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는 돌출부와 맞물리는 연결조립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의 한끝이 돌출부와 맞물리는 연결조립체.
  10. 제6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제1본체 내에서 제2본체가 앞쪽으로 이동하는 범위를 제한할 수 있는 연결조립체.
  11.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본체는 그 외부면에 제1고정부재가 맞물리는 홈을 갖추고 있는 연결조립체.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는 제2본체 주위에 위치하도록 링 또는 실린더의 형태로 되어 있는 연결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링 또는 실린더는 방사상으로 변형가능하게 되어 있는 연결조립체.
  14. 제12항 또는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링 또는 실린더는 다수의 길이방향 슬릿을 갖추고 있는 연결조립체.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 또는 실린더는 그 길이의 적어도 일부에 걸쳐 외주에서 불연속으로 되어 있는 연결조립체.
  16. 제12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본체와 맞물리는 끝에서 멀리 떨어진 제1고정부재의 끝이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하게 되어 있는 연결조립체.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홈이 제1본체에 구비되어, 제1고정부재가 이 홈에 맞물리게 되는 연결조립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외주로 뻗어 있는 연결조립체.
  19. 제17항 또는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제1본체의 입구 벽에 있는 연결조립체.
  20. 제17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는 상기 홈에 맞물리도록 그 외부면에 하나 이상의 돌출부를 갖추고 있는 연결조립체.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외주로 뻗은 돌출부를 구비한 연결조립체.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돌출부는 제1고정부재를 제1본체 내로 삽입할 때 홈과 맞물리는 연결조립체.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는 제2본체에 보유지지될 수 있는 연결조립체.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는 제2본체의 돌출부 또는 홈에 보유지지될 수 있는 연결조립체.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본체에 제1고정부재를 보유지지하는 수단이 제2본체의 돌출부 또는 홈과 맞물리는 제1고정부재의 끝에 또는 그 근처에 구비될 수 있는 연결조립체.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본체에 제1고정부재를 보유지지하는 수단이 제2본체의 돌출부에 위치되는 환형상부와, 돌출부의 양쪽에 위치되고서 방사상 안쪽으로 향한 부분을 구비하여서, 상기 제2본체의 돌출부에 제1고정부재를 보유지지하게 된 연결조립체.
  27. 제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고정부재는 둘 이상의 부분으로 이루어진 연결조립체.
  28. 제2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재는 제1고정부재의 내부와 맞춰지는 작은 환형상부재로 된 연결조립체.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본체의 돌출부와 제1고정부재 사이에서 제2본체 주위에 위치된 칼라를 추가로 구비하는 연결조립체.
  30. 제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재는 둘 이상의 부분으로 이루어진 연결조립체.
  31. 제2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사용시 상기 제1본체의 외부에 제2고정부재의 캡 또는 플랜지가 위치되어, 분리가 필요할 때 제1본체의 입구에서 고정부재를 당기는 데에 사용될 수 있는 연결조립체.
  32. 제1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는 플라스틱 재료로 만들어진 연결조립체.
  33. 제1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고정부재는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부재에 의해 제1본체에 보유지지되는 연결조립체.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적으로 변형가능한 부재는 제2고정부재와 제1본체에 있는 인접한 홈과 상호작용하는 써클립으로 된 연결조립체.
  35. 제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는 자동차의 작동유니트인 연결조립체.
  36. 제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는 가스설비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어댑터인 연결조립체.
  37. 제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는 제2본체를 다른 본체에 연결시키는 연결구인 연결조립체.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제1본체는 둘 이상의 파이프를 연결하는 연결구인 연결조립체.
KR10-2004-7004274A 2001-10-04 2002-09-30 연결조립체 KR200400454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123814A GB0123814D0 (en) 2001-10-04 2001-10-04 Connections
GB0123814.6 2001-10-04
GB0201104A GB0201104D0 (en) 2002-01-18 2002-01-18 Connections
GB0201104.7 2002-01-18
GB0216557.9 2002-07-17
GB0216557A GB0216557D0 (en) 2002-07-17 2002-07-17 Connections
PCT/GB2002/004402 WO2003029716A1 (en) 2001-10-04 2002-09-30 Connectio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5453A true KR20040045453A (ko) 2004-06-01

Family

ID=272562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04274A KR20040045453A (ko) 2001-10-04 2002-09-30 연결조립체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20050006897A1 (ko)
EP (1) EP1432943B1 (ko)
JP (1) JP2005504250A (ko)
KR (1) KR20040045453A (ko)
CN (1) CN1564921A (ko)
AT (1) ATE302923T1 (ko)
BR (1) BR0212850A (ko)
CA (1) CA2460675A1 (ko)
CZ (1) CZ2004539A3 (ko)
DE (1) DE60205765T2 (ko)
DK (1) DK1432943T3 (ko)
ES (1) ES2247421T3 (ko)
HK (1) HK1063069A1 (ko)
HU (1) HUP0401636A2 (ko)
MX (1) MXPA04002963A (ko)
PL (1) PL367445A1 (ko)
SK (1) SK1962004A3 (ko)
WO (1) WO2003029716A1 (ko)
YU (1) YU2710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314205A1 (en) * 2007-06-23 2008-12-25 Carlos Feliciano Quick release pliers for push-fit couplers
US7862090B1 (en) 2007-12-28 2011-01-04 R.L. Hudson & Company Plug-in fitting for direct connection to housing
TWI831050B (zh) * 2008-11-07 2024-02-01 日商半導體能源研究所股份有限公司 半導體裝置和其製造方法
CN103348172B (zh) * 2011-02-08 2015-07-29 艾莫股份公司 联接装置
DE102012101469B4 (de) * 2012-02-23 2021-01-21 BAM Bundesanstalt für Materialforschung und -prüfung Wandfreie Klimakammer für einen akustischen Levitator
DE102012102191A1 (de) * 2012-03-15 2013-09-19 Voss Automotive Gmbh "Steck-Verbindungssystem, insbesondere für fluidische Leitungen, Armaturen oder Aggregate"
JP7483870B2 (ja) * 2019-10-10 2024-05-15 オエティカ シュヴァイツ アーゲー クイックコネクタ
KR20220070317A (ko) * 2019-10-10 2022-05-30 외티커 슈비츠 아게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신속 연결부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713200A1 (de) * 1987-04-18 1988-11-03 Kessler & Co Tech Chem Gmbh Steckkupplung
US4834423A (en) * 1987-12-22 1989-05-30 Schmelzer Corporation Quick connect fluid fitting assembly
US5303963A (en) * 1992-03-27 1994-04-19 Bundy Corporation Tube coupling with secondary retainer clip
US6068303A (en) * 1995-09-13 2000-05-30 Hollnagle; Harold E. Tube for connection to female socket
US5803512A (en) * 1996-03-22 1998-09-08 Hollnagel; Harold E. Tube quick connect to female socket
JP3415985B2 (ja) * 1996-03-21 2003-06-09 矢野技研株式会社 伸縮管継手
US5971445A (en) * 1997-11-10 1999-10-26 Pilot Industries, Inc. Quick connect coupling with improved re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YU27104A (sh) 2005-09-19
DE60205765D1 (de) 2005-09-29
CA2460675A1 (en) 2003-04-10
HK1063069A1 (en) 2004-12-10
HUP0401636A2 (en) 2004-11-29
CZ2004539A3 (cs) 2004-07-14
EP1432943B1 (en) 2005-08-24
DE60205765T2 (de) 2006-06-29
MXPA04002963A (es) 2005-07-01
CN1564921A (zh) 2005-01-12
US20050006897A1 (en) 2005-01-13
WO2003029716A1 (en) 2003-04-10
PL367445A1 (en) 2005-02-21
EP1432943A1 (en) 2004-06-30
ATE302923T1 (de) 2005-09-15
SK1962004A3 (en) 2004-08-03
DK1432943T3 (da) 2005-11-14
BR0212850A (pt) 2004-10-13
JP2005504250A (ja) 2005-02-10
ES2247421T3 (es) 2006-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84879B1 (ko) 관 조인트
US7093862B2 (en) Tube joint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he same
US7841629B2 (en) Plug-in coupling for fluidic systems
US5779284A (en) Tube coupling bodies having resilient fingers spaced from the groove wall
EP0838006B1 (en) Push-fit tube couplings
US5511830A (en) Quick connect tube couplings
US5048875A (en) Connector interposed between small-diameter metallic pipe and flexible hose
US7891380B2 (en) Protective cap for quick connector
KR20050062560A (ko) 파이프용 접속 장치
JP2001200963A (ja) コネクタ
JP2001235078A (ja) ホース継手
JPH01320396A (ja) カップリング
KR20040045453A (ko) 연결조립체
US20080174108A1 (en) Snap-in-place valved coupler
US4174859A (en) Conduit coupling assembly
GB2336638A (en) Push-fit tube coupling
EP3441537A1 (en) Improved toilet pan connector
JP3470158B2 (ja) 継手部をもつホース
AU2002362521A1 (en) Connections
WO2003025451A1 (en) Pipe connectors
ZA200402206B (en) Connections.
WO2002075201A1 (en) Hose connector
KR20020057168A (ko) 파이프 연결구조
JPH0729393U (ja) 流体圧用継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