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5294A -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의존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의존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5294A
KR20180125294A KR1020170060012A KR20170060012A KR20180125294A KR 20180125294 A KR20180125294 A KR 20180125294A KR 1020170060012 A KR1020170060012 A KR 1020170060012A KR 20170060012 A KR20170060012 A KR 20170060012A KR 20180125294 A KR20180125294 A KR 201801252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giogenesis
composition
preventing
pharmaceutical composition
mixed extr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00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8334B1 (ko
Inventor
고병섭
이혜원
육진아
양현
정동호
Original Assignee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 한의학 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 한의학 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60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8334B1/ko
Publication of KR201801252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52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83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83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5Paeoniaceae (Peony family), e.g. Chinese peon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61K36/076Por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4Cnidium (snowparsle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4Atractyl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84Alismataceae (Water-plantain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ng effect on 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의존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작약, 천궁, 택사, 당귀, 복령 및 백출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의존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은 갱년기에 의해 감소된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라디올을 증진시키고, 특히 혈관내피세포의 생성 및 이동을 촉진한다. 따라서 혈관신생 의존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또는 건강기능 식품 조성물로 활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의존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improving or treating angiogenesis-dependent disorder comprising extract of medicinal herbal mixture as effective component}
본 발명은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의존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혈관신생(angiogenesis)이란 새로운 혈관이 생성되는 과정을 말하며, 정상적인 생체 조건에서는 드물게 일어나지만, 배발생, 황체 형성 또는 상처치료 과정에서는 반드시 수반되는 과정이다. 혈관신생이 일어나는 과정은 일반적으로 혈관신생 촉진인자의 자극에 의하여 프로테아제로 인한 혈관 기저막의 분해, 혈관 내피세포의 이동, 증식 및 혈관 내피세포 분화에 의한 관강의 형성으로 혈관이 재구성되어 새로운 모세혈관이 생성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혈관생성 과정은 생장인자, 사이토카인, 지질대사물질 및 지혈 단백질의 잠재성 단편 등 여러 종류의 촉진인자와 억제인자에 의해 엄격하게 통제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갱년기(climacteric)란 내분비 증후군의 일종으로 난소기능의 전반적이고 점진적인 감소가 일어나 생리적 기능 및 성기능이 감소 내지 소실되는 과도기를 말하며, 갱년기의 한 과정으로 난소기능의 정지 후에 일어나는 생리의 영구적인 정지인 폐경(menopause)이 오게 된다. 폐경기에는 에스트로겐 생성의 감소, 난포자극호르몬(follicular stimulating hormone, FSH) 및 황체화호르몬(luteininzing hormone, LH)의 상승 등 호르몬의 변화에 따라 급만성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즉, 초기증상으로 열성홍조(hot flush), 야간 발한(night sweat) 등의 혈관 운동성 증상(vasomotor symptom)과 갱년기에 의한 허혈성 질환이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갱년기 증후군으로 손 발의 저림현상이 나타나며, 국소적인 빈혈을 일으키기도 한다.
한편, 당귀(當歸, Angelicae gigantis Radix)는 참당귀(Angelica gigas Nakai)의 뿌리를 사용한다. 중국에서는 중국당귀(Angelica sinensis (Oliv.) Diels:中國當歸)를 사용하고 일본에서는 왜당귀(Angelica acutiloba (Sieb. & Zuc.) Kitagawa)를 사용한다. 당귀에는 주로 쿠마린(coumarin) 계통의 데커신(decursin), 데커시놀(decursinol), 데커시놀 안젤레이트(decursinol angelate) 등이 함유되어 있다. 데커신과 데커시놀은 진정, 진통, 진경작용, 항종양작용, 뇌세포 보호작용 등이 있으며, 특히 혈소판 응집 억제작용이 있어 혈관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방에서는 당귀가 빈혈증, 부인병, 임산부의 산후 회복에 주로 쓰이며 이외에도 심한 기침, 부스럼 등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당귀는 자궁을 튼튼하게 할 뿐 아니라 생리를 조절하여 어혈 등의 노폐물을 빼내는 역할을 하며 냉증, 혈색 불량 등을 개선시키며, 산전 산후의 회복에 도움이 되고, 장의 운동을 활발하게 해주므로 손발이 찬 증상을 개선시킬 수 있다고 한다.
작약(Peony Root)은 미나리아재비과의 여러해살이풀로, 백작약(Radix Paeoniae Alba)과 적작약(Radix Paeoniae Rubra)이 있다. 백작약과 적작약은 껍질의 유무로 결정하고 있으며, 껍질이 있는 것을 적작약, 껍질을 벗겨낸 것을 백작약이라고 한다. 백작약은 적작약과 더불어 위, 장의 평활근 및 자궁평활근에 대해 수축억제효과, 관동맥 확장 효과 및 혈관질환에 대해 죽상경화증 방지, 혈압강하 및 혈류 개선의 효과가 있다. 작약추출물의 이러한 효과는 항산화효과, 혈소판응집억제효과, 고지혈증 방지 등으로부터 오는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작약의 구성성분 중의 일부인 글리코시드(glycoside)가 뇌경색의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백출(Atractylodis Rhizoma Alba)은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 삽주의 근경을 일으키며, 방향성건위제로 한방에서는 비장을 보강하는 건비, 보비 처방에 빈용되며 진정, 이뇨, 지한, 자양, 안테 효과, 진통작용, 항염증작용, 혈당치저해효능, 혈압강하, 이뇨작용등의 효과가 있다.
복령(Poria cocos)은 나무뿌리에 기생하며, 균핵(菌核) 크기는 10∼30cm이며 백색인 것을 백복령(白茯笭), 적색인 것을 적복령(赤茯笭)이라 한다. 한약재로 강장 ·이뇨 ·진정 등에 효능이 있어 신장병, 방광염 또는 요도염에 이용한다.
천궁은 천궁에 존재하는 생물학적 활성물질로서 테트라메틸피라진 (tetramethylpyrazine)이 1957년 처음으로 분리되었고 1970년대부터 중국에서 협심증(angina pectoris)과 뇌허혈성 증후군(cerebral ischemic syndromes)의 치료에 널리 이용되어 왔다. 왕(Wang) 등(1979)은 인산테트라메틸피라진(tetramethylpyrazine phosphate)이 마취시킨 개의 심장에서 양성 근수축 및 주기변동 효과(positive inotropic and chronotropic effects)를 나타내고 말초혈관에 직접적인 이완효과를 가진다고 보고하였다. 테트라메틸피라진은 또한 개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관상혈액의 흐름을 증가시키고, 심신순환 모두에 강력한 이완 작용을 가지며, 폐에서 이완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택사(澤瀉)는 쇠태나물이라고도 하며 학명은 Alisma canaliculatum이다. 정수성 수생식물로 원줄기가 없고 뿌리줄기가 짧아 덩이뿌리를 형성하며, 수염뿌리가 많다. 못 언저리나 논 같은 습지에 살며, 우리나라 전국 각지에서 자라나 드물게 분포하며 한방에서는 덩이뿌리를 말려 약재로 사용한다. 약성은 한(寒)하고 감(甘)하며, 이수(利水)·지사(止瀉)·지갈(止渴)의 효능이 있다. 소변불리(小便不利)·수종창만(水腫脹滿)·신장염·방광염·요도염·임신부종·각기·설사·번(煩渴)·당뇨·고혈압·지방·간 등의 증상에 사용한다. 약리 작용으로는 항산화 작용, 이뇨작용, 항알레르기 작용 등이 보고되어 있다.
한편, 당귀작약산 관련 기술로, 한국등록특허 제0419121호에 여성 갱년기 증상의 개선 기능을 갖는 생약 조성물을 함유하는 기능성 식품이 알려져 있으나, 본 발명의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의존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대해서는 개시된 바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에 의해 도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은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의존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한약재 혼합 추출물이 갱년기가 유도된 동물모델에서, 에스트라디올의 생성을 증진시키며, 혈관내피세포의 생성 및 이동을 촉진하고, 그에 관련된 ERK, Akt 및 eNOS 단백질 발현에 영향 미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작약, 천궁, 택사, 당귀, 복령 및 백출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의존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작약, 천궁, 택사, 당귀, 복령 및 백출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의존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의존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작약, 천궁, 택사, 당귀, 복령 및 백출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의존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은 갱년기에 의해 감소된 여성호르몬인 에스트라디올을 증진시키고, 특히 혈관내피세포의 생성 및 이동을 촉진함으로써, 혈관신생 의존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정상 암컷 마우스(Control)와 난소절제된 마우스(OVX)의 혈소판 내에 함유된 17-β 에스트라디올의 함량을 확인한 결과이다. **는 정상군(Control) 대비 난소 절제된 마우스(OVX)에서의 17-β 에스트라디올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는 것을 의미하며, p<0.01이다.
도 2는 난소적출 및 하지 허혈 동물 모델에서, 본 발명의 한약재 혼합 추출물의 투여에 따른 혈류량의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A)는 LDPI (laser doppler perfusion imaging)로 측정한 혈류량을 나타내는 이미지이고, (B)는 혈류량을 정량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OVX-HLI는 난소적출 후 하지허혈유발군이고, OVX-HLI-SV는 난소적출 및 하지허혈 유발 후 심바스타틴 사료급여군이며, OVX-HLI-DJ는 난소적출 및 하지허혈 유발 후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 사료급여군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한약재 혼합 추출물의 투여에 따른 모세혈관 형성 및 모세혈관/근육의 비율을 확인한 결과이다. (A) 항-CD31 항체에 대한 면역화학조직 염색결과이고, (B)는 모세혈관/근육의 비율을 나타낸 그래프이며, **는 난소 적출 후 하지 허혈유발 후 심바스틴 또는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을 사료 급여한 군이 난소 적출군에 비해 모세혈관/근육의 비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진되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 4는 혈관내피세포의 이동을 확인한 결과로, (A)는 이동한 세포를 H&E 염색하여 확인한 것이고, (B)는 이를 정량적으로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약재 혼합 추출물의 투여에 따른 폐각근과 장딴지근 조직에서의 ERK, p-ERK, Akt, p-Akt 및 eNOS의 발현량을 확인한 결과이다.
본 발명은 작약, 천궁, 택사, 당귀, 복령 및 백출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의존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혈관신생 의존성 질환은 갱년기에 의한 허혈, 당뇨성 족부궤양, 허혈성 뇌졸중, 국소빈혈 및 뇌혈관성 치매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으며, 상기 갱년기에 의한 허혈은 손 또는 발의 저림, 시림 또는 염좌 증상을 나타내는 것이 특징이다.
상기 혼합 추출물은 하기의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1) 작약, 천궁, 택사, 당귀, 복령 및 백출의 혼합 한약재에 추출용매를 가하여 추출하는 단계;
(2) 단계 (1)의 추출물을 여과하는 단계; 및
(3) 단계 (2)의 여과한 추출물을 농축하고 건조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단계 (1)에서 추출용매는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물이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제조방법에 있어서, 추출방법은 여과법, 열수 추출, 침지 추출, 환류 냉각 추출 및 초음파 추출 등의 당 업계에 공지된 모든 통상적인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용매는 혼합 한약재(작약, 천궁, 택사, 당귀, 복령 및 백출) 중량의 1~20배 첨가하여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5~15배 첨가하는 것이고, 더욱더 바람직하게는 10배 첨가하는 것이다. 추출온도는 60~100℃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추출시간은 1~48시간인 것이 바람직하며, 1~24시간이 더욱 바람직하고, 3시간이 가장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방법에 있어서, 단계 (3)의 농축은 진공 회전 농축기 또는 진공회전증발기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건조는 감압건조, 진공건조, 비등건조, 분무 건조 또는 동결건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동결건조이나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작약, 천궁, 택사, 당귀, 복령 및 백출의 혼합비는 중량비로, 1~6:1~4:1~4:0.5~2:0.5~2:0.5~2의 중량비로 혼합비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 바람직하게는 3:2:2:1:1:1의 중량비이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혼합 추출물은 혈관내피세포의 증식, 혈관내피세포의 이동능 또는 혈관신생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혈관신생 촉진은 ERK 및 Akt-eNOS 신호를 활성화시켜 혈관 신생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으며, 비경구 투여 시 피부 외용 또는 복강 내, 직장, 정맥, 근육, 피하, 자궁 내 경막 또는 뇌혈관 내 주사 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피부 외용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하여 조제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하나 이상의 화합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오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된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등과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 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 용제 및 현탁 용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기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롤 젤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의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 연령, 성별, 건강상태, 식이, 투여시간, 투여방법, 배설률 및 질환의 중증도에 따라 그 범위가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작약, 천궁, 택사, 당귀, 복령 및 백출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의존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혈관신생 의존성 질환은 갱년기에 의한 허혈, 당뇨성 족부궤양, 허혈성 뇌졸중, 국소빈혈 및 뇌혈관성 치매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작약, 천궁, 택사, 당귀, 복령 및 백출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의존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분말, 과립, 환, 정제, 캡슐, 캔디, 시럽 및 음료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로 제조하거나, 식품의 성분으로 첨가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작약, 천궁, 택사, 당귀, 복령 및 백출의 혼합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일례로는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형태일 수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건강기능식품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및 천연 풍미제, 착색제 및 증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킨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 주스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및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감미제로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나,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한 것이다.
[실험방법 및 재료]
1. 실험동물
실험에 사용된 쥐는 생후 7주된 C57BL/6J 종으로 오리엔트바이오(경기도 성남)에서 구입 후 한국한의학연구원 실험동물연구센터에서 적응을 위해 1주 동안 식이 제한 없이 사육되었다. 무균 사육기에서 멸균된 사료와 물을 충분히 공급하고, 일주일동안 12시간/12시간(light/dark) 조명조건의 적응기를 거쳐 실험에 이용하였다. 암컷으로 무게는 18~24g이었다. 본 실험은 한국한의학연구원 동물실험윤리위원회의 승인(14-76) 후 진행되었다.
2. 수술적 처치
(1) 난소적출(Ovariectomized model)
쥐의 복강 내에 케타민(Ketamine HCl) 60mg/kg을 투여하여 전신마취를 하였다. 동물을 누운 자세(prone)로 뉘이고 등 쪽 절개부위에 알코올로 소독 후 근육층을 절개하였다. 지방조직(adipose tissue)을 잡아당겨 끝에 연결된 난소(ovary)를 비흡습성 봉합사(5-0)로 묶고 제거하였다. 난소 양쪽 모두 시행하여 난소 두 개를 모두 제거한 후 흡습성 봉합사(5-0)로 봉합하였다. 동물모델은 정상군(Sham group), 난소적출군(OVX), 난소적출 후 하지허혈유발군(OVX-HLI), 난소적출 및 하지허혈 유발 후 심바스타틴(simvastatin) 10mg/kg/day사료급여군(OVX-HLI-SV), 난소적출 및 하지허혈 유발 후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 200mg/kg/day 사료급여군(OVX-HLI-DJ)으로 분류하였으며, 상기 난소적출 군은 난소적출 후 1주일의 회복기를 가졌다.
(2) 대퇴동맥 결찰(Hindlimb ischemia model; HLI model)
쥐의 복강 내에 케타민(Ketamine HCl) 60mg/kg을 투여하여 전신마취를 하였다. 오른쪽 하지의 피부를 약 2cm 가량 절개하여 혈관을 확인한 후 아랫배벽동맥(inferior epigastric arter) 아랫부분부터 얕은넙다리동맥(superficial femoral artery)의 중간지점까지 동맥과 정맥을 결찰 후 분리하였다.
(3) 혈중 에스트라디올(estradiol) 농도 측정
혈액 내 여성 호르몬인 에스트라디올의 농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난소적출 후 10일 후에 난소를 적출하지 않은 대조군(Control)과 난소적출군(OVX)의 복대정맥에서 혈액을 채취하여 혈장을 분리한 후, 효소면역분석법(enzyme immunoassay; Cayman Chemical, Ann Arbor, MI)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4) 레이저 도플러 관류영상(Laser Doppler Perfusion Imaging)
수술 전, 결찰수술 후 1일, 3일, 7일, 14일, 21일, 28일째에 실험동물을 케타민을 사용하여 마취하고 털을 제거한 후 양측 하지에서 레이저도플러(Periscam, Sweden)로 혈류량을 측정하였다. 수술한 하지(ischemic limb)의 혈류량을 수술하지 않은 반대쪽 다리(nonischemic limb)의 혈류량과의 비율로 표시하였다.
(5) 조직준비
쥐의 복강 내에 케타민(Ketamine HCl) 60 mg/kg을 투여하여 전신마취시킨 후 희생시켰다. 조직학적 연구를 위하여 결찰 후 28일이 경과한 시점에서 결찰한 대퇴부의 폐각근(adductor muscle)과 비복근(gastronemius muscle)을 적출하여 파라포름알데히드(paraformaldehyde; PFA)에 고정시켰다. 단백질 연구를 위하여 적출한 폐각근(adductor muscle)과 장딴지근(gastronemius muscle)을 액체질소에 냉동시킨 후 실험 전까지 -80℃에서 보관하였다.
(6) 면역조직화학 염색 및 판독(Immunohistopathologic studies)
파라핀 포매조직을 만든 후 5μm 두께의 절편을 유리슬라이드에 부착시키고, 파라핀을 제거한 후 함수과정을 거쳐, 감추어진 항원을 노출시키기 위해 EDTA 용액에 담가 10분간 중탕하였다. 30분간 실온에 두고 내인성 과산화효소를 억제시키기 위해 3% 과산화수소수로 10분간 처리한 후 증류수로 수세하였다. 이후의 과정은 LSAB kit(DAKO)를 이용하여 시행하였다. 두 가지의 일차 항체 CD31(PECAM-1, BD Biosciences)를 각각 1:200으로 희석한 것을 처리하여 실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시켰고, TBS(Tris-buffered saline)로 수세하였다. 이차 항체로 실온에서 30분간 둔 후 TBS로 수세하고 과산화효소(peroxidase)가 표지된 스트렙타비딘(stretavidin)을 실온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디아미노벤지딘(diaminobenzidine)으로 10분간 실온에서 발색시켰다. CD31 면역화학조직 염색의 판정은 혈관 밀도가 가장 높은 3 부위를 택하여 광학현미경 200배 시야에서 양성인 혈관의 수를 세어 시야별 평균치를 구하였다.
(7) 웨스턴블랏 분석
실험동물 근육조직을 RIPA 완충용액[50mM Tris-HCl, pH8.0, 150mM NaCl, 1% Nonidet-P40, 디옥시콜산(deoxycholic acid), 0.1% 도데실황산나트륨(sodium dodecyl sulfate)]으로 용해시켰다. 세포질 용액은 4℃에서 13,000g로 15분간 원심분리 한 후 상등액으로부터 얻었다. 세포질 용액(20㎍ 단백질)을 10% SDS-PAGE에서 전기영동하고, 단백질을 니트로셀룰로오스 멤브레인(nitrocellulose membrane)으로 옮겼다. 멤브레인(membrane)을 5% 탈지우유를 함유한 PBS-트윈(PBS-tween)으로 2회 세척하고, 여기에 표적 단백질에 대항하는 항체를 포함한 PBS-트윈(PBS-tween)을 넣고 2시간 반응시켰다. 멤브레인(membrane)을 PBS-트윈(PBS-tween) 용액으로 두 번 세척한 후 1차 항체에 맞는 2차 항체를 넣고 상온에서 2시간 반응시켰다. 멤브레인(membrane)을 PBS-트윈(PBS-tween)으로 세 번 세척한 후 ECL 시스템을 이용하여 감광하여 확인하였다.
(8) 통계
통계학적 비교분석은 GraphPad PRISM 통계 패키지(ver 2.00, Graphpad software inc., San Diego, USA)를 이용하여 대조군과 실험군과 비교는 일원분석(ANOVA)에 이어 Tuckey's post hoc test로 사후검증하였다. 각각의 수치는 평균 ±표준편차로 표시하였으며, 검정 유의도는 p 값이 <0.05 수준일 때를 기준으로 하였다.
실시예 1. 작약, 천궁, 택사, 당귀, 복령 및 백출 혼합 추출물( DJ )의 제조
3:2:2:1:1:1의 중량비로, 작약, 천궁, 택사, 당귀, 복령 및 백출를 혼합한 혼합물에 대하여 10~15배의 물을 첨가하고, 100℃에서 3시간 환류추출하여 혼합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상기 수득한 혼합 추출물을 0.4㎛ 필터로 감압여과한 후, 진공회전농축기로 농축하여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동결건조하였다.
실시예 2. 난소적출 갱년기 유도 동물모델 구축
난소 적출을 통해 갱년기를 유도하고, 이후 혈중 에스트라디올의 농도가 유의적으로 감소했는지를 확인한 결과, 도 1에 개시한 바와 같이 정상군(Control)에 비해 갱년기 유도 동물모델(OVX)에서 에스트라디올의 농도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실시예 3. 대퇴동맥과 정맥 결찰로 혈류 흐름을 차단한 말초혈관장애 동물모델 구축
C57BL/6J 마우스에서 한쪽 다리의 대퇴동맥과 정맥을 결찰한 후, 그 사이의 혈관을 잘라내어 혈류 흐름을 차단한 하지 허혈성 질환 동물모델 시스템을 구축하였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작약, 천궁, 택사, 당귀, 복령 및 백출 혼합 추출물(DJ)의 투여에 의한 지표 변화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 투여에 의한 지표 변화
Sham OVX OVX-HLI OVX-HLI-SV OVX-HLI-DJ
동물 수 7 6 7 7 7
체중(g) 21.29±0.95a 24.17±1.17c 22.14±0.69b,c 23.43±0.79b,c 24.14±1.68c
간 무게(g) 1.10±0.09a 1.24±0.07b 1.09±0.05a 1.05±0.09a 1.03±0.07a
신장 무게(g) 0.12±0.01a 0.12±0.01a 0.11±0.01a 0.11±0.01a 0.12±0.01a
상기 표 1에 개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은 난소 적출모델과는 거의 유사한 정도의 체중, 간 및 신장무게를 나타냈으며, 난소적출 밀 허혈 유도 모델과는 약간의 체중 증가는 있으나 거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시예 5.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 투여에 의한 혈류량 변화 측정
수술 전, 수술 후 1일(Day 1), 3일(Day 3), 7일(Day 7), 14일(Day 14), 21일(Day 21) 및 28일(Day 28) 째, LDPI(laser doppler perfusion imaging)로 혈류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개시한 바와 같이, 양성대조군인 심바스타틴(Simvastatin) 투여군에서는 결찰하고, 3일 이후부터 대조군인 HLI-OVX군과 비교하여 혈류량 차이를 보였고,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 투여군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혈류량 증가를 보였으며, 특히 결찰 후 14일 째부터 현저한 차이를 보였다.
실시예 6. 면역화학조직 염색으로 모세관 밀도(capillary density)의 변화 확인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을 투여함으로써, 대퇴부에서 일어나는 모세혈관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하여 투여 혈관내피세포의 특이적 표현 인자인 CD31을 이용한 면역조직화학 염색 후 발현 정도를 측정하여 모세혈관의 밀도를 비교 관찰하였다.
그 결과, 양성대조군 투여군(OVX-HLI-SV)과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 투여군(OVX-HLI-DJ)에서의 CD31 발현이 난소적출 후 결찰한 대조군(OVX-HLI)에서의 CD31 발현에 비해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을 투여한 지 28일 경과 후, 모세혈관/근육의 비율을 확인하였다. 그 결과, 대조군, 양성대조군,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 투여군에서 각각 0.54±0.03, 0.66±0.05, 0.63±0.05로 측정되어, 모세혈관/근육의 비율이 양성대조군과 본 발명의 혼합추출물 투여군에서 유의하게 증가된 것을 확인하였다(도 3).
실시예 7. 혈관내피세포의 이동에 미치는 영향
혈관내피세포(HUVEC, human umbilical vein cell)의 화학주화성 이동(chemotactic motility)에 대한 어세이를 8μm 기공 크기를 가지고 있는 트랜스웰 플레이트(Transwell plate) 필터의 낮은 쪽(lower) 표면은 2% 젤라틴(gelatin)으로 코팅되었고, HUVEC 세포는 트립신 효소처리하고 최종 1×106 cell/㎖ 농도가 되도록 현탁하였다. 상기 250㎕의 현탁액에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을 혼합하여 윗 쪽(upper) 웰에 로딩하여 6시간 동안 이동하도록 하였다. 이후, H&E 염색을 실시하여 혈관내피세포의 이동 정도를 확인하였는데, 그 결과 도 4에 개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을 첨가한 군이 대조군에 비해 아랫쪽으로 이동한 세포수가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8. 혈관내피세포에서 ERK , Akt eNOS 에 미치는 영향
혈관신생 인자들에 의한 내피세포의 증식, 이동 또는 형태변화는 다양한 신호전달 경로의 활성화를 통하여 유도된다. ERK, Akt 및 eNOS의 인산화는 이러한 신호전달 경로의 중요한 매개인자로 알려져 있다. 이에 본 실시예 8에서는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이 eNOS 및 ERK, Akt의 인산화 조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각각의 인산화 형태를 인지하는 특이적인 항체를 이용한 웨스턴 블랏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도 5에 개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혼합 추출물의 투여에 의해 허혈유발 후 혈류 회복이 가장 높게 관찰된 폐각근 조직(adductor muscle)에서 신생혈관형성과 밀접관 관계가 있는 eNOS 발현이 증가하였다.

Claims (8)

  1. 작약, 천궁, 택사, 당귀, 복령 및 백출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의존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혈관신생 의존성 질환은 갱년기에 의한 허혈, 당뇨성 족부궤양, 허혈성 뇌졸중, 국소빈혈 및 뇌혈관성 치매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신생 의존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갱년기에 의한 허혈은 손 또는 발의 저림, 시림 또는 염좌 증상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신생 의존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물, C1~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신생 의존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 추출물은 혈관내피세포의 증식, 혈관내피세포의 이동능 또는 혈관신생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신생 의존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혈관신생 촉진은 ERK 및 Akt-eNOS 신호를 활성화시켜 혈관 신생을 촉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신생 의존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7. 작약, 천궁, 택사, 당귀, 복령 및 백출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의존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혈관신생 의존성 질환은 갱년기에 의한 허혈, 당뇨성 족부궤양, 허혈성 뇌졸중, 국소빈혈 및 뇌혈관성 치매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신생 의존성 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170060012A 2017-05-15 2017-05-15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의존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283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012A KR102028334B1 (ko) 2017-05-15 2017-05-15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의존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0012A KR102028334B1 (ko) 2017-05-15 2017-05-15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의존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5294A true KR20180125294A (ko) 2018-11-23
KR102028334B1 KR102028334B1 (ko) 2019-10-04

Family

ID=645653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0012A KR102028334B1 (ko) 2017-05-15 2017-05-15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의존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83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2354A (ko) 2021-01-13 2022-07-20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데커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평활근세포 증식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67901A (zh) * 2006-10-26 2008-04-30 中国人民解放军军事医学科学院毒物药物研究所 当归芍药方提取物、其制备方法及医药用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167901A (zh) * 2006-10-26 2008-04-30 中国人民解放军军事医学科学院毒物药物研究所 当归芍药方提取物、其制备方法及医药用途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Journal of Molecular Neuroscience, 2015, vol.56, pp.898-906*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8334B1 (ko) 2019-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49351B2 (en) Anti-angiogenic agents and anti-obesity substances applied with anti-angiogenesis from natural products
US20100316741A1 (en) Composition comprising the extract of crude drug complex for stimulating bone growth
KR20060025990A (ko) 복합 생약 추출물(배당환)을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및치료용 조성물
KR100784339B1 (ko) 혼합 생약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혈전제
KR100703180B1 (ko)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질환의 예방 및치료를 위한 약학조성물
KR102028334B1 (ko)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혈관신생 의존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87033B1 (ko) 달맞이꽃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중감량용 조성물
KR101571153B1 (ko) 작약, 또는 작약 및 감초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부종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50051845A (ko) 오미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건강기능식품
KR20150046916A (ko) 간 섬유화 또는 간경화 치료 또는 예방용 조성물
KR20150006224A (ko) 혼합 생약 추출물을 이용한 대사성질환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20140137185A (ko) 백지 포함 복합생약 추출물을 함유하는 염증질환 또는 알레르기 질환의 치료 및 예방용 조성물
US20220054570A1 (en) Composition comprising elecampane extract for alleviating premenstrual syndrome symptom
KR20120111125A (ko) 마자인 추출물을 포함하는 신장암 치료용 조성물 및 건강 기능성 식품
KR20210003523A (ko) 지골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남성갱년기 증후군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EP2992890B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ment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KR101880515B1 (ko) 번행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허혈성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639283B1 (ko) 건강 추출물 및 석류 추출물을 포함하는 위장 장애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58650B1 (ko) 해마 및 한약재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전립선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01310B1 (ko) 항비만용 조성물
KR20170130082A (ko) 우슬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성 호르몬 조절이상 질환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101863603B1 (ko) 석류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관절염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36685B1 (ko) 단삼 또는 작약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지질대사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40007897A (ko) 지황, 우슬, 산수유, 산약, 차전자, 택사, 복령, 모란피 및 계피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암성 악액질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80078435A (ko) 식욕부진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식욕부진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