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4767A - 플러그 및 플러그에 대한 진동 보호부를 부착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플러그 및 플러그에 대한 진동 보호부를 부착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4767A
KR20180124767A KR1020180053785A KR20180053785A KR20180124767A KR 20180124767 A KR20180124767 A KR 20180124767A KR 1020180053785 A KR1020180053785 A KR 1020180053785A KR 20180053785 A KR20180053785 A KR 20180053785A KR 20180124767 A KR20180124767 A KR 20180124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ontact body
slider
contact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3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5070B1 (ko
Inventor
마틴 리스팅
발터 자엥거
볼프강 발레스
카이 키오슈이스
Original Assignee
티이 커넥티버티 저머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이 커넥티버티 저머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티이 커넥티버티 저머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124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7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5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5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05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 H01R13/41Securing in non-demountable manner, e.g. moulding, riveting by frictional grip in grommet, panel or b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6Securing by a separate resilient retaining piece supported by base or case, e.g. collar or metal contact-retention cli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4Pins or blades for co-operation with sockets
    • H01R13/08Resiliently-mounted rigid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33Bases, cases made for use in extreme conditions, e.g. high temperature, radiation, vibration, corrosive environment, pressur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31/00Coupling parts supported only by co-operation with counterpart
    • H01R31/06Intermediate parts for linking two coupling parts, e.g. adap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3Resilient sockets co-operating with pins or blades having a rectangular transverse s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9Sealing means between coupling parts, e.g. interfacial se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58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 H01R13/582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cable being clamped between assembled parts of the housing
    • H01R13/5825Means for relieving strain on wire connection, e.g. cord grip, for avoiding loosening of connections between wires and terminals within a coupling device terminating a cable the cable being clamped between assembled parts of the housing the means comprising additional parts captured between housing parts and cab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 하우징(2) 및 메이팅(mating) 플러그 엘리먼트용 전기 전도성 플러그 엘리먼트(12)를 가진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보호부는 플러그 엘리먼트(12)와 협력하는 콘택 바디(28), 및 슬라이더(30)를 가지며, 슬라이더(30)는 슬라이딩 가이드(90)에서 변위가능하게 안내되고, 슬라이딩 가이드(90)는 플러그 하우징(2) 상에 형성되고 그리고 슬라이더(30)가 플러그 하우징(2) 내로 슬라이딩될 때 콘택 바디(28)가 플러그 엘리먼트(12)에 대해 푸싱되도록 램프 표면(76)을 통해 콘택 바디(28)와 협력한다.

Description

플러그 및 플러그에 대한 진동 보호부를 부착하는 방법{PLUG AND METHOD OF ATTACHING A VIBRATION PROTECTION TO A PLUG}
본 발명은 플러그 하우징 및 전기적 전도성 플러그 엘리먼트를 가진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그런 플러그들은 잘 알려졌고 다양한 용도들을 가진다. 전기 전도성 플러그 엘리먼트는 일반적으로 시트(sheet) 플레이트로 형성되고 플러그-연결 파트너 내부에 전기 전도성 경로를 형성하기 위해 메이팅(mating) 플러그의 메이팅 플러그 엘리먼트와 협력하는 표면들을 가진다.
전기 전도성 플러그 엘리먼트의 치수 및 특히 케이블 단면은 플러그 연결을 통해 전달되는 전류의 세기에 의존한다. 전기적 전도성 플러그 엘리먼트들이 일반적으로 스탬핑(stamping) 및 휨(bending)에 의해 시트 재료로 형성되기 때문에, 이것은 또한 플러그 콘택을 확실하게 전기적으로 전달하고 기계적으로 고정하기 위해 시트 플레이트 상에 일체형으로 몰딩된 탄성 돌기(protrusion)들 및 다른 엘리먼트들을 형성함으로써 플러그 엘리먼트와 메이팅 플러그 엘리먼트 사이의 우수한 전기 콘택 가능성들에 영향을 준다.
동작 동안 플러그들 및 메이팅 플러그들이 연결해제되는 것을 회피하기 위해, 플러그 엘리먼트 및 메이팅 플러그 엘리먼트의 전기적 연결 외에, 플러그들 및 메이팅 플러그들의 플러그 하우징들을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하는 추가 조치들이 알려졌다.
본 발명은 특히, 예컨대 전기적 구동 차량의 동력 전류의 경로 상에서 자동차 내부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을 서로 연결하는데 사용될 수 있는 전기이동성(electromobility)을 위한 플러그를 특정하고자 한다. 대체로, 진동들은 자동차에서 발생한다. 본 발명은 여기서 진동 로드(load)를 고려하여 안전한 전류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해결책을 제공하고자 한다. 플러그의 개별 컴포넌트들의 스케일러블(scalable) 및 신뢰성 있는 장착이 또한 고려된다.
플러그 엘리먼트 및 메이팅 플러그 엘리먼트의 기계적 및 전기적 콘택을 확보하기 위한 소위 박스(box) 스프링의 사용이 알려졌고, 박스 스프링은 플러그 엘리먼트 및 메이팅 플러그 엘리먼트 중 적어도 하나 위에 맞물리고 부가적으로 콘택 엘리먼트들을 서로에 대해 그리고/또는 플러그 하우징에 대해 고정한다. 그러나, 그런 해결책은 종종 결함 부착에 대해 필요한 안전성을 제공하지 못한다. 특히 자동차 산업에서 생산 프로세스들은 또한 대개 자동화되고 검증 가능하게 만들어져야 하는데, 이는 박스 스프링으로 완전히 성공적이지 않다. 게다가, 박스 스프링은 일반적으로, 공기 및 연면 거리들을 고려하여, 고-전압 애플리케이션에서 항상 문제가 없지 않은 전기 전도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플러그 하우징 또는 메이팅 플러그 엘리먼트 또는 이의 하우징에 플러그 엘리먼트를 연결하기 위해 플러그 엘리먼트를 통해 안내되는 별개의 플라스틱 클립(clip)들은 또한 기술에서 알려졌다. 그러나, 이들 이미 알려진 해결책들은 진동들에 대해 충분히 내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지 않았다. 이것은 특히 비교적 높은 전력 전류를 안내하기 위해 비교적 큰 벽 두께를 가진 전기적 전도성 플러그 엘리먼트를 가지며, 그리고 결과적으로 단독으로 비교적 높은 강성을 가지는 고-전압 애플리케이션 분야의 플러그들에 적용되고, 이 경우 플라스틱으로 형성된 클립들은 플러그 엘리먼트를 안전하게 하고 고정하기 위해 낮은 부가적인 힘만을 제공할 수 있다.
하우징을 가진 플러그 엘리먼트 및/또는 메이팅 플러그의 메이팅 플러그 엘리먼트의 부적합한 콘택은 플러그 하우징에서 플러그 엘리먼트 부유(floating) 및 따라서 플러그 엘리먼트와 메이팅 플러그 엘리먼트 사이의 콘택에 상당한 마모를 초래한다. 마지막으로, 이것은 플러그 엘리먼트와 메이팅 플러그 엘리먼트 사이의 콘택 표면상에 콘택 저항들을 초래하고, 이는 고장들, 적용가능한 경우 또한 높은 전달 저항들 및 따라서 플러그 연결 내부의 초임계 온도들을 초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본적인 문제점은 개선된 방식으로, 진동들에 의한 콘택 마모로부터 보호되는 플러그를 특정하는 것이다. 게다가, 본 발명은 진동 보호부를 플러그에 쉽게 부착하기 위한 방법을 특정하고자 하며, 이는 특히 스케일러블 장착 방법들에서 자동차 기술의 요건들에 적합하다.
디바이스에 관련된 문제점에 관해, 제1 항으로부터의 피처(feature)를 가진 플러그는 본 발명으로 특정된다. 이 플러그는 콘택 바디 및 슬라이더(slider)를 가진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의 콘택 바디는 진동-저항 방식으로 플러그 하우징에 플러그 엘리먼트를 파스닝(fasten)하기 위해 플러그 엘리먼트와 협력한다. 슬라이더는 하우징 상에 형성된 슬라이딩 안내부에서 변위가능하게 안내된다. 이 슬라이딩 안내부는 일반적으로 전기 전도성 플러그 엘리먼트에 연결된 케이블의 길이방향 연장부와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램프(ramp) 표면을 통해, 슬라이더는, 슬라이더가 플러그 하우징으로 슬라이딩될 때 콘택 바디가 플러그 엘리먼트에 대해 푸싱(push)되도록 형성된 콘택 바디와 협력한다. 램프 표면은, 슬라이더와 콘택 바디 사이의 변위 움직임의 상황 내에서, 콘택 바디가 플러그 엘리먼트의 방향으로 병진 및/또는 회전 방식으로 푸싱되도록, 슬라이더와 콘택 바디 사이의 거리의 증가를 생성하도록 형성된다.
이 구성은, 램프 표면의 구성으로 인해, 콘택 바디와 슬라이더 사이의 상호작용이 자명하게 될 때까지, 슬라이더가 처음에 실질적으로 힘-없이 플러그 하우징으로 슬라이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이는 진동-저항 방식으로 플러그 하우징에 플러그 엘리먼트를 고정하기 위해, 플러그 하우징에 대해 슬라이더로부터 제거되고 콘택 바디를 통해 플러그 엘리먼트 상으로 전달되는 대향 힘들을 초래한다.
따라서, 콘택 바디는 시작부터 이미 플러그 하우징에 제공될 수 있고, 규칙적으로 처음에 케이블에 일반적으로 이미 연결된 전기 전도성 플러그 엘리먼트의 장착이 콘택 바디에 의해 방해받지 않는 포지션에 제공될 수 있다. 제어되고 그리고 적용가능한 경우 자동화된 방식으로 수행되는 플러그 하우징으로의 슬라이더의 도입은 플러그 엘리먼트에 대해 콘택 바디의 원하는 텐셔닝(tensioning) 또는 파스닝(fastening) 및 따라서 이의 진동 보호를 초래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생산하기에 쉽고 신뢰가능한, 플러그 하우징 내에서 플러그 엘리먼트의 진동 보호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에 생성되는 진동 보호부는 마찰-로킹(locking) 및/또는 마찰 방식으로 플러그 하우징 내에 콘택 바디 및 슬라이더를 수용하고 고정함으로서 생산될 수 있다.
한편, 진동 보호를 생성하는 엘리먼트들이 또한 하우징 내에 폼-피팅(form-fitting) 방식으로 하우징 내부에 고정되는 해결책이 바람직하다. 그런 구성들은 특히 하우징 내에 플러그 엘리먼트의 개선된 유지를 초래하고 높은 콘택 추출력들을 생성한다. 고체, 폼-피팅 연결은 또한 콘택 바디 및/또는 슬라이더 또는 플러그 엘리먼트가 진동 스트레스로 인해 하우징 내부에서 변위되는 위험성을 최소화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추가 개선에 따라, 플러그 하우징에는 콘택 바디를 변위가능하게 지탱하도록 적응되게 형성되고 램프 표면을 형성하는 콘택 바디 리셉터클(receptacle)이 제공되고, 이에 의해 콘택 바디의 리테이닝(retaining) 에지를 플러그 하우징에 의해 형성된 로킹 표면 뒤로 가져오기 위해, 콘택 바디의 축방향 캠(cam)이 콘택 바디 내에서 플러그 하우징으로 슬라이딩할 때 상승되는 것이 제안된다. 이런 추가 개선의 목적들을 위한 "상승"은 특히 콘택 바디 리셉터클 및/또는 슬라이딩 안내부 내의 슬라이더 내측에서 콘택 엘리먼트의 슬라이딩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콘택 바디의 움직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런 추가 개선의 목적을 위해, 로킹 표면은 일반적으로 이에 따라서, 플러그 엘리먼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케이블의 길이방향 연장부에 보통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슬라이딩 안내부 또는 콘택 바디 리셉터클의 길이방향 연장부에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된다. 이런 바람직한 추가 개선으로 인해, 케이블에 대한 추출력들은 이에 따라서 로킹 표면을 통해 플러그 하우징 상으로 제거되어 거기에 고정된다.
단순화된 어셈블리지(assemblage)에 관련하여, 콘택 바디 및 슬라이더는 서로 연관된 연결 엘리먼트들을 가지며, 연결 엘리먼트들을 통해 둘 모두가 유닛을 형성하도록 조인될 수 있다. 유닛은, 유닛으로 플러그 하우징 내로 슬라이딩하는 상황에서, 유닛이 중간 포지션으로 오게 될 수 있고, 이후 추가 슬라이딩 진입에 의해 유닛이 풀려지게 하고 슬라이더의 상대적 움직임을 초래하도록 형성된다. 이런 추가 개선으로부터, 일반적으로 유닛이 전방에 콘택 바디를 갖는 플러그 하우징 내로 슬라이딩되는 것이 가정된다. 따라서, 유닛이 슬라이딩되는 것은 일반적으로 슬라이더를 핸들링 및 안내함으로써 발생한다. 이것은 바람직하게 슬라이더에 플러깅될 수 있는 삽입 툴과 협력하기 위한 기능 표면들을 가지며, 삽입 툴은 필요한 포지션 정확도로 유닛을 플러그 하우징에 삽입할 수 있고 삽입 툴은 콘택 바디에 대해 필요한 가압력으로 슬라이더를 변위시키고 플러그 엘리먼트에 대해 콘택 바디를 텐셔닝할 수 있다. 중간 포지션에서, 콘택 바디는 실질적으로, 진동 보호부를 생성한 이후에도 콘택 바디가 하우징 내에 위치되는 자신의 최종 포지션을 발견하였다. 이것은 특히 슬라이딩 방향 내에서의 움직임에 따른다. 콘택 바디는 일반적으로 변위 방향으로 중간 포지션과 자신의 최종 포지션 사이에서 약간만 변위된다. 실제, 콘택 바디와 슬라이더 사이의 상대적 움직임으로 인해, 보통 주로 콘택 바디의 피봇팅(pivoting) 움직임은 플러그 하우징 내에서 발생하고, 이는 진동 보호를 설정하기 위해 콘택 바디를 텐셔닝하는데 사용된다.
콘택 바디 및 슬라이더로 이루어진 유닛이 플러그 하우징으로 슬라이딩되는 상황에서 가능한 한 간단한 방식으로 릴리스(release)되는 것에 관하여, 유닛은 바람직하게, 콘택 바디가 중간 포지션에 위치되어 플러그 하우징의 메이팅 표면과 협력하는 경우 필연적으로 릴리스되는 래칭 연결을 통해 조인되고, 이는 적어도 래칭 연결을 릴리싱하는데 충분한 콘택 바디의 움직임에서 추가 슬라이딩에 대한 특정 양의 저항을 제공한다. 래칭 연결은 단지 작용 힘에 의해서만 릴리스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슬라이더 및/또는 콘택 바디를 플러그 하우징 내부로 안내하는 것은, 중간 포지션으로 접근할 때 특정 피봇팅 상대적 움직임이 발생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래칭 연결이 풀리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런 상대적 움직임은 특히 위에서 언급된 비스듬한 표면에 의해 강제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일반적으로 로킹 표면이 제공된 플러그 엘리먼트의 전방 단부가 상승된다. 콘택 바디가 일반적으로 원하는 텐셔닝, 적용가능한 경우 플러그 하우징 내의 플러그 엘리먼트의 웨징(wedging)에 대해 형성되지만, 다른 기능성들이 일반적으로 슬라이더에 할당된다.
이것은 보통 탄성 베어링에 의해 콘택 바디에 대해 래칭 연결을 고정하는 스프링 림(limb)을 가진다. 이 스프링 림은 일반적으로, 슬라이드-진입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그리고 슬라이더에 대한 플러그 하우징에 의해 형성된 슬라이딩 안내부의 경계 표면들과 콘택 바디 사이에서 연장되는 표면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에, 슬라이더는 일반적으로 스프링 림을 넘어 돌출하고 스프링 림의 양 측들 상에 제공되며 슬라이딩 안내부의 경계 표면과 스프링 림 사이에 특정 거리를 생성하는 플랭크(flank)들을 가져서, 스프링 림은 플러그 하우징 내부의 래칭 연결을 릴리스하기 위해 슬라이딩 안내부 내부에서 탄성적으로 구부러질 수 있다. 슬라이더는 바람직하게 유닛을 형성하기 위한 캐치(catch)를 가진다. 콘택 바디는 캐치 내에 수용될 수 있는 리테이닝 캠을 가진다. 캐치는 일반적으로 리테이닝 캠의 치수에 적응되는 리셉터클에 의해 형성된다. 캐치 자체가 스프링 림을 형성하는 것은 필요하지 않다. 실제로, 캐치는 일반적으로 스프링 림의 힘에 의해 리테이닝 캠의 경계 표면에 대해 가압되는 리테이닝 캠을 카운터 지탱하는 역할만을 한다. 슬라이더와 콘택 바디 사이의 유닛은 적어도 2개-포인트 지지를 통해 고정된다.
유닛은 바람직하게 슬라이더의 메이팅 표면에 대해 콘택 바디의 자유, 후방 림을 지탱함으로써 일반적으로 형성된 제3 포인트에 의해 고정된다. 따라서, 캐치 및 리테이닝 캠은 일반적으로 힌지 포인트를 형성하고, 힌지 포인트를 중심으로 스프링 림의 스프링 힘은 슬라이더에 대해 콘택 바디의 자유, 후방 단부에 의해 카운터 지탱되는 토크를 생성한다. 본 경우에서, 2개-포인트 또는 3개-포인트 지지들이 집중되었지만, 이는 리테이닝 캠에 의해 형성된 이론적 피봇 축에 평행한 뷰(view)를 따른다. 콘택 바디 및/또는 슬라이더는, 이런 피봇 축의 방향으로, 그러나 일반적으로 상기 축과 동일한 레벨에 위치된 복수의 동일하게 형성된 림들 또는 지역들을 가질 수 있다.
리테이닝 보호를 증가시키기 위해, 콘택 바디는 바람직하게, 스프링 림이 폼-피팅 방식으로 지탱하는 언더컷(undercut)을 가진다. 이 목적을 위해, 스프링 림은 바람직하게 자신의 자유 단부 상에, 언더컷의 윤곽부에 적응된 윤곽부를 가져서, 고체, 폼-피팅 로킹 메커니즘은 언더컷 및 스프링 림의 전방 단부의 협력에 의해 형성되고, 로킹 메커니즘은, 중간 포지션에 도달될 때까지 유닛이 조인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위에서 언급된 캐치는 필수적으로 슬라이드-진입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위치된 캐치 개구 채널을 가지지 않는다. 실제로, 캐치 개구 채널은 일반적으로 비스듬하게 연장되고, 그리고 부가되는 슬라이더와 콘택 바디 사이의 바람직한 피봇팅 움직임에 관하여, 이런 피봇팅 움직임의 결과로서 유닛의 분리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중간 포지션에 접근할 때 경사진다.
중간 포지션으로부터 시작하여 최종 포지션으로 콘택 바디의 피봇팅 움직임은 특히 램프 표면의 구성에 의해 생성된다. 램프 표면은 콘택 바디 및/또는 슬라이더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리테이닝 에지에 실질적으로 반대의 슬라이드-진입 방향으로 콘택 바디의 자유, 후방 단부는 일반적으로 슬라이더의 메이팅 표면과 협력하여, 슬라이더와 콘택 바디 사이의 상대적 움직임 상황에서, 콘택 바디는 처음에 피봇되고, 적어도 중간 포지션에서 시작하여 플러그 엘리먼트의 방향으로 접근한다. 이런 피봇팅 움직임의 상황에서, 슬라이드-진입 방향으로 전방에 있는 콘택 바디의 전방 측 표면은 바람직하게 처음에 메이팅 표면에 접근한다. 이런 메이팅 표면은 바람직하게, 플러그 콘택이 메이팅 플러그의 메이팅 플러그 엘리먼트와 함께 발생할 플러그 엘리먼트의 콘택 지역에 의해 형성된다. 제2 콘택 포인트는 결과적으로 플러그 엘리먼트의 진동 보호를 증가시키는 콘택 바디와 플러그 엘리먼트 사이에 생성될 수 있다.
볼록하게 곡선진 콘택 표면은 일반적으로 콘택 지역의 방향으로 원뿔형으로 테이퍼링(tapering)하는 콘택 바디의 최상부 지역상에 제공된다. 이런 최상부 지역이 일반적으로 폼-피팅 방식으로 플러그 하우징에 대해 콘택 바디를 로킹하는 역할을 하고 이 목적을 위해 최상부 지역이 보통 위에서 언급된 리테이닝 에지를 형성하지만, 콘택 바디와 슬라이더의 상대적 움직임 동안, 슬라이더는 일반적으로 예컨대 상기 최상부 지역을 통해 서로 연결되는 2개의 콘택 아암들에 의해 형성된, 콘택 바디의 대향 단부와 협력한다. 콘택 바디는 바람직하게 플러그 엘리먼트의 케이블 리셉터클과 플러그 하우징 메이팅 표면 사이의 최종 포지션으로 푸싱되는 이들 2개의 콘택 아암들과 U-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런 구성으로 인해, 크림프 슬리브(crimp sleeve)를 통해 형성될 수 있는 케이블 리셉터클은 2개의 콘택 아암들 사이에서 텐셔닝되고 클램핑된다.
이 목적을 위해, 콘택 아암들은 바람직하게 슬라이더와 대향하는, 콘택 아암들로부터 돌출하는 클램핑 세그먼트들을 가진다. 클램핑 세그먼트들은 바람직하게 단면에서 각을 이루고, 이에 의해 개별 클램핑 세그먼트들의 단부 상에 몰딩된 클램핑 웨브(web)는 실제 콘택 아암들과 반대의 폭 방향으로 외측으로 오프셋되어 제공된다. 따라서, 이 오프셋은, 클램핑 웨브(web)를 실제 콘택 아암에 연결하고 그리고 실질적으로 콘택 아암의 단면도에서, 콘택 아암들의 메인 연장 방향에 대해 횡방향의 슬라이딩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웨브에 의해 바람직하게 형성된다. 콘택 아암이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움직임 상황에서 케이블 리셉터클 방향으로 푸싱되면, 이에 따라서 연결 웨브 및 실제 콘택 아암 사이의 전이 지역은 처음에 케이블 리셉터클에 적용된다. 슬라이더의 추가 변위 움직임은 클램핑 세그먼트가 이런 베어링 포인트를 중심으로 변위되는 것을 초래한다. 피봇팅 움직임은 변위 움직임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피봇 축을 중심으로 발생한다. 이런 피봇팅 움직임에 의해, 클램핑 웨브는 케이블 리셉터클에 접근하는 반면, 연결 웨브와 클램핑 웨브의 자유 단부 사이에 위치된 클램핑 웨브의 세그먼트는 케이블 리셉터클에 대한 범위제한 벽에 대해 적용되고, 범위제한 벽은 플러그 하우징에 의해 형성된다. 이런 상대적 움직임을 통해, 클램핑 웨브는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움직임의 종료시에 범위제한 벽과 케이블 리셉터클 사이의 웨지처럼 구동된다. 콘택 바디의 U-형상 구성으로 인해, 콘택 아암들은 자신의 개별 클램핑 세그먼트들을 갖는 양측 상의 케이블 리셉터클을 둘러싸고 그 사이의 웨징(wedging)으로 인해 케이블 리셉터클을 클램핑한다. 이의 결과로서, 콘택의 매우 신뢰성 있는 고정이 생성된다. 클램핑 세그먼트들은 일반적으로 콘택 아암들의 센터(centre) 지역에 위치되고, 차례로 콘택 아암들은 자신의 자유 단부들과 함께 최종 포지션에서 슬라이더와 협력하고, 슬라이더는 콘택 아암들이 플러그 엘리먼트의 방향으로 프리텐셔닝(pretensioned)되게 한다. 따라서, 콘택 아암들은 특정 탄성 프리텐션(pretension)을 수용하고 이를 리테이닝한다. 탄성 프리텐션은 부가적으로 진동 보호를 개선한다. 콘택 바디의 최상부 지역에 관하여, 콘택 아암들은 또한, 슬라이딩 방향에 대해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위치된 평면에 위치되고 수직 방향으로 콘택 아암들을 가로지르는 축을 중심으로 피봇된다. 아암들의 자유 단부들은 피봇 움직임에 의해 이격된다.
최종 포지션에 도달 시, 콘택 바디의 축방향 캠은 바람직하게 슬라이더 상에 형성된 수용 함몰부에 맞물린다. 따라서, 최종 포지션에서, 축방향 캠은 일반적으로 플러그 하우징의 메이팅 표면에 대해 텐션을 지탱하지 못한다. 실제로, 축방향 캠은 또한 폼-피팅 방식으로 최종 포지션을 고정하기 위해 수용 함몰부에 제공된다. 제조 공차들로 인해, 최종 포지션으로의 콘택 바디에 대한 슬라이더의 추가 변위 움직임이, 축방향 캠이 수용 함몰부에 적용된 이후 발생하는 것이 제공되면, 이런 수용 함몰부는, 단면이 약화되고 그리고 이 약화로 인해 변형에 의한 특정 텐셔닝을 탄성으로 수용할 수 있는 슬라이더의 단부 림(limb) 상에 제공된다.
본 발명의 추가 세부사항들 및 장점들은 도면들과 조합하여 예시적인 실시예의 다음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나타난다.
도 1은 플러그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의 콘택 바디 및 슬라이더로 이루어진 유닛의 측면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a-도 3c는 슬라이더 및 콘택 바디로 이루어진 유닛을 푸는 다양한 단계들의 측면 사시도들을 도시한다.
도 4a-도 4h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진동 보호부를 부착하는 방법의 다양한 단계들을 도시한다.
도 5는 고려가능한 최종 포지션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투시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6은 플러그 하우징의 다른 부분들 없이 최종 포지션에서 콘택 바디와 슬라이더의 투시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세부사항들의 하부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은 밀봉 리테이너(6)를 통해 플러그 하우징(2)에 연결되는, 메이팅 플러그에 대해 유밀(fluid-tight) 밀봉을 위한 밀봉부(4)가 전방 측 상에 제공되는 플러그 하우징(2)을 가진 예시적인 실시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이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플러그 하우징(2)은, 플러그-연결 파트너가 풀려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가 메이팅 플러그의 하우징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는 연결 엘리먼트(10)를 피봇가능하게 지탱하는 레버(8)를 지지한다.
본원에서 플러그 하우징(2)은 2개의 플러그 엘리먼트들을 수용하고 그러므로 서로 이격되고 레버(8)에 대한 피봇가능 베어링을 2개의 플러그 엘리먼트 수용 챔버들(14) 사이에 몰딩하는 2개의 플러그 엘리먼트 수용 챔버들(14)을 가진다.
플러그 엘리먼트(12)는 스탬핑되고 휘어진 시트 플레이로부터 몰딩되고 그리고 콘택 지역(16) ― 콘택 지역(16)은 본 경우에 피메일 엘리먼트로서 몰딩되고 직사각형 단면을 가진 실질적으로 원통형으로 몰딩됨 ―, 및 크림프 슬리브 형상으로 콘택 지역(16) 상에 일체형으로 몰딩된 케이블 리셉터클(18)을 가진다. 알려진 방식으로, 케이블(20)의 노출된 단부는 케이블 리셉터클에서 노출되고 크림핑에 의해 케이블 리셉터클(18)에 연결된다. 케이블(20)은 개별 전도체 밀봉부(22)를 통해 안내되고 플러그 하우징(2)의 커버 캡(24)을 통해 밖으로 나아간다. 스트레인 릴리프(strain relief)(26)는 커버 캡(24)과 개별 전도체 밀봉부(22) 사이에 위치되고, 스트레인 릴리프(26)는, 케이블(20)의 재킷(jacket)과 협력하고 커버 캡(24)을 통해, 플러그 하우징(2) 내에 케이블(20)을 홀딩하기 위해, 케이블(20)의 재킷에 대한 방사상 방향으로 프리텐셔닝된다.
플러그 하우징(2) 내의 케이블(20)을 진동 보호하기 위한 유닛(32) 부분들은 참조 번호들((28)(콘택 바디) 및 30(슬라이더))에 의해 식별되고, 유닛(32) 부분들은 이후에 더 상세히 설명된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케이블(20)에는 유닛(32)이 제공된다.
도 2는 그 세부사항들 및 상대적 정렬에 관해 유닛(32)을 예시한다.
콘택 바디(28)는 평면도에서 그 자유 단부를 향해 원뿔형으로 테이퍼링되게 형성된 최상부 지역(34)을 가진다. 서로를 향해 원뿔형으로 테이퍼링되는 상호 대향하는 플랭크 표면들(36)은 대면(facing) 표면(38)에 의해 범위가 제한되고 대면 표면(38)에 의해 연결된다. 대면 표면(38)은 실질적으로 편평하게 형성되고 볼록하게 곡선진 콘택 표면(40)에 의해 자신의 하부 단부를 넘어 돌출된다. 이에 대향하여 제공되고 2개의 플랭크 표면들(36)을 서로 연결하는 지붕 표면(42)은 웨지(wedge) 세그먼트(44)에 의해 넘어서 돌출되고, 웨지 세그먼트(44)는 평면도에서 직사각형이고 플랭크 표면들(36)에 대해 안쪽으로 움푹 들어간 표면 영역을 가진다. 웨지 세그먼트(44)는 지붕 표면(42)에 수직으로 서 있는 리테이닝 에지(45), 및 지붕 표면(42)으로부터 직각으로 편향되는 웨지 안내 표면들(46)을 형성한다. 이들 웨지 안내 표면들(46)은 도 2 ff에서 S에 의해 식별되고 이후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슬라이딩 방향과 평행하게 위치된다.
콘택 바디(28)의 최상부 지역(34)은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클램핑 세그먼트들(50)에 의해 하부측을 넘어 돌출되는 2개의 콘택 아암들(48)을 결속(bind)하고, 2개의 콘택 아암들(48)은 클램핑 세그먼트 연결 웨브들(52)을 통해 클램핑 세그먼트들(50)에 일체형으로 연결된다. 클램핑 세그먼트(50)와 연관된 콘택 아암(48) 사이의 연결은 실제로 전체 표면에 걸쳐 있다. 그러나, 클램핑 세그먼트 연결 웨브들(52)을 넘어서, 콘택 아암(48)에 대해 클램핑 세그먼트들(52)이 슬라이딩 방향(S)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도 5에 도시된 피봇 축(SW)을 중심으로 피봇가능하도록 비교적 얇은-벽 연결이 제공된다.
클램핑 세그먼트들(50) 외에, 콘택 아암들(48)은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단면 기하구조를 가지며, 리테이닝 캠(54)(도 3a-도 3c 참조)에 의해 내부를 넘어 각각 돌출되고, 리테이닝 캠(54)을 통해 슬라이더(30)가 콘택 바디(28)에 결합되어, 유닛(32)이 생성된다.
평면도에서, 슬라이더(30)는 슬라이더(30)의 전방 단부 상에서 전이하는 플랭크들(56)을 스프링 림(60)에 연결하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 상부, 2-측 지붕 표면(58)으로 형성되고, 스프링 림(60)은 플랭크들(56)에 대해 측방향으로 절단되고 지붕 표면들(58)에 의해 형성된 평면에 대해 안쪽으로 오프셋되게 배열된다. 슬라이더(30)의 자유 단부에서, 스프링 림(60)은 유닛(32)의 조인 상태에서 콘택 바디(28)의 언더컷(60)에 맞물리는 래칭 돌기(62)를 형성한다.
플랭크들(56)의 전방 단부에는 참조 번호(68)에 의해 식별되는 축 방향 캠의 윤곽부에 적응되게 형성되고, 그리고 콘택 바디(28)의 플랭크 표면(36)과 콘택 아암(48) 사이의 교차부 상에서, 교차부로부터 돌출하고 슬라이딩 방향(S)으로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오목-형상 수용 함몰부(66)가 제공된다. 콘택 바디(28)는 외측 상에 제공된 2개의 축 방향 캠들(68)을 가진다. 수용 함몰부(66)는 슬라이더(30)의 개별 플랭크들(56)의 대면 표면상에, 구체적으로 자유 펀치(free punch)(72)를 통해 의도적으로 약해진 단부 림(70) 상에 형성된다.
측면도에서, 슬라이더(30)는 후면 단부를 넘어 돌출하는 조임(tightening) 캠(74)에 의해 실질적으로 L-형상으로 형성된다. 조임 캠(74)은 도 4h에 도시된 최종 포지션에서 콘택 아암(48)의 자유 단부들과 협력하는 볼록 곡선형 램프 표면(76)을 가진다(도 6, 도 7 참조).
슬라이더(30)는 조인 유닛(32)의 경우에, 콘택 아암들(48)의 자유 단부들이 주로 수용되는 콘택 아암 리셉터클(80)을 내부 플랭크들(78)과 외부 플랭크들(56) 사이에 형성하기 위해, 외부 플랭크들(56)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내부 플랭크들(78)을 가진다(도 3a 참조). 조임 캠(74)에 의해 범위가 제한된 자신의 단부들 상에, 콘택 아암 리셉터클들(80)은 콘택 아암 리셉터클(80)로부터 콘택 아암들(48)을 가압하고 이에 고정되는 카운터 베어링(81)을 형성하고 그리고 콘택 아암들의 자유 단부가 조인 유닛(32)의 경우에 이들의 단부 에지들에 수용되는 기하구조를 가진다(도 3a 참조).
외부 플랭크들(56)과 면하는 내부 플랭크들(78)의 외부 표면들에는 내부 플랭크(78)의 하부 단부까지 개방되고 내부 플랭크(78)의 메인 연장 방향으로 따라서 슬라이딩 방향(S)으로 비스듬하게 구성되고, 그리고 리테이닝 캠(54)을 수용하도록 적응되게 형성된 캐치(84)로 인도하는 캐치 개구 채널(82)이 각각 제공된다. 대응하는 캐치(84)는 필수적으로 C-형상 구성을 가지며 도 3a-도 3c로부터 추론된다.
도 2 및 도 3a에 도시된 슬라이더(30)와 콘택 바디(28)로 구성된 조인 유닛의 경우에, 리테이닝 캠(54)은 캐치(84) 내부에 위치된다. 스프링 림(60)은 자신의 래칭 돌기(62)를 언더컷(64)에 지탱한다. 개별 콘택 아암들(48)의 자유 단부는 폼-피팅 방식으로 콘택 아암 리셉터클(80) 내에 형성된 카운터 베어링(81)을 지탱한다(도 3a 참조). 슬라이더(30)와 콘택 바디(28) 사이의 유닛은 이들 3개의 콘택 포인트들에 의해 릴리스가능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폼-피팅 방식으로 연결된다. 따라서 유닛 자체가 핸들링될 수 있고 그리고, 도 4a-도 4h에서 강조된 바와 같이, 플러그 엘리먼트(12)가 케이블(20)에 연결된 상태에서 플러그 하우징(2)의 사전-어셈블리 이후 플러그 하우징(2)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슬라이더(30)는 자신의 후면 단부 상에, 이 목적을 위해 형성되고 도시되지 않은 툴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슬롯형 툴 리셉터클(88)을 가진다. 유닛(32)은 이 툴을 통해 정확한 포지션으로 플러그 하우징(2)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다.
이런 슬라이딩 움직임의 상황에서, 슬라이더(30)는 슬라이딩 가이드(90) 내에서 인도된다(도 5 참조). 슬라이딩 가이드(90)는 플러그 하우징(2)에 의해 형성된 플러그 엘리먼트 수용 챔버(14)의 상부 범위제한 벽에 의해 범위가 제한된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엘리먼트 수용 챔버(14)는 실질적으로 직사각형으로 몰딩된다. 참조 번호(94)에 의해 식별된 상부 범위제한 벽 외에, 플러그 엘리먼트 수용 챔버(14)의 측방향 범위제한 벽들(96) 및 하부 범위제한 벽(98)은 추가 설명을 위해 도입된다. 측방향 범위제한 벽들(96)은 안내 리브(rib)(100)에 의해 넘어서 돌출된다. 상부 범위제한 벽(94)으로부터 이런 안내 리브(100)의 거리는 슬라이딩 안내부(90)를 형성하기 위해 외부 플랭크(56)의 수직 연장부에 적응되게 형성된다. 도 5에서, 좌측 플러그 엘리먼트 수용 챔버(14)는 플러그 엘리먼트(12)가 없이 도시되지만, 케이블 재킷 주위의 자신의 자유 단부 상에서 자유롭게 된 케이블(20)이 도시된다. 플러그 엘리먼트 수용 챔버들(14) 및 안내 리브(100)를 형성하는 모든 범위제한 벽들(94, 96, 98)은 슬라이딩 방향(S)과 평행하게 연장된다. 베어링 웨브(102)는 하부 범위제한 벽(98)으로부터 돌출하고, 베어링 웨브(102)는 튜브형 케이블 리셉터클(18)을 지탱하는 역할을 한다.
도 4d에 예시된 바와 같이, 비스듬한 표면(104)은 안내 리브(100)와 상부 범위제한 벽(94) 사이의 안내 리브(100) 단부 상에 위치된다. 유닛(32)에서 슬라이딩하는 상황에서, 콘택 바디(28)는 플러그 엘리먼트(12)의 방향으로 슬라이더(30)와 함께 전방 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따라서, 웨지 안내 표면들(46)은 플러그 하우징(2)에 의해 형성되는 콘택 바디(28)를 변위가능하게 지탱하도록 콘택 바디 리셉터클(103)의 주변 표면들에 의해 안내된다. 유닛(32)의 슬라이딩 방향(S)으로의 이런 선형 움직임은, 축 방향 캠(68)이 비스듬한 표면(104)에 접하면, 슬라이딩 방향(S)에 직각으로의 움직임 부분을 경험한다. 이어서, 콘택 바디(28)의 최상부 지역(34)은 도 4a 내지 도 4f의 도면에서 상승된다.
축 방향 캠(68)은 최종적으로 슬라이딩 방향(S)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딩 안내부(90)의 단부-측 범위제한 벽(106)에 대해 푸싱하여, 슬라이더(30)의 추가 슬라이딩은, 처음에 유닛(32)이 풀린 상황에서, 콘택 바디(28)에 대해 움직임을 초래한다.
콘택 바디(28)가 하우징의 측부 상의 정지부에 접한 이후, 슬라이더(30)의 임의의 변위는 슬라이더(30)와 콘택 바디(28)의 상대적 움직임을 초래하고, 이에 의해 슬라이더(30)에 대해 콘택 바디(28)의 피봇팅 움직임은 여전히 이후 상세히 설명되는 방식으로 강요된다.
비스듬한 표면(104)에 대해 슬라이딩함으로써, 웨지 세그먼트(44)에 의해 형성된 리테이닝 에지(45)는 도 4a에 표시되고 플러그 하우징(2)에 의해 형성되며 그리고 슬라이딩 방향(S)으로 연장되는 베어링 표면(110)의 상부 측 상에서 범위가 제한되는 로킹 표면(108) 뒤로 안내된다. 따라서, 표면들(108, 110)은 콘택 바디 리셉터클(103)의 범위를 제한한다. 이런 움직임은 또한 도 3a 내지 도 3b의 시퀀스에 예시되고, 플러그 하우징(2)의 안내 립(100) 및 비스듬한 표면(104)에 의해 형성된 안내 표면(FF)은 축 방향 캠(68)을 위해 개략적으로 부가된다.
슬라이딩 움직임의 상황에서, 원뿔형 테이퍼링 플랭크 표면들(36)은 플러그 하우징(2)에 의해 형성된 원뿔형 리셉터클로 푸싱되고, 이에 의해 중앙 길이방향 축에 대한 콘택 바디(28)의 강제 센터링이 슬라이딩 방향(S)으로 연장되는 플러그 하우징(2)에 의해 가능해질 수 있다.
피봇팅 움직임 동안, 지붕 표면(42)은 결과적으로 상부 범위제한 벽(94)에 접근한다. 동시에, 콘택 바디(28)의 에지(45)는 슬라이딩 방향에 횡방향 및 수직으로 서 있는 플러그 하우징(2)의 표면(108)에 접근하고 콘택 바디(28)의 블록하게 형성된 정지 표면(40) 및 플러그 콘택(16)으로 인해 플러그 콘택(16)이 플러그 하우징(2)으로부터 빠져나가는 것에 대해 거의 극복 불가능한 장벽을 형성한다. 게다가, 콘택 바디(28) 상에 위치되고 상부 범위제한 벽(94) 상에 지지되는 슬라이더(30)의 캠(74)과 연관된 아암(48)의 표면(76)의 최종 웨징에 의해, 상부 범위제한 표면(94)과 콘택 바디(28)의 지붕 표면(42)의 텐셔닝(tensioning) 및 대향 베어링으로서, 축 방향 캠(68) 및 비스듬한 표면(104)의 쌍이 달성된다. 한계(marginal) 공차 포지션의 경우에, 축 방향 캠(68)은 또한 범위제한 벽(106)을 지탱할 수 있다. 게다가, 따라서, 콘택 바디(28)의 블록하게 형성된 정지 표면(40)과 플러그 콘택(16) 사이의 텐셔닝은 에지(45) 및 플러그 하우징(2)의 표면(108)을 통해 달성된다. 결과로서, 플러그 콘택(16)은 플러그 하우징(2)에 견고하게 연결되고, 이는 플러그 콘택(16)의 상당히 개선된 진동 저항을 초래한다.
비스듬한 표면(104) 위에서 최상부 지역(34)의 상승은, 웨지 세그먼트(44)가 이 베어링 표면(110)에 접하면 종료하게 된다. 콘택 바디(28)를 전진시킬 때, 콘택 바디(28)는 콘택 바디(28)의 최상부 지역(34)과 함께, 플러그 하우징(2)에 의해 형성되고 긴 표면들에 대응하게 형성된 원뿔형 리셉터클로 슬라이딩된다. 이 결과로서, 콘택 바디(28)의 센터링이 최종 포지션에 고정된다. 콘택 바디(28)를 전진시킬 때, 최상부 단부에 있는 콘택 바디(28)의 전방 단부는 콘택 바디(28)를 시작부터 최종 포지션에서의 센터 구성으로 정렬시키기 위해, 웨지 안내 표면들(46)에 의해 콘택 바디 리셉터클(103)의 메이팅 표면들로 안내된다.
탄성 변형으로 유닛(32)을 풀음으로써, 스프링 림(60)은 언더컷(64)에서 폼-피팅 맞물림을 릴리스한다. 동시에, 리테이닝 캠(54)은 캐치(84)로부터 가압되고, 여기서 캐치 개구 채널(82)의 구성에 의해, 슬라이딩 방향(S)에 대해 피봇팅 움직임이 콘택 바디(28)에 부가된다. 피봇팅 움직임은 도 3a-도 3c에서 시계 방향 피봇팅 움직임(SB)으로 도시된다. 이런 피봇팅 움직임(SB)의 상황에서, 콘택 아암들(48)의 자유 단부는 카운터 베어링(81) 밖으로 나오고 램프 표면(46)의 방향으로 피봇된다. 따라서, 콘택 아암들(68)은 슬라이더(30)의 연관된 콘택 아암 리셉터클(80)을 떠난다(도 3a-도 3c; 도 4d, 도 4e의 시퀀스를 참조).
콘택 바디(28)의 피봇팅 움직임(SB)의 상황에서(도 3b, 도 3c 참조), 슬라이더(30)의 추가 전진 동안, 볼록 콘택 표면(40)은 슬라이딩 방향(S)에 대해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연장되고 콘택 지역(16)에 의해 형성되는 플러그 엘리먼트(12)의 윤곽부에 대해 놓인다(도 4f 및 도 4g 참조). 게다가, 콘택 아암들(48)의 자유 단부들은 콘택 바디(28)의 피봇팅 움직임(SB)에 의해 케이블 리셉터클(18)에 접근한다. 클램핑 세그먼트들(50)은 케이블 리셉터클(18)과 플러그 엘리먼트 수용 챔버(14)의 측방향 범위제한 벽들(96) 사이의 나머지 캡으로 푸싱된다(도 4f 내지 도 5h; 도 5 참조). 점진적인 슬라이딩 움직임 동안, 조임 캠(94) 및 그 내부에 제공된 슬라이더(30)의 윤곽부를 통해 콘택 아암들(48)의 자유 단부들 상에 작용하는 가압력 때문에, 클램핑 세그먼트들(50)은 증가된 가압력으로 갭으로 가압된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실현된 클램핑 세그먼트들(50)의 단면 구성을 예시한다. 클램핑 세그먼트들(50)의 자유 단부는 콘택 아암들(48)의 수직 연장부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고 클램핑 웨브(112)를 형성한다. 콘택 아암(48)의 수직 방향에 대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웨브(114)를 통해, 클램핑 웨브(112)는 플랭크-형상으로 형성된 실제 콘택 아암(58)으로 전이한다.
실제 콘택 아암(48)과 연결 웨브(114) 사이의 전이 지역은 케이블 리셉터클(18)의 방향으로 케이블 리셉터클(18)에 대해 외측으로 콘택 바디(28)의 피봇팅 움직임 상황에서 적용된다. 결과로서, 콘택 아암들은 펼쳐지고, 즉 클램핑 세그먼트들(50)의 지역에서 콘택 아암들(48)의 거리가 증가된다. 다른 말로, 콘택 아암들(48)은 슬라이딩 방향(S)에 대해 직각으로 연장되는 피봇 축(SA)을 중심으로 피봇된다(도 5 참조). 따라서, 개별 콘택 아암들(48)은 최상부 지역(34)에 대해 외측으로 그리고 플러그 엘리먼트 수용 챔버의 폭 방향으로 피봇된다. 따라서, 콘택 아암들(48)의 자유 단부들은 슬라이딩 방향(S)에 대해 횡방향으로 조임 캠(74)의 표면 위에서 안내된다. 콘택 아암들(48)의 이런 변형은 콘택 바디(28)의 U-형상 구성에 의해 가능해지고, 이는 콘택 아암들(48)이 최상부 지역(34)을 통해서만 서로 연결되지만, 이들의 자유 단부에서는 연결되지 않는다는 사실에 의해 보장된다.
적용된 텐셔닝 힘에 따라, 클램핑 세그먼트들(50)은 부가적으로 도 5에 도시된 피봇 축(SW)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다. 이런 피봇팅 움직임은 한편으로는 케이블 리셉터클(18) 상에서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는 측방향 범위제한 벽(94) 상에서 개별 콘택 아암들(48)의 베어링 사이의 수직 거리 때문에 발생한다. 결과적으로, 클램핑 세그먼트(50)는, 탄성적으로 작용하는 웨지 방식으로, 케이블 리셉터클(18)의 표면에 대한 메이팅 표면으로서 케이블 리셉터클(18)과 인접한 측방향 범위제한 벽(96) 사이의 갭으로 푸싱되고 여기서 텐셔닝된다. 베어링 웨브(102)는 오히려 선형으로 케이블 리셉터클(18)을 지지하고, 이에 의해 콘택 아암들(48)을 통해 외측으로 적용된 클램핑 힘 및 베어링 웨브(102)에 대한 추적 힘 사이에 토크가 발생한다. 따라서, 본원에서 설명된 진동 보호의 텐셔닝 상황에서, 금속 시트 플레이트로 형성된 크림프 슬리브는 또한 제한들 내에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고, 이는 플러그 엘리먼트(12)가 플러그 하우징(2)에 추가로 파스닝되는데 기여한다.
슬라이더(30)의 이런 슬라이딩 움직임의 끝에서, 콘택 바디(28)는 도 4h에 도시된 자신의 최종 포지션에 도달한다. 도 6 및 도 7에서 강조된 바와 같이, 축 캠(68)은 이런 최종 포지션에서 수용 함몰부(66)를 지탱한다. 단부 림(7)의 약화에 의해, 제조 공차에 따라, 축 캠(68)은 축방향 캠(68)과 슬라이더(30) 사이의 최종 포지션에서 발생할 수 있는 전위 전압들을 탄성적으로 차단하기 위해, 자유 펀치(72)의 방향으로 피봇할 수 있다.
도시된 구성은 정적인 방식으로 플러그 하우징(2) 내에 플러그 엘리먼트(12)를 파싱하기 위한 높은 가압력들을 가능하게 한다. 가압력들은 특히 콘택 바디(28)의 탄성 변형에 의해 생성되고 이의 탄성에 의해 홀딩된다. 콘택 바디(28)는 기술적 플라스틱, 이를테면 PA 또는 PE로 형성된다. 슬라이더(30)에도 동일한 것이 적용된다. 2개의 구조적 컴포넌트들은 사출 성형에 의해 복잡한 바디들로서 경제적으로 생산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최종 포지션에서, 3개의 힘 벡터들은 필수적으로 콘택 바디(28) 상에 작용하고, 힘 벡터들은 도 4h의 문자들(A, B 및 C)로 표시된다. A는 플러그 하우징(2)으로부터 베어링 표면(110)을 통해 웨지 세그먼트(44)로 전달되는 힘이다. B는 슬라이더(30)를 통해 플러그 하우징(2)으로부터 콘택 아암들(48)의 자유 단부들 상으로 적용되는 힘을 예시한다. C는 클램핑 세그먼트들(50)에 대한 클램핑 힘 및 따라서 케이블 리셉터클(18)에 대한 콘택 바디(28)의 리테이닝 힘에 대응한다. 힘들(A-C 또는 C-B)의 작용 라인들 사이에서 인식되어야 하는 레버 아암들은 케이블 리셉터클(18) 상에 작용하는 클램핑 힘을 세팅하기 위해 당업자들에 의해 요구된 바와 같이 선정될 수 있다.
특히 도 6의 슬라이더(30) 상에서 인식되어야 하는 리세스들 및 개구들은 슬라이더(30) 내부에서 위에서 언급된 기능 표면들을 몰딩하는 사출 성형 툴의 이동가능 코어들에 의해 유발된다.
2 플러그 하우징
4 밀봉부
6 밀봉 리테이너
8 레버
10 연결 엘리먼트
12 플러그 엘리먼트
14 플러그 엘리먼트 수용 챔버
16 콘택 지역
18 케이블 리셉터클
20 케이블
22 개별 전도체 밀봉부
24 커버 챔버
26 스트레인 릴리프
28 콘택 바디
30 슬라이더
32 유닛
34 최상부 지역
36 플랭크 표면
38 대향 표면
40 콘택 표면
42 지붕 표면
44 웨지 세그먼트
45 리테이닝 에지
46 웨지 안내 표면
48 콘택 아암
50 클램핑 세그먼트
52 클램핑 세그먼트 연결 웨브
54 리테이닝 캠
56 외부 플랭크
58 지붕 표면
60 스프링 림
62 래칭 돌기
64 언더컷
66 수용 함몰부
68 축방향 캠
70 단부 림
72 자유 펀치
74 조임 캠
76 램프 표면
78 내부 플랭크
80 콘택 아암 리셉터클
81 카운터 베어링
82 캐치 개구 채널
84 캐치
88 툴 리셉터클
90 슬라이딩 안내부
94 상부 범위제한 벽
96 측방향 범위제한 벽/메이팅 표면
98 하부 범위제한 벽
100 안내 리브
102 베어링 웨브
103 콘택 바디 리셉터클
104 비스듬한 표면
106 단부-측 범위제한 벽
108 로킹 표면
110 베어링 표면
112 클램핑 웨브
114 연결 웨브
S 슬라이딩 방향
SA 피봇 축
SW 피봇 축
FF 안내 표면
SB 피봇 움직임

Claims (13)

  1. 플러그 하우징(2) 및 메이팅(mating) 플러그 엘리먼트용 전기 전도성 플러그 엘리먼트(12)를 가진 플러그로서,
    상기 플러그 엘리먼트(12)와 협력하는 콘택 바디(28), 및 슬라이더(slider)(30)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30)는 상기 하우징 상에 형성된 슬라이딩 안내부(90) 내에서 변위가능하게 안내되고 그리고 램프(ramp) 표면(76)을 통해, 상기 슬라이더(30)가 상기 플러그 하우징(2)으로 슬라이딩될 때 상기 콘택 바디(28)가 상기 플러그 엘리먼트(12)에 대해 푸싱(push)되도록 형성된 콘택 바디(28)와 협력하는,
    플러그 하우징(2) 및 메이팅 플러그 엘리먼트용 전기 전도성 플러그 엘리먼트(12)를 가진 플러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2) 상에 형성된 비스듬한 표면(104)을 포함하고, 상기 비스듬한 표면(104)에 의해, 상기 콘택 바디(28)의 축방향 캠(cam)(68)은, 상기 콘택 바디(28)의 리테이닝 에지(retaining edge)(45)를 상기 플러그 하우징(2)에 의해 형성된 로킹(locking) 표면(108) 뒤에 가져오기 위해, 삽입 동안 상승되는,
    플러그 하우징(2) 및 메이팅 플러그 엘리먼트용 전기 전도성 플러그 엘리먼트(12)를 가진 플러그.
  3.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 바디(28) 및 상기 슬라이더(30)는 서로 연관된 연결 엘리먼트들(62, 64; 45, 84; 48, 86)을 가지며, 상기 연결 엘리먼트들(62, 64; 45, 84; 48, 86)을 통해, 상기 콘택 바디(28) 및 상기 슬라이더(30)는 유닛(32)을 형성하도록 조인(join)될 수 있고 그리고 상기 연결 엘리먼트들(62, 64; 45, 84; 48, 86)은, 상기 슬라이더(30)의 추가 삽입 시 상기 유닛(32)의 삽입 동안 중간 포지션에서 상기 콘택 바디가 정지되는 것에 의해 상기 유닛(32)이 풀어지고 상기 콘택 바디(28)에 대해 상기 슬라이더(30)의 움직임을 유도하도록 형성되는,
    플러그 하우징(2) 및 메이팅 플러그 엘리먼트용 전기 전도성 플러그 엘리먼트(12)를 가진 플러그.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32)은 래칭(latching) 연결부(54, 60, 68)를 통해 생성되는,
    플러그 하우징(2) 및 메이팅 플러그 엘리먼트용 전기 전도성 플러그 엘리먼트(12)를 가진 플러그.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30)는 상기 콘택 바디(28)의 리테이닝 캠(68)을 수용하기 위한 캐치(catch)(84) 및 스프링 림(limb)(60)을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 림(60)은, 상기 콘택 바디(28)의 리테이닝 캠(54)이 상기 캐치(84) 내에 수용되면, 탄성 프리텐션(pretension) 하에서 상기 콘택 바디(28)를 지탱하는,
    플러그 하우징(2) 및 메이팅 플러그 엘리먼트용 전기 전도성 플러그 엘리먼트(12)를 가진 플러그.
  6. 제1 항 내지 제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 바디(28)는 상기 케이블 리셉터클(receptacle)(18)과 상기 플러그 하우징(2)의 메이팅 표면(96) 사이의 최종 포지션에서 각각 푸시되는 2개의 콘택 아암(arm)들(48)을 갖는 U-형상으로 형성되는,
    플러그 하우징(2) 및 메이팅 플러그 엘리먼트용 전기 전도성 플러그 엘리먼트(12)를 가진 플러그.
  7. 제1 항 내지 제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 아암들(48) 각각은 상기 슬라이더(30)와 대향하여 상기 콘택 아암들(48) 상에서 각각 돌출하고 그리고 단면이 각진 형상으로 형성되는 클램핑(clamping) 세그먼트들(50)을 형성하는,
    플러그 하우징(2) 및 메이팅 플러그 엘리먼트용 전기 전도성 플러그 엘리먼트(12)를 가진 플러그.
  8. 제1 항 내지 제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 바디(28)는 최종 포지션에서 상기 플러그 엘리먼트(12)의 콘택 지역(16)과 협력하고 그리고 상기 콘택 지역(16)의 방향으로 원뿔형으로 테이퍼링(tapering)되는 상기 콘택 바디(28)의 최상부 지역(34) 상에 제공되는 볼록하게 곡선진 콘택 표면(40)을 가지는,
    플러그 하우징(2) 및 메이팅 플러그 엘리먼트용 전기 전도성 플러그 엘리먼트(12)를 가진 플러그.
  9. 제1 항 내지 제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30)는 최종 포지션에서 축방향 캠(68)을 수용하는 수용 함몰부(66)를 형성하는,
    플러그 하우징(2) 및 메이팅 플러그 엘리먼트용 전기 전도성 플러그 엘리먼트(12)를 가진 플러그.
  10. 플러그에 대한 진동 보호부를 부착하는 방법으로서,
    처음에, 케이블 리셉터클(18)을 형성하는 플러그 엘리먼트(12)는 케이블(2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플러그 하우징(2)에 삽입되고, 이어서 슬라이더(30)와 콘택 바디(28)로 이루어진 일시적으로 조인된 유닛(32)은, 상기 콘택 바디(28)가 중간 포지션에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2)에 접할 때까지, 상기 플러그 하우징(2)으로 슬라이딩되고 그리고 상기 플러그 하우징(2) 내에서 상기 슬라이더(30)의 추가 변위 동안, 상기 유닛(32)은 풀어지고 그리고 이 과정에서, 상기 콘택 바디는, 진동-저항 방식으로 최종 포지션에서 상기 플러그 하우징(2)에 상기 콘택 바디를 고정하기 위해, 상기 슬라이더(30)의 상대적 변위 움직임에 의해 상기 플러그 엘리먼트(12)에 대해 푸시되는,
    플러그에 대한 진동 보호부를 부착하는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30)의 상대적 변위 움직임에 의해, 상기 콘택 바디(28)는 상기 플러그 하우징(2) 내에서 피봇되는,
    플러그에 대한 진동 보호부를 부착하는 방법.
  12. 제10 항 또는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닛(32)을 풀기 전에, 상기 콘택 바디(28) 상에 형성된 리테이닝 에지(45)는 상기 하우징 측 상의 로킹 표면(108) 뒤로 안내되는,
    플러그에 대한 진동 보호부를 부착하는 방법.
  13. 제10 항 내지 제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최종 포지션에 접근할 때, 슬라이딩 방향(S)에 대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상기 콘택 바디(28)의 콘택 아암들(48)은 변위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연장되는 피봇 축(SW)을 중심으로 그리고/또는 슬라이딩 방향(S)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으로 연장되는 피봇 축을 중심으로 피봇되는,
    플러그에 대한 진동 보호부를 부착하는 방법.
KR1020180053785A 2017-05-11 2018-05-10 플러그 및 플러그에 대한 진동 보호부를 부착하는 방법 KR10258507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208008.6 2017-05-11
DE102017208008.6A DE102017208008B3 (de) 2017-05-11 2017-05-11 Stecker und Verfahren zum Anbringen einer Vibrationssicherung an einem Steck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767A true KR20180124767A (ko) 2018-11-21
KR102585070B1 KR102585070B1 (ko) 2023-10-05

Family

ID=621524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3785A KR102585070B1 (ko) 2017-05-11 2018-05-10 플러그 및 플러그에 대한 진동 보호부를 부착하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05306B2 (ko)
EP (1) EP3402003B1 (ko)
JP (1) JP7133347B2 (ko)
KR (1) KR102585070B1 (ko)
CN (1) CN108879173B (ko)
DE (1) DE102017208008B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202212A1 (de) 2020-02-20 2021-08-26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Schwingungsunterdrückendes Steckergehäuse sowie elektrischer Steckverbinder und elektrische Steckverbindung mit einem solchen Steckergehäuse
DE102020126541A1 (de) * 2020-10-09 2022-04-14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Fixiervorrichtung zur Fixierung eines Kontaktelements in einem Gehäuse eines Steckers
EP3989371A1 (en) * 2020-10-20 2022-04-27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nnector assembly with strain relief device in two part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5220A (ko) * 2005-03-24 2008-01-10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게엠베하 전기 구동력 전송을 위한 플러그 하우징 및 전기 플러그
KR20100105588A (ko) * 2007-11-05 2010-09-29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게엠베하 전기 플러그 커넥터
KR20110055599A (ko) * 2008-08-04 2011-05-25 에프씨아이 전기 커넥터 시스템, 이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기 장치, 및 이 시스템을 교합해제하기 위한 방법
US20160359242A1 (en) * 2015-06-03 2016-12-08 Advanced-Connectek Inc. Electrical plug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67325A (en) * 1960-12-06 1964-08-19 Alex Just Electrical terminal connectors
JPS6419272U (ko) * 1987-07-24 1989-01-31
JP2595993Y2 (ja) * 1993-09-02 1999-06-02 矢崎総業株式会社 電線押さえ機構付きコネクタ
JP3299643B2 (ja) * 1994-09-21 2002-07-08 菱星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の接続端子係止構造
JPH0973939A (ja) * 1995-09-01 1997-03-18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3765510B2 (ja) * 1997-02-10 2006-04-12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3969161B2 (ja) * 2002-04-05 2007-09-0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WO2005043683A2 (de) * 2003-09-20 2005-05-12 Hirschmann Electronics Gmbh & Co. Kg Stecker und kuppler einer koaxialen steckverbindung in wasserdichter ausführung
EP2053702B1 (en) * 2007-10-24 2012-06-20 Sumitomo Wiring Systems, Ltd. A connector device and locking structure
DE102014200133A1 (de) 2014-01-08 2015-07-0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zur Fixierung einer elektrischen Leitung in einem Stecker, Stecker für eine elektrische Leitung sowie elektrisches Kabel
DE102014116322B3 (de) * 2014-11-10 2015-08-13 Lumberg Connect Gmbh Steckverbinder mit Vibrationssicherung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5220A (ko) * 2005-03-24 2008-01-10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게엠베하 전기 구동력 전송을 위한 플러그 하우징 및 전기 플러그
KR20100105588A (ko) * 2007-11-05 2010-09-29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게엠베하 전기 플러그 커넥터
KR20110055599A (ko) * 2008-08-04 2011-05-25 에프씨아이 전기 커넥터 시스템, 이 시스템을 포함하는 전기 장치, 및 이 시스템을 교합해제하기 위한 방법
US20160359242A1 (en) * 2015-06-03 2016-12-08 Advanced-Connectek Inc. Electrical plug connec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33347B2 (ja) 2022-09-08
KR102585070B1 (ko) 2023-10-05
CN108879173B (zh) 2021-06-29
US20180331451A1 (en) 2018-11-15
DE102017208008B3 (de) 2018-10-11
US10505306B2 (en) 2019-12-10
CN108879173A (zh) 2018-11-23
JP2018190727A (ja) 2018-11-29
EP3402003B1 (en) 2021-03-03
EP3402003A1 (en) 2018-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428225B (zh) 连接器
US9300084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ion having a connector
KR20180124767A (ko) 플러그 및 플러그에 대한 진동 보호부를 부착하는 방법
US7108566B2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US20150349470A1 (en) Connector
US7497708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horting clip for vehicular use
CN108695646B (zh) 插头连接器和产生插头连接的方法
KR20140050637A (ko) 접점 위치가 보장되고 챔버 블록을 갖춘 커넥터 조립체
WO2019045040A1 (ja) コネクタ
US20220416449A1 (en) Spring-loaded terminal for conductor
US9735504B2 (en)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plug connection
WO2019045039A1 (ja) 部材の係止構造
CN113555724B (zh) 接触装置和接触系统
JP6539695B2 (ja) コネクタ装置
CN110612435B (zh) 温度检测装置以及组装体
US20130316562A1 (en) Connection terminal
US10833447B2 (en) Connector
US10637198B2 (en) Angled plug connection and method for its production
WO2019045038A1 (ja)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ユニット
KR20130028851A (ko) 방수 커넥터
US9893440B2 (en) Vertical type connecting terminal for storage battery
EP3605743A1 (en) Connector
WO2023021858A1 (ja) コネクタ
US8636530B2 (en) Contacting plug as well as contacting connection
CN107623206B (zh) 端子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