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28851A - 방수 커넥터 - Google Patents

방수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28851A
KR20130028851A KR1020120072796A KR20120072796A KR20130028851A KR 20130028851 A KR20130028851 A KR 20130028851A KR 1020120072796 A KR1020120072796 A KR 1020120072796A KR 20120072796 A KR20120072796 A KR 20120072796A KR 20130028851 A KR20130028851 A KR 20130028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stopper
circumferential surface
electric wire
batch rubber
ho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2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미 오카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30028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288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H01R13/5208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having at least two cable receiving open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Sealing between contact members and housing, e.g. sealing insert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단자 금구의 삽입 동작이 원활하게 행해지도록 한다.
일괄 고무 마개(40)에는 커넥터 하우징(20)의 수용 오목부(22)의 내주면(24)에 압축 상태로 밀착하며, 전선(90)의 외주면에 압축 상태로 밀착하는 시일부(42)가 형성되어 있다. 일괄 고무 마개(40) 중, 적어도 단자 금구(80)가 삽입되는 측이 되는 입구측에는, 수용 오목부(22)의 내주면(24) 및 전선(90)의 외주면의 각각에 대하여 시일부(42)보다 작은 압축력으로 접촉하거나 또는 접촉하지 않음으로써, 각 삽입 구멍(41)과 각 관통 구멍(63) 사이의 위치 어긋남을 규제하는 도입부(43)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방수 커넥터{WATERPROOF CONNECTOR}
본 발명은 방수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방수 커넥터가 특허문헌 1에 개시되어 있다. 이 방수 커넥터는, 커넥터 하우징과, 커넥터 하우징의 후면에 개구하는 수용 오목부에 수용되는 일괄 고무 마개와, 일괄 고무 마개에 이어서 수용 오목부에 수용되어 일괄 고무 마개의 발출 방지를 달성하는 홀더를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 하우징, 일괄 고무 마개, 및 홀더에는, 각각, 복수의 캐비티, 복수의 삽입 구멍, 및 복수의 관통 구멍이, 전후 방향으로 상호 동축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하우징의 캐비티 내에는 관통 구멍으로부터 삽입 구멍을 지나 전선을 갖는 단자 금구가 삽입된다. 캐비티 내에 단자 금구가 정규 삽입되면, 일괄 고무 마개의 삽입 구멍의 내주면에 전선의 외주면이 압축 상태로 밀착하고, 이에 의해 전선 주위의 시일이 취해진다. 또한, 이때, 수용 오목부의 내주면에 일괄 고무 마개의 외주면이 압축 상태로 밀착하고, 이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 내의 시일이 취해진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제2011-100599호 공보
그런데, 상기 일괄 고무 마개에는 전선의 외주면 및 수용 오목부의 내주면에 압축 상태로 밀착하는 시일부가, 전후 방향의 대략 전체 길이에 걸쳐 형성되어 있었다. 이 경우에, 일괄 고무 마개가 수용 오목부에 수용되면, 시일부가 직경 방향 내측으로 압축 변형되고, 그에 따라 각 삽입 구멍도 직경 방향 내측으로 시프트되는 경우가 있었다. 그 결과, 각 삽입 구멍이 대응하는 각 관통 구멍으로부터 위치가 어긋나, 각 관통 구멍으로부터 각 삽입 구멍에 삽입되는 단자 금구의 삽입 동작이 저지되어, 단자 금구가 캐비티 내에 이르지 않을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사정에 기초하여 완성된 것으로, 단자 금구의 삽입 동작이 원활하게 행해지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청구항 1의 발명은, 복수의 삽입 구멍을 갖는 일괄 고무 마개와, 상기 일괄 고무 마개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오목부를 가지고, 또한 상기 각 삽입 구멍과 연통하는 복수의 캐비티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일괄 고무 마개를 사이에 끼워 조립함으로써 상기 일괄 고무 마개가 상기 수용 오목부로부터 발출되는 것을 규제하며, 또한 상기 각 삽입 구멍과 연통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을 갖는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일괄 고무 마개에는, 상기 수용 오목부의 내주면에 압축 상태로 밀착하며, 전선을 갖는 단자 금구가 상기 관통 구멍으로부터 상기 삽입 구멍을 지나 상기 캐비티 내에 삽입된 경우에, 상기 전선의 외주면에 압축 상태로 밀착하는 시일부가 형성되어 있는 방수 커넥터로서, 상기 일괄 고무 마개 중, 적어도 상기 단자 금구가 삽입되는 측이 되는 입구측에는, 상기 수용 오목부의 내주면 및 상기 전선의 외주면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시일부보다 작은 압축력으로 접촉하거나 또는 접촉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각 삽입 구멍과 상기 각 관통 구멍 사이의 위치 어긋남을 규제하는 도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 특징을 갖는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점에 있어서, 상기 도입부에서는, 상기 일괄 고무 마개의 외주면이, 상기 수용 오목부의 내주면에 접촉하지 않는 점에 특징을 갖는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2에 기재된 점에 있어서, 상기 도입부에서는, 상기 일괄 고무 마개의 상기 삽입 구멍의 내주면이, 상기 전선의 외주면에 접촉하지 않는 점에 특징을 갖는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1항에 기재된 점에 있어서, 상기 일괄 고무 마개 중, 상기 단자 금구가 삽입되는 측과는 반대측이 되는 출구측에는, 상기 수용 오목부의 내주면 및 상기 전선의 외주면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시일부보다 작은 압축력으로 접촉하거나 또는 접촉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일괄 고무 마개가 표리 반전한 경우에 상기 각 삽입 구멍과 상기 각 관통 구멍 사이의 위치 어긋남을 규제하는 별도의 도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점에 특징을 갖는다.
<청구항 1의 발명>
일괄 고무 마개 중 적어도 단자 금구가 삽입되는 측이 되는 입구측에는, 수용 오목부의 내주면 및 전선의 외주면의 각각에 대하여 시일부보다 작은 압축력으로 접촉하거나 또는 접촉하지 않음으로써, 각 삽입 구멍과 각 관통 구멍 사이의 위치 어긋남을 규제하는 도입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각 관통 구멍으로부터 각 삽입 구멍에 삽입되는 단자 금구의 삽입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청구항 2의 발명>
도입부에서는 일괄 고무 마개의 외주면이 수용 오목부의 내주면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도입부가 수용 오목부의 내주면으로부터 압축력을 실질적으로 받는 일이 없다. 따라서, 각 삽입 구멍이 직경 방향 내측으로 시프트하는 것이 보다 확실하게 회피되어, 각 삽입 구멍과 각 관통 구멍 사이의 위치 어긋남이 보다 확실하게 규제된다.
<청구항 3의 발명>
도입부에서는 일괄 고무 마개의 삽입 구멍의 내주면이 전선의 외주면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도입부에서의 삽입 구멍의 구멍 직경이 충분히 커져, 만일, 각 삽입 구멍이 직경 방향 내측으로 시프트하여도, 각 관통 구멍과의 연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
일괄 고무 마개의 출구측에는 별도의 도입부가 형성되고, 일괄 고무 마개가 표리 반전한 경우에는 각 삽입 구멍과 각 관통 구멍 사이의 위치 어긋남이 별도의 도입부에 의해 규제되기 때문에, 수용 오목부에 일괄 고무 마개를 수용시킬 때에, 일괄 고무 마개의 표리를 구별할 필요가 없어, 작업성이 양호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따른 방수 커넥터에 있어서, 커넥터 하우징의 캐비티 내에 단자 금구가 삽입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커넥터 하우징의 캐비티 내에 단자 금구가 정규 삽입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일괄 고무 마개의 정면도이다.
도 4는 일괄 고무 마개의 X-X선 단면도이다.
도 5는 커넥터 하우징의 단면도이다.
도 6은 홀더의 단면도이다.
<실시형태 1>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을 도 1 내지 도 6에 의해 설명한다. 실시형태 1에 따른 방수 커넥터(10)는, 커넥터 하우징(20), 일괄 고무 마개(40), 홀더(60), 및 단자 금구(80)를 구비하고 있다.
커넥터 하우징(20)은 합성 수지제로서 블록형을 이루고, 도시하지 않는 상대 커넥터 하우징에 감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20) 내에는, 복수의 캐비티(21)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여 형성되어 있다. 각 캐비티(21)는 높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정렬하여 배치되고, 그 내벽에, 도시하지 않는 랜스가 휨 가능하게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각 캐비티(21) 내에는 후방으로부터 단자 금구(80)가 삽입되고, 정규 삽입된 단자 금구(80)는 랜스에 의해 탄성적으로 발출 방지되도록 되어 있다.
단자 금구(80)는 도전 금속제의 판재를 굽힘 가공 등에 의해 일체로 성형하여,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긴 통형의 본체부(81)와, 본체부(81)의 후방에 연속하는 오픈 배럴형의 배럴부(82)를 갖고 있다. 본체부(81) 내에는, 양 커넥터 하우징이 정규 감합되었을 때에, 상대 커넥터 하우징에 장착된 상대 단자와 전기적으로 접촉하는, 도시하지 않는 접촉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배럴부(82)는 전선(90)의 단말부에 압착에 의해 접속되어 있다. 실시형태 1의 경우, 본체부(81) 및 배럴부(82)의 각각의 외형 치수는 서로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한, 커넥터 하우징(20)의 후면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용 오목부(22)가 개구하여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 하우징(20)의 수용 오목부(22)에는 후방으로부터 일괄 고무 마개(40)가 수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22)는, 높이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내면(23)과, 내면(23)의 둘레 가장자리에 연속하며 커넥터 하우징(20)의 후단부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주면(24)으로 구획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22)의 내면(23)에는 각 캐비티(21)의 후단이 개구하고 있다. 또한, 커넥터 하우징(20)의 외면에서의 후단부의 높이 방향 양단측에는, 한쌍의 록 돌기(25)가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양 록 돌기(25)에는, 홀더(60)의 록 편(65)(후술함)이 탄성적으로 걸림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일괄 고무 마개(40)는 실리콘 고무 등의 고무제로서,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체로서 높이 방향으로 긴 편평 매트형의 형태로 되어 있다. 일괄 고무 마개(40)에는, 수용 오목부(22)에 수용된 상태로 각 캐비티(21)와 전후 방향으로 동축으로 연통하는 복수의 삽입 구멍(41)이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각 삽입 구멍(41)에는, 단자 금구(80)가 통과한 후 전선(90)이 삽입된다.
그리고, 일괄 고무 마개(40)는, 시일부(42)와, 시일부(42)의 전후 양면의 높이 방향 중앙부에 살올림된 전후 한쌍의 도입부(43)로 구성되어 있다. 시일부(42)는, 높이 방향으로 긴 정면에서 보아 대략 타원형을 이루고, 일괄 고무 마개(40)의 전후 방향(두께 방향)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한편, 양 도입부(43)는, 높이 방향으로 긴 정면에서 보아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고, 일괄 고무 마개(40)에 있어서의 시일부(42)를 사이에 끼운 전후 양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각 삽입 구멍(41)은, 양 도입부(43) 및 시일부(42)를 전후 방향으로 연통하는 형태로 되고, 양 도입부(43)측이 되는 일괄 고무 마개(40)의 높이 방향 중앙부에 정렬로 배치되어 있다. 각 삽입 구멍(41)의 전후 길이(일괄 고무 마개(40)의 전후 길이)는, 수용 오목부(22)의 전후 길이와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각 삽입 구멍(41)의 내주면에는, 양 도입부(43)의 전후 양면을 향하여 크게 확대 개방되는 테이퍼형의 개구부(4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일괄 고무 마개(40)의 시일부(42)에는, 각 삽입 구멍(41)을 사이에 끼운 높이 방향 양측에, 한쌍의 진입 구멍(45)이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진입 구멍(45)은, 폭 방향으로 가늘고 긴 슬릿형의 형태로 되고, 그 내주면에, 돌출편(64)(후술함)이 압축 상태로 탄성적으로 밀착하는 양측 내주 립(46)이 형성되어 있다. 양측 내주 립(46)은, 진입 구멍(45)의 내주면을 주회하는 형태로서, 전후 방향에 2줄 배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시일부(42)의 외주면에는, 수용 오목부(22)의 내주면(24)에 압축 상태로 탄성적으로 밀착하는 외주 립(47)이 형성되어 있다. 외주 립(47)은, 시일부(42)(일괄 고무 마개(40))의 외주면을 주회하는 형태로서, 전후 2줄로 배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또한, 외주 립(47)은, 양측 내주 립(46)과 거의 동일한 단면 형상이 되는 단면 대략 쿼터 원호형을 이루고, 양측 내주 립(46) 및 후술하는 내주 립(49)과는 전후 방향에 관해서 서로 중첩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외주 립(47) 사이의 골부, 양측 내주 립(46) 사이의 골부, 및 내주 립(49) 사이의 골부는, 모두 일괄 고무 마개(40)의 전후 방향 대략 중앙부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외주 립(47)의 전후 양면은, 높이 방향을 따라 솟은 평탄면(48)으로 되고, 외주 립(47)의 꼭대기부를 경계로 하는 전후 양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평탄면(48)은, 양측 내주 립(46)의 전후 양면에도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일괄 고무 마개(40)의 각 삽입 구멍(41)의 내주면에는, 전선(90)의 외주면에 압축 상태로 탄성적으로 밀착하는 내주 립(49)이 형성되어 있다. 내주 립(49)은, 삽입 구멍(41)의 내주면을 주회하는 형태로서, 전후 방향으로 2줄 배열되어 배치되어 있다. 내주 립(49)은, 그 꼭대기부를 경계로 하는 전후 방향 양측에, 전후 양단부를 향하여 서서히 직경 확장하는 한쌍의 스커트부(51)를 갖고 있다. 전후의 양 스커트부(51)는, 삽입 구멍(41)의 전후의 양 개구부(44)에 일체로 연속하고 있다. 또한, 일괄 고무 마개(40)는, 전후 방향 중앙을 경계로 하는 전후 양측에서 거의 대칭인 형상으로 되어 있다.
홀더(60)는 합성 수지제로서, 전체로서 캡형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홀더(60)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20)의 후면에 후방으로부터 부착되고, 일괄 고무 마개(40)의 후면에 접촉 가능한 평판형의 누름판(61)과, 누름판(61)의 둘레 가장자리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통형의 둘레 벽판(62)을 포함한다. 누름판(61)에는, 일괄 고무 마개(40)의 각 삽입 구멍(41)과 대향하는 위치에, 복수의 관통 구멍(63)이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누름판(61)의 전(前)면의 높이 방향 양단부에는, 한쌍의 돌출편(64)이 전방으로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돌출편(64)은, 폭 방향으로 가늘고 긴 판형을 이루고, 진입 구멍(45) 내에 밀착 상태로 삽입됨으로써, 일괄 고무 마개(40)를 위치 결정 유지하는 역할을 달성한다.
둘레 벽판(62)의 높이 방향 양단부에는, 한쌍의 록 편(65)이 휨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록 편(65)에는,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어 누름판(61)의 후면에 개구하는 록 구멍(66)이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20)의 록 돌기(25)에 록 편(65)이 탄성적으로 걸리면, 록 구멍(66)에 록 돌기(25)가 감합되고, 이에 의해 홀더(60)가 커넥터 하우징(20)에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실시형태 1에 따른 방수 커넥터(10)의 작용을 설명한다.
커넥터 하우징(20)의 수용 오목부(22) 내에 후방으로부터 일괄 고무 마개(40)가 삽입된다. 일괄 고무 마개(40)가 수용 오목부(22) 내에 정규 삽입되면, 도입부(43)의 전면이 수용 오목부(22)의 내면(23)에 접촉하며, 시일부(42)의 외주 립(47)이 수용 오목부(22)의 내주면(24)에 압축 상태로 탄성적으로 밀착한다. 이에 의해, 커넥터 하우징(20) 내의 시일이 취해진다. 이때, 도입부(43)의 외주면은 수용 오목부(22)의 내주면(24)에 접촉하고 있지 않아, 도입부(43)에는 실질적으로 수용 오목부(22)측으로부터의 압축력이 부여되는 일은 없다.
계속해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커넥터 하우징(20)에 후방으로부터 홀더(60)가 부착된다. 홀더(60)의 록 편(65)이 록 돌기(25)를 탄성적으로 걸면, 일괄 고무 마개(40)가 수용 오목부(22) 내에 발출 방지되며, 돌출편(64)이 진입 구멍(45)을 관통하여, 돌출편(64)의 선단이 수용 오목부(22)의 내면(23)에 접촉 가능하게 배치된다. 도입부(43)에는 수용 오목부(22)로부터의 압축력이 실질적으로 부여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도입부(43)측의 삽입 구멍(41)은 높이 방향 중앙부측으로 시프트하는 일없이 정해진 위치에 유지된다. 이 때문에, 각 삽입 구멍(41)과 각 관통 구멍(63) 사이, 및 각 삽입 구멍(41)과 각 캐비티(21) 사이가, 각각, 위치 어긋나게 되는 것이 저지된다. 또한, 실시형태 1의 경우, 각 삽입 구멍(41)의 앞측의 개구부(44)가 각 캐비티(21) 내에 면하고, 또한 각 삽입 구멍(41)의 뒤측의 개구부(44) 내에 각 관통 구멍(63)이 면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각 삽입 구멍(41)이 높이 방향 중앙부측으로 다소 시프트하여도, 각 구멍(21, 41, 63)의 위치 관계가 어긋나는 일은 없다. 또한, 만약, 일괄 고무 마개(40)가 표리 반전(전후 반전)하여 수용 오목부(22)에 삽입되어도, 일괄 고무 마개(40) 전체의 형상은 변하지 않고, 전후의 도입부(43)가 교체될 뿐이기 때문에, 각 구멍(21, 41, 63)의 위치 관계는 적정하게 유지된다.
그 후, 캐비티(21) 내에 후방으로부터 전선(90)을 갖는 단자 금구(80)가 삽입된다. 이 경우, 단자 금구(80)는 관통 구멍(63)으로부터 삽입 구멍(41)을 지나 캐비티(21) 내에 삽입된다. 삽입의 과정에서는, 관통 구멍(63), 삽입 구멍(41), 및 캐비티(21)가 각각 동축으로 연통하는 상태가 도입부(43)에 의해 담보되기 때문에, 단자 금구(80)의 삽입 동작이 규제되는 일은 없다.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 금구(80)가 정규 삽입되면, 시일부(42)의 내주 립(49)이 전선(90)의 외주면에 압축 상태로 탄성적으로 밀착하고, 이에 의해 전선(90) 주위의 시일이 취해진다. 이때, 도입부(43)측의 삽입 구멍(41) 내 및 관통 구멍(63) 내에는 각각 전선(90)이 유동 감합 상태로 삽입되도록 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르면, 일괄 고무 마개(40) 중 적어도 단자 금구(80)가 삽입되는 측이 되는 입구측(뒤측)에, 수용 오목부(22)의 내주면(24) 및 전선(90)의 외주면에 접촉하지 않는 도입부(43)가 형성되고, 도입부(43)에 의해 각 삽입 구멍(41)과 각 관통 구멍(63) 사이의 위치 어긋남이 규제되기 때문에, 각 관통 구멍(63)으로부터 각 삽입 구멍(41)에 도입되는 단자 금구(80)의 삽입 동작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도입부(43)에서는 일괄 고무 마개(40)의 외주면이 수용 오목부(22)의 내주면(24)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도입부(43)가 수용 오목부(22)의 내주면(24)으로부터 압축력을 실질적으로 받는 일이 없다. 따라서, 각 삽입 구멍(41)이 높이 방향 중앙부측(직경 방향 내측)으로 시프트하는 것이 보다 확실하게 회피되어, 각 삽입 구멍(41)과 각 관통 구멍(63) 사이의 위치 어긋남이 보다 확실하게 규제된다.
또한, 도입부(43)에서는 일괄 고무 마개(40)의 삽입 구멍(41)의 내주면이 전선(90)의 외주면에 접촉하지 않기 때문에, 도입부(43)측의 삽입 구멍(41)의 구멍 직경이 충분히 커져, 만일, 각 삽입 구멍(41)이 높이 방향 중앙부측으로 시프트하여도, 각 관통 구멍(63)과의 연통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더구나, 일괄 고무 마개(40) 중, 단자 금구(80)가 삽입되는 측과는 반대측이 되는 출구측(앞측)에도 앞측(별도)의 도입부(43)가 형성되고, 일괄 고무 마개(40)가 표리 반전한 경우에는 앞측의 도입부(43)가 뒤측에 위치하여, 각 삽입 구멍(41)과 각 관통 구멍(63)의 연통 상태를 유지하기 때문에, 수용 오목부(22)에 일괄 고무 마개(40)를 수용시킬 때에, 일괄 고무 마개(40)의 표리를 구별할 필요가 없어, 작업성이 양호해진다.
<다른 실시형태>
본 발명은 상기 기술 및 도면에 의해 설명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예컨대 다음과 같은 실시형태도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 도입부의 외주면은, 수용 오목부측으로부터의 압축력을 시일부측만큼 받지 않을 정도로, 수용 오목부의 내주면에 가볍게 접촉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2) 도입부측의 삽입 구멍의 내주면은, 전선측으로부터의 압축력을 시일부측만큼 받지 않을 정도로, 전선의 외주면에 가볍게 접촉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3) 도입부는, 일괄 고무 마개가 수용 오목부에 수용된 상태로, 홀더측에 대향하는 측이 되는 입구측에만 설치되는 것이어도 좋다.
(4) 수용 오목부에 홀더가 진입하는 구성이어도 좋다.
10…방수 커넥터 20…커넥터 하우징
21…캐비티 22…수용 오목부
24…수용 오목부의 내주면 40…일괄 고무 마개
41…삽입 구멍 42…시일부
43…도입부 47…외주 립
49…내주 립 60…홀더
63…관통 구멍 80…단자 금구
90…전선

Claims (5)

  1. 복수의 삽입 구멍을 갖는 일괄 고무 마개와, 상기 일괄 고무 마개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 오목부를 가지고, 또한 상기 각 삽입 구멍과 연통하는 복수의 캐비티를 갖는 커넥터 하우징과, 상기 커넥터 하우징에 대하여 상기 일괄 고무 마개를 사이에 끼워 조립함으로써 상기 일괄 고무 마개가 상기 수용 오목부로부터 발출되는 것을 규제하며, 상기 각 삽입 구멍과 연통하는 복수의 관통 구멍을 갖는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일괄 고무 마개에는, 상기 수용 오목부의 내주면에 압축 상태로 밀착하며, 전선을 갖는 단자 금구가 상기 관통 구멍으로부터 상기 삽입 구멍을 지나 상기 캐비티 내에 삽입된 경우에 상기 전선의 외주면에 압축 상태로 밀착하는 시일부가 형성되어 있는 방수 커넥터로서,
    상기 일괄 고무 마개 중, 적어도 상기 단자 금구가 삽입되는 측이 되는 입구측에는, 상기 수용 오목부의 내주면 및 상기 전선의 외주면의 각각 대하여 상기 시일부보다 작은 압축력으로 접촉하거나 또는 접촉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각 삽입 구멍과 상기 각 관통 구멍 사이의 위치 어긋남을 규제하는 도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부에서는, 상기 일괄 고무 마개의 외주면이 상기 수용 오목부의 내주면에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입부에서는, 상기 일괄 고무 마개의 상기 삽입 구멍의 내주면이 상기 전선의 외주면에 접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괄 고무 마개 중, 상기 단자 금구가 삽입되는 측과는 반대측이 되는 출구측에는, 상기 수용 오목부의 내주면 및 상기 전선의 외주면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시일부보다 작은 압축력으로 접촉하거나 또는 접촉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일괄 고무 마개가 표리 반전된 경우에 상기 각 삽입 구멍과 상기 각 관통 구멍 사이의 위치 어긋남을 규제하는 별도의 도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일괄 고무 마개 중, 상기 단자 금구가 삽입되는 측과는 반대측이 되는 출구측에는, 상기 수용 오목부의 내주면 및 상기 전선의 외주면의 각각에 대하여 상기 시일부보다 작은 압축력으로 접촉하거나 또는 접촉하지 않음으로써, 상기 일괄 고무 마개가 표리 반전된 경우에 상기 각 삽입 구멍과 상기 각 관통 구멍 사이의 위치 어긋남을 규제하는 별도의 도입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커넥터.
KR1020120072796A 2011-09-12 2012-07-04 방수 커넥터 KR201300288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1197866A JP2013062030A (ja) 2011-09-12 2011-09-12 防水コネクタ
JPJP-P-2011-197866 2011-09-12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28851A true KR20130028851A (ko) 2013-03-20

Family

ID=48179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2796A KR20130028851A (ko) 2011-09-12 2012-07-04 방수 커넥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3062030A (ko)
KR (1) KR20130028851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0366A (ko) * 2016-08-17 2018-02-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충전용 커넥터
KR20220152065A (ko) * 2021-05-07 2022-11-15 주식회사 경신 방수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3211454A1 (de) * 2013-06-19 2014-12-24 Robert Bosch Gmbh Dichte Ausgestaltung eines Steckers
JP2021131994A (ja) * 2020-02-20 2021-09-09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DE102020133319A1 (de) 2020-12-14 2022-06-15 Lear Corporation Elektrische Steckverbinder mit verjüngten Anschlussdurchgänge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14898B2 (ja) * 2003-11-27 2009-01-28 住友電装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JP2011018523A (ja) * 2009-07-08 2011-01-27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2011129477A (ja) * 2009-12-21 2011-06-30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20366A (ko) * 2016-08-17 2018-02-28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충전용 커넥터
KR20220152065A (ko) * 2021-05-07 2022-11-15 주식회사 경신 방수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062030A (ja) 2013-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23233B2 (ja) コネクタ
JP5034685B2 (ja) コネクタ
US6752659B2 (en) Waterproof connector
JP5747858B2 (ja) コネクタ
JP2019046636A (ja) コネクタ
CN107134672B (zh) 连接器
KR20130023148A (ko) 고무 플러그 및 방수 커넥터
KR20130028851A (ko) 방수 커넥터
WO2019167434A1 (ja) コネクタ
CN106981754B (zh) 连接器
CN110073553B (zh) 带橡胶盖的连接器
US7481665B2 (en) Connector
CN112470348A (zh) 连接器及连接器装置
US9755352B2 (en) Waterproofing structure for connector
KR20130131430A (ko) 커넥터
US10355412B2 (en) Connector
US10283902B2 (en) Waterproof structure for connector
JP2015065039A (ja) コネクタ
JP2018014300A (ja) コネクタ
JP7200911B2 (ja) コネクタ
JP5267374B2 (ja) コネクタ
CN111541090B (zh) 连接器
CN112119542A (zh) 连接器
CN114667646B (zh) 连接器
JP6331273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