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0637A - 접점 위치가 보장되고 챔버 블록을 갖춘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접점 위치가 보장되고 챔버 블록을 갖춘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0637A
KR20140050637A KR1020147001922A KR20147001922A KR20140050637A KR 20140050637 A KR20140050637 A KR 20140050637A KR 1020147001922 A KR1020147001922 A KR 1020147001922A KR 20147001922 A KR20147001922 A KR 20147001922A KR 20140050637 A KR20140050637 A KR 201400506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eiving
chamber block
pluggable connector
catch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019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쿠스 김벨
슈테판 에른스트 그라제어
카이 젤리엔
Original Assignee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타이코 일렉트로닉스 에이엠피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40050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063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01R13/4223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comprising integral flexible contact retaining fin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1Insertion of locking piece perpendicular to direction of contact inser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2Sealing means between parts of housing or between housing part and a wall, e.g. sealing ring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접점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챔버 블록(2) 및 챔버 블록(2) 내에 접점 요소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접점 고정 부재(17)를 가지는 플러그형 커넥터(1)에 관한 것이다. 또한, 작은 치수들을 갖더라도 간단하고 비용-효과적인 방식으로 플러그형 커넥터(1)를 제조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챔버 블록(2) 내에 제공되고 수용 방향(A)에 대해 횡방향으로 개방되는 오목부(15) 내에 챔버 블록(2)의 외측으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근가능하도록 접점 고정 부재(17)가 배열되는 본 발명에 따른 대책이 제공된다.

Description

접점 위치가 보장되고 챔버 블록을 갖춘 커넥터 조립체 {CONNECTOR ASSEMBLY WITH CHAMBER BLOCK AND CONTACT POSITION ASSURANCE}
본 발명은 하나 이상의 전기 접점 요소용 챔버 블록을 통해 수용 방향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수용 챔버 및 접점 요소의 위치를 수용 챔버 내에 고정하기 위한 접점 고정 부재로 구성되는 챔버 블록을 갖는 플러그형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서두에 언급한 형태인 플러그 형태의 커넥터들은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으며 예를 들어 자동차 분야, 특히 센서들을 자동차의 제어 장치들에 연결하는데 사용되었다. 이런 예에서, 플러그 형태의 커넥터를 가능한 한 작게 되도록 구성함에도 불구하고 그 커넥터에 접점 고정 부재를 제공하는 것이 종종 필요하다. 특히, 사출 주형으로부터 사출 성형 부품으로서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방식으로 챔버 블록을 작은 치수들로 그리고 접점 고정 부재로 구성하는 것이 어렵다. 사출 주형으로부터의 제거는 접점 고정 부재가 하나 이상의 감춰진 언더컷(undercut)을 갖기 때문에 접점 고정 부재에 의해 종종 더 어려워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주형으로부터 플러그 형태의 커넥터 또는 커넥터의 부품들을 제거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사출 주형은 복잡하게 구성되고 그 결과 비용 집약적 방식으로 구성되거나 플러그 형태의 커넥터는 접점 고정 부재가 그의 기능적 측면에서 손상되는 방식으로 주형으로부터 제거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접점 고정 부재를 가지며 비교적 간단한 방식으로 구성되는 사출 주형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있는 플러그 형태의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챔버 블록이 하나 이상의 수용 챔버와 교차하고 수용 방향에 대해 적어도 횡 방향으로 개방되며 그 내측으로 접점 고정 부재의 캐치 수단이 자유롭게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채널형 오목부를 갖는다는 점에서 서두에 언급된 플러그 형태의 커넥터에 대해 달성된다.
개방 오목부 및 그 내부의 자유롭게 돌출하는 캐치 수단으로 인해, 사출 주형에 간단한 미끄럼 부재들을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며, 그에 의해서 접점 고정 부재가 주형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구조적으로 상당히 복잡하게 작동함이 없이 주형으로부터 플러그 형태의 커넥터 또는 챔버 블록의 제거를 방해하지 않는다. 수용 챔버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개방 오목부는 미끄럼 부재들이 간단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게 하며 주형으로부터 제거를 위해 거의 복잡하지 않게 이동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그 자체로 각각 유리하며 서로 자유롭게 조합될 수 있는 다양한 구성들에 의해서 더 개선될 수 있다. 이들 구성들 및 그와 연관된 장점들은 아래에서 설명되며, 그의 구조적 방책들 및 효과들은 예를 들어, 단지 하나의 수용 챔버만을 갖는 챔버 블록에 대한 예에 의해서만 실질적으로 설명된다. 물론, 챔버 블록은 각각의 경우에 하나 이상의 접촉 요소에 대해 복수의 수용 챔버들을 가질 수 있다.
접점 고정 부재의 캐치 요소는 수용 방향과 평행하게 그리고 특히 그 방향과 반대로 접점 요소의 바람직하지 않은 운동을 방지하기 위해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대향 방향으로 접점 요소의 운동을 차단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유리한 제 1 구성의 수용 챔버는 스톱 요소에 의해 수용 방향과 평행하게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획될 수 있다. 스톱 요소는 접점 고정 부재와 반대로의 접점 요소의 운동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접점 요소는 수용 챔버 내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런 목적을 위해서, 스톱 요소는 수용 방향과 평행한 캐치 요소와 반대로 배열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챔버 블록 내의 접점 요소의 위치는 수용 방향으로 그리고 그 방향과 반대로 모두 고정될 수 있다.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스톱 요소는 챔버 블록의 기저 부재로부터 수용 방향에 대해 수직으로 돌출하는 폐쇄 칼라 상에 형성될 수 있다. 폐쇄 칼라는 수용 방향으로 지향된 챔버 블록의 단부에 배열될 수 있으며 챔버 블록의 폐쇄 판의 일부일 수 있다. 폐쇄 판은 폐쇄 칼라가 인접할 수 있는 플러그형 커넥터의 플러그 면을 가질 수 있다. 수용 방향에 대해 수직한 폐쇄 칼라의 방위는 폐쇄 칼라에 의해 절취부들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주형으로부터의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 수용 방향으로 지향된 챔버 블록의 단부에 폐쇄 칼라를 배열하고 특히 폐쇄 판의 일부로서 폐쇄 칼라를 형성하는 것은 플러그형 커넥터가 조립될 때 플러그형 커넥터의 다른 구성 요소들과 폐쇄 칼라가 충돌하는 것을 방지한다.
플러그형 커넥터의 조립된 상태로 접점 고정 부배와 특히 그의 캐치 수단에 도달하게 하기 위해서 그리고 결과적으로 접점 고정 부재와 접점 요소 사이에 캐치 연결을 해제하기 위해서, 챔버 블록은 오목부로의 접근 개구로 구성될 수 있다. 접근 개구는 수용 방향으로 개방된 수용 챔버의 접점 개구로부터 간격을 두고 배열될 수 있어서 캐치 수단이 수용 방향과 평행하게 그리고 특히 그 수용 방향과 반대로 접근할 수 있다. 특히, 하나 이상의 접점 개구 및 하나 이상의 접근 개구는 각각의 수용 챔버와 연관될 수 있다. 접근 개구로 인해, 캐치 수단은 수용 방향과 반대로 간단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맨드릴에 의해 도달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탄성 변형가능한 캐치 수단은 캐치 위치로부터 편향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캐치 연결이 개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근 개구는 폐쇄 칼라 내의 접점 개구의 다음에 그리고 바람직하게, 수용 방향에 대해 횡 방향으로 개방되는 갭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접근 개구의 갭-형 구성은 또한 사출 주형의 구조적 구성을 간단하게 하고 주형으로부터의 제거를 용이하게 한다.
수용 방향과 반대로 작용하는 인장력들이 접점 요소를 챔버 블록으로부터 당기도록 시도하는 때조차도, 챔버 블록 내의 접점 요소의 위치가 실제로 고정되게 보장하기 위해서 플러그형 커넥터는 제 2 접점 고정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와 같은 제 2 접점 고정 부재를 제공하기 위해서, 챔버 블록은 수용 방향에 대해 횡 방향으로 개방되는 하나 이상의 추가의 채널-형 오목부를 가질 수 있다. 추가의 오목부는 또한, 하나 이상의 수용 챔버와 교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접점 요소는 또한, 추가의 오목부의 영역에서 챔버 블록의 외측으로부터 접근가능하다.
접점 부재의 위치에 대한 여분의 고정을 보장하기 위해서, 오목부는 수용 방향으로 차례로 배열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접점 요소의 다양한 부분들이 접점 고정 부재들에 접근할 수 있다.
환경 조건들이 가혹한 때조차도 제 2 접점 고정 부재가 고정 위치에 유지되도록, 추가의 오목부는 제 2 접점 고정 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캐치 부재를 가질 수 있다.
챔버 블록의 외측으로부터 용이하게 접근할 수 있는 수용 챔버는 접점 챔버 내에 배열되는 접점 요소가 외부 영향들에 의해 그의 기능 측면에서 손상되는 위험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외부 영향들로부터 오목부들의 적어도 하나를 보호하는 것이 특히 자동차뿐만 아니라 다른 분야들에 필요할 수 있다. 이런 목적을 위해, 플러그형 커넥터는 챔버 블록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접점 고정 소켓을 가질 수 있으며 그에 의해서 오목부들의 적어도 하나는 챔버 블록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 상태에 있을 때 수용 방향에 대해 횡 방향으로 덮힌다. 특히 유리한 구성에 있어서, 접점 고정 소켓은 캐치 수단에 의해 적어도 오목부를 그리고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고정 상태로 모든 오목부들을 완전히 덮을 수 있다.
제 2 고정 부재의 기능을 보장하기 위해서, 접점 고정 소켓은 하나 이상의 탄성 변형가능한 접점 고정 아암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접점 고정 아암은 추가의 오목부 내측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거나 가압될 수 있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 또는 압입된 상태이거나 또한 고정 상태에서, 접점 고정 아암은 추가의 오목부와 결합할 수 있다. 고정 상태에서, 접점 고정 아암은 수용 채널의 내측으로 돌출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수용 챔버 내에 위치되는 접점 요소를 위한 스톱을 형성한다. 접점 고정 아암은 특히, 수용 방향과 반대인 접점 요소의 운동을 차단할 수 있다.
챔버 블록과 그리고 특히 추가의 오목부와 접점 고정 아암의 결합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접점 고정 아암은 고정 상태로 추가의 오목부 내에 결합하고 그의 캐치 요소와 결합되는 고정 클로(claw)로 구성될 수 있다.
외부 영향들에 대해 보호하고 유체 유입으로부터 접점 요소를 보호하기 위해서, 플러그형 커넥터는 접접 요소를 위해서 수용 채널과 인접한 밀봉 채널을 가지는 밀봉 요소 또는 접점 요소에 끼워 맞춰지는 전도체를 가질 수 있다. 밀봉 요소는 수용 채널마다 하나의 밀봉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밀봉을 위해서, 밀봉 채널은 밀봉 채널 내측으로 환형 방식으로 돌출하는 밀봉 립들로 구성될 수 있다. 접점 요소에 고정되는 접점 요소 또는 전도체는 밀봉 방식으로 밀봉 립들과 맞닿을 수 있어서 적어도 수용 방향으로 플러그형 커넥터 또는 수용 챔버로 습기가 용이하게 진입할 수 없다.
밀봉 요소는 수용 챔버의 외측에서조차도 적어도 수용 방향으로 플러그형 커넥터의 내측으로 유체들이 도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추가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봉 요소는 또한, 밀봉 방식으로 플러그형 커넥터의 하우징과 맞닿을 수 있다. 이런 목적을 위해서, 밀봉 요소는 하우징과 챔버 블록 또는 접점 고정 소켓 사이에서 수용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게다가, 밀봉 요소는 플러그형 커넥터 및 상대-플러그형 커넥터가 유체-밀봉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 챔버 블록을 갖춘 접점 고정 소켓은 하우징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으며 챔버 블록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 상태로 하우징 내에 고정될 수 있다. 플러그형 커넥터의 내측에 배열되는 챔버 블록에 대한 외측 하우징의 고정으로 인해서, 접점 고정 소켓은 하우징과 챔버 블록 사이에서 적어도 수용 방향으로 그리고 또한 그 수용 방향과 반대로 유지될 수 있다. 특히, 접점 고정 소켓은 수용 방향과 반대로 지향된 폐쇄 칼라의 측면에 대해 하우징에 의해 그리고 선택적으로 밀봉 요소를 통해서 가압될 수 있다.
챔버 블록에 고정하기 위해서, 하우징은 수용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캐치 아암을 가질 수 있다. 캐치 아암은 이런 목적을 위해 하나 이상의 관통-개구를 가질 수 있는 밀봉 요소를 통해 연장할 수 있다. 플러그형 커넥터의 조립된 상태로 밀봉 방식으로 캐치 아암과 맞닿는 밀봉 립들은 관통-개구의 내측으로 돌출할 수 있다.
캐치 아암은 칼라, 왕관 또는 플랜지로서 구성되며 밀봉 요소를 위한 수용 방향에 대해 횡 방향으로 연장하는 위치선정 리브로서 구성될 수 있는 기저 상에 놓일 수 있다. 위치선정 리브는 밀봉 수단의 밀봉 홈의 내측으로 가압될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밀봉 립은 또한 밀봉 홈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것과 밀봉 방식으로 위치선정 리브와 맞닿는 것이 가능하다. 밀봉 수단과 위치선정 리브 사이의 밀봉 연결은 밀봉 채널의 배리어와 평행하게 작용하는 제 2 유체 배리어를 형성할 수 있다.
챔버 블록에 대한 하우징의 캐치 형태의 고정은 수용 방향에 특히 평행한 치수 허용도들에 의해 손상될 수 있다. 그와 같은 치수 허용도들에 대한 보상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밀봉 요소는 수용 방향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평행하게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는 허용도 보상 요소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밀봉 홈의 적어도 기저는 챔버 블록과 하우징 사이 그리고 접점 고정 소켓과 하우징 사이 모두에 수용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고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탄성 변형은 하우징과 챔버 블록 사이의 캐치 형태의 연결을 개선할 수 있는데, 이는 탄성적으로 생성된 클램핑력이 더욱 안전하게 프리텐션되고 결과적으로 하우징과 챔버 블록의 캐치 요소들의 상호 연결을 개선하기 때문이다.
상대-플러그형 커넥터에 플러그형 커넥터를 고정하기 위해서, 하우징은 캐치 부재를 가질 수 있다. 캐치 부재는 캐치 위치로부터 탄성적으로 편향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캐치 오목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캐치 부재는 수용 방향에 대해 횡 방향으로 서로 대면하고 서로를 향해 개방되는 두 개의 캐치 오목부들을 가질 수 있다. 이들 캐치 오목부들은 수용 방향에 대해 횡 방향으로 서로로부터 멀리 탄성적으로 이동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수용 방향에 대해 횡 방향으로 캐치 연결을 해제하기 위해서 캐치 부재를 개방한다.
특히 유리한 구성에서, 하우징은 바람직하게, 플라이어(plier)들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캐치 부재는 하우징의 가동 부분와 함께 가압됨으로써 개방될 수 있다. 그와 같은 하우징은 플러그형 커넥터의 다른 구성들과 무관하게 유리할 수 있으며 독립적인 발명을 구성할 수 있다.
캐치 부재는 하우징을 적어도 2 부품-외피들로 나누는 하나 이상의 분리 갭을 따라서 배열될 수 있다. 하우징은 수용 방향에 대해 횡 방향으로 제 1 분리 갭과 대면하고 서로로부터 2 부품-외피들을 또한 분리하는 제 2 분리 갭을 가질 수 있다. 2 부품-외피들은 특히 절반-외피들로 구성될 수 있다. 분리 갭들은 서로 평행하게 지향되거나 상이하게 지향될 수 있으며 서로에 대해 오프셋되도록 또는 수용 방향에 대해 횡 방향으로 서로를 덮도록 형성될 수 있다.
플라이어들 형태의 기능을 보장하기 위해서, 2부품-외피들은 관절로서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재료 브릿지에 의해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재료 브릿지는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으며 캐치 부재와 하우징의 가동 부분 사이에서 수용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가동 부분이 이제 수용 방향에 대해 횡 방향으로 함께 가압되며 분리 갭의 폭이 가동 부분의 영역에서 감소되면, 재료 브릿지의 다른 측면에 위치되는 분리 갭과 캐치 부재는 개방된다. 각각의 분리 갭들은 재료 브릿지에 의해 걸쳐지거나 개재될 수 있다.
플러그형 커넥터의 특히 소형화 구조를 생성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챔버 블록, 접점 고정 소켓 및 하우징은 플러그형 커넥터를 조립하기 위해서 다른 것의 내측에 있는 것에 끼워 맞춰질 수 있다. 접점 고정 소켓은 챔버 블록과 하우징 사이에서 조립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개별적인 구성요소들을 함께 보유하기 위한 고정 또는 캐치 요소들은 단지 하우징 상에 그리고 챔버 블록 상에 구성되기만 하면 된다. 밀봉 요소와 접점 고정 소켓 모두는 하우징과 챔버 블록에 의해서 포지티브 또는 넌-포지티브 로킹 방식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실시예들 및 도면들을 참조한 예에 의해서 아래에서 설명된다. 구성들의 다양한 특징들은 개별적인 유리한 구성들에서 이미 나타냈듯이, 서로 무관하게 조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형 커넥터의 제 1 실시예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챔버 블록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실시예의 챔버 블록의 개략적인 사시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플러그형 커넥터의 하우징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5 및 도 6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형 커넥터의 밀봉 요소의 개략적인 사시도들이며,
도 7 및 도 8은 도 1의 실시예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형 커넥터의 개략적인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형 커넥터의 구조 및/또는 기능은 도 1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먼저 설명된다.
도 1은 그의 구성요소들인 챔버 블록(2), 접점 고정 소켓(3), 밀봉 요소(4) 및 하우징(5)을 갖춘 플러그형 커넥터(1)의 분해도이다. 구성요소들은 플러그형 커넥터(1)의 길이방향(L)으로 차례로 배열된 상태로 예시되어 있다. 길이방향(L)으로, 구성요소들은 예시된 순서로 서로 내측으로 또는 서로의 위로 푸시될 수 있어서 구성요소(2 내지 5)들은 플러그형 커넥터(1)의 조립된 상태에서 하나가 다른 것의 내측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피팅되게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챔버 블록(2)은 접점 고정 소켓(3)의 내측으로 길이방향(L)과 반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다. 하우징(5)은 길이방향(L)으로 접점 고정 소켓(3) 상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푸시될 수 있다. 밀봉 요소(4)는 하우징(5)과 접점 고정 소켓(3) 사이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길이방향(L)으로 배열되는 방식으로 길이방향(L)과 반대로 하우징(5)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다른 구성요소의 내측으로 각각 푸시되는 구성요소들은 수용 방향(A)에 적어도 평행하게 이들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는 구성요소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챔버 블록(2)은 상대-플러그형 커넥터의 접점 요소들과 함께 길이방향(L)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플러그형 커넥터(1)의 접점 요소들은 바람직하게 길이방향(L)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수용 방향(A)으로 챔버 블록(2)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그에 고정되는 접점 요소들 또는 전도체들은 챔버 블록(2), 접점 고정 소켓(3), 밀봉 요소(4) 및/또는 하우징(5)을 통해서 수용 방향(A)과 반대로 연장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은 도 1의 실시예의 구성요소들의 확대된 개략적인 사시도들이다.
도 2는 챔버 블록(2)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챔버 블록(2)은 실질적으로 평행 6면체 기저 부재(6)로 구성될 수 있다. 플러그형 커넥터(1)의 플러그 면(7)은 수용 방향(A)으로 지향된 챔버 블록(2)의 단부에 배열될 수 있다. 플러그 면(7)에서, 상대-플러그형 커넥터의 상대-접점을 수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접점 개구(8)가 배열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챔버 블록(2) 내에 배열되는 접점 요소는 챔버 블록(2)으로부터 수용 방향(A)으로 접점 개구(8)를 통해 돌출할 수 있다. 챔버 블록(2)은 하나 이상의 접점 개구(8) 및 예를 들어, 2 개, 4 개 또는 6 개까지 또는 훨씬 더 많은 접점 개구(8)들을 가질 수 있다.
플러그 면(7)은 수용 방향(A)에 대해 횡 방향으로, 챔버 블록(2)의 기저 부재(6)로부터 수용 방향(A)에 대해 수직하게 돌출할 수 있는 폐쇄 칼라(9)와 인접할 수 있다. 플러그 면(7) 및 폐쇄 칼라(9)는 수용 방향(A)에 대해 횡 방향으로 연장하는 챔버 블록(2)의 폐쇄 판(10)의 일부일 수 있다.
챔버 블록(2)은 부정확한 삽입, 예를 들어 부정확한 위치를 방지하는 극성(polarisation) 및/또는 코딩 요소(11,12)들 또는 부정확한 맞물림 커넥터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극성 및/또는 코딩 요소(11,12)들은 수용 방향(A)에 평행하게 연장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수용 방향(A)과 반대로 폐쇄 판(10)을 통해 연장하는 극성 및/또는 코딩 홈들로서 구성될 수 있다.
게다가, 플러그형 커넥터(1)는 접점 개구(8)들 중의 하나와 연관되고 수용 방향(A)에 대해 횡 방향으로 그로부터 멀리 이격되도록 배열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접근 개구(13)를 가질 수 있다. 그와 같은 접근 개구(13)는 각각의 접점 개구(8)들과 연관될 수 있다. 접근 개구(13)들은 챔버 블록(2)의 내측이 수용 방향(A)에 특히 반대로 그리고 그에 평행한 각각의 접근 개구(13)를 통해 접근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근 개구(13)는 수용 방향(A)에 대해 횡 방향으로 개방할 수 있는 갭으로서 폐쇄 칼라(9) 내에 배열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접점 요소를 위한 하나 이상의 수용 챔버(14)는 수용 방향(A)에 평행하게 챔버 블록(2)을 통해 연장할 수 있으며 접점 개구(8)에서 종결될 수 있다. 수용 챔버(14)는 각각, 접점 개구(8)들 중의 하나에서 종결될 수 있으며 그에 대해 개방할 수 있으며, 접점 개구(8)는 그곳에서 종결되는 수용 챔버(14)보다 더 작은 직경을 수용 방향(A)에 대해 횡 방향으로 가질 수 있다.
수용 챔버(14)는 수용 방향(A)과 반대로 챔버 블록(2)을 통해 완전히 연장할 수 있으며 수용 방향(A)으로 그리고 그와 반대로 개방될 수 있다. 수용 챔버(14)는 예를 들어, 전기 접점 요소로서 구성될 수 있는 접점 요소를 수용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평행 6면체 기저 부재(6)는 채널-형 방식으로 구성되며 수용 방향(A)에 대해 횡방향으로 개방되도록 구성되는 오목부(15)를 가질 수 있다. 오목부(15)는 수용 방향(A)으로 폐쇄 칼라(9)와 인접할 수 있으며 챔버 블록(2)을 통해서 수용 방향(A)에 대해 횡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오목부(15)는 하나 이상의 수용 챔버(14)와 교차할 수 있으며 특히 그를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연장할 수 있다. 오목부(15)의 기저(16)는 수용 챔버(14)의 내측으로 무단(stepless) 방식으로 합쳐지는 수용 방향(A)에 대해 횡 방향으로 챔버 블록(2)을 통해 아주 깊게 연장할 수 있다.
챔버 블록(2)이 복수의 수용 챔버(14)들을 가진다면, 수용 챔버(14)들의 적어도 몇몇은 수용 방향(A)에 대해 횡 방향으로 서로 정렬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오목부(15)는 실질적으로 균일한 방식으로 서로 정렬되는 수용 챔버(14)들을 통해 연장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오목부(15)의 영역에서, 챔버 블록(2)은 하나 이상의 접점 고정 부재(17)로 구성될 수 있다. 접점 고정 부재(17)는 수용 챔버(14) 마다 하나 이상의 캐치 수단(18)을 포함할 수 있다. 캐치 수단(18)은 바람직하게, 수용 방향(A)으로 연장하고 그의 자유 단부(19)가 그와 연관된 수용 챔버(14)의 내측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캐치 수단(18)의 휴지 상태로 돌출하는 캐치 설형부(tongue)로서 구성된다. 캐치 수단(18)은 수용 방향(A)에 대해 횡 방향으로 그리고 특히 오목부(15)의 기저(16)에 대해 수직으로 탄성적으로 편향 가능할 수 있다.
캐치 수단(18)과 폐쇄 칼라(9) 사이에서, 챔버 블록(2)은 고정 부분(20)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고정 부분(20)은 수용 방향(A)과 반대로 접점 요소의 바람직하지 않은 제거를 방지한다. 수용 방향(A)으로, 고정 부분(20)은 예를 들어, 상대-플러그형 커넥터에 대한 플러그형 연결이 분리될 때, 접점 요소가 예정된 위치를 넘어서 변위되거나 당겨질 수 있는 것을 방지한다. 수용 방향(A)과 반대의 운동은 캐치 수단(18)에 의해 방지될 수 있다. 수용 방향(A)으로, 폐쇄 판(10) 또는 폐쇄 칼라(9)는 접점 요소를 위한 스톱 요소(21)로 구성될 수 있다. 스톱 요소(21)는 바람직하게, 수용 방향(A)에 대해 횡 방향으로 연장하는 폐쇄 칼라(9)의 후방 측면(22)에 배열되며 수용 방향(A)과 반대로 지향된다. 후방 측면(22)은 플러그 면(7)과 반대로 배열될 수 있다. 특히, 스톱 요소(21)는 접점 개구(8)와 인접할 수 있으며 수용 방향(A)에 대해 횡 방향으로 이를 둘러싼다.
플러그형 커넥터(1)는 접점 고정 부재(17)에 대해 여분의 방식으로 제공되는 추가의 접점 고정 부재를 더 가질 수 있다. 추가의 접점 고정 부재를 위해서, 챔버 블록(2)은 하나 이상의 수용 챔버(14)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교차하는 추가의 오목부(23)를 가질 수 있다. 추가의 오목부(23)는 오목부(15)와 평행하게 연장할 수 있으며 오목부(15,23)는 수용 방향(A)으로 차례로 배열될 수 있다. 특히, 추가의 오목부(23)는 수용 방향(A)으로 오목부(15)의 상류에 배열될 수 있어서 수용 방향(A)으로 챔버 블록(2)의 내측으로 푸시되는 접점 요소가 그의 단부 위치로의 경로에 있는 추가의 오목부(23)를 먼저 통과하며 단지 그 이후에만 오목부(15)의 내측으로 푸시된다.
추가의 오목부(23)는 그의 기저(24)가 수용 챔버(14)의 내측으로 평면 방식으로 합쳐질 수 있을 정도의 깊이로 평행 6면체 기저 부재(6) 내에 수용 방향(A)에 대해 횡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수용 챔버(14)는 추가의 오목부(23)의 기저(24)를 통해 채널(25)로서 추가의 오목부(23)의 영역 내에서 연장할 수 있다. 채널(25)은 폐쇄 칼라(9)만큼 멀리, 다시 말해 또한 오목부(15)의 기저(16)를 통해 수용 방향(A)으로 연장할 수 있다.
추가의 오목부(23)의 영역에서, 챔버 블록(2)은 추가의 접점 고정 부재를 고정하기 위한 캐치 요소(26)로 구성될 수 있다. 캐치 요소(26)는 예를 들어, 수용 방향(A)에 대해 횡 방향으로 연장하고 추가의 오목부(23)의 내측으로 수용 방향(A)으로 또는 그와 반대로 돌출하는 캐치 웨브로서 형성될 수 있다. 캐치 요소(26)는 하나 이상의 수용 챔버(14) 위로 연장할 수 있거나, 복수의 수용 챔버(14)들이 제공되면 서로 곁에 또는 서로 정렬되게 배열되는 적어도 두 개, 세 개 또는 심지어 모든 수용 챔버(14)들 위로 연장할 수 있다.
도 3은 명료화할 목적으로 생략된 폐쇄 판(10)이 없는 도 2의 챔버 블록(2)을 예시한다. 따라서 도 3은 챔버 블록(2)의 개략적인 사시 단면도이며, 그 단면도의 평면은 수용 방향(A)에 대해 횡 방향으로 연장하며 고정 부분(20) 내에 배열된다.
도 3의 예시에서, 수용 방향(A)은 실질적으로 돌출 평면으로부터 지향된다. 수용 챔버(14)는 실질적으로 돌출 평면의 내측으로 연장하며 둥근 또는 다각형 형상을 갖춘 횡단면 또는 기저 면(Q)을 가질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서, 수용 챔버(14)는 수용 방향(A)에 대해 횡 방향으로 실질적으로 정방형 횡단면(Q)을 가진다.
수용 방향(A)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하는 횡 방향(B)으로, 복수의 수용 챔버(14)가 서로의 겉에 그리고 특히 서로 정렬되게 배열될 수 있다. 캐치 수단(18)은 또한 횡 방향(B)으로 서로의 겉에 배열될 수 있으며 수용 방향(A) 그리고 횡 방향(B)에 대해 수직하게 편향 또는 변형될 수 있다. 특히, 캐치 설형부들로서 구성되는 캐치 수단(18)의 적어도 자유 단부(19)들은 상기 방향(A,B)들에 대해 횡 방향으로 챔버 블록(2)으로부터 멀리 탄성적으로 편향될 수 있다.
캐치 수단(18)의 자유 단부(19)들은 횡 방향(B)으로 차례로 배열되는 두 개 이상의 부분들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부분들 중의 하나는 캐치 부분(27)으로서 형성될 수 있으며 다른 부분은 가동 부분(28)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캐치 부분(27)은 캐치 수단(18)의 예시된 휴지 위치(P)로 수용 챔버(14)의 내측으로 돌출할 수 있다. 캐치 부분(27)은 가동 부분(28)에 대해 수용 챔버(14)의 내측으로 상기 방향(A,B)들에 대해 횡 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는 캐치 후크(29)로 구성될 수 있다. 캐치 후크(29)는 접점 요소를 위한 경사 도입 부재(30)로 수용 방향(A)과 반대로 구성될 수 있으며, 수용 방향(A)으로는 상기 방향(A,B)들에 대해 실질적으로 횡방향으로 연장하는 접점 요소를 위한 유지 면(31)을 가질 수 있다. 가동 부분(28)은 또한, 캐치 수단(18)의 휴지 위치로 수용 챔버(14)의 내측으로 그러나 캐치 부분(27)이 행하는 만큼 멀지 않게 돌출할 수 있다.
가동 부분(28)은 접근 개구(13)를 통해 수용 방향(A)과 평행하게 그리고 특히 그와 반대로 접근할 수 있는 방식으로 접근 개구(13)의 하류에 수용 방향(A)으로 배열될 수 있다. 캐치 수단(18)으로서 구성되는 접점 고정 부재(17)와 접점 요소 사이의 캐치 연결은 그에 의해 예를 들어, 맨드릴(mandrel)을 사용하여 해제될 수 있다. 맨드릴은 접근 개구(13)를 통해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방향(A,B)들에 대해 횡 방향으로 수용 챔버(14)로부터 캐치 수단(18)의 적어도 자유 단부(19)를 가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결함일 수 있는 접점 요소는 분해되어야 하는 플러그형 커넥터 없이 용이하게 교환될 수 있다.
수용 챔버(14)들은 수용 방향(A)으로 연장하는 벽 부분(32,32')들에 의해서 서로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벽 부분(32)은 상기 방향(A,B)들과 평행하게 연장할 수 있으며 횡 방향(B)으로 서로 정렬되거나 서로 곁에 각각 배열되는 각각 두 개의 그룹들의 수용 챔버(14)들로부터 분리된다. 벽 부분(32')들은 횡 방향(B)에 대해 수직하게 그리고 이들이 종결될 수 있는 오목부(15)의 내측으로 연장할 수 있다. 두 개의 벽 부분(32')들은 각각의 경우에 수용 챔버(14)들 중의 하나의 옆에 있을 수 있다.
극성 및/또는 코딩 홈(11,12)들은 또한 기저 부재(6)에 의해 수용 방향(A)과 반대로 구획된 상태로 벽 부분(32,32')들을 통해 연장할 수 있다.
플러그 면(7)의 상류의 수용 방향(A)으로, 챔버 블록(2)은 플러그형 커넥터(1)에 챔버 블록(2)을 고정하기 위한 캐치 부분(33)으로 구성될 수 있다. 캐치 부분(33)에는 예를 들어, 챔버 블록(2) 및 특히 횡 방향(B)으로 그리고 그 방향과 반대로 지향된 그의 기저 부재(6)의 측면(34,34')들에, 캐치 요소들, 예를 들어 캐치 돌기(33') 또는 캐치 오목부가 제공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의 실시예의 하우징(5)의 확대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수용 방향(A)은 돌기 평면으로부터 실질적으로 경사 방식으로 지향된다.
하우징(5)은 다른 구성요소(2 내지 4)들 중의 하나에 하우징(5)을 고정하기 위한 하나 이상 그리고 특히 두 개의 캐치 아암(들)(35)을 가질 수 있다. 캐치 아암(35)들은 특히 이들이 챔버 블록(2)의 캐치 부분(33)과 결합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수용 방향(A)으로 지향되는 하나 이상의 캐치 아암(35)의 자유 단부(36)의 영역에서, 캐치 아암(35)은 캐치 부분(33)과의 캐치 연결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캐치 요소(37)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캐치 요소(37)는 횡 방향(B)으로 돌출하는 캐치 후크로서 구성될 수 있다. 복수의 캐치 아암(35)이 제공되면, 캐치 후크들로서 구성되는 캐치 요소들은 예를 들어, 서로를 향해 또는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수용 방향(A)에 대해 횡 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다.
하우징(5)은 상대-플러그형 커넥터와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하우징(5)에는 캐치 부재(38)가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캐치 부재(38)는 수용 방향(A)에 대해 횡 방향으로 그리고 횡 방향(B)으로 또는 그와 반대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캐치 오목부(39)를 가질 수 있다. 힘의 균일한 전달을 위해서, 캐치 부재(38)는 각각, 횡 방향(B)으로 또는 그와는 반대로 서로로부터 멀리 연장하는 두 개의 캐치 오목부(39,39')들을 가질 수 있다. 캐치 오목부(39,39')들은 하우징(5)을 통해 수용 방향(A)에 평행하게 연장할 수 있는 분리 갭(40)을 형성하도록 수용 방향(A)에 대해 횡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캐치 오목부(39,39')들은 바람직하게, 동일한 높이에 또는 서로를 향해 분리 갭(40)을 따라 배열된다.
분리 갭(40)은 서로로부터 하우징(5)의 2 부품-외피(41,42)들을 분리할 수 있다. 하우징(5)은 분리 갭(40)에 의해 비대칭으로 분할될 수 있다. 그러나 도 4의 실시예에 따라서, 2 부품-외피들은 또한 절반-외피들로서 형성될 수 있다. 게다가, 절반-외피(41,42)들은 그의 경로에 추가의 캐치 부재(38')를 가지는 다른 분리 갭(40')만큼 서로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수용 방향(A)과 반대로, 분리 갭(40) 및 또한 분리 갭(40')은 하우징(5)의 가동 부분(43)을 통해 연장할 수 있다. 가동 부분(43)은 캐치 부재(38)의 상류에 그리고 또한 캐치 부재(38')의 상류에 수용 방향(A)으로 배열될 수 있다. 하우징(5)은 수용 방향(A)에 대해 횡 방향으로 가동 부분(43)의 영역에서 분리 갭(40,40')을 압축함으로써 대향 방향으로 캐치 부재(38,38')의 개방을 초래하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하우징(5)은 각각의 분리 갭(40,40')을 가교 연결하고 관절 방식으로 서로에 2-부품 외피(41,42)를 연결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탄력적으로 변형가능한 재료의 브릿지(bridge)(44)를 분리 갭(40,40') 마다 가질 수 있다. 상기 재료의 브릿지(44)로 인해서, 하우징(5)은 따라서 플라이어(plier)-형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재료의 브릿지(44)는 하나 이상의 캐치 부재(38,38')들을 가지는 하우징(5)의 캐치 부분(43')과 가동 부분(43) 사이에서 수용 방향(A)으로 배열될 수 있다. 캐치 부분(43')은 하우징(5)의 전방 부분으로서 그리고 가동 부분(43)은 하우징(5)의 후방 부분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각각, 도 1의 실시예의 밀봉 요소(4)의 확대된 개략적인 사시도들이다.
도 5에서, 수용 방향(A)은 실질적으로 돌기의 평면 내측으로 지향된다. 유체들의 도입에 대해 플러그형 커넥터(1)를 밀봉할 수 있도록 밀봉 요소(4)는 내측 및 외측 밀봉 부분(45,46)으로 구성될 수 있다. 내측 및 외측 밀봉 부분(45,46) 사이에는 수용 방향(A)에 대해 횡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심지어 완전히 내측 밀봉 부분(45)의 둘레로 연장할 수 있는 밀봉 홈(47)이 배열될 수 있다. 수용 방향(A)으로는 밀봉 요소(4)의 조립된 상태로 수용 챔버(14)와 정렬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밀봉 채널(48)이 연장할 수 있다. 밀봉 채널(48)은 밀봉 방식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점 요소에 고정되는 전도체 또는 접점 요소를 수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밀봉 요소(4)는 특히 수용 챔버(14) 마다 하나의 밀봉 채널(48)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밀봉 립(49)은 적어도 내측 밀봉 부분(45)으로부터 밀봉 홈(47)의 내측으로 돌출할 수 있다. 또한, 외측 밀봉 부분(46)은 밀봉 홈(47)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밀봉 립으로 또한 구성될 수 있다. 게다가, 외측 밀봉 부분(46)은 수용 방향(A)에 대해 횡 방향으로 돌출하고 밀봉 요소(4)의 둘레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밀봉 립(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내측 및 외측 밀봉 부분(45,46) 모두는 복수의 밀봉 립(49,50)을 가질 수 있다.
도 6에서, 밀봉 요소(4)는 수용 방향(A)에 대해 횡 방향으로 대략 180°에 걸쳐 회전된 상태로 도시된다. 도 6의 실시예에 예시된 바와 같이, 밀봉 요소(4)는 밀봉 요소(4)를 통해 수용 방향(A)으로 연장할 수 있고 특히 밀봉 홈(47)내에서 개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관통-개구(51)를 가질 수 있다. 관통-개구(51)는 하우징(51)의 캐치 아암(35)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하도록 적응될 수 있다. 하우징(5)이 하나보다 많은 캐치 아암(35)을 가지면, 밀봉 요소(4)는 캐치 아암(35) 마다 하나의 관통-개구(51)로 구성될 수 있다. 밀봉 요소(4)에 두 개의 관통-개구(51)들이 형성되면, 이들은 횡 방향(B)으로 차례로 배열될 수 있다. 게다가, 하나 이상의 밀봉 채널(48) 및 예를 들어 또한 일군의 밀봉 채널(48)들이 두 개의 관통-개구(51)들 사이로 그리고 내측 밀봉 부분(45)을 통해서 연장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도 7은 플러그형 커넥터(1)의 개략적인 사시 단면도이다. 플러그형 커넥터(1)는 수용 방향(A)으로 그리고 횡 방향(B)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하는 평면 내에 하나의 섹션으로서 예시되며, 그 섹션 평면은 분리 갭(40,40')을 통해 연장한다. 구성요소들인 챔버 블록(2), 접점 고정 소켓(3), 밀봉 요소(4) 및 하우징(5)은 플러그형 커넥터(1)의 예시된 조립 상태(Z)로 다른 것의 내측에 하나가 피팅되도록 배열될 수 있으며, 챔버 블록(2)은 접점 고정 소켓(3)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열된다.
하우징(5)은 각각의 수용 챔버(14)를 위한 하나 이상의 접점 개구(53)를 포함할 수 있는 접점 연결 피스(52)로 구성될 수 있다. 조립된 상태(Z)의 접점 개구(53)는 수용 방향(A)으로 수용 챔버(14) 및 밀봉 채널(48)과 정렬될 수 있어서 접점 요소 및 그 접점 요소에 고정되는 전도체는 플러그형 커넥터(1)를 통해 선형 방식으로 연장할 수 있다. 밀봉 채널(48)이 또한 유체들의 도입에 대해 플러그형 커넥터(1)를 밀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밀봉 립(54)을 가질 수 있음을 명확히 볼 수 있다.
하우징(5)은 수용 방향(A)에 대해 횡 방향으로 방위되고 그로부터 접점 연결 피스(52)가 수용 방향(A)과 반대로 돌출할 수 있는 기저 판(55)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기저 판(55)은 바람직하게, 하우징(5)의 변형성 및 그에 의한 캐치 부재(38,38')의 기능에 악영향을 갖지 않도록 하기 위해 단지 재료의 브릿지(44)들에만 고정된다. 이와는 달리, 기저 판(55)은 또한 재료 브릿지(44) 및 2 부품-외피(41,42)들 모두에, 그의 에지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심지어 완전히 고정될 수 있으며, 그에 의해서 하우징의 견고성 및 캐치 부재(38,38')에 대한 효과적인 결합력들이 증가된다.
기저 판(55) 하류의 수용 방향으로, 하우징(5)은 밀봉 요소(4)를 위한 하나 이상의 위치선정 리브(56)를 가질 수 있다. 위치선정 리브(56)는 밀봉 홈(47)과 실질적으로 보완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환형 또는 왕관형이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밀봉 요소(4)의 내측 밀봉 부분(45)은 위치선정 리브(56)에 의해 수용 방향(A)에 대해 횡 방향으로 구획되는 수용 공간(57) 내에 배열될 수 있으며, 그의 하나 이상의 밀봉 립(49)이 밀봉 방식으로 위치선정 리브(56)와 맞닿을 수 있다.
외측 밀봉 부분(46)은 수용 방향(A)에 대해 횡 방향으로 자유 수용 공간(57) 외측으로 위치선정 리브(56) 둘레로 연장할 수 있다. 외측 밀봉 부분(46)의 하나 이상의 밀봉 립(50)은 상대-플러그형 커넥터를 위한 밀봉 공간(58)의 내측으로 내측 밀봉 부분(45)으로부터 멀리 수용 방향(A)에 대해 횡 방향으로 돌출할 수 있다. 밀봉 공간(58)은 수용 방향(A)에 대해 횡 방향으로 위치선정 리브(56) 및 2-부품 외피(41,42)들에 의해 구획될 수 있으며 수용 방향(A)으로 개방될 수 있다. 밀봉 공간(58)은 또한 수용 공간(57)의 둘레로 수용 방향(A)에 대해 횡 방향으로 연장할 수 있다.
적어도 오목부(15)뿐만 아니라 추가의 오목부(23)는 접점 고정 소켓(3)에 의해 수용 방향(A)에 대해 횡 방향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조립된 상태(Z)로 커버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적어도, 접점 고정 부재(17)의 하나 이상의 캐치 수단(18)은 플러그형 커넥터(1) 외측의 구성요소들로부터의 손상에 대해 보호될 수 있다.
수용 방향(A)으로 챔버 블록(2) 위로 너무 멀리 접점 고정 소켓(3)이 푸시될 수 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폐쇄 칼라(9) 또는 폐쇄 판(10)은 접점 고정 소켓(3)을 위한 스톱 요소로서 작용할 수 있다.
접점 고정 소켓(3)은 바람직하게, 추가의 접점 고정 부재를 형성하고 챔버 블록(2) 외측으로 완전히 그의 휴지 위치(P')에 배열되는 하나 이상의 탄력적으로 변형가능한 접점 고정 아암(59)으로 구성된다. 접점 고정 아암(59)은 접점 고정 소켓(3)의 내측으로 지향된 고정 클로(claw)(60)로 구성될 수 있다. 예시된 조립 상태(Z)로 탄력적으로 변형가능한 접점 고정 아암(59)은 챔버 블록(2)을 향한 방향으로 수용 방향(A)에 대해 횡 방향으로 재지향될 수 있어서 그의 고정 클로(60)가 추가의 오목부(23)의 내측으로 가압된다.
고정 클로(60)가 챔버 블록(2)을 향한 방향으로 최대 범위로 가압되면, 고정 클로는 추가의 오목부(23)를 통해서 수용 챔버(14)의 내측으로 돌출한다. 이런 고정 위치에서, 고정 클로(60)는 수용 방향(A)과 평행한 접점 요소의 부적절한 변위를 방지할 수 있다. 고정 클로(60)가 접점 고정 아암(59)의 탄성 특성들로 인해서 수용 방향(A)에 대해 횡 방향으로 추가의 오목부(23)로부터 미끄러지지 않게 보장하기 위해서, 고정 클로(60)는 챔버 블록(2)의 캐치 요소(26)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캐치 부재(61)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캐치 부재(61)는 수용 방향(A)에 대해 횡 방향으로 연장하고 수용 방향(A)과 반대로 돌출하는 캐치 바(bar)로서 형성될 수 있다.
도 8은 방향(A,B)들로 연장하는 섹션의 평면인, 본 발명에 따른 플러그형 커넥터(1)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플러그형 커넥터(1)는 또한 도 8의 그의 조립된 상태(Z)로 예시된다. 도 8의 예시에서, 플러그형 커넥터(1)의 구성요소들이 어떻게 내부에 함께 유지되는지를 명확하게 볼 수 있다. 피팅된 구성요소들 중에서, 챔버 블록(2)은 최내측 구성요소가 되도록 고려될 수 있다. 챔버 블록(2)은 수용 방향(A)과 반대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점 고정 소켓(3)의 내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접점 고정 소켓(3)은 하우징(5)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차례로 배열될 수 있다.
밀봉 요소(4)는 챔버 블록(2) 또는 접점 고정 소켓(3)과 하우징(5) 사이에서 수용 방향(A)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이제 플러그형 커넥터(1)의 개별적인 구성요소들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하우징(5)은 캐치 아암(35)에 의해서 챔버 블록(2)의 캐치 부분(33)과 결합될 수 있다. 그에 의해 적어도 챔버 블록(2)이 수용 방향(A)으로 하우징(5)으로부터 용이하게 제거될 수 없음이 보장될 수 있다.
하우징(5)과 챔버 블록(2)의 결합은 적어도 캐치 아암(35) 및 캐치 부분(33)의 수용 방향(A)으로 치수 정밀도를 필요로 한다. 게다가, 하우징(5)과 챔버 블록(2) 사이의 캐치 연결이 수용 방향(A)으로 캐치 연결과 반대로 작용하는 힘에 의해서 탄력적으로 프리텐션되는(pretensioned)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탄성 프리텐션화를 위해 그리고 허용도를 보상하기 위해서 밀봉 요소(4)는 적어도 수용 방향(A)과 평행한 탄력적인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고 수용 방향(A)으로 하우징(5) 및 챔버 블록(2) 또는 접점 고정 소켓(3)에 의해 탄력적으로 압축될 수 있다. 게다가, 밀봉 요소(4)는 폐쇄 칼라(9)에 대해 수용 방향(A)으로 탄력적으로 챔버 블록(2)과 하우징(5) 사이에 배열되는 접점 고정 소켓(3)을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접점 고정 소켓(3)은 수용 방향(A)과 평행하게 좋지 못하게 위치되는 것과 잠재적인 덜컥거림을 방지한다.

Claims (15)

  1. 하나 이상의 전기 접점 요소를 위한 챔버 블록(2)을 통해 수용 방향(A)으로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수용 챔버(14) 및 상기 수용 챔버(14) 내에 접점 요소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접점 고정 부재(17)로 구성되는 챔버 블록(2)를 갖는 플러그형 커넥터(1)에 있어서,
    상기 챔버 블록(2)은 하나 이상의 수용 챔버(14)와 교차하며 수용 방향(A)에 대해 적어도 횡 방향으로 개방되고 그 내측으로 접점 고정 부재(17)의 캐치 수단(18)이 자유롭게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채널형 오목부(15)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 챔버(14)는 챔버 블록(2)의 기저 부재(6)로부터 수용 방향(A)에 대해 수직으로 돌출하고 플러그형 커넥터(1)의 플러그 면(7)에 인접한 폐쇄 칼라(9) 상에 형성되는 스톱 요소(21)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구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블록(2)은 수용 챔버(14)의 접점 개구(8)로부터 간격을 두고 배열되는 오목부(15)로의 접근 개구(13)로 구성되며, 접근 개구를 통해 캐치 수단(18)이 수용 방향(A)에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접근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커넥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블록(2)은 상기 수용 방향(A)에 대해 횡 방향으로 개방되고 수용 챔버(14)와 적어도 부분적으로 교차하는 하나 이상의 추가의 채널형 오목부(23)를 가지며, 상기 오목부(15,23)는 수용 방향(A)으로 차례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의 오목부(23)는 제 2 접점 고정 부재와 결합하기 위한 캐치 요소(26)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커넥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형 커넥터(1)는 챔버 블록(2)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될 수 있는 접점 고정 소켓(3)을 가지며, 그에 의해서 챔버 블록(2)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 상태에 있을 때 오목부(15)가 수용 방향(A)에 대해 횡방향으로 덮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커넥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접점 고정 소켓(3)은 추가의 오목부(23) 내측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될 수 있으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된 상태로 추가의 오목부(23)와 결합하고 수용 챔버(14)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탄력적으로 편향가능한 접점 고정 아암(59)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커넥터.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형 커넥터(1)는 챔버 블록(2)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며 챔버 블록(2)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 상태로 고정되는 하우징(5)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커넥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5)은 챔버 블록(2)에 고정하기 위해 수용 방향(A)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하나 이상의 캐치 아암(35)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커넥터.
  10. 제 8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5)은 하나 이상의 분리 갭(40,40')에 의해서 서로로부터 분리되는 2 부품-외피(41,42)들 및 관절로서 구성되고 분리 갭(40,40')을 두도록 서로에 2 부품-외피(41,42)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탄성 재료 브릿지(44)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커넥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갭(40,40')은 상기 재료 브릿지(44)의 한 측에서, 맞물림 커넥터와 결합하기 위한 캐치 부재(38,38')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커넥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5)은 캐치 부재(38,38')용 가동 부분(43)을 가지며, 상기 재료 브릿지(44)는 캐치 부재(38,38')와 가동 부분(43) 사이에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커넥터.
  13. 제 8 항 내지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 블록(2), 접점 고정 소켓(3) 및 하우징(5)은 플러그형 커넥터(1)를 조립하기 위해서 다른 것의 내측에 하나가 피팅될 수 있으며 접점 고정 소켓(3)은 적어도 수용 방향(A)으로 챔버 블록(2)과 하우징(5) 사이에 조립된 상태(Z)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커넥터.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형 커넥터(1)는 수용 챔버(14)에 인접한 밀봉 채널(48)을 가지는 밀봉 요소(4)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커넥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요소(4)는 하우징(5)의 캐치 아암(35)을 위한 하나 이상의 관통-개구(52)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형 커넥터.
KR1020147001922A 2011-06-23 2012-06-14 접점 위치가 보장되고 챔버 블록을 갖춘 커넥터 조립체 KR2014005063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1051291.8 2011-06-23
DE102011051291A DE102011051291A1 (de) 2011-06-23 2011-06-23 Steckverbinder mit Kammerblock und Kontaktsicherung
PCT/EP2012/061286 WO2012175397A1 (en) 2011-06-23 2012-06-14 Connector assembly with chamber block and contact position assuran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0637A true KR20140050637A (ko) 2014-04-29

Family

ID=462758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7001922A KR20140050637A (ko) 2011-06-23 2012-06-14 접점 위치가 보장되고 챔버 블록을 갖춘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318841B2 (ko)
EP (1) EP2724426A1 (ko)
JP (1) JP2014520376A (ko)
KR (1) KR20140050637A (ko)
CN (1) CN103797651A (ko)
DE (1) DE102011051291A1 (ko)
WO (1) WO20121753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13431B1 (en) * 2010-07-30 2015-03-11 Tyco Electronics AMP Italia S.r.l. Electrical connector with an outer housing, an inner housing and an indicator sleeve
US9373878B2 (en) 2013-03-19 2016-06-21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Dielectric waveguide with RJ45 connector
DE102013214774A1 (de) * 2013-07-29 2015-01-29 Tyco Elektronics Amp Gmbh Steckverbinder mit einem Kammerblock und Kontaktsicherungen
FR3047128B1 (fr) * 2016-01-26 2019-07-19 Valeo Systemes Thermiques Dispositif de pulsion d'air a moteur electrique et support moteur associe muni de moyens d'etancheite pour le passage de connecteurs du moteur
EP3316408A1 (de) * 2016-10-28 2018-05-02 Hirschmann Automotive GmbH Steckverbinder und verfahren zum prüfen eines steckverbinders
DE102016125029B4 (de) * 2016-12-20 2019-03-14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Kontakteinrichtung und Kontaktsystem
TWI645629B (zh) * 2017-06-14 2018-12-21 百容電子股份有限公司 車用電子連接器
CN207781990U (zh) * 2018-01-23 2018-08-28 富誉电子科技(淮安)有限公司 电连接器组件
DE102018203628A1 (de) * 2018-03-09 2019-09-12 Te Connectivity Germany Gmbh Elektrischer Stecker mit elastischen Anpresselementen
US11189953B2 (en) * 2018-08-28 2021-11-30 Aptiv Technologies Limited Connector-assembly with primary-lock-reinforcement device
US10950967B2 (en) * 2019-04-15 2021-03-16 Lear Corporation Electric terminal housing with a terminal lock
JP7313185B2 (ja) * 2019-04-30 2023-07-24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ネクタハウジング
US11735858B2 (en) 2020-07-14 2023-08-22 J.S.T. Corporation Elastomer seal spring
US20220320803A1 (en) * 2021-04-01 2022-10-06 J.S.T. Corporation Outer housing, having at least a conductive tab, for accommodating therein a seal spring
DE102022114497A1 (de) 2021-06-11 2022-12-15 Hirschmann Automotive Gmbh Steckverbindung mit innerer Abdichtung
DE102021133646A1 (de) 2021-12-17 2023-06-22 Hirschmann Automotive Gmbh Steckverbindung mit lösbarem Stift- oder Buchsenkontakt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07252B2 (ja) * 1989-03-05 1998-10-08 日本エー・エム・ピー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US4973268A (en) * 1989-10-10 1990-11-27 Amp Incorporated Multi-contact electrical connector with secondary lock
DE69203428T2 (de) * 1991-10-30 1995-12-14 Sumitomo Wiring Systems Verbinder.
JPH11224728A (ja) * 1998-02-04 1999-08-17 Yazaki Corp 半嵌合防止コネクタ
EP1073155B1 (en) * 1999-07-21 2004-09-22 The Whitaker Corporation Connector with primary and secondary terminal retention features
ATE251348T1 (de) * 2000-07-29 2003-10-15 Whitaker Corp Elektrischer steckverbinder sowie gehäuse für einen solchen elektrischen steckverbinder
JP4089179B2 (ja) * 2001-06-06 2008-05-28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JP3810285B2 (ja) * 2001-06-12 2006-08-16 矢崎総業株式会社 半嵌合防止コネクタ
US6827609B1 (en) * 2003-11-12 2004-12-07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terminal positioning assurance member
US6935893B1 (en) * 2004-02-11 2005-08-30 Molex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position assurance device
DE102004022444A1 (de) * 2004-05-06 2005-12-01 Hirschmann Automotive Gmbh Dichter Stecker mit Kurzschlußbrücke
US7004790B2 (en) * 2004-05-28 2006-02-28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improved terminal retention
US7625251B2 (en) * 2007-09-25 2009-12-01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Connector with redundant terminal locking
US7914327B2 (en) 2008-01-23 2011-03-29 Fci Americas Technology, Inc. Electrical connector
US7682180B2 (en) * 2008-04-29 2010-03-23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Electrical connector with integral terminal retention and terminal position assur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75397A1 (en) 2012-12-27
EP2724426A1 (en) 2014-04-30
US20140106597A1 (en) 2014-04-17
JP2014520376A (ja) 2014-08-21
CN103797651A (zh) 2014-05-14
US9318841B2 (en) 2016-04-19
DE102011051291A1 (de) 2012-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50637A (ko) 접점 위치가 보장되고 챔버 블록을 갖춘 커넥터 조립체
KR101527057B1 (ko) 전기 콘택 요소와 케이블에 대한 고정을 갖는 플러그 커넥터 하우징
KR102328771B1 (ko) 커넥터 위치 보증(cpa) 부재 및 cpa 부재를 포함한 플러그 커넥터 장치
KR101984419B1 (ko) 플러그 커넥터를 위한 고정 프레임
US9379473B2 (en) Connector
CN109716594B (zh) 多部件保持框架、组装方法和装配方法
KR20130127529A (ko) 모듈형 플러그 커넥터
KR102548387B1 (ko) 콘택트 하우징, 콘택트 하우징 리셉터클 및 전기 커넥터
KR102622672B1 (ko) 커넥터 위치 보증 부재
WO2014162891A1 (ja) コネクタ
KR20180120597A (ko) 안전 시스템을 위한 커넥터 조립체
CN110088990B (zh) 接触装置和接触系统
KR20060115925A (ko) 개선된 접촉자 정지부를 갖는 전기 커넥터 하우징 및 상기하우징을 구비한 전기 커넥터
CN107453098B (zh) 电连接器
JP6765006B2 (ja) 電気プラグ型コネクタの装置、ならびにコンタクトハウジング、外側ハウジング、および固定要素を有するプラグ型コネクタ
KR20160123865A (ko) 커넥터용 스페이서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EP3993175A1 (en) Sealed connector housing for an angled electrical connector
US7384318B2 (en) Contact housing for an electrical plug connector
KR19980024729A (ko) 전기 커넥터 커플러
KR101875584B1 (ko) 클램프 표면 및 고정 수단을 갖는 커넥터, 카운터 커넥터 및 커넥터 조립체
CN110710061B (zh) 连接器结构
KR20220027238A (ko) 다중극 플러그 커넥터 조립체
US9627794B2 (en) Connector element having a contact module engagement
JP5661952B2 (ja) 組付けレールに固定された差込み式コネクタのシステム
CN216488792U (zh) 用于插式连接器部件的卡扣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