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4317A - 헤드기어가 구비된 견인 디스크 치료기 - Google Patents

헤드기어가 구비된 견인 디스크 치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4317A
KR20180124317A KR1020170058613A KR20170058613A KR20180124317A KR 20180124317 A KR20180124317 A KR 20180124317A KR 1020170058613 A KR1020170058613 A KR 1020170058613A KR 20170058613 A KR20170058613 A KR 20170058613A KR 20180124317 A KR20180124317 A KR 201801243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
user
back side
unit
tra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8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기
김관섭
Original Assignee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스파인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주식회사 스파인엠티 filed Critical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58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24317A/ko
Publication of KR201801243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3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s,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s for standing, sitting, laying or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2Traction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61H1/0296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71Pressure senso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헤드기어가 구비된 견인 디스크 치료기가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등지지대; 상기 등지지대의 일측에 사용자의 머리가 이동수단을 매개로 상기 등지지대에 대해 슬라이딩 되어 견인되고, 상기 등지지대의 전방을 향해 소정 각도로 경사진 헤드견인부; 사용자의 머리를 감싸도록 상기 헤드견인부에 설치된 헤드피스; 상기 이동수단을 작동시키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헤드견인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헤드견인부에 의해 견인되는 힘을 감지하는 로딩감지로드셀;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에는 사용자의 몸무게에 따라 상기 헤드견인부에 의해 견인될 수 있는 최대기준견인값이 기저장되어 있고 상기 로딩감지로드셀에 의해 감지되는 힘을 실시간으로 센싱받아 상기 최대기준견인값 이하로 상기 모터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헤드기어가 구비된 견인 디스크 치료기{Dosc traction apparatus for treatment with headgear}
본 발명은 헤드기어가 구비된 견인 디스크 치료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인체의 변화를 반영하여 능동적으로 견인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견인 디스크 치료기에 관한 것이다.
경추는 척추의 상단 부위, 인체의 경부에 있는 척추를 의미한다. 경추는 7개의 척추뼈로 이루어지고 요추와 흉추와는 달리 회전운동이나 굴곡 및 신전 운동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경추가 위치하는 목 부위, 즉 경부는 인체의 다른 부위에 비해 운동범위가 넓고 움직이는 빈도가 잦기 때문에 과도한 목근육의 경직이나 이완 현상 및 이로 인한 각종 질환(예컨대, 경추부 염좌 등)이 발생하기 쉽다.
또한, 고개를 앞으로만 숙이고 베개를 높게 베고 자는 일상생활은 목뼈의 정상적인 "C"자 곡선이 역C자로 앞쪽으로 꺾이게 되어 거북목이 되거나 일자목이 되고 가장 많이 꺾인 부위에 머리의 무게가 집중되어 그 부위의 디스크는 좁아져 마침내 목디스크 질환이 되어 어깨와 팔이 저려온다.
상기와 같은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종래 견인 디스크 치료기의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 제품들은 인체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고 피동적으로 사용자의 목을 당기는 견인 힘만 전달하였다. 이러한 피동적인 견인에 의한 치료는 척추 후종인대에 부하가 발생하게 된다.
즉, 피동적 견인힘에 의해 긴장성 반사가 발생하고 이 긴장성 반사에 의해 인체의 고유수용기를 자극하게 됨으로써 사용자의 근육에는 반사적 저항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종래의 제품들은 그 저항력을 상쇄시키지 않고 견인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또한, 종래 견인 디스크 치료기는 후두골 견인시 사용자의 턱이 들리거나 턱이 전인(chin-out) 됨으로써 후두골 압박통을 동반하게 되어 환자가 불편함을 호소하였다.
한편, 종래 견인 디스크 치료기는 어깨 고정대가 없어 치료 과정 도중 상체가 함께 끌려 올라가 효율적인 치료가 어려운 문제도 발생하였다.
상기한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20-0291295(2002.10.09 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인 치료 과정 도중 인체의 변화를 반영하지 않고 피동적으로 견인되는 점을 개선하기 위해 능동적이면서도 인체의 변화를 충분히 반영하여 효율적인 치료가 가능한 새로운 구조의 헤드기어가 구비된 견인 디스크 치료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헤드기어가 구비된 견인 디스크 치료기가 소개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등지지대; 상기 등지지대의 일측에 사용자의 머리가 이동수단을 매개로 상기 등지지대에 대해 슬라이딩 되어 견인되고, 상기 등지지대의 전방을 향해 소정 각도로 경사진 헤드견인부; 사용자의 머리를 감싸도록 상기 헤드견인부에 설치된 헤드피스; 상기 이동수단을 작동시키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헤드견인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헤드견인부에 의해 견인되는 힘을 감지하는 로딩감지로드셀;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에는 사용자의 몸무게에 따라 상기 헤드견인부에 의해 견인될 수 있는 최대기준견인값이 기저장되어 있고 상기 로딩감지로드셀에 의해 감지되는 힘을 실시간으로 센싱받아 상기 최대기준견인값 이하로 상기 모터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헤드피스의 일측에는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상기 헤드피스의 압력을 측정하는 로딩압력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에는 사용자의 몸무게에 따라 상기 헤드피스에 의해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최대기준압력값이 기저장되어 있고 상기 로딩압력센서에 의해 센싱된 압력을 실시간으로 센싱받아 상기 최대기준압력값 이하로 상기 모터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사용자의 턱 부위와 접촉하는 상기 헤드피스의 내측에는 사용자의 턱 모양에 대응되는 실리콘 패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헤드견인부에는 사용자의 후두골을 받쳐주는 보형물이 상기 헤드견인부의 슬라이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헤드피스를 중심으로 좌우에 각각 사용자의 앉은키에 맞출 수 있도록 상기 등지지대에 대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한 쌍의 어깨고정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등지지대의 상단 양 측에는 사용자의 어깨가 고정될 수 있도록 손잡이가 구비되고 상기 등지지대에 대해 소정 각도로 회전할 수 있는 한 쌍의 어깨 외회전 거치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본 발명인 헤드기어가 구비된 견인 디스크 치료기에 의한다면 아래와 같은 다양한 효과가 구현된다.
첫째, 치료 과정 도중에 사용자가 기울어지면서 후두골에 가해지는 중력의 변화를 고려하여 실시간으로 사용자의 머리를 견인하는 힘에 반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둘째, 헤드피스가 전방으로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져 턱이 들리는 현상이 미연에 방지되는 이점이 있다.
셋째, 치료 도중 상체가 함께 끌려 올라가는 현상이 미연에 방지됨은 물론 어깨에서 경추로 연결된 근육을 함께 이완시킬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가 구현된다.
도 1은 본 발명인 헤드기어가 구비된 견인 디스크 치료기가 설치되고 사용자가 이 치료기를 이용하여 치료받는 과정을 나타내는 모식도.
도 2는 본 발명인 헤드기어가 구비된 견인 디스크 치료기의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인 헤드기어가 구비된 견인 디스크 치료기의 제어부와 모터부를 포함한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인 헤드기어가 구비된 견인 디스크 치료기의 일 구성요소인 헤드피스의 측면도 및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제어부와 모터부의 작동관계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어깨고정대와 어깨 외회전 고정대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인 헤드기어가 구비된 견인 디스크 치료기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인 헤드기어가 구비된 견인 디스크 치료기가 설치되고 사용자가 이 치료기를 이용하여 치료받는 과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치료를 받고자 하는 환자(사용자)가 등지지대(100)에 누워 있는 상태로 헤드피스(300)에 의해 머리가 고정되며, 서서히 등지지대(100)가 회전함과 동시에 헤드피스(300)에 의해 고정된 머리를 상방으로 당겨 목 근육의 경직이나 이완 현상 및 이로 인한 각종 질환(예컨대, 경추부 염좌 등) 또는 목디스크 질환을 치료하게 된다.
한편, 도 2는 본 발명인 헤드기어가 구비된 견인 디스크 치료기의 다른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인 헤드기어가 구비된 견인 디스크 치료기의 제어부(500)와 모터부(400)를 포함한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헤드기어가 구비된 견인 디스크 치료기의 일 구성요소인 헤드피스(300)의 측면도 및 정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제어부(500)와 모터부(400)의 작동관계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크게, 등지지대(100), 헤드견인부(200), 헤드피스(300), 모터부(400), 제어부(500) 및 로딩감지로드셀(210)을 포함한다.
등지지대(100)는 사용자(환자)가 치료를 받기 위해 누울 수 있는 공간으로 사용자가 누운 상태에서 각 구성들이 안정적으로 구동되도록 지지한다. 이러한 등지지대(100)는 사용자가 누웠을 때 등부분을 지지하게 되는데 일정 두께와 면적을 갖는 판상 형태로 구비된다. 등지지대(100)는 사용자가 누웠을 때 편안한 착용감을 느낄 수 있도록 쿠션재질이 코팅되거나 내부에 쿠션재질이 수용될 수 있다.
등지지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치료를 받는 도중 서서히 회전하게 되면서 머리가 상방으로 당겨지게 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지면에 대해 최대 1350로 기울어지게 되면 치료가 완료된다.
한편, 헤드견인부(200)는 등지지대(100)의 일측에 슬라이딩 되어 사용자의 머리가 이동수단(110)을 매개로 등지지대(1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견인되도록 등지지대(100)에 대해 전방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견인부(200)는 환자의 머리가 놓여지는 곳으로 등지지대(100)에 대해 소정 각도로 경사진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등지지대(100)에 대해 전방으로 50만큼 경사지게 설치됨이 바람직한데 헤드견인부(200)가 등지지대(100)에 대해 전방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설치됨으로써 아래와 같은 효과가 구현된다.
종래의 견인 디스크 치료기는 회전하면서 환자를 치료하게 되는데 환자가 반사적으로 후두골 견인시 사용자의 턱이 들리거나 턱이 전인(chin-out) 됨으로써 후두골 압박통을 동반하게 되어 환자가 불편함을 호소하였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은 사용자가 반사적으로 턱을 드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등지지대(100)에 대해 전방으로 소정각도 경사지게 헤드견인부(200)를 설치하였다.
또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견인부(200)는 등지지대(100)에 대해 이동수단(110)을 매개로 등지지대(100)에 대해 슬라이딩 되어 견인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견인부(200)는 등지지대(100)에 형성된 슬롯홈을 따라 이동하는 피스톤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게 된다. 실린더는 그 길이가 신장될 수 있는 일종의 텔레스코핑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 실린더는 모터부(400)의 작동에 의해 그 길이가 가변된다. 물론, 이동수단(110)은 도 4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등지지대(100)에 대해 헤드견인부(200)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는 구성이라면 다양하게 채용될 수 있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수단(11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홈(112) 내부에 마련된 실린더(111)와 연결구(113)로 구성될 수 있다.
실린더(111)의 작동으로 이에 연결된 연결구(113) 역시 연동하여 상하로 이동하게 된다.
헤드피스(300)는 사용자의 머리를 감싸도록 헤드견인부(200)에 설치된다.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피스(300)는 선택적으로 전방을 향해 개방될 수 있고, 그 일측에는 사용자의 머리를 감싸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끈이 형성되어 있다.
다시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이동수단(110)을 작동시키는 모터부(400)와 모터부(400)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500)가 도시되어 있고, 이 모터부(400)와 제어부(500)는 이하 후술할 로딩감지로드셀(210)과 로딩압력센서(310)와 연동되어 작동된다.
모터부(400), 로딩감지로드셀(210) 및 제어부(500)의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견인부(200)의 일측에는 헤드견인부(200)에 의해 견인되는 힘을 감지하는 로딩감지로드셀(210)이 설치된다.
로딩감지로드셀(210)은 모터부(400)와 연동되어 현재 모터부(400)에 의해 견인되는 힘을 감지한다. 보다 정확하게는 견인되는 힘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반작용힘을 감지하여 견인되는 힘을 감지한다. 이는 모터부(400)의 작동에 의한 회전속도를 감지하여 그 견인되는 힘을 감지한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00)에는 사용자의 몸무게에 따라 헤드견인부(200)에 의해 견인될 수 있는 최대기준견인값이 기저장되어 있고, 로딩감지로드셀(210)에 의해 감지되는 힘을 실시간으로 센싱받아 최대기준견인값 이하로 모터부(40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치료를 받는 동안 등지지대(100)가 점점 회전하게 되는데 그 회전하는 동안 모터부(400)의 회전속도는 증가하게 되고, 회전속도의 증가로 헤드견인부(200)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를 당기는 견인힘도 증가하게 된다.
견인힘은 치료하는 도중 증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견인힘도 증가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견딜 수 있는 최대기준견인값을 제어부(500)에 미리 저장한 다음 이 최대기준견인값을 초과하지 않는 한도내에서 제어부(500)가 모터부(40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제어부(500)는 모터부(400)에 의해 센싱된 견인힘이 최대기준견인값을 초과하는 경우 모터부(400)의 작동을 정지시키거나 모터부(400)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킨다.
한편,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피스(300)의 일측에는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헤드피스(300)의 압력을 측정하는 로딩압력센서(310)가 설치된다.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헤드피스(300)의 압력을 측정하는 방식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의 안면(볼,뺨 등)과 헤드피스(300)의 내부와 접촉하는 면적을 센싱하거나 등지지대(100)가 회전하면서 사용자의 안면이 헤드피스(300) 내부를 압박하는 힘을 센싱할 수도 있다. 상기 실시 예 외에 다양한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헤드피스(300)의 압력을 측정할 수 있고, 반드시 위에 설명한 일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500)에는 사용자의 몸무게에 따라 헤드피스(300)에 의해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최대기준압력값이 기저장되어 있고, 로딩압력센서(310)에 의해 감지되는 힘을 실시간으로 센싱받아 최대기준압력값 이하로 모터부(40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치료를 받는 동안 등지지대(100)가 점점 회전하게 되는데 그 회전하는 동안 헤드피스(300)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에 가해지는 압력도 증가하게 된다.
견인힘 역시 치료하는 도중 증가하게 되고, 그에 따라 사용자의 머리에 가해지는 압력도 증가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가 견딜 수 있는 최대기준압력값을 제어부(500)에 미리 저장한 다음 이 최대기준압력값을 초과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제어부(500)가 모터부(40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제어부(500)는 로딩압력센서(310)에 의해 감지되는 압력값을 센싱받아 최대기준압력값을 초과하는 경우 모터부(400)의 작동을 정지시키거나 모터부(400)의 회전속도를 감소시킨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턱 부위와 접촉하는 헤드피스(300)의 내측에는 사용자의 턱 모양에 대응되는 실리콘 패드(600)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환자가 치료받는 도중 헤드피스(300)에 의한 압박 및 피로도를 감소시키기 위해 본 발명은 턱 부위와 접촉하는 헤드피스(300)의 내측에는 사용자의 턱 모양에 대응되는 실리콘 패드(600)가 형성되었다. 실리콘 패드(600)의 형상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턱이 헤드피스(300)에 지속적으로 접촉된 상태에서 압박되는 것을 방지하는 형상이라면 다양한 부피 및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견인부(200)에는 사용자의 후두골을 받쳐주는 보형물(700)이 헤드견인부(200)의 슬라이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형물(700)은 사용자가 등지지대(100)에 누웠을 때 사용자의 목을 지지한다. 보형물(700)은 헤드견인부(200)에 의해 사용자의 머리를 당겼을 때 목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로 안정적으로 위치하도록 지지한다.
한편,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구성요소인 어깨고정대(800)와 어깨 외회전 고정대를 나타내는 구성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피스(300)를 중심으로 좌우에 각각 사용자의 앉은키에 맞출 수 있도록 등지지대(100)에 대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한 쌍의 어깨고정대(8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반적인 경추 견인치료에 있어서 사용자의 머리를 당기는 과정 중에 사용자의 상체가 함께 끌려 올라가는 현상이 발생하는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환자의 앉은 키에 맞춰 어깨를 고정할 수 있도록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피스(300)를 중심으로 좌우에 각각 사용자의 앉은키에 맞출 수 있도록 등지지대(100)에 대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한 쌍의 어깨고정대(800)가 설치하였다.
도면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어깨고정대(800)는 등지지대(100)의 상부에서 상하로 이동할 수 있도록 어깨고정대(800)가 위치하는 등지지대(100)에 등지지대(100)의 내부로 소정 길이의 가이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어깨고정대(800)에는 이 가이드를 따라 승강될 수 있는 소정길이의 가이드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등지지대(100)의 상단 양 측에는 사용자의 어깨가 고정될 수 있도록 손잡이(910)가 구비되고 등지지대(100)에 대해 소정 각도로 회전할 수 있는 한 쌍의 어깨 외회전 거치대(9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경추 디스크시 동반되는 오십견과 같은 어깨질환을 예방할 수 있도록 어깨 외회전 거치대(900)를 마련하였고, 후두골 견인과 동시에 어깨에서 경추로 연결된 근육을 함께 이완시키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헤드기어가 구비된 견인 디스크 치료기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등지지대 110 : 이동수단
200 : 헤드견인부 210 : 로딩감지로드셀
300 : 헤드피스 310 : 로딩압력센서
400 : 모터부 500 : 제어부
600 : 실리콘 패드 700 : 보형물
800 : 어깨고정대 900 : 어깨 외회전 거치대
910 : 손잡이

Claims (6)

  1. 등지지대;
    상기 등지지대의 일측에 사용자의 머리가 이동수단을 매개로 상기 등지지대에 대해 슬라이딩 되어 견인되고, 상기 등지지대의 전방을 향해 소정 각도로 경사진 헤드견인부;
    사용자의 머리를 감싸도록 상기 헤드견인부에 설치된 헤드피스;
    상기 이동수단을 작동시키는 모터부와 상기 모터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헤드견인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헤드견인부에 의해 견인되는 힘을 감지하는 로딩감지로드셀;을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에는 사용자의 몸무게에 따라 상기 헤드견인부에 의해 견인될 수 있는 최대기준견인값이 기저장되어 있고 상기 로딩감지로드셀에 의해 감지되는 힘을 실시간으로 센싱받아 상기 최대기준견인값 이하로 상기 모터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기어가 구비된 견인 디스크 치료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헤드피스의 일측에는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상기 헤드피스의 압력을 측정하는 로딩압력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에는 사용자의 몸무게에 따라 상기 헤드피스에 의해 사용자에게 가해지는 최대기준압력값이 기저장되어 있고 상기 로딩압력센서에 의해 센싱된 압력을 실시간으로 센싱받아 상기 최대기준압력값 이하로 상기 모터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기어가 구비된 견인 디스크 치료기.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사용자의 턱 부위와 접촉하는 상기 헤드피스의 내측에는 사용자의 턱 모양에 대응되는 실리콘 패드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기어가 구비된 견인 디스크 치료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헤드견인부에는 사용자의 후두골을 받쳐주는 보형물이 상기 헤드견인부의 슬라이딩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소정 길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기어가 구비된 견인 디스크 치료기.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헤드피스를 중심으로 좌우에 각각 사용자의 앉은키에 맞출 수 있도록 상기 등지지대에 대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는 한 쌍의 어깨고정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기어가 구비된 견인 디스크 치료기.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등지지대의 상단 양 측에는 사용자의 어깨가 고정될 수 있도록 손잡이가 구비되고 상기 등지지대에 대해 소정 각도로 회전할 수 있는 한 쌍의 어깨 외회전 거치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드기어가 구비된 견인 디스크 치료기.
KR1020170058613A 2017-05-11 2017-05-11 헤드기어가 구비된 견인 디스크 치료기 KR201801243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613A KR20180124317A (ko) 2017-05-11 2017-05-11 헤드기어가 구비된 견인 디스크 치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8613A KR20180124317A (ko) 2017-05-11 2017-05-11 헤드기어가 구비된 견인 디스크 치료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317A true KR20180124317A (ko) 2018-11-21

Family

ID=64602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8613A KR20180124317A (ko) 2017-05-11 2017-05-11 헤드기어가 구비된 견인 디스크 치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2431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9388B1 (ko) * 2019-09-16 2020-09-23 주식회사 메드랩 다중면 다축 척추치료 시스템
KR102274883B1 (ko) * 2019-12-31 2021-07-08 주식회사 메드랩 멀티교정형 척추치료 시스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9388B1 (ko) * 2019-09-16 2020-09-23 주식회사 메드랩 다중면 다축 척추치료 시스템
KR102274883B1 (ko) * 2019-12-31 2021-07-08 주식회사 메드랩 멀티교정형 척추치료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4974B2 (en) Recliner spinal traction device
US9730854B2 (en) System for dynamically adjusting treatment angle under tension to accommodate variations in spinal morphology
KR101865480B1 (ko) 경추의 정상만곡 및 이완을 위한 의료용 경추견인기기
KR101432648B1 (ko) 체중을 이용한 요추 감압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706587B1 (ko) 순차적 3단계 척추견인 기법을 이용한 척추견인장치 및 그 제어 방법,기록매체
KR102462616B1 (ko) 목 어깨 재활치료 장치
US20050010152A1 (en) Cervical distraction device
KR20130107762A (ko) 척추측만증 교정 운동치료기
KR20180081342A (ko) 경추 견인장치
KR101639730B1 (ko) 골반교정 및 자세균형능력 증진을 위한 골반 교정 운동 장치
KR20160010790A (ko) 경추 견인 및 근력 강화장치
JP2006345882A (ja) 牽引装置
KR20180124317A (ko) 헤드기어가 구비된 견인 디스크 치료기
CN103239312B (zh) 一种用于非手术脊柱治疗设备的床体
WO2007027573A2 (en) Lumbar lordosis brace
CN109330818A (zh) 一种神经内科用的缓解神经痛的按摩椅
KR101809627B1 (ko) 데이터 분류를 통한 최적의 치료 환경을 제공하는 척추재활치료기
JP5564660B2 (ja) 牽引治療装置
KR102263425B1 (ko) 침대형 안마 장비
KR102006783B1 (ko) 자가 견인 의료기기
KR20220078015A (ko) 사용자 신체 맞춤형 요추 견인기
JP2017070427A (ja) 支持装置
KR101791935B1 (ko) 발마사지기를 구비한 치과 진료용 유니트 체어
KR20200117727A (ko) 거북목 증후군 예방 및 치료 장치
KR101454392B1 (ko) 지압 베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