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91935B1 - 발마사지기를 구비한 치과 진료용 유니트 체어 - Google Patents

발마사지기를 구비한 치과 진료용 유니트 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1935B1
KR101791935B1 KR1020160091072A KR20160091072A KR101791935B1 KR 101791935 B1 KR101791935 B1 KR 101791935B1 KR 1020160091072 A KR1020160091072 A KR 1020160091072A KR 20160091072 A KR20160091072 A KR 20160091072A KR 101791935 B1 KR101791935 B1 KR 101791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hair
acupressure
control
foot m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910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화
Original Assignee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910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193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1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1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02Chairs with means to adjust position of patient; Controls therefor
    • A61G15/08Chairs with means to adjust position of patient; Controls therefor associated with seats for the surgeon or denti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15/00Operating chairs; Dental chair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e.g. work stands
    • A61G15/14Dental work stand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39/00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specific reflex points of the body for physical therapy, e.g. acupuncture
    • A61H39/04Devices for pressing such points, e.g. Shiatsu or Acu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9Seat or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25Sitting on the buttocks
    • A61H2203/0431Sitting on the buttocks in 90°/90°-position, like on a ch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 A61H2205/125Foot reflex zon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마사지기를 구비한 치과 진료용 유니트 체어는 체어부; 및 상기 체어부에 결합된 발마사지기;를 포함하고, 상기 체어부는, 체어조절베이스, 시트부, 백레스트부, 상기 시트부의 상단과 상기 백레스트부의 하단을 서로 연결하는 제1 체어연결부, 상기 시트부의 하단과 상기 발마사지기를 서로 연결하는 제2 체어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마사지기는, 내부에 배치되어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복수의 지압유닛, 상기 지압유닛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지압제어구동부, 상기 지압제어구동부를 제어하는 발마사지제어부 및 발마사지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어부는 상기 시트부 및 상기 백레스트부 중 적어도 하나의 경사각에 기초하여 생성된 지압조절신호를 상기 발마사지통신부로 전송하고, 상기 발마사지제어부는 수신된 상기 지압조절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지압유닛에 제공하는 구동력을 조절하는 발마사지기를 구비한 치과 진료용 유니트 체어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발마사지기를 구비한 치과 진료용 유니트 체어{Unit chair for dental treatment including device for foot}
본 발명은 치과에서 사용하는 유니트 체어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발마사지기를 구비한 유니트 체어에 관한 것이다.
치과 진료용 의료 장비로는 환자에게 편안한 진료를 제공할 수 있도록 유니트 체어가 필수적으로 구비된다.
치과 진료 환자에게 좋은 진료 환경을 제공하기 위하여 유니트 체어는 꾸준히 발전해 왔고, 최근 유니트 체어는 사람의 인체의 특징을 고려하여 환자의 편안함을 극대화 시키기 위한 인체공학적 디자인을 채택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치료중인 환자가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도록 등 부분에 안마를 제공하는 안마장치를 구비한 선행기술로써 미국출원공개공보(출원번호: 10/379275)의 치과용 의자의 등 부분에 안마 장치를 부가한 기술이 소개되고 있다.
다만, 환자의 상체에 안마 기능을 제공함에 따라, 환자의 상체와 가까운 구강 영역을 진료할 때, 환자의 흔들림에 따라 진료가 방해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환자에게 안마 기능을 제공하면서도 진료에 방해가 되지 않는 안마 장치를 구비한 유니트 체어에 대한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치과 진료는 환자에게 큰 통증을 가할 수 있는 의료 행위 중 하나로써, 통증을 분산할 수 있는 유니트 체어의 개발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미국출원공개공보(출원번호: 10/379275)
본 발명은 치과 진료 행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환자의 발을 마사지 할 수 있는 유니트 체어를 제공하고, 신체의 영역 중에서도 민감도가 높은 발에 강도 높은 지압을 제공하여 치과 진료에 따른 고통을 분산할 수 있는 유니트 체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마사지기를 구비한 치과 진료용 유니트 체어는 체어부; 및 상기 체어부에 결합된 발마사지기;를 포함하고, 상기 체어부는, 체어조절베이스와, 시트부와, 백레스트부와, 상기 체어조절베이스와 상기 시트부를 연결하는 제1 체어연결부와, 상기 시트부와 상기 백레스트부를 연결하는 제2 체어연결부와, 상기 시트부와 상기 발마사지기를 연결하는 제3 체어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마사지기는, 내부에 배치되어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복수의 지압유닛, 상기 지압유닛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지압제어구동부, 상기 지압제어구동부를 제어하는 발마사지제어부 및 발마사지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어부는 상기 시트부 및 상기 백레스트부 중 적어도 하나의 경사각에 기초하여 생성된 지압조절신호를 상기 발마사지통신부로 전송하고, 상기 발마사지제어부는 수신된 상기 지압조절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지압유닛에 제공하는 구동력을 조절하는 발마사지기를 구비한 치과 진료용 유니트 체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마사지기를 구비한 치과 진료용 유니트 체어의 상기 백레스트부가 지면으로부터의 경사각이 기 설정범위 이내로 줄어드는 경우, 상기 발마사지제어부는 상기 지압조절신호를 상기 발마사지기로 제공하고, 상기 지압조절신호를 수신한 상기 발마사지기는 상기 지압유닛의 왕복 운동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발마사지기를 구비한 치과 진료용 유니트 체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마사지기를 구비한 치과 진료용 유니트 체어의 상기 체어조절베이스는, 상기 제1 및 제2 체어연결부 각각을 제어하여 상기 시트부 및 상기 백레스트부의 높낮이와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체어조절베이스구동부, 상기 체어조절베이스구동부를 제어하는 체어조절베이스제어부 및 상기 지압조절신호를 상기 발마시지통신부로 제공하는 체어조절베이스통신부를 포함하는 발마사지기를 구비한 치과 진료용 유니트 체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마사지기를 구비한 치과 진료용 유니트 체어는 복수의 진료 기구가 거치되는 메인테이블장치; 및 통증완화컨트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테이블장치는 메인테이블제어부, 메인테이블통신부 및 상기 진료 기구로 전원을 공급하는 진료기구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테이블제어부는 상기 진료 기구의 구동이 감지되는 경우, 진동제어신호를 상기 통증완화컨트롤부로 전송하고, 상기 진동제어신호를 수신한 상기 통증완화컨트롤부는 진동하는 발마사지기를 구비한 치과 진료용 유니트 체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마사지기를 구비한 치과 진료용 유니트 체어의 상기 통증완화컨트롤부는, 상기 진동을 생성하는 진동생성부, 통증완화컨트롤통신부 및 제어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버튼이 조작되는 경우, 상기 통증완화컨트롤통신부로부터 통증완화지압조절신호가 상기 발마사지기로 전송되고, 상기 발마사지기는, 상기 통증완화지압조절신호에 기초하여 지압유닛에 제공하는 구동력을 조절하는 발마사지기를 구비한 치과 진료용 유니트 체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마사지기를 구비한 치과 진료용 유니트 체어의 상기 발마사지기는, 상기 환자의 발이 수납되는 발수납부, 상기 지압유닛의 왕복 운동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지압제어구동부, 상기 지압제어구동부를 제어하는 발마사지제어부, 및 상기 지압조절신호와 상기 통증완화지압조절신호를 수신하는 발마사지통신부를 포함하는 발마사지기를 구비한 치과 진료용 유니트 체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마사지기를 구비한 치과 진료용 유니트 체어의 상기 지압유닛은 상부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지압봉을 포함하는 발마사지기를 구비한 치과 진료용 유니트 체어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마사지기를 구비한 치과 진료용 유니트 체어는 유니트 체어에 앉거나 누워있는 환자에게 발마사지를 제공하여 치료 중인 환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하고 긴장감을 완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치과 진료 중에 통증이 유발되는 진료가 진행될 때, 환자에게 이를 알리고, 환자 스스로 발마사지기의 지압을 제어함으로써, 환자가 느끼는 통증을 분산할 수 있는 유니트 체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마사지기를 구비한 유니트 체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발마사지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발마사지기의 내부의 바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체어조절베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5는 발마사지기의 블록도이다.
도 6은 메인테이블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은 통증완화컨트롤부의 블록도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마사지기의 바닥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 진료용 유니트 체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 진료용 유니트 체어의 열선매트의 구성도이다.
도 12는 환자의 상반신의 가슴을 영역별로 구분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환자의 상반신이 열선매트에 위치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제2 세로열선과 열집중감지부의 상세도이다.
도 15는 제2 세로 열선을 열선매트를 상부측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16은 열집중감지부의 일 측면도이다.
도 17은 열집중감지부의 타 측면도이다.
도 18은 열집중감지부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유동플레이트가 아래로 움직일 때의 절연스프링의 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유동플레이트의 상면도의 일부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발마사지기를 구비한 치과 진료용 유니트 체어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마사지기를 구비한 유니트 체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마사지기를 구비한 치과 진료용 유니트 체어(10)는 체어부(100) 및 상기 체어부(100)에 결합된 발마사지기(5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발마사지기를 구비한 치과 진료용 유니트 체어(10)는 메인테이블장치(200), 보조테이블장치(300), 급수유니트(400) 및 통증완화컨트롤부(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체어부(100)는 체어조절베이스(110), 환자의 하반신에 대응하여 환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시트부(120), 환자의 상반신에 대응하여 환자의 상체를 지지하는 백레스트부(130), 환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부(140), 제1 체어연결부(160), 제2 체어연결부(150) 및 제3 체어연결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어연결부(160)는 체어조절베이스(110)와 시트부(120)를 연결하고, 제2 체어연결부(150)는 상기 시트부(120)와 백레스트부(130)를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제3 체어연결부(170)는 시트부(120)와 발마사지기(500)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체어조절베이스(110)는 제1 체어연결부(160)를 제어하여 시트부(12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상기 체어조절베이스(110)는 제1 및 제2 체어연결부(160, 150)의 움직임을 제어하여 시트부(120)의 와 백레스트부(130) 각각의 경사각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체어조절베이스(110)는 제3 체어연결부(170)의 움직임을 제어하여 발마사지기(500)가 상기 시트부(120)를 중심으로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체어조절베이스(110)는 제1 내지 제3 체어연결부(160, 150, 170)의 움직임을 제어하기 위한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메인테이블장치(200)는 메인테이블연결암(210) 및 메인테이블(220)을 포함할 수 있다.
메인테이블연결암(210)은 급수유니트(400) 또는 체어조절베이스(110)로부터 연장되어, 메인테이블(220)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메인테이블연결암(210)은 복수의 암으로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암의 연결 부위를 중심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 움직임을 할 수 있어, 상기 메인테이블(220)은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메인테이블(220)에는 버튼식 또는 터치식 입력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메인기구홀더(221)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기구홀더(221)에는 핸드피스, 터빈, 모터, 스케일러, 구상 카메라 등의 진료기구(230)가 거치될 수 있다.
보조테이블장치(300)는 보조테이블연결암(310) 및 보조테이블(320)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테이블연결암(310)은 급수유니트(400) 또는 체어조절베이스(110)로부터 연장되어, 보조테이블(320)에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보조테이블연결암(310)은 복수의 암으로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암의 연결 부위를 중심으로 서로 독립적으로 회전 움직임을 할 수 있어, 상기 보조테이블(320)은 다양한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할 수 있다.
보조테이블(320)에는 버튼식 또는 터치식 입력장치와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보조기구홀더(321)를 포함할 수 있다.
보조기구홀더(331)에는 석션, 흡입기 등의 진료기구가 거치될 수 있다.
급수유니트(400)는 체어조절베이스(110)로부터 상부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급수기(410) 및 배수구(4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발마사지기의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발마사지기의 내부의 바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4는 체어조절베이스의 블록도이고, 도 5는 발마사지기의 블록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마사지기를 구비한 치과 진료용 유니트 체어(10)의 발마사지기(500)는, 내부에 배치되어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복수의 지압유닛(521), 상기 지압유닛(521)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지압제어구동부(530), 상기 지압제어구동부(530)를 제어하는 발마사지제어부(540) 및 발마사지통신부(550)를 포함하고, 상기 체어부(100)는 상기 시트부(120) 및 상기 백레스트부(130) 중 적어도 하나의 경사각에 기초하여 생성된 지압조절신호를 상기 발마사지통신부(550)로 전송하고, 상기 발마사지제어부(540)는 수신된 상기 지압조절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지압유닛(521)에 제공하는 구동력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백레스트부(130)가 지면으로부터의 경사각이 기 설정범위 이내로 줄어드는 경우, 상기 발마사지제어부(540)는 상기 지압조절신호를 상기 발마사지기(500)로 제공하고, 상기 지압조절신호를 수신한 상기 발마사지기(500)는 상기 지압유닛(521)의 왕복 운동의 길이를 증가시켜 환자의 발바닥에 보다 강한 압력을 제공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마사지기를 구비한 치과 진료용 유니트 체어(10)의 발마사지기(500)는 발수납부(510), 지압부(520) 및 지압제어구동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발수납부(510)는 유니트 체어(10)에 앉은 환자의 한쪽 발이 수납되는 구성으로써, 발 모양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발수납부(510)는 사용자의 발과 발목을 커버할 수 있다.
지압부(520)는 사용자의 발 바닥에 지압을 가할 수 있고, 지압제어구동부(530)의 제어 하에 환자의 발 바닥과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또는 발 바닥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직선 운동할 수 있다.
지압부(520)는 복수개의 지압유닛(521)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개의 지압유닛(521)은 서로 접촉한 상태로 모든 지압유닛(521)의 상부면은 동일 평면을 가질 수 있고, 상기 복수개의 지압유닛(521)들 각각은 서로 독립적으로 직선 운동할 수 있다.
지압제어구동부(530)는 복수개의 제어유닛(531)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개의 제어유닛(531)들 각각은 각각에 마주하는 지압유닛(521)들 각각을 독립적으로 직선 운동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복수개의 제어유닛(531) 각각은 직선운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직선운동모터의 구동에 따라 지압유닛(521)들 각각은 직선 운동하여 환자의 발바닥에 지압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지압유닛(521)들 각각은 상부면에서 환자의 발 바닥 방향으로 돌출된 적어도 하나의 지압봉(52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체어조절베이스(110)는 제1 체어연결부(160), 제2 체어연결부(150), 제3 체어연결부(170)를 제어하는 구동부(111), 상기 구동부(111)에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체어조절베이스구동부(111)가 상기 제1 체어연결부(160), 제2 체어연결부(150) 및 제3 체어연결부(170)의 움직임을 제어하도록 하는 체어조절베이스제어부(112) 및 체어조절베이스통신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체어조절베이스통신부(113)는 외부로부터 수신되는 체어조절신호를 체어조절베이스제어부(112)로 전송하고, 상기 체어조절베이스제어부(112)는 체어조절신호에 기초하여 제1 체어연결부(160), 제2 체어연결부(150) 및 제3 체어연결부(170) 중 적어도 하나가 제어될 수 있도록 체어조절베이스구동부(111)를 구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체어조절베이스구동부(111)의 구동에 따라서 시트부(120), 백레스트부(130) 및 발마사지기(500) 중 적어도 하나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체어조절신호는 메인테이블장치(200)에 구비된 입력 장치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 신호에 대응하여 상기 메인테이블장치(200)에서 생성된 신호가 될 수 있다.
또한 체어조절베이스제어부(112)는 수신된 체어조절신호에 기초하여 지압조절신호를 발마사지기(500)로 전송할 수 있다.
체어조절베이스제어부(112)는 수신된 체어조절신호에 기초하여 시트부(120)의 경사각이 기 설정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지압조절신호를 발마사지기(500)로 전송할 수 있다. 만약 체어조절신호에 따라서 시트부(120)의 경사각이 조절되어 상기 시트부(120)의 상단 영역이 아래로 향하고, 반대로 하단 영역이 위로 상승할 때 형성되는 상기 시트부(120)의 경사각이 기 설정 범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체어조절베이스제어부(112)는 체어조절베이스통신부(113)를 통해 지압조절신호를 발마사지기(5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발마사지기(500)는 복수개의 지압유닛들 각각을 제어하는 복수개의 지압제어구동부(530)와 상기 지압제어구동부(530)에 지압유닛구동제어신호를 전송하여 상기 지압제어구동부(530)들 각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하는 발마사지제어부(540) 및 발마사지통신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발마사지제어부(540)는 발마사지통신부(550)를 통해 체어조절베이스통신부(113)로부터 수신되는 지압조절신호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지압제어구동부(530)들 각각을 독립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발마사지제어부(540)는 발마사지통신부(550)를 통해 체어조절베이스통신부(113)로부터 지압조절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복수개의 지압유닛(521)의 직선운동의 폭을 기 설정치 만큼 증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메인테이블장치(200)로부터 전송된 체어조절신호를 수신한 체어조절베이스(110)가 시트부(120) 및 백레스트부(130)의 경사각을 조절하고, 기 설정 범위의 경사각, 예를 들어 지면으로부터 시트부(120) 및 백레스트부(130)가 이루는 각이 기 설정 범위만큼 줄어드는 경우 체어부(100)에 착석한 환자는 누워 있는 상태가 되고, 이 때 발마사지기(500) 내에 위치한 환자의 발과 지압부(520)와의 접촉 압력이 줄어들게 된다. 이 경우, 지압조절신호에 기초하여 지압유닛(521)의 직선윤동의 폭을 증가시킴에 따라 발수납부(510) 내에서 헐거워진 환자의 발에 가해지는 지압효과를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도 6은 메인테이블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메인테이블장치(200)는 메인테이블제어부(201), 메인테이블통신부(202) 그리고 진료기구전원공급부(203)를 포함할 수 있다.
진료기구전원공급부(203)는 메인기구홀더(221)에 거치된 진료기구(230)의 구동을 위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메인테이블제어부(201)는 메인기구홀더(221)에 거치된 진료기구(230) 중 미리 정해진 진료기구의 구동이 감지되는 경우, 메인테이블통신부(202)를 통하여 진동제어신호를 통증완화컨트롤부(6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의 미리 정해진 진료기구란 환자를 치료할 때 쓰이는 진료기구 중에서 통증을 유발할 수 있는 진료기구가 될 수 있고, 사용자가 메인테이블장치(200)에 마련된 입력 수단을 통해서 미리 설정한 진료기구가 될 수 있다.
도 7은 통증완화컨트롤부의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통증완화컨트롤부(600)는 진동생성부(601), 통증완화컨트롤통신부(602) 및 제어버튼(603)을 포함할 수 있다.
진동생성부(601)는 메인테이블장치(200)로부터의 진동제어신호를 통증완화컨트롤통신부(602)를 통해 수신하는 경우, 진동을 생성하여 통증완화컨트롤부(600)가 진동하도록 할 수 있다.
환자는 통증완화컨트롤부(600)를 잡은 상태에서 상기 통증완화컨트롤부(600)의 진동이 느껴지는 경우, 제어버튼(603)를 조작할 수 있고, 상기 제어버튼(603)이 조작되는 경우, 상기 통증완화컨트롤부(600)는 통증완화지압조절신호를 발마시지기(500)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어버튼(603)은 상기 통증완화컨트롤부(600)가 진동하는 경우에만 활성화되어, 환자가 상기 제어버튼(603)을 조작 시 조작에 따른 통증완화지압조절신호를 발마시지기(500)로 전송될 수 있다.
발마사지기(500)는 발마사지통신부(550)를 통해 통증완화지압조절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발마사지제어부(540)는 지압제어구동부(530)를 제어하여, 복수개의 지압유닛(521) 중에서 미리 정해진 지압유닛(521)이 직선 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즉, 메인테이블장치(200)로부터 발마사지로부터 마사지구동신호를 수신한 발마사지기(500)가 복수의 지압유닛(521) 중에서 일부 지압유닛을 구동하고, 나머지 지압유닛은 통증완화지압조절신호가 수신될 때만 구동할 수 있다.
이 경우, 나머지 지압유닛의 지압봉은 다른 지압유닛 상의 지압봉에 비하여 둘레가 더 작을 수 있어, 환자의 발바닥에 더 강한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마사지기의 바닥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발마사지기(500)는 발수납부(510)의 내부 바닥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지압유닛(521)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압유닛(521)은 제1 및 제2 지압유닛(521a, 521b)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압유닛(521)은 발수납부(510)의 내부 바닥부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진 제1 지압유닛(521a)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지압유닛(521a)은 적어도 하나의 홀을 구비할 수 있고, 상기 홀에는 상기 제2 지압유닛(521b)이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지압유닛(521a)과 제2 지압유닛(521b)은 상호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다.
지압유닛(521)에는 복수개의 지압봉(522)이 실장될 수 있다. 상기 지압봉(522)은 원 기둥 형상의 제1 및 제2 지압봉(522a, 522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지압봉(522a)의 둘레의 길이는 제2 지압봉(522b)의 둘레의 길이보다 클 수 있다.
제1 지압봉(522a)은 제1 지압유닛(521a)에 복수개로 실장되고, 제2 지압봉(522b)는 제2 지압유닛(521b)에 복수개로 실장될 수 있다.
발마사지기(500)는 메인테이블장치(200)로부터 마사자구동신호를 수신한 경우, 제1 지압유닛(521a)을 구동시켜 제1 지압봉(522a)가 환자의 발바닥에 지압을 제공하도록 할 수 있고, 체어조절베이스(110)로부터 지압조절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1 지압유닛(521a)의 왕복운동의 폭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발마사지기(500)는 통증완화컨트롤부(600)로부터 통증완화지압조절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제2 지압유닛(521b)을 구동시켜 환자의 발 바닥의 일부 영역에 강한 자극의 지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발마사지기(500)는 통증완화지압조절신호가 수신되는 경우, 이전에 지압조절신호의 수신 여부를 확인하고, 상기 지압조절신호가 수신된 경우, 상기 제2 지압유닛(521b)의 왕복운동의 폭을 증가시킨 상태에서 구동시킬 수 있다.
환자는 진료기구(230) 중에서 통증을 유발할 수 있는 진료기구에 대한 지식이 없어도 통증완화컨트롤부(600)의 진동을 통해 통증 유발 가능성을 미리 확인할 수 있고, 통증완화컨트롤부(600)가 진동하는 경우, 환자가 제어버튼(603)의 조작을 통해 발마사지기(500)의 제2 지압유닛(521b)을 구동시켜, 자신의 발바닥에 더 강한 자극을 제공함으로써, 치과 진료에 따른 통증을 분산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 진료용 유니트 체어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마사지기를 구비한 치과 진료용 유니트 체어(10)는 체어부(100)에 부착된 열선매트(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열선매트(700)는 상기 체어부(100)에 탈 부착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열선매트(700)는 백레스트부(130)의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환자가 체어부(100)에 착석 시 환자의 상반신의 등 부위는 상기 열선매트(700)에 접촉할 수 있고, 상기 열선매트(700)로부터 전달되는 열을 통해 상기 환자의 상반신에 보온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열선매트(700)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상기 백레스트부(130) 외에도 시트부(120)의 전면에도 부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시트부(120)에 부착된 열선매트(700)는 환자의 하반신에 온열 마사지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발마사지기를 구비한 치과 진료용 유니트 체어의 열선매트의 구성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환자의 상반신의 가슴을 영역별로 구분하여 나타낸 도면이고, 도 13은 환자의 상반신이 열선매트에 위치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14는 제2 세로열선과 열집중감지부의 상세도이다.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열선매트(700)는 제1 열선제어부(701), 상기 제1 열선제어부(701)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발열하는 제1 열선(703), 상기 열선매트(700)의 영역 중 열집중영역을 감지하는 열집중감지부(740) 및 상기 열집중감지부(740)의 감지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열선(703)의 일부 영역의 열선의 전류 공급 여부를 제어하는 전류제어스위치(75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열집중영역은 열선매트(700)의 영역 중에서 유동플레이트(770)가 배치되는 영역일 수 있다.
또한 열선매트(700)는 제2 열선제어부(702)와 상기 제2 열선제어부(702)와 연결된 제2 열선(704)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열선제어부(701)와 상기 제1 열선(703)은 열선매트(700)의 상단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열선제어부(702)와 상기 제2 열선(704)은 상기 열선매트(700)의 하단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 열선제어부(701)와 상기 제1 열선(703)은 상기 제2 열선제어부(702) 및 상기 제2 열선(704)과 서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열선(703)은 상기 제1 열선제어부(701)로부터 각각 연장된 제1 및 제2 연장열선(711, 712), 상기 제1 연장열선(711)으로부터 연장된 제1 가로열선(721), 상기 제1 가로열선(721)의 제1 영역에 일단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세로열선(731), 상기 제1 가로열선(721)의 제2 영역에 일단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세로열선(732) 및 상기 제1 및 제2 세로열선(731, 732) 각각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연장열선(712)에 연결된 제2 가로열선(72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열선(703)의 상기 제2 가로열선(722)은 제3 가로열선(723)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연장열선(712)과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류제어스위치(750)는 상기 제1 가로열선(721)의 영역 중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영역에 배치되고, 제1 열선제어부(701)는 상기 전류제어스위치(750)를 제어하여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의 전류 도통 및 차단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열선매트(700)는 제1 및 제2 가로열선(721, 722) 및 상기 제1 세로열선(731)이 수납되고 상기 제1 및 제2 가로열선(721, 722) 및 상기 제1 세로열선(731)을 고정 및 지지하는 고정플레이트 및 상기 제2 세로열선(732)이 수납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760)와는 분리된 유동플레이트(7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열집중감지부(740)는 상기 유동플레이트(770)의 배면 가장자리 영역을 지지하는 절연스프링(777) 및 상기 절연스프링(777)이 기 설정범위 내로 수축되는 경우, 상기 절연스프링(777)으로부터의 탄성력에 의해 턴온되는 플레이트유동감지스위치(779)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절연스프링(777)은 유동플레이트의 배면 일 측을 지지하는 제1 절연 스프링(777a)과 상기 유동플레이트의 배면 타 측을 지지하는 제2 절연스프링(777b)을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유동감지스위치(779)는 상기 제1 절연스프링(777a)의 탄성력에 의해 턴온되는 제1 플레이트유동감지스위치(779a) 및 상기 제2 절연스프링(777b)의 탄성력에 의해 턴온되는 제2 플레이트유동감지스위치(779b)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세로열선(732)은 상기 열선매트(700)의 영역 중 환자의 어깨 영역(21, 23)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각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열선매트(700)는 제1 열선제어부(701)와 상기 제1 열선제어부(701)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발열하는 제1 열선(703) 그리고 제2 열선제어부(702)와 상기 제2 열선제어부(702)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발열하는 제2 열선(704)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열선제어부(701)는 열선매트(700)의 최 상단 영역에 배치되고, 제2 열선제어부(702)는 열선매트(700)의 최 하단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열선제어부(701)는 열선매트(700)의 최 상단 영역 중 중앙 영역에 배치되고, 제2 열선제어부(702)는 열선매트(700)의 최 하단 영역 중 중앙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열선(703)은 열선매트(7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단 영역에 배치되고, 제2 열선(704)은 상기 열선매트(700)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단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열선(703)은 열선매트(70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단 영역에 배치되되, 상단 영역 전체에 걸쳐 배치될 수 있고, 제2 열선(704)은 상기 열선매트(700)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단 영역에 배치되되, 하단 영역 전체에 걸쳐 배치될 수 있다.
제1 열선(703)은 연장열선(710)과 가로열선(720) 및 세로열선(730)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열선(710)은 제1 및 제2 연장열선(711, 712)을 포함할 수 있다.
가로열선(720)은 제1 가로열선(721)과 제2 가로열선(722)을 포함할 수 있다.
세로열선(730)은 제1 세로열선(731)과 제2 세로열선(7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장열선(711)은 제1 열선제어부(701)로부터 열선매트(700)의 하단 영역을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제1 연장열선(711)은 열선매트(700)의 중심점(C)을 교차하고 지면과 수평한 수평선(H)과 수직선(V)을 기준으로 구분된 제1 내지 제4 분면(a, b, c, d) 중에서 제1 사분면(a)에 배치되되 수직선(V)과 근접하며 상기 수직선(V)에 평행하게 제1 열선제어부(70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2 연장열선(712)은 제2 사분면(b)에 배치되고, 수직선(V)에 인접하며 상기 수직선(V)에 평행하게 제1 열선제어부(70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제1 가로열선(721)은 제1 사분면(a)에 배치되고, 수평선(H)에 수평하게 수직선(V)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상기 제1 연장열선(711)으로부터 상기 제1 연장열선(711)과 수직하게 상기 제1 사분면(a)의 가장자리 영역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2 가로열선(722)은 제1 및 제2 사분면(a, b)에 배치되고, 제1 사분면(a)의 가장자리 영역에서부터 제2 사분면(b)의 가장자리 영역까지 연장될 수 있고, 수평선(H)에 평행하게 연장되고, 상기 수평선(H)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가로열선(722)은 제1 가로열선(721)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가로 열선(721, 722, 723) 및 제2 세로 열선(732) 중에서도 최 외각의 제2 세로 열선은 전체로써 원턴으로 열선매트(700)의 상부 영역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세로열선(731)은 수직선(V)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세로열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복수개의 제1 세로열선(731)은 수직선(V)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가로열선(721)과 제2 가로열선(722)을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제2 세로열선(732)은 수직선(V)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서로 이격된 복수개의 세로열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복수개의 제2 세로열선(732)은 수직선(V)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열선매트(700)의 가장자리까지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세로열선(732)은 제1 세로열선(731)에 이어서 수직선(V)과 멀어지는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상기 제2 세로열선(732)은 제1 및 제2 가로열선(721, 722)을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제2 연장열선(712)으로부터 연장된 가로열선과 세로열선은 제2 사분면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사분면의 가로 및 세로열선(720, 730)과 수직선(V)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일 수 있다.
또한 열선매트(700)의 하단영역에 위치한 열선으로써 제2 열선제어부(702)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된 열선은 수평서(H)을 기준으로 제1 및 제2 사분면(a, b)에 배치된 열선과 서로 대칭일 수 있다.
열선매트(700)는 열집중감지부(740) 및 전류제어스위치(750)를 포함할 수 있다.
열집중감지부(740)는 제2 세로열선(732)에 배치될 수 있고, 전류제어스위치(750)는 가로열선(720)의 영역 중에서 제1 세로열선(731)과 제2 세로열선(732)의 사이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열집중감지부(740)는 제1 열집중감지부(741) 및 제2 열집중감지부(7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열집중감지부(741)는 제2 세로열선(732)의 일 단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열집중감지부(742)는 상기 제2 세로열선(732)의 타 단에 배치될 수 있다.
전류제어스위치(750)는 제1 전류제어스위치(751) 및 제2 전류제어스위치(75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류제어스위치(751)는 제1 가로열선(721)의 영역 중에서 제1 및 제2 세로열선(731, 732)의 사이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전류제어스위치(752)는 제2 가로열선(722)의 영역 중에서 제1 및 제2 가로열선(731, 732)의 사이의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전류제어스위치(750)는 전류의 흐름을 유지 또는 차단할 수 있는 스위치소자가 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전류제어스위치(751, 752)는 서로 동시에 턴온하거나 턴오프될 수 있다.
제1 열선제어부(701)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가 전류제어스위치(750)가 턴오프되는 경우, 연장열선(710)을 경유하여 제1 가로열선(721)에 흐르는 전류가 제1 세로열선(731)에는 공급되나 제2 세로열선(732)에의 공급은 차단되고, 상기 전류제어스위치(750)가 턴온되는 경우, 제2 세로열선(732)에도 전류가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전류제어스위치(750)의 턴온 및 턴오프에 따라서 열선매트(700)의 상단 영역 중에서 양쪽 가장자리 영역에 열 공급 여부가 결정될 수 있고, 상기전류제어스위치(750)의 구동은 제1 열선제어부(701)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제1 사분면(a) 뿐만 아니라 제2 사분면(b)의 열선에도 전술한 전류제어스위치 및 열집중감지부가 배치될 수 있고, 수직선(V)을 기준으로 제1 사분면(a)과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세로열선(732)은 유동플레이트(770) 상에 실장되고, 나머지 열선은 고정플레이트(76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플레이트(760)는 열선매트(70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유동플레이트(770)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의 홀을 가지고, 상기 홀에 상기 유동플레이트(770)가 배치될 수 있다.
유동플레이트(770)는 제1 및 제2 사분면(a, b) 각각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세로열선(732)의 전체 영역 중에서 제1 및 제2 열집중감지부(741, 742)의 사이에 대응하는 영역의 제2 세로열선(732)을 수납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환자의 상체(20)는 가슴 영역을 중심으로 우측 어깨 영역(21)과 가슴 중앙 영역(22) 그리고 좌측 어깨 영역(23)을 포함할 수 있다.
우측 어깨 영역(21)은 제1 사분면(a)의 제2 세로열선(732)이 배치된 영역에 마주할 수 있다. 또한 우측 어깨 영역(21)은 제1 사분면(a)의 유동플레이트(770)에 대응할 수 있다.
좌측 어깨 영역(23)은 제2 사분면(b)의 제2 세로열선(732)이 배치된 영역에 마주할 수 있다. 또한 좌측 어깨 영역(23)은 제2 사분면(b)의 유동플레이트에 대응할 수 있다.
가슴 중앙 영역(22)은 제1 및 제2 사분면(a, b)의 제1 세로열선(731)이 배치된 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도 15는 제2 세로 열선을 열선매트를 상부측에서 바라본 도면이고, 도 16은 열집중감지부의 일 측면도이고, 도 17은 열집중감지부의 타 측면도이고, 도 18은 열집중감지부의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19는 유동플레이트가 아래로 움직일 때의 절연스프링의 운동을 나타낸 도면이다. 또한 도 20은 유동플레이트의 상면도의 일부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 내지 도 20을 참조하면, 제2 세로 열선(732)은 유동영역(732a)과 제1 및 제2 고정영역(732b, 732c) 그리고 제1 및 제2 여유영역(732d, 732e)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세로열선(732)의 유동영역(732a)은 유동플레이트(770) 상에 배치되고, 제1 및 제2 고정영역(732b, 732c)은 고정플레이트(760) 상에 배치되고, 제1 및 제2 여유영역(732d, 732e) 각각은 고정플레이트(760)와 유동플레이트(770)의 경계면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유동영역(732a)과 제1 및 제2 고정영역(732b, 732c) 그리고 제1 및 제2 여유영역(732d, 732e)은 동일평면을 가질 수 있다.
고정플레이트(760)와 유동플레이트(770)는 동일평면을 가질 수 있다.
제1 여유영역(732d)은 제1 열집중감지부(741)의 상면에 마주하며 배치될 수 있고, 제2 여유영역(732e)는 제2 열집중감지부(742)의 상면에 마주하며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여유영역(732d, 732e)은 제2 세로열선(732)의 일부 영역이 기 설정범위 내에서 지그재그 형상 또는 구부러진 형상을 가진 것으로, 상기 제1 및 제2 여유영역(732d, 732e) 각각은 유동영역(732a)과 제1 및 제2 고정영역(732b, 732c)과 비교하여 플레이트 상에서 차지하는 단위면적당 길이가 길 수 있다.
유동플레이트(770)는 열선매트(700) 상에 가해지는 압력에 따라서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 즉 열선매트(700)의 상부 및 하부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만약 열선매트(700)의 영역 중에서 환자 상반신(20)의 우측어깨영역(21)이나 좌측어깨영역(23)에 마주하는 영역에 압력이 가해지는 경우,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유동플레이트(770)가 아래로 이동하면서 제1 및 제2 여유영역(732d, 732e)의 구부러진 열선이 일부 펴지고 이와 동시에 제1 및 제2 절연스프링(777a, 777b)이 수축되고, 상기 제1 및 제2 절연스프링(777a, 777b)의 수축에 따른 탄성력에 의해 제1 및 제2 플레이트유동감지스위치(7790a, 779b) 각각은 턴온될 수 있다.
또한 열선매트(700)의 영역 중에서 환자 상반신(20)의 우측어깨영역(21)이나 좌측어깨영역(23)에 마주하는 영역에 가해진 압력이 해제되는 경우, 해당 영역에 대응하는 유동플레이트(770)가 위로 이동하면서 제1 및 제2 여유영역(732d, 732e)의 일부 펴진 영역이 다시 구부러지고 이와 동시에 제1 및 제2 절연스프링(777a, 777b)이 팽창되고, 상기 제1 및 제2 절연스프링(777a, 777b)의 팽창에 따른 탄성력이 줄어듬에 따라 제1 및 제2 플레이트유동감지스위치(779a, 779b) 각각은 턴오프될 수 있다.
제1 절연스프링(777a)는 제1 절연스프링수납케이스(775a)에 수납되고, 제2 절연스프링(777b)는 제2 절연스프링수납케이스(775b)에 수납될 수 있다.
제1 절연스프링수납케이스(775a)는 제1 절연스프링(777a)가 수납될 수 있고,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절연스프링수납케이스(775a)의 일 측면에는 플레이트결합홈(775h)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유동플레이트(770)의 영역 중에서 제1 절연스프링수납케이스(775a)와 접촉하는 가장자리 영역에는 케이스고정홈(771)이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고정홈(771)에는 돌기(77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돌기(772)는 제1 절연스프링수납케이스(775a)의 플레이트결합홈(775h)에 수납될 수 있고, 상기 플레이트결합홈(775h) 상에서 상기 유동플레이트(770)가 상하로 운동할 때 상기 돌기(772)는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케이스고정홈(771)내면에는 제1 절연스프링수납케이스(775a)의 외면이 접촉할 수 있다. 즉, 상기 케이스고정홈(771)에 유동플레이트(770)는 상기 제1 절연스프링수납케이스(775a)를 외면을 둘러쌀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동플레이트(770)는 상기 제1 절연스프링수납케이스(775a)를 고정 및 지지할 수 있고, 상기 제1 절연스프링수납케이스(775a)는 고정된 상태에서 제1 절연스프링(777a)의 수축 또는 팽창에 따라 유동플레이트(770)가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도면 상으로는 제1 절연스프링수납케이스(775a)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제2 절연스프링수납케이스(775b)도 제1 절연스프링수납케이스(775a)과 기능 및 작용 효과가 동일하다.
또한 제1 및 제2 플레이트유동감지스위치(779a, 779b)가 턴온되는 경우, 제1 열선제어부(701)는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1 열선제어부(701)는 전류제어스위치(750)를 턴오프하여, 제1 열선제어부(701)로부터 제공되는 전류가 제2 세로열선(732)으로 공급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고, 제1 및 제2 플레이트유동감지스위치(779a, 779b)가 턴오프되는 경우, 제1 열선제어부(701)는 이를 감지하고, 상기 제1 열선제어부(701)는 전류제어스위치(750)를 턴온하여, 제1 열선제어부(701)로부터 제공되는 전류가 제2 세로열선(732)으로 공급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2 세로열선(732)은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고, 각각의 세로열선의 양 단에는 제1 열집중감지부(741)와 제2 열집중감지부(742)가 배치될 수 있다.
환자는 치과 진료 중에 의사의 요구에 따라서 몸을 옆으로 비틀고 그 자세로 일정 시간동안 자세를 유지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환자의 어깨부위가 열선매트(700)를 짓누르게 되면서 짓눌러진 영역에 온도가 올라갈 수 있다. 이 경우, 환자의 어깨 부위의 짓눌림에 따른 압력에 의해 유동플레이트(770)가 이동하여 열집중감지부(740)가 이를 감지하고, 제1 열선제어부(701)는 제2 세로열선(732)에 전류를 공급하지 않으므로써, 열선매트(700)에 짓눌린 환자의 어깨 영역에 열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 열선제어부(701)는 제1 및 제2 플레이트유동감지스위치(779a, 779b)의 턴온을 감지한 경우, 전류제어스위치(750)를 턴오프함과 함께 제1 열선(703)에 제공하는 전체 전류 량을 낮출 수 있다. 즉, 상기 전류제어스위치(750)의 턴오프에 따라 전류가 공급되는 제1 열선(703)의 전체 길이가 줄어들게 되므로, 그에 비례하여 공급 전류를 낮춤에 따라 과전류에 열선 손상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발마사지기를 구비한 유니트 체어(10), 체어부(100)
체어조절베이스(110), 체어조절베이스구동부(111)
체어조절베이스제어부(112), 체어조절베이스통신부(113)
시트부(120), 백레스트부(130), 헤드레스트부(140)
제1 체어연결부(160), 제2 체어연결부(150), 제3 체어연결부(170)
메인테이블장치(200), 메인테이블제어부(201), 메인테이블통신부(202),
진료기구전원공급부(203)
메인테이블연결암(210), 메인테이블(220), 메인기구홀더(221), 진료기구(230)
보조테이블장치(300), 보조테이블연결암(310)
보조테이블(320), 보조기구홀더(321)
급수유니트(400), 급수기(410), 배수구(420)
발마사지기(500), 발수납부(510), 지압부(520), 지압유닛(521) 지압봉(522)
지압제어구동부(530), 발마사지제어부(540), 발마사지통신부(550)
통증완화컨트롤부(600), 진동생성부(601), 통증완화컨트롤통신부(602),
제어버튼(603)
열선매트(700), 제1 열선제어부(701), 제2 열선제어부(702),
제1 열선(703), 제2 열선(704), 연장열선(710), 제1 연장열선(711)
제2 연장열선(712)
가로열선(720), 제1 가로열선(721), 제2 가로열선(722), 제3 가로열선(723)
세로열선(730), 제1 세로열선(731), 제2 세로열선(732), 유동영역(732a)
제1 고정영역(732b), 제2 고정영역(732c), 제1 여유영역(732d)
제2 여유영역(732e)
열집중감지부(740), 제1 열집중감지부(741), 제2 열집중감지부(742)
전류제어스위치(750), 제1 전류제어스위치(751), 제2 전류제어스위치(752)
고정플레이트(760), 유동플레이트(770), 절연스프링수납케이스(775)
제1 절연스프링수납케이스(775a), 제2 절연스프링수납케이스(775b)
절연스프링(777), 제1 절연스프링(777a), 제2 절연스프링(777b)
플레이트유동감지스위치(779)
제1 플레이트유동감지스위치(779a), 제2 플레이트유동감지스위치(779b)

Claims (7)

  1. 체어부; 및
    상기 체어부에 결합된 발마사지기;를 포함하고,
    상기 체어부는,
    체어조절베이스와, 시트부와, 백레스트부와, 상기 체어조절베이스와 상기 시트부를 연결하는 제1 체어연결부와, 상기 시트부와 상기 백레스트부를 연결하는 제2 체어연결부와, 상기 시트부와 상기 발마사지기를 연결하는 제3 체어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마사지기는,
    내부에 배치되어 평행한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는 복수의 지압유닛, 상기 지압유닛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지압제어구동부, 상기 지압제어구동부를 제어하는 발마사지제어부 및 발마사지통신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어부는 상기 시트부 및 상기 백레스트부 중 적어도 하나의 경사각에 기초하여 생성된 지압조절신호를 상기 발마사지통신부로 전송하고,
    상기 발마사지제어부는 수신된 상기 지압조절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지압유닛에 제공하는 구동력을 조절하는 발마사지기를 구비한 치과 진료용 유니트 체어.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백레스트부가 지면으로부터의 경사각이 기 설정범위 이내로 줄어드는 경우, 상기 발마사지제어부는 상기 지압조절신호를 상기 발마사지기로 제공하고,
    상기 지압조절신호를 수신한 상기 발마사지기는 상기 지압유닛의 왕복 운동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발마사지기를 구비한 치과 진료용 유니트 체어.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체어조절베이스는,
    상기 제1 및 제2 체어연결부 각각을 제어하여 상기 시트부 및 상기 백레스트부의 높낮이와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체어조절베이스구동부, 상기 체어조절베이스구동부를 제어하는 체어조절베이스제어부 및 상기 지압조절신호를 상기 발마사지통신부로 제공하는 체어조절베이스통신부를 포함하는 발마사지기를 구비한 치과 진료용 유니트 체어.
  4. 제3 항에 있어서,
    복수의 진료 기구가 거치되는 메인테이블장치; 및 통증완화컨트롤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테이블장치는
    메인테이블제어부, 메인테이블통신부 및 상기 진료 기구로 전원을 공급하는 진료기구전원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테이블제어부는 상기 진료 기구의 구동이 감지되는 경우, 진동제어신호를 상기 통증완화컨트롤부로 전송하고,
    상기 진동제어신호를 수신한 상기 통증완화컨트롤부는 진동하는 발마사지기를 구비한 치과 진료용 유니트 체어.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통증완화컨트롤부는,
    상기 진동을 생성하는 진동생성부, 통증완화컨트롤통신부 및 제어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버튼이 조작되는 경우, 상기 통증완화컨트롤통신부로부터 통증완화지압조절신호가 상기 발마사지기로 전송되고,
    상기 발마사지기는,
    상기 통증완화지압조절신호에 기초하여 지압유닛에 제공하는 구동력을 조절하는 발마사지기를 구비한 치과 진료용 유니트 체어.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발마사지기는,
    환자의 발이 수납되는 발수납부, 상기 지압유닛의 왕복 운동의 구동력을 제공하는 지압제어구동부, 상기 지압제어구동부를 제어하는 발마사지제어부, 및 상기 지압조절신호와 상기 통증완화지압조절신호를 수신하는 발마사지통신부를 포함하는 발마사지기를 구비한 치과 진료용 유니트 체어.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압유닛은 상부면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지압봉을 포함하는 발마사지기를 구비한 치과 진료용 유니트 체어.
KR1020160091072A 2016-07-19 2016-07-19 발마사지기를 구비한 치과 진료용 유니트 체어 KR101791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072A KR101791935B1 (ko) 2016-07-19 2016-07-19 발마사지기를 구비한 치과 진료용 유니트 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91072A KR101791935B1 (ko) 2016-07-19 2016-07-19 발마사지기를 구비한 치과 진료용 유니트 체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1935B1 true KR101791935B1 (ko) 2017-10-31

Family

ID=60301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91072A KR101791935B1 (ko) 2016-07-19 2016-07-19 발마사지기를 구비한 치과 진료용 유니트 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19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45212A (zh) * 2022-11-21 2023-01-31 无锡市第二人民医院 一种儿童用耳鼻喉科诊疗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101B1 (ko) 2014-03-28 2015-02-16 오인근 치과치료용 의사표시전달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2101B1 (ko) 2014-03-28 2015-02-16 오인근 치과치료용 의사표시전달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645212A (zh) * 2022-11-21 2023-01-31 无锡市第二人民医院 一种儿童用耳鼻喉科诊疗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04733B1 (ko) 에어 마사지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ES2634646T3 (es) Aparato de rejuvenecimiento facial
KR101716262B1 (ko) 다목적 기능성 베개
KR102462616B1 (ko) 목 어깨 재활치료 장치
KR20160028191A (ko) 경추 맛사지 기구가 내장된 기능성 베개
KR101551150B1 (ko) 기능성 지압요법 근막 지압기
US6866644B1 (en) Myotherapy massage device
KR101865480B1 (ko) 경추의 정상만곡 및 이완을 위한 의료용 경추견인기기
US20180317678A1 (en) Portable Headrest for the Prone Body Position, for Personal Use and as an Aid to Therapy
KR101779928B1 (ko) 열선매트를 구비한 치과 진료용 유니트 체어
JP2006345882A (ja) 牽引装置
KR20160010790A (ko) 경추 견인 및 근력 강화장치
KR101791935B1 (ko) 발마사지기를 구비한 치과 진료용 유니트 체어
US2007023319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rtebrae realignment through muscle relaxation and spinal manipulation
JP2008253631A (ja) マッサージ機
KR20180000467A (ko) 유니버셜 찜질기를 포함하는 안마의자
US9827161B2 (en) Chair for relieving back pain
KR101559211B1 (ko) 한의학용 치료 통합 베드
KR100816892B1 (ko) 척추의 자동 견인교정 기구
KR100988861B1 (ko) 웰빙 베개
KR20210144007A (ko) 목 근육 이완 베개
EP3305263B1 (en) Integrated bed for oriental medicine therapy
KR20090098572A (ko) 다기능 안마의자
CN211214321U (zh) 一种用于脊椎护理的按摩椅
KR20180124317A (ko) 헤드기어가 구비된 견인 디스크 치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