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3425B1 - 침대형 안마 장비 - Google Patents

침대형 안마 장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3425B1
KR102263425B1 KR1020210021272A KR20210021272A KR102263425B1 KR 102263425 B1 KR102263425 B1 KR 102263425B1 KR 1020210021272 A KR1020210021272 A KR 1020210021272A KR 20210021272 A KR20210021272 A KR 20210021272A KR 102263425 B1 KR102263425 B1 KR 1022634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bed
backrest
type massage
massage equip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1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진별
Original Assignee
비욘드릴렉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비욘드릴렉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비욘드릴렉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1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34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34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34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0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tiltable around transverse horizontal axis, e.g. for Trendelenbur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8Apparatus for applying pressure or blows almost perpendicular to the body or limb axis, e.g. chiropractic devices for repositioning vertebrae, correcting deform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15/0078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power-drive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5/00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 A61H2015/0007Massage by means of rollers, balls, e.g. inflatable, chains, or roller chains with balls or rollers rotating about their own axis
    • A61H2015/0042Balls or sphe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2Beds
    • A61H2201/0146Mattre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Nursing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침대형 안마 장비가 개시된다. 본 발명은, 누워있는 자세로 있는 사용자의 등과 엉덩이를 지지하는 본체부, 본체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본체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착좌부, 및 등받이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사용자의 머리가 뒤로 젖혀지도록 유도하는 목 지지부를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리 지지부의 설치 각도가 조절됨으로써 설치 공간을 최소화하는 침대형 안마 장비가 제공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등받이부의 설치 각도와 다리 지지부의 설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누운 자세 뿐만 아니라 앉은 자세로도 마사지를 받을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침대형 안마 장비{Bed Type Massage Equipment}
본 발명은 침대형 안마 장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리 지지부의 설치 각도가 조절됨으로써 설치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고, 사용자가 등받이부의 설치 각도와 다리 지지부의 설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누운 자세 뿐만 아니라 앉은 자세로도 마사지를 받을 수 있게 되며,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맥켄지 신전 운동의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됨으로써 척추를 신전시키는 동작을 통해 척추 신전근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침대형 안마 장비에 관한 것이다.
최근 출시되는 안마 의자들은 사용자가 누운 듯한 편안한 자세로 안마 의자를 사용할 수 있도록 대부분 리클라이닝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나 리클라이닝 기능이 구비된 안마 의자라 하더라도 사용자가 침대에 완전히 누워있는 것과 동일한 사용감을 제공하지는 못하고 있으며, 이에 침대형 안마 장치를 선호하는 사용자들이 적지 않다.
한편, 침대형 안마 장치는 사용자가 완전히 누운 상태에서 마사지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반면, 실제 침대 사이즈에 버금가는 설치 공간을 차지함으로 인해 상당수 사용자들은 침대형 안마 장치의 구매를 망설이게 된다.
한편, 뉴질랜드의 물리치료사 로빈 맥켄지가 고안해낸 운동법인 맥켄지 신전 운동(Mckenzie Extension Exercise)은 척추를 신전시키는 동작을 통해 허리 디스크로 인한 통증을 에방 및 치료하는 효과를 가져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맥켄지 신전 운동법은 최근 국내에서도 허리 디스크 수술을 예방할 수 있는 운동으로 널리 추천되고 있으며, 신전 자세를 반복하는 운동을 통해 척추 신전근을 강화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한편, 허리 디스크 환자들은 물리 치료사의 도움없이 스스로 맥켄지 신전 운동을 하기 어려울 뿐만 아니라 비교적 건강한 사람들로 맥켄지 신전 운동의 세부 동작을 학습하여 훈련하는 것은 쉽지 않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14979호(2021.02.10.)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리 지지부의 설치 각도가 조절됨으로써 설치 공간을 최소화하는 침대형 안마 장비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등받이부의 설치 각도와 다리 지지부의 설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누운 자세 뿐만 아니라 앉은 자세로도 마사지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침대형 안마 장비를 제공함에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자연스럽게 맥켄지 신전 운동의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됨으로써 척추를 신전시키는 동작을 통해 척추 신전근을 강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침대형 안마 장비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침대형 안마 장비는, 누워있는 자세로 있는 사용자의 등과 엉덩이를 지지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착좌부; 및 상기 등받이부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머리가 뒤로 젖혀지도록 유도하는 목 지지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등받이부의 상기 본체부의 상부에서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착좌부의 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다리를 지지하는 다리 지지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다리 지지부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리 지지부의 설치 각도가 조절됨으로써 설치 공간을 최소화하는 침대형 안마 장비가 제공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등받이부의 설치 각도와 다리 지지부의 설치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누운 자세 뿐만 아니라 앉은 자세로도 마사지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르면, 침대형 안마 장비의 순차적 구동에 따라 사용자는 자연스럽게 맥켄지 신전 운동의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됨으로써 척추를 신전시키는 동작을 통해 척추 신전근을 강화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형 안마 장비의 기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형 안마 장비의 변형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형 안마 장비에서의 다리 지지부의 동작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형 안마 장비에서의 목 지지부의 돌출 동작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형 안마 장비에서의 목 지지부의 상하 이동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형 안마 장비의 구조를 설명하는 기능 블록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대형 안마 장비에서의 등받이부에 설치되는 목 지지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대형 안마 장비에서의 등받이부에 설치되는 목 지지부의 동작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 및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대형 안마 장비에 구비된 목 지지부의 동작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형 안마 장비의 기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형 안마 장비는 다리 지지부(120), 본체부(140), 등받이부(145), 목 지지부(150) 및 착좌부(190)를 포함한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형 안마 장비는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누운 자세로 마사지를 받을 수 있도록 하는 구조로 설치되며, 본체부(140)는 침대형 안마 장비가 설치되는 지면 위에 설치되며, 누워있는 자세로 있는 사용자의 등 부위와 엉덩이 부위를 각각 지지한다.
구체적으로, 등받이부(145)는 본체부(140)의 상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등 부위를 지지하며, 착좌부(190)는 본체부(140)의 상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엉덩이 부위를 지지한다.
한편, 다리 지지부(120)는 착좌부(190)의 하단에 일측이 힌지 결합 방식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어 사용자의 다리를 지지하고, 목 지지부(150)는 등받이부(145)의 상부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머리가 뒤로 젖혀지도록 유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도 2에서와 같이 등받이부(145)는 착촤부의 상단에 일단이 힌지 결합 방식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등받이부(145)의 회동 설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등받이부(145)를 도 1에서와 같이 수평 방향으로 설치하거나 도 2에서와 같이 필요한 정도의 경사를 갖도록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도 2에서와 같이 본체부(140)와 등받이부(145)의 사이에는 공기 주입 정도에 따라 점진적으로 부채꼴의 형상으로 펴지며 팽창되는 삼각 웨지 형태의 공기 팽창식 에어백 등의 제1 구동부(171)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사용자가 침대형 안마 장비에 구비된 터치식 디스플레이 등의 입력부(110)를 통해 등받이부(145)의 설치 각도에 대한 조작 명령을 입력함에 따라, 침대형 안마 장비에 구비된 제어 장치(130)는 제1 구동부(171)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등받이부(145)의 설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착좌부(190)와 다리 지지부(120)의 힌지 결합 방식의 연결 부위에는 다리 지지부(120)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는 스텝 모터 등의 제2 구동부(172)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사용자가 침대형 안마 장비에 구비된 터치식 디스플레이 등의 입력부(110)를 통해 다리 지지부(120)의 설치 각도에 대한 조작 명령을 입력함에 따라, 침대형 안마 장비에 구비된 제어 장치(130)는 제2 구동부(172)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다리 지지부(120)의 설치 각도를 도 3에서와 같은 수직 설치 각도(90°), 도 4에서와 같은 수평 설치 각도(0°) 또는 사용자가 입력한 그 사이의 각도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는 제1 구동부(171)를 통해 등받이부(145)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고, 제2 구동부(172)를 통해 다리 지지부(120)의 설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침대형 안마 장비를 필요시 의자형 안마 장비로 변환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는 본 발명에 따른 침대형 안마 장비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리 지지부(120)의 설치 방향을 수직 방향으로 전환시킴으로써 침대형 안마 장비의 점유 공간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등받이부(145)에 설치된 목 지지부(150)는 등받이부(145)에서의 세로 방향으로의 설치 위치와 등받이부(145)의 표면으로부터의 수직 방향으로의 돌출 높이가 각각 조절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를 위해 목 지지부(150)의 내부에는 공기 팽창식 에어백 등의 제3 구동부(173)가 설치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입력부(110)를 통해 목 지지부(150)의 돌출 높이에 대한 조작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에 제어 장치(130)는 제3 구동부(173)의 팽창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목 지지부(150)의 돌출 높이를 도 5에서와 같은 최저 높이(예를 들면, 5cm)에서부터 도 6에서와 같은 최고 높이(예를 들면, 15cm) 사이에서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목 지지부(150)는 등받이부(145)에 세로 방향으로 설치된 이동 레일을 따라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등받이부(145)에는 목 지지부(150)가 이동 레일 상에서 상하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됨으로써 목 지지부(150)의 세로 방향으로의 설치 위치가 조절되도록 하는 제4 구동부(174)가 설치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사용자가 입력부(110)를 통해 목 지지부(150)의 등받이부(145) 상에서의 세로 방향으로의 설치 위치에 대한 조작 명령을 입력하는 경우에 제어 장치(130)는 제4 구동부(174)를 제어함으로써 목 지지부(150)의 설치 위치를 도 7에서와 같이 세로 방향으로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형 안마 장비의 구조를 설명하는 기능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침대형 안마 장비는 입력부(110), 출력부(111), 감지부(113), 마사지 모듈(115), 제어 장치(130), 목 지지부(150)(150) 및 구동부(170)를 포함한다.
입력부(110)에 구비된 터치식 디스플레이 등의 입력 패널을 통해 사용자는 침대형 안마 장비(100)에 대한 각종 조작 명령을 입력하며, 출력부(111)에 구비된 스피커 모듈은 침대형 안마 장비의 이용 과정에서의 각종 안내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출력한다.
감지부(113)는 침대형 안마 장비(100)를 사용하는 사용자에 의해 침대형 안마 장비(100)의 다리 지지부(120), 등받이부(145), 목 지지부(150) 및 착좌부(190) 등의 각 부위에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한다.
한편, 다리 지지부(120), 등받이부(145), 목 지지부(150) 및 착좌부(190) 등의 침대형 안마 장비(100)의 각 부위에 개별 설치되어 있는 마사지 모듈(115)은 제어 장치(13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각 신체 부위에 대한 마사지를 실행한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마사지 모듈(115)은 양단에 각각 마사지 볼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중앙에 구비되는 회동축을 기준으로 소정의 각도 범위 내에서 반복 회동됨에 따라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압력을 가하는 방향인 전방과 그 반대 방향인 후방으로 반복 요동되는 마사지 부재인 C자형(부메랑형) 암부재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암부재에 설치되는 마사지 볼을 종래와 달리 고무 또는 우레탄 소재로 제작하지 않고, 열전도율이 높은 세라믹 소재를 가공하여 제작하고, 이와 같이 제작된 마사지 볼의 내부에 온열 코일을 설치하여 마사지 볼이 가열되도록 함으로써, 마사지 볼을 통한 물리적 마사지의 효과와 함께 온열 마사지의 효과가 제공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어 장치(130)는 입력부(11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조작 명령에 따라 출력부(111), 마사지 모듈(115), 목 지지부(150) 및 구동부(170)의 구동을 제어한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등받이부(145)에는 등 가압부(미도시)가 추가로 설치될 수 있으며, 등 가압부는 제어 장치(13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따라 사용자의 등을 점진적으로 가압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슴을 펴고 숨을 들이 마시며 허리를 내밀고 상체를 젖히는 맥켄지 신전 운동의 기본 동작을 취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등 가압부는 공기 주입 정도에 따라 등받이부(145)의 접촉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팽창 또는 수축되는 에어 포켓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구동부(17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제1 구동부(171), 제2 구동부(172), 제3 구동부(173) 및 제4 구동부(174)를 포함한다.
목 지지부(150)는 제어 장치(130)로부터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구동됨으로써 사용자가 머리가 뒤로 젖혀지는 맥켄지 신전 운동의 추가 동작을 취하도록 한다.
한편, 제어 장치(130)는 등 가압부의 구동과 목 지지부(150)의 구동을 순차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침대형 안마 장비(100)에 눕거나 앉은 상태에서 맥켄지 신전 운동의 동작을 취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입력부(110)에 구비된 입력 패널을 통해 사용자가 맥켄지 신전 운동 모드의 실행 버튼을 입력함에 따라 제어 장치(130)는 등받이부(145)에 설치된 압력 센서의 측정 정보와 목 지지부(150)에 설치된 압력 센서의 측정 정보를 수신한다.
맥켄지 신전 운동을 위해서는 사용자의 등이 등받이부(145)에 밀착되어 있고(조건 1), 사용자의 목이 목 지지부(150)에 밀착되어 있는 상태(조건 2)가 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에 제어 장치(130)는 등받이부(145)에 설치된 압력 센서가 사용자의 등의 밀착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고, 목 지지부(150)에 설치된 압력 센서가 사용자의 목의 밀착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는 경우에 맥켄지 신전 운동 모드의 실행을 개시한다.
한편, 등받이부(145)에 설치된 압력 센서가 사용자의 등의 밀착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제어 장치(130)는 출력부(111)를 통해 '맥켄지 신전 운동을 위해 등을 등받이부에 밀착하여 주십시오' 등의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목 지지부(150)에 설치된 압력 센서가 사용자의 목의 밀착에 의한 압력을 감지하지 못한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제어 장치(130)는 출력부(111)를 통해 '맥켄지 신전 운동을 위해 목을 목 지지부에 밀착하여 주십시오' 등의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제어 장치(130)가 상기 조건 1 및 조건 2를 모두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에 제어 장치(130)는 사용자가 맥켄지 신전 운동의 동작을 취하기 용이한 자세를 형성토록 하기 위해 제2 구동부(172)를 제어하여 다리 지지부(120)가 수평 설치되도록 하고, 제1 구동부(171)를 제어하여 등받이부(145)가 수평 설치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가 침대형 안마 장비 위에서 다리를 곧게 펴고 누워 있는 자세를 취하도록 함이 바람직할 것이다.
이후 제어 장치(130)는 등 가압부의 구동(제1 단계)과 목 지지부(150)의 구동(제2 단계)을 순차적으로 제어함으로써 사용자가 맥켄지 신전 운동의 동작을 취하도록 유도하게 되며, 이를 통해 사용자는 맥켄지 신전 운동의 기본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제1 단계-
제어 장치(130)는 먼저 등 가압부에 구비된 에어 포켓에 공기를 점차적으로 주입함으로써 등 가압부가 사용자의 등 부위를 점진적으로 가압함에 따라 사용자는 가슴을 펴고 숨을 들이 마시며 허리를 내밀고 상체를 젖히는 동작을 취하게 된다.
-제2 단계-
상기 제1 단계 절차의 실행 완료 후에 제어 장치(130)는 제3 구동부(173)를 구동시킴으로써 목 지지부(150)가 도 6에서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머리가 뒤로 젖혀지도록 하는 맥켄지 신전 운동의 추가 동작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대형 안마 장비(100)에서의 등받이부(145)에 설치되는 목 지지부(150)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 지지부(150)는 회전축(151), 머리 받침구(153), 연결구(154), 목 받침구(155) 및 경사구(157)를 포함한다.
경사구(157)의 내부에는 원통형 회전축(151)이 회전 가능하게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며, 또한 경사구(157)에는 사용자의 상부 흉추를 지지하는 경사면이 회전축(151)의 설치 방향과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경사면의 하단부로부터 경사면의 상단부로 갈수록 머리 지지부(180)로부터 일정한 각도로 점진적으로 돌출되며, 경사면에서의 가장 높은 부위를 형성하는 경사면의 상단부는 사용자의 흉추와 경추의 연결 부위를 지지하게 되며, 이와 같은 경사면의 상단부에는 원통형 회전축(151)이 수평 방향으로 설치된다.
한편, 도 9에서와 같이 경사구(157)에는 경사구(157)의 내부에 설치된 원통형 회전축(151)의 측면부가 부분적으로 노출되는 사각형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원통형 회전축(151)의 측면부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연결구(154)는 개구부를 통해 경사구(157)의 외부로 돌출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바 형태의 지지 부재인 연결구(154)의 하단은 회전축(151)의 측면부에 연결되어 있으며, 연결구(154)의 상단은 머리 받침구(153)에 연결되어 머리 받침구(153)를 지지한다.
한편, 머리 받침구(153)는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는 원통형 부재로서 머리 받침구(153)의 측면이 연결구(154)에 의해 지지되며, 이와 같은 머리 받침구(153)는 도 10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뒤통수 중앙부위를 지지하게 된다.
아울러, 연결구(154)에는 구 형태의 지지 부재인 목 받침구(155)가 연결구(154)의 중앙 좌우에 각각 구비되어 있으며, 도 10에서와 같이 목 받침구(155)는 사용자의 뒷목 부위를 지지함으로써 사용자의 머리에 의해 머리 받침구(153)에 가해지는 하중을 분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한편, 회전축(151)은 제어 장치(130)에 의해 양방향으로 구동되는 스텝 모터에 연결 설치되어 있으며, 스텝 모터의 구동에 따라 경사구(157)의 내부에서 회전 구동된다.
이와 같이 제어 장치(130)가 스텝 모터의 구동을 제어함으로써 회전축(151)이 회전 구동됨에 따라 회전축(151)의 측면에 연결구(154)를 통해 연결 설치된 머리 받침구(153)는 회전축(151)을 중심으로 도 11에서와 같이 회동하게 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뒤통수 부위를 지지하는 머리 받침구(153)가 회동 구동됨에 따라 사용자의 머리는 도 11에서와 같이 뒤로 젖혀지면서 맥켄지 신전 운동의 추가 동작을 완성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제어 장치(130)는 상기 제2 단계에서의 스텝 모터를 반대 방향으로 구동함으로써 도 10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머리를 뒤로 젖혀지지 않은 원 상태로 복원한 후에 상기 제1 단계에서의 등 가압부(150)에 구비된 에어 포켓으로부터 공기를 점차적으로 배출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허리를 내밀고 상체를 젖히고 있던 상태를 원 상태로 복원시키게 된다.
이후 제어 장치(130)는 상기 제1 단계 및 제2 단계의 순차적 실행과, 제2 단계의 복원 실행 및 제1 단계의 복원 실행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도록 등 가압부(150) 및 목 지지부(150)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는 맥켄지 신전 운동의 자세를 반복적으로 취할 수 있게 된다.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침대형 안마 장비에 구비된 목 지지부의 동작 원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목 지지부(150)는 경사구(157) 및 승강구(159)를 포함한다.
경사구(157)에는 사용자의 상부 흉추를 지지하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으며, 경사면의 하단부로부터 경사면의 상단부로 갈수록 머리 지지부(180)로부터 일정한 각도로 점진적으로 돌출되며, 경사면에서의 가장 높은 부위를 형성하는 경사면의 상단부는 사용자의 흉추와 경추의 연결 부위를 지지하게 되고, 이와 같은 경사면의 상단부에는 목 지지부(150)에 구비된 원통형 지지체가 수평 방향으로 구비된다.
한편, 목 지지부(150)에 구비된 원통형 지지체는 사용자의 경추 부위를 지지하게 되며, 승강구(159)는 목 지지부(150)의 상부에 구비되어 도 12 및 도 13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뒤통수 중앙부위를 지지하게 된다.
본 발명을 실시함에 있어서, 승강구(159)는 공기 주입 정도에 따라 머리 지지부(180)의 접촉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팽창 또는 수축되는 에어 포켓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구체적으로, 제어 장치(130)가 승강구(159)에 구비된 에어 포켓에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도 12에서와 같이 에어 포켓이 사용자의 뒤통수를 밀어올리며 지지한 상태에서, 제어 장치(130)가 에어 포켓으로부터 공기를 점차적으로 배출시킴에 따라 도 13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머리는 뒤로 젖혀지면서 맥켄지 신전 운동의 추가 동작을 완성할 수 있게 된다.
이후 제어 장치(130)는 승강구(159)에 구비된 에어 포켓에 공기를 주입함으로써 도 12에서와 같이 사용자의 머리가 뒤로 젖혀지지 않은 원 상태로 복원한 후에 상기 제1 단계에서의 등 가압부(150)에 구비된 에어 포켓으로부터 공기를 점차적으로 배출시킴으로써 사용자가 허리를 내밀고 상체를 젖히고 있던 상태를 원 상태로 복원시키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응용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응용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침대형 안마 장비, 120: 다리 지지부,
140: 본체부, 145: 등받이부,
150: 목 지지부, 151: 회전축,
153: 머리 받침구, 154: 연결구,
155: 목 받침구, 157: 경사구,
159: 승강구. 171: 제1 구동부,
190: 착좌부.

Claims (3)

  1. 침대형 안마 장비에 있어서,
    누워있는 자세로 있는 사용자의 등과 엉덩이를 지지하는 본체부(140);
    상기 본체부(14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등을 지지하는 등받이부(145);
    상기 본체부(140)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엉덩이를 지지하는 착좌부(190);
    상기 등받이부(145)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사용자의 목이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등받이부(145)의 표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머리가 뒤로 젖혀지도록 유도하는 목 지지부(150);
    상기 목 지지부(150)가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등받이부(145)에 세로 방향으로 설치되는 이동 레일; 및
    상기 목 지지부(150)를 상기 이동 레일 상에서 슬라이딩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목 지지부(150)의 세로 방향으로의 설치 위치를 조절하는 구동부(174)
    를 포함하며,
    상기 목 지지부(150)는 상기 등받이부(145)의 표면으로부터의 수직 방향으로의 돌출 높이가 조절되고,
    상기 침대형 안마 장비에 구비되어 있는 마사지 볼에는 상기 마사지 볼을 가열하는 온열 코일이 설치되는 것인 침대형 안마 장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등받이부(145)의 상기 본체부(140)의 상부에서의 설치 각도를 조절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침대형 안마 장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좌부(190)의 단부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다리를 지지하는 다리 지지부(120)를 더 포함하는 침대형 안마 장비.
KR1020210021272A 2021-02-17 2021-02-17 침대형 안마 장비 KR1022634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272A KR102263425B1 (ko) 2021-02-17 2021-02-17 침대형 안마 장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272A KR102263425B1 (ko) 2021-02-17 2021-02-17 침대형 안마 장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3425B1 true KR102263425B1 (ko) 2021-06-11

Family

ID=76376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272A KR102263425B1 (ko) 2021-02-17 2021-02-17 침대형 안마 장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34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32065A (zh) * 2022-03-07 2022-05-06 杜小花 一种孕妇产前护理装置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0594B1 (ko) * 1995-06-14 1999-06-01 후지모도 싱이찌로우 의자식 공기 마사지 장치(air massage device of chair type)
KR100699027B1 (ko) * 2006-05-22 2007-03-23 신현권 신체 교정용 안마의자장치
KR20080001082A (ko) * 2006-06-29 2008-01-03 (주)대경산업 안마 의자
KR20130018513A (ko) * 2011-08-08 2013-02-25 파나소닉 주식회사 요동 장치
KR20180001426U (ko) * 2016-11-03 2018-05-14 주식회사 에이치엔엘 시트형 안마장치
KR102050839B1 (ko) * 2017-09-28 2019-12-03 주식회사 리웨이 천골부 가압기능이 보강된 심신안정장치
KR20210014979A (ko) 2019-07-31 2021-02-10 문원주 각도조절형 척추 스트레칭 의자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0594B1 (ko) * 1995-06-14 1999-06-01 후지모도 싱이찌로우 의자식 공기 마사지 장치(air massage device of chair type)
KR100699027B1 (ko) * 2006-05-22 2007-03-23 신현권 신체 교정용 안마의자장치
KR20080001082A (ko) * 2006-06-29 2008-01-03 (주)대경산업 안마 의자
KR20130018513A (ko) * 2011-08-08 2013-02-25 파나소닉 주식회사 요동 장치
KR20180001426U (ko) * 2016-11-03 2018-05-14 주식회사 에이치엔엘 시트형 안마장치
KR102050839B1 (ko) * 2017-09-28 2019-12-03 주식회사 리웨이 천골부 가압기능이 보강된 심신안정장치
KR20210014979A (ko) 2019-07-31 2021-02-10 문원주 각도조절형 척추 스트레칭 의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32065A (zh) * 2022-03-07 2022-05-06 杜小花 一种孕妇产前护理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103673B2 (en) Method for operating a sleep mode in a massage chair using progressive muscular relaxation and the massage chair capable of using the same
US7654974B2 (en) Recliner spinal traction device
KR102297851B1 (ko) 별도의 틸팅 프레임을 갖는 안마볼 조립체 및 안마볼 조립체가 적용된 안마의자
CN111278399A (zh) 被预测的穴位位置的补正方法及执行该方法的按摩椅
TW200820959A (en) Massage machine
KR102263425B1 (ko) 침대형 안마 장비
JP4684151B2 (ja) マッサージ機
KR102166009B1 (ko) 목 스트레칭 장치
KR102506570B1 (ko) 안마의자의 케겔 운동 모드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이 동작 가능한 안마의자
JP5546355B2 (ja) マッサージ機
KR102380147B1 (ko) 안마 의자
KR101647461B1 (ko) 안장형 척추 건강 의자
JP2005218511A (ja) 椅子
RU2389470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массажа
KR102189808B1 (ko) 점진적 근육 이완법이 적용된 안마의자에서의 취침 모드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이 동작 가능한 안마의자
KR102630784B1 (ko) 점진적 근육 이완법이 적용된 안마의자의 릴랙스 스트레칭 모드 동작 방법 및 그 방법이 동작 가능한 안마의자
KR102623608B1 (ko) 허리 안마장치
CN201572220U (zh) 自牵引脊椎减压治疗康复设备
JP2010099447A (ja) リラックス装置
KR101830219B1 (ko) 자연 소리와 바람, 흔들림을 통해 해먹의 안락한 휴식과 심신안정을 제공하는 안마의자
KR101920533B1 (ko) 회전롤러가 구비된 경사운동의자
JP2007252674A (ja) 施療機
TW202100125A (zh) 3d全方位按摩椅
KR102639123B1 (ko) 목 운동 안마용 교정기
KR102639122B1 (ko) 상체 안마용 교정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