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3685A - 이중상 메이크업 제거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이중상 메이크업 제거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3685A
KR20180123685A KR1020187028264A KR20187028264A KR20180123685A KR 20180123685 A KR20180123685 A KR 20180123685A KR 1020187028264 A KR1020187028264 A KR 1020187028264A KR 20187028264 A KR20187028264 A KR 20187028264A KR 20180123685 A KR20180123685 A KR 201801236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eight
cosmetic composition
derivativ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82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코린 돈디네
티보 쉬만
베로니크 트로이예트
Original Assignee
샤넬 파르퓜 보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샤넬 파르퓜 보트 filed Critical 샤넬 파르퓜 보트
Publication of KR201801236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368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3Liquid compositions with two or more distinct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8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with carboxyl groups directly bound to carbon atoms of aromat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9Derivatives containing from 2 to 10 oxyalkylene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6Polyeth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90Block co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14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성상 및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20 중량%의 오일상을 포함하는 분리된 유중수 또는 수중유 에멀젼으로 구성된 화장료 조성물; 및 이눌린 유도체, 리소포스포리피드, 폴록사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부테스, 및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를 함유하는 유화 시스템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이중상 메이크업 제거용 조성물
본 발명의 목적은 수성상 및 유중수 (W/O) 또는 수중유 (O/W) 상으로 이루어진 2 가지 분리된 상으로 구성되는 화장용 조성물, 특히 국소 도포용 조성물로서, 특정 유화 시스템 및 상기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20 중량%의 유성상을 포함하는 상기 W/O 에멀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특히, 피부, 눈 및/또는 피부부속기(appendages)의 메이크업 제거, 클렌징 및/또는 케어를 위한 화장학적 또는 피부 과학적(dermatological) 분야에 상기 조성물의 사용을 위한 것이다.
2 개의 분리된 상들, 특히 수성상 및 오일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들이 서로 분리되어 있고 서로 섞이지 않고 서로 유화되지 않은 상은 통상 "이중상(two-phase)"조성물로 지칭된다. 그들은 하나가 다른 쪽의 에멀젼으로 존재하는 대신에, 휴지상태(at rest)에서 2개의 상이 분리되어 에멀젼과는 다르다. 이러한 이중상 조성물의 사용은 피부 또는 케라틴 물질에 이중상을 균일하게 도포할 수 있도록 충분한 품질 및 안정성을 가져야하는 에멀젼을 형성하기 위해 사전에 흔들어야한다. 휴지상태에서, 상기 상들은 신속하게 분리되어 그들의 초기 상태로 되돌아 와야만 하는데, 이 현상은 "상분리 (phase separation)"라고 불린다.
사용 후 2상을 신속히 분리(또는 탈혼합)하는 것은 이중상 조성물의 요구되는 특성 중 하나이다. 빠른 상 분리를 얻는 것은 여러 가지 이유로 바람직하며, 특히 두 상 사이의 불충분한 분리는 사용자에 의해 심미감이 없다고 인식되기 때문이다. 그러나 흔들 때 이중상 혼합물의 유성상에 거품이 형성되지 않고 양호한 상 분리를 제공할 수 있는 상 분리 제제를 발견하는 것은 어렵다. 이러한 거품의 형성은 사용자에게는 받아들일 수 없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이중상 조성물의 경우, 조성물을 흔든 후에 에멀젼이 반드시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이것이 불만족스러운 메이크업 제거로 이어지고 피부 또는 케라틴 물질에 기름기 많은 잔류물을 남긴다.
그러므로 흔들어서 일시적으로 2 개의 분리된 비혼합 상으로 구성되고 즉석에서 일시적인 에멀젼의 형성, 거품 형성없이 2개 상으로 빠르게 분리되는 이중상 조성물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존재한다. 예비적으로 흔들기를 한 후에, 그러한 이중상 조성물은 피부 또는 케라틴 물질에 기름기 많은 잔류물을 형성하지 않고, 조성물의 충분한 도포를 가능하게 하고 충분한 메이크업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일시적인 에멀젼을 또한 형성해야한다.
놀랍게도, 본 출원인은 요구되는 품질을 갖는 이중상 제형을 개발하였고, 달리 말해, 흔드는 동안 유성상에 거품의 형성없이, 사용 후 2개의 명확한 상으로 빠르게 분리된다. 이러한 제형은 흔들어 준 후에 일시적인 에멀젼을 형성하고 기름기가 많은 잔류물을 남기지 않고 충분히 메이크업 제거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수성상 및 분리된 유중수 또는 수중유 상으로 구성된 화장료 조성물이며, 상기 조성물은 이눌린 유도체, 리소포스포리피드, 폴록사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부테스 및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를 함유하는 유화 시스템 및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20 중량%의 유성상을 포함하는 유중수 또는 수중유 에멀젼을 포함하는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수성상과 유중수 또는 수중유 상인, 2개의 분리된 상으로 구성되며, 흔들어줌으로써 쉽게 유화되고 흔들어주는 것을 멈춘 후에는 쉽게 상 분리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바람직하게 국소 도포용으로 만들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분리된 유중수 또는 수중유 에멀젼 및 수성상을 포함한다. 이들 두 상은 분리되고, 달리말하면 휴지 상태일 때 하나가 다른 하나의 위에 있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 이들은 또한 휴지 상태에서 투명하다. 각 상은 유색 또는 무색일 수 있다. 흔들어준 후에, 각 조성물은 사용할 준비가 된, 일시적인 수중유 상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유중수 또는 수중유 에멀젼 중에 존재하는 유상을 포함한다. 이 유상은 조성물의 총 중량의 적어도 20 중량% 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조성물에 존재하는 전체 수성상에 대응하는 전반적인 수성상을 포함한다(즉 수성상 그 자체, 및 유중수 또는 수중유 에멀젼의 수성상). 바람직하게, 전반적인 수성상: 유성상 비율은 40:60 내지 80:20이다. 이 비율 내에서, 수행된 시험은 안정한 조성물, 특히 D+2에서 주위 온도에서 안정한 조성물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유중수 또는 수중유상 에멀젼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20 중량%의 유성상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유성상은 조성물의 총 중량의 20 내지 40 중량%, 및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35 중량%, 및 바람직하게는 약 30 중량%의 함량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이눌린 유도체, 리소포스포리피드, 폴록사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부테스 및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를 포함하는 유화 시스템을 또한 포함한다.
이 특정 유화 시스템은 꽤 잘 견디고 (well tolerated), 효과적인 메이크업 제거를 가능하게 하고, 보습을 증가시키고, 거품의 형성을 방지하고 획득한 에멀젼을 안정화시킨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차가운 상태로 제조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상기 폴록사머는 다른 비교예에서 나중에 설명하겠지만, 다른 유화제들의 경우와 달리 거품의 형성을 방지한다는 점에서 특히 놀랍다. 게다가,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부테스 및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의 존재는 유중수 에멀젼을 안정화하고 이 에멀젼과 수성상 사이를 양호한 분리로 이끈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화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내에 존재하며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 중량% 내지 10 중량%의 함량으로, 바람직하게 3 중량% 내지 7중량%의 함량으로 존재한다.
바람직하게, 이눌린의 유도체는 알킬 (바람직하게 라우릴) 이소시아네이트를 갖는 이눌린 카바모일이며, 바람직하게 상기 유도체는 이눌린 라우릴 카바메이트이다. 이눌린 라우릴 카바메이트는 다음의 화학식 (I)을 만족한다.
Figure pct00001
(I),
여기서 x는 2 내지 65 사이의 정수이며, 바람직하게 20 내지 65 사이의 정수이고, R은 하이드록시메틸 기이다.
25 중량% 함량의 이눌릴 라우릴 카바메이트는 상표명 SL1®으로 고바그룹(Gova Group)에 의해 75 중량%의 글리세린 형태로 특히 시판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부테스는 폴리옥시프로필렌이며, 다음의 화학식 (II)를 만족시키는 부틸 알코올의 폴리옥시에틸렌 에테르이다.
Figure pct00002
(II),
여기서 x 및 y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1 내지 50의, 바람직하게 10 내지 35의 정수이다.
바람직하게, 상기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부테스는 PPG-12-부테스-16 (x = 12 및 y = 16인 화학식 (II)), PPG-9-부테스-12 (x = 9 및 y = 12인 화학식 (II)), PPG-26-부테스-26 (x = 26 및 y = 26인 화학식 (II)) 및 PPG-28-부테스-35 (x = 28 및 y = 35인 화학식 (II))사이에서 선택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50 몰의 에틸렌 옥사이드를 포함하는 옥시에틸렌화된 경화 피마자유이다. 더 바람직하게, 상기 유도체는 PEG-30 경화 피마자유 또는 PEG-40 경화 피마자유이다.
바람직하게, PPG-26-부테스-26 및 PEG-40 경화 피마자유의 혼합물이 사용된다. 더 바람직하게, 60 중량% 내지 65 중량%의 PPG-26-부테스-26 및 35 중량% 내지 40 중량%의 PEG-40 경화 피마자유의 혼합물이 사용되고, 바람직하게 상표명 솔루빌리산트(Solubilisant) LRI®으로 센시언트 코스메틱 과학(Sensient Cosmetic Technologies)에 의해 시판된다.
상기 폴록사머는 일반적으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의 소수성 중심 블록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의 2개의 외부 친수성 블록을 갖는, 3개의 블록으로 된 비-이온성 공중합체이다. 이들은 다음의 화학식 (III)을 만족시킨다.
Figure pct00003
(III),
여기서 x 및 y는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1 내지 50, 바람직하게 10 내지 35의 정수이다.
상기 폴록사머는 특히 플루로닉(Pluronic) (BASF) 콜리퍼(Kolliphor) (BASF) 및 신페로닉(Synperonic) (Croda International) 이라는 이름으로 시판된다. 상기 폴록사머는 플루라케어®(Pluracare®) L64 라는 이름으로 BASF 에 의해 시판되거나 또는 신페로닉(Synperonic) PE L64 라는 이름으로 크로다(Croda)에 의해 시판되는, 바람직하게 폴록사머 184 (x = z = 13, y = 30 인 화학식 (III))이다.
상기 리소포스포리피드는 특히 가수분해에 의해 하나 또는 여러 개의 아실 기를 잃어버린 포스포리피드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서 사용된 리소포스포리피드는 다음의 화학식을 갖는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이다:
Figure pct00004
여기서 R은 특히 10 내지 25, 바람직하게 15 내지 20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산 체인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사용되는 리소포스포리피드는 바람직하게 소이빈 (soybean) 종자로부터 유래된다. 바람직하게, 그것의 INCI 이름은 글리신 소이빈 종자 추출물이다. 바람직하게, 상품명 리소픽스 리퀴드®(Lysofix Liquid®)으로 Kemin에 의해 시판되는 80 중량%의 글리세린 및 20중량%의 글리신 소이빈 종자 추출물의 혼합물이다.
바람직하게, 폴록사머의 양은 리소포스포리피드의 양과 같다. 바람직하게, 유화 시스템의 이눌린 유도체:리소포스포리피드:폴록사머: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부테스: 산화된 피마자유 유도체 비율은 약 (0.30 내지 0.40):(0.90 내지 1.10):(0.90 내지 1.10):(0.80 내지 0.90): (0.50 내지 0.65), 바람직하게 약 0.36:1:1:0.86:0.57 이다.
바람직하게, 조성물은 또한 글루코노락톤 및/또는 소듐 벤조에이트를 포함한다. 그러한 화합물들은 효과적인 방부제이고, 화장료 조성물에서 허용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성물은 글루코노락톤, 소듐 벤조에이트 및 칼슘 글루코네이트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그러한 혼합물은 특히 Geogard Ultra® 이라는 이름으로 론자(Lonza)에 의해 시판된다. 바람직하게, 글루코노락톤 및/또는 소듐 벤조에이트 및 선택적으로 칼슘 글루코네이트는 0.5 중량% 내지 3 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유상은 미네랄, 식물성 또는 합성 오일을 포함한 몇 가지 오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유성상은 미네랄 또는 합성 기원의 탄화수소 오일 및 실리콘 오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몇몇의 오일을 포함한다. 더 특히, 유성상은 유리하게는 미네랄 또는 합성 기원의 휘발성 탄화수소 오일 및 휘발성 실리콘 오일 사이에서 선택된 하나 또는 몇몇의 휘발성 오일을 포함한다.
탄화수소 오일은 필수적으로 탄소 및 수소 원자로, 가능하게는 산소, 질소 원자로 형성되거나 이들로 구성된 오일이며 임의의 실리콘 또는 불소 원자를 포함하지 않은 오일이며; 그것은 에스테르, 에테르, 아민 또는 아미드 기를 포함할 수 있다.
미네랄 또는 합성 기원의 휘발성 탄화수소 오일 중에서, 예를 들어 엑손 케미칼 컴퍼니(Exxon Chemical company)에 의한 상표명 이소파(Isopar) 로 판매되는 이소-알칸 또는 프레스퍼스 컴퍼니(Presperse company)에 의한 상표명 페르메틸(Permethyl)로 판매되는 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 같은, 이소도데칸, 이소데칸, 이소헥사데칸과 같은, C8-C16의 이소-알칸 (또한 이소파라핀으로 불리는)이 언급될 수 있다.
미네랄 또는 합성 기원의 비-휘발성 탄화수소 오일 중에서, 페트로라툼 오일, 팔림®(Parleam®) 오일과 같은 수소화 폴리이소부텐, 및 이들의 혼합물이 언급될 수 있다.
실리콘 오일은 적어도 하나의 실리콘 원자를 함유하는 오일 및 특히 Si-O 기를 함유하는 오일을 오일을 나타낸다. 실리콘 오일은 비-휘발성 실리콘 오일, 휘발성 실리콘 오일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휘발성 실리콘 오일의 예로는 특히 사이클로펜타실록산, 사이클로헥사실록산, 옥타메틸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데카메틸사이클로펜타실록산, 도데카메틸사이클로헥사실록산과 같은 사이클로폴리디메틸실록산 (INCI 명 사이클로메티콘); 헵타메틸헥실트리실록산, 헵타메틸옥틸-트리실록산, 헥사메틸-디실록산, 옥타메틸트리실록산, 데카메틸테트라실록산, 도데카메틸 펜타실록산 같은 선형 실리콘,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비-휘발성 실리콘 오일 중에서, 폴리디메틸실록산(PDMS), 페닐트리메티콘, 페닐디메티콘, 페닐트리메틸실록시디페닐실록산, 디페닐-디메티콘, 디페닐메틸디페닐 트리실록산, 2-페닐에틸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및 폴리메틸페닐실록산과 같은 페닐화 폴리메틸실록산; 지방산, 지방 알코올 또는 폴리옥시알킬렌에 의해 개질된 폴리실록산 및 이들의 혼합물을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식물성 또는 합성 오일 중에서는 다음의 예가 언급될 수 있다:
· 헵타노익 또는 옥타노익 산의 트리글리세라이드와 같은 4 내지 10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산의 액체 트리글리세라이드 같은 또는 예를 들어 해바라기 오일, 옥수수 오일, 소이빈 오일, 호박 오일, 포도씨 오일, 참깨 오일, 헤이즐넛 오일, 살구 씨(apricot stone) 오일, 마카다미아 오일, 아라라 (arara) 오일, 고수 오일, 피마자 오일, 아보카도 오일, 스테아리네리 두보이스 컴퍼니(Stearineries Dubois company)에서 판매하는 것과 같은 또는 다이나미트 노블 컴퍼니(Dynamit Nobel company)에서 미클리올(Miglyol) 810, 812N 및 818 상표명으로 판매되는 것과 같은 카프릴릭/카프릭산의 트리글리세라이드, 호호바 오일 또는 시어 버터 오일;
· 합성 에스테르 및 에테르, 특히 화학식 R1COOR2 및 R1OR2 를 갖는 오일과 같은 지방산이며, 여기서 R1 는 8 내지 29 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산 잔기를 나타내며, R2 는 3 내지 30 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가지형 또는 비가지형 탄화수소 체인을 나타내는, 예를 들어 푸르셀린 오일(Purcellin oil), 이소노닐 이소노나노에이트,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에틸-2-헥실 팔미테이트, 옥틸-2-도데실 스테아레이트, 옥틸-2-도데실 에루케이트, 이소스테아릴 이소스테아레이트와 같은 것이며; 지방 알코올의 이소스테아릴 락테이트, 옥틸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옥틸도데실 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트리이소세틸 시트레이트, 헵타노에이트, 옥타노에이트, 데카노에이트와 같은 하이드록실화 에스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디옥타노에이트, 네오펜틸글리콜 디헵타노에이트 및 디에틸렌글리콜 디이소노나노에이트와 같은 폴리올 에스테르; 펜타에리스리틸 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와 같은 펜타에리스리톨 에스테르; 및 카프릴릭 및 카프릭산을 갖는 코코 알코올 에스테르 (코코 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및 그랜트 인더스트리(Grant Industries)에 의해 베지라이트(Vegelight) 1214LC® 이름으로 판매되는, INCI 명 코코넛 알칸 (및)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를 갖는 혼합물과 같은, 카프릴릭 및 카프릭 산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를 갖는 코코 알코올 에스테르와 코코 알칸의 혼합물.
바람직하게, 상기 유성상은 적어도 하나의 휘발성 오일, 바람직하게 이소헥사데칸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유성상은 적어도 하나의 카프릴릭/카프릭 산의 트리글리세라이드 및/또는 카프릴릭 및 카프릭 산을 갖는 코코 알코올 에스테르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및 코코 알칸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조성물은 또한 적어도 하나의 소포제, 바람직하게 시메티콘을 포함한다. 상기 소포제는 특히 시아미터 ACP-1500 안티폼 컴파운드® (Xiameter ACP-1500 Antifoam Compound®)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된다.
상기 조성물은 또한 예를 들어 염화 나트륨과 같은, 상 분리에 영향을 주지 않고 조성물의 삼투압이 눈물의 것과 유사하도록 하는 눈 메이크업 제거 조성물에 첨가제로 사용될 수 있는 염을 포함할 수 있다. 염의 양은 예를 들어 조성물 총 중량의 0.01 내지 5 중량% 범위, 바람직하게 0.01 내지 3 중량% 범위, 더 바람직하게 0.05 내지 2 중량%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수성상은 물 및 임의의 물에 용해되거나 물에 분산되는 첨가제를 포함한다. 사용되는 물은 멸균된 광물질이 제거된 물 및/또는 장미 워터, 블루베리 워터, 캐모마일 워터, 또는 린덴 워터와 같은 플로랄 워터, 및/또는 예를 들어 비텔(Vittel) 워터, 비쉬 바진 (Vichy basin) 워터, 유리아쥬(Uriage) 워터, 로쉐 포세이(Roche Posay) 워터, 부르불레(Bourboule) 워터, 앙귀엥-레스-바인(Enghien-les-Bains) 워터, 생 게르바이스-레스-바인 (Saint Gervais-les-Bains) 워터, 네리스-레스-바인(N
Figure pct00005
ris-les-Bains) 워터, 알레바르-레스-바인(Allevar-les-Bains) 워터, 디그네(Digne) 워터, 메이지에레스(Maizi
Figure pct00006
res) 워터, 네이락-레스-바인(Neyrac-les-Bains) 워터, 론스-레-소니에르(Lons-le-Saunier) 워터, 앙 본(Eaux Bonnes) 워터, 로쉐포르트(Rochefort) 워터, 생 크리스토(Saint Christau) 워터, 푸마데스(Fumades) 및 테르시스-레스-바인(Tercis-les-bains) 워터, 아벤느(Av
Figure pct00007
ne) 워터와 같은 천연 온천 또는 미네랄 워터일 수 있다.
수용해성 첨가제 중에서, 특히 글리세린과 같은 폴리올 및 헥실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및 폴리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글리콜을 언급할 수 있다. 폴리올은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 바람직하게 0.05 내지 8 중량%의 양으로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폴리올, 바람직하게 글리세린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또한 그들의 친수성 또는 친유성 특성에 따라 2 개의 상 중 하나에 존재하는 화장품 분야에서 통상적인 애쥬반트 또는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활성 화장료 성분, 향료, 염료, 연화제, 완충제, 습윤제, UV 필터 (또는 태양 필터), pH 조절제 (예를 들어 시트르산 또는 소듐 하이드록사이드), 및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약4.3 +/- 0.3의 pH를 가진다.
조성물이 글루코노락톤 및/또는 소듐 벤조에이트를 포함할 때, 이들 화합물은 낮은 pH에서 효과적이다. 따라서, 바람직하게, 약 4.3 +/- 0.3의 pH는 피부 내성(tolerance)을 유지하면서 방부제의 효율을 유지할 수 있다.
연화제 중에서, 특히 알란토인, 비사볼롤, 플랑크톤, 및 장미 추출물 및 스위트 클로버 추출물과 같은 몇몇의 식물 추출물이 언급될 수 있다.
상기 활성 성분은 조성물의 최종 목적에 따라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사용될 수 있는 활성 성분들 중에서, 특히 스킨 케어 조성물의 경우에는, 예를 들어 효소 (예를 들어 락토페록시다제, 리파제, 프로테아제, 포스포리파제, 셀룰라제); 이소플라본 같은 플라보노이드; 단백질 가수분해물과 같은 보습제; 소듐 히알루로네이트; 프로시아니돌 올리고머 (procyanidolic oligomers); 비타민 A (레티놀), 비타민 E (토코페롤), 비타민 C (아스코르브산), 비타민 B5 (판테놀), 비타민 B3 (니아신아미드), 이들 비타민들의 유도체 (특히 에스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과 같은 비타민; 우레아; 카페인; 코직산, 하이드로퀴논 및 카페인산과 같은 탈색방지제; 살리실산 및 이들의 유도체; 락트산 및 글리콜산과 같은 알파-하이드록시산 및 이들의 유도체; 카로티노이드와 같은 레티노이드 및 비타민 A의 유도체; 하이드로코르티손; 멜라토닌; 조류 추출물 (청 미세조류 또는 살리코르니아 추출물과 같은), 버섯, 식물, 효모, 박테리아의 추출물; 스테로이드; 2,4,4'-트리클로로-2'-하이드록시 디페닐 에테르 (또는 트리클로산), 3,4,4'-트리클로로카바닐리드 (또는 트리클로카반) 같은 활성 항균제; 텐서 제(tensor agents); 세라마이드; 및 에센셜 오일이 언급될 수 있다.
UV 필터는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는데, 특히 태양광 보호제로 사용되는 경우에 그러하다. 특히, 이들 필터는 유기 필터일 수 있으며, 존재하는 활성 물질의 양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5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0 중량%의 범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추가될 수 있는 UV-A 및/또는 UV-B에 활성인 유기 필터의 예들 중에는, 벤질리덴 캠퍼, 벤조페논 또는 페닐벤즈이미다졸의 술폰화된 유도체와 같은 술폰 작용 (sulfonic function) 유도체, 더 특히 키멕스(CHIMEX) 사에 의해 "MEXORYL SX"라는 이름으로 제작되는 벤젠 1,4 [디(3-메틸리덴-캠퍼 10-술포닉)] 산 (INCI 명 테레프탈릴리덴 디캠퍼 술포닉산), 키멕스사에 의해 "MEXORYL SL"라는 이름으로 제작되는 4'-설포 3-벤질리덴캠퍼 (INCI 명 벤질리덴 캠퍼 술포닉산), 2-[4-(캠포메틸리덴) 페닐], 벤즈이미다졸-5-술포닉산, 머크(MERCK) 사에 의해 EUSOLEX 232라는 이름으로 판매되는 페닐벤즈이미다졸 술폰산 (INCI 명 페닐벤즈이미다졸 술폰산)와 같은 벤질리덴 캠퍼의 유도체; 파라-아미노벤조산의 유도체; 하만과 레이메르(Haarmann and Reimer)에 의해 상표명 NEO HELIOPAN OS 으로 판매되는 에틸 헥실 살리실레이트와 같은 살리실릭 유도체; 특히 호프만 라 로쉐(Hoffmann La Roche)에 의해 상표명 PARSOL 1789로 판매되는 부틸 메톡시디벤조일메탄과 같은 디벤조일메탄의 유도체; 호프만 라 로쉐에 의해 특히 상표명 PARSOL MCX으로 판매되는 에틸헥실 메톡시신나메이트와 같은 신나믹 유도체; BASF 사에 의해 상표명 UVINUL N539으로 판매되는 옥토크릴렌 (2-에틸헥실 α-시아노-β,β-디페닐아크릴레이트)와 같은 β,β'-디페닐아크릴레이트의 유도체; BASF에 의해 상표명 UVINUL 400으로 판매되는 벤조페논-1, BASF에 의해 상표명 UVINUL D50으로 판매되는 벤조페논-2, BASF에 의해 상표명 UVINUL M40으로 판매되는 벤조페논-3 또는 옥시벤존, BASF에 의해 상표명 UVINUL MS40 으로 판매되는 벤조페논-4와 같은 벤조페논의 유도체; 머크에 의해 상표명 EUSOLEX 6300으로 판매되는 4-메틸벤질리덴 캠퍼와 같은 벤질리덴 캠퍼의 유도체; 하만과 레이메르에 의해 상표명 NEO HELIOPAN AP으로 판매되는 벤즈이미다질레이트와 같은 페닐 벤즈이미다졸의 유도체; 시바 게이지(CIBA GEIGY) 에 의해 상표명 TINOSORB S 으로 판매되는 아니소트리아진의 유도체 및 BASF에 의해 상표명 UVINUL T150으로 특히 판매되는 에틸헥실 트리아존의 유도체; 로디아 키미(Rhodia Chimie)에 의해 상표명 SILATRIZOLE로 판매되는 드로메트리졸 트리실록산과 같은 페닐 벤조트리아졸의 유도체; 하만과 레이메르에 의해 상표명 NEO HELIOPAN MA으로 판매되는 멘틸 안트라닐레이트와 같은 안트라닐릭 유도체; 이미다졸린의 유도체; 벤즈알마로네이트의 유도체; 및 이들의 혼합물을 예로 언급할 수 있다.
상기 기술된 조성물은 단일 구획을 갖는 플라스크에서 공지된 방식으로 처리될 수 있다. 그 다음 사용자는 면 패드 위에 내용물을 쏟아붓기 전에 플라스크를 흔들 필요가 있다. 또한, 조성물의 두 상을 동일한 플라스크 내의 2 개의 독립된 구획에 첨가하고, 분배시 이들을 혼합하도록 설계된 시스템을 계획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임의의 국소 도포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화장료 또는 피부과용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피부, 눈 및/또는 피부부속기(appendages)의 케어, 클렌징 및/또는 메이크업 제거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피부, 눈, 및/또는 피부부속기에 상기 정의된 화장료 조성물의 도포를 포함한, 피부, 눈 및/또는 피부부속기의 메이크업 제거 방법, 세정 및 케어를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조성물은 아이 메이크업 제거 조성물을 구성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음의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정의된 것과 같은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a) 수성상을 얻기 위하여 이눌린 유도체, 리소포스포리피드, 폴록사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부테스 및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를 물 및, 선택적으로 방부제와 혼합하는 단계;
b) 특히 미네랄, 식물성 또는 합성 오일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오일로 유성상을 수득하는 단계;
c) 에멀젼을 수득하기 위하여 a)에서 수득한 수성상에 b)에서 수득한 유성상을 도입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다른 예는 2개의 단계를 직접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의 하기 주어진 실시예는 예시적인 수단을 위해 주어지며 결코 제한적이지 않다. 실시예의 양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중량%로 나타낸다.
실시예 1: 유화 시스템의 선택
a) 다음의 원료가 다음의 실시예에 사용된다:
- 이눌린 라우릴 카바메이트(글리세린과 혼합된): 이누텍(Inutec) SL1®;
- PPG-26-부테스-26 및 PEG-40 경화 피마자유: 솔루빌리산트(Solubilisant) LRI®;
- 폴록사머 184: 신페로닉®(Synperonic®) PE L64;
- 글리세린 (및) 글리신 소이빈 종자 추출물(glycine soybean seed extract): 리소픽스 리퀴드®(Lysofix Liquid®);
- 코코넛 알칸 (및)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베지라이트(Vegelight) 1214LC®;
- 카프릴릭/카프릭 산의 트리글리세라이드: 미글리올(Miglyol) 812N.
다음의 제형 1 내지 7을 제조하였고 흔들어준 후에 형성된 거품을 측정하였다. 제형 5 및 6은 본 발명에 따른 3개의 유화제를 포함하는 반면, 제형 1 내지 4 및 7은 비교예이다.
Test No. 유성상 수성상 비고
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10%

베지라이트 1214LC: 20%
리소픽스: 3.5%
이누텍 SL1: 3%
테고베타인(Tegobetaine): 0%
더 빨리 붕괴되는 산소함유의 거품
2개월째에 불안정
2 리소픽스: 3.5%
이누텍 SL1: 0%
테고베타인: 3%
거품이 약간만 생기고 큰 버블을 형성
15일째에 불안정
3 리소픽스: 3.5%
이누텍 SL1: 1%
아미놀(Aminol) LS 30 (소듐 라우로일 사르코시네이트): 2%
더 빨리 붕괴되는 산소함유의 거품
3주째에 불안정
4 리소픽스: 3.5%
이누텍 SL1: 1%
아피그린(Appygreen) 812 (데실 글루코시드 (및) 자일로스 (및) 데실 알코올 (및) 물): 1%
거품이 약간만 생기고 중간 사이즈 버블을 형성
3개월째에 불안정
5 리소픽스: 3.5%
이누텍 SL1: 1%
신페로닉 PE L64: 0.7%
아주 약간의 거품
6 리소픽스: 3.5%
이누텍 SL1: 1%
신페로닉 PE L64: 0.5%
아주 약간의 거품
7 리소픽스: 3.5%
이누텍 SL1: 1%
플란타케어(Plantacare) 200UP (데실 글루코시드): 1.5%
더 빨리 붕괴되는 산소함유의 거품
2개월째에 불안정
이눌린 유도체 (Inutec SL1®), 리소포스포리피드 (Lysofix Liquid®) 및 폴록사머 (Synperonic)의 조합은 다른 조합과 달리 아주 약간의 거품을 형성하는 것으로 결과가 나타났다.
b) 제형의 안정성:
다음 표의 제형 8 내지 17을 제조하였다. 초기 제형은 상기 표에서 포뮬라(formula) 5이다. 오직 제형 13이 본 발명을 따른다.
Figure pct00008
다음과 같은 코멘트가 있다:
초기 제형의 경우, 흔들어준 후에 즉시, 투명한 바닥 및 표면 에멀젼이 약간의 거품을 가지고 관찰되었다. D+1에, 수성상은 투명하지만 표면은 기름진 삼출물(oily exudate) 외관을 가진다.
다음의 표는 다른 제형에 대해 코멘트를 포함한다:
Figure pct00009
제형 13(13*)은 본 발명에 따른 유일한 제형이며, 다른 것은 비교예이다.
따라서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부테스 및 경화 피마자유의 유도체를 포함하고, 본 발명에 따른 제형인 제형 13은 거품이 거의 없고 매력적인 외관을 갖는 수성상을 가지는 것으로 결과가 나타났다. 이것은 거품이 많지 않고 안정적인 유일한 시험된 제형이다.
실시예 2: 획득된 조성물의 안정성
다음의 조성물 18 내지 28의 안정성을 측정하였다.
KO = 안정하지 않음(not stable)
Test No. 유성상 수성상 안정성 비고
TA 시스템 방부제
18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10%
베지라이트 1214 LC 20: %
KM-72S 1%
리소픽스 3.5%
신페로닉 PE L64 0.7%
솔루빌리산트 LRI 1%
K 소르베이트 0.5% 3개월: KO 부적합한 안정성
19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10%
이소헥사데칸 20%
KM-72S 1%
리소픽스 3.5%
신페로닉 PE L64 0.7%
솔루빌리산트 LRI 1%
K 소르베이트 0.5% 2 개월: 40°C 및 45°C에서 KO 부적합한 안정성
20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10%
베지라이트 1214 LC 20%
KM-72S 1%
리소픽스 3.5%
신페로닉 PE L64 0.7%
솔루빌리산트 LRI 1%
펜틸렌 글리콜2.25%
카프릴릴 글리콜 0.5%
1 개월 40°C 및 45°C 에서 에멀젼 상 KO KO
 
2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10%
베지라이트 1214 LC 20%
KM-72S 1%
리소픽스 3.5%
신페로닉 PE L64 0.7%
솔루빌리산트 LRI 1%
메틸파라벤 0.2%
페녹시에탄올 0.5%
1 개월: Stable limit emulsion
모든 온도에서 뜸
한계 (Limit)
22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10%
베지라이트 1214 LC 20%
KM-72S 1%
리소픽스 3.5%
신페로닉 PE L64 0.7%
솔루빌리산트 LRI 1%
프로판디올 & 페네틸 알코올 & 운데실 알코올 & 토코페롤
(Sensiva PA-30) 2%
1 개월: stable limit emulsion
모든 온도에서 뜸
한계
23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10%
베지라이트 1214 LC 20%
KM-72S 1%
리소픽스 3.5%
신페로닉 PE L64 0.7%
솔루빌리산트 LRI 1%
프로판디올 & 페네틸 알코올 & 운데실 알코올 & 토코페롤
(Sensiva PA-40) 2%
에멀젼 상
D +15에서 KO
KO
24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10%
베지라이트 1214 LC 20%
KM-72S 1%
리소픽스 3.5%
신페로닉 PE L64 0.7%
솔루빌리산트 LRI 1%
카프릴릴 글리콜 (및)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및) 글리세린 (및) 페닐프로판올 (Dermosoft LP) 4% D +1에서 4개 상 KO
25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10%
베지라이트 1214 LC 20%
KM-72S 1%
리소픽스 3.5%
신페로닉 PE L64 0.7%
솔루빌리산트 LRI 1%
메틸파라벤 0.25%
프로필파라벤 0.1%
1 개월: OK
3 개월: KO
부적합한 안정성
파라벤의 재결정
26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10%
베지라이트 1214 LC 20%
KM-72S 1%
리소픽스 3.5%
신페로닉 PE L64 0.7%
솔루빌리산트 LRI 1%
메틸파라벤 0.25% + 1% 글리세린
프로필파라벤 0.1%
3개월: KO 부적합한 안정성
파라벤의 재결정
27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10%
베지라이트 1214 LC 10%
이소헥사데칸 10%
KM-72S 1%
리소픽스 3.5%
신페로닉 PE L64 0.7%
솔루빌리산트 LRI 1%
메틸파라벤 0.25% + 1% 글리세린
프로필파라벤 0.1%
3개월: 45° 에서 KO 부적합한 안정성
28 카프릴릭 / 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10%
베지라이트 1214 LC 10%
이소헥사데칸 10%
KM-72S 1%
리소픽스 3.5%
신페로닉 PE L64 0.7%
솔루빌리산트 LRI 1%
( 이누텍 SL1 1% 함유 또는 비함유 )
글루코노락톤 & 소듐 벤조에이트 & 칼슘 글루코네이트
( Geogard Ultra) 2%
3개월 OK 부적합한 안정성
따라서 상기 결과는 본 발명에 따른 계면활성제 시스템 및 방부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은 안정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실시예 3: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다음의 성분으로 제조된다 (퍼센트는 조성물 총 중량에 의한다):
물 qsp
0.7% NaCl
7.2% 글리세린
2% 글루코노락톤 & 소듐 벤조에이트 & 칼슘 글루코네이트 (GEOGARD ULTRA)
9.8% 카르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미글리올(Mygliol) 812N)
10% 하이드로지네이트 코코넛 산 & 코코-카프릴레이트/카프레이트 (베지라이트 1214 LC)
9.98% 이소헥사데칸 (Creasil IHGC)
0.1% 시메티콘 (XIAMETER ACP-1500)
1% 이눌린 라우릴 카바메이트 & 글리세린 (이누텍 SL1)
3.5% 글리세린 & 글리신 소이빈 종자 추출물 (리소픽스 LIQUID)
0.7% 폴록사머 184 (신페로닉 PE L64)
1% PPG-26-부테스-26 & PEG 40 경화 피마자유 (솔루빌리산트 LRI)

Claims (15)

  1. 수성상 및 분리된 유중수 또는 수중유상으로 구성된 화장료 조성물이며,
    상기 조성물은 이눌린 유도체, 리소포스포리피드, 폴록사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부테스 및 경화 피마자유의 유도체를 포함하는 유화 시스템을 포함하며,
    상기 유중수 또는 수중유 에멀젼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적어도 20 중량%의 유성상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글루코노락톤 및/또는 소듐 벤조에이트를 또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전체적인 수성상:유성상의 비율이 40:60 내지 80: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상은 조성물의 총 중량의 20중량% 내지 40중량%, 바람직하게 25중량% 내지 35중량%의 함량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 시스템은 조성물의 총 중량의 2중량% 내지 10중량%, 바람직하게 3중량% 내지 7중량%의 함량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이눌린의 유도체는 알킬 이소시아네이트를 갖는, 바람직하게 라우릴 이소시아네이트를 갖는 이눌린 카바모일이며, 바람직하게 상기 유도체는 이눌린 라우릴 카바메이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부테스는 다음의 화학식 (II)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Figure pct00010
    (II),
    여기서 x 및 y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1 내지 50 사이, 바람직하게 10 내지 35 사이의 정수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부테스는 PPG-12-부테스-16, PPG-9-부테스-12, PPG-26-부테스-26 및 PPG-28-부테스-35로부터 선택되고/되거나,
    상기 경화 피마자유의 유도체는 바람직하게 20 내지 50 몰의 에틸렌 옥사이드를 포함하는 옥시에틸렌화된 경화 피마자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폴록사머는 다음의 화학식 (III)를 만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Figure pct00011
    (III),
    여기서 x 및 y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1 내지 50 사이, 바람직하게 10 내지 35 사이의 정수임.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리소포스포리피드는 다음의 화학식을 가지며,
    Figure pct00012

    여기서 R은 특히 탄소 원자 10 내지 25개, 바람직하게 15 내지 20개를 포함하는 지방산 체인인, 리소포스파티딜콜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상은 미네랄 오일, 식물성 오일 및 합성 오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오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소포제, 바람직하게 시메티콘을 또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약 4.3 +/- 0.3의 pH 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14. a) 수성상을 얻기 위해, 이눌린 유도체, 리소포스포리피드, 폴록사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부테스 및 경화 피마자 오일의 유도체, 선택적으로 방부제를 물과 혼합하는 단계;
    b) 특히 미네랄, 식물성 또는 합성 오일일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오일로 유성상을 수득하는 단계;
    c) 에멀젼을 수득하기 위하여 a)에서 수득한 수성상에 b)에서 수득한 유성상을 도입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 눈 및/또는 피부부속기(appendages)에 적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눈, 및/또는 피부부속기의 메이크업 제거, 클렌징 및/또는 케어의 화장학적 방법.
KR1020187028264A 2016-04-01 2017-03-31 이중상 메이크업 제거용 조성물 KR2018012368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652853A FR3049459B1 (fr) 2016-04-01 2016-04-01 Composition de demaquillage biphase
FR1652853 2016-04-01
PCT/FR2017/050741 WO2017191382A1 (fr) 2016-04-01 2017-03-31 Composition de demaquillage bipha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3685A true KR20180123685A (ko) 2018-11-19

Family

ID=56069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8264A KR20180123685A (ko) 2016-04-01 2017-03-31 이중상 메이크업 제거용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537502B2 (ko)
EP (1) EP3436153A1 (ko)
JP (1) JP2019510065A (ko)
KR (1) KR20180123685A (ko)
FR (1) FR3049459B1 (ko)
WO (1) WO20171913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788791A (zh) 2017-06-23 2022-07-26 宝洁公司 用于改善皮肤外观的组合物和方法
FR3082428B1 (fr) * 2018-06-19 2020-12-11 La Phoceenne De Cosmetique Sa Composition biphase et son utilisation en non rincee pour demeler tous types de cheveux
CA3102288A1 (en) 2018-07-03 2020-01-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treating a skin condition
EP3989912A1 (en) 2019-06-28 2022-05-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ater-soluble personal cleansing product and uses
EP4003272A1 (en) 2019-07-31 2022-06-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ater-soluble personal cleansing products comprising fibrous elements comprising natural or modified starch, uses, methods and kit
EP3895683A1 (fr) 2020-04-14 2021-10-20 Chanel Parfums Beauté Composition cosmétique multi-phases comprenant au moins deux phases huileuses non miscibles
EP4157206A1 (en) 2020-06-01 2023-04-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improving penetration of a vitamin b3 compound into skin
US10959933B1 (en) 2020-06-01 2021-03-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Low pH skin care composition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N112451394B (zh) * 2020-12-02 2022-11-18 广东柏俐臣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温和的卸妆液
FR3122091B1 (fr) * 2021-04-22 2023-12-29 Naos Inst Of Life Science Composition cosmetique biphasique ecobiologique a separation de phases retardee
WO2023039780A1 (en) 2021-09-16 2023-03-23 Beiersdorf Ag Bi-PHASE MAKE-UP REMOVE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83872B2 (ja) * 2000-01-28 2008-11-19 株式会社コーセー 二層型化粧料
JP2002294084A (ja) * 2001-03-30 2002-10-09 Shiseido Co Ltd 多層型組成物
JP3683215B2 (ja) * 2001-12-26 2005-08-17 株式会社日本色材工業研究所 二層分離型クレンジング料
JP4129388B2 (ja) * 2002-12-24 2008-08-06 株式会社ファンケル 多層型化粧料
FR2859626B1 (fr) * 2003-09-12 2006-01-27 Oreal Composition biphase et ses utilisations dans le domaine cosmetique
JP2006306842A (ja) * 2005-03-30 2006-11-09 Kose Corp 二層型紫外線防御化粧料
US20090196894A1 (en) * 2006-05-31 2009-08-06 Thomas Ehlis Self Tanning Composition
EP1894994B1 (de) * 2006-08-31 2013-10-16 Henkel AG & Co. KGaA Zwei- oder mehrphasiges Gesichtsreinigungsmittel mit verbessertem reversiblen Mischungs- und Entmischungsverfahren
US20120093896A1 (en) * 2007-07-31 2012-04-19 Ciba Corporation Use of nanodispersions to protect water-soluble ingredients in cosmetic end formulations
JP2011213682A (ja) * 2010-03-31 2011-10-27 Naris Cosmetics Co Ltd 泡沫性クレンジング化粧料
JP5802509B2 (ja) * 2011-09-30 2015-10-28 花王株式会社 多層型化粧料
CN103505381B (zh) * 2013-09-17 2015-03-25 广州环亚化妆品科技有限公司 一种两层卸妆乳液及其制备方法
FR3015235B1 (fr) * 2013-12-19 2016-01-15 Oreal Composition biphase comprenant un derive d'acide cucurbiqu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510065A (ja) 2019-04-11
FR3049459B1 (fr) 2018-03-23
EP3436153A1 (fr) 2019-02-06
WO2017191382A1 (fr) 2017-11-09
US10537502B2 (en) 2020-01-21
US20190083369A1 (en) 2019-03-21
FR3049459A1 (fr) 2017-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3685A (ko) 이중상 메이크업 제거용 조성물
EP3441061B1 (en) Cosmetic composition for concealing wrinkles
WO2010026140A1 (en) Makeup-removing or cleansing method using volatile linear c7-c17 alkane
US10342755B2 (en)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specific combination of surfactants
EA004662B1 (ru) Масла для кожи, образующие пузырьки и содержащие водно-масляные эмульгаторы с гидрофильно-липофильным балансом 2-6,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и применение
BG107875A (bg) Козметични масла от масленоразтворими компоненти
FR2847468A1 (fr) Composition biphase transparente pour application topique et son utilisation cosmetique
US20050075265A1 (en) Two-phase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FR3118877A1 (fr) Stabilisation d’un composé de thiopyridinone et réduction du jaunissement de la composition le comprenant
EP4076342A1 (en) Two-phase composition comprising an aqueous phase comprising one or more polyols at a content ranging from 5% to 30% by weight and an oily phase comprising non-silicone oils
US7459149B2 (en) Two-phase composition and its uses in cosmetics
JP4031473B2 (ja) 2相組成物およびその化粧料としての使用
ES2313192T3 (es) Composicion bifase que comprende un tensioactivo de tipo de sal de sodio de esteres de dimeticona copoliol y acido sulfosuccinico, y sus utilizaciones en el ambito cosmetico.
TW202308591A (zh) 化妝料
CN106309153B (zh) 包含脂肪酸和中和剂的多层神经酰胺片状结构体
US20130345315A1 (en) Water-releasing cosmetic composition
FR2864893A1 (fr) Composition biphase et ses utilisations dans le domaine cosmetique
JP7080605B2 (ja) エーテル油を含む水中油型エマルション組成物
TWI714554B (zh) 用於捕捉二氧化碳之氣溶膠組合物、其製備方法及包含其之化妝品
WO2015091380A1 (en) Two-phase composition comprising a cucurbic acid derivative
JP2004346039A (ja) 乳化組成物
WO2023095685A1 (ja) 化粧料
US20230355484A1 (en) Two-phase compos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