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2584A -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2584A
KR20180122584A KR1020180134588A KR20180134588A KR20180122584A KR 20180122584 A KR20180122584 A KR 20180122584A KR 1020180134588 A KR1020180134588 A KR 1020180134588A KR 20180134588 A KR20180134588 A KR 20180134588A KR 20180122584 A KR20180122584 A KR 201801225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defecation
bowel
uni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45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62736B1 (ko
Inventor
이창섭
Original Assignee
이창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섭 filed Critical 이창섭
Priority to KR10201801345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2736B1/ko
Publication of KR201801225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25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2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2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35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by means of conveyor bel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01K1/011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with conveying belts for removing excreme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2Pigsties; Dog-kennels; Rabbit-hutches or the like
    • A01K1/035Devices for use in keeping domestic animals, e.g. fittings in housings or dog bed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 A01K29/005Monitoring or measuring activity, e.g. detecting heat or m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3/0004Personal or domestic artic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배변 패드를 보관하고 보관된 배변 패드를 패드 받침대에 공급하는 패드 공급부, 상기 패드 공급부에서 공급된 배변 패드에 반려동물이 배변하면 배변 패드를 말아서 처리하는 패드 처리부, 상기 패드 받침대 상에 공급된 배변 패드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처리해서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생성된 영상을 이용해서 배변 상태를 검사하고, 배변 상태에 기초해서 상기 패드 처리부에 의해 처리되는 상기 배변 패드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영상 처리부를 이용해서 배변 패드 상에 있는 변의 위치를 검사하고, 변의 위치만큼 배변 패드를 처리하여 배변 패드를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PET TOILET TRAINING}
본 발명은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반려동물의 배변 패드를 자동으로 처리하고, 미리 정해진 위치에서 배변하도록 반려동물을 훈련할 수 있는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반려동물은 사람이 곁에 두고 사람의 즐거움을 위해서 키우는 동물을 의미한다. 특히 최근 매스컴에 의하여 반려동물을 가족의 한 구성원으로 인식하는 경향이 적어도 한 마리 이상의 반려동물과 함께 지내는 가구가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반려동물을 키우는 과정에서 배변을 자주 처리하여 번거로운 수고를 반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반려동물의 배변을 자동으로 처리할 수 있는 장치에 대한 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애완동물 배변 자동 처리 장치에 관한 것으로, 모터의 구동에 의해 배변용 시트를 감아서 애완동물의 배변이 자동으로 청결하게 위생적으로 처리하는 애완동물 배변 자동 처리 장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에 따른 배변 자동 처리 장치는 애완동물이 올라갈 수 있도록 평평하게 구비되는 배변판과; 상기 배변판의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되고, 상기 배변판의 일측을 향해 하단에 제1 개구부가 형성되는 제1 케이스와; 상기 제1 케이스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수평으로 설치되고, 배변용 시트가 권취되는 권취롤과; 상기 배변판의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장착되고, 상기 배변판의 타측을 향해 하단에 제2 개구부가 형성되는 제2 케이스와; 상기 제2 케이스를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배변용 시트가 감기는 회전축과, 상기 제2 케이스에 장착되어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가지는 모터구동부를 포함한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661675호(2016년 10월 04일 공고)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배변 자동 처리 장치는 반려동물이 배변한 뒤에 변이 배변 패드에 놓여있는 위치를 고려하지 않고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배변 패드를일괄적으로 처리하였다. 이로 인해, 종래기술에 따른 배변 자동 처리 장치는 배변 패드의 사용량이 증가하여 유지 관리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반려동물이 배변한 배변패드를 자동으로 처리하고, 정확한 위치에서 배변하도록 배변 훈련을 유도할 수 있는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배변 패드를 촬영한 영상을 이용해서 배변 패드 상에 있는 변의 위치를 검사하고, 변의 위치에 기초해서 처리되는 배변 패드의 길이를 조절하는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는 배변 패드를 보관하고 보관된 배변 패드를 패드 받침대에 공급하는 패드 공급부, 상기 패드 공급부에서 공급된 배변 패드에 반려동물이 배변하면 배변 패드를 말아서 처리하는 패드 처리부, 상기 패드 받침대 상에 공급된 배변 패드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처리해서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생성된 영상을 이용해서 배변 상태를 검사하고, 배변 상태에 기초해서 상기 패드 처리부에 의해 처리되는 상기 배변 패드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훈련방법은 (a) 패드 받침대에 설치된 적외선 센서를 이용해서 배변 패드에 반려동물의 진입 및 진출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b) 제어부의 검사부에서 상기 적외선 센서의 감지신호에 기초해서 반려동물의 진입 및 진출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검사결과 반려동물의 진입 및 진출로 판단되면, 영상 처리부에서 배변 패드를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영상 정보를 이용해서 배변 상태를 검사하고, 검사 결과에 기초해서 배변 패드의 길이를 조절해서 처리하도록 패드 처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에 의하면, 영상 처리부를 이용해서 배변 패드 상에 있는 변의 위치를 검사하고, 변의 위치에 따라 배변 패드의 길이를 조절해서 처리하여 배변 패드를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변 주변에 형성되는 그림자를 이용해서 배변 여부 및 배변 위치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패드 처리부의 하우징 양측에 각각 샤프트의 높이를 가변하도록 장공 형상의 결합공을 형성해서 배변 패드의 처리시 경사로 인해 변이 배변 패드의 외부로 이탈하거나 유동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처리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패드 처리부의 샤프트를 배변 패드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마련하여 배변 패드를 용이하게 회수해서 처리할 수 있고, 배변 패드를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심지를 사용하지 않음에 따라,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패드 공급부 내부에 가이드 판과 가이드 홈을 마련해서 배변 패드가 공급되면서 중첩되어 인출되거나 인출공에 걸리는 잼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배변 패드 상의 배변 상태에 따라 반려동물에게 간식을 공급함으로써, 반려동물의 배변 훈련을 유도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패드 공급부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패드 처리부의 제2 샤프트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훈련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
도 6 및 도 7은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의 동작 상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 및 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이하에서는 패드 공급부(110)를 중심으로 패드 처리부(120) 방향을 후방이라 하고, 그 반대 방향을 전방이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 처리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 공급부(110), 패드 처리부(120), 패드 받침대(130), 영상 처리부(140), 제어부(150) 및 조명부(160)를 포함한다.
패드 공급부(110)는 반려동물이 배변을 보는 배변 패드(P)를 공급하는 부분으로, 제1 패드 하우징(111) 및 제1 샤프트(112)를 포함하고, 제1 패드 하우징(111)의 양측에는 각각 제1 샤프트(112)의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결합공(113)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패드 하우징(111)은 배변 패드(P)를 보관하는 부분으로, 내부 공간에는 배변 패드(P)를 롤 형태로 말아서 보관할 수 있다.
제1 샤프트(112)는 제1 패드 하우징(111)의 내부 공간에 있는 배변 패드(P)를 롤 형태로 저장하는 부분으로, 롤 형태의 배변 패드(P)의 중심에 배치되어 배변 패드(P)가 회전하여 풀리면서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
제1 결합공(113)은 제1 샤프트(112)의 양 단이 결합되는 부분으로, 제1 샤프트(112)에 롤 형태로 말려있는 배변 패드(P)가 풀릴 때 회전 중심을 유지하도록 대략 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결합공(113)은 제1 샤프트(112)에 감긴 배변 패드(P)의 길이에 따라 제1 샤프트(112)의 높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장공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패드 처리부(120)는 패드 공급부(110)에서 공급되는 배변 패드(P)를 회수하는 부분으로, 제2 패드 하우징(121) 및 제2 샤프트(122)을 포함하고, 제2 패드 하우징(121)의 양측에는 각각 제2 샤프트(122)의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결합공(123)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패드 하우징(121)은 제1 패드 하우징(111)에서 공급되는 배변 패드(P)를 회수하여 보관하는 부분으로, 배변된 배변 패드(P)를 롤 형태로 말아서 처리한다.
제2 샤프트(122)는 제1 패드 하우징(111)에서 공급되는 배변 패드(P)를 롤 형태로 보관하는 부분으로, 배변 패드(P)의 일단을 고정하여 회전하면서 롤 형태로 말아서 보관한다.
제2 결합공(123)은 제2 샤프트(122)의 양 단이 결합되는 부분으로, 제2 샤프트(122)가 회전하면서 배변 패드(P)를 감을 때 회전 중심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제2 결합공(123)은 제2 샤프트(122)에 감긴 배변 패드(P)의 길이에 따라 제2 샤프트(122)의 높이를 가변할 수 있도록 장공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1 및 제2 패드 하우징(111,121)의 구조를 아래에서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패드 받침대(130)는 패드 공급부(110)에서 공급되는 배변 패드(P)가 안착되는 부분으로, 패드 받침대(130)의 전단과 후단에는 각각 패드 공급부(110)와 패드 처리부(120)가 마련되며, 배변 패드(P)는 패드 공급부(110)에서 패드 반침대(130) 상면을 거쳐 패드 처리부(120)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패드 받침대(130)에는 반려동물이 배변을 위해 배변 패드(P) 위로 이동(이하 '진입'이라 함)하고, 배변 후 배변 패드(P) 외부로 이동(이하 '진출'이라 함)하는지를 검사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131)가 마련될 수 있다.
적외선 센서(131)는 배변 패드 상에 반려동물의 진입 및 진출 여부를 검사하는 기능을 한다.
물론,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외선 센서 이외에 레이저 센서나 초음파 센서, 중량 센서 등 다양한 방식으로 반려동물의 진출입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적용하도록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패드 받침대(130)는 반려동물의 품종이나 크기 등에 따라 배변 패드(P)가 안착되는 길이나 폭 또는 전체 면적을 조절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규격의 받침판을 복수 개 조립해서 구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일정 규격의 받침판을 선택적으로 조립해서 패드 받침대의 길이나 폭, 면적을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패드 받침대(130)의 상면에는 배변 패드(P) 상의 배변의 위치를 쉽게 인식할 수 있도록, 미리 설정된 간격으로 표시선(132)이 표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각 받침판 상면에는 폭 방향의 중앙부에 표시선(132)이 표시될 수 있다.
영상 처리부(140)는 패드 받침대(130)에 공급된 배변 패드(P)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141)와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는 처리모듈(142)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41)는 반려동물이 배변 패드(P)에서 배변 여부 및 배변 패드(P) 상에 있는 변의 위치를 검사할 수 있도록, 상하좌우로 회전(Pan, Tilt) 가능한 동작과 줌 인(Zomm in) 및 줌 아웃(Zoom out)동작이 가능한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다.
처리모듈(142)은 배변 상태, 즉 배변 여부 및 변의 위치를 검사할 수 있도록, 카메라(141)에서 촬영된 영상을 처리하고 처리된 영상정보를 제어부(150)로 전달한다.
제어부(150)는 반려동물 배변처리장치(100)에 마련된 각 장치의 구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어부(150)는 영상 처리부(140)에서 수신된 영상 정보를 분석하는 영상 분석부(151), 적외선 센서(131)의 감지신호에 기초해서 반려동물의 진출입 여부와 영상 분석부(151)의 분석 결과를 이용해서 배변 여부 및 변의 위치를 검사하는 검사부(152) 및 검사 결과에 따라 처리되는 배변 패드(P)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패드 처리부(1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발생부(153)를 포함할 수 있다.
신호 발생부(153)는 조명부(160)에 마련된 제1 및 제2 광원(161,162)을 순차적으로 구동하도록 조명부(16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아래에서 설명할 제2 샤프트(122)가 결합된 롤러(126)(도 4 참조)에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129)의 회전수 또는 각도를 조절해서 처리되는 배변 패드(P)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제어부(150)는 반려동물의 배변 상태에 기초해서 패드 처리부(120)에서 배변 패드(P)를 회수하여 처리하도록 제어함과 동시에, 정확한 배변 위치에서 배변한 반려동물에게 간식을 공급하여 반려동물의 배변훈련을 유도하도록 급식부(도면 미도시)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조명부(160)는 배변된 소변과 대변의 식별이 어려운 야간에 패드 받침대(130) 상의 배변 패드를 조명하는 부분으로, 패드 공급부(110)와 패드 처리부(120)에 각각 설치되는 제1 및 제2 광원(161,162)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분석부(151)에서 분석된 영상 정보는 변과 빛에 의한 변의 그림자를 포함할 수 있다.
그래서 제어부(150)는 영상 정보에 포함된 변과 그림자를 이용해서 대변과 소변을 판단하고, 변의 위치를 검사하며, 검사결과에 따라 처리되는 배변 패드(P)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제어부(150)는 주간에는 태양광에 의해 배변 패드(P)가 조명됨에 따라, 영상 분석부(151)에서 분석된 영상의 색상을 이용해서 대변과 소변을 판단할 수 있다.
반면, 제어부(150)는 야간 또는 태양광이 차단되어 실내가 어두운 상태에서는 제1 및 제2 광원(161,162)을 순차적으로 점등하도록 제어하고, 변에 의해 그림자가 발생하는지를 검사해서 대변 또는 소변을 판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50)는 내부의 타이머를 이용해서 시간을 계수하고, 야간에 조명부(160)를 미리 설정된 설정시간 동안 동작시켜 패드 받침대(130) 상의 배변 패드(P)로 빛을 조사하게 제어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조도 센서를 이용해서 패드 받침대나 배변 패드 상의 조도를 감지하고, 감지 결과에 따라 조명부를 동작시키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어부(150)는 배변 패드(P)에 배변된 변이 소변인지 대변인지를 판단하고, 대변으로 판단된 경우 즉시 처리하도록 패드 처리부(130)의 구동을 제어한다.
반면, 제어부(150)는 배변된 변이 소변으로 판단되면, 소변 판단 횟수를 카운팅하고, 카운팅된 횟수가 미리 설정된 설정횟수에 도달하면 배변 패드(P)를 처리하도록 패드 처리부(13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설정횟수는 배변 패드(P)가 소변에 의해 완전히 오염되기 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실험치에 의해 설정되고, 예를 들어 2회 내지 5회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배변 패드에 대한 반려동물의 진출입 여부, 배변 여부 및 변의 위치를 검사하고, 변의 위치에 따라 배변 패드를 처리하는 길이를 조절하여 배변 패드를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주간에는 변의 색상을 이용해서 소변과 대변을 판별하고, 야간에는 조명부를 동작시켜 배변 패드를 조명해서 변에 의한 그림자의 발생 여부를 이용해서 소변과 대변을 판별하며, 배변 패드 상에 있는 변의 위치를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변 패드의 배변 상태에 따라 반려동물에게 간식을 포상해서 배변 훈력을 유도함으로써, 배변훈련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다음,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패드 공급부와 패드 처리부의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패드 공급부(110)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패드 처리부(12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 공급부(110)의 제1 패드 하우징(111)은 제1 바닥판(1111), 제1 측면판(1112) 및 제1 커버(11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닥판(1111)은 제1 패드 하우징(111)의 하부를 보호하는 부분으로, 배변 패드(P)가 외부로 배출되면서 배변 패드(P)의 하부를 받쳐주는 기능을 한다.
제1 측면판(1112)은 제1 패드 하우징(111)의 양 측면을 차폐하는 부분으로, 제1 패드 하우징(111)의 좌측 및 우측을 각각 보호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된다.
각 제1 측면판(1112)에는 제1 결합공(113)이 형성되어 제1 샤프트(112)의 양 단을 삽입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바닥판(1111)에는 하방으로 오목하게 가이드 홈(117)이 형성되며, 제1 측면판(1112)에는 한 쌍의 가이드 돌기(115)가 형성되고, 한 쌍의 가이드 돌기(115) 사이에는 가이드 판(116)이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 돌기(115)는 제1 측면판(1112)의 내면에 돌출 형성되고, 가이드판(116)은 한 쌍의 가이드 돌기(115) 사이에 끼움고정할 수 있다.
가이드 판(116)은 인출공(114)을 통해 인출되는 배변 패드(P)의 상면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배변 패드(P)가 제1 하우징(111)에서 인출되는 것을 보조하도록 가이드 판(116)의 일단, 즉 하단은 배변 패드(P)의 상면에 접촉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 홈(117)은 배변 패드(P)의 하면과 접촉하는 부분으로, 배변 패드(P)가 가이드 판(116)과 접촉함에 따라 돌출되는 하면과 접촉하여 배변 패드(P)가 인출공(114)을 따라 인출될 수 있도록 돕는다.
제1 커버(1113)는 제1 패드 하우징(110)의 전면 및 후면을 보호하는 부분으로, 내부에 배변 패드(P)로 외부의 불순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제1 커버(1113)의 후면에는 배변 패드(P)를 인출하기 위한 인출공(114)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1 커버(1113)는 내부에 보관되는 배변 패드(P)를 교환할 수 있도록, 제1 바닥판(1111)의 전단에 설치된 축(도면 미도시)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해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한 쌍의 제1 측면판 사이에 가이드 판을 설치하고, 제1 바닥판에 가이드 홈을 형성해서 배변 패드가 인출공으로 인출되면서 발생하는 배변 패드의 걸림 또는 겹침 현상을 방지하여 배변 패드를 매끄럽게 인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배변 패드의 상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걸러내어 배변 패드의 표면을 청결하게 유지한 상태로 인출할 수 있다.
패드 처리부(120)의 제2 패드 하우징(12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바닥판(1211), 제2 측면판(1212) 및 제2 커버(1213)를 포함한다.
제2 바닥판(1211)은 제2 패드 하우징(121)의 하부를 보호하는 부분으로, 제2 패드 하우징(121)으로 회수되는 배변 패드(P)의 하부를 보호한다.
제2 측면판(1212)은 제2 패드 하우징(121)의 양 측면을 차폐하는 부분으로, 제2 패드 하우징(121)의 좌측 및 우측을 각각 보호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각 제2 측면판(1212)에는 제2 샤프트(122)의 양 단이 결합되는 제2 결합공(123)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커버(1213)는 제2 패드 하우징(121)의 전면 및 후면을 보호하는 부분으로, 제2 커버(1213)의 전면에는 배변 패드(P)를 회수하기 위한 회수공(124)이 형성된다.
이러한 제2 커버(1213)는 내부에 보관되는 배변 패드(P)를 교환할 수 있도록, 제2 바닥판(1211)의 후단에 설치된 축(도면 미도시)을 중심으로 회전운동해서 개폐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2 샤프트(122)는 패드 막대(125) 및 롤러(126)를 포함한다.
패드 막대(125)는 배변 패드(P) 선단의 상하 양면을 고정하도록 한 쌍으로 구성된다.
롤러(126)는 배변 패드(P)를 말아서 보관하는 부분으로, 롤러(126)의 일면에는 삽입공간(127)이 형성되어 배변 패드(P)의 타 단을 고정한 패드 막대(125)를 삽입하여 사용한 배변 패드(P)를 롤 형태로 감아 보관할 수 있다.
이러한 패드 막대(125)는 별도의 심지를 사용하지 않고, 회수되는 배변 패드(P)를 말아서 처리하고, 말아진 배변 패드(P)의 일측단을 통해 용이하게 배변 패드(P)와 분리될 수 있다.
롤러(126)의 양 단에는 각각 제2 측면판(1212)의 제2 결합공(123)에 결합되는 삽입돌기(128)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롤러(126)의 일단에는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129)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회수된 배변 패드에서 패드 막대와 롤러로 구동된 제2 샤프트를 분리해서 배변 패드를 별도로 처리할 수 있어 사용된 배변 패드를 용이하게 처리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광원(161,162)은 각각 제1 패드 하우징(111)의 제1 커버(1113) 후면과 제2 패드 하우징(121)의 제2 커버(1213) 전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및 제2 광원(161,162)을 각각 패드 받침대(130)의 양측에 설치하도록 변경될 수도 있다.
다음,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처리방법에 대하여 상세하게 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반려동물 배변훈련방법을 단계별로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의 동작 상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100)에 전원이 공급되면, 제어부(150)는 각 구성을 초기화하여 배변 패드(P)의 배변 유무와 변의 위치 검사 및 처리를 위한 동작을 준비하도록 제어한다.
S10단계에서 패드 받침대(130)에 설치된 적외선 센서(131)는 배변 패드(P) 상에 반려동물의 진입 및 진출 여부를 감지하고, 적외선 센서(131)에서 출력되는 감지신호는 제어부(150)로 전달된다.
S12단계에서 제어부(150)는 적외선 센서(131)에서 수신된 감지신호를 이용해서 반려동물의 진출입 여부를 검사한다.
만약, S12단계의 검사결과 반려동물이 진입 및 진출 상태가 확인되지 않으면, 제어부(150)는 S10단계와 S12단계를 반복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반면, S12단계의 검사 결과 반려동물이 진입 및 진출 상태가 확인되면, 영상 처리부(140)는 배변 패드(P)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처리해서 영상 정보를 생성한다(S14).
이때, 제어부(150)는 내부의 타이머에서 계수된 시간이나 조도 센서에서 감지된 조도에 따라 조명부(160)의 제1 및 제2 광원(161,162)을 순차적으로 점등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의 영상 분석부(151)는 영상 처리부(140)에서 생성된 영상 정보를 분석하고, 검사부(152)는 분석된 영상 정보를 이용해서 배변 패드(P) 상의 배변 여부, 대변과 소변 판단 및 변의 위치를 검사한다.
즉, S16단계에서 검사부(152)는 분석된 영상을 이용해서 배변 패드(P)에 변이 배변된 상태인지를 검사한다.
만약, S16단계의 검사결과 배변 상태가 아닌 경우, 제어부(150)는 S10단계 내지 S16단계를 반복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반면, S16단계의 검사결과 변이 배변된 상태이면, 검사부(152)는 배변된 변이 대변인지 또는 소변인지를 검사한다(S18).
이때, 검사부(152)는 주간에는 영상 정보의 색상을 이용해서 소변과 대변을 판단하고, 야간에는 제1 및 제2 광원에서 조사된 빛에 의해 변 주변에 그림자가 발생하는지를 검사해서 소변과 대변을 판단할 수 있다.
그래서 S18단계의 검사결과 소변인 경우, 제어부(150)는 소변 판단 횟수를 카운팅하고(S20), 카운팅된 횟수가 미리 설정된 설정횟수에 도달하였는지를 검사한다(S22).
만약, S22단계의 검사결과 카운팅된 횟수가 설정횟수보다 작으면, 제어부(150)는 S10단계 내지 S22단계를 반복 수행하도록 제어한다.
반면, S22단계의 검사결과 카운팅 횟수가 설정횟수에 도달하거나, S18단계의 검사 결과 배변된 변이 대변이면, 제어부(150)는 변의 위치에 따라 배변 패드(P)의 처리되는 길이를 결정한다.
이때, 배변 패드(P) 상의 변의 위치는 패드 처리부(120)를 기준으로 패드 받침대(130)의 표시선(132)을 이용해서 패드 처리부(120)에서 이격된 거리로 결정될 수 있다.
즉, 변의 위치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 처리부(120)와 근접한 경우, 제어부(150)는 변의 위치를 기준으로 처리되는 배변 패드(P)의 길이를 결정한다.
반면, 변의 위치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 처리부(120)와 멀리 이격된 경우, 제어부(150)는 변의 위치를 기준으로 처리되는 배변 패드(P)의 길이를 결정한다.
이에 따라, S26단계에서 제어부(150)의 신호 발생부(153)는 S24단계에서 결정된 길이만큼 배변 패드(P)를 회수해서 처리하도록 패드 처리부(12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와 함께, 제어부(150)는 반려동물의 배변 상태를 확인한 후, 간식을 공급하도록 급식부를 구동해서 반려동물이 배변 패드(P)에서 배변하도록 배변훈련을 유도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본 발명은 배변 패드 상의 배변 여부를 검사하고, 배변 상태를 촬영한 영상 정보를 이용해서 변의 정확한 위치를 판단하여 배변 패드의 길이를 조절해서 처리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배변 패드를 촬영한 영상을 이용하여 배변 여부 및 변의 위치를 파악하여 변의 위치만큼 배변 패드를 롤 형태로 말아서 처리하여 배변 패드를 경제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기술에 적용된다.
100: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
110: 패드 공급부
111: 제1 패드 하우징 1111: 제1 바닥판
1112: 제1 측면판 1113: 제1 커버
112: 제1 샤프트 113: 제1 결합공
114: 인출공 115: 가이드 돌기
116: 가이드 판 117: 가이드 홈
120: 패드 처리부
121: 제2 패드 하우징 1211: 제2 바닥판
1212: 제2 측면판 1213: 제2 커버
122: 제2 샤프트 123: 제2 결합공
124: 회수공 125: 패드 막대
126: 롤러 127: 삽입공간
128: 삽입돌기 129: 구동모터
130: 패드 받침대
131: 적외선 센서 132: 표시선
140: 영상 처리부
141: 카메라 142: 처리모듈
150: 제어부
151: 영상 분석부 152: 검사부
153: 신호 발생부
160: 조명부
161,162: 제1,제2 광원

Claims (6)

  1. 배변 패드를 보관하고 보관된 배변 패드를 패드 받침대에 공급하는 패드 공급부;
    상기 패드 공급부에서 공급된 배변 패드에 반려동물이 배변하면 배변 패드를 말아서 처리하는 패드 처리부;
    상기 패드 받침대 상에 공급된 배변 패드를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처리해서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 및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생성된 영상을 이용해서 배변 여부 및 변의 위치를 포함하는 배변 상태를 검사하고, 배변 상태에 기초해서 상기 패드 처리부에 의해 처리되는 상기 배변 패드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패드 받침대에는 반려동물이 배변 패드로 진입 및 진출 여부를 감지하는 적외선 센서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처리부에서 수신된 영상 정보를 분석하는 영상 분석부;
    상기 적외선 센서의 감지신호에 기초해서 반려동물의 진출입 여부와 상기 영상 분석부의 분석 결과를 이용해서 배변 여부 및 변의 위치를 검사하는 검사부; 및
    상기 검사부의 검사 결과에 따라 처리되는 배변 패드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패드 처리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신호 발생부; 를 포함하고,
    상기 신호 발생부는 야간에 상기 패드 공급부와 패드 처리부에 각각 설치된 제1광원 및 제2광원을 순차적으로 구동하도록 조명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검사부는 주간에는 상기 영상 분석부에서 분석된 영상 정보의 색상을 이용해서 소변과 대변을 판단하며,
    야간에는 상기 제1광원 및 상기 제2광원에서 조사된 빛에 의해 변 주변에 그림자가 발생하는지를 검사해서 소변과 대변을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
  2. 제1항에서,
    상기 패드 공급부는 내부에 배변 패드를 보관하고 일측 하부에 배변 패드를 인출하는 인출공이 형성되는 제1 패드 하우징; 및
    배변 패드의 일 단이 결합되어 외주면에 배변 패드를 롤 형태로 말아서 보관하는 제1 샤프트;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패드 하우징의 양 단에는 상기 제1 샤프트의 양 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결합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
  3. 제2항에서, 상기 제1 패드 하우징은,
    제1 바닥판;
    상기 제1 바닥판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측면판; 및
    상기 제1 바닥판과 한 쌍의 제1 측면판 사이 공간을 차폐하는 제1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커버의 전면에는 상기 인출공이 형성되며,
    각 제1 측면판의 내측면에는 한 쌍의 가이드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돌기 사이에는 가이드 판이 삽입되며,
    상기 제1 바닥판에는 상기 가이드 판의 하단이 삽입되며 배변 패드의 이동을 가이드해서 걸림을 방지하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
  4. 제1항에서, 상기 패드 처리부는,
    배변 패드가 회수되는 패드 회수공이 형성되는 제2 패드 하우징;
    배변 패드의 타 단이 결합되고, 상기 제2 패드 하우징 내부로 회수되는 배변패드를 말아서 처리하는 제2 샤프트; 및
    상기 제2 샤프트를 회전시키도록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패드 하우징의 양단에는 상기 제2 샤프트의 양 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제2 결합공은 배변 패드가 상기 제2 샤프트에 감긴 길이에 따라 상기 제2 샤프트의 높이를 가변하도록 상하방향을 따라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
  5. 제4항에서, 상기 제2 샤프트는,
    서로 겹쳐져서 배변 패드 일단의 상하면을 고정하는 한 쌍의 패드 막대; 및
    상기 한 쌍의 패드 막대가 결합되는 롤러; 를 포함하고,
    상기 롤러의 일 면에는 상기 한 쌍의 패드 막대가 탈착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제2 패드 하우징은,
    제2 바닥판;
    상기 제2 바닥판의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측면판; 및
    상기 제2 바닥판과 한 쌍의 제2 측면판 사이 공간을 차폐하는 제2 커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커버의 전면에는 상기 회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
  6. 청구항 제1항에 기재된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를 이용하여,
    (a) 패드 받침대에 설치된 적외선 센서를 이용해서 배변 패드에 반려동물의 진입 및 진출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
    (b) 제어부의 검사부에서 상기 적외선 센서의 감지신호에 기초해서 반려동물의 진입 및 진출 여부를 검사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의 검사결과 반려동물의 진입 및 진출로 판단되면, 영상 처리부에서 배변 패드를 촬영하여 영상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제어부에서 상기 영상 정보를 이용해서 배변 상태를 검사하고, 검사 결과에 기초해서 배변 패드의 길이를 조절해서 처리하도록 패드 처리부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 를 수행하며,
    상기 배변 상태는 배변 여부 및 변의 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d)단계는 (d1) 상기 제어부의 영상 분석부에서 상기 영상 처리부로부터 수신된 영상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d2) 상기 검사부에서 상기 영상 분석부의 분석 결과를 이용해서 배변 여부 및 변의 위치를 검사하는 검사부; 및
    (d3) 신호 발생부에서 상기 검사부의 검사 결과에 기초해서 처리되는 배변 패드의 길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패드 처리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를 수행하며,
    상기 (d3)단계에서 제어부는 상기 패드 받침대 상에 표시된 눈금을 이용해서 변의 위치 및 처리되는 배변 패드의 길이를 결정하고,
    상기 (c)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야간에 조명부를 구동해서 배변 패드에 빛을 조사해서 조명하도록 제어하,
    상기 영상 분석부는 변과 그림자를 포함하는 영상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검사부는 변 주변에 그림자의 발생 여부를 검사해서 배변된 변이 소변인지 또는 대변인지를 판단하고,
    상기 제어부는 소변으로 판단된 경우, 소변 판단 횟수를 카운팅해서 카운팅 횟수가 미리 설정된 설정횟수에 도달하면 배변 패드를 회수해서 처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려동물 배변훈련방법.
KR1020180134588A 2018-11-05 2018-11-05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 및 방법 KR101962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588A KR101962736B1 (ko) 2018-11-05 2018-11-05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4588A KR101962736B1 (ko) 2018-11-05 2018-11-05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 및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4761 Division 2017-04-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2584A true KR20180122584A (ko) 2018-11-13
KR101962736B1 KR101962736B1 (ko) 2019-03-29

Family

ID=64397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4588A KR101962736B1 (ko) 2018-11-05 2018-11-05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2736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83500A (zh) * 2019-09-19 2019-12-20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宠物屋
KR20200134024A (ko) * 2019-05-21 2020-12-01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지 센서를 이용한 배변 처리 장치
KR20210135789A (ko) * 2020-05-06 2021-11-16 김정엽 반려동물용 탈취 및 공기청정 장치
WO2022002026A1 (zh) * 2020-06-29 2022-01-06 深圳市小萌宠物科技有限公司 宠物厕所
KR102352923B1 (ko) * 2021-07-27 2022-01-19 주식회사 디케이코리아 크기 조절형 배변패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82183B1 (ko) 2020-07-16 2022-12-28 주식회사 반려동물 애완동물 훈련용 클리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1129U (ko) * 2011-08-09 2013-02-19 고정희 애견배변 처리기
KR20140074462A (ko) * 2012-12-10 2014-06-18 공석태 애완동물 원격 배변처리 및 사료공급장치
KR101661675B1 (ko) 2016-03-04 2016-10-04 대신기계공업(주) 애완동물 배변 자동 처리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1129U (ko) * 2011-08-09 2013-02-19 고정희 애견배변 처리기
KR20140074462A (ko) * 2012-12-10 2014-06-18 공석태 애완동물 원격 배변처리 및 사료공급장치
KR101661675B1 (ko) 2016-03-04 2016-10-04 대신기계공업(주) 애완동물 배변 자동 처리 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4024A (ko) * 2019-05-21 2020-12-01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감지 센서를 이용한 배변 처리 장치
CN110583500A (zh) * 2019-09-19 2019-12-20 青岛海尔空调器有限总公司 一种宠物屋
KR20210135789A (ko) * 2020-05-06 2021-11-16 김정엽 반려동물용 탈취 및 공기청정 장치
WO2022002026A1 (zh) * 2020-06-29 2022-01-06 深圳市小萌宠物科技有限公司 宠物厕所
KR102352923B1 (ko) * 2021-07-27 2022-01-19 주식회사 디케이코리아 크기 조절형 배변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2736B1 (ko) 2019-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2736B1 (ko)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 및 방법
KR101917195B1 (ko) 반려동물 배변훈련장치 및 방법
KR102311177B1 (ko) 반려동물용 모듈식 배변처리기
JP3011360B2 (ja) X線非破壊検査装置
EP0215019A1 (en) PORTABLE DEVICE FOR DIGITAL MEASUREMENT OF THE PUPIL SIZE.
EP3000564B1 (en) Investigation system
EP0429303A2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roll paper cutting device therefor
EP0632960B1 (fr) Dispositif pour le classement de carcasses de gros bovins, veaux, porcs ou ovins
JP2011244352A (ja) 画像読取装置
DE3545081A1 (de) Bilderzeugungsgeraet mit vorlagengroessenerfassung
KR101910519B1 (ko) 반려동물 배설물 처리장치
JP2017184939A (ja) 景品取得ゲーム装置
JP2008161508A (ja) 顔撮影装置
EP1039338A2 (en) Cassette for stimulable phosphor sheet, identification means therefor, and image information reading apparatus
DE69933524T2 (de) Vorrichtung zum Erkennen und Ausrichten der Orientierung wiederverwendbarer Kameras
CA2123370C (en) Apparatus and a process for recording photometric data that is positioned in succession or in adjacent fashion on a page-like or strip-like print
KR20170060295A (ko) 반려동물 배변 훈련 및 배변 처리장치
JP2023159953A (ja) X線検査装置
JP2003515763A (ja) 乳房造影法における影像データ受容手段用の構成体及び方法
DE69826219T2 (de) Photographisches entwicklungsgerät
KR20220038867A (ko) 이상란 검출기
CN111901493A (zh) 一种鞋子信息采集设备及鞋子样本库建立方法
KR102363717B1 (ko) 카메라 박스 분리형 이상란 검출기
KR20200005401A (ko) 반려동물 배설물 처리장치
CN116863119B (zh) 一种生物物种识别装置及其识别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