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1991A - 권선, 코일 및 트랜스 - Google Patents

권선, 코일 및 트랜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1991A
KR20180121991A KR1020187029465A KR20187029465A KR20180121991A KR 20180121991 A KR20180121991 A KR 20180121991A KR 1020187029465 A KR1020187029465 A KR 1020187029465A KR 20187029465 A KR20187029465 A KR 20187029465A KR 20180121991 A KR20180121991 A KR 201801219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coating layer
winding
extrusion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9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06918B1 (ko
Inventor
히로유키 후카이
이사무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마그넷트 와이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후루카와 마그넷트 와이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21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1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069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069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3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with arrangements for reducing conductor losses when carrying alternating current, e.g. due to skin effe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6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14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by extru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2Disposition of insula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2823Wi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0/00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 H01F30/06Fixed transformers not covered by group H01F19/00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 H01F30/10Single-phase transform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5/00Coils
    • H01F5/06Insulation of win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ils Of Transformers For General Use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구리선의 선 지름이 0.05 ~ 0.5mm의 소선을 복수개 서로 꼬아서 이루어지는 연선과, 복수의 소선을 피복하는 압출 피복층을 가지는 권선으로서, 소선의 적어도 1개가 구리선의 외주에 자성체층을 가지고, 압출 피복층의 두께가 40 ~ 400μm인 권선, 이 권선을 이용한 코일 및 트랜스.

Description

권선, 코일 및 트랜스
본 발명은, 권선, 코일 및 트랜스에 관한 것이다.
전기·전자 기기에서는, 통상, 스위칭 소자와 트랜스(변압기라고도 한다)를 구비한 스위칭 전원이 일반적으로 이용된다. 일본에서는, 상용 전원은, 50Hz/60Hz이다. 이러한 저주파 전원의 주파수를 변경하는 일 없이, 전압을 변압, 또는 전류를 변류 등 하는 경우, 필요한 출력을 얻기 위해서는, 전원을 대형으로 할 필요가 있다. 여기서, 트랜스에서의 변압 전에, 스위칭 소자를 이용하여, 상용 전원의 주파수를 수십 kHz 이상으로 고주파화하여, 1초당의 전력 송신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실용적인 사이즈로까지 소형화한 스위칭 전원이 범용되고 있다.
스위칭 전원에 탑재되는 트랜스는, 고주파수의 교류 전압을 변압할 때에는, 코일의 손실이 커진다. 이 때문에, 이 손실을 억제할 수 있는 트랜스가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면, 복수의 소선을 서로 꼬은 연선(撚線)을 감아 돌린 코일을 구비한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코일으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의 리츠선(litz wire) 코일을 들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9-283397호
그런데, 최근, 스위칭 전원에도 소형화의 요청이 있고, 이것에 대응하기 위해서 한층 더 고주파화가 진전되고 있다. 따라서, 고주파 트랜스에 이용되는 권선에는, 코일로 했을 때의, 고주파 전류의 통전시의 교류 저항이 작고, 코일 내지는 트랜스의 손실을 더 저감할 수 있는 성능이 요구된다.
상술의 코일에 있어서, 손실을 저감하기 위해서는, 소선 지름을 가늘게 하고, 소선 수를 증가시키는 것이 효과적이다. 소선 지름을 가늘게 하면, 통전시의 표피 효과를 억제할 수 있고, 또한 서로 꼬는 소선 수를 많게 할 수도 있다. 그러나, 소선의 세경화(細徑化)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교류 저항에 대해서 표피 효과보다도 근접 효과가 지배적으로 되는 선 지름에 있어서는, 세경화하여도, 교류 저항을 충분히 저감할 수 없다.
본 발명은, 고주파 전류의 통전시의 교류 저항이 작고, 코일 내지는 트랜스의 손실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권선, 이것을 이용한 코일 및 트랜스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특성의 선 지름을 가지는 구리선의 외주에 특정 두께의 자성체층을 구비한 소선을 이용하여 형성한 연선을, 두께 40 ~ 400μm의 수지층으로 피복한 연선이 고주파 전류를 통전시켰을 때 교류 저항이 충분히 작은 것, 나아가서는 이 피복 연선을 코일의 권선으로서 이용했을 경우에 코일 내지는 트랜스의 손실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발견에 기초하여 더 연구를 거듭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과제는 이하의 수단에 의해서 달성되었다.
<1> 구리선의 선 지름이 0.05 ~ 0.5mm의 소선을 복수개 서로 꼬아서 이루어지는 연선과, 상기 복수의 소선을 피복하는 압출 피복층을 가지는 권선으로서,
상기 소선의 적어도 1개가 상기 구리선의 외주에 자성체층을 가지고,
상기 압출 피복층의 두께가 40 ~ 400μm인 권선.
<2> 상기 자성체층의 외주에 베이킹 피복층을 가지는 <1>에 기재된 권선.
<3> 상기 압출 피복층이, 상기 연선의 바깥면에 가지는 권선 압출 피복층을 포함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권선.
<4> 상기 압출 피복층이, 3층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1> ~ <3>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권선.
<5> 상기 <1> ~ <4>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권선을 이용한 코일.
<6> 상기 <5>에 기재된 코일을 가지는 트랜스.
<7> 100k ~ 1MHz의 고주파 스위칭 전원용인 <6>에 기재된 트랜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을 이용하여 나타내지는 수치 범위는, 「~」 전후에 기재되는 수치를 하한치 및 상한치로서 포함하는 범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고주파 전류의 통전시의 교류 저항이 작고, 코일 내지는 트랜스에 이용했을 때에 이들의 손실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권선, 이것을 이용한 코일 및 트랜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및 다른 특징 및 이점은, 적절히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하기의 기재로부터 보다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권선의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권선의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권선의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권선의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권선의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권선의 바람직한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7은, 종래의 권선의 일례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8은, 실시예에 있어서 각 권선의 교류 저항값을 측정한 결과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권선>>
본 발명의 권선은, 코일 또는 트랜스의 권선으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되고, 구리선의 선 지름이 0.05 ~ 0.5mm의 소선을 복수개 서로 꼬아서 이루어지는 연선과, 상기 복수의 소선을 피복하는 압출 피복층을 가진다.
본 발명의 권선에 있어서, 소선의 적어도 1개가 구리선의 외주에 자성체층을 가지는 자성 소선이다. 또한, 압출 피복층의 두께가 40 ~ 400μm이다.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권선은, 고주파 전류의 통전시의 교류 저항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압출 피복층은, 복수의 소선을 피복할 수 있으면, 소선의 피복 형태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이 압출 피복층은, 후술하는 두께를 가지기 위해서 압출 성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 이 피복층은, 후술하는 베이킹 피복층과 구별하기 위해서, 압출 피복층으로 편의상 칭하고 있지만, 통상, 구리선측(내측)에 마련되는 베이킹 피복층과 구별할 수 있으면 좋고, 외측 피복층 또는 외측 수지층으로 칭하기도 한다. 마찬가지로 베이킹 피복층은 내측 피복층 또는 내측 수지층으로 칭하기도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압출 피복층 및 베이킹 피복층은, 각각, 그 명칭에 구애되는 일 없이, 압출 성형 또는 베이킹으로 형성된 층으로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요지 내지 기술적 범위의 판단에 있어서, 「압출」 및 「베이킹」이라는 용어가, 본 발명을 한정적으로 해석하는 발명 특정 사항으로서 고려되는 것은 아니다.
압출 피복층이 복수의 소선을 피복하는 형태로서는, 압출 피복층이 연선의 바깥면에 마련되어서, 복수의 소선을 (일체적으로) 피복하는 형태(이 형태의 압출 피복층을 권선 압출 피복층이라고 한다)와, 압출 피복층이 각 소선의 최외층으로서 마련되어서, 복수의 소선을 (개별적으로) 피복하는 형태(이 형태의 압출 피복층을 소선 압출 피복층이라고 한다)와, 이것들을 병용하는 형태를 포함한다. 어느 형태에 있어서도, 상기 구성을 가지는 권선에 상기 두께의 압출 피복층을 마련하는 것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근접 효과에 의한 교류 저항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압출 피복층은 권선 압출 피복층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압출 피복층의 두께는, 상술의 권선 압출 피복층과, 연선의 가장 바깥열에 배치된 소선의 소선 압출 피복층과의 합계 두께로 한다.
소선 압출 피복층 및 권선 압출 피복층의 두께는, 통상, 각 압출 피복층의 내경과 외경과의 차분을 말한다. 상세하게는, 권선 압출 피복층의 두께는, 권선의 축선에 수직인 단면에 있어서, 연선의 가장 바깥열에 배치된 복수의 소선에 외접하는 가상 외접원의 반경 rL과, 권선 압출 피복층의 외측 윤곽선의 반경 rT와의 차분(rT-rL)을 말한다. 권선 압출 피복층의 외측 윤곽선이 원형이 아닌 경우, 권선 압출 피복층의 반경 rT는, 상기 단면에 있어서, 권선 압출 피복층의 외측 윤곽선에 외접하는 가상 외접원의 반경으로 한다.
여기서, 상술의, 연선의 가장 바깥열에 배치된 소선은, 연선의 반경 방향으로 서로 인접해서 배치된 소선 중 가장 바깥열에 위치하는 소선을 말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압출 피복층(소선 압출 피복층 또는 권선 압출 피복층) 등의 각 층은, 어느 것도, 단층이라도, 2층 이상의 복수층이라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각 층의 층 수는, 층을 형성하는 수지 및 첨가제의 종류 및 함유량의 동일하거나 다르거나에 관계없이, 층을 단면 관찰하는 것에 의해서, 결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어느 한 층의 단면을 배율 200배로 관찰했을 때에, 나이테 형상의 경계를 확인할 수 없는 경우, 그 한 층의 총수는 1로 하고, 나이테 형상의 경계를 확인할 수 있는 경우, 그 한 층의 층 수는 (경계수+1)으로 한다.
이하에,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권선의 구조, 및, 본 발명의 권선을 형성하는 연선, 소선 및 압출 피복층에 대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각 도에 있어서, 권선 압출 피복층의 윤곽(輪郭) 형상을 도넛(輪環) 형상으로 도시했지만, 본 발명의 권선에 있어서는, 권선 압출 피복층의 외측 윤곽선의 형상은 도넛 형상으로 한정하지 않고, 연선과의 간극을 충전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윤곽 형상은, 원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타원형, 널링(knurling) 형상(톱니바퀴 형상 혹은 파도 형상) 등이라도 좋다.
<권선의 구조>
본 발명의 권선은, 연선과 압출 피복층을 가지고 있으면, 그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우선, 권선의 구조에 대해서 설명하고, 연선 등의 상세한 사항은 후술한다.
도 1 ~ 도 5에 나타나는 권선(1A ~ 1E)은, 모두, 압출 피복층으로서 권선 압출 피복층만을 가지는 형태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권선(1A)은, 도 1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자성 베이킹 피복 소선(11)을 7개 서로 꼬아서 이루어지는 연선(2A)과, 연선(2A)의 외주를 피복하는 압출 피복층(3A)을 가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권선(1B)은,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자성 베이킹 피복 소선(11)을 19개 서로 꼬아서 이루어지는 연선(2B)과, 연선(2B)의 외주를 피복하는 압출 피복층(3B)을 가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권선(1C)은, 도 3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12개의 자성 베이킹 피복 소선(11)과 7개의 베이킹 피복 소선(12)을 서로 꼬아서 이루어지는 연선(2C)과, 연선(2C)의 외주를 피복하는 압출 피복층(3C)을 가진다.
연선(2C)에 있어서, 자성 베이킹 피복 소선(11)은, 베이킹 피복 소선(12)의 외주에 배열되어 있다. 이와 같이 연선을 자성 베이킹 피복 소선(11)과 베이킹 피복 소선(12)으로 형성하면, 교류 저항의 저감과 비용과의 밸런스를 취할 수 있고, 용도 또는 요구 성능에 대응한 권선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자성 베이킹 피복 소선(11)이 외주에 배치되어 있으면, 인접하는 다른 권선에 의한 자속이 권선 내부에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자성 베이킹 피복 소선(11)을 동일수(권선(1C)의 경우, 19개) 가지는 권선에 비해, 근접 효과에 의한 교류 저항의 증대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권선(1D)은, 도 4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압출 피복층(3D)의 두께가 다른 것 외에는, 권선(1A)과 마찬가지이다. 압출 피복층의 두께를 소정 범위로 두껍게 하면, 충분한 권선간 거리를 확보할 수 있고, 근접 효과에 의한 교류 저항을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권선(1E)은, 도 5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압출 피복층(3E)이, 내측(연선(2E))으로부터 순서대로 권선 압출 피복층(3E1), 권선 압출 피복층(3E2) 및 권선 압출 피복층(3E3)으로 이루어지는 3층 구조를 가지고 있는 것 외에는, 권선(1D)과 마찬가지이다. 권선(1E)에 있어서, 3층 구조를 형성하는 각 층은, 모두, 동일한 두께로 설정되어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각 층의 두께의 관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권선(1F)은, 도 6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압출 피복층(3F)이, 권선 압출 피복층(3F1 및 3F2)과, 소선 베이킹 피복층(3F3)을 양쪽 모두 가지는 형태이다. 이 권선(1F)은, 자성 소선의 최외층으로서 소선 압출 피복층(3F3)을 가지는 자성 압출 피복 소선(13)을 7개 서로 꼬아서 이루어지는 연선(2F)과, 연선(2F)의 외주를 피복하는 권선 압출 피복층을 가진다. 이 권선 압출 피복층은, 내측(연선(2F))으로부터 순서대로 권선 압출 피복층(3F1 및 3F2)으로 이루어지는 2층 구조를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권선(1A ~ 1F)에 이용되는 소선은, 각 도에 나타낸 권선으로 한정되지 않고, 각 권선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는 다른 소선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권선의 구조로서, 상기 권선(1A ~ 1F)의 각 구조를 적절하게 조합한 구조로 할 수도 있다.
<연선(撚線)>
본 발명에 이용하는 연선은, 구리선의 외주에 자성체층을 가지는 소선을 적어도 1개 포함하는 복수의 소선을 서로 꼬아서 이루어지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소선을 서로 꼬을 때의, 소선 수로서는, 예를 들면, 2개 이상으로 할 수 있고, 소선의 정렬성을 생각하면 1개의 주위에 6개를 배치한 7개 이상이 바람직하고, 교류 저항과 실용적인 가공성을 생각하면 100개 이하가 바람직하다. 특히 정렬성을 생각하면, 보다 바람직하게는 7 ~ 37개이다.
연선에 포함되는, 구리선의 외주에 자성체층을 가지는 소선은, 연선을 형성하는 소선의 배치에 있어서, 가장 바깥열에 배치되는 것이 외부로부터의 쇄교 자속(magnetic flux interlinkage)의 침입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고, 또는, 구리선의 외주에 자성체층을 가지는 소선과 다른 소선이 교대로 배치되는 것이 소선간의 근접 효과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여기에서는, 가장 바깥열에 배열된 소선은, 상기 압출 피복층의 두께에 있어서의, 연선의 반경 방향으로 서로 인접해서 배치된 소선으로 한정되지 않고, 연선의 최외측에 배열된 소선을 말한다. 예를 들면, 도 2에 있어서의 자성 베이킹 피복 소선(11A)은, 상기 압출 피복층의 두께에 있어서 가장 바깥열에 배치된 소선은 아니지만, 상기 소선의 배치에 있어서는 가장 바깥열에 배치된 소선이 된다.
연선에 포함되는, 구리선의 외주에 자성체층을 가지는 소선의 갯수는, 1개 이상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자성체층을 가지는 소선을 가장 바깥열에 배치하는 경우, 37개 꼬음(가장 바깥열에 배치되는 소선 18개)을 고려하면, 소선 수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40% 이상이다. 또한, 7개 꼬음(가장 바깥열에 배치되는 소선 6개)을 고려하면, 바람직하게는 85% 이상이다. 한편, 그 상한은, 상기 소선 수에 대해서, 100% 이하가 바람직하다.
구리선의 외주에 자성체층을 가지는 소선으로서는, 후술하는, 자성 소선, 자성 베이킹 피복 소선 및 이들의 외주에 소선 압출 피복층을 가지는 소선을 포함한다.
소선을 서로 꼬을 때의, 소선의 배치, 꼬음 방향, 꼬음 피치 등은, 용도 등에 대응하여,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연선으로서는, 예를 들면, 도 1 ~ 도 6에 나타낸 연선(2A ~ 2F) 등을 들 수 있다.
-소선(素線)-
연선을 형성하는 소선으로서는, 구리선, 자성 소선, 베이킹 피복 소선 또는 자성 베이킹 피복 소선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들의 소선 각각의 외주에 소선 압출 피복층을 가지는 소선 등도 들 수 있다.
1. 구리선(나선(裸線))
구리선으로서는, 종래, 코일용 등의 권선으로 이용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리선, 또는, 산소 함유량이 30ppm 이하(보다 바람직하게는 20ppm 이하)의 저산소동 혹은 무산소동으로 이루어지는 구리선을 들 수 있다.
구리선의 단면 형상은, 원형이라도 사각형(평각 형상)이라도 좋지만, 꼬음성의 점에서, 원형이 바람직하다.
구리선의 외경 φ(선 지름)는 0.05 ~ 0.5mm이다. 이 선 지름에서는, 일반적으로, 표피 효과보다 근접 효과가 지배적으로 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고주파 전류의 통전시의 교류 저항을 충분히 억제할 수 있으므로, 상기 선 지름의 구리선을 이용할 수 있다. 선 지름은, 상기 범위 내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0.1 ~ 0.4mm가 보다 바람직하다.
2. 자성 소선
자성 소선은, 상술의 구리선의 외주에 자성체층을 가지는 소선이다.
이 자성체층은, 자성체 재료로 이루어지는 층이며, 구리선의 외주 표면에 마련된다. 자성체층을 가지는 소선을 이용하는 것으로, 코일 내지는 트랜스의 손실을 더 억제할 수 있다.
자성체 재료로서는, 강자성을 가지는 물질이면 좋고, 예를 들면, 니켈, Ni 합금(예를 들면, Ni-Fe 합금), 철, 철 합금(전자 연철(電磁軟鐵), 규소강 등), 퍼멀로이 합금, 페라이트 화합물(Mn-Zn 페라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자성체 재료로서는, 전기 도금에 적합한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니켈, Ni 합금, 철 또는 철 합금이 보다 바람직하다.
자성체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교류 저항의 점에서, 예를 들면, 구리선의 외경의 1 ~ 10%가 바람직하다.
자성체층은, 예를 들면, 전기 도금으로 형성할 수 있다. 도금액 및 도금 조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구리선의 선 지름과 압출 피복층의 두께를 특정의 범위로 설정한 본 발명의 권선에 있어서, 연선이 자성 소선을 포함하고 있으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코일로 했을 때에 근방에 존재하는 다른 구리선 또는 권선에의 자속의 침입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과전류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본 발명의 권선은, 직류 저항 증대와 표피 효과 및 근접 효과에 의한 교류 저항 증대를 균형있게 억제할 수 있고, 교류 저항의 저감이 가능하게 되는 것으로, 생각된다.
3. 베이킹 피복 소선
베이킹 피복 소선은, 상술의 구리선의 외주에 베이킹 피복층을 가지는 소선이다.
이 베이킹 피복층은, 수지 성분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열경화성 수지를 포함하는 층(에나멜층이라고도 한다)이며, 구리선의 외주 표면에 마련된다.
열경화성 수지로서는, 전선 또는 권선으로 통상 이용되는 열경화성 수지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일 없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이미드(PAI), 폴리이미드(PI), 폴리에테르이미드(PEI), 폴리에스테르이미드(PEsI), 폴리우레탄(PU), 폴리에스테르(PEst), 폴리벤조이미다졸, 멜라민 수지 또는 에폭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이미드, 폴리에스테르이미드,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에스테르가 바람직하다. 열경화성 수지는, 1종 또는 2종 이상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베이킹 피복층은, 전선 또는 권선으로 통상 이용되는 각종의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첨가제의 함유량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수지 성분 100질량부에 대해서, 5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3질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베이킹 피복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소선간의 절연성 확보와 도체(구리선) 점적율의 양립의 점에서, 예를 들면, 10 ~ 15μm가 바람직하다.
베이킹 피복층은, 공지의 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구리선 등의 외주에, 열경화성 수지 등의 수지 성분의 바니시를 도포하고 베이킹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 바니시는 수지 성분과, 용매와, 필요에 의해 수지 성분의 경화제 또는 각종의 첨가제를 함유한다. 용매는, 유기 용매가 바람직하고, 수지 성분을 용해 또는 분산할 수 있는 것이 적절히 선택된다.
바니시의 도포 방법은, 통상의 방법을 선택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구리선의 단면 형상과 상사형(相似形) 혹은 대략 상사형의 개구를 가지는 바니시 도포용 다이스를 이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바니시의 베이킹은, 통상, 베이킹로로 행해진다. 이때의 조건은, 수지 성분 또는 용매의 종류 등에 대응하여 일의적으로 결정할 수 없지만, 예를 들면, 노(爐) 내 온도 400 ~ 650℃에서 통과 시간을 10 ~ 90초의 조건을 예시할 수 있다.
4. 자성 베이킹 피복 소선
자성 베이킹 피복 소선은, 베이킹 피복층을 가지는 자성 소선이며, 상술의 구리선의 외주에 자성체층을 가지고, 또한 이 자성체층의 외주에 베이킹 피복층을 가진다.
자성 베이킹 피복 소선에 있어서의 구리선, 자성체층 및 베이킹 피복층은 각각 상기와 같다.
5. 외주에 소선 압출 피복층을 가지는 소선
이 소선은, 상술의, 구리선, 자성 소선, 베이킹 피복 소선 또는 자성 베이킹 피복 소선 등의 소선에 최외층으로서 소선 압출 피복층을 가지는 것이다.
이 소선에 있어서의, 구리선, 자성체층 및 베이킹 피복층은 각각 상기와 같다.
소선 압출 피복층은, 수지 성분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후술하는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층이면 좋다. 소선의 최외층으로서 소선 압출 피복층을 마련하는 것으로, 하기 압출 피복층과 마찬가지로, 근접 효과에 의한 교류 저항을 억제할 수 있다.
소선이 가지는 소선 압출 피복층의 두께는, 후술하는 압출 피복층의 두께를 만족하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권선 압출 피복층을 더 가지는 경우, 예를 들면 15 ~ 30μm가 바람직하다.
소선 압출 피복층은, 구리선 등의 외주에, 후술하는 수지 조성물을 압출 성형(압출 피복)하는 것으로써, 형성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압출 피복층>
압출 피복층은, 복수의 소선을 피복할 수 있으면, 그 구조 및 형성 위치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형성 위치에 대해서는, 상기 피복 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다.
압출 피복층의 두께는, 40 ~ 400μm이다. 구리선의 선 지름을 설정하고, 자성 소선을 이용한 본 발명의 권선에 있어서, 압출 피복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에 있으면, 실시예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직류 저항과 표피 효과 및 근접 효과에 의한 저항과의 밸런스가 취해지고, 결과적으로 교류 저항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권선에 있어서, 압출 피복층의 두께가 40μm 미만이면, 표피 효과에 의한 저항 증가를 억제한 채로 점적율을 크게 할 수 있으므로 직류 저항을 억제할 수 있지만, 코일로서 감아 돌렸을 때의 권선간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없기 때문에 근접 효과에 의한 교류 저항을 충분히 억제할 수 없게 된다. 한편, 400μm를 초과하면, 표피 효과 및 근접 효과에 의한 저항 증가를 억제할 수 있지만, 동일한 크기의 보빈 등의 심에 감아 돌리기 위해서는 연선의 완성 외경을 동일하게 해야 하기 때문에, 구리선의 선 지름을 작게 할 수밖에 없다. 이 때문에, 직류 저항의 증가에 의한 영향이 커지고, 교류 저항이 커진다.
또한, 상기 본 발명의 권선은, 압출 피복층의 두께가 40 ~ 400μm이므로, 상기 효과에 더하여, 권선의 굽힘 가공성이 좋고, 사이즈가 작은 심에 감을 수 있고, 스위칭 전원 또는 코일의 소형화 내지는 경량화의 요청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코일로 했을 때의 권선간의 연면(沿面)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으므로, 트랜스 중의 1차 코일과 2차 코일간의 절연 테이프, 코일과 심 사이의 절연 테이프를 생략할 수 있고, 트랜스의 한층 더의 소형화에 효과적이다.
압출 피복층의 두께는, 교류 저항의 저감, 나아가서는 소형화 내지는 경량화의 점에서, 40 ~ 200μm가 바람직하고, 60 ~ 100μm가 보다 바람직하다.
압출 피복층은, 상술한 바와 같이 2층 이상의 적층 구조로 할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권선 압출 피복층은, 바람직하게는 3층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 ~ 5층의 적층 구조로 할 수 있다. 3층 이상의 적층 구조로 하면, 권선의 충분한 연면 거리를 확보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트랜스에 있어서, 통상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이용되는 절연 테이프를 생략할 수 있다.
압출 피복층이 적층 구조를 가지는 경우, 각 층의 두께는, 각 층의 합계 두께가 상기 범위 내가 되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내측층, 중간층 및 외측층을 가지는 경우, 각 층의 두께는 13 ~ 130μm가 바람직하다.
압출 피복층은, 수지 성분으로서 바람직하게는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한다.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전선 또는 권선으로 통상 이용되는 열가소성 수지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일 없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아미드(나일론), 폴리아세탈(POM),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페닐렌에테르(PPE,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를 포함한다),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PB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 등의 범용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외에, 폴리술폰(PSF), 폴리에테르술폰(PES), 폴리페닐렌술피드(PPS), 폴리아릴레이트(PAR), 폴리에테르케톤(PEK), 폴리아릴에테르케톤(PAEK),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에틸렌 공중합체(ETFE),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변성 PEEK를 포함한다), 폴리에테르케톤케톤(PEKK), 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퍼플루오로알킬비닐에테르 공중합체(PFA), 폴리테트라플루오로에틸렌(PTFE), 열가소성 폴리이미드 수지(TPI), 열가소성 폴리아미드이미드(TPAI), 액정 폴리에스테르 등의 슈퍼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또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를 베이스 수지로 하는 폴리머 알로이, ABS/폴리카보네이트, 나일론 6,6, 방향족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페닐렌에테르/나일론 6,6, 폴리페닐렌에테르/폴리스티렌,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상기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폴리머 알로이를 들 수 있다.
열가소성 수지는, 1종 또는 2종 이상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압출 피복층이 적층 구조를 가지는 경우, 각 층에 최대 함유량으로 포함되는 수지 성분은, 서로 동일해도 다른 것이라도 좋다.
압출 피복층은, 전선 또는 권선으로 통상 이용되는 각종의 첨가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첨가제의 함유량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수지 성분 100질량부에 대해서, 5질량부 이하가 바람직하고, 3질량부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압출 피복층은, 상기의 두께를 가지기 위해서, 연선의 외주에, 수지 조성물을 압출 성형(압출 피복)하는 것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수지 조성물은, 상술의 수지 성분과, 필요에 의해 각종의 첨가제를 함유한다. 압출 방법은, 수지 성분의 종류 등에 대응하여 확정적으로 결정할 수 없지만, 예를 들면, 구리선 등의 단면 형상과 상사형 혹은 대략 상사형의 개구를 가지는 압출 다이스를 이용하여, 수지 성분의 용융 온도 이상의 온도로 압출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압출 피복층은, 압출 성형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고, 상술의 열가소성 수지와 용매 등과 필요에 의해 각종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바니시를 이용하여, 상기 베이킹 피복층과 마찬가지로 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생산성의 점에서, 압출 성형에 의해 압출 피복층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권선은, 구리선의 선 지름이 0.05 ~ 0.5mm의 소경의 소선을 복수 서로 꼬은 연선을 가진다. 또한, 연선이 자성 소선을 적어도 1개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권선은 특정 두께의 압출 피복층을 가진다. 이것들에 의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직류 저항 및 표피 효과에 의한 손실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소선의 구리선에의 쇄교 자속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고, 근접 효과에 의한 손실도 저감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손실의 저감을 유지한 채로, 인접하는 권선간의 거리를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선 지름의 한정 및 자성 소선을 포함하는 것과 맞물려서, 다른 소선의 구리선에의 쇄교 자속의 침입을 더 억제할 수 있고, 근접 효과에 의한 손실을 보다 한층 저감할 수 있다.
<<코일 및 트랜스>>
<코일>
본 발명의 코일은, 상술의, 본 발명의 권선을 이용한 것이다. 구체적으로는, 강자성 혹은 페리 자성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철심, 또는, 공기를 심으로서, 그 주위에 본 발명의 권선을 감아 돌린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철심 등의 심에 대해서, 사이즈는, 용도 등에 대응하여 적절히 선택된다. 또한, 권선의 감는 방법, 권(卷)수(2권 이상), 피치 등에 대해서도, 용도 등에 대응하여 적절히 선택된다. 특히, 본 발명의 권선은, 상술한 바와 같이, 주파수의 증가에 의한 교류 저항의 상승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소정의 트랜스 기능을 가지기 위해서 이용하는 소선 수를 삭감할 수 있다. 또는, 트랜스의 작동 주파수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그만큼, 심의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고, 혹은, 권수를 줄일 수 있다.
<트랜스>
본 발명의 트랜스는, 본 발명의 코일을 가지고 있으면, 그 구조 또는 사이즈 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입력측의 코일(1차 코일)과 출력측의 코일(2차 코일)을 포함하는 복수의 코일을 구비하고 있다. 트랜스는, 1차 코일과 2차 코일의 권수비에 대응하여, 교류의 전압을 변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트랜스는, 2 이상, 바람직하게는 2개의 코일을 구비하고, 그 중의 적어도 1개의 코일로서 본 발명의 코일을 구비하고 있다. 더 바람직하게는, 2개 모두 본 발명의 코일이다.
본 발명의 트랜스는, 서로 다른 심의 주위에 권선을 감아 돌린 1차 코일 및 2차 코일을 가지는 것이라도 좋고, 동일한 심의 주위에 직접 또는 절연 테이프 등을 사이에 두고 1차 코일의 권선 및 2차 코일의 권선을 각각 감아 돌린 것이라도 좋다.
<용도>
본 발명의 코일 및 트랜스는, 각각, 전원용, 특히 스위칭 전원용으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전원은, 어느 특정의 전압·전류를 공급하는 장치를 말한다.
본 발명의 코일 및 트랜스는, 스위칭 전원용으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되고, 특히, 교류의 상용 전원을 변압하여 정류하고, 전기·전자 기기에 적절한 전압의 직류로 변환하는, 교류(AC)/직류(DC) 컨버터용으로서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종래의 전원에 있어서는, 주파수를 높일수록 사이즈를 작게 할 수 있지만, 권선의 교류 저항값이나 스위칭 소자의 손실 등이 상승되어서, 발열량이 커진다. 그 결과, 각 부품의 온도가 상승되어서, 내열 온도에 가장 도달하기 쉬운 부재에 의해서, 사용 가능한 주파수가 제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선은, 상술한 바와 같이, 코일로 했을 때에 고주파 전류의 통전시의 교류 저항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의 권선을 이용한 코일 내지는 트랜스는 손실이 효과적으로 억제된다. 또한, 코일의 저항에 의한 발열이 억제되고 코일의 온도 상승이 낮아지며, 코일 등의 한층 더의 소형화에 이바지한다. 나아가서는, 트랜스(스위칭 전원)에 적용 가능한 주파수도 보다 고주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트랜스에 적용 가능한 주파수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00k ~ 1MHz를 들 수 있다.
교류 저항은, 통상, 연선 중의 소선 수를 많게 하면 작아지지만, 권선의 외경이 커진다. 그러나, 본 발명의 권선은, 상술한 바와 같이 교류 저항을 저감할 수 있기 때문에, 소정의 트랜스 기능을 가지기 위해서 이용하는 연선 중의 소선 수를 줄일 수 있다. 이 때문에, 권선의 외경 증대를 억제할 수 있고, 심 등에 감아 붙일 때의 굽힘 가공성도 우수하다. 또한, 절연성을 확보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코일과 심 사이에 이용되는 절연 테이프 등의 사용을 생략 내지는 회피할 수 있고, 상술의 소형화에도 공헌한다. 나아가서는, 비용 상승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트랜스는, 본 발명의 코일을 가지고 있다. 이 때문에, 상술의 효과에 더하여, 더 높은 전송 효율을 나타내고, 또한, 상승 온도가 억제되기 때문에, 냉각 팬이나 방열판 등의 열대책 부품을 삭감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가진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본 예에서는, 도 5에 도시한 권선(1E)(다만, 압출 피복층은 2층 구조)을, 이하와 같이 하여 제조했다.
(권선의 제조)
-자성 베이킹 피복 소선의 제작-
우선, 자성 베이킹 피복 소선(11)을 7개 제작했다. 즉, 소선 지름 φ0.12mm의 구리선(단면 원형)(11a)의 표면에 철을 전기 도금하여, 두께 2.0μm의 자성체층(11b)을 형성했다. 다음에, 자성체층(11b)의 표면에, 폴리우레탄 수지 바니시(상품명: TPUF2-NC, 도토쿠도료샤(東特塗料社)제)를 도포, 베이킹하고, 이것을 수차례 반복하는 것으로, 두께 10μm의 베이킹 피복층(11c)을 형성했다.
-연선의 제작-
이와 같이 하여 제작한 1개의 자성 베이킹 피복 소선(11)을 중심으로서, 그 주위에 6개의 자성 베이킹 피복 소선(11)을 배치한 상태에서, 이들 소선(11)을 꼬음 피치 8mm로 서로 꼬아서, 연선(2E)을 제작했다.
-압출 피복층의 형성-
다음에, 이 연선(2E)의 외주에 PET 수지를 두께 33μm가 되도록 압출 성형했다. 이 압출 성형을 2회 반복하여, 연선(2E)과, 두께 66μm의 권선 압출 피복층(3E1 및 3E2)으로 이루어지는 2층 구조의 압출 피복층(3E)을 가지는 권선(1E)(외경 0.564mm)을 제조했다.
(코일의 제조)
이렇게 하여 얻어진 권선(1E)을, 외경이 15mm의 보빈에 36턴 감아서, 실시예 1의 코일을 제조했다. 이 코일에 있어서, 감겨진 권선끼리는 모두 접하고 있었다.
<실시예 2>
실시예 1의 압출 피복층의 형성에 있어서, 상기 압출 성형을 3회 반복한 것 외에는, 실시예 1의 권선의 제조와 마찬가지로 하여, 연선(2E)과, 두께 99μm의 압출 피복층(3E)을 가지는 권선(1E)(외경 0.630mm)을 제조했다. 이 압출 피복층(3E)은 권선 압출 피복층(3E1 ~ 3E3)으로 이루어지는 3층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얻어진 권선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실시예 2의 코일을 제조했다.
<비교예 1>
실시예 1의 권선의 제조에 있어서, 상기 압출 성형을 하지 않은 것 외에는, 실시예 1의 권선의 제조와 마찬가지로 하여, 압출 피복층을 구비하지 않는 연선(2E)(압출 피복층의 두께 0μm, 외경 0.432mm)을 제작했다.
또한, 얻어진 권선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 1의 코일을 제조했다.
<비교예 2>
실시예 1의 압출 피복층의 형성에 있어서, 상기 압출 성형을 1회 행한 것 외에는, 실시예 1의 권선의 제조와 마찬가지로 하여, 연선(2E)과, 두께 33μm의 압출 피복층(단층 구조)을 가지는 권선(외경 0.498mm)을 제조했다.
또한, 얻어진 권선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 2의 코일을 제조했다.
<비교예 3>
본 예에서는, 7개의 베이킹 피복 소선(12)으로 이루어지는 연선(22)과 압출 피복층(23)을 가지는 권선(21)(도 7)을, 이하와 같이 하여, 제조했다.
실시예 1의 자성 베이킹 피복 소선의 제작에 있어서, 자성체층(11b)을 마련하지 않고, 두께 10μm의 베이킹 피복층(24)을 형성한 것 외에는, 실시예 1의 권선의 제조와 마찬가지로 하여, 권선(압출 피복층(23)의 두께 66μm, 외경 0.552mm)(21)을 제조했다.
또한, 얻어진 권선(21)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 3의 코일을 제조했다.
<비교예 4 ~ 6>
실시예 1의 자성 베이킹 피복 소선의 제작에 있어서, 자성체층(11b)을 마련하지 않고, 두께 10μm의 베이킹 피복층(24)을 형성한 것 외에는, 실시예 2(압출 피복층의 두께 99μm), 비교예 1 및 2의 권선의 제조와 마찬가지로 하여, 도 7에 나타내는 권선(21)을, 각각, 제조했다. 이렇게 하여 얻어진 비교예 4 ~ 6의 권선은, 압출 피복층(23)의 두께가, 각각, 99μm, 0μm 및 33μm이며, 외경이, 각각, 0.618mm, 0.420mm 및 0.486mm였다.
또한, 얻어진 권선(21) 각각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비교예 4 ~ 6의 코일을 제조했다.
<코일의 성능 평가>
제조한 각 코일의 교류 저항값으로서, LCR 미터(상품명: E4980A, Agilent사제)를 이용하여, 주파수 1MHz의 교류 전류를 통전시켰을 때의 저항값을 측정했다. 그 결과를, 도 8에 나타낸다. 도 8에 있어서는, 자성 베이킹 피복 소선(11)을 가지는 권선(비교예 1, 실시예 1, 2 및 비교예 4)과 자성 베이킹 피복 소선(11)을 포함하지 않는 권선(비교예 3 ~ 6)에 대해서, 각각, 근사 곡선 R 및 CR을 나타냈다.
도 8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자성 베이킹 피복 소선(11)을 포함하지 않는 연선(22)을 이용한 권선(21)(비교예 3 ~ 6)은, 코일로 했을 때에, 압출 피복층(23)의 두께가 증대되면, 교류 저항값이 서서히 저하되었지만, 그 저하량은 작은 것이었다(근사 곡선 CR). 이것에 비하여, 자성 베이킹 피복 소선(11)을 포함하는 연선(2A)을 이용한 권선(1)(실시예 1, 2, 비교예 1 및 2)은, 코일로 했을 때에, 압출 피복층의 두께가 증대되면 교류 저항값이 크게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근사 곡선 R).
구체적으로는, 권선(21) 및 권선(1)에 있어서, 압출 피복층의 두께가 0μm인 비교예 5 또는 1의 교류 저항값에 대한 저하율은, 92%(비교예 6), 86%(비교예 3), 84%(비교예 4) 및 68%(비교예 2)였다. 이것에 비하여, 압출 피복층의 두께가 66μm의 실시예 1에서는 55%, 압출 피복층의 두께 99μm의 실시예 2에서는 53%까지 저감할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교류 저항을 낮추기 위해서는, 압출 피복층을 가능한 한 얇게 하여 구리선 단면적을 증가시키는, 즉 점적율을 높이는 대책이 효과적으로 여겨진다. 그러나, 수백 kHz ~ 1MHz의 주파수에서는, 직류 저항보다 근접 효과에 의한 교류 저항 증대의 영향이 크다. 이 때문에, 구리선 단면적을 증가시켜서 직류 저항을 저감하는 것보다도, 구리선간 거리를 크게 하여 근접 효과에 의한 교류 저항의 증대를 저감하는 쪽이 효과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자성 베이킹 피복 소선(11)을 포함하는 연선(2E)을 이용한 권선에 있어서, 특히, 압출 피복층(3E)의 두께 40μm를 경계로 하여, 교류 저항값이 바닥치가 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실시예 1, 2 및 비교예 1, 2, 근사 곡선 R). 이것은,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권선을 코일로 이용했을 때에, 권선간 거리를 적절히 확보할 수 있었던 것에 의한 것이라고 생각된다. 즉, 자성체층(11b)은, 투자율이 크고 자속의 흐름이 집중되는 것으로, 근방에 존재하는 구리선(11a)에의 자속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자성체층(11b)에 흘러드는 자속이 열에너지가 되어서 소비되지만, 그 일부는 근방의 구리선(11a)에 와전류를 발생시켜서, 교류 저항값을 상승시키는 일도 있다. 그러나, 구리선간의 거리를 적절히 확보하면, 상기 자속 침입과 와전류의 발생을 균형있게 방지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점은 권선간끼리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지만, 코일에 있어서는, 교류 저항의 저감에 대해서, 상술한 구리선간에 있어서의 자속 침입과 와전류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보다도, 권선간에 있어서의 자속 침입과 와전류의 발생을 방지하는 쪽이 높은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특정 선 지름의 구리선 및 자성체층을 구비한 자성 베이킹 피복 소선(11)을 포함하는 연선(2E)과, 연선(2E)의 외주에 특정의 두께를 가지는 압출 피복층(3E)을 가지는 본 발명의 권선(1E)은, 고주파 전류의 통전시의 교류 저항이 작고, 코일 내지는 트랜스에 이용되었을 때에 그 손실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발명을 그 실시형태와 함께 설명했지만, 우리는 특별히 지정하지 않는 한 우리의 발명을 설명의 어느 세부에 있어서도 한정하려고 하는 것이 아니고, 첨부의 청구의 범위에 나타낸 발명의 정신과 범위에 반하는 일 없이 폭넓게 해석되는 것이 당연하다고 생각한다.
본원은, 2016년 4월 22일에 일본에서 특허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6-086601에 기초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는 것이며, 이것은 여기에 참조하여 그 내용을 본 명세서의 기재의 일부로서 넣는다.
1A ~ 1F, 21: 권선
2A ~ 2F, 22: 연선
3A ~ 3F, 23: 압출 피복층
3E1 ~ 3E3, 3F1, 3F2: 권선 압출 피복층
3F3: 소선 압출 피복층
11, 11A: 자성 베이킹 피복 소선
11a: 구리선
11b: 자성체층
11c, 24: 베이킹 피복층
12: 베이킹 피복 소선
13: 자성 압출 피복 소선

Claims (7)

  1. 구리선의 선 지름이 0.05 ~ 0.5mm의 소선을 복수개 서로 꼬아서 이루어지는 연선과, 상기 복수의 소선을 피복하는 압출 피복층을 가지는 권선으로서,
    상기 소선의 적어도 1개가 상기 구리선의 외주에 자성체층을 가지고,
    상기 압출 피복층의 두께가 40 ~ 400μm인, 권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성체층의 외주에 베이킹 피복층을 가지는 권선.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 피복층이, 상기 연선의 바깥면에 가지는 권선 압출 피복층을 포함하는 권선.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압출 피복층이, 3층 이상의 층으로 이루어지는 권선.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권선을 이용한 코일.
  6. 제 5 항에 기재된 코일을 가지는 트랜스.
  7. 제 6 항에 있어서,
    100k ~ 1MHz의 고주파 스위칭 전원용인 트랜스.
KR1020187029465A 2016-04-22 2017-04-17 권선, 코일 및 트랜스 KR1021069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86601 2016-04-22
JP2016086601A JP6490620B2 (ja) 2016-04-22 2016-04-22 巻線、コイル及びトランス
PCT/JP2017/015469 WO2017183610A1 (ja) 2016-04-22 2017-04-17 巻線、コイル及びトランス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1991A true KR20180121991A (ko) 2018-11-09
KR102106918B1 KR102106918B1 (ko) 2020-05-06

Family

ID=60116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9465A KR102106918B1 (ko) 2016-04-22 2017-04-17 권선, 코일 및 트랜스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393621B2 (ko)
EP (1) EP3447777B1 (ko)
JP (1) JP6490620B2 (ko)
KR (1) KR102106918B1 (ko)
CN (1) CN109074946B (ko)
MY (1) MY187038A (ko)
TW (1) TWI668715B (ko)
WO (1) WO20171836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06789B2 (ja) * 2017-12-20 2023-07-1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コイル及びトランス
JP7146449B2 (ja) * 2018-05-22 2022-10-04 東京特殊電線株式会社 高周波コイル用電線及びコイル
JP7121924B2 (ja) * 2018-09-04 2022-08-19 日立金属株式会社 高周波トランスおよびそれを用いた電源回路
CN110246611A (zh) * 2019-06-24 2019-09-17 无锡华能电缆有限公司 高压设备电气连接线及其制备方法
CN113192749A (zh) * 2021-06-07 2021-07-30 安登利电子(深圳)有限公司 一种线圈绕线方法及带有该线圈的变压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6339U (ja) * 1996-09-30 1997-04-15 東京特殊電線株式会社 高周波変圧器巻線用多層絶縁電線
JP2009129654A (ja) * 2007-11-22 2009-06-11 Totoku Electric Co Ltd 複合電線およびコイル
JP2009283397A (ja) 2008-05-26 2009-12-03 Swcc Showa Device Technology Co Ltd リッツ線コイル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7018U (ja) * 1991-03-29 1993-12-27 東京特殊電線株式会社 高周波変圧器巻線用多層絶縁電線
JPH04116310U (ja) * 1991-03-29 1992-10-16 東京特殊電線株式会社 高周波変圧器巻線用多層絶縁電線
JP3274727B2 (ja) * 1992-11-30 2002-04-15 日立電線株式会社 高周波トランス用リッツ線並びに二重編組リッツ線及びこれらの製造方法
JP3036339B2 (ja) 1993-12-16 2000-04-24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半導体装置
US6066806A (en) * 1997-08-19 2000-05-23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Insulated wire
JP5294695B2 (ja) * 2008-05-13 2013-09-18 東京特殊電線株式会社 電線およびコイル
JP5294907B2 (ja) * 2009-01-30 2013-09-18 東京特殊電線株式会社 絶縁電線およびコイル
JP5649402B2 (ja) * 2010-10-21 2015-01-07 矢崎総業株式会社 電力用コイル
CN104021864B (zh) * 2011-09-22 2015-11-18 株式会社藤仓 电线及线圈
WO2016027867A1 (ja) * 2014-08-22 2016-02-25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コイル用線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36339U (ja) * 1996-09-30 1997-04-15 東京特殊電線株式会社 高周波変圧器巻線用多層絶縁電線
JP2009129654A (ja) * 2007-11-22 2009-06-11 Totoku Electric Co Ltd 複合電線およびコイル
JP2009283397A (ja) 2008-05-26 2009-12-03 Swcc Showa Device Technology Co Ltd リッツ線コイ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47777B1 (en) 2021-06-09
TWI668715B (zh) 2019-08-11
JP2017195350A (ja) 2017-10-26
JP6490620B2 (ja) 2019-03-27
EP3447777A4 (en) 2020-01-01
CN109074946A (zh) 2018-12-21
CN109074946B (zh) 2022-04-08
WO2017183610A1 (ja) 2017-10-26
MY187038A (en) 2021-08-27
US11393621B2 (en) 2022-07-19
KR102106918B1 (ko) 2020-05-06
TW201802844A (zh) 2018-01-16
EP3447777A1 (en) 2019-02-27
US20190051451A1 (en) 2019-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06918B1 (ko) 권선, 코일 및 트랜스
US10319491B2 (en) Rectangular wir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electrical equipment using the same
EP2608222B1 (en) Method of manufacturing a high-frequency electric wire
JP5393097B2 (ja) アルファ巻きコイル
JP5219619B2 (ja) 磁性扁平編組線およびコイル
US20180182507A1 (en) Continuously Transposed Conductors And Assemblies
JP5742805B2 (ja) 回転電機の固定子
JP2010177075A (ja) 絶縁電線およびコイル
JP5726034B2 (ja) 漏洩トランス
JP2013074144A5 (ko)
JP7050566B2 (ja) 高周波用高出力トランス
JP7306789B2 (ja) コイル及びトランス
JP7146449B2 (ja) 高周波コイル用電線及びコイル
CN112216481A (zh) 磁感线圈
JP2023135383A (ja) 撚り線、絶縁電線、コイル及びトランス
JP2017147288A (ja) トロイダルコイル
JP2016039322A (ja) コイル、及びコイル部品
WO2012131934A1 (ja) 絶縁電線およびコイル
CN210325464U (zh) 磁感线圈
JP2021118338A (ja) 電線用スペーサー、電線用複合材、電線、コイル、トランス及び電力変換回路装置
JP4537342B2 (ja) コイル用電線
JP2014057462A (ja) 回転電機の固定子
TWI459408B (zh) Insulated wires and coils
JP2007193945A (ja) 電気ケーブル
WO2016202686A1 (e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able for a winding of an electromagnetic induct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