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20167A - 유체를 프로싱하기 위한 조립체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유체를 프로싱하기 위한 조립체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20167A
KR20180120167A KR1020187024741A KR20187024741A KR20180120167A KR 20180120167 A KR20180120167 A KR 20180120167A KR 1020187024741 A KR1020187024741 A KR 1020187024741A KR 20187024741 A KR20187024741 A KR 20187024741A KR 20180120167 A KR20180120167 A KR 201801201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air
temperature
assembly
flow 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4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09032B1 (ko
Inventor
헨드릭 요한 디스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도우베 에그베르츠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도우베 에그베르츠 비.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도우베 에그베르츠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801201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01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85Nozzles dispensing heated and foamed milk, i.e. milk is sucked from a milk container, heated and foamed inside the device, and subsequently dispensed from the nozz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1Valves, e.g. drai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8Pump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9Details of hydraulic circu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4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 A47J31/56Water boiling vessels in beverage making machines having water-level controls; having temperature contro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Confectionery (AREA)
  • Nozzles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 Casting Or Compres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 입구, 하류 단부 및 제어가능 공기 공급 조립체를 포함하는 공기 채널을 포함하는, 유체를 프로싱하기 위한 조립체를 포함한다. 조립체는 또한 유체 입구로부터 유체 출구까지 연장되는 유체 채널을 포함한다. 유체 채널은 이어서 유체 입구 부근에 위치되는 제1 온도 센서, 공기 채널의 하류 단부에 연결되는 공기 입구 방출점, 프로싱 유닛, 히터 및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를 포함한다.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는 제1 온도 센서로부터 온도 입력을 수신하고, 제1 온도 센서로부터 수신된 온도 입력에 기초하여 유체 채널로 보내지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조립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유체를 프로싱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체를 프로싱하기 위한 조립체 및 방법
본 발명은 유체를 프로싱(frothing)하기 위한 조립체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밀크 또는 크림(cream)과 같은 액체를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가 예를 들어 US 20130145936호 및 EP 2.120.656 B1호로부터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US2013/0145936호는, 도 4에서, 저온 밀크 용기, 밀크 펌프를 포함하는 밀크 공급 도관을 포함하는 밀크 프로싱 장치를 개시한다. 밀크는 밀크를, 프로싱 챔버 내에서, 물과 공기를 공급받는 증기 발생기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증기 혼합물과 혼합함으로써 가열되고 프로싱된다. 공기는 압축 공기 공급원으로부터 밸브를 포함하는 공기 도관을 통해 증기 발생기에 공급된다. 이러한 시스템은 밀크 용기 내에 위치되는 온도 센서뿐만 아니라, 제어 및/또는 조절될 수 있는 프로싱 장치의 일부 또는 모든 요소에 연결될 수 있는 제어 장치를 포함한다. 이러한 알려진 장치에서, 밀크는 증기/공기 혼합물로 프로싱되고 가열된다.
EP 2.120.656 B1호는 밀크 거품 또는 밀크-기반 음료의 생성을 위한 장치를 개시한다. 장치는 프로싱을 위해 조립체에 제공되도록 의도되는 저온 밀크를 수용하는 용기와, 펌프로서, 저온 밀크가 용기로부터 펌프로 인출될 수 있도록 밀크 도관에 의해 용기와 유체 연결될 수 있는, 상기 펌프를 포함한다. 장치는 또한 공기 입구와 공기 출구를 갖춘 공기 도관을 포함하며, 공기 출구는 밀크 도관 내로 나온다. 장치는 또한 일정량의 공기를 유체 채널에 공급하여 유체/공기-혼합물을 형성하도록 구성되는 밸브 조립체를 포함한다. 펌프는 제한부(restriction)에 연결되는데, 이 제한부는 펌프에 의해 제한부에 공급되는 밀크/공기-혼합물을 프로싱하기 위한 것이다. 제한부의 하류에서, 밸브 조립체가 밀크 도관 내에 설치된다. 밸브 조립체의 제1 상태에서, 프로싱된 밀크가 밀크 출구 도관에 전달되고 밀크 출구를 통해 밀크 출구 도관으로부터 분배된다. 밸브 조립체의 제2 상태에서, 프로싱된 밀크가 평행한 밀크 도관을 통해 안내되는데, 이러한 도관은 프로싱된 밀크가 출구에 전달되고 그것으로부터 분배되기 전에 프로싱된 밀크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를 포함한다.
종래 기술로부터 알려진 장치의 불리한 점은 프로싱된 밀크가 일관된 품질을 갖지 않는다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일관되지 않은 품질을 야기하는 중요한 인자가 프로싱될 밀크 제품의 온도임을 밝혀냈다. 주위 온도를 갖는 UHT 밀크는 냉장고 내에서 냉각된 동일한 UHT 밀크와는 상이한 프로싱된 최종 제품으로 이어진다.
본 발명은 비교적 높은 그리고 일관된 품질의 프로싱된 유체가 분배될 수 있게 하는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조립체는,
- 공기 공급원과, 공기 입구 및 하류 단부를 갖는 공기 채널을 포함하는 공기 공급 조립체로서, 공기 공급원은 공기 입구에 연결되고, 공기 공급 조립체는 하류 단부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공기 공급 조립체;
- 유체 입구로부터 유체 출구까지 연장되는 유체 채널을 포함하고, 유체 채널은 이어서,
~ 유체 입구에 인접하게 또는 유체 입구 내에 위치되고, 유체 입구에 인접한 또는 유체 입구 내의 유체의 감지된 온도와 관련되는 제1 온도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온도 센서;
~ 공기 채널의 하류 단부가 연결되는 공기 입구 방출점(emanation point);
~ 펌프를 포함하는 프로싱 유닛;
~ 히터를 포함하며,
상기 조립체는,
-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를 포함하고,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는,
~ 제1 온도 신호를 수신하고,
~ 유체 채널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해 적어도 제1 온도 신호에 응답하여 제어가능 공기 공급 조립체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유체는 예를 들어 다양한 유형의 밀크, 아몬드 밀크(almond milk), 초콜릿 밀크(chocolate milk), 산양유(goat milk), 농축유(concentrated milk), 두유(soy milk)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의 이점은 유체/공기-혼합물 중의 유체와 공기 사이의 비가 유체 입구에서 제공되는 유체의 온도에 맞추어진다는 것이다. 이것은, 온도 센서에 의해 제공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가능 공기 공급 조립체 및 그와 함께 유체 채널 내에 존재하는 유체에 추가되는 공기의 양을 조절하는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에 의해 행해진다. 유체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의 조절은 공급되는 유체의 온도 변동을 보상할 수 있다. 따라서, 유체 출구로부터의 프로싱된 유체의 일관된 품질이 달성될 수 있다. 소비자의 소망에 따라, 밀크 거품은 웨트(wet), 즉 거품의 체적에 대해 더 많은 밀크이거나, 드라이(dry), 즉 거품의 체적에 대해 더 적은 밀크일 수 있다. 또한, 거품의 온도가 변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저온 거품 또는 고온 거품일 수 있다. 또한, 분배되는 거품의 양이 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다양한 레시피가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에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유체 입구에 인접한 또는 유체 입구 내의 유체의 온도는 비교적 낮은 온도로부터 비교적 높은 온도에 이르는 온도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공급될 수 있는 공기의 유량은 비교적 작은 유량으로부터 비교적 높은 유량에 이르는 유량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유량은 시간당 공급되는 체적으로 정의되며, 예를 들어 mL/s 단위로 표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는, 유체의 온도가 온도 범위 내에서 비교적 낮을 때, 공기의 유량이 유량 범위 내에서 비교적 낮도록 제어되고, 유체의 온도가 온도 범위 내에서 비교적 높을 때, 공기의 유량이 유량 범위 내에서 비교적 높도록 제어되도록 제어가능 공기 공급 조립체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 시, 온도 센서가 유체 입구 부근 또는 유체 입구 내에서 비교적 높은 온도를 검출한 때,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는 유체 채널 내의 유체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이 비교적 높도록 증가시킬 수 있다. 반대로, 유체 입구 부근 또는 유체 입구 내의 유체의 온도가 온도 범위 내에서 비교적 낮을 때 공기의 유량은 감소될 수 있어서, 유체 채널 내의 유체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이 유체 채널에 공급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비교적 낮다.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는,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온도에 기초하여, 일관되고 원하는 품질의 프로싱된 유체가 조립체에 의해 생성될 수 있도록 유체/공기-혼합물 중의 유체와 공기 사이의 비를 조절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전술된 원하는 거품 종류, 즉 고온 드라이 거품, 고온 웨트 거품, 저온 드라이 거품, 또는 저온 웨트 거품 및 중간 종류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프로싱된 유체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며, 방법은,
-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 또는 냉장고를 제공하는 단계;
- 유체 채널 내에서의 유체의 유동을 생성하기 위해 펌프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 유체 입구에 인접한 또는 유체 입구 내의 유체의 온도를 제1 온도 센서로 감지하는 단계;
- 제1 온도 센서로부터의 제1 온도 신호를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로 전송하는 단계로서, 제1 온도 신호는 유체 입구에 인접한 또는 유체 입구 내의 유체의 감지된 온도와 관련되는, 상기 제1 온도 신호 전송 단계;
- 유체 채널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해 적어도 제1 온도 신호에 응답하여 공기 공급 조립체를 제어하는 단계;
- 유체 채널 내의 유체와 공기 채널로부터의 공기를 혼합하여 유체/공기-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 유체/공기-혼합물을 프로싱하여 프로싱된 유체를 형성하는 단계;
- 프로싱된 유체를 선택적으로 가열하거나 가열하지 않는 단계; 및
- 프로싱된 유체를 유체 출구를 통해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방법은 더 일관된 품질의 프로싱된 유체가 생성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것은 유체 채널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이 유체 채널 내의 또는 유체 채널 부근의 유체의 온도에 응답하여 제어될 수 있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시험은 프로싱된 유체의 품질이 프로싱된 유체를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유체의 온도에 의존한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프로싱된 유체의 품질은 또한 유체/공기-혼합물 중의 유체와 공기 사이의 비에 의존한다. 유체 입구 부근 또는 유체 입구 내의 유체의 온도에 응답하여 제어가능 공기 밸브를 제어함으로써, 생성되는 프로싱된 유체가 원하는 품질을 가질 수 있다. 유체의 변하는 입구 온도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변동은 유체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이 감지된 입구 온도에 응답하여 제어된다는 사실에 의해 보상될 수 있다. 따라서, 재현가능하고 일관된 품질을 갖는 프로싱된 액체가 생성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가 독립항에 청구되며, 이는 도면에 도시된 예와 관련하여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들은 조합될 수 있거나, 서로 개별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의 실시예의 개략적인 개요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조립체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예의 사시도.
도 3은 그리퍼 요소(gripper element)를 포함하는 유체 채널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은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뿐만 아니라 주요 태양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의 예를 도시한다. 가장 일반적인 표현으로, 본 발명은 공기 공급원과 공기 입구(12a) 및 하류 단부(12b)를 갖춘 공기 채널(12)을 포함하는 공기 공급 조립체를 포함하는, 유체를 프로싱하기 위한 조립체(10)를 포함한다. 공기 공급원은 공기 입구(12a)에 연결된다. 공기 공급 조립체는 하류 단부(12b)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유체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로 프로싱될 수 있지만, 주요 응용은 다양한 등급의 우유(cow milk), 아몬드 밀크, 초콜릿 밀크, 산양유, 농축유, 두유 등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밀크의 프로싱일 것이다. 조립체(10)는 유체 입구(16)로부터 유체 출구(18)까지 연장되는 유체 채널(14)을 포함한다. 유체 채널(14)은 이어서 제1 온도 센서(20), 공기 입구 방출점(14a), 펌프(30)를 포함하는 프로싱 유닛(22), 및 히터(24)를 포함한다. 제1 온도 센서(20)는 유체 입구(16)에 인접하게 또는 그것 내에 위치되고, 유체 입구(16)에 인접한 또는 그것 내의 유체의 감지된 온도와 관련되는 제1 온도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된다. 공기 채널(12)의 하류 단부(12b)는 공기 입구 방출점(14a)에 연결된다. 조립체(10)는 또한, 제1 온도 신호를 수신하고, 유체 채널(14)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해 적어도 제1 온도 신호에 응답하여 공기 공급 조립체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26)를 포함한다.
그러한 조립체의 이점이 개요에서 기술되었으며, 특히 유체 채널(14)의 입구 부근의 또는 그것 내의 유체의 온도가 변하는 경우에도 다양한 유형의 원하는 유체 거품이 일관된 품질로 생성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공기 공급 조립체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은 제어가능 공기 밸브로 제어된다.
실시예에서, 공기 공급원은 가변 출력 유량을 갖는 공기 펌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26)는 유체 채널(14)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해 적어도 제1 온도 신호에 응답하여 공기 펌프 출력 유량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기 펌프는 가압 공기를 갖춘 실린더가 교환될 필요가 없다는 이점을 갖는다.
실시예에서, 공기 공급원은 공기 실린더 또는 공기 펌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공기 공급 조립체는 공기 채널(12) 내에 장착될 수 있는 제어가능 공기 밸브(12c)를 포함한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26)는 유체 채널(14)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해 제1 온도 신호에 응답하여 제어가능 공기 밸브(12c)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압 공기 실린더는 가압 공기가 즉시 이용가능하다는 이점을 갖는다.
공기 공급원으로서의 펌프와 공기 실린더 또는 유사한 버퍼 탱크(buffer tank)의 조합이 또한 실현가능하다. 공기 펌프는 공기 실린더를 가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러한 조합은 가압 공기의 즉각적인 이용가능성을 보장하고, 가압 공기 실린더가 교환될 필요가 없다는 이점을 갖는다.
유체 입구에 인접한 또는 그것 내의 유체의 온도는 비교적 낮은 온도로부터 비교적 높은 온도에 이르는 온도 범위 내에서 변할 수 있다. 공급될 수 있는 공기의 유량이 또한 비교적 작은 유량으로부터 비교적 높은 유량에 이르는 유량 범위 내에서 변할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유량은 예를 들어 mL/s 단위로 표현되는 시간당 공급되는 유체의 체적이다. 실시예에서,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26)는, 유체의 온도가 온도 범위 내에서 비교적 낮을 때, 공기의 유량이 유량 범위 내에서 비교적 낮도록 제어되고, 유체의 온도가 온도 범위 내에서 비교적 높을 때, 공기의 유량이 유량 범위 내에서 비교적 높도록 제어되도록 공기 공급 조립체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제어에 의해, 유체 입구에서의 유체의 온도가 상기 범위 내에서 비교적 낮은 온도로부터 비교적 높은 온도까지 변하는 경우에도 거품의 일관된 품질이 달성될 수 있다.
그것의 예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프로싱 유닛은 펌프(30)의 하류에 그리고 히터(24)로부터 상류에 위치되는 유체 제한부(22)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립체(10)에서 유체를 프로싱하기 위한 유체 제한부(22)를 사용하는 것은 비교적 높은 품질의 프로싱된 액체를 갖는 프로싱된 유체가 생성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그 외에, 유체 제한부(22)는 용이하게 세정될 수 있는 매우 간단한 구조체이다.
실시예에서,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26)는 히터(24)의 열 출력을 제어하기 위해 적어도 제1 온도 신호에 응답하여 히터(24)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의 경우, 히터(24)의 열 출력은 유체 채널의 입구에서의 프로싱될 유체의 온도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그렇게 함으로써, 가열되는 프로싱된 유체가 비등하기 시작할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 결과, 유체의 맛이 매우 우수하게 유지될 것이고 유체가 타거나 히터의 벽에 들러붙지 않을 것이다. 특히 유체가 밀크일 때, 밀크가 비등하였을 때 밀크의 맛이 저하될 것이기 때문에 밀크가 비등하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 그 결과, 프로싱된 밀크의 품질이 맛뿐만 아니라 외양 둘 모두에 관하여 일관될 것이다.
그것의 예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조립체(10)는 제2 온도 센서(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온도 센서(32)는 유체 채널(14) 내에서 공기 입구 방출점(14a)과 프로싱 유닛(22)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온도 센서(32)는 유체/공기-혼합물 및/또는 세정 유체의 감지된 온도와 관련되는 제2 온도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26)는, 제2 온도 신호를 수신하고, 히터(24)의 열 출력을 제어하기 위해 적어도 제2 온도 신호에 응답하여 히터(24)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기/유체-혼합물에 있어서의 정확한 공기/유체-비를 제공하는 것에 더하여, 프로싱된 유체의 품질은 또한, 또는 추가적으로, 분배되는 프로싱된 유체의 온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가열된 프로싱된 유체는 예를 들어 대략 70℃인 온도를 가질 수 있다. 제1 온도 센서(20)에 의해 발생되는 제1 온도 신호에 응답하여 히터(24)를 제어하는 대신에 또는 그것에 더하여, 히터(24)는 또한 유체/공기-혼합물의 온도를 직접 측정하는 제2 온도 센서(32)에 의해 발생되는 제2 온도 신호에 기초하여 제어될 수 있다. 제2 온도 신호에 의해 또는 제1 온도 신호와 제2 온도 신호의 조합에 의해, 히터(24)는 원하는 온도의 프로싱된 유체를 분배하는 데 필요한 열의 정확한 양을 출력하도록 훨씬 더 정확하게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과다-가열 또는 과소-가열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2 온도(32)는 또한 유체 채널(14)이 그것으로 세정되는 세정제의 온도를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26)는 유체 채널(14) 내의 유체의 유량과 관련되는 유량 신호에 응답하여 공기 공급 조립체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는 유체 입구에서의 또는 그것 내에서의 유체의 온도에 응답하여는 물론, 유체 채널(14) 내의 유체의 유량(즉, 체적/시간)을 나타내는 유량 신호에 응답하여, 공기 공급 조립체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결정한다. 유량 신호는 유동 채널(14) 내에 포함될 수 있는 유량계에 의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유량 신호는 또한 펌프에 대한 컨트롤러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량 신호는 펌프 속도 또는 최대 펌프 속도의 백분율일 수 있다. 펌프 속도는 유체 거품의 레시피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드라이 거품이 요망될 때, 펌프 속도는 웨트 유체 거품이 요망될 때보다 더 느리게 설정될 수 있다. 펌프 속도가 비교적 낮은 때, 펌프 속도가 예를 들어 펌프의 최대 속도의 100%일 때보다 더 작은 유량의 공기가 유체 채널(14)에 공급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26)는 유체 입구(16)에 공급되는 유체의 유형에 대한 사용자-생성 지시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26)는 추가로 유체 채널(14) 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해 사용자-생성 지시에 응답하여 공기 공급 조립체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싱된 유체의 품질은 유체 입구(16)에 공급되는 유체의 유형을 또한 고려함으로써 훨씬 더욱 증가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26)는 조립체(10)에 의해 처리될 수 있는 다양한 유체에 대한 정보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으며, 여기서 유체 입구에 공급되는 유체에 대한 사용자-생성 정보는 유체 채널(14)에 공급되는 공기의 양을 제어함으로써 유체/공기-비를 최적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유체의 유형은 예를 들어 다양한 지방률을 함유하는 우유, 아몬드 밀크, 산양유, 버터밀크(buttermilk) 또는 초콜릿 밀크를 포함할 수 있다. 특성은 예를 들어 지방률, 단백질 함량, 유당의 존재 또는 부존재, 및/또는 유체의 공급원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싱 유닛(22)이 유체 제한부인, 그것의 예가 도 1에 제공된 실시예에서, 유체 제한부(22)는 중심축을 따라 사전결정된 길이에 걸쳐 연장될 수 있고, 유체 채널(14)의 직경에 비해 감소된 직경을 갖는 오리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유체 제한부는 구성이 간단하고, 내부 구조가 매끄럽고 세정제가 접근하기에 어려울 수 있는 캐비티(cavity)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매우 효과적으로 세정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유체 제한부(22)의 길이는 1 mm 내지 8 mm의 범위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 mm일 수 있다. 유체 제한부(22)의 오리피스의 직경은 0,4 mm 내지 1,5 mm의 범위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7 mm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정된 유체 노즐 형태의, 길이가 4 mm이고 오리피스 크기가 0,7 mm인 유체 제한부가 고품질의 프로싱된 액체를 생성한다. 여러 상이한 밀크-기반 유체가 유체 제한부의 이러한 실시예로 고품질의 프로싱된 유체로 처리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체 제한부(22)는 탈지유(skimmed milk), 반-탈지유(semi-skimmed milk) 및 전유(full milk)를 고품질의 프로싱된 밀크로 프로싱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반-탈지 무유당 밀크와 카푸치노 밀크를 사용하여 고품질의 프로싱된 유체가 생성될 수 있다.
프로싱 유닛(22)이 유체 제한부인, 그것의 예가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체 제한부(22)는 펌프(30)의 출구 내에 장착될 수 있다.
유체 제한부(22)를 펌프(30)의 출구 내에 장착하는 것은 더욱 콤팩트한 조립체를 생성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히터(24)는 후막(thick film)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후막 가열 요소는 전기 저항 로드(rod)와 같은, 종래 기술의 장치에서 사용되는 가열 요소에 비해 여러 이점을 제공한다. 후막 가열 요소는 낮은 열 질량(thermal mass)과 비교적 급격한 온도 프로파일을 갖는다. 그 결과, 히터(24)는 비교적 짧은 기간 내에 가열되고 냉각될 수 있다. 이는 연속되는 분배 동작들 사이의 긴 기간 또는 연속되는 분배 동작들 사이의 교차-온도 효과(cross-temperature effect)를 초래함이 없이 고온의 프로싱된 유체 및 저온의 프로싱된 유체 둘 모두가 그것을 통해 분배될 수 있는 단일 채널(14)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후막 가열 요소의 사용은 더욱 간단하고 콤팩트한 구성을 허용하며, 여기서 고온의 프로싱된 유체 및 저온의 프로싱된 유체 둘 모두가 그것으로부터 교번하여 분배될 수 있는 단일 유체 채널(14)만이 요구된다. 그러한 간단한 구성은 예를 들어 EP 2.120.656호에서는 이용가능하지 않았다. EP 2.120.656호에서, 2개의 별개의 채널과 삼방향 밸브가 프로싱 유닛 뒤에 위치되었고, 고온의 프로싱된 유체는 가열 유닛을 구비한 이들 2개의 채널 중 제1 채널을 통해 분배되었던 반면, 저온의 프로싱된 유체는 저온의 프로싱된 유체의 원치 않는 가열을 방지하기 위해 이들 2개의 채널 중 제2 채널을 통해 분배되었다. 삼방향 밸브는 2개의 별개의 채널 중 어떤 채널을 통해 프로싱된 유체가 분배되어야 하는지를 선택하도록 작동되었다. 삼방향 밸브는 간단한 단일 채널보다 세정하기가 더 어렵다. 그 결과, 고온 밀크 및 저온 밀크 둘 모두가 그것을 통해 분배되는 후막 히터를 갖춘 배열이 세정하기가 더 용이하며, 이는 위생 관점에서 극히 중요하다. 추가의 이점은 히터(24)가, 가열 및 냉각에 필요한 짧은 기간에 의해, 대기 모드로 유지되기보다는 스위치 오프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여전히 고 가용성을 제공하면서 조립체(10)의 에너지 사용을 감소시킨다.
실시예에서, 히터(24)는 관류 히터(flow-through heater), 바람직하게는 고압 관류 히터, 그리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초고압 관류 히터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조립체(10)는 유체 입구(16) 부근에서 유체 채널(14)에 연결되는 그리퍼 요소(44)를 포함할 수 있다.
그것의 예가 도 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조립체(10)는 유체 입구(16) 부근에서 유체 채널(14)에 연결되는 그리퍼 요소(4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예에서, 유체 입구(16)는 금속 또는 강성의 무공성(non-porous) 플라스틱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강직성 침지 관이다. 대안적으로, 유체 입구(16)는 가요성 관일 수 있다. 그러나, 프로싱되도록 의도되는 유체를 수용하는 유체 용기 내에 배치하고 그것으로부터 꺼내기에 강직성 침지 관이 더욱 편리하다.
이전 실시예의 상술(elaboration)에서, 그리퍼 요소(44)는 캡(cap)(46), 예를 들어 우산-형상의 캡을 포함할 수 있다. 캡(46)은 유체 입구(16)가 그것 내에 삽입되는 유체 저장소(reservoir)의 개구 위에 배치가능할 수 있다.
그리퍼(44)는 유체 저장소가 실질적으로 차단되도록 그리퍼(44)가 유체 저장소의 개구 위에 알맞게 배치되도록 허용하는 캡(46)을 구비할 수 있다. 그와 함께, 캡(46)은 유체 저장소 내의 유체의 오손(fouling)을 방지하는 시일(seal)을 형성함과 동시에, 유체 입구(16) 또는 유체 채널(14)을 오손시키거나 손상시킴이 없이 유체 저장소로부터 유체 입구(16)를 제거하기 위한 핸드홀드(handhold)를 제공한다. 그렇기 때문에, 유체 입구(16)를 비어 있는 유체 저장소로부터 새로운 충전된 유체 저장소로 이동시키는 것이 위생적이고 용이한 방식으로 행해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조립체는 유체 채널(14)의 상류 부분의 경계를 정하는 상류 유체 라인, 공기 채널(12b)의 경계를 정하는 공기 라인, 및 유체 채널(14) 내에서 제1 온도 센서(20)와 프로싱 유닛 사이에 위치되는 연결 블록(28)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블록(28)은 상류 유체 라인의 하류 단부가 그것에 연결되는 유체 입구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블록(28)은 공기 라인의 하류 단부가 그것에 연결되는 공기 입구 개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유체 채널 부분이 연결 블록(28)뿐만 아니라 내부 공기 채널 부분 내에서 연장될 수 있다. 공기 입구 방출점(14a)은 연결 블록(28) 내부에 있을 수 있으며, 내부 유체 채널 부분과 내부 공기 채널 부분 사이의 연결을 형성한다. 마지막으로, 연결 블록(28)은 내부 유체 채널 부분의 하류 단부에 의해 형성되는 출구 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조립체는 또한 유체 채널(14)의 일부의 경계를 정하는, 그리고 그것의 상류 단부가 연결 블록(28)의 출구 개구에 연결되는 하류 유체 라인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제2 온도 센서(32)는 연결 블록(28) 내에 장착될 수 있다. 상류 유체 라인과 연결 블록(28) 사이의 연결, 공기 라인과 연결 블록(28) 사이의 연결뿐만 아니라, 하류 유체 라인과 연결 블록(28) 사이의 연결은 플레어 연결(flare connection)일 수 있다.
그러한 연결 블록(28)은 내부 구조가 세정 작업이 수행될 때 밀크가 그 안에 남아 있을 수 있는 임의의 캐비티 없이 매끄러울 수 있기 때문에 연결 블록이 세정 작업 중에 용이하게 살균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상류 및 하류 유체 라인은 적합한 플라스틱의 가요성 관일 수 있다. 유체 라인의 자유 단부는 플레어형으로 될 수 있는데, 즉 관의 일체형 부분인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를 형성하도록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상화될 수 있다. 그러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는 연결 블록(28)의 유체 입구, 유체 출구 및 공기 입구에 제공되는 스크류 커플링 상에 스크류 체결되는 스크류 암나사를 갖춘 연결 너트와 연결 블록의 단부 표면 사이에 클램핑(clamping)될 수 있다. 다시, 그러한 플레어형 관 단부에 의해, 유체 라인과 한편으로는 공기 라인 및 다른 한편으로는 연결 블록(28) 사이의 연결은 세정 작업 중에도 밀크 또는 유체가 그 안에 남아 있을 수 있는 임의의 캐비티가 사실상 없이 매우 매끄러울 수 있다. 그 결과, 이 실시예에 따른 조립체의 위생이 최적으로 보장된다.
본 발명은 또한 냉장고 공간(38)의 경계를 정하는 하우징(36)을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그러한 냉장고의 예가 도 2에 도시된다. 하우징은 냉장고 공간(38)이 도어 개구를 통해 접근가능한 개방 위치와 도어 개구를 차단하기 위한 폐쇄 위치를 갖는 도어(40)를 포함한다. 냉장고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를 프로싱하기 위한 조립체를 추가로 포함하며, 여기서 적어도 프로싱 유닛(22), 히터(24), 제1 온도 센서(20) 및 제2 온도 센서(32)를 비롯한, 유체를 프로싱하기 위한 조립체(10)의 주요 구성요소가 냉장고 공간(38) 내에 위치된다.
냉장고 공간(38)은 구성요소에 대한 냉각을 최적화하기 위해 비교적 낮은 온도로 냉장될 수 있다. 또한, 냉장된 하우징 공간(38)을 구비하는 것은 유체 저장소가 하우징(36)의 하우징 공간(38) 내에 배치되도록 허용할 수 있어, 저장소 내에 수용된 유체가 부패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밀크 또는 커스터드(custard)-기반 제품과 같은 상하기 쉬운 상품의 경우에 중요할 수 있다.
또한, 냉장 공간에 맞게 조립체(10)의 구성요소를 설계함으로써, 조립체가 기존 냉장고 내에 새로 장착될 수 있다.
그것의 예가 도 2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유체를 프로싱하기 위한 조립체(10)는 냉장고 공간(38) 내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성요소 트레이(4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 트레이(42)는 도어(40)의 개방 위치에서 냉장고 공간(38)으로부터 제거가능할 수 있고, 적어도 프로싱 유닛(22), 히터(24) 및 유체 채널(14)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제거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성요소 트레이(42)를 구비하는 것의 이점은 구성요소가 유지보수의 수리를 위해 용이하게 접근가능하다는 것이다. 또한, 구성요소 트레이(42)는 구성요소가 최적 성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필요한 설치 공간을 감소시켜서, 콤팩트하고 신뢰성 있는 제품을 허용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구성요소 트레이는 수리, 유지보수 또는 교체의 경우에 냉장고 공간(38)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그 후에 도어(40)는 냉장고 공간(38) 내의 낮은 내부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다시 폐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유체를 프로싱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한다. 방법은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립체 또는 제16항 또는 제17항에 따른 냉장고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 유체 채널(14) 내에서의 유체의 유동을 생성하기 위해 펌프(30)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 유체 입구에 인접한 또는 유체 입구 내의 유체의 온도를 제1 온도 센서(20)로 감지하는 단계;
- 제1 온도 센서(20)로부터의 제1 온도 신호를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26)로 전송하는 단계로서, 제1 온도 신호는 유체 입구(16)에 인접한 또는 유체 입구 내의 유체의 감지된 온도와 관련되는, 상기 제1 온도 신호 전송 단계;
- 유체 채널(14)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해 적어도 제1 온도 신호에 응답하여 공기 공급 조립체를 제어하는 단계;
- 유체 채널 내의 유체와 공기 채널로부터의 공기를 혼합하여 유체/공기-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 유체/공기-혼합물을 프로싱하여 프로싱된 유체를 형성하는 단계;
- 프로싱된 유체를 선택적으로 가열하거나 가열하지 않는 단계; 및
- 프로싱된 유체를 유체 출구를 통해 분배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이점이 개요에서 기술되었으며, 그것을 참조한다. 프로싱된 유체의 선택적인 가열은 고온 거품을 생성하도록 프로싱된 유체의 분배 중에 히터를 스위치 온하거나 저온 거품을 생성하도록 히터를 스위치 오프된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방법은 입구에 인접한 유체의 온도가 변할 때에도, 원하는 유형의 더 일정한 거품 품질을 제공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유체 입구에 인접한 또는 그것 내의 유체의 온도는 비교적 낮은 온도로부터 비교적 높은 온도에 이르는 온도 범위 내에서 변할 수 있다. 또한, 공급될 수 있는 공기의 유량은 비교적 작은 유량으로부터 비교적 높은 유량에 이르는 유량 범위 내에서 변할 수 있다.
방법의 실시예에서,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26)는, 유체의 온도가 온도 범위 내에서 비교적 낮을 때, 공기의 유량이 유량 범위 내에서 비교적 낮도록 제어되고, 유체의 온도가 온도 범위 내에서 비교적 높을 때, 공기의 유량이 유량 범위 내에서 비교적 높도록 제어되도록 공기 공급 조립체를 제어할 수 있다.
그러한 방법에 의해, 입구에서의 유체의 온도가 변할 때에도, 원하는 바와 같은 일정한 품질의, 프로싱된 밀크와 같은, 프로싱된 유체가 얻어질 수 있다. 따라서, 우수한 안정성 및 구조를 갖는 저온 또는 고온 드라이 거품 또는 저온 또는 고온 웨트 거품이 프로싱될 유체의 변하는 온도 조건하에서 얻어질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는 히터(24)의 열 출력을 제어하기 위해 적어도 제1 온도 신호에 응답하여 히터(24)를 제어할 수 있다.
조립체가 제4항의 특징, 즉 프로싱될 유체/공기-혼합물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2 온도 센서(32)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방법은,
- 유체/공기-혼합물의 온도를 제2 온도 센서(32)로 감지하는 단계;
- 제2 온도 센서(32)에 의해 제2 온도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로서, 제2 온도 신호는 유체/공기-혼합물의 감지된 온도와 관련되는, 상기 제2 온도 신호 발생 단계;
- 제2 온도 신호를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26)로 전송하는 단계;
- 프로싱된 유체를 가열하기 위한 원하는 양의 열을 출력하도록 적어도 유체/공기-혼합물의 제2 온도 신호에 응답하여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26)에 의해 히터(24)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 의해, 유체/공기-혼합물의 조성뿐만 아니라, 입구에서의 유체의 온도 및/또는 조립체 내에 형성되는 프로싱된 유체의 온도 둘 모두가 아주 세밀하게 제어될 수 있다. 그 결과, 프로싱된 유체의 매우 일관된 거품 품질과 거품 온도가 조립체를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다. 또한, 광범위한 제어가 비교적 높은 품질의 프로싱된 유체의 생성을 또한 허용한다.
실시예에서, 방법은 또한 유체 채널(14) 내의 유체의 유량과 관련되는 유량 신호에 응답하여 공기 공급 조립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26)가 유체의 고 유량을 나타내는 신호를 수신할 때는, 더 많은 공기가 공급되도록 제어가능 공기 밸브(12c)가 추가로 개방될 것인 반면, 유체의 유량이 더 작을 때에는, 더 적은 공기가 공급될 것이다.
상기의 설명은 제한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된다. 따라서, 아래에 제시되는 청구범위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대해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가 조합으로 적용될 수 있거나, 서로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 사용된 도면 부호는 실시예의 설명을 도면에 도시된 예로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도면은 단지 예를 나타내며, 실시예는 도면의 예에 도시된 특정 방식과는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10 - 유체를 프로싱하기 위한 조립체
12 - 공기 채널
12a - 공기 입구
12b - 공기 채널의 하류 단부
12c - 제어가능 공기 밸브
14a - 공기 입구 방출점
14 - 유체 채널
16 - 유체 입구
18 - 유체 출구
20 - 제1 온도 센서
22 - 프로싱 유닛
24 - 히터
26 -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
28 - 연결 블록
30 - 펌프
32 - 제2 온도 센서
34 - 공기 온도 센서
36 - 하우징
38 - 냉장고 공간
40 - 도어
42 - 구성요소 트레이
44 - 그리퍼 요소
46 - 캡

Claims (23)

  1. 유체를 프로싱(frothing)하기 위한 조립체(10)로서,
    - 공기 공급원과, 공기 입구(12a) 및 하류 단부(12b)를 갖는 공기 채널(12)을 포함하는 공기 공급 조립체로서, 상기 공기 공급원은 상기 공기 입구(12a)에 연결되고, 상기 공기 공급 조립체는 상기 하류 단부(12b)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공기 공급 조립체;
    - 유체 입구(16)로부터 유체 출구(18)까지 연장되는 유체 채널(14)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 채널(14)은 이어서,
    ~ 상기 유체 입구(16)에 인접하게 또는 상기 유체 입구(16) 내에 위치되고, 상기 유체 입구(16)에 인접한 또는 상기 유체 입구(16) 내의 유체의 감지된 온도와 관련되는 제1 온도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제1 온도 센서(20);
    ~ 상기 공기 채널(12)의 상기 하류 단부(12b)가 연결되는 공기 입구 방출점(emanation point)(14a);
    ~ 펌프(30)를 포함하는 프로싱 유닛(22);
    ~ 히터(24)를 포함하며,
    상기 조립체는,
    -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26)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26)는,
    ~ 상기 제1 온도 신호를 수신하고,
    ~ 상기 유체 채널(14)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해 적어도 상기 제1 온도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공기 공급 조립체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원은 가변 출력 유량을 갖는 공기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26)는 상기 유체 채널(14)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해 적어도 상기 제1 온도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공기 펌프 출력 유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조립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공급원은 공기 실린더 또는 공기 펌프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공급 조립체는 제어가능 공기 밸브(12c)를 포함하고, 상기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26)는 상기 유체 채널(14)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제1 온도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가능 공기 밸브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조립체.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입구에 인접한 또는 상기 유체 입구 내의 상기 유체의 온도는 온도 범위 내에 있고, 공급될 수 있는 공기의 유량은 비교적 작은 유량으로부터 비교적 높은 유량에 이르는 유량 범위 내에 있으며, 상기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26)는, 상기 유체의 온도가 상기 온도 범위 내에서 비교적 낮을 때, 공기의 유량이 상기 유량 범위 내에서 비교적 낮도록 제어되고, 상기 유체의 온도가 상기 온도 범위 내에서 비교적 높을 때, 공기의 유량이 상기 유량 범위 내에서 비교적 높도록 제어되도록 상기 공기 공급 조립체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조립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싱 유닛은 상기 펌프(30)의 하류에 그리고 상기 히터(24)로부터 상류에 위치되는 유체 제한부(fluid restriction)(22)를 포함하는, 조립체.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26)는 상기 히터(24)의 열 출력을 제어하기 위해 적어도 상기 제1 온도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히터(24)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조립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 상기 유체 채널(14) 내에서 상기 공기 입구 방출점(14a)과 상기 프로싱 유닛(22) 사이에 위치되고, 유체/공기-혼합물 및/또는 세정 유체의 감지된 온도와 관련되는 제2 온도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온도 센서(32)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26)는,
    - 상기 제2 온도 신호를 수신하고;
    - 상기 히터(24)의 열 출력을 제어하기 위해 적어도 상기 제2 온도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히터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조립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26)는 상기 유체 채널(14) 내의 상기 유체의 유량과 관련되는 유량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공기 공급 조립체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조립체.
  9.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26)는,
    - 상기 유체 입구(16)에 공급되는 유체의 유형에 대한 사용자-생성 지시를 수신하고;
    - 상기 유체 채널(14) 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사용자-생성 지시에 응답하여 상기 공기 공급 조립체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조립체.
  10. 제3항을 인용하는 경우의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제한부(22)는 중심축을 따라 사전결정된 길이에 걸쳐 연장되고, 상기 유체 제한부(22)는 상기 유체 채널(14)의 직경에 비해 감소된 직경을 갖는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제한부(22)의 길이는 1 mm 내지 8 mm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4 mm이며, 상기 유체 제한부(22)의 상기 오리피스의 직경은 0,4 mm 내지 1,5 mm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0,7 mm인, 조립체.
  12. 제3항을 인용하는 경우의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제한부(22)는 상기 펌프(30)의 출구 내에 장착되는, 조립체.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24)는 후막(thick film) 가열 요소를 포함하는, 조립체.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입구(16) 부근에서 상기 유체 채널(14)에 연결되는 그리퍼 요소(gripper element)(44)를 포함하는, 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퍼 요소(44)는 상기 유체 입구(16)가 삽입되는 유체 저장소(fluid reservoir)의 개구 위에 배치가능한 캡(cap)(46), 예를 들어 우산-형상의 캡을 포함하는, 조립체.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 상기 유체 채널(14)의 상류 부분의 경계를 정하는 상류 유체 라인;
    - 상기 공기 채널(12b)의 경계를 정하는 공기 라인;
    - 상기 유체 채널(14) 내에서 상기 제1 온도 센서(20)와 상기 프로싱 유닛(22) 사이에 위치되는 연결 블록(28)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블록(28)은,
    ~ 상기 상류 유체 라인의 하류 단부가 연결되는 유체 입구 개구;
    ~ 상기 공기 라인의 하류 단부가 연결되는 공기 입구 개구;
    ~ 내부 유체 채널 부분;
    ~ 내부 공기 채널 부분으로서, 상기 공기 입구 방출점(14a)은 상기 연결 블록(28) 내부에 있고, 상기 내부 유체 채널 부분과 상기 내부 공기 채널 부분 사이의 연결을 형성하는, 상기 내부 공기 채널 부분;
    ~ 출구 개구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체는,
    - 하류 유체 라인으로서, 상기 하류 유체 라인은 상기 유체 채널(14)의 일부의 경계를 정하고, 상기 하류 유체 라인의 상류 단부는 상기 연결 블록(28)의 상기 출구 개구에 연결되는, 상기 하류 유체 라인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제2 온도 센서(32)는 상기 연결 블록(28) 내에 장착되고, 상기 상류 유체 라인과 상기 연결 블록(28) 사이의 연결, 상기 공기 라인과 상기 연결 블록(28) 사이의 연결뿐만 아니라, 상기 하류 유체 라인과 상기 연결 블록(28) 사이의 연결은 플레어 연결(flare connection)인, 조립체.
  17. 냉장고로서,
    - 냉장고 공간(38)의 경계를 정하는 하우징(36)으로서, 상기 냉장고 공간(38)이 도어 개구를 통해 접근가능한 개방 위치, 및 상기 도어 개구를 차단하기 위한 폐쇄 위치를 갖는 도어(door)(40)를 포함하는, 상기 하우징(36); 및
    -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체를 프로싱하기 위한 상기 조립체로서, 적어도 상기 프로싱 유닛(22), 상기 히터(24), 상기 제1 온도 센서(20) 및 상기 제2 온도 센서(32)를 포함한, 유체를 프로싱하기 위한 상기 조립체(10)의 주요 구성요소들이 상기 냉장고 공간(38) 내에 위치되는, 상기 조립체를 포함하는, 냉장고.
  18. 제17항에 있어서, 유체를 프로싱하기 위한 상기 조립체는 상기 냉장고 공간(38) 내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성요소 트레이(42)를 포함하고, 상기 구성요소 트레이(42)는 상기 도어(40)의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냉장고 공간(38)으로부터 제거가능하고, 상기 구성요소 트레이(42)는 적어도 상기 프로싱 유닛(22), 상기 히터(24) 및 상기 유체 채널(14)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냉장고.
  19. 프로싱된 유체를 생성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조립체 또는 제17항 또는 제18항에 따른 냉장고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유체 채널(14) 내에서의 유체의 유동을 생성하기 위해 상기 펌프(30)를 활성화시키는 단계;
    - 상기 유체 입구에 인접한 또는 상기 유체 입구 내의 유체의 온도를 상기 제1 온도 센서(20)로 감지하는 단계;
    - 상기 제1 온도 센서(20)로부터의 제1 온도 신호를 상기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26)로 전송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온도 신호는 상기 유체 입구(16)에 인접한 또는 상기 유체 입구(16) 내의 상기 유체의 상기 감지된 온도와 관련되는, 상기 제1 온도 신호 전송 단계;
    - 상기 유체 채널(14)에 공급되는 공기의 유량을 제어하기 위해 적어도 상기 제1 온도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공기 공급 조립체를 제어하는 단계;
    - 상기 유체 채널 내의 유체와 상기 공기 채널로부터의 공기를 혼합하여 유체/공기-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 상기 유체/공기-혼합물을 프로싱하여 프로싱된 유체를 형성하는 단계;
    - 상기 프로싱된 유체를 선택적으로 가열하거나 가열하지 않는 단계; 및
    - 상기 프로싱된 유체를 상기 유체 출구를 통해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입구에 인접한 또는 상기 유체 입구 내의 상기 유체의 온도는 온도 범위 내에 있고, 공급될 수 있는 공기의 유량은 비교적 작은 유량으로부터 비교적 높은 유량에 이르는 유량 범위 내에 있으며, 상기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26)는, 상기 유체의 온도가 상기 온도 범위 내에서 비교적 낮을 때, 공기의 유량이 상기 유량 범위 내에서 비교적 낮도록 제어되고, 상기 유체의 온도가 상기 온도 범위 내에서 비교적 높을 때, 공기의 유량이 상기 유량 범위 내에서 비교적 높도록 제어되도록 상기 제어가능 공기 공급 조립체를 제어하는, 방법.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26)는 상기 히터(24)의 열 출력을 제어하기 위해 적어도 상기 제1 온도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히터(24)를 제어하는, 방법.
  22. 제19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상기 유체 채널(14) 내에서 상기 공기 입구 방출점(14a)과 상기 프로싱 유닛(22)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유체/공기-혼합물 및/또는 세정 유체의 감지된 온도와 관련되는 제2 온도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제2 온도 센서(32)를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 상기 유체/공기-혼합물의 온도를 상기 제2 온도 센서(32)로 감지하는 단계;
    - 상기 제2 온도 센서(32)에 의해 제2 온도 신호를 발생시키는 단계로서, 상기 제2 온도 신호는 상기 유체/공기-혼합물의 상기 감지된 온도와 관련되는, 상기 제2 온도 신호 발생 단계;
    - 상기 제2 온도 신호를 상기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26)로 전송하는 단계;
    - 상기 프로싱된 유체를 가열하기 위한 원하는 양의 열을 출력하도록 적어도 상기 유체/공기-혼합물의 상기 제2 온도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26)에 의해 상기 히터(24)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3. 제19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 상기 유체 채널(14) 내의 상기 유체의 유량과 관련되는 유량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제어가능 공기 공급 조립체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87024741A 2016-03-09 2017-03-09 유체를 프로싱하기 위한 조립체 및 방법 KR1023090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016402A NL2016402B1 (en) 2016-03-09 2016-03-09 Assembly and method for frothing fluid.
NL2016402 2016-03-09
PCT/NL2017/050147 WO2017155401A1 (en) 2016-03-09 2017-03-09 Assembly and method for frothing flui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0167A true KR20180120167A (ko) 2018-11-05
KR102309032B1 KR102309032B1 (ko) 2021-10-07

Family

ID=560972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4741A KR102309032B1 (ko) 2016-03-09 2017-03-09 유체를 프로싱하기 위한 조립체 및 방법

Country Status (15)

Country Link
US (1) US10898024B2 (ko)
EP (2) EP3821770A1 (ko)
JP (1) JP6994465B2 (ko)
KR (1) KR102309032B1 (ko)
CN (1) CN108697262B (ko)
AU (1) AU2017231582B2 (ko)
BR (1) BR112018067682B1 (ko)
CA (1) CA3015187C (ko)
DK (1) DK3426110T3 (ko)
ES (1) ES2790741T3 (ko)
IL (1) IL261634B (ko)
NL (1) NL2016402B1 (ko)
PL (1) PL3426110T3 (ko)
RU (1) RU2719159C2 (ko)
WO (1) WO20171554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16400B1 (en) 2016-03-09 2017-09-26 Douwe Egberts Bv Assembly and method for frothing milk.
NL2016402B1 (en) 2016-03-09 2017-09-26 Douwe Egberts Bv Assembly and method for frothing fluid.
NL2016403B1 (en) 2016-03-09 2017-09-26 Douwe Egberts Bv Assembly and method for frothing fluid.
EP3281569B1 (de) 2016-08-09 2018-07-04 CUP&CINO Kaffeesystem-Vertrieb GmbH & Co. KG Modulare schaumeinheit
US11083328B2 (en) 2017-06-22 2021-08-10 Starbucks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foaming a beverage
WO2019077576A1 (en) * 2017-10-19 2019-04-25 Carimali S.P.A. Con Socio Unico AUTOMATIC BEVERAGE DISPENSER
US11058250B2 (en) 2018-09-06 2021-07-13 Starbucks Corporation Apparatus for foaming a beverage
US20220160165A1 (en) * 2020-11-26 2022-05-26 Dolphin Fluidics S.R.L. Pressure profiling device, particularly for dispensing units of pressurized liquids
IT202100032594A1 (it) * 2021-12-23 2023-06-23 De Longhi Appliances Srl Metodo per il trattamento di latte o bevanda vegetale e dispositivo che implementa detto metodo di trattament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11110A1 (en) * 2005-07-29 2009-01-08 Wmf Wurttembergische Metallwarenfabrik Ag Coffee machine
US20180084940A1 (en) * 2015-03-30 2018-03-29 Breville Pty Limited Improved Apparatus and Method for Frothing Milk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19032A (en) * 1998-10-30 2000-02-01 Acorto, Inc. Automated espresso and milk aeration apparatus and method
ATE547033T1 (de) 2007-01-09 2012-03-15 Steiner Ag Weggi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zeugung von milchschaum oder milchgetränken
CH700103B1 (de) * 2008-12-10 2020-07-31 Steiner Ag Weggis Kaffeemaschine.
DE102009041809B4 (de) * 2009-09-18 2013-05-16 Franke Kaffeemaschinen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fschäumen eines flüssigen Lebensmittels, insbesondere von Milch
WO2011105942A1 (en) * 2010-02-26 2011-09-01 Crem International Ab A method and a system for producing foamed milk
US10383474B2 (en) * 2011-05-10 2019-08-20 Breville Pty Limited Coffee machine with overflow feature
DE102011077776B4 (de) * 2011-06-17 2013-11-14 Wmf Württembergische Metallwarenfabrik Ag Vorrichtung zum Erhitzen und Aufschäumen eines Getränkeprodukts
US20130019903A1 (en) * 2011-07-19 2013-01-24 Conair Corporation Cleaning system and method for beverage appliance
JP2013116215A (ja) * 2011-12-02 2013-06-13 Kazuo Shimooka ミルク供給装置並びにこれを組み込んだ飲料ディスペンサ
DE102013224400A1 (de) * 2013-11-28 2015-05-28 Wmf Ag Elektrisch betriebener Getränkebereiter, insbesondere elektrisch betriebene Kaffeemaschine, mit Dampflanze zum Milchaufschäumen
DE102014216534B3 (de) * 2014-08-20 2016-02-18 Franke Kaffeemaschinen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fschäumen eines flüssigen Lebensmittels, insbesondere von Milch
CN204483851U (zh) * 2015-01-20 2015-07-22 肖优秀 一种蒸汽形成及使液体产生泡沫的装置
CN205018844U (zh) * 2015-09-18 2016-02-10 广东顺德高达科菲电器制造有限公司 即热式饮料机
CN204950593U (zh) * 2015-09-24 2016-01-13 法兰克福投资(北京)有限公司 用于咖啡机的全自动高效安全蒸汽发生装置
NL2016402B1 (en) 2016-03-09 2017-09-26 Douwe Egberts Bv Assembly and method for frothing flui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011110A1 (en) * 2005-07-29 2009-01-08 Wmf Wurttembergische Metallwarenfabrik Ag Coffee machine
US20180084940A1 (en) * 2015-03-30 2018-03-29 Breville Pty Limited Improved Apparatus and Method for Frothing Mil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NL2016402A (en) 2017-09-19
EP3426110A1 (en) 2019-01-16
RU2018131353A (ru) 2020-04-09
AU2017231582B2 (en) 2022-03-03
KR102309032B1 (ko) 2021-10-07
PL3426110T3 (pl) 2020-09-07
JP2019507645A (ja) 2019-03-22
ES2790741T3 (es) 2020-10-29
IL261634A (en) 2018-10-31
US20190059638A1 (en) 2019-02-28
NL2016402B1 (en) 2017-09-26
CA3015187A1 (en) 2017-09-14
US10898024B2 (en) 2021-01-26
BR112018067682B1 (pt) 2022-12-13
CA3015187C (en) 2023-10-24
BR112018067682A2 (pt) 2019-01-08
EP3821770A1 (en) 2021-05-19
AU2017231582A1 (en) 2018-09-13
JP6994465B2 (ja) 2022-01-14
IL261634B (en) 2022-04-01
DK3426110T3 (da) 2020-05-18
EP3426110B1 (en) 2020-05-06
RU2018131353A3 (ko) 2020-04-09
CN108697262B (zh) 2020-10-27
WO2017155401A1 (en) 2017-09-14
RU2719159C2 (ru) 2020-04-17
CN108697262A (zh) 2018-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20167A (ko) 유체를 프로싱하기 위한 조립체 및 방법
JP6073105B2 (ja) ミルク注出装置およびミルク加熱方法
KR102340032B1 (ko) 유체를 프로싱하기 위한 조립체 및 방법
US9474408B2 (en) Apparatus for heating and frothing a beverage product
JP7090407B2 (ja) ミルク-空気エマルジョンを形成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2011062528A (ja) 液体食品フォーミング装置および液体食品フォーミング方法
RU2719259C2 (ru) Узел и способ вспенивания молока
MXPA03005287A (es) Aparato de suministro rapido de fluido comestible y metodo que emplea un difusor.
JP2017121474A (ja) ミルクフォームを生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A022608B1 (ru)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выдачи замороженных кондитерских изделий
JP2020049201A (ja) リンスシステムと一体化した液体、特に、ミルクを準備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リンス方法
EP3039999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foamed or non-foamed milk
US20220279979A1 (en) Apparatus for heating and foaming a liquid, in particular a beverage
JP7417402B2 (ja) 特にミルクまたはミルクフォームを加熱する方法、ならびにそ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US7048958B2 (en) Steam heater
CN215348395U (zh) 热饮分配设备
US11957272B2 (en) Apparatus for dispensing a liquid foodstuff
US11358104B2 (en) Beverage supply apparatus
JP2011530061A (ja) 飲料を冷却するための冷却媒体を計量供給する装置および方法
US202400906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temperature-controlled milk foam and/or mil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