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0032B1 - 유체를 프로싱하기 위한 조립체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유체를 프로싱하기 위한 조립체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0032B1
KR102340032B1 KR1020187024740A KR20187024740A KR102340032B1 KR 102340032 B1 KR102340032 B1 KR 102340032B1 KR 1020187024740 A KR1020187024740 A KR 1020187024740A KR 20187024740 A KR20187024740 A KR 20187024740A KR 102340032 B1 KR102340032 B1 KR 1023400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cleaning
assembly
reservoir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47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8643A (ko
Inventor
헨드릭 요한 디스
아브람 크리스티안 크닙
야코부스 페트루스 마리아 데생
Original Assignee
코닌클리케 도우베 에그베르츠 비.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닌클리케 도우베 에그베르츠 비.브이. filed Critical 코닌클리케 도우베 에그베르츠 비.브이.
Publication of KR201801186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86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0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0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85Nozzles dispensing heated and foamed milk, i.e. milk is sucked from a milk container, heated and foamed inside the device, and subsequently dispensed from the nozz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1Valves, e.g. drain valv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9Details of hydraulic circu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5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60Clean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1/00Self-contained movable devices, e.g. domestic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31/00Othe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 F25D31/002Liquid coolers, e.g. beverage cool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제어가능 공기 밸브를 가진 공기 채널을 갖고, 공기 채널이 그것 내로 나오는 공기 입구 방출점, 펌프, 유체 제한부, 히터, 및 유체가 유체 채널의 유체 출구로 보내지는 제1 상태, 및 유체가 유체 채널로부터 제2 유체 출구로 방향전환되는 제2 상태를 갖는 밸브 조립체를 가진 유체 채널을 갖는, 유체를 프로싱하기 위한 조립체.
물 공급 채널이 유체 채널에 연결된다. 조립체는 또한 세정 저장소, 및 밸브 조립체의 제2 유체 출구에 연결되고 세정 저장소 내로 나오는 귀환 채널을 포함한다.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는 적어도 펌프, 히터, 및 밸브 조립체를 제어하도록, 그리고 조립체를 생성 모드 및 세정 모드로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유체를 프로싱하기 위한 조립체 및 방법
본 발명은 밀크를 프로싱(frothing)하기 위한 조립체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밀크와 같은 액체를 프로싱하기 위한 장치가 예를 들어 EP 0.485.350 A1호 또는 EP 2.120.656 B1호로부터 당업계에 잘 알려져 있다. EP 0.485.350 A1호는 밀크와 같은 액체 제품을 균질화, 혼합 및 유화(emulsifying)시키기 위한 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장치는 입구 도관에 의해 연결되는 용기 및 펌프를 포함한다. 장치는 입구 도관 내로 나오는 공기 입구 밸브를 추가로 포함한다. 펌프는 제트 브레이커 스파우트(jet breaker spout) 내로 나오는 출구 도관에 연결된다. 출구 도관은 가열 요소를 구비한다. 사용 시, 용기로부터의 일정량의 액체와 공기 입구로부터의 사전결정된 양의 공기가 제공되어, 펌프에 공급되는 공기/액체-혼합물을 형성한다. 펌프에서, 공기/액체-혼합물은 기계적 휘핑(whipping)에 의해 프로싱된다. 사용자에 의해 요구될 때, 프로싱된 액체는 가열 요소를 사용하여 가열된다. 이러한 알려진 장치를 세정하기 위해, 알려진 장치의 부분적인 분해가 필요하다.
EP 2.120.656 B1호는 밀크 거품 또는 밀크-기반 음료의 생성을 위한 장치를 개시한다. 이러한 장치는 밀크 도관에 의해 연결되는 용기 및 펌프를 포함한다. 장치는 또한 공기 입구와 공기 출구를 갖춘 공기 도관을 포함하며, 공기 출구는 밀크 도관 내로 나온다. 펌프는 제한부(restriction)에 연결되는데, 이 제한부는 펌프에 의해 제한부에 제공되는 밀크/공기-혼합물을 프로싱하기 위한 것이다. 제한부의 하류에서, 밸브 조립체가 밀크 도관 내에 설치된다. 밸브 조립체의 제1 상태에서, 프로싱된 밀크가 밀크 도관에 전달되고 밀크 출구를 통해 밀크 도관으로부터 분배된다. 밸브 조립체의 제2 상태에서, 프로싱된 밀크가 평행한 밀크 도관을 통해 안내되는데, 이러한 도관은 프로싱된 밀크가 출구에 전달되고 그것으로부터 분배되기 전에 프로싱된 밀크를 가열하기 위한 히터를 포함한다. 장치를 세정하기 위해, 밀크 도관은 세정제, 및/또는 물, 및/또는 세정제와 물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플러싱(flushing)된다. 세정제 및/또는 물은 밀크 출구로부터 분배되고 별개의 용기 내에 수집된다.
EP 0.485.350 A1호의 장치의 불리한 점은 세정 과정이 상당한 양의 시간과 노력을 필요로 한다는 것이다. 장치를 세정하기 위해, 장치의 적어도 부분적인 분해가 요구된다. 이는 예를 들어 유체 출구로부터의 가열 요소의 제거 또는 히터의 분해를 포함한다. 그러한 부분적인 분해에는 장치의 정지 시간을 증가시키는 상당한 양의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
EP 2.120.656 B1호의 장치는 (부분적인) 분해를 필요로 하지 않지만, 세정 과정은 여전히 상당한 양의 시간, 비교적 많은 양의 물 및/또는 세정제, 및 숙련된 조작자의 존재를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더 용이하게 세정될 수 있는 유체를 프로싱하기 위한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유체를 프로싱하기 위한 조립체로서,
- 공기 입구 및 하류 단부를 갖는 공기 채널을 포함하는 제어가능 공기 공급원 조립체;
- 유체 입구로부터 유체 출구까지 연장되는 유체 채널로서, 유체 채널은 이어서,
- 공기 채널의 하류 단부가 연결되는 공기 입구 방출점(emanation point);
- 펌프;
- 유체 제한부(fluid restriction);
- 히터;
- 밸브 조립체로서, 유체가 유체 채널의 유체 출구로 보내지는 제1 상태, 및 유체가 유체 채널로부터 밸브 조립체의 제2 유체 출구로 방향전환되는 제2 상태를 갖는, 상기 밸브 조립체를 포함하는, 상기 유체 채널;
- 유체 채널에 연결되고, 제어가능 물 밸브를 포함하는 물 공급 채널;
- 세정 저장소(cleaning reservoir);
- 밸브 조립체의 제2 유체 출구에 연결되는 상류 단부를 갖고, 세정 저장소 내로 나오는 하류 단부를 갖는 귀환 채널(return channel);
- 적어도 펌프, 히터, 및 밸브 조립체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로서, 조립체를 생성 모드(production mode) 및 세정 모드(cleaning mode)로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상기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를 포함하며,
생성 모드에서, 유체 채널의 유체 입구는 프로싱될 유체를 공급받고, 세정 모드의 적어도 일부 동안, 유체 채널의 유체 입구는 세정 유체를 공급받는, 조립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를 프로싱하기 위한 조립체는 조립체를 세정하는 데 필요한 구성요소를 일체로 구비한다는 이점을 갖는다. 세정 작업 동안인 세정 모드에서, 유체 입구는 예를 들어 세정 유체가 세정 저장소로부터 추출될 수 있도록 유체 입구를 세정 저장소에 연결하거나 유체 입구를 세정 저장소 내에 삽입함으로써 세정제를 공급받는다. 후속하여, 세정 유체는 제2 상태에 있는 밸브 조립체에 의해 조립체를 통해 순환될 수 있으며, 여기서 세정 유체는 세정 저장소로 귀환된다. 이는 종래 기술의 장치에 비해 여러 이점을 갖는 조립체를 제공한다.
우선, 세정 과정에 비교적 제한된 양의 물 및/또는 세정 유체만이 필요하다. 종래 기술의 장치에서, 세정 유체는 단지 단일 사용 후에 유체 출구를 통해 조립체로부터 분배되었다. 따라서, 다수의 세정 단계를 갖는 세정 과정은 다량의 세정 유체를 필요로 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는 세정 유체를 최적으로 활용한다.
둘째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의 세정 모드 동안 유체 입구를 포함한 유체 채널 전체가 세정된다.
셋째로, 조립체에의 세정 구성요소의 통합에 의해, 세정 과정이 거의 완전히 자동화된다. 종래 기술의 장치에서, 각각의 세정 단계는 사용자 또는 조작자가 세정 유체를 공급 및 수집해야 함을 요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의 경우, 세정 모드는 유체 입구와 세정 저장소 사이의 유체 연결을 확립함으로써 시작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이는 유체 입구를 세정 저장소 내로 삽입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그러한 연결의 확립 후에, 사용자 또는 조작자 개입을 필요로 하는 어떠한 추가의 동작도 없이 세정 과정이 자동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사용자는 세정 정제(cleaning tablet)를 세정 저장소 내에 삽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의 세정은 종래 기술의 장치에서 세정 과정을 실행하는 것보다 용이하고, 더 적은 세정 유체 및 더 적은 시간을 필요로 한다. 또한, 세정 과정에의 사용자 또는 조작자의 개입이 종래 기술의 장치에 비해 최소화된다.
따라서, 조립체의 정지 시간이 감소될 수 있으며, 이는 조립체의 사용자를 위한 더 높은 가용성으로 이어진다.
제어가능 물 밸브는 연속 가변 제어가능 물 밸브일 필요는 없고, 명백히 또한 개방 및 폐쇄 상태를 갖는 단순 2-상태 물 밸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전자 컨트롤러는 물 밸브를 개방 및 폐쇄 상태에 있게 하도록 물 밸브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실시예에서, 유체 채널의 유체 입구에 공급되는 세정 유체는 세정 저장소로부터 취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유체 입구는 프로싱될 유체를 수용하는 유체 공급원으로부터 분리되거나 제거되고, 세정 저장소에 연결되거나 그것 내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냉장고로서,
- 냉장고 공간의 경계를 정하는 하우징으로서, 냉장고 공간이 도어 개구를 통해 접근가능한 개방 위치, 및 도어 개구를 차단하기 위한 폐쇄 위치를 갖는 도어(door)를 포함하는, 상기 하우징; 및
- 본 발명에 따른 유체를 프로싱하기 위한 조립체로서, 적어도 펌프, 유체 제한부, 히터, 밸브 조립체, 세정 저장소 및 귀환 채널을 포함한, 유체를 프로싱하기 위한 조립체의 주요 구성요소가 냉장고 공간 내에 위치되는, 상기 조립체를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통합된 조립체를 갖는 냉장고는, 조립체의 주요 구성요소가 냉장고 공간 내에 위치되기 때문에 그것이 시원하게 유지된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는 위생학적 요구를 고려해 매우 유리하다. 오염에 취약하고, 냉장고 공간 내에 있지 않고, 이에 따라 냉각되지 않는 유일한 부분은 유체 채널의 하류 단부인데, 왜냐하면 그 하류 단부는 일반적으로 냉장고 공간 외부로 연장될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하류 단부의 오염에 대한 취약성은 나중에 기술될 다른 방식으로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커피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포함하며, 시스템은,
-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 또는 냉장고;
- 사용자에게 커피를 제공하기 위한 커피 머신을 포함하며,
커피 머신과 조립체는 연결되어, 커피 머신 상에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조작가능한 통합 제어 시스템을 갖는 통합 유닛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피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은, 프레시 밀크(fresh milk) 또는 프레시 밀크 제품, 예를 들어 프로싱된 밀크 또는 심지어 프로싱된 초콜릿 또는 아몬드 밀크를 포함하는 커피가 단일 머신으로부터 분배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또한, 사용자는 (커피) 제품을 제공받기 위해 단일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조작하기만 하면 된다. 시스템은 모듈식 설계를 가질 수 있다. 그러한 모듈식 설계는 커피 머신 또는 유체 프로싱 조립체 중 어느 하나가 상이한 유닛으로 교체될 수 있게 한다. 이는 예를 들어 구성요소들 중 하나가 고장난 경우, 또는 상이한 커피 머신이 시스템의 일부로서 요구될 때 유익하다.
또한, 본 발명은 유체를 프로싱하기 위한 조립체를 세정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하며, 방법은,
- 본 발명에 따른 유체를 프로싱하기 위한 조립체 또는 본 발명에 따른 냉장고를 제공하는 단계;
- 유체 입구와 세정 저장소 사이의 유체 연결을 확립하는 단계;
- 세정 사이클을 수행하는 단계로서, 세정 사이클은,
~ 밸브 조립체를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스위칭하는 단계;
~ 저장소에 세정제를 추가하는 단계;
~ 세정제를 유체 입구를 포함하는 유체 채널, 귀환 채널 및 세정 저장소에 의해 형성되는 폐회로를 통해 적어도 1회 재순환시키는 단계;
~ 밸브 조립체를 제2 상태로부터 제1 상태로 스위칭하는 단계;
~ 세정제를 유체 출구를 통해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세정 사이클 수행 단계;
- 플러싱 사이클을 수행하는 단계로서, 플러싱 사이클은,
~ 세정 저장소를 물로 충전하는 단계;
~ 유체 입구 및 유체 출구를 포함하는 유체 채널을 세정 저장소로부터의 물로 플러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플러싱 사이클 수행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 프로싱 조립체를 세정하기 위한 방법은, 그것이 조립체를 세정하는 데 필요한 세정제의 양을 크게 감소시킨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는 세정 과정에 사용되는 세정제가 조립체 내에 형성된 폐회로 내에서 재순환된다는 사실 때문이다. 그 결과, 종래 기술에서 사용되는 세정 방법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세정제가 세정에 필요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세정 방법은 세정 과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조립체를 부분적으로 분해하여야 함이 없이 그리고 조립체에 추가의 부품을 연결하여야 함이 없이 본 방법이 수행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법에 따른 조립체의 세정에 필요한 구성요소는 모두 조립체 내에 일체로 제공된다. 그 결과, 조립체의 세정 동안의 조립체의 정지 시간이 종래 기술에서 알려진 유체를 프로싱하기 위한 조립체를 위한 세정 방법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제한된다.
실시예에서, 유체 입구와 세정 저장소 사이의 연결의 확립은 예를 들어 침지 관(dip tube)으로서 구현되는 유체 입구를 예를 들어 밀크 카톤(milk carton)과 같은 유체 저장소로부터 제거함으로써, 그리고 유체 입구를 세정 저장소 내로 삽입함으로써 수동으로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는 종래 기술의 장치에 비해 이를테면 예를 들어 침지 관으로서 구현되는 유체 입구가 외부 및 내부 둘 모두에서 세정된다는 이점을 갖는다. 종래 기술의 장치에서 침지 관의 외부 세정은 조작자가 종종 잊어버리는데, 왜냐하면 그것이 자동화된 세정 과정의 일부가 아니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방법은 귀환 채널과 적어도 하나의 유체 채널 사이의 자동화된 또는 원격 조작가능 연결을 사용함으로써 정교해질 수 있으며, 이는 세정 프로그램의 자동화된 또는 컴퓨터-유도 실행을 허용한다.
다양한 실시예가 독립항에 청구되며, 이는 도면에 도시된 몇몇 예와 관련하여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들은 조합될 수 있거나, 서로 개별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생성 모드에 있는 유체를 프로싱하기 위한 조립체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세정 모드의 사전-플러싱(pre-flushing) 단계에 있는 도 1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3은 세정 모드의 재순환 세정 단계에 있는 도 1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세정 모드의 사후-플러싱(after-flushing) 단계에 있는 도 1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프로싱을 위한 조립체가 그 안에 장착된 냉장고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그리퍼 손잡이(gripper handle)와 캡(cap)을 갖춘 침지 관의 예를 도시한 도면.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유체를 프로싱하기 위한 조립체의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그러한 조립체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실용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6은 그리퍼 및 캡을 갖춘 유체 입구의 실용적인 예를 도시한다.
가장 일반적인 표현으로, 본 발명은 공기 입구(12a) 및 하류 단부(12b)를 갖춘 공기 채널(12)을 포함하는 제어가능 공기 공급원 조립체를 포함하는, 유체를 프로싱하기 위한 조립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어가능 공기 공급원 조립체는 초-대기압(supra-atmospheric pressure)을 갖는 공기 공급원을 포함할 수 있다. 압력 조절기가 공기 공급원의 일부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어가능 공기 밸브(14)가 공기 채널(12)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가능 공기 밸브(14)는 연속 가변 제어가능 공기 밸브(14)일 필요는 없고, 명백히 또한 개방 및 폐쇄 상태를 갖는 단순 2-상태 공기 밸브(14)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전자 컨트롤러는 공기 밸브(14)를 개방 및 폐쇄 상태에 있게 하도록 공기 밸브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에 유의하여야 한다. 공기 공급원은 공기 실린더로서 또는 공기 펌프로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유체 입구(18)로부터 유체 출구(20)까지 연장되는 유체 채널(16)을 포함한다. 유체 채널(16)은 이어서 공기 채널(12)의 하류 단부(12b)가 그것에 연결되는 공기 입구 방출점(16a), 펌프(22), 고정된 유체 제한부(24), 히터(26) 및 밸브 조립체(28)를 포함한다. 밸브 조립체(28)는 유체가 유체 채널(16)의 유체 출구(20)로 보내지는 제1 상태를 갖는다. 밸브 조립체(28)는 또한 유체가 유체 채널(16)로부터 밸브 조립체의 제2 유체 출구(30)로 방향전환되는 제2 상태를 갖는다. 조립체는 또한 물 공급 채널(32)을 포함한다. 물 공급 채널(32)은 유체 채널(16)에 연결되고, 제어가능 물 밸브(34)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물 공급 채널(32)은 유체 채널(16)에 직접 연결될 수 있다. 그것의 예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서, 물 공급 채널(32)은 공기 채널(12)에 연결되고 그 공기 채널(12)을 통해 유체 채널(16)에 연결될 수 있다. 조립체(10)는 또한 세정 저장소(36)와 귀환 채널(38)을 포함한다. 귀환 채널(38)은 밸브 조립체(28)의 제2 유체 출구(30)에 연결되는 상류 단부를 구비한다. 귀환 채널(38)은 또한 세정 저장소(36) 내로 나오는 하류 단부를 구비한다. 조립체(10)는 또한 적어도 펌프(22), 히터(26), 및 밸브 조립체(28)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40)를 포함한다.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40)는 조립체를 생성 모드와 세정 모드로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생성 모드에서, 유체 채널(16)의 유체 입구(18)는 프로싱될 유체를 공급받는다. 세정 모드의 적어도 일부 중에, 유체 채널(16)의 유체 입구(18)는 세정 유체를 공급받는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의 여러 이점이 개요에서 논의되었으며, 그것을 참조한다. 조립체의 여러 실시예가 구상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유체 채널(16)의 유체 입구(18)에 공급되는 세정 유체는 세정 저장소(36)로부터 취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조립체는 세정 모드의 제1 단계에서 세정 저장소(36)를 냉수, 온수, 또는 세정제와 같은 세정 유체로 충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조립체(10)는 예를 들어 세정 모드를 시작한 후에 세정 저장소(36)에 일정량의 세정제를 공급하도록 구성되는 자동 세정제 공급 모듈을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덜 복잡한 조립체에서, 세정제는 또한 세정 모드를 시작하는 사용자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그때, 조립체(10)는 세정제, 예를 들어 정제 또는 필(pill)을 세정 저장소(36)에 추가하라는 리마인더(reminder)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조립체(10)는 유체 입구(18)에 의해 단일 유체 저장소(36)로부터 유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더 정교한 실시예에서, 조립체는 또한 상이한 유형의 프로싱된 유체를 제공하기 위해 상이한 유체 저장소들과 연결될 수 있는 복수의 유체 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가장 편리하게는, 복수의 유체 입구 각각은 생성 모드 중에 상이한 유체들의 원치 않는 혼합을 방지하기 위해 단일 유체만을 조립체에 선택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역류 방지부 또는 밸브를 구비할 수 있다.
유체 입구(18)는, 생성 중에, 유체 공급원, 예를 들어 밀크 카톤에 연결되거나 그것 내에 삽입되어 프로싱될 유체를 조립체(10)에 공급한다. 이것은 예를 들어 밀크 카톤 또는 밀크 병과 같은 유체 저장소 내에 삽입되는 유체 입구(18)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정 모드에서, 유체 입구는 그때 세정 저장소 내에 존재하는 세정 유체가 유체 채널(16)의 유체 입구(18)에 공급될 수 있도록 세정 저장소에 연결되거나 그것 내로 삽입되어야 한다. 그러나, 유체 입구(18)가 예를 들어 삼방향-밸브와 이 밸브로부터 세정 저장소까지 연장되는 추가의 유체 라인(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하는 것이 또한 구상될 수 있다. 밸브는 생성 모드 중에 유체 저장소로부터 유체 입구에 유체를 공급하도록, 그리고 세정 모드에서 세정 저장소로부터 유체 입구에 세정 유체를 공급하도록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그러한 구성은, 특히 자동 세정제 분배기와 조합될 때, 사용자가 이를테면 예를 들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raphical user interface, GUI)로서 구현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의 세정 모드 온을 선택함으로써 세정 모드를 시작하기만 하면 되는 완전 자동화 조립체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조립체가 예를 들어 야간에 자동적으로 세정되도록 세정 모드의 시작도 자동화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조립체는 유체 채널(16) 내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도율 센서(conductivity sensor)(42)를 포함할 수 있다.
전도율 센서(42)는 유체 채널(16) 내의 유체의 전도율을 측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유체의 전도율은, 예를 들어 세정 모드에서의 사후 플러싱 단계 중에, 유체 채널(16) 내의 물/세정제-혼합물 내의 세정제의 농도의 지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물 내의 세정제의 농도가 높을 때, 물/세정제-혼합물의 전도율은 유체 채널(16)이 세정제 없이 순수한 물을 수용하는 때보다 더 작다. 또한, 유체의 전도율은, 예를 들어 세정 모드의 사전-플러싱 단계 중에, 유체 채널 내의, 예를 들어 밀크와 같은, 유체의 농도의 지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다시, 채널 내의 예컨대 밀크의 더 높은 농도는 유체 채널이 밀크 없이 물을 수용하는 때보다 더 작은 전도율로 이어질 것이다. 따라서, 전도율 센서(42)의 신호는 사전-플러싱 단계가 종료될 수 있다는, 또는 사후-플러싱 단계가 종료될 수 있다는 표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전도율 센서(42)는 또한 유체 채널(16) 내의 물의 존재 또는 부존재, 또는 유체의 존재 또는 부존재를 밝히는 데 사용될 수 있다.
그것의 예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조립체는 유체 채널(16)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가능 유체 밸브(44)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가능 유체 밸브(44)는 유체 채널(16) 내에서 유체 입구(18)와 공기 입구 방출점(16a)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제어가능 유체 밸브(44)는 유리하게는 분배를 위해 조립체에 제공되는 유체의 양을 투입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사전결정된 양의 유체가 제어가능 유체 밸브(44)를 통해 유동한 후에, 밸브는 추가의 유체가 펌프를 향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폐쇄될 수 있다.
또한, 제어가능 유체 밸브(44)가 유체 입구(18)와 공기 입구 방출점(16a) 사이에 배치될 때, 그것은 유체 출구(20)로부터 프로싱된 유체를 분배한 후에 유체 채널(16)로부터 잔류 유체를 제거하기 위한 공기 플러그(air plug)를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제어가능 유체 밸브(44)는 공기가 유체 입구(18)와 유체 입구(18)에 연결될 수 있는 유체 저장소를 향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대신에, 공기 유동은 유체 채널(16)을 통해 유체 출구(20)를 향해 지향되어, 임의의 남아 있는 (프로싱된) 유체가 유체 출구(20) 밖으로 실질적으로 방출된다. 이는 조립체의 더 위생적인 작동을 허용하는데, 왜냐하면 유체 채널(16) 내의 유체의 부존재로 인해 유체 잔류물의 부패가 실질적으로 방지되기 때문이다.
실시예에서,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40)는 제어가능 유체 밸브(44)와 제어가능 물 밸브(34)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는, 세정 모드 중에, 물이 밸브 조립체(28)를 통해 세정 저장소(36)를 향해 안내될 수 있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정 저장소(36)는 예를 들어 자동적으로 또는 사용자에 의해 세정 저장소(36) 내에 투하되는 세정 정제에 의해 세정제가 그것에 추가될 수 있는 물로 충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히터는 후막 관류(thick film flow through)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후막 관류 가열 요소는 전기 저항 로드(rod)와 같은, 종래 기술의 장치에서 사용되는 가열 요소에 비해 여러 이점을 제공한다. 후막 가열 요소는 낮은 열 질량(thermal mass)과 비교적 급격한 온도 프로파일을 갖는다. 그 결과, 히터(26)는 비교적 짧은 기간 내에 가열되고 냉각될 수 있다. 이는 연속되는 분배들 사이의 긴 기간 또는 분배들 사이의 교차-온도 효과(cross-temperature effect)를 초래함이 없이 고온의 프로싱된 유체 및 저온의 프로싱된 유체 둘 모두가 그것을 통해 분배될 수 있는 단일 채널을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관류 후막 가열 요소의 사용은 더 콤팩트하고 간단한 구성을 허용하며, 여기서 고온의 프로싱된 유체 및 저온의 프로싱된 유체 둘 모두가 그것으로부터 교번하여 분배될 수 있는 단일 유체 채널만이 요구된다. 관류 후막 가열 요소의 예는 네덜란드 소재의 페로 테크니엑 비.브이.(Ferro techniek B.V.)에 의해 판매되는 FHT mkII이다.
EP 0.485.320 A1호에 개시된 장치에서, 가열 로드와 분배 채널은 고온의 프로싱된 유체 및 그 직후에 저온의 프로싱된 유체를 연속하여 제공할 수 있기 위해 냉수를 사용하여 냉각되어야 했다. 이러한 알려진 해법은 실현가능하지 않은데, 왜냐하면 고온의 프로싱된 유체와 저온의 프로싱된 유체의 연속되는 분배가 조립체 내의 구성요소를 냉각시키기 위한 중간 대기 시간 없이 가능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EP 2.120.656호에서, 2개의 별개의 채널이 프로싱 유닛과 삼방향 밸브 뒤에 위치되었다. 고온의 프로싱된 유체는 가열 유닛을 구비하는 채널을 통해 분배되는 반면, 저온의 프로싱된 유체는 저온의 프로싱된 유체의 원치 않는 가열을 방지하기 위해 별개의 채널을 통해 분배된다. 이러한 알려진 해법은 복잡하고 더 많은 비용이 든다. 그 외에, 그것은 또한 내구성이 떨어지고 오염에 더 취약한데, 왜냐하면 삼방향 밸브, 및 그것들 중 하나가 때때로 오직 드물게만 사용될 수 있는 2개의 평행 채널의 존재 때문이다.
관류 후막 히터의 사용의 추가적인 이점은 히터(26)가, 가열 및 냉각에 필요한 짧은 기간에 의해, 대기 모드로 유지되기보다는 스위치 오프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여전히 고 가용성을 제공하면서 조립체(10)의 에너지 사용을 감소시킨다.
실시예에서, 히터(26)는 고압 관류 후막 히터, 그리고 더 바람직하게는 초고압 관류 후막 히터이다.
관류 후막 히터는 예를 들어 EP 0.485.530 A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히터를 분해하여야 하는 대신에, 강제로 세정 유체가 히터를 통해 유동하게 함으로써 비교적 용이하게 세정될 수 있다. 따라서, 관류 후막 히터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에서 가장 바람직한데, 왜냐하면 그것이 세정 유체를 위한 폐회로가 조립체의 세정 모드에서 형성되도록 허용하기 때문이다.
실시예에서, 고정된 유체 제한부(24)는 중심축을 따라 사전결정된 길이에 걸쳐 연장될 수 있으며, 여기서 제한부는 오리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된 유체 제한부(24)는 일정한 품질의 프로싱된 유체가 생성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고, 오염에 취약하지 않거나 단지 매우 제한된 범위로만 취약한 간단하고 내구성 있는 구성의 이점을 갖는다.
실시예에서, 제한부(24)의 길이는 1 mm 내지 8 mm의 범위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4 mm일 수 있다. 제한부(24)의 오리피스는 0.4 mm 내지 1.5 mm의 범위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7 mm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한부(24)는 펌프(22)의 통합된 부분일 수 있다.
펌프(22)는 제한부(24)가 그것 내에 끼워맞춤될 수 있는 리세스(recess)를 구비할 수 있다. 이는 더 콤팩트한 조립체를 허용함과 동시에, 고정된 유체 제한부(24)를 사용하여 생성될 수 있는 일정한 프로싱 품질을 유지한다.
실시예에서, 조립체는 프로싱될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유체 저장소(46)를 포함할 수 있다. 생성 모드에서, 유체 입구(18)는 유체 저장소(46) 내에 삽입될 수 있거나 적어도 그것에 연결될 수 있어서, 생성 모드 중에, 프로싱될 유체가 유체 채널(16)에 공급될 수 있다. 세정 모드에서, 유체 저장소(46)와 유체 입구(18)는 분리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침지 관으로서 구현되는 유체 입구(18)를 유체 저장소(46)로부터 제거함으로써, 그리고 유체 입구(18)를 세정 저장소(36) 내에 배치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이는 유체 입구(18)가 내부 및 외부 둘 모두에서 세정되는 이점을 갖는다.
프로싱될 유체는 유체 저장소(46)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저장소(46)는 그것이 비워진 후에 재충전될 수 있는 제거가능한, 재충전가능한 저장소 또는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저장소(46)는 또한 널리 이용가능한 표준 유체 패키징, 예를 들어 유체 카톤, 유체 용기 또는 유사물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유체 저장소(46)가 비워진 후에 그것을 세정할 필요 없이 그것을 용이하게 교체하는 것을 허용한다. 또한, 유체 입구(18)는 그러한 경우에 예를 들어 패키징 내에 삽입되거나 그것에 연결되어, 패키징으로부터 유체 입구(18) 내로의 유체 추출을 허용할 수 있다. 세정 모드 중에, 유체 입구(18)는 유체 입구(18)와 세정 저장소(36) 내에 존재하는 세정 유체 사이의 유체 연결을 확립하기 위해 단지 유체 패키징으로부터 후퇴된 다음에 세정 저장소(36)에 연결되거나 그것 내에 삽입되기만 하면 된다.
그것의 예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조립체는 유체 입구(18) 부근에서 유체 채널(16)에 연결되는 그리퍼 요소(5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예에서, 유체 입구(18)는 금속 또는 강성의 무공성(non-porous) 플라스틱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는 강직성 침지 관이다. 대안적으로, 유체 입구(18)는 가요성 관일 수 있다. 그러나, 강직성 침지 관이 유체 용기(46) 내에 그리고 세정 저장소(36) 내에 배치하기가 더 편리하다.
유체 입구(18)가 사용자 또는 조작자에 의해 유체 저장소(46)로부터 세정 저장소(36)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때, 유체 입구(18)는 사용자 또는 조작자의 손 상에 존재하는 박테리아 또는 오염에 노출된다. 세정 모드의 완료 전에 그리고 더 중요하게는 세정 모드의 완료 후에 유체 입구(18)의 오손(fouling)을 방지하기 위해, 유체 입구(18)는 유체 입구(18) 부근에서 유체 채널(16)에 부착되는 그리퍼(56)를 구비한다. 이는 사용자 또는 조작자가 위생적인 방식으로 유체 입구(18)를 유체 저장소(46)로부터 세정 저장소(36)로 그리고 반대로 이동시킬 수 있게 한다.
그것의 예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그리퍼 요소(56)는 유체 입구(18)가 그 안에 삽입되는 유체 저장소(46)의 개구 위에 배치가능한 캡(58), 예를 들어 우산-형상의 캡을 포함한다.
그리퍼(56)는 유체 저장소(46)가 실질적으로 차단되도록 그리퍼(56)가 유체 저장소(46)의 개구 위에 알맞게 배치되도록 허용하는 캡(58)을 구비할 수 있다. 그와 함께, 캡(58)은 유체 저장소(46) 내의 유체의 오손을 방지하는 시일(seal)을 형성함과 동시에, 유체 입구(18) 또는 유체 채널(16)을 오손시키거나 손상시킴이 없이 유체 저장소(46)로부터 유체 입구(18)를 제거하기 위한 핸드홀드(handhold)를 제공한다.
실시예에서, 조립체는 사용자가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40)에 입력을 제공하도록 허용하기 위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40)는 사용자가 적어도 다음의 옵션들, 즉 세정 모드의 실행 및 생성 모드의 실행 중에서 선택할 수 있게 하도록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생성 모드는, 적어도, 일정량의 저온의 프로싱된 유체의 생성 및 분배, 또는 일정량의 고온의 프로싱된 유체의 생성 및 분배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전자 컨트롤러(40)는 유체 입구(18)가 유체 공급부(46)로부터 제거되고 세정 저장소(36) 내에 배치되거나 그것에 연결된 후에 하기의 동작들이 수행되도록 세정 모드 중에 조립체(10)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 밸브를 개방하고 밸브 조립체를 제1 상태에 있게 함으로써 유체 채널(16)을 미온수 또는 냉수로 적어도 1회 플러싱하는 것에 의해 유체 채널(16)로부터 유체가 제거될 수 있다. 이는 도 2에 도시된 사전-플러싱 단계인 것으로 간주될 수 있다. 미온수는 유체 채널(16) 및 그 안에 포함된 구성요소 내에서의 단백질의 응고의 위험 없이 유체 채널(16)로부터 단백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한다. 또한, 세정제 정제를 세정 저장소(36) 내에 투하함으로써 세정제가 제공될 때, 정제는 냉수 또는 미온수 중에 용해되지 않거나 단지 매우 제한된 범위로만 용해될 것이어서, 사전-플러싱 단계에서 플러싱은 물로 행해지고, 세정제는 사전-플러싱 단계에서 유체 출구(20)를 통해 플러싱 제거되지 않는다. 세정 모드 중에, 세정제가 세정 저장소(36) 내에 제공된다. 이는 사전-플러싱 단계 전에 또는 후에 행해질 수 있다. 세정제는 세정제 정제를 물 중에 용해시킴으로써 제공될 수 있으며, 여기서 세정제는 실질적으로 물이 가열된 후에만 얻어진다. 대안적으로, 세정제는 액체 형태로 추가될 수 있다. 세정 정제 또는 세정액은 사용자에 의해 또는 분배기에 의해 자동적으로 세정 저장소에 추가될 수 있다. 후속하여, 세정제는 유체 채널(16)을 통해, 세정 저장소(36) 내에 위치되거나 그것에 연결되는 유체 입구(18), 펌프(22), 고정된 유체 제한부(24), 히터(26), 제2 상태에 있는 밸브 조립체(28), 귀환 채널(38) 및 세정 저장소(36)를 거쳐 재순환된다. 이는 도 3에 도시된 재순환 세정 단계이다. 그 후에, 세정제는 밸브 조립체(28)를 제1 상태에 있게 함으로써 세정 저장소(36)와 유체 채널(16)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조립체(10)는 도 4에 도시된 이른바 사후-플러싱 단계에서 플러싱될 수 있다. 사후-플러싱 단계에서, 조립체(10), 보다 구체적으로 유체 채널(16)은 다음을 포함하는 적어도 1회의 플러시 사이클(flush cycle)에서 플러싱된다:
Figure 112018085250193-pct00001
물 밸브(34)를 개방하고 밸브 조립체(28)를 제2 상태에 있게 함으로써 수돗물을 유체 채널(16)에 공급하고 세정 저장소(36)를 수돗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전하는 단계;
Figure 112018085250193-pct00002
밸브 조립체(28)를 제1 상태에 있게 함으로써 유체 채널(16)과 세정 저장소(36)로부터 수돗물을 제거하여, 유체 채널(16)과 세정 저장소(36)로부터 임의의 남아 있는 세정제를 플러싱하고 조립체(10)를 냉각시키는 단계.
재순환에 의해, 유체 채널(16)과 그 안에 통합된 모든 구성요소를 효과적으로 세정하는 데 단지 매우 적은 양의 물만이 필요하다.
실시예에서, 컨트롤러(40)는 세정제의 재순환 중에 히터를 활성화시켜 순환되는 세정제를 가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가열된 세정 유체는 시스템의 더 우수한 그리고 더 신속한 세정으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세정 모드는 더 짧은 기간이 걸릴 수 있으며, 이는 생성 모드에서의 시스템의 가용성에 좋다. 재순환 세정 단계 중의 가열은 또한 세정 저장소(36) 내에 투하된 세정 정제의 효과적인 용해로 이어질 수 있다.
전도율 센서(42)를 구비하는 조립체의 실시예에서, 전자 컨트롤러(40)는 플러싱 중에 전도율 센서(42)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를 모니터링할 수 있고, 전도율 신호가 사전결정된 임계치보다 큰 전도율 값을 나타낼 때까지 플러싱 사이클을 반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사전-플러싱 단계 및 사후-플러싱 단계 둘 모두에서 행해질 수 있다. 전도율 센서 신호는 또한 다른 목적에, 예를 들어 유체 채널(16) 내의 액체의 존재 또는 부존재를 모니터링하고 물/세정제 혼합물 내의 세정제의 농도가 우수한 세정 결과를 달성하기에 충분한지 여부를 모니터링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전도율 신호가 혼합물 내의 세정제의 농도가 너무 낮음을 나타내는 경우, 컨트롤러(40)는 이에 응답하여, 예를 들어 물 중의 세정 정제의 용해를 촉진하기 위해 물의 온도를 증가시키도록 히터(26)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이전 단락으로부터 명백할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 세정제는 세정 정제를 저장소(36) 내에 투하함으로써, 그리고 후속하여 물을 유체 채널(16), 귀환 채널(38) 및 세정 저장소(36)를 통해 순환시키고 가열하여서 가열된 물 중에 세정 정제를 용해시킴으로써 세정 저장소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조립체가 유체 저장소(46)를 포함하는 실시예에서, 유체 저장소(46)는 일회용 밀크 캔(milk can), 밀크 카톤 또는 밀크 용기(milk container)일 수 있다. 프로싱될 유체는 밀크일 수 있다. 그러나, 밀크와는 다른 유체, 예를 들어 초콜릿 밀크 또는 아몬드 밀크 및 휘프드 크림(whipped cream)이 또한 실현가능하다.
조립체(10)는 일회용 유체 패키징에 의해 형성되는 유체 저장소(46)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패키징은 프로싱된 밀크를 생성하기 위해 조립체 내에 배치되는, 밀크를 위한 일회용 유체 패키징일 수 있다. 유체는 그러한 경우에 밀크, 아몬드 밀크, 무유당 밀크, 두유, 초콜릿 밀크 또는 임의의 다른 유형의 밀크-제품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가 그 안에 수용되는 냉장고 공간(52)의 경계를 정하는 하우징(48)을 포함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하우징은 냉장고 공간(52)이 도어 개구를 통해 접근가능한 개방 위치와 도어 개구를 차단하기 위한 폐쇄 위치를 갖는 도어(50)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유체를 프로싱하기 위한 조립체, 적어도 그것의 주요 구성요소는 냉장고 공간(52)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냉장고 공간(52) 내에 수용되는, 유체를 프로싱하기 위한 조립체(10)의 주요 구성요소는 적어도 펌프(22), 유체 제한부(24), 히터(26), 밸브 조립체(28), 세정 저장소(36) 및 귀환 채널(38)을 포함한다.
냉장고 공간(52)은 구성요소에 대한 냉각을 최적화하기 위해 비교적 낮은 온도로 냉장될 수 있다. 또한, 냉장된 하우징 공간(52)을 구비하는 것은 유체 저장소(46)가 하우징(48)의 하우징 공간(52) 내에 배치되도록 허용할 수 있어, 저장소(46) 내에 수용된 유체가 부패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밀크 또는 커스터드(custard)-기반 제품과 같은 상하기 쉬운 상품의 경우에 중요할 수 있다.
또한, 냉장 공간에 맞게 조립체(10)의 구성요소를 설계함으로써, 조립체가 기존 냉장고 내에 새로 장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조립체(10)는 구성요소 트레이(54)를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 트레이(54)는 하우징 공간(52) 내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구성요소 트레이(54)는 도어(50)의 개방 위치에서 하우징 공간(52)으로부터 제거가능할 수 있다. 구성요소 트레이(54)는 적어도 펌프(22), 제한부(24), 히터(26) 및 유체 채널(16)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제거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성요소 트레이(54)를 구비하는 것의 이점은 구성요소가 유지보수의 수리를 위해 용이하게 접근가능하다는 것이다. 또한, 구성요소 트레이(54)는 구성요소가 최적 성능을 제공함과 동시에 필요한 설치 공간을 감소시켜서, 콤팩트하고 신뢰성 있는 제품을 허용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또한, 구성요소 트레이는 수리, 유지보수 또는 교체의 경우에 하우징 공간(52)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그 후에 도어(50)는 냉장고 공간(52) 내의 낮은 내부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다시 폐쇄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세정 저장소(36)는 하우징(48) 내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되며, 여기서 세정 저장소(36)의 장착 위치는 세정 저장소(36)가 도어(50)의 개방 위치에서 도어 개구를 통해 접근가능하게 한다.
세정 저장소(36)를 냉장고 공간(52) 내의 용이하게 접근가능한 장소에 배치하는 것은 세정 저장소에 대한 세정제의 추가가 자동화되지 않은 경우에 바람직하다. 그러한 경우에, 사용자 또는 조작자는 세정 저장소(36)에 신속히 접근하여 세정제를 세정 저장소(36)에 추가할 수 있어야 한다.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48) 내의 임의의 우발적으로 흘린 세정제가 조립체의 다른 구성요소를 손상시키지 않거나 유체 저장소(46) 및/또는 유체 채널(16)에 들어갈 수 있도록 선택되어야 한다.
조립체가 유체 저장소(46)를 구비하는 실시예에서, 유체 저장소(46)는 냉장고 공간(52) 내에 제거가능하게 위치될 수 있다. 유체 저장소(46)의 위치는 하우징(48)으로부터 임의의 다른 조립체 구성요소를 제거함이 없이 유체 저장소(46)가 냉장고 공간(52)으로부터 제거가능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제거가능 유체 저장소(46)를 하우징(48)의 도어(50)와 도어 개구 부근에 위치시키는 것이 가장 유리하다. 이는 조립체(10)의 임의의 다른 구성요소를 제거할 필요 없이 저장소(46)가 재충전되거나 교체되도록 허용한다.
본 발명은 또한 커피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을 제공한다. 시스템은 본 발명에 따른 조립체(10) 또는 냉장고와, 사용자에게 커피를 제공하기 위한 커피 머신을 포함한다. 커피 머신과 조립체 또는 냉장고는 연결되어, 커피 머신 상에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조작가능한 통합 제어 시스템을 갖춘 통합 유닛을 형성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로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또한 종래의 버튼을 갖춘 종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통합 제어 시스템을 조작하는 데 실현가능하다.
커피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의 이점이 개요에서 기술되었으며, 여기서는 그것을 참조한다.
본 발명은 또한 유체를 프로싱하기 위한 조립체를 세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방법은 본 발명에 따른 유체를 프로싱하기 위한 조립체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유체 입구와 세정 저장소 사이의 유체 연결을 확립하는 단계, 및 세정 사이클을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세정 사이클은 밸브 조립체를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스위칭하는 단계, 저장소에 세정제를 추가하는 단계, 및 세정제를 유체 입구를 포함하는 유체 채널, 귀환 채널 및 세정 저장소에 의해 형성되는 폐회로를 통해 적어도 1회 재순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세정 사이클은 또한 밸브 조립체를 제2 상태로부터 제1 상태로 스위칭하는 단계, 및 세정제를 유체 출구를 통해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법은 세정 저장소를 물로 충전하는 단계, 및 유체 입구와 유체 출구를 포함하는 유체 채널을 세정 저장소로부터의 물로 플러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플러싱 사이클을 수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이점이 개요에서 기술되었으며, 여기서는 그것을 참조한다.
실시예에서, 세정 사이클은 세정 저장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물로 충전하는 단계, 및 세정 저장소에 세정제를 추가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방법은 세정제와 물을 혼합하여 세정 저장소 내에 세정제/물-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세정제/물-혼합물을 유체 입구를 포함하는 유체 채널, 귀환 채널 및 세정 저장소에 의해 형성되는 폐회로를 통해 적어도 1회 순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세정제는 수용성인 고체 물질, 예를 들어 정제 또는 필일 수 있다. 세정제와 물의 혼합은 고체 물질을 세정 저장소 내에 존재하는 물 중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해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정제를 세정 저장소에 추가할 때 세정제의 흘림을 방지하기 위해, 세정제는 수용성인 고체 물질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고체 물질을 용해시키는 것은, 물이 세정 저장소에 추가될 때, 세정 저장소 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세정 사이클은 고체 세정제를 물 중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해시켜 세정제/물-혼합물을 형성하기 위해 난류가 생성되도록, 세정 저장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물로 충전한 후에 세정 저장소에 사전결정된 양의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유체 채널 내의 세정제의 전도율을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전도율을 사전결정된 임계치와 비교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또한 측정된 전도율이 사전결정된 값보다 큰 경우 세정 저장소에 제2 사전결정된 양의 공기를 공급하여 물 중의 세정제 정제의 용해를 더욱 촉진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고체 세정제는 형성된 세정제/물-혼합물의 순환 전에 물 중에 바로 용해되지 않을 수 있다. 혼합물의 전도율은 혼합물 내의 용해된 세정제의 양이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혼합물의 전도율을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세정제가 실질적으로 완전히 용해된 혼합물을 나타내는 사전결정된 임계치와 비교함으로써, 혼합물이 조립체를 세정하기에 적절한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측정된 전도율이 요망되는 사전결정된 설정치보다 높은 경우, 세정 저장소 내의 혼합물은 일정량의 공기를 공급받는다. 생성되는 난류는 고체 세정제가 혼합물 중에 용해되도록 촉진하여, 이와 함께 상기 혼합물의 전도율을 감소시킨다. 전도율 측정과 공기-투입 단계는 세정제의 실질적으로 전부가 혼합물 중에 용해되도록 허용하기 위해 수회 연속하여 실행될 수 있다. 그와 함께, 이 실시예는 세정제/물-혼합물이 조립체를 완전히 세정하기에 충분한 세정제를 함유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실시예에서, 방법은 세정 사이클을 실행하기 전에 적어도 하나의 유체 채널과 유체 출구를 공기로 플러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유체 채널을 '공기 플러그'로 플러싱하는 것은, 유체 잔류물을 유체 출구를 통해 밖으로 밀어냄으로써 유체 잔류물이 조립체로부터 제거되기 때문에 유리하다. 이는 조립체를 세정하기 위해 수행될 필요가 있는 세정 사이클의 수 및/또는 세정제의 양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실시예에서, 방법은 세정 사이클을 실행하기 전에 적어도 1회의 사전-플러싱 사이클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재순환 세정 사이클을 실행하기 전에 적어도 1회의 사전-플러싱 사이클을 실행하는 것은, 세정 사이클 전에 유체 잔류물의 적어도 일부가 제거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는 밀크와 같은 물질의 경우에 가장 바람직하다. 밀크 또는 유사한 유체는 그것이 온수와 접촉할 때 고체 층을 형성할 수 있다. 조립체 내에서의 고체 층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해, 조립체를 냉수 또는 미온수로 플러싱하여 상기 고체 층의 형성을 방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서, 방법은, 재순환 중에, 세정제 또는 대안적으로 세정제/물-혼합물을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세정제 또는 세정제/물-혼합물을 가열하는 것은 세정 사이클 중에 세정제의 유효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대부분의 박테리아는 제한된 내열성을 갖는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80℃의 온도를 갖는 가열된 세정제 또는 혼합물을 제공하는 것이 조립체를 세정하는 데 효과적인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물 중에 용해될 필요가 있는 고체 물질인 세정제를 사용할 때, 용해 과정은 따뜻한 물 또는 온수를 사용할 때에만 일어날 수 있다.
세정제가 물과 혼합되는 실시예에서, 방법은 세정 저장소 내에서 세정제와 물을 혼합하기 전에 그리고/또는 혼합하는 중에 물을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플러싱 사이클은 밸브 조립체(28)를 제1 상태로부터 제2 상태로 스위칭하는 단계, 및 세정 저장소(36)를 물로 충전한 후에 밸브 조립체(28)를 제2 상태로부터 제1 상태로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플러싱 사이클은 유체 채널(16) 내의 유체의 전도율을 측정하는 단계, 및 측정된 전도율을 임계치와 비교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방법은 측정된 전도율이 임계치보다 낮은 경우 추가의 플러싱 사이클을 실행하는 단계, 및 측정된 전도율이 임계치보다 높을 때까지 이전의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세정 사이클 후에, 조립체에 세정제가 실질적으로 없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플러싱 단계가 제공된다. 그러나, 이러한 플러싱 단계 중에 세정제의 전부가 제거되지는 않을 수 있다. 물은 세정제 또는 그것과 물의 혼합물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높은 전도율을 갖는다. 전도율을 측정하고 측정된 값을 사전결정된 설정치(원하는 값)와 비교함으로써, 세정제의 잔류물이 여전히 조립체 내에 존재하는지 여부가 신속히 결정될 수 있다. 전도율이 설정치보다 낮은 경우, 측정된 값이 설정치보다 높을 때까지 추가의 플러싱 단계가 수행된다. 그러한 상황에서, 실질적으로 모든 세정제가 조립체로부터 제거되고 조립체는 사용할 준비가 된다.
실험 데이터는 조립체로부터 임의의 잔류 세정제를 제거하는 데 보통 2회 내지 4회의 플러싱 단계가 필요함을 보여주었다. 물론, 이는 세정 사이클에 사용되는 세정제의 양과 각각의 플러싱 단계 중에 사용되는 물의 양에 의존한다.
상기의 설명은 제한이 아닌 예시적인 것으로 의도된다. 따라서, 아래에 제시되는 청구범위의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대해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가 조합으로 적용될 수 있거나, 서로 독립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 사용된 도면 부호는 실시예의 설명을 도면에 도시된 예로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도면은 단지 예를 나타내며, 실시예는 도면의 예에 도시된 특정 방식과는 다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10 - 유체를 프로싱하기 위한 조립체
12 - 공기 채널
12a - 공기 입구
12b - 공기 채널의 하류 단부
16a - 공기 입구 방출점
14 - 제어가능 공기 밸브
16 - 유체 채널
18 - 유체 입구
20 - 유체 출구
22 - 펌프
24 - 고정된 유체 제한부
26 - 히터
28 - 밸브 조립체
30 - 제2 유체 출구
32 - 물 공급 채널
34 - 제어가능 물 밸브
36 - 세정 저장소
38 - 귀환 채널
40 -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
42 - 전도율 센서
44 - 제어가능 유체 밸브
46 - 유체 저장소
48 - 조립체 하우징
48a - 제1 조립체 하우징 벽
48b - 제2 조립체 하우징 벽
50 - 조립체 하우징 도어
52 - 하우징 공간
54 - 구성요소 트레이
56 - 그리퍼 요소
58 - 그리퍼 캡

Claims (33)

  1. 유체를 프로싱(frothing)하기 위한 조립체(10)로서,
    - 공기 입구(12a) 및 하류 단부(12b)를 갖는 공기 채널(12)을 포함하는 제어가능 공기 공급원 조립체;
    - 유체 입구(18)로부터 유체 출구(20)까지 연장되는 유체 채널(16)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 채널(16)은 이어서,
    상기 공기 채널의 상기 하류 단부(12b)가 연결되는 공기 입구 방출점(emanation point)(16a);
    펌프(22);
    유체 제한부(fluid restriction)(24);
    히터(26);
    밸브 조립체(28)로서, 상기 유체가 상기 유체 채널(16)의 상기 유체 출구(20)로 보내지는 제1 상태, 및 상기 유체가 상기 유체 채널(16)로부터 상기 밸브 조립체(28)의 제2 유체 출구(30)로 방향전환되는 제2 상태를 갖는, 상기 밸브 조립체(28)를 포함하고,
    상기 유체를 프로싱하기 위한 상기 조립체(10)는,
    - 상기 유체 채널(16)에 연결되고, 제어가능 물 밸브(34)를 포함하는 물 공급 채널(32);
    - 세정 저장소(cleaning reservoir)(36);
    - 상기 밸브 조립체(28)의 상기 제2 유체 출구(30)에 연결되는 상류 단부를 갖고, 상기 세정 저장소(36) 내로 나오는 하류 단부를 갖는 귀환 채널(return channel)(38);
    - 적어도 상기 펌프(22), 상기 히터(26), 및 상기 밸브 조립체(28)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40)로서, 상기 유체를 프로싱하기 위한 조립체를 생성 모드(production mode) 및 세정 모드(cleaning mode)로 작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상기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40)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생성 모드에서, 상기 유체 채널(16)의 상기 유체 입구(18)는 프로싱될 유체를 공급하기 위하여 유체 저장소와 함께 유체 연결 내에 있으며, 상기 세정 모드의 적어도 일부 동안, 상기 유체 채널(16)의 상기 유체 입구(18)는 세정 저장소와 함께 유체 연결 내에 있으며, 상기 유체 입구, 상기 펌프, 상기 유체 제한부, 상기 히터 및 상기 밸브 조립체와 선택적으로 (i) 상기 유체 출구 및 (ii) 상기 귀환 채널을 경유한 상기 세정 저장소를 연속적으로 경유하여, 상기 유체 연결을 통해 흐르기 위해 상기 세정 저장소로부터 가져온 세정 유체를 공급 받는,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채널(16) 내에 위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도율 센서(conductivity sensor)(42)를 포함하는, 조립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상기 유체 채널(16)을 선택적으로 차단하도록 구성되는 제어가능 유체 밸브(44)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가능 유체 밸브(44)는 상기 유체 채널(16) 내에서 상기 유체 입구(18)와 상기 공기 입구 방출점(16a) 사이에 위치되는, 조립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40)는, 상기 세정 모드 동안, 물이 상기 밸브 조립체(28)를 통해 상기 세정 저장소(36)를 향해 안내될 수 있도록, 상기 제어가능 유체 밸브(44) 및 상기 제어가능 물 밸브(34)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조립체.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히터(26)는 관류 후막(flow through thick film) 가열 요소를 포함하는, 조립체.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유동 히터(26)는 고압 관류 후막 히터인, 조립체.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고정된 상기 유체 제한부(24)는 중심축을 따라 사전결정된 길이에 걸쳐 연장되고, 상기 유체 제한부(24)는 오리피스를 포함하는, 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제한부(24)의 상기 길이는 1 mm 내지 8 mm의 범위이고, 상기 유체 제한부(24)의 상기 오리피스는 0.4 mm 내지 1.5 mm의 범위이인, 조립체.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제한부(24)는 상기 펌프(22)의 통합된 부분인, 조립체.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프로싱될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유체 저장소(46)를 포함하며, 상기 생성 모드에서, 상기 유체 입구(18)는, 상기 생성 모드 동안, 프로싱될 유체가 상기 유체 채널(16)에 공급될 수 있도록, 상기 유체 저장소(46) 내에 삽입되거나 상기 유체 저장소(46)에 적어도 연결되고, 상기 세정 모드에서, 상기 유체 저장소(46)와 상기 유체 입구(18)는 분리되는, 조립체.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입구(18) 부근에서 상기 유체 채널(16)에 연결되는 그리퍼 요소(gripper element)(56)를 포함하는,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리퍼 요소(56)는 상기 유체 입구(18)가 삽입되는 유체 저장소(46)의 개구 위에 배치가능한 캡(cap)(58)을 포함하는, 조립체.
  1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체는 사용자들이 상기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40)에 입력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40)는 사용자들이 적어도 다음의 옵션들:
    - 상기 세정 모드의 실행;
    - 상기 생성 모드의 실행 중에서 선택할 수 있게 하도록 프로그래밍되고, 상기 생성 모드는 적어도,
    일정량의 저온의 프로싱된 유체의 생성 및 분배, 또는
    일정량의 고온의 프로싱된 유체의 생성 및 분배를 포함하는, 조립체.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40)는, 상기 유체 입구(18)가 상기 유체 저장소(46)로부터 제거되고 상기 세정 저장소(36) 내에 배치되거나 상기 세정 저장소(36)에 연결된 후에, 다음의 동작들:
    - 상기 물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밸브 조립체를 상기 제1 상태에 있게 함으로써 상기 유체 채널(16)을 미온수 또는 냉수로 적어도 1회 플러싱(flushing)하는 것에 의해 상기 유체 채널로부터 유체를 제거하는 동작;
    - 상기 세정 저장소 내에 세정제를 제공하는 동작;
    - 상기 세정제를 상기 유체 채널을 통해, 상기 세정 저장소 내에 위치되거나 상기 세정 저장소에 연결되는 상기 유체 입구, 상기 펌프, 고정된 상기 유체 제한부, 상기 히터, 상기 제2 상태에 있는 상기 밸브 조립체, 상기 귀환 채널 및 상기 세정 저장소를 거쳐 재순환시키는 동작;
    - 상기 밸브 조립체를 상기 제1 상태에 있게 함으로써 상기 세정 저장소 및 상기 유체 채널로부터 세정제를 제거하는 동작;
    - 상기 조립체를,
    Figure 112021050050557-pct00003
    상기 물 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밸브 조립체를 상기 제2 상태에 있게 함으로써 수돗물을 상기 유체 채널에 공급하고 상기 세정 저장소를 상기 수돗물로 적어도 부분적으로 충전하는 단계;
    Figure 112021050050557-pct00004
    상기 밸브 조립체를 상기 제1 상태에 있게 함으로써 상기 유체 채널 및 상기 세정 저장소로부터 상기 수돗물을 제거하여, 상기 유체 채널 및 상기 세정 저장소로부터 임의의 남아 있는 세정제를 플러싱하고 상기 조립체를 냉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적어도 1회의 플러싱 사이클(flushing cycle)에서 플러싱하는 동작
    이 수행되도록, 상기 세정 모드 동안 상기 조립체(10)를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조립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를 재순환시키는 동안,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히터를 활성화시켜 순환되는 상기 세정제를 가열하도록 구성되는, 조립체.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싱 동안, 상기 전자 컨트롤러 조립체(40)는 상기 전도율 센서에 의해 제공되는 신호를 모니터링하고, 상기 전도율 신호가 사전결정된 임계치보다 큰 전도율 값을 나타낼 때까지 상기 플러싱 사이클들을 반복하도록 구성되는, 조립체.
  17. 제14항에 있어서, 세정제는 세정 정제(cleaning tablet)를 상기 저장소 내에 투하함으로써, 그리고 후속하여 물을 상기 유체 채널, 상기 귀환 채널 및 상기 세정 저장소를 통해 순환시키고 가열하여서 상기 가열된 물 중에 상기 세정 정제를 용해시킴으로써 상기 세정 저장소 내에 제공되는, 조립체.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저장소(46)는 일회용 밀크 캔(milk can), 밀크 카톤(milk carton) 또는 밀크 용기(milk container)이고, 프로싱될 상기 유체는 밀크인, 조립체.
  19. 냉장고로서,
    - 냉장고 공간(52)의 경계를 정하는 하우징(48)으로서, 상기 냉장고 공간(52)이 도어 개구를 통해 접근가능한 개방 위치, 및 상기 도어 개구를 차단하기 위한 폐쇄 위치를 갖는 도어(50)를 포함하는, 상기 하우징(48); 및
    - 제10항에 따른 유체를 프로싱하기 위한 조립체로서, 적어도 상기 펌프(22), 상기 유체 제한부(24), 상기 히터(26), 상기 밸브 조립체(28), 상기 세정 저장소(36) 및 상기 귀환 채널(38)을 포함한, 유체를 프로싱하기 위한 상기 조립체(10)의 주요 구성요소들이 상기 냉장고 공간(52) 내에 위치되는, 상기 조립체를 포함하는, 냉장고.
  20. 제19항에 있어서, 유체를 프로싱하기 위한 상기 조립체는 상기 냉장고 공간(52) 내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되는 구성요소 트레이(54)를 포함하고, 상기 구성요소 트레이(54)는 상기 도어(50)의 상기 개방 위치에서 상기 냉장고 공간(52)으로부터 제거가능하고, 상기 구성요소 트레이(54)는 적어도 상기 펌프(22), 상기 제한부(24), 상기 히터(26) 및 상기 유체 채널(16)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는, 냉장고.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저장소(36)는 상기 냉장고 공간(52) 내에 제거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세정 저장소(36)의 장착 위치는 상기 세정 저장소(36)가 상기 도어(50)의 개방 위치에서 상기 도어 개구를 통해 접근가능하게 하는, 냉장고.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저장소(46)는 상기 냉장고 공간(52) 내에 제거가능하게 위치되고, 상기 유체 저장소(46)의 위치는 상기 하우징(48)으로부터 임의의 다른 조립체 구성요소를 제거함이 없이 상기 유체 저장소(46)가 상기 냉장고 공간(52)으로부터 제거가능하게 하는, 냉장고.
  23. 커피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조립체(10) 또는 제19항에 따른 냉장고;
    - 사용자에게 커피를 제공하기 위한 커피 머신을 포함하며,
    상기 커피 머신과 상기 조립체는 연결되어, 상기 커피 머신 상에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조작가능한 통합 제어 시스템을 갖는 통합 유닛을 형성하는, 시스템.
  24. 유체를 프로싱하기 위한 조립체를 세정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유체를 프로싱하기 위한 조립체 또는 제19항에 따른 냉장고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유체 입구와 상기 세정 저장소 사이의 유체 연결을 확립하는 단계;
    - 세정 사이클을 수행하는 단계로서, 상기 세정 사이클은,
    상기 밸브 조립체를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스위칭하는 단계;
    상기 저장소에 세정제를 추가하는 단계;
    상기 세정제를 상기 유체 입구를 포함하는 상기 유체 채널, 상기 귀환 채널 및 상기 세정 저장소에 의해 형성되는 폐회로를 통해 적어도 1회 재순환시키는 단계;
    상기 밸브 조립체를 상기 제2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상태로 스위칭하는 단계;
    상기 세정제를 상기 유체 출구를 통해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세정 사이클 수행 단계;
    - 플러싱 사이클을 수행하는 단계로서, 상기 플러싱 사이클은,
    상기 세정 저장소를 물로 충전하는 단계;
    상기 유체 입구 및 상기 유체 출구를 포함하는 상기 유체 채널을 상기 세정 저장소로부터의 물로 플러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상기 플러싱 사이클 수행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사이클은,
    - 상기 세정 저장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물로 충전하는 단계;
    - 상기 세정 저장소에 세정제를 추가하는 단계;
    - 상기 세정제와 상기 물을 혼합하여 상기 세정 저장소 내에 세정제/물-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 상기 세정제/물-혼합물을 상기 유체 입구를 포함하는 상기 유체 채널, 상기 귀환 채널 및 상기 세정 저장소에 의해 형성되는 상기 폐회로를 통해 적어도 1회 순환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제는 수용성인 고체 물질이고, 상기 세정제와 상기 물의 혼합은 상기 고체 물질을 상기 세정 저장소 내에 존재하는 상기 물 중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해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사이클은,
    - 상기 고체 세정제를 상기 물 중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용해시켜 상기 세정제/물-혼합물을 형성하기 위해 난류가 생성되도록, 상기 세정 저장소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물로 충전한 후에 상기 세정 저장소에 사전결정된 양의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
    - 적어도 하나의 유체 채널 내의 상기 세정제/물-혼합물의 전도율을 측정하는 단계;
    - 상기 측정된 전도율을 사전결정된 값과 비교하는 단계; 및
    - 상기 측정된 전도율이 상기 사전결정된 값보다 높은 경우 상기 세정 저장소에 제2 사전결정된 양의 공기를 공급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28.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사이클을 실행하기 전에 적어도 하나의 유체 채널 및 상기 유체 출구를 공기로 플러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사이클을 실행하기 전에 적어도 1회의 사전-플러싱 사이클(pre-flushing cycle)을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0.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재순환 동안, 상기 세정제, 또는 대안적으로 세정제/물-혼합물을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1.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세정 저장소 내에서 상기 세정제와 상기 물을 혼합하기 전에 그리고 혼합하는 동안 상기 물을 가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2.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싱 사이클은,
    - 상기 밸브 조립체를 상기 제1 상태로부터 상기 제2 상태로 스위칭하는 단계;
    - 상기 물 밸브를 개방하는 단계; 및
    - 상기 세정 저장소를 물로 충전한 후에 상기 밸브 조립체를 상기 제2 상태로부터 상기 제1 상태로 스위칭하고 상기 물 밸브를 폐쇄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33.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싱 사이클은,
    - 적어도 하나의 유체 채널 내의 상기 유체의 전도율을 측정하는 단계;
    - 상기 측정된 전도율을 임계치와 비교하는 단계; 및
    - 상기 측정된 전도율이 임계치보다 낮은 경우 추가의 플러싱 사이클을 실행하는 단계.
    - 상기 측정된 전도율이 상기 사전결정된 값보다 높을 때까지 이전의 단계들을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187024740A 2016-03-09 2017-03-09 유체를 프로싱하기 위한 조립체 및 방법 KR1023400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NL2016403A NL2016403B1 (en) 2016-03-09 2016-03-09 Assembly and method for frothing fluid.
NL2016403 2016-03-09
PCT/NL2017/050146 WO2017155400A1 (en) 2016-03-09 2017-03-09 Assembly and method for frothing flui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8643A KR20180118643A (ko) 2018-10-31
KR102340032B1 true KR102340032B1 (ko) 2021-12-17

Family

ID=56236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4740A KR102340032B1 (ko) 2016-03-09 2017-03-09 유체를 프로싱하기 위한 조립체 및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11311141B2 (ko)
EP (2) EP3957216A1 (ko)
JP (1) JP7084872B2 (ko)
KR (1) KR102340032B1 (ko)
CN (1) CN108778071B (ko)
AU (1) AU2017231581B2 (ko)
BR (1) BR112018067685B1 (ko)
CA (1) CA3015181A1 (ko)
DK (1) DK3426109T3 (ko)
ES (1) ES2884349T3 (ko)
IL (1) IL261633B (ko)
NL (1) NL2016403B1 (ko)
RU (1) RU2719893C2 (ko)
WO (1) WO201715540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49623B2 (en) 2013-05-17 2018-04-24 Endochoice, Inc. Endoscope control unit with braking system
NL2016403B1 (en) 2016-03-09 2017-09-26 Douwe Egberts Bv Assembly and method for frothing fluid.
NL2016400B1 (en) 2016-03-09 2017-09-26 Douwe Egberts Bv Assembly and method for frothing milk.
ES2688047T3 (es) * 2016-08-09 2018-10-30 Cup&Cino Kaffeesystem-Vertrieb Gmbh & Co. Kg Unidad de espuma modular
RU2771570C2 (ru) * 2017-11-07 2022-05-05 Бревилл Пти Лимитед Электрическое бытов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риготовления напитка и связанный с ним способ, система управления мощностью и считываемый микроконтроллером носитель
JP2019097834A (ja) * 2017-11-30 2019-06-24 サンデン・リテールシステム株式会社 飲料供給装置
JP2019097833A (ja) * 2017-11-30 2019-06-24 サンデン・リテールシステム株式会社 飲料供給装置
JP6814995B2 (ja) * 2018-03-30 2021-01-20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飲料供給装置
DK3610763T3 (da) 2018-08-16 2021-05-25 Cup&Cino Kaffeesystem Vertrieb Gmbh & Co Kg Kaffemaskine til tilberedelse af en varm drik
CN109700320B (zh) * 2019-01-14 2021-11-09 上海纽咖智能科技有限公司 一种可改变压力的咖啡机冲泡系统
EP3930543A4 (en) * 2019-03-01 2022-11-30 Adrian Rivera BEVERAGE BREWERS
EP3868262A1 (en) * 2020-02-20 2021-08-25 Azkoyen, S.A. Milk frothing system and method
EP4312678A1 (en) * 2021-03-23 2024-02-07 SAGA COFFEE S.p.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IT202200002663A1 (it) 2022-02-14 2023-08-14 Saga Coffee S P A Macchina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IT202100006929A1 (it) * 2021-03-23 2022-09-23 Componenti Vending S P A Macchina erogatrice di bevande, particolarmente del tipo con dispositivo antisgocciolamento.
IT202100008768A1 (it) * 2021-04-08 2022-10-08 Lavazza Luigi Spa Sistema di pulizia dei condotti latte per una macchina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IT202100008759A1 (it) * 2021-04-08 2022-10-08 Lavazza Luigi Spa Sistema di pulizia dei condotti latte per una macchina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WO2024056903A1 (en) * 2022-09-16 2024-03-21 Société des Produits Nestlé S.A. Beverage dispensing machin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WO2024120673A1 (en) 2022-12-08 2024-06-13 Xtraction Ag Device for automatic rinse and clean of milk froth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75351A1 (en) * 2005-02-08 2006-08-10 Balakrishna Reddy Hygienic beverage mixing and whipping assembly
US20110049187A1 (en) * 2008-02-06 2011-03-03 Toeca International Company B.V. Device for preparing drinks and method for cleaning such a device
US20110083561A1 (en) * 2008-06-13 2011-04-1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 for whisking milk and method for cleaning such a device
US20160051083A1 (en) * 2014-08-20 2016-02-25 Franke Kaffeemaschinen Ag Device and method for frothing a liquid food, particularly milk

Family Cites Families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95500A (en) 1989-09-11 1997-03-18 Matrix Pharma ANTI-PROLIFERATIVE COMPOSITIONS CONTAINING TGF-b PROTEIN IN A VISCOUS MATRIX AND THEIR USE
EP0485320A1 (en) 1990-11-07 1992-05-13 United Technologi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rticles requiring a surface finish
IT1241900B (it) 1990-11-09 1994-02-01 Francesco Bonanno Dispositivo ad uso domestico od industriale, per omogeneizzare, miscelare, emulsionare, dei prodotti liquidi in genere,in particolare latte, caffe' e panna, allo scopo di conferire a questi prodotti un aspetto cremoso
US6019032A (en) 1998-10-30 2000-02-01 Acorto, Inc. Automated espresso and milk aeration apparatus and method
IT1320447B1 (it) * 2000-06-23 2003-11-26 Rancilio Macchine Caffe Dispositivo automatico per il riscaldamento e la preparazione dischiuma di un liquido, in particolare latte.
US6889603B2 (en) * 2002-12-24 2005-05-10 Nestec S.A. Clean-in-place automated food or beverage dispenser
CH697020A5 (de) 2004-04-13 2008-03-31 Steiner Ag Weggi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Erzeugung von Milchschaum oder von warmen Milchgetränken.
US7661352B2 (en) 2004-08-31 2010-02-16 Nestec S.A. Method and system for in-cup dispensing, mixing and foaming hot and cold beverages from liquid concentrates
EP1855571A2 (en) 2005-02-28 2007-11-21 Coffee Nation Ltd. Apparatus for preparing beverages
GB0504090D0 (en) * 2005-02-28 2005-04-06 Coffee Nation Ltd Apparatus for preparing beverages
EP1747743B1 (de) 2005-07-29 2008-02-27 Wmf Württembergische Metallwarenfabrik Ag Kaffeemaschine
WO2008077264A1 (de) * 2006-12-27 2008-07-03 Jura Elektroapparate Ag Verfahren zur abgabe von milchportionen in getränkebereitungsmaschinen
US8357416B2 (en) * 2007-01-09 2013-01-22 Steiner Weggis Ag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of milk foam or milk-based drinks
NL2000572C2 (nl) 2007-04-03 2008-10-06 Ferro Techniek Holding Bv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middels extractie bereiden van dranken.
GB0722934D0 (en) * 2007-05-16 2008-01-02 Otter Controls Ltd Electrical appliances
CN100475107C (zh) 2007-05-21 2009-04-08 王承辉 一种即热饮水机
DE602007001809D1 (de) * 2007-08-07 2009-09-10 Gruppo Cimbali Spa Reinigungseinrichtung für die Leitungen einer Vorrichtung zum Zubereiten von Milchgetränken
DE102008003733B4 (de) 2008-01-10 2022-12-01 Franke Kaffeemaschinen Ag Reinigungsmodul,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Reinigung für Maschinen zur Herstellung flüssiger Lebensmittel
EP2133009A1 (en) * 2008-06-13 2009-12-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 for whisking milk and method for cleaning such a device
ITFI20080198A1 (it) * 2008-10-15 2010-04-16 Saeco Ipr Ltd "macchina da caffe'"
CH700103B1 (de) 2008-12-10 2020-07-31 Steiner Ag Weggis Kaffeemaschine.
DE202008016400U1 (de) * 2008-12-12 2009-03-05 Eugster/Frismag Ag Mehrwegeventilanordnung in einer Getränkezubereitungseinheit
DE102009041809B4 (de) 2009-09-18 2013-05-16 Franke Kaffeemaschinen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Aufschäumen eines flüssigen Lebensmittels, insbesondere von Milch
DE102010007143B4 (de) 2010-02-05 2013-08-22 Eugster/Frismag Ag Kaffeemaschine mit einer Schäumvorrichtung und Mitteln zum Reinigen der Schäumvorrichtung und einer Milchansaugleitung sowie Verfahren zum Spülen der Milchansaugleitung
WO2011105942A1 (en) 2010-02-26 2011-09-01 Crem International Ab A method and a system for producing foamed milk
DE102010010516A1 (de) * 2010-03-05 2011-09-08 Kaffee Partner Service Gmbh Kaffeemaschine und Verfahren zur Reinigung derselben
DE102010012562A1 (de) * 2010-03-23 2010-09-23 SEVERIN ELEKTROGERÄTE GmbH Elektrische Getränkezubereitungsmaschine
EP2582271B1 (en) * 2010-06-18 2018-11-28 Koninklijke Philips N.V. Device for frothing a liquid
KR101859595B1 (ko) * 2010-12-16 2018-05-18 브리고,엘엘씨 끓인 에스프레소 음료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EP2474254A1 (en) * 2011-01-07 2012-07-11 Nestec S.A. Modular beverage dispensing system
US10383474B2 (en) 2011-05-10 2019-08-20 Breville Pty Limited Coffee machine with overflow feature
DE102011077776B4 (de) 2011-06-17 2013-11-14 Wmf Württembergische Metallwarenfabrik Ag Vorrichtung zum Erhitzen und Aufschäumen eines Getränkeprodukts
US20130019903A1 (en) 2011-07-19 2013-01-24 Conair Corporation Cleaning system and method for beverage appliance
CN202198441U (zh) 2011-08-02 2012-04-25 漳州灿坤实业有限公司 一种胶囊咖啡机
EP2782454A4 (en) * 2011-11-23 2015-07-01 Nutrient Foods Llc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FOOD PRODUCTS OR PERSONAL VISCOSITY PERSONAL CARE PRODUCTS BY RAPID REHYDRATION
JP2013116215A (ja) 2011-12-02 2013-06-13 Kazuo Shimooka ミルク供給装置並びにこれを組み込んだ飲料ディスペンサ
DE202012009076U1 (de) 2012-09-21 2012-11-16 Eugster/Frismag Ag Vorrichtung zur Bereitung von wahlweise kaltem oder warmem Milchschaum oder Abgabe wahlweise kalter oder warmer Milch
DE202012009074U1 (de) 2012-09-21 2012-11-08 Eugster/Frismag Ag Vorrichtung zur Bereitung von wahlweise kaltem oder warmem Milchschaum oder Abgabe wahlweise kalter oder warmer Milch
DE102013224400A1 (de) 2013-11-28 2015-05-28 Wmf Ag Elektrisch betriebener Getränkebereiter, insbesondere elektrisch betriebene Kaffeemaschine, mit Dampflanze zum Milchaufschäumen
CN204483851U (zh) 2015-01-20 2015-07-22 肖优秀 一种蒸汽形成及使液体产生泡沫的装置
EP3277140B1 (en) 2015-03-30 2022-03-23 Breville Pty Limited Improved apparatus and method for frothing milk
CN205018844U (zh) 2015-09-18 2016-02-10 广东顺德高达科菲电器制造有限公司 即热式饮料机
CN204950593U (zh) 2015-09-24 2016-01-13 法兰克福投资(北京)有限公司 用于咖啡机的全自动高效安全蒸汽发生装置
NL2016402B1 (en) 2016-03-09 2017-09-26 Douwe Egberts Bv Assembly and method for frothing fluid.
NL2016403B1 (en) 2016-03-09 2017-09-26 Douwe Egberts Bv Assembly and method for frothing fluid.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75351A1 (en) * 2005-02-08 2006-08-10 Balakrishna Reddy Hygienic beverage mixing and whipping assembly
US20110049187A1 (en) * 2008-02-06 2011-03-03 Toeca International Company B.V. Device for preparing drinks and method for cleaning such a device
US20110083561A1 (en) * 2008-06-13 2011-04-14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 for whisking milk and method for cleaning such a device
US20160051083A1 (en) * 2014-08-20 2016-02-25 Franke Kaffeemaschinen Ag Device and method for frothing a liquid food, particularly mil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507643A (ja) 2019-03-22
CN108778071A (zh) 2018-11-09
ES2884349T3 (es) 2021-12-10
EP3426109A1 (en) 2019-01-16
EP3426109B1 (en) 2021-07-28
RU2018131351A (ru) 2020-04-09
AU2017231581B2 (en) 2023-02-23
JP7084872B2 (ja) 2022-06-15
DK3426109T3 (da) 2021-08-30
WO2017155400A1 (en) 2017-09-14
IL261633B (en) 2022-03-01
NL2016403B1 (en) 2017-09-26
NL2016403A (en) 2017-09-19
RU2018131351A3 (ko) 2020-04-09
CN108778071B (zh) 2021-07-13
RU2719893C2 (ru) 2020-04-23
EP3957216A1 (en) 2022-02-23
AU2017231581A1 (en) 2018-09-06
US11311141B2 (en) 2022-04-26
IL261633A (en) 2018-10-31
KR20180118643A (ko) 2018-10-31
BR112018067685B1 (pt) 2022-08-23
CA3015181A1 (en) 2017-09-14
BR112018067685A2 (pt) 2019-01-08
US20190069713A1 (en) 2019-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0032B1 (ko) 유체를 프로싱하기 위한 조립체 및 방법
JP5889211B2 (ja) 衛生的な洗浄サイクルを有する飲料分注装置
JP5566398B2 (ja) 飲料の成分材料を分与するための統合された方法およびシステム
RU2719259C2 (ru) Узел и способ вспенивания молока
US7879156B2 (en) Apparatus for washing circuits involved in the preparation of milk-based beverages
RU2746737C2 (ru) Система очистки
JP2013518646A (ja) 安全な洗浄機構を備えた飲料分注装置
RU2768259C2 (ru) Устройство выдачи напитков с модулем очистки и способ очистки указан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US10202269B2 (en) Beverage dispenser and method for sanitation thereof
US11700864B2 (en) Methods for preparation of gelatin-based products
RU2700762C2 (ru) Машина по приготовлению напитков
NL2019838B9 (nl) Inrichting voor het bereiden van melkschuim
EP3738483A1 (en) Milk cooling device that can be automatically sanitized
JP2018110695A (ja) 給湯装置
JP2021073045A (ja) 給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