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9417A - 터빈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터빈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9417A
KR20180119417A KR1020170053167A KR20170053167A KR20180119417A KR 20180119417 A KR20180119417 A KR 20180119417A KR 1020170053167 A KR1020170053167 A KR 1020170053167A KR 20170053167 A KR20170053167 A KR 20170053167A KR 20180119417 A KR20180119417 A KR 201801194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bine
flow rate
working fluid
heat exchanger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3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범주
이철희
김학래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70053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9417A/ko
Publication of KR201801194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94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5/00Testing of engines
    • G01M15/14Testing gas-turbine engines or jet-propuls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CGAS-TURBINE PLANTS;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CONTROLLING FUEL SUPPLY IN AIR-BREATHING JET-PROPULSION PLANTS
    • F02C7/00Features, component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orm groups F02C1/00 - F02C6/00; Air intakes for jet-propulsion pla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 Of Turb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터빈 시험장치는 터빈, 터빈의 회전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외기 공기를 압축하는 주압축기, 회전축의 회전속도 및 토크를 측정하는 측정부, 측정부에서 측정한 데이터에 기초해서, 터빈에서 발생된 동력값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빈 시험장치 {TURBINE MEASURING DEVICE}
본 발명은 터빈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터빈의 성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터빈을 발전기에 연결하여, 터빈의 성능을 측정한다.
그런데, 터빈을 발전기에 연결할 경우, 발전기를 개발하기 위한 비용이 들고, 발전기의 성능이 좋지 않을 경우 터빈의 성능을 정확히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터빈에 발전기를 연결하지 않고, 터빈을 구동시키는 작동유체의 온도범위를 확장하여, 온도조건에 따른 터빈의 성능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과제는 터빈에 발전기를 연결하지 않고도 터빈 성능을 측정할 수 있는 터빈 시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터빈 구동을 위한 작동유체의 온도범위를 확장하여, 탈설계 조건에서 터빈의 성능을 측정할 수 있는 터빈 시험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작동유체의 온도범위에 따른 터빈의 최적 운전점을 측정할 수 있는 터빈 시험장치를 제공한다.
일 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터빈 시험장치는 터빈, 터빈의 회전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외기 공기를 압축하는 주압축기, 회전축의 회전속도 및 토크를 측정하는 측정부, 측정부에서 측정한 데이터에 기초해서, 터빈에서 발생된 동력값을 산출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따라, 터빈에 발전기를 연결하지 않고도 터빈 성능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터빈 구동을 위한 작동유체의 온도범위를 확장하여, 탈설계 조건에서 터빈의 성능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작동유체의 온도범위에 따른 터빈의 최적 운전점을 측정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터빈 시험장치의 동작원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보텍스 튜브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터빈 시험장치의 동작원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반적으로, 터빈의 성능을 측정하기 위하여, 터빈을 발전기에 연결하여, 터빈의 성능을 측정하나, 본 실시예에 따른 터빈 시험장치는 발전기를 터빈과 연결하지 않고, 터빈 성능을 측정할 수 있는 터빈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터빈 시험장치의 동작원리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2는 보텍스 튜브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1 및 2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터빈 시험장치는 터빈 작동을 위한 작동유체의 온도조절에 따른 터빈의 운전상태를 변경시켜, 터빈 성능을 시험할 수 있다.
터빈(10)의 성능을 시험하기 위하여, 터빈(10)의 작동을 위한 작동유체는 정격온도보다 높은 고온과 정격온도보다 낮은 저온으로 온도를 조절하여, 온도시험 범위를 넓힘으로써, 각각의 온도범위에 따른 터빈(10)의 동력값을 판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특징을 이하에서 보다 상술한다.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터빈 시험장치는 터빈(10), 주압축기(20), 측정부(30), 제어부(70)를 포함한다.
터빈(10)과 주압축기(20)는 회전축(33)으로 연결될 수 있다. 측정부(30)는 회전축(33)에 구비될 수 있으며, 측정부(30)는 회전축(33)의 회전속도 및 토크를 측정할 수 있다. 측정부(30)는 회전축(33)에 구비되는 것에 한정하지 않고, 회전축(33)의 회전속도를 측정할 수 있는 위치이면 모두 만족한다. 측정부(30)는 다이나모미터일 수 있다.
제어부(70)는 측정부(30)에서 측정한 회전속도, 토크를 통하여 출력값을 산출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측정부(30)에서 측정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터빈(10)에서 발생된 동력값(W,kW,MW)을 산출할 수 있다.
터빈(10)과 주압축기(20)는 회전축(33)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제어부(70)는 회전축(33)의 회전 속도 및 토크 등의 측정한 데이터에 기초하여, 터빈(10)의 동력값을 산출할 수 있다.
주압축기(20)는 터빈(10)의 회전축(33)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외기 공기를 압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주압축기(20)에서 압축된 공기는 후술할 순환라인(101)에 공급될 수 있다.
터빈(10)의 동력값은 터빈(10) 작동을 위한 작동유체의 온도, 유량, 압력에 따라 달라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터빈 측정장치는 위와 같은 기술을 구현하기 위해, 터빈(10)에 공급되는 작동유체의 온도조절에 이용되기 위하여, 보텍스 튜브(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텍스 튜브(40)는 터빈(10)의 작동을 위한 작동유체가 순환 시, 작동유체를 냉각, 가열시키는 열교환을 통하여, 터빈(10)에 공급되는 작동유체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보텍스 튜브(40)는 터빈(10)의 작동을 위한 작동유체의 가열과 냉각에 각각 이용되도록 고온공기와 저온공기를 분리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텍스 튜브(40)는 주압축기(20)로부터 공급받은 압축공기를 고온공기와, 고온공기보다 온도가 낮은 저온공기로 분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텍스 튜브(40)는 고온공기가 토출되는 고온 토출부(41)와, 저온공기가 토출되는 저온 토출부(42)를 구비할 수 있다.
도 2는 도 1과 고온 토출부(41) 및 저온 토출부(42)의 위치가 동일하지 않으나, 작동원리를 위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보텍스 튜브(40)는 주압축기(20)로부터 공급받은 압축공기를 도 2에 도시된 회전실 둘레를 따라 나선상의 1차 공기흐름을 형성한 후, 공기의 온도를 상승시킨 후, 고온 토출부(41)를 통해 고온공기를 토출시킬 수 있다. 일부의 공기는 고온 토출부(41) 측에 배치된 조절밸브(43)에 부딪쳐, 회전실의 반대방향으로 나선상의 2차 공기흐름을 형성한 후, 공기의 온도를 하강시켜, 저온공기를 저온 토출부(42)를 통해 토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텍스 튜브(40)는 주압축기(20)로부터 공급받은 압축공기를 고온공기와, 고온공기보다 온도가 낮은 저온공기로 분리한 후,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빈(10)의 작동을 위한 작동유체와 열교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빈(10)의 작동을 위한 작동유체는 폐루프 형태로 구성되어, 작동유체를 순환시키는 순환라인(101)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빈 시험장치는 제1 열교환기(110), 제2 열교환기(130), 작동유체 압축기 또는 펌프(120), 복열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열교환기(110), 제2 열교환기(130), 작동유체 압축기(120), 복열기(140)는 터빈(10) 작동을 위한 작동유체가 순환하는 순환라인(101) 중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열교환기(110)는 터빈(10)을 작동시킨 후, 터빈(10)에서 배출된 작동유체는 전술한 저온 토출부(42)로부터 공급받은 저온공기와 열교환을 통해, 작동유체를 냉각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열교환기(110)에서 배출된 냉각된 작동유체는 작동유체 압축기(120)로 유동되어 압축될 수 있다.
이후에, 작동유체 압축기(120)에서 배출된 작동유체는 제2 열교환기(130)로 유동될 수 있다.
이때, 제2 열교환기(130)는 전술한 고온 토출부(41)로부터 공급받은 고온공기와, 작동유체 압축기(120)에서 배출된 작동유체를 열교환시켜, 작동유체를 가열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고온 토출부(41)는 후술할 제2 추가 열교환기(131) 또는 복열기(140)와 연결될 수 있으며, 고온 토출부(41)의 고온 공기를 열전달에 활용할 수 있다.
이후에, 제2 열교환기(130)에서 배출된 작동유체는 다시 터빈(10)으로 공급된 후, 제1 열교환기(110)로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복열기(140)는 작동유체가 제2 열교환기(130)에서 터빈(10)으로 공급되는 측과, 작동유체가 터빈(10)에서 제1 열교환기(110)로 공급되는 측에 마련될 수 있다.
복열기(140)는 제2 열교환기(130)에서 배출된 작동유체와, 터빈(10)에서 배출된 작동유체를 열교환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순환라인(101)을 유동하는 작동유체는 제1 열교환기(110)를 거쳐, 작동유체 압축기(120), 제2 열교환기(130), 복열기(140)의 일측, 터빈(10), 복열기(140)의 타측을 거쳐 다시 제1 열교환기(110)로 순회하여 유동할 수 있다.
일예로, 복열기(140)의 일측은 제2 열교환기(130)에서 배출된 작동유체를 가열할 수 있으며, 복열기(140)의 타측은 터빈(10)에서 배출된 작동유체를 냉각할 수 있다.
터빈(10)의 작동을 위한 작동유체는 냉각, 가압, 가열, 팽창 동작을 거쳐, 순환라인(101)을 따라 유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작동유체는 순환라인(101)을 따라 유동하면서, 보텍스 튜브(40)의 고온 토출부(41) 및 저온 토출부(42)로부터 배출된 공기와 작동유체의 열교환을 통하여, 작동유체의 가열과 냉각에 각각 이용될 수 있다.
이는, 보텍스 튜브(40) 및 열교환기를 이용함으로써, 작동유체의 가열과 냉각에 각각 이용되어, 터빈(10) 작동을 위한 작동유체를 저온 15°C ~40°C범위에서, 고온 200°C ~700°C 범위까지 온도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온도 범위를 크게 시험함으로써, 탈설계 조건에서 터빈(10)의 성능을 측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빈 시험장치는 제1 추가 열교환기(11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추가 열교환기(111)는 터빈(10)에서 배출된 작동유체를 냉각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추가 열교환기(111)는 냉각기일 수 있다. 제1 추가 열교환기(111)는 물 또는 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터빈(10)에서 배출된 작동유체를 냉각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추가 열교환기(111)는 복열기(140)의 타측으로 배출된 작동유체의 냉각효과를 더 크게 하게 하기 위하여, 복열기(140) 타측보다 순환라인(101)의 하류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추가 열교환기(111)는 제1 열교환기(110)보다 순환라인(101)의 상류에 구비될 수 있다. 작동유체는 제1 추가 열교환기(111)에 의하여, 냉각된 후, 제1 열교환기(110)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빈 시험장치는 제2 추가 열교환기(1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추가 열교환기(131)는 제2 열교환기(130)에서 배출된 작동유체를 더 가열시키기 위하여 순환라인(101) 중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추가 열교환기(131)는 외부열원과의 열교환을 통해, 제2 열교환기(130)에서 배출된 작동유체를 더 가열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제2 추가 열교환기(131)는 순환라인(101) 중에 구비될 수 있으며, 복열기(140)의 일측에서 터빈(10) 측으로 작동유체가 공급되는 부분에 마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빈 시험장치는 터빈(10)에 공급되는 작동유체의 압력, 온도, 유량에 따라, 측정부(30)의 측정데이터에 기초하여, 터빈(10)에서 발생된 동력값을 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터빈 시험장치는 터빈(10)의 운전상태를 변경시키기 위하여, 밸브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부(50)는 공기 및 작동유체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밸브부(50)는 터빈(10)으로 공급되는 작동유체의 유량인 제1 유량과, 제1 열교환기(110)로 공급되는 저온공기의 유량인 제2 유량 및 제2 열교환기(130)로 공급되는 고온공기의 유량인 제3 유량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70)는 터빈(10)의 운전상태를 변경시키기 위하여, 밸브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밸브부(50)는 제1 유량을 조절하는 제1 밸브(51), 제2 유량을 조절하는 제2 밸브(52), 제3 유량을 조절하는 제3 밸브(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밸브(51)는 순환라인(101)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제1 밸브(51)는 터빈(10)보다 순환라인(101)의 하류에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70)는 제1 밸브(51)를 제어하여, 터빈(10)에 공급되는 작동유체의 양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밸브(52)는 저온 토출부(42)와 외부가 연결되는 지점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밸브(52)의 조절에 따라, 제2 유량이 제1 열교환기(110)로 공급될 지, 외부로 배출될지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70)는 제2 밸브(52)를 제어하여, 제2 유량이 제1 열교환기(110)로 바이패스 되는 양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3 밸브(53)는 고온 토출부(41)와 외부가 연결되는 지점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3 밸브(53)의 조절에 따라, 제3 유량이 제2 열교환기(130)로 공급될 지, 외부로 배출될지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70)는 제3 밸브(53)를 제어하여, 제3 유량이 제2 열교환기(130)로 바이패스 되는 양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70)는 터빈(10)의 운전상태를 변경시키기 위한, 즉, 터빈(10)의 동력을 조절시키기 위하여, 밸브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터빈(10)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높이기 위하여, 밸브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밸브(51)는 제1 유량이 증가되게 또는 제2 밸브(52)는 제 2 유량이 감소되게, 또는 제3 밸브(53)는 제3 유량이 증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터빈(10)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낮추기 위하여, 제1 밸브(51)는 제1 유량이 감소되게 또는 제2 밸브(52)는 제2 유량이 증가되게, 또는 제3 밸브(53)는 제3 유량이 감소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0)가 밸브부(50)를 제어함으로써, 터빈(10)에 공급되는 작동유체의 압력, 온도, 유량은 조절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고온 토출부(41), 저온 토출부(42)에는 센서부(60)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센서부(60)는 유동하는 공기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센서, 공기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 공기의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유량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순환라인(101)에는 센서부(60)가 구비될 수 있다. 센서부(60)는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압력을 측정하기 위한 압력센서, 작동유체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 작동유체의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유량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70)는 센서부(60)의 측정값을 전달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예로, 제어부(70)는 제1 밸브(51)를 완전 개방하여, 제1 유량이 모두 터빈(10)으로 공급되도록, 제2 밸브(52)를 완전 개방하여, 제2 유량이 모두 제1 열교환기(110)로 공급되도록, 제3 밸브(53)를 완전 개방하여, 제3 유량이 모두 제2 열교환기(130)로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이때, 제어부(70)는 센서부(60)의 측정값을 전달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70)는 센서부(60) 및 측정부(30)에 의하여, 터빈(10)의 운전상태를 파악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는 밸브부(50)를 제어하여, 터빈(10)의 운전상태를 변경시켜, 순환라인(101)을 유동하는 작동유체의 압력, 온도, 유량에 따른 터빈(10)의 동력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는, 터빈(10)의 운전상태를 조건을 변경하여 측정함으로써, 터빈(10) 동력의 최적 운전조건을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0)는 터빈(10)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하여, 밸브부(50)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70)는 제어부(70)에서 산출된 동력값이 기준값 미만이면, 제1 유량이 증가되게, 또는 제2 유량이 감소되게, 또는 제3 유량이 증가되도록 밸브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일예로, 기준값은 1kW~100MW일 수 있다.
제어부(70)는 산출된 동력값이 기준값 초과이면, 제1 유량이 감소되게, 또는 제2 유량이 증가되게, 또는 제3 유량이 감소되도록 밸브부(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는, 터빈(10)의 최적 운전상태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밸브부(50)를 제어하여, 터빈(10)의 운전상태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일예로, 센서부(60)는 터빈(10)의 입구 측과, 터빈(10)의 출구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70)는 동력값에 따른 터빈(10) 입출구의 엔탈피 차이에 의하여, 터빈의 효율 계산에 활용될 수 있으며 터빈의 운전상태를 감시 및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빈 시험장치는 보텍스 튜브(40) 및 복수 개의 열교환기에 의하여, 고온 및 저온의 온도조절을 통하여, 온도시험 범위를 넓힘으로써, 각각의 온도범위에 따른 터빈(10)의 동력값을 판단할 수 있다. 이는, 터빈(10)의 동력값에 따라, 터빈(10)의 최적의 운전상태의 조건인 작동유체의 적정온도 범위, 적정 압력범위, 적정 유량범위 등을 판단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실시예 2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터빈 시험장치의 동작원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이하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빈 시험장치는 터빈(10), 주압축기(20), 측정부(30), 제어부(70), 분리부(40)를 포함한다. 주압축기(20)는 터빈(10)의 회전축(33)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공기를 압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측정부(30)는 주압축기(20)에서 배출된 압축공기의 압력과 유량을 측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70)는 측정부(30)에서 측정한 데이터인 압축공기의 압력과 유량에 기초해서, 터빈(10)에서 발생된 동력값을 간접적으로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분리부(40)는 주압축기(20)에서 배출된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고온공기와, 고온공기보다 온도가 낮은 저온공기로 분리하여, 터빈(10)의 작동을 위한 작동유체로 공급할 수 있다. 분리부(40)의 고온공기와, 저온공기는 작동유체의 가열과 냉각에 각각 이용될 수 있다. 분리부(40)는 보텍스 튜브일 수 있다.
측정부(30)에서 측정한 압축공기의 압력과 유량이 높을수록 터빈(10)에서 발생된 동력값이 높을 수 있다.
일예로, 압축공기의 압력과 유량의 곱은 터빈(10)에서 발생된 동력값일 수 있다.
제어부(70)는 작동유체의 압력, 온도, 유량을 측정하여, 압축공기의 압력과 유량을 기초하여, 터빈(10)에서 발생된 동력값을 간접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빈 시험장치는 보텍스 튜브 및 복수 개의 열교환기에 의하여, 고온 및 저온의 온도조절을 통하여, 온도시험 범위를 넓힘으로써, 각각의 온도범위에 따른 터빈(10)의 동력값을 간접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이는, 터빈(10)의 동력값에 따라, 터빈(10)의 최적의 운전상태의 조건인 작동유체의 적정온도 범위, 적정 압력범위, 적정 유량범위 등을 판단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터빈 30: 주압축기
30: 측정부 40: 보텍스 튜브, 분리부
50: 밸브부 70: 제어부

Claims (14)

  1. 터빈;
    상기 터빈의 회전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외기 공기를 압축하는 주압축기;
    상기 회전축의 회전속도 및 토크 중의 적어도 하나를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한 데이터에 기초해서, 상기 터빈에서 발생된 동력값을 산출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터빈 시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압축기로부터 공급받은 압축공기를 고온공기와, 상기 고온공기보다 온도가 낮은 저온공기로 분리하고, 상기 고온공기가 토출되는 고온 토출부와, 상기 저온공기가 토출되는 저온 토출부를 구비하는 보텍스 튜브를 더 포함하며,
    상기 고온공기와 저온공기는, 상기 터빈의 작동을 위한 작동유체의 가열과 냉각에 각각 이용되는, 터빈 시험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체가 순환하는 순환라인 중에 구비되고, 상기 저온 토출부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저온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상기 작동유체를 냉각시키는 제1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는 터빈 시험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열교환기보다 상기 순환라인의 상류에 구비되고, 물 또는 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상기 터빈에서 배출된 작동유체를 냉각시키는 제1 추가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는 터빈 시험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작동유체가 순환하는 순환라인 중에 구비되고, 상기 고온 토출부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고온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상기 작동유체를 가열시키는 제2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는 터빈 시험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순환라인 중에 구비되고, 상기 제2 열교환기에서 배출된 작동유체와, 상기 터빈에서 배출된 작동유체를 열교환시키는 복열기를 더 포함하는 터빈 시험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순환라인 중에 구비되고, 외부열원과의 열교환을 통해, 상기 제2 열교환기에서 배출된 작동유체를 가열시키는 제2 추가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는 터빈 시험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터빈을 작동시킨 후에 상기 터빈에서 배출된 작동유체를, 상기 저온 토출부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저온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냉각시키는 제1 열교환기;
    상기 제1 열교환기에서 배출된 작동유체를 압축하는 작동유체 압축기;
    상기 작동유체 압축기에서 배출된 작동유체를, 상기 고온 토출부로부터 공급받은 상기 고온공기와의 열교환을 통해, 가열시키는 제2 열교환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열교환기에서 배출된 작동유체는 다시 상기 터빈으로 공급되는, 터빈 시험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터빈으로 공급되는 작동유체의 유량인 제1 유량, 상기 제1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저온공기의 유량인 제2 유량, 및 상기 제2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고온공기의 유량인 제3 유량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하는 밸브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빈의 운전상태를 변경시키기 위해서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는, 터빈 시험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빈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제1 유량이 증가되게, 또는 상기 제2 유량이 감소되게, 또는 상기 제3 유량이 증가되게,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고, 또는
    상기 터빈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낮추기 위해, 상기 제1 유량이 감소되게, 또는 상기 제2 유량이 증가되게, 또는 상기 제3 유량이 감소되게,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는, 터빈 시험장치.
  11.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터빈으로 공급되는 작동유체의 유량인 제1 유량, 상기 제1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저온공기의 유량인 제2 유량, 및 상기 제2 열교환기로 공급되는 고온공기의 유량인 제3 유량 중의 적어도 어느 하나를 조절하는 밸브부; 및
    상기 터빈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터빈 시험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부에서 산출된 동력값이 기준값 미만이면, 상기 제1 유량이 증가되게, 또는 상기 제2 유량이 감소되게, 또는 상기 제3 유량이 증가되게,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고, 또는
    상기 제어부에서 산출된 동력값이 기준값 초과이면, 상기 제1 유량이 감소되게, 또는 상기 제2 유량이 증가되게, 또는 상기 제3 유량이 감소되게, 상기 밸브부를 제어하는, 터빈 시험장치.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다이너모미터인 터빈 시험장치.
  14. 터빈;
    상기 터빈의 회전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공기를 압축하는 주압축기;
    상기 주압축기에서 배출된 압축공기의 압력과 유량을 측정하는 측정부;
    상기 측정부에서 측정한 데이터에 기초해서, 상기 터빈에서 발생된 동력값을 간접적으로 산출하는 제어부;
    상기 주압축기에서 배출된 압축공기를 공급받아, 이를 고온공기와, 상기 고온공기보다 온도가 낮은 저온공기로 분리하는 분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온공기와 저온공기는, 상기 터빈의 작동을 위한 작동유체의 가열과 냉각에 각각 이용되는, 터빈 시험장치.
KR1020170053167A 2017-04-25 2017-04-25 터빈 시험장치 KR201801194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167A KR20180119417A (ko) 2017-04-25 2017-04-25 터빈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3167A KR20180119417A (ko) 2017-04-25 2017-04-25 터빈 시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9417A true KR20180119417A (ko) 2018-11-02

Family

ID=64328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3167A KR20180119417A (ko) 2017-04-25 2017-04-25 터빈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941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25175A (zh) * 2019-01-23 2019-05-07 北京星际荣耀空间科技有限公司 一种低温转速测量试验装置
CN112539941A (zh) * 2020-12-02 2021-03-23 西安航天动力研究所 考虑真实气体效应的液体火箭发动机热试验参数设置方法
CN117589496A (zh) * 2024-01-15 2024-02-23 湖南大学 一种斯特林发动机换热器测试装置及其测试方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25175A (zh) * 2019-01-23 2019-05-07 北京星际荣耀空间科技有限公司 一种低温转速测量试验装置
CN112539941A (zh) * 2020-12-02 2021-03-23 西安航天动力研究所 考虑真实气体效应的液体火箭发动机热试验参数设置方法
CN112539941B (zh) * 2020-12-02 2023-01-20 西安航天动力研究所 考虑真实气体效应的液体火箭发动机热试验参数设置方法
CN117589496A (zh) * 2024-01-15 2024-02-23 湖南大学 一种斯特林发动机换热器测试装置及其测试方法
CN117589496B (zh) * 2024-01-15 2024-03-22 湖南大学 一种斯特林发动机换热器测试装置及其测试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121766B (zh) 热泵以及热泵的热介质流量运算方法
US9605893B2 (en) Heat source device
KR101445992B1 (ko) 열매체 유량 추정 장치, 열원기 및 열매체 유량 추정 방법
KR20160033043A (ko) 에너지 회수 장치 및 압축 장치 및 에너지 회수 방법
US6978623B2 (en) Gas turbine, driving method thereof and gas turbine combined electric power generation plant
KR20180119417A (ko) 터빈 시험장치
BR112018007382B1 (pt) Método para controlar um sistema de compressão a vapor com um ponto de ajuste de pressão de receptor variável
WO2015122244A1 (ja) 熱交換器
CN205808715U (zh) 一种通用型冷热冲击试验装置
WO2012090579A1 (ja) 熱源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23160930A (ja) ガスタービン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バインドサイクルプラント
US10234183B2 (en) Compressing device
CN113154553A (zh) 一种内置末端二次泵的水冷空调
US20030061797A1 (en) Gas turbine, control device, gas turbine combined plant, cooling steam pressure adjusting method, and computer product
TWI718985B (zh) 多段熱泵性能測試系統
JP6262012B2 (ja) 熱交換器
TWI595149B (zh) 控制裝置及起動方法
KR102242144B1 (ko) 가스 터빈 흡기 시스템을 갖는 발전소
JP2015152264A5 (ko)
CN115030790B (zh) 布雷顿循环系统及其控制方法
CN109386324B (zh) 发电设备及其控制方法
JP2012193715A (ja) 発電装置
CN113154677A (zh) 高温热媒油炉
JP6262013B2 (ja) 熱交換器
CN117703596A (zh) 废热空气综合利用系统