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7870A - 존치기간 단축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존치기간 단축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7870A
KR20180117870A KR1020170050947A KR20170050947A KR20180117870A KR 20180117870 A KR20180117870 A KR 20180117870A KR 1020170050947 A KR1020170050947 A KR 1020170050947A KR 20170050947 A KR20170050947 A KR 20170050947A KR 20180117870 A KR20180117870 A KR 20180117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plate
fixed
formwork
yo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09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4517B1 (ko
Inventor
김생기
김형열
양원직
김두원
Original Assignee
삼광선재 주식회사
김생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광선재 주식회사, 김생기 filed Critical 삼광선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0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4517B1/ko
Publication of KR20180117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7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4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4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48Supporting structures for shutterings or frames for floors or roof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1/00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 E04G11/36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 E04G11/38Forms, shutterings, or falsework for making walls, floors, ceilings, or roofs for floors, ceilings, or roofs of plane or curved surfaces end formpanels for floor shutterings for plane ceilings of concre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콘크리트 슬래브 공사에 사용되는 가설재의 존치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존치기간 단축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존치기간 단축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은 (1) 제 1 내지 제 3 가설 동바리 그룹을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는 단계(S110)와, (2) 각각의 가설 동바리 그룹에 슬래브 거푸집의 데크 플레이트와 트러스 거더를 지지하기 위한 멍에 각재와 고정 각재를 장착하는 단계(S120)와, (3) 제 1 가설 동바리 그룹과 제 2 가설 동바리 그룹 사이에 좌측 슬래브 거푸집을 판개하고, 제 2 가설 동바리 그룹과 제 3 가설 동바리 그룹 사이에 우측 슬래브 거푸집을 판개하는 단계(S130)와, (4) 좌측 슬래브 거푸집과 우측 슬래브 거푸집 사이에 중간 필러판을 배치하는 단계(S140)와, (5) 좌측 슬래브 거푸집, 중간 필러판 및 우측 슬래브 거푸집의 상부에 철근을 배근하고, 슬래브 성형을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단계(S150)와, (6) 콘크리트 강도가 70% 발현되는 시점에, 동바리로 각각의 필러판을 직접 지지한 상태에서, 좌측 슬래브 거푸집과 우측 슬래브 거푸집을 제거하는 단계(S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존치기간 단축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METHOD FOR CONSTRUCTING SLAB CONCRETE FORM TO REDUCE THE STRIPPING TIME}
본 발명은 콘크리트 슬래브 공사에 사용되는 가설재의 존치기간을 단축할 수 있는 존치기간 단축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가설 동바리 그룹에 슬래브 거푸집의 데크 플레이트와 트러스 거더를 지지하기 위한 멍에 각재와 고정 각재를 장착하고, 좌측 및 우측 슬래브 거푸집을 판개하며, 좌측 슬래브 거푸집과 우측 슬래브 거푸집 사이에 중간 필러판을 배치하고, 슬래브 성형을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며, 콘크리트 강도가 70% 발현되는 시점에, 동바리로 각각의 필러판을 직접 지지한 상태에서, 슬래브 거푸집을 제거하는 존치기간 단축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 제10-1724538호(2017년 4월 3일, 등록)에 "지속 사용이 가능한 탈형데크"가 소개되어 있다.
상기 지속 사용이 가능한 탈형데크는 데크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트러스 거더가 조립 브라켓에 의해 부착되며, 데크 플레이트의 일단에 가변필러의 일단이 맞대어 배치되고, 서로 맞대어진 데크 플레이트와 가변필러가 목재 지지대에 의해 연결되고, 목재 지지대의 하부면에 서포트 강봉의 상부 수평부가 결합되고, 서포트 강봉의 하부 수평부가 유자형 밴드에 의해 트러스 거더의 하현재에 결합된다.
그러나, 상기 지속 사용이 가능한 탈형데크는 콘크리트가 완전 양생될 때까지 장기간 데크 플레이트를 존치하고 있어, 자재 전용율이 떨어지고 신규 자재투입 비용이 증가하고, 철거시 트러스 거더를 먼저 데크에서 분리한 후, 데크를 양생된 슬라브에서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분리된 트러스 거더와 데크를 공장에서 다시 재조립하여 작업현장으로 운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출원인의 대한민국 특허출원공개 제10-2012-0066878호(2012년 6월 25일, 출원공개)에 "슬래브 거푸집용 데크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이 소개되어 있다.
상기 슬래브 거푸집용 데크를 이용한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은 스팬 간격에 맞게 데크의 길이를 조절하고, 데크의 제 1 단부판과 제 2 단부판을 제 1 보거푸집과 제 2 보거푸집에 걸고, 다수개의 데크를 서로 밀착되게 판개하며, 데크를 판개할 때, 양 측단에서 중앙쪽으로 판개하고, 데크가 배치될 수 없는 가운데에 필러판을 배치한다.
그러나, 상기 슬래브 거푸집용 데크를 이용한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은 콘크리트가 완전 양생될 때까지 장기간 데크를 존치하고 있어, 자재 전용율이 떨어지고 신규 자재투입 비용이 증가하며, 철거시 트러스 거더를 먼저 데크에서 분리한 후, 데크를 양생된 슬라브에서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분리된 트러스 거더와 데크를 공장에서 다시 재조립하여 작업현장으로 운반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설 동바리 그룹에 슬래브 거푸집의 데크 플레이트와 트러스 거더를 지지하기 위한 멍에 각재와 고정 각재를 장착하고, 좌측 및 우측 슬래브 거푸집을 판개하며, 좌측 슬래브 거푸집과 우측 슬래브 거푸집 사이에 중간 필러판을 배치하고, 슬래브 성형을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며, 콘크리트 강도가 70% 발현되는 시점에, 동바리로 각각의 필러판을 직접 지지한 상태에서, 좌측 슬래브 거푸집과 우측 슬래브 거푸집을 제거함으로써, 슬래브 거푸집을 간편하게 판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멍에 각재와 고정각재를 분리한 후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고, 분리한 슬래브 거푸집을 바로 다시 재사용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강도가 70% 발현되는 시점에서 슬래브 거푸집을 분리하여 다른 곳에 전용할 수 있도록, 슬래브 거푸집의 존치기간을 단축함으로써, 가설가재의 투입량을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한 공사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강도가 완전 발현되는 시점까지 동바리가 필러판을 지지하고 있고, 구조적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존치기간 단축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존치기간 단축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의 일례는
(1) 제 1 내지 제 3 가설 동바리 그룹을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는 단계와,
(2) 각각의 가설 동바리 그룹에 슬래브 거푸집의 데크 플레이트와 트러스 거더를 지지하기 위한 멍에 각재와 고정 각재를 장착하는 단계와,
(3) 제 1 가설 동바리 그룹과 제 2 가설 동바리 그룹 사이에 좌측 슬래브 거푸집을 판개하고, 제 2 가설 동바리 그룹과 제 3 가설 동바리 그룹 사이에 우측 슬래브 거푸집을 판개하는 단계와,
(4) 좌측 슬래브 거푸집과 우측 슬래브 거푸집 사이에 중간 필러판을 배치하는 단계와,
(5) 좌측 슬래브 거푸집, 중간 필러판 및 우측 슬래브 거푸집의 상부에 철근을 배근하고, 슬래브 성형을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단계와, (6) 콘크리트 강도가 70% 발현되는 시점에, 동바리로 각각의 필러판을 직접 지지한 상태에서, 좌측 슬래브 거푸집과 우측 슬래브 거푸집을 제거하는 단계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존치기간 단축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의 다른 예는
(1) 좌측 보 거푸집과 우측 보 거푸집 사이에 가설 동바리 그룹을 배치하는 단계와,
(2) 슬래브 거푸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좌측 및 우측 보 거푸집에 고정 각재를 각각 장착하고, 가설 동바리 그룹에 멍에 각재 및 고정 각재를 장착하는 단계와,
(3) 좌측 보 거푸집과 가설 동바리 그룹 사이에 좌측 슬래브 거푸집을 판개하고, 가설 동바리 그룹과 우측 보 거푸집 사이에 우측 슬래브 거푸집을 판개하는 단계와,
(4) 보조 멍에각재와 동바리로 좌측 및 우측 슬래브 거푸집을 각각 지지하는 단계와,
(5) 좌측 슬래브 거푸집과 우측 슬래브 거푸집 사이에 중간 필러판을 배치하는 단계와,
(6) 좌측 슬래브 거푸집, 중간 필러판, 우측 슬래브 거푸집에 슬래브 성형을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단계와,
(7) 슬래브 성형을 위한 콘크리트 강도가 70% 발현되는 시점에,
동바리로 중간 필러판을 직접 지지한 상태에서, 좌측 슬래브 거푸집과 우측 슬래브 거푸집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에 따른 존치기간 단축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은 슬래브 거푸집을 간편하게 판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멍에 각재와 고정각재를 분리한 후 간편하게 분리할 수 있고, 분리한 슬래브 거푸집을 바로 다시 재사용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강도가 70% 발현되는 시점에서 슬래브 거푸집을 분리하여 다른 곳에 전용할 수 있도록, 슬래브 거푸집의 존치기간을 단축함으로써, 가설가재의 투입량을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한 공사비용을 절약할 수 있으며, 콘크리트 강도가 완전 발현되는 시점까지 동바리가 필러판을 지지하고 있고, 구조적 안전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존치기간 단축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2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존치기간 단축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작업 공정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존치기간 단축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도 13 내지 도 2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존치기간 단축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작업 공정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존치기간 단축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은 크게 무량판 구조에 적용하는 시공방법과 라멘조 구조에 적용하는 시공방법으로 크게 구분된다(벽식 구조는 라멘조 구조와 같은 시공방법으로 시공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존치기간 단축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은 무량판 구조에 적용하는 시공방법으로 도 1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존치기간 단축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은 (1) 제 1 내지 제 3 가설 동바리 그룹을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는 단계(S110)와,
(2) 각각의 가설 동바리 그룹에 슬래브 거푸집의 데크 플레이트와 트러스 거더를 지지하기 위한 멍에 각재와 고정 각재를 장착하는 단계(S120)와,
(3) 제 1 가설 동바리 그룹과 제 2 가설 동바리 그룹 사이에 좌측 슬래브 거푸집을 판개하고, 제 2 가설 동바리 그룹과 제 3 가설 동바리 그룹 사이에 우측 슬래브 거푸집을 판개하는 단계(S130)와,
(4) 좌측 슬래브 거푸집과 우측 슬래브 거푸집 사이에 중간 필러판을 배치하는 단계(S140)와,
(5) 좌측 슬래브 거푸집, 중간 필러판 및 우측 슬래브 거푸집의 상부에 철근을 배근하고, 슬래브 성형을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단계(S150)와,
(6) 콘크리트 강도가 70% 발현되는 시점에,
동바리로 각각의 필러판을 직접 지지한 상태에서, 좌측 슬래브 거푸집과 우측 슬래브 거푸집을 제거하는 단계(S16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존치기간 단축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에서, 각각의 시공 단계는 다음과 같이 구현된다.
도 2 내지 도 12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어느 한 단위 면적의 슬래브를 기준으로 도시하였다. 도면을 설명할 때, X축 화살표는 주근이 배근되는 스팬(span) 방향이고, Y축 화살표 방향은 배력근이 배근되는 장변 방향이다.
도 2를 참조하면, (1) 제 1 내지 제 3 가설 동바리 그룹을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는 단계(S110)는,
먼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장변 방향으로 배열된 제 1 가설 동바리 그룹(SG1)과 장변 방향으로 배열된 제 2 가설 동바리 그룹(SG2), 장변 방향으로 배열된 제 3 가설 동바리 그룹(SG2)을 스판 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여, 제 1 가설 동바리 그룹(SG1)과 제 3 가설 동바리 그룹(SG3) 사이에 제 2 가설 동바리 그룹(SG2)을 배치한다.
이때, 제 1 내지 제 3 가설 동바리 그룹(SG1, SG2, SG3)에서 장변 방향으로 3개의 동바리가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실제로는 다수개의 동바리가 일정간격으로 배열된다.
도 3을 참조하면, (2) 각각의 가설 동바리 그룹에 슬래브 거푸집의 데크 플레이트와 트러스 거더를 지지하기 위한 멍에 각재와 고정 각재를 장착하는 단계(S120)는,
제 1 가설 동바리 그룹(SG1)의 동바리(111 ; 112)의 상단 헤드부에 제 1 멍에 각재(121)와 제 2 멍에 각재(122)를 각각 장착하여, 제 1 멍에 각재(121)와 제 2 멍에 각재(122)를 장변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하고, 제 1 멍에 각재(121)와 제 2 멍에 각재(122)에 보강 목재(131)의 양 단부를 배치하여, 다수개의 보강 목재(131)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보강 목재(131)에 제 1 고정 각재(141)와 제 2 고정 각재(142)를 장변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한다.
그리고, 제 2 가설 동바리 그룹(SG2)의 동바리(113 ; 114)의 상단 헤드부에 제 3 멍에 각재(123)와 제 4 멍에 각재(124)를 각각 장착하여, 제 3 멍에 각재(123)와 제 4 멍에 각재(124)를 장변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하고, 제 3 멍에 각재(123)와 제 4 멍에 각재(124)에 보강 목재(132)의 양 단부를 배치하여, 다수개의 보강 목재(132)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보강 목재(132)에 제 3 고정 각재(143)와 제 4 고정 각재(144)를 장변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한다.
이때, 제 3 고정 각재(143)와 제 4 고정 각재(144) 사이의 간격(W1)은 후술할 제 2 가변 필러판(172 ; 도 7 참조)의 폭에 의해 결정된다.
그리고, 제 3 가설 동바리 그룹(SG3)의 동바리(115 ; 116)의 상단 헤드부에 제 5 멍에 각재(125)와 제 6 멍에 각재(126)를 각각 장착하여, 제 5 멍에 각재(125)와 제 6 멍에 각재(126)를 장변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하고, 제 5 멍에 각재(125)와 제 6 멍에 각재(126)에 보강 목재(133)의 양 단부가 배치하여, 다수개의 보강 목재(133)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보강 목재(133)에 제 5 고정 각재(145)와 제 6 고정 각재(146)를 장변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3) 제 1 가설 동바리 그룹과 제 2 가설 동바리 그룹 사이에 좌측 슬래브 거푸집을 판개하고, 제 2 가설 동바리 그룹과 제 3 가설 동바리 그룹 사이에 우측 슬래브 거푸집을 판개하는 단계(S130)는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제 1 가설 동바리 그룹(SG1)의 제 2 고정각재(142)와 제 2 가설 동바리 그룹(SG2)의 제 3 고정각재(143) 사이에 좌측 슬래브 거푸집(150)을 배치하여, 다수개의 좌측 슬래브 거푸집(150)을 장변 방향으로 판개하고, 제 2 가설 동바리 그룹(SG2)의 제 4 고정 각재(144)와 제 3 가설 동바리 그룹(SG3)의 제 5 고정 각재(145) 사이에 우측 슬래브 거푸집(160)을 배치하여, 다수개의 우측 슬래브 거푸집(160)을 장변 방향으로 판개한다.
여기서,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어느 한 좌측 슬래브 거푸집(150)과 어느 한 우측 슬래브 거푸집(160)의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확대 상세도이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좌측 슬래브 거푸집(150)은 데크 플레이트(151)의 하부면에 복수개의 트러스 거더(152)가 결합되며, 데크 플레이트(151)의 좌측단이 제 2 고정각재(142)의 1/2지점에 안착된 상태에서 못(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되고, 데크 플레이트(151)의 우측단이 제 3 고정각재(143)의 1/2지점에 안착된 상태에서 못(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되며, 트러스 거더(152)의 하현재가 제 2 멍에 각재(122)와 제 3 멍에 각재(123)에 각각 지지된다.
또한, 상기 우측 슬래브 거푸집(160)은 좌측 슬래브 거푸집(150)의 구성과 동일하다.
즉,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상기 우측 슬래브 거푸집(160)은 데크 플레이트(161)의 하부면에 복수개의 트러스 거더(162)가 결합되며, 데크 플레이트(161)의 좌측단이 제 4 고정각재(144)의 1/2지점에 안착된 상태에서 못(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되고, 데크 플레이트(161)의 우측단이 제 5 고정각재(145)의 1/2지점에 안착된 상태에서 못(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되며, 트러스 거더(162)의 하현재(163)가 제 4 멍에 각재(124)와 제 5 멍에 각재(125)에 각각 지지된다.
상기 좌측 슬래브 거푸집(150) 및 우측 슬래브 거푸집(160)은 시공시 수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장선재인 트러스거더를 콘크리트 두께에 따라 2열 또는 3열로 배치가 가능하여 경량화할 수 있으며, 작업자 한 사람이 취급할 수 있는 무게로 제작된다.
상기 데크 플레이트(151, 161)는 합성수지, 합판, GMT(glass-fiber mat reinforced thermolpastics ; 유리섬유강화 복합소재) 중 어느 하나이고, 크기가 규격화되어 생산된다.
상기 트러스 거더(152 ; 162)는 저하중을 받는 용도일 때 데크 플레이트(151, 161)의 하부면에 2열로 배열되고, 고하중을 받는 용도일 때, 데크 플레이트(151, 161)의 하부면에 3열로 배열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은 슬래브 거푸집이 가벼워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판개 및 철거할 수 있어, 안전 작업이 확보되고,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4) 좌측 슬래브 거푸집과 우측 슬래브 거푸집 사이에 중간 필러판을 배치하는 단계(S140)는
판개한 좌측 슬래브 거푸집(150)과 판개한 우측 슬래브 거푸집(160) 사이에 중간 필러판(171)이 장변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중간 필러판(171)을 제 3 고정각재(143)와 제 4 고정각재(144)에 안착한 상태에서 못(도시하지 않음)으로 고정하고, 좌측 필러판(172)을 제 1 고정각재(141)와 제 2 고정각재(142)에 안착한 상태에서 못(도시하지 않음)으로 고정하고, 우측 필런판(173)을 제 5 고정각재(145)와 제 6 고정각재(146)에 안착한 상태에서 못(도시하지 않음)으로 고정한다.
이때, 좌측 필러판(172)의 우측단이 좌측 슬래브 거푸집(150)의 데크 플레이트(151)에 밀착되도록, 제 2 고정각재(142)의 나머지 1/2지점에 안착되고, 중간 필러판(171)의 양 측단이 좌측 슬래브 거푸집(150)의 데크 플레이트(151)와 우측 슬래브 거푸집(160)의 데크 플레이트(161)에 각각 밀착되도록, 제 3 고정각재(143)의 나머지 1/2지점과 제 4 고정각재(144)의 나머지 1/2지점에 안착되고, 우측 필러판(173)의 좌측단이 우측 슬래브 거푸집(160)의 데크 플레이트(161)에 밀착되도록 제 5 고정각재(145)의 나머지 1/2지점에 안착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5) 좌측 슬래브 거푸집, 중간 필러판 및 우측 슬래브 거푸집의 상부에 철근을 배근하고, 슬래브 성형을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단계(S150)는,
좌측 필러판(172), 좌측 슬래브 거푸집(150)의 데크 플레이트, 중간 필러판(171), 우측 슬래브 거푸집(160)의 데크 플레이트 및 우측 필러판(173)의 상부에 철근(도시하지 않음)을 배근하고, 슬래브(180) 형성을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한다.
도 9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6) 콘크리트 강도가 70% 발현되는 시점에,
동바리로 각각의 필러판을 직접 지지한 상태에서, 좌측 슬래브 거푸집과 우측 슬래브 거푸집을 제거하는 단계(S160)는
콘크리트 강도가 70% 발현되는 시점에,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것처럼, 제 1 및 제 2 멍에 각재(121, 122)를 지지하던 제 1 가설 동바리 그룹(SG1)의 동바리(111, 112)가 좌측 필러판(171)을 직접 지지하도록, 제 1 가설 동바리 그룹(SG1)의 동바리(111, 112)의 지지위치를 변경하고, 제 1 및 제 2 멍에 각재(121, 122))와 보강 각재(131)를 제거하고,
제 3 및 제 4 멍에 각재(123, 124)를 지지하던 제 2 가설 동바리 그룹(SG2)의 동바리(113, 114)가 중간 필러판(171)을 직접 지지하도록, 제 2 가설 동바리 그룹(SG2)의 동바리(113, 114)의 지지위치를 변경하고, 제 3 및 제 4 멍에 각재(123, 124)와 보강 각재(132)를 제거하며,
제 5 및 제 6 멍에 각재(125, 126)를 지지하던 제 3 가설 동바리 그룹(SG3)의 동바리(115, 116)가 우측 필러판(173)을 직접 지지하도록, 제 3 가설 동바리 그룹(SG3)의 동바리(115, 116)의 지지위치를 변경하고, 제 5 및 제 6 멍에 각재(125, 126)와 보강 각재(133)를 제거한다.
이때,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강도가 70% 발현되는 시점은 콘크리트 타설후 10일 정도 소요되고, 콘크리트 강도가 98% 이상 완전 발현되는 시점은 28일 정도로 알려져 있다.
이후,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각각의 동바리(111, 112 ; 113, 114 ; 115, 116)가 좌측 필러판(172), 중간 필러판(171) 및 좌측 필러판(173)을 각각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고정각재(141, 142, 123, 144, 145, 146)를 분리하고, 좌측 슬래브 거푸집(150)과 우측 슬래브 거푸집(160)을 분리한다.
이때, 좌측 슬래브 거푸집(150)과 우측 슬래브 거푸집(160)은 데크 플레이트(151 ; 161)에 트러스 거더(152 ; 162)가 결합된 상태 그대로 슬래브(180)의 하부면에서 분리할 수 있어, 분리한 좌측 및 우측 슬래브 거푸집(150, 160)을 바로 다시 재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콘크리트 강도가 70% 발현되는 시점에서 슬래브 거푸집을 분리하여 다른 곳에 전용할 수 있도록, 슬래브 거푸집의 존치기간을 단축함으로써, 가설가재의 투입량을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한 공사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콘크리트 강도가 완전 발현되는 시점까지 동바리가 필러판을 지지하고 있고, 구조적 안전을 확보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존치기간 단축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은 라멘조 구조에 적용하는 시공방법으로 도 12 내지 도 2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존치기간 단축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은
(1) 좌측 보 거푸집과 우측 보 거푸집 사이에 가설 동바리 그룹을 배치하는 단계(S210)와,
(2) 슬래브 거푸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좌측 및 우측 보 거푸집에 고정 각재를 각각 장착하고, 가설 동바리 그룹에 멍에 각재 및 고정 각재를 장착하는 단계(S220)와,
(3) 좌측 보 거푸집과 가설 동바리 그룹 사이에 좌측 슬래브 거푸집을 판개하고, 가설 동바리 그룹과 우측 보 거푸집 사이에 우측 슬래브 거푸집을 판개하는 단계(S230)와,
(4) 보조 멍에각재와 동바리로 좌측 및 우측 슬래브 거푸집을 각각 지지하는 단계(S240)와,
(5) 좌측 슬래브 거푸집과 우측 슬래브 거푸집 사이에 중간 필러판을 배치하는 단계(S250)와,
(6) 좌측 슬래브 거푸집, 중간 필러판, 우측 슬래브 거푸집에 슬래브 성형을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단계(S260)와,
(7) 슬래브 성형을 위한 콘크리트 강도가 70% 발현되는 시점에,
동바리로 중간 필러판을 직접 지지한 상태에서, 좌측 슬래브 거푸집과 우측 슬래브 거푸집을 제거하는 단계(S270)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존치기간 단축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에서, 각각의 시공 단계는 다음과 같이 구현된다.
도 13 내지 도 22는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어느 한 단위 면적의 슬래브를 기준으로 도시하였다. 도면을 설명할 때, X축 화살표는 주근이 배근되는 스팬(span) 방향이고, Y축 화살표 방향은 배력근이 배근되는 장변 방향이다.
(1) 좌측 보 거푸집과 우측 보 거푸집 사이에 가설 동바리 그룹을 배치하는 단계와(S210)는
도 13에 도시된 것처럼, 다수개의 동바리(215)에 의해 지지된 좌측 보 거푸집(210)과 다수개의 동바리(225)에 의해 지지된 우측 보 거푸집(220) 사이에 가설 동바리 그룹(230)을 배치한다.
도 13의 가설 동바리 그룹(230)에서 장변 방향으로 3개의 동바리가 설치된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이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실제로는 다수개의 동바리가 일정간격으로 배열된다.
(2) 슬래브 거푸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좌측 및 우측 보 거푸집에 고정 각재를 각각 장착하고, 가설 동바리 그룹에 멍에 각재 및 고정 각재를 장착하는 단계(S220)는,
도 14에 도시된 것처럼, 좌측 보 거푸집(210)의 우측면(211)에 상단과 일치되게 제 1 고정 각재(241)를 못(도시하지 않음)으로 고정한다.
가설 동바리 그룹(230)의 동바리(231)의 상단 헤드부에 제 1 멍에 각재(235)와 제 2 멍에 각재(236)를 장착하여, 제 1 멍에 각재(235)와 제 2 멍에 각재(236)를 장변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하고, 제 1 멍에 각재(235)와 제 2 멍에 각재(236)에 보강 목재(237)의 양 단부를 안착하여, 다수개의 보강 목재(237)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보강 목재(237)에 제 2 고정 각재(242)및 제 3 고정 각재(243)를 장변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한다.
우측 보 거푸집(220)의 좌측면(221)에 상단과 일치되게 제 4 고정 각재(244)를 못(도시하지 않음)으로 고정한다.
이때, 제 2 고정 각재(242)와 제 3 고정 각재(243) 사이의 간격(W3)은 후술할 중간 필러판의 폭에 의해 결정된다.
(3) 좌측 보 거푸집과 가설 동바리 그룹 사이에 좌측 슬래브 거푸집을 판개하고, 가설 동바리 그룹과 우측 보 거푸집 사이에 우측 슬래브 거푸집을 판개하는 단계(S230)는,
도 15에 도시된 것처럼, 좌측 보 거푸집(210)의 우측벽(21) 상단에 좌측 슬래브 거푸집(250)의 날개판(253)의 단부를 안착하고, 상기 날개판(253)을 제 1 고정 각재(241)에 못(도시하지 않음)으로 고정하며, 좌측 슬래브 거푸집(250)의 데크 플레이트(251) 단부를 제 2 고정 각재(242)에 안착한 상태에서 못(도시하지 않음)으로 고정함으로써, 좌측 보 거푸집(210)의 우측면(211) 상단과 제 2 고정 각재(242) 사이에 다수개의 좌측 슬래브 거푸집(250)을 장변 방향으로 판개한다.
이때, 상기 데크 플레이트(151)의 우측단은 제 2 고정 각재(242)의 1/2지점에 안착된 상태에서 못(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좌측 슬래브 거푸집(250)의 트러스 거더(252)는 우측단이 제 1 멍에각재(235)에 지지된다.
그리고, 우측 보 거푸집(220)의 좌측면(221) 상단에 우측 슬래브 거푸집(260)의 날개판(263) 단부를 안착하고, 상기 날개판(263)을 제 4 멍에 장선(244)에 못(도시하지 않음)으로 고정하며, 우측 슬래브 거푸집(260)의 데크 플레이트(261) 단부를 제 3 고정 각재(243)에 안착한 상태에서 못(도시하지 않음)으로 고정함으로써, 우측 보 거푸집(220)의 좌측면(221) 상단과 제 3 고정 각재(243) 사이에 다수개의 우측 슬래브 거푸집(260)을 장변 방향으로 판개한다.
이때, 상기 데크 플레이트(161)의 좌측단은 제 3 고정 각재(243)의 1/2지점에 안착된 상태에서 못(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고정된다. 그리고, 우측 슬래브 거푸집(260)의 트러스 거더(262)는 좌측단이 제 2 멍에각재(236)에 지지된다.
도 16을 참조하면, 상기 좌측 슬래브 거푸집(250)은 데크 플레이트(251)의 일단에 날개판(253)이 맞대어지고, 데크 플레이트(251)와 날개판(253)의 하부면에 복수개의 트러스 거더(252)가 결합됨으로써, 데크 플레이트(251)와 날개판(253)이 트러스 거더(252)에 의해 지지된다.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우측 슬래브 거푸집(260)은 데크 플레이트(261)의 일단에 날개판(263)이 맞대어지고, 데크 플레이트(261)와 날개판(263)의 하부면에 복수개의 트러스 거더(262)가 결합됨으로써, 데크 플레이트(261)와 날개판(263)이 트러스 거더(262)에 의해 지지된다.
상기 좌측 슬래브 거푸집(250) 및 우측 슬래브 거푸집(260)은 시공시 수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장선재인 트러스거더를 콘크리트 두께에 따라 2열 또는 3열로 배치가 가능하여 경량화할 수 있으며, 작업자 한 사람이 취급할 수 있는 최대 무게로 제작된다.
상기 데크 플레이트(251 ; 261)는 합성수지, 합판, GMT(glass-fiber mat reinforced thermolpastics ; 유리섬유강화 복합소재) 중 어느 하나이고, 크기가 규격화되어 생산된다.
상기 트러스 거더(252, 262)는 저하중을 받는 용도일 때 데크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2열로 배열되고, 고하중을 받는 용도일 때 데크 플레이트의 하부면에 3열로 배열된다.
이것에 의해, 본 발명은 좌측 및 우측 슬래브 거푸집이 가벼워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판개 및 철거할 수 있어, 안전 작업이 확보되고, 작업능률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4) 보조 멍에각재와 동바리로 좌측 및 우측 슬래브 거푸집을 각각 지지하는 단계(S240)는,
도 18에 도시된 것처럼, 좌측 슬래브 거푸집(250)의 트러스 거더(252)의 좌측단이 제 1 보조 멍에각재(271)에 의해 지지되도록, 다수개의 동바리(272)에 의해 지지되는 제 1 보조 멍에각재(271)를 좌측 슬래브 거푸집(250)의 트러스 거더(252)의 좌측단에 받친다.
그리고, 우측 슬래브 거푸집(260)의 트러스 거더(262)의 우측단이 제 2 보조 멍에각재(275)에 의해 지지되도록, 다수개의 동바리(276)에 의해 지지되는 제 2 보조 멍에각재(275)를 우측 슬래브 거푸집(260)의 트러스 거더(262)의 우측단에 받친다.
(5) 좌측 슬래브 거푸집과 우측 슬래브 거푸집 사이에 중간 필러판을 배치하는 단계(S250)는
도 19에 도시된 것처럼, 판개한 좌측 슬래브 거푸집(250)과 판개한 우측 슬래브 거푸집(260) 사이에 중간 필러판(280)을 장변 방향으로 길게 배치하고, 중간 필러판(280)을 제 2 고정 각재(242)와 제 3 고정 각재(243)에 못으로 고정한다.
이때, 중간 필러판(280)의 좌측단이 좌측 슬래브 거푸집(250)의 데크 플레이트에 밀착되도록, 제 2 고정각재(242)의 나머지 1/2지점에 안착되며, 중간 필러판(280)의 우측단이 우측 슬래브 거푸집(260)의 데크 플레이트(261)에 밀착되도록, 제 3 고정각재(243)의 나머지 1/2지점에 안착된다.
(6) 좌측 슬래브 거푸집, 중간 필러판, 우측 슬래브 거푸집에 슬래브 성형을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단계(S260)는
도 20에 도시된 것처럼, 좌측 슬래브 거푸집(250), 중간 필러판(280), 우측 슬래브 거푸집(260)에 슬래브(290) 성형을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한다. 이때, 좌측 보 거푸집(210) 및 우측 보 거푸집(220)에도 보 성형을 위한 콘크리트가 함께 타설된다.
(7) 슬래브 성형을 위한 콘크리트 강도가 70% 발현되는 시점에,
동바리로 중간 필러판을 직접 지지한 상태에서, 좌측 슬래브 거푸집과 우측 슬래브 거푸집을 제거하는 단계(S270)는,
슬래브 성형을 위한 콘크리트 강도가 70% 발현되는 시점에 도달하면,
도 21에 도시된 상태에서 도 22에 도시된 상태가 되는 것처럼, 좌측 슬래브 거푸집(250)의 트러스 거더(252)의 좌측단을 지지하는 제 3 멍에 각재(271)와 동바리(272)를 제거하고, 우측 슬래브 거푸집(260)의 트러스 거더(262)의 우측단을 지지하는 제 4 멍에 각재(275)와 동바리(276)를 제거하며,
제 1 및 제 2 멍에 각재(235, 236)를 지지하던 가설 동바리 그룹(230)의 동바리(231)가 중간 필러판(280)을 직접 지지하도록, 가설 동바리 그룹(230)의 동바리(231)의 지지위치를 변경하고, 제 1 및 제 2 멍에 각재(235, 236)와 보강 각재(237)를 제거한다.
이때, 일반적으로, 콘크리트 강도가 70% 발현되는 시점은 콘크리트 타설후 10일 정도 소요되고, 콘크리트 강도가 98% 이상 완전 발현되는 시점은 28일 정도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동바리(231)가 중간 필러판(280)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 2 및 제 3 고정각재(242, 243)를 분리하고, 좌측 슬래브 거푸집(250)의 날개판(253)과 우측 슬래브 거푸집(260)의 날개판(263)이 존치되도록, 날개판(253 ; 263)과 트러스 거더(252 ; 262)의 결합을 해제하고, 좌측 슬래브 거푸집(250)과 우측 스패브 거푸집(260)을 분리한다.
이때, 좌측 슬래브 거푸집(250)과 우측 슬래브 거푸집(260)은 데크 플레이트(251 ; 261)와 트러스 거더(252 ; 262)가 결합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고 있어, 공사 현장에서 날개판(253 ; 263)을 트러스 거더(252 ; 262)에 결합하여 바로 재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콘크리트 강도가 70% 발현되는 시점에서 슬래브 거푸집을 분리하여 다른 곳에 전용할 수 있도록, 슬래브 거푸집의 존치기간을 단축함으로써, 가설가재의 투입량을 줄일 수 있고 이로 인한 공사비용을 절약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콘크리트 강도가 완전 발현되는 시점까지 동바리가 중간 필러판을 지지하고 있고, 구조적 안전을 확보하고 있다.
SG1 : 제 1 가설 동바리 그룹 SG2 : 제 2 가설 동바리 그룹
SG3 : 제 3 가설 동바리 그룹
121, 122, 123, 124 : 멍에 각재
131. 132 : 보강 목재
141, 142, 143, 144 : 고정 각재
150 : 좌측 슬래브 거푸집 160 : 우측 슬래브 거푸집
171 : 중간 필러판

Claims (15)

  1. (1) 제 1 내지 제 3 가설 동바리 그룹을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는 단계(S110)와,
    (2) 각각의 가설 동바리 그룹에 슬래브 거푸집의 데크 플레이트와 트러스 거더를 지지하기 위한 멍에 각재와 고정 각재를 장착하는 단계(S120)와,
    (3) 제 1 가설 동바리 그룹과 제 2 가설 동바리 그룹 사이에 좌측 슬래브 거푸집을 판개하고, 제 2 가설 동바리 그룹과 제 3 가설 동바리 그룹 사이에 우측 슬래브 거푸집을 판개하는 단계(S130)와,
    (4) 좌측 슬래브 거푸집과 우측 슬래브 거푸집 사이에 중간 필러판을 배치하는 단계(S140)와,
    (5) 좌측 슬래브 거푸집, 중간 필러판 및 우측 슬래브 거푸집의 상부에 철근을 배근하고, 슬래브 성형을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단계(S150)와,
    (6) 콘크리트 강도가 70% 발현되는 시점에,
    동바리로 각각의 필러판을 직접 지지한 상태에서, 좌측 슬래브 거푸집과 우측 슬래브 거푸집을 제거하는 단계(S1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치기간 단축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2) 각각의 가설 동바리 그룹에 슬래브 거푸집의 데크 플레이트와 트러스 거더를 지지하기 위한 멍에 각재와 고정 각재를 장착하는 단계(S120)는
    제 1 가설 동바리 그룹(SG1)의 동바리(111 ; 112)의 상단 헤드부에 제 1 멍에 각재(121)와 제 2 멍에 각재(122)를 각각 장착하여, 제 1 멍에 각재(121)와 제 2 멍에 각재(122)를 장변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하고, 제 1 멍에 각재(121)와 제 2 멍에 각재(122)에 보강 목재(131)의 양 단부를 배치하여, 다수개의 보강 목재(131)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일정 간격으로 배열된 보강 목재(131)에 제 1 고정 각재(141)와 제 2 고정 각재(142)를 장변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하고,
    제 2 가설 동바리 그룹(SG2)의 동바리(113 ; 114)의 상단 헤드부에 제 3 멍에 각재(123)와 제 4 멍에 각재(124)를 각각 장착하여, 제 3 멍에 각재(123)와 제 4 멍에 각재(124)를 장변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하고, 제 3 멍에 각재(123)와 제 4 멍에 각재(124)에 보강 목재(132)의 양 단부를 배치하여, 다수개의 보강 목재(132)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보강 목재(132)에 제 3 고정 각재(143)와 제 4 고정 각재(144)를 장변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하고,
    제 3 가설 동바리 그룹(SG3)의 동바리(115 ; 116)의 상단 헤드부에 제 5 멍에 각재(125)와 제 6 멍에 각재(126)를 각각 장착하여, 제 5 멍에 각재(125)와 제 6 멍에 각재(126)를 장변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하고, 제 5 멍에 각재(125)와 제 6 멍에 각재(126)에 보강 목재(133)의 양 단부가 배치하여, 다수개의 보강 목재(133)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보강 목재(133)에 제 5 고정 각재(145)와 제 6 고정 각재(146)를 장변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치기간 단축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3) 제 1 가설 동바리 그룹과 제 2 가설 동바리 그룹 사이에 좌측 슬래브 거푸집을 판개하고, 제 2 가설 동바리 그룹과 제 3 가설 동바리 그룹 사이에 우측 슬래브 거푸집을 판개하는 단계(S130)는
    제 1 가설 동바리 그룹(SG1)의 제 2 고정각재(142)와 제 2 가설 동바리 그룹(SG2)의 제 3 고정각재(143) 사이에 좌측 슬래브 거푸집(150)을 배치하여, 다수개의 좌측 슬래브 거푸집(150)을 장변 방향으로 판개하고, 제 2 가설 동바리 그룹(SG2)의 제 4 고정 각재(144)와 제 3 가설 동바리 그룹(SG3)의 제 5 고정 각재(145) 사이에 우측 슬래브 거푸집(160)을 배치하여, 다수개의 우측 슬래브 거푸집(160)을 장변 방향으로 판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치기간 단축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슬래브 거푸집(150)은 데크 플레이트(151)의 하부면에 복수개의 트러스 거더(152)가 결합되며, 데크 플레이트(151)의 좌측단이 제 2 고정각재(142)에 안착된 상태에서 못에 의해 고정되고, 데크 플레이트(151)의 우측단이 제 3 고정각재(143)의 1/2지점에 안착된 상태에서 못에 의해 고정되며, 트러스 거더(152)의 하현재가 제 2 멍에 각재(122)와 제 3 멍에 각재(123)에 각각 지지되고,
    상기 우측 슬래브 거푸집(160)은 데크 플레이트(161)의 하부면에 복수개의 트러스 거더(162)가 결합되며, 데크 플레이트(161)의 좌측단이 제 4 고정각재(144)에 안착된 상태에서 못에 의해 고정되고, 데크 플레이트(161)의 우측단이 제 5 고정각재(145)에 안착된 상태에서 못에 의해 고정되며, 트러스 거더(162)의 하현재(163)가 제 4 멍에 각재(124)와 제 5 멍에 각재(125)에 각각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치기간 단축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슬래브 거푸집(150) 및 우측 슬래브 거푸집(160)은 시공시 수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장선재인 트러스거더를 콘크리트 두께에 따라 2열 또는 3열로 배치가 가능하여 경량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치기간 단축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 플레이트(151, 161)는 합성수지, 합판, GMT(glass-fiber mat reinforced thermolpastics ; 유리섬유강화 복합소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치기간 단축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4) 좌측 슬래브 거푸집과 우측 슬래브 거푸집 사이에 중간 필러판을 배치하는 단계(S140)는
    판개한 좌측 슬래브 거푸집(150)과 판개한 우측 슬래브 거푸집(160) 사이에 중간 필러판(171)이 장변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도록, 중간 필러판(171)을 제 3 고정각재(143)와 제 4 고정각재(144)에 안착한 상태에서 못으로 고정하고, 좌측 필러판(172)을 제 1 고정각재(141)와 제 2 고정각재(142)에 안착한 상태에서 못으로 고정하고, 우측 필런판(173)을 제 5 고정각재(145)와 제 6 고정각재(146)에 안착한 상태에서 못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치기간 단축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6) 콘크리트 강도가 70% 발현되는 시점에,
    동바리로 각각의 필러판을 직접 지지한 상태에서, 좌측 슬래브 거푸집과 우측 슬래브 거푸집을 제거하는 단계(S160)는
    콘크리트 강도가 70% 발현되는 시점에,
    제 1 및 제 2 멍에 각재(121, 122)를 지지하던 제 1 가설 동바리 그룹(SG1)의 동바리(111, 112)가 좌측 필러판(171)을 직접 지지하도록, 제 1 가설 동바리 그룹(SG1)의 동바리(111, 112)의 지지위치를 변경하고, 제 1 및 제 2 멍에 각재(121, 122))와 보강 각재(131)를 제거하고,
    제 3 및 제 4 멍에 각재(123, 124)를 지지하던 제 2 가설 동바리 그룹(SG2)의 동바리(113, 114)가 중간 필러판(171)을 직접 지지하도록, 제 2 가설 동바리 그룹(SG2)의 동바리(113, 114)의 지지위치를 변경하고, 제 3 및 제 4 멍에 각재(123, 124)와 보강 각재(132)를 제거하며,
    제 5 및 제 6 멍에 각재(125, 126)를 지지하던 제 3 가설 동바리 그룹(SG3)의 동바리(115, 116)가 우측 필러판(173)을 직접 지지하도록, 제 3 가설 동바리 그룹(SG3)의 동바리(115, 116)의 지지위치를 변경하고, 제 5 및 제 6 멍에 각재(125, 126)와 보강 각재(133)를 제거하고,
    각각의 동바리(111, 112 ; 113, 114 ; 115, 116)가 좌측 필러판(172), 중간 필러판(171) 및 좌측 필러판(173)을 각각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고정각재(141, 142, 123, 144, 145, 146)를 분리하고, 좌측 슬래브 거푸집(150)과 우측 슬래브 거푸집(160)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치기간 단축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
  9. (1) 좌측 보 거푸집과 우측 보 거푸집 사이에 가설 동바리 그룹을 배치하는 단계(S210)와,
    (2) 슬래브 거푸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좌측 및 우측 보 거푸집에 고정 각재를 각각 장착하고, 가설 동바리 그룹에 멍에 각재 및 고정 각재를 장착하는 단계(S220)와,
    (3) 좌측 보 거푸집과 가설 동바리 그룹 사이에 좌측 슬래브 거푸집을 판개하고, 가설 동바리 그룹과 우측 보 거푸집 사이에 우측 슬래브 거푸집을 판개하는 단계(S230)와,
    (4) 보조 멍에각재와 동바리로 좌측 및 우측 슬래브 거푸집을 각각 지지하는 단계(S240)와,
    (5) 좌측 슬래브 거푸집과 우측 슬래브 거푸집 사이에 중간 필러판을 배치하는 단계(S250)와,
    (6) 좌측 슬래브 거푸집, 중간 필러판, 우측 슬래브 거푸집에 슬래브 성형을 위한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하는 단계(S260)와,
    (7) 슬래브 성형을 위한 콘크리트 강도가 70% 발현되는 시점에,
    동바리로 중간 필러판을 직접 지지한 상태에서, 좌측 슬래브 거푸집과 우측 슬래브 거푸집을 제거하는 단계(S2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치기간 단축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2) 슬래브 거푸집을 지지할 수 있도록, 좌측 및 우측 보 거푸집에 고정 각재를 각각 장착하고, 가설 동바리 그룹에 멍에 각재 및 고정 각재를 장착하는 단계(S220)는
    좌측 보 거푸집(210)의 우측면(211)에 상단과 일치되게 제 1 고정 각재(241)를 못으로 고정하고,
    가설 동바리 그룹(230)의 동바리(231)의 상단 헤드부에 제 1 멍에 각재(235)와 제 2 멍에 각재(236)를 장착하여, 제 1 멍에 각재(235)와 제 2 멍에 각재(236)를 장변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하고, 제 1 멍에 각재(235)와 제 2 멍에 각재(236)에 보강 목재(237)의 양 단부를 안착하여, 다수개의 보강 목재(237)를 일정 간격으로 배치하고, 보강 목재(237)에 제 2 고정 각재(242)및 제 3 고정 각재(243)를 장변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하고,
    우측 보 거푸집(220)의 좌측면(221)에 상단과 일치되게 제 4 고정 각재(244)를 못으로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치기간 단축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
  11. 제 9 항에 있어서,
    (3) 좌측 보 거푸집과 가설 동바리 그룹 사이에 좌측 슬래브 거푸집을 판개하고, 가설 동바리 그룹과 우측 보 거푸집 사이에 우측 슬래브 거푸집을 판개하는 단계(S230)는
    좌측 보 거푸집(210)의 우측벽(21) 상단에 좌측 슬래브 거푸집(250)의 날개판(253)의 단부를 안착하고, 상기 날개판(253)을 제 1 고정 각재(241)에 못으로 고정하며, 좌측 슬래브 거푸집(250)의 데크 플레이트(251) 단부를 제 2 고정 각재(242)에 안착한 상태에서 못으로 고정함으로써, 좌측 보 거푸집(210)의 우측면(211) 상단과 제 2 고정 각재(242) 사이에 다수개의 좌측 슬래브 거푸집(250)을 장변 방향으로 판개하고,
    우측 보 거푸집(220)의 좌측면(221) 상단에 우측 슬래브 거푸집(260)의 날개판(263) 단부를 안착하고, 상기 날개판(263)을 제 4 멍에 장선(244)에 못으로 고정하며, 우측 슬래브 거푸집(260)의 데크 플레이트(261) 단부를 제 3 고정 각재(243)에 안착한 상태에서 못으로 고정함으로써, 우측 보 거푸집(220)의 좌측면(221) 상단과 제 3 고정 각재(243) 사이에 다수개의 우측 슬래브 거푸집(260)을 장변 방향으로 판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치기간 단축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슬래브 거푸집(250)은 데크 플레이트(251)의 일단에 날개판(253)이 맞대어지고, 데크 플레이트(251)와 날개판(253)의 하부면에 복수개의 트러스 거더(252)가 결합됨으로써, 데크 플레이트(251)와 날개판(253)이 트러스 거더(252)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우측 슬래브 거푸집(260)은 데크 플레이트(261)의 일단에 날개판(263)이 맞대어지고, 데크 플레이트(261)와 날개판(263)의 하부면에 복수개의 트러스 거더(262)가 결합됨으로써, 데크 플레이트(261)와 날개판(263)이 트러스 거더(262)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치기간 단축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 슬래브 거푸집(250) 및 우측 슬래브 거푸집(260)은 시공시 수작업을 수월하게 할 수 있도록 장선재인 트러스거더를 콘크리트 두께에 따라 2열 또는 3열로 배치가 가능하여 경량화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치기간 단축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 플레이트(251 ; 261)는 합성수지, 합판, GMT(glass-fiber mat reinforced thermolpastics ; 유리섬유강화 복합소재)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치기간 단축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
  15. 제 9 항에 있어서,
    (7) 슬래브 성형을 위한 콘크리트 강도가 70% 발현되는 시점에,
    동바리로 중간 필러판을 직접 지지한 상태에서, 좌측 슬래브 거푸집과 우측 슬래브 거푸집을 제거하는 단계(S270)는,
    슬래브 성형을 위한 콘크리트 강도가 70% 발현되는 시점에 도달하면,
    좌측 슬래브 거푸집(250)의 트러스 거더(252)의 좌측단을 지지하는 제 3 멍에 각재(271)와 동바리(272)를 제거하고, 우측 슬래브 거푸집(260)의 트러스 거더(262)의 우측단을 지지하는 제 4 멍에 각재(275)와 동바리(276)를 제거하며,
    제 1 및 제 2 멍에 각재(235, 236)를 지지하던 가설 동바리 그룹(230)의 동바리(231)가 중간 필러판(280)을 직접 지지하도록, 가설 동바리 그룹(230)의 동바리(231)의 지지위치를 변경하고, 제 1 및 제 2 멍에 각재(235, 236)와 보강 각재(237)를 제거하고,
    동바리(231)가 중간 필러판(280)을 지지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 2 및 제 3 고정각재(242, 243)를 분리하고, 좌측 슬래브 거푸집(250)의 날개판(253)과 우측 슬래브 거푸집(260)의 날개판(263)이 존치되도록, 날개판(253 ; 263)과 트러스 거더(252 ; 262)의 결합을 해제하고, 좌측 슬래브 거푸집(250)과 우측 스패브 거푸집(260)을 분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존치기간 단축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
KR1020170050947A 2017-04-20 2017-04-20 존치기간 단축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 KR101974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947A KR101974517B1 (ko) 2017-04-20 2017-04-20 존치기간 단축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947A KR101974517B1 (ko) 2017-04-20 2017-04-20 존치기간 단축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870A true KR20180117870A (ko) 2018-10-30
KR101974517B1 KR101974517B1 (ko) 2019-05-03

Family

ID=64100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947A KR101974517B1 (ko) 2017-04-20 2017-04-20 존치기간 단축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4517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9463A (ko) * 2004-07-23 2006-02-01 박정진 슬래브거푸집의 조기탈형이 가능한 시스템동바리의가변지지재
KR101018411B1 (ko) * 2010-09-07 2011-03-02 (주)지원이엔지 골 데크플레이트용 보 옆판 거푸집 및 그를 사용한 춤이 깊은 골 데크플레이트 플로어 공법을 위한 철근콘크리트보와 바닥판의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KR20120066878A (ko) * 2010-12-15 2012-06-25 김생기 슬래브 거푸집용 데크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09463A (ko) * 2004-07-23 2006-02-01 박정진 슬래브거푸집의 조기탈형이 가능한 시스템동바리의가변지지재
KR101018411B1 (ko) * 2010-09-07 2011-03-02 (주)지원이엔지 골 데크플레이트용 보 옆판 거푸집 및 그를 사용한 춤이 깊은 골 데크플레이트 플로어 공법을 위한 철근콘크리트보와 바닥판의 결합구조 및 시공방법
KR20120066878A (ko) * 2010-12-15 2012-06-25 김생기 슬래브 거푸집용 데크 및 이를 이용한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4517B1 (ko) 2019-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736449B (zh) 劲性结构梁柱节点及施工方法
CN106401036A (zh) 一种装配式钢框架预制混凝土楼板结构
KR101934405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박스거더 및 그 제작방법
WO2015131334A1 (zh) 一种建筑结构及其施工方法
CA2788118C (en) Spatial light steel frame concrete building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 same
JP2019526004A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型枠、床システム、および建築方法
CN108222347A (zh) 一种带平面桁架临时支撑的装配式大模块焊接叠合梁板
CN114482375B (zh) 整体接缝式钢筋混凝土叠合板施工方法
CN108360723A (zh) 一种带立体桁架临时支撑的装配式大模块半焊接叠合梁板结构
CN105804395A (zh) 基于整体式定型模板的楼梯一次连续浇筑成型施工方法
CN104153579A (zh) 一种非标准层结构的浇筑模板结构及施工方法
CN209353550U (zh) 一种夹心减重叠合板
CN208586815U (zh) 梁模壳及免模板钢筋混凝土梁
CN214497202U (zh) 一种钢混结合梁桥面板施工用支撑装置
CN104532990A (zh) 桁架钢筋双层纤维石膏板、免拆模板墙体结构及施工方法
KR101974517B1 (ko) 존치기간 단축을 위한 슬래브 거푸집 시공방법
CN110344553B (zh) 一种楼梯吊装施工拼缝后浇带的支模结构及支模工艺
CN105804396B (zh) 一种非定型、可周转模板体系预制楼梯梯段以及施工工法
EP1881111A2 (en) A bridge and a method for the construction of a bridge
CN208578226U (zh) 一种模块化单元横向连接结构
KR101028372B1 (ko) 트러스 합성 데크 플레이트의 연결 구조
KR101785722B1 (ko) 단열재 일체형 데크플레이트
CN110206299B (zh) 一种预应力带肋叠合板拼缝配模装置及方法
KR101628255B1 (ko) 단열재 데크 및 단열재 데크 설치 방법
KR101610442B1 (ko)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거더용 거푸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