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7859A - 냉감성이 향상된 고수분전이 섬유시트 - Google Patents

냉감성이 향상된 고수분전이 섬유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7859A
KR20180117859A KR1020170050904A KR20170050904A KR20180117859A KR 20180117859 A KR20180117859 A KR 20180117859A KR 1020170050904 A KR1020170050904 A KR 1020170050904A KR 20170050904 A KR20170050904 A KR 20170050904A KR 20180117859 A KR20180117859 A KR 20180117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ber sheet
contact
cold
moi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0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용환
박은호
장윤환
Original Assignee
벤텍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벤텍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벤텍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0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7859A/ko
Publication of KR20180117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785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am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2Oxide or hydrox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Hydrophobic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Chemical Or Physical Treatment Of Fi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감성이 향상된 고수분전이 섬유시트에 있어서, 친수성 섬유시트 일면에 접촉냉감층이 형성되되, 상기 접촉냉감층은 열전도도가 0.2W/mK이상인 고분자수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감성이 향상된 고수분전이 섬유시트로, 접촉시 시원하고 건조한 접촉감을 형성하는 냉감성이 향상된 고수분전이 섬유시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냉감성이 향상된 고수분전이 섬유시트{High moisture transferable textile sheet with Enhanced cool feeling}
본 발명은 냉감성이 향상된 고수분전이 섬유시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섬유시트의 일면인 피부접촉면에 열전도율이 높은 소재를 사용하여 체내의 열을 빠른 속도로 흡수 및 외부로 방출하여 접촉시 시원한 촉감을 형성하고, 수분을 일방향으로 전이시켜 항상 건조함을 가지는 냉감성이 향상된 고수분전이 섬유시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열이 이동하는 방법으로는 매개체를 통하여 이루어지는 전도, 매개체 없이 직접적으로 이동하는 복사, 찬공기는 아래로 더운 공기는 위로 이동하여 순환하는 대류 현상에 의해 이동할 수 있다.
상기의 열의 근원이 되는 빛은 파장에 따라 자외선, 가시광선 및 적외선 등이 전체 파장의 90% 이상을 차지한다.
자외선을 차단하는 방법으로 이산화티탄, 산화 아연 등의 무기물을 섬유에 방사 시 투입하거나, 자외선 흡수제를 섬유 표면에 코팅하여 원단으로 제조된 의복을 착용함으로서 90% 이상 차단 효과를 지니게 된다.
한편, 적외선에 있어서, 원적외선은 생체를 내부로부터 데워서 모세혈관을 비롯한 미세 동맥 및 정맥을 확장하여 전신의 혈액순환을 활성화 시키지만, 태양의 복사열에 가장 가까운 800 내지 1,400 nm 영역의 근적외선은 복사의 형태로 태양의 뜨거운 열이 전달되고, 침투력이 강해서 열선 역할을 하게 되어 의복 내부까지 침투하여 온도를 상승시켜 땀을 유발시킨다.
특히, 여름에는 이러한 적외선의 복사열이 더 강하게 느껴지게 되기 때문에 한여름에 더위를 덜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소재가 필요하다.
상기의 이유로 얇고 밝은 원단으로 된 의복을 착용하면 시원하기는 하지만, 자외선이 통과되어 피부가 타게 된다. 반면, 두껍고 진한색의 원단으로 된 의복은 자외선이 차단되기는 하나, 근적외선 흡수율이 높아 의복 내부 온도가 상승하여 더위가 더욱 가중된다.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기존에는 흡습성이 양호한 천연섬유인 면이 이용되었는데, 이는 건조속도가 늦어 일정수분 이상 흡수하면 건조되지 않아 체온 상승을 유발시키게 된다.
따라서, 여름에는 얇고 밝은 원단 외에도 어떤 색상이나 구조를 지니더라도 자외선뿐만 아니라 적외선도 차단되고, 더위를 느끼지 않도록 지속적인 냉감성이 부여된 원단의 필요성이 더욱 절실하다.
종래의 냉감기능을 갖는 섬유시트는 섬유 또는 원단에 이산화티탄, 산화 아연 등의 무기물을 함유시켜 태양광의 자외선과 적외선을 반사 및 차단하여 냉감기능을 갖는 기술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01-91286호에서는 태양광반사 특성에 의한 냉감 효과를 갖는 섬유, 좀더 상세하게는 태양광을 흡수하지 않고, 외부로 모두 반사하는 특성을 지닌 티탄산아연마그네슘을 함유함으로써 섬유 자신의 온도 상승을 억제하여 냉감효과를 갖는 섬유에 관한것으로, 산화아연-산화마그네슘-이산화티탄 3성분을 고온에서 소결 처리하여 복합산화물인 티탄산아연마그네슘(ZMT)을 제조하고, 이를 혼입하여 자외선을 효율 좋게 반사함으로써 태양광 에너지의 흡수를 방지하여 냉감효과를 지닌 새로운 섬유 및 그 첨가물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무기물을 사용하여 자외선을 통한 냉감기능은 태양광이 없는 실내에서는 아무런 기능을 하지 못하며, 열이 복사되는 적외선 차단에 있어서는 미흡한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감성이 향상된 고수분전이 섬유시트는 섬유시트 일면에 열전도율이 높은 고분자수지로 접촉냉감층을 형성하여 체내의 열을 빠른속도로 흡수 및 외부로 방출하여 접촉시 시원한 촉감을 형성하는 냉감성이 향상된 고수분전이 섬유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접촉냉감층을 형성하는 고분자 수지에 자외선을 차단하는 무기물이 함유되어 야외에서 자외선을 차단하여 냉감성이 더욱 향상되는 냉감성이 향상된 고수분전이 섬유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섬유시트 일면에서 흡수된 수분이 원단 타면으로 일방향 전이되어 항상 건조한 착용감을 갖는 냉감성이 향상된 고수분전이 섬유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냉감성이 향상된 고수분전이 섬유시트에 있어서, 친수성 섬유시트 일면에 접촉냉감층이 섬유시트 표면적의 70~95% 형성되고, 상기 접촉냉감층은 열전도도가 0.2W/mK이상인 고분자수지로 형성되되, 상기 고분자수지에 산화아연, 이산화티탄이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감성이 향상된 고수분전이 섬유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고분자수지는 폴리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감성이 향상된 고수분전이 섬유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접촉냉감층은 Qmax값이 0.15W/㎠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감성이 향상된 고수분전이 섬유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접촉냉감층과 인접하는 접촉냉감층 사이에 0.5~5㎜의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감성이 향상된 고수분전이 섬유시트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접촉냉감층 위로 소수성박막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감성이 향상된 고수분전이 섬유시트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냉감성이 향상된 고수분전이 섬유시트는 일면, 즉 피부접촉면에 열전도율이 높은 고분자수지로 접촉냉감층이 형성되어 체내의 열을 빠르게 흡수 및 외부로 방출하여 접촉시 시원한 촉감을 형성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분자 수지에 자외선을 차단하는 무기물이 함유되어 자외선을 차단하여 냉감성이 더욱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소수성 코팅제로 형성된 소수성박막층을 통하여 발수성이 더욱 우수해지고, 간극을 통해 수분 전이도 빨라져 매우 빠른 건조속도가 발현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접촉냉감성과 쾌속건조성으로 각종 스포츠용 의류 및 침구류 등에 적합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감성이 향상된 고수분전이 섬유시트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감성이 향상된 고수분전이 섬유시트의 고수분전이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감성이 향상된 고수분전이 섬유시트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감성이 향상된 고수분전이 섬유시트의 수분흡수 전(a)과 후(b)의 표면을 나타낸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섬유시트'이라 함은 제직 또는 편직에 의해 제조되는 물품, 부직포 및 섬유상 웹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감성이 향상된 고수분전이 섬유시트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감성이 향상된 고수분전이 섬유시트의 고수분전이 작용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냉감성이 향상된 고수분전이 섬유시트 코팅층의 다양한 실시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친수성 섬유시트 일면에 접촉냉감층이 형성된 냉감성이 향상된 고수분전이 섬유시트이다.
상기 친수성 섬유시트는 수분을 흡수능력을 가지는 섬유시트로 친수성을 가지는 어떠한 형태의 섬유시트는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일례로, 면, 레이온, 모, 견 등의 친수성 섬유를 섬유시트에 함유시킨 섬유시트 또는 소수성인 합성섬유로 섬유시트 제조 후에 친수화 가공을 통해 친수성을 부여한 섬유시트를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접촉냉감층(400)은 섬유시트 일면, 바람직하게는 피부가 접촉되는 면에 열전도도가 0.2W/mK이상인 고분자수지로 형성될 수 있고, 그 중에서도 열전도율이 높은 소재로 대표적으로 폴리아미드가 이용될 수 있다.
대표적인 합성수지인 폴리에스테르의 열전도도는 약 0.15W/mK이고, 천연수지인 코튼(cotton)의 열전도도는 약 0.04W/mK이다. 상기 폴리아미드의 열전도도는 약 0.25W/mK를 형성하여 상대적으로 열전도도가 높아 열을 전달하는 속도가 빠르고 전달하는 효율도 뛰어나 폴리아미드를 포함한 소재는 접촉냉감성이 우수하다.
상기 고분자수지는 접촉냉감성을 형성할 수 있는 소재로, 접촉냉감층의 Qmax값을 0.15W/㎠ 이상으로 형성할 수 있는 소재는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Qmax값은 접촉냉감실험 결과에 대한 값으로 수치적으로 높을수록 접촉냉감성이 우수하다.
상기 고분자수지에는 자외선 차단율이 우수한 산화아연, 이산화티탄이 함유되는 것으로 상기 산화아연, 이산화티탄은 고분자수지 중량의 0.1~1.0중량%가 함유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산화아연, 이산화티탄의 입자 크기는 0.1~0.5㎛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고분자수지로 형성되는 접촉냉감층(400)의 두께는 10㎛미만인 경우 접촉냉감층의 두께가 너무 얇아 열전도율의 우수함이 저하되어 접촉냉감층이 형성되지 않은 경우와 차이가 두드러지지 않고, 50㎛를 초과하는 경우 접촉냉감층이 섬유시트 일면에 균일하게 형성되기 어렵고, 친수성을 가지는 섬유시트의 수분 흡수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두께는 10~50㎛가 바람직하고, 더 바람직하게는 15~30㎛가 적절하다.
상기 접촉냉감층(400)의 표면적은 섬유시트 일면이 형성하는 표면적의 70~95%이고, 접촉냉감층과 인접하는 접촉냉감층 사이에 0.5~5㎜의 간극(300)이 형성된다.
상기 간극(300)은 접촉냉감층과 인접한 접촉냉감층 사이의 틈으로 섬유시트 일면에 접촉된 수분을 흡수하여 타면으로 전이시키는 통로 역할을 하는 곳으로 간극의 폭 또는 길이가 0.5㎜ 작으면 수분흡수가 원활하지 못하여 접촉냉감층이 형성된 섬유시트 일면이 축축해질 수 있으며, 간극의 폭 또는 길이가 5㎜보다 크면 수분이 흡수된 간극이 넓어 섬유시트 일면의 건조감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접촉냉감층은 도 3에서와 같이 도 3(a)와 같은 도트(dot) 형태, 또는 도 3(b)와 같은 줄무늬 형태, 또는 도 3(c)와 같은 격자무늬 형태 등 다양한 디자인된 문양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간극은 수분흡수 시에 접촉냉감층과 색상차이가 발생될 수 있다.
도 3에서 각 형태들 사이로 채색이 되지 않은 부분인 간극에서 수분이 흡수되고 농색효과가 일어나게 된다.
상기 형태는 수분 공급 전에는 시각적으로 두드러지지 않으나, 수분이 공급된 경우 친수성을 띠는 간극은 수분을 흡수하고 상대적으로 소수성(발수성)을 띠는 접촉냉감층은 수분을 밀어내어 간극에서만 농색효과가 발생함으로써 시각적으로 두드러지게 된다.
이러한 현상을 고려하여 간극 디자인을 통해 섬유시트에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접촉냉감층 위로 소수성박막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수성박막층(200)은 접촉냉감층(400) 위로 소수성 코팅제가 도포 또는 코팅되는 것으로, 상기 소수성코팅제의 소수성(발수성)이 수분을 밀어내어 간극으로 이동하는 수분의 일방향 고수분전이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기 소수성박막층(200)의 두께는 일방향 고수분전이의 수분제어가 용이하도록 80㎚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세탁이나 마찰시 소수성박막층(200)이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20㎚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20~80㎚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상기 소수성박막층(200)의 두께가 30~50㎚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소수성 코팅제는 투명색으로 원단의 고유의 색상을 저해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발수제, 바인더로 형성된다.
상기 발수제는 불소계 발수제, 실리콘계 발수제, 불소-실리콘계 발수제, 아크릴계 발수제, 폴리에틸렌계 발수제, 폴리프로필렌계 발수제, 폴리아미드계 발수제, 폴리에스테르계 발수제 폴리메틸계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나노사이즈의 두께로 소수성박막층(200)을 형성하기 용이한 실리콘계 발수제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테트라에틸오소실리케이트(Tetraethyl-Orthosilicate, TEOS)를 사용하여 졸겔법으로 제조되는 실리콘계 발수제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발수제는 가공성을 높이기 위해 용매, 증점제 등을 같이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바인더는 섬유제품에 사용되는 바인더는 어느 것이나 사용할 수 있으며, 일예로 아크릴계 바인더, 실리콘계 바안더, 폴리우레탄계 바인더 등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상기의 바인더 중 피부자극이 거의 없고 사용이 쉬운 투명색의 아크릴계 바인더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발수제와 바인더는 혼합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발수제와 바인더의 혼합비는 사용되는 발수제와 바인더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발수제와 바인더는 중량비 9:1 내지 3:7로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소수성 코팅제는 롤프린팅, 라미네이팅 등의 다양한 방법으로 접촉성냉감층(40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감성이 향상된 고수분전이 섬유시트는 도 2에서와 같이 접촉냉감층(400)과 소수성박막층(200)이 형성된 섬유시트 일면에 접하는 신체에서 발생된 수분은 접촉냉감층(400) 또는 소수성박막층(200)의 발수성으로 흡수되지 못하고 간극(300)으로 밀려난다. 간극으로 밀려난 수분은 친수성으로 흡수하게 되고 도 2에서와 같이 섬유시트 전방향으로 수분이 빠르게 흡수된다.
상기와 같이 섬유시트 내부로 흡수된 수분은 접촉냉감층(400) 또는 소수성박막층(200)에 의해 섬유 일면으로 전이되지 못하고 타면으로 수분이 전이되어 섬유시트 일면에서는 항상 건조감을 가지게 된다.
이는 수분을 함유한 섬유시트의 절대적인 수분량이 감소하지는 않으나 접촉냉감층(400) 또는 소수성박막층(200)이 형성된 섬유시트 일면에서 보유된 수분을 섬유시트의 다른 부위로 신속히 이동시켜 일면에서는 수분의 존재감이 없고 존재하는 수분량도 상당히 감소한다고 할 것이다.
따라서, 섬유시트가 함유하고 있는 수분량이 동일하다고 가정한 상태에서, 상기 보유된 수분이 섬유시트의 다른 부위로 신속히 확산되어 섬유시트의 일면은 건조감과 상쾌함을 느낄 수 있는 것이고, 수분의 절대적 증발이나 건조량과 무관하게 흡한속건성이란 물성구현이 가능할 것이다.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냉감성이 향상된 고수분전이 섬유시트는 친수성 섬유시트 일면에 폴리아미드를 롤 프린팅 등의 방법으로 접촉냉감층(400)을 형성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롤 프린팅 등을 통해 직접 친수성 섬유시트에 접촉냉감층(400)을 형성시킬 경우에는 접촉냉감층(400)의 문양 안정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접촉냉감층(400) 위로 소수성 박막층(200)을 형성할 경우에 접촉냉감층(400) 위로 소수성박막층(200)를 직접 프린팅하는 공정으로 공정이 복합하고 접촉냉감층(400) 위로 소수성 박막층(200)이 불일치하게 중첩될 경우 불량율이 올라갈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 필름을 이용하여 접촉냉감층(400)을 형성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베이스 필름을 이용하여 접촉냉감층(400)을 형성시키는 방법은 베이스필름 일면에 열전도도가 0.2W/mK이상인 고분자수지를 코팅하고 친수성 섬유시트에 적층한 뒤, 디자인된 패턴을 갖는 가열 롤러로 압착하여 상기 고분자수지를 친수성 섬유시트에 부착시킨 후 상기 베이스필름을 제거하여 원하는 패턴의 접촉냉감층(400)을 친수성 섬유시트에 형성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이 베이트 필름을 이용할 경우 소수성 코팅제를 먼저 코팅하고 열전도도가 0.2W/mK이상인 고분자수지를 코팅하여 친수성 섬유시트에 소수성박막층(200)과 접촉냉감층(400)을 동시에 형성시킬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베이스필름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합성수지 필름으로 PET계, PE계 또는 PVC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접촉냉감층(400)은 필름을 이용하여 적층됨으로써 수지형태로 적층되는 것 보다 불량률을 감소시켜 적층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형태 안정성 및 공정 편의성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냉감성이 향상된 고수분전이 섬유시트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의 실시예를 나타내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폴리아미드를 코팅시키고 친수화 가공한 섬유시트와 적층시킨 후에 도 3(c)의 패턴을 갖는 가열롤러로 압착시켜 폴리아미드로 형성되는 접촉냉감층을 형성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접촉냉감층과 친수성 섬유시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폴리아미드에 평균 입자크기가 약 0.25㎛인 산화아연, 이산화티타늄을 폴리아미드 중량의 0.6중량% 함유시킨 후에 접촉냉감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섬유시트는 친수화 가공된 폴리에스테르 섬유 92중량% 폴리우레탄 섬유 8중량%로 제조하였으며, 상기 접촉냉감층은 친수성 섬유시트 표면적의 약 80%를 차지하도록 형성시켰으며, 간극의 폭은 1㎜로 형성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1과 동일하게 제조하였으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소수성 코팅제 먼저 코팅시키고, 폴리아미드를 코팅하여 소수성박막층과 접촉냉감층을 동시에 형성시켜 본 발명에 따른 냉감성이 향상된 고수분전이 섬유시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소수성 코팅제는 테트라에틸오소실리케이트(TEOS)를 사용하여 졸겔법으로 제조되는 실리콘계 발수제와 아크릴계 바인더를 중량비 8:2로 혼합하여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 평가실험1
상기에서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의 냉감성이 향상된 고수분전이 섬유시트의 접촉냉감 실험은 KES-F7 Thermo Labo Ⅱ(Kato Tech,Japan)로 측정하였다.
실험환경은 20℃, 65%R.H., ΔT=10℃ 조건이다.
상기 실험은 원단의 일면에 피부를 접촉하여 느끼는 냉감성을 측정하는 실험으로 상기 실시예로 제조된 본 발명의 냉감성이 향상된 고수분전이 섬유시트와 비교예로 제조된 섬유시트의 접촉냉감성을 비교하여 평가하였다.
상기 평가의 비교예는 접촉냉감층과 소수성박막층이 형성되지 않은 친수화 가공한 섬유시트(폴리에스테르 섬유 92중량% 폴리우레탄 섬유 8중량%로 제조)를 사용하였다.
구분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
Qmax(W/㎠) 0.176 0.172 0.114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보다 실시예1 및 실시예2의 Qmax값이 큰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Qmax값은 접촉냉감의 정도를 나타내는 단위로 그 값이 클수록 냉감성이 우수하다. 따라서 실시예1 및 실시예2는 비교예의 Qmax값보다 0.06W/㎠ 이상 높은 것을 알 수 있으며, 실시예1의 섬유시트가 접촉시 더 냉감성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와 같이 폴리아미드가 적층되어 접촉냉감층이 형성된 경우 접촉냉감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인체는 0.03W/㎠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차가움, 즉 냉감성을 느끼므로, 비교예의 섬유시트에 피부를 접촉한 뒤 실시예1 또는 실시예2의 섬유시트에 피부를 접촉하면 냉감성의 차이를 확연히 느낄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평가실험2
상기에서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본 발명의 냉감성이 향상된 고수분전이 섬유시트의 수분의 일방향성 수분전이 측정은 AATCC 195-2009(수분 거동측정)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상기 실험은 원단의 일면에 증류수를 떨어뜨려 원단에서의 수분이 거동을 측정하는 실험으로 상기 실시예1,2로 제조된 본 발명의 냉감성이 향상된 고수분전이 섬유시트는 접촉냉감층 또는 소수성박막층이 형성된 일면에 증류수를 떨어뜨려 수분 거동을 측정하였다.
상기 평가의 비교예는 접촉냉감층과 소수성박막층이 형성되지 않은 친수화 가공한 섬유시트(폴리에스테르 섬유 92중량% 폴리우레탄 섬유 8중량%로 제조)를 사용하였다.
구분 WTT
(Sec.)
WTB
(Sec.)
ART
(%/sec.)
ARB
(%/sec.)
MWRT
(mm)
MWRB
(mm)
SST
(mm/sec.)
SSB
(mm/sec.)
R
(%)
OMMC
실시예1 3.047 2.297 23.2496 50.6077 25 30 5.6415 6.805 540.0375 0.8697
실시예2 2.953 2.953 28.3343 32.9953 20 20 3.9492 4.0907 555.7321 0.8139
비교예 2.437 2.578 57.1983 58.6329 25 25 6.5621 6.5276 5.7262 0.447
WTT : Top wetting time(sec)
WTB : Bottom wetting Time(sec)
ART : Top absorption rate(%/sec.)
ARB : Bottom absorption rate(%/sec.)
MWRT : Top max wetting radius(mm)
MWRB : Bottom max wetting radius(mm)
SST : Top spreading speed(mm/sec)
SSB : Bottom spreading speed(mm/sec)
R : One way transport capability(%)
OMMC : Overall moisture management capacity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의 일방향 수분전이값(R값)은 5.7262%로 수분이 거의 전이되지 않을 것을 알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 1은 540.0375%이며, 실시예 2는 R값이 555.7321%로 흡수된 대다수의 수분이 전이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종합적인 수분관리값(OMMC)도 비교예는 0.447이나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실시예 1(0.8697), 실시예2(0.8139)로 모두 2배정도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섬유시트에 떨어진 증류수가 접촉냉감층 또는 소수성박막층에 의해 수분이 간극으로 이동하고 간극을 통해 증류수가 섬유시트의 다른 부위로 빠르게 전이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섬유시트: 100 소수성박막층: 200
간극: 300 접촉냉감층: 400

Claims (5)

  1. 냉감성이 향상된 고수분전이 섬유시트에 있어서,
    친수성 섬유시트 일면에 접촉냉감층이 섬유시트 표면적의 70~95% 형성되고,
    상기 접촉냉감층은 열전도도가 0.2W/mK이상인 고분자수지로 형성되되,
    상기 고분자수지에 산화아연, 이산화티탄이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감성이 향상된 고수분전이 섬유시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수지는 폴리아미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감성이 향상된 고수분전이 섬유시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냉감층은 Qmax값이 0.15W/㎠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감성이 향상된 고수분전이 섬유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냉감층과 인접하는 접촉냉감층 사이에 0.5~5㎜의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감성이 향상된 고수분전이 섬유시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냉감층 위로 소수성박막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감성이 향상된 고수분전이 섬유시트.
KR1020170050904A 2017-04-20 2017-04-20 냉감성이 향상된 고수분전이 섬유시트 KR2018011785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904A KR20180117859A (ko) 2017-04-20 2017-04-20 냉감성이 향상된 고수분전이 섬유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904A KR20180117859A (ko) 2017-04-20 2017-04-20 냉감성이 향상된 고수분전이 섬유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859A true KR20180117859A (ko) 2018-10-30

Family

ID=641008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904A KR20180117859A (ko) 2017-04-20 2017-04-20 냉감성이 향상된 고수분전이 섬유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785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2182A (ko) * 2021-10-29 2023-05-09 주식회사 케이바이오텍 흡습 건조 및 냉감 기능을 향상시킨 기능성 의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2182A (ko) * 2021-10-29 2023-05-09 주식회사 케이바이오텍 흡습 건조 및 냉감 기능을 향상시킨 기능성 의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1480B1 (ko) 구역화된 기능성 직물
ES2250625T3 (es) Telas calandradas para proteccion de uv.
US20200037686A1 (en) Article of apparel including thermoregulatory textile
KR20190079069A (ko) 냉감성이 향상된 섬유시트
WO1983002750A1 (en) A composite insulation material
KR20220036910A (ko) 색상을 나타내는 복사-가열 의류 직물
JP4508669B2 (ja) 透湿防水保温性布帛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227578B1 (ko) 두께가 자기제어되는 보온성 원단
KR101608406B1 (ko) 고수분 전이성을 갖는 냉감성 섬유시트
KR20180117859A (ko) 냉감성이 향상된 고수분전이 섬유시트
KR100896796B1 (ko) 자기제어형 보온원단
KR101449704B1 (ko) 고수분 전이성과 혈류개선에 의한 보온 기능을 갖는 의류용 섬유시트
KR20180014965A (ko) 접촉냉감성 고수분전이 섬유시트
CN211994521U (zh) 一种高档抗高温针织面料
JP7453142B2 (ja) 熱転写シート、繊維構造物の製造方法、及び繊維構造物
JP7112932B2 (ja) 遮熱性繊維布帛及びそれを用いた衣服
JP2017185795A (ja) 繊維構造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6108716A (ja) 編物、及び衣料製品
KR101403675B1 (ko) 흡한속건성 다층구조 직물
KR20240063236A (ko) 접촉냉감 섬유시트
US20210112895A1 (en) Multilayered multifunctional heat-management material
JP2004155113A (ja) 保温・保冷性素材およびそれを用いた布帛および衣服
KR102016132B1 (ko) 보온성이 향상된 체열반사 섬유시트
KR20120134868A (ko) 체열반사시트
CN214646509U (zh) 一种发热保温复合面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