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7768A - 터치 센서,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터치 센서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터치 센서,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터치 센서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7768A
KR20180117768A KR1020170050664A KR20170050664A KR20180117768A KR 20180117768 A KR20180117768 A KR 20180117768A KR 1020170050664 A KR1020170050664 A KR 1020170050664A KR 20170050664 A KR20170050664 A KR 20170050664A KR 20180117768 A KR20180117768 A KR 201801177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insulating film
layer
touch sensor
sub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0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76502B1 (ko
Inventor
이인남
박동필
이재현
김미영
이상철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50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6502B1/ko
Priority to US15/863,963 priority patent/US11023084B2/en
Priority to CN201810311585.7A priority patent/CN108733253B/zh
Publication of KR201801177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77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6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6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3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single layer of sensing 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7/00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 B65H37/04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devices for performing specified auxiliary operations for securing together articles or webs, e.g. by adhesive, stitching or stapling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10Optical coatings produced by application to, or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 G02B1/14Protective coatings, e.g. hard coating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2Electrode mesh in capacitive digitiser: electrode for touch sensing is formed of a mesh of very fine, normally metallic, interconnected lines that are almost invisible to see. This provides a quite large but transparent electrode surface, without need for ITO or similar transparent conductiv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터치 센서는 터치 영역과 상기 터치 영역을 둘러싸는 비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지지층, 상기 지지층 상의 터치 영역에 제공된 센싱 전극부, 및 상기 터치 영역 및 상기 비터치 영역의 일부를 커버하는 절연막을 포함한다. 상기 절연막은 상기 비터치 영역에서 상기 터치 영역의 둘레를 따라 제공된 트렌치를 갖는다. 터치 센서는 표시 장치에 채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터치 센서,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터치 센서의 제조 방법{TOUCH SENSOR,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TOUCH SENSOR}
본 발명은 터치 센서,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터치 센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 디스플레이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휴대가 가능한 정보매체를 이용하려는 요구가 높아지면서, 표시 장치에 대한 연구 및 상업화가 중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최근의 표시 장치는 영상 표시 기능과 더불어 사용자의 터치를 입력받기 위한 터치 센서를 구비하고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터치 센서를 통해 보다 편리하게 표시 장치를 이용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은 결함이 감소된 터치 센서, 및 이를 채용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또한 결함이 감소된 터치 센서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는 터치 영역과 상기 터치 영역을 둘러싸는 비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지지층, 상기 지지층 상의 터치 영역에 제공된 센싱 전극부, 및 상기 터치 영역 및 상기 비터치 영역의 일부를 커버하는 절연막을 포함한다. 상기 절연막은 상기 비터치 영역에서 상기 터치 영역의 둘레를 따라 제공된 트렌치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은 상기 트렌치를 사이에 두고 터치 영역 측에 제공된 제1 절연막과 상기 제1 절연막의 외측에 제공된 제2 절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은 복층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은 상기 지지층 상에 제공된 제1 서브 절연막과 상기 제1 서브 절연막을 커버하는 제2 서브 절연막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싱 전극부는 제1 터치 전극들, 상기 제1 터치 전극과 이격되며 상기 제1 터치 전극들과 정전 용량을 형성하는 제2 터치 전극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 전극부는 서로 인접한 상기 제1 터치 전극들을 연결하는 제1 브릿지, 서로 인접한 상기 제2 터치 전극들을 연결하는 제2 브릿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막은 상기 제1 및 제2 터치 전극들 상에 순차적으로 제공된 제1 서브 절연막과 제2 서브 절연막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브릿지 중 하나는 상기 제1 서브 절연막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지지층의 외측에 제공된 기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표시 패널, 편광층, 및 윈도우 중 하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절연막 상에 제공된 보호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는 공기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는 표시 장치에 채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상면에 제공된 터치 센서를 포함한다. 상기 터치 센서는 터치 영역과 상기 터치 영역을 둘러싸는 비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지지층, 상기 지지층 상의 터치 영역에 제공된 센싱 전극부, 및 상기 터치 영역 및 상기 비터치 영역의 일부를 커버하는 절연막을 포함하며, 상기 절연막은 상기 비터치 영역에서 상기 터치 영역의 둘레를 따라 제공된 트렌치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지지층은 접착제를 사이에 두고 서로 접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터치 센서 상에 제공된 윈도우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층은 상기 윈도우와 상기 표시 패널 중 어느 하나와 접착제를 사이에 두고 서로 접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제공된 윈도우,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제공된 편광층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윈도우와 편광층 사이 또는 상기 편광층과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은 상기 윈도우, 상기 편광층, 및 상기 표시 패널 중 어느 하나와 접착제를 사이에 두고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상기한 터치 센서는 캐리어 기판 상에 지지층을 형성하고, 상기 지지층 상에 터치 전극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터치 전극 패턴 상에 절연막을 형성하여 터치 센서를 형성하고, 상기 캐리어 기판으로부터 터치 센서를 분리하고, 상기 터치 센서를 기판 상에 부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절연막은 터치 영역과 상기 터치 영역을 둘러싸는 비터치 영역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절연막은 상기 비터치 영역에서 상기 터치 영역의 둘레를 따라 제공된 트렌치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를 기판 상에 부착하는 단계는 롤-투-롤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 제조 시, 상기 캐리어 기판으로부터 상기 터치 센서를 분리하기 전에 터치 센서 상에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센서를 상기 기판 상에 부착하기 전에 상기 보호 필름을 상기 터치 센서로부터 박리하는 단계가 더 포함될 수 있으며, 상기 보호 필름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보호 필름을 박리하는 단계는 롤-투-롤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 및 상기 터치 센서를 채용한 표시 장치는 기존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에 비해 센싱 전극부와 배선에서의 결함이 감소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롤-투-롤 방식에 의해 결함이 감소된 터치 센서를 용이하게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a은 도 2의 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2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c는 터치 센서의 평면도로서 절연막만을 도시한 것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센서를 도시한 평면도들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를 제조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 개의 터치 센서를 동시에 제조하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P1 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축소하거나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어느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on)에 형성되었다고 할 경우, 상기 형성된 방향은 상부 방향만 한정되지 않으며 측면이나 하부 방향으로 형성된 것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아래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나타내는 표시 패널(PP), 표시 패널(PP)의 전면에 제공된 터치 센서(TS)를 포함한다.
표시 패널(PP)은 전면으로 임의의 시각 정보, 예를 들어, 텍스트, 비디오, 사진, 2차원 또는 3차원 영상 등을 표시한다. 표시 패널(PP)의 종류는 영상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패널(PP)은 영상을 표시하는 것으로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표시 패널(PP)이 유기 발광 표시 패널, 액정 표시 패널, 전기 영동 표시 패널, 전기 습윤 표시 패널, MEMS 표시 패널 중 하나일 수 있다. 그러나, 표시 패널(PP)의 종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개념에 부합되는 한도 내에서는 다른 표시 패널이 사용될 수 있다.
표시 패널(PP)은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서로 평행한 두 쌍의 변들을 가지는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표시 패널(PP)이 직사각형의 판상으로 마련되는 경우, 두 쌍의 변들 중 어느 한 쌍의 변이 다른 한 쌍의 변보다 길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시 패널(PP)이 한 쌍의 장변과 한 쌍의 단변을 갖는 직사각 형상인 경우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표시 패널(PP)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PP)은 직선의 변을 포함하는 닫힌 형태의 다각형, 곡선으로 이루어진 변을 포함하는 원, 타원, 등, 직선과 곡선으로 이루어진 변을 포함하는 반원, 반타원,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 패널(PP)이 직선으로 이루어진 변을 갖는 경우, 각 형상의 모서리 중 적어도 일부는 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PP)이 직사각 형상을 가질 때, 서로 인접한 직선 변들이 만나는 부분이 소정 곡률을 가지는 곡선으로 대체될 수 있다. 즉, 직사각 형상의 꼭지점 부분은 서로 인접한 그 양단이 서로 인접한 두 직선 변들에 연결되고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선 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곡률은 위치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곡률은 곡선이 시작되는 위치 및 곡선의 길이 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표시 패널(PP)는 전체 또는 적어도 일부가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PP)는 전체 영역에서 가요성을 가질 수 있으며, 또는 가요성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표시 패널(PP)은 화소(PXL)가 제공됨으로써 영상이 표시되는 표시 영역(DA)과 표시 영역(DA)의 적어도 일측에 위치한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싸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표시 패널(PP)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영역(DA)은 표시 패널(PP)의 형상과 마찬가지로 직선의 변을 포함하는 닫힌 형태의 다각형, 곡선으로 이루어진 변을 포함하는 원, 타원, 등, 직선과 곡선으로 이루어진 변을 포함하는 반원, 반타원, 등 다양한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 영역(DA)이 직사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표시 영역(DA)에는 복수 개의 화소들(PXL)이 제공된다. 화소들(PXL)은 행과 열을 갖는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열될 수 있다. 그러나, 화소들(PXL)의 배열 방식은 이와 달리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화소들(PXL)은 각각 청색광, 녹색광, 및 적색광을 출사하는 청색 화소, 녹색 화소, 및 적색 화소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그러나, 화소(PXL) 각각에서 출사하는 광의 컬러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컬러와 다른 컬러의 광, 예를 들어, 마젠타색 광, 황색광, 시안색 광, 백색광 등이 출사될 수도 있다.
터치 센서(TS)는 표시 패널(PP)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TS)는 사용자의 터치 시 터치 위치 및/또는 압력을 감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TS)는 지문을 감지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다양한 방식의 센서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정전 용량 방식, 저항막 방식, 압전 방식 등의 센서일 수 있다.
터치 센서(TS)는 표시 패널(PP)의 형상에 대응하는 판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표시 패널(PP)의 전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한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PP)이 직사각 형상으로 제공되는 경우, 터치 센서(TS) 또한 이에 대응하는 직사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표시 패널(PP)이 원형으로 제공되는 경우, 터치 센서(TS) 또한 이에 대응하는 원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터치 센서(TS)는 전체 또는 적어도 일부가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센서(TS)는 전체 영역에서 가요성을 가질 수 있으며, 또는 가요성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TS)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는 터치 영역(TA)과 터치 영역(TA)의 적어도 일측에 제공된 비터치 영역(NTA)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비터치 영역(NTA) 영역은 터치 영역(TA)를 둘러싸는 형태로 제공된다.
터치 영역(TA)은 표시 영역(DA)에 대응할 수 있으며, 비터치 영역(NTA)은 비표시 영역(NDA)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평면 상에서 볼 때 터치 영역(TA)과 표시 영역(DA)은 서로 중첩할 수 있으며, 비터치 영역(NTA)과 비표시 영역(NDA) 또한 서로 대응할 수 있다. 그러나, 터치 영역(TA)과 비터치 영역(NTA)의 크기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터치 영역(TA)은 비표시 영역(NDA) 중 일부까지 연장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터치 센서(TS)는 비터치 영역(NTA)에 제공되며 적어도 1개 이상의 터치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인쇄 회로 기판(P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에는 상기 터치 센서(TS)를 제어하는 센서 제어부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센서 제어부는 상기 터치 센서의 동작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센서 제어부는 터치 센서(TS)의 정전 용량이나 저항 등을 감지함으로써 터치 위치 및/또는 사용자의 터치에 따른 터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터치 센서(TS)와 표시 패널(PP) 사이에는 접착제가 제공될 수 있다. 접착제는 서로 인접한 두 구성 요소를 부착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터치 센서(TS)와 표시 패널(PP)를 부착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접착제는 서로 인접한 두 구성 요소를 하나로 붙여주는 역할과 동시에, 두 구성 요소에 인가되는 스트레스를 분산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접착제는 소정 범위의 점착력과 탄성력을 가지는 것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본 명세서 내에서 언급되는 접착제는 이러한 기능을 만족하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다양한 두께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있어서 "접착제"라고 하면 인접한 두 구성 요소 사이에 제공되어 상기 두 구성 요소를 연결하는 것으로써, 인접한 구성 요소를 물리적 화학적으로 결합시켜 분리되지 않는 상태가 되도록 접착하는 접착제 뿐만 아니라, 두 구성 요소를 물리적으로는 결합하되 화학적으로는 결합되지 않아 박리가 가능한 감압형 접착제(pressure-sensitive adhesive)를 포함하는 용어이다. 상기 접착제는 서로 인접한 구성 요소를 영구적으로 부착하느냐 이후 박리를 통해 제거하느냐의 여부에 따라 달리 사용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전자와 후자를 모두 접착제로 표시한다.
상기 터치 센서(TS)와 표시 패널(PP) 사이의 접착제는 박리가 가능한 감압형 접착제일 수 있다.
접착제는 표시 패널(PP)로부터의 영상이 최대한 투과되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에폭시, 실리콘 및 아크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터치 센서(TS)는 표시 패널(PP) 상에 접착제 없이 놓이거나, 표시 패널(PP) 상에 직접 놓일 수 있으며, 이 경우, 터치 센서(TS)와 표시 패널(PP) 사이에 접착제가 제공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되 터치 센서(TS)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3a은 도 2의 I-I'선에 따른 단면도, 도 3b는 도 2의 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3c는 터치 센서의 평면도로서 절연막만을 도시한 것이다.
도 2, 도 3a 내지 도 3c을 참조하면, 터치 센서는 터치 영역(TA)과 상기 터치 영역(TA)을 둘러싸는 비터치 영역(NTA)을 포함하는 지지층(SP), 상기 지지층(SP) 상의 터치 영역(TA)에 제공된 센싱 전극부(SEP), 상기 센싱 전극부(SEP)에 연결된 배선(WR), 및 상기 터치 영역(TA) 및 상기 비터치 영역(NTA)의 일부를 커버하는 절연막(INS)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SP)의 외측에는 상기 터치 센서(TS)가 부착되는 기판(SUB)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층(SP)은 사용자의 터치가 이루어지고, 그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센싱 전극부(SEP)가 형성된 터치 영역(TA)과, 상기 터치 영역(TA)의 적어도 일측에 위치한 비터치 영역(NTA)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TS)는 기판(SUB) 상에 제공되는 바, 이하, 적층된 순서를 따라 각 구성 요소를 설명한다.
상기 기판(SUB)은 그 상면에 터치 센서(TS)의 센싱 전극부(SEP)가 배치될 수 있는 것으로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기판(SUB)은 그 상면에 센싱 전극부(SEP)가 배치될 수 있는 다양한 구성 요소, 예를 들어, 표시 패널(PP)의 최상부에 제공된 봉지층, 편광 필름이나 위상차 필름과 같은 기능성 필름, 표시 패널(PP)의 전면에 배치되는 윈도우 등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기판(SUB)은 절연 기판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절연 기판은 유리, 수지(resin) 등과 같은 절연성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기판은 휘거나 접힘이 가능하도록 가요성(flexibility)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단층 구조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기판(SUB)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디아세틸셀룰로오스,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계 수지; 폴리스티렌,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공중합체 등의 스티렌계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시클로계 또는 노보넨 구조를 갖는 폴리올레핀,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계 수지; 염화비닐계 수지; 나일론,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아미드계 수지; 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계 수지; 황화 폴리페닐렌계 수지; 비닐알코올계 수지; 염화비닐리덴계 수지; 비닐부티랄계 수지; 알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옥시메틸렌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등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된 필름을 들 수 있으며, 상기 열가소성 수지의 블렌드물로 구성된 필름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메타)아크릴계, 우레탄계, 아크릴우레탄계, 에폭시계, 실리콘계 등의 열경화성 수지 또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로 된 필름을 이용할 수도 있다. 다만, 기판을 구성하는 재료는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으며, 유리 섬유 강화플라스틱(FRP, Fiber glass reinforced plastic) 등으로도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층(SP)은 상기 기판(SUB) 상에 제공된다. 상기 지지층(SP)에는 후술할 센싱 전극부(SEP), 배선(WR), 및 패드(PD) 등이 그 상면에 직접적으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층(SP)은 가요성(flexibility)을 갖는 유기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고, 단층 구조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층(SP)은 상기 기판(SUB)을 구성하는 재료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상기 기판(SUB)과 상기 지지층(SP)은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다른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SP)은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 alcohol),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폴리에테르술폰(polyethersulfon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에테르이미드(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naph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폴리아릴레이트(polyar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트리아세테이트 셀룰로오스(WRiacetate cellulose),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폴리아미드(polyamide), 폴리아믹산(polyamic acid),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폴리스티렌(polystyrene), 폴리노르보르넨(polynorbornene), 페닐말레이미드 공중합체(polymaleimide copolymer), 폴리아조벤젠(polyazobenzene), 폴리페닐렌프탈아미드(polyphenylenephthalamide), 폴리에스테르(polyester), 신나메이트(cinnamate)계 고분자, 쿠마린(coumarin)계 고분자, 프탈이미딘(phthalimidine)계 고분자, 칼콘(chalcone)계 고분자, 시클로폴리올레핀계 고분자 및 방향족 아세틸렌계 고분자 물질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지층(SP)은 재료에 따라 다양한 굴절률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층(SP)이 단층 또는 복층으로 형성되는 경우, 상기 지지층(SP)은 굴절률 매칭층(Index Matching Layer)을 더 포함하거나, 그 자체가 굴절률 매칭층으로 이용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지지층(SP)은 상기 굴절률 매칭층은 고굴절 재료, 예를 들어 나노파티클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지지층(SP)은 터치 센서(TS) 제조시 분리층으로 기능하는 바, 이에 대해서는 터치 센서(TS)의 제조 방법에서 후술한다.
상기 지지층(SP)과 상기 기판(SUB) 사이에는 상기 기판(SUB)과 상기 지지층(SP)을 서로 연결하는 접착제(ADH)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ADH)은 표시 패널(PP)로부터의 영상이 최대한 투과되는 광학적으로 투명한 접착제(ADH)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판(SUB)와 상기 지지층(SP) 사이에 제공된 접착제(ADH)는 자외선과 같은 광에 의해 경화되는 광경화 접착제일 수 있으며, 경화를 통해 상기 기판(SUB)와 상기 지지층(SP)을 영구적으로 접착시킬 수 있다.
상기 센싱 전극부(SEP)는 지지층(SP)의 터치 영역(TA)에 제공되며, 적어도 1개 이상의 터치 전극을 포함한다.
상기 배선(WR)은 센싱 전극부(SEP)에 신호를 제공하거나, 센싱 전극부(SEP)로부터의 신호를 터치 제어부에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센싱 전극부(SEP)에 연결된다. 상기 배선(WR)은 비터치 영역(NTA)에 제공되며, 일부가 상기 센싱 전극부(SEP)에 연결되도록 터치 영역(TA)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배선(WR)에서 센싱 전극부(SEP)에 연결되지 않은 다른 측 단부에는 인쇄 회로 기판 등에 연결되기 위한 패드(PD)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센싱 전극부(SEP) 및 배선(WR)은 터치 센서(TS)의 종류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센싱 전극부(SEP), 배선(WR), 및 패드(PD)는 상호 정전 용량 방식 또는 자기 정전 용량 방식으로 터치를 감지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터치 전극들은 다각형으로 구현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직사각형, 사다리꼴, 마름모 등의 사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터치 전극들 각각은 원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터치 전극들 각각이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전체적으로 스트라이프 형상을 이룰 수도 있다. 터치 전극들이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경우, 연장되는 방향은 기판의 장변 방향, 또는 단변 방향, 또는 경사진 방향 등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센싱 전극부(SEP), 배선(WR), 및/또는 패드(PD)는 금속, 금속 산화물, 전도성 고분자, 금속 나노와이어,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등의 도전성 물질 중 적어도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금속은 구리, 은, 금, 백금, 팔라듐, 니켈, 주석, 알루미늄, 코발트, 로듐, 이리듐, 철, 루테늄, 오스뮴, 망간, 몰리브덴, 텅스텐, 니오브, 탄탈, 타이타늄, 비스머스, 안티몬, 납, 아연, 및 이들의 합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싱 전극부(SEP), 배선(WR), 및 패드(PD) 중 적어도 하나를 이루는 재료는 은/팔라듐/구리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센싱 전극부(SEP), 배선(WR), 및 패드(PD) 중 적어도 하나를 이루는 재료는 니켈/구리 합금일 수 있다.
상기 도전성 금속 산화물은 상술한 금속의 산화물 이외에,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AZO(Antimony 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ZnO(Zinc Oxide), SnO2(Tin Oxide)와 같은 투명 금속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고분자는 폴리티오펜계, 폴리피롤계, 폴리아닐린계, 폴리아세틸렌계, 폴리페닐렌계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으며, 특히 폴리티오펜계 중에서도 PEDOT/PSS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 센싱 전극부(SEP)가 단층으로 도시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서, 상기 센싱 전극부(SEP), 배선(WR), 및 패드(PD)는 단층 또는 복층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싱 전극부(SEP), 배선(WR), 및 패드(PD)는 각각이 개수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다른 개수의 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센싱 전극부(SEP)는 단일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배선(WR) 및/또는 패드(PD)는 복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센싱 전극부(SEP)의 일부는 단일층으로, 다른 일부는 복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배선(WR) 및/또는 패드(PD)는 복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센싱 전극부(SEP)의 일부는 단일층으로, 다른 일부는 복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배선(WR) 및/또는 패드(PD)는 단일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싱 전극부(SEP), 배선(WR), 및 패드(PD)는 각각이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다른 재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센싱 전극부(SEP), 배선(WR) 및 패드(PD)는 도전성 금속 산화물로만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센싱 전극부(SEP)는 도전성 금속 산화물로, 배선(WR) 및/또는 패드(PD)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센싱 전극부(SEP)는 도전성 금속 산화물로, 배선(WR) 및/또는 패드(PD)는 도전성 금속 산화물과 금속 합금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센싱 전극부(SEP)는 나노와이어로, 배선(WR) 및/또는 패드(PD)는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절연막(INS)은 기판(SUB) 상에 제공된다. 상기 절연막(INS)은 특히 상기 터치 영역(TA)에서 상기 센싱 전극부(SEP)를 커버하며, 상기 비터치 영역(NTA)에서 상기 지지층(SP)의 일부를 커버한다. 상기 절연막(INS)는 다양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절연막(INS)는 약 1 마이크로미터 내지 약 10 마이크로미터의 두께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은 약 3 내지 약 4 마이크로 미터의 두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절연막(INS)은 상기 배선(WR)의 단부에 연결된 패드(PD)를 노출하는 개구(OPN)를 갖는다. 즉, 상기 개구(OPN)는 패드(PD)가 제공된 영역에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개구(OPN)가 사각형 형태로 하나로 제공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패드(PD)를 충분히 노출하는 한도 내에서 다른 형상과 다른 개수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패드(PD)는 상기 개구(OPN)를 통해 별도의 배선,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커넥터, 또는 칩 온 필름 등을 통해 센서 제어부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패드(PD)는 상기 개구(OPN)에 배치된 이방성 도전 필름 등을 통해 다른 구성 요소와 연결될 수 있다.
비터치 영역(NTA)에서 상기 절연막(INS)의 일부가 제거된 트렌치(TCH)를 갖는다. 상기 트렌치(TCH)에 해당하는 영역의 지지층(SP) 상에는 절연막(INS)이 제공되지 않으므로 지지층(SP)의 상면이 노출된다.
상기 트렌치(TCH)에 해당하는 영역의 지지층(SP) 상에는 절연막(INS)이 제공되지 않는다. 상기 트렌치(TCH)의 폭은 절연막의 높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나, 약 30 마이크로미터 내지 약 70마이크로미터일수 있으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약 50마이크로미터일 수 있다. 트렌치(TCH)가 상기 범위의 폭을 갖도록 형성함으로써, 후술하는 롤-투-롤 압착 전사 공정에서 절연막이 제공되지 않은 부분의 접착제(ADH) 미도포 또는 불충분 도포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트렌치(TCH)가 상기 범위의 폭을 가짐에 따라, 트렌치(TCH) 부분에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상기 트렌치(TCH)는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 터치 영역(TA)의 둘레를 따라 제공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절연막(INS)은 상기 트렌치(TCH)를 사이에 두고 두 개의 절연막(INS1, INS2)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트렌치(TCH)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절연막(INS1, INS2) 중 터치 영역(TA)을 커버하는 절연막을 제1 절연막(INS1)이라고 하고, 나머지 하나의 절연막을 제2 절연막(INS2)이라고 하면, 상기 제2 절연막(INS2)은 상기 제1 절연막(INS1)의 외측에서 상기 제1 절연막(INS1)의 둘레를 따라 제공된다.
상기 제1 절연막(INS1)과 상기 제2 절연막(INS2)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갖는다. 상기 제2 절연막(INS2)은 비터치 영역(NTA) 단부에서의 절연막(INS)의 높이를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로 작용하는 바, 터치 센서의 제조 공정 중 롤-투-롤 방식으로 터치 센서(TS)를 압착 전사하는 과정에서 접착제(ADH)의 미도포 또는 불충분 도포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절연막(INS)은 또한 상기 패드(PD)가 형성된 영역에서 상기 패드(PD)의 상면을 노출하는 개구(OPN)를 갖는다. 상기 개구(OPN)는 비터치 영역(NTA)의 상기 제1 절연막(INS1)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개구(OPN)를 통해 상기 패드(PD)는 다른 별도의 배선(WR),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커넥터, 또는 칩 온 필름 등을 통해 센서 제어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절연막(INS)은 유기물, 및 무기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단층 또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유기막의 재료로는 상기 지지층을 구성하는 유기 재료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의 재료로는 상기 유기 재료 이외에도 테프론과 같은 불소계 탄소 화합물, 폴리에폭시, 벤조시클로부텐 등과 같은 유기 재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무기막의 재료로는 폴리실록산,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알루미늄 산화물을 포함한 금속 산화물 등의 무기 절연 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INS) 상에는 접착제(ADH)를 사이에 두고 보호 필름(PRT)이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접착제(ADH)의 두께가 보호 필름(PRT)의 두께와 크게 차이나지 않도록 도시되었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실제 제품에서는 보호 필름(PRT)의 두께가 접착제(ADH)의 두께보다 두꺼울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PRT)은 상기 터치 센서(TS)를 제조하는 공정 중, 및/또는 상기 터치 센서(TS)의 제조 후 사용자에게 전달되기 전까지, 상기 터치 센서(TS)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터치 센서(TS)는 완제품 또는 완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중간 단계의 제품일 수 있다.
상기 접착제(ADH)는 상기 터치 센서(TS)의 표면을 보호하는 보호 필름(PRT)에 제공되어 상기 표시 장치의 서로 인접한 다른 구성 요소들과의 사이에서 구성 요소들 사이를 접착시키는 접착제(ADH)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ADH)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 에폭시, 실리콘 및 아크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절연막(INS)과 상기 보호 필름(PRT) 사이의 접착제(ADH)는 두 구성 요소를 물리적으로는 결합하되 화학적으로는 결합되지 않아 박리가 가능한 감압형 접착제일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PRT)은 피착체의 일면에 점착되어 피착체를 보호한다. 상기 보호 필름(PRT)은 상기 터치 센서(TS)가 다른 구성 요소에 부착될 때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접착제(ADH)는 상기 보호 필름(PRT)이 제거될 때 상기 보호 필름(PRT)과 함께 동시에 제거될 수 있다. 패드(PD)는 상기 보호 필름(PRT)과 상기 접착제(ADH)가 동시에 제거된 후, 별도의 배선(WR),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커넥터, 또는 칩 온 필름 등과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보호 필름(PRT)만 제거되고 상기 접착제(ADH)는 상기 터치 센서 상에 그대로 남아 있을 수 있으며, 상기 접착제(ADH) 상에 다른 구성 요소가 부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보호 필름(PRT)이 제거됨으로써 상기 접착제(ADH)층의 일면이 노출되며, 상기 노출된 접착제(ADH)층을 다른 구성 요소에 부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보호 필름(PRT)과 상기 접착제(ADH)는 상기 패드(PD)를 제외한 부분에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보호 필름(PRT)은 피착체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면 족하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보호 필름(PRT)은 예를 들어, 금속 시트, 유기 고분자 시트, 고무 시트, 등 다양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호 필름(PRT)은 유기 고분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유기 고분자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올레핀계 중합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염화비닐, 아세트산비닐계 중합체, 폴리페닐렌술피드; 폴리아미드(나일론), 폴리아미드, 폴리이미드,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보호 필름(PRT)은 피착체를 보호하는 한도 내에서 상술한 기판(SUB)의 재료, 지지층(SP)의 재료, 또는 절연막(INS) 재료 등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에 있어서, 트렌치(TCH)를 갖는 절연막(INS)은 평면 상에서 볼 때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상술한 실시예와 다른 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설명하지 않은 부분은 상술한 실시예에 따른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센서를 도시한 평면도들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절연막은 비터치 영역(NTA)에서 절연막의 일부가 제거된 트렌치(TCH)를 가지며, 상기 트렌치(TCH)는 복수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트렌치(TCH)가 두 개로 형성된 것이 일 예로서 도시되었다.
상기 트렌치(TCH)에 해당하는 영역의 지지층(SP) 상에는 절연막이 제공되지 않는다. 상기 트렌치(TCH)의 폭은 롤-투-롤 압착 전사 공정에서 절연막이 제공되지 않은 부분의 접착제(ADH) 미도포 또는 불충분 도포를 방지하기 위한 정도의 폭으로 제공된다. 롤-투-롤 압착 전사 공정은 후술한다.
상기 트렌치(TCH)는 터치 영역(TA)의 둘레를 따라 제공된 내측 트렌치(TCH)와 외측 트렌치(TCH')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절연막은 상기 내측 트렌치(TCH)와 외측 트렌치(TCH')에 의해 서로 이격된 3개의 절연막(INS1, INS2', INS2")을 갖는다. 가장 내측의 절연막(INS1)은 터치 영역(TA)을 전부 커버하며 터치 영역(TA)의 둘레를 따라 비터치 영역(NTA)의 일부를 커버한다. 중간의 절연막(INS2')은 가장 내측의 절연막(INS1)의 둘레를 따라 닫힌 고리 형상으로 가장 내측의 절연막(INS1)을 둘러싼다. 외측의 절연막(INS2")은 중간의 절연막(INS2')의 둘레를 따라 닫힌 고리 형상으로 중간의 절연막(INS2')을 둘러싼다.
도 4b를 참조하면, 절연막은 비터치 영역(NTA)에서 절연막의 일부가 제거된 트렌치(TCH)를 가지며, 상기 트렌치(TCH)에는 공기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공기 배출구(air path; AR)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공기 배출구(AR)는 하나 또는 2 개 이상의 개수로 제공될 수 있으며, 그 위치 또한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트렌치(TCH)에 연결된 공기 배출구(AR)는 롤-투-롤 압착 전사 공정에서 절연막이 제공되지 않은 부분에서의 공기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게 한다. 트렌치(TCH) 내에 공기층 또는 공기 방울이 불균일하게 존재하는 경우, 롤-투-롤 압착 전사 공정 시 접착제의 불균일 도포를 야기할 수 있는 바, 상기 공기 배출구(AR)는 공기가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되게 함으로써 불균일한 접착제 도포를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를 도시한 단면도들로서, 도 2의 I-I'선에 대응하는 단면도들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에 있어서, 절연막(INS)이 복층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복층으로 제공된 절연막(INS)은 2중층, 또는 3중층 이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트렌치(TCH)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제1 절연막(INS1)과 제2 절연막(INS2)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설명한다.
상기 제1 절연막(INS1)은 센싱 전극부(SEP) 상에 제공되며,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서브 절연막(INS1a)과 제2 서브 절연막(INS1b)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절연막(INS2) 또한 순차적으로 적층된 제1 서브 절연막(INS2a)과 제2 서브 절연막(INS2b)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절연막(INS1)에 있어서, 상기 제1 서브 절연막(INS1a)은 상기 센싱 전극부(SEP) 상에 제공되며, 상기 센싱 전극부(SEP)를 커버한다. 상기 제2 서브 절연막(INS1b)은 상기 제1 서브 절연막(INS1a) 상에 제공된다. 상기 제1 서브 절연막(INS1a)과 상기 제2 서브 절연막(INS1b)은 터치 영역(TA)에서 중첩한다. 상기 제1 서브 절연막(INS1a)과 상기 제2 서브 절연막(INS1b)은 비터치 영역(NTA)에서 적어도 일부가 중첩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2 서브 절연막(INS1b)이 제1 서브 절연막(INS1a)의 일부와 중첩한 것을 도시하였다. 이 때, 평면상에서 볼 때 제2 서브 절연막(INS1b)의 크기가 제1 서브 절연막(INS1a)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 서브 절연막(INS1a)과 상기 제2 서브 절연막(INS1b)의 크기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b를 참조하면, 평면상에서 볼 때 제2 서브 절연막(INS1b)의 크기가 제1 서브 절연막(INS1a)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서브 절연막(INS1a)의 크기가 상기 제2 서브 절연막(INS1b)의 크기보다 작게 형성되되, 제2 서브 절연막(INS1b)이 상기 제1 서브 절연막(INS1a)의 상면 및 측면을 모두 커버할 수 있다. 이에 더해,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서브 절연막(INS1a)과 제2 서브 절연막(INS1b)은 동일한 크기 및 동일한 형태로 제공되어 완전히 중첩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서브 절연막(INS1a)의 단부와 상기 제2 서브 절연막(INS1b)의 단부는 서로 일치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절연막(INS2)도 제1 절연막(INS1)과 유사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서브 절연막(INS2a)은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 터치 센서의 단부 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2 서브 절연막(INS2b)은 상기 제1 서브 절연막(INS2a) 상에 제공된다. 상기 제2 절연막(INS2)에 있어서도, 상기 제1 서브 절연막(INS2a)은 상기 제1 절연막(INS1)의 적어도 일부와 중첩하며, 본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절연막(INS1)의 제2 서브 절연막(INSb)과 제2 절연막(INS2)의 제2 서브 절연막(INS2b) 사이의 트렌치(TCH)의 폭은 제1 절연막(INS1)의 제1 서브 절연막(INS1a)과 제2 절연막(INS2)의 제1 서브 절연막(INS2a)의 트렌치(TCH)의 폭과 같거나 다를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의 실시예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절연막(INS1)의 제2 서브 절연막(INSb)과 제2 절연막(INS2)의 제2 서브 절연막(INS2b) 사이의 트렌치(TCH)의 폭은 제1 절연막(INS1)의 제1 서브 절연막(INS1a)과 제2 절연막(INS2)의 제1 서브 절연막(INS2a)의 트렌치(TCH)의 폭보다 좁거나 넓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서브 절연막(INS1a)과 상기 제2 서브 절연막(INS1b)의 두께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서브 절연막(INS1a)의 두께보다 상기 제2 서브 절연막(INS1b)의 두께는 다를 수 있다. 도 5d를 참조하면, 센싱 전극부(SEP)상에 제공되는 제1 절연막(INS1)의 제2 서브 절연막(INS1b)의 두께는 제1 절연막(INS1)의 상기 제1 서브 절연막(INS1a)의 두께보다 크게 제공될 수 있다. 제2 절연막(INS2)의 제1 및 제2 서브 절연막(INS2a, INS2b)의 두께 또한 제1 절연막(INS1)과 동일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념에 반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일부 변형되거나 실시예들끼리 서로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제1 절연막(INS1)과 제2 절연막(INS2)의 높이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다른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도 5a에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절연막(INS1)에 있어서 제1 및 제2 서브 절연막(INS1a, INS1b)의 두께가 도 5d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유사하게 달리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터치 센서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터치 센서 중 도 2에 도시된 터치 센서를 제조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도 6a 내지 도 6g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를 제조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의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터치 센서를 형성하는 경우를 일예로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모기판 상에 복수 개의 터치 센서를 형성한 후 모기판을 절단함으로써 터치 센서를 형성할 수 있다. 모기판의 절단 공정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a를 참조하면, 캐리어 기판(CR) 상에 지지층(SP)이 형성된다.
상기 캐리어 기판(CR)은 그 상면에 터치 센서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유리나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지지층(SP)은 터치 센서를 이루는 센싱 전극부(SEP), 배선(미도시), 및 패드(미도시) 등을 그 상면에 형성하기 위한 층으로서, 터치 센서를 제조한 후, 상기 캐리어 기판(CR)으로부터 상기 터치 센서를 용이하게 분리하기 위하여 형성된다.
상기 지지층(SP)은 캐리어 기판(CR) 상에 유기 고분자 재료를 형성하고 경화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지지층(SP)은 단층 또는 복층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층으로 형성될 시에는 복수 회에 걸쳐 반복될 수 있다.
상기 지지층(SP)은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층(SP)은, 프린팅 방식, 코팅 방식, 디스펜싱 방식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층(SP)은 스크린 프린팅, 잉크젯 프린팅 및 노즐 프린팅 등의 프린팅 방식, 슬릿 코팅, 스핀 코팅 및 분사 코팅 등의 코팅 방식, 디스펜서를 이용하는 디스펜싱 방식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팅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지지층(SP)은 상기한 방법을 통해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는 바, 기존 발명에 비해 매우 얇은 두께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 기판(CR)과 경화된 지지층(SP)은 서로 접촉된 상태이며 정전기나 반데르발스 힘 등에 의해 서로 부착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캐리어 기판(CR)과 상기 지지층(SP)은 접착되었다고 하였으나, 상기 접착의 의미는 서로 표면이 접촉하고 있되, 서로 화학적으로 결합(예를 들어, 공유 결합)되어 분리되지 않은 상태가 되는 것을 제외한다. 또한, 캐리어 기판(CR)과 지지층(SP) 사이에는 공기층 이외에 별도의 접착제(ADH)와 같은 별도의 층이 개재되지 않는다. 상기 캐리어 기판(CR)과 상기 지지층(SP) 외부로부터 힘이 가해지는 경우 손상없이 용이하게 분리될 수 있는 상태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지지층(SP) 상에 센싱 전극부(SEP)가 형성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센싱 전극부(SEP)와 함께 배선 및/또는 패드가 함께 또는 별개로 형성될 수 있다. 센싱 전극부(SEP), 배선, 및 패드는 화학 기상 증착, 물리적 기상 증착, 프린팅, 도금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 전극부(SEP), 배선, 및 패드는 화학적 기상 증착을 이용하여 도전층을 형성하고 포토리소그래피로 도전층을 패터닝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센싱 전극부(SEP) 등이 형성된 기판 상에 절연막(INS)이 형성된다. 상기 절연막(INS)은 비터치 영역에서 상기 절연막(INS)의 일부가 제거된 트렌치(TCH)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트렌치(TCH)에 해당하는 영역의 지지층(SP) 상에는 절연막(INS)이 제공되지 않으므로 지지층(SP)의 상면이 노출된다.
상기 트렌치(TCH)는 평면 상에서 볼 때 상기 터치 영역의 둘레를 따라 제공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절연막(INS)은 상기 트렌치(TCH)를 사이에 두고 이격된 제1 및 제2 절연막(INS1, INS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 절연막(INS2)은 상기 제1 절연막(INS1)의 외측에서 상기 제1 절연막(INS1)의 둘레를 따라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절연막(INS)은 비터치 영역 중 패드에 대응하는 영역에 상기 배선의 단부에 연결된 패드를 노출하는 개구를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개구를 통해 상기 패드의 상면이 노출된다.
상기 절연막(INS)은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절연막(INS)은, 프린팅 방식, 코팅 방식, 디스펜싱 방식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절연막(INS)은 스크린 프린팅, 잉크젯 프린팅 및 노즐 프린팅 등의 프린팅 방식, 슬릿 코팅, 스핀 코팅 및 분사 코팅 등의 코팅 방식, 디스펜서를 이용하는 디스펜싱 방식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팅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절연막(INS)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TCH) 및 개구는 캐리어 기판(CR)의 전면상에 절연막(INS)을 형성한 후 포토리소그래피를 이용하여 패터닝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또는, 상기 트렌치(TCH) 및 개구는 프린팅, 코팅, 디스펜싱 시 트렌치(TCH)나 개구가 형성될 영역을 제외한 부분에만 절연막(INS)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절연막(INS1)과 상기 제2 절연막(INS2)은 상기한 바와 같이 단일 공정에서 제조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절연막(INS1)과 제2 절연막(INS2)은 동일한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절연막(INS1)과 제2 절연막(INS2)은 실질적으로 서로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 절연막(INS1)과 상기 제2 절연막(INS2)은 다른 공정에서 별도로 제조될 수 있는 바, 이 경우에도 제1 절연막(INS1)과 제2 절연막(INS2)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도 6d를 참조하면, 절연막(INS) 등이 형성된 캐리어 기판(CR) 상에 접착제(ADH)를 사이에 두고 보호 필름(PRT)이 부착된다. 상기 보호 필름(PRT)과 접착제(ADH)는 제1 롤러(R1)를 이용하여 부착될 수 있다. 즉, 제1 롤러(R1)를 이용하여 접착제(ADH)와 보호 필름(PRT)을 절연막(INS) 등이 형성된 캐리어 기판(CR) 상에 압착함으로써 보호 필름(PRT)을 절연막(INS) 상에 부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착제(ADH)는 트렌치(TCH)와 개구 내부를 전부 또는 적어도 일부 충진할 수 있다.
도 6e를 참조하면, 터치 센서 공정을 진행하기 위해 사용된 캐리어 기판(CR)이 제거된다. 상기 캐리어 기판(CR)을 제거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리프트오프나 필오프 방법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캐리어 기판(CR)이 제2 롤러(R2)를 이용하여 지지층(SP)과 캐리어 기판(CR)을 분리하는 방식으로 수행된다.
도 6f를 참조하면, 상기한 방식으로 제조된 터치 센서는 기판(SUB) 상에 접합된다. 상기 터치 센서는 접착제(ADH)를 사이에 두고 기판(SUB) 상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제3 롤러(R3)와 제4 롤러(R4)를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하고, 제3 롤러(R3)와 제4 롤러(R4) 사이로 접착제(ADH)가 형성된 기판(SUB)과 터치 센서를 압착시키면서 통과시킴으로써 기판과 터치 센서를 부착한다. 즉, 상기 터치 센서는 롤-투-롤 방식으로 캐리어 기판(CR)으로부터 분리되어 기판(SUB) 상에 전사된다. 여기서, 상기 기판(SUB)은 상기 터치 센서를 부착하고자 하는 구성 요소일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표시 패널, 기능성 필름, 윈도우 등의 다양한 구성 요소가 사용될 수 있다.
도 6g를 참조하면, 상기한 공정을 통해 기판 상에 터치 센서가 부착된 최종 결과물이 완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 방법에 있어서, 터치 센서는 개별적으로 하나씩 형성될 수 있으나, 복수 개의 터치 센서를 동시에 형성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 개의 터치 센서를 동시에 제조하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 개의 터치 센서를 동시에 형성한다는 것을 설명하기 위해 6개의 터치 센서를 형성하기 위한 모기판(M_SUB)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개수의 터치 센서를 형성하기 위해 다양한 크기의 모기판(M_SUB)이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대형 모기판(M_SUB)에 복수 개의 터치 센서를 동시에 형성한다는 면에서 일부 차이가 있으나, 각 모기판(M_SUB) 상에 형성되는 구성요소는 상술한 개별 터치 센서의 구성요소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제조 방법 또한 복수 개의 터치 센서를 동시에 형성하기 위해 캐리어 기판(CR), 지지층(SP) 등의 크기가 대형으로 준비된다는 것 이외의 차이는 실질적으로 없다. 상기 모기판(M_SUB)은 개별적인 터치 센서들을 형성하기 위한 단위 영역(UNT)을 가지며, 각 단위 영역(UNT) 내에 터치 센서가 형성된다. 상기 각 단위 영역(UNT)은 이후 절단선(CT)을 따라 절단되며 이에 따라 복수 개의 터치 센서가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이를 도 6a 내지 도 6f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모기판(M_SUB)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의 캐리어 기판(CR)이 준비될 수 있다. 상기 캐리어 기판(CR)상에는 지지층(SP)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층(SP)은 제조하고자 하는 터치 센서의 개수에 따른 복수 개의 단위 영역(UNT)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지지층(SP)의 단위 영역(UNT)에는 각각 센싱 전극부(SEP), 배선, 및 패드 등이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단위 영역(UNT)들 각각에는 트렌치(TCH)를 갖는 절연막(INS)이 형성된다. 각각의 절연막(INS) 상에 모기판(M_SUB)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크기의 보호 필름(PRT)이 접착제(ADH)를 사이에 두고 접착되고, 다음으로 캐리어 기판(CR)이 제거된다. 캐리어 기판(CR)이 제거된 터치 센서들은 모기판(M_SUB)에 접착제(ADH)를 사이에 두고 접착된다. 모기판(M_SUB) 상에 형성된 각 터치 센서들은 커터나 레이저 등을 이용하여 개별 터치 센서로 절단됨으로써 최종적인 터치 센서가 완성된다.
상기한 구조를 가지며 상기한 방식으로 제조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는 기존 발명에 비해 결함이 감소되는 바, 이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기존 발명에 따르면, 센싱 전극부를 덮는 절연막은 지지층의 단부까지 연장되었다. 이 경우 모기판의 절단 공정 등에서 절연막의 단부에 크랙 등의 결함이 발생할 수 있으며, 상기 결함을 통해 외부 기체(예를 들어, 산소)나 습기 등이 내부로 침투함으로써 센싱 전극부, 배선, 패드 등의 변성이 일어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즉, 센싱 전극부, 배선, 패드 등의 ITO가 부식되거나, 금속이 산화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며, 이는 결국 저항 증가, 배선 사이의 쇼트, 터치 감지 저하 등으로 이어진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절연막을 터치 영역을 커버하되 단부 측에는 형성하지 않는 경우에는, 롤-투-롤 공정에서의 압착 전사시에 절연막이 없는 부분에 단차가 발생하며, 이러한 단차 차이로 인해 접착제가 적게 도포되거나 미도포되는 현상이 발생하였다. 이는 롤-투-롤 방식에서 터치 센서의 전사시 압착에 의해 접착제가 외측으로 밀림으로써 접착제가 불충분 도포 또는 미도포되기 때문으로서, 터치 센서의 단부 영역에서 결국 기판과 터치 센서 사이의 접착제 두께의 감소로 이어진다. 기판과 지지층 사이에 접착제의 두께가 감소하는 경우, 터치 센서의 인장력이 감소한다. 접착제의 경우 소정의 탄성력을 가지고 있으며 굽힘 등의 외부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일반적이나, 접착제의 두께가 너무 작은 경우 탄성력이 감소하고 외부 스트레스를 완화하기 어렵게 된다. 그 결과, 센싱 전극부, 배선, 패드 등에는 외부로부터 인가되는 스트레스에 의해 크랙이 형성되는 등의 결함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약 500 gF/cm의 스트레스에도 배선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더해, 기판과 지지층 사이가 쉽게 탈리될 뿐만 아니라, 지지층이 기판으로부터 쉽게 들림으로써 지지층 상의 센싱 전극부, 배선, 패드 등에 외부 기체나 습기 등이 내부로 쉽게 침투하게 된다. 그 결과, 터치 센서의 단부 부분의 센싱 전극부, 배선 패드 등의 변성이 일어나는 문제가 발생하며, 이 경우 역시 저항 증가, 배선 사이의 쇼트, 터치 감지 저하 등으로 이어진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트렌치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제1 절연막과 제2 절연막을 형성함으로써, 상술한 결함이 예방된다.
본 발명의 경우, 센싱 전극부 등을 커버하는 제1 절연막을 형성하되, 상기 제1 절연막이 터치 센서의 외측 단부에는 형성되지 않으며, 센싱 전극부 등을 커버하는 제1 절연막이 외측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절단 공정 등이 수행될 때 제1 절연막에 크랙과 같은 결함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에 더해, 터치 센서의 외곽을 따라 제2 절연막이 제공되되, 제1 절연막과 제2 절연막의 높이가 실질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에 롤-투-롤 방식을 이용한 압착 시에 접착제가 적게 도포되는 현상이 현저하게 감소한다. 이는 제2 절연막이 간격재로 작용함으로써 터치 센서의 단부에서의 압착 시 접착제의 눌림 현상을 감소시키기 때문이다.
하기 표 1은 기존 발명의 터치 센서에 있어서, 고온 및 고습 환경에서의 시간에 따른 터치 센서의 불량 여부 결과를 나타낸 것이며, 하기 표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에 있어서, 고온 및 고습 환경에서의 시간에 따른 터치 센서의 불량 여부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표 1 및 표 2에 사용된 터치 센서는 다른 조건은 모두 동일하되, 절연막의 형상만 달리 제조되었다. 표 1 및 표 2에 사용된 터치 센서의 센싱 전극부는 ITO 단일막으로 형성되었으며, 배선은 ITO막과 알루미늄/팔라듐/구리 합금막의 이중막으로 형성되었다.
표 1의 터치 센서의 경우, 절연막이 터치 센서의 단부까지 연장되지 않도록 제조되었으며, 절연막이 트렌치를 포함하지 않도록 제작되었다. 반면, 표 2의 터치 센서의 경우 제1 절연막의 형태는 표 1의 터치 센서와 동일하되, 터치 센서의 단부에 제1 절연막과 트렌치를 사이에 두고 이격된 제1 절연막을 가지도록 제조되었다. 터치 센서의 불량은 ITO막 및 브릿지의 부식과 및 배선의 단선 및 합선 등에 의한 불량 여부로 평가하였다.
시간 (hrs.) 120 240 360 500
표본 개수 80 80 80 78
불량 개수 0 2 0 9
시간 (hrs.) 120 240 360 500
표본 개수 126 126 126 126
불량 개수 0 0 0 0
표 1 및 표 2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기존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는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 불량이 발생하였으며, 특히, 500시간 이후에는 78개의 표본 중 9개의 터치 센서에서 불량이 발생하였다. 이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터치 센서는 모든 시간에서 불량이 발생하지 않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는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를 도시한 평면도로서, 특히, 센싱 전극부(SEP)의 일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8의 P1 부분을 확대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III-I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는 정전용량 방식으로서 상호 정전 용량 방식 및/또는 자기 정전 용량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호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를 일 예로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먼저 도 9 및 도 10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터치 센서는, 제1 터치 전극들(T1), 제2 터치 전극들(T2), 제1 및 제2 배선(WR1, WR2), 패드들(PD)을 포함한다. 제1 터치 전극들(T1) 및 제2 터치 전극들(T2)은 터치 영역(TA)에 제공된다.
터치 센서의 비터치 영역(NTA)에는 제1 터치 전극들(T1)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배선들(WR1)이 제공될 수 있으며, 또한 제2 터치 전극들(T2)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배선들(WR2)이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배선들(WR1)은 서로 연결된 일련의 제1 터치 전극들(T1)의 일 단에 연결되고, 제2 배선들(WR2) 또한 서로 연결된 일련의 제2 터치 전극들(T2)의 일 단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터치 센서에는 센서 제어부(미도시)가 제공될 수 있다. 센서 제어부는 인쇄 회로 기판, 테이프 캐리어 팩키지, 또는 칩 온 필름 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별도의 배선들(WR), 커넥터 등을 통해 패드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인쇄 회로 기판이나 테이프 캐리어 팩키지 등은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제1 터치 전극들(T1)은, 지지층(SP) 상에, 예컨대 X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일례로, 제1 터치 전극들(T1) 각각은, X 방향을 따라 동일한 행(row)에 배열될 수 있다. 각 행에 배열된 제1 터치 전극들(T1)은 컨택홀(CH)을 통해 X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제1 터치 전극들(T1)을 연결하는 다수의 제1 브릿지(BR1)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터치 전극들(T1)은 제1 배선들(WR1)을 통해 각각의 패드(PD)에 연결된다.
제2 터치 전극들(T2)은 상기 지지층(SP) 상에, 예컨대 Y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일례로, 제2 터치 전극들(T2) 각각은, Y 방향을 따라 동일한 열(column)에 배열될 수 있다. 각 열에 배열된 제2 터치 전극들(T2)은 Y 방향을 따라 서로 인접한 제2 터치 전극들(T2)을 연결하는 다수의 제2 브릿지(BR2)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터치 전극들(T2)은 제2 배선들(WR2)을 통해 각각의 패드(PD)에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브릿지(BR1)들은 해당 행의 제1 터치 전극들(T1)과 분리되지 않는 일체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제2 브릿지(BR2)들은 해당 열의 제2 터치 전극들(T2)과 분리되지 않는 일체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브릿지(BR1)들 및/또는 제2 브릿지(BR2)들은 하나 이상의 브릿지를 포함하는 구조로 변경 실시될 수도 있다.
편의상, 본 실시예에서는 인접한 두 개의 제1 터치 전극들(T1) 사이에는 제1 브릿지(BR1)가 1개, 제2 브릿지(BR2)가 1개인 것이 개시되었으나, 상기 제1 브릿지(BR1) 및 제2 브릿지(BR2)의 수는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 3에서는 제1 및 제2 터치 전극들(T1, T2)을 다이아몬드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이들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2 터치 전극들(T1, T2)은 원형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터치 전극들(T1)이 구동 전극이고, 제2 터치 전극들(T2)이 수신 전극인 경우, 제1 터치 전극들(T1)은 각각의 패드(PD)를 통해 센서 제어부로부터 구동신호를 입력받고, 제2 터치 전극들(T2)은 각각의 패드(PD)를 통해 사용자의 터치로 인한 감지신호를 센서 제어부로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도시된 실시예의 터치 센서는 상호 정전 용량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제1 및 제2 터치 전극들(T1, T2)을 각각 X 및 Y 방향을 따라 배치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제1 전극(EL1)들 및/또는 제2 터치 전극들(T2)은 X 및 Y 방향 이외의 방향, 예를 들어, 사선 방향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제1 터치 전극들(T1) 및 제2 터치 전극들(T2) 중 적어도 일부는 세선(細線)들로 이루어진 메쉬(mesh)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터치 전극들(T1), 제2 터치 전극들(T2) 중 적어도 하나는, 한 층 이상의 메쉬형 도전층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터치 전극들(T1), 제2 터치 전극들(T2) 중 적어도 하나는 평면 상에서 볼 때 서로 다른 방향들로 연장되는 세선들이 서로 교차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교차 지점에서 세선들끼리 서로 연결된다. 달리 설명하면, 상기 제1 및 제2 터치 전극들(T1, T2)은 평면 상에서 볼 때 그 내부에 다수의 개구(OPN)들이 형성된 형태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또는 제2 터치 전극들(T1, T2)은 각각 도전성 재료를 포함한다. 도전성 재료로는 금속, 금속 산화물, 전도성 고분자, 금속 나노와이어,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금속은 구리, 은, 금, 백금, 팔라듐, 니켈, 주석, 알루미늄, 코발트, 로듐, 이리듐, 철, 루테늄, 오스뮴, 망간, 몰리브덴, 텅스텐, 니오브, 탄탈, 타이타늄, 비스머스, 안티몬, 납, 아연, 및 이들의 합금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금속 산화물은 상술한 금속의 산화물 이외에, ITO(Indium Tin Oxide), IZO(Indium Zinc Oxide), AZO(Antimony Zinc Oxide), ITZO(Indium Tin Zinc Oxide), ZnO(Zinc Oxide), SnO2(Tin Oxide)와 같은 투명 금속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전성 고분자는 폴리티오펜계, 폴리피롤계, 폴리아닐린계, 폴리아세틸렌계, 폴리페닐렌계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으며, 특히 폴리티오펜계 중에서도 PEDOT/PSS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 터치 전극들(T1, T2)은 단일막 또는 다중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브릿지(BR1)는 상술한 제1 및/또는 제2 터치 전극들(T1, T2)의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터치 전극들(T1, T2) 중 하나는 구동 전극, 나머지 하나는 수신 전극일 수 있다. 제1 및 제2 터치 전극들(T1, T2)에 또는 제1 및 제2 터치 전극들(T1, T2) 근처에 사용자의 터치가 있는 경우 구동 전극과 수신 전극 사이의 상호 정전 용량이 변경될 수 있다. 센서 제어부는 구동 전극과 수신 전극 사이의 상호 정전 용량 변화량을 감지함으로써 사용자의 터치 여부 및 터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9 내지 도 10를 참조하여 적층 관계에 따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 터치 전극들(T1), 제2 터치 전극들(T2), 제2 브릿지(BR2), 제1 및 제2 배선(WR1, WR2), 패드들(PD)은 지지층(SP) 상에 제공된다.
지지층(SP)의 하부에는 기판(SUB)이 제공될 수 있으며 지지층(SP)과 기판의 사이에는 접착제(ADH)가 개재될 수 있다.
제1 터치 전극들(T1), 제2 터치 전극들(T2), 제2 브릿지(BR2), 제1 및 제2 배선(WR1, WR2), 패드들(PD) 상에는 제1 서브 절연막 (INS1a, INS2a)이 배치된다. 상기 제1 서브 절연막(INS1a, INS2a)은 트렌치(TCH)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제1 절연막(INS1)의 제1 서브 절연막(INS1a)과, 제2 절연막(INS2)의 제1 서브 절연막(INS2a)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 절연막(INS1)의 제1 서브 절연막(INS1a)에는 제1 터치 전극들(T1)의 상면을 노출하는 컨택홀(CH)이 제공된다.
상기 제1 절연막(INS1)의 제1 서브 절연막(INS1a) 상에는 서로 인접한 제1 터치 전극들(T1)을 연결하는 제1 브릿지(BR1)가 제공된다. 상기 제1 브릿지(BR1)는 컨택홀(CH)을 통해 서로 인접한 제1 터치 전극들(T1)에 각각 연결된다.
상기 제1 서브 절연막(INS1a, INS2a) 상에는 제2 서브 절연막(INS1b, INS2b)이 제공된다. 상기 제2 서브 절연막(INS1b, INS2b)은 트렌치(TCH)를 사이에 두고 서로 이격된 제1 절연막(INS1)의 제2 서브 절연막(INS1b)과, 제2 절연막(INS2)의 제2 서브 절연막(INS2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 서브 절연막(INS1b, INS2b)은 제1 서브 절연막(INS1a, INS2a)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하며, 제1 서브 절연막(INS1a, INS2a)과 제2 서브 절연막(INS1b, INS2b)의 외측 단부는 평면 상에서 볼 때 서로 일치하거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서브 절연막(INS1b, INS2b) 상에는 접착제(ADH)를 사이에 두고 보호 필름(PRT)이 제공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호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센서가 적층된 두 개의 서브 절연막(INS)을 가질 수 있으며, 터치 영역(TA)의 둘레를 따라 형성된 트렌치(TCH)를 사이에 두고 나누어진 제1 절연막(INS1)과 제2 절연막(INS2)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의한 터치 센서는 터치 전극의 상측에 브릿지가 형성된 것을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터치 전극들의 하측에 브릿지가 형성된 구조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1 터치 전극들(T1)과 제2 터치 전극들(T2)이 실질적으로 동일한 층 상에 배치되는 구조를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1 터치 전극들(T1)과 제2 터치 전극들(T2)은 서로 다른 층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는 표시 장치 내에서 다양한 방식으로 채용될 수 있다. 도 11a 내지 도 11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PP), 상기 표시 패널(PP)의 전면에 제공된 윈도우(WD), 및 상기 표시 패널(PP)과 상기 윈도우(WD) 사이에 제공된 터치 센서(TS)를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WD)는 표시 패널(PP)의 형상에 대응하는 판상으로 제공될 수 있으며, 표시 패널(PP)의 전면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한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PP)이 직사각 형상으로 제공되는 경우, 윈도우(WD) 또한 이에 대응하는 직사각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다. 또는 표시 패널(PP)이 원형으로 제공되는 경우, 윈도우(WD) 또한 이에 대응하는 원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윈도우(WD)는 표시 패널(PP)로부터의 영상을 투과시킴과 동시에 외부의 충격을 완화시킴으로써, 외부의 충격에 의해 표시 패널(PP)이 파손되거나 오작동하는 것을 방지한다. 외부로부터의 충격이라 함은 압력, 스트레스 등으로 표현할 수 있는 외부로부터의 힘으로써 표시 패널(PP)에 결함을 야기하는 힘을 의미한다.
윈도우(WD)는 전체 또는 적어도 일부가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WD)는 전체 영역에서 가요성을 가질 수 있으며, 또는 가요성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TS)는 상기 표시 패널(PP)과 상기 윈도우(WD)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TS)는 상기 표시 패널(PP) 상에 접착제를 사이에 두고 접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센서(TS)에서, 기판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가 표시 패널(PP)이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TS)는 상기 윈도우(WD)에 접착제를 사이에 두고 접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센서(TS)에서, 기판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가 윈도우(WD)가 된다.
또는, 상기 실시예들에 있어서, 보호 필름(PRT)은 일시적으로 터치 센서(TS)를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거될 수 있는 바, 터치 센서(TS)의 기판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부의 보호 필름(PRT)을 제거한 후, 접착제를 사이에 두고 보호 필름(PRT) 대신 표시 패널(PP)이나 윈도우(WD)가 부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라, 어느 구성 요소에 부착되느냐, 또는 어느 위치에 배치되느냐에 따라 터치 센서(TS)의 상면과 하면이 반전(反轉)될 수 있다. 그러나, 별도의 배선(WR), 가요성 인쇄 회로 기판,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 커넥터, 또는 칩 온 필름 등이 연결될 수 있도록 패드의 상면을 노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PP), 상기 표시 패널(PP)의 전면에 제공된 윈도우(WD), 상기 표시 패널(PP)과 상기 윈도우(WD) 사이에 제공된 터치 센서(TS), 상기 표시 패널(PP)의 외측에 제공된 완충 부재(BF) 및 추가 센서(A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센서(AE)는 사용자의 터치가 있을 때 터치의 압력을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추가 센서(AE)는 다양한 방식의 센서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터치 센서(TS)와의 정전 용량을 감지하는 정전 용량 방식의 센서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추가 센서(AE)는 도전성 재료, 예를 들어, 상술한 센싱 전극부나 배선의 재료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완충 부재(BF)는 상기 터치 센서(TS)와 추가 센서(AE)에 제공될 수 있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표시 패널(PP)과 추가 센서(AE) 사이에 제공된 것을 도시하였다. 상기 완충 부재(BF)는 외부의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충 부재(BF)는 외부로부터의 압력에 의해 변형이 일어나며, 외부로부터의 압력이 제거되면 다시 원 상태로 복원 가능한 탄성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완충 부재(BF) 및/또는 추가 센서(AE)의 배치 위치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1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PP), 상기 표시 패널(PP)의 전면에 제공된 윈도우(WD), 상기 표시 패널(PP)과 상기 윈도우(WD) 사이에 제공된 편광층(POL), 상기 표시 패널(PP)과 편광층(POL) 사이에 제공된 터치 센서(TS)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TS)는 상기 표시 패널(PP)과 상기 편광층(POL)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TS)는 상기 표시 패널(PP) 상에 접착제를 사이에 두고 접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센서(TS)에서, 기판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가 표시 패널(PP)이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TS)는 상기 편광층(POL)에 접착제를 사이에 두고 접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센서(TS)에서, 기판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가 편광층(POL)이 된다.
또는, 상기 실시예들에 있어서, 터치 센서(TS)의 기판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부의 보호 필름(PRT)을 제거한 후, 접착제를 사이에 두고 보호 필름(PRT) 대신 표시 패널(PP)이나 편광층(POL)이 부착될 수 있다.
도 11d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PP), 상기 표시 패널(PP)의 전면에 제공된 윈도우(WD), 상기 표시 패널(PP)과 상기 윈도우(WD) 사이에 제공된 편광층(POL), 상기 편광층(POL)과 윈도우(WD) 사이에 제공된 터치 센서(TS)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TS)는 상기 편광층(POL)과 윈도우(WD)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TS)는 상기 편광층(POL)에 접착제를 사이에 두고 접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술한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센서(TS)에서, 기판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가 편광층(POL)이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TS)는 상기 윈도우(WD)에 접착제를 사이에 두고 접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실시예들에 따른 터치 센서(TS)에서, 기판에 대응하는 구성 요소가 윈도우(WD)가 된다.
또는, 상기 실시예들에 있어서, 터치 센서(TS)의 기판을 유지한 상태에서 상부의 보호 필름(PRT)을 제거한 후, 접착제를 사이에 두고 보호 필름(PRT) 대신 편광층(POL)이나 윈도우(WD)가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치 센서는 다양한 표시 장치에 채용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다양한 전자 기기에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는 텔레비젼, 노트북,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패드, 피엠피(PMP), 피디에이(PDA), 내비게이션, 스마트 워치와 같은 각종 웨어러블 기기 등에 적용되는 소자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INS : 절연막 NTA : 비터치 영역
PD : 패드 PP : 표시 패널
SEP : 센싱 전극부 SUB : 기판
TA : 터치 영역 TCH : 트렌치
TS : 터치 센서 WR : 배선

Claims (20)

  1. 터치 영역과 상기 터치 영역을 둘러싸는 비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지지층;
    상기 지지층 상의 터치 영역에 제공된 센싱 전극부; 및
    상기 터치 영역 및 상기 비터치 영역의 일부를 커버하는 절연막을 포함하며,
    상기 절연막은 상기 비터치 영역에서 상기 터치 영역의 둘레를 따라 제공된 트렌치를 갖는 터치 센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은 상기 트렌치를 사이에 두고 터치 영역 측에 제공된 제1 절연막과 상기 제1 절연막의 외측에 제공된 제2 절연막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절연막 중 적어도 하나는 복층으로 제공된 터치 센서.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은 상기 지지층 상에 제공된 제1 서브 절연막과 상기 제1 서브 절연막을 커버하는 제2 서브 절연막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전극부는 제1 터치 전극들, 상기 제1 터치 전극과 이격되며 상기 제1 터치 전극들과 정전 용량을 형성하는 제2 터치 전극들을 포함하는 터치 센서.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센싱 전극부는 서로 인접한 상기 제1 터치 전극들을 연결하는 제1 브릿지, 서로 인접한 상기 제2 터치 전극들을 연결하는 제2 브릿지를 포함하는 터치 센서.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은 상기 제1 및 제2 터치 전극들 상에 순차적으로 제공된 제1 서브 절연막과 제2 서브 절연막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 브릿지 중 하나는 상기 제1 서브 절연막 상에 제공된 터치 센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의 외측에 제공된 기판을 더 포함하는 터치 센서.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은 표시 패널, 편광층, 및 윈도우 중 하나인 터치 센서.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는 복수 개로 제공되는 터치 센서.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 상에 제공된 보호 필름을 더 포함하는 터치 센서.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는 공기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치 센서.
  13.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상면에 제공된 터치 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터치 센서는
    터치 영역과 상기 터치 영역을 둘러싸는 비터치 영역을 포함하는 지지층;
    상기 지지층 상의 터치 영역에 제공된 센싱 전극부; 및
    상기 터치 영역 및 상기 비터치 영역의 일부를 커버하는 절연막을 포함하며,
    상기 절연막은 상기 비터치 영역에서 상기 터치 영역의 둘레를 따라 제공된 트렌치를 갖는 표시 장치.
  14.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지지층은 접착제를 사이에 두고 서로 접착된 표시 장치.
  15.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 상에 제공된 윈도우를 더 포함하며,
    상기 지지층은 상기 윈도우와 상기 표시 패널 중 어느 하나와 접착제를 사이에 두고 서로 접착된 표시 장치.
  16.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상에 제공된 윈도우, 및 상기 표시 패널과 상기 윈도우 사이에 제공된 편광층을 더 포함하며,
    상기 터치 센서는 상기 윈도우와 편광층 사이 또는 상기 편광층과 상기 표시 패널 사이에 제공된 표시 장치.
  17. 제1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층은 상기 윈도우, 상기 편광층, 및 상기 표시 패널 중 어느 하나와 접착제를 사이에 두고 서로 접착된 표시 장치.
  18. 제13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막은 상기 트렌치를 사이에 두고 터치 영역 측에 제공된 제1 절연막과 상기 제1 절연막의 외측에 제공된 제2 절연막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절연막과 상기 제2 절연막은 각각 단층 또는 복층으로 제공되는 표시 장치.
  19. 캐리어 기판 상에 지지층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지지층 상에 터치 전극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터치 전극 패턴 상에 절연막을 형성하여 터치 센서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캐리어 기판으로부터 상기 터치 센서를 분리하는 단계; 및
    상기 터치 센서를 기판 상에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절연막은 터치 영역과 상기 터치 영역을 둘러싸는 비터치 영역 상에 형성되며, 상기 절연막은 상기 비터치 영역에서 상기 터치 영역의 둘레를 따라 제공된 트렌치를 갖는 터치 센서 제조 방법.
  20. 제19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센서를 상기 기판 상에 부착하는 단계는 롤-투-롤 방식으로 수행되는 터치 센서 제조 방법.
KR1020170050664A 2017-04-19 2017-04-19 터치 센서,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터치 센서의 제조 방법 KR102376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664A KR102376502B1 (ko) 2017-04-19 2017-04-19 터치 센서,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터치 센서의 제조 방법
US15/863,963 US11023084B2 (en) 2017-04-19 2018-01-07 Touch sensor,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ouch sensor
CN201810311585.7A CN108733253B (zh) 2017-04-19 2018-04-09 触摸传感器、包括其的显示装置及制造触摸传感器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664A KR102376502B1 (ko) 2017-04-19 2017-04-19 터치 센서,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터치 센서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768A true KR20180117768A (ko) 2018-10-30
KR102376502B1 KR102376502B1 (ko) 2022-03-22

Family

ID=63852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664A KR102376502B1 (ko) 2017-04-19 2017-04-19 터치 센서,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터치 센서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023084B2 (ko)
KR (1) KR102376502B1 (ko)
CN (1) CN108733253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21192B2 (en) 2019-01-30 2021-09-1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37748A (ko) * 2017-06-19 2018-12-2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2346393B1 (ko) * 2017-06-19 2022-01-03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플렉시블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CN108241456B (zh) * 2018-02-01 2021-07-27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触控感测模组及其制作方法以及应用其的触控显示面板
US20190354211A1 (en) * 2018-05-15 2019-11-21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Touch panel and touch display device
US20190377442A1 (en) * 2018-06-12 2019-12-12 Wuhan China Star Optoelectronics Semiconductor Display Technology Co., Ltd. Touch panel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KR20200060603A (ko) * 2018-11-21 2020-06-0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0489017B (zh) * 2019-09-27 2022-08-30 业成科技(成都)有限公司 触控屏、触控显示屏及智能终端
CN113495642A (zh) * 2020-03-19 2021-10-12 义隆电子股份有限公司 触控板及其感应单元
TWI757035B (zh) * 2020-03-19 2022-03-01 義隆電子股份有限公司 觸控板及其感應單元
US11515271B2 (en) * 2021-01-27 2022-11-29 Innolux Corporatio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wire on side surface of substrat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CN114911376A (zh) * 2022-05-31 2022-08-16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触控面板和触控显示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3668A (ko) * 2014-05-20 2015-11-30 헹하오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터치 패널, 배선 구조 및 배선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74308B2 (ja) * 1997-09-02 2004-10-06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積層基板およびこれを用いたデータ入力装置
US7538488B2 (en) * 2004-02-14 2009-05-26 Samsung Mobile Display Co., Ltd. Flat panel display
US9817526B2 (en) * 2010-05-18 2017-11-14 Electric Mirror, Llc Apparatuses and methods for streaming audio and video
KR101341030B1 (ko) * 2012-08-29 2013-12-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5052985A (ja) 2013-09-09 2015-03-19 株式会社ブイ・テクノロジー タッチパネルの製造方法
KR102239840B1 (ko) * 2014-04-28 2021-04-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9304645B2 (en) * 2014-07-02 2016-04-05 Chih-Chung Lin Manufacturing method of touch module
KR101586739B1 (ko) 2014-07-31 2016-01-2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필름 터치 센서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554124B1 (ko) * 2014-10-10 2015-09-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1586736B1 (ko) 2014-11-20 2016-01-2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필름 터치 센서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586740B1 (ko) 2014-11-20 2016-01-20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필름 터치 센서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2312314B1 (ko) * 2015-01-28 2021-10-1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160143899A (ko) * 2015-06-04 2016-12-15 이수정 지능형 원격제어 led 유도등
US20160357291A1 (en) * 2015-06-05 2016-12-08 Innolux Corporation Touch display device
TWI615952B (zh) * 2015-08-07 2018-02-21 Japan Display Inc 顯示裝置及其製造方法
CN105206618B (zh) * 2015-08-26 2018-10-30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阵列基板、显示面板、显示装置及制作方法
CN105739803B (zh) * 2016-02-26 2018-10-1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触摸屏及其制作方法、触摸装置
US20170336895A1 (en) * 2016-05-20 2017-11-23 A D Metro Touch Sensor Regulator Device and Method
KR20180047587A (ko) * 2016-10-31 2018-05-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33668A (ko) * 2014-05-20 2015-11-30 헹하오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터치 패널, 배선 구조 및 배선 구조를 형성하기 위한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21192B2 (en) 2019-01-30 2021-09-14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US11730041B2 (en) 2019-01-30 2023-08-1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including an opening area and sensing electrod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07346A1 (en) 2018-10-25
KR102376502B1 (ko) 2022-03-22
CN108733253A (zh) 2018-11-02
CN108733253B (zh) 2023-10-27
US11023084B2 (en) 2021-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76502B1 (ko) 터치 센서,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터치 센서의 제조 방법
KR102373330B1 (ko) 터치 센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457248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EP2746907B1 (en) Touch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8717333B2 (en) Electrostatic capacity type touch panel, display device and process for producing electrostatic capacity type touch panel
CN107272934B (zh) 触摸面板及触摸面板和柔性印刷电路板的接合结构
CN107037922B (zh)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US10572080B2 (en) Optical touch film,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102542992B1 (ko) 터치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200115751A (ko) 표시 장치
KR20180027722A (ko) 표시 장치
CN107870694A (zh) 显示装置及制造该显示装置的方法
KR20170141115A (ko) 광학 터치 필름,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EP3193243B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283020B1 (ko) 터치 센서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장치
US9323094B2 (en) Touch panel
CN212322239U (zh) 触摸传感器模块、含该模块的窗堆叠结构和图像显示装置
KR102354108B1 (ko) 터치 패널과 연성 인쇄회로기판의 접합 구조체
KR20180016682A (ko) 터치 압력 감지 장치
KR101111090B1 (ko) 정전용량 터치 센서, 이를 이용한 정전용량 터치 패널, 및 정전용량 터치 센서 제조방법
US20230008273A1 (en) Display device
KR20190139734A (ko) 터치 센서 모듈, 이를 포함하는 윈도우 적층체 및 이를 포함하는 화상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