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7664A - 통행 범위 평가 장치, 통행 범위 평가 시스템, 통행 범위 평가 방법, 및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통행 범위 평가 장치, 통행 범위 평가 시스템, 통행 범위 평가 방법, 및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7664A
KR20180117664A KR1020187027883A KR20187027883A KR20180117664A KR 20180117664 A KR20180117664 A KR 20180117664A KR 1020187027883 A KR1020187027883 A KR 1020187027883A KR 20187027883 A KR20187027883 A KR 20187027883A KR 20180117664 A KR20180117664 A KR 201801176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detection
ran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78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80644B1 (ko
Inventor
요시후미 하야카와
도모야 가가
Original Assignee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츠비시 쥬고 기카이 시스템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17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7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06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06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BTICKET-ISSUING APPARATUS; FARE-REGISTERING APPARATUS; FRANKING APPARATUS
    • G07B15/00Arrangements or apparatus for collecting fares, tolls or entrance fees at one or more control points
    • G07B15/06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 G07B15/063Arrangements for road pricing or congestion charging of vehicles or vehicle users, e.g. automatic toll systems using wireless information transmission between the vehicle and a fixed st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3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 G06Q30/0284Time or distance, e.g. usage of parking meters or taximet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17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identifying vehicl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33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a selection of the information might take place
    • G08G1/096741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a selection of the information might take place where the source of the transmitted information selects which information to transmit to each vehicl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7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 G08G1/096766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 G08G1/09677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highway information, e.g. weather, speed limits where the system is characterised by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transmission where the origin of the information is a central station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9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 G08G1/0962Arrangements for giving variable traffic instructions having an indicator mounted inside the vehicle, e.g. giving voice messages
    • G08G1/0968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 G08G1/096855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output is provided in a suitable form to the driver
    • G08G1/096861Systems involving transmission of navigation instructions to the vehicle where the output is provided in a suitable form to the driver where the immediate route instructions are output to the driver, e.g. arrow signs for next tur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tmospheric Sciences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Devices For Checking Fares Or Tickets At Control Point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원에 관한 통행 범위 평가 장치에 있어서, 취득부는 계측 대상인 본선 도로 중 상기 본선 도로와 분기 도로를 접속하는 접속점으로 분할되는 각 검출 에어리어에 설치된 식별 정보 판독 장치로부터 차량을 식별하는 차량 식별 정보를 취득한다. 검출 정보 기록부는 차량 식별 정보와 그 검출 시각과 검출된 검출 에어리어를 관련지은 검출 정보를 검출 정보 기억부에 기록한다. 범위 특정부는, 검출 정보 기억부에 기록된 검출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차량이 통행한 본선 도로 위의 통행 범위를 특정한다.

Description

통행 범위 평가 장치, 통행 범위 평가 시스템, 통행 범위 평가 방법, 및 프로그램
본 발명은 통행 범위 평가 장치, 통행 범위 평가 시스템, 통행 범위 평가 방법, 및 프로그램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6년 3월 31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6-073573호에 대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援用)한다.
유료 도로의 요금 수수 시스템은, 잘못된 차량에 과금 처리가 이루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유료 도로를 통행하는 차량을 확실하게 판별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다. 그 때문에, 전자식 요금 수수 시스템(ETC: Electronic Toll Collection System(등록 상표), 「자동 요금 수수 시스템」이라고도 한다)에서는 확실하게 개별 차량과의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요금소가 싱글 레인(single lane)으로 구획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1에는, 입구 요금소에 있어서 균일한 통행 요금을 징수하고, 출구 요금소에 프리 플로우(free flow) 방식을 채용하여 통행 요금을 감액, 또는 추가 징수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 2005-085046호
요금소가 싱글 레인이 되도록 (비교적 좁은 폭으로) 구획되는 경우, 안전 확보의 관점에서, 당해 요금소를 통과하는 차량에는 유료 도로의 통행 속도보다 낮은 속도로의 통행이 요구된다. 이와 같이, 싱글 레인으로서 구획된 요금소가 설치되는 경우, 그 요금소 주위의 도로의 교통 용량이 저하되어, 원활한 통행이 방해받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본선 도로(本線導路)의 출입구에 싱글 레인으로 구획된 요금소를 설치하지 않고, 각 차량의 본선 도로의 통행 범위를 특정할 수 있는 통행 범위 평가 장치, 통행 범위 평가 시스템, 통행 범위 평가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 1 양태에 의하면, 통행 범위 평가 장치(200)는, 계측 대상인 본선 도로(R1) 중 상기 본선 도로와 분기 도로(分岐道路)(R2, R3)를 접속하는 접속점(P)으로 분할되는 각 검출 에어리어(A)에 설치된 식별 정보 판독 장치(100)로부터 차량(C)을 식별하는 차량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201)와, 차량 식별 정보와 상기 차량 식별 정보의 검출 시각과 상기 차량 식별 정보가 검출된 상기 검출 에어리어를 관련지은 검출 정보를 검출 정보 기억부(206)에 기록하는 검출 정보 기록부(207)와, 상기 검출 정보 기억부에 기록된 상기 검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차량이 통행한 상기 본선 도로 위의 통행 범위를 특정하는 범위 특정부(209)를 구비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통행 범위 평가 장치는, 본선 도로에 설치된 식별 정보 판독 장치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이 통행한 본선 도로 위의 통행 범위를 특정할 수 있다. 또한, 본선 도로의 출구 또는 입구에 싱글 레인으로 구획된 요금소를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출구 또는 입구에서의 교통 용량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양태에 의하면, 제 1 양태에 관한 통행 범위 평가 장치는, 상기 범위 특정부가, 하나의 차량 식별 정보가 마지막으로 취득된 시각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하나의 차량 식별 정보가 다시 취득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접속점 중 마지막으로 상기 하나의 차량 식별 정보가 취득된 상기 검출 에어리어의 하류 측에 인접하는 것을 상기 하나의 차량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차량의 상기 통행 범위의 퇴출 측(退出側)의 끝(端)으로 특정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통행 범위 평가 장치는, 검출 에어리어에 설치된 식별 정보 판독 장치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근거하여, 통행 범위의 퇴출 측의 끝을 특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양태에 의하면, 제 1 또는 제 2 양태에 관한 통행 범위 평가 장치는, 상기 범위 특정부가, 하나의 차량 식별 정보가 취득된 시각부터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하나의 차량 식별 정보가 취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접속점 중 상기 하나의 차량 식별 정보가 취득된 상기 검출 에어리어의 상류 측에 인접하는 것을 상기 하나의 차량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차량의 상기 통행 범위의 진입 측의 끝으로 특정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통행 범위 평가 장치는, 차량이 단시간 동안에 여러 차례 본선 도로에 진입했을 경우에도, 각각의 통행 범위를 특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양태에 의하면, 제 1 내지 제 3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관한 통행 범위 평가 장치는, 상기 범위 특정부가, 하나의 차량 식별 정보가 취득된 검출 에어리어인 제 1 검출 에어리어와 상기 제 1 검출 에어리어에서의 상기 하나의 차량 식별 정보의 검출 직전에 상기 하나의 차량 식별 정보가 검출된 검출 에어리어인 제 2 검출 에어리어가 인접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접속점 중 상기 제 1 검출 에어리어의 상류 측에 인접하는 것을 상기 하나의 차량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차량의 제 1 통행 범위의 진입 측의 끝으로 특정하고, 상기 접속점 중 상기 제 2 검출 에어리어의 하류 측에 인접하는 것을 상기 하나의 차량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차량의 제 2 통행 범위의 퇴출 측의 끝으로 특정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통행 범위 평가 장치는, 검출 에어리어에 설치된 식별 정보 판독 장치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 근거하여, 통행 범위의 진입 측의 끝을 특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 양태에 의하면, 제 1 내지 제 4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관한 통행 범위 평가 장치는 상기 분기 도로에 설치된 식별 정보 판독 장치로부터 차량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보조 취득부(212)를 더 구비하고, 상기 범위 특정부가, 상기 보조 취득부에 의해 하나의 차량 식별 정보가 취득되었을 경우에, 상기 하나의 차량 식별 정보가 취득된 상기 분기 도로에 접속하는 상기 접속점을 상기 하나의 차량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차량의 상기 통행 범위의 끝으로 특정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통행 범위 평가 장치는 통행 범위의 끝을 신속하게 특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6 양태에 의하면, 제 1 내지 제 5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관한 통행 범위 평가 장치는, 이용자가 소유하는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이용자가 이용하는 차량에 의한 상기 본선 도로의 통행에 관한 정보인 통행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213)를 더 구비하고, 상기 범위 특정부가,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통행 정보와 상기 검출 정보 기억부에 기록된 상기 검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통행 범위를 특정한다.
이와 같이, 통행 범위 평가 장치는 식별 정보 판독 장치로부터 얻어지는 정보뿐 아니라, 휴대 단말로부터 얻어지는 정보에도 근거하여 통행 범위를 특정한다. 이것에 의해, 통행 범위 평가 장치는 통행 범위를 보다 확실하게 특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7 양태에 의하면, 제 6 양태에 관한 통행 범위 평가 장치는, 상기 통행 정보가, 상기 이용자가 이용하는 차량이 통행하는 상기 검출 에어리어 또는 상기 분기 도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통행 범위 평가 장치는 통행 범위를 보다 확실하게 특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8 양태에 의하면, 제 6 또는 제 7 양태에 관한 통행 범위 평가 장치는, 상기 통행 정보가, 상기 이용자가 이용하는 차량이 상기 본선 도로로부터 퇴출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범위 특정부가 상기 본선 도로로부터 퇴출한 것을 나타내는 상기 통행 정보의 수신 시각보다 전에 상기 검출 정보 기억부에 기록된 상기 검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통행 범위를 특정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통행 범위 평가 장치는 통행 범위를 신속하게 특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9 양태에 의하면, 제 1 내지 제 8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관한 통행 범위 평가 장치는, 상기 범위 특정부가 특정한 상기 통행 범위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에 부과해야 할 통행 요금을 산출하는 통행 요금 산출부(210)를 더 구비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통행 범위 평가 장치는 각 차량의 통행량을 정밀하게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0 양태에 의하면, 통행 범위 평가 시스템(1)은, 계측 대상인 본선 도로 중 상기 본선 도로와 분기 도로를 접속하는 접속점으로 분할되는 각 검출 에어리어에 설치된 식별 정보 판독 장치(100)와, 제 1 내지 제 9 중 어느 하나의 양태에 관한 통행 범위 평가 장치(20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제 11 양태에 의하면, 통행 범위 평가 방법은, 계측 대상인 본선 도로 중 상기 본선 도로와 분기 도로를 접속하는 접속점으로 분할되는 각 검출 에어리어에 설치된 식별 정보 판독 장치로부터 차량을 식별하는 차량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단계(S202)와, 차량 식별 정보와 상기 차량 식별 정보의 검출 시각과 상기 차량 식별 정보가 검출된 상기 검출 에어리어를 관련지은 검출 정보를 검출 정보 기억부에 기록하는 기록 단계(S104)와, 상기 검출 정보 기억부에 기록된 상기 검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차량이 통행한 상기 본선 도로 위의 통행 범위를 특정하는 범위 특정 단계(S106, S109, S112, S204)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 12 양태에 의하면, 프로그램은, 컴퓨터(900)를, 계측 대상인 본선 도로 중 상기 본선 도로와 분기 도로를 접속하는 접속점으로 분할되는 각 검출 에어리어에 설치된 식별 정보 판독 장치로부터 차량을 식별하는 차량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 차량 식별 정보와 상기 차량 식별 정보의 검출 시각과 상기 차량 식별 정보가 검출된 상기 검출 에어리어를 관련지은 검출 정보를 검출 정보 기억부에 기록하는 검출 정보 기록부, 상기 검출 정보 기억부에 기록된 상기 검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차량이 통행한 상기 본선 도로 위의 통행 범위를 특정하는 범위 특정부로서 기능시킨다.
상기 양태 중 적어도 하나의 양태에 의하면, 통행 범위 평가 장치는 본선 도로의 출입구에 싱글 레인으로 구획된 요금소를 설치하지 않고, 각 차량의 본선 도로의 통행 범위를 특정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3은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장치에 의한 진입단(進入端) 특정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flow chart)이다.
도 4는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장치에 의한 퇴출단(退出端) 특정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장치에 의한 과금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8은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장치에 의한 입퇴출(入退出) 특정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제 3 실시 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도 10은 제 3 실시 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장치에 의한 통행 정보 수신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형태에 관한 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제 1 실시 형태》
이하,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은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시스템(1)은 유료 도로인 본선 도로(R1)를 통행하는 차량(C)에 대해 통행 요금의 과금을 수행하는 시스템이다. 요금 수수 시스템(1)은 통행 범위 평가 시스템의 일례이다. 본선 도로(R1)에는, 본선 도로(R1)의 입구가 되는 입구 도로(R2)와, 본선 도로(R1)의 출구가 되는 출구 도로(R3)가 접속된다. 입구 도로(R2) 및 출구 도로(R3)는 본선 도로(R1)에 접속하는 분기 도로의 일례이다. 이하, 본선 도로(R1) 중, 입구 도로(R2) 및 출구 도로(R3) 중 적어도 한쪽과 접속되는 부분을 접속점(P)이라고 부른다. 접속점(P)은 면적 및 길이를 갖지 않는 수학(數學)상의 점에 한정되지 않고, 일정한 면적 또는 길이를 갖는 지점일 수도 있다. 또한, 본선 도로(R1) 중, 접속점(P)으로 구획되는 에어리어를 검출 에어리어(A)라고 부른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금 수수 시스템(1)은 식별 정보 판독 장치(100) 및 요금 수수 장치(200)를 구비한다.
식별 정보 판독 장치(100)는 각 검출 에어리어(A)에 설치된다. 1개의 검출 에어리어(A)에는, 1개 이상의 식별 정보 판독 장치(100)가 설치된다. 식별 정보 판독 장치(100)는 검출 에어리어(A)를 통행하는 차량(C)으로부터 당해 차량(C)을 식별하는 차량 ID(차량 식별 정보)를 판독한다. 식별 정보 판독 장치(100)의 예로서는 차량(C)의 번호판(number plate)에 표시된 차량 ID를 판독하는 번호판 인식 장치, 및 차량(C)에 탑재된 차재기(車載器)로부터 차량 ID를 판독하는 안테나를 들 수 있다. 차량 ID의 예로서는 번호판 정보, 각 차재기 고유의 차재기 관리 번호, 차량 식별 번호(Vehicle Identification Number) 등을 들 수 있다. 각 검출 에어리어(A)에는, 요구되는 정밀도를 만족하기 위해, 충분한 수의 식별 정보 판독 장치(100)가 설치된다.
요금 수수 장치(200)는, 식별 정보 판독 장치(100)로부터 차량 ID를 취득하고, 취득한 차량 ID에 근거하여, 각 차량(C)에 본선 도로(R1)의 통행 범위에 따른 통행 요금을 과금한다. 요금 수수 장치(200)는 통행 범위 평가 장치의 일례이다. 요금 수수 장치(200)는 원격지(遠隔地)에 설치된다.
(기능 구성)
도 2는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요금 수수 장치(200)는, 취득부(201), 과금 정보 기억부(202), 미등록 차량 판별부(203), 미등록 차량 기억부(204), 미등록 차량 기록부(205), 검출 정보 기억부(206), 검출 정보 기록부(207), 범위 기억부(208), 범위 특정부(209), 통행 요금 산출부(210), 과금 처리부(211)를 구비한다.
취득부(201)는 식별 정보 판독 장치(100)로부터 당해 식별 정보 판독 장치(100)가 판독한 차량 ID를 취득한다.
과금 정보 기억부(202)는 각 차량(C)에 대하여 당해 차량(C)의 차량 ID와 통행 요금의 지불 방법을 관련지어 기억한다. 지불 방법의 예로서는 계좌 번호, 신용 카드(credit card) 번호, 및 청구서의 수신지를 들 수 있다.
미등록 차량 판별부(203)는 취득부(201)가 취득한 차량 ID가 과금 정보 기억부(202)에 기억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미등록 차량 기억부(204)는, 관리자에 의한 통행 요금 미지불 차량(C)의 특정을 위해, 과금 정보 기억부(202)에 지불 방법이 기록되어 있지 않은 차량(C)의 차량 ID를 기억한다.
미등록 차량 기록부(205)는, 미등록 차량 판별부(203)에 의해 차량 ID가 과금 정보 기억부(202)에 기억되어 있지 않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 당해 차량 ID를 미등록 차량 기억부(204)에 기록한다.
검출 정보 기억부(206)는, 차량 ID와, 당해 차량 ID가 검출된 검출 에어리어(A)의 식별 정보인 에어리어 ID와, 당해 차량 ID가 판독된 판독 시각을 관련지은 검출 정보를 기억한다.
검출 정보 기록부(207)는, 취득부(201)가 차량 ID를 취득할 때마다 당해 차량 ID와, 당해 차량 ID의 취득원(取得元)의 식별 정보 판독 장치(100)가 설치된 검출 에어리어(A)의 에어리어 ID와, 당해 차량 ID의 판독 시각을 관련지어 미등록 차량 기억부(204)에 기록한다.
범위 특정부(209)는, 검출 정보 기억부(206)가 기억하는 검출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C)의 통행 범위를 특정한다.
범위 기억부(208)는, 각 차량(C)에 대하여, 범위 특정부(209)가 특정한 통행 범위의 진입 측의 끝과 퇴출 측의 끝을 기억한다.
통행 요금 산출부(210)는, 범위 특정부(209)가 특정한 통행 범위에 근거하여, 통행 요금을 산출한다. 통행 요금 산출부(210)는, 예를 들어 통행 범위와 통행 요금을 관련지은 테이블에 따라 통행 요금을 산출한다.
과금 처리부(211)는, 본선 도로(R1)를 통행한 각 차량(C)에 대하여, 당해 차량(C)의 차량 ID에 관련지어 과금 정보 기억부(202)에 기억되는 지불 방법에 따라, 통행 요금 산출부(210)가 산출한 통행 요금을 과금한다.
(요금 수수 장치의 처리 플로우)
여기서, 요금 수수 장치(200)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요금 수수 장치(200)는 식별 정보 판독 장치(100)로부터 차량 ID를 판독할 때마다 이하에 나타내는 진입단 특정 처리를 실행한다.
도 3은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장치에 의한 진입단 특정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식별 정보 판독 장치(100)가 차량 ID를 판독하면, 요금 수수 장치(200)의 취득부(201)는 식별 정보 판독 장치(100)로부터 차량 ID를 취득한다(단계 S101). 그러고 나서, 미등록 차량 판별부(203)는 취득부(201)에 취득된 차량 ID가 과금 정보 기억부(202)에 기억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102). 취득된 차량 ID가 과금 정보 기억부(202)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102: 아니오), 미등록 차량 기록부(205)는 취득된 차량 ID를, 당해 차량 ID가 판독된 식별 정보 판독 장치(100)가 설치된 검출 에어리어(A)의 에어리어 ID와 검출 시각에 관련지어, 미등록 차량 기억부(204)에 기록하고(단계 S103), 진입단 특정 처리를 종료한다. 이것에 의해, 관리자는 이후에 미등록 차량 기억부(204)가 기억하는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통행 요금을 지불하지 않고 본선 도로(R1)를 통행한 차량(C)을 특정할 수 있다.
한편, 취득된 차량 ID가 과금 정보 기억부(202)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단계 S102: 예), 검출 정보 기록부(207)는 검출 정보 기억부(206)에, 취득된 차량 ID에 관한 검출 정보를 기록한다(단계 S104). 구체적으로는, 검출 정보 기록부(207)는 취득된 차량 ID를, 당해 차량 ID가 판독된 식별 정보 판독 장치(100)가 설치된 검출 에어리어(A)의 에어리어 ID와 검출 시각에 관련지어, 검출 정보 기억부(206)에 기록한다. 그러고 나서, 범위 특정부(209)는, 검출 정보 기록부(207)가 기록한 검출 정보의 검출 시각에서 거슬러 올라가 소정의 타임 아웃 시간(예를 들어 24시간) 이내의 시각에, 동일한 차량 ID에 관한 검출 정보가 검출 정보 기억부(206)에 기억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105). 이하, 검출 정보 기록부(207)가 기록한 검출 정보의 검출 시각부터 타임 아웃 시간 이내의 시각에 기록된 동일한 차량 ID에 관한 검출 정보를 직전 검출 정보(直前檢出情報)라고 부른다.
직전 검출 정보가 검출 정보 기억부(206)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105: 아니오), 범위 특정부(209)는 단계 S104에서 기록된 검출 정보의 차량 ID가 나타내는 차량(C)(차량 ID에 의해 특정되는 차량, 차량 ID에 관한 차량)의 통행 범위의 진입 측의 끝을 특정한다(단계 S106). 구체적으로는, 범위 특정부(209)는 단계 S104에서 기록된 검출 정보의 에어리어 ID가 나타내는 검출 에어리어(A)의 상류 측에 인접하는 접속점(P)을 당해 검출 정보의 차량 ID가 나타내는 차량(C)의 통행 범위의 진입 측의 끝으로서 특정한다. 그리고 범위 특정부(209)는 당해 접속점(P)의 식별 정보인 접속점 ID를 통행 범위의 진입 측의 끝으로서 차량 ID에 관련지어 범위 기억부(208)에 기록하고(단계 S107), 진입단 특정 처리를 종료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단계 S104에서 기록한 검출 정보와 동일한 차량 ID에 관한 다른 검출 정보가 단계 S104에서 기록한 검출 정보의 검출 시각에서 타임 아웃 시간 거슬러 올라간 시각보다 전에 기록된 것인 경우, 범위 특정부(209)는 통행 범위의 진입 측의 끝을 특정한다. 이것은, 후술의 단계 S203에 있어서, 검출 정보 기억부(206)에 기억된 차량 ID에 관한 검출 정보가 타임 아웃 시간 이내에 검출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당해 차량 ID가 나타내는 차량이 퇴출한 것으로서 취급되기 때문이다.
한편, 직전 검출 정보가 검출 정보 기억부(206)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단계 S105: 예), 범위 특정부(209)는 직전 검출 정보 중 검출 시각이 가장 늦은 것의 에어리어 ID가 나타내는 검출 에어리어(A)가 단계 S104에서 기록된 검출 정보의 에어리어 ID가 나타내는 검출 에어리어(A)에 인접하는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108). 여기서, 2개의 검출 에어리어(A)가 인접한다는 것은, 당해 2개의 검출 에어리어(A) 사이에 접속점(P)이 1개만 존재하는 것을 말한다.
직전 검출 정보에 관한 검출 에어리어(A)가 단계 S104에서 기록된 검출 정보에 관한 검출 에어리어(A)에 인접하는 것인 경우(단계 S108: 예), 요금 수수 장치(200)는 진입단 특정 처리를 종료한다. 이와 같이, 직전 검출 정보가 검출 정보 기억부(206)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 요금 수수 장치(200)는 진입단 특정 처리에 있어서 단계 S106에 의한 진입 측의 끝의 특정을 수행하지 않는다. 이것은, 요금 수수 장치(200)가 이번 진입단 특정 처리 이전에 실시한 진입단 특정 처리에 있어서, 이미 진입단의 특정이 수행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직전 검출 정보가 검출 정보 기억부(206)에 기억되어 있는 차량(C)의 통행 범위의 진입 측의 끝은 이전에 실시된 진입단 특정 처리에 있어서 특정된 것이 된다.
한편, 직전 검출 정보에 관한 검출 에어리어(A)가 단계 S104에서 기록된 검출 정보에 관한 검출 에어리어(A)에 인접하는 것이 아닌 경우(단계 S108: 아니오), 범위 특정부(209)는 직전 검출 정보의 에어리어 ID가 나타내는 검출 에어리어(A)의 하류 측에 인접하는 접속점(P)을 직전 검출 정보의 차량 ID가 나타내는 차량(C)의 통행 범위(이하, 지난번 통행 범위라고 한다)의 퇴출 측의 끝으로서 특정한다(단계 S109). 상술한 바와 같이, 이때 범위 기억부(208)에는, 이전에 실시된 진입단 특정 처리에 있어서, 당해 차량(C)의 지난번 통행 범위의 진입 측의 끝을 나타내는 접속점 ID가 기록되어 있다. 범위 특정부(209)는 단계 S108에서 특정한 접속점(P)의 식별 정보인 접속점 ID를 지난번 통행 범위의 퇴출 측의 끝으로서 차량 ID에 관련지어 범위 기억부(208)에 기록한다(단계 S110). 이것에 의해, 범위 기억부(208)에는 어떤 차량 ID에 관련지어 지난번 통행 범위의 진입 측의 끝을 나타내는 접속점 ID와 퇴출 측의 끝을 나타내는 접속점 ID가 기억된다. 그러고 나서, 요금 수수 장치(200)는 특정된 지난번 통행 범위에 근거하여 후술의 과금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111). 이것에 의해, 요금 수수 장치(200)는, 차량(C)이 단시간 동안에 여러 차례 본선 도로(R1)에 진입했을 경우에도 각각의 통행 범위에 대하여 과금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범위 특정부(209)는 단계 S104에서 기록한 검출 정보의 에어리어 ID가 나타내는 검출 에어리어(A)의 상류 측에 인접하는 접속점(P)을 당해 검출 정보의 차량 ID가 나타내는 차량(C)의 통행 범위(이하, 이번 통행 범위라고 한다)의 진입 측의 끝으로서 특정한다(단계 S112). 즉, 요금 수수 장치(200)는, 직전 검출 정보의 에어리어 ID가 나타내는 검출 에어리어(A)가 단계 S104에서 기록된 검출 정보의 에어리어 ID가 나타내는 검출 에어리어(A)에 인접하는 것이 아닌 경우, 차량(C)이 상이한 2개의 통행 범위(지난번 통행 범위와 이번 통행 범위)를 통행한 것으로 간주한다. 즉, 요금 수수 장치(200)는, 차량(C)이 직전 검출 정보의 에어리어 ID가 나타내는 검출 에어리어(A)에 인접하는 접속점에서 본선 도로(R1)로부터 퇴출한 후에, 단계 S104에서 기록한 검출 정보의 에어리어 ID가 나타내는 검출 에어리어(A)에 인접하는 접속점으로부터 본선 도로(R1)에 진입한 것으로 간주한다. 그리고 범위 특정부(209)는 단계 S110에서 특정한 접속점(P)의 식별 정보인 접속점 ID를 이번 통행 범위의 진입 측의 끝으로서 차량 ID에 관련지어 범위 기억부(208)에 기록하고(단계 S113), 진입단 특정 처리를 종료한다.
상술한 진입단 특정 처리에 의해, 요금 수수 장치(200)는 차량(C)의 통행 범위의 진입 측의 끝을 특정할 수 있다.
또한 요금 수수 장치(200)는 일정 시간(예를 들어, 1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이하에 나타내는 퇴출단 특정 처리를 실행한다.
도 4는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장치에 의한 퇴출단 특정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요금 수수 장치(200)가 퇴출단 특정 처리를 개시하면, 범위 특정부(209)는 검출 정보 기억부(206)에 기억된 차량 ID를 1개씩 선택하고, 각 차량 ID에 대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단계 S202 내지 단계 S206의 처리를 실행한다(단계 S201).
우선 범위 특정부(209)는 검출 정보 기억부(206)에 기억된 검출 정보 중, 선택된 차량 ID에 관련지어지고, 또한 검출 시각이 가장 늦은 것을 추출한다(단계 S202). 그러고 나서, 범위 특정부(209)는 추출한 검출 정보의 검출 시각이 현재 시각에서 거슬러 올라가 소정의 타임 아웃 시간(예를 들어, 24시간) 이내의 시각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203). 즉, 범위 특정부(209)는 타임 아웃 시간 이내에 동일한 차량 ID의 검출이 없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단계 S202에서 추출한 검출 정보의 검출 시각이 현재 시각부터 소정의 타임 아웃 시간 이내의 시각이 아닌 경우(단계 S203: 아니오), 범위 특정부(209)는 당해 검출 정보의 에어리어 ID가 나타내는 검출 에어리어(A)의 하류 측에 인접하는 접속점(P)을 당해 검출 정보의 차량 ID가 나타내는 차량(C)의 통행 범위의 퇴출 측의 끝으로서 특정한다(단계 S204). 이때, 범위 기억부(208)에는, 상술한 단계 S106의 처리에 의해 당해 차량(C)의 통행 범위의 진입 측의 끝을 나타내는 접속점 ID가 기록되어 있다. 범위 특정부(209)는 특정한 접속점(P)의 접속점 ID를 통행 범위의 퇴출 측의 끝으로서 차량 ID에 관련지어 범위 기억부(208)에 기록한다(단계 S205). 이것에 의해, 범위 기억부(208)에는, 어떤 차량 ID에 관련지어 통행 범위의 진입 측의 끝을 나타내는 접속점 ID와 퇴출 측의 끝을 나타내는 접속점 ID가 기억된다. 그러고 나서, 요금 수수 장치(200)는 특정된 통행 범위에 근거하여 후술의 과금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206).
한편, 단계 S202에서 추출한 검출 정보의 검출 시각이 현재 시각부터 소정의 타임 아웃 시간 이내의 시각인 경우(단계 S202: 예), 퇴출의 판정을 하지 않는다.
상술한 퇴출단 특정 처리에 의해, 요금 수수 장치(200)는 차량(C)의 통행 범위의 퇴출 측의 끝을 특정할 수 있다.
다음에, 요금 수수 장치(200)에 의한 과금 처리의 처리 플로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장치에 의한 과금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범위 기억부(208)에 어떤 차량(C)의 통행 범위의 진입 측의 끝을 나타내는 접속점 ID와 퇴출 측의 끝을 나타내는 접속점 ID가 기록되면, 통행 요금 산출부(210)는, 범위 기억부(208)에 기억된 통행 범위에 근거하여, 본선 도로(R1)의 통행에 관한 통행 요금을 산출한다(단계 S301). 구체적으로는, 통행 요금 산출부(210)는 통행 범위와 통행 요금을 관련지은 테이블에 따라 통행 요금을 산출한다. 과금 처리부(211)는 범위 기억부(208)에 있어서 당해 통행 범위에 관련지어진 차량 ID를 특정한다(단계 S302). 다음에, 과금 처리부(211)는, 특정한 차량 ID에 관련지어 과금 정보 기억부(202)에 기억되는 지불 방법에 따라, 통행 요금 산출부(210)가 산출한 통행 요금을 과금한다(단계 S303). 그리고, 과금 처리부(211)는 과금이 종료된 통행 범위의 정보를 범위 기억부(208)에서 삭제한다(단계 S304).
(작용 효과)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요금 수수 장치(200)는, 본선 도로(R1)의 각 검출 에어리어(A)에 설치된 식별 정보 판독 장치(100)로부터 취득한 차량 ID에 근거하여, 차량(C)이 통행한 통행 범위를 특정한다. 이것에 의해, 본 실시 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장치(200)는 본선 도로(R1)의 출입구를 싱글 레인으로 구획하지 않고, 각 차량(C)의 본선 도로(R1)의 통행 범위를 특정할 수 있다.
그러나, 종전의 요금 수수 시스템에 있어서도, 요금소에 많은 차량 인식 장치를 설치함으로써, 요금소를 싱글 레인으로 구획하지 않고 차량의 인식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요금소의 스페이스(space)는 한정되어 있고, 요금소의 스페이스가 좁은 경우, 많은 차량 인식 장치를 설치하는 것이 곤란하다. 이에 반해, 본선 도로(R1)는 출구 도로(R3) 및 입구 도로(R2)와 비교하여 넓은 스페이스를 갖는다. 그러므로, 검출 에어리어(A)에는, 요구되는 차량(C)의 인식 정밀도를 확보하기 위해, 충분한 수의 식별 정보 판독 장치(100)를 설치할 수 있다.
《제 2 실시 형태》
이하,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6은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시스템(1)은 제 1 실시 형태의 구성뿐 아니라, 추가로 보조 판독 장치(300)를 구비한다.
보조 판독 장치(300)는 입구 도로(R2) 및 출구 도로(R3)에 설치된다. 보조 판독 장치(300)는 입구 도로(R2) 또는 출구 도로(R3)를 통행하는 차량(C)으로부터 당해 차량(C)을 식별하는 차량 ID를 판독한다. 보조 판독 장치(300)의 예로서는 차량(C)의 번호판에 표시된 차량 ID를 판독하는 번호판 인식 장치, 및 차량(C)에 탑재된 차재기로부터 차량 ID를 판독하는 안테나를 들 수 있다. 그리고, 입구 도로(R2) 및 출구 도로(R3)는 본선 도로(R1)보다 좁기 때문에, 보조 판독 장치(300)에 의한 차량 ID의 판독 정밀도는 식별 정보 판독 장치(100)의 판독 정밀도보다 낮은 것일 수도 있다.
(기능 구성)
도 7은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요금 수수 장치(200)는 제 1 실시 형태의 구성뿐 아니라, 추가로 보조 취득부(212)를 구비한다.
보조 취득부(212)는 보조 판독 장치(300)로부터 당해 보조 판독 장치(300)가 판독한 차량 ID를 취득한다.
(요금 수수 장치의 처리 플로우)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장치(200)는 제 1 실시 형태에 관한 처리뿐 아니라, 추가로 보조 판독 장치(300)가 차량 ID를 판독할 때마다 이하에 나타내는 입퇴출 특정 처리를 수행한다.
도 8은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장치에 의한 입퇴출 특정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보조 판독 장치(300)가 차량 ID를 판독하면, 요금 수수 장치(200)의 보조 취득부(212)는 보조 판독 장치(300)로부터 차량 ID를 취득한다(단계 S401). 다음에, 범위 특정부(209)는 차량 ID를 판독한 보조 판독 장치(300)가 설치된 분기 도로가 입구 도로(R2)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402). 차량 ID를 판독한 보조 판독 장치(300)가 입구 도로(R2)에 설치되는 경우(단계 S402: 예), 범위 특정부(209)는 단계 S401에서 취득된 차량 ID를 판독한 보조 판독 장치(300)가 설치된 분기 도로와 접속하는 접속점(P)을 당해 차량 ID가 나타내는 차량(C)의 통행 범위의 진입 측의 끝으로서 특정한다(단계 S403). 그리고 범위 특정부(209)는 당해 접속점(P)의 식별 정보인 접속점 ID를 통행 범위의 진입 측의 끝으로서 차량 ID에 관련지어 범위 기억부(208)에 기록하고(단계 S404), 단부 특정 처리(端部特定處理)를 종료한다.
한편, 차량 ID를 판독한 보조 판독 장치(300)가 출구 도로(R3)에 설치되는 경우(단계 S402: 아니오), 범위 특정부(209)는 단계 S401에서 취득된 차량 ID를 판독한 보조 판독 장치(300)가 설치된 분기 도로와 접속하는 접속점(P)을 당해 차량 ID가 나타내는 차량(C)의 통행 범위의 퇴출 측의 끝으로서 특정한다(단계 S405). 그리고 범위 특정부(209)는 당해 접속점(P)의 식별 정보인 접속점 ID를 통행 범위의 퇴출 측의 끝으로서 차량 ID에 관련지어 범위 기억부(208)에 기록한다(단계 S406). 이것에 의해, 범위 기억부(208)에는, 어떤 차량 ID에 관련지어 통행 범위의 진입 측의 끝을 나타내는 접속점 ID와 퇴출 측의 끝을 나타내는 접속점 ID가 기억된다. 그러고 나서, 요금 수수 장치(200)는 특정된 통행 범위에 근거하여 상술한 과금 처리를 수행하고(단계 S407), 단부 특정 처리를 종료한다.
(작용 효과)
이와 같이, 제 2 실시 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장치(200)는 분기 도로에 설치된 보조 판독 장치(300)로부터 차량 ID를 취득했을 경우에, 당해 분기 도로에 접속하는 접속점(P)을 차량(C)의 통행 범위의 끝으로 특정한다. 이것에 의해, 요금 수수 장치(200)는 제 1 실시 형태처럼 타임 아웃 시간의 경과를 기다리지 않고 신속하게 차량(C)의 본선 도로(R1)에 대한 입퇴출을 특정할 수 있다.
또한, 보조 판독 장치(300)가 차량 ID의 판독에 실패했다고 해도, 요금 수수 장치(200)가 상술한 진입단 특정 처리(도 3) 및 퇴출단 특정 처리(도 4)를 실행함으로써, 확실하게 차량(C)의 통행 범위를 특정할 수 있다.
《제 3 실시 형태》
이하, 제 3 실시 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시스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 3 실시 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시스템(1)은, 식별 정보 판독 장치(100)가 판독한 차량 ID뿐 아니라, 차량(C)의 이용자가 소유하는 휴대 단말(미도시)로부터 수신하는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C)의 본선 도로(R1)의 통행 범위를 특정한다. 제 3 실시 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시스템(1)은 제 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기능 구성)
도 9는 제 3 실시 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장치의 기능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요금 수수 장치(200)는 제 1 실시 형태의 구성뿐 아니라, 추가로 수신부(213)를 구비한다.
수신부(213)는 차량(C)의 이용자가 소유하는 휴대 단말(미도시)로부터 본선 도로(R1)의 통행에 관한 정보인 통행 정보를 수신한다. 통행 정보란, 구체적으로는, 차량(C)이 통행하고 있는 검출 에어리어(A)의 에어리어 ID, 및 차량(C)이 본선 도로(R1)로부터 퇴출한 것을 나타내는 퇴출 정보이다.
휴대 단말은, NSS(Navigation Satellite System) 또는 무선 통신의 식별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C)이 존재하는 위치를 특정하고, 당해 위치에 근거하여 통행하고 있는 검출 에어리어(A)를 특정하고, 또한 본선 도로(R1)로부터 퇴출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 NSS의 예로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준천정 위성(準天頂衛星) 시스템(QZSS: Quasi-Zenith Satellite System) 등을 들 수 있다. 무선 통신의 식별 정보의 예로서는 Bluetooth(등록 상표) 통신의 상대 장치의 식별 정보, 무선 LAN(Local Access Network) 통신의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발신되는 비콘 신호(beacon signal)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요금 수수 장치(200)의 과금 정보 기억부(202)는 차량 ID와 지불 방법뿐 아니라, 휴대 단말의 식별 정보인 단말 ID를 관련지어 기억한다.
(요금 수수 장치의 처리 플로우)
제 3 실시 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장치(200)는 제 1 실시 형태의 동작뿐 아니라, 휴대 단말이 통행 정보를 송신할 때마다 이하에 나타내는 통행 정보 수신 처리를 실행한다.
도 10은 제 3 실시 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장치에 의한 통행 정보 수신 처리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휴대 단말이 통행 정보를 송신하면, 요금 수수 장치(200)의 수신부(213)는 휴대 단말로부터 통행 정보를 취득한다(단계 S501). 그러고 나서, 수신부(213)는 수신한 통행 정보가 차량(C)이 통행하고 있는 검출 에어리어(A)의 에어리어 ID를 나타내는지, 퇴출 정보를 나타내는지를 판정한다(단계 S502). 수신한 통행 정보가 에어리어 ID를 나타내는 경우(단계 S502: 예), 검출 정보 기록부(207)는 검출 정보 기억부(206)에, 취득된 통행 정보에 근거하여 검출 정보를 기록한다(단계 S503). 구체적으로는, 검출 정보 기록부(207)는 수신한 통행 정보의 수신원(受信元)의 휴대 단말의 단말 ID에 관련지어진 차량 ID를 과금 정보 기억부(202)로부터 판독하고, 판독한 차량 ID와 통행 정보가 나타내는 에어리어 ID와 수신 시각을 관련지어 검출 정보 기억부(206)에 기록한다.
다음에, 범위 특정부(209)는 직전 검출 정보가 검출 정보 기억부(206)에 기억되어 있는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504).
직전 검출 정보가 검출 정보 기억부(206)에 기억되어 있지 않은 경우(단계 S504: 아니오), 범위 특정부(209)는 단계 S503에서 기록된 검출 정보의 차량 ID가 나타내는 차량(C)의 통행 범위의 진입 측의 끝을 특정한다(단계 S505). 구체적으로는, 범위 특정부(209)는 단계 S503에서 기록된 검출 정보의 에어리어 ID가 나타내는 검출 에어리어(A)의 상류 측에 인접하는 접속점(P)을 당해 검출 정보의 차량 ID가 나타내는 차량(C)의 통행 범위의 진입 측의 끝으로서 특정한다. 그리고 범위 특정부(209)는 당해 접속점(P)의 식별 정보인 접속점 ID를 통행 범위의 진입 측의 끝으로서 차량 ID에 관련지어 범위 기억부(208)에 기록하고(단계 S506), 통행 정보 수신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직전 검출 정보가 검출 정보 기억부(206)에 기억되어 있는 경우(단계 S504: 예), 범위 특정부(209)는 직전 검출 정보 중 검출 시각이 가장 늦은 것의 에어리어 ID가 나타내는 검출 에어리어(A)가 단계 S503에서 기록된 검출 정보의 에어리어 ID가 나타내는 검출 에어리어(A)에 인접하는 것인지 아닌지를 판정한다(단계 S507).
직전 검출 정보에 관한 검출 에어리어(A)가 단계 S503에서 기록된 검출 정보에 관한 검출 에어리어(A)에 인접하는 것인 경우(단계 S507: 예), 요금 수수 장치(200)는 진입단 특정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직전 검출 정보에 관한 검출 에어리어(A)가 단계 S503에서 기록된 검출 정보에 관한 검출 에어리어(A)에 인접하는 것이 아닌 경우(단계 S507: 아니오), 범위 특정부(209)는 직전 검출 정보의 에어리어 ID가 나타내는 검출 에어리어(A)의 하류 측에 인접하는 접속점(P)을 직전 검출 정보의 차량 ID가 나타내는 차량(C)의 통행 범위(지난번 통행 범위)의 퇴출 측의 끝으로서 특정한다(단계 S508). 범위 특정부(209)는 단계 S507에서 특정한 접속점(P)의 식별 정보인 접속점 ID를 지난번 통행 범위의 퇴출 측의 끝으로서 차량 ID에 관련지어 범위 기억부(208)에 기록한다(단계 S509). 그리고 나서, 요금 수수 장치(200)는 특정된 지난번 통행 범위에 근거하여 후술의 과금 처리를 수행한다(단계 S510).
또한, 범위 특정부(209)는 단계 S503에서 기록한 검출 정보의 에어리어 ID가 나타내는 검출 에어리어(A)의 상류 측에 인접하는 접속점(P)을 당해 검출 정보의 차량 ID가 나타내는 차량(C)의 통행 범위(이번 통행 범위)의 진입 측의 끝으로서 특정한다(단계 S511). 그리고 범위 특정부(209)는 단계 S509에서 특정한 접속점(P)의 식별 정보인 접속점 ID를 이번 통행 범위의 진입 측의 끝으로서 차량 ID에 관련지어 범위 기억부(208)에 기록하고(단계 S512), 통행 정보 수신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 S501에서 수신한 통행 정보가 퇴출 정보를 나타내는 경우(단계 S502: 아니오), 범위 특정부(209)는 통행 정보의 송신원(送信元)의 휴대 단말의 단말 ID에 관련지어져 과금 정보 기억부(202)에 기록된 차량 ID를 특정한다(단계 S513). 다음에, 범위 특정부(209)는 특정된 차량 ID에 관한 검출 정보 중 검출 시각이 가장 늦은 것을 추출한다. 다음에, 범위 특정부(209)는 추출한 검출 정보의 에어리어 ID가 나타내는 검출 에어리어(A)의 하류 측에 인접하는 접속점(P)을 당해 차량 ID가 나타내는 차량(C)의 통행 범위의 퇴출 측의 끝으로서 특정한다(단계 S514). 그리고 범위 특정부(209)는 당해 접속점(P)의 식별 정보인 접속점 ID를 통행 범위의 퇴출 측의 끝으로서 차량 ID에 관련지어 범위 기억부(208)에 기록한다(단계 S515). 그리고, 요금 수수 장치(200)는 특정된 통행 범위에 근거하여 상술한 과금 처리를 수행하고(단계 S516), 통행 정보 수신 처리를 종료한다.
(작용 효과)
이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요금 수수 장치(200)는 이용자가 소유하는 휴대 단말로부터 차량(C)에 의한 본선 도로(R1)의 통행에 관한 통행 정보를 수신하고, 당해 통행 정보와 검출 정보에 근거하여 차량(C)의 통행 범위를 특정한다. 이것에 의해, 요금 수수 장치(200)에 의한 차량(C)의 인식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통행 정보가, 이용자가 이용하는 차량(C)이 통행하고 있는 검출 에어리어의 에어리어 ID를 포함함으로써, 휴대 단말은 식별 정보 판독 장치(100)의 기능을 보완할 수 있다. 또한, 통행 정보가, 이용자가 이용하는 차량(C)이 본선 도로(R1)로부터 퇴출한 것을 나타내는 퇴출 정보를 포함함으로써, 요금 수수 장치(200)는 제 1 실시 형태처럼 타임 아웃 시간의 경과를 기다리지 않고, 차량(C)의 본선 도로(R1)로부터의 퇴출을 특정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통행 정보로서 이용자가 이용하는 차량(C)이 통행하고 있는 입구 도로(R2) 또는 출구 도로(R3)의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식별 정보 판독 장치(100)는 제 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로 타임 아웃 시간의 경과를 기다리지 않고, 차량(C)의 본선 도로(R1)에 대한 입퇴출을 특정할 수 있다.
《변형예》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일 실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해 왔으나, 구체적인 구성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고, 여러 가지 설계 변경 등을 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통행 범위 평가 장치가 요금 수수 장치(200)에 실장(實奬)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 형태에서는 본선 도로(R1)의 검출 에어리어(A)마다의 교통량을 계측하는 교통량 계측 장치 등의 다른 장치에 실장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미등록 차량의 정보로서, 차량 ID와 에어리어 ID와 검출 시각을 관련지은 것이 미등록 차량 기억부(204)에 기록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 형태에 관한 요금 수수 장치(200)는 식별 정보 판독 장치(100) 중 하나인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화상을 증거 물건으로서 차량 ID에 관련지어 미등록 차량 기억부(204)에 기록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본선 도로(R1)를 통행하기 위해서는 미리 과금 방법을 과금 정보 기억부(202)에 등록해 둘 필요가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다른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본선 도로(R1)의 관리자가 차량 ID와 개인을 특정하기 위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는 경우, 본선 도로(R1)는 과금 정보 기억부(202)에 등록하지 않고 이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 경우, 요금 수수 장치(200)는 미등록 차량의 판별을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컴퓨터 구성》
도 11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 형태에 관한 컴퓨터의 구성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컴퓨터(900)는 CPU(901), 주 기억 장치(902), 보조 기억 장치(903), 인터페이스(904)를 구비한다.
상술한 요금 수수 장치(200)는 컴퓨터(900)에 실장된다. 그리고, 상술한 각 처리부의 동작은 프로그램의 형식으로 보조 기억 장치(903)에 기억되어 있다. CPU(901)는 프로그램을 보조 기억 장치(903)로부터 판독하여 주 기억 장치(902)에 전개(展開)하고, 당해 프로그램에 따라 상기 처리를 실행한다. 또한, CPU(901)는 프로그램에 따라, 상술한 각 기억부에 대응하는 기억 영역을 주 기억 장치(902)에 확보한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보조 기억 장치(903)는 일시적이 아닌 유형 매체(有形媒體)의 일례이다. 일시적이 아닌 유형 매체의 다른 예로서는 인터페이스(904)를 통해 접속되는 자기 디스크, 광자기 디스크,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DVD-ROM(Digital Versatile Disc Read Only Memory), 반도체 메모리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이 프로그램이 통신 회선에 의해 컴퓨터(900)에 배신(配信)되는 경우, 배신을 받은 컴퓨터(900)가 당해 프로그램을 주 기억 장치(902)에 전개하고, 상기 처리를 실행할 수도 있다.
또한, 당해 프로그램은 상술한 기능의 일부를 실현하기 위한 것일 수도 있다.
게다가, 당해 프로그램은 상술한 기능을 보조 기억 장치(903)에 이미 기억되어 있는 다른 프로그램과의 조합으로 실현하는 것, 이른바 차분(差分) 파일(차분 프로그램)일 수도 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상기 양태 중 적어도 하나의 양태에 의하면, 통행 범위 평가 장치는 본선 도로의 출입구에 싱글 레인으로 구획된 요금소를 설치하지 않고, 각 차량의 본선 도로의 통행 범위를 특정할 수 있다.
1: 요금 수수 시스템
100: 식별 정보 판독 장치
200: 요금 수수 장치
201: 취득부
202: 과금 정보 기억부
203: 미등록 차량 판별부
204: 미등록 차량 기억부
205: 미등록 차량 기록부
206: 검출 정보 기억부
207: 검출 정보 기록부
208: 범위 기억부
209: 범위 특정부
210: 통행 요금 산출부
211: 과금 처리부
R1: 본선 도로
C: 차량
R2: 입구 도로
R3: 출구 도로
P: 접속점
A: 검출 에어리어

Claims (12)

  1. 계측 대상인 본선 도로 중 상기 본선 도로와 분기 도로를 접속하는 접속점으로 분할되는 각 검출 에어리어에 설치된 식별 정보 판독 장치로부터 차량을 식별하는 차량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와,
    차량 식별 정보와 상기 차량 식별 정보의 검출 시각과 상기 차량 식별 정보가 검출된 상기 검출 에어리어를 관련지은 검출 정보를 검출 정보 기억부에 기록하는 검출 정보 기록부와,
    상기 검출 정보 기억부에 기록된 상기 검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차량이 통행한 상기 본선 도로 위의 통행 범위를 특정하는 범위 특정부
    를 구비하는 통행 범위 평가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범위 특정부가, 하나의 차량 식별 정보가 마지막으로 취득된 시각부터 소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의 동안에 상기 하나의 차량 식별 정보가 다시 취득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접속점 중 마지막으로 상기 하나의 차량 식별 정보가 취득된 상기 검출 에어리어의 하류 측에 인접하는 것을 상기 하나의 차량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차량의 상기 통행 범위의 퇴출 측의 끝으로 특정하는
    통행 범위 평가 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범위 특정부가, 하나의 차량 식별 정보가 취득된 시각부터 소정 시간 이내에, 상기 하나의 차량 식별 정보가 취득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상기 접속점 중 상기 하나의 차량 식별 정보가 취득된 상기 검출 에어리어의 상류 측에 인접하는 것을 상기 하나의 차량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차량의 상기 통행 범위의 진입 측의 끝으로 특정하는
    통행 범위 평가 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범위 특정부가, 하나의 차량 식별 정보가 취득된 검출 에어리어인 제 1 검출 에어리어와 상기 제 1 검출 에어리어에서의 상기 하나의 차량 식별 정보의 검출 직전에 상기 하나의 차량 식별 정보가 검출된 검출 에어리어인 제 2 검출 에어리어가 인접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접속점 중 상기 제 1 검출 에어리어의 상류 측에 인접하는 것을 상기 하나의 차량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차량의 제 1 통행 범위의 진입 측의 끝으로 특정하고, 상기 접속점 중 상기 제 2 검출 에어리어의 하류 측에 인접하는 것을 상기 하나의 차량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차량의 제 2 통행 범위의 퇴출 측의 끝으로 특정하는
    통행 범위 평가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 도로에 설치된 식별 정보 판독 장치로부터 차량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보조 취득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범위 특정부가, 상기 보조 취득부에 의해 하나의 차량 식별 정보가 취득되었을 경우에, 상기 하나의 차량 식별 정보가 취득된 상기 분기 도로에 접속하는 상기 접속점을 상기 하나의 차량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차량의 상기 통행 범위의 끝으로 특정하는
    통행 범위 평가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이용자가 소유하는 휴대 단말로부터 상기 이용자가 이용하는 차량에 의한 상기 본선 도로의 통행에 관한 정보인 통행 정보를 수신하는 수신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범위 특정부가, 상기 수신부가 수신한 통행 정보와 상기 검출 정보 기억부에 기록된 상기 검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통행 범위를 특정하는
    통행 범위 평가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행 정보가, 상기 이용자가 이용하는 차량이 통행하는 상기 검출 에어리어 또는 상기 분기 도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통행 범위 평가 장치.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통행 정보가, 상기 이용자가 이용하는 차량이 상기 본선 도로로부터 퇴출한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범위 특정부가, 상기 본선 도로로부터 퇴출한 것을 나타내는 상기 통행 정보의 수신 시각보다 전에 상기 검출 정보 기억부에 기록된 상기 검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통행 범위를 특정하는
    통행 범위 평가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범위 특정부가 특정한 상기 통행 범위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에 부과해야 할 통행료를 산출하는 통행 요금 산출부
    를 더 구비하는 통행 범위 평가 장치.
  10. 계측 대상인 본선 도로 중 상기 본선 도로와 분기 도로를 접속하는 접속점으로 분할되는 각 검출 에어리어에 설치된 식별 정보 판독 장치와,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한 통행 범위 평가 장치
    를 구비하는 통행 범위 평가 시스템.
  11. 계측 대상인 본선 도로 중 상기 본선 도로와 분기 도로를 접속하는 접속점으로 분할되는 각 검출 에어리어에 설치된 식별 정보 판독 장치로부터 차량을 식별하는 차량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 단계와,
    차량 식별 정보와 상기 차량 식별 정보의 검출 시각과 상기 차량 식별 정보가 검출된 상기 검출 에어리어를 관련지은 검출 정보를 검출 정보 기억부에 기록하는 기록 단계와,
    상기 검출 정보 기억부에 기록된 상기 검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차량이 통행한 상기 본선 도로 위의 통행 범위를 특정하는 범위 특정 단계
    를 갖는 통행 범위 평가 방법.
  12. 컴퓨터를,
    계측 대상인 본선 도로 중 상기 본선 도로와 분기 도로를 접속하는 접속점으로 분할되는 각 검출 에어리어에 설치된 식별 정보 판독 장치로부터 차량을 식별하는 차량 식별 정보를 취득하는 취득부,
    차량 식별 정보와 상기 차량 식별 정보의 검출 시각과 상기 차량 식별 정보가 검출된 상기 검출 에어리어를 관련지은 검출 정보를 검출 정보 기억부에 기록하는 검출 정보 기록부,
    상기 검출 정보 기억부에 기록된 상기 검출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차량 식별 정보가 나타내는 상기 차량이 통행한 상기 본선 도로 위의 통행 범위를 특정하는 범위 특정부
    로서 기능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KR1020187027883A 2016-03-31 2017-03-31 통행 범위 평가 장치, 통행 범위 평가 시스템, 통행 범위 평가 방법, 및 프로그램 KR1021806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73573 2016-03-31
JP2016073573A JP6278421B2 (ja) 2016-03-31 2016-03-31 通行範囲評価装置、通行範囲評価システム、通行範囲評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CT/JP2017/013614 WO2017171010A1 (ja) 2016-03-31 2017-03-31 通行範囲評価装置、通行範囲評価システム、通行範囲評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664A true KR20180117664A (ko) 2018-10-29
KR102180644B1 KR102180644B1 (ko) 2020-11-19

Family

ID=599659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7883A KR102180644B1 (ko) 2016-03-31 2017-03-31 통행 범위 평가 장치, 통행 범위 평가 시스템, 통행 범위 평가 방법, 및 프로그램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00302700A1 (ko)
JP (1) JP6278421B2 (ko)
KR (1) KR102180644B1 (ko)
GB (1) GB2564319B (ko)
MY (1) MY200863A (ko)
SG (1) SG11201808288VA (ko)
WO (1) WO2017171010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9950A (ja) * 2000-08-04 2002-02-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ノンストップ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
JP2004318599A (ja) * 2003-04-17 2004-11-11 Asmo Co Ltd 料金収受方法及び料金収受システム
JP2005085046A (ja) 2003-09-09 2005-03-31 Mitsubishi Heavy Ind Ltd 有料道路料金収受システム及び有料道路走行経路特定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24888A (ja) * 2000-07-06 2002-01-25 Mitsubishi Heavy Ind Ltd 道路課金システム、車載器、アンテナシステム、センターコンピュータ、および課金方法、ならびに課金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JP4901820B2 (ja) * 2008-07-18 2012-03-21 株式会社東芝 有料道路の料金所課金装置および課金方法
EP2581882A1 (de) * 2011-10-12 2013-04-17 Kapsch TrafficCom AG Verfahren zum Vermauten von Fahrzeugen in einem offenen Straßenmautsystem
ES2446377T3 (es) * 2011-12-05 2014-03-07 Kapsch Trafficcom Ag Procedimiento y unidad de a bordo para señalizar transacciones de peaje en un sistema de peaje de carretera
JP5722262B2 (ja) * 2012-03-21 2015-05-20 株式会社東芝 料金収受システム、中央システム、料金収受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9950A (ja) * 2000-08-04 2002-02-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ノンストップ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
JP2004318599A (ja) * 2003-04-17 2004-11-11 Asmo Co Ltd 料金収受方法及び料金収受システム
JP2005085046A (ja) 2003-09-09 2005-03-31 Mitsubishi Heavy Ind Ltd 有料道路料金収受システム及び有料道路走行経路特定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Y200863A (en) 2024-01-19
US20200302700A1 (en) 2020-09-24
KR102180644B1 (ko) 2020-11-19
GB2564319A (en) 2019-01-09
GB201815553D0 (en) 2018-11-07
JP6278421B2 (ja) 2018-02-14
JP2017182752A (ja) 2017-10-05
SG11201808288VA (en) 2018-10-30
WO2017171010A1 (ja) 2017-10-05
GB2564319B (en) 2021-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16902C (en) Method of autonomous lane identification for a multilane vehicle roadway
EP2770481B1 (en) Method of using virtual gantries to optimize the charging performance of in-vehicle parking systems
KR102130955B1 (ko) 주차 관리 시스템 및 주차 관리 방법
WO2018103383A1 (zh) 一种停车收费系统与方法
US20150294563A1 (en) Traffic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server device, traffic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11587446B (zh) 驾驶支援系统
US20170046545A1 (en) Mobile system for automatically collecting the fee for the use of regulated parking spaces
TW201203175A (en) Toll collection system
KR102205057B1 (ko) 동일 차량 검출 장치, 요금 수수 설비, 동일 차량 검출 방법 및 프로그램
EP2402912A1 (en) Charging system, charging method, controller and program
US20170278389A1 (en) Vehicle surveillance system, vehicle surveillance method, and program
JP2008097616A (ja) 通行料課金システム用ホストコンピュータ、通行料課金システム、車載器、及びガントリ
KR20150065127A (ko) 스마트폰 앱을 이용한 주차장 안내 시스템 및 방법
CN111008856A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系统以及广告投放方法
KR101077943B1 (ko) 도로 통행료 정산 방법 및 이를 위한 단말기
KR20090018129A (ko) 요금 징수 시스템
JP5545780B2 (ja) 車載装置、車両および路側機
JP6916904B2 (ja) 端末装置、トランスポンダ、課金システム、課金方法、及び課金プログラム
CN110992498B (zh)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系统、以及信息处理方法
US20100191675A1 (en) Wireless positional based route tolling
KR102180644B1 (ko) 통행 범위 평가 장치, 통행 범위 평가 시스템, 통행 범위 평가 방법, 및 프로그램
JP5868645B2 (ja) 課金システム、課金装置、課金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404035B2 (ja) 経路別料金処理システム、経路判定装置、経路判定方法、及び経路判定プログラム
JP2022083078A (ja) 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及びシステム
JP2002049950A (ja) ノンストップ自動料金収受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