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7110A - 날끝 교환식 그루빙 공구의 인서트 클램프 기구, 및 클램프 작업 공구 - Google Patents

날끝 교환식 그루빙 공구의 인서트 클램프 기구, 및 클램프 작업 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7110A
KR20180117110A KR1020187024309A KR20187024309A KR20180117110A KR 20180117110 A KR20180117110 A KR 20180117110A KR 1020187024309 A KR1020187024309 A KR 1020187024309A KR 20187024309 A KR20187024309 A KR 20187024309A KR 20180117110 A KR20180117110 A KR 20180117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shaft portion
wall
axis
t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43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쿠마 기소
쇼이치로 와타나베
히로유키 노리고에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마테리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17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71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7/00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 B23B27/04Cutting-off too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7/00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 B23B27/08Cutting tools with blade- or disc-like main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7/00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 B23B27/14Cutting tools of which the bits or tips or cutting inserts are of special material
    • B23B27/16Cutting tools of which the bits or tips or cutting inserts are of special material with exchangeable cutting bits or cutting inserts, e.g. able to be clam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7/00Tools for turning or boring machines; Tools of a similar kind in general; Accessories therefor
    • B23B27/14Cutting tools of which the bits or tips or cutting inserts are of special material
    • B23B27/16Cutting tools of which the bits or tips or cutting inserts are of special material with exchangeable cutting bits or cutting inserts, e.g. able to be clamped
    • B23B27/1659Cutting tools of which the bits or tips or cutting inserts are of special material with exchangeable cutting bits or cutting inserts, e.g. able to be clamped with plate-like exchangeable cutt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9/00Holders for non-rotary cutting tools; Boring bars or boring heads; Accessories for tool holders
    • B23B29/04Tool holders for a single cutting tool
    • B23B29/043Tool holders for a single cutting tool with cutting-off, grooving or profile cutting tools, i.e. blade- or disc-like main cutting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00/00Details of cutting inserts
    • B23B2200/16Supporting or bottom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05/00Fixation of cutting inserts in holders
    • B23B2205/02Fixation using an elastically deformable clamping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05/00Fixation of cutting inserts in holders
    • B23B2205/12Seats for cutt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05/00Fixation of cutting inserts in holders
    • B23B2205/12Seats for cutting inserts
    • B23B2205/125One or more walls of the seat being elastically deform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BTURNING; BORING
    • B23B2260/00Details of constructional elements
    • B23B2260/078Hand tools used to operate chucks or to assemble, adjust or disassemble tools or equipment used for turning, boring or drilling
    • B23B2260/0785Hand tools used to operate chucks or to assemble, adjust or disassemble tools or equipment used for turning, boring or drilling for unclamping cutting inse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날끝 교환식 그루빙 공구의 인서트 클램프 기구에서는, 클램프 작업 공구의 축부가, 그 중심축에 수직인 단면에서 보아, 상기 중심축 상에서 서로 직교하는 장축과 단축을 갖고, 축부의 외주에 있어서 장축 상에 위치하는 양단부 중, 적어도 1 개의 단부는, 오목상 또는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개폐 조작 슬릿의 상벽 및 하벽에 맞닿지 않도록 배치되고, 상기 축부의 중심축 둘레를 따른 상기 단부의 양측에 인접하는 부분에는 지지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날끝 교환식 그루빙 공구의 인서트 클램프 기구, 및 클램프 작업 공구
본 발명은, 피삭재에 그루빙 가공이나 절단 가공 등을 실시하는 날끝 교환식 그루빙 공구의, 인서트 장착 시트에 대해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를 착탈하기 위한 인서트 클램프 기구, 및 클램프 작업 공구에 관한 것이다.
본원은, 2016년 2월 26일에, 일본에 출원된 일본특허출원 2016-036120호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내용을 여기에 원용한다.
종래, 금속 재료 등으로 이루어지고 원주상이나 원통상을 이루는 피삭재를, 그 축선 둘레로 회전시키면서, 피삭재의 외주면, 내주면, 및 축선 방향을 향하는 단면 (端面) 등에,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의 절삭날로 절입하여, 그루빙 가공이나 절단 가공 등 (이하, 간단히 그루빙 가공으로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을 실시하는 날끝 교환식 그루빙 공구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 의 날끝 교환식 그루빙 공구에서는, 공구 본체의 선단부의 인서트 유지판부에, 슬릿상의 인서트 장착 시트가 형성되어 있고, 이 인서트 장착 시트에 대해, 절삭날을 갖는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인서트 유지판부에는, 인서트 장착 시트에 연통되어 슬릿상을 이루는 개폐 조작 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그 개폐 조작 슬릿의 키홀에, 키의 편심체를 삽입하여 조작함으로써, 인서트 장착 시트에 대해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키는, 공구 본체보다 단단한 재료로 제조된다.
키의 편심체의 단면 (斷面) 은, 대략 장방형상을 이루고 있고, 그 4 개의 코너부는 각각 볼록 R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키홀에 편심체가 삽입되고, 키홀의 상벽 및 하벽에 대해, 편심체의 외주 중 1 쌍의 장변 영역이 대향 배치되었을 때에는, 상벽 및 하벽과, 1 쌍의 장변 영역 사이에 간극이 형성된다.
이 상태로부터 키를 조작하고, 편심체를 그 중심축 둘레로 90°회전시켜, 키홀의 상벽 및 하벽에 대해, 편심체의 외주 중 1 쌍의 단변 영역을 대향 배치시키면, 이들 단변 영역이, 상벽 및 하벽을 서로 이간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키홀의 상벽 및 하벽이 가압됨으로써, 인서트 유지판부의 클램프 핑거 (상악부) 가 탄성 변형되고, 이것에 수반하여 인서트 장착 시트의 정상벽과 바닥벽 사이의 거리가 증대되어, 인서트 장착 시트에 대해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를 삽입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인서트 장착 시트에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를 삽입한 상태에서, 다시 키를 조작하고, 키홀의 상벽 및 하벽에 대해, 편심체의 1 쌍의 장변 영역을 대향 배치시킴으로써, 클램프 핑거는 복원 변형되어, 인서트 장착 시트에 대해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가 클램프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인서트 클램프 기구에 의하면, 인서트 장착 시트의 정상벽이나 바닥벽을 손상시키지 않고,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를 클램프할 수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9359호
그러나, 상기 종래의 날끝 교환식 그루빙 공구의 인서트 클램프 기구는, 하기의 과제를 갖고 있었다.
특허문헌 1 에 있어서는, 개폐 조작 슬릿의 키홀에 있어서의 상벽 및 하벽 중, 편심체의 중심축에 가장 가까운 각 중앙부에 대해, 편심체의 1 쌍의 단변 영역의 각 중앙부 (숄더부 표면) 가 맞닿고, 상벽과 하벽을 이간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함으로써, 클램프 핑거가 탄성 변형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키홀의 상벽의 중앙부 및 하벽의 중앙부에 대해서는, 키를 조작했을 때에 편심체의 코너부가 강하게 닿으므로, 이들의 중앙부는 마멸 (마모) 되기 쉽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마멸된 상벽 및 하벽을 편심체가 충분히 가압할 수 없게 되고, 클램프 핑거의 탄성 변형량이 감소하여,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를 클램프할 수 없게 될 우려가 있었다.
또한, 개폐 조작 슬릿이 마멸된 공구 본체를, 미사용 (신품) 의 공구 본체로 교환하는 것은 가능하지만, 공구 본체의 교환을 빈번하게 실시하게 되고, 그 만큼 비용이 높아진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개폐 조작 슬릿의 상벽 및 하벽이 마멸된 경우에도, 인서트 유지판부의 탄성 변형량이 감소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인서트 장착 시트에 대해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를 장기에 걸쳐 안정적으로 클램프할 수 있는 날끝 교환식 그루빙 공구의 인서트 클램프 기구, 및 클램프 작업 공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관련된 날끝 교환식 그루빙 공구의 인서트 클램프 기구는, 공구 본체에 형성된 인서트 유지판부와, 상기 인서트 유지판부를 그 인서트 유지판부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함과 함께, 슬릿상으로 연장되고, 그 연장 방향을 따른 양단부 중 일단부가, 상기 인서트 유지판부의 단면에 개구되고, 절삭날을 갖는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인서트 장착 시트와, 상기 인서트 유지판부를 상기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 장착 시트의 연장 방향을 따른 양단부 중 타단부에 연통되는 개폐 조작 슬릿과, 상기 개폐 조작 슬릿에 삽입되는 클램프 작업 공구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 조작 슬릿에는, 서로 이간되어 대향 배치되는 상벽과 하벽이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 유지판부는, 상기 상벽과 상기 하벽을 서로 이간시키도록 탄성 변형 가능해지고, 상기 클램프 작업 공구는, 상기 상벽과 상기 하벽 사이에 삽입되는 축부를 갖고, 상기 축부의 중심축에 수직인 단면에서 보아, 상기 축부는, 상기 중심축 상에서 서로 직교하는 장축과 단축을 갖고, 상기 중심축 상을 통과하고, 상기 상벽과 상기 하벽이 대향하는 상하 방향을 따른 상기 상벽과 상기 하벽 사이의 거리에 대해, 상기 축부의 단축 방향의 외경이 작아지고, 또한 상기 거리에 대해, 상기 축부의 장축 방향의 외경이 커지고, 상기 축부의 외주에 있어서 장축 상에 위치하는 양단부 중, 적어도 1 개의 단부 (端部) 는, 오목상 또는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상벽 및 상기 하벽에 대해 맞닿지 않도록 배치되고, 상기 축부의 중심축 둘레를 따른 상기 단부의 양측에 인접하는 부분에는, 그 축부 중 가장 외경이 큰 지지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인서트 유지판부를 그 인서트 유지판부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서로 연통되는 인서트 장착 시트 및 개폐 조작 슬릿 중, 상기 개폐 조작 슬릿의 서로 이간되어 대향 배치되는 상벽과 하벽 사이에 삽입되는 축부를 갖는 클램프 작업 공구로서, 상기 축부의 중심축에 수직인 단면에서 보아, 상기 축부는, 상기 중심축 상에서 서로 직교하는 장축과 단축을 갖고, 상기 중심축 상을 통과하고, 상기 상벽과 상기 하벽이 대향하는 상하 방향을 따른 상기 상벽과 상기 하벽 사이의 거리에 대해, 상기 축부의 단축 방향의 외경이 작아지고, 또한 상기 거리에 대해, 상기 축부의 장축 방향의 외경이 커지고, 상기 축부의 외주에 있어서 장축 상에 위치하는 양단부 중, 적어도 1 개의 단부는, 오목상 또는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상벽 및 상기 하벽에 대해 맞닿지 않도록 배치되고, 상기 축부의 중심축 둘레를 따른 상기 단부의 양측에 인접하는 부분에는, 그 축부 중 가장 외경이 큰 지지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날끝 교환식 그루빙 공구의 인서트 클램프 기구 및 클램프 작업 공구에 의해, 인서트 장착 시트에 대해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를 착탈하려면, 하기의 조작을 실시한다.
인서트 장착 시트에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를 장착할 때에는, 먼저, 개폐 조작 슬릿의 상벽과 하벽 사이에, 클램프 작업 공구의 축부를 삽입한다. 이 때, 축부의 중심축에 수직인 단면에서 보아, 축부의 외주 중 단축 방향의 양측 (양 외측) 을 향하는 각 영역이, 상벽 및 하벽에 대향하도록 축부를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 축부의 단축 방향을 향하는 각 영역과, 개폐 조작 슬릿의 상벽 및 하벽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어서, 클램프 작업 공구를 조작하고, 개폐 조작 슬릿의 상벽 및 하벽에 대해, 축부를 그 중심축 둘레로 90°회전시킨다. 이로써, 축부의 외주 중 장축 방향의 양측 (양 외측) 을 향하는 각 영역이 상벽 및 하벽에 대향 배치됨과 함께, 그 축부의 외주에 있어서 장축 상에 위치하는 단부를 사이에 끼우고 중심축 둘레로 서로 이간되어 배치되는 1 쌍의 지지부가, 개폐 조작 슬릿의 상벽 또는 하벽에 맞닿아, 축부가 상벽과 하벽을 서로 이간시키는 방향으로 가압된다.
개폐 조작 슬릿의 상벽과 하벽이 서로 이간되는 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인서트 유지판부 (의 예를 들어 상악부) 가 탄성 변형되고, 상벽과 하벽 사이의 거리가 증대된다. 이것에 수반하여, 개폐 조작 슬릿에 연통되는 인서트 장착 시트의 정상벽과 바닥벽 사이의 거리도 증대되어, 인서트 장착 시트는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를 수용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하, 이 상태를 인서트 장착 시트가 개방 상태라고 하고, 후술하는 「최대 개방 상태」와 구별되는 경우에는, 「안정 개방 상태」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인서트 장착 시트에 대해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를 삽입할 수 있다.
인서트 장착 시트에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를 삽입한 후에는, 개폐 조작 슬릿의 상벽 및 하벽에 대해, 축부를 그 중심축 둘레로 90°회전시킨다. 이로써 축부의 외주 중 단축 방향의 양측을 향하는 각 영역이, 상벽 및 하벽에 대향 배치됨과 함께, 그 축부에 의한 상벽 및 하벽에 대한 가압이 해제된다.
개폐 조작 슬릿의 상벽 및 하벽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면, 인서트 유지판부가 복원 변형되고, 상벽과 하벽 사이의 거리가 축소된다. 이것에 수반하여, 개폐 조작 슬릿에 연통되는 인서트 장착 시트의 정상벽과 바닥벽 사이의 거리도 축소되어, 인서트 장착 시트가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를 클램프한 상태가 된다 (이하, 이 상태를 인서트 장착 시트가 폐쇄 상태라고 한다).
또한, 인서트 장착 시트로부터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를 떼어낼 때에는, 상기 서술한 순서와는 반대의 순서로 조작을 실시하면 된다. 요컨대, 클램프 작업 공구를 조작하고, 인서트 장착 시트를 개방 상태로 하여, 인서트 장착 시트로부터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를 떼어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날끝 교환식 그루빙 공구의 인서트 클램프 기구 및 클램프 작업 공구에 의하면, 클램프 작업 공구의 축부가, 그 중심축에 수직인 단면에서 보아 장축과 단축을 갖고 있고, 예를 들어 타원 형상, 장원 (長圓) 형상, 또는 다각 형상 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단면에서 보아, 축부의 외주에 있어서의 장축 상에 위치하는 1 쌍의 단부 (양단부) 중 적어도 1 개의 단부가, 오목상 (요컨대 홈상) 또는 직선상 (요컨대 평면상) 으로 형성되어 있고, 개폐 조작 슬릿의 상벽 및 하벽에 대해 비접촉으로 되어 있다. 또, 축부의 중심축 둘레를 따른 상기 단부의 양측에 인접하는 부분에는, 이 축부에 있어서 가장 외경이 커지는 지지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본 발명에 있어서는, 클램프 작업 공구를 조작했을 때에, 축부의 외주 중 가장 외경이 커진 지지부가, 개폐 조작 슬릿의 상벽 및 하벽 중, 그 축부의 중심축에 가장 가까운 각 부분 (예를 들어 상벽 및 하벽의 각 중앙부) 에 대해, 강하게 닿게 된다. 이 때문에, 클램프 작업 공구의 조작을 반복함으로써, 개폐 조작 슬릿의 상벽의 상기 부분 및 하벽의 상기 부분이 다른 부위보다 크게 마멸된다.
그리고, 개폐 조작 슬릿의 상벽 및 하벽에 대해, 축부의 장축 방향의 양측을 향하는 각 영역을 대향 배치한 상태에서는 (요컨대 인서트 장착 시트를 개방 상태로 했을 때에는), 상벽 및 하벽 중 크게 마멸된 각 부분에 대해, 축부의 외주 중 장축 상에 위치하는 양단부가 대향 배치된다. 여기서, 축부의 외주에 있어서 장축 상에 위치하는 단부가, 상벽 및 하벽 중 크게 마멸된 각 부분에 맞닿는 경우는 없고 (상기 단부는 상기 부분으로부터 이간되어 있고), 또, 축부의 외주에 있어서 상기 단부를 사이에 끼우고 중심축 둘레로 서로 이간되어 배치되는 1 쌍의 지지부도, 상벽 및 하벽의 상기 크게 마멸된 각 부분에 대해 맞닿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인서트 장착 시트가 개방 상태가 되었을 때에, 축부의 지지부는, 개폐 조작 슬릿의 상벽 및 하벽 중 크게 마멸된 각 부분에 맞닿지 않고, 이 마멸량이 큰 부분에 인접하는 마멸량이 작은 부분에 대해 맞닿는다.
이 때문에, 개폐 조작 슬릿의 상벽 및 하벽이 비록 마멸된 경우에도, 축부가 상벽 및 하벽을 확실하게 가압하여, 인서트 유지판부를 안정적으로 탄성 변형시킬 수 있음과 함께, 그 탄성 변형량이 감소하는 것을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축부의 지지부는, 그 축부의 외주에 있어서 장축 상에 위치하는 단부를 사이에 끼우고 1 쌍 형성되어 있고, 이 축부에 있어서 가장 외경이 크게 되어 있는 점에서, 하기의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즉, 축부의 지지부가 개폐 조작 슬릿의 상벽 및 하벽을 타고 넘을 때에, 인서트 장착 시트가 가장 개방된 상태 (최대 개방 상태) 가 되고, 이 최대 개방 상태에 비해, 인서트 장착 시트의 개방 상태 (안정 개방 상태) 및 폐쇄 상태에서는, 인서트 장착 시트는 상기 최대 개방 상태보다는 작게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인서트 장착 시트의 최대 개방 상태로부터, 안정 개방 상태 및 폐쇄 상태를 향하는 과정에 있어서, 인서트 유지판부의 복원 변형력이 작용하여, 클램프 작업 공구를 조작하는 조작자가 감촉 (클릭감) 을 얻을 수 있고, 조작성이 좋다.
또, 인서트 장착 시트의 개방 상태 (안정 개방 상태) 에 있어서, 개폐 조작 슬릿의 상벽 또는 하벽에 대해, 서로 이간되는 1 쌍의 지지부가 각각 맞닿으므로 (2 점 지지되므로), 개폐 조작 슬릿에 대한 축부의 중심축 둘레의 의도하지 않은 회동 (回動) 이 억제되어, 축부의 자세가 안정된다.
이상으로부터, 본 발명에 의하면, 개폐 조작 슬릿의 상벽 및 하벽이 마멸된 경우에도, 인서트 유지판부의 탄성 변형량이 감소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인서트 장착 시트에 대해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를 장기에 걸쳐 안정적으로 클램프할 수 있다.
또, 개폐 조작 슬릿이 마멸되어도, 공구 본체를 교환할 때까지의 기간을 연장할 수 있으므로, 공구 본체의 교환 빈도를 억제하여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날끝 교환식 그루빙 공구의 인서트 클램프 기구에 있어서, 상기 축부의 중심축에 수직인 단면에서 보아, 상기 축부의 상기 단부를 사이에 끼우고, 상기 중심축 둘레로 서로 이간되어 배치되는 1 쌍의 상기 지지부끼리의 사이의 거리가, 상기 축부의 단축 방향의 외경에 대해, 1/8 ∼ 1/3 배의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클램프 작업 공구에 있어서, 상기 축부의 중심축에 수직인 단면에서 보아, 상기 축부의 상기 단부를 사이에 끼우고, 상기 중심축 둘레로 서로 이간되어 배치되는 1 쌍의 상기 지지부끼리의 사이의 거리가, 상기 축부의 단축 방향의 외경에 대해, 1/8 ∼ 1/3 배의 크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1 쌍의 지지부끼리의 사이의 거리가, 축부의 단축 방향의 외경에 대해, 1/8 배 이상의 크기이며 충분한 길이가 확보되므로, 인서트 장착 시트가 개방 상태 (안정 개방 상태) 가 되었을 때에, 개폐 조작 슬릿의 상벽 및 하벽 중 크게 마멸된 각 부분으로부터, 이들의 지지부를 충분히 이간시켜 배치할 수 있다. 이로써, 인서트 장착 시트의 개방 상태에 있어서, 개폐 조작 슬릿의 상벽 및 하벽의 상기 크게 마멸된 각 부분에 대해, 축부의 지지부가 맞닿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인서트 유지판부를 안정적으로 탄성 변형시킬 수 있고, 상기 서술한 작용 효과가 보다 각별히 현저한 것이 된다.
또, 1 쌍의 지지부끼리의 사이의 거리가, 축부의 단축 방향의 외경에 대해, 1/3 배 이하의 크기이므로, 지지부끼리의 사이의 거리가 지나치게 커져 축부의 장축 방향의 외경이 짧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요컨대, 축부의 장축 방향의 외경과 단축 방향의 외경의 차분을 충분히 크게 확보하여, 인서트 장착 시트가 개방 상태 (안정 개방 상태) 가 되었을 때에, 인서트 장착 시트의 정상벽과 바닥벽 사이의 거리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로써, 인서트 장착 시트에 대한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의 착탈 조작성이 안정적으로 높아진다.
본 발명의 날끝 교환식 그루빙 공구의 인서트 클램프 기구, 및 클램프 작업 공구에 의하면, 개폐 조작 슬릿의 상벽 및 하벽이 마멸된 경우에도, 인서트 유지판부의 탄성 변형량이 감소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인서트 장착 시트에 대해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를 장기에 걸쳐 안정적으로 클램프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날끝 교환식 그루빙 공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 는 날끝 교환식 그루빙 공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날끝 교환식 그루빙 공구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는 날끝 교환식 그루빙 공구를 나타내는, (a) 정면도, (b) 상면도이다.
도 5 는 인서트 장착 시트에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를 착탈하는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 은 인서트 장착 시트에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를 착탈하는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 은 인서트 장착 시트에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를 착탈하는 순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8 은 클램프 작업 공구를 나타내는, (a) 평면도, (b) 정면도이다.
도 9 는 클램프 작업 공구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은 축부의 중심축에 수직인 단면도이며, 개폐 조작 슬릿의 상벽 및 하벽에 대해, (a) 축부의 단축 방향의 양측을 향하는 각 영역이 대향 배치된 상태 (인서트 장착 시트의 폐쇄 상태) 를 나타내는 도면, (b) 축부의 지지부가 올라앉은 상태 (인서트 장착 시트의 최대 개방 상태) 를 나타내는 도면, (c) 축부의 장축 방향의 양측을 향하는 각 영역이 대향 배치된 상태 (인서트 장착 시트의 안정 개방 상태) 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의 날끝 교환식 그루빙 공구 (10) 와, 그 인서트 클램프 기구 (30), 및 클램프 작업 공구 (40) 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날끝 교환식 그루빙 공구 및 그 인서트 클램프 기구의 개략 구성]
본 실시형태의 날끝 교환식 그루빙 공구 (10) 는, 예를 들어 금속 재료 등으로 이루어지고 원주상이나 원통상을 이루는 피삭재에, 외경 그루빙 가공이나 절단 가공, 내경 그루빙 가공, 단면 그루빙 가공 등의 선삭 가공 (터닝 가공) 을 실시하는 것이다. 본 실시형태의 예에서는, 날끝 교환식 그루빙 공구 (10) 가, 주로 외경 그루빙 가공 및 절단 가공에 사용된다.
도 1 ∼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끝 교환식 그루빙 공구 (10) 는, 강재 등으로 이루어지는 공구 본체 (1) 와, 초경 합금 등으로 이루어지고, 공구 본체 (1) 의 인서트 장착 시트 (4) 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20) 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공구 본체 (1) 가 장방형 판상을 이루고 있고, 그 공구 본체 (1) 가 연장되는 방향의 단부 (선단부) 에, 인서트 유지판부 (2) 가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예에서는, 공구 본체 (1) 의 인서트 유지판부 (2) 및 그 인서트 유지판부 (2) 이외의 부위가, 서로 대략 동일한 두께의 판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공구 본체 (1) 전체가 평판상을 이루고 있다.
인서트 장착 시트 (4) 는, 인서트 유지판부 (2) 를 그 인서트 유지판부 (2) 의 두께 방향 (T) 으로 관통함과 함께, 슬릿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인서트 장착 시트 (4) 는, 인서트 유지판부 (2) 의 두께 방향 (T) 을 향하는 양측면 (표리면) 에 개구되어 있다. 또, 인서트 장착 시트 (4) 의 연장 방향 (L) 을 따른 양단부 중, 일단부 (인서트 삽입구) 는, 인서트 유지판부 (2) 의 단면 (본 실시형태의 예에서는 공구 본체 (1) 의 선단면) 에 개구되어 있다.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20) 는, 인서트 장착 시트 (4) 의 일단부로부터 절삭날 (21) 을 돌출시킨 상태에서, 그 인서트 장착 시트 (4) 에 장착된다.
또, 인서트 유지판부 (2) 에는, 그 인서트 유지판부 (2) 를 두께 방향 (T) 으로 관통하는 슬릿상의 개폐 조작 슬릿 (7) 이 형성되어 있다. 개폐 조작 슬릿 (7) 은, 인서트 장착 시트 (4) 의 연장 방향 (L) 을 따른 양단부 중, 타단부 (인서트 장착 시트 (4) 의 후벽 (4c) 근방) 에 연통되어 있다.
또, 개폐 조작 슬릿 (7) 에는, 클램프 작업 공구 (40) 가 착탈 가능하게 삽입된다.
또, 특별히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공구 본체 (1) 는, 그 공구 본체 (1) 를 그 높이 방향 (H) 의 양측 (요컨대 상하 방향) 으로부터 협지하는 클램프 부재를 개재하여, NC 선반 등의 공작 기계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 사용하는 방향의 정의]
본 실시형태에서는, 공구 본체 (1) 의 선단부에 형성된 인서트 유지판부 (2) 가, 그 인서트 유지판부 (2) 이외의 부위 (공구 본체 (1) 의 선단부 이외의 부위) 로부터 돌출되는 방향을, 돌출 방향 (P) 이라고 한다. 돌출 방향 (P) 은, 그루빙 가공시에 있어서, 피삭재에 대해 날끝 교환식 그루빙 공구 (10) 가 이동되는 「그루빙 방향」과 동일한 방향이 된다.
본 실시형태의 예에서는,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20) 의 레이크면 (22) 을 정면으로 본 공구 본체 (1) 의 상면에서 보아, 돌출 방향 (P) 이, 공구 본체 (1) 의 공구 축선 (공구 본체 (1) 의 연장 방향, 공구 본체 (1) 의 길이 방향) 을 따르도록 연장되어 있다. 또 돌출 방향 (P) 은, 공구 본체 (1) 의 공구 축선을 따라 공구 중앙 (공구 본체 (1) 의 중앙) 으로부터 단부를 향하는 방향 (도 3 의 좌측) 이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각 부위의 돌출 방향 (P) 측의 단부를 선단부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 인서트 유지판부 (2) 의 두께를 따른 방향을, 두께 방향 (T) 이라고 한다. 본 실시형태의 예에서는, 돌출 방향 (P) 은 두께 방향 (T) 에 직교한다.
또한, 공구 본체 (1) 의 연장 방향 (돌출 방향 (P)) 및 두께 방향 (T) 에 직교하는 방향을, 높이 방향 (H) 이라고 한다. 높이 방향 (H) 중, 그루빙 가공시에 있어서,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20) 의 절삭날 (21) 의 레이크면 (22) 이 향하는 방향 (도 3 에 있어서의 상측) 을 상방이라고 하고, 레이크면 (22) 이 향하는 방향과는 반대측 (도 3 에 있어서의 하측) 을 하방이라고 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서트 유지판부 (2) 에 있어서 개폐 조작 슬릿 (7) 이 연장되는 방향이, 대체로 돌출 방향 (P) 을 따르고 있다. 이 때문에, 개폐 조작 슬릿 (7) 의 상벽 (8) 과 하벽 (9) 이 대향하는 상하 방향 (슬릿폭 방향) 도, 높이 방향 (H) 과 동일한 방향이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는, 부호 H 를 사용하여, 상하 방향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형태의 예에서는, 인서트 유지판부 (2) 에 형성된 인서트 장착 시트 (4) 가 연장되는 방향 (연장 방향 (L)) 이, 상기 서술한 돌출 방향 (P) 및 공구 본체 (1) 의 연장 방향과는 상이하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서트 유지판부 (2) 의 두께 방향 (T) 으로부터 보아, 인서트 장착 시트 (4) 의 연장 방향 (L) 은, 인서트 유지판부 (2) 의 돌출 방향 (P) 에 대해 평행은 아니고, 돌출 방향 (P) 을 향함에 따라 점차 높이 방향 (H) 의 상방을 향하여 경사져 있다.
또한, 후술하는 인서트 장착 시트 (4) 의 설명 등에서는, 도 3 에 있어서, 연장 방향 (L) 을 따른 후벽 (4c) 으로부터 인서트 장착 시트 (4) 의 개구부 (인서트 삽입구) 를 향하는 방향을 연장 방향 (L) 의 일단부측이라고 하고, 연장 방향 (L) 을 따른 상기 개구부로부터 후벽 (4c) 을 향하는 방향을 연장 방향 (L) 의 타단부측 (연장 방향 (L) 의 일단부와는 반대측) 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20) 는, 봉상을 이루고 있고, 그 연장 방향은, 이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20) 가 장착되는 인서트 장착 시트 (4) 의 연장 방향 (L) 과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20) 의 연장 방향을, 인서트 장착 시트 (4) 의 연장 방향 (L) 과 동일한 부호 L 을 붙여 나타낸다.
또한, 후술하는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20) 의 설명 등에서는, 도 3 에 있어서, 연장 방향 (L) 을 따른 피클램프부 (28) 로부터 날부 (27) 측을 향하는 방향을 연장 방향 (L) 의 일단부측이라고 하고, 연장 방향 (L) 을 따른 날부 (27) 로부터 피클램프부 (28) 측을 향하는 방향을 연장 방향 (L) 의 타단부측 (연장 방향 (L) 의 일단부와는 반대측) 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또,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20) 의 두께 방향은, 인서트 유지판부 (2) 의 두께 방향 (T) 과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20) 의 두께 방향을, 인서트 유지판부 (2) 의 두께 방향 (T) 과 동일한 부호 T 를 붙여 나타낸다.
[공구 본체]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구 본체 (1) 는, 그 연장 방향의 중심 및 높이 방향 (H) 의 중심을 통과하고 두께 방향 (T) 을 따라 연장되는 공구 중심선 (C) 에 관하여, 180°회전 대칭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인서트 장착 시트 (4) 및 개폐 조작 슬릿 (7) 의 세트는, 공구 본체 (1) 의 연장 방향의 양단부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예에서는, 1 쌍의 인서트 장착 시트 (4) 끼리가, 공구 본체 (1) 의 두께 방향 (T) 을 향하는 양측면의 각 중심을 통과하는 공구 중심선 (C) 둘레로, 180°회전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어, 서로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1 쌍의 개폐 조작 슬릿 (7) 끼리가, 공구 중심선 (C) 둘레로, 180°회전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어, 서로 동일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인서트 장착 시트 (4) 및 개폐 조작 슬릿 (7) 의 세트는, 공구 본체 (1) 에 1 개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1, 도 2 및 도 4(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구 본체 (1) 의 높이 방향 (H) 을 향하는 상면 및 하면은, 그 공구 본체 (1) 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공구 본체 (1) 의 상면 및 하면 중, 적어도 인서트 유지판부 (2) 이외의 부위는, 그 공구 본체 (1) 의 연장 방향에 수직인 단면 형상이, 각각 볼록 V 자상을 이루고 있다.
[인서트 유지판부]
도 1 ∼ 도 3 에 있어서, 인서트 유지판부 (2) 는, 높이 방향 (H) 에 대향하는 상악부 (5) 및 하악부 (6) 를 구비하고 있다. 상악부 (5) 와 하악부 (6) 는, 높이 방향 (H) 으로 서로 이간되어 있고, 이들 사이에 형성된 슬릿상의 간극으로서, 인서트 장착 시트 (4) 및 개폐 조작 슬릿 (7) 이 형성되어 있다.
[상악부, 하악부]
상악부 (5) 는, 그 돌출 방향 (P) 의 선단부가 대략 삼각형 판상을 이루고 있다. 하악부 (6) 는, 그 돌출 방향 (P) 의 선단부가 대략 사각형 판상을 이루고 있다. 상악부 (5) 의 돌출 방향 (P) 의 선단부와, 하악부 (6) 의 돌출 방향 (P) 의 선단부 사이에는, 인서트 장착 시트 (4) 가 배치되어 있다. 상악부 (5) 의 상기 선단부 이외의 부분과, 하악부 (6) 의 상기 선단부 이외의 부분 사이에는, 개폐 조작 슬릿 (7) 이 배치되어 있다.
상악부 (5) 의 높이 방향 (H) 을 따른 길이 (높이) 는, 하악부 (6) 의 높이 방향 (H) 을 따른 길이보다 작게 되어 있다. 상악부 (5) 의 돌출 방향 (P) 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높이는, 돌출 방향 (P) 을 향함에 따라 작게 되어 있다. 하악부 (6) 의 돌출 방향 (P) 의 선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높이는, 돌출 방향 (P) 을 향함에 따라 크게 되어 있다.
상악부 (5) 의 돌출 방향 (P) 을 따른 길이 (돌출 길이) 는, 하악부 (6) 의 돌출 방향 (P) 을 따른 길이보다 짧게 되어 있다. 요컨대, 하악부 (6) 의 돌출 방향 (P) 의 선단은, 상악부 (5) 의 돌출 방향 (P) 의 선단보다, 돌출 방향 (P) 으로 돌출되어 배치되어 있다.
상악부 (5) 는,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상악부 (5) 는, 탄성 변형 및 복원 변형됨으로써, 그 상악부 (5) 에 있어서의 돌출 방향 (P) 과는 반대측의 단부 (상세하게는, 개폐 조작 슬릿 (7) 의 돌출 방향 (P) 과는 반대측의 단부의 상방에 위치하는 부분) 를 중심으로 하여, 대략 높이 방향 (H) 을 따르도록 회동 가능하게 되어 있고, 하악부 (6) 에 대해 접근 이간 가능하다.
요컨대, 인서트 유지판부 (2) 는, 상악부 (5) 와 하악부 (6) 를 서로 이간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이와 같이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 상악부 (5) 와 하악부 (6) 를 서로 접근시키는 복원 변형력이 발생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특별히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상악부 (5) 및 하악부 (6) 의 적어도 어느 것에는,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20) 의 절삭날 (21) 을 향하여 개구되는 쿨런트 구멍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쿨런트 구멍은, 공구 본체 (1) 의 내부를 통과하여, 도시하지 않은 공작 기계의 쿨런트 공급 수단에 접속된다. 쿨런트 구멍 내에는, 쿨런트 공급 수단으로부터 공급된 쿨런트 (유성 또는 수용성의 절삭액제) 가 유통된다.
[인서트 장착 시트]
도 1 ∼ 도 4 에 있어서, 인서트 장착 시트 (4) 는, 인서트 유지판부 (2) 에 있어서의 높이 방향 (H) 의 상방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인서트 장착 시트 (4) 는, 인서트 유지판부 (2) 의 두께 방향 (T) 을 향하는 양측면에 개구되어 있고, 또한, 그 인서트 장착 시트 (4) 의 연장 방향 (L) 을 따른 양단부 중, 일단부 (인서트를 삽입하는 부분) 가, 이 인서트 유지판부 (2) 의 선단면 (돌출 방향 (P) 을 향하는 단면) 에 개구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서트 장착 시트 (4) 의 연장 방향 (L) 을 따른 양단부 중, 타단부 (인서트가 부딪치는 부분) 에는, 후술하는 후벽 (4c) 및 오목부 (4d) 가 배치되어 있다. 또, 인서트 장착 시트 (4) 의 타단부에는, 개폐 조작 슬릿 (7) 이 접속한다.
인서트 장착 시트 (4) 는, 돌출 방향 (P) 을 향함에 따라 점차 높이 방향 (H) 의 상방을 향하여 경사져 연장되어 있다. 도 3 에 있어서, 인서트 장착 시트 (4) 의 연장 방향 (L) 과, 돌출 방향 (P) 의 사이에 형성되는 예각 및 둔각 중, 예각의 각도는, 예를 들어 15 ∼ 30°이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서트 장착 시트 (4) 는,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20) 의 상면 (24) 에 맞닿는 정상벽 (4a) 과,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20) 의 하면 (25) 에 맞닿는 바닥벽 (4b) 과,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20) 의 배면 (26) 에 맞닿는 후벽 (4c) 을 갖고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의 예에서는,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20) 에 대한 인서트 장착 시트 (4) 의 각 벽 (4a, 4b, 4c) 의 접촉 길이 (접촉 면적) 가, 바닥벽 (4b), 정상벽 (4a), 후벽 (4c) 의 순서로 작게 되어 있다. 요컨대, 바닥벽 (4b) 의 접촉 길이가 가장 크고, 후벽 (4c) 의 접촉 길이가 가장 작고, 정상벽 (4a) 의 접촉 길이가 이들 사이의 크기이다.
인서트 장착 시트 (4) 의 정상벽 (4a) 및 바닥벽 (4b) 은, 돌출 방향 (P) 을 향함에 따라 점차 높이 방향 (H) 의 상방을 향하여 경사져 있다. 인서트 장착 시트 (4) 의 바닥벽 (4b) 은, 그 인서트 장착 시트 (4) 의 연장 방향 (L) 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예에서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서트 장착 시트 (4) 에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20) 가 장착된 상태에서, 인서트 장착 시트 (4) 의 정상벽 (4a) 은, 그 인서트 장착 시트 (4) 의 연장 방향 (L) 을 따라 타단부 (후벽 (4c)) 로부터 일단부 (인서트 삽입구) 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바닥벽 (4b) 을 향하여 접근하도록, 그 바닥벽 (4b) 에 대해 경사져 있다.
요컨대, 도 3 에 있어서 정상벽 (4a) 과 바닥벽 (4b) 은, 서로 평행하게는 되어 있지 않고, 연장 방향 (L) 의 일단부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서로 접근되어 있다. 단,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상악부 (5) 는 탄성 변형 가능하고, 인서트 장착 시트 (4) 에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20) 를 삽입할 때에는, 미리 상악부 (5) 가 탄성 변형됨으로써, 정상벽 (4a) 과 바닥벽 (4b) 은 대략 평행하게 된다.
단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인서트 장착 시트 (4) 에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20) 가 장착된 상태에서, 정상벽 (4a) 과 바닥벽 (4b) 이 서로 평행하게 되어 있어도 된다.
인서트 장착 시트 (4) 의 후벽 (4c) 은, 높이 방향 (H) 의 상방을 향함에 따라 점차 돌출 방향 (P) 을 향하여 경사져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인서트 장착 시트 (4) 의 후벽 (4c) 이,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20) 의 배면 (26) 에 있어서의 상방 부분 (경사벽) 및 하방 부분 (세로벽) 중, 상방 부분에 맞닿아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서트 유지판부 (2) 를 두께 방향 (T) 으로부터 보아, 인서트 장착 시트 (4) 의 바닥벽 (4b) 과 후벽 (4c) 사이에 형성되는 예각 및 둔각 중, 예각의 각도는, 예를 들어 40 ∼ 70°이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인서트 장착 시트 (4) 의 바닥벽 (4b) 과 후벽 (4c) 의 사이에는, 오목상의 오목부 (4d)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인서트 장착 시트 (4) 의 정상벽 (4a) 과 후벽 (4c) 은, 개폐 조작 슬릿 (7) 에 의해 분단되어 있다. 바꾸어 말하면, 인서트 장착 시트 (4) 의 정상벽 (4a) 과 후벽 (4c) 의 사이를 통과하여, 그 인서트 장착 시트 (4) 와 개폐 조작 슬릿 (7) 이 서로 연통되어 있다.
인서트 장착 시트 (4) 중, 정상벽 (4a) 은, 상악부 (5) 에 형성되어 있고, 바닥벽 (4b), 후벽 (4c) 및 오목부 (4d) 는, 하악부 (6) 에 형성되어 있다.
특별히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인서트 장착 시트 (4) 의 정상벽 (4a) 은, 그 인서트 장착 시트 (4) 의 연장 방향 (L) 에 수직인 단면에서 보아, 바닥벽 (4b) 측을 향하여 볼록해지는 볼록 V 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인서트 장착 시트 (4) 의 바닥벽 (4b) 은, 그 인서트 장착 시트 (4) 의 연장 방향 (L) 에 수직인 단면에서 보아, 정상벽 (4a) 측을 향하여 볼록해지는 볼록 V 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인서트 장착 시트 (4) 의 후벽 (4c) 은,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개폐 조작 슬릿]
도 1 ∼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조작 슬릿 (7) 은, 공구 본체 (1) 의 선단부에 있어서 인서트 유지판부 (2) 를 두께 방향 (T) 으로 관통하고 있음과 함께, 그 인서트 유지판부 (2) 의 두께 방향 (T) 을 향하는 양측면에 개구되어 있다.
개폐 조작 슬릿 (7) 은, 인서트 유지판부 (2) 에 있어서의 인서트 장착 시트 (4) 보다 돌출 방향 (P) 과는 반대측 (공구 본체 (1) 의 연장 방향을 따른 공구의 내측, 공구 중앙측) 에 위치하는 부분에 배치되어 있다. 개폐 조작 슬릿 (7) 은, 인서트 장착 시트 (4) 와의 연통 부분으로부터 돌출 방향 (P) 과는 반대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도 3 에 있어서, 개폐 조작 슬릿 (7) 의 연장 방향 (공구 본체 (1) 의 연장 방향) 의 일단부 (인서트 장착 시트 (4) 의 타단부에 접속하는 부분) 는, 슬릿폭이 일정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예에서는, 개폐 조작 슬릿 (7) 의 상기 일단부가, 돌출 방향 (P) 을 향함에 따라 점차 높이 방향 (H) 의 하방을 향하여 경사져 연장되어 있다.
개폐 조작 슬릿 (7) 의 연장 방향의 타단부 (인서트 장착 시트 (4) 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단부) 에는, 상기 일단부의 슬릿폭보다 내경이 큰 환공 (丸孔) 이 형성되어 있다. 또, 개폐 조작 슬릿 (7) 의 연장 방향의 타단부 중, 상기 환공보다 상기 연장 방향을 따른 일단부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상기 환공의 내경보다 작은 슬릿폭 (상기 일단부의 슬릿폭과 대략 동일한 슬릿폭) 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특별히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개폐 조작 슬릿 (7) 의 상기 타단부는, 상기 환공이 형성되지 않고, 상기 일단부와 동일하게 일정한 슬릿폭을 가지고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개폐 조작 슬릿 (7) 의 연장 방향의 양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부분에는, 클램프 작업 공구 (40) 가 삽입되는 축부 삽입공 (揷入孔) (7a) 이 형성되어 있다 (도 5 ∼ 도 7 을 참조).
도 3 및 도 10 에 있어서, 축부 삽입공 (7a) 에는, 높이 방향 (H) 으로 서로 이간되어 대향 배치되는 상벽 (8) 과 하벽 (9) 이 형성되어 있다. 상벽 (8) 과 하벽 (9) 의 사이에는, 클램프 작업 공구 (40) 의 축부 (41) 가 떼어내는 것이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벽 (8) 및 하벽 (9) 은, 각각 오목 곡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축부 삽입공 (7a) 의 높이 방향 (H) 을 따른 길이 (요컨대 상벽 (8) 과 하벽 (9) 이 대향하는 상하 방향 (H) 을 따른, 상벽 (8) 과 하벽 (9) 의 사이의 거리이며, 높이) 는, 개폐 조작 슬릿 (7) 의 연장 방향을 따른 축부 삽입공 (7a) 의 양측에 인접 배치되는 각 슬릿 부분보다 크게 되어 있다.
도 10(a) ∼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공구 본체 (1) 의 두께 방향 (T) 에 수직인 단면에서 보아 (클램프 작업 공구 (40) 의 후술하는 축부 (41) 의 중심축 (O) 에 수직인 단면에서 본 것이며, 축부 삽입공 (7a) 의 중심축 (O) 에 수직인 단면에서 본 것), 상벽 (8) 및 하벽 (9) 은, 각각 오목 곡선상을 이루고 있다.
구체적으로, 이 단면에서 보아, 상벽 (8) 은, 서로 곡률 반경이 상이한 복수의 오목 곡선끼리가 매끄럽게 접속됨으로써, 전체로서 오목 곡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하벽 (9) 은, 서로 곡률 반경이 상이한 복수의 오목 곡선끼리가 매끄럽게 접속됨으로써, 전체로서 오목 곡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단면에서 보아, 개폐 조작 슬릿 (7) 의 연장 방향 (상하 방향 (H) 에 직교하는 방향인, 가로 방향) 을 따른 상벽 (8) 의 양단부의 각 곡률 반경에 비해, 그 상벽 (8) 의 양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슬라이딩부의 곡률 반경이 크게 되어 있다. 또, 상기 단면에서 보아, 개폐 조작 슬릿 (7) 의 연장 방향을 따른 하벽 (9) 의 양단부의 각 곡률 반경에 비해, 그 하벽 (9) 의 양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슬라이딩부의 곡률 반경이 크게 되어 있다.
도 10(a) ∼ (c) 에 나타내는 단면에서 보아, 개폐 조작 슬릿 (7) 의 축부 삽입공 (7a) 에 클램프 작업 공구 (40) 의 축부 (41) 가 삽입되었을 때에, 그 축부 (41) 의 중심축 (O) (축부 삽입공 (7a) 의 중심축 (O)) 에 대해, 상벽 (8) 전체 중 양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슬라이딩부에 있어서의 중앙부가 가장 접근하여 배치된다. 또, 축부 (41) 의 중심축 (O) 에 대해, 하벽 (9) 전체 중 양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슬라이딩부에 있어서의 중앙부가 가장 접근하여 배치된다.
본 실시형태의 예에서는, 상벽 (8) 및 하벽 (9) 이, 이들 상벽 (8) 과 하벽 (9) 의 높이 방향 (H) 의 중심을 통과하고 높이 방향 (H) 에 수직인 가상 평면 (요컨대, 축부 삽입공 (7a) 의 구멍 중심 (중심축 (O)) 을 통과하고 상벽 (8) 과 하벽 (9) 이 대향하는 상하 방향 (H) 에 수직인 가상 평면) 에 관하여, 대략 면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상벽 (8) 및 하벽 (9) 은, 축부 삽입공 (7a) 의 구멍 중심 (중심축 (O)) 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대략 180°회전 대칭이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단, 상벽 (8) 과 하벽 (9) 은, 서로 대칭 형상이 되는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인서트 유지판부 (2) 는, 상악부 (5) 와 하악부 (6) 를 서로 이간시키는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대해 개폐 조작 슬릿 (7) 에 주목하면, 인서트 유지판부 (2) 는, 상벽 (8) 과 하벽 (9) 을 서로 이간시키도록 탄성 변형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 변형된 상태에서는, 상벽 (8) 과 하벽 (9) 을 서로 접근시키는 복원 변형력이 발생하게 된다.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20) 는, 봉상을 이루고 있다.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20) 의 연장 방향 (L) 을 따른 양단부 중, 일단부에는, 절삭날 (21) 을 갖는 날부 (27) 가 형성되고, 그 일단부 이외의 부위에는, 인서트 장착 시트 (4) 에 클램프되는 피클램프부 (28) 가 형성되어 있다.
도 3 에 있어서,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20) 가 인서트 장착 시트 (4) 에 장착되었을 때에, 그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20) 의 날부 (27) 는, 인서트 장착 시트 (4) 의 연장 방향 (L) 의 일단부 (개구부) 로부터, 그 인서트 장착 시트 (4) 의 외부로 돌출된다.
본 실시형태의 예에서는, 날부 (27) 가 대략 삼각형 판상을 이루고 있고, 피클램프부 (28) 가 대략 오각형 판상을 이루고 있다.
[날부]
도 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부 (27) 의 두께 방향 (T) 을 따른 길이 (두께) 는, 피클램프부 (28) 의 두께 방향 (T) 을 따른 길이보다 크게 되어 있다. 또, 날부 (27) 의 상기 두께는, 인서트 유지판부 (2) 의 상기 두께보다 크게 되어 있다. 날부 (27) 의 상기 두께는, 연장 방향 (L) 의 일단부측 (연장 방향 (L) 을 따른 피클램프부 (28) 로부터 날부 (27) 측) 을 향함에 따라 점차 크게 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부 (27) 의 높이 방향 (H) 을 따른 길이 (높이) 는, 연장 방향 (L) 의 일단부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작게 되어 있다.
날부 (27) 는, 레이크면 (22) 과, 플랭크면 (23) 과, 레이크면 (22) 과 플랭크면 (23) 의 교차 능선부에 형성된 절삭날 (21) 을 갖고 있다.
레이크면 (22) 은, 날부 (27) 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플랭크면 (23) 은, 날부 (27) 의 연장 방향 (L) 의 일단부측을 향하는 단면 (정면, 전면 (前面)), 및 날부 (27) 의 두께 방향 (T) 을 향하는 양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절삭날 (21) 은, 도 4(b) 에 나타내는 공구 상면에서 보아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20) 의 상면에서 보아), 연장 방향 (L) 의 타단부측을 향하여 개구되는 コ 자상 또는 U 자상을 이루고 있다.
절삭날 (21) 은, 날부 (27) 에 있어서 연장 방향 (L) 의 일단부측을 향하여 가장 돌출되어 있고, 또, 두께 방향 (T) 의 양측을 향하여 가장 돌출되어 있다.
도 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삭날 (21) 은, 날부 (27) 에 있어서의 연장 방향 (L) 의 일단부측의 단 가장자리에 위치함과 함께, 두께 방향 (T) 을 따라 연장되는 주절삭날 (정면 절삭날) (21a) 과, 그 주절삭날 (21a) 의 양단에 접속함과 함께, 이 주절삭날 (21a) 로부터 연장 방향 (L) 의 타단부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1 쌍의 부절삭날 (측면 절삭날) (21b) 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예에서는, 주절삭날 (21a) 중, 부절삭날 (21b) 에 접속하는 양단부가, 볼록 R 형상을 이루는 둥근 코너 (코너날) 로 되어 있다. 또한, 특별히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주절삭날 (21a) 의 양단부는, 둥근 코너 대신에 모따기 코너 (코너날) 로 되어 있어도 되고, 혹은 둥근 코너나 모따기 코너가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또, 1 쌍의 부절삭날 (21b) 끼리는, 주절삭날 (21a) 로부터 연장 방향 (L) 의 타단부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서로 접근하도록 연장되어 있고, 이들 부절삭날 (21b) 에는, 이른바 백 테이퍼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특별히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부절삭날 (21b) 에는, 두께 방향 (T) 에 직교하여 연장되는 플랫 드랙이 되는 부분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3 및 도 4(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부 (27) 에 있어서, 레이크면 (22) 의 절삭날 (21) (구체적으로는 주절삭날 (21a)) 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높이 방향 (H) 의 상방을 향하여 돌출되는 돌기 (29) 가 형성되어 있다. 돌기 (29) 는, 날부 (27) 의 레이크면 (22) 과, 후술하는 피클램프부 (28) 의 상면 (24) 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두께 방향 (T) 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20) 가 인서트 장착 시트 (4) 에 장착된 상태에서, 돌기 (29) 는, 상악부 (5) 의 선단을 덮도록, 그 선단의 돌출 방향 (P) 으로 서로 이웃하여 배치된다.
[피클램프부]
도 3 에 있어서, 피클램프부 (28) 는, 레이크면 (22) 과 동일 방향 (높이 방향 (H) 의 상방) 을 향하는 상면 (24) 과, 상면 (24) 과는 반대측 (높이 방향 (H) 의 하방) 을 향하는 하면 (25) 과, 연장 방향 (L) 을 따른 일단부와는 반대측 (연장 방향 (L) 의 타단부측) 을 향하는 배면 (26) 을 갖고 있다.
피클램프부 (28) 의 하면 (25) 은,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20) 의 연장 방향 (L) 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또, 피클램프부 (28) 의 상면 (24) 중, 적어도 연장 방향 (L) 의 일단부는, 연장 방향 (L) 의 일단부측을 향함에 따라 점차 하면 (25) 에 접근하도록, 그 하면 (25) 에 대해 경사져 형성되어 있다. 이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20) 가 인서트 장착 시트 (4) 에 장착되었을 때에, 상면 (24) 중 적어도 상기 일단부가, 정상벽 (4a) 에 맞닿는다.
피클램프부 (28) 의 상면 (24) 및 하면 (25) (도 4(a) 를 참조) 은, 연장 방향 (L) 에 수직인 단면에서 본 형상이, 각각 오목 V 자상을 이루고 있다.
이 때문에, 도 3 에 있어서,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20) 가 인서트 장착 시트 (4) 에 장착되었을 때에, 인서트 장착 시트 (4) 에 있어서 단면 볼록 V 자상이 된 정상벽 (4a) 과,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20) 에 있어서 단면 오목 V 자상이 된 상면 (24) 이, 서로 두께 방향 (T) 에 대한 상대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맞닿는다 (계지된다). 또 동일하게, 인서트 장착 시트 (4) 에 있어서 단면 볼록 V 자상이 된 바닥벽 (4b) 과,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20) 에 있어서 단면 오목 V 자상이 된 하면 (25) 이, 서로 두께 방향 (T) 에 대한 상대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맞닿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예에서는,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20) 의 상면 (24) 및 하면 (25) 이 모두 단면 오목 V 자상을 이루고 있고, 인서트 장착 시트 (4) 의 정상벽 (4a) 및 바닥벽 (4b) 이 모두 단면 볼록 V 자상을 이루고 있고, 정상벽 (4a) 과 상면 (24) 의 세트, 및 바닥벽 (4b) 과 하면 (25) 의 세트의 양방 (2 세트) 이, 단면 V 자로 된 끼워 맞춤을 하고 있는데, 이들 2 세트 중 어느 일방의 세트만이 단면 V 자의 끼워 맞춤을 하고 있는 구성으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2 세트 중 타방의 세트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단면 V 자로 되어 있지 않은 평면끼리가 맞닿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단면 오목 V 자상의 구성 요소와, 단면 볼록 V 자상의 구성 요소를, 서로 바꿔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인서트 장착 시트 (4) 에 있어서 단면 오목 V 자상으로 된 정상벽 (4a) 과,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20) 에 있어서 단면 볼록 V 자상으로 된 상면 (24) 이, 서로 두께 방향 (T) 에 대한 상대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맞닿아도 된다. 또, 인서트 장착 시트 (4) 에 있어서 단면 오목 V 자상으로 된 바닥벽 (4b) 과,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20) 에 있어서 단면 볼록 V 자상으로 된 하면 (25) 이, 서로 두께 방향 (T) 에 대한 상대 이동이 규제된 상태에서 맞닿아도 된다.
요컨대,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20) 의 상면 (24) 및 하면 (25) 중 적어도 어느 것이, 연장 방향 (L) 에 수직인 단면에서 보아 V 자상 (오목 V 자상과 볼록 V 자상을 포함한다) 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또 이것에 대응하여, 인서트 장착 시트 (4) 의 정상벽 (4a) 및 바닥벽 (4b) 중 적어도 어느 것이, 연장 방향 (L) 에 수직인 단면에서 보아 V 자상 (볼록 V 자상과 오목 V 자상을 포함한다) 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도 3 에 있어서, 피클램프부 (28) 의 배면 (26) 은, 그 배면 (26) 중 높이 방향 (H) 의 상방 부분에 위치하는 경사벽과, 높이 방향 (H) 의 하방 부분에 위치하는 세로벽을 갖고 있다.
상기 경사벽은, 상면 (24) 에 접속되어 있다. 상기 경사벽은,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20) 의 높이 방향 (도 3 에 있어서 연장 방향 (L) 에 직교하는 인서트 높이 방향) 을 따라 하면 (25) 으로부터 상면 (24) 을 향함에 따라 점차 연장 방향 (L) 의 일단부측을 향하여 경사져 있다.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20) 를 두께 방향 (T) 으로부터 본 측면에서 보아, 배면 (26) 의 경사벽과 하면 (25) 의 사이에 형성되는 예각 및 둔각 중, 예각의 각도는, 예를 들어 40 ∼ 70°이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세로벽은, 하면 (25) 에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예에서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20) 를 두께 방향 (T) 으로부터 본 측면에서 보아, 하면 (25) 과 상기 세로벽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가, 대략 90°로 되어 있다.
또, 배면 (26) 의 경사벽 및 세로벽은, 각각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20) 가 인서트 장착 시트 (4) 에 장착된 상태에서, 배면 (26) 중 경사벽에 대해, 인서트 장착 시트 (4) 에 있어서 평면상을 이루는 후벽 (4c) 이 맞닿는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예에서는, 서로 맞닿는 배면 (26) 의 경사벽 및 후벽 (4c) 이, 각각 평면상을 이루고 있지만, 이것 대신에, 상기 경사벽을 단면 오목 V 자상 또는 단면 볼록 V 자상으로 형성하고, 이것에 대응하도록, 후벽 (4c) 을 단면 볼록 V 자상 또는 단면 오목 V 자상으로 형성해도 된다.
[클램프 작업 공구]
도 5 ∼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램프 작업 공구 (40) 는, 개폐 조작 슬릿 (7) 의 상벽 (8) 과 하벽 (9) 의 사이에 삽입되는 축부 (41) 를 갖고 있다. 축부 (41) 는, 그 중심축 (O) 이 개폐 조작 슬릿 (7) 의 축부 삽입공 (7a) 의 구멍 중심 (중심축 (O)) 에 대략 일치되도록, 축부 삽입공 (7a) 내에 끼워 맞춰진다. 축부 삽입공 (7a) 내에 삽입된 축부 (41) 는, 그 축부 삽입공 (7a) 에 대해 중심축 (O) 둘레로 회전 가능하다. 축부 (41) 가 회전될 때, 도 10(a) ∼ (c) 에 나타내는 단면에서 보아, 그 축부 (41) 의 외주는, 축부 삽입공 (7a) 의 상벽 (8) 중 양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슬라이딩부, 및 하벽 (9) 중 양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슬라이딩부에 슬라이딩 접촉한다.
본 실시형태의 예에서는, 클램프 작업 공구 (40) 가 전체로서 L 자상을 이루고 있다. 또, 축부 (41) 의 외경이, 축부 (41) 이외의 부위의 외경보다 작게 되어 있다. 단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축부 (41) 의 외경과, 축부 (41) 이외의 부위의 외경이, 서로 동일해도 되고, 혹은 축부 (41) 의 외경이, 축부 (41) 이외의 부위의 외경보다 커도 된다. 또, 클램프 작업 공구 (40) 는, 전체로서 예를 들어 I 자상이나 T 자상을 이루고 있어도 되고, 파지부를 갖는 손잡이가 붙어 있는 작업 공구 형상 등이어도 된다.
도 9 는, 축부 (41) 를 그 중심축 (O) 방향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축부 (41) 는, 중심축 (O) 에 수직인 단면 형상이, 중심축 (O) 방향을 따른 전체역에서 일정하게 되어 있고, 따라서 도 9 에 나타내는 축부 (41) 의 단면의 형상은, 그 축부 (41) 의 중심축 (O) 에 수직인 단면의 형상과 동일하다. 이 중심축 (O) 에 수직인 단면에서 보아, 축부 (41) 는, 중심축 (O) 상에서 서로 직교하는 장축 (A1) 과 단축 (A2) 을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의 예에서는, 축부 (41) 가, 상기 단면에서 보아 장축 (A1) 과 단축 (A2) 을 갖는 타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또, 중심축 (O) 을 통과하는 축부 (41) 의 외경이 최소가 되는 축을 단축 (A2) 으로 하고 있다.
단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축부 (41) 는, 상기 단면에서 보아 장축 (A1) 과 단축 (A2) 을 갖는 예를 들어 타원 형상이나 다각 형상 등이어도 된다. 이 때문에, 본 실시형태에서 말하는 축부 (41) 의 「외경」에는, 축부 (41) 의 「외형 치수」가 포함된다.
도 10(a) ∼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조작 슬릿 (7) 의 축부 삽입공 (7a) 에 축부 (41) 를 삽입한 상태에 있어서의, 그 축부 (41) 의 중심축 (O) 에 수직인 단면에서 보아, 중심축 (O) 상을 통과하고, 상하 방향 (H) 을 따른 상벽 (8) 과 하벽 (9) 의 사이의 거리 (요컨대 도 10(a) 에 있어서의 단축 (A2) 방향을 따른 상벽 (8) 과 하벽 (9) 의 사이의 거리이며, 축부 삽입공 (7a) 의 내경 중 최소 직경) 에 대해, 축부 (41) 의 단축 (A2) 방향의 외경 (D1) 은 작게 되어 있고, 또한 상기 거리에 대해, 축부 (41) 의 장축 (A1) 방향의 외경 (D3) (장축 (A1) 방향에 있어서의 축부 (41) 의 치수의 최대값) 은 크게 되어 있다.
그리고, 축부 (41) 의 중심축 (O) 에 수직인 단면에서 보아, 축부 (41) 의 외주에 있어서의 장축 (A1) 상에 위치하는 양단부 (1 쌍의 단부) (43) 중, 적어도 1 개의 단부 (43) 는, 오목상 또는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개폐 조작 슬릿 (7) 의 상벽 (8) 및 하벽 (9) 에 대해 맞닿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축부 (41) 의 중심축 (O) 의 둘레를 따른 단부 (43) 의 양측에 인접하는 부분에는, 그 축부 (41) 중 가장 외경이 큰 지지부 (42)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의 예에서는, 상기 단면에서 보아, 축부 (41) 의 외주 중 장축 (A1) 상에 위치하는 양단부 (43) 가, 각각 오목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5 및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부 (41) 의 외주 중, 장축 (A1) 상에 위치하는 양단부 (43) 에, 중심축 (O)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홈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축부 (41) 의 외주 중, 상기 홈 (장축 (A1) 상에 위치하는 단부 (43)) 의 중심축 (O) 둘레의 양측에 인접하는 부분에, 중심축 (O)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돌조 형상 (리브상) 의 지지부 (42)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본 실시형태의 예에서는, 축부 (41) 의 외주에, 중심축 (O) 과는 반대측 (중심축 (O) 으로부터 이간되는 방향) 을 향하여 개구되는 홈이 1 쌍 형성되어 있고, 그 홈의 바닥부가 상기 단부 (43) 로 되어 있다. 또, 이들 홈끼리가, 중심축 (O) 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표리 관계가 되도록, 180°회전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축부 (41) 의 외주에, 1 개의 홈을 사이에 끼우고 중심축 (O) 둘레로 서로 이간되어 배치되는 1 쌍의 지지부 (42) 의 세트가, 2 세트 (요컨대 지지부 (42) 가 2 쌍) 형성되어 있고, 이들 지지부 (42) 의 세트끼리가, 중심축 (O) 을 중심으로 하여 서로 표리 관계가 되도록, 180°회전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1 개의 홈을 사이에 끼우고 중심축 (O) 둘레로 서로 이간되어 배치되는 1 쌍의 지지부 (42) 는, 장축 (A1) 에 대해 서로 선 대칭이 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예에서는, 도 9 및 도 10 에 나타내는 축부 (41) 의 중심축 (O) 에 수직인 단면에서 보아, 축부 (41) 의 외주 중, 상기 홈이 오목 곡선상을 이루고 있고, 지지부 (42) 가 볼록 곡선상을 이루고 있고, 이들이 서로 단차 없이 매끄럽게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축부 (41) 의 외주 중, 장축 (A1) 방향의 양단부에 위치하는 각 홈의 내면이, 축부 삽입공 (7a) 의 상벽 (8) 및 하벽 (9) 에 대해, 비접촉 (맞닿음 불가) 이 되도록 각 홈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축부 (41) 의 외주 중, 장축 (A1) 상에 위치하는 상기 홈 (단부 (43)) 에 대해 중심축 (O) 둘레의 양측에 인접 배치되는 1 쌍의 지지부 (42) 는, 축부 삽입공 (7a) 의 상벽 (8) 및 하벽 (9) 에 대해 접촉된다 (맞닿음 가능하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축부 (41) 의 외주에 있어서 장축 (A1) 상에 위치하는 부분에, 중심축 (O) 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우묵하게 들어간 오목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그 홈 내에 단부 (43) 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것에 따라, 개폐 조작 슬릿 (7) 의 축부 삽입공 (7a) 에 있어서의 상벽 (8) 및 하벽 (9) 의 각 슬라이딩부의 중앙부 (축부 삽입공 (7a) 에 있어서 최소 직경이 되는 부분) 가, 평면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경우에도, 축부 (41) 의 외주에 있어서 장축 (A1) 상에 위치하는 홈의 내면 (단부 (43)) 이, 개폐 조작 슬릿 (7) 의 상벽 (8) 및 하벽 (9) 에 대해 비접촉 (맞닿음 불가) 이 된다.
요컨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개폐 조작 슬릿 (7) 에 대해 축부 (41) 가 중심축 (O) 둘레로 회전했을 때에, 그 중심축 (O) 둘레의 전체 둘레에 걸쳐서, 개폐 조작 슬릿 (7) 의 상벽 (8) 및 하벽 (9) 과, 축부 (41) 의 외주 중 장축 (A1) 상에 위치하는 단부 (43) 가, 서로 접촉하지 않도록 각각 형성되어 있다.
특별히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축부 (41) 의 중심축 (O) 에 수직인 단면에서 보아, 축부 (41) 의 외주 중 장축 (A1) 상에 위치하는 양단부 (43) 가, 각각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요컨대 상기 단면에서 보아, 단부 (43) 가, 단축 (A2)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직선상을 이루고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축부 (41) 의 외주 중, 장축 (A1) 상에 위치하는 양단부 (43) 에, 중심축 (O)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가늘고 긴 (띠상의) 평면이 각각 형성된다. 또, 축부 (41) 의 외주 중, 상기 평면 (장축 (A1) 상에 위치하는 단부 (43)) 의 중심축 (O) 둘레의 양측에 인접하는 부분에, 중심축 (O)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돌조 형상의 지지부 (42) 가 각각 형성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축부 (41) 의 중심축 (O) 에 수직인 단면에서 보아, 축부 삽입공 (7a) 의 상벽 (8) 및 하벽 (9) 이 각각 오목 곡선상으로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축부 (41) 의 외주 중 장축 (A1) 상에 위치하는 각 평면 (단부 (43)) 이, 축부 삽입공 (7a) 의 상벽 (8) 및 하벽 (9) 에 대해, 비접촉 (맞닿음 불가) 이 된다. 그리고, 축부 (41) 의 외주 중, 장축 (A1) 상에 위치하는 상기 평면 (단부 (43)) 에 대해 중심축 (O) 둘레의 양측에 인접 배치되는 1 쌍의 지지부 (42) 가, 축부 삽입공 (7a) 의 상벽 (8) 및 하벽 (9) 에 대해 접촉된다 (맞닿음 가능하다).
도 10(a) ∼ (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부 (41) 의 중심축 (O) 에 수직인 단면에서 보아, 축부 (41) 의 단축 (A2) 방향을 따른 외경 (D1) 과, 축부 (41) 의 장축 (A1) 방향을 따른 외경 (D3) 과, 축부 (41) 의 지지부 (42) 를 통과하는 외경 (지지부 (42) 의 돌출단과 중심축 (O) 을 통과하는 외경) (D2) 의 사이에는, 하기의 관계가 있다.
외경 (D2) > 외경 (D3) > 외경 (D1)
구체적으로, 축부 (41) 에 있어서, 외경 (D2) 은 최대 직경이며, 외경 (D1) 은 최소 직경이다. 또 외경 (D3) 은, 축부 (41) 의 외주 중, 장축 (A1) 방향의 양측 (양 외측) 을 향하는 각 영역에 위치하는 지지부 (42) 끼리의 사이의 거리이며, 장축 (A1) 방향을 따른 축부 (41) 의 외형 치수를 나타내고 있다.
축부 (41) 의 외경은, 그 축부 (41) 의 외주를 중심축 (O) 둘레를 따라 단축 (A2) 상으로부터 지지부 (42) 상을 향함에 따라 점차 커진다. 또, 축부 (41) 의 외경은, 그 축부 (41) 의 외주를 중심축 (O) 둘레를 따라 지지부 (42) 상으로부터 장축 (A1) 상을 향함에 따라 점차 작아진다.
도 10(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부 (41) 의 중심축 (O) 에 수직인 단면에서 보아, 축부 (41) 의 외주에 있어서 장축 (A1) 상에 위치하는 단부 (43) 를 사이에 끼우고, 중심축 (O) 둘레로 서로 이간되어 배치되는 1 쌍의 지지부 (42) 끼리의 사이의 거리 (S) 는, 축부 (41) 의 단축 (A2) 방향의 외경 (D1) 에 대해, 1/8 ∼ 1/3 배의 크기로 되어 있다.
즉, 축부 (41) 의 외주에 있어서의 장축 (A1) 상에 위치하는 단부 (43) (본 실시형태의 예에서는 홈) 에 대해, 중심축 (O) 둘레의 양측에 인접 배치되는 1 쌍의 지지부 (42) 중, 가장 외경이 커지는 부분 (지지부 (42) 의 돌출단) 끼리의 사이의 거리 (단축 (A2) 방향을 따른 거리) (S) 가, 축부 (41) 의 외경 (D1) 의 1/8 ∼ 1/3 배의 크기로 되어 있다.
[인서트 장착 시트에 대한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의 착탈 방법]
다음으로, 도 3, 도 5 ∼ 도 7 및 도 10 을 참조하여, 인서트 장착 시트 (4) 에 대한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20) 의 착탈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이 날끝 교환식 그루빙 공구 (10) 의 인서트 클램프 기구 (30) 및 클램프 작업 공구 (40) 에 의해, 인서트 장착 시트 (4) 에 대해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20) 를 착탈하려면, 하기의 조작을 실시한다.
도 5 및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20) 가 인서트 장착 시트 (4) 에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이 인서트 장착 시트 (4) 에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20) 를 장착할 때에는, 먼저, 개폐 조작 슬릿 (7) 의 상벽 (8) 과 하벽 (9) 의 사이에, 클램프 작업 공구 (40) 의 축부 (41) 를 삽입한다.
이 때, 도 10(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부 (41) 의 중심축 (O) 에 수직인 단면에서 보아, 축부 (41) 의 외주 중 단축 (A2) 방향의 양측 (양 외측) 을 향하는 각 영역이, 상벽 (8) 및 하벽 (9) 에 대향하도록 축부 (41) 를 배치한다. 이 상태에서, 축부 (41) 의 단축 (A2) 방향을 향하는 각 영역과, 개폐 조작 슬릿 (7) 의 상벽 (8) 및 하벽 (9) 의 사이에는 간극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상태에 있어서, 축부 (41) 의 외주에 있어서의 단축 (A2) 방향의 양측을 향하는 각 영역 중 어느 것과, 개폐 조작 슬릿 (7) 의 상벽 (8) 또는 하벽 (9) 이 서로 맞닿아 있어도 된다.
이어서, 도 7, 도 10(b) 및 도 10(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클램프 작업 공구 (40) 를 조작하고, 개폐 조작 슬릿 (7) 의 상벽 (8) 및 하벽 (9) 에 대해, 축부 (41) 를 그 중심축 (O) 둘레로 90°회전시킨다. 이로써, 축부 (41) 의 외주 중 장축 (A1) 방향의 양측 (양 외측) 을 향하는 각 영역이 상벽 (8) 및 하벽 (9) 에 대향 배치됨과 함께, 그 축부 (41) 의 외주에 있어서 장축 (A1) 상에 위치하는 단부 (43) 를 사이에 끼우고 중심축 (O) 둘레로 서로 이간되어 배치되는 1 쌍의 지지부 (42) 가, 개폐 조작 슬릿 (7) 의 상벽 (8) 또는 하벽 (9) 에 맞닿아, 축부 (41) 가 상벽 (8) 과 하벽 (9) 을 서로 이간시키는 방향으로 가압한다 (도 10(c)).
개폐 조작 슬릿 (7) 의 상벽 (8) 과 하벽 (9) 이 서로 이간되는 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인서트 유지판부 (2) 의 상악부 (5) 가 탄성 변형되고, 상벽 (8) 과 하벽 (9) 의 사이의 거리가 증대된다.
이것에 수반하여, 개폐 조작 슬릿 (7) 에 연통되는 인서트 장착 시트 (4) 의 정상벽 (4a) 과 바닥벽 (4b) 의 사이의 거리도 증대되어, 인서트 장착 시트 (4) 는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20) 를 수용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하, 이 상태를 인서트 장착 시트 (4) 가 개방 상태라고 하고, 후술하는 「최대 개방 상태」와 구별하는 경우에는, 「안정 개방 상태」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인서트 장착 시트 (4) 에 대해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20) 를 삽입할 수 있다.
인서트 장착 시트 (4) 에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20) 를 삽입한 후에는, 도 10(b) 및 도 10(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조작 슬릿 (7) 의 상벽 (8) 및 하벽 (9) 에 대해, 축부 (41) 를 그 중심축 (O) 둘레로 90°회전시킨다. 이로써 축부 (41) 의 외주 중 단축 (A2) 방향의 양측을 향하는 각 영역이, 상벽 (8) 및 하벽 (9) 에 대향 배치됨과 함께, 그 축부 (41) 에 의한 상벽 (8) 및 하벽 (9) 에 대한 가압이 해제된다 (도 10(a)).
개폐 조작 슬릿 (7) 의 상벽 (8) 및 하벽 (9) 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면, 인서트 유지판부 (2) 의 상악부 (5) 가 복원 변형되고, 상벽 (8) 과 하벽 (9) 의 사이의 거리가 축소된다. 이것에 수반하여, 개폐 조작 슬릿 (7) 에 연통되는 인서트 장착 시트 (4) 의 정상벽 (4a) 과 바닥벽 (4b) 의 사이의 거리도 축소되어, 도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서트 장착 시트 (4) 가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20) 를 클램프한 상태가 된다 (이하, 이 상태를 인서트 장착 시트 (4) 가 폐쇄 상태라고 한다).
인서트 장착 시트 (4) 에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20) 가 클램프되면, 개폐 조작 슬릿 (7) 의 축부 삽입공 (7a) 으로부터, 클램프 작업 공구 (40) 의 축부 (41) 를 발출한다.
또한, 인서트 장착 시트 (4) 로부터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20) 를 떼어낼 때에는, 상기 서술한 순서와는 반대의 순서로 조작을 실시하면 된다. 요컨대, 클램프 작업 공구 (40) 를 조작하고, 인서트 장착 시트 (4) 를 개방 상태로 하여, 인서트 장착 시트 (4) 로부터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20) 를 떼어낼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한 작용 효과]
이상 설명한 본 실시형태의 날끝 교환식 그루빙 공구 (10) 의 인서트 클램프 기구 (30) 및 클램프 작업 공구 (40) 에 의하면, 클램프 작업 공구 (40) 의 축부 (41) 가, 그 중심축 (O) 에 수직인 단면에서 보아 장축 (A1) 과 단축 (A2) 을 갖는 타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단면에서 보아, 축부 (41) 의 외주에 있어서의 장축 (A1) 상에 위치하는 1 쌍의 단부 (양단부) (43) 중 적어도 1 개의 단부 (43) 가, 오목상 (요컨대 홈상) 또는 직선상 (요컨대 평면상) 으로 형성되어 있고, 개폐 조작 슬릿 (7) 의 상벽 (8) 및 하벽 (9) 에 대해 비접촉으로 되어 있다. 또, 축부 (41) 의 중심축 (O) 둘레를 따른 상기 단부 (43) 의 양측에 인접하는 부분에는, 이 축부 (41) 에 있어서 가장 외경이 커지는 지지부 (42) 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요컨대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클램프 작업 공구 (40) 를 조작했을 때에, 도 10(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부 (41) 의 외주 중 가장 외경이 커진 지지부 (42) 가, 개폐 조작 슬릿 (7) 의 상벽 (8) 및 하벽 (9) 중, 그 축부 (41) 의 중심축 (O) 에 가장 가까운 각 부분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벽 (8) 및 하벽 (9) 의 각 슬라이딩부의 중앙부) (W) 에 대해 강하게 닿는다. 이 때문에, 클램프 작업 공구 (40) 의 조작을 반복함으로써, 개폐 조작 슬릿 (7) 의 상벽 (8) 의 상기 부분 (슬라이딩부의 중앙부) (W) 및 하벽 (9) 의 상기 부분 (슬라이딩부의 중앙부) (W) 이 다른 부위보다 크게 마멸된다.
그리고, 도 10(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조작 슬릿 (7) 의 상벽 (8) 및 하벽 (9) 에 대해, 축부 (41) 의 장축 (A1) 방향의 양측을 향하는 각 영역을 대향 배치한 상태에서는 (요컨대 인서트 장착 시트 (4) 를 개방 상태로 했을 때에는), 상벽 (8) 및 하벽 (9) 중 크게 마멸된 각 부분 (W) 에 대해, 축부 (41) 의 외주 중 장축 (A1) 상에 위치하는 양단부 (43) (본 실시형태의 예에서는 1 쌍의 홈) 가 대향 배치된다. 여기서, 축부 (41) 의 외주에 있어서 장축 (A1) 상에 위치하는 단부 (43) 가, 상벽 (8) 및 하벽 (9) 중 크게 마멸된 각 부분 (W) 에 맞닿는 경우는 없고 (단부 (43) 는 부분 (W) 으로부터 이간되어 있고), 또, 축부 (41) 의 외주에 있어서 상기 단부 (43) 를 사이에 끼우고 중심축 (O) 둘레로 서로 이간되어 배치되는 1 쌍의 지지부 (42) 도, 상벽 (8) 및 하벽 (9) 의 상기 크게 마멸된 각 부분 (W) 에 대해 맞닿지 않는다.
구체적으로는, 도 10(c) 에 있어서, 인서트 장착 시트 (4) 가 개방 상태가 되었을 때에, 축부 (41) 의 지지부 (42) 는, 개폐 조작 슬릿 (7) 의 상벽 (8) 및 하벽 (9) 중 크게 마멸된 각 부분 (W) 에 맞닿지 않고, 이 마멸량이 큰 부분 (W) 에 인접하는 마멸량이 작은 부분에 대해 맞닿는다.
이 때문에, 개폐 조작 슬릿 (7) 의 상벽 (8) 및 하벽 (9) 이 비록 마멸된 경우에도, 축부 (41) 가 상벽 (8) 및 하벽 (9) 을 확실하게 가압하여, 인서트 유지판부 (2) 의 상악부 (5) 를 안정적으로 탄성 변형시킬 수 있음과 함께, 그 탄성 변형량이 감소하는 것을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축부 (41) 의 지지부 (42) 는, 그 축부 (41) 의 외주에 있어서 장축 (A1) 상에 위치하는 단부 (43) 를 끼우고 1 쌍 형성되어 있고, 이 축부 (41) 에 있어서 가장 외경이 크게 되어 있으므로, 하기의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즉, 도 10(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부 (41) 의 지지부 (42) 가 개폐 조작 슬릿 (7) 의 상벽 (8) 및 하벽 (9) 에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이들을 중심축 (O) 둘레로 타고 넘을 때에, 인서트 장착 시트 (4) 가 가장 개방된 상태 (최대 개방 상태) 가 되고, 이 최대 개방 상태에 비해, 인서트 장착 시트 (4) 의 개방 상태 (안정 개방 상태. 축부 (41) 가 도 10(c) 에 나타내는 자세), 및 인서트 장착 시트 (4) 의 폐쇄 상태 (축부 (41) 가 도 10(a) 에 나타내는 자세) 에서는, 인서트 장착 시트 (4) 는 상기 최대 개방 상태보다는 작게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 때문에, 인서트 장착 시트 (4) 의 최대 개방 상태로부터, 안정 개방 상태 및 폐쇄 상태를 향하는 과정에 있어서, 인서트 유지판부 (2) 의 상악부 (5) 의 복원 변형력이 작용하여, 클램프 작업 공구 (40) 를 조작하는 조작자가 감촉 (클릭감) 을 얻을 수 있고, 조작성이 좋다.
또, 인서트 장착 시트 (4) 의 개방 상태 (안정 개방 상태) 에 있어서, 개폐 조작 슬릿 (7) 의 상벽 (8) 또는 하벽 (9) 에 대해, 서로 이간되는 1 쌍의 지지부 (42) 가 각각 맞닿으므로 (2 점 지지되므로), 개폐 조작 슬릿 (7) 에 대한 축부 (41) 의 중심축 (O) 둘레의 의도하지 않은 회동이 억제되어, 축부 (41) 의 자세가 안정된다.
이상으로부터,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개폐 조작 슬릿 (7) 의 상벽 (8) 및 하벽 (9) 이 마멸된 경우에도, 인서트 유지판부 (2) 의 탄성 변형량이 감소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인서트 장착 시트 (4) 에 대해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20) 를 장기에 걸쳐 안정적으로 클램프할 수 있다.
또, 개폐 조작 슬릿 (7) 이 마멸되어도, 공구 본체 (1) 를 교환할 때까지의 기간을 연장할 수 있으므로, 공구 본체 (1) 의 교환 빈도를 억제하여 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0(c)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축부 (41) 의 중심축 (O) 에 수직인 단면에서 보아, 축부 (41) 의 단부 (43) 를 사이에 끼우고, 중심축 (O) 둘레로 서로 이간되어 배치되는 1 쌍의 지지부 (42) 끼리의 사이의 거리 (S) 가, 축부 (41) 의 단축 (A2) 방향의 외경 (D1) 에 대해, 1/8 ∼ 1/3 배의 크기이므로, 하기의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즉 이 경우, 1 쌍의 지지부 (42) 끼리의 사이의 거리 (S) 가, 축부 (41) 의 단축 (A2) 방향의 외경 (D1) 에 대해, 1/8 배 이상의 크기이며 충분한 길이가 확보되므로, 인서트 장착 시트 (4) 가 개방 상태 (안정 개방 상태) 가 되었을 때에, 개폐 조작 슬릿 (7) 의 상벽 (8) 및 하벽 (9) 중 크게 마멸된 각 부분 (W) 으로부터, 이들 지지부 (42) 를 충분히 이간시켜 배치할 수 있다. 이로써, 인서트 장착 시트 (4) 의 개방 상태에 있어서, 개폐 조작 슬릿 (7) 의 상벽 (8) 및 하벽 (9) 의 상기 크게 마멸된 각 부분 (W) 에 대해, 축부 (41) 의 지지부 (42) 가 맞닿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하여, 인서트 유지판부 (2) 를 안정적으로 탄성 변형시킬 수 있고, 상기 서술한 작용 효과가 보다 각별히 현저한 것이 된다.
또, 1 쌍의 지지부 (42) 끼리의 사이의 거리 (S) 가, 축부 (41) 의 단축 (A2) 방향의 외경 (D1) 에 대해, 1/3 배 이하의 크기이므로, 지지부 (42) 끼리의 사이의 거리 (S) 가 지나치게 커져 축부 (41) 의 장축 (A1) 방향의 외경 (D3) 이 짧아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요컨대, 축부 (41) 의 장축 (A1) 방향의 외경 (D3) 과 단축 (A2) 방향의 외경 (D1) 의 차분 (D3 - D1) 을 충분히 크게 확보하여, 인서트 장착 시트 (4) 가 개방 상태 (안정 개방 상태) 가 되었을 때에, 인서트 장착 시트 (4) 의 정상벽 (4a) 과 바닥벽 (4b) 의 사이의 거리를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로써, 인서트 장착 시트 (4) 에 대한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20) 의 착탈 조작성이 안정적으로 높아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서는, 축부 (41) 의 외주에 있어서 장축 (A1) 상에 위치하는 부분에, 오목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그 홈 내 (홈의 바닥부) 에 상기 단부 (43) 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하기의 작용 효과를 발휘한다.
즉 이 경우, 축부 (41) 의 외주 중, 장축 (A1) 상에 위치하는 상기 홈의 홈 바닥 (단부 (43)) 으로부터 중심축 (O) 까지의 거리와, 지지부 (42) 의 돌출단으로부터 중심축 (O) 까지의 거리의 차분을 크게 확보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인서트 착탈 조작이 반복됨으로써, 비록 축부 (41) 의 지지부 (42) 가 마모된 경우라도, 상기 서술한 작용 효과가 장기에 걸쳐 안정적으로 발휘된다. 또 이로써, 클램프 작업 공구 (40) 의 공구 수명도 연장된다.
[본 발명에 포함되는 그 밖의 구성]
또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여러 가지 변경을 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공구 본체 (1) 의 인서트 유지판부 (2) 가, 그 인서트 유지판부 (2) 이외의 부위 (공구 본체 (1) 의 선단부 이외의 부위) 로부터 돌출되는 돌출 방향 (P) 이, 공구 본체 (1) 의 공구 축선을 따르도록 연장되어 있는 예에 대해 설명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날끝 교환식 그루빙 공구가 예를 들어 내경 그루빙 가공 등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도 4(b) 에 나타내는 공구 본체 (1) 의 상면에서 보아, 인서트 유지판부 (2) 의 돌출 방향 (P) 이, 공구 본체 (1) 의 공구 축선에 대해, 교차하여 (예를 들어 직교하여) 연장되어 있어도 된다.
또,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인서트 유지판부 (2) 의 상악부 (5) 및 하악부 (6) 중, 상악부 (5) 가 탄성 변형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고 했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인서트 유지판부 (2) 는, 상악부 (5) 대신에 하악부 (6) 가 탄성 변형 가능해도 되고, 상악부 (5) 및 하악부 (6) 의 양방이 탄성 변형 가능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선삭 가공 (터닝 가공) 용의 날끝 교환식 그루빙 공구 (10) (날끝 교환식 그루빙 바이트) 를 사용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전삭 가공 (밀링 가공) 용의 날끝 교환식 그루빙 공구 (날끝 교환식 그루빙 커터) 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 경우, 특별히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예를 들어 공구 본체는 원판상을 이루고, 그 외주에, 공구 축선 (공구의 회전축) 둘레를 따른 둘레 방향으로 서로 간격을 두고, 복수의 인서트 유지판부 (2) 가 구비된다. 또, 인서트 유지판부 (2) 의 두께 방향 (T) 은, 공구 축선에 평행하게 된다. 각 인서트 유지판부 (2) 에 형성되는 인서트 장착 시트 (4) 및 개폐 조작 슬릿 (7) 은, 그 인서트 유지판부 (2) 를 두께 방향 (T) (공구 축선 방향) 으로 관통하여 형성된다. 또, 인서트 장착 시트 (4) 의 연장 방향 (L) 을 따른 일단부 (인서트 삽입구) 는, 공구 축선에 직교하는 직경 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개구된다. 그리고, 각 개폐 조작 슬릿 (7) 의 축부 삽입공 (7a) 에 클램프 작업 공구 (40) 의 축부 (41) 를 삽입하고 조작함으로써, 각 인서트 장착 시트 (4) 에 대해,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20) 가 각각 착탈 가능하게 장착된다.
그 밖에, 본 발명의 취지로부터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형태, 변형예 및 보충 등에서 설명한 각 구성 (구성 요소) 을 조합해도 되고, 또, 구성의 부가, 생략, 치환, 그 밖의 변경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의하면, 개폐 조작 슬릿의 상벽 및 하벽이 마멸되어도, 인서트 유지판부의 탄성 변형량의 감소를 억제할 수 있고, 인서트 장착 시트에 대해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를 장기에 걸쳐 안정적으로 클램프할 수 있다.
1 : 공구 본체
2 : 인서트 유지판부
4 : 인서트 장착 시트
7 : 개폐 조작 슬릿
8 : 상벽
9 : 하벽
10 : 날끝 교환식 그루빙 공구
20 :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
21 : 절삭날
30 : 날끝 교환식 그루빙 공구의 인서트 클램프 기구
40 : 클램프 작업 공구
41 : 축부
42 : 지지부
43 : 단부
A1 : 장축
A2 : 단축
D1 : 축부의 단축 방향의 외경 (최소 직경)
D2 : 축부의 최대 직경
D3 : 축부의 장축 방향의 외경
H : 높이 방향 (상하 방향)
L : 인서트 장착 시트의 연장 방향
O : 축부의 중심축 (축부 삽입공의 중심축)
S : 1 쌍의 지지부끼리의 사이의 거리
T : 두께 방향

Claims (4)

  1. 공구 본체에 형성된 인서트 유지판부와,
    상기 인서트 유지판부를 그 인서트 유지판부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함과 함께, 슬릿상으로 연장되고, 그 연장 방향을 따른 양단부 중 일단부가, 상기 인서트 유지판부의 단면에 개구되고, 절삭날을 갖는 그루빙용 절삭 인서트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인서트 장착 시트와,
    상기 인서트 유지판부를 상기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슬릿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 장착 시트의 연장 방향을 따른 양단부 중 타단부에 연통되는 개폐 조작 슬릿과,
    상기 개폐 조작 슬릿에 삽입되는 클램프 작업 공구를 구비하고,
    상기 개폐 조작 슬릿에는, 서로 이간되어 대향 배치되는 상벽과 하벽이 형성되고,
    상기 인서트 유지판부는, 상기 상벽과 상기 하벽을 서로 이간시키도록 탄성 변형 가능해지고,
    상기 클램프 작업 공구는, 상기 상벽과 상기 하벽 사이에 삽입되는 축부를 갖고,
    상기 축부의 중심축에 수직인 단면에서 보아,
    상기 축부는, 상기 중심축 상에서 서로 직교하는 장축과 단축을 갖고,
    상기 중심축 상을 통과하고, 상기 상벽과 상기 하벽이 대향하는 상하 방향을 따른 상기 상벽과 상기 하벽 사이의 거리에 대해, 상기 축부의 단축 방향의 외경이 작아지고, 또한 상기 거리에 대해, 상기 축부의 장축 방향의 외경이 커지고,
    상기 축부의 외주에 있어서 장축 상에 위치하는 양단부 중, 적어도 1 개의 단부는, 오목상 또는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상벽 및 상기 하벽에 대해 맞닿지 않도록 배치되고,
    상기 축부의 중심축 둘레를 따른 상기 단부의 양측에 인접하는 부분에는, 그 축부 중 가장 외경이 큰 지지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날끝 교환식 그루빙 공구의 인서트 클램프 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의 중심축에 수직인 단면에서 보아,
    상기 축부의 상기 단부를 사이에 끼우고, 상기 중심축 둘레로 서로 이간되어 배치되는 1 쌍의 상기 지지부끼리의 사이의 거리가, 상기 축부의 단축 방향의 외경에 대해, 1/8 ∼ 1/3 배의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날끝 교환식 그루빙 공구의 인서트 클램프 기구.
  3. 인서트 유지판부를 그 인서트 유지판부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형성되고, 서로 연통되는 인서트 장착 시트 및 개폐 조작 슬릿 중, 상기 개폐 조작 슬릿의 서로 이간되어 대향 배치되는 상벽과 하벽 사이에 삽입되는 축부를 갖는 클램프 작업 공구로서,
    상기 축부의 중심축에 수직인 단면에서 보아,
    상기 축부는, 상기 중심축 상에서 서로 직교하는 장축과 단축을 갖고,
    상기 중심축 상을 통과하고, 상기 상벽과 상기 하벽이 대향하는 상하 방향을 따른 상기 상벽과 상기 하벽 사이의 거리에 대해, 상기 축부의 단축 방향의 외경이 작아지고, 또한 상기 거리에 대해, 상기 축부의 장축 방향의 외경이 커지고,
    상기 축부의 외주에 있어서 장축 상에 위치하는 양단부 중, 적어도 1 개의 단부는, 오목상 또는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상기 상벽 및 상기 하벽에 대해 맞닿지 않도록 배치되고,
    상기 축부의 중심축 둘레를 따른 상기 단부의 양측에 인접하는 부분에는, 그 축부 중 가장 외경이 큰 지지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작업 공구.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축부의 중심축에 수직인 단면에서 보아,
    상기 축부의 상기 단부를 사이에 끼우고, 상기 중심축 둘레로 서로 이간되어 배치되는 1 쌍의 상기 지지부끼리의 사이의 거리가, 상기 축부의 단축 방향의 외경에 대해, 1/8 ∼ 1/3 배의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램프 작업 공구.
KR1020187024309A 2016-02-26 2017-02-09 날끝 교환식 그루빙 공구의 인서트 클램프 기구, 및 클램프 작업 공구 KR201801171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36120A JP6677870B2 (ja) 2016-02-26 2016-02-26 クランプ作業工具付き刃先交換式溝入れ工具、及びクランプ作業工具
JPJP-P-2016-036120 2016-02-26
PCT/JP2017/004806 WO2017145782A1 (ja) 2016-02-26 2017-02-09 刃先交換式溝入れ工具のインサートクランプ機構、及びクランプ作業工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110A true KR20180117110A (ko) 2018-10-26

Family

ID=596859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4309A KR20180117110A (ko) 2016-02-26 2017-02-09 날끝 교환식 그루빙 공구의 인서트 클램프 기구, 및 클램프 작업 공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51803B2 (ko)
EP (1) EP3421161A4 (ko)
JP (1) JP6677870B2 (ko)
KR (1) KR20180117110A (ko)
CN (1) CN108698137B (ko)
WO (1) WO201714578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09779A1 (en) * 2016-09-06 2019-07-17 Iscar Ltd. Insert adaptor for parting off and tool assembly including such an adaptor
WO2020230754A1 (ja) * 2019-05-13 2020-11-19 京セラ株式会社 クランプ部材、工作機械及び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CN111761082A (zh) * 2020-07-08 2020-10-13 陕西永乐有色金属制造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通用盲孔镗刀杆
JP6882726B1 (ja) * 2021-01-05 2021-06-02 株式会社タンガロイ ホルダ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09359A (ja) 2013-06-28 2015-01-19 サンドビ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ー アクティエボラーグ 切りくず除去加工用工具及びインサート保持用ブレード並びにキー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906822C3 (de) 1989-03-03 1996-11-21 Zinner Gmbh Praezisionswerkzeu Halter für spanabhebende Werkzeug-Einsätze
DE9317533U1 (de) 1993-11-16 1994-02-10 Krupp Widia Gmbh, 45145 Essen Halter für spanabhebende Werkzeugeinsätze
DE19814064C1 (de) * 1998-03-30 1999-05-06 Horn P Hartmetall Werkzeugfab Halter für spanabhebende Werkzeug-Einsätze
JP4198287B2 (ja) 1999-11-11 2008-12-17 株式会社タンガロイ 突切り、溝入れ用のバイト
SE516240C2 (sv) * 2000-11-07 2001-12-03 Sandvik Ab Nyckel för montering och demontering av ett skär
US8943933B2 (en) * 2010-02-05 2015-02-03 Mitsubishi Materials Corporation Cutting edge replacement type groove forming tool and end face groove forming method
US8695189B2 (en) * 2012-01-03 2014-04-15 Iscar, Ltd. Cutting tool key for mounting and extracting a cutting insert
JP5853830B2 (ja) * 2012-03-30 2016-02-09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刃先交換式切削工具及びその切れ刃位置調整方法
SE1350795A1 (sv) * 2013-06-28 2014-12-29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Verktyg för spånavskiljande bearbetning jämte skärhållande blad och bytbart skär härfö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009359A (ja) 2013-06-28 2015-01-19 サンドビ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ー アクティエボラーグ 切りくず除去加工用工具及びインサート保持用ブレード並びにキ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698137A (zh) 2018-10-23
EP3421161A4 (en) 2019-09-25
EP3421161A1 (en) 2019-01-02
JP2017148918A (ja) 2017-08-31
US10751803B2 (en) 2020-08-25
US20190054543A1 (en) 2019-02-21
JP6677870B2 (ja) 2020-04-08
CN108698137B (zh) 2020-04-14
WO2017145782A1 (ja) 2017-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17110A (ko) 날끝 교환식 그루빙 공구의 인서트 클램프 기구, 및 클램프 작업 공구
EP1829636B1 (en) Insert-indexable tool
EP2838683B1 (en) Cutting tool and cutting tool holder having lever pin
JP4918799B2 (ja) 切削インサートのクランプ機構及びインサート着脱式切削工具
WO2017135291A1 (ja) 刃先交換式バイト用ホルダ
JP2009291925A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インサート着脱式切削工具
JP5267173B2 (ja) インサート着脱式切削工具
JP6620471B2 (ja) 溝入れ用切削インサート及び刃先交換式溝入れ工具
JP4814633B2 (ja) ホルダ、チップおよび切削工具
JP4940863B2 (ja) スローアウェイ式回転工具
KR101729807B1 (ko) 인서트 착탈식 절삭 공구
KR20100075899A (ko) 축 방향 시팅 핀
CN107530791B (zh) 切削工具用更换部件以及切削工具用工具体
JP2007319986A (ja) スローアウェイ式回転工具
JP6330963B1 (ja) 刃先交換式バイト用ホルダ、および刃先交換式バイト用ホルダとレンチのセット
WO2018088457A1 (ja) 刃先交換式バイト用ホルダ、および刃先交換式バイト用ホルダとレンチのセット
JP5564958B2 (ja) 刃先交換式溝入れ工具及び端面溝入れ加工方法
JP4628113B2 (ja) スローアウェイ式切削工具及び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JP4802745B2 (ja) 切削インサート及びインサート着脱式切削工具
JP2017148922A (ja) 刃先交換式溝入れ工具のインサートクランプ機構、及び工具本体
JP2015168009A (ja) 刃先交換式溝入れ工具
JP4816041B2 (ja) インサート式ドリル及びインサート
JP2017052026A (ja) 刃先交換式溝入れ工具の工具本体、及び刃先交換式溝入れ工具
JP2011161537A (ja) 刃先交換式溝入れ工具及び端面溝入れ加工方法
JP2019098434A (ja) 刃先交換式カッタ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