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6590A - 선박 - Google Patents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6590A
KR20180116590A KR1020170049061A KR20170049061A KR20180116590A KR 20180116590 A KR20180116590 A KR 20180116590A KR 1020170049061 A KR1020170049061 A KR 1020170049061A KR 20170049061 A KR20170049061 A KR 20170049061A KR 20180116590 A KR20180116590 A KR 20180116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lideck
deck
hangar
bow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9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3076B1 (ko
Inventor
박주신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9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3076B1/ko
Publication of KR20180116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6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30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30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5/00Vessels or similar floa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35/50Vessels or floating structures for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5/00Superstructures, deckhouses, wheelhouses or the like; 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masts or spars, e.g. bowsprit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3/00Landing stages for helicopters, e.g. located above buildings
    • B63B2708/00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 Jib Cranes (AREA)
  • Types And Forms Of Lif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체; 선체의 데크 상에 설치되는 데크하우스; 데크하우스 내에 마련되고, 선체의 선수부 데크를 향하여 개방되어 있는 격납고; 선수부 데크와 격납고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헬리데크; 및 헬리데크를 선수부 데크와 격납고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선박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헬리데크로 인해 선박의 무게 중심이 선수 측으로 치우침을 줄일 수 있으며, 헬리데크에 의해 데크하우스에 마련된 관제실의 시야가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VESSEL}
본 발명은 선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형 헬리데크를 구비한 선박에 관한 것이다.
해양플랜트 지원선박(OSV; Operating Supply Vessel)은 해양구조물 운반, 구조물 설치/해체, 유지보수 등의 다양한 작업을 지원하는 선박이다. 해양플랜트 지원선박의 특성상, 작업 공간의 확보를 위하여 해양플랜트 지원선박의 선수에 데크하우스(Deck House)가 위치하고, 데크하우스부터 선미까지는 비어 있는 데크 구조를 갖고 있으므로, 해양플랜트 지원선박의 무게 중심은 선수에 가까이 위치하게 되고, 따라서 파랑 하중에 의해 피치(pitch)가 과도하게 발생할 수 있다. 여기에, 선수부에 헬리데크가 설치되는 경우, 중구조의 고정식 헬리데크 서포트로 인해 무게 중심이 선수 측으로 더욱 치우치게 될 뿐 아니라, 헬리데크에 의해 데크하우스에 마련된 관제실의 시야가 방해되어 원활한 작업에 지장을 일으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헬리데크로 인해 선박의 무게 중심이 선수 측으로 치우침을 줄일 수 있으며, 헬리데크에 의해 데크하우스에 마련된 관제실의 시야가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동형 헬리데크를 갖는 선박에 있어서, 경사진 선수부에 헬리데크를 수평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데크하우스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선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선박은 선체; 상기 선체의 데크 상에 설치되는 데크하우스; 상기 데크하우스 내에 마련되고, 상기 선체의 선수부 데크를 향하여 개방되어 있는 격납고; 상기 선수부 데크와 상기 격납고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헬리데크; 및 상기 헬리데크를 상기 선수부 데크와 상기 격납고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선박은 상기 선수부 데크와 상기 격납고 간에 연장되는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헬리데크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는, 상기 선수부 데크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헬리데크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제1 윈치; 및 상기 격납고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헬리데크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제2 윈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선박은 상기 헬리데크를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 지지하는 지지부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헬리데크가 상기 격납고로부터 상기 선수부 데크로 인출시 상기 헬리데크가 수평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선수부 데크의 경사각에 따라 상기 지지부들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들은 상기 헬리데크의 하면으로 접힐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선박은 상기 선수부 데크와 상기 격납고의 경계부에 형성되는 단턱부; 및 상기 지지부들과 상기 단턱부의 충돌을 감지하는 충돌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헬리데크가 상기 선수부 데크로부터 상기 격납고로 이동시, 상기 지지부들 중 상기 단턱부와 충돌하는 지지부가 상기 헬리데크의 하부로 접힐 수 있다.
상기 선박은 상기 헬리데크의 모서리부에 매립형으로 설치되는 안전망; 및 상기 헬리데크가 상기 격납고로 이동되기 전에 상기 안전망을 상기 헬리데크로 반입하고, 상기 헬리데크가 상기 선수부 데크로 이동된 후 상기 안전망을 상기 헬리데크로부터 반출하는 안전망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헬리데크로 인해 선박의 무게 중심이 선수 측으로 치우침을 줄일 수 있으며, 헬리데크에 의해 데크하우스에 마련된 관제실의 시야가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선박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이동형 헬리데크를 갖는 선박에 있어서, 경사진 선수부에 헬리데크를 수평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데크하우스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는 선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언급되지 않은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선수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헬리데크가 선수부 데크로 이동된 상태의 선박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구성하는 헬리데크가 선수부 데크로 인출된 것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B'부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구성하는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구성하는 헬리데크의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구성하는 구동부의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만일 정의되지 않더라도,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기술 혹은 과학 용어들을 포함)은 이 발명이 속한 종래 기술에서 보편적 기술에 의해 일반적으로 수용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공지된 구성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가급적 동일한 도면부호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서 일부 구성은 다소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도시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가지다" 또는 "구비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데크하우스(deckhouse) 내에 헬리데크(helideck)의 격납을 위한 격납고가 마련되고, 헬리데크는 선수부 데크와 격납고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헬리데크를 운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헬리데크를 데크하우스 내에 마련된 격납고로 이동시킬 수 있어, 선박의 무게 중심이 선수 측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헬리데크로 인해 데크하우스의 관제실에서 시야가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헬리데크가 격납고로부터 선수부 데크로 인출시 헬리데크를 가이드레일 상에 지지하는 지지부들은 선수부 데크의 경사각에 따라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경사진 선수부 데크 상에 헬리데크를 수평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지지부들은 헬리데크의 하면으로 접힐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격납고의 높이를 최소화하여 데크하우스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예를 들어, 해양플랜트 지원선박(Operating Supply Vessel)으로 제공될 수 있으나, 해양플랜트 지원선박 이외의 다양한 선박이나 해양구조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선수부를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은 선체(110), 데크하우스(120), 격납고(130), 가이드레일(140), 헬리데크(150), 다수의 지지부(160) 및 구동부(170)를 포함한다.
데크하우스(120)는 선체의 데크(deck) 상에 설치된다. 데크하우스(120)의 선수측 상단부에는 관제실(도시생략)이 마련될 수 있다. 선박(100)이 해양플랜트 지원선박일 경우, 데크하우스(120)부터 선미까지는 작업을 위해 비어 있는 데크로 마련될 수 있다.
격납고(130)는 데크하우스(120) 내에 헬리데크(150)가 격납될 수 있는 크기로 마련된다. 격납고(130)는 선체(110)의 선수부 데크(112)를 향하는 전면부가 개방되어 있다.
가이드레일(140)은 헬리데크(150)의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마련되며, 선수부 데크(112)와 격납고(130) 간에 선체(110)의 길이 방향(X)으로 연장된다. 가이드레일(140)은 선체(110)의 폭방향(Y)을 따라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헬리데크(150)는 가이드레일(140)을 따라 이동하도록 제공된다. 헬리데크(150)는 다수의 거더로 이루어질 수 있다. 헬리데크(150)는 예를 들어, 알루미늄 팬케이크 부재로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지지부(160)들은 헬리데크(150)를 가이드레일(140) 상에 지지한다. 지지부(160)들은 헬리데크(150)의 하면에 가이드레일(140)의 배치 방향(X)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고정될 수 있다. 지지부(16)의 하단에는 구름휠이 마련되어 헬리데크(150)가 가이드레일(140)을 따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게 한다.
구동부(170)는 헬리데크(150)를 선수부 데크(112)와 격납고(130) 사이에서 이동시킨다. 일 실시예에서, 구동부(170)는 제1 윈치(171)와 제2 윈치(17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제1 윈치(171)는 선수부 데크(112)의 선수측 끝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윈치(171)는 헬리데크(150)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와이어(172)를 감아 헬리데크(150)를 선수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제2 윈치(173)는 격납고(130)의 선수측 끝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윈치(173)는 헬리데크(150)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 와이어(174)를 감아 헬리데크(150)를 선미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와이어(172, 174)는 체인이나 로프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헬리데크(150)를 안정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제1 윈치(171)와 제2 윈치(173)는 가이드레일(140)의 끝부분에 다수개 형성될 수 있다. 제1 윈치(171)와 제2 윈치(173)는 어느 하나가 와이어를 감을 때 다른 하나가 와이어를 풀도록 동작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헬리데크가 선수부 데크로 이동된 상태의 선박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헬리콥터가 착륙하기 위하여 선박으로 접근시, 제1 윈치(171)는 제1 와이어(172)를 감아, 헬리데크(150)를 가이드레일(140)을 따라 선수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헬리데크(150)가 도 4의 도시와 같이 선수부 데크(112) 상에 위치하게 된다. 제1 윈치(171)에서 제1 와이어(172)를 감을 때, 제2 윈치(173)는 제2 와이어(174)를 풀어주며, 이에 따라 헬리데크(150)가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반대로, 헬리콥터가 헬리데크(150)에서 이륙한 후에는, 제2 윈치(173)에서 제2 와이어(174)를 감아 헬리데크(150)를 격납고(130)로 이동시킨다. 제2 윈치(173)에서 제2 와이어(174)를 감을 때, 제1 윈치(171)는 제1 와이어(172)를 풀어주어 헬리데크(150)가 안정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헬리데크(150)를 운용하지 않는 동안에는 헬리데크(150)를 데크하우스(120) 내에 마련된 격납고(130)로 이동시켜, 선박의 무게 중심이 선수 측으로 치우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헬리데크(150)로 인해 데크하우스(120)의 관제실에서 시야가 방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별도의 중구조 헬리데크 서포트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무게 이동에 따른 별도의 설계 변경을 할 필요도 없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구성하는 헬리데크가 선수부 데크로 인출된 것을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B'부 확대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중복 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100)은 선수부 데크(112)가 경사져 있으며, 선수부 데크(112)의 경사각에 따라 지지부(160)들의 길이가 조절되는 점에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선수부 데크(112)가 선수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구조로 제공되어, 선수부 무게를 줄이고, 관제실에서 보다 넓은 시야를 확보할 수 있다.
헬리데크(150)가 격납고(130)로부터 선수부 데크(112)로 인출시, 경사진 선수부 데크(112)에 헬리데크(150)를 수평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지지부(160)들의 각 길이는 선수부 데크(112)의 경사각과 각 지지부(160)의 위치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지지부(160)의 위치는 예를 들어, 지지부(160)나 헬리데크(150) 또는 가이드레일(140)에 설치된 센서에 의해 수집되거나, 구동부(170)의 측정값을 기반으로, 예를 들어 윈치의 회전수를 엔코더(encoder) 등의 수단으로 측정하여 수집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지지부(160)는 유압실린더를 구비한 텔레스코픽(telescopic)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지지부(160)는 예를 들어, 헬리데크(150)의 저면에 고정된 지지부재(161)와, 지지부재(161)에 인출입 가능한 승강부재(163), 승강부재(163)를 승강시키는 유압구동부(16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승강부재(163)의 하단부에는 베어링을 매개로 구름휠(164)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승강부재(163)에는 스토퍼(165)가 마련될 수 있다. 헬리데크(150)의 이동이 완료되면, 스토퍼(165)를 힌지(165a)를 중심으로 회전시켜 구름휠(164)의 회전을 차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구성하는 지지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구성에 대하여는 중복설명이 생략될 수 있다. 도 8의 실시예에 따른 선박은 지지부(160)들이 헬리데크(150)의 저면에 마련된 회동부(166)에 의해 헬리데크(150)의 하부에 접힐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되는 점에서 앞서 설명한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가이드레일(140) 상에 단턱부(141)가 선수부 데크와 격납고의 경계부에 마련되고, 지지부(160)들과 단턱부(141)의 충돌을 감지하는 충돌 감지부(미도시)가 지지부(160) 또는 헬리데크(150)에 마련된다. 충돌 감지부는 가속도 센서나, 압력 센서, 충격 센서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헬리데크(150)가 선수부 데크로부터 격납고로 이동시, 지지부들 중 단턱부(141)와 충돌하는 지지부가 헬리데크(150)의 하부로 접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헬리데크(150)가 격납고에서 선수부 데크로 이동시에는 중력에 의해 자동으로 지지부(160)들이 하부로 펼쳐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지지부(160)들이 수직으로 펼쳐지면, 회동부(166)에서 지지부(160)를 고정시키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8의 실시예에 의하면, 지지부(160)들이 접힐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되어, 격납부의 높이를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데크하우스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구성하는 헬리데크의 정면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헬리데크(150)의 모서리부에 안전망(182)이 매립형으로 설치되고, 안전망 구동부(180)는 헬리데크(150)가 격납고로 이동시 안전망(182)을 헬리데크(150) 내부로 반입시키고, 헬리데크(150)가 선수부 데크로 이동시 안전망(182)을 인출시킬 수 있다. 도 9의 실시예에 의하면, 안전망(182)이 매립형으로 인출입 가능하게 제공되어, 격납부의 좌우 및 전후 방향 너비를 줄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데크하우스의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선박을 구성하는 구동부의 측면도이다. 도 10의 도시와 같이, 구동부(170)는 이송벨트(175)와 이송롤러(176)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송벨트(175)와 이송롤러(176)는 선수부 데크와 격납부 간에 마련될 수 있다. 헬리데크(150)는 지지부(160)들에 의해 이송벨트(175)의 상면에 고정되며, 이송롤러(176)에 의해 헬리데크(150)를 선수부 데크와 격납부 사이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선수부 데크가 경사진 경우, 이송벨트(175)와 이송롤러(176) 역시 경사진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헬리데크(150)의 수평 지지를 위하여, 지지부(160)들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상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으며,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가능한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문언적 기재 그 자체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실질적으로는 기술적 가치가 균등한 범주의 발명에 대하여까지 미치는 것임을 이해하여야 한다.
100: 선박 110: 선체
112: 선수부 데크 120: 데크하우스
130: 격납고 140: 가이드레일
141: 단턱부 150: 헬리데크
160: 지지부 161: 지지부재
162: 유압구동부 163: 승강부재
164: 구름휠 165: 스토퍼
166: 회동부 170: 구동부
171: 제1 윈치 172: 제1 와이어
173: 제2 윈치 174: 제2 와이어
175: 이송벨트 176: 이송롤러
180: 안전망 구동부 182: 안전망

Claims (7)

  1. 선체;
    상기 선체의 데크 상에 설치되는 데크하우스;
    상기 데크하우스에 마련되고, 상기 선체의 선수부 데크를 향하여 개방되어 있는 격납고;
    상기 선수부 데크와 상기 격납고 사이에서 이동 가능한 헬리데크; 및
    상기 헬리데크를 상기 선수부 데크와 상기 격납고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선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선수부 데크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헬리데크의 일측에 연결되는 제1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제1 윈치; 및
    상기 격납고의 일측에 형성되고, 상기 헬리데크의 타측에 연결되는 제2 와이어를 감거나 푸는 제2 윈치;를 포함하는 선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선수부 데크와 상기 격납고 간에 연장되는 가이드레일;을 더 포함하고,
    상기 헬리데크는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선박.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헬리데크를 상기 가이드레일 상에 지지하는 지지부들;을 더 포함하고,
    상기 헬리데크가 상기 격납고로부터 상기 선수부 데크로 인출시 상기 헬리데크가 수평으로 지지되도록, 상기 선수부 데크의 경사각에 따라 상기 지지부들의 길이가 조절되는 선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들은 상기 헬리데크의 하면으로 접힐 수 있는 구조로 제공되는 선박.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선수부 데크와 상기 격납고의 경계부에 형성되는 단턱부; 및
    상기 지지부들과 상기 단턱부의 충돌을 감지하는 충돌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헬리데크가 상기 선수부 데크로부터 상기 격납고로 이동시, 상기 지지부들 중 상기 단턱부와 충돌하는 지지부가 상기 헬리데크의 하부로 접히는 선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헬리데크의 모서리부에 매립형으로 설치되는 안전망; 및
    상기 헬리데크가 상기 격납고로 이동되기 전에 상기 안전망을 상기 헬리데크로 반입하고, 상기 헬리데크가 상기 선수부 데크로 이동된 후 상기 안전망을 상기 헬리데크로부터 반출하는 안전망 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선박.
KR1020170049061A 2017-04-17 2017-04-17 선박 KR1019730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061A KR101973076B1 (ko) 2017-04-17 2017-04-17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9061A KR101973076B1 (ko) 2017-04-17 2017-04-17 선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590A true KR20180116590A (ko) 2018-10-25
KR101973076B1 KR101973076B1 (ko) 2019-04-26

Family

ID=64131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9061A KR101973076B1 (ko) 2017-04-17 2017-04-17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307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297U (ko) * 1985-07-19 1987-02-03
JPH0352299U (ko) * 1989-09-29 1991-05-21
JPH0394397U (ko) * 1990-01-18 1991-09-26
KR20150030950A (ko) * 2013-09-13 2015-03-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헬리데크 격납부를 갖는 선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8297U (ko) * 1985-07-19 1987-02-03
JPH0352299U (ko) * 1989-09-29 1991-05-21
JPH0394397U (ko) * 1990-01-18 1991-09-26
KR20150030950A (ko) * 2013-09-13 2015-03-2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헬리데크 격납부를 갖는 선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3076B1 (ko) 2019-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7067B2 (en) System for launching and recovering underwater vehicles, notably towed underwater vehicles
KR101642666B1 (ko) 선박 및 선박용 갱웨이
US20120192780A1 (en) System for launching and recovering underwater vehicles, notably towed underwater vehicles
CN110719886A (zh) 用于在海上船上使用的运动补偿起重机
AU2013269527B2 (en) System for launching and retrieving submarine vehicles, in particular towed submarine vehicles
CN104203746B (zh) 具有用于干式停靠船只的可动潜式平台的半潜式平台
CN101112944B (zh) 浮式卸船设备
EP3992368B1 (en) Jack-up platform with receiving space for a barge and method for offshore installation of a wind turbine
KR102076677B1 (ko) 초대형 컨테이너선용 승하선장치
WO2017179229A1 (ja) 船舶、船舶を使用した搬送方法
JP5982523B1 (ja) 二種類の荷役装置による同時荷役貨物船
BE1018570A4 (nl) Inrichting voor het overbrengen van voorwerpen op zee.
KR101973076B1 (ko) 선박
EP0127637B1 (en) Apparatus for trimming and emptying bulk material
JP6001750B2 (ja) 硬帆で形成される横帆を備えた船舶及び横帆の格納及び展開方法
KR101306941B1 (ko) 선박용 승강기
JP5817153B2 (ja) 洋上荷役システム及びこれを備えた洋上浮遊体
KR20160005930A (ko) 승하선 사다리의 전기식 텔레스코픽 시스템
KR101595477B1 (ko) 화물 적재가 가능한 선박 거주구
US11066132B2 (en) Boat transfer system
WO2012108769A1 (en) Transfer system
RU121228U1 (ru) Плавучее средство-перегружатель
CN201056432Y (zh) 浮式卸船设备
EP2714505A1 (en) A launch and retrieval system
JP3162131U (ja) 水上構造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