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3658A - 말굽버섯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 이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말굽버섯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 이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3658A
KR20180113658A KR1020170044664A KR20170044664A KR20180113658A KR 20180113658 A KR20180113658 A KR 20180113658A KR 1020170044664 A KR1020170044664 A KR 1020170044664A KR 20170044664 A KR20170044664 A KR 20170044664A KR 20180113658 A KR20180113658 A KR 201801136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thyl acetate
extract
mushroom
horseradish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4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5281B1 (ko
Inventor
신흥묵
석영미
소재현
김선건
김효정
허준혁
강혜령
Original Assignee
한약진흥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약진흥재단 filed Critical 한약진흥재단
Priority to KR1020170044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5281B1/ko
Publication of KR201801136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6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5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5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1/00Edible extracts or preparations of fungi;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1/10Yeasts or derivatives thereof
    • A23L31/15Extrac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06Fungi, e.g. yeasts
    • A61K36/07Basidiomycota, e.g. Cryptococcu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yc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말굽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 이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말굽버섯 추출물은 혈관을 이완시켜 고혈압을 치료하는 효능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여러 분획물 중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효과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또한, 말굽버섯 추출물의 혈관이완작용은 내피비의존적으로 나타났다.

Description

말굽버섯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 이완용 조성물 {Composition with the ethyl acetate extract of Fomes fomentarius for the relaxation of blood vessel}
본 발명은 말굽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말굽버섯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 이완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혈관수축(vasoconstriction, 血管收縮)은 혈관 벽이 수축됨에 따라 대동맥을 포함하는 동맥 또는 정맥 등의 혈관이 좁아지는 현상을 지칭한다. 혈관수축으로 말미암아 발생하는 질환으로는 혈액순환장애, 동맥경화, 고혈압, 뇌졸중, 뇌경색, 뇌출혈, 심근경색 및 심부전 등이 있다.
혈관장애 질환의 치료제로는 가장 대표적인 것으로 일산화질소(nitric oxide, NO)가 있는데, Furchgott와 Zawadszki에 의해 1980년에 시작된 이후 급속히 발전되고 있는 연구 분야이다 (Nature. 1980 Nov27;288(5789):373-6).
일반적으로 혈관평활근의 긴장도는 여러 중요 인자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NO-cGMP(Nitric oxide-cyclic guanosine monophosphate) 경로는 혈관이완에서 매우 중요한 경로이다.
신경전달물질인 NO(nitric oxide)는 내피세포에서 산화질소합성효소(NOS)에 의해 L-아르기닌으로부터 생성되는데, 이렇게 생성된 NO는 sGC(soluble guanulate cyclase)를 활성화시키고, 결국 cGMP의 생성을 증가시켜 신호전달체계를 통해 혈관 평활근을 이완시킨다. 현재 NO는 자율신경계, 내분비계, 중추신경계 및 면역관계를 포함한 의학의 전 분야에서 응용이 시도되고 있다. 따라서 NO-cGMP 경로 조절로 혈관을 이완시키기 위하여 NO를 생성할 수 있는 다양한 약물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그러나 종래의 화학적 혈관 이완제는 생체 내에 내피 손상, 용혈, 급성 독성이나 심장마비 등의 부작용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천연물질을 소재로 하면서도, NO 생성을 조절하여 NO-cGMP 경로를 조절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의 개발이 절실하다.
한편, 말굽버섯(Fomes fomentarius)은 구멍장이버섯(Polyporaceae)과 말굽버섯속(Fomes)에 속하는 버섯으로, 한국, 일본, 중국, 북아메리카, 필리핀, 인도네시아 등에 널리 분포하며, 활엽수의 고목, 생목에 발생하는 다년생이다 (Park YH and Lee HD (1999) In Coloured Korea Medical mushrooms, Kyohaksa, Korea).
주요 성분으로는 alkaloid, ergosta-7, 22-dien-3-one, 22-dien-3β-stearate, 22-dien-3β-ol, betulin, polysaccaride, lectin, fomentariol, fomentaric acid, agaritinic acid, agariolesin, carboxymethylcellulase, protease, β-(1-3)-D-giucan, D-parnkshion, Ge-132가 있는데, 그 효능으로는 항암, 그람양성 세균 증식 억제, 항산화, 해열, 이뇨, 항당뇨가 알려 있다 (Park YH and Lee HD (1999), In Coloured Korea Medical mushrooms, Kyohaksa, Korea).
하지만, 아직까지 말굽버섯의 혈관이완 효과에 관련된 연구는 알려진 바가 없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5-0033022호 (공개일자 2005.04.08)에는, 말굽버섯 추출물을 함유하고 있는 기능성 음료, 기능성 식품, 기능성 과자, 그리고 기능성 빵 및 기능성 술과 이의 제조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8-0111955호 (공개일자 2008.12.24)에는, Gomisin 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 이완용 약학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Young Hoon Kim et al., Immune-stimulatory Effects of Fomes fomentarius Extract in Murine Macrophages, J Appl Biol Chem (2014) 57(4), 373-377. Park YH and Lee HD (1999), In Coloured Korea Medical mushrooms, Kyohaksa, Korea.
본 발명은 말굽버섯의 혈관 이완 효과를 입증하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혈관이완제, 고혈압 개선·예방·치료제를 개발하여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말굽버섯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혈압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말굽버섯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혈압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상기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고혈압은, 바람직하게 혈관 수축으로 말미암아 발생하는 고혈압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말굽버섯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수축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말굽버섯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말굽버섯의 에탄올추출물에 헥산과 물을 첨가한 후, 분획하는 단계 (a); 상기 단계 (a)로부터 수득되는 물층에 에틸아세테이트를 첨가한 후, 분획하는 단계 (b); 를 포함하는 과정으로부터 수득되는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은 말굽버섯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이완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혈관이완제에 있어서, 상기 말굽버섯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은, 바람직하게 말굽버섯의 에탄올추출물에 헥산과 물을 첨가한 후, 분획하는 단계 (a); 상기 단계 (a)로부터 수득되는 물층에 에틸아세테이트를 첨가한 후, 분획하는 단계 (b); 를 포함하는 과정으로부터 수득되는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인 것이 좋다.
본 발명의 실험 결과, 말굽버섯에 의한 혈관이완작용은, 말굽버섯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에탄올 추출물, 부탄올 분획물과 물 분획물의 순서로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말굽버섯은 혈관을 이완시켜 고혈압을 치료하는 효능을 가지는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의 효과가 더 크게 작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말굽버섯 추출물은 내피비의존적으로 혈관이완 작용을 나타내었다.
도 1은 말굽버섯 에탄올의 용매별 추출물(분획물) 획득 과정을 보여주는 도이다.
도 2는 내피를 제거한 혈관 {ET(-)} 에서, 말굽버섯 추출물의 혈관 이완 효과를 보여준다.
도 3은 내피를 제거하지 않은 혈관 {ET(+)} 에서, 말굽버섯 추출물의 혈관 이완 효과를 보여준다.
도 4는 말굽버섯 추출물의 EC50과 Emax 값이다.
본 발명은 말굽버섯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혈압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말굽버섯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수축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특정의 제형으로 반드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일 예로 육류, 곡류, 카페인 음료, 일반 음료, 초콜렛, 빵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젤리,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 알코올성 음료, 술, 비타민 복합제 및 그 밖의 건강보조식품류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말굽버섯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혈압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말굽버섯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이완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말굽버섯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강력한 혈관이완효과를 가지고 있어 순환기계 장애로 인한 고혈압, 동맥경화, 혈액순환장애, 당뇨병, 성기능장애, 기억력장애 등의 질환에 대한 예방 및 치료제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임상적으로 이용시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약제학적 분야에서 통상적인 담체와 함께 배합하여 약제학적 분야에서 통상적인 제제, 예를 들면 정제, 캅셀제, 트로치제, 액제, 현탁제 등의 경구투여용 제제, 주사용 용액 또는 현탁액, 또는 주사시에 주사용 증류수로 재조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즉시 사용형 주사용 건조분말 등의 형태인 주사용 제제, 연고제, 크림제, 액제 등의 국소적용형 제제 등의 다양한 제제로 제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사용될 수 있는 담체는 약제학적 분야에서 통상적인 것으로, 예를 들어 경구투여용 제제의 경우에, 결합제, 활탁제, 붕해제, 부형제, 가용화제, 분산제, 안정화제, 현탁화제, 색소, 향료 등이 있으며, 주사제의 경우, 보존제, 무통화제, 가용화제, 안정화제 등이 있고, 국소투여용 제제의 경우, 기제, 부형제, 윤활제, 보존제 등이 있다. 이렇게 제조된 약제학적 제제는 경구적으로 투여하거나, 비경구적으로, 예를 들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투여 또는 국소적용할 수 있다. 또한, 경구투여시에 약제가 위산에 의해 분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제산제를 병용하거나, 정제 등의 경구투여용 고형제제를 피복된 제제로 제형화하여 투여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말굽버섯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의 인체에 대한 투여량은 체내에서의 활성성분의 흡수도, 불활성화율 및 배설속도, 환자의 연령, 성별 및 상태, 치료할 질병의 중증도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되나, 일반적으로는 성인에게 1일에 5 내지 500mg,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mg의 양이 투여되도록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을 단위투여형으로 제조시, 상기 언급된 유효용량 범위를 고려하여 말굽버섯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5 내지 500mg,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mg 함유하도록 제형화할 수 있다. 이렇게 제형화된 단위투여형은 필요에 따라 약제의 투여를 감시하거나 관찰하는 전문가의 판단과 개인의 요구에 따라 전문화된 투약법을 사용하거나, 일정시간 간격으로 수회,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회 분할 투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조성물의 활성성분인 말굽버섯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은 후술하는 실험결과로부터 입증되는 바와 같이 혈관내피에 대한 손상없이 혈관을 이완시키는 작용을 나타내므로, 용혈이나 어독성 등의 부작용이 없을 뿐만 아니라, 실험동물에 대하여 급성독성을 나타내지 않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말굽버섯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은, 말굽버섯에 에틸에세테이트를 용매로 가하여 추출한 추출물일 수 있고, 분획과정을 통해 제조한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일 수도 있다.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은 바람직하게 말굽버섯의 에탄올추출물에 헥산과 물을 첨가한 후, 분획하는 단계 (a); 상기 단계 (a)로부터 수득되는 물층에 에틸아세테이트를 첨가한 후, 분획하는 단계 (b); 를 포함하는 과정으로부터 수득되는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분획물)일 수 있다 (도 1 참조 요망). 도 1은 말굽버섯 에탄올의 용매별 추출물(분획물) 획득 과정을 보여주는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다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와 등가의 기술적 사상의 변형까지를 포함한다.
[ 실시예 1: 말굽버섯 에탄올 추출물의 수용성 분획물 제조]
말굽버섯을 그늘에서 건조한 후 마쇄하고, 무게당 10배의 70% 에탄올을 가하여 100℃에서 3시간 동안 환류추출기를 이용하여 추출하였다. 그 후, 실온에서 방냉한 뒤 추출한 소재는 3,000×에서 30분간 원심분리하고 상층액을 와트만 필터 페이퍼(Whatman filter paper, Whatman International, Maidstone, UK)로 여과한 후, 감압농축기(Eyela SB-1000, Tokyo, Japan)로 농축한 다음 동결건조기(FD 8508, Ilshin, Korea)로 건조하여 말굽버섯 에탄올 추출 분말을 제조하였다. 추출률은 원재료 무게대비 7.2%를 나타내었다.
상기 말굽버섯 에탄올 추출 분말을 물에 녹이고, 같은 양의 헥산(hexane)과 혼합하여 분획하고, 물 층은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EtOAC)로 분획하고, 남은 물 층은 마지막으로 n-부탄올(n-butanol)로 분획하여 최종 물 층과 함께 4개의 분획(n-hexane, EtOAC, n-BuOH, 물 층)을 확보하였다 (도 1 참조). 도 1은 말굽버섯 에탄올의 용매별 분획물 획득 과정을 보여주는 도이다.
상기 분획물 중 헥산(hexane) 분획물은 극소량이어서 실험에서 제외하고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n-부탄올(n-butanol), 최종 물 층을 하기 실험예에서 사용하였다.
[ 실험예 1: 말굽버섯 에탄올 추출물의 혈관장력 측정]
본 실험에서는 10주령, 체중 320~350g의 수컷 Sprague-Dawley Rat을 사용하였다. 각 실험쥐에게 각각 실험 당일까지 고형사료를 자유 식이하면서 물을 충분히 공급하였다. 실온 22±2℃, 상대습도 50±10%, 조명시간 12시간(07:00~19:00), 조도 150~300 Lux로 설정하여 1주일간 실험실 환경에 적응시킨 후, 체중 변화가 일정하고, 건강한 쥐만을 선별하여 실험에 사용하였으며, 실험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동물실험윤리규정을 준수하여 실시하였다.
본 실험에서 사용한 고형사료 조성 성분과 분량은 다음 표 1에 나타내었다.
성분 함량(중량%)
조단백질 22.1% 이상
조지방 3.5% 이상
조섬유 5.0% 이하
조회분 8.0% 이하
칼슘 0.6% 이상
0.4% 이상
말굽버섯 에탄올 추출물의 혈관장력 측정은 하기의 방법에 의해 수행하였다.
무게 320~350g의 수컷 Sprague-Dawley rat을 sodium pentobarbital(50mg kg-1 i.p.)로 마취하여 즉시 흉부 대동맥을 적출한 후 차가운 영양액에 담궜다. 본 실험에 사용된 영양액의 조성(mM)은, NaCl 115.0, KCl 4.7, CaCl2 2.5, MgCl2 1.2, NaHCO3 25.0, KH2PO4 1.2, dextrose 10.0이었다.
혈관 대동맥을 Seok 등의 방법에 따라 Krebs-bicarbonate solution에 담그고, 젖은 여과지 위에서 혈관에 부착된 결체조직을 제거한 후, 3.5mm의 고리를 만들었다 (Seok YM et al., Enhanced Ca2+-dependent activation of phosphoinositide 3-kinase class IIα isoform-Rho axis in blood vessels of spontaneously hypertensive rats. Hypertension. 2010 Nov;56(5):934-41).
혈관 내피 제거를 위해 Forcep 끝 부분으로 혈관 고리의 내부 표면을 부드럽게 문질러 내피세포를 제거하였다. 혈관 고리를 조직조 (6ml)에 현수시키고, 조직조의 온도는 37℃로 유지하고, 95% O2와 5% CO2 혼합가스를 공급하였다.
각각의 혈관 고리는 아래 고정 축에 연결하고, 다른 하나는 등장력 변환기(Danish Myo Technology, Skejbyparken, Aarhus N, Denmark)에 연결하였다. 이때, 혈관 손상을 방지하기 위해 주의를 기울였다. 혈관 고리에 2.0 g의 장력을 가해서 수동적으로 신장시키고, 실험 전체에 걸쳐 장력을 유지하였다.
각각의 혈관 고리를 조직조에서 60분 동안 안정화시킨 후, 50 mM KCl에 대한 수축 반응을 유도하였다. Computerized data acquisition system (PowerLab/8SP, ADInstruments, Castle Hill, NSW, Australia)을 이용하여 각각의 대동맥 고리에 대한 장력을 기록하였다.
한편, 말굽버섯에 의한 혈관이완작용을 확인하기 위해 말굽버섯의 70% 에탄올 추출물과 분획물인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n-부탄올(n-butanol), 최종 물 층을 사용하였다.
약물은 DMSO와 증류수의 1:3의 비율로 100mg/ml의 stock으로 녹여 사용하였다. 먼저, 내피를 제거한 혈관(도 2, ET(-))과 제거하지 않은(도 3, ET(+)) 혈관에, 혈관수축제인 U46619(30nM, thromboxane A2 수용체 효현제)를 처리하여 수축시켰다. 수축이 안정기에 들면, 혈관 고리에 에탄올 추출물,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n-부탄올(n-butanol), 최종 물 층을 각각 농도 누적적(0.1, 0.2, 0.3, 0.4, 0.5mg/mL)으로 후처리하였다.
혈관 장력은 U46619의 처리에 의한 최대 수축 값에서 이완되는 %를 측정하여, 이완력(Relaxation)으로 표기하였다.
실험 결과, 말굽버섯에 의한 혈관이완작용은 말굽버섯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ethyl acetate) 층에서 혈관이완작용이 가장 높음을 알 수 있었다. 구체적으로 보면, thromboxane A2 수용체 효현제인 U46619에 의해 유도된 혈관의 수축을 말굽버섯이 농도 누적적으로 이완시켰다.
혈관의 이완작용은 말굽버섯의 에틸아세테이트 층, 70% 에탄올 추출물, 부탄올 층과 물 층의 순서로 혈관이완이 증가하였다. 여기서, 에틸아세테이트 층을 처리한 혈관의 이완력에 대한 약물의 EC50 값은 내피 존재할 때(ET+)와 제거할 때(ET-)에서, 각각 0.23mg/ml와 0.25±0.05mg/ml를 나타냈다. 또한, 70% 에탄올 추출물의 EC50 값은 0.40mg/ml와 34±0.07mg/ml, 부탄올 층의 EC50 값은 0.40mg/ml와 0.43±0.03mg/ml, 물 층은 0.40mg/ml와 0.44±0.04mg/ml 이었다 (도 4).
따라서 EC50 값을 비교해보면 에틸아세테이트 층에서 혈관의 이완력에 대한 약물의 효과가, 70% 에탄올 추출물, 부탄올 층과 물 층보다 더 높음을 알 수 있다. 각각의 약물에 대한 혈관의 이완작용은 내피의 유무에 따라 차이는 나지 않았다. 즉, 내피비의존적인 혈관이완을 나타내었다.
약물의 최대 이완력을 나타내는 Emax 값은, 내피 존재시(ET+), 제거시(ET-), 70% 에탄올 추출물(112.8%, 104.2±3.0%), 에틸아세테이트 층(100.1%, 100.1±0.1%), 부탄올 층(96.1%, 117.0±26.2%)과 물 층(23.7%, 41.4±17.0%) 중, 물 층에서 Emax가 가장 낮게 나타났고, 이로부터 물 층의 약물의 이완효과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 (도 4).
결과를 정리하면, 말굽버섯에 의한 혈관이완작용은 말굽버섯 에탄올 추출물의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 에탄올 추출물, 부탄올 분획물과 물 분획물의 순서로 혈관이완작용이 높음을 알 수 있었다.
말굽버섯은 혈관을 이완시켜 고혈압을 치료하는 효능을 가지는데, 에틸아세테이트 분획물이 효과가 더 크게 작용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말굽버섯 추출물의 혈관이완작용은 내피비의존적으로 나타났다.

Claims (7)

  1. 말굽버섯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혈압 개선용 식품 조성물.
  2. 말굽버섯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혈압 예방 및 치료용 약학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혈압은,
    혈관 수축으로 말미암아 발생하는 고혈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말굽버섯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 수축 개선용 식품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말굽버섯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은,
    말굽버섯의 에탄올추출물에 헥산과 물을 첨가한 후, 분획하는 단계 (a);
    상기 단계 (a)로부터 수득되는 물층에 에틸아세테이트를 첨가한 후, 분획하는 단계 (b); 를 포함하는 과정으로부터 수득되는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말굽버섯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이완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말굽버섯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은,
    말굽버섯의 에탄올추출물에 헥산과 물을 첨가한 후, 분획하는 단계 (a);
    상기 단계 (a)로부터 수득되는 물층에 에틸아세테이트를 첨가한 후, 분획하는 단계 (b); 를 포함하는 과정으로부터 수득되는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혈관이완제.
KR1020170044664A 2017-04-06 2017-04-06 말굽버섯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 이완용 조성물 KR102035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664A KR102035281B1 (ko) 2017-04-06 2017-04-06 말굽버섯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 이완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664A KR102035281B1 (ko) 2017-04-06 2017-04-06 말굽버섯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 이완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658A true KR20180113658A (ko) 2018-10-17
KR102035281B1 KR102035281B1 (ko) 2019-10-30

Family

ID=64099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4664A KR102035281B1 (ko) 2017-04-06 2017-04-06 말굽버섯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 이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52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8501A1 (en) * 2019-12-13 2021-06-17 Trakya Universitesi Rektorlugu Haemostatic gel formulation production from fomes fomentarius extrac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3022A (ko) 2003-10-02 2005-04-08 신용달 말굽버섯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식품 및 음료와, 그제조 방법
KR20170035107A (ko) * 2015-09-22 2017-03-3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말굽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신경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3022A (ko) 2003-10-02 2005-04-08 신용달 말굽버섯 추출물을 함유한 기능성 식품 및 음료와, 그제조 방법
KR20170035107A (ko) * 2015-09-22 2017-03-3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말굽버섯 추출물을 포함하는 뇌신경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ark YH and Lee HD (1999), In Coloured Korea Medical mushrooms, Kyohaksa, Korea.
Young Hoon Kim et al., Immune-stimulatory Effects of Fomes fomentarius Extract in Murine Macrophages, J Appl Biol Chem (2014) 57(4), 373-377.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08-0111955호 (공개일자 2008.12.24)에는, Gomisin A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혈관 이완용 약학 조성물이 기재되어 있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8501A1 (en) * 2019-12-13 2021-06-17 Trakya Universitesi Rektorlugu Haemostatic gel formulation production from fomes fomentarius extrac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5281B1 (ko) 2019-10-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14298B2 (ja) 高麗人参の実抽出物を含有する血行促進、血管老化防止及び虚血性心疾患治療用組成物
Baisch et al. Endothelium-dependent vasorelaxing activity of aqueous extracts of Ilex paraguariensis on mesenteric arterial bed of rats
KR101845862B1 (ko) 특발성 폐섬유증의 치료 또는 예방을 위한 약학적 조성물
US20200093929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memory and cognitive deficits related to ageing
KR102035281B1 (ko) 말굽버섯의 에틸아세테이트 추출물을 포함하는 혈관 이완용 조성물
US9597365B2 (en) Method for treating vascular inflammation, improving skin beauty and improving male sexual function using ginseng berry
KR101687270B1 (ko) 상륙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갑상선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129596A (ko) 초피나무 열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염증성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FR2991181A1 (fr) Composition pharmaceutique ou dietetique pour inhiber l'absorption intestinale du sucre et utilisable pour soigner le syndrome metabolique
RU2453136C2 (ru) Мед натуральный лофантовый, содержащий глицирризиновую кислоту
EP3946405B1 (fr) Composition de desmodium et de chrome trivalent et utilisation à visee oculaire
EP1523321B1 (fr) Utilisation d'extraits de ginkgo biloba pour favoriser la masse musculaire au detriment de la masse graisseuse
JP7367112B2 (ja) ホスホジエステラーゼ5活性阻害用組成物
ES2739133B2 (es) Composicion para la reduccion del declive metabolico asociado al envejecimiento y/o el tratamiento de trastornos relacionados al metabolismo lipidico
KR100759466B1 (ko) 3-카페오일-4-다이하이드로카페오일 퀴닌산을 함유하는 비만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JP7072357B2 (ja) 糖取り込み組成物
KR101743489B1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행촉진, 혈관신생촉진, 및 허혈성 심질환 치료용 조성물
KR20150050780A (ko) 까마귀쪽나무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함유하는 비만 관련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647654B1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혈행촉진, 혈관신생촉진, 및 허혈성 심질환 치료용 조성물
RU2520695C1 (ru) Комплекс биологически активных веществ для лечения и профилактики заболеваний сердечно-сосудистой системы
KR20190006924A (ko) 단풍나무 잎 추출물을 포함하는 안압 저하용 조성물
EP4313022A1 (fr) Composition nutraceutique comprenant de l'inuline pour le traitement et la prevention des troubles oculaires ou le desequilibre de la microbiote intestinal
IT202000027897A1 (it) Composizione di combinazione per il trattamento di una disfunzione erettile
BE1026902A1 (fr) Médicament et complément alimentaire contre des troubles gynécologiques
KR20180098459A (ko) 백합 비늘줄기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