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2412A - 코드리스 블라인드 - Google Patents

코드리스 블라인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2412A
KR20180112412A KR1020170043466A KR20170043466A KR20180112412A KR 20180112412 A KR20180112412 A KR 20180112412A KR 1020170043466 A KR1020170043466 A KR 1020170043466A KR 20170043466 A KR20170043466 A KR 20170043466A KR 20180112412 A KR20180112412 A KR 201801124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bar
blind fabric
blind
wind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34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8458B1 (ko
Inventor
김대영
Original Assignee
김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대영 filed Critical 김대영
Priority to KR10201700434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8458B1/ko
Publication of KR20180112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2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8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8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Bli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드리스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라인드 원단을 펼쳐사용하거나 감아 올리는 경우, 별도의 조작 코드를 사용하지 않고 블라인드 원단의 하단에 마련된 웨이트하단바를 들어올리거나 잡아당겨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웨이트하단바가 소정의 위치에 머물러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코드리스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벽체나 고정구조물에 장착되는 프레임부재 내부에 배치되는 상부권취봉과 하부권취봉에 블라인드 원단을 감아 보관하거나 상기 상하부권취봉을 회전시켜 상기 블라인드 원단을 내려서 사용하도록 된 블라인드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 원단의 하단에 설치되는 웨이트하단바; 상기 하부권취봉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웨이트하단바를 들어올리는 경우, 상기 웨이트하단바의 중량보다 큰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하부권취봉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파워스프링부재; 상기 하부권취봉의 길이방향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권취봉의 회전력을 상기 상부권취봉에 전달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웨이트하단바를 소정의 높이에서 놓는 경우 상기 블라인드 원단을 잡아당기는 상기 웨이트하단바의 자체중량과 함께 상기 파워스프링부재의 탄성복원력을 제어하여 상기 웨이트하단바가 소정의 높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감속제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코드리스 블라인드{CODELESS BLIND}
본 발명은 코드리스 블라인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블라인드 원단을 펼쳐사용하거나 감아 올리는 경우, 별도의 조작 코드를 사용하지 않고 블라인드 원단의 하단에 마련된 웨이트하단바를 들어올리거나 잡아당겨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웨이트하단바가 소정의 위치에 머물러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코드리스 블라인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 블라인드는 사무실이나 가정 또는 음식점 등에서 커튼 대용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직물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스크린을 브라켓의 일측에 설치된 스프로켓으로 라운드 형태로 연결된 가동줄, 즉 볼 체인을 한 쪽 방향으로 잡아당겨 스크린이 탄성력에 의해 권취관에서 풀리면서 하강하게 되고 이를 일정한 위치에 고정시켜 창문 등을 통해 들어오는 빛을 차단하는데 사용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롤 스크린 블라인드(10')는 첨부된 도면 1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양쪽 브라켓(9)으로 회동부재(5)와 감속부재(8)를 설치하고 그 외면에 스크린이 감겨있는 권취관을 체결한다.
상기 회동부재(5)는 회동체(1)의 전방에 회동구(2)가 형성된 연결축(3)을 설치하고, 연결출(3)의 외면으로 스프링(4)를 결합한다. 그리고 스프링(4)의 양쪽 끝은 회동체(1)와 회동구(2)의 한쪽 면에 고정되도록 하고, 회동구(2)는 스프링(4)의 탄성에 의해 연결출(3)을 좌우로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감속부재(8)는 회동체(1)의 전방으로 감속기(6)을 설치하고 그 전방에 감속너트(7a)를 갖는 고정축(7)을 결합한다.
상기 회동체(1)의 내부에는 첨부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면에 볼 체인(9a)이 체결되는 스프로켓(11)이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고정축(12)을 갖는 고정판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양쪽의 회동체(1)의 외면으로 스크린이 감겨 있는 권취관을 체결하고, 브라켓(9)을 나사 등을 이용하여 창 틀 및 유리벽 틀에 고정설치한다.
이와 같은 롤 스크린 블라인드의 스크린을 상,하측으로 작동하기 위해서는 스프로켓(11)에 설치되어 있는 볼 체인(9a)의 한쪽 방향을 잡아당기면, 스크린이 하측으로 내려와 빛을 차단하게 되고, 볼 체인(9a)의 다른 쪽 방향을 잡아당기면 스크린이 상측으로 올라가면서 개방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롤 스크린 블라인드는 상기 볼 체인의 조작에 의해 스크린을 작동하기 때문에 상기 볼 체인이 끊어지거나 손상된 경우, 롤 스크린 블라인드의 사용상 어려움이 따르게 되고, 상기 볼 체인에 어린아이의 목이 걸리는 인사사고의 문제가 빈번히 발생되고 있어 상기 볼 체인 없이도 롤 스크린 블라인드를 조작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25029호의 채광조절이 가능한 롤블라인드와,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4-0065430호의 윈도우 커버링용 코드리스 리트팩터블 롤러 세이드의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정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블라이드 원단을 펼쳐 사용하거나 감아 올리는 경우, 별도의 조작코드를 사용하지 않고 블라인드 원단의 하단에 마련된 웨이트하단바의 상하이동을 통해 블라인드 원단에 의한 차폐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코드리스 블라인드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하부권취봉의 일측에 설치되는 감속제어부재의 저항력과 웨이트하단바의 자체 중량이 파워스프링부재의 탄성복원력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웨이트하단바의 승강시,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의 위치에 상기 웨이트하단바가 머물러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벽체나 고정구조물에 장착되는 프레임부재 내부에 배치되는 상부권취봉과 하부권취봉에 블라인드 원단을 감아 보관하거나 상기 상하부권취봉을 회전시켜 상기 블라인드 원단을 내려서 사용하도록 된 블라인드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 원단의 하단에 설치되는 웨이트하단바; 상기 하부권취봉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웨이트하단바를 들어올리는 경우, 상기 웨이트하단바의 중량보다 큰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하부권취봉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파워스프링부재; 상기 하부권취봉의 길이방향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권취봉의 회전력을 상기 상부권취봉에 전달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웨이트하단바를 소정의 높이에서 놓는 경우 상기 블라인드 원단을 잡아당기는 상기 웨이트하단바의 자체중량과 함께 상기 파워스프링부재의 탄성복원력을 제어하여 상기 웨이트하단바가 소정의 높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감속제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웨이트하단바를 들어올려 상기 상하부권취봉을 잡아당기는 장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파워스프링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하부권취봉이 회전되되 상기 감속제어부재에 의해 감속제어되면서 회전되고, 상기 하부권취봉의 회전수에 비해 상기 상부권취봉의 회전수가 더 크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감속제어부재는, 상기 하부권취봉의 길이방향 일측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유성기어부와, 상기 상부권취봉의 길이방향 일측에 연결되게 설치되되 상기 유성기어부와 연결기어를 매개로 연결되게 설치되는 상부기어부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유성기어부는, 상기 하부권취봉에 일측이 연결되게 결합되는 회전연결구와, 상기 회전연결구의 타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다수개의 유성기어구와, 상기 유성기어구를 수용한 상태로 중앙부에 상기 유성기어구와 기어결합되는 중앙기어구가 형성되고, 외주연 둘레에 상기 연결기어의 톱니와 맞물리는 링크톱니가 형성된 링기어구와, 상기 회전연결구의 일측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관통홀의 내주연에 상기 유성기어구의 톱니와 맞물리는 대응톱니가 형성된 고정기어구로 이루어져 상기 파워스프링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한 상기 하부권취봉의 회전시, 상기 하부권취봉의 회전을 감속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감속제어부재에는 상기 유성기어부와 상부기어부를 연결하는 상기 연결기어의 연결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기어이탈편이 구비되고, 상기 상부권취봉에 감겨진 블라인드 원단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회전가이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웨이트하단바는, 상기 블라인드 원단의 하측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블라인드 원단의 승하강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가이드봉과, 상기 회전가이드봉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상기 블라인드 원단과 회전가이드봉 간의 마찰력을 부여하는 실리콘밴드와, 상기 회전가이드봉이 설치된 상기 블라인드 원단의 하측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회전가이드봉에 회전축을 매개로 연결되는 중량바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조작코드를 사용하지 않고 블라이드 원단의 하단에 마련된 웨이트 하단바의 승하강을 통해 블라인드 원단을 펼치거나 접어 올릴 수 있어 조작코드에 의한 인사사고의 방지는 물론 조작코드의 뒤얽킴 및 손상으로 인한 블라인드의 사용상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감속제어부재의 저항력과 웨이트하단바의 자체 중량이 파워스프링부재의 탄성복원력에 대응하여 상기 웨이트하단바의 승강을 제어할 수 있게 됨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의 위치에 상기 웨이트하단바가 머물러 위치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드리스 블라인드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하단바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하단바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부권취봉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밴드의 부재시 콤비원단의 망사부가 늘어지게 되는 문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리콘밴드의 부재시 블라인드 원단의 쏠림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감속제어부재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분리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감속제어부재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기어이탈편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회전가이드부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1은 종래 롤 스크린 블라인드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12는 종래 볼 체인이 연결되는 스프로켓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나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며 제품을 생산하는 생산자나 제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코드리스 블라인드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코드리스 블라인드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하단바의 분리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웨이트하단바의 단면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하부권취봉의 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다.
상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드리스 블라인드는 벽체나 고정구조물에 장착되는 프레임부재(100) 내부에 배치되는 상부권취봉(110)과 하부권취봉(120)에 블라인드 원단(130)을 감아 보관하거나 상기 상하부권취봉(120)을회전시켜 상기 블라인드 원단(130)을 내려서 사용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블라인드 원단(130)의 하부에는 웨이트하단바(200)가 설치되고, 상기 하부권취봉(120)의 내부에는 파워스프링부재(300)가 설치되며 상기 하부권취봉(120)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감속제어부재(400)가 설치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코드리스 블라인드는 상기 상부권취봉(110)에 블라인드 원단의 일측을 고정한 상태로 타측을 하부로 늘어뜨려 상기 웨이트하단바(200)의 내부를 통과시킨 후, 상기 하부권취봉(120)에 연결하여 상 상기 상부권취봉(110)과 하부권취봉(120)의 일 방향 회전시에는 상기 블라인드 원단(130)이 상기 상부권취봉(110)과 하부권취봉(120)에 감기도록 하고, 상기 상부권취봉(110)과 하부권취봉(120)의 타 방향 회전시에는 상기 블라인드 원단이 풀려 차폐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웨이트하단바(200)를 들어올리거나 잡아내려 상기 상부권취봉(110)과 하부권취봉(120)이 회전되게 함으로써 상기 블라인드 원단(130)의 승하강을 이룰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블라인드 원단(130)은 전체가 차광구조를 갖는 원단이거나 망사구조을 가지는 망사부(반대쪽의 사물이 투과되어 보임)(131)와 차광구조를 가지는 차광부(반대쪽의 사물이 보이지 않음)(132)가 일정 폭으로 반복되는 원단으로 이루어진 콤비원단일 수 있으며, 이하에는 상기 블라인드 원단이 콤비원단이 경우를 일 실시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상기 망사부(131)는 위사(131a)와 경사(131b)의 직조에 의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블라인드 원단(130)이 연결되는 상기 상부권취봉(110)과 하부권취봉(120)은 일정길이를 갖는 중공형 봉체로 내부로 돌출되게 형성되는 돌출걸림구(140)가 형성되고, 상기 상부권취봉(110)과 하부권취봉(120)은 상기 감속제어부재(400)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하부권취봉(120)의 회전시 상기 상부권취봉(110)의 회전이 이루어지게 된다.
여기서, 상기 감속제어부재(400)에 연결되는 상기 상부권취봉(110)과 하부권취봉(120)의 길이방향 일측에는 상부클러치플러그(111)와 하부클러치플러그(121)가 각각 연결되게 설치된다.
또한, 상기 상부권취봉(110)의 길이방향 타측에는 상부앤드플러그(113)가 연결되게 설치되고, 상기 하부권취봉(120)의 길이방향 타측에는 상기 파워스프링부재(300)의 일측이 연결되는 권취봉회전구(123)가 고정되게 설치되며, 상기 파워스프링부재(300)의 타측에는 하부앤드플러그(125)가 고정되게 설치된다. 이때, 상기 상부앤드플러그(113)와 하부앤드플러그(125)는 앤드바디(150)에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코드리스 블라인드는 블라인드 원단을 펼쳐 사용하거나 감아 올리는 경우, 상기 블라인드 원단(130)의 하단에 마련된 상기 웨이트하단바(200)를 들어올리거나 잡아당겨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조작 코드를 사용하지 않고 상기 블라인드 원단을 펼치거나 접어 올릴 수 있도록 하여 조작코드에 어린아이의 목이 졸리는 인사사고의 방지는 물론 조작코드가 뒤얽혀 사용이 어렵게 되거나 조작코드의 끊어짐이나 손상으로 인한 블라인드의 사용상 어려움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웨이트하단바(200)를 승강시키거나 하강시켜 소정의 높이에서 놓는 경우, 상기 웨이트하단바(200)의 자체 중량과 상기 감속제어부재(400)의 저항력이 상기 파워스프링부재(300)의 탄성복원력에 대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블라인드 원단(130)을 권취하는 상기 하부권취봉(120)의 회전을 제어하여 상기 웨이트하단바(200)가 소정의 높이에서 위치된 채로 있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감속제어부재(400)의 저항력은 상기 파워스프링부재(300)의 탄성복원력 보다는 작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감속제어부재(400)의 저항력이 상기 파워스프링부재(300)의 탄성복원력 보다 큰 경우 상기 파워스프링부재(3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한 상기 하부권취봉(120)의 회전이 이루어지지 않아 상기 블라인드 원단을 접어 올릴 수 없기 때문인 것이다.
즉, 상기 웨이트하단바(200)를 지면방향으로 잡아당겨 상기 블라인드 원단(130)을 펼치게 되면 상기 하부권취봉(120)이 회전되면서 상기 파워스프링부재(300)가 감겨져 일정한 탄성복원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그러한 상태에서 상기 웨이트하단바(200)를 놓게 되면 상기 파워스프링부재(3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웨이트하단바(200)가 상기 하부권취봉(120)방향으로 승강되어 상기 블라인드 원단(130)이 감기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파워스프링부재(300)의 탄성복원력에 일정한 저항력을 발생시키는 상기 감속제어부재(400)를 상기 하부권취봉(120)의 길이방향 일측에 연결되게 설치하여 상기 감속제어부재(400)의 저항력과 상기 웨이트하단바(200)의 자체 중량이 상기 파워스프링부재(300)의 탄성복원력을 이길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웨이트하단바(200)의 승강을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코드리스 블라인드에서 상기 웨이트하단바(200)는 상기 블라인드 원단(130)의 하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블라인드 원단(130)의 하측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블라인드 원단(130)의 승하강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가이드봉(210)과, 상기 회전가이드봉(210)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상기 블라인드 원단(130)과 회전가이드봉(210) 간의 마찰력을 부여하는 실리콘밴드(220)와, 상기 회전가이드봉(210)이 설치된 상기 블라인드 원단(130)의 하측을 수용하는 중량바(230)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중량바(230)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하단캡(240)이 설치되고, 상기 하단캡(240)에는 상기 회전가이드봉(210)의 길이방향 양측에 결합되는 회전축(250)이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축결합구(241)가 상기 회전가이드봉(210)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와 같은 웨이트하단바(200)를 잡아당겨 내리게 되면 상기 상하부권취봉(120)이 회전되면서 상기 블라인드 원단(130)이 내려지게 되고, 이와 동시에 상기 하부권취봉(120)에 설치되는 파워스프링부재(300)가 감기면서 일정한 탄성복원력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가이드봉(210)의 외주연에 설치되는 상기 실리콘밴드(220)는 상기 블라인드 원단(130)과 회전가이드봉(210) 간의 마찰력을 부여하여 상기 웨이트하단바(200)를 잡아당겨 내리는 경우, 상기 회전가이드봉(210)이 원활히 회전될 수 있도록 하여 콤비원단의 망사부의 늘어짐을 방지하고, 블라인드 원단의 쏠림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회전가이드봉(210)은 금속재나 비금속재로 제작됨에 따라 표면이 매끄러운 특성을 갖게 되고, 이러한 회전가이드봉이 설치된 웨이트하단바를 잡아당겨 블라인드 원단을 펼치는 경우, 상기 회전가이드봉(210)의 표면과 블라인드 원단 간의 마찰력이 작아 상기 회전가이드봉(210)이 회전되었다가 멈추고, 회전되었다가 멈추고 하는 동작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져 이러한 상태로 계속적인 블라인드 사용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사(131a)와 경사(131b)의 직조로 이루어진 망사부(131)의 위사(131a)가 늘어나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상기 회전가이드봉(210)의 외주연을 따라 상기 블라인드 원단(130)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블라인드 원단(130)이 상기 회전가이드봉(210)의 외주연에 미끌려 길이방향 일측이나 타측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권취봉(110) 및 하부권취봉(120)에 감기는 블라인드 원단의 쏠림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쏠림현상은 블라인드의 지속적인 사용시 블라인드 원단의 손상을 야기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 회전가이드봉(210)의 외주연에 상기 실리콘밴드(220)를 설치하여 상기 회전가이드봉(210)과 블라인드 원단(130) 간의 마찰력을 부여하여 상기 회전가이드봉(210)이 원활히 회전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상부 및 하부권취봉(120)에 감겨지는 블라인드 원단의 쏠림현상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회전가이드봉(210)에 상기 실리콘밴드(220)를 설치하여 상기 회전가이드봉(210)과 블라인드 원단(130) 간의 마찰력을 부여하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회전가이드봉(210)의 외주연에 마찰력 증진을 위한 물질의 도포, 상기 회전가이드봉(210) 자체를 러버재질이나 실리콘재질로 구성하는 기술적 구성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있을 수 있음을 밝혀두는 바이다.
한편, 상기 파워스프링부재(300)는 상기 하부권취봉(120)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웨이트하단바(200)를 들어올리는 경우, 상기 웨이트하단바(200)의 중량보다 큰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하부권취봉(120)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파워스프링부재(300)에 일정한 탄성압을 부여하는 경우, 상기 하부앤드플러그(125)에 조작공구(미도시)를 연결하여 회전조작함으로써 상기 파워스프링부재(300)가 감겨져 일정한 탄성압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감속제어부재(400)는 상기 하부권취봉(120)의 길이방향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권취봉(120)의 회전력을 상기 상부권취봉(110)에 전달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웨이트하단바(200)를 소정의 높이에서 놓는 경우 상기 블라인드 원단(130)을 잡아당기는 상기 웨이트하단바(200)의 자체 중량과 함께 상기 파워스프링부재(300)의 탄성복원력을 제어하여 상기 웨이트하단바(200)가 소정의 높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상기 웨이트하단바(200)를 들어올려 상기 상하부권취봉(120)을 잡아당기는 장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파워스프링부재(3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하부권취봉(120)이 회전되도 상기 감속제어부재(400)에 의해 감속제어되면서 회전되고, 상기 하부권취봉(120)의 회전수에 비해 상기 상부권취봉(110)의 회전수가 더 크도록 구성된다.
일 예로써 상기 웨이트하단바(200)를 잡아당겨 상기 블라인드 원단(130)가 펼쳐지면서 상기 하부권취봉(120)이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하부권취봉(120)이 1회전하는 경우, 상기 상부권취봉(110)은 3회전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상기 감속제어부재(400)의 실시예에 대해 살펴보면, 상기 감속제어부재(400)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부권취봉(120)의 길이방향 일측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유성기어부(410)와, 상기 상부권취봉(110)의 길이방향 일측에 연결되게 설치되되 상기 유성기어부(410)와 연결기어(450)를 매개로 연결되게 설치되는 상부기어부(46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하부권취봉(120)에는 상기 유성기어부(410)가 연결되고, 상기 상부권취봉(110)에는 상기 상부기어부(460)가 연결되고, 상기 유성기어부(410)와 상부기어부(460)는 상기 연결기어(450)에 의해 기어결합된 것으로, 상기 파워스프링부재(3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하부권취봉(120)이 1회전되는 경우, 상기 상부기어부(460)가 3회전되는 것이다.
상기 유성기어부(410)는 상기 하부권취봉(120)에 일측이 연결되게 결합되는 회전연결구(420)와, 상기 회전연결구(420)의 타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다수개의 유성기어구(430)와, 상기 유성기어구(430)를 수용한 상태로 중앙부에 상기 유성기어구(430)와 기어결합되는 중앙기어구(441)가 형성되고, 외주연 둘레에 상기 연결기어(450)의 톱니와 맞물리는 링크톱니(443)가 형성된 링기어구(440)와, 상기 회전연결구(420)의 일측이 관통되는 관통홀(446)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관통홀(446)의 내주연에 상기 유성기어구(430)의 톱니와 맞물리는 대응톱니(447)가 형성된 고정기어구(445)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회전연결구(420)는 원반형의 원반형의 회전판(421)과 상기 회전판(421)의 일측에 상기 하부권취봉(120)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부클러치플러그(121)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구(423)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회전판(421)의 타측에는 상기 유성기어구(430)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하는 끼움돌출구(422)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유성기어구()는 상기 링기어구(440)의 중앙기어구(441)의 톱니와 상기 고정기어구(445)의 대응톱니(447)에 기어결합되어 회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유성기어부(410)는 상기 파워스프링부재(3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한 상기 하부권취봉(120)의 회전시, 상기 하부권취봉(120)의 회전을 감속제어하게 된다.
즉, 상기 웨이트하단바(200)를 들어올리게 되면 상기 상하부권취봉(120)을 잡아당기는 상기 블라인드 원단(130)의 장력이 해제되면서 상기 파워스프링부재(3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하부권취봉(120)이 회전되어 상기 블라인드 원단(130)이 상기 상하부권취봉(120)에 감겨지게 된다. 이때, 상기 하부권취봉(120)의 회전력이 상기 유성기어부(410)에 의해 감속제어되어 회전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기 웨이트하단바(200)를 소정의 높이에서 놓게 되면 상기 유성기어부(410)의 기어결합구조 및 상기 웨이트하단바(200)의 자체 중량이 상기 파워스프링부재(300)의 탄성복원력 대해 저항력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로 인해 상기 웨이트하단바(200)가 소정의 높이에서 머물러 위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상부기어부(460)는 가장자리를 따라 연결톱니(462)가 형성된 원반형의 회전기어판(461)과 상기 회전기어판(461)의 일측에 상기 상부권취봉(110)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상부클러치플러그(111)에 연결되는 플러그연결돌출구(463)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유성기어부(410)와 상부기어부(460), 상기 연결기어(450)는 바디체(510)와 덮개(520)로 이루어진 클러치바디(500)의 내부에 수용되게 설치된 상태로 상기 회전연결구(420)의 결합구(423)와 상기 상부기어부(460)의 플러그연결돌출구(463)가 상기 덮개(520)를 관통하여 상기 상부클러치플러그(111)와 하부클러치플러그(121)에 연결된다.
한편,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감속제어부재(400)에는 상기 유성기어부(410)와 상부기어부(460)를 연결하는 상기 연결기어(450)의 연결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기어이탈편(700)이 구비된다.
즉, 상기 기어이탈편(700)은 상기 클러치바디(500)의 외측면에 노출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기어이탈편(700)을 잡아당기게 되면 상기 연결기어(450)가 이동되어 상기 유성기어부(410)의 링기어구(440)와 상기 상부기어부(460)의 톱니연결이 해제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기어이탈편(700)에 의해 상기 연결기어(450)의 기어결합상태를 해제하는 이유는, 상기 상부권취봉(110)과 하부권취봉(120)에 블라인드 원단(130)을 권취하여 블라인드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상기 상부권취봉(110)과 하부권취봉(120) 중 어느 하나의 권취봉에 상기 블라인드 원단(130)이 과도하게 감겨진 경우, 상기 기어이탈편(700)에 의한 상기 연결기어(450)의 기어결합상태를 해제한 후, 블라인드 원단이 과도하게 감긴 권취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에서는 상기 상부권취봉(110)에 감겨진 블라이드 원단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회전가이드부(600)가 설치되는데, 상기 회전가이드부(600)는 상기 클러치바디(500)에 장착되는 제1튜브캡(610)과, 상기 앤드바디(150)에 장착되는 제2튜브캡(620)과, 상기 제1,2튜브캡(610,620)에 길이방향 양측이 회전가능하게 끼움결합되는 회전튜브(630)로 이루어진다.
즉, 상기 회전가이드부(600)가 없는 경우, 상기 상부권취봉(110)에 감겨진 블라인드 원단(130)의 승하강시, 프레임부재(100)에 지속적인 마찰이 발생하게 되어 블라인드 원단(130)의 손상을 가져오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회전가이드부(600)를 설치하여 상기 상부권취봉(110)에 감겨진 블라인드 원단(130)의 손상을 방지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코드리스 블라인드는 블라인드 원단을 펼쳐 사용하거나 감아 올리는 경우, 종래와 같은 별도의 조작코드를 사용하지 않고 블라인드 원단의 하단에 마련되 웨이트하단바를 들어올리거나 잡아당겨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조작코드로 인한 인사사고는 물론 조작코드의 불량이나 손상으로 인한 블라인드의 사용상 어려움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속제어부재의 저항력과 상기 웨이트하단바의 자체 중량이 상기 파워스프링부재의 탄성복원력을 대응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 웨이트하단바의 승강을 제어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의 위치에 상기 웨이트하단바가 머물러 위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프레임부재 110: 상부권취봉
111: 상부클러치플러그 113: 상부앤드플러그
120: 하부권취봉 121: 하부클러치플러그
123: 권취봉회전구 125: 하부앤드플러그
130: 블라인드 원단 140: 돌출걸림구
150: 앤드바디 200: 웨이트하단바
210: 회전가이드봉 220: 실리콘밴드
230: 중량바 240: 하단캡
250: 회전축 300:파워스프링부재
400: 감속제어부재 410: 유성기어부
420: 회전연결구 430: 유성기어구
440: 링기어구 441: 중앙기어구
450: 연결기어 460: 상부기어
500: 클러치바디 510: 바디체
520: 덮개 600: 회전가이드부
610: 제1튜브캡 620: 제2튜브캡
630: 회전튜브 700: 기어이탈편

Claims (7)

  1. 벽체나 고정구조물에 장착되는 프레임부재 내부에 배치되는 상부권취봉과 하부권취봉에 블라인드 원단을 감아 보관하거나 상기 상하부권취봉을 회전시켜 상기 블라인드 원단을 내려서 사용하도록 된 블라인드에 있어서,
    상기 블라인드 원단의 하단에 설치되는 웨이트하단바;
    상기 하부권취봉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웨이트하단바를 들어올리는 경우, 상기 웨이트하단바의 중량보다 큰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하부권취봉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파워스프링부재;
    상기 하부권취봉의 길이방향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하부권취봉의 회전력을 상기 상부권취봉에 전달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웨이트하단바를 소정의 높이에서 놓는 경우 상기 블라인드 원단을 잡아당기는 상기 웨이트하단바의 자체중량과 함께 상기 파워스프링부재의 탄성복원력을 제어하여 상기 웨이트하단바가 소정의 높이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감속제어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리스 블라인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하단바를 들어올려 상기 상하부권취봉을 잡아당기는 장력이 해제되는 경우, 상기 파워스프링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상기 하부권취봉이 회전되되 상기 감속제어부재에 의해 감속제어되면서 회전되고, 상기 하부권취봉의 회전수에 비해 상기 상부권취봉의 회전수가 더 크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리스 블라인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제어부재는, 상기 하부권취봉의 길이방향 일측에 연결되게 설치되는 유성기어부와, 상기 상부권취봉의 길이방향 일측에 연결되게 설치되되 상기 유성기어부와 연결기어를 매개로 연결되게 설치되는 상부기어부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리스 블라인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성기어부는, 상기 하부권취봉에 일측이 연결되게 결합되는 회전연결구와, 상기 회전연결구의 타측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다수개의 유성기어구와, 상기 유성기어구를 수용한 상태로 중앙부에 상기 유성기어구와 기어결합되는 중앙기어구가 형성되고, 외주연 둘레에 상기 연결기어의 톱니와 맞물리는 링크톱니가 형성된 링기어구와, 상기 회전연결구의 일측이 관통되는 관통홀이 형성된 상태로 상기 관통홀의 내주연에 상기 유성기어구의 톱니와 맞물리는 대응톱니가 형성된 고정기어구로 이루어져 상기 파워스프링부재의 탄성복원력에 의한 상기 하부권취봉의 회전시, 상기 하부권취봉의 회전을 감속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리스 블라인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감속제어부재에는 상기 유성기어부와 상부기어부를 연결하는 상기 연결기어의 연결상태를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기어이탈편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리스 블라인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권취봉에 감겨진 블라인드 원단의 승하강을 가이드하는 회전가이드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리스 블라인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웨이트하단바는, 상기 블라인드 원단의 하측 내부에 길이방향으로 설치되어 상기 블라인드 원단의 승하강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가이드봉과, 상기 회전가이드봉의 외주연에 설치되어 상기 블라인드 원단과 회전가이드봉 간의 마찰력을 부여하는 실리콘밴드와, 상기 회전가이드봉이 설치된 상기 블라인드 원단의 하측을 수용한 상태로 상기 회전가이드봉에 회전축을 매개로 연결되는 중량바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코드리스 블라인드.
KR1020170043466A 2017-04-04 2017-04-04 코드리스 블라인드 KR101928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466A KR101928458B1 (ko) 2017-04-04 2017-04-04 코드리스 블라인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3466A KR101928458B1 (ko) 2017-04-04 2017-04-04 코드리스 블라인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2412A true KR20180112412A (ko) 2018-10-12
KR101928458B1 KR101928458B1 (ko) 2018-12-12

Family

ID=638764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3466A KR101928458B1 (ko) 2017-04-04 2017-04-04 코드리스 블라인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845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780B1 (ko) * 2018-10-31 2019-04-26 조용수 태양광 발전형 롤 블라인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50301B2 (ja) * 2002-01-24 2006-11-29 株式会社ニチベイ ロールスクリーン
JP5422093B2 (ja) * 2006-04-27 2014-02-19 立川ブラインド工業株式会社 ロールブラインド
JP4994778B2 (ja) * 2006-10-13 2012-08-08 トーソー株式会社 日射遮蔽部材用減速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2780B1 (ko) * 2018-10-31 2019-04-26 조용수 태양광 발전형 롤 블라인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8458B1 (ko) 2018-1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1747B1 (ko) 일사차폐 장치의 조작 장치, 롤 업 블라인드의 승강 장치 및 조작 풀리
KR20170105568A (ko) 윈도우 쉐이드 및 그 제어 시스템
CA2953344C (en) Devices and systems for accumulating lift cords used to lift architectural opening coverings
JP2006200153A (ja) 日射遮蔽装置の操作コード式昇降機構
KR20140111596A (ko) 차양구동장치의 구동휠 안전줄 어셈블리 및 그에 사용되는 안전커버부재
US20150247267A1 (en) Variable transparency fabric, window shade including same and related method
KR101928458B1 (ko) 코드리스 블라인드
US11866992B2 (en) Cordless operating safety blind
TWI481776B (zh) The operating device of sunshine shading device
KR101928457B1 (ko) 이종차폐부재를 적용한 롤 블라인드
JP2015028297A (ja) 遮蔽装置
KR101213737B1 (ko) 안전 끈을 갖는 롤 블라인드
JP2003097167A (ja) ロールブラインド
KR101299397B1 (ko) 분리형 안전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JP6983622B2 (ja) ロールスクリーン
KR101021325B1 (ko) 수동식 스크린 블라인드
KR20180066644A (ko) 롤스크린 블라인드 승강 장치
KR20150094564A (ko) 스크린 높낮이 조절용 줄에 의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롤 블라인드
KR20090056282A (ko) 롤스크린
KR101647483B1 (ko) 롤 블라인드
KR20070082595A (ko) 이중스프링이 구비된 롤 블라인드 구동장치
JP7390928B2 (ja) 電動遮蔽装置
JP7193995B2 (ja) 遮蔽装置
KR102039012B1 (ko) 듀얼 블라인드
KR20170027219A (ko) 차양구동장치의 안전 스윙 스틱 텐션장치, 그리고 이를 채용하는 차양구동장치 및 호이스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