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0925A - 진세노사이드 Rg2 함량이 증가된 인삼발효농축물의 제조방법 및 인삼발효농축물을 이용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진세노사이드 Rg2 함량이 증가된 인삼발효농축물의 제조방법 및 인삼발효농축물을 이용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0925A
KR20180110925A KR1020170040918A KR20170040918A KR20180110925A KR 20180110925 A KR20180110925 A KR 20180110925A KR 1020170040918 A KR1020170040918 A KR 1020170040918A KR 20170040918 A KR20170040918 A KR 20170040918A KR 20180110925 A KR20180110925 A KR 20180110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fermented
concentrate
ginsenoside
ginseng concen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0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2719B1 (ko
Inventor
서정훈
신동규
조상민
원예림
김진경
김규일
차정단
Original Assignee
제너럴바이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너럴바이오(주) filed Critical 제너럴바이오(주)
Priority to KR1020170040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22719B1/ko
Publication of KR20180110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0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27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27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포닌 생물전환능을 갖는 신규 균주를 사용하여 진세노사이드 Rg2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인삼발효농축물의 제조방법과, 엘라스타아제의 활성을 억제하고, 콜라게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여 주름개선효과를 갖는 인삼발효농축물을 이용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인삼류 분말 또는 인삼류 추출물과 정제수를 혼합하여 혼합 반응액을 제조하는 반응액 제조단계; 그리고, 진세노사이드 생물전환능을 갖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르바찌(Saccharomyces servazzii) 균주 GB-07(기탁번호: 한국농업미생물자원센터 KACC93250P)을 상기 혼합 반응액에 접종시키는 접종단계를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Rg2 함량이 증가된 인삼발효농축물의 제조방법 및 인삼발효농축물을 이용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진세노사이드 Rg2 함량이 증가된 인삼발효농축물의 제조방법 및 인삼발효농축물을 이용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Manufacturing method for Fermented panax ginseng concentrate with increased amount of Rg2 and Cosmetic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wrinkle using Fermented panax ginseng concentrate}
본 발명은 진세노사이드 Rg2 함량이 증가된 인삼발효농축물의 제조방법 및 인삼발효농축물을 이용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사포닌 생물전환능을 갖는 신규 균주를 사용하여 진세노사이드 Rg2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인삼발효농축물의 제조방법과, 엘라스타아제의 활성을 억제하고, 콜라게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여 주름개선효과를 갖는 인삼발효농축물을 이용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삼은 인삼속 (Panax)에 속하는 식물로, 뿌리를 약용으로 이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인삼의 효능은 인삼에 존재하는 활성성분인 진세노사이드에 기인한 것이다.
진세노사이드는 진세노사이드 아글리콘 (ginsenoside aglycone)의 구조에 따라 프로토파낙사다이올계 진세노사이드 (Protopanaxadiol-type ginsenoside), 프로토파낙사트라이올계 진세노사이드 (Protopanaxatriol-type ginsenoside), 그리고 올레아난계 진세노사이드 (Oleanane-type ginsenoside)의 세 가지로 분류될 수 있다.
진세노사이드 유도체들은 트리터펜 (triterpene)인 비당부 (protopanaxadiol 또는 protopanaxatriol)의 R1, R2, R3의 알콜성 OH기에 글루코스(glucose), 람노스(rhamnose), 자일로스(Xylose), 아라비노스(arabinose)와 같은 당류가 에스테르 결합된 구조를 갖는 화합물로서, 현재 알려져 있는 인삼의 주요 진세노사이드는 약 13종의 일반 진세노사이드와 이로부터 전환되는 것으로 알려진 희귀 진세노사이드 약 11종이 대표적인 진세노사이드로 알려져 있다.
인삼은 수삼(fresh ginseng)을 그대로 사용하거나, 건조시켜 백삼(white ginseng)의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하거나, 또는 증숙시켜 홍삼(red ginseng)의 형태로 제조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인삼 중 수삼에는 Rg1, Re, Rb1, Rb2, Rc, Rd 등의 배당체 진세노사이드가 주를 이루고 있으며, 가공 인삼의 경우 수삼에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 희귀 진세노사이드인 Rg3, Rh1, Rh2, Compound K의 함량이 증가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가공된 인삼에만 존재하는 인삼사포닌의 함량을 더욱 높이기 위한 많은 연구가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다. 대표적 가공 인삼인 홍삼은 수삼을 증숙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화학구조적으로 불안정한 진세노사이드 아글리콘의 C-20위치에 결합되어 있는 배당체의 결합이 가수분해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가공된 홍삼에는 진세노사이드 Rh1, Rh2, Rg2, Rg3 등이 수삼이나 백삼에 비해 많이 함유되어 있다. 다만, 희귀 진세노사이드의 일종인 진세노사이드 Rh2는 홍삼에서도 그 함량이 매우 미량으로 존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가공된 인삼에서 암 예방, 암 억제, 혈압강하, 뇌신경세포 보호, 항혈전, 항산화 등에서의 약리 활성 효과가 인삼의 일반 진세노사이드보다 우수하게 나타난다는 결과가 알려지면서, 가공된 인삼에 존재하는 희귀 진세노사이드를 수득하기 위한 여러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1493158호(발명의 명칭:가공인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미백 또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공고일자: 2015년 2월 13일)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포닌 생물전환능을 갖는 신규 균주를 사용하여 진세노사이드 Rg2 함량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인삼발효농축물의 제조방법과, 엘라스타아제의 활성을 억제하고, 콜라게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여 주름개선효과를 갖는 인삼발효농축물을 이용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인삼류 분말 또는 인삼류 추출물과 정제수를 혼합하여 혼합 반응액을 제조하는 반응액 제조단계; 그리고, 진세노사이드 생물전환능을 갖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르바찌(Saccharomyces servazzii) 균주 GB-07(기탁번호: 한국농업미생물자원센터 KACC93250P)을 상기 혼합 반응액에 접종시키는 접종단계를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Rg2 함량이 증가된 인삼발효농축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인삼발효농축물의 제조방법은 펙티나아제(pectinase) 계열의 옵티빈 매쉬(Optivin Mash) 효소를 상기 혼합 반응액에 접종시키는 효소 혼합단계와, 상기 사카로마이세스 세르바찌(Saccharomyces servazzii) 균주 GB-07 및 상기 옵티빈 매쉬(Optivin Mash) 효소가 접종된 발효대상물을 발효시키는 발효단계와, 상기 발효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을 여과하여 농축시키는 여과농축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술한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인삼발효농축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Rg2 함량이 증가된 인삼발효농축물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우수한 진세노사이드 생물전환능을 갖는 Saccharomyces servazzii 균주 GB-07(기탁번호: 한국농업미생물자원센터 KACC93250P)를 이용함으로써 인삼류 또는 인삼류 추출물로부터 약리 활성이 높은 희귀 진세노사이드 Rg2의 함량이 증가된 인삼발효농축액(GBRg2)을 단순화된 공정을 통해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펙티나아제(pectinase) 계열의 옵티빈 매쉬(Optivin Mash) 효소와 상기 Saccharomyces servazzii 균주 GB-07를 혼합하여 복합효소로 사용함으로써 인삼발효농축액에 Rg2의 함량을 현저하게 증대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Saccharomyces servazzii 균주 GB-07를 이용하여 제조된 인삼발효농축액(GBRg2)은 엘라스타아제의 활성을 억제하고, 콜라게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여 주름을 개선할 수 있어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를 통하여 인삼발효농축액 중 전환된 희귀 진세노사이드 Rg2의 분석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인삼발효농축액의 농도에 따른 엘라스타아제의 활성 정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레티놀의 농도에 따른 엘라스타아제의 활성 정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인삼발효농축액의 농도에 따른 콜라게나아제의 활성 억제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레티놀의 농도에 따른 콜라게나아제의 활성 억제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인삼발효농축액의 농도에 따라 Type I pro-collagen의 합성 정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진세노사이드 생물전환능을 갖는 균주를 사용하여 진세노사이드 Rg2 함량이 증가된 인삼발효농축물의 제조방법 및 인삼발효분말을 이용한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대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목적을 위한 것이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발명자들은 사포닌 생물전환능을 갖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르바찌 (Saccharomyces servazzii) 균주 GB-07과 효소를 이용하여 목적하는 특정 진세노사이드, 즉 Rg2의 함량을 증대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사카로마이세스 세르바찌(Saccharomyces servazzii) 균주 GB-07(기탁번호: 한국농업미생물자원센터 KACC93250P)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카로마이세스 세르바찌(Saccharomyces servazzii) 균주 GB-07는 맥주로부터 베타-글루코시다아제(β-glucosidase)를 생성하는 효모를 단리하고 동정한 것이다.
상술한 과정을 통하여 분리 동정한 사카로마이세스 세르바찌(Saccharomyces servazzii) 균주 GB-07는 MRS 배지에서 30℃, 24시간 배양 후에 사용된다.
상기 사카로마이세스 세르바찌 균주 GB-07을 이용하여 인삼발효농축물, 즉 인삼발효농축액(GBRg2)을 제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인삼발효농축액은 'GBRg2'라는 원료코드를 가지며, 이는 출원인이 제조한 인삼발효농축액의 원료코드이다.
먼저, 인삼류 분말 또는 인삼류 추출물과 정제수를 혼합하여 혼합 반응액을 제조하는 반응액 제조단계가 수행된다.
구체적으로, 증류수에 Panax ginseng (Panax ginseng C.A. Meyer) 뿌리 분말을 100:1 내지 10:1의 비율로 넣어 상기 혼합 반응액을 제조한다.
다음으로, 진세노사이드 생물전환능을 갖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르바찌 균주 GB-07을 상기 혼합 반응액에 접종시키는 접종단계가 수행된다.
동시에, 펙티나아제(pectinase) 계열의 옵티빈 매쉬(Optivin Mash) 효소를 상기 혼합 반응액에 접종시키는 효소 혼합단계가 수행된다.
물론,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기 사카로마이세스 세르바찌 균주 GB-07 및 상기 옵티빈 매쉬(Optivin Mash) 효소는 미리 혼합되어 복합효소의 형태로 상기 혼합반응액에 접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합효소는 상기 혼합반응액에 농도가 2% ~ 20%를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양을 가진다.
다음으로, 상기 사카로마이세스 세르바찌 균주 GB-07 및 상기 옵티빈 매쉬 효소가 접종된 발효대상물을 발효시키는 발효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발효단계에서는 상기 발효대상물이 30℃ ~ 60℃에서 48시간 ~ 240시간 동안 발효된다.
다음으로, 상기 발효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을 여과하여 농축시키는 여과농축단계가 수행된다. 상기 농축된 발효물은 인삼발효농축액에 해당하며, 상기 인삼발효농축액은 동결건조되어 사용된다.
상술한 제조과정을 통하여 제조된 인삼발효농축액에는 다량의 진세노사이드 Rg2가 함유되어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 도 1을 참조하면,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분석을 통하여 인삼발효농축액에 Rg2가 함유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희귀 진세노사이드 Rg2 분석에 YL 9100 HPLC system을 사용하였으며 Kinetex C18 150*4.6㎜, 5㎛ 컬럼을 사용하였다. 검출기의 검출파장은 UV 230㎚, 컬럼온도는 35℃에서 분석하였고, 이동상(mobile phase)은 아세토니트릴과 물을 사용하여 flow rate 1.6mL/min으로 분석하였다.
일반 진세노사이드와 희귀 진세노사이드 분석은 이동상의 비율을 조절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진세노사이드 표준품은 Tauto(China)에서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분석에 사용한 용매는 Acetonitrile(Burdick & Jackson, Korea), Methanol(Burdick & Jackson, Korea)사에서 구입하였다. 각각의 시료는 대상에 따라 메탄올과 물 비율을 조절하여 진세노사이드 추출을 진행하였고 0.45㎛ 멤브레인 필터(membrane filter)로 여과한 후 분석을 진행하였다.
상술한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인삼발효농축액(표 1의 실시예)과, 종래의 홍삼추출액(표 1의 비교예 1) 및 종래의 구증구포 흑삼(표 1의 비교예 2)의 진세노사이드 성분 함량을 비교해보면 하기의 표 1과 같다.
인삼발효농축액의 진세노사이드 성분 함량(단위: mg/g)
Rg1 Re Rg2 Rb1 Rc Rb2 Rd Rg3 Rh2 합계
실시예 1.98 2.04 5.19 0.45 0.59 0.74 0.15 0 0 11.14
비교예1 0.264 0.282 0.364 0.354 0.261 0.229 0.268 0.372 0.296 2.69
비교예2 0 0 1.75 0.53 1.18 1.20 0.91 2.98 0.2 8.75
표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인삼발효농축액에는 종래의 홍삼추출액 및 구증구포 흑삼에 비하여 Rg2가 다량 함유되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인삼발효농축액(GBRG2)는 농도가 2㎎/㎖인 경우는 대조군인 레티놀(Ratinol)(통상적으로 주름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의 농도가 2㎎/㎖ 인 경우보다 엘라스타제(Elastase)의 활성 정도가 낮은 값을 가진다.
결과적으로, 인삼발효농축액(GBRG2)는 농도가 2㎎/㎖ 이상인 경우는 상기 엘라스타제의 활성 정도가 낮은 값을 가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엘라스틴의 분해 정도가 낮아지게 되어 피부주름이 개선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엘라스틴(Elastine), 엘라스타제(Elastase) 및 활성억제제(Inhibitor)가 함께 포함된 경우(도 2의 첫번째 막대그래프)에는 엘라스타제의 활성정도, 즉 엘라스타제의 활성율이 상당히 낮은 값을 가진다.
이와 대비하여, 실시예에서는 활성억제제를 사용하지 않고, 인삼발효농축액을 사용하는 경우, 즉 엘라스틴 및 엘라스타제에 농도가 2㎎/㎖ 이 되는 인삼발효농축액(GBRG2)을 혼합하는 경우에는 엘라스타제의 활성정도가 활성억제제를 넣은 경우와 거의 동일한 값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인삼발효농축액의 엘라스타제의 활성정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기질 1.0mM N-succinyl-(Ala)3-p-nitroanilide 200 μl에 GBRg2(대조군의 경우에는 레티놀) 20 μl와 2.5 unit Elastase(Porcine pancreas solution) 10 μl를 첨가하여 25℃에서 10min 동안 반응시킨 후 ELISA reader로 41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한편,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술한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인삼발효농축액(GBRG2)는 농도가 2㎎/㎖인 경우는 대조군인 레티놀(Ratinol)(통상적으로 주름개선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의 농도가 2㎎/㎖ 인 경우보다 콜라게나아제(Collagenase)의 활성을 억제하는 억제율이 높은 값을 가진다.
결과적으로, 인삼발효농축액(GBRG2)는 농도가 2㎎/㎖ 이상인 경우는 상기 콜라게나아제의 활성 억제율이 높은 값을 가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콜라켄의 분해 정도가 낮아지게 되어 피부주름이 개선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콜라겐(Collagen), 콜라게나아제 효소(Collagenase Enzyme) 및 활성억제제(Inhibitor)가 함께 포함된 경우(도 4의 첫번째 막대그래프)에는 콜라게나아제의 활성 억제율이 상당히 높은 값을 가진다.
이와 대비하여, 실시예에서는 활성억제제를 사용하지 않고, 인삼발효농축액을 사용하는 경우, 즉 콜라겐 및 콜라게아나제 효소에 농도가 4㎎/㎖이 되는 인삼발효농축액(GBRG2)을 혼합하는 경우에는 콜라게나아제의 활성 억제율이 활성억제제를 넣은 경우보다는 낮지만 이에 근사한 활성억제율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인삼발효농축액의 콜라게나아제의 활성 억제율을 평가하기 위하여 반응시약 0.1M Tris-HCI buffer(pH 7.5)에 4mM CaCl2를 첨가하여, 4-phenylazobenzy loxycarbonyl-Pro-Leu-Gly-Pro-Arg (0.3 mg/mL)를 녹인 기질액 0.25ml 및 GBRg2(대조군의 경우에는 레티놀) 0.1mL의 혼합액에 collagenase(0.2mg/mL) 0.15mL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20분간 방치한 후 6% citricacid 0.5mL를 넣어 반응을 정지시킨 후, ethyl acetate 1.5 mL을 첨가하여 상등액을 32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한편, 도 6은 대상물질에 인삼발효농축액이 포함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경우와, 자외선을 조사하되 상술한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인삼발효농축물이 포함된 경우에 Type I pro-collagen의 합성 정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대상물질에 인삼발효농축액이 포함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은 경우(도 6의 첫번째 막대그래프)와, 대상물질에 인삼발효농축액이 포함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외선을 조사하는 경우(도 6의 두번째 막대그래프)를 비교해보면 대상물질이 자외선에 노출되면 Type I pro-collagen의 합성 정도가 매우 낮아짐을 알수 있다.
그러나, 대상물질이 자외선에 노출되더라도 상술한 방법에 따른 인삼발효농축액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에는 상기 인삼발효농축액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Type I pro-collagen의 합성 정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특히, 대상물질에 인삼발효농축액의 농도가 50㎍/㎖ 인 상태에서 자외선에 노출되는 경우(도 6의 마지막 막대그래프)는 대상물질에 인삼발효농축액이 포함되지 않은 상태에서 자외선에 노출되지 않은 경우(도 6의 첫번째 막대그래프)와 Type I pro-collagen의 합성 정도가 근사한 값을 가짐을 알수 있다.
결과적으로, 대상물질에 인삼발효농축액의 농도가 6.25㎍/㎖ 이상인 경우에는 자외선에 노출되더라도 Type I pro-collagen의 합성 정도가 높아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피부주름이 개선되게 된다.
인삼발효농축액의 Type I pro-collagen의 합성 활성평가를 위하여 24-well plate에 Hacat 세포를 2×105cell/well로 접종한 후 5% CO2, 37℃에서 24 시간 배양하였다. 이후 FBS가 포함되지 않은 DMEM 배지로 교체하고, UV 조사전 GBRg2를 농도별로 처리한 후 UV (UVB 100mJ)를 조사한 후 24h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모아서 procollagen typeⅠ protein synthesis kit를 이용하여 콜라겐 전구체의 C-말단의 양을 측정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인삼발효농축액은 엘라스타아제의 활성을 저해시킴과 동시에 콜락게나아제의 활성을 저해시키고, Type I pro-collagen의 합성을 촉진시킴으로써 피부 주름을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인삼발효농축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을 가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진세노사이드 예를 들어, 별도 처리하지 않은 인삼류, 인삼류 추출물에는 거의 존재하지 않는 희귀 진세노사이드 Rg2 함량이 증대될 수 있도록 하거나, 별도 처리하지 않은 인삼류, 인삼류 추출물에 존재하는 일반 진세노사이드를 희귀 진세노사이드 Rg2로 전환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인삼발효농축액(GBRg2) 및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Claims (3)

  1. 인삼류 분말 또는 인삼류 추출물과 정제수를 혼합하여 혼합 반응액을 제조하는 반응액 제조단계; 그리고,
    진세노사이드 생물전환능을 갖는 사카로마이세스 세르바찌(Saccharomyces servazzii) 균주 GB-07(기탁번호: 한국농업미생물자원센터 KACC93250P)을 상기 혼합 반응액에 접종시키는 접종단계를 포함하는 진세노사이드 Rg2 함량이 증가된 인삼발효농축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펙티나아제(pectinase) 계열의 옵티빈 매쉬(Optivin Mash) 효소를 상기 혼합 반응액에 접종시키는 효소 혼합단계와,
    상기 사카로마이세스 세르바찌(Saccharomyces servazzii) 균주 GB-07 및 상기 옵티빈 매쉬(Optivin Mash) 효소가 접종된 발효대상물을 발효시키는 발효단계와,
    상기 발효단계에서 발효된 발효물을 여과하여 농축시키는 여과농축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세노사이드 Rg2 함량이 증가된 인삼발효농축물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인삼발효농축물을 포함하는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70040918A 2017-03-30 2017-03-30 진세노사이드 Rg2 함량이 증가된 인삼발효농축물의 제조방법 및 인삼발효농축물을 이용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227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918A KR101922719B1 (ko) 2017-03-30 2017-03-30 진세노사이드 Rg2 함량이 증가된 인삼발효농축물의 제조방법 및 인삼발효농축물을 이용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918A KR101922719B1 (ko) 2017-03-30 2017-03-30 진세노사이드 Rg2 함량이 증가된 인삼발효농축물의 제조방법 및 인삼발효농축물을 이용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0925A true KR20180110925A (ko) 2018-10-11
KR101922719B1 KR101922719B1 (ko) 2018-11-27

Family

ID=638657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0918A KR101922719B1 (ko) 2017-03-30 2017-03-30 진세노사이드 Rg2 함량이 증가된 인삼발효농축물의 제조방법 및 인삼발효농축물을 이용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27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37519A (ko) 2019-05-30 2020-12-09 칼리아코 주식회사 농업회사법인 항산화 활성 및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2719B1 (ko) 2018-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940049B (zh) 雪莲果植物提取物的提取方法、提取物及应用
KR101805737B1 (ko) 인삼발효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하여 제조된 인삼발효분말
KR101440469B1 (ko) 복합 균주를 이용한 산삼배양근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발효물을 함유한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TWI555537B (zh) 3’-羥基染料木黃酮用於製備抑制黑色素生成之組合物的用途
KR20150080206A (ko) 기능성 사포닌이 다량 함유된 발효 인삼
KR101686112B1 (ko) 락토바실러스 배양용 배지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인삼 열매 발효 추출물 및 피부상태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uckstein et al. LC–MSn characterization of steroidal saponins in Helleborus niger L. roots and their conversion products during fermentation
KR101922719B1 (ko) 진세노사이드 Rg2 함량이 증가된 인삼발효농축물의 제조방법 및 인삼발효농축물을 이용한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63046B1 (ko) 진세노사이드 컴파운드 케이, 클로르제닉산 및 쿼르세틴이 증진된 가공삼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55703A (ko) 저분자 진세노사이드의 제조방법
KR101922720B1 (ko) 진세노사이드 Rg2 함량이 증가된 인삼발효농축물의 제조방법 및 인삼발효농축물을 이용한 피부 미백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50030012A (ko) 진세노사이드 유효성분의 추출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제품
CN112236199A (zh) 用于生产富含感兴趣的代谢物的榼藤种子提取物的方法、通过该方法生产的提取物以及该提取物的化妆品和皮肤护理应用
CN115400061A (zh) 一种人参愈伤组织提取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80008352A (ko) 진세노사이드 Rg3, F1, C-K, Rh21 및 PPT의 함량이 증진된 인삼 추출물의 제조방법
KR20220095075A (ko) 항염증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건강기능식품 및 약학적 조성물
KR20180089097A (ko) 저분자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가된 인삼꽃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인삼꽃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0078778B (zh) 一种从百香果果皮粗提物中去除野黑樱苷的方法
KR20130085970A (ko) 효소전환 및 분획기술을 이용한 사포닌 전환체 화합물 케이-강화된 분획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364062B1 (ko) 활성산양삼을 함유하는 항염증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200000571A (ko) 저분자 진세노사이드 함량이 증가된 인삼베리 발효물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인삼베리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444394B1 (ko) 사포닌고함유인삼추출물제조방법
KR20160067476A (ko) 진세노사이드 Rh2가 강화된 인삼추출물 배양액의 제조방법
KR100811295B1 (ko) 인삼으로부터 활성형의 진세노사이드를 생산하는 방법
KR102106018B1 (ko) 간 손상 예방 또는 개선 활성을 갖는 증숙인삼열매 발효물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