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10714A - 디스플레이 패널 용 소스 드라이버 유니트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패널 용 소스 드라이버 유니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0714A
KR20180110714A KR1020170040258A KR20170040258A KR20180110714A KR 20180110714 A KR20180110714 A KR 20180110714A KR 1020170040258 A KR1020170040258 A KR 1020170040258A KR 20170040258 A KR20170040258 A KR 20170040258A KR 20180110714 A KR20180110714 A KR 2018011071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ew rate
data
deviation
subpixel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02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99149B1 (ko
Inventor
김형규
이원석
양진석
유대영
Original Assignee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700402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9149B1/ko
Priority to US15/891,621 priority patent/US10614749B2/en
Priority to TW107106933A priority patent/TWI750338B/zh
Priority to CN201810257599.5A priority patent/CN108694902B/zh
Publication of KR20180110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0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9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9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07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 G09G3/2074Display of intermediate tones using sub-pixe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8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09G3/3688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suitable for active matrices onl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other than drivers for liquid crystal, plasma or OLED displays, not related to handling digital grey scale data or to communication of data to the pixels by means of a curr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91Details of output amplifiers or buffers arranged for use in a driving circui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6Details of flat display driving waveforms
    • G09G2310/066Waveforms comprising a gently increasing or decreasing portion, e.g. ram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23Compensation for problems related to R-C delay and attenuation in electrodes of matrix panels, e.g. in gate electrodes or on-substrate video signal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2Details of power systems and of start or stop of display operation
    • G09G2330/021Power management, e.g. power sav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30/00Aspects of power supply; Aspects of display protection and defect management
    • G09G2330/04Display protection
    • G09G2330/045Protection against panel overheat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6Calculation or use of calculated indices related to luminance levels in display dat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패널 용 소스 드라이버 장치가 제공된다. 본 장치는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및 슬루율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의 각각은, 복수의 데이터 래치 - 상기 복수의 데이터 래치의 각각은 서브픽셀 데이터를 홀드하도록 구성됨, 상기 복수의 데이터 래치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디코더 - 상기 복수의 디코더의 각각은 상기 해당 데이터 래치에 홀드된 서브픽셀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구동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됨 -, 상기 구동 신호들 중 하나를 번갈아 가며 출력하도록 구성된 스위치, 및 조절 가능한 슬루율을 가지며 상기 출력된 구동 신호를 버퍼링하여 버퍼링된 구동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출력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루율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에서의 상기 복수의 데이터 래치에 홀드되는 상기 서브픽셀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상기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의 각각에서의 상기 출력 버퍼의 슬루율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패널 용 소스 드라이버 유니트{Source Driver Unit for a Display Panel}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패널 용 소스 드라이버 유니트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동 소스 드라이버 유니트에서의 출력 버퍼들의 슬루율을 제어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드라이버 회로'는 '부하'라 일컬어지는 회로 또는 장치에 전기 신호를 제공하는, 즉 그를 구동하는 전자 회로로서 알려져 있다. 특히 부하가 복수의 표시 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인 경우, 드라이버 회로는 행렬로 배열된 화소들에 데이터 라인들 및 게이트 라인들(스캔 라인들)을 통해 연결되는데, 데이터 라인들의 각각에 연결된 드라이버 회로를 소스 드라이버라 부르고 게이트 라인들의 각각에 연결된 드라이버 회로를 게이트 드라이버라 부른다. 이중에서 소스 드라이버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화소 회로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출력하는 출력 버퍼를 포함한다. 이 출력 버퍼는, 예컨대 수 마이크로 초의 규정된 시간 내에 그 출력의 천이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보장하기 위해 그 슬루율(slew rate)을 비교적 높은 값으로 유지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다 보니 출력 버퍼의 전력 소모가 커지고 이에 따라 드라이버 IC가 발열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과제는 전력 소모를 줄여 발열 특성을 개선한 소스 드라이버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일 측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 용 소스 드라이버 장치가 제공된다. 본 장치는,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및 슬루율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의 각각은, 서브픽셀 데이터를 홀드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래치(data latch), 상기 데이터 래치에 홀드된 서브픽셀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구동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디코더(decoder), 및 조절 가능한 슬루율(slew rate)을 가지며 상기 구동 신호를 버퍼링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 출력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루율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래치들에 홀드되는 상기 서브픽셀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상기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의 각각에서의 상기 출력 버퍼의 슬루율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래치들의 각각은 타이밍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수평 주사 구간 마다 새로운 서브 픽셀 데이터를 홀드하며, 상기 슬루율 제어부는 현재의 수평 주사 구간 용으로 상기 데이터 래치들의 각각에 홀드된 서브픽셀 데이터의 값과 다음 수평 주사 구간 용으로 상기 해당 데이터 래치에 홀드된 서브픽셀 데이터의 값 간의 편차를 산출하고, 상기 편차들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다음 수평 주사 구간에서의 상기 출력 버퍼들의 각각의 슬루율을 제어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출력 버퍼들의 각각은 상기 해당 출력 버퍼의 슬루율을 조절하기 위한 바이어스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슬루율 제어부는 상기 출력 버퍼들의 각각의 슬루율을 상기 해당 바이어스 입력을 변경함으로써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루율 제어부는 상기 편차들의 상기 적어도 일부가 클수록 상기 다음 수평 주사 구간에서의 상기 출력 버퍼들의 각각으로의 상기 해당 바이어스 입력을 높임으로써 상기 해당 출력 버퍼의 슬루율이 높아지게 제어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루율 제어부는 상기 다음 수평 주사 구간에서의 상기 출력 버퍼들의 각각으로의 상기 해당 바이어스 입력을 선정된 값 이상의 특정 값으로 높이는 경우 현재의 프레임 구간 내의 나머지 수평 주사 구간들에서의 상기 출력 버퍼들의 각각으로의 상기 해당 바이어스 입력을 상기 특정 값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래치들의 각각은 타이밍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수평 주사 구간 마다 새로운 서브 픽셀 데이터를 홀드하며, 상기 슬루율 제어부는 현재의 수평 주사 구간 용으로 상기 데이터 래치들의 각각에 홀드된 서브픽셀 데이터의 값과 다음 수평 주사 구간 용으로 상기 해당 데이터 래치에 홀드된 서브픽셀 데이터의 값 간의 편차를 산출하는 것을 현재의 프레임 구간 동안 반복하고, 상기 편차들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다음 프레임 구간에서의 상기 출력 버퍼들의 각각의 슬루율을 제어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래치들의 각각은 타이밍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수평 주사 구간 마다 새로운 서브 픽셀 데이터를 홀드하며, 상기 슬루율 제어부는 현재의 수평 주사 구간 용으로 상기 데이터 래치들의 각각에 홀드된 서브픽셀 데이터의 값이 속하는 제1 구간의 구간 번호와 다음 수평 주사 구간 용으로 상기 해당 데이터 래치에 홀드된 서브픽셀 데이터의 값이 속하는 제2 구간의 구간 번호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1 구간 번호 및 상기 결정된 제2 구간 번호 간의 편차를 산출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산출된 편차들은 R 서브픽셀 데이터들에 기초하여 산출된 편차들, G 서브픽셀 데이터들에 기초하여 산출된 편차들 및 B 서브픽셀 데이터들에 기초하여 산출된 편차들을 포함하며, 상기 R 서브픽셀 데이터들에 기초하여 산출된 편차들은 제1 R 편차 그룹을 구성하며, 상기 G 서브픽셀 데이터들에 기초하여 산출된 편차들은 제1 G 편차 그룹을 구성하며, 상기 B 서브픽셀 데이터들에 기초하여 산출된 편차들은 제1 B 편차 그룹을 구성하며, 상기 슬루율 제어부는 상기 제1 R 편차 그룹에 대해 히스토그램 분석을 수행하여 선정된 값 이하의 빈도수를 가진 편차를 제외시켜 제2 R 편차 그룹을 구성하고, 상기 제1 G 편차 그룹에 대해 히스토그램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선정된 값 이하의 빈도수를 가진 편차를 제외시켜 제2 G 편차 그룹을 구성하고, 상기 제1 B 편차 그룹에 대해 히스토그램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선정된 값 이하의 빈도수를 가진 편차를 제외시켜 제2 B 편차 그룹을 구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슬루율 제어부는 상기 제2 R 편차 그룹, 상기 제2 G 편차 그룹 및 상기 제2 B 편차 그룹의 각각에서 가장 큰 편차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가장 큰 편차들 중에서 최고의 편차를 선택하여 상기 최고의 편차를 이용하여 상기 다음 수평 주사 구간에서의 상기 출력 버퍼들의 각각의 슬루율을 조정하기 위한 바이어스 값(IBIAS)을 결정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루율 제어부는 상기 최고의 편차가 클수록 상기 바이어스 값(IBIAS)을 크게 결정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 용 소스 드라이버 장치가 제공된다. 본 장치는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및 슬루율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의 각각은, 복수의 데이터 래치 - 상기 복수의 데이터 래치의 각각은 서브픽셀 데이터를 홀드하도록 구성됨, 상기 복수의 데이터 래치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디코더 - 상기 복수의 디코더의 각각은 상기 해당 데이터 래치에 홀드된 서브픽셀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구동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됨 -, 상기 구동 신호들 중 하나를 번갈아 가며 출력하도록 구성된 스위치, 및 조절 가능한 슬루율을 가지며 상기 출력된 구동 신호를 버퍼링하여 버퍼링된 구동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출력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루율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에서의 상기 복수의 데이터 래치에 홀드되는 상기 서브픽셀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상기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의 각각에서의 상기 출력 버퍼의 슬루율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래치의 각각은 타이밍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수평 주사 구간 마다 새로운 서브 픽셀 데이터를 홀드하며, 상기 슬루율 제어부는 현재의 수평 주사 구간에서 다음 수평 주사 구간 용으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래치의 인접 데이터 래치 쌍들의 각각에 홀드된 서브픽셀 데이터들의 값들 간의 편차를 산출하고, 상기 편차들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상기 다음 수평 주사 구간에서의 상기 출력 버퍼들의 각각의 슬루율을 제어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출력 버퍼들의 각각은 상기 해당 출력 버퍼의 슬루율을 조절하기 위한 바이어스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슬루율 제어부는 상기 출력 버퍼들의 각각의 슬루율을 상기 해당 바이어스 입력을 변경함으로써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루율 제어부는 상기 편차들의 적어도 일부가 클수록 상기 다음 수평 주사 구간에서의 상기 출력 버퍼들의 각각으로의 상기 해당 바이어스 입력을 높임으로써 상기 해당 출력 버퍼의 슬루율이 높아지게 제어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루율 제어부는 상기 다음 수평 주사 구간에서의 상기 출력 버퍼들의 각각으로의 상기 해당 바이어스 입력을 선정된 값 이상의 특정 값으로 높이는 경우 현재의 프레임 구간 내의 나머지 수평 주사 구간들에서의 상기 출력 버퍼들의 각각으로의 상기 해당 바이어스 입력을 상기 특정 값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데이터 래치들의 각각은 타이밍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수평 주사 구간 마다 새로운 서브 픽셀 데이터를 홀드하며, 상기 슬루율 제어부는 현재의 수평 주사 구간에서 다음 수평 주사 구간 용으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래치의 인접 데이터 래치 쌍들의 각각에 홀드된 서브픽셀 데이터들의 값들 간의 편차를 산출하는 것을 현재의 프레임 구간 동안 반복하고, 상기 편차들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다음 프레임 구간에서의 상기 출력 버퍼들의 각각의 슬루율을 제어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래치의 각각은 타이밍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수평 주사 구간 마다 새로운 서브 픽셀 데이터를 홀드하며, 상기 슬루율 제어부는 현재의 수평 주사 구간에서 다음 수평 주사 구간 용으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래치의 인접 데이터 래치 쌍들의 각각에 홀드된 서브픽셀 데이터들의 값들이 속하는 구간들의 구간 번호들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구간 번호들 간의 편차를 산출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산출된 편차들은 R 서브픽셀 데이터와 G 서브픽셀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된 편차들 및 B 서브픽셀 데이터와 G' 서브픽셀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된 편차들을 포함하며, 상기 R 서브픽셀 데이터와 상기 G 서브픽셀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된 편차들은 제1 R/G 편차 그룹을 구성하며, 상기 B 서브픽셀 데이터와 상기 G' 서브픽셀 데이터들에 기초하여 산출된 편차들은 제1 B/G' 편차 그룹을 구성하며, 상기 슬루율 제어부는 상기 제1 R/G 편차 그룹에 대해 히스토그램 분석을 수행하여 선정된 값 이하의 빈도수를 가진 편차를 제외시켜 제2 R/G 편차 그룹을 구성하고, 상기 제1 B/G' 편차 그룹에 대해 히스토그램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선정된 값 이하의 빈도수를 가진 편차를 제외시켜 제2 B/G' 편차 그룹을 구성하며, 상기 슬루율 제어부는 상기 제2 R/G 편차 그룹 및 상기 제2 B/G' 편차 그룹의 각각에서 가장 큰 편차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가장 큰 편차들 중에서 최고의 편차를 선택하여 상기 최고의 편차를 이용하여 상기 다음 수평 주사 구간에서의 상기 출력 버퍼들의 각각의 슬루율을 조정하기 위한 바이어스 값(IBIAS)을 결정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루율 제어부는 상기 최고의 편차가 클수록 상기 바이어스 값(IBIAS)을 크게 결정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디스플레이 패널 용 소스 드라이버들에서의 출력 버퍼들의 슬루율(slew rate)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가 제공된다. 본 장치는, 상기 소스 드라이버들로 순차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데이터 분석부에서의 분석에 따라 상기 소스 드라이버들의 각각에서의 상기 출력 버퍼의 슬루율을 적응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 슬루율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력 소모를 줄여 발열 특성을 개선한 소스 드라이버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기술적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소스 드라이버 유니트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도 2의 슬루율 제어부에 의해 출력 버퍼들의 슬루율이 조정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출력 버퍼들로부터의 구동 신호들이 천이되는 패턴들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b는 데이터 래치에 홀드되는 서브픽셀 데이터들의 값들에 있어서의 편차가 속할 수 있는 구간들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c는 데이터 래치에 홀드되는 서브픽셀 데이터의 값이 속하는 구간의 구간 번호를 결정하기 위한 데이터 테이블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루율 제어부의 라인 모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영상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루율 제어부의 프레임 모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영상 프레임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슬루율 제어부의 변형된 라인 모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영상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소스 드라이버 유니트의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슬루율 제어부에 의해 출력 버퍼들의 슬루율이 조정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출력 버퍼들로부터의 구동 신호들이 천이되는 패턴들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루율 제어부의 라인 모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영상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루율 제어부의 프레임 모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영상 프레임들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루율 제어부의 변형된 라인 모드에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영상 프레임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들과 특징들 그리고 이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 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실시예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 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에서 사용된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는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만을 의미하지 않는다면 복수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이고, 이러한 용어의 사용에 의해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이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있어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는 기능적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덧붙여,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가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의 일 실시예를 예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100)는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LCD(liquid crystal display) 패널 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자체 발광 구조로 된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패널일 수 있다.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110)에는 복수의 평행한 데이터 라인(112)과 이를 가로지르는 복수의 평행한 스캔 라인(114)이 배열될 수 있는데, 복수의 데이터 라인(112)과 복수의 스캔 라인(114)의 교차점들의 각각에는 픽셀 회로(pixel circuit)가 배열된다. 따라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픽셀 회로들의 매트릭스 어레이(matrix array)를 포함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1080 x 1920 개의 픽셀 회로들을 포함하는 풀 HD(full high definition) 급의 해상도를 지원하는 패널일 수 있다. 픽셀 회로들의 각각은 복수의 서브픽셀 회로(sub-pixel circuits)를 포함할 수 있는데,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RGB 구조의 패널인 경우 각각의 서브픽셀 회로는 R 서브픽셀 회로, G 서브픽셀 회로 및 B 서브픽셀 회로를 포함할 수 있고,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펜타일(pentile) 구조의 패널인 경우 각각의 서브픽셀 회로는 R 서브픽셀 회로, G 서브픽셀 회로, B 서브픽셀 회로 및 G' 서브픽셀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서브픽셀 회로는 OLED 및 이와 연결된 드라이버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100)는 타이밍 제어기(120), 소스 드라이버 유니트(150) 및 게이트 드라이버 유니트(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타이밍 제어기(120)는 표시될 영상에 대응하는 영상 데이터를 생성하고, 또한 소스 드라이버 유니트(150) 및 게이트 드라이버 유니트(17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들 및 타이밍 신호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소스 드라이버 유니트(150)는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155)를 포함할 수 있다. 소스 드라이버(155)는 타이밍 제어기(120)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 신호에 따라 구동 신호를 생성하여 타이밍 신호에 따라 생성된 구동 신호를 데이터 라인(112)을 통해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110)로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영상의 한 프레임이 한 프레임 구간에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표시되는데, 한 프레임 구간은 복수의 수평 주사 구간(horizontal scanning intervals)으로 분할된다. 수평 주사 구간 마다 소스 드라이버들(115)로 영상의 한 라인을 표시하기 위한 새로운 서브픽셀 데이터들이 제공될 수 있고, 소스 드라이버들(115)은 서브픽셀 데이터들을 구동 신호들로 변환하여 데이터 라인들(112)을 통해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110)로 제공한다. 소스 드라이버 유니트(150)는 슬루율 제어부(1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루율 제어부(157)는 소스 드라이버들(155)로 순차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여 그 분석 결과에 따라 소스 드라이버들(155)의 각각에서의 출력 버퍼의 슬루율을 적응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 유니트(170)는 복수의 게이트 드라이버(175)를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 드라이버들(175)은 타이밍 제어기(120)로부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스캔 라인들(114)로 순차로 인에이블 신호(enable signal)가 공급되도록 한다. 특정 스캔 라인(114)으로 인에이블 신호가 공급되면 소스 드라이버들(155)로부터 공급되는 구동 신호들에 의해 해당 스캔 라인(114)에 속한 서브픽셀 회로들이 활성화되어 영상의 한 라인이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표시되게 된다. 이와 같이 위쪽의 게이트 드라이버(175)로부터 시작하여 아래쪽의 게이트 드라이버(175)까지 하나씩의 게이트 드라이버(175)가 인에이블 신호를 스캔 라인(114)을 통해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110)로 공급함에 따라 영상의 한 라인씩이 위에서 아래로 차례로 표시되어 한 프레임의 영상이 표시될 수 있게 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타이밍 제어기(120), 소스 드라이버 유니트(150) 및 게이트 드라이버 유니트(170)를 별도의 모듈인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이들을 하나의 디스플레이 드라이버 IC로 집적하여 제조하는 것도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소스 드라이버 유니트의 제1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소스 드라이버 유니트(150)는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155)를 포함할 수 있다.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RGB 구조이고 풀 HD 급의 해상도를 지원하는 패널인 경우 R, G 및 B 용의 3개의 서브픽셀 회로가 1,080개 배열되어 있으므로, 소스 드라이버 유니트(150)는 총 3,240 개의 소스 드라이버(155)를 포함할 수 있다. 반면,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펜타일 구조이고 풀 HD 급의 해상도를 지원하는 패널인 경우 R, G, B 및 G' 용의 4개의 서브픽셀 회로가 540개 배열되어 있으므로, 소스 드라이버 유니트(150)는 총 2,160 개의 소스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소스 드라이버(155)는 R 서브픽셀 데이터, G 서브픽셀 데이터 및 B 서브픽셀 데이터 중 어느 하나를 타이밍 제어기(12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RGB 구조인 경우, 예컨대 첫 번째 내지 네 번째 소스 드라이버들(155)은 타이밍 제어기(120)로부터 R 서브픽셀 데이터, G 서브픽셀 데이터, B 서브픽셀 데이터 및 R 서브픽셀 데이터를 각각 수신한다.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펜타일 구조인 경우, 예컨대 첫 번째 내지 다섯 번째 소스 드라이버들(155)은 타이밍 제어기(120)로부터 R 서브픽셀 데이터, G 서브픽셀 데이터, B 서브픽셀 데이터, G' 서브픽셀 데이터 및 R 서브픽셀 데이터를 각각 수신한다.
소스 드라이버(155)는 데이터 래치(data latch, 220), 디코더(240) 및 출력 버퍼(270)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래치(220)는 수평 주사 구간 마다 R 서브픽셀 데이터, G서브픽셀 데이터 및 B 서브픽셀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서브픽셀 데이터를 타이밍 제어기(120)로부터 제공받아 홀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래치(220)는 현재의 수평 주사 구간 용의 서브픽셀 데이터와 다음 수평 주사 구간 용의 서브픽셀 데이터를 동시에 홀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래치(220)는 현재의 수평 주사 구간 용의 서브픽셀 데이터를 홀드하기 위한 래치와 다음 수평 주사 구간 용의 서브픽셀 데이터를 홀드하기 위한 래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 래치(220)는 다음 수평 주사 구간의 시작 시점 보다 일정 시간만큼 앞서 다음 수평 주사 구간 용의 서브픽셀 데이터를 타이밍 제어기(120)로부터 제공받아 홀드할 수 있다. 디코더(240)는 데이터 래치(220)에 홀드된 서브픽셀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구동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디코더(240)는 데이터 래치(220)에 홀드된 서브픽셀 데이터를 애널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코더(240)는 인간의 시각의 빛에 대한 비선형 반응 특성을 보상하기 위한 감마 보정이 이루어진 구동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출력 버퍼(270)는 조절 가능한 슬루율(slew rate)을 가지며 디코더(240)로부터 제공되는 구동 신호를 버퍼링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출력 버퍼(270)는 해당 버퍼의 슬루율을 조절하기 위한 바이어스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이어스 입력은, 도 2에 도면번호 273으로 나타낸 전류원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스 드라이버 유니트(150)는 슬루율 제어부(1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루율 제어부(157)는 데이터 래치들(220)에 홀드되는 서브픽셀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소스 드라이버들(155)에서의 출력 버퍼들(270)의 슬루율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슬루율 제어부(157)는 출력 버퍼들(270) 각각의 슬루율을 해당 버퍼의 바이어스 입력을 변경함으로써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슬루율 제어부(157)는 데이터 래치들(220)에 홀드되는 서브픽셀 데이터들의 값들의 통계치에 근거하여 출력 버퍼들(270) 각각으로의 바이어스 입력을 변경하기 위한 바이어스 값(IBIAS)을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슬루율 제어부(157)는 산출된 바이어스 값(IBIAS)으로 출력 버퍼들(270) 각각으로의 바이어스 입력을 적응적으로 변경시킴으로써 수평 주사 구간이 바뀔 때 출력 버퍼들(270) 각각으로부터의 버퍼링된 구동 신호가 규정된 슬루 시간(slew time, ΔT) 내에 대체로 천이를 완료할 수 있도록 해준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루율 제어부(157)에 따르면, 출력 버퍼들(270) 각각으로부터의 버퍼링된 구동 신호가 불필요하게 빠르게 천이되어 출력 버퍼(270)의 전력 소모가 커지거나 혹은 동 신호가 너무 늦게 천이되어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도 3a는 도 2의 슬루율 제어부에 의해 출력 버퍼들의 슬루율이 조정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출력 버퍼들로부터의 구동 신호들이 천이되는 패턴들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R 서브픽셀 데이터를 수신하는 소스 드라이버(155)에 있어서, N-1 번째 수평 주사 구간에서 해당 데이터 래치(220)에 홀드되는 R 서브픽셀 데이터의 값과 N 번째 수평 주사 구간에서 해당 데이터 래치(220)에 홀드되는 R 서브픽셀 데이터의 값 간의 편차가 큰 경우, 해당 출력 버퍼(270)는 N 번째 수평 주사 구간의 시작으로부터 규정된 슬루 시간(ΔT) 내에 낮은 값에서 높은 값으로 또는 높은 값에서 낮은 값으로 천이되는 버퍼링된 구동 신호를 출력할 수 있어야 한다. 이 경우는 출력 버퍼(270)의 슬루율을 비교적 높은 값으로 설정하여 규정된 슬루 시간(ΔT) 내에 버퍼링된 구동 신호의 천이가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다른 예를 들면, G 서브픽셀 데이터를 수신하는 소스 드라이버(155)에 있어서, N-1 번째 수평 주사 구간에서 해당 데이터 래치(220)에 홀드되는 G 서브픽셀 데이터의 값과 N 번째 수평 주사 구간에서 해당 데이터 래치(220)에 홀드되는 G 서브픽셀 데이터의 값 간의 편차가 미미한 경우, 해당 출력 버퍼(270)는 비교적 낮은 값의 슬루율로 설정되어도 규정된 슬루 시간(ΔT) 내에 천이를 완료하는 버퍼링된 구동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고려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슬루율 제어부(157)는 출력 버퍼(270)의 슬루율을 그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신호에 있어서 앞으로 일어날 것으로 판단되는 천이 패턴에 적합한 값으로 미리 동적으로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슬루율 제어부(270)는 앞으로 일어날 출력 버퍼(270)로부터의 구동 신호의 천이 패턴을 데이터 래치들(220)에 홀드되는 서브픽셀 데이터들의 값들의 통계치에 근거하여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슬루율 제어부(157)에 의한 바이어스 값(IBIAS)의 산출은 라인 모드(line mode), 프레임 모드(frame mode) 및 변형된 라인 모드(modified line mode)의 3가지 모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각 모드에서의 슬루율 제어부(157)의 동작을 살펴 보기로 한다.
라인 모드
라인 모드에서 슬루율 제어부(157)는 영상 프레임의 라인 마다 출력 버퍼(270)의 슬루율을 조정하기 위한 바이어스 값(IBIAS)을 갱신하도록 동작된다. 슬루율 제어부(157)는 현재의 수평 주사 구간 용으로 데이터 래치들(220)의 각각에 홀드된 서브픽셀 데이터의 값과 다음 수평 주사 구간 용으로 해당 데이터 래치에 홀드된 서브픽셀 데이터의 값 간의 편차를 산출하고, 이 편차들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다음 수평 주사 구간에서의 출력 버퍼들(270)의 각각의 슬루율을 제어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슬루율 제어부(157)는 위와 같이 산출된 편차들의 적어도 일부가 클수록 다음 수평 주사 구간에서의 출력 버퍼들(270)의 각각으로의 해당 바이어스 입력을 높임으로써 해당 출력 버퍼(270)의 슬루율이 높아지게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예컨대 RGB 구조인 경우 슬루율 제어부(157)가 라인 모드에서 출력 버퍼들(270)의 슬루율을 제어하는 방식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일 실시예에서 슬루율 제어부(157)는 R 서브픽셀 데이터들의 값들 간의 편차들의 평균 값, G 서브픽셀 데이터들의 값들 간의 편차들의 평균 값 및 B 서브픽셀 데이터들의 값들 간의 편차들의 평균 값 중에서 최고의 평균 편차 값을 복수의 임계값과 비교하여 다음 수평 주사 구간에서의 출력 버퍼(270)의 슬루율을 조정하기 위한 바이어스 값(IBIAS)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슬루율 제어부(157)는 R 서브픽셀 데이터들의 값들 간의 편차들 중 선정된 값 이상인 편차들(R 편차 그룹)의 개수, G 서브픽셀 데이터들의 값들 간의 편차들 중 선정된 임계값 이상인 편차들(G 편차 그룹)의 개수 및 B 서브픽셀 데이터들의 값들 간의 편차들 중 선정된 임계값 이상인 편차들(B 편차 그룹)의 개수를 카운팅한다. 슬루율 제어부(157)는 이들 중에서 가장 개수가 큰 편차 그룹을 선택하고 선택된 편차 그룹에서 최고의 편차를 다시 선택하여 이 값을 복수의 임계값과 비교하여 다음 수평 주사 구간에서의 출력 버퍼(270)의 슬루율을 조정하기 위한 바이어스 값(IBIAS)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최고의 평균 편차 값/편차 값이 가장 큰 임계값 보다 큰 경우, 슬루율 제어부(157)는 바이어스 값(IBIAS)을 최대 값으로 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최고의 평균 편차 값/편차 값이 가장 작은 임계 값 보다 작은 경우, 슬루율 제어부(157)는 바이어스 값(IBIAS)을 최소 값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복수의 임계값은 3 개의 임계값을 포함할 수 있고, 슬루율 제어부(157)는 최고의 평균 편차 값/편차 값을 3개의 임계값과 비교하여 4 개의 범위 구간 중 어느 하나에 속하는 것으로 분류하고 그 분류 결과에 따라 바이어스 값(IBIAS)을 결정할 수 있다. N-1 번째 수평 주사 구간에서 출력 버퍼(270)로부터 출력될 수 있는 출력 값과 N 번째 수평 주사 구간에서 출력 버퍼(270)로부터 출력될 수 있는 출력 값 간의 편차가 취할 수 있는 값들의 범위를 4개의 구간으로 분할한다고 가정할 경우, 3개의 임계값은 이 4개의 구간을 구획 짓는 3개의 값에 대응하는 값들일 수 있다. 예컨대, 도 3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데이터 래치(220)에 홀드된 서브픽셀 데이터들의 값들에 있어서의 편차가 속할 수 있는 4개의 구간은 각각 0 ~ 63까지의 구간, 64 ~ 127까지의 구간, 128 ~ 190까지의 구간 및 191 ~ 255까지의 구간일 수 있고 이 구간들은 출력 버퍼(270)의 출력 값들에 있어서의 편차가 속할 수 있는 4개의 구간에 각각 대응할 수 있다. 전술한 구간들 및 임계값(들)은 출력 버퍼(270)의 아날로그 출력 값을 기초로 결정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3개의 임계값은 각각 63, 127 및 255일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슬루율 제어부(157)는 최고의 평균 편차 값/편차 값이 53인 경우 바이어스 값(IBIAS)을 5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슬루율 제어부(157)는 최고의 평균 편차 값/편차 값이 146인 경우 바이어스 값(IBIAS)을 7로 결정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슬루율 제어부(157)는 현재의 수평 주사 구간 용으로 데이터 래치들(220)의 각각에 홀드된 서브픽셀 데이터의 값이 속하는 제1 구간의 구간 번호와 다음 수평 주사 구간 용으로 해당 데이터 래치에 홀드된 서브픽셀 데이터의 값이 속하는 제2 구간의 구간 번호를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데이터 테이블을 참조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예컨대 현재의 수평 주사 구간 용으로 데이터 래치(220)에 홀드된 R 서브픽셀 데이터의 값이 147이고 다음 수평 주사 구간 용으로 해당 데이터 래치(220)에 홀드된 R 서브픽셀 데이터의 값이 55인 경우, 제1 구간의 구간 번호는 3이고 제2 구간의 구간 번호는 1이다. 슬루율 제어부(157)는 제1 구간의 구간 번호와 제2 구간의 구간 번호 간의 편차를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전술한 예의 경우 슬루율 제어부(157)는 편차를 2로 산출한다. 슬루율 제어부(157)에 의해 산출된 편차들은 R 서브픽셀 데이터들에 기초하여 산출된 편차들(제1 R 편차 그룹), G 서브픽셀 데이터들에 기초하여 산출된 편차들(제1 G 편차 그룹) 및 B 서브픽셀 데이터들에 기초하여 산출된 편차들(제1 B 편차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슬루율 제어부(157)는 제1 R 편차 그룹에 대해 히스토그램 분석(histogram analysis)을 수행하여 빈도수(frequency of occurrence)가 선정된 값 이하인 편차가 있는 경우 이러한 편차를 제1 R 편차 그룹에서 제외시켜 제2 R 편차 그룹을 구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슬루율 제어부(157)는 제1 G 편차 그룹에 대해 히스토그램 분석을 수행하여 빈도수가 선정된 값 이하인 편차가 있는 경우 이러한 편차를 제1 G 편차 그룹에서 제외시켜 제2 G 편차 그룹을 구성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슬루율 제어부(157)는 제1 B 편차 그룹에 대해 히스토그램 분석을 수행하여 빈도수가 선정된 값 이하인 편차가 있는 경우 이러한 편차를 제1 B 편차 그룹에서 제외시켜 제2 B 편차 그룹을 구성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슬루율 제어부(157)는 제2 R 편차 그룹, 제2 G 편차 그룹 및 제2 B 편차 그룹에서 최고의 편차를 하나씩 선택하고 선택된 3개의 편차 중에서 다시 최고의 편차를 선택한다. 제2 R 편차 그룹, 제2 G 편차 그룹 및 제2 B 편차 그룹에서 최고의 편차 하나를 선택하도록 슬루율 제어부(157)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슬루율 제어부(157)는 이 최고의 편차를 이용하여 출력 버퍼(270)의 슬루율을 조정하기 위한 바이어스 값(IBIAS)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c에 도시된 예의 경우 슬루율 제어부(157)는 최고의 편차가 0일 경우 바이어스 값(IBIAS)을 5로 결정하고 최고의 편차가 1일 경우 바이어스 값(IBIAS)을 6으로 결정하고 최고의 편차가 2일 경우 바이어스 값(IBIAS)을 7로 결정하고 최고의 편차가 3일 경우 바이어스 값(IBIAS)을 8로 결정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두 번째 라인(b)에서의 화소 값들과 첫 번째 라인(a)에서의 화소 값들이 같거나 그들 간의 편차들이 거의 미미하므로, 슬루율 제어부(157)는 라인(b)에 해당하는 수평 주사 구간 용으로 데이터 래치들(220)에 홀드된 서브픽셀 데이터들의 값들과 라인(a)에 해당하는 수평 주사 구간 용으로 데이터 래치들(220)에 홀드된 서브픽셀 데이터들의 값들 간의 편차들이 미미한 것으로 결정할 것이고, 이에 따라 슬루율 제어부(157)는 라인(b)에 해당하는 수평 주사 구간에서의 바이어스 값(IBIAS)을 비교적 작은 값인 5로 결정할 수 있다. d로 표시된 라인에서의 화소 값들은 c로 표시된 라인에서의 화소 값들과 비교적 큰 편차가 있으므로, 슬루율 제어부(157)는 라인(d)에 해당하는 수평 주사 구간 용으로 데이터 래치들(220)에 홀드된 서브픽셀 데이터들의 값들과 라인(c)에 해당하는 수평 주사 구간 용으로 데이터 래치들(220)에 홀드된 서브픽셀 데이터들의 값들 간의 편차들이 비교적 큰 것으로 결정할 것이고, 이에 따라 슬루율 제어부(157)는 라인(d)에 해당하는 수평 주사 구간에서의 바이어스 값(IBIAS)을 비교적 큰 값인 6으로 결정할 수 있다. e로 표시된 라인에서의 화소 값들과 d로 표시된 라인에서의 화소 값들은 그들 간의 편차들이 거의 미미하므로, 슬루율 제어부(157)는 라인(e)에 해당하는 수평 주사 구간 용으로 데이터 래치들(220)에 홀드된 서브픽셀 데이터들의 값들과 라인(d)에 해당하는 수평 주사 구간 용으로 데이터 래치들(220)에 홀드된 서브픽셀 데이터들의 값들 간의 편차들이 미미한 것으로 결정할 것이고, 이에 따라 슬루율 제어부(157)는 라인(e)에 해당하는 수평 주사 구간에서의 바이어스 값(IBIAS)을 다시 5로 조정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바이어스 값(IBIAS)이 5로 유지되다가, g로 표시된 라인에 해당하는 수평 주사 구간에서 슬루율 제어부(157)는 전술한 메커니즘에 따라 바이어스 값(IBIAS)을 다시 6으로 조정할 수 있다. 이후 라인들에 해당하는 수평 주사 구간들에서 슬루율 제어부(157)는 바이어스 값(IBIAS)을 5로 계속 유지한다.
프레임 모드
프레임 모드에서 슬루율 제어부(157)는 영상 프레임 마다 출력 버퍼(270)의 슬루율을 조정하기 위한 바이어스 값(IBIAS)을 갱신하도록 동작된다. 슬루율 제어부(157)는 현재의 수평 주사 구간 용으로 데이터 래치들((220)의 각각에 홀드된 서브픽셀 데이터의 값과 다음 수평 주사 구간 용으로 해당 데이터 래치(220)에 홀드된 서브픽셀 데이터의 값 간의 편차를 산출하는 것을 현재의 프레임 구간 동안 반복하고, 현재의 프레임 구간에 걸쳐서 산출된 편차들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다음 프레임 구간에서의 출력 버퍼들(270)의 각각의 슬루율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슬루율 제어부(157)는 위와 같이 산출된 편차들의 적어도 일부가 클수록 다음 프레임 구간에서의 출력 버퍼들(270)의 각각으로의 해당 바이어스 입력을 높임으로써 해당 출력 버퍼(270)의 슬루율이 높아지게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예컨대 RGB 구조인 경우 슬루율 제어부(157)가 프레임 모드에서 출력 버퍼들(270)의 슬루율을 제어하는 방식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일 실시예에서 슬루율 제어부(157)는 현재의 프레임에 대해 산출된 R 서브픽셀 데이터들의 값들 간의 편차들의 평균 값, G 서브픽셀 데이터들의 값들 간의 편차들의 평균 값 및 B 서브픽셀 데이터들의 값들 간의 편차들의 평균 값 중에서 최고의 평균 편차 값을 복수의 임계값과 비교하여 다음 프레임 구간에서의 출력 버퍼(270)의 슬루율을 조정하기 위한 바이어스 값(IBIAS)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슬루율 제어부(157)는 현재의 프레임에 대해 산출된 R 서브픽셀 데이터들의 값들 간의 편차들 중 선정된 값 이상인 편차들(R 편차 그룹)의 개수, 현재의 프레임에 대해 산출된 G 서브픽셀 데이터들의 값들 간의 편차들 중 선정된 값 이상인 편차들(G 편차 그룹)의 개수 및 현재의 프레임에 대해 산출된 B 서브픽셀 데이터들의 값들 간의 편차들 중 선정된 값 이상인 편차들(B 편차 그룹)의 개수를 카운팅한다. 슬루율 제어부(157)는 이들 중에서 가장 개수가 큰 편차 그룹을 선택하고 선택된 편차 그룹에서 최고의 편차를 다시 선택하여 이를 복수의 임계값과 비교하여 다음 프레임 구간에서의 출력 버퍼(270)의 슬루율을 조정하기 위한 바이어스 값(IBIAS)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최고의 평균 편차 값/편차 값을 복수의 임계값과 비교하여 다음 프레임 구간에서의 출력 버퍼(270)의 슬루율을 조정하기 위한 바이어스 값(IBIAS)을 결정하는 방식은 라인 모드에서와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슬루율 제어부(157)는 현재의 수평 주사 구간 용으로 데이터 래치들(220)의 각각에 홀드된 서브픽셀 데이터의 값이 속하는 제1 구간의 구간 번호와 다음 수평 주사 구간 용으로 해당 데이터 래치에 홀드된 서브픽셀 데이터의 값이 속하는 제2 구간의 구간 번호를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데이터 테이블을 참조하여 결정하고 제1 구간 번호와 제2 구간 번호 간의 편차를 산출하는 과정을 현재의 프레임 구간 동안 반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슬루율 제어부(157)에 의해 현재의 프레임 구간 동안 산출된 편차들은 R 서브픽셀 데이터들에 기초하여 산출된 편차들(제1 R 편차 그룹), G 서브픽셀 데이터들에 기초하여 산출된 편차들(제1 G 편차 그룹) 및 B 서브픽셀 데이터들에 기초하여 산출된 편차들(제1 B 편차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슬루율 제어부(157)는 제1 R 편차 그룹에 대해 히스토그램 분석을 수행하여 빈도수가 선정된 값 이하인 편차가 있는 경우 이러한 편차를 제1 R 편차 그룹에서 제외시켜 제2 R 편차 그룹을 구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슬루율 제어부(157)는 제1 G 편차 그룹에 대해 히스토그램 분석을 수행하여 빈도수가 선정된 값 이하인 편차가 있는 경우 이러한 편차를 제1 G 편차 그룹에서 제외시켜 제2 G 편차 그룹을 구성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슬루율 제어부(157)는 제1 B 편차 그룹에 대해 히스토그램 분석을 수행하여 빈도수가 선정된 값 이하인 편차가 있는 경우 이러한 편차를 제1 B 편차 그룹에서 제외시켜 제2 B 편차 그룹을 구성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슬루율 제어부(157)는 제2 R 편차 그룹, 제2 G 편차 그룹 및 제2 B 편차 그룹에서 최고의 편차를 하나씩 선택하고 선택된 3개의 편차 중에서 다시 최고의 편차를 선택한다. 슬루율 제어부(157)는 이 최고의 편차를 이용하여 출력 버퍼(270)의 슬루율을 조정하기 위한 바이어스 값(IBIAS)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N-1 번째 프레임 구간에서 적용되는 출력 버퍼(270)에 대한 바이어스 값(IBIAS)은 N-2 번째 프레임 구간에서 결정된 값인 6이고, N-1 번째 프레임 구간에 걸쳐서 결정된 바이어스 값(IBIAS)이 그대로 6이므로 N 번째 프레임 구간에서도 출력 버퍼(270)에 대해 6의 바이어스 값(IBIAS)이 그대로 적용된다. 한편, N 번째 프레임 구간에서의 영상 프레임은 N-1 번째 프레임 보다 다소 높은 컨트래스트의 영상 디테일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슬루율 제어부(157)는 N 번째 프레임 구간에서 바이어스 값(IBIAS)을 다소 높은 값인 8로 결정한다. N+1 번째 프레임 구간에서는 N 번째 프레임 구간에서 결정된 8의 바이어스 값(IBIAS)을 출력 버퍼들(270)에 대해 적용한다. 프레임 모드에서는 바이어스 값(IBIAS)의 결정에 영상 디테일의 변화가 한 프레임만큼 지연되어 반영되기는 하나, 슬루율 제어부(157)를 프레임 모드에서 동작시켜도 대체로 만족할 만한 수준의 화질과 전력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을 시뮬레이션 결과로부터 확인할 수 있었다.
변형된 라인 모드
변형된 라인 모드에서 슬루율 제어부(157)는 영상 프레임의 라인 마다 바이어스 값(IBIAS)을 갱신하다가 바이어스 값(IBIAS)이 선정된 값(predetermined value) 이상의 특정 값에 도달하는 경우 영상 프레임의 나머지 라인들에 대해 특정 값의 바이어스 값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동작된다. 변형된 라인 모드에서 슬루율 제어부(157)는, 라인 모드에서와 마찬가지의 메커니즘에 따라 작동되다가 다음 수평 주사 구간에서의 출력 버퍼들(270)의 각각에 적용되는 해당 바이어스 값(IBIAS)을 선정된 값 이상의 특정 값으로 높이는 경우 현재의 프레임 구간 내의 나머지 수평 주사 구간들에서의 출력 버퍼들(270)의 각각에 대한 해당 바이어스 값(IBIAS)을 특정 값으로 그대로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라인 모드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해 영상 프레임의 라인(a)까지 5의 바이어스 값(IBIAS)이 유지된다. 그러나 라인(b)에서의 화소 값들은 라인(a)에서의 화소 값들과 비교적 큰 차이가 있으므로, 슬루율 제어부(157)는 라인(b)에 해당하는 수평 주사 구간 용으로 데이터 래치들(220)에 홀드된 서브픽셀 데이터들의 값들과 라인(a)에 해당하는 수평 주사 구간 용으로 데이터 래치들(220)에 홀드된 서브픽셀 데이터들의 값들 간의 편차들이 비교적 큰 것으로 결정할 것이고, 이에 따라 슬루율 제어부(157)는 라인(b)에 해당하는 수평 주사 구간에서의 바이어스 값(IBIAS)을 큰 값인 8로 결정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슬루율 제어부(157)는 현재의 프레임 구간 내의 이후 라인들에 해당하는 수평 주사 구간들에서의 바이어스 값(IBIAS)을 8로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다음 프레임 구간에서는 라인 별 바이어스 값(IBIAS) 갱신이 다시 재개된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소스 드라이버 유니트의 제2 실시예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소스 드라이버 유니트(750)는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755)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소스 드라이버(755)가 도 2에 도시된 소스 드라이버(155)와 다른 점은, 소스 드라이버(755)의 경우 타이밍 제어기(120)로부터 복수의 서브픽셀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는 점이다. 이러한 소스 드라이버 구조를 멀티 먹스 구조(multi-mux structure)라 부른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소스 드라이버(755)가 타이밍 제어기(120)로부터 두 개의 서브 픽셀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으로 표시하였으나, 세 개, 네 개 등의 복수의 서브픽셀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소스 드라이버(755)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편의상 도시된 바와 같은 2-먹스 구조(two-mux structure)의 소스 드라이버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펜타일 구조이고 풀 HD 급의 해상도를 지원하는 패널인 경우 R, G, B 및 G' 용의 4개의 서브픽셀 회로가 540개 배열되어 있으므로, 소스 드라이버 유니트(750)는 총 1,080 개의 소스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첫 번째 소스 드라이버(755)가 R 서브픽셀 회로 및 G 서브픽셀 회로의 구동을 담당하고 두 번째 소스 드라이버(755)가 B 서브픽셀 회로 및 G' 서브픽셀 회로의 구동을 담당하고 세 번째 소스 드라이버(755)가 다시 R 서브픽셀 회로 및 G 서브픽셀 회로의 구동을 담당하는 식으로 각 소스 드라이버(755)가 두 개씩의 서브픽셀 회로의 구동을 담당한다.
소스 드라이버(155)는 제1 데이터 래치(720), 제2 데이터 래치(722), 제1 디코더(740), 제2 디코더(742), 스위치(780) 및 출력 버퍼(77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데이터 래치(720, 722)의 각각은 수평 주사 구간 마다 R 서브픽셀 데이터, G 서브픽셀 데이터, B 서브픽셀 데이터 및 G' 서브픽셀 데이터 중 어느 하나의 서브픽셀 데이터를 타이밍 제어기(120)로부터 제공받아 홀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데이터 래치(720, 722)의 각각은 현재의 수평 주사 구간 용의 서브픽셀 데이터와 다음 수평 주사 구간 용의 서브픽셀 데이터를 동시에 홀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데이터 래치(720, 722)의 각각은 현재의 수평 주사 구간 용의 서브픽셀 데이터를 홀드하기 위한 래치와 다음 수평 주사 구간 용의 서브픽셀 데이터를 홀드하기 위한 래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데이터 래치(720, 722)의 각각은 다음 수평 주사 구간의 시작 시점 보다 일정 시간만큼 앞서 다음 수평 주사 구간 용의 서브픽셀 데이터를 타이밍 제어기(120)로부터 제공받아 홀드할 수 있다. 제1 및 제2 디코더(740, 742)는 제1 및 제2 데이터 래치(720, 722)에 홀드된 서브픽셀 데이터들을 각각 디코딩하여 구동 신호들을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디코더(740, 742)의 각각은 제1 및 제2 데이터 래치(720, 722) 중 해당 데이터 래치에 홀드된 서브픽셀 데이터를 애널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D/A 변환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디코더(740, 742)의 각각은 인간의 시각의 빛에 대한 비선형 반응 특성을 보상하기 위한 감마 보정이 이루어진 구동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위치(780)는 제1 및 제2 디코더(740, 742)로부터 출력되는 구동 신호들 중 하나를 번갈아 가며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위치(780)는 전자적으로 작동되는 전자 스위치로 구현될 수 있다. 출력 버퍼(770)는 조절 가능한 슬루율을 가지며 스위치(780)로부터 출력된 구동 신호를 버퍼링하여 버퍼링된 구동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스위치(780)의 작동에 의하여 출력 버퍼(770)는 수평 주사 구간이 바뀔 때마다 두 개의 픽셀 회로에 차례로 구동 신호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출력 버퍼(770)는 해당 버퍼의 슬루율을 조절하기 위한 바이어스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이어스 입력은, 도 7에 도면번호 773으로 나타낸 전류원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스 드라이버 유니트(750)는 슬루율 제어부(7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슬루율 제어부(757)는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755)의 각각에서의 제1 및 제2 데이터 래치(720, 722)에 홀드되는 서브픽셀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755)의 각각에서의 출력 버퍼(770)의 슬루율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슬루율 제어부(757)는 출력 버퍼들(770) 각각의 슬루율을 해당 버퍼의 바이어스 입력을 변경함으로써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슬루율 제어부(757)는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755)의 각각에서의 제1 및 제2 데이터 래치(720, 722)에 홀드되는 서브픽셀 데이터들의 값들의 통계치에 근거하여 출력 버퍼들(770) 각각으로의 바이어스 입력을 변경하기 위한 바이어스 값(IBIAS)을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슬루율 제어부(757)는 수평 주사 구간 마다 산출된 바이어스 값(IBIAS)으로 출력 버퍼들(770) 각각으로의 바이어스 입력을 적응적으로 변경시킴으로써 수평 주사 구간 내에서 스위치(780)가 작동되어 그 출력이 천이되는 시점인 천이 시작 시간(transition start time)에서 출력 버퍼들(770) 각각으로부터의 버퍼링된 구동 신호가 천이를 시작하여 규정된 슬루 시간(ΔT) 내에 대체로 천이를 완료할 수 있도록 해준다.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2 실시예에 따른 슬루율 제어부(757) 또한 출력 버퍼들(770) 각각으로부터의 버퍼링된 구동 신호가 불필요하게 빠르게 천이되어 출력 버퍼(770)의 전력 소모가 커지거나 혹은 동 신호가 너무 늦게 천이되어 표시되는 영상의 화질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해 준다.
도 8은 도 7의 슬루율 제어부에 의해 출력 버퍼들의 슬루율이 조정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하여 출력 버퍼들로부터의 구동 신호들이 천이되는 패턴들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 주사 구간 마다 R 서브픽셀 데이터 및 G 픽셀 데이터를 수신하는 소스 드라이버(755)에 있어서, N-1 번째 수평 주사 구간의 시작과 거의 동시에 R/B 픽셀 회로 구동 용의 클럭 신호(CLA)에 동기되어 출력 버퍼(770)로부터 출력되는 버퍼링된 구동 신호(R)가 R 서브픽셀 회로로 공급된다. N-1 번째 수평 주사 구간 용의 제1 데이터 래치(720)에 홀드된 R 서브픽셀 데이터 보다 N-1 번째 수평 주사 구간 용의 제2 데이터 래치(722)에 홀드된 G 서브픽셀 데이터가 약간 작은 값을 가지는 경우, 해당 출력 버퍼(770)는 천이 시작 시간(TS)으로부터 규정된 슬루 시간(ΔT) 내에 약간 낮은 값으로 천이되는 버퍼링된 구동 신호(G)를 출력한다. 이 경우는 출력 버퍼(770)의 슬루율을 비교적 낮은 값으로 설정하여도 규정된 슬루 시간(ΔT) 내에 버퍼링된 구동 신호의 천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천이가 이루어진 후 출력 버퍼(770)는 일정 시간 동안 포화 상태를 유지한다. 천이 시작 시간(TS)으로부터 시작되어 출력 버퍼(770)가 포화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 동안 G/G' 픽셀 회로 구동 용의 클럭 신호(CLB)에 동기되어 출력 버퍼(770)로부터 출력되는 버퍼링된 구동 신호(G)가 G 서브픽셀 회로로 공급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데이터 래치(720, 722)의 각각이 수평 주사 구간의 시작 시점 보다 일정 시간만큼 앞서 서브픽셀 데이터를 수신하므로, 출력 버퍼(770)는 포화 상태를 유지하다가 N 번째 수평 주사 구간에 이르기 전에 N 번째 수평 주사 구간 용의 구동 신호(R)를 출력하기 위해 구동 신호(G) 보다 조금 더 낮은 신호로의 천이를 수행한다. 이제 N 번째 수평 주사 구간이 시작되면 R/B 픽셀 회로 구동 용의 클럭 신호(CLA)에 동기되어 출력 버퍼(770)로부터 출력되는 버퍼링된 구동 신호(R)가 R 서브픽셀 회로로 공급된다. N 번째 수평 주사 구간 용으로 제1 데이터 래치(720)에 홀드된 R 서브픽셀 데이터 보다 N 번째 수평 주사 구간 용으로 제2 데이터 래치(722)에 홀드된 G 서브픽셀 데이터가 약간 작은 값을 가지는 경우, 해당 출력 버퍼(770)는 천이 시작 시간(TS)으로부터 규정된 슬루 시간(ΔT) 내에 약간 더 낮은 값으로 천이되는 버퍼링된 구동 신호(G)를 출력한다. 이 경우도 출력 버퍼(770)의 슬루율을 비교적 낮은 값으로 설정하여도 규정된 슬루 시간(ΔT) 내에 버퍼링된 구동 신호의 천이가 이루어질 수 있다. 그 후 출력 버퍼(770)는 천이가 완료된 후 일정 시간 동안 포화 상태를 유지한다. 천이 시작 시간(TS)으로부터 시작되어 출력 버퍼(770)가 포화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 동안 G/G' 픽셀 회로 구동 용의 클럭 신호(CLB)에 동기되어 출력 버퍼(770)로부터 출력되는 버퍼링된 구동 신호(G)가 G 서브픽셀 회로로 공급된다. 출력 버퍼(770)는 N+1 번째 수평 주사 구간에 이르기 전에 N+1 번째 수평 주사 구간 용의 구동 신호(R)를 출력하기 위해 구동 신호(G) 보다 높은 신호로의 천이를 수행한다.
수평 주사 구간 마다 B 서브픽셀 데이터 및 G' 픽셀 데이터를 수신하는 소스 드라이버(755)에 있어서는, N-1 번째 수평 주사 구간의 시작과 거의 동시에 R/B 픽셀 회로 구동 용의 클럭 신호(CLA)에 동기되어 출력 버퍼(770)로부터 출력되는 버퍼링된 구동 신호(B)가 B 서브픽셀 회로로 공급된다. N-1 번째 수평 주사 구간 용의 제1 데이터 래치(720)에 홀드된 B 서브픽셀 데이터 보다 N-1 번째 수평 주사 구간 용의 제2 데이터 래치(722)에 홀드된 G 서브픽셀 데이터가 약간 작은 값을 가지는 경우, 해당 출력 버퍼(770)는 천이 시작 시간(TS)으로부터 규정된 슬루 시간(ΔT) 내에 약간 낮은 값으로 천이되는 버퍼링된 구동 신호(G)를 출력한다. 이 경우는 출력 버퍼(770)의 슬루율을 비교적 낮은 값으로 설정하여도 규정된 슬루 시간(ΔT) 내에 버퍼링된 구동 신호의 천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천이가 이루어진 후 출력 버퍼(770)는 일정 시간 동안 포화 상태를 유지한다. 천이 시작 시간(TS)으로부터 시작되어 출력 버퍼(770)가 포화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 동안 G/G' 픽셀 회로 구동 용의 클럭 신호(CLB)에 동기되어 출력 버퍼(770)로부터 출력되는 버퍼링된 구동 신호(G')가 G' 서브픽셀 회로로 공급된다. 출력 버퍼(770)는 천이가 완료된 후 일정 시간 동안 포화 상태를 유지하다가 N 번째 수평 주사 구간에 이르기 전에 N 번째 수평 주사 구간 용의 구동 신호(B)를 출력하기 위해 구동 신호(G') 보다 높은 신호로의 천이를 수행한다. 이제 N 번째 수평 주사 구간이 시작되면 R/B 픽셀 회로 구동 용의 클럭 신호(CLA)에 동기되어 출력 버퍼(770)로부터 출력되는 버퍼링된 구동 신호(B)가 B 서브픽셀 회로로 공급된다. N 번째 수평 주사 구간 용으로 제1 데이터 래치(720)에 홀드된 B 서브픽셀 데이터 보다 N 번째 수평 주사 구간 용으로 제2 데이터 래치(722)에 홀드된 G' 서브픽셀 데이터가 매우 작은 값을 가지는 경우, 해당 출력 버퍼(770)는 천이 시작 시간(TS)으로부터 규정된 슬루 시간(ΔT) 내에 낮은 값으로 천이되는 버퍼링된 구동 신호(G)를 출력할 수 있어야 한다. 이 경우는 출력 버퍼(770)의 슬루율을, 예컨대 최대값과 같이 매우 높은 값으로 설정하여야 규정된 슬루 시간(ΔT) 내에 버퍼링된 구동 신호의 천이가 이루어질 수 있다. 출력 버퍼(770)는 천이가 완료된 후 일정 시간 동안 포화 상태를 유지한다. 천이 시작 시간(TS)으로부터 시작되어 출력 버퍼(770)가 포화 상태를 유지하는 시간 동안 G/G' 픽셀 회로 구동 용의 클럭 신호(CLB)에 동기되어 출력 버퍼(770)로부터 출력되는 버퍼링된 구동 신호(G')가 G' 서브픽셀 회로로 공급된다. 출력 버퍼(770)는 N+1 번째 수평 주사 구간에 이르기 전에 N+1 번째 수평 주사 구간 용의 구동 신호(B)를 출력하기 위해 구동 신호(G') 보다 약간 높은 신호로의 천이를 수행한다.
제2 실시예의 경우에도 슬루율 제어부(757)에 의한 바이어스 값(IBIAS)의 산출은 라인 모드(line mode), 프레임 모드(frame mode) 및 변형된 라인 모드(modified line mode)의 3가지 모드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각 모드에서의 슬루율 제어부(757)의 동작을 살펴 보기로 한다.
라인 모드
라인 모드에서 슬루율 제어부(757)는 영상 프레임의 라인 마다 출력 버퍼(770)의 슬루율을 조정하기 위한 바이어스 값(IBIAS)을 갱신하도록 동작된다. 슬루율 제어부(757)는 현재의 수평 주사 구간에서 다음 수평 주사 구간 용으로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755)의 각각에서의 제1 및 제2 데이터 래치(720, 722)에 홀드되는 서브픽셀 데이터들의 값들 간의 편차를 산출하고, 이 편차들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다음 수평 주사 구간에서의 출력 버퍼들(770)의 각각의 슬루율을 제어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슬루율 제어부(757)는 위와 같이 산출된 편차들의 적어도 일부가 클수록 다음 수평 주사 구간에서의 출력 버퍼들(770)의 각각으로의 해당 바이어스 입력을 높임으로써 해당 출력 버퍼(270)의 슬루율이 높아지게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펜타일 구조인 경우 슬루율 제어부(757)가 라인 모드에서 출력 버퍼들(770)의 슬루율을 제어하는 방식을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일 실시예에서 슬루율 제어부(757)는, 수평 주사 구간 마다 R 서브픽셀 데이터 및 G 서브픽셀 데이터를 수신하는 소스 드라이버들(755)에 대해서는 제1 데이터 래치(720)에 홀드되는 R 서브픽셀 데이터의 값과 제2 데이터 래치(722)에 홀드되는 G 서브픽셀 데이터의 값 간의 제1 편차를 산출하고, 수평 주사 구간 마다 B 서브픽셀 데이터 및 G' 픽셀 데이터를 수신하는 소스 드라이버들(755)에 대해서는 제1 데이터 래치(720)에 홀드되는 B 서브픽셀 데이터의 값과 제2 데이터 래치(722)에 홀드되는 G' 서브픽셀 데이터의 값 간의 제2 편차를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슬루율 제어부(757)는 제1 편차들의 평균 값과 제2 편차들의 평균값을 구하고 이들 평균 값 중에서 최고의 평균 편차 값을 복수의 임계값과 비교하여 다음 수평 주사 구간에서의 출력 버퍼(770)의 슬루율을 조정하기 위한 바이어스 값(IBIAS)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슬루율 제어부(757)는 제1 편차들 중 선정된 값 이상인 편차들(제1 편차 그룹)의 개수 및 제2 편차들 중 선정된 임계값 이상인 편차들(제2 편차 그룹)의 개수를 카운팅한다. 슬루율 제어부(757)는 이들 중에서 가장 개수가 큰 편차 그룹을 선택하고 선택된 편차 그룹에서 최고의 편차를 다시 선택하여 이 값을 복수의 임계값과 비교하여 다음 수평 주사 구간에서의 출력 버퍼(770)의 슬루율을 조정하기 위한 바이어스 값(IBIAS)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최고의 평균 편차 값/편차 값을 복수의 임계값과 비교하여 다음 수평 주사 구간에서의 출력 버퍼(770)의 슬루율을 조정하기 위한 바이어스 값(IBIAS)을 결정하는 방식은 전술한 동일하므로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슬루율 제어부(757)는 현재의 수평 주사 구간에서 다음 수평 주사 구간 용으로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755)의 각각에서의 제1 및 제2 데이터 래치(720, 722)에 홀드되는 서브픽셀 데이터들의 값들이 속하는 구간들의 구간 번호들을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데이터 테이블을 참조하여 결정할 수 있다. 슬루율 제어부(757)는 전술한 구간 번호들 간의 편차를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슬루율 제어부(757)에 의해 산출된 편차들은 R 서브픽셀 데이터 및 G 서브픽셀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된 편차들(제1 R/G 편차 그룹) 및 B 서브픽셀 데이터 및 G' 서브픽셀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된 편차들(제1 B/G' 편차 그룹)을 포함할 수 있다. 슬루율 제어부(757)는 제1 R/G 편차 그룹에 대해 히스토그램 분석을 수행하여 빈도수가 선정된 값 이하인 편차가 있는 경우 이러한 편차를 제1 R/G 편차 그룹에서 제외시켜 제2 R/G 편차 그룹을 구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슬루율 제어부(757)는 제1 B/G' 편차 그룹에 대해 히스토그램 분석을 수행하여 빈도수가 선정된 값 이하인 편차가 있는 경우 이러한 편차를 제1 B/G' 편차 그룹에서 제외시켜 제2 B/G' 편차 그룹을 구성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슬루율 제어부(757)는 제2 R/G 편차 그룹 및 제2 B/G' 편차 그룹에서 최고의 편차를 하나씩 선택하고 선택된 2개의 편차 중에서 다시 최고의 편차를 선택한다. 슬루율 제어부(757)는 이 최고의 편차를 이용하여 출력 버퍼(270)의 슬루율을 조정하기 위한 바이어스 값(IBIAS)을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첫 번째 라인(a)에서는 서브픽셀(R)의 값과 서브픽셀(G)의 값 간의 편차나 서브픽셀(B)의 값과 서브픽셀(G')의 값 간의 편차가 거의 미미하므로, 슬루율 제어부(757)는 라인(a)에 해당하는 수평 주사 구간 용으로 소스 드라이버들(755)의 각각에서의 제1 데이터 래치(720)에 홀드된 서브픽셀 데이터의 값과 제2 데이터 래치(722)에 홀드된 서브픽셀 데이터의 값 간의 편차가 미미한 것으로 결정할 것이고, 이에 따라 슬루율 제어부(757)는 라인(a)에 해당하는 수평 주사 구간에서의 바이어스 값(IBIAS)을 비교적 작은 값인 5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이어스 값(IBIAS)이 5로 유지되다가 c로 표시된 라인에서는 서브픽셀(R)의 값과 서브픽셀(G)의 값 간의 편차나 서브픽셀(B)의 값과 서브픽셀(G')의 값 간의 편차가 비교적 크므로, 슬루율 제어부(757)는 라인(c)에 해당하는 수평 주사 구간 용으로 소스 드라이버들(755)의 각각에서의 제1 데이터 래치(720)에 홀드된 서브픽셀 데이터의 값과 제2 데이터 래치(722)에 홀드된 서브픽셀 데이터의 값 간의 편차가 비교적 큰 것으로 결정할 것이고, 이에 따라 슬루율 제어부(757)는 라인(c)에 해당하는 수평 주사 구간에서의 바이어스 값(IBIAS)을 비교적 큰 값인 6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바이어스 값(IBIAS)이 6으로 유지되다가 e로 표시된 라인에서는 서브픽셀(R)의 값과 서브픽셀(G)의 값 간의 편차나 서브픽셀(B)의 값과 서브픽셀(G')의 값 간의 편차가 거의 미미하므로, 슬루율 제어부(757)는 라인(e)에 해당하는 수평 주사 구간 용으로 소스 드라이버들(755)의 각각에서의 제1 데이터 래치(720)에 홀드된 서브픽셀 데이터의 값과 제2 데이터 래치(722)에 홀드된 서브픽셀 데이터의 값 간의 편차가 미미한 것으로 결정할 것이고, 이에 따라 슬루율 제어부(757)는 라인(e)에 해당하는 수평 주사 구간에서의 바이어스 값(IBIAS)을 다시 작은 값인 5로 결정할 수 있다. 이후 라인들에 해당하는 수평 주사 구간들에서 슬루율 제어부(757)는 바이어스 값(IBIAS)을 5로 계속 유지한다.
프레임 모드
프레임 모드에서 슬루율 제어부(757)는 영상 프레임 마다 출력 버퍼(770)의 슬루율을 조정하기 위한 바이어스 값(IBIAS)을 갱신하도록 동작된다. 일 실시예에서 슬루율 제어부(757)는 현재의 프레임 구간 내에서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755)의 각각에서의 제1 및 제2 데이터 래치(720, 722)에 홀드되는 서브픽셀 데이터들의 값들 간의 편차를 산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슬루율 제어부(757)는 현재의 수평 주사 구간에서 다음 수평 주사 구간 용으로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755)의 각각에서의 제1 및 제2 데이터 래치(720, 722)에 홀드되는 서브픽셀 데이터들의 값들이 속하는 구간들의 구간 번호들을 결정하고 결정된 구간 번호들 간의 편차를 산출하는 동작을 현재의 프레임 구간 동안 반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슬루율 제어부(757)는 제1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현재의 프레임 구간에 걸쳐서 산출된 편차들 중 하나 또는 그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다음 프레임 구간에서의 출력 버퍼들(770)의 각각의 슬루율을 제어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슬루율 제어부(757)는 위와 같이 산출된 편차들의 적어도 일부가 클수록 다음 프레임 구간에서의 출력 버퍼들(770)의 각각으로의 해당 바이어스 입력을 높임으로써 해당 출력 버퍼(770)의 슬루율이 높아지게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N-1 번째 프레임 구간에서 적용되는 출력 버퍼(770)에 대한 바이어스 값(IBIAS)은 N-2 번째 프레임 구간에서 결정된 값인 6이고, N-1 번째 프레임 구간에 걸쳐서 결정된 바이어스 값(IBIAS)이 그대로 6이므로 N 번째 프레임 구간에서도 출력 버퍼(770)에 대해 6의 바이어스 값(IBIAS)이 그대로 적용된다. 한편, N 번째 프레임 구간에서의 영상 프레임은 N-1 번째 프레임 보다 다소 높은 컨트래스트의 영상 디테일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슬루율 제어부(757)는 N 번째 프레임 구간에서 바이어스 값(IBIAS)을 다소 높은 값인 8로 결정한다. N+1 번째 프레임 구간에서는 N 번째 프레임 구간에서 결정된 8의 바이어스 값(IBIAS)을 출력 버퍼들(770)에 대해 적용한다.
변형된 라인 모드
변형된 라인 모드에서 슬루율 제어부(757)는 영상 프레임의 라인 마다 바이어스 값(IBIAS)을 갱신하다가 바이어스 값(IBIAS)이 선정된 값 이상의 특정 값에 도달하는 경우 영상 프레임의 나머지 라인들에 대해 특정 값의 바이어스 값을 그대로 유지하도록 동작된다. 변형된 라인 모드에서 슬루율 제어부(757)는, 라인 모드에서와 마찬가지의 메커니즘에 따라 작동되다가 다음 수평 주사 구간에서의 출력 버퍼들(770)의 각각에 적용되는 해당 바이어스 값(IBIAS)을 선정된 값 이상의 특정 값으로 높이는 경우 현재의 프레임 구간 내의 나머지 수평 주사 구간들에서의 출력 버퍼들(770)의 각각에 대한 해당 바이어스 값(IBIAS)을 특정 값으로 그대로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라인 모드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해 영상 프레임의 라인(a) 이전까지 5의 바이어스 값(IBIAS)이 유지된다. 그러나 슬루율 제어부(757)는, 전술한 바와 같은 이유로 라인(a)에 해당하는 수평 주사 구간 용으로 소스 드라이버들(755)의 각각에서의 제1 데이터 래치(720)에 홀드된 서브픽셀 데이터의 값과 제2 데이터 래치(722)에 홀드된 서브픽셀 데이터의 값 간의 편차가 큰 것으로 결정할 것이고, 이에 따라 슬루율 제어부(757)는 라인(a)에 해당하는 수평 주사 구간에서의 바이어스 값(IBIAS)을 비교적 큰 값인 8로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슬루율 제어부(757)는 현재의 프레임 구간 내의 이후 라인들에 해당하는 수평 주사 구간들에서의 바이어스 값(IBIAS)을 8로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다음 프레임 구간에서는 라인 별 바이어스 값(IBIAS) 갱신이 다시 재개된다.
이상으로 설명한 슬루율 제어부(157, 757)는 하드웨어적 측면에서 ASICs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 (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 (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 (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및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슬루율 제어부(157, 757)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 또는 작동을 수행하게 하는, 하드웨어 플랫폼 상에서 실행가능한 펌웨어/소프트웨어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 있어서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접속되거나 결합된다는 기재의 의미는 당해 구성 요소가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접속되거나 결합된다는 의미뿐만 아니라 이들이 그 사이에 개재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타 구성 요소를 통해 접속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는 의미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외에도 구성 요소들 간의 관계를 기술하기 위한 용어들(예컨대, '간에', '사이에' 등)도 유사한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있어서, 도시된 구성 요소들의 배치는 발명이 구현되는 환경 또는 요구 사항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일부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몇몇 구성 요소들이 통합되어 하나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 요소들의 배치 순서 및 연결이 변경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상술한 실시예들은 첨부하는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와 별개로 이해되어져서는 아니 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오직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디스플레이 패널 장치
110: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
112: 데이터 라인
114: 스캔 라인
120: 타이밍 제어기
150, 750: 소스 드라이버 유니트
155, 755: 소스 드라이버
157, 757: 슬루율 제어부
170: 게이트 드라이버 유니트
175: 게이트 드라이버
220: 데이터 래치
240: 디코더
270, 770: 출력 버퍼
273, 773: 전류원
720: 제1 데이터 래치
722: 제2 데이터 래치
740: 제1 디코더
742: 제2 디코더
780: 스위치
IBIAS: 바이어스 값
ΔT: 슬루 시간
TS: 천이 시작 시간

Claims (17)

  1. 디스플레이 패널 용 소스 드라이버 장치로서,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및
    슬루율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의 각각은
    서브픽셀 데이터를 홀드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래치(data latch),
    상기 데이터 래치에 홀드된 서브픽셀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구동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디코더(decoder), 및
    조절 가능한 슬루율(slew rate)을 가지며 상기 구동 신호를 버퍼링하여 출력하도록 구성된 출력 버퍼를 포함하며,
    상기 슬루율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래치들에 홀드되는 상기 서브픽셀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상기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의 각각에서의 상기 출력 버퍼의 슬루율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소스 드라이버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래치들의 각각은 타이밍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수평 주사 구간 마다 새로운 서브 픽셀 데이터를 홀드하며,
    상기 슬루율 제어부는 현재의 수평 주사 구간 용으로 상기 데이터 래치들의 각각에 홀드된 서브픽셀 데이터의 값과 다음 수평 주사 구간 용으로 상기 해당 데이터 래치에 홀드된 서브픽셀 데이터의 값 간의 편차를 산출하고, 상기 편차들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상기 다음 수평 주사 구간에서의 상기 출력 버퍼들의 각각의 슬루율을 제어하도록 더 구성되는, 소스 드라이버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버퍼들의 각각은 상기 해당 출력 버퍼의 슬루율을 조절하기 위한 바이어스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슬루율 제어부는 상기 출력 버퍼들의 각각의 슬루율을 상기 해당 바이어스 입력을 변경함으로써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소스 드라이버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슬루율 제어부는 상기 편차들의 상기 적어도 일부가 클수록 상기 다음 수평 주사 구간에서의 상기 출력 버퍼들의 각각으로의 상기 해당 바이어스 입력을 높임으로써 상기 해당 출력 버퍼의 슬루율이 높아지게 제어하도록 더 구성되는, 소스 드라이버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루율 제어부는 상기 다음 수평 주사 구간에서의 상기 출력 버퍼들의 각각으로의 상기 해당 바이어스 입력을 선정된 값(predetermined value) 이상의 특정 값으로 높이는 경우 현재의 프레임 구간 내의 나머지 수평 주사 구간들에서의 상기 출력 버퍼들의 각각으로의 상기 해당 바이어스 입력을 상기 특정 값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소스 드라이버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래치들의 각각은 타이밍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수평 주사 구간 마다 새로운 서브 픽셀 데이터를 홀드하며,
    상기 슬루율 제어부는 현재의 수평 주사 구간 용으로 상기 데이터 래치들의 각각에 홀드된 서브픽셀 데이터의 값과 다음 수평 주사 구간 용으로 상기 해당 데이터 래치에 홀드된 서브픽셀 데이터의 값 간의 편차를 산출하는 것을 현재의 프레임 구간 동안 반복하고, 상기 편차들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다음 프레임 구간에서의 상기 출력 버퍼들의 각각의 슬루율을 제어하도록 더 구성되는, 소스 드라이버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래치들의 각각은 타이밍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수평 주사 구간 마다 새로운 서브 픽셀 데이터를 홀드하며,
    상기 슬루율 제어부는 현재의 수평 주사 구간 용으로 상기 데이터 래치들의 각각에 홀드된 서브픽셀 데이터의 값이 속하는 제1 구간의 구간 번호와 다음 수평 주사 구간 용으로 상기 해당 데이터 래치에 홀드된 서브픽셀 데이터의 값이 속하는 제2 구간의 구간 번호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제1 구간 번호 및 상기 결정된 제2 구간 번호 간의 편차를 산출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산출된 편차들은 R 서브픽셀 데이터들에 기초하여 산출된 편차들, G 서브픽셀 데이터들에 기초하여 산출된 편차들 및 B 서브픽셀 데이터들에 기초하여 산출된 편차들을 포함하며, 상기 R 서브픽셀 데이터들에 기초하여 산출된 편차들은 제1 R 편차 그룹을 구성하며, 상기 G 서브픽셀 데이터들에 기초하여 산출된 편차들은 제1 G 편차 그룹을 구성하며, 상기 B 서브픽셀 데이터들에 기초하여 산출된 편차들은 제1 B 편차 그룹을 구성하며,
    상기 슬루율 제어부는 상기 제1 R 편차 그룹에 대해 히스토그램 분석을 수행하여 선정된 값 이하의 빈도수를 가진 편차를 제외시켜 제2 R 편차 그룹을 구성하고, 상기 제1 G 편차 그룹에 대해 히스토그램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선정된 값 이하의 빈도수를 가진 편차를 제외시켜 제2 G 편차 그룹을 구성하고, 상기 제1 B 편차 그룹에 대해 히스토그램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선정된 값 이하의 빈도수를 가진 편차를 제외시켜 제2 B 편차 그룹을 구성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슬루율 제어부는 상기 제2 R 편차 그룹, 상기 제2 G 편차 그룹 및 상기 제2 B 편차 그룹의 각각에서 가장 큰 편차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가장 큰 편차들 중에서 최고의 편차를 선택하여 상기 최고의 편차를 이용하여 상기 다음 수평 주사 구간에서의 상기 출력 버퍼들의 각각의 슬루율을 조정하기 위한 바이어스 값(IBIAS)을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소스 드라이버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루율 제어부는 상기 최고의 편차가 클수록 상기 바이어스 값(IBIAS)을 크게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소스 드라이버 장치.
  9. 디스플레이 패널 용 소스 드라이버 장치로서,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 및
    슬루율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의 각각은
    복수의 데이터 래치 - 상기 복수의 데이터 래치의 각각은 서브픽셀 데이터를 홀드하도록 구성됨,
    상기 복수의 데이터 래치에 각각 접속된 복수의 디코더 - 상기 복수의 디코더의 각각은 상기 해당 데이터 래치에 홀드된 서브픽셀 데이터를 디코딩하여 구동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됨 -,
    상기 구동 신호들 중 하나를 번갈아 가며 출력하도록 구성된 스위치, 및
    조절 가능한 슬루율을 가지며 상기 출력된 구동 신호를 버퍼링하여 버퍼링된 구동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출력 버퍼를 포함하며,
    상기 슬루율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에서의 상기 복수의 데이터 래치에 홀드되는 상기 서브픽셀 데이터들을 분석하여 상기 복수의 소스 드라이버의 각각에서의 상기 출력 버퍼의 슬루율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소스 드라이버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래치의 각각은 타이밍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수평 주사 구간 마다 새로운 서브 픽셀 데이터를 홀드하며,
    상기 슬루율 제어부는 현재의 수평 주사 구간에서 다음 수평 주사 구간 용으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래치의 인접 데이터 래치 쌍들의 각각에 홀드된 서브픽셀 데이터들의 값들 간의 편차를 산출하고, 상기 편차들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상기 다음 수평 주사 구간에서의 상기 출력 버퍼들의 각각의 슬루율을 제어하도록 더 구성되는, 소스 드라이버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버퍼들의 각각은 상기 해당 출력 버퍼의 슬루율을 조절하기 위한 바이어스 입력을 수신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슬루율 제어부는 상기 출력 버퍼들의 각각의 슬루율을 상기 해당 바이어스 입력을 변경함으로써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소스 드라이버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슬루율 제어부는 상기 편차들의 적어도 일부가 클수록 상기 다음 수평 주사 구간에서의 상기 출력 버퍼들의 각각으로의 상기 해당 바이어스 입력을 높임으로써 상기 해당 출력 버퍼의 슬루율이 높아지게 제어하도록 더 구성되는, 소스 드라이버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슬루율 제어부는 상기 다음 수평 주사 구간에서의 상기 출력 버퍼들의 각각으로의 상기 해당 바이어스 입력을 선정된 값 이상의 특정 값으로 높이는 경우 현재의 프레임 구간 내의 나머지 수평 주사 구간들에서의 상기 출력 버퍼들의 각각으로의 상기 해당 바이어스 입력을 상기 특정 값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소스 드라이버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래치들의 각각은 타이밍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수평 주사 구간 마다 새로운 서브 픽셀 데이터를 홀드하며,
    상기 슬루율 제어부는 현재의 수평 주사 구간에서 다음 수평 주사 구간 용으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래치의 인접 데이터 래치 쌍들의 각각에 홀드된 서브픽셀 데이터들의 값들 간의 편차를 산출하는 것을 현재의 프레임 구간 동안 반복하고, 상기 편차들의 적어도 일부에 기초하여 다음 프레임 구간에서의 상기 출력 버퍼들의 각각의 슬루율을 제어하도록 더 구성되는, 소스 드라이버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래치의 각각은 타이밍 제어기의 제어에 따라 수평 주사 구간 마다 새로운 서브 픽셀 데이터를 홀드하며,
    상기 슬루율 제어부는 현재의 수평 주사 구간에서 다음 수평 주사 구간 용으로 상기 복수의 데이터 래치의 인접 데이터 래치 쌍들의 각각에 홀드된 서브픽셀 데이터들의 값들이 속하는 구간들의 구간 번호들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구간 번호들 간의 편차를 산출하도록 더 구성되며,
    상기 산출된 편차들은 R 서브픽셀 데이터와 G 서브픽셀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된 편차들 및 B 서브픽셀 데이터와 G' 서브픽셀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된 편차들을 포함하며, 상기 R 서브픽셀 데이터와 상기 G 서브픽셀 데이터에 기초하여 산출된 편차들은 제1 R/G 편차 그룹을 구성하며, 상기 B 서브픽셀 데이터와 상기 G' 서브픽셀 데이터들에 기초하여 산출된 편차들은 제1 B/G' 편차 그룹을 구성하며,
    상기 슬루율 제어부는 상기 제1 R/G 편차 그룹에 대해 히스토그램 분석을 수행하여 선정된 값 이하의 빈도수를 가진 편차를 제외시켜 제2 R/G 편차 그룹을 구성하고, 상기 제1 B/G' 편차 그룹에 대해 히스토그램 분석을 수행하여 상기 선정된 값 이하의 빈도수를 가진 편차를 제외시켜 제2 B/G' 편차 그룹을 구성하며,
    상기 슬루율 제어부는 상기 제2 R/G 편차 그룹 및 상기 제2 B/G' 편차 그룹의 각각에서 가장 큰 편차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가장 큰 편차들 중에서 최고의 편차를 선택하여 상기 최고의 편차를 이용하여 상기 다음 수평 주사 구간에서의 상기 출력 버퍼들의 각각의 슬루율을 조정하기 위한 바이어스 값(IBIAS)을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소스 드라이버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슬루율 제어부는 상기 최고의 편차가 클수록 상기 바이어스 값(IBIAS)을 크게 결정하도록 더 구성되는, 소스 드라이버 장치.
  17. 디스플레이 패널 용 소스 드라이버들에서의 출력 버퍼들의 슬루율(slew rate)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로서,
    상기 소스 드라이버들로 순차로 입력되는 영상 데이터를 분석하도록 구성된 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데이터 분석부에서의 분석에 따라 상기 소스 드라이버들의 각각에서의 상기 출력 버퍼의 슬루율을 적응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 슬루율 제어부를 포함하는 출력 버퍼 슬루율 제어 장치.
KR1020170040258A 2017-03-29 2017-03-29 디스플레이 패널 용 소스 드라이버 유니트 KR102199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258A KR102199149B1 (ko) 2017-03-29 2017-03-29 디스플레이 패널 용 소스 드라이버 유니트
US15/891,621 US10614749B2 (en) 2017-03-29 2018-02-08 Source driver unit for a display panel
TW107106933A TWI750338B (zh) 2017-03-29 2018-03-02 用於顯示器面板之源極驅動器單元
CN201810257599.5A CN108694902B (zh) 2017-03-29 2018-03-27 用于显示面板的源极驱动器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0258A KR102199149B1 (ko) 2017-03-29 2017-03-29 디스플레이 패널 용 소스 드라이버 유니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0714A true KR20180110714A (ko) 2018-10-11
KR102199149B1 KR102199149B1 (ko) 2021-01-07

Family

ID=63671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0258A KR102199149B1 (ko) 2017-03-29 2017-03-29 디스플레이 패널 용 소스 드라이버 유니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614749B2 (ko)
KR (1) KR102199149B1 (ko)
CN (1) CN108694902B (ko)
TW (1) TWI75033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6469A (ko) * 2018-02-08 2019-08-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일반 모드 및 가변 프레임 모드를 지원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표시 장치
WO2021029622A1 (ko) * 2019-08-09 2021-02-18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바이어스 전류를 제어하는 소스드라이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3145B1 (ko) * 2017-06-09 2021-08-26 삼성전자주식회사 소스 구동기 및 타이밍 제어기를 포함하는 표시 구동 장치 및 표시 구동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563847B1 (ko) * 2018-07-19 2023-08-04 주식회사 엘엑스세미콘 소스 드라이버 집적 회로와 그 제조방법 및 그를 포함한 표시장치
TW202034301A (zh) * 2019-03-12 2020-09-16 瑞鼎科技股份有限公司 顯示面板的驅動電路
KR20210018151A (ko) * 2019-08-09 2021-02-17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바이어스 전류를 제어하는 소스드라이버
US11475841B2 (en) 2019-08-22 2022-10-18 Apple Inc. Display circuitry including selectively-activated slew booster
KR20220093787A (ko) * 2020-12-28 2022-07-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저전력 구동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JP2023010154A (ja) * 2021-07-09 2023-01-20 ラピステクノロジー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データドライバ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4919A (ja) * 2009-01-19 2010-07-29 Renesas Electronics Corp 表示装置及びドライバ
KR20150055253A (ko) * 2013-11-13 2015-05-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60019598A (ko) * 2014-08-11 2016-0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60037010A (ko) * 2014-09-26 2016-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및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US20160275897A1 (en) * 2015-03-17 2016-09-22 Apple Inc. Content-driven slew rate control for display driver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6254B1 (ko) * 2002-08-20 2005-05-03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를 저 전력으로 구동하는 회로 및 그 방법
JP2006243759A (ja) * 2006-06-02 2006-09-14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の駆動回路、データ線駆動回路、走査線駆動回路、電気光学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0817302B1 (ko) * 2007-04-24 2008-03-27 삼성전자주식회사 데이터 드라이버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20100077325A (ko) * 2008-12-29 2010-07-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바이어스 제어 회로, 소스 드라이버 및 액정 디스플레이 장치
US8717349B2 (en) * 2009-08-28 2014-05-06 Himax Technologies Limited Source driver
KR20120079321A (ko) * 2011-01-04 2012-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구동회로,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구동회로의 동작방법
KR20130049619A (ko) * 2011-11-04 2013-05-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TWI453725B (zh) * 2012-04-27 2014-09-21 Raydium Semiconductor Corp 驅動裝置、驅動裝置運作方法及自我判斷電壓轉換速率增強放大器
KR20130128933A (ko) * 2012-05-18 2013-11-27 삼성전자주식회사 소스 드라이버
CN105321479B (zh) * 2014-07-21 2018-08-24 联咏科技股份有限公司 源极驱动器、显示驱动电路及显示装置
KR20170005291A (ko) * 2015-07-02 2017-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슬루 슬로프를 제어하는 출력 버퍼 회로 및 그것을 포함하는 소스 드라이버 및 그것의 소스 구동 신호 생성 방법
KR102656686B1 (ko) * 2016-11-21 2024-04-1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평판 패널 표시 장치의 데이터 구동 회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64919A (ja) * 2009-01-19 2010-07-29 Renesas Electronics Corp 表示装置及びドライバ
KR20150055253A (ko) * 2013-11-13 2015-05-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20160019598A (ko) * 2014-08-11 2016-02-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60037010A (ko) * 2014-09-26 2016-04-05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 및 디스플레이 구동 방법
US20160275897A1 (en) * 2015-03-17 2016-09-22 Apple Inc. Content-driven slew rate control for display driver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6469A (ko) * 2018-02-08 2019-08-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일반 모드 및 가변 프레임 모드를 지원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및 표시 장치
WO2021029622A1 (ko) * 2019-08-09 2021-02-18 주식회사 실리콘웍스 바이어스 전류를 제어하는 소스드라이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50338B (zh) 2021-12-21
KR102199149B1 (ko) 2021-01-07
US10614749B2 (en) 2020-04-07
CN108694902A (zh) 2018-10-23
US20180286305A1 (en) 2018-10-04
CN108694902B (zh) 2023-06-13
TW201903739A (zh) 2019-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9149B1 (ko) 디스플레이 패널 용 소스 드라이버 유니트
JP6665228B2 (ja) 表示装置の駆動方法
JP5307527B2 (ja) 表示装置、表示パネルドライバ、及びバックライト駆動方法
US8026934B2 (en) Driving control apparatus of display apparatus, display method, display apparatus, display monitor, and television receiver
JP4679066B2 (ja) 表示装置及び駆動方法
KR102116554B1 (ko) 표시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665899B1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1589863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방법
KR102148484B1 (ko) Oled 표시 장치 및 그의 구동 방법
US20060087521A1 (en) Dynamic gamma correction circuit, operation method thereof and panel display device
KR101337120B1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구동방법
WO2007026551A1 (ja) 表示装置、表示方法、表示モニター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US10475411B2 (en) Display apparatus having increased side-visibility in a high grayscale range and a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102238496B1 (ko)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표시 장치
JP2004240410A (ja) 液晶表示装置
JP2008533519A (ja) バックライト式lcd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その駆動方法
CN112216239A (zh) 源极驱动器和显示装置
US8390651B2 (en) Driving method and driving apparatus for displaying apparatus
KR101386569B1 (ko) 액정표시장치의 응답속도 개선 장치 및 방법
US20090010339A1 (en) Image compensation circuit, method thereof, and lcd device using the same
WO2006134853A1 (ja) 表示装置及びその駆動制御装置、並びに走査信号線駆動方法及び駆動回路
KR101217512B1 (ko) 액정표시장치의 구동회로 및 이의 구동방법
KR20230050252A (ko) 상이한 픽셀 레이아웃을 갖는 다수의 영역들을 갖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위한 오버슈트 구동 기법
KR20070062835A (ko) 액정 표시 장치의 데이터 처리 방법 및 장치
KR20170038335A (ko) 감마전압 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