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9570A - 골프공 세척 장치 - Google Patents

골프공 세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9570A
KR20180109570A KR1020170039476A KR20170039476A KR20180109570A KR 20180109570 A KR20180109570 A KR 20180109570A KR 1020170039476 A KR1020170039476 A KR 1020170039476A KR 20170039476 A KR20170039476 A KR 20170039476A KR 20180109570 A KR20180109570 A KR 201801095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olf ball
accommodation space
cleaning
rail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94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35017B1 (ko
Inventor
조완제
Original Assignee
조완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완제 filed Critical 조완제
Priority to KR102017003947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5017B1/ko
Publication of KR201801095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95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50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50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4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for cleaning b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3/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r presence of liquid or steam
    • B08B3/04Cleaning involving contact with liqu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프공에 잔류하는 이물질들을 제거하여 골프공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게 하는 골프공 세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세척액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제 1 수용 공간 및 제 2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의 상기 세척액 내부로 투입된 골프공을 상기 제 1 수용 공간에서 상기 제 2 수용 공간으로 이송시키면서 상기 골프공에 잔류하는 이물질들을 1차 제거하는 제 1 골프공 세척부; 및 상기 제 2 수용 공간으로 유도된 상기 골프공을 상기 제 2 수용 공간에서 상기 세척조의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상기 골프공에 잔류하는 이물질들을 2차 제거하는 제 2 골프공 세척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골프공 세척 장치{Cleaning apparatus for golf balls}
본 발명은 골프공 세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골프공에 잔류하는 이물질들을 제거하여 골프공을 깨끗하게 세척할 수 있게 하는 골프공 세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골프공이 대량으로 사용되는 실외 또는 실내 골프장이나 골프 연습장 등에서 수거된 골프공들은 각종 풀잎이나 먼지나 토사나 수액 등 각종 이물질로 인하여 오염될 수 있다.
이러한 골프공들을 세척하는 방법으로는 인력에 의한 세척 방법과 별도의 세척기를 사용하는 세척 방법이 있는 데, 인력에 의해 골프공을 세척하는 방법은 다수의 작업자들이 세척솔 등으로 일일이 골프공을 세척해야 하기 때문에 시간과 비용이 낭비될 뿐만이 아니라 장시간의 작업으로 인하여 작업자의 작업 능률이 현저하게 저하되는 등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한편, 별도의 세척기를 사용하여 골프공을 세척하는 방법은 대량의 골프공을 신속하게 세척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으나, 골프공이 충분히 세척되지 못했었던 문제점들이 있었다.
또한, 충분한 세척을 위해 브러쉬 등을 사용하는 경우, 골프공에 상처가 나서 상품성이나 성능이 떨어질 수 있고, 브러쉬에 많은 이물질들이 끼여서 오히려 골프공을 더욱 손상시키는 등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골프공 세척기는 예컨대, 부분 파손된 골프공이나 돌맹이 등의 선별이 정확하지 못하여 이물질의 제거율을 향상시키는 것에 한계가 있고, 이로 인하여 장치의 신뢰도와 성능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들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골프공 세척기는 내부에서 골프공이 배출되지 못하고 정체된 정체 구간이 발생되어 오동작이 발생되는 등 많은 문제점들이 있었다.
본 발명의 사상은, 이러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구분된 수용 공간에서 골프공을 다수회 순환시켜서 잔기스로부터 골프공을 보호하는 동시에 이물질에 대한 충분한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부분 파손된 골프공이나 돌맹이를 정확하게 분리하여 이물질의 제거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장치의 신뢰도와 성능을 향상시키며, 정체 구역을 방지하여 골프공의 원활한 순환이 가능하고, 각종 오동작이나 고장을 방지할 수 있게 하는 골프공 세척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골프공 세척 장치는, 세척액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제 1 수용 공간이 형성되거나 또는 제 1 수용 공간 및 제 2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의 상기 세척액 내부로 투입된 골프공을 상기 제 1 수용 공간 내에서 또는 상기 제 1 수용 공간에서 상기 제 2 수용 공간으로 이송시키면서 상기 골프공에 잔류하는 이물질들을 1차 제거하는 제 1 골프공 세척부; 및 상기 제 1 수용 공간 내부에서 또는 상기 제 2 수용 공간으로 유도된 상기 골프공을 상기 세척조의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상기 골프공에 잔류하는 이물질들을 2차 제거하는 제 2 골프공 세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세척 장치는, 상기 세척조에 설치되고, 상기 세척액 내부로 투입된 상기 골프공을 상기 제 1 수용 공간의 제 1 위치 방향 또는 상기 제 2 수용 공간의 제 2 위치 방향으로 유도하는 경사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경사 패널은, 제 1 경사면을 갖는 제 1 패널; 및 상기 제 1 경사면을 따라 낙하되는 이물질들은 이물질 수용 공간으로 수거되고, 상기 제 1 경사면을 따라 낙하되는 상기 골프공은 상기 제 1 수용 공간의 제 1 위치 방향 또는 상기 제 2 수용 공간의 제 2 위치로 유도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패널과 제 1 이격 거리만큼 이격되고 제 1 단차만큼 단차지게 틈새를 사이에 두고 설치되는 제 2 경사면을 갖는 제 2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세척조는, 상기 경사 패널 상에 상기 제 1 수용 공간과 상기 제 2 수용 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 패널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물질 수용 공간의 바닥면에 이물질을 외부로 선택적으로 배출시키는 개폐 밸브가 설치된 이물질 배출관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1 골프공 세척부는, 상기 제 2 패널의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위치에 상기 세척액을 고압으로 토출시키는 제 1 펌프; 상기 제 1 위치로 유도된 상기 골프공을 고압의 상기 세척액과 함께 상방으로 이송하는 제 1 골프공 이송관; 상기 제 1 골프공 이송관의 배출구로 배출되는 상기 세척액은 낙하시키고, 상기 골프공은 걸려내서 이송시키는 제 1 레일; 및 상기 제 1 레일에 의해 이송된 상기 골프공을 상기 제 2 수용 공간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2 수용 공간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골프공 전달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골프공 세척부는, 상기 제 2 패널의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위치에 상기 세척액을 고압으로 토출시키는 제 2 펌프; 상기 제 2 위치로 유도된 상기 골프공을 고압의 상기 세척액과 함께 상방으로 이송하는 제 2 골프공 이송관; 및 상기 제 2 골프공 이송관의 배출구로 배출되는 상기 세척액은 낙하시키고, 상기 골프공은 걸려내서 상기 세척조의 외부로 이송시키는 제 2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 1 레일 또는 상기 제 2 레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일봉으로 이루어지는 상단 레일;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일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단 레일을 따라 이송된 상기 골프공과 함께 배출되는 이물질은 낙하시키고, 상기 골프공만 받아서 계속 이송할 수 있도록 상기 상단 레일과 제 2 단차만큼 단차지게 설치되는 하단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세척 장치는, 상기 제 1 레일 또는 상기 제 2 레일의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세척조 내부의 상기 세척액의 흐름을 순환시켜서 상기 경사 패널을 따라 낙하되는 상기 골프공의 유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세척액을 상기 제 1 패널의 높은 부분을 향하여 낙하되도록 유도하는 세척액 순환 유도 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골프공 세척 장치는, 상기 세척액 순환 유도 덕트로 낙하되는 상기 골프공을 상기 골프공 전달 패널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세척액 순환 유도 덕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덕트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르면, 구분된 수용 공간에서 골프공을 다수회 순환시켜서 잔기스로부터 골프공을 보호하는 동시에 이물질에 대한 충분한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부분 파손된 골프공이나 돌맹이를 정확하게 분리하여 이물질의 제거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장치의 신뢰도와 성능을 향상시키며, 정체 구역을 방지하여 골프공의 원활한 순환이 가능하고, 각종 오동작이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골프공 세척 장치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골프공 세척 장치의 투명 커버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골프공 세척 장치의 세척액 순환 유도 덕트 및 덕트 커버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골프공 세척 장치의 골프공 전달 패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골프공 세척 장치의 경사 패널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골프공 세척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골프공 세척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골프공 세척 장치의 정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tolerance)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골프공 세척 장치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골프공 세척 장치(100)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2는 도 1의 골프공 세척 장치(100)의 투명 커버(GC)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먼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골프공 세척 장치(100)는, 크게 세척조(10)와, 제 1 골프공 세척부(20) 및 제 2 골프공 세척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조(10)는 세척수 등의 세척액(1)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상방이 개방된 제 1 수용 공간(A1) 및 역시 상방이 개방된 제 2 수용 공간(A2)이 형성되는 일종의 욕조형 구조체일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세척조(10)는 상기 세척액(1)을 수용할 수 있고, 상기 제 1 골프공 세척부(20) 및 상기 제 2 골프공 세척부(30)를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강도 및 내구성을 갖는 각종 수직 부재와, 수평 부재 및 각종 패널들로 이루어지는 밀봉된 금속이나 수지물 프레임 또는 금속이나 수지물의 조립 구조물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상기 세척조(10)의 상기 제 1 수용 공간(A1)과 상기 제 2 수용 공간(A2)은 그 사이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는 칸막이 패널(50)에 의해서 구획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칸막이 패널(50)은 상기 제 1 수용 공간(A1)과 상기 제 2 수용 공간(A2)을 서로 분리시켜서 골프공(B)이 상기 제 1 수용 공간(A1)과 상기 제 2 수용 공간(A2)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하지 못하게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기 칸막이 패널(50)은 상기 제 1 수용 공간(A1)과 상기 제 2 수용 공간(A2) 사이에서 상기 세척액(1)의 이동까지 반드시 억제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상기 칸막이 패널(50)은 상기 세척조(10)의 내부에 상기 제 1 수용 공간(A1)과 상기 제 2 수용 공간(A2) 사이의 상기 골프공(B)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예컨대, 끼움 방식으로 착탈 가능하게 조립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반드시 국한되지 않고, 상기 칸막이 패널(50)은 상기 제 1 수용 공간(A1)과 상기 제 2 수용 공간(A2) 사이의 상기 세척액(1)의 이동까지 완전히 차단될 수 있도록 밀봉되게 설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칸막이 패널(50)은 후술될 경사 패널(40) 상에 상기 제 1 수용 공간(A1)과 상기 제 2 수용 공간(A2)을 구획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반드시 국한되지 않고, 예컨대, 상기 제 1 수용 공간(A1)과 상기 제 2 수용 공간(A2)이 하나로 서로 통합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예컨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골프공 세척 장치(100)는, 2차에 걸쳐서 이물질들을 제거할 수 있는 것으로서, 상기 골프공(B)에 잔류하는 이물질들을 1차 제거하는 제 1 골프공 세척부(20) 및 상기 골프공(B)에 잔류하는 이물질들을 2차 제거하는 제 2 골프공 세척부(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골프공 세척부(20)는, 상기 세척조(10)의 상기 세척액(1) 내부로 투입된 골프공(B)을 상기 제 1 수용 공간(A1)에서 상기 제 2 수용 공간(A2)으로 이송시키면서 상기 골프공(B)에 잔류하는 이물질들을 1차 제거하는 부분일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골프공 세척부(30)는, 상기 제 2 수용 공간(A2)으로 유도된 상기 골프공(B)을 상기 제 2 수용 공간(A2)에서 상기 세척조(10)의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상기 골프공(B)에 잔류하는 이물질들을 2차 제거하는 부분일 수 있다.
따라서, 실내 또는 실외 골프장이나 골프 연습장 등에서 수거된 대량의 상기 골프공(B)들은 먼저, 상기 세척액(1)들이 수용된 상기 세척조(10)의 상기 제 1 수용 공간(A1)에 투입되어 1차로 세척될 수 있고, 이어서, 상기 제 2 수용 공간(A2)으로 이송되어 상기 제 2 수용 공간(A2)에서 2차로 더욱 깨끗하게 세척되어 상기 세척조(10)의 외부로 자동 배출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골프공 세척 장치(100)의 세척액 순환 유도 덕트(70) 및 덕트 커버(8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1의 골프공 세척 장치(100)의 골프공 전달 패널(22)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1의 골프공 세척 장치(100)의 경사 패널(4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골프공 세척 장치(100)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골프공 세척 장치(100)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골프공 세척 장치(100)의 정면도이다.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골프공 세척 장치(100)는, 상기 세척조(10)에 설치되어 상기 세척액(1) 내부로 투입된 상기 골프공(B)을 상기 제 1 수용 공간(A1)의 제 1 위치 방향 또는 상기 제 2 수용 공간(A2)의 제 2 위치 방향으로 유도하는 경사 패널(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5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경사 패널(40)은, 제 1 경사면(F1)을 갖는 제 1 패널(41) 및 상기 제 1 경사면(F1)을 따라 낙하되는 이물질들은 이물질 수용 공간(A3)으로 수거되고, 상기 제 1 경사면(F1)을 따라 낙하되는 상기 골프공(B)은 상기 제 1 수용 공간(A1)의 제 1 위치 방향 또는 상기 제 2 수용 공간(A2)의 제 2 위치로 유도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패널(41)과 상기 골프공(B)의 직경 보다 작은 거리인 제 1 이격 거리(L1)만큼 이격되고 제 1 단차(D1)만큼 단차지게 틈새(S)를 사이에 두고 설치되는 제 2 경사면(F2)을 갖는 제 2 패널(4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도 6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물질 수용 공간(A3)의 바닥면에 이물질을 외부로 선택적으로 배출시키는 개폐 밸브(V)가 설치된 이물질 배출관(60)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물질 수용 공간(A3)에 수용된 상기 세척액(1)들 중에서 비교적 깨끗한 상기 세척액(1)을 상기 제 1 펌프(P1) 및 제 2 펌프(P2)가 펌핑할 수 있도록 상기 제 2 패널(42)의 하방에는 복수개의 천공구(H3)가 형성된 천공판(HP)이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경사면(F1)을 따라 낙하되는 이물질들은 상기 틈새(S) 사이로 낙하되거나 틈새에 걸리게 되며, 낙하된 상기 이물질이 상기 이물질 수용 공간(A3)으로 수거되어 일정량이 누적되면 상기 이물질 배출관(60)을 이용하여 배출시킬 수 있는 반면, 틈새에 걸린 이물질은 더 이상 순환이 되지 않게 하여 청소 및 수거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패널(41)의 상기 제 1 경사면(F1)을 따라 낙하되는 상기 골프공(B)은 낙하되는 속도에 따라 상기 틈새(S)를 뛰어 넘어서 상기 제 2 패널(42)에 의해서 상기 제 1 위치 또는 상기 제 2 위치로 유도될 수 있다.
한편, 예컨대,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골프공 세척부(20)는, 상기 제 2 패널(42)의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위치에 상기 세척액(1)을 고압으로 토출시키는 제 1 펌프(P1)와, 상기 제 1 위치로 유도된 상기 골프공(B)을 고압의 상기 세척액(1)과 함께 상방으로 이송하는 제 1 골프공 이송관(21)과, 상기 제 1 골프공 이송관(21)의 배출구(H1)로 배출되는 상기 세척액(1)은 낙하시키고, 상기 골프공(B)은 걸려내서 이송시키는 제 1 레일(R1) 및 상기 제 1 레일(R1)에 의해 이송된 상기 골프공(B)을 상기 제 2 수용 공간(A2)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2 수용 공간(A2)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골프공 전달 패널(2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골프공 세척 장치(100)의 상기 제 1 골프공 세척부(20)의 세척 과정을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수용 공간(A1)의 상기 세척액(1) 속에 투입된 상기 골프공(B)들은 상기 세척액(1) 속에서 1차로 낙하되어 상기 제 1 경사면(F1)을 따라 낙하되는 이물질들은 상기 틈새(S) 사이로 낙하되거나 틈새에 걸리게 되며, 낙하된 상기 이물질이 상기 이물질 수용 공간(A3)으로 수거되고, 반면에 틈새에 걸린 이물질은 더 이상 순환이 되지 않게 하여 청소 및 수거를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패널(41)의 상기 제 1 경사면(F1)을 따라 낙하되는 상기 골프공(B)은 낙하되는 속도에 따라 상기 틈새(S)를 뛰어 넘어서 상기 제 2 패널(42)에 의해서 상기 제 1 위치로 유도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 1 펌프(P1)에 의해서 고압으로 토출되는 상기 세척액(1)에 의해 상기 골프공(B)은 고압의 상기 세척액(1)과 함께 상기 제 1 골프공 이송관(21)을 따라 상방으로 이송될 수 있고, 상기 제 1 골프공 이송관(21)의 상기 배출구(H1)로 배출되는 상기 골프공(B)은 상기 제 1 레일(R1)을 통해 이송되다가 상기 골프공 전달 패널(22)로 낙하되어 경사진 상기 골프공 전달 패널(22)에 의해 상기 제 2 수용 공간(A2)으로 이송될 수 있다.
한편, 예컨대,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골프공 세척부(30)는, 상기 제 2 패널(42)의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위치에 상기 세척액(1)을 고압으로 토출시키는 제 2 펌프(P2)와, 상기 제 2 위치로 유도된 상기 골프공(B)을 고압의 상기 세척액(1)과 함께 상방으로 이송하는 제 2 골프공 이송관(31) 및 상기 제 2 골프공 이송관(31)의 배출구(H2)로 배출되는 상기 세척액(1)은 낙하시키고, 상기 골프공(B)은 걸려내서 상기 세척조(10)의 외부로 이송시키는 제 2 레일(R2)을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액(1)은 하방으로 낙하되고, 상기 골프공(B)만 1차로 걸려내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1 레일(R1)은 적어도 하나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골프공(B)이 유도되어 굴러서 내려갈 수 있도록 2개의 레일봉으로 이루어지는 한쌍 이상의 레일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레일(R1)은 대량의 상기 골프공(B)들을 처리하기 위해서 가운데 분리 레일(SR)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각각 한쌍씩 총 2쌍의 레일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세척액(1)은 하방으로 낙하되고, 상기 골프공(B)만 2차로 걸려내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2 레일(R2)은 적어도 하나 이상,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골프공(B)이 유도되어 굴러서 내려갈 수 있도록 2개의 레일봉으로 이루어지는 한쌍 이상의 레일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레일(R1) 역시, 대량의 상기 골프공(B)들을 처리하기 위해서 가운데 분리 레일(SR)을 기준으로 좌우측에 각각 한쌍씩 총 2쌍의 레일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도 1과,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 2 레일(R2)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일봉으로 이루어지는 상단 레일(HR)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일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단 레일(HR)을 따라 이송된 상기 골프공(B)과 함께 배출되는 이물질은 낙하시키고, 상기 골프공(B)만 받아서 계속 이송할 수 있도록 상기 상단 레일(HR)과 제 2 단차(D2)만큼 단차지게 설치되는 하단 레일(LR)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골프공 세척 장치(100)의 상기 제 2 골프공 세척부(30)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된 상기 골프공 전달 패널(22)에 의해서 상기 제 2 수용 공간(A2)의 상기 세척액(1) 속에 투입된 상기 골프공(B)들은 2차로 상기 세척액(1) 속에서 낙하되어 상기 제 1 경사면(F1)을 따라 낙하되는 이물질들은 상기 틈새(S) 사이로 낙하되어 상기 이물질 수용 공간(A3)으로 수거되고, 반면에 상기 제 1 패널(41)의 상기 제 1 경사면(F1)을 따라 낙하되는 상기 골프공(B)은 낙하되는 속도에 따라 상기 틈새(S)를 뛰어 넘어서 상기 제 2 패널(42)에 의해서 상기 제 2 위치로 유도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제 2 펌프(P2)에 의해서 고압으로 토출되는 상기 세척액(1)에 의해 상기 골프공(B)은 고압의 상기 세척액(1)과 함께 상기 제 2 골프공 이송관(31)을 따라 상방으로 이송될 수 있고, 상기 제 2 골프공 이송관(31)의 상기 배출구(H2)로 배출되는 상기 골프공(B)은 상기 제 2 레일(R2)을 통해 이송되다가 상기 상단 레일(HR)에서 상기 하단 레일(LR)로 이송되는 도중, 단차를 거치면서 마지막으로 상기 골프공(B)에 잔류하는 이물질은 낙하시키고, 2차에 걸쳐서 깨끗하게 세척된 상기 골프공(B)을 자동으로 배출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골프공 세척 장치(100)는, 상기 제 1 레일(R1) 또는 상기 제 2 레일(R2)의 하방에 설치되어 상기 세척조(10) 내부의 상기 세척액(1)의 흐름을 순환시켜서 상기 경사 패널(40)을 따라 낙하되는 상기 골프공(B)의 유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세척액(1)을 상기 경사 패널(40)의 높은 부분을 향하여 낙하되도록 유도하는 세척액 순환 유도 덕트(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세척액 순환 유도 덕트(70)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수용 공간(A1) 및 상기 제 2 수용 공간(A2) 각각의 상기 세척액(1)의 흐름이 상기 경사 패널(40)의 상기 제 1 패널(41)에서 상기 제 2 패널(42) 방향으로 흐르도록 하여 상기 골프공(B)들의 정체 구간을 방지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상기 골프공(B)들의 순환 및 유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골프공 세척 장치(100)는, 상기 세척액 순환 유도 덕트(70)로 낙하되는 상기 골프공(B)을 상기 골프공 전달 패널(22)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세척액 순환 유도 덕트(70)의 상부에 설치되는 덕트 커버(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레일(R1)로부터 낙하되는 상기 골프공(B)들이 상기 덕트 커버(80)와 충돌되어 상기 골프공 전달 패널(22)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고, 상기 제 1 레일(R1)들의 하방으로 낙하되는 상기 세척액(1)들만 상기 세척액 순환 유도 덕트(70)를 통해서 유도되어 상기 세척액(1)의 순환 및 유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구분된 수용 공간에서 골프공을 2차에 걸쳐서 순환시킴으로써 잔기스로부터 골프공을 보호하는 동시에 이물질에 대한 충분한 세척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하고, 부분 파손된 골프공이나 돌맹이를 정확하게 분리하여 이물질의 제거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서 장치의 신뢰도와 성능을 향상시키며, 정체 구역을 방지하여 골프공의 원활한 순환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각종 오동작이나 고장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세척액
B: 골프공
A1: 제 1 수용 공간
A2: 제 2 수용 공간
10: 세척조
20: 제 1 골프공 세척부
30: 제 2 골프공 세척부
40: 경사 패널
41: 제 1 패널
42: 제 2 패널
50: 칸막이 패널
60: 이물질 배출관
P1: 제 1 펌프
P2: 제 2 펌프
21: 제 1 골프공 이송관
31: 제 2 골프공 이송관
22: 골프공 전달 패널
R1: 제 1 레일
R2: 제 2 레일
HR: 상단 레일
LR: 하단 레일
SR: 분리 레일
70: 세척액 순환 유도 덕트
80: 덕트 커버
100: 골프공 세척 장치

Claims (7)

  1. 세척액을 수용할 수 있도록 내부에 제 1 수용 공간이 형성되거나 또는 제 1 수용 공간 및 제 2 수용 공간이 형성되는 세척조;
    상기 세척조의 상기 세척액 내부로 투입된 골프공을 상기 제 1 수용 공간 내에서 또는 상기 제 1 수용 공간에서 상기 제 2 수용 공간으로 이송시키면서 상기 골프공에 잔류하는 이물질들을 1차 제거하는 제 1 골프공 세척부; 및
    상기 제 1 수용 공간 내부에서 또는 상기 제 2 수용 공간으로 유도된 상기 골프공을 상기 세척조의 외부로 배출시키면서 상기 골프공에 잔류하는 이물질들을 2차 제거하는 제 2 골프공 세척부;
    를 포함하는, 골프공 세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조에 설치되고, 상기 세척액 내부로 투입된 상기 골프공을 상기 제 1 수용 공간의 제 1 위치 방향 또는 상기 제 2 수용 공간의 제 2 위치 방향으로 유도하는 경사 패널;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경사 패널은,
    제 1 경사면을 갖는 제 1 패널; 및
    상기 제 1 경사면을 따라 낙하되는 이물질들은 이물질 수용 공간으로 수거되고, 상기 제 1 경사면을 따라 낙하되는 상기 골프공은 상기 제 1 수용 공간의 제 1 위치 방향 또는 상기 제 2 수용 공간의 제 2 위치로 유도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패널과 제 1 이격 거리만큼 이격되고 제 1 단차만큼 단차지게 틈새를 사이에 두고 설치되는 제 2 경사면을 갖는 제 2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세척조는, 상기 경사 패널 상에 상기 제 1 수용 공간과 상기 제 2 수용 공간을 구획하는 칸막이 패널이 설치되는, 골프공 세척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수용 공간의 바닥면에 이물질을 외부로 선택적으로 배출시키는 개폐 밸브가 설치된 이물질 배출관이 설치되는, 골프공 세척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골프공 세척부는,
    상기 제 2 패널의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 1 위치에 상기 세척액을 고압으로 토출시키는 제 1 펌프;
    상기 제 1 위치로 유도된 상기 골프공을 고압의 상기 세척액과 함께 상방으로 이송하는 제 1 골프공 이송관;
    상기 제 1 골프공 이송관의 배출구로 배출되는 상기 세척액은 낙하시키고, 상기 골프공은 걸려내서 이송시키는 제 1 레일; 및
    상기 제 1 레일에 의해 이송된 상기 골프공을 상기 제 2 수용 공간으로 이송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2 수용 공간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골프공 전달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골프공 세척부는,
    상기 제 2 패널의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위치에 상기 세척액을 고압으로 토출시키는 제 2 펌프;
    상기 제 2 위치로 유도된 상기 골프공을 고압의 상기 세척액과 함께 상방으로 이송하는 제 2 골프공 이송관; 및
    상기 제 2 골프공 이송관의 배출구로 배출되는 상기 세척액은 낙하시키고, 상기 골프공은 걸려내서 상기 세척조의 외부로 이송시키는 제 2 레일;을 포함하는, 골프공 세척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일 또는 상기 제 2 레일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일봉으로 이루어지는 상단 레일;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레일봉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상단 레일을 따라 이송된 상기 골프공과 함께 배출되는 이물질은 낙하시키고, 상기 골프공만 받아서 계속 이송할 수 있도록 상기 상단 레일과 제 2 단차만큼 단차지게 설치되는 하단 레일;
    을 포함하는, 골프공 세척 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레일 또는 상기 제 2 레일의 하방에 설치되고, 상기 세척조 내부의 상기 세척액의 흐름을 순환시켜서 상기 경사 패널을 따라 낙하되는 상기 골프공의 유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상기 세척액을 상기 제 1 패널의 높은 부분을 향하여 낙하되도록 유도하는 세척액 순환 유도 덕트;
    를 더 포함하는, 골프공 세척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액 순환 유도 덕트로 낙하되는 상기 골프공을 상기 골프공 전달 패널 방향으로 유도할 수 있도록 상기 세척액 순환 유도 덕트의 상부에 설치되는 덕트 커버;
    를 더 포함하는, 골프공 세척 장치.
KR1020170039476A 2017-03-28 2017-03-28 골프공 세척 장치 KR1019350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476A KR101935017B1 (ko) 2017-03-28 2017-03-28 골프공 세척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9476A KR101935017B1 (ko) 2017-03-28 2017-03-28 골프공 세척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9570A true KR20180109570A (ko) 2018-10-08
KR101935017B1 KR101935017B1 (ko) 2019-01-03

Family

ID=63864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9476A KR101935017B1 (ko) 2017-03-28 2017-03-28 골프공 세척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50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70906A (zh) * 2020-07-21 2020-11-03 李文坤 一种体育器械清洗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3257B1 (ko) * 2021-03-22 2022-09-16 (주)엑스페라 골프공 탈피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8602503A (nl) 1986-10-03 1988-05-02 Moons Wilhelmus Antonius Inrichting voor het automatisch reinigen en afgeven van golfballen.
US5139577A (en) 1990-05-11 1992-08-18 Brock James R High capacity golf ball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US5228168A (en) 1991-06-19 1993-07-20 Hollrock Engineering, Inc. Golf ball handling system
JP2570024Y2 (ja) * 1992-08-13 1998-04-28 謙一 古屋野 ゴルフボール洗浄装置
US5373597A (en) 1993-11-08 1994-12-20 Intertech Corporation Apparatus for cleaning spherical objects and the like
JP2669606B2 (ja) 1995-05-11 1997-10-29 アイ・ディ株式会社 ゴルフボール洗浄装置
US5711330A (en) 1995-08-11 1998-01-27 S.G.D. Co., Inc. Golf ball washer with integral agitator
KR200269825Y1 (ko) 2001-12-28 2002-03-23 박순종 골프공 세척기
KR100953513B1 (ko) 2009-12-18 2010-04-21 (주)다성테크놀로지 골프공 세척기
KR101254916B1 (ko) 2012-06-25 2013-04-23 이상원 골프공 세척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70906A (zh) * 2020-07-21 2020-11-03 李文坤 一种体育器械清洗装置
CN111870906B (zh) * 2020-07-21 2022-01-07 扬州科丰高新产业投资开发集团有限公司 一种体育器械清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5017B1 (ko) 2019-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43210B2 (en) Warewasher with automated scrapping system
KR101935017B1 (ko) 골프공 세척 장치
EP0095119A2 (en) High capacity mat cleaning machine
US20140110360A1 (en) Device for thermally treating products with cleaning of the process liquid
CN103237488A (zh) 传送式洗碗机
JP6754714B2 (ja) クーラント処理装置
CN101610706B (zh) 用于清洗机的过滤装置
KR101954997B1 (ko) 세미 연속순환방식 열교환기 자동 세정장치
KR101348897B1 (ko) 여과 장치
KR102391681B1 (ko) 식기세척기
CN202666471U (zh) 带有油水分离装置的脱脂液储存箱
CN108406436A (zh) 用于切削液循环过滤系统的油水分离装置
JP4000155B2 (ja) 食品洗浄装置
CN205729280U (zh) 洗碗机
JP2007203411A (ja) クーラントの清浄装置
JP5174545B2 (ja) 基板の切断装置
JP6259637B2 (ja) 食品洗浄機
CN105415086A (zh) 机床切削液过滤装置
CN102641875A (zh) 洗瓶机的磁排出
KR101687879B1 (ko) 세정 볼 분리장치
CN1178753C (zh) 清洗悬浮物特别是纤维团悬浮物的设备
CN208611851U (zh) 一种用于切削液循环过滤系统的油水分离装置
CN206910904U (zh) 一种周转框的自动清洗系统用过滤装置
CN113695654B (zh) 龙门铣床用废屑输送处理系统
JP6547302B2 (ja) クーラントゴミ回収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