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8131A - 공기 조화기 - Google Patents

공기 조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8131A
KR20180108131A KR1020170037489A KR20170037489A KR20180108131A KR 20180108131 A KR20180108131 A KR 20180108131A KR 1020170037489 A KR1020170037489 A KR 1020170037489A KR 20170037489 A KR20170037489 A KR 20170037489A KR 20180108131 A KR20180108131 A KR 201801081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case
sub
panel
s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7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2628B1 (ko
Inventor
김재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37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2628B1/ko
Publication of KR201801081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81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2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2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4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 F24F1/004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characterised by mounting arrangements mounted in the ceiling or at the cei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3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r arrangement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F24F1/0071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 F24F1/0076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with means for purifying supplied air by electric means, e.g. ionisers or electrostatic sepa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3/1603
    • F24F3/166
    • F24F2001/0037
    • F24F2003/168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는, 본체의 하측에 결합되며 토출구를 가지는 패널과, 상기 패널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흡입부를 가지는 흡입그릴과, 상기 흡입그릴에 배치되며, 공기 중의 이물을 여과하는 필터 어셈블리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에는,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을 1차 여과하는 제 1 필터부재와, 상기 제 1 필터부재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필터부재에 의해 1차 여과된 공기를 2차 여과하는 제 2 필터부재가 더 포함된다.

Description

공기 조화기{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 조화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 조화기는 소정공간의 공기를 용도, 목적에 따라 가장 적합한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기기이다. 일반적으로, 공기 조화기에는, 압축기, 응축기, 팽창장치, 및 증발기가 포함된다. 그리고, 공기 조화기는, 냉매의 압축, 응축, 팽창, 및 증발과정을 수행하는 냉동 사이클을 구동하여, 상기 소정공간을 냉방 또는 난방 시킬 수 있다.
상기 소정공간은 상기 공기 조화기가 사용되는 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제안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공기 조화기가 가정이나, 사무실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소정공간은 집 또는 건물의 실내 공간일 수 있다. 반면에, 상기 공기 조화기가 자동차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소정공간은 사람이 탑승하는 탑승 공간일 수 있다.
공기 조화기에는, 실외에 설치되는 실외기 및 상기 소정공간에 설치되는 실내기가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실외기에는, 압축기, 실외 열교환기, 및 실외 송풍 팬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내기에는, 실내 열교환기 및 실내 송풍 팬이 포함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가 난방운전을 수행할 때, 실외 열교환기 및 실내 열교환기는, 각각 증발기 및 응축기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소정공간에는, 따뜻한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반대로, 공기 조화기가 냉방운전을 수행할 때, 실외 열교환기 및 실내 열교환기는 각각 응축기 및 증발기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소정공간에는, 차가운 공기가 토출될 수 있다.
한편, 공기 조화기에는, 상기 공기 조화기에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시키기 위한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본 출원인은 필터가 구비되는 공기 조화기와 관련하여 출원(이하, 선행문헌)을 실시하여 공개한 바 있다. 선행문헌의 정보는 아래와 같다.
1. 공개번호(공개일): 10-2008-0110109
2. 발명의 명칭: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상기 선행문헌에 개시되는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에는, 흡입구 및 토출구가 형성되어 공기의 흡입 및 토출을 안내하는 전면판넬과,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을 걸러내는 에어필터와, 상기 전면판넬 일측에 결합되어 에어필터를 지지하는 흡입그릴이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전면판넬 상부에는, 실내 송풍 팬 측으로 공기가 유동되는 오리피스와, 상기 오리피스의 일측에 구비되며 플라즈마를 발생시켜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을 대전시켜 흡착하는 플라즈마 필터가 더 포함된다.
상기 공기 조화기에서, 이물여과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필터의 면적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다만, 선행문헌에 따르면, 상기 흡입구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의 유입량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오리피스는 공기가 흡입되는 방향으로 직경이 감소하는 원통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상기 플라즈마 필터는 상기 오리피스에 장착된다. 따라서, 상기 플라즈마 필터의 면적을 증가시키기 위한 공간 확보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에어필터 및 상기 플라즈마 필터의 유지보수 시에, 사용자는 상기 에어필터 및 상기 플라즈마 필터를 상기 흡입그릴 및 오리피스로부터 각각 분리해야 한다. 따라서, 유비보수에 있어서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는 문제가 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실시예는 공기 중의 이물을 보다 효과적으로 여과할 수 있는 필터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공기조화기에 다수 개의 필터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다수 개의 필터를 보다 간편하게 분리하거나 장착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다수 개의 필터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에는, 본체의 하측에 결합되며 토출구를 가지는 패널과, 상기 패널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흡입부를 가지는 흡입그릴과, 상기 흡입그릴에 배치되며, 공기 중의 이물을 여과하는 필터 어셈블리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에는,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을 1차 여과하는 제 1 필터부재와, 상기 제 1 필터부재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필터부재에 의해 1차 여과된 공기를 2차 여과하는 제 2 필터부재가 더 포함된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에는, 상기 제 2 필터부재에서 여과되는 이물과 다른 종류의 이물을 여과하는 제 3 필터부재가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제 3 필터부재는 상기 제 1 필터부재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 3 필터부재는 상기 제 2 필터부재와 나란하게 배치된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에는, 상기 제 1 필터부재가 삽입되는 필터 케이스가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에는, 상기 필터 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 2 필터부재가 삽입되는 서브 케이스가 더 포함된다.
상기 서브 케이스는, 상기 필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필터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필터 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며, 회동공간을 형성하는 회동공간부가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회동공간에 삽입되는 회동결합부가 더 포함된다.
상기 회동결합부에는, 상기 회동공간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회동부재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결합부에는, 상기 회동부재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회동부재 및 상기 서브 케이스를 연결하며, 내측에는 관통홀을 가지는 연결부재가 더 포함된다.
상기 필터 케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가이드부재가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회동부재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접촉 가이드면이 더 포함된다.
상기 회동공간부에는, 상기 필터 케이스의 둘레부에서 돌출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회동공간부에는, 상기 한 상의 지지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더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공간은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정의된다.
상기 필터 케이스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서브 케이스를 고정하는 장착고정부가 더 포함된다.
상기 서브 케이스에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장착고정부가 걸리는 걸림홀을 형성하는 체결부가 더 포함된다.
상기 장착고정부에는, 상기 필터케이스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홀에 삽입되는 돌출부재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재의 일 지점에서 상기 필터 케이스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서브 케이스에 간섭되는 걸림돌기가 더 포함된다.
상기 장착고정부에는,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 돌출부재가 연결되는 지점에는 라운드부가 형성된다.
상기 장착고정부에는, 상기 서브 케이스의 체결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기 위한 한 쌍의 절개부가 더 포함된다.
상기 한 쌍의 절개부 사이에는, 상기 돌출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 1 필터부재 및 상기 제 2 필터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정전기에 의해 대전된 이물을 집진하는 집진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집진필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장치가 더 포함된다.
또한, 상기 전원 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을 대전시키는 이온발생장치가 더 포함된다.
상기 이온발생장치는 상기 흡입그릴 및 상기 필터어셈블리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가 상기 패널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온 또는 오프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가 더 포함된다.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스위치에서 발생된 온 또는 오프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집진필터 및 상기 이온발생장치에 대한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한다.
상기 흡입그릴은 상기 패널과 링크 또는 와이어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그릴이 상기 패널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흡입그릴은 상기 링크 또는 와이어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패널로부터 분리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에 의하면, 흡입그릴과 공기 조화기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는 유로 사이에는, 필터 어셈블리가 구비된다. 상기 필터어셈블리에는, 상기 공기 조화기에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을 1차 여과하는 제 1 필터부재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필터어셈블리에는, 상기 제 1 필터부재에 의해 여과된 공기를 2차 여과하는 제 2 필터부재가 더 포함된다. 이때, 상기 제 2 필터부재는 상기 제 1 필터부재에서 여과되지 않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이물을 여과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으로 공기 조화기에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을 여과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상기 흡입그릴과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필터어셈블리에는, 필터부재가 차지할 수 있는 공간을 보다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필터 어셈블리에는, 상기 제 1 필터부재 및 상기 제 2 필터부재에서 여과되는 이물과 다른 종류의 이물을 여과시킬 수 있는 제 3 필터부재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 조화기의 이물 여과 성능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상기 흡입그릴의 내측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그릴은 상기 공기조화기 본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흡입그릴은 링크에 의해 지지되면서 상기 본체에 회동하여 분리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흡입그릴은 와이어에 지지되면서 상기 본체에 분리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링크 또는 와이어를 이용하여 상기 흡입그릴을 상기 공기 조화기의 본체로 분리함으로써,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다수의 필터부재를 보다 간편하게 청소 또는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어셈블리는, 다수의 필터부재의 장착을 위한 필터케이스 및 상기 필터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서브 케이스를 구비한다. 상기 필터 케이스 및 서브 케이스 사이에는, 상기 제 1 필터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케이스에는, 상기 제 2 필터부재 및 상기 제 3 필터부재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브 케이스에서, 상기 제 2 필터부재 및 상기 제 3 필터부재는 수평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의 하중이 일 방향으로 집중되는 현상이 줄어들게 되어, 상기 필터 어셈블리가 상기 공기 조화기의 흡입그릴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공기 조화기의 저면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흡입그릴이 개방된 상태에서, 흡입그릴에 장착된 필터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공기 조화기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서브 케이스가 필터 케이스로부터 회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필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A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4의 B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다.
<공기 조화기>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저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는, 실내공간의 천장 면에 설치되며,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상부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와, 상기 본체(10)의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공기 조화기(1)의 하부 외관을 형성하는 패널(panel: 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0)는, 상기 천장의 내부공간에 매립될 수 있다. 상기 패널(30)은 대략 천장의 높이에 위치되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다수의 부품이 설치될 수 있다.
<열교환기>
상기 다수의 부품에는, 상기 본체(10)의 내부로 흡입된 공기와 열교환되는 열교환기(11)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열교환기(11)는 상기 본체(10)의 내면을 따라 다수 회 절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열교환기(11)는 송풍팬(12)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공기 흡입과 토출>
상기 다수의 부품에는, 실내 공기의 흡입 및 토출을 위하여 구동하는 송풍팬(12)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송풍팬(12)에는 팬모터(14)의 모터축(15)이 결합된다. 상기 팬 모터(14)가 구동되면, 상기 송풍팬(12)은 회전할 수 있다. 상기 송풍팬(12)에는, 일례로, 원심팬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송풍팬(12)의 흡입측을 흡입구(16)라 할 수 있다.
<공기 조화기의 에어 가이드>
상기 다수의 부품에는, 상기 송풍팬(12)을 향하여 흡입되는 공기를 안내하는 에어가이드(air guide: 1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에어가이드(13)는 상기 송풍팬(12)의 흡입측에 배치된다. 상기 에어가이드(13)는 상기 흡입부(42)를 통하여 흡입된 공기가 상기 흡입구(16)를 통해 상기 송풍팬(12)측으로 유동되도록 안내한다.
<공기 조화기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패널>
상기 패널(30)에는, 상기 패널(30)의 외관을 형성하는 패널 본체(31)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패널 본체(31)는 일례로, 하방에서 바라볼 때 대략 4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 본체(31)는 상기 본체(10)의 하단보다 더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고, 둘레부가 상기 천장의 하면과 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패널에 결합되는 흡입그릴>
상기 패널(30)은 공기의 흡입을 위한 흡입그릴(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40)은 상기 공기 조화기(1)의 하부 외관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며, 대략 4각형 프레임(frame)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40)은 상기 패널 본체(31)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그릴 본체(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그릴 본체(41)의 내측에는, 격자형상으로 형성된 그릴부(4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그릴부(42)는 가로 및 세로 방향으로 서로 교차하여 배치되는 다수의 그릴에 의해 격자형상의 외관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교차되는 다수의 그릴 사이에는,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부가 연속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입부(43)는 상기 본체(10)의 흡입구(16)와 연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부(43)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는 상기 본체(10)의 흡입구(16)로 유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패널 본체(31) 및 상기 그릴 본체(41) 사이에는, 상기 공기 조화기(1)의 본체(10) 및 상기 본체(10)의 내부공간을 경유한 공기가 토출되는 토출구(3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32)는 상기 패널 본체(31) 및 상기 그릴 본체(41)의 적어도 일부분이 천공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32)는 상기 패널 본체(31)의 4개 변과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토출구(32)는 상기 그릴 본체(41)의 외측 4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토출구(32)는 상기 흡입구(16)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하좌우 방향으로 모두 4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토출구(32)는 상기 패널 본체(31)의 각 변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토출구(32)는 상기 패널 본체(31)에 장착되는 토출 베인(33)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정리하면, 실내공간의 공기는 상기 흡입그릴(40)의 흡입부(43)를 통하여 상기 본체(10) 내부로 흡입될 수 있다. 상기 본체(10)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열교환기(11)에 의해 조화된 뒤, 상기 토출구(32)를 통하여 상기 패널본체(31)의 외측 4방향으로 토출될 수 있다.
<패널로부터 분리 가능한 흡입그릴>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흡입그릴이 개방된 상태에서, 흡입그릴에 장착된 필터 어셈블리를 보여주는 공기 조화기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흡입그릴(40)의 그릴본체(41)는 상기 패널 본체(31)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그릴본체(41) 및 상기 패널 본체(31)는 링크(link: 331)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그릴(40)이 상기 패널(3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흡입그릴(40)은 상기 링크(331)에 의해 지면으로 낙하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개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링크(331) 대신 와이어(wire: 미도시)를 장착시킴으로써, 상기 패널(30)과 상기 흡입그릴(40)를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와이어에 의해 상기 패널(30)과 상기 흡입그릴(40)이 서로 연결되는 경우, 상기 흡입그릴(40)은 상기 패널(30)에 연결된 와이어에 의해 지면으로 낙하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흡입그릴에 설치되는 필터 어셈블리>
한편, 상기 흡입그릴(40)의 내측에는, 흡입된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을 여과시키는 필터 어셈블리(5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어셈블리(50)에는 공기 중의 이물을 여과하기 위한 다수의 필터부재(600, 700, 800)를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필터부재(600, 700, 800)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5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필터부재(600, 700, 800) 각각은 대략 4각형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정리하면, 사용자는 상기 흡입그릴(40)을 상기 패널(3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패널(30)은 링크(331)에 의해 상기 흡입그릴(40)로부터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40)가 상기 패널(3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흡입그릴(40) 내측에 설치된 상기 필터 어셈블리(50)를 세척하거나, 교체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50)에 구비되는 다수의 필터부재를 보다 간편하게 청소 또는 교체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를 구성하는 필터 케이스 및 서브 케이스>
상기 필터 어셈블리(50)에는, 외관을 형성하며, 상기 다수의 필터부재(600,700,800) 중 어느 하나가 장착되기 위한 위한 필터케이스(500)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어셈블리(50)에는, 상기 다수의 필터부재(600, 700, 800) 중 나머지 필터들이 장착되기 위한 제 1, 2 서브 케이스(560, 58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2 서브 케이스(560) 각각은 상기 필터 케이스(50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서브 케이스(560)는 상기 필터 케이스(500)의 일측에 장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서브 케이스(580)는 상기 필터 케이스(500)의 타측에 장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서브 케이스(560) 및 상기 제 2 서브 케이스(580)는 별개의 구성으로써, 상기 필터 어셈블리(50)에 장착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다만,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 1 서브 케이스(560) 및 상기 제 2 서브 케이스(580)가 하나의 사출물로 구성되어, 상기 필터 어셈블리(50)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다수의 필터부재(600, 700, 800)에는 제 1 필터부재(60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케이스(500)에는 제 1 필터부재(60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필터부재(600)는 상기 본체(10)의 흡입구(16)를 향해 흡입되는 공기 중 이물을 여과할 수 있다. 상기 필터 케이스(500) 및 상기 제 1, 2 서브 케이스(560, 580) 사이에는 각각 하나의 제 1 필터부재(60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필터부재(600)의 상면에는, 상기 제 1, 2 서브 케이스(560, 580)가 안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 1 필터부재(600)가 하나로 구비되고, 상기 제 1 필터부재(600)의 상면에는 상기 제 1, 2 서브 케이스(560, 580)이 안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제 1 필터부재(600)의 크기 및 형태는 상기 필터 케이스(500)의 크기 및 형태에 대응될 수 있다.
상기 제 1, 2 서브 케이스(560, 580)는 상기 필터 케이스(5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서브 케이스(560)는 상기 필터 케이스(500)의 좌측(도 3에서 좌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서브 케이스(580)는 상기 필터 케이스(500)의 우측(도 3에서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 1 서브 케이스(560) 및 제 2 서브 케이스(580)의 회동에서 의해, 상기 제 1, 2 서브 케이스(560, 580) 각각은 상기 필터 케이스(500)에 장착되거나,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 1, 2 서브 케이스(560, 580)가 일 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필터 케이스(50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 1 필터부재(600)는 상기 제 1, 2 서브 케이스(560, 58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1, 2 서브 케이스(560, 580)가 상기 일 방향의 반대방향으로 회동되어 상기 필터 케이스(5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필터부재(600, 700, 800)에는, 제 2 필터부재(700) 및 제 3 필터부재(800)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2 서브 케이스(560, 580) 각각에는 상기 제 2 필터부재(700) 및 상기 제 3 필터부재(800) 중 적어도 하나가 장착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필터부재(700) 및 제 3 필터부재(800)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제 1 필터부재(600)의 하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흡입그릴(40)의 흡입부(43)를 통해 상기 본체(10)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은 상기 필터 어셈블리(50)의 제 1 필터부재(600)에 의해 1차 여과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필터부재(600)에 의해 1차 여과된 공기는 하류 측에 배치된 상기 제 2 필터부재(700) 및 제 3 필터부재(800)에 의해 2차 여과될 수 있다. 2차 여과된 공기는 상기 흡입구(16)를 통해 상기 송풍팬(12)으로 유동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필터부재(600), 제 2 필터부재(700), 및 제 3 필터부재(800)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종류의 필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제 1 필터부재(600)는 메시 필터(mesh filter)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필터부재(700)는 상기 제 1 필터부재(600)에서 여과되지 않은 작은 크기의 입자를 집진하기 위한 집진필터일수 있다. 상기 집진필터는 정전기에 의해 대전된 이물을 집진시킬 수 있다. 즉, 상기 제 1 필터부재(600)에서 여과되지 않은 상대적으로 크기가 작은 이물은 상기 제 2 필터부재(700)에 의해 여과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필터부재(600) 및 상기 제 2 필터부재(700)에 의해 상기 공기 조화기(1)는 보다 효과적으로 공기 중의 이물을 여과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필터부재(800)는 흡입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냄새를 탈취시키기 위한 탈취필터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필터부재(700)에서 여과되기 어려운 다른 이물, 즉, 냄새 입자를 여과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 조화기(1)의 이물 여과 성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필터 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서브 케이스>
상기 제 1, 2 서브 케이스(560, 580) 각각은 상기 필터 케이스(500)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필터부재(700) 및 상기 제 3 필터부재(800)의 교체 및 청소가 필요한 경우에, 사용자는 상기 제 1, 2 서브 케이스(560, 580)를 상기 필터 케이스(5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다 간편하게 제 2 필터부재(600) 및 제 3 필터부재(700)의 청소 및 교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란하게 배치되는 제 2 필터부재와 제 3 필터부재>
상기 제 2 필터부재(600) 및 상기 제 3 필터부재(700)는 상기 제 1, 2 서브 케이스(560, 580)에 의해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제 2 필터부재(600) 및 상기 제 3 필터부재(700)는 상기 제 1, 2 서브 케이스(560, 580)에 의해서 수평방향으로 넓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필터 어셈블리(50)의 하중이 일 방향으로 집중되는 현상이 줄어들 수 있어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50)는 상기 흡입그릴(40)에 안정적으로 장착 및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 어셈블리(50)가 지면으로 낙하되는 현상을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흡입그릴의 패널 장착여부를 감지하는 스위치>
한편,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패널(30)에는 흡입그릴(40)의 장착 또는 분리를 감지하는 스위치(43)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43)는 상기 흡입그릴(40)이 상기 패널(3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그릴(40)과 서로 마주보는 상기 패널(30)의 일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패널 본체(31)는 제 1 면(311)과 제 2 면(3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면(311)은 상기 패널 본체(31)의 저면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그릴(40)이 상기 패널(3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면(311)은 육안으로 관찰될 수 있는 상기 패널(30)의 어느 한 면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입그릴(40)이 상기 패널(30)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 2 면(312)은 상기 흡입그릴(40)의 그릴본체(41)의 적어도 일부분과 서로 마주보는 상기 패널(30)의 어느 한 면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 2 면(312)에는 상기 패널(30)의 장착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스위치(34)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40)이 상기 패널(3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스위치(34)는 오프 신호를 발생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흡입그릴(40)이 상기 패널(3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스위치(34)는 온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오프 신호 및 온 신호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50)에 구비되는 다수의 필터부재(600, 700, 80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900)에 전달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장치(900)에 관한 설명은 후술된다.
<집진필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
상기 필터 어셈블리(50)에는, 상기 다수의 필터부재(600, 700, 80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90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장치(900)는 상기 제 1 서브 케이스(560) 및 상기 제 2 서브 케이스(580)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원공급장치(900)는 상기 다수의 필터부재(600, 700, 800) 중 상기 집진필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장치(900)는 상기 스위치(34)에서 발생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집진필터에 대한 전원 공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필터 어셈블리(50)를 유지 보수 하거나, 상기 본체(10)에 구비되는 상기 다수의 부품 중 적어도 하나를 유지 보수 하는 경우, 상기 흡입그릴(40)은 상기 패널(3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스위치(45)에서는 오프 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오프 신호는 상기 전원공급장치(900)에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공급장치(900)는 상기 집진필터에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안전하게 상기 필터 어셈블리(50) 또는 상기 본체(10)를 유지 보수할 수 있다. 반대로, 상기 흡입그릴(40)이 상기 패널(3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스위치(34)는 온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전원공급장치(900)는 상기 온신호를 전달받아, 상기 집진필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전원공급장치(900)는 필터 어셈블리(50)에 구비되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상기 전원공급장치(900)가 상기 본체(10) 내부에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흡입부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를 이온화시키는 이온 발생장치>
상기 본체(10)에는, 흡입되는 공기를 이온화(또는, 대전)시키기 위한 이온발생장치(4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이온발생장치(45)는 상기 흡입그릴(40) 및 상기 필터어셈블리(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이온발생장치(45)는 상기 필터어셈블리(50)의 하부면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이온발생장치(45)는 상기 전원공급장치(90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온발생장치(45)는 공기 중으로 고전압을 발생시킴으로써, 상기 흡입그릴(40)의 흡입부(43)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을 대전시킬 수 있다. 상기 이온발생장치(45)에 의해 대전된 공기 중의 이물은 상기 집진필터(일예로, 제 2 필터부재)에 집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입그릴(40)이 상기 패널(3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스위치(34)에서 발생된 오프 신호에 의해, 상기 이온발생장치(45)에 공급되는 전원공급장치(900)의 전원은 차단될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며,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서브 케이스가 필터 케이스로부터 회동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필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고,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필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필터 어셈블리의 필터 케이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필터 케이스(500)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50)의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스 본체(51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본체(510)는 대략 4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 본체(510)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흡입그릴(40)에 접촉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필터 케이스와 흡입그릴의 결합관계>
상기 케이스 본체(510)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50)의 상기 그릴 본체(41) 고정을 위한 다수의 패널 체결부(50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체결부(501)에는, 일례로,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가 삽입될 수 있는 필터 체결홀(50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패널 체결부(501)는 도면에서 2개인 것으로 표시되었으나, 이에 제한하지 않고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40)의 내측에는, 상기 필터 체결홀(502)에 삽입되는 체결부재(미도시)가 상기 흡입그릴(40)에 삽입되어 고정되기 위한 그릴 체결홀(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그릴 체결홀의 위치 및 개수는 상기 필터 체결홀의 위치 및 개수에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50)가 상기 흡입그릴(40)에 장착되면, 상기 필터 체결홀(510) 및 상기 그릴 체결홀에 상기 체결부재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필터 어셈블리(50)은 흡입그릴(40)에 안정적으로 장착 및 고정될 수 있다.
<필터 케이스의 내측프레임>
상기 필터 케이스(500)에는, 상기 제 1 필터부재(600) 및 상기 서브 케이스(560, 580) 중 적어도 하나를 수용하기 위한 내측프레임(53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내측프레임(530)은 상기 필터 어셈블리(50)에 장착된 제 1 필터부재(600)의 바닥면 및 서브 케이스(560, 580)의 바닥면 중 적어도 하나를 지지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제 1 필터부재(600) 및 상기 서브 케이스(560, 580)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필터 어셈블리(5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장착된 필터부재의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내측프레임(530)에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다.
<필터 케이스의 측면프레임>
상기 필터 케이스(500)에는 상기 내측프레임(530)에 안착된 제 1 필터부재(600) 및 상기 제 1, 2 서브 케이스(560, 580) 중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측면 프레임(52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측면 프레임(530)은 상기 케이스 본체(510) 및 상기 내측프레임(530) 경계에서 상방으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필터 케이스의 분할프레임>
상기 필터 케이스(500)에는, 상기 서브 케이스(560, 580)이 장착되기 위한 장착공간(556,557)을 형성하는 분할 프레임(55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분할 프레임(550)에는, 제 1 서브 케이스(560)가 장착되기 위한 제 1 장착공간(556)을 형성하는 제 1 분할프레임(551)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할 프레임(550)에는, 제 2 서브 케이스(580)가 장착되기 위한 제 2 장착공간(557)을 형성하는 제 2 분할프레임(552)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분할프레임(551) 및 상기 제 2 분팔프레임(552)는 서로 설정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분할프레임(551) 및 상기 제 2 분할프레임(552) 사이에는, 상기 전원공급장치(900)에서 상기 다수의 필터(600, 700, 800) 중 적어도 하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도선(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2 분할프레임(551, 552)은 각각 상기 측면프레임(530)의 일지점으로부터 상기 측면프레임(530)의 일지점을 마주보는 타지점까지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분할프레임(551)에 의해 형성되는 제 1 장착공간(556)은 상기 제 1 서브 케이스(560)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분할프레임(552)에 의해 형성되는 제 2 장착공간(557)은 상기 제 2 서브 케이스(580)의 크기에 대응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상기 제 1 분할프레임(551) 및 제 2 분할프레임(552)이 하나의 구성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필터케이스의 전원공급장치 장착부>
상기 필터 케이스(500)의 가장자리에는, 전원공급장치(900)가 장착되는 전원공급장치 장착부(559)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필터케이스(500)에 장착되는 제 1 서브 케이스(560) 및 제 2 서브 케이스(580) 중 어느 하나에는 상기 전원공급장치 장착부(599)를 보호하는 커버(569)가 구비될 수 있다.
<필터 케이스의 회동공간부>
도 7은 도 4의 A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필터 케이스(500)에는, 상기 제 1, 2 서브 케이스(560, 580)를 회동 가능하게 장착시키기 위한 제 1, 2 회동공간부(511, 52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회동공간부(511)에 의해서 상기 제 1 서브 케이스(560)는 상기 필터 케이스(500)에 대하여 회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회동공간부(521)에 의해서 상기 제 2 서브 케이스(560)는 상기 필터 케이스(500)에 대하여 회동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회동공간부(511) 및 상기 제 2 회동공간부(521)를 구성하는 요소들은 공통된다. 따라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 1 회동공간부(521)를 구성하는 요소에 대하여 설명하고, 상기 제 2 회동공간부(511)에 대한 내용은 생략한다.
상기 제 1 회동공간부(511)는 상기 필터 케이스(5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 회동공간부(511)는 상기 제 1 서브 케이스(560)가 상기 제 1 회동공간부(511)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동공간(517)을 형성할 수 있다.
<회동공간을 정의하는 지지부재 및 연장부재>
상기 제 1 회동공간부(511)에는, 상기 측면프레임(530)의 일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한 쌍의 제 1 지지부재(51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회동공간부(511)에는, 상기 한 쌍의 제 1 지지부재(512)를 서로 연결하는 연장부재(514)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재(514)는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512) 중 어느 하나로부터 다른 하나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연장부재(514)는 상기 한 쌍의 제 1 지지부재(512) 각각의 일면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 1 지지부재(512) 및 상기 연장부재(514)에 의해서, 상기 제 1 서브 케이스(560)의 회동결합부(570)가 삽입될 수 있는 회동공간(517)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회동공간(517)에서 상기 제 1 서브 케이스(560)의 회동결합부(570)는 회동될 수 있다. 상기 회동결합부(570)에 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은 후술된다.
상기 연장부재(514)는 상기 한 쌍의 제 1 지지부재(514) 중 어느 하나의 일면(도면 6에서의 상부면)과 다른 하나의 일면(도면 6에서의 상부면)을 연결한다. 이때, 상기 회동결합부(570)가 삽입되거나 분리가능 하도록, 상기 연장부재(514)는 상기 회동공간(517)의 일부분만을 폐쇄시키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서브 케이스의 회동을 가이드 하는 회동공간부의 가이드 부재>
상기 제 1 회동공간부(511)에는, 상기 제 1 서브 케이스(560)의 회동결합부(570)가 회동되도록 가이드 하는 가이드부재(51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515)는 상기 측면프레임(530)에 구비되며, 상기 공간(517)을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동결합부(570)가 상기 회동공간(517)에서 보다 효과적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상기 가이드부재(515) 및 상기 측면프레임(530)이 연결되는 부분에는 라운드 지도록 형성되는 접촉 가이드면(516)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회동결합부(570)는 상기 접촉 가이드면(516)에 가이드 되어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제 1 회동공간부(511)에는, 상기 제 1 지지부재(512)에서 상기 공간(517)을 폐쇄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 2 지지부재(51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2 지지부재(513)는 상기 제 1 지지부재(512)의 전단에서 상기 가이드부재(515)를 향하여 연장되어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회동결합부(570)가 상기 회동공간(517)에 삽입, 회동, 또는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회동결합부(570)는 상기 제 1 지지부재(512) 및 상기 제 2 지지부재(51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제 1 지지부재(512)를 연결하는 연장부재(514)는 상기 회동공간(517)을 차폐한다. 이때, 상기 연장부재(514)는 상기 회동결합부(570)가 삽입되거나 분리가능 하도록, 상기 연장부재(514)는 상기 회동공간(517)의 일부분을 차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연장부재(514)는 상기 한 쌍의 제 1 지지부재(512) 중 어느 하나의 제 1 지지부재 상면의 일부분과 다른 하나의 제 1 지지부재 상면의 일부분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회동공간부(511)에는, 상기 제 1 서브 케이스(560)의 회동결합부(570)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기 위한 함몰부(51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518)는 상기 측면프레임(530)의 적어도 일부분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함볼부(518)는 2개 구비되며, 2개의 함몰부(518)은 서로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2개의 함몰부(518) 사이에는, 상기 가이드부재(515)가 배치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제 1 서브 케이스(560)는 상기 필터 케이스(500)의 제 1 회동공간부(511)에 의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서브 케이스(560)는 상기 필터 케이스(500)의 회동공간부(511)에 의해 회동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필터 케이스의 장착고정부>
도 8은 도 4의 B에 대한 부분 확대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필터 케이스(500)에는, 상기 제 1 서브 케이스(560)가 임의로 회동되거나,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 1, 2 장착고정부(531, 536)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2 장착고정부(531, 536)는 상기 필터 케이스(50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장착고정부(531)는 상기 제 1 회동공간부(511)와 마주보는 상기 측면프레임(53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장착고정부(536)는 상기 제 2 회동공간부(521)와 마주보는 상기 측면프레임(53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서브 케이스(560)가 상기 필터 케이스(50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 1 장착고정부(531)에는, 상기 제 1 서브 케이스(560)의 일면에 구비되는 체결부(575)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장착고정부(531) 및 상기 체결부(575)가 결합됨에 따라, 상기 제 1 서브 케이스(560)는 상기 필터 케이스(500)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 1 서브 케이스(560)의 체결부(575)에 대한 보다 상세한 내용은 후술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장착고정부(531) 및 제 2 장착고정부(536)를 구성하는 요소들은 공통된다. 따라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 1 장착고정부(531)를 구성하는 요소에 대하여 설명하고, 상기 제 2 장착고정부(536)에 관한 내용은 생략한다.
<제 1 장착고정부의 돌출부재>
상기 제 1 장착고정부(531)에는, 상기 측면프레임(530)의 일면으로부터 전방(도 8에서 전방)으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재(532)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재(532)는 상기 체결부(575)에 형성된 걸림홀(578)에 삽입될 수 있다.
<제 1 장착고정부의 걸림돌기>
상기 제 1 장착고정부(531)에는, 상기 돌출부재(532)의 일지점으로부터 상기 필터 케이스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는 걸림돌기(53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서브 케이스(560)가 상기 필터 케이스(500)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제 1 서브 케이스(560)의 체결부(575)에 형성된 걸림홀(578)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걸림돌기(533)에 의해, 상기 제 1 서브 케이스(560)가 이탈되지 않도록 간섭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서브 케이스(560)가 상기 필터 어셈블리(50)에 장착되면, 임의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제 1 장착고정부의 라운드부>
한편, 상기 돌출부재(532) 및 상기 걸림돌기(533)가 연결되는 부분에는, 라운드부(534)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라운드부(534)는 상기 돌출부재(532) 및 상기 걸림돌기(533)가 연결되는 일측 및 타측 중 적어도 하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서브 케이스(560)의 체결부(575)는 상기 라운드부(534)에 의해, 상기 제 1 장착고정부(531)에 미끄러지면서 장착될 수 있다.
<제 1 장착고정부의 절개부>
상기 제 1 장착고정부(531)에는, 상기 제 1 서브 케이스(560)의 체결부(575)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기 위한 절개부(535)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535)는 상기 측면 프레임(530)의 적어도 일부분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535)는 2개 구비되며, 2개의 절개부(535)는 서로 이격된다. 그리고, 상기 2개의 절개부(535) 사이에는, 상기 돌출부재(53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535)의 구성에 의하여, 상기 돌출부재(532)는 탄성변형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상기 돌출부재(532)에 외력을 제공하여 상기 돌출부재(532)를 탄성변형 시킴으로써, 상기 체결부(575)에 대한 상기 제 1 장착고정부(531)의 고정을 해제 시킬 수 있다.
<필터 어셈블리의 서브 케이스>
다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2 서브 케이스(560, 580)에는, 둘레부를 형성하는 서브 케이스 본체(561, 581)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서브 케이스 본체(561)의 내측에는 제 2 필터부재(700) 및 제 3 필터부재(800) 중 적어도 하나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 2 필터부재(700) 및 제 3 필터부재(800)는 상기 서브 케이스 본체(561)에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2 서브 케이스(560, 580)은 대략 사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1, 2 서브 케이스(560, 580)에는, 상기 제 2 필터부재(700) 및 상기 제 3 필터부재(800) 중 적어도 하나의 안착을 위한 서브 케이스 내측프레임(563, 583)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2 서브 케이스(560, 580)에는, 상기 제 2 필터부재(700) 및 상기 제 3 필터부재(800)가 각각 장착되기 위한 공간을 형성하는 서브 케이스 분할프레임(562, 582)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서브 케이스의 제 2 필터장착부>
상기 서브 케이스 분할프레임(562, 582)에 의해, 상기 제 1 서브 케이스(560)의 일측에는 상기 제 2 필터부재(700)가 장착되는 제 2 필터장착부(564, 58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필터장착부(564, 584)에는, 상기 제 2 필터부재(70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필터부재(700)의 둘레부는 상기 제 1, 2 서브 케이스(560, 580)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서브 케이스 본체(561, 581) 및 상기 서브 케이스 보조프레임(562, 58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2 필터부재(700)의 하부면은 상기 제 2 필터장착부(564)의 둘레부를 따라 형성된 내측프레임(563, 58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2 서브 케이스(560, 580)에는, 상기 제 2 필터장착부(564, 584)에 장착된 제 2 필터부재(700)를 지지하기 위한 서브 케이스 지지프레임(567, 587)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서브 케이스 지지프레임(567)은 상기 제 2 필터장착부(564, 584)의 서브 케이스 내측프레임(563)의 일지점에서 상기 제 2 필터 장착부(564, 584)의 서브 케이스 내측프레임(563)의 일지점을 마주보는 타지점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브 케이스 지지프레임(567, 587)은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2 필터부재(700)는 상기 서브 케이스 지지프레임(567)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서브 케이스의 제 3 필터장착부>
한편, 상기 서브 케이스 분할프레임(563, 583)에 의해, 상기 제 1, 2 서브 케이스(560, 580)의 타측에는 상기 제 3 필터부재(800)가 장착되는 제 3 필터장착부(565, 585)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필터장착부(565, 585)에는, 상기 제 3 필터부재(800)가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3 필터부재(800)의 둘레부는 상기 제 1 서브 케이스(560, 580)의 타측에 형성된 상기 서브 케이스 본체(561, 581) 및 상기 서브 케이스 보조프레임(562, 58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필터부재(800)의 하부면은 상기 제 3 필터장착부(565, 585)의 둘레부를 따라 형성된 내측프레임(563, 58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 1, 2 서브 케이스(560, 580)에는, 상기 제 3 필터장착부(565, 585)에 장착된 제 3 필터부재(800)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을 지지하기 위한 서브 케이스 보조프레임(566, 58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브 케이스 보조프레임(566, 586)은 상기 제 3 필터장착부(565, 585)를 형성하는 서브 케이스 본체(561, 581)의 일지점에서, 상기 제 3 필터장착부(565, 585)를 형성하는 분할프레임(562, 582)의 일지점을 연결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서브 케이스 보조프레임(566, 586)은 2개가 구비될 수 있다. 2 개의 제 1 서브 케이스 보조프레임(566, 586)은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2 개의 서브 케이스 보조프레임(566, 586)은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2 개의 제 1 서브 케이스 보조프레임(566)의 간격이 조절됨으로써, 상기 제 3 필터부재(800)가 장착되기 위한 상기 제 3 필터장착부(565)의 공간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제 2, 3 필터부재를 고정시키는 서브 케이스의 필터고정부>
상기 제 1, 2 서브 케이스(560, 580)에는, 상기 제 2 필터부재(700) 및 제 3 필터부재(800)를 상기 제 1, 2 서브 케이스(560, 580)로부터 고정시키기 위한 필터고정부(568, 58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필터고정부(568, 588)은 상기 서브 케이스 본체(561, 581)에서 상방(도 6에서 상방)으로 돌출 형성되며, 후크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터고정부(568, 588)은 탄성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필터고정부(568, 588)에 의해 상기 제 2 필터부재(700) 및 제 3 필터부재(800)는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필터고정부(568, 588)는 상기 제 2 필터장착부(564, 584) 및 제 3 필터장착부(565,585)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그리고, 상기 제 2 필터장착부(564, 584) 및 제 3 필터장착부(565, 585)에 구비되는 필터고정부(568, 588)는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필터 케이스에 고정되기 위한 서브 케이스의 회동결합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서브 케이스(560)에는, 상기 제 1 서브 케이스(560)가 상기 필터 어셈블리(5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한 상기 회동결합부(570, 59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 1, 2 회동결합부(570, 590)는 상기 제 1, 2 회동공간부(511, 521)에 결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 1 서브 케이스(560)의 제 1, 2 회동결합부(570,590) 및 제 2 서브 케이스(580)의 제 1, 2 회동결합부(570, 590)를 구성하는 요소들은 공통된다. 따라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상기 제 1 서브 케이스(560)의 회동결합부(570)를 구성하는 요소에 대하여 설명하고, 상기 제 2 서브 케이스(580)의 체결부(590)에 대한 내용은 생략한다.
<회동결합부의 연결부재>
상기 회동결합부(570)에는, 도 7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서브 케이스 본체(561)의 일면에서 상방으로 연장되는 연결부재(571)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571)는 제 1 연결부재(571a) 및 상기 제 1 연결부재로부터 설정간격 이격된 제 2 연결부재(571b)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2개의 연결부재(571a, b)는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필터 케이스(500)에 대한 상기 서브 케이스(561)의 회전과정에서, 상기 2개의 연결부재(571a, b) 각각은 필터 케이스(500)의 상기 2개의 함몰부(518)에 삽입 또는 이탈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회동결합부(570)의 연결부재(571)에 의해서, 후술되는 회동부재(572) 및 상기 제 1 서브 케이스 본체(561)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회동결합부의 회동부재>
상기 회동결합부(570)에는, 상기 2개의 연결부재(571)를 연결하는 회동부재(57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회동부재(572)는 대략 원통형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회동부재(572)는 상기 제 1 회동공간부(511)의 회동공간(517)에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572)는 회동공간(517)에서 회전될 수 있다.
<회동결합부의 관통홀>
한편, 상기 회동결합부(570)에는, 상기 제 1 회동공간부(511)의 가이드 부재(515)가 삽입되는 관통홀(573)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홀(573)은 상기 회동부재(572) 및 상기 제 1 서브 케이스(560)를 연결하는 연결부재(571)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연결부재(571)는 제 1 연결부재(571a)와 상기 제 1 연결부재(571a)와 설정간격으로 이격된 제 2 연결부재(571b)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관통홀(573)은 상기 2개의 연결부재(571a, 571b) 및 상기 회동부재(572)에 의해 정의된다.
정리하면, 상기 제 1 서브 케이스(560)가 상기 필터 케이스(500)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기 위하여, 상기 회동결합부(570)는 상기 제 1 회동공간부(51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회동공간부(511)의 회동공간(517)에는 상기 회동결합부(570)의 회동부재(572)가 삽입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결합부(570)의 관통홀(573)에는, 상기 제 1 회동공간부(511)의 가이드부재(515)가 삽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회동결합부(570)의 회동부재(572)는 상기 회동공간부(511)의 가이드부재(516)에 접촉되면서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회동결합부(570)의 회동부재(572)는 상기 가이드부재(516)의 접촉 가이드면(516)에 접촉되면서 회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서브 케이스(560)는 상기 필터케이스(500)에 대하여 일방향 또는 타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서브 케이스의 체결부>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서브 케이스(560)에는, 상기 제 1 서브 케이스(560)가 상기 장착고정부(521)에 고정되기 위한 상기 체결부(575)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575)는 상기 장착고정부(521)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부(575)는 상기 제 1 서브 케이스(560)의 일면에 구비된 상기 회동결합부(570)와 마주보는 상기 제 1 서브 케이스(560)의 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체결부의 연결부재>
상기 체결부(575)에는, 도 8에서 도시는 바와 같이, 상기 제 1 서브 케이스 본체(561)의 타면에서 하방으로 연장되는 연결부재(576)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576)는 제 1 연결부재(576a) 및 상기 제 1 연결부재(576a)로부터 설정간격 이격된 제 2 연결부재(576b)가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2개의 연결부재(576a, b)는 설정된 간격으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 1 서브 케이스(560)가 상기 필터 케이스(500)에 장착 또는 분리되는 과정에서, 상기 체결부(575)의 상기 2개의 연결부재(576a, b)는 제 1 장착고정부(531)의 절개부(535)에 삽입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체결부(575)의 연결부재(576)는 상기 제 1 서브 케이스 본체(561) 및 후술되는 고정부재(577)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체결부의 고정부재>
상기 체결부(575)에는, 상기 2개의 연결부재(576a, b)를 연결하는 고정부재(577)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정부재(577)는 대략 원통형의 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체결부의 걸림홀>
상기 체결부(575)에는, 상기 장착고정부(521)의 돌출부재(522)가 삽입되는 걸림홀(578)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걸림홀(578)은 상기 2개의 연결부재(576a, b) 및 상기 고정부재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걸림홀(578)은 상기 고정부재(577) 및 상기 제 1 서브케이스(560)을 연결하는 상기 연결부재(576)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제 1 서브 케이스(560)가 상기 필터 케이스(500)에 고정되기 위하여, 상기 체결부(575)는 상기 제 1 장착고정부(531)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부(575)의 걸림홀(578)에는, 상기 제 1 장착고정부(531)의 돌출부재(522)가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서브 케이스 본체(561)의 일부분은 상기 제 1 장착고정부(531)의 라운드부(524)에 의해 슬라이드 되어 상기 걸림돌기(533)에 걸림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장착고정부(521)의 걸림돌기(533)에 의해 상기 서브 케이스 본체(561)의 일부분이 걸림됨으로써, 상기 필터케이스(500)에 장착된 상기 제 1 서브 케이스(560)는 고정 및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필터 어셈블리에 구비되는 필터부재가 분리 및 장착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필터 어셈블리의 필터부재의 분리 및 장착 과정>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필터 어셈블리(50)를 청소 또는 교체하기 위하여, 상기 흡입그릴(40)을 패널(3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40) 및 상기 패널(30)은 상기 링크(331)에 의해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흡입그릴(40)이 상기 패널(3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흡입그릴(40)의 일측이 상기 링크(331)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흡입그릴(40)의 타측은 상기 패널(30)로부터 개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흡입그릴(40)이 상기 패널(30)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상기 패널(30)에 설치된 스위치(34)는 오프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스위치(34)에서 발생된 오프신호에 의해, 상기 필터 어셈블리(50)의 전원공급장치(900)에서 상기 다수의 필터부재(700, 800, 900) 중 적어도 하나의 필터부재에 공급되는 전원은 차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흡입그릴(40)을 개방하는 경우, 별도로 본체(10)의 전원을 차단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보다 향상된 안전성 및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흡입그릴(40)이 상기 패널(3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50)에 구비된 다수의 필터부재(700, 800, 900)의 청소 또는 교체를 진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 1 서브 케이스(560)의 제 1 필터부재(600)를 청소 또는 교체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는 상기 제 1 장착고정부(531) 및 상기 제 1 서브 케이스(460)의 체결부(575)의 체결을 해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상기 제 1 서브 케이스(560)는 상기 필터 케이스(500)로부터 이탈 또는 분리될 수 있다. 다르게 표현하면, 상기 제 1 서브케이스(560)는 상기 필터 케이스(500)로부터 회동 가능해질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제 1 서브 케이스(560)를 상기 필터 케이스(50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상기 제 1 필터부재(500)를 상기 필터 케이스(500)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상기 제 1 필터부재(500)를 청소 또는 교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는 제 1 서브 케이스(560)에 구비된 제 2 필터부재(700) 및 제 3 필터부재(800)를 청소 또는 교체할 수 있다. 먼저, 사용자는 상기 제 1 서브 케이스(560)의 필터고정부(568)에 외력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제 2 필터부재(700) 및 제 3 필터부재(800)를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필터부재(700)가 상기 집진필터인 경우, 상기 제 2 필터부재(700)에 공급되는 전원공급장치(900)이 전원이 차단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보다 안전하고 간편하게 상기 제 2 필터부재(700)를 교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제 2 필터부재(800) 및 제 3 필터부재(900)는 제조사로부터 일체형 모듈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필터부재(800) 및 제 3 필터부재(900)의 유지보수를 위해서, 제조사는 사용자에게 제 1, 2 서브 케이스(560)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상기 필터 케이스(500)의 회동부(511, 521) 및 상기 제 1, 2 서브케이스(560, 580)의 회동결합부(531, 536)의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조사로부터 공급되는 제 1, 2 서브 케이스를 상기 필터 케이스(500)에 장착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50)에 내장된 필터부재들을 낱개로 교체할 필요 없이, 다수 개의 필터를 일시에 교체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사용자는 상기 필터 어셈블리(50)에 구비된 다수의 필터부재(700, 800, 900)의 청소 또는 교체가 완료되면, 사용자는 상기 제 1, 2 서브 케이스(560, 580)을 상기 필터 케이스(500)에 장착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필터 케이스(500)의 상기 제 1 장착고정부(531) 및 상기 제 1 서브 케이스(560)의 체결부(575)가 체결됨으로써, 상기 제 1, 2 서브 케이스(560, 580)은 상기 필터 케이스(500)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흡입그릴(40)을 상기 패널(30)에 장착시킬 수 있다. 상기 흡입그릴(40)이 상기 패널(30)에 장착됨에 따라, 상기 패널(30)에 설치된 상기 스위치(34)는 온 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스위치(34)에서 발생된 온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공급장치(900)는 상기 다수의 필터부재(700, 800, 900) 중 적어도 하나의 필터부재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1: 공기조화기 10: 본체
30: 패널 40: 흡입그릴
45: 이온발생장치 50: 필터어셈블리
500: 필터 케이스 510: 케이스 본체
560: 제 1 서브케이스 580: 제 2 서브 케이스
600: 제 1 필터부재 700: 제 2 필터부재
800: 제 3 필터부재 900: 전원공급장치

Claims (18)

  1. 실내의 천장에 장착되는 본체;
    상기 본체의 하측에 결합되며, 토출구를 가지는 패널;
    상기 패널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며, 흡입부를 가지는 흡입그릴; 및
    상기 흡입그릴에 배치되며, 공기 중의 이물을 여과하는 필터 어셈블리가 포함되고,
    상기 필터 어셈블리에는,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을 1차 여과하는 제 1 필터부재; 및
    상기 제 1 필터부재의 하류측에 배치되어, 상기 제 1 필터부재에 의해 1차 여과된 공기를 2차 여과하는 제 2 필터부재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에는,
    상기 제 2 필터부재에서 여과되는 이물과 다른 종류의 이물을 여과하는 제 3 필터부재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 3 필터부재는 상기 제 1 필터부재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필터부재는 상기 제 2 필터부재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어셈블리에는,
    상기 제 1 필터부재가 삽입되는 필터 케이스와,
    상기 필터 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제 2 필터부재가 삽입되는 서브 케이스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케이스는, 상기 필터 케이스의 내부에서 상기 필터 케이스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며, 회동공간을 형성하는 회동공간부; 및
    상기 서브 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회동공간에 삽입되는 회동결합부가 더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결합부에는,
    상기 회동공간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회동부재; 및
    상기 회동부재로부터 연장되며 상기 회동부재 및 상기 서브 케이스를 연결하며, 내측에는 관통홀을 가지는 연결부재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케이스에 구비되며, 상기 관통홀을 관통하도록 배치되는 가이드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회동부재의 회전을 가이드 하는 접촉 가이드면이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공간부에는,
    상기 필터 케이스의 둘레부에서 돌출되는 한 쌍의 지지부재와,
    상기 한 상의 지지부재를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재가 더 포함되고,
    상기 회동공간은 상기 한 쌍의 지지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0.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케이스의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서브 케이스를 고정하는 장착고정부와,
    상기 서브 케이스에 하부에 구비되며, 상기 장착고정부가 걸리는 걸림홀을 형성하는 체결부가 더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고정부에는,
    상기 필터케이스 일측에서 돌출 형성되어 상기 홀에 삽입되는 돌출부재와,
    상기 돌출부재의 일 지점에서 상기 필터 케이스의 내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서브 케이스에 간섭되는 걸림돌기가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12. 상기 장착고정부에는,
    상기 걸림돌기와 상기 돌출부재가 연결되는 지점에는 라운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고정부에는,
    상기 서브 케이스의 체결부의 적어도 일부분이 삽입되기 위한 한 쌍의 절개부가 더 포함되고,
    상기 한 쌍의 절개부 사이에는, 상기 돌출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부재 및 상기 제 2 필터부재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전원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정전기에 의해 대전된 이물을 집진하는 집진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집진필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 공급장치와,
    상기 전원 공급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흡입부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을 대전시키는 이온발생장치가 더 포함되는 공기 조화기.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발생장치는 상기 흡입그릴 및 상기 필터어셈블리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어셈블리가 상기 패널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감지하고, 감지된 결과에 기초하여 온 또는 오프 신호를 발생시키는 스위치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전원 공급 장치는 상기 스위치에서 발생된 온 또는 오프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집진필터 및 상기 이온발생장치에 대한 전원을 공급 또는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1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그릴은 상기 패널과 링크 또는 와이어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흡입그릴이 상기 패널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흡입그릴은 상기 링크 또는 와이어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패널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 조화기.
KR1020170037489A 2017-03-24 2017-03-24 공기 조화기 KR102392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489A KR102392628B1 (ko) 2017-03-24 2017-03-24 공기 조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7489A KR102392628B1 (ko) 2017-03-24 2017-03-24 공기 조화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8131A true KR20180108131A (ko) 2018-10-04
KR102392628B1 KR102392628B1 (ko) 2022-05-02

Family

ID=63863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7489A KR102392628B1 (ko) 2017-03-24 2017-03-24 공기 조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26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63026A1 (en) * 2019-08-30 2021-03-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WO2021215680A1 (en) * 2020-04-21 2021-10-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lter device and air cleaner having the same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1088A (ja) * 2000-01-20 2001-07-27 Fujitsu General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2004219051A (ja) * 2002-12-25 2004-08-05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
KR20050090152A (ko) * 2004-03-08 2005-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필터 장착구조
JP2015137842A (ja) * 2014-01-24 2015-07-30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天井埋込み形空気調和機
JP2017032249A (ja) * 2015-08-05 2017-02-0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放電装置を備えた室内機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1088A (ja) * 2000-01-20 2001-07-27 Fujitsu General Ltd 天井埋込型空気調和機
JP2004219051A (ja) * 2002-12-25 2004-08-05 Sanyo Electric Co Ltd 空気調和機
KR20050090152A (ko) * 2004-03-08 2005-09-13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필터 장착구조
JP2015137842A (ja) * 2014-01-24 2015-07-30 東芝キヤリア株式会社 天井埋込み形空気調和機
JP2017032249A (ja) * 2015-08-05 2017-02-09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放電装置を備えた室内機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63026A1 (en) * 2019-08-30 2021-03-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CN112443891A (zh) * 2019-08-30 2021-03-05 三星电子株式会社 空调
KR20210026585A (ko) * 2019-08-30 2021-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US11940160B2 (en) 2019-08-30 2024-03-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Air conditioner
WO2021215680A1 (en) * 2020-04-21 2021-10-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lter device and air cleaner having the same
US11965674B2 (en) 2020-04-21 2024-04-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Filter device and air cleaner hav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2628B1 (ko) 2022-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936439B (zh) 空调设备
CN112752928B (zh) 空调
KR101946255B1 (ko) 먼지 제거가 가능한 필터 구조
EP2857762A1 (en) Indoor unit for cassette type air conditioner
EP2857763B1 (en) Indoor unit for cassette type air conditioner
KR20080110109A (ko) 카세트형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215260170U (zh) 空调器
KR101392322B1 (ko) 공기조화기
KR20180108131A (ko) 공기 조화기
EP2128533A1 (en) Air conditioner
KR102584609B1 (ko) 공기조화기
EP3786536B1 (en) Air conditioner
KR100770708B1 (ko) 공기조화기용 실내기
KR20090084474A (ko) 공기조화기
KR20150103581A (ko) 천장형 에어컨 실내기
KR20210091604A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101598369B (zh) 空调器
KR101362317B1 (ko) 공기조화기
KR20080015944A (ko) 증발기 유닛용 그릴 및 필터
KR10125980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457563B1 (ko) 공기조화기
KR20040026076A (ko) 공기조화기 실내기
KR100662154B1 (ko) 공기조화기
KR101384158B1 (ko) 공기조화기
KR20080026811A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