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91604A -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91604A
KR20210091604A KR1020200004989A KR20200004989A KR20210091604A KR 20210091604 A KR20210091604 A KR 20210091604A KR 1020200004989 A KR1020200004989 A KR 1020200004989A KR 20200004989 A KR20200004989 A KR 20200004989A KR 20210091604 A KR20210091604 A KR 20210091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disposed
pair
unit
filter clea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4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7134B1 (ko
Inventor
황성진
임재용
강태윤
정동영
송홍창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4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7134B1/ko
Priority to CN202120103340.2U priority patent/CN215765438U/zh
Publication of KR20210091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1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7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71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00Room units for air-conditioning, e.g. separate or self-contained units or units receiving primary air from a central station
    • F24F1/0007Indoor units, e.g. fan coil units
    • B01D46/006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68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 B01D46/68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by scrapers, brushes or the li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90Cleaning of purification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ir Filters, Heat-Exchange Apparatuses, And Housings Of Air-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외형을 형성하고, 후방에 흡입구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흡입구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유닛; 상기 케이스 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기어레일; 상기 케이싱 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필터유닛의 좌우측으로 서로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롤러레일; 및 상기 한 쌍의 롤러레일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롤러레일을 따라 상기 필터유닛의 후방을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필터모듈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청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청소기는, 상기 기어레일과 맞물려 회전하여, 상기 필터청소기를 상기 필터모듈의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동기어와, 상기 이동기어가 상기 기어레일에 접촉하며 회전하도록, 상기 필터청소기를 상기 필터유닛 방향으로 밀착시키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롤러는, 한 쌍의 롤러레일 각각에 접촉하도록 상기 필터청소기의 좌우 양단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을 구비한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실내기{Indoor Unit for Air Conditioner}
본 발명은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를 청소하는 필터청소기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냉매와 열교환된 공기를 실내로 배출하여, 요구되는 실내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흡입구로 실내공기를 흡입하고, 냉매와 열교환하여, 토출구로 열교환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다.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천장형, 벽걸이형 및 스탠드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스탠드형 실내기는, 토출구가 캐비닛의 전방이나 측방으로 형성되고, 흡입구가 캐비닛의 후방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탠드형 실내기는, 토출구가 실내공간을 향하도록 배치되므로, 캐비닛의 후방에 배치되는 흡입구는, 실내공간의 벽면이나 모서리면을 마주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이물질을 여과하기 위해 흡입구에 배치되는 필터도 캐비닛의 후방면에 배치될 수 있다.
스탠드형 실내기의 경우, 제품의 크기나 무게 또는 냉매관의 배치 등으로 인해 설치된 위치를 변경하는 것에는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캐비닛의 후방공간에서 필터를 캐비닛으로부터 교체하거나, 청소해야 한다. 이는 흡입구가 설치되는 부분의 공간적 제약으로 인해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중국공개특허CN103008289는, 흡입구가 후방에 형성되는 스탠드형 실내기를 개시하고 있다. 실내기의 후방에 형성된 흡입구에는, 필터가 배치되고, 필터의 후방에는, 필터의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되고, 필터에 이물질을 흡입하는 필터청소기를 개시하고 있다.
다만, 상기 개시된 내용에서는,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필터청소기가 좌우방향으로 한정된 영역만을 청소하는 구조를 가진다. 이러한 필터청소기를 포함하는 구조에서는, 필터의 좌우방향을 모두 청소하기 위해, 필터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는 구조를 요구한다. 따라서, 상기의 중국공개특허에서는, 필터가 좌우방향으로 배치변경되는 구조임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필터의 배치가 좌우방향으로 변경되는 구조에서는, 제한된 좌우영역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하기 위한, 필터의 형태 변형이 요구된다. 따라서, 중국공개특허에서는, 필터가 좌우측 양단에서 형태가 변형될 수 있는 구조임을 개시하고 있다.
따라서, 필터가 배치가 변경되지 않거나, 형태가 변경되지 않는 구조에서는, 상기의 내용을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특히, 집진장치나 탈취필터를 포함하는 필터구조에서는, 필터의 배치나 형태의 변형이 극히 제한되므로, 다양한 종류의 필터에 적용되기 어려우며, 복수의 종류의 필터가 함께 사용되는 구조에서도 상기의 내용을 적용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의 중국공개특허에서 개시된 필터청소기는, 흡입방식으로 필터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필터는, 유동하는 이물질을 화학적 또는 물리적으로 걸러내는 장치이므로, 이물질이 끼인 상태를 공기의 유동만으로 제거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제1과제는, 실내기의 후방에서, 배치와 형태가 고정되는 필터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즉, 사용자에 의해 필터가 청소되는 것 이외에 별도로 필터를 청소하는 별도의 필터청소기를 구비하고, 상기 필터청소기가 고정 배치된 필터의 상하를 이동하며 청소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실내기의 후방에서 이동하는 필터청소기가 실내기에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이동할 수 있는 구조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실내기 후방에서 이동하는 필터청소기의 이동이 자유로운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외형을 형성하고, 후방에 흡입구가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흡입구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유닛과, 상기 케이스 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기어레일과, 상기 케이싱 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필터유닛의 좌우측으로 서로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롤러레일과, 상기 한 쌍의 롤러레일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롤러레일을 따라 상기 필터유닛의 후방을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필터모듈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청소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필터청소기는, 상기 기어레일과 맞물려 회전하여, 상기 필터청소기를 상기 필터모듈의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동기어와, 상기 이동기어가 상기 기어레일에 접촉하며 회전하도록, 상기 필터청소기를 상기 필터유닛 방향으로 밀착시키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롤러는, 한 쌍의 롤러레일 각각에 접촉하도록 상기 필터청소기의 좌우 양단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을 구비하여, 실내기의 후방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필터청소기가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기어레일은, 상기 가이드레일보다 전방으로 배치되어, 가이드롤러와 롤러레일에 의해 기어레일과 이동기어가 더욱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케이싱은, 상기 케이싱 후방에서 상기 필터유닛이 장착되는 공간을 마련하는 필터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롤러레일은, 상기 필터장착부의 좌우 양단부에 배치되어, 필터유닛의 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필터청소기의 양단을 고정할 수 있다.
상기 필터장착부는, 후방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중심바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바에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이온발생기가 배치되어, 필터유닛의 중앙에서 필터유닛으로 이온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이온발생기는, 방전으로 공기 중의 분자를 이온화하는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은, 상기 필터청소기의 이동을 간섭하지 않는 범위에서 후방으로 돌출배치된다.
상기 필터장착부는, 후방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중심바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바에는 상기 이동기어와 맞물리도록 나사산을 형성하는 기어레일이 배치되어, 한 쌍의 롤러레일 중앙에서 기어레일이 배치되므로, 하나의 모터를 사용하여, 필터청소기를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기어레일은, 상기 한 쌍의 롤러레일 각각의 전방에서 한 쌍이 배치되고, 상기 기어레일은, 상기 이동기어와 맞물리는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롤러레일은, 상기 가이드롤러가 장착되는 리브구조를 형성하여, 필터청소기가 좌우양단으로 고정되고, 좌우양단에 배치되는 이동기어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롤러레일는, 상기 기어레일에서 형성되는 나사산의 높이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되어, 기어레일을 따라 이동하는 이동기어를 보호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기어레일은 나사산을 형성하는 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된다.
상기 한 쌍의 기어레일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복수의 이온발생기가 상하로 배치되는 한 쌍의 이온발생기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온발생기면은, 상기 필터유닛이 형성하는 후방면에 수직한 면을 형성하여, 필터유닛의 좌우양단에서 필터유닛으로 공기가 흡입되는 방향에 수직하게 이온발생기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필터청소기와 접촉하여 상기 필터청소기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청소기에는, 상기 전력공급부와 접촉하여, 전력을 수신하는 전력수신부와, 상기 전력수신부로 공급받은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를 포함하여, 별도의 전원선이 연결되지 않고, 필터청소기가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케이싱은, 상기 필터유닛의 하측에서 상기 케이싱의 후방으로 돌출배치되는 후방돌출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돌출커버의 상측에는, 상기 전력공급부가 배치되고, 상기 필터청소기가 상기 필터유닛의 하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전력수신부와, 상기 전력공급부가 접촉하여, 필터청소기가 충전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이동기어의 상측에서,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필터청소기를 상기 필터모듈측으로 밀착시키는 상부가이드롤러와, 상기 상부가이드롤러의 하측에서,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필터청소기를 상기 필터모듈측으로 되는 하부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하여, 이동기어의 상하방향으로 가이드롤러가 배치되어, 필터청소기가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필터유닛의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필터청소기를 구비함으로써, 실내기 후방으로 배치되어, 사용자의 관리가 어려운 필터를 간편하게 청소할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실내기의 케이싱 후방으로 한 쌍의 롤러레일가 구비되고, 필터청소기가 한 쌍의 롤러레일 각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롤러를 구비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필터청소기의 하중이 좌우양방향으로 분산되므로, 필터청소기가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필터청소기에 별도의 배터리가 구비되어 필터청소기가 별도의 전원선없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필터청소기는, 케이싱의 하단부로 이동할 때,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어 시기에 관계없이 작동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토출유닛 및 송풍기가 도시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a은 도 1에 도시된 A-A 선 단면도이다.
도 3b는 도 1에 도시되 B-B 선 단면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청소기가 제거된 상태의 실내기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가이더의 상부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Y1-Y1’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청소기의 후방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청소기의 후면도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청소기의 평면도이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청소기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청소기의 정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청소기의 분해도이다.
도 14은 도 9에서 외측커버와 먼지통이 제거된 상태의 후면도이다.
도 15는 도 14에서 연결하우징이 제거된 상태의 후면도이다.
도 16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커버와 연결하우징이 결합된 상태의 하측방향 도면이다.
도 1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 커버와 연결하우징이 결합된 상태의 전방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하우징의 전방사시도이다.
도 1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하우징의 후방사시도이다.
도 2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통의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통의 평면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통의 저면도이다.
도 2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통의 후면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통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통바디와 하측커버를 분리한 사시도이다.
도 26는 도 25의 다른 측면 사시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먼지통바디와 연결하우징의 결합을 설명하기 위한 후면도이다.
도 28은 도 12의 X1-X1’을 자른 단면사시도이다.
도 29은, 도 12의 X2-X2’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후판부 내측과 외측으로 배치되는 전원공급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1a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1b는 도 31E의 확대도이다.
도 31c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필터청소기의 정면도이다.
도 32a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2b는 도 32E의 확대도이다.
도 32c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필터청소기의 정면도이다.
도 33a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3b는 도 33E의 확대도이다.
도 33c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필터청소기의 정면도이다.
도 34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5a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35c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필터청소기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 전체에 걸쳐 ‘제 1, 제 2, …’의 표현은 구성요소의 구분을 위한 것으로서, 구성요소간의 우선순위 또는 중요도 등과는 무관하다.도면에 표시된 상(U), 하(D), 좌(Le), 우(Ri), 전(F) 및 후(R)의 방향표시는, 발명의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따라서, 기준이 변경되면, 상기의 방향도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전체구성>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실내기는 공기를 흡입하여 송풍하는 송풍기(2),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송풍기(2)에서 송풍된 공기가 통과한 후 토출되는 토출유로가 형성된 복수개 토출유닛(4)(5), 외관을 형성하는 케이싱(10), 및 케이싱(10)의 내부에 설치되어 흡입되는 공기를 냉매와 열교환시키는 열교환기(19)를 포함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케이싱(10)은 베이스(11)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11)는 전면 및 상면이 개방된 입체적 형상일 수 있다. 베이스(11)는 로어 프레임(12)과, 로어 프레임(12)에 형성된 후판부(13)를 포함할 수 있다. 후판부(13)는 로어 프레임(12)의 후방부에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케이싱(10)은 프론트 커버(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5)는 송풍기(2)의 전방을 덮게 설치될 수 있다. 프론트 커버(15)는 하단이 베이스(11)의 로어 프레임(12)에 올려질 수 있다. 프론트 커버(15)는 로어 프레임(12)의 일부를 차폐하게 로어 프레임(12)에 설치될 수 있다.
케이싱(10)은 공기가 실내기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흡입구(16A)를 형성하고, 필터유닛(17a, 17b)이 장착되는 필터장착부(16)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장착부(16)는 베이스(11)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필터장착부(16)는 베이스(11)의 후판부(13)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필터장착부(16)는 베이스(11)의 후판부(13) 상측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필터장착부(16)에는 실내기 외부의 공기가 실내기 내부로 흡입되기 위해 통과하는 공기흡입구(16A)가 형성될 수 있다. 필터장착부(16)에는 실내기로 흡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유닛(17a, 17b)이 설치될 수 있다. 필터유닛(17a, 17b)은 공기가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지는 복수의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열교환기(19)는 공기유동방향으로 필터장착부(16)와 송풍기(2)의 사이에 위치될 수 있다.
실내기 외부의 공기는 필터장착부(16)를 통과해 실내기 내부로 흡입될 수 있고, 이후 열교환기(19)를 통과할 수 있다. 열교환기(19)를 통과한 공기는 송풍기(2)로 흡입될 수 있고, 송풍기(2)에 의해 복수개 토출유닛(4)(5)으로 송풍될 수 있다.
열교환기(19)를 통과한 공기는 일부가 복수개의 토출유닛(4)(5) 중 어느 하나로 송풍될 수 있고, 나머지가 복수개의 토출유닛(4)(5) 중 다른 하나로 송풍될 수 있다. 공기는 송풍기(2)에 의해 복수개 토출유닛(4)(5)으로 분산될 수 있고, 복수개 토출유닛(4)(5)으로 분산된 공기는 복수개 토출유닛(4)(5)을 통해 실내로 분산 토출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복수개 토출유닛(4)(5)은 서로 평행한 회전중심축(P)(Q)을 갖게 배치될 수 있다. 실내기는 복수개 토출유닛(4)(5)을 회전시키는 토출유닛 회전기구(6)를 포함한다. 토출유닛 회전기구(6)는 복수개 토출유닛(4)(5) 각각의 회전중심축(P)(Q) 위치를 유지하면서 복수개 토출유닛(4)(5)을 회전시킬 수 있다. 복수개 토출유닛(4)(5)은 토출유닛 회전기구(6)에 의해 회전중심축(P)(Q)이 서로 평행하게 유지될 수 있다. 실내기는 복수개 토출유닛(4)(5)을 서로 평행하게 유지시키는 토출유닛 홀더(7)를 포함한다. 토출유닛 홀더(7)는 토출유닛 회전기구(6)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토출유닛 홀더(7)는 복수개 토출유닛(4)(5) 각각의 회전중심축(P)(Q) 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다. 복수개 토출유닛(4)(5) 각각은 토출유닛 홀더(7)에 의해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고, 복수개 토출유닛(4)(5)의 회전중심축 위치는 토출유닛 홀더(7)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복수개 토출유닛(4)(5)은 송풍기(2)에서 송풍된 공기를 외부로 토출 안내하는 것으로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송풍기(2)에서 송풍된 공기를 받아 외부로 분산 토출할 수 있다. 복수개의 토출유닛(4)(5)은 수평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토출유닛(4)(5) 사이에는 틈이 존재할 수 있다. 복수개 토출유닛(4)(5)은 2개 또는 3개 이상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토출유닛(4)(5)은 동일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고 그 위치가 상이하다.
복수개의 토출유닛(4)(5)은 2개 설치될 경우, 제1토출유닛(4)과 제2토출유닛(5)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제1토출유닛(4)과 제2토출유닛(5)은 실내기의 중앙선(C)을 기준으로 좌,우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토출유닛(4)과 제2토출유닛(5)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제1토출유닛(4)은 실내기의 좌측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고, 이때, 제2토출유닛(5)은 실내기의 우측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또한, 제1토출유닛(4)은 실내기의 전방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고, 제2토출유닛(5)은 실내기의 우측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토출유닛(4)과 제2토출유닛(5)은 평행한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고, 실내기의 전방에는 2개의 전방기류가 형성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제1토출유닛(4)은 송풍기(2)에서 송풍된 공기가 유입되는 제1흡입구(41)와, 제1흡입구(41)를 통과한 공기가 안내되는 제1내부유로(42)와, 제1내부유로(42)에 안내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제1공기토출구(43)를 포함할 수 있고, 제1흡입구(41)와, 제1내부유로(42)와, 제1공기토출구(43)는 제1토출유닛(4)의 제1토출유로(44)를 구성할 수 있다.
제1토출유닛(4)에는 제1토출유로(44)를 통과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제1풍향조절베인(45)이 배치될 수 있다. 제1풍향조절베인(45)은 제1토출유닛(4)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풍향조절베인(45)은 제1내부유로(42)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고, 그 선단이 제1공기토출구(43)을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다.
제1흡입구(41)는 제1토출유닛(4)의 하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내부유로(42)는 제1토출유닛(4)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공기토출구(43)는 제1토출유닛(4)의 둘레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제2토출유닛(5)은 송풍기(2)에서 송풍된 공기가 유입되는 제2흡입구(51)와, 제2흡입구(51)를 통과한 공기가 안내되는 제2내부유로(52)와, 제2내부유로(52)에 안내된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제2공기토출구(53)를 포함할 수 있고, 제2흡입구(51)와, 제2내부유로(52)와, 제2공기토출구(53)는 제2토출유닛(5)의 제2토출유로(54)를 구성할 수 있다.
제2토출유닛(5)에는 제2토출유로(54)를 통과하는 공기의 풍향을 조절하는 제2풍향조절베인(55)이 배치될 수 있다. 제2풍향조절베인(55)은 제2토출유닛(5)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2풍향조절베인(55)은 제2내부유로(52)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고, 그 선단이 제2공기토출구(53)을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다.
제2흡입구(51)는 제2토출유닛(5)의 하부에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내부유로(52)는 제2토출유닛(5)의 내부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공기토출구(53)는 제2토출유닛(5)의 둘레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토출유닛 회전기구(6)는 복수개 토출유닛(4)(5) 각각의 하부를 지지하는 로어 바디(100)를 포함할 수 있다. 로어 바디(100)는 복수개 토출유닛(4)(5) 각각의 하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다. 토출유닛 홀더(7)는 로어 바디(1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토출유닛 회전기구(6)는 로어 바디(100)에 설치된 로어 커버(1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로어 커버(110)는 송풍기(2)의 상부에 체결될 수 있고, 로어 커버(110)는 토출유닛 회전기구(6)를 송풍기(2)에 장착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토출유닛 회전기구(6)는 로어 바디(100)에 수직하게 형성되고 복수개 토출유닛(4)(5)을 수용하는 리어 바디(1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리어 바디(120)는 로어 바디(100)에 수직하게 형성되고 복수개 토출유닛(4)(5)을 회전 가능하게 수용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토출유닛 회전기구(6)는 리어 바디(120)에 결합되고 복수개의 토출유닛(4)(5) 상측에 위치되는 탑 커버(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탑 커버(140)는 탑 커버(140)는 리어 바디(120) 및 로어 바디(100)와 함께 토출유닛 홀더(7)를 구성할 수 있다. 탑 커버(140)는 복수개 토출유닛(4)(5)의 상부를 유지시킬 수 있다. 탑 커버(140)에는 복수개 토출유닛(4)(5)의 회전 중심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지부(142)(144)가 형성될 수 있다. 축지지부는 토출유닛 위치 유지부로 기능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실내기는 복수개 토출유닛(4)(5)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길게 위치되어 복수개 토출유닛(4)(5) 사이의 틈을 가리는 센터 바디(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터 바디(150)는 로어 바디(10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센터 바디(150)는 일부가 탑 커버(140) 하측에 위치될 수 있고, 센터 바디(150)는 로어 바디(100)와 탑 커버(140) 사이에서 복수개 토출유닛(4)(5) 사이의 틈을 차폐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b를 참조하면, 송풍기(2)는 케이싱(10)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송풍기(2)는 열교환기(19)의 일부와 마주보게 설치될 수 있다. 송풍기(2)는 열교환기(19)의 전방에 위치되게 설치될 수 있다. 송풍기(2)는 후방의 공기를 흡인하여 상측 방향으로 송풍할 수 있다.
송풍기(2)는 복수개 토출유닛(4)(5) 중 어느 하나(4)의 토출유로(44)로 공기를 송풍하는 제1토출부(22)와, 복수개 토출유닛(4)(5) 중 다른 하나(5)의 토출유로(54)로 공기를 송풍하는 제2토출부(24)를 포함한다. 송풍기(2)는 하나의 흡입부로 흡입된 공기를 제1토출부(22)와 제2토출부(24)로 분산 토출할 수 있다. 송풍기(2)는 복수개의 흡입부(21)(23)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개의 흡입부(21)(23) 중 제1흡입부(21)로 공기를 흡입한 후 제1토출부(22)로 송풍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흡입부(21)(23) 중 제2흡입부(23)로 공기를 흡입한 후 제2토출부(24)로 송풍할 수 있다. 송풍기(2)는 복수개의 흡입부(21)(23)를 포함할 경우, 공기가 제1흡입부(21)로 흡입된 후 제1토출부(22)로 토출되는 제1송풍유로와, 공기가 제2흡입부(23)로 흡입된 후 제2토출부(24)로 토출되는 제2송풍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2)는 복수개의 흡입부(21)(23)를 포함할 경우, 제1송풍유로에서 회전되는 제1블로워(25)와, 제1블로워(25)를 회전시키는 제1팬모터(26)를 포함할 수 있고, 제2송풍유로에서 회전되는 제2블로워(27)와, 제2블로워(27)를 회전시키는 제2팬모터(2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송풍기(2)는 제1팬모터(26)가 장착되고 제1블로워(25)를 둘러싸는 제1팬하우징(31)과, 제1팬하우징(31)과 결합되고 제1블로워(25)로 공기를 안내하는 제1흡입부(21)가 형성된 제1오리피스(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팬모터(26)는 제1팬모터 마운터(39)에 의해 제1팬하우징(31)에 장착될 수 있다.
송풍기(2)는 제2팬모터(28)가 장착되고 제2블로워(27)를 둘러싸는 제2팬하우징(33)과, 제2팬하우징(33)과 결합되고 제2블로워(27)로 공기를 안내하는 제2흡입부(23)가 형성된 제2오리피스(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팬모터(28)는 제2팬모터 마운터(40)에 의해 제2팬하우징(33)에 장착될 수 있다.
제2팬하우징(33)은 제1오리피스(32)의 상부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오리피스(34)는 제2팬하우징(33)의 후방에 결합될 수 있고, 제1팬하우징(31)은 제1오리피스(32)의 전방에 결합될 수 있다.
제1토출부(22)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팬하우징(31)과 제2팬하우징(33)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1팬하우징(31)은 배면이 개방된 제1프런트 덕트부(35)가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제2팬하우징(33)의 일부 전방에 배치될 수 있고, 제2팬하우징(33)은 제1프런트 덕트부(35)의 후방에 위치되고 후방으로 함몰 형성된 제1리어 덕트부(3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프런트 덕트부(35)와 제1리어 덕트부(36)는 제1블로워(25)에서 송풍된 공기를 제1토출유닛(4)으로 안내할 수 있다. 제1프런트 덕트부(35)가 제1리어 덕트부(36) 전방에 위치되게 제1팬하우징(31)과 제2팬하우징(33)이 결합되면, 제1프런트 덕트부(35)와 제1리어 덕트부(36)는 중공 원통 형상의 덕트부를 구성할 수 있다.
제2토출부(24)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팬하우징(33)과 제2오리피스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제2팬하우징(33)은 배면이 개방된 제2프런트 덕트부(37)가 전방 방향으로 돌출되어 제2 오리피스(34)의 일부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오리피스(34)는 제2프런트 덕트부(37)의 후방에 위치에 후방으로 함몰 형성된 제2리어 덕트부(38)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프런트 덕트부(37)와 제2리어 덕트부(38)는 제2블로워(27)에서 송풍된 공기를 제2토출유닛(5)으로 공기를 안내할 수 있다. 제2프런트 덕트부(37)가 제2리어 덕트부(38) 전방에 위치되게 제2팬하우징(33)과 제2오리피스(34)이 결합되면, 제2프런트 덕트부(37)와 제2리어 덕트부(38)는 중공 원통 형상의 덕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장착부, 필터유닛 및 이동가이더>
필터장착부(16)는, 케이싱의 후방에 배치되어, 필터유닛(17a, 17b)이 삽입되는 공간을 마련한다. 필터장착부(16)는, 전후방향으로 개구된 공기흡입구(16A)를 형성하고, 좌우방향으로 필터유닛(17a, 17b)이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필터장착부(16)는, 케이싱(10)과 하나의 구성으로 형성되거나, 별개의 구성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필터장착부(16)의 후방으로 이하에서 설명할 가이드레일(711)이 장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가이드레일(711)은, 필터장착부(16)의 중앙에서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필터장착부(16)에는, 공기 중에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온발생기는, 방전으로 공기 중의 분자를 이온화하는 전극(미도시)을 포함하고, 가이드레일(711)이 장착되는 부분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필터유닛(17a, 17b)은, 필터유닛이 공기흡입구(16a)에 배치될 때, 좌우로 형성되는 필터유닛의 폭방향으로 필터장착부재에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구조일 수 있다.
필터유닛(17a, 17b)은, 공기흡입구(16a)에 배치될 때, 필터청소기(72)가 이동가능한 면을 형성한다.
필터유닛(17a, 17b)은, 필터장착부(16)의 공기흡입구(16a) 좌측을 커버하는 제1필터유닛(17a), 필터장착부(16)의 공기흡입구(16a) 우측을 커버하는 제2필터유닛(17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필터유닛(17a)은, 공기흡입구(16a) 좌측을 커버하도록 배치되거나, 필터장착부(16)의 좌측면의 좌측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2필터유닛(17b)은, 공기흡입구(16a) 우측을 커버하도록 배치되거나, 필터장착부(16)의 우측면의 우측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필터유닛(17a)과 제2필터유닛(17b)이 모두 공기흡입구(16a)에 배치될 때, 필터청소기(72)가 이동가능한 면을 형성한다.
필터유닛(17a, 17b)은 공기흡입구(16a)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필터유닛(17a, 17b)은 공기흡입구(16a)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큰 먼지가 걸러지는 프리필터(18), 이온화부로 이온화된 공기 입자를 집진하여 공기를 여과하는 집진필터부(미도시), 및 공기 중의 냄새를 제거하는 탈취필터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유닛(17a, 17b)은, 프리필터(18)가 장착되는 면에서 수직리브(6221)와 수평리브(622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리브(6221)와 수평리브(6222)는 서로 격자형태를 형성하며, 필터유닛(17a, 17b)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다. 프리필터(18)는 메쉬형태로 이루어져, 필터유닛(17a, 17b)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크기가 큰 이물질을 걸러낼 수 있다.
필터유닛(17a, 17b)의 하단부는, 후판부(13)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유닛(17a, 17b)의 하단부는, 이하에서 설명할 필터청소기(72)가 가이드레일(71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는 이동범위에서 최하단에 배치될 때, 필터청소기(72)의 상단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필터장착부(16)에는, 가이드레일(711)의 좌측방향으로 제1필터유닛(17a)이 장착되고, 가이드레일(711)의 우측방향으로 제2필터유닛(17b)이 장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이동가이더(71)를 설명한다.
이동가이더(71)는, 필터청소기(72)의 케이싱(10) 후방에 배치되는 필터청소기(72)의 상하방향 이동을 가이드한다. 이동가이더(71)는, 필터청소기(72)의 케이싱(10) 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필터청소기(72)의 이동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이동가이더(71)은, 필터청소기(7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711), 가이드레일(711)를 따라 이동하는 필터청소기(72)의 상측이동을 제한하는 상측이동제한부(712), 및 가이드레일(711)를 따라 이동하는 필터청소기(72)의 하측이동을 제한하는 하측이동제한부(713)를 포함한다.
가이드레일(711)는 필터장착부(16)의 후방에 배치된다. 가이드레일(711)은, 필터장착부(16)의 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가이드레일(711)은 필터장착부(16)에 장착되는 한 쌍의 필터유닛(17a, 17b) 사이에 배치된다. 가이드레일(711)은, 필터장착부(16)의 상단으로부터 후판부(13)에 배치되는 하측이동제한부(713)까지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711)은, 필터유닛(17a, 17b)이 배치되는 필터장착부(16)의 후방으로 배치되는 상측가이드레일(711a)과, 상측가이드레일(711a) 하측으로 배치되고, 후판부(13)의 후방으로 배치되는 하측가이드레일(711b)을 포함할 수 있다.
상측가이드레일(711a)과 하측가이드레일(711b)은 별개의 구성을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상측가이드레일(711a)과 하측가이드레일(711b)이 하나의 구성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측가이드레일(711a)은 복수개로 구분될 수 있다.
하측가이드레일(711b)은, 후판부(13)의 후방으로 배치되고, 하측가이드레일(711b)의 길이는, 필터청소기(72)의 상하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711)은, 필터청소기(72)의 이동기어(725a, 725b, 도 12 참조)와 맞물리도록 나사산을 형성하는 기어레일(7111a, 7111b)과, 필터청소기(72)의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 도 12 참조)가 이동하는 롤러레일(7112a, 7112b)를 포함한다. 또한, 가이드레일(711)에는 필터청소기(72)에 연결되는 전원선(731)이 배치되는 가이드홈(7113)이 형성된다.
가이드레일(711)은, 필터장착부(16)와 마주하는 전면(711a)이 필터장착부(16)에 체결된다. 가이드레일(711)는 전면(711a)에 반대면인 후면(711b)에서, 가이드홈(7113)이 형성된다. 가이드레일(711)는, 전면(711a)과 후면(711b)을 연결하는 양측면에서 기어레일(7111a, 7111b)과 롤러레일(7112a, 7112b)가 형성된다.
기어레일(7111a, 7111b)은, 랙기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기어레일(7111a, 7111b)과 맞물리는 이동기어(725a, 725b)는 피니언기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기어레일(7111a, 7111b)은 필터유닛(17a, 17b)이 배치되는 부분에서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기어레일(7111a, 7111b)은, 가이드레일(711)의 양측면에서 형성될 수 있다. 기어레일(7111a, 7111b)은, 롤러레일(7112a, 7112b)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롤러레일(7112a, 7112b)는 가이드레일(711)의 후방단부에서 양측으로 돌출되는 리브구조를 가진다. 롤러레일(7112a, 7112b)는 기어레일(7111a, 7111b)보다 후방에서 배치된다. 롤러레일(7112a, 7112b)는, 기어레일(7111a, 7111b)에서 형성되는 나사산의 높이보다 양측방향으로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기어레일(7111a, 7111b)과, 롤러레일(7112a, 7112b)은 가이드레일(711)의 양측에서 배치되는 한 쌍이 구비된다. 한 쌍의 롤러레일(7112a, 7112b)는, 한 쌍의 기어레일(7111a, 7111b)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한 쌍의 롤러레일(7112a, 7112b)은, 한 쌍의 기어레일(7111a, 7111b) 각각보다 양측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를 후방에서 바라볼 때, 롤러레일(7112a, 7112b)에 의해 기어레일(7111a, 7111b)이 가려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롤러레일(7112a, 7112b)는 필터유닛(17a, 17b)이 배치되는 부분에서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롤러레일(7112a, 7112b)는 기어레일(7111a, 7111b)이 상하로 형성되는 길이와 같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7113)은, 필터청소기(72)과 연결되는 전원선(731)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가이드홈(7113)은 가이드레일(711)의 후면(7111b)에서 전방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가이드홈(7113)은 가이드레일(711)의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가이드홈(7113)은 전원선(731)의 두께보다 크게 형성된다.
상측이동제한부(712)는, 필터청소기(72)의 상측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상측이동제한부(712)는, 자력을 발생하는 자력발생부(7121)를 포함할 수 있다. 자력발생부(7121)는, 자력을 발생하는 영구자석이 사용될 수 있다. 자력발생부(7121)는, 가이드레일(711)의 상단으로부터 일정간격 하측으로 이격배치될 수 있다. 자력발생부(7121)는 가이드레일(711)의 가이드홈(7113)에 배치될 수 있다. 자력발생부(7121)는 필터청소기(72)의 홀센서(7212)가 자력을 감지할 수 있도록, 자력을 발생시킨다.
가이드레일(711)의 상단부로부터 자력발생부(7121)까지의 간격(H1)은, 필터청소기(72)의 상단에서 홀센서(7212)까지의 간격(H2)보다 길게 형성된다. 따라서, 필터청소기(72)의 상측이동시, 자력발생부(7121)와 홀센서(7212)에 의해 상측이동이 제한될 수 있다.
상측이동제한부(712)는 가이드레일(711) 상단에 배치되어, 필터청소기(72)의 상측이동을 제한하는 상단플레이트(7122)를 포함한다.
상단플레이트(7122)는 가이드레일(711)의 상단에 배치되어, 필터청소기(72)의 상단부와 맞닿을 수 있다. 상단플레이트(7122)는, 가이드레일(711)의 상단에서 가이드레일(711)과 수직한 면을 형성하여, 필터청소기(72)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하측이동제한부(713)는 가이드레일(711) 하단에 배치되어, 필터청소기(72)의 하측이동을 제한하는 하단플레이트(7131)를 포함한다. 하단플레이트(7131)는 가이드레일(711)의 하단에 배치되어, 필터청소기(72)의 하부와 맞닿을 수 있다. 하단플레이트(7131)는 필터청소기(72)의 하단감지센서(7210)와 접촉할 수 있다.
하단플레이트(7131)는, 가이드레일(711)의 상단에서 가이드레일(711)과 수직한 면을 형성한다. 하단플레이트(7131)는, 후판부(13)에 형성되는 후방돌출커버(13a)의 상측에 배치된다.
하단플레이트(7131)는, 가이드레일(711)의 양측면에 배치되는 가이드레일(711)보다 양측방향으로 돌출되는 구조를 가진다. 다만, 하단플레이트(7131)에는, 가이드레일(711)에 형성되는 가이드홈(7113)의 하측방향으로 전원선(731)이 관통하는 하단플레이트홈(7131a)이 형성된다. 하단플레이트홈(7131a)은 가이드홈(7113)의 하측으로 형성된다. 하단플레이트홈(7131a)은, 가이드홈(7113)과, 후판부(13)의 후방돌출커버(13a)의 상측에 형성되는 전원선홀(13h)을 연결한다.
가이드레일(711)은, 별도의 체결수단(미도시)으로, 필터장착부(16) 후방에 체결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711)에는, 별도의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형성되는 체결홈(7114)이 형성된다. 체결홈(7114)은 가이드레일(711)의 후방에 형성된 가이드홈(7113)에서 전방방향으로 형성된다. 가이드레일(711)에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체결홈(7114)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711)에는 방전으로 공기 중의 분자를 이온화하는 전극(미도시)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전극홀(7115)이 형성될 수 있다. 전극홀(7115)은, 가이드레일(711)의 후방에 형성된 가이드홈(7113)에서 전방방향으로 형성된다. 전극홀(7115)에는, 전극이 배치될 수 있다. 전극은, 가이드홈(7113)의 외측방향으로 돌출되지 않게 배치될 수 있다. 전극은, 가이드레일(711)의 가이드홈(7113)에 배치되는 전원선(731)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돌출될 수 있다.
<필터청소기>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청소기를 설명한다.
필터청소기(72)는, 케이싱(10)의 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배치된다. 필터청소기(72)는, 가이드레일(711)을 따라 상하로 이동하며, 필터유닛(17a, 17b)의 프리필터(18)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도 8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하는 필터청소기(72)는, 필터청소기(72)가 필터장착부(16)의 후방에 배치될 때를 기준으로 전, 후, 좌, 우, 상, 하방향을 설명한다. 따라서, 기준이 변경되면, 상기의 방향관계도 다르게 설명될 수 있다. 이는 필터청소기(72)를 설명의 용이를 위한 것으로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필터청소기(72)는 외형을 형성하는 하우징(721, 722), 하우징(721, 722)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하우징(721, 722)를 이동시키는 이동기어(725a, 725b), 하우징(721, 722) 내측에 배치되어, 이동기어(725a, 725b)를 회전시키는 기어모터(7251a, 7251b), 하우징(721, 722)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하우징(721, 722)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 하우징(721, 722)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회전으로 필터유닛(17a, 17b)에 끼인 이물질을 털어내는 에지테이터(723a, 723b), 에지테이터(723a, 723b)를 회전시키는 에지테이터모터(7233), 에지테이터(723a, 723b)의 회전으로 필터유닛(17a, 17b)에서 분리된 이물질이 수용되는 먼지통(727), 하우징(721, 722) 내측에 배치되고, 먼지통(727)이 삽입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연결하우징(728), 에지테이터(723a, 723b)의 회전으로 필터유닛(17a, 17b)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먼지통(727) 방향으로 흡입하는 흡입팬(729) 및 흡입팬(729)을 작동시키는 흡입팬모터(7291)를 포함한다.
필터청소기(72)는 연결하우징(728)과 흡입팬(729)을 연결시키는 흡입팬연결관(729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721, 722)은, 필터청소기(72)의 외형을 형성한다. 하우징(721, 722)은, 이동가이더(71)에 장착될 때, 필터유닛(17a, 17b)을 향하도록 배치되는 베이스커버(721), 베이스커버(721)의 후방으로 배치되고, 베이스커버(721)와 결합으로 내측에 먼지통(727)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외측커버(722)를 포함한다.
베이스커버(721)는, 필터유닛(17a, 17b)과 평행한 판형상을 가질 수 있다. 필터청소기(72)가 필터유닛(17a, 17b)의 후방에서 이동할 때, 베이스커버(721)가 필터유닛(17a, 17b)로부터 이격된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베이스커버(721)에는, 필터청소기(72)가 가이드레일(711)에 이동가능하게 배치될 때, 가이드레일(711)이 삽입되는 가이드레일홈(7211)이 형성된다. 베이스커버(721)는, 전체적으로, 판형의 형상을 가지고, 가이드레일홈(7211)이 형성되는 부분과, 에지테이터홈(7213a, 7213b)이 형성되는 부분에서 오목부를 형성할 수 있다. 가이드레일홈(7211)은 베이스커버(721)를 좌우로 구분하는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홈(7211)에는, 베이스커버(721)에 장착되는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와 이동기어(725a, 725b)의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홈(7211)은 베이스커버(721)에 상하방향으로 형성된다. 가이드레일홈(7211)에는, 가이드레일(711)에 배치되는 자력발생부(7121)의 자력을 감지하는 홀센서(7212)가 배치된다. 홀센서(7212)는 자력발생부(7121)의 자력을 감지할 때,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홀센서(7212)가 자력발생부(7121)의 자력을 감지할 때, 필터청소기(72)는 이동을 정지할 수 있다.
베이스커버(721)에는 에지테이터(723a, 723b)가 배치되는 에지테이터홈(7213a, 7213b)이 형성된다. 베이스커버(721)에는 가이드레일홈(7211)의 좌측과 우측으로 한 쌍의 에지테이터홈(7213a, 7213b)이 형성된다. 베이스커버(721)에는, 가이드레일홈(7211)의 좌측에 제1에지테이터홈(7213a)이 형성되고, 가이드레일홈(7211)의 우측에 제2에지테이터홈(7213b)이 형성된다.
한 쌍의 에지테이터홈(7213a, 7213b) 각각은, 베이스커버(721)로부터 후방방향으로 오목한 홈을 형성한다. 베이스커버(721)는, 에지테이터홈(7213a, 7213b)을 형성하는 부분에서, 베이스커버(721)로부터 후방방향으로 오목한 홈을 형성하는 에지테이터 둘레면(72131)을 포함한다. 베이스커버(721)는, 에지테이터홈(7213a, 7213b)을 형성하는 부분에서, 에지테이터(723a, 723b)의 외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에지테이터 둘레면(72131)과, 에지테이터(723a, 723b)가 회전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면(72134)을 포함한다.
에지테이터 둘레면(72131)은 후방방향으로 볼록한 ‘U’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에지테이터 둘레면(72131)의 일측에는, 먼지통(727)과 연통하도록 형성된 연통홀(72132a, 72132b)이 형성된다. 연통홀(72132a, 72132b)은, 에지테이터 둘레면(72131)의 좌우방향으로 배치된다. 연통홀(72132a, 72132b)은, 에지테이터(723a, 723b)의 회전축을 따라 형성되는 에지테이터(723a, 723b)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연통홀(72132a, 72132b)은 에지테이터 둘레면(72131)에서 하측방향으로 형성된다.
에지테이터 둘레면(72131)의 일측에는 에지테이터(723a, 723b)의 블레이드(7232)에 붙은 이물질을 털어내는 더스터(72135a, 72135b)가 배치될 수 있다. 더스터(72135a, 72135b)는 에지테이터 둘레면(72131)에서 연통홀(72132a, 72132b)의 일측에 배치된다. 더스터(72135a, 72135b)는 에지테이터 둘레면(72131)에서 연통홀(72132a, 72132b)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더스터(72135a, 72135b)는 에지테이터(723a, 723b)가 회전할 때, 에지테이터(723a, 723b)의 블레이드(7232)와 마찰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더스터(72135a, 72135b)는 에지테이터(723a, 723b)와 마찰을 통해 에지테이터(723a, 723b)에 붙은 이물질을 털어낼 수 있다.
더스터(72135a, 72135b)는 에지테이터 둘레면(72131)에서 에지테이터(723a, 723b)가 배치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더스터(72135a, 72135b)는 톱니형상을 가지며, 연통홀(72132a, 72132b)의 일측에서 배치된다. 더스터(72135a, 72135b)는, 연통홀(72132a, 72132b)과 같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더스터(72135a, 72135b)는 에지테이터(723a, 723b)의 회전방향을 기준으로 연통홀(72132a, 72132b)의 후단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에지테이터홈(7213a, 7213b)은 베이스커버(721)의 상부에 형성된다. 한 쌍의 에지테이터홈(7213a, 7213b) 각각은,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 및 이동기어(725a, 725b)보다 상측에 배치된다.
필터청소기(72)는, 한 쌍의 에지테이터홈(7213a, 7213b)의 일측에 배치되어, 필터유닛(17a, 17b)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한 쌍의 사이드브러쉬부(724a, 724b)를 더 포함한다. 베이스커버(721)에는 한 쌍의 에지테이터홈(7213a, 7213b)의 일측에 한 쌍의 사이드브러쉬부(724a, 724b)가 배치된다. 한 쌍의 사이드브러쉬부(724a, 724b)는 에지테이터홈(7213a, 7213b)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브러쉬부(724a, 724b)는, 필터유닛(17a, 17b)에서, 가이드레일(711)로부터 원거리에 배치된 영역의 이물질을 털어낼 수 있다.
한 쌍의 사이드브러쉬부(724a, 724b)는, 제1에지테이터홈(7213a)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사이드브러쉬부(724a)와, 제2에지테이터홈(7213b)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사이드브러쉬부(724b)로 구분될 수 있다. 제1사이드브러쉬부(724a)는, 가이드레일홈(7211)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에지테이터홈(7213a)의 좌측에 배치되고, 제2사이드브러쉬부(724b)는, 가이드레일홈(7211)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에지테이터홈(7213b)의 우측에 배치된다. 제1사이드브러쉬부(724a)와, 제2사이드브러쉬부(724b) 각각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길이는, 제1에지테이터홈(7213a)과, 제2에지테이터홈(7213b)이 상하방향으로 형성하는 길이와 같거나 작게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브러쉬(7241)는, 제1에지테이터홈(7213a)과, 제2에지테이터홈(7213b)이 상하방향으로 형성하는 길이와 같거나 작은 범위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커버(721)에는 필터청소기(72)를 이동시키는 이동기어(725a, 725b)와, 필터청소기(72)를 필터유닛(17a, 17b) 측으로 밀착시키는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가 배치된다. 이동기어(725a, 725b)는 베이스커버(721)의, 외측커버(722)를 향하는, 내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는 베이스커버(721)의, 필터유닛(17a, 17b)을 향하는, 외측면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동기어(725a, 725b)는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이동기어(725a, 725b)는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보다 필터유닛(17a, 17b)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베이스커버(721)에는,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가 배치되는 부분에서 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가이드롤러 홈부(7214)가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커버(721)에는, 가이드레일(711)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기어레일(7111a, 7111b)에 맞물리는 한 쌍의 이동기어(725a, 725b)가 배치된다. 가이드레일홈(7211)의 좌측과 우측에 각각 배치되는 한 쌍의 이동기어(725a, 725b)는 일부가 가이드레일홈(7211)에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베이스커버(721)의 가이드레일홈(7211)에는, 이동기어(725a, 725b)의 일부가 관통되는 이동기어홀(7211a)이 형성된다.
베이스커버(721)에는 가이드레일(711)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롤러레일(7112a, 7112b)에 각각 접촉되는 복수의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가 배치된다. 복수의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는, 이동기어(725a, 725b)의 상측에서 한 쌍이 배치되고, 이동기어(725a, 725b)의 하측에서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필터청소기(72)는, 필터유닛(17a, 17b)에 접촉하여 필터청소기(72)의 상하이동을 보조하는 보조롤러(7215a, 7215b)를 포함한다. 베이스커버(721)에는, 필터유닛(17a, 17b)에 접촉하며, 회전하는 보조롤러(7215a, 7215b)가 배치된다. 보조롤러(7215a, 7215b)는 베이스커버(721)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보조롤러(7215a, 7215b)는 필터유닛(17a, 17b)이 형성하는 면과 평행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게 배치된다.
보조롤러(7215a, 7215b)는, 필터장착부(16)의 좌측에 배치되는 필터유닛(17a, 17b)과 접촉되어 회전하는 제1보조롤러(7215a)와, 필터장착부(16)의 우측에 배치되는 필터유닛(17a, 17b)과 접촉되어 회전하는 제2보조롤러(7215b)를 포함한다. 제1보조롤러(7215a)와, 제2보조롤러(7215b) 각각은, 가이드레일홈(7211)에서 좌우방향으로 동일한 간격으로 이격배치될 수 있다. 제1보조롤러(7215a)와, 제2보조롤러(7215b)는, 필터장착부(16) 후방에 좌우로 배치된 필터유닛(17a, 17b)의 수직리브(6221)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베이스커버(721)에는, 필터청소기(72)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731)을 고정하는 전원선고정부(7217)가 배치된다. 베이스커버(721)에는 전원선(731)과 연결되는 전원부단자(7216)가 배치되는 전원부단자홈(7216a)이 형성되고, 전원부단자(7216)에 연결되는 전원선의 배치를 고정하는 전원선고정부(7217)가 배치된다.
전원선고정부(7217)는, 가이드레일(711)을 따라 이동하는 필터청소기(72)에 연결되는 전원선(731)이 가이드레일(711)과 필터유닛(17a, 17b)과 접촉 또는 간섭되는 것을 방지한다. 전원선고정부(7217)는, 필터유닛(17a, 17b) 또는 가이드레일(711)과 마주하는 부분에서, 전원선(731)을 베이스커버(721) 내측으로 고정한다. 전원선고정부(7217)는, 전원선(731)이 가이드홈(7113) 내측을 따라 배치되도록 고정한다.
전원선고정부(7217)는, 전원선(731)이 필터유닛(17a, 17b)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필터측고정부(72171, 72172), 전원선(731)이 가이드레일(711) 방향으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레일측고정부(72173), 전원선(731)이 가이드레일(711)의 가이드홈(7113) 내부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되게 하는 가이드홈고정부(72174)를 포함한다.
필터측고정부(72171, 72172)는, 전원부단자홈(7216a)에서 가이드레일홈(7211) 방향으로 연장되며 전원선(731)이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필터측고정홈(72171)과, 필터측고정홈(72171)에 배치되는 전원선(731)을 고정시키는 필터측고정돌기(72172)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측고정홈(72171)은, 전원부단자홈(7216a)으로부터 가이드레일홈(7211) 방향으로 수평하게 연장될 수 있다. 필터측고정홈(72171)은, 베이스커버(721)의 필터유닛(17a, 17b)에 대향하게 배치되는 면에서 형성된다. 필터측고정돌기(72172)는, 필터측고정홈(72171)의 전방단부에서 돌출형성된다.
레일측고정부(72173)는, 가이드레일홈(7211)의 일측면에 형성되어, 전원선(731)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레일측고정홈(72173a, 72173b)과, 레일측고정홈(72173a, 72173b)에 배치되는 전원선을 고정하는 레일측고정돌기(72173c)를 포함한다.
레일측고정홈(72173a, 72173b)은, 필터측고정부(72171, 72172)에서 연결되고, 가이드레일(711)의 측면방향에 형성된 기어레일(7111a, 7111b)과, 롤러레일(7112a, 7112b)에 대향하는 부분에서 전원선을 고정하는 수직고정홈(72173a)과, 수직고정홈(72173a)에서 연결되고, 가이드레일(711)의 가이드홈(7113)이 형성되는 후방면에 대향하는 부분에서 전원선을 고정하는 수평고정홈(72173b)를 포함한다.
수직고정홈(72173a)은, 필터측고정홈(72171)과 수직하게 형성되고, 가이드레일(711)의 측면에 대향하는 가이드레일홈(7211)에서 가이드레일(711)이 배치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홈을 형성한다. 수직고정홈(72173a)에 형성되는 레일측고정돌기(72173c)는, 수직고정홈(72173a)의 단부에서 돌출되어, 전원선(731)이 수직고정홈(72173a)에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한다.
수평고정홈(72173b)은, 수직고정홈(72173a)에 수직하고, 필터측고정홈(72171)에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어, 전원선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레일측고정부(72173)는, 가이드레일(711)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기어레일(7111a, 7111b)과, 롤러레일(7112a, 7112b)과 전원선(731)의 접촉을 방지한다. 레일측고정홈(72173a, 72173b)은, 가이드레일홈(7211)의 일측면에서 내측방향으로 홈을 형성한다. 가이드레일홈(7211)은 가이드레일홈(7211)의 일측면과, 후방면에서, 가이드레일(711)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홈을 형성한다. 레일측고정돌기(72173c)는, 레일측고정홈(72173a, 72173b)을 따라 배치되는 전원선이 외부로 돌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가이드홈고정부(72174)는, 레일측고정홈(72173b)에서 가이드홈(7113)방향(전방방향)으로 돌출되는 전원선(731)을 가이드홈(7113)의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고정한다.
가이드홈고정부(72174)는, 가이드홈(7113)에 배치되는 전원선(731)을 하측방향으로 연장되도록 고정한다. 가이드홈고정부(72174)는, 가이드레일홈(7211)의 후방면에서 가이드레일(711)의 가이드홈(7113)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가이드홈고정부(72174)는, 후방돌출커버(13a)에 형성되는 전원선홀(13h)의 상측으로 배치된다.
필터청소기(72)가 가이드레일(711)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때, 가이드홈고정부(72174)는 후방돌출커버(13a)에 형성되는 전원선홀(13h)의 상측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필터청소기(72)가 가이드레일(711)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더라도, 전원선(731)은 가이드홈(7113)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홈고정부(72174)는 전원선(731)을 좌우방향을 고정하고, 하측으로 연장되도록 전원선(731)을 고정하는 한 쌍의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홈고정부(72174)는, 레일측고정부(72173)를 통해 가이드레일홈(7211)의 내측으로 수용된 전원선을 가이드홈(7113)이 연장되는 방향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필터청소기(72)에 연결되는 전원선(731)은, 전원선고정부(7217)에 의해 필터유닛(17a, 17b)과, 가이드레일(711)에 간섭되지 않게 가이드레일(711)의 가이드홈(7113)에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커버(721)에는 에지테이터(723a, 723b)에 의해 발생하는 진동을 완하하는 에지테이터 하측홈(7218a, 7218b)이 형성된다. 에지테이터 하측홈(7218a, 7218b)은, 한 쌍의 에지테이터홈(7213a, 7213b)의 하측으로 형성된다. 에지테이터 하측홈(7218a, 7218b)은, 에지테이터홈(7213a, 7213b)에 형성되는 둘레면(72131)의 하측으로 공간을 형성한다.
에지테이터 하측홈(7218a, 7218b)은, 한 쌍의 에지테이터홈(7213a, 7213b)의 하측으로 공간을 형성하여, 에지테이터(723a, 723b)의 작동으로 발행하는 진동이 베이스커버(721)의 하부영역으로 전달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다.
외측커버(722)는, 베이스커버(721)의 후방측에 배치된다. 외측커버(722)는 베이스커버(721)와 결합하여, 내측에 필터청소기(72)의 구성이 배치될 수 있도록, 후방으로 볼록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외측커버(722)는 필터청소기(72)의 상측을 커버하는 상면(7221), 필터청소기(72)의 하측을 커버하는 하면(7222) 및 상면(7221)과 하면(7222) 사이에 배치되어, 볼록한 곡면을 형성하는 둘레면(7223, 7224a, 7224b)을 포함할 수 있다. 둘레면(7223, 7224a, 7224b)은, 후방을 향해 배치되고, 곡면을 형성하는 후방면(7223)과, 후방면(7223)의 양단부에서 절곡되어, 전방으로 연장되는 양측면(7224a, 7224b)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측커버(722)의 상면(7221)은 에지테이터(723a, 723b)가 배치되는 에지테이터 둘레면(7223, 7224a, 7224b)의 상측을 커버한다. 외측커버(722)의 상면(7221)에는, 가이드레일(711)이 수용되는 상측홈(7221a)이 형성된다. 상측홈(7221a)은, 가이드레일홈(7211)의 상측에 형성되고, 가이드레일홈(7211)과 동일한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외측커버(722)의 둘레면(7223, 7224a, 7224b)에는 먼지통(727)이 삽입되는 먼지통삽입홀(8225)이 형성된다. 먼지통삽입홀(7225)은 외측커버(722)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먼지통삽입홀(7225)은, 외측커버(722)의 둘레면(7223, 7224a, 7224b)에서, 좌측 또는 우측방향으로 개구면을 형성하여, 사용자에 의한 먼지통 인입이나 인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먼지통삽입홀(7225)은, 둘레면(7223, 7224a, 7224b)의 양측면(7224a, 7224b) 중 하나의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먼지통삽입홀(7225)은, 양측면(7224a, 7224b) 중 좌측면(7224a)에 형성된다. 다만, 이는 하나의 실시예로써, 먼지통삽입홀(7225)이 양측면(7224a, 7224b) 중 우측면(7224b)에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외측커버(722)의 하면(7222)에는, 흡입팬(729)의 작동으로 필터청소기(72)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가 배출되는 커버배출구(7222b)가 형성된다. 외측커버(722)의 하면(7222)에는, 가이드레일(711)이 수용되는 하측홈(7222a)이 형성된다. 하측홈(7222a)은 가이드레일홈(7211)의 하측에 형성되고, 가이드레일홈(7211)의 단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필터청소기(72)에는, 필터청소기(72)가 이동가이더(71)의 하측에 배치되는 하단플레이트(7131)와의 접촉을 감지하는 하단감지센서(721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단감지센서(7210)는, 필터청소기(72)의 하측단부에 배치된다. 하단감지센서(7210)는, 배치의 변경으로 충격을 감지하는 감지레버(72101)를 포함한다. 하단감지센서(7210)의 감지레버(72101)는, 필터청소기(72)의 하측으로 돌출배치된다. 감지레버(72101)의 단부는, 외측커버(722) 하면(7222)에 형성되는 하측홈(7222a)에 배치된다. 감지레버(72101)의 단부는, 하측홈(7222a)으로 노출되게 배치된다. 따라서, 필터청소기(72)가 하측으로 이동할 때, 감지레버(72101)의 단부가 먼저 하단플레이트(7131)와 먼저 접촉할 수 있다.
이동기어(725a, 725b)는, 가이드레일(711)의 기어레일(7111a, 7111b)과 맞물린다. 이동기어(725a, 725b)는 기어레일(7111a, 7111b)과 맞물려 회전하고, 회전으로 필터청소기(72)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동기어(725a, 725b)는, 둘레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톱니바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동기어(725a, 725b)는 피니언기어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기어(725a, 725b)는, 가이드레일(711)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기어레일(7111a, 7111b)과 각각 맞물리도록 한 쌍이 구비될 수 있다. 이동기어(725a, 725b)는 가이드레일홈(7211) 좌측에 배치되는 제1이동기어(725a)와, 가이드레일홈(7211) 우측에 배치되는 제2이동기어(725b)로 구분될 수 있다.
제1이동기어(725a)와 제2이동기어(725b) 각각은, 베이스커버(721)의 내측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된다. 제1이동기어(725a)와 제2이동기어(725b) 각각은, 필터유닛(17a, 17b)이 형성하는 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제1이동기어(725a)와 제2이동기어(725b) 각각은, 가이드레일홈(7211)으로부터 좌우방향으로, 동일한 간격 이격배치될 수 있다.
제1이동기어(725a)와 제2이동기어(725b) 각각은, 가이드레일홈(7211)에 형성되는 이동기어홀(7211a)을 통해, 일부가 가이드레일홈(7211)에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홈(7211)으로 노출된 제1이동기어(725a)와 제2이동기어(725b) 각각은, 가이드레일(711) 양측면에 형성된 기어레일(7111a, 7111b) 각각과 맞물리게 배치될 수 있다.
기어모터(7251a, 7251b)는 하우징(721, 722) 내측에 배치된다. 기어모터(7251a, 7251b)는 베이스커버(721)의 내측면에 장착된다. 기어모터(7251a, 7251b)는 이동기어(725a, 725b)로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기어모터(7251a, 7251b)는 한 쌍의 이동기어(725a, 725b) 각각에 연결되는 한 쌍의 기어모터(7251a, 7251b)를 포함한다.
제1이동기어(725a)에 연결되는 제1기어모터(7251a)와, 제2이동기어(725b)에 연결되는 제2기어모터(7251b)를 포함한다. 제1기어모터(7251a) 및 제2기어모터(7251b) 각각은, 제1이동기어(725a)와, 제2이동기어(725b)를 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제1기어모터(7251a) 및 제2기어모터(7251b) 각각은, 제1이동기어(725a)와, 제2이동기어(725b)를 동일한 속도롤 회전시킨다.
필터청소기(72)는, 기어모터(7251a, 7251b)의 회전력을 이동기어(725a, 725b)로 전달하는 별도의 연결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기어(7252a, 7252b)는 기어모터(7251a, 7251b)에 연결되어, 회전하고, 이동기어(725a, 725b)와 맞물려, 이동기어(725a, 725b)를 회전시킬 수 있다.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는 가이드레일(711)의 롤러레일(7112a, 7112b)에 접촉한다.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는, 롤러레일(7112a, 7112b)에 접촉하여, 필터청소기(72)의 이동을 보조하고, 필터청소기(72)가 가이드레일(711)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는, 필터청소기(72)를 필터유닛(17a, 17b) 측으로 밀착시킨다. 여기서, “밀착시킨다.”의 의미는, 필터청소기(72)의 적어도 일부분이 필터유닛(17a, 17b)과 접촉하도록 배치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가 필터청소기(72)의 에지테이터(723a, 723b)의 일부분이 필터유닛(17a, 17b)과 접촉하도록 배치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가 필터청소기(72)를 필터유닛(17a, 17b) 측으로 밀착시킬 때, 베이스커버(721)와 필터유닛(17a, 17b)이 일정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는, 이동기어(725a, 725b)의 회전축과 나란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한다.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는, 베이스커버(721)의 외면에 배치된다.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는, 베이스커버(721)의 외면이 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된 가이드롤러 홈부(7214)에 배치된다.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는, 이동기어(725a, 725b)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는, 이동기어(725a, 725b)의 상측과 하측에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는, 이동기어(725a, 725b)의 상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상부가이드롤러(726a1, 726a2)와, 이동기어(725a, 725b)의 하측에 배치되는 한 쌍의 하부가이드롤러(726b1, 726b2)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는, 이동기어(725a, 725b)의 상하 방향에 배치되어, 이동기어(725a, 725b)에 필터청소기(72)의 하중이 작용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동기어(725a, 725b)가 가이드레일홈(7211)의 좌측단부(7211a) 또는 우측단부(7211b)로부터 가이드레일홈(7211)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길이(Dp1)는,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가 가이드레일홈(7211)의 좌측단부(7211a) 또는 우측단부(7211b)로부터 가이드레일홈(7211)의 중심방향으로 돌출된 길이(Dp2)보다 크게 형성된다.
한 쌍의 이동기어(725a, 725b) 사이의 간격(G1)은, 좌우로 배치되는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 사이의 간격(G2)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에지테이터(723a, 723b)는, 하우징(721, 722)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에지테이터(723a, 723b)는 좌우방향으로 형성되는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에지테이터(723a, 723b)는 필터유닛(17a, 17b)의 외측에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에지테이터(723a, 723b)는 회전으로 필터유닛(17a, 17b)에 끼인 이물질을 털어낼 수 있다.
에지테이터(723a, 723b)는, 필터청소기(72)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에지테이터(723a)와, 필터청소기(72)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에지테이터(723b)를 포함한다. 제1에지테이터(723a)는 가이드레일홈(7211)의 좌측에 형성되는 제1에지테이터홈(7213a)에 배치된다. 제2에지테이터(723b)는 가이드레일홈(7211)의 우측에 형성되는 제2에지테이터홈(7213b)에 배치된다.
제1에지테이터(723a)와 제2에지테이터(723b) 각각은, 필터유닛(17a, 17b)의 외측면과 평행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회전바(7231)와, 회전바(7231)의 외둘레면에서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블레이드(7232)를 포함한다.
회전바(7231)는 양단부가 에지테이터홈(7213a, 7213b)의 장착면(72134)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고, 일단부는 에지테이터(723a, 723b)를 회전시키는 에지테이터모터(7233)에 연결될 수 있다. 필터청소기(72)는, 에지테이터모터(7233)의 회전력을 에지테이터(723a, 723b)로 전달하는 에지테이터기어(72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에지테이터기어(7234)는, 한 쌍의 에지테이터(723a, 723b) 각각으로 에지테이터모터(7233)의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복수개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7232)는 회전바(7231)의 둘레면을 따라 배치된다. 복수의 블레이드(7232)는 회전바(7231)의 둘레면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배치된다. 복수의 블레이드(7232)는, 회전바(7231)의 길이방향과 원주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7232)는 필터유닛(17a, 17b) 방향으로 배치될 때, 필터유닛(17a, 17b)과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에지테이터(723a, 723b)가 회전할 때, 블레이드(7232)의 단부는 필터유닛(17a, 17b)의 외측면에 맞닿을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7232)는 필터유닛(17a, 17b) 방향으로 배치될 때, 필터유닛(17a, 17b)과 접촉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7232)는 회전바(7231)가 회전할 때, 필터유닛(17a, 17b)과 접촉할 수 있다. 복수의 블레이드(7232)는 회전바(7231)가 회전할 때, 에지테이터홈(7213a, 7213b)에서 내측으로 돌출형성된 더스터(72135a, 72135b)와 접촉할 수 있다.
회전바(7231)가 회전할 때, 복수의 블레이드(7232)는, 필터유닛(17a, 17b)과 접촉하여 필터유닛(17a, 17b)에 끼인 이물질을 털어낼 수 있다. 회전바(7231)가 회전할 때, 복수의 블레이드(7232)는, 더스터(72135a, 72135b)와 접촉하여 복수의 블레이드(7232)에 묻은 이물질을 털어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청소기(72)는, 에지테이터(723a, 723b)의 일측에 배치되어, 필터유닛(17a, 17b) 외측의 청소하는 사이드브러쉬부(724a, 724b)를 포함한다. 사이드브러쉬부(724a, 724b)는, 에지테이터(723a, 723b)의 일측에서 필터유닛(17a, 17b)의 단부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사이드브러쉬부(724a, 724b)는, 제1에지테이터(723a)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사이드브러쉬부(724a)와, 제2에지테이터(723b)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2사이드브러쉬부(724b)를 포함한다. 제1사이드브러쉬는, 제1에지테이터(723a)의 좌측에 배치된다. 제2사이드브러쉬(7241)는 제2에지테이터(723b)의 우측에 배치된다.
제1사이드브러쉬부(724a) 및 제2사이드브러쉬부(724b) 각각은, 전방방향으로 돌출되어, 필터유닛(17a, 17b)의 외측에 접촉되는 복수의 브러쉬(7241)를 포함한다. 복수의 브러쉬(7241)는, 제1사이드브러쉬부(724a) 및 제2사이드브러쉬부(724b) 각각이 형성되는 부분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사이드브러쉬부(724a)와, 제2사이드브러쉬부(724b) 각각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된 길이는, 제1에지테이터(723a)와 제2에지테이터(723b) 각각의 직경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먼지통(727)은 연결하우징(728)에 형성되는 먼지통삽입부(7281)로 삽입되어, 에지테이터(723a, 723b)로 필터유닛(17a, 17b)에서 분리된 이물질을 수용한다. 먼지통(727)은, 필터청소기(72)의 측면에 형성된 먼지통삽입홀(7225)을 통해, 연결하우징(728)에 형성되는 먼지통삽입부(7281)에 장착될 수 있다.
먼지통(727)은 상측 또는 하측에서 바라볼 때, 후방으로 볼록한 형태의 곡면형상을 가진다. 먼지통(727)은 필터유닛(17a, 17b)의 후방에 배치되는 필터청소기(72)의 측면으로 삽입되고, 후방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진다.
먼지통삽입홀(7225)은, 필터청소기(72)의 측면에 형성되고, 먼지통(727)은, 후방으로 볼록한 형태를 가짐으로써, 캐비닛의 후방측에 배치되는 먼지통(727)은 전방방향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실내기의 전방 또는 측방면에서 먼지통(727)을 용이하게 인출하거나 삽입할 수 있게 한다.
먼지통(727)은, 먼지통삽입부(7281)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삽입시단부(727a)에서 삽입종단부(727b)로 갈수록 단면적이 증가한다. 도 23를 참조하면, 먼지통(727)의 삽입시단부(727a)의 상하방향의 길이(Dv1)는 먼지통(727)의 삽입종단부(727b)의 상하방향의 길이(Dv2)보다 짧게 형성된다. 도 21를 참조하면, 먼지통(727)의 삽입시단부(727a)의 전후방향의 길이(Dl1)는 먼지통(727)의 삽입종단부(727b)의 전후방향의 길이(Dl2)와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시단부(727a)는, 먼지통(727)이 필터청소기(72)의 일측으로 삽입될 때, 가장 먼저 먼지통삽입홀(7225)을 지나는 부분이고, 삽입종단부(727b)는, 가장 마지막으로 먼지통삽입홀(7225)에 삽입되는 부분을 의미할 수 있다.
먼지통(727)은 상측방향으로 공기를 흡입하는 먼지통 흡입구(72711a, 72711b)가 형성되고, 하측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먼지통 토출구(72741)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먼지통 흡입구(72711a, 72711b)는, 한 쌍의 에지테이터홈(7213a, 7213b) 각각과 연결되도록 한 쌍이 형성될 수 있다.
먼지통 흡입구(72711a, 72711b)의 크기는, 먼지통삽입부(7281)에 형성되는 먼지통삽입부 상측홀(72816a, 72816b)의 크기와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먼지통(727)이 먼지통삽입부(7281)에 삽입될 때, 먼지통 흡입구(72711a, 72711b)의 양단부(72711a1, 72711b1)는, 먼지통삽입부(7281)에 형성되는 먼지통삽입부 상측홀(72816a, 72816b)의 양측단부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먼지통 토출구(72741)의 크기는, 먼지통삽입부(7281)에 형성되는 먼지통삽입부 하측홀(72813a)의 크기와 같게 형성될 수 있다. 먼지통(727)이 먼지통삽입부(7281)에 삽입될 때, 먼지통토출구(72741)의 양측단부(72741a, 72741b)는, 먼지통삽입부(7281)에 형성되는 먼지통삽입부 하측홀(72813a)의 양측단부(72741a, 72741b)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먼지통(727)은, 이물질을 수용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먼지통바디(7272), 먼지통바디(7272)의 상측에 배치되고, 먼지통 흡입구(72711a, 72711b)가 형성된 상측커버(7271), 먼지통바디(7272)의 하측에 배치되고, 토출구(72741)가 형성된 하측커버(7274)를 포함한다. 먼지통(727)은, 하측커버(7274)에 배치되어, 토출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먼지통필터(72742)를 포함한다. 먼지통(727)은, 먼지통필터(72742)가 장착되고, 하측커버(7274)에 수용되는 먼지통필터장착부(7274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먼지통(727)은, 먼지통(727)이 필터청소기(72) 내부로 삽입될 때, 하우징(721, 722)의 일측에서 노출되는 노출부(727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측커버(7271)는, 먼지통(727)의 상면을 커버한다. 상측커버(7271)에는 상측방향으로 개구된 한 쌍의 먼지통 흡입구(72711a, 72711b)가 형성된다. 상측커버(7271)는 후방으로 볼록한 형태를 가진다. 상측커버(7271)는, 먼지통(727)의 삽입시단부에서 하측으로 절곡되어, 먼지통바디(7272)의 단부를 커버하는 절곡부(72712)를 포함할 수 있다.
먼지통바디(7272)는, 상측으로 상측커버(7271)와 결합되고, 하측으로 하측커버(7274)와 결합된다. 먼지통바디(7272)는, 내부가 중공으로 이물질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먼지통바디(7272)의 상측에는, 한 쌍의 먼지통 흡입구(72711a, 72711b)에 대응하는 2개의 먼지통바디 흡입홀(72721a, 72721b)이 형성될 수 있다. 먼지통바디(7272)는, 하측커버(7274)와 결합되는 하측이, 하측커버(7274)의 공간과 연통하도록 개구될 수 있다.
먼지통바디(7272)는 내부공간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파악되도록, 투명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먼지통바디(7272)는, 먼지통(727)의 삽입방향 종단부에서 노출부(7273)와 체결될 수 있다.
먼지통바디(7272)는, 후방으로 볼록한 형태를 가진다. 먼지통바디(7272)는, 삽입종단부에서 삽입시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줄어드는 형태를 가진다. 먼지통바디(7272)의 하단부는, 먼지통(727)의 삽입종단부(727b)에서 삽입시단부(727a)로 갈수록 상측으로 경사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먼지통바디(7272)의 먼지통(727)의 삽입방향 시단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자성부재(72722, 72723)가 배치될 수 있다. 먼지통바디(7272)의 먼지통(727)의 삽입방향 시단부에는, 하측커버(7274)에 자력을 발생하는 제1자성부재(72722)와, 먼지통(727)이 삽입되는 연결하우징(728)에 자력을 발생하는 제2자성부재(72723)를 포함한다. 제1자성부재(72722)와, 제2자성부재(72723)는, 먼지통바디(7272)와, 상측커버(7271)의 절곡부(72712)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자성부재(72723)는, 먼지통(727)이 필터청소기(72) 내측으로 삽입완료된 상태를 유지시킨다.
여기서, 삽입완료란, 먼지통(727)의 구성중 필터청소기(72) 내측으로 삽입되는 부분이 모두 필터청소기(72) 내측으로 삽입된 상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먼지통(727)이 삽입완료된 상태에서는, 먼지통(727)이 추가적으로 필터청소기(72) 내부로 삽입되지 않는다.
노출부(7273)는, 먼지통(727)이 필터청소기(72) 내측으로 삽입완료된 상태에서, 일부가 필터청소기(72)의 외측으로 노출된다. 노출부(7273)는, 사용자가 먼지통(727)을 필터청소기(72)에 삽입하거나, 인출하기 위해 사용하는 손잡이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노출부(7273)는 먼지통바디(7272)의 종단부와 별도의 체결부재(7275)로 체결된다.
노출부(7273)는, 먼지통(727)이 필터청소기(72)에 장착될 때, 필터청소기(72)의 일측으로 노출되게 배치되는 노출부커버(72731), 체결부재(7275)에 의해 먼지통바디(7272)와 체결되는 체결부(72732), 체결부(72732)의 하측에 배치되고, 하측커버(7274)의 일측과 연결되는 하측커버 연결부(72733)를 포함한다.
노출부커버(72731)는, 먼지통삽입홀(7225)에 대응되게 밴딩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먼지통(727)이 필터청소기(72)에 장착될 때, 체결부(72732)와, 하측커버 연결부(72733)는, 필터청소기(72) 내측에 배치된다. 하측커버 연결부(72732)는 하측커버(7274)의 종단돌기(72745)가 삽입되는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하측커버(7274)는, 상측으로 먼지통바디(7272)와 결합된다. 하측커버(7274)는, 하측에 흡입팬(729)으로 공기가 유동하는 토출구(72741)가 형성된다. 하측커버(7274)의 내측에는 먼지통필터(72742)가 배치될 수 있다. 하측커버(7274)의 토출구(72741)에는, 먼지통필터(72742)가 배치될 수 있다.
하측커버(7274)에는, 먼지통필터(72742)가 장착된 먼지통필터장착부(72743)가 배치될 수 있다. 하측커버(7274)에는 먼지통바디(7272)의 일측에 배치되는 제1자성부재(72722)와 인력이 작용하는 대응부재(72744)가 배치될 수 있다.
하측커버(7274)는, 일측이 종단돌기(72745)가 노출부(7273)에 삽입되어 고정되고, 타측이 대응부재(72744)가 먼지통바디(7272)의 제1자성부재(72722)의 자력으로 고정될 수 있다. 대응부재(72744)는, 제1자성부재(72722)와 인력을 작용하는 부재로써, 철이나 자성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대응부재(72744)는, 하측커버(7274)의 시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대응부재(72744)는, 하측커버(7274)와, 먼지통필터장착부(72743)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연결하우징(728)은, 하우징(721, 722) 내측에 배치되어, 먼지통(727)의 인입 또는 인출을 가이드한다. 연결하우징(728)은, 에지테이터홈(7213a, 7213b)과 먼지통(727)을 연결한다. 연결하우징(728)은, 먼지통(727)과 흡입팬(729)을 연결한다.
연결하우징(728)은, 하우징(721, 722)의 내측에 고정배치될 수 있다. 연결하우징(728)은, 베이스커버(721)의 내측면에 고정될 수 있다. 연결하우징(728)은, 먼지통(727)이 삽입되는 먼지통삽입부(7281), 에지테이터홈(7213a, 7213b)과 먼지통삽입부(7281)에 삽입된 먼지통(727)을 연결하는 흡입연결관(7282a, 7282b)을 포함한다.
먼지통삽입부(7281)는, 먼지통(727)이 삽입되도록 먼지통(727)의 외형에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먼지통삽입부(7281)는, 후방으로 볼록하게 형성된 먼지통(727)의 외둘레를 감싸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먼지통삽입부(7281)는, 먼지통(727)이 삽입되는 전방면(72811)과 후방면(72812)이 볼록한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먼지통삽입부(7281)는, 먼지통(727)이 삽입되는 하면(72813)이 삽입되는 방향으로 상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먼지통삽입부(7281)에는, 먼지통(727)이 인입이나, 인출을 용이하게 하는 삽입부보조롤러(72814a, 72814b)가 배치된다. 삽입부보조롤러(72814a, 72814b)는 먼지통삽입부(7281)의 전방면과 후방면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먼지통삽입부(7281)의 단부에는, 먼지통(727)에 배치되는 자성부재(72722)와 인력이 작용하는 먼지통고정부재(72815)가 배치될 수 있다. 먼지통고정부재(72815)는, 먼지통삽입부(7281)의 단부에 배치되어, 먼지통(727)이 먼지통삽입부(7281)에 삽입완료될 때, 먼지통(727)을 자력을 고정할 수 있다.
먼지통삽입부(7281)의 상측에는, 흡입연결관(7282a, 7282b)이 배치된다. 먼지통삽입부(7281)의 상측에 배치되는 상면(72816)에는, 한 쌍의 흡입연결관(7282a, 7282b)과 연통하는 한 쌍의 먼지통삽입부 상측홀(72816a, 72816b)이 형성될 수 있다.
먼지통삽입부(7281)는 하측으로 흡입팬(729)의 일측과 연결되는 흡입팬연결관(7292)과 연결될 수 있다. 먼지통삽입부(7281)의 하면(72813)에는, 먼지통(727)의 토출구(72741)에 대응하는 먼지통삽입부 하측홀(72813a)이 형성될 수 있다. 먼지통삽입부 하측홀(72813a)은, 먼지통(727) 내부와 흡입팬연결관(7292)을 서로 연통시킬 수 있다. 먼지통삽입부(7281)의 하면(72813)은, 먼지통(727)이 삽입되는 시단부에서 종단부로 갈수록 상측으로 경사지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먼지통(727)이 먼지통삽입부(7281)에 삽입완료될 때, 먼지통(727)의 상측커버(7271)가 먼지통 삽입부(7281)의 상면(72816)에 접촉하고, 먼지통(727)의 하측커버(7274)가 먼지통 삽입부(7281)의 하면(72813)에 접촉할 수 있다.
흡입연결관(7282a, 7282b)은, 먼지통삽입부(7281)의 상측에 배치된다. 흡입연결관(7282a, 7282b)은, 먼지통삽입부(7281)와 한 쌍의 에지테이터홈(7213a, 7213b)을 연결한다. 흡입연결관(7282a, 7282b)은, 한 쌍의 에지테이터홈(7213a, 7213b) 각각과 연결되는 한 쌍의 흡입연결관(7282a, 7282b)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흡입연결관(7282a, 7282b)은, 한 쌍의 에지테이터홈(7213a, 7213b)이 형성하는 에지테이터 둘레면(72131)의 일측에 장착된다. 한 쌍의 흡입연결관(7282a, 7282b)은, 한 쌍의 에지테이터홈(7213a, 7213b) 각각에 형성되는 연통홀(72132a, 72132b)을 통해 한 쌍의 에지테이터홈(7213a, 7213b) 각각과 연통될 수 있다.
한 쌍의 흡입연결관(7282a, 7282b)은, 먼지통삽입부(7281)와 하나의 구조물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하우징(728)은, 베이스커버(721) 및 에지테이터홈(7213a, 7213b)의 에지테이터 둘레면(72131)과 체결하기 위한 복수의 체결부(7283)를 포함한다. 한 쌍의 흡입연결관(7282a, 7282b)에는, 에지테이터홈(7213a, 7213b)의 에지테이터 둘레면(72131)과 접촉하는 부분에서, 에지테이터홈(7213a, 7213b)의 에지테이터 둘레면(72131)에 형성되는 체결돌기(72133)에 끼워지는 체결후크(7284)가 형성된다. 연결하우징(728)은, 체결후크(7284)과 에지테이터홈(7213a, 7213b)의 에지테이터 둘레면(72131)에 형성되는 체결돌기(72133)에 의해, 베이스커버(721)에 고정될 수 있다. 이는, 연결하우징(728)이 베이스커버(721)에 별도의 체결부재(미도시)로 체결되기 전에, 연결하우징(728)을 베이스커버(721)에 고정시키도록 할 수 있다.
흡입팬(729)은, 에지테이터홈(7213a, 7213b)에서 먼지통(727)으로 공기의 유동을 형성한다. 흡입팬(729)은, 흡입팬모터(7291)에 의해 회전한다. 흡입팬(729)이 회전할 때, 에지테이터홈(7213a, 7213b)에 존재하는 공기와 이물질이 먼지통(727)으로 흡입될 수 있다. 흡입팬(729)은, 먼지통(727)의 하측에 배치된다. 흡입팬(729)은, 상측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둘레면의 하측방향으로 공기를 토출시키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흡입팬모터(7291)는, 흡입팬(729)의 하측에 배치된다.
흡입팬(729)은, 한 쌍의 기어모터(7251a, 7251b) 사이에 배치된다. 흡입팬(729)에 의해 토출되는 공기는, 둘레면에 배치되는 기어모터(7251a, 7251b) 방향으로 유동할 수 있다. 흡입팬(729)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는, 외측커버(722) 하면(7222)에 형성되는 커버배출구(7222b)를 통해 필터청소기(72)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흡입팬연결관(7292)은, 먼지통(727)의 토출구(72741)와 흡입팬(729)을 연결한다. 흡입팬연결관(7292)은, 연결하우징(728)의 먼지통삽입부(7281)의 하면과 연결된다. 먼지통삽입부(7281)의 하측에 연결되는 흡입팬연결관(7292)의 상측은, 먼지통삽입부(7281)의 하면에 대응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흡입팬연결관(7292)은, 흡입팬(729)과 가까워질수록 내부단면적이 줄어드는 방향을 형성된다. 즉, 흡입팬연결관(7292)은, 먼지통삽입부(7281)에 연결되는 상측에서 흡입팬(729)과 연결되는 하측으로 갈수록 내부의 단면적이 줄어든다.
흡입팬연결관(7292)에는, 흡입팬(729)으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흡입그릴(72921)이 배치될 수 있다. 흡입그릴(72921)은, 먼지통(727)이 먼지통삽입부(7281)로부터 분리될 때, 흡입팬(729) 방향으로 유동하는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흡입그릴(72921)은, 흡입팬연결관(7292)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청소기(72)에는 전원선(731)으로 공급받은 전원으로, 필터청소기(72)의 작동을 제어하는 회로가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74)을 포함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74)은, 하우징(721, 722)의 내측에 배치된다. 인쇄회로기판(74)은, 먼지통(727)이 삽입되는 먼지통삽입홀(7225)이 배치되는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필터청소 어셈블리-전원공급장치>
도 11, 도 12, 도 28 내지 도 3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청소 어셈블리의 전원공급장치를 설명한다.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필터청소기(72)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731), 외주면으로 전원선(731)을 감아, 전원선(731)의 텐션을 유지하는 코드릴(732), 베이스(11) 내측에 배치되는 전원선(731)이 다른 구성과의 마찰을 최소화하는 전원선커버관(733)을 포함한다.
전원선(731)은 필터청소기(72)의 전원부단자(7216)에 연결된다. 전원선(731)은, 필터청소기(72)의 전원선고정부(7217)에 고정되고, 필터청소기(72)가 이동할 때, 가이드레일(711)의 가이드홈(7113)에 배치된다.
전원선(731)은, 코드릴(732)에 의해 텐션이 유지되어, 가이드레일(711)의 가이드홈(7113)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코드릴(732)은, 외주면으로 전원선(731)을 감고, 일정한 힘으로 전원선(731)을 당기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코드릴(732)은, 베이스(11)의 내측에 배치된다. 코드릴(732)은, 이동가이더(71)의 하측에 배치되어, 전원선(731)의 텐션을 유지할 수 있다. 코드릴(732)은, 가이드레일(711)의 하측에 배치되어, 전원선(731)을 하측방향으로 당긴다.
전원선커버관(733)은, 코드릴(732)과, 가이드레일(711) 사이에 배치된다. 전원선커버관(733)은, 베이스(11) 내측에 배치되는 전원선(731)이 베이스(11) 내측에 배치되는 다른 구성과의 마찰을 방지한다.
전원선커버관(733)은, 코드릴(732)의 외주면의 일측으로부터 후판부(13)에 형성되는 후방돌출커버(13a)로 연장된다. 전원선커버관(733)은, 베이스(11) 내측에서부터 후판부(13)의 후방돌출커버(13a)로 연장되어, 일부구간에서 곡관(Curved tube)이 형성될 수 있다.
전원선커버관(733)은, 후방돌출커버(13a)에 배치되는 부분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직선관이 형성될 수 있다. 전원선커버관(733)은, 후방돌출커버(13a) 내측에 배치되는 상단부(7331)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직선관이 형성될 수 있다. 전원선커버관(733)의 상단부(7331)는, 후판부(13)의 후방으로 배치되고, 후방돌출커버(13a)의 내측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전원선커버관(733)의 상단부(7331)는, 후방돌출커버(13a)의 상면(1311)에 연결될 수 있다. 전원선커버관(733)의 상단부(7331) 내부에 배치되는 전원선(731)은, 후방돌출커버(13a)의 전원선홀(13h)을 통해 후판부(13)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2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31a 내지 도 31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레일(711a, 711b)와, 필터청소기(72)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 31a 내지 도 31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31a 내지 도 31c에서는, 제1실시예에서의 실내기 또는 필터청소기의 구성 중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의 경우 동일한 식별번호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1a를 참조하면, 필터장착부(16)의 후방의 좌우측에 한 쌍의 가이드레일(711a, 711b)이 장착된다. 한 쌍의 가이드레일(711a, 711b)은, 필터장착부(16)의 좌우측 단부에 배치된다. 한 쌍의 가이드레일(711a, 711b)은, 한 쌍의 필터유닛(17a, 17b)의 후방으로 배치된다.
필터장착부(16)는, 한 쌍의 필터유닛(17a, 17b)이 장착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필터장착부(16)에는, 후방으로 공기흡입구(16a)가 형성되고, 양 측방으로 필터유닛(17a, 17b)이 장착되는 삽입구(미도시)를 형성한다.
한 쌍의 가이드레일(711a, 711b) 각각은, 필터장착부(16)의 좌우측 단부에서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필터장착부(16)의 후방 중심에는, 상하방향으로 중심바(75)가 형성된다. 중심바(75)에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이온발생기(75a)가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레일(711a, 711b) 각각의 상단부에는, 필터청소기(72)의 상측이동을 제한하는 상단플레이트(7122a, 7122b)가 배치될 수 있다.
이온발생기는, 방전으로 공기 중의 분자를 이온화하는 전극을 포함한다. 전극은, 후방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온발생기(75a)의 전극은, 필터청소기(72)의 이동을 간섭하지 않는 범위에서 후방으로 돌출된다.
도 31b를 참조하면, 한 쌍의 가이드레일(711a, 711b) 각각은, 필터청소기(72)의 이동기어(725a, 725b)와 맞물리도록 나사산을 형성하는 기어레일(7111a, 7111b)과, 필터청소기(72)의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가 이동하는 롤러레일(7112a, 7112b)를 포함한다.
한 쌍의 가이드레일(711) 각각은, 서로 대향하는 면에서 기어레일(7111a, 7111b)과 롤러레일(7112a, 7112b)가 형성된다.
기어레일(7111a, 7111b)은, 랙기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기어레일(7111a, 7111b)과 맞물리는 이동기어(725a, 725b)는 피니언기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기어레일(7111a, 7111b)은 필터유닛(17a, 17b)이 배치되는 부분에서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기어레일(7111a, 7111b)은, 한 쌍의 가이드레일(711a, 711b) 각각이 서로 마주하는 면에서 형성될 수 있다. 기어레일(7111a, 7111b)은, 롤러레일(7112a, 7112b)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롤러레일(7112a, 7112b)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711a, 711b) 각각의 후방단부에서 한 쌍의 가이드레일(711a, 711b)이 서로 마주하는 면을 향해 돌출되는 리브구조를 가진다. 롤러레일(7112a, 7112b)는 기어레일(7111a, 7111b)보다 후방에서 배치된다. 롤러레일(7112a, 7112b)는, 기어레일(7111a, 7111b)에서 형성되는 나사산의 높이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된다.
한 쌍의 가이드레일(711a, 711b) 각각에 배치되는 기어레일(7111a, 7111b) 각각과, 롤러레일(7112a, 7112b) 각각은, 한 쌍의 가이드레일(711a, 711b)의 측에서 배치된다. 롤러레일(7112a, 7112b)는, 기어레일(7111a, 7111b)보다 후방에 배치된다. 롤러레일(7112a, 7112b)은, 기어레일(7111a, 7111b) 각각보다 한 쌍의 가이드레일(711a, 711b)이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돌출형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실내기를 후방에서 바라볼 때, 롤러레일(7112a, 7112b)에 의해 기어레일(7111a, 7111b)이 가려지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31c를 참조하면, 필터청소기(72)에는, 필터청소기(72)를 이동시키는 이동기어(725a, 725b)와, 필터청소기(72)를 필터유닛(17a, 17b) 측으로 밀착시키는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가 배치된다. 이동기어(725a, 725b)는 베이스커버(72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는 베이스커버(72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이동기어(725a, 725b)는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이동기어(725a, 725b)는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보다 필터유닛(17a, 17b)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베이스커버(721)에는,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가 배치되는 부분에서 후방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가이드롤러 홈부가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커버(721)에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711)의 각각에 형성되는 기어레일(7111a, 7111b)에 맞물리는 한 쌍의 이동기어(725a, 725b)가 배치된다. 필터청소기(72)의 베이스커버(721) 좌우측 양단에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711a, 711b)에 대응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홈(7211a, 7211b)이 형성된다. 이동기어(725a, 725b)의 일부와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의 일부는, 가이드레일홈(7211a, 7211b)이 형성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된다.
이동기어(725a, 725b)는, 베이스커버(721)의 내측에서 베이스커버(721)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다. 따라서, 필터청소기(72)에는, 베이스커버(721)의 측단부에 형성되는 가이드레일홈(7211a, 7211b)과 베이스커버(721) 내측을 연통하는 이동기어홀(미도시)이 형성된다.
베이스커버(721)에는 가이드레일(711)의 양측면에 형성되는 한 쌍의 롤러레일(7112a, 7112b)에 각각 접촉되는 복수의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가 배치된다. 복수의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는, 이동기어(725a, 725b)의 상측에서 한 쌍이 배치되고, 이동기어(725a, 725b)의 하측에서 한 쌍이 배치될 수 있다.
<3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32a 내지 도 32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레일(711a, 711b)와, 필터청소기(72)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 32a 내지 도 32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와의 차이점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32a 내지 도 32c에서는, 제1실시예에서의 실내기 또는 필터청소기의 구성 중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의 경우 동일한 식별번호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2a를 참조하면, 필터장착부(16)의 후방의 좌우측에 한 쌍의 가이드레일(711a, 711b)이 장착된다. 한 쌍의 가이드레일(711a, 711b)은, 필터장착부(16)의 좌우측 단부에 배치된다. 한 쌍의 가이드레일(711a, 711b)은, 한 쌍의 필터유닛(17a, 17b)의 후방으로 배치된다.
도 32a 내지 도 32b를 참조하면, 한 쌍의 가이드레일(711a, 711b) 각각은, 필터청소기(72)의 이동기어(725a, 725b)와 맞물리도록 나사산을 형성하는 기어레일(7111a, 7111b)과, 필터청소기(72)의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가 이동하는 롤러레일(7112a, 7112b)와, 상기 기어레일(7111a, 7111b)의 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이온발생기(75a, 75b)를 포함한다. 기어레일(7111a, 7111b)은, 롤러레일(7112a, 7112b)보다 전방에 배치된다.
한 쌍의 가이드레일(711a, 711b) 각각에는, 기어레일(7111a, 7111b)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복수의 이온발생기(75a, 75b)가 상하로 배치되는 이온발생기면(76a, 76b)이 배치된다. 이온발생기면(76a, 76b)은, 필터유닛(17a, 17b)이 후방으로 형성하는 면에 수직한 면을 형성한다. 한 쌍의 가이드레일(711a, 711b) 각각에 형성되는 이온발생기면(76a, 76b)은, 서로 대향하는 면을 형성한다. 이온발생기면(76a, 76b)에는, 이온발생기(75a, 75b)가 배치되도록 내측으로 오목하게 패인 이온발생기홈(76a1, 76b1)이 형성된다.
이온발생기면(76a, 76b)에 배치되는 복수의 이온발생기(75a, 75b)는, 필터유닛(17a, 17b)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공기흡입구(16a)를 통해 필터유닛(17a, 17b)으로 유동하는 공기 중의 입자를 효과적으로 대전할 수 있다.
도 32c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청소기(72)는, 하우징의 일측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회전으로 필터유닛(17a, 17b)에 끼인 이물질을 털어내는 하나의 에지테이터(723)를 포함한다. 또한, 베이스커버(721)에는 하나의 에지테이터(723)가 배치되는 하나의 에지테이터홈(7213)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청소기(72)는, 에지테이터(723)를 회전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에지테이터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에지테이터모터는, 에지테이터(723)의 양단중 일단에 하나 또는 양단에 하나씩 배치될 수 있다.
<4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33a 내지 도 33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레일(711a, 711b)와, 필터청소기(72)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 33a 내지 도 33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와의 차이점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33a 내지 도 33b에서는, 제1실시예에서의 실내기 또는 필터청소기의 구성 중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의 경우 동일한 식별번호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3a를 참조하면, 필터장착부(16)의 후방의 좌우측에 한 쌍의 가이드레일(711a, 711b)이 장착된다. 한 쌍의 가이드레일(711a, 711b)은, 필터장착부(16)의 좌우측 단부에 배치된다. 한 쌍의 가이드레일(711a, 711b)은, 한 쌍의 필터유닛(17a, 17b)의 후방으로 배치된다.
도 33b를 참조하면, 한 쌍의 가이드레일(711a, 711b) 각각은, 필터장착부(16)의 좌우측 단부에서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필터장착부(16)의 후방 중심에는, 상하방향으로 중심바(75)가 형성된다. 중심바(75)에는 필터청소기(72)의 이동기어(725)와 맞물리도록 나사산을 형성하는 기어레일(7111)이 배치된다.
도 33b를 참조하면, 기어레일(7111)은, 랙기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기어레일(7111)이 형성하는 랙기어는, 후방을 향해 형성된다.
한 쌍의 가이드레일(711a, 711b) 각각은, 필터청소기(72)의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가 이동하는 롤러레일(7112a, 7112b)과, 상기 기어레일(7111)의 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이온발생기(75a, 75b)를 포함한다.
도 33c를 참조하면, 필터청소기(72)에는, 필터청소기(72)를 이동시키는 이동기어(725)를 포함한다. 이동기어(725)는, 피니언기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동기어(725)가 형성하는 피니언기어의 면은, 전방을 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동기어(725)이 형성하는 회전축은, 에지테이터(723a, 723b)가 회전하는 회전축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이동기어(725)가 형성하는 회전축은, 가이드롤러(726a1, 726a2, 726b1, 726b2)가 형성하는 회전축과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레일(711a, 711b) 각각에는, 롤러레일(7112a, 7112b)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복수의 이온발생기(75a, 75b)가 상하로 배치되는 이온발생기면(76a, 76b)이 배치된다. 이온발생기면(76a, 76b)은, 필터유닛(17a, 17b)이 후방으로 형성하는 면에 수직한 면을 형성한다. 한 쌍의 가이드레일(711a, 711b) 각각에 형성되는 이온발생기면(76a, 76b)은, 서로 대향하는 면을 형성한다. 이온발생기면(76a, 76b)에는, 이온발생기(75a, 75b)가 배치되도록 내측으로 오목하게 패인 이온발생기홈(76a1, 76b1)이 형성된다.
<5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3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필터청소기(72)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 3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34에서는, 제1실시예에서의 실내기 또는 필터청소기의 구성 중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의 경우 동일한 식별번호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복수의 필터청소기(72a, 72b)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복수의 필터유닛(17a, 17b)을 포함하고, 복수의 필터유닛(17a, 17b) 각각의 후방에서 복수의 필터유닛(17a, 17b) 각각을 청소하는 복수의 필터청소기(72)를 포함한다.
복수의 필터청소기(72a, 72b) 각각은, 도 8 내지 도 29에서 설명하는 제1실시예의 필터청소기(72)와 크기가 다르고,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도 8 내지 도 29에서 설명하는 제1실시예의 필터청소기(72)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복수의 필터청소기(72a, 72b) 각각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복수의 전원선(731a, 731b)과, 복수의 전원선(731a, 731b) 각각의 텐션을 유지하는 복수의 코드릴(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복수의 필터청소기(72a, 72b) 각각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레일(711a, 711b)을 포함한다. 복수의 가이드레일(711a, 711b) 각각은, 한 쌍의 필터유닛(17a, 17b) 각각의 중앙에서 상하방향으로 길게 배치된다. 필터장착부(16)에는, 공기 중에 이온을 발생시키는 이온발생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레일(711a, 711b)은, 도 6 내지 도 7에서 설명하는 제1실시예의 가이드레일(711)과 크기가 상이하고, 동일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가이드레일(711a, 711b) 각각은, 필터청소기(72a, 72b) 각각의 이동기어와 맞물리도록 나사산을 형성하는 기어레일과, 필터청소기(72a, 72b)의 가이드롤러가 이동하는 롤러레일를 포함한다. 또한, 가이드레일(711a, 711b) 각각에는 필터청소기(72a, 72b)에 연결되는 전원선이 배치되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필터청소기(72a, 72b) 각각은, 개별적으로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으므로, 개별적으로 작동할 수 있다.
<6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35a 내지 도 3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필터청소기(72)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도 35a 내지 도 35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와의 차이점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35a 내지 도 35b에서는, 제1실시예에서의 실내기 또는 필터청소기의 구성 중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의 경우 동일한 식별번호를 사용할 수 있다.
도 35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필터청소기(72)는, 실내기와 별도의 전원선으로 연결되지 않는다. 따라서, 전원선에 텐션을 유지하는 별도의 코드릴을 포함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조화기의 실내기는, 필터청소기(72)와 접촉하여 필터청소기(72)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77b)를 포함한다. 또한, 필터청소기(72)에는, 전력공급부(77b)와 접촉하여, 전력을 수신하는 전력수신부(77a)와, 전력수신부(77a)로 공급받은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76)를 포함할 수 있다.
실내기의 후판부(13)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후방돌출커버(13a)가 배치된다. 후방돌출커버(13a)는 가이드레일(711)의 하단부에 배치된다. 도 35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후방돌출커버(13a)에는, 별도의 전원선홀이 형성되지 않는다.
후방돌출커버(13a)의 상측에는, 전력공급부(77b)가 배치된다. 필터청소기(72)가 가이드레일(711)의 하단부로 이동하면, 필터청소기(72)의 전력수신부(77a)는, 전력공급부(77b)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의 도 35a 내지 도 35b의 무선이동방식의 필터청소기(72)와 실내기의 구조는, 도 31a 내지 도 34의 실내기와 필터청소기의 구조에서도 적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 케이싱 11 : 베이스
12 : 로어 프레임 13 : 후판부
13a : 후방돌출커버 16 : 필터장착부
16A : 공기흡입구 17a : 제1필터유닛
17b : 제2필터유닛 71 : 이동가이더
711 : 가이드레일 7121 : 자력발생부
7122 : 상단플레이트 7131 : 하단플레이트
7131a : 하단플레이트홈 72 : 필터청소기
721 : 베이스커버 7211 : 가이드레일홈
7212 : 홀센서 7213a : 제1에지테이터홈
7213b : 제2에지테이터홈 7214 : 가이드레일홈부
7215a, 7215b : 보조롤러 7217 : 전원선고정부
72174 : 가이드홈고정부 722 : 외측돌기
7225 : 먼지통삽입홀 723a, 723b : 에지테이터
7231 : 회전바 7232 : 블레이드
724a, 724b : 사이드브러쉬부 725a, 725b : 이동기어
726a1, 726a2, 726b1, 726b2 : 가이드롤러
727 : 먼지통 7271 : 상측커버
7272 : 먼지통바디 7273 : 노출부
7274 : 하측커버 72742 : 먼지통필터
728 : 연결하우징 7281 : 먼지통삽입부
7282a, 7282b : 흡입연결관 729 : 흡입팬
7210 : 하단감지센서 731 : 전원선
732 : 코드릴 733 : 전원선커버관

Claims (16)

  1. 외형을 형성하고, 후방에 흡입구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흡입구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필터유닛;
    상기 케이스 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기어레일;
    상기 케이싱 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필터유닛의 좌우측으로 서로 이격배치되는 한 쌍의 롤러레일; 및
    상기 한 쌍의 롤러레일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한 쌍의 롤러레일을 따라 상기 필터유닛의 후방을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필터모듈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청소기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청소기는,
    상기 기어레일과 맞물려 회전하여, 상기 필터청소기를 상기 필터모듈의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동기어와,
    상기 이동기어가 상기 기어레일에 접촉하며 회전하도록, 상기 필터청소기를 상기 필터유닛 방향으로 밀착시키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롤러는, 한 쌍의 롤러레일 각각에 접촉하도록 상기 필터청소기의 좌우 양단으로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을 구비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레일은, 상기 가이드레일보다 전방으로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케이싱 후방에서 상기 필터유닛이 장착되는 공간을 마련하는 필터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롤러레일은, 상기 필터장착부의 좌우 양단부에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장착부는, 후방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중심바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바에는 상하방향으로 이격배치된 복수의 이온발생기가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발생기는, 방전으로 공기 중의 분자를 이온화하는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전극은, 상기 필터청소기의 이동을 간섭하지 않는 범위에서 후방으로 돌출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장착부는, 후방 중심으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중심바를 포함하고,
    상기 중심바에는 상기 이동기어와 맞물리도록 나사산을 형성하는 기어레일이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레일은, 상기 한 쌍의 롤러레일 각각의 전방에서 한 쌍이 배치되고,
    상기 기어레일은, 상기 이동기어와 맞물리는 나사산을 형성하고,
    상기 롤러레일은, 상기 가이드롤러가 장착되는 리브구조를 형성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레일는, 상기 기어레일에서 형성되는 나사산의 높이보다 더 돌출되게 형성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기어레일은 나사산을 형성하는 면이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기어레일보다 전방에 배치되고, 복수의 이온발생기가 상하로 배치되는 한 쌍의 이온발생기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온발생기면은, 상기 필터유닛이 형성하는 후방면에 수직한 면을 형성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청소기와 접촉하여 상기 필터청소기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청소기에는, 상기 전력공급부와 접촉하여, 전력을 수신하는 전력수신부와, 상기 전력수신부로 공급받은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싱은, 상기 필터유닛의 하측에서 상기 케이싱의 후방으로 돌출배치되는 후방돌출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후방돌출커버의 상측에는, 상기 전력공급부가 배치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청소기가 상기 필터유닛의 하측으로 이동할 때, 상기 전력수신부와, 상기 전력공급부가 접촉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롤러는,
    상기 이동기어의 상측에서,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필터청소기를 상기 필터모듈측으로 밀착시키는 상부가이드롤러와,
    상기 상부가이드롤러의 하측에서, 상기 가이드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필터청소기를 상기 필터모듈측으로 되는 하부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5. 외형을 형성하고, 후방에 흡입구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흡입구에 배치되어, 상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공기 중의 이물질을 걸러내는 한 쌍의 필터유닛;
    상기 한 쌍의 필터유닛 각각의 후방에서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한 쌍의 필터모듈 각각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한 쌍의 필터청소기;
    상기 한 쌍의 필터유닛 각각의 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한 쌍의 필터청소기 각각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하는 한 쌍의 가이드레일을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필터청소기 각각은,
    상기 가이드레일과 맞물려 회전하여, 상기 필터청소기를 상기 필터모듈의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동기어;
    상기 필터모듈과 마찰하면서 회전하는 에지테이터;
    상기 에지테이터의 하측으로 배치되고, 상기 에지테이터의 회전으로 상기 필터모듈에서 떨어진 이물질을 수거하는 먼지통; 및
    상기 에지테이터의 일부가 상기 필터모듈과 접촉하며 회전하도록, 상기 필터청소기를 상기 필터모듈측으로 밀착시키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16. 외형을 형성하고, 후방에 흡입구가 형성된 케이싱;
    상기 필터유닛의 후방에서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필터유닛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하는 필터청소기;
    상기 필터유닛의 후방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필터청소기의 상하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 및
    상기 필터청소기와 접촉할 때, 상기 필터청소기로 전력을 공급하는 전력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필터청소기는,
    상기 가이드레일과 맞물려 회전하여, 상기 필터청소기를 상기 필터모듈의 상하로 이동시키는 이동기어;
    상기 에지테이터의 일부가 상기 필터모듈과 접촉하며 회전하도록, 상기 필터청소기를 상기 필터모듈측으로 밀착시키는 가이드롤러;
    상기 전력공급부와 접촉하여, 전력을 수신하는 전력수신부; 및
    상기 전력수신부로 공급받은 전력을 저장하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0200004989A 2020-01-14 2020-01-14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457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989A KR102457134B1 (ko) 2020-01-14 2020-01-14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N202120103340.2U CN215765438U (zh) 2020-01-14 2021-01-14 空调的室内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4989A KR102457134B1 (ko) 2020-01-14 2020-01-14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1604A true KR20210091604A (ko) 2021-07-22
KR102457134B1 KR102457134B1 (ko) 2022-10-19

Family

ID=771581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4989A KR102457134B1 (ko) 2020-01-14 2020-01-14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57134B1 (ko)
CN (1) CN215765438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657B1 (ko) 2022-08-09 2023-09-19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전면풍 및 측면풍 겸용 가변형 측면토출구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2584381B1 (ko) 2022-08-09 2023-10-05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전면풍 및 측면풍이 가능한 측면토출구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3365A (ja) * 2006-05-15 2007-12-27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
JP2008039293A (ja) * 2006-08-07 2008-02-21 Toshiba Kyaria Kk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20080026287A (ko) * 2006-09-20 2008-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60018093A (ko) * 2014-08-08 2016-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90106684A (ko) * 2018-03-07 201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33365A (ja) * 2006-05-15 2007-12-27 Daikin Ind Ltd 空気調和機
JP2008039293A (ja) * 2006-08-07 2008-02-21 Toshiba Kyaria Kk 空気調和機の室内機
KR20080026287A (ko) * 2006-09-20 2008-03-25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60018093A (ko) * 2014-08-08 2016-02-17 삼성전자주식회사 공기조화기
KR20190106684A (ko) * 2018-03-07 2019-09-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9657B1 (ko) 2022-08-09 2023-09-19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전면풍 및 측면풍 겸용 가변형 측면토출구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KR102584381B1 (ko) 2022-08-09 2023-10-05 오텍캐리어 주식회사 전면풍 및 측면풍이 가능한 측면토출구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215765438U (zh) 2022-02-08
KR102457134B1 (ko) 2022-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1672B1 (ko) 공기조화기
KR10239063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457134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493848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1392322B1 (ko) 공기조화기
KR100905312B1 (ko) 공기조화기
KR101392313B1 (ko) 공기조화기
KR101252163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2245799B1 (ko) 공기조화기
KR100511979B1 (ko) 덕트형 공기조화기
EP4227589A1 (en) Air conditioner
KR101362317B1 (ko) 공기조화기
KR102469227B1 (ko) 공기조화기
KR101394516B1 (ko) 공기조화기
KR102228515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20210000713A (ko) 공기조화기
KR101384158B1 (ko) 공기조화기
KR20200095956A (ko) 공기조화기
KR101392312B1 (ko) 공기조화기
KR101384157B1 (ko) 공기조화기
KR100972079B1 (ko) 공기 조화기
KR20090050317A (ko) 공기조화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