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7950A - 압축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점착식 벽면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압축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점착식 벽면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7950A
KR20180107950A KR1020170036935A KR20170036935A KR20180107950A KR 20180107950 A KR20180107950 A KR 20180107950A KR 1020170036935 A KR1020170036935 A KR 1020170036935A KR 20170036935 A KR20170036935 A KR 20170036935A KR 20180107950 A KR20180107950 A KR 20180107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hesive
sheet
plastic panel
foam sheet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6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58883B1 (ko
Inventor
김윤환
Original Assignee
김윤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윤환 filed Critical 김윤환
Priority to KR1020170036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8883B1/ko
Publication of KR20180107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79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88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88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2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using adhes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04Cutting, tearing or severing, e.g. bursting; Cutter 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66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omposed of several layers, e.g. sandwich panels or layer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5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adhesively fixed to the wall; Fastening means therefor; Fixing by means of plastics materials hardening after applic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or with an outer layer of organic plastics with or without reinforcements or filling materials; plastic ti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21Vinyl resin
    • B32B2266/0235Vinyl halide, e.g. PVC, PVDC, PVF, PVD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5Polyolef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7/00Walls, panels
    • B32B2607/02Wall papers, wall cove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무납 성분이고 두께가 1~3mm이며 경질 염화비닐 발포패널인 압축플라스틱 패널을 생산하는 단계; 다양한 무늬를 라미네이팅한 친환경 데코시트를 얻는 단계; 상기 압축플라스틱 패널의 일측면에 상기 친환경 데코시트를 접착부재로 합지시키는 단계; 두께 1~3mm인 PE폼시트(PE Foam Sheet)를 얻는 단계; 상기 PE폼시트의 일측면에 접착부재가 도포된 접착면을 형성하고 상기 접착면에 접착면이형지를 붙여 마무리하는 PE폼시트 접착면형성단계; 상기 PE폼시트의 타측면에 점착부재가 도포된 점착면을 형성하고 상기 점착면에 점착면이형지를 붙여 마무리하는 PE폼시트 점착면형성단계; 일측면에 상기 데코시트가 합지된 상기 압축플라스틱 패널의 타측면에 접착면이형지가 제거된 접착면을 통해 상기 PE폼시트의 일측면을 합지시키는 단계; 및 일측에는 데코시트가 합지되고 타측에는 PE폼시트가 합지된 상기 압축플라스틱 패널을 일정 크기로 규격화하여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압축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점착식 벽면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소비자가 직접 손쉽게 벽면마감재로 사용할 수 있고, 경질로 날카로운 물체에 의해 손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경질 염화비닐 발포패널인 압축플라스틱 패널을 사용하여 강한 내습성과 제품의 유연성을 확보하여 잘 깨지지 않아 가공성을 유지하면서도 강도 또한 높일 수 있고, 압축플라스틱 패널의 제작시 프탈산계 가소제가 아닌 친환경 가소재를 사용하여 친환경적이며, 합성수지로 표면을 라미네이팅한 데코시트를 제공하여 벽면마감재로 다양한 색상과 무늬의 구현이 가능하고, 점착면을 갖는 PE폼시트를 사용하여 벽면 표면의 요철부에도 부착이 가능하고 소비자가 잘못 부착시키더라도 몇 번이나 다시 분리하고 다시 부착시킬 수 있어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며, 다양한 규격의 두께와 넓이로 생산이 가능하여 가공성 및 제품다양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압축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점착식 벽면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Adhesive wall finish and the production method using the compressed plastic panel}
본 발명은 압축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점착식 벽면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소비자가 직접 손쉽게 벽면마감재로 사용할 수 있고, 경질로 날카로운 물체에 의해 손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강한 내습성과 제품의 유연성을 확보하여 잘 깨지지 않아 가공성을 유지하면서도 강도 또한 높일 수 있고, 친환경 가소재를 사용하여 친환경적이며, 벽면마감재로 다양한 색상과 무늬의 구현이 가능하고, 벽면 표면의 요철부에도 부착이 가능하고 소비자가 잘못 부착시키더라도 몇 번이나 다시 분리하고 다시 부착시킬 수 있어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며, 다양한 규격의 두께와 넓이로 생산이 가능하여 가공성 및 제품다양성이 크게 향상되는 압축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점착식 벽면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소비자가 인테리어 효과를 주면서 벽면을 마감할 수 있는 소재로는 페인트, 벽지 정도이고, 그 외의 마감재는 너무 고가이거나 시공이 매우 까다로워 소비자가 직접 벽면을 시공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또한 이런 페인트나 벽지는 그 패턴이나 컬러에 한계가 있고, 다양한 연출과 입체감을 부여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특허등록 제10-0643188호로, "얇은 판 형태의 합성수지에 데코필름이 코팅되어 있는 합성수지시트를 제조하기 위하여, 일측단부에서 펠릿(pellet) 형태의 합성수지를 공급받아 타측단부에서 용융상태의 합성수지를 압출하기 위해, 그 외측면에 복수의 히터부를 구비하는 압출기; 상기 압출기의 타측단부에 연결되고 수평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슬릿(slit)을 구비하여, 상기 압출기로부터 융용된 합성수지가 공급되어 상기 슬릿을 통하여 연속적으로 압출되는 티-다이(T-die); 상기 티-다이로부터 연속적으로 압출되는 용용상태의 합성수지를 원하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판형태로 압연하는 제1롤러와 제2롤러;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 중에 상부에 위치한 제2롤러의 상부에 마련되어 그 제2롤러와 맞물려 회전하며,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 사이를 통과한 합성수지를 상기 제2롤러와의 사이로 가압하며 통과시키는 제3롤러; 및 데코필름을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데코필름 공급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합성수지시트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데코필름 공급부로부터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데코필름은, 상기 티-다이로부터 연속적으로 압출되는 합성수지와 함께 상기 제1롤러와 제2롤러의 사이로 물려 들어가 그 합성수지의 상면에 융착되며, 상기 제1롤러는, 50-60°C로 유지되고, 상기 제2롤러는 40-50°C로 유지되며, 상기 제3롤러는 80-100°C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시트 제조장치."와, "얇은 판 형태의 합성수지에 데코필름이 코팅되어 있는 합성수지시트를 제조하기 위하여, 펠렛 상태의 합성수지를, 외측면에 복수의 히터부를 구비한 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된 합성수지로 만드는 합성수지 용융단계; 상기 용융된 합성수지를, 상기 압출기와 연결되되 수평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슬릿(slit)을 구비한 티-다이를 통해 연속적으로 압출하는 용융 합성수지 압출단계; 상기 티-다이로부터 연속적으로 압출되는 용용상태의 합성수지와, 연속적으로 공급되는 데코필름을 함께 50-60°C로 유지되는 제1롤러와 40-50°C로 유지되는 제2롤러로 사이로 통과시켜, 융용상태의 합성수지를 원하는 두께의 판 형태가 되도록 압연하는 것과 동시에 상기 데코필름을 상기 합성수지에 융착되도록 하는 압연 및 융착단계; 및 상기 압연 및 융착단계를 거친 데코필름이 융착된 합성수지를 상기 제2롤러 및 이와 맞물려 돌아가며 80-100°C로 유지되는 제3롤러 사이로 통과시켜 상기 데코필름이 융착된 합성수지의 평활도를 높여주는 평활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합성수지시트 제조방법."이 제안된바 있었다.
그러나, 이런 종래기술은 얇은 경질의 합성수지시트에 데코필름이 융착된 합성수지시트로, 이를 다른 벽면마감재에 붙이고 재단하는 별도의 작업공정이 필요한바, 이 경우에 소비자가 직접 벽면마감재로 사용하기에는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특허등록 제10-1561674호로, "(A) 화학가교에 의해 만들어진 가교발포원단과 하드(hard)한 성질이 있는 형상유지필름 및 금속이 진공증착된 기능향상필름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원자재를 구비하는 단계; (B) 상기 원자재에서 상기 가교발포원단과 상기 형상유지필름을 라미네이팅 처리하여 결합하되, 상기 가교발포원단의 상면에 상기 형상유지필름을 융착시켜 반제품화하는 단계; (C) 상기 (B)단계를 거친 결과물인 반제품에 대해 압축 성형하는 단계; (D) 상기 (C)단계를 거쳐 압축 성형된 반제품과 상기 원자재인 기능향상필름 어셈블리를 라미네이팅 처리하여 결합하는 단계; (E) 상기 (D)단계를 거친 결과물을 적정 규격으로 재단하여 패널 벽지 또는 쿠션 타일로 완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C)단계에서는 상기 반제품에 대해 적외선 히터를 갖는 히팅 챔버를 통과시켜 예열 처리하되, 상부 히터 100±10℃의 온도조건과 하부 히터 120±10℃의 온도조건에서 45±5초 동안 예열 처리하고, 성형 롤(Roll)을 이용하여 80±5kgf/㎠의 가압조건에서 15±5초 동안 프레싱 처리하여 상기 반제품의 표면에 양음각에 의한 입체감 있는 무늬나 패턴을 형성시키고, 상기 가교발포원단은 화학가교 폴리에틸렌폼이고, 상기 형상유지필름은 PVC 필름, LDPE 필름, LLDPE 필름, CPP 필름, 나일론 필름,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에서 선택된 1종으로 이루어지되 상면에는 문양이 인쇄되어 구비되고, 상기 기능향상필름 어셈블리는 PET 필름과, 상기 PET 필름의 상면에 진공 증착에 의한 건식방식으로 형성되되 은 또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진 진공증착 금속층과, 상기 PET 필름의 하면에 점착제 도포 또는 점착테이프 부착으로 형성되는 점착층과, 상기 점착층을 커버하는 이형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테리어용 마감재 제조방법." 이 제시된바 있으나, 이는 일명 "폼블럭"이라 불리는 인테리어 마감재인 패널 벽지 또는 쿠션 타일로, 이는 일반소비자가 직접 벽면마감재로 시공할 수는 있었으나, 압측성형의 공정을 통하여 제품의 크기와 모양을 얻을 수 있는 금형을 사용하기 때문에 제품으로 구현할 수 있는 크기와 무늬가 극히 제한적이고, 폼형태이므로 열에 약하며, 날카로운 물체에 의해 손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입니다.
또한, 합성수지시트 제작시, 합성수지의 유연성과 탄력성을 높이는 물질이지만, 간과 신장의 장애 및 생식 기형을 유발하는 내분비계 장애 물질임을 그린피스가 경고하여 유해성 논란이 계속되고, 우리나라에서도 유아용 완구를 비롯한 벽면 마감재의 사용량을 제한하고 있으며, 선진국에서는 사용을 금지하는 프탈산계 가소제를 사용함에 따라 환경 호르몬을 유발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1) 대한민국 실용 등록번호 20-0432622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소비자가 직접 손쉽게 벽면마감재로 사용할 수 있고, 경질로 날카로운 물체에 의해 손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경질 염화비닐 발포패널인 압축플라스틱 패널을 사용하여 강한 내습성과 제품의 유연성을 확보하여 잘 깨지지 않아 가공성을 유지하면서도 강도 또한 높일 수 있고, 압축플라스틱 패널의 제작시 프탈산계 가소제가 아닌 친환경 가소재를 사용하여 친환경적이며, 합성수지로 표면을 라미네이팅한 데코시트를 제공하여 벽면마감재로 다양한 색상과 무늬의 구현이 가능하고, 점착면을 갖는 PE폼시트를 사용하여 벽면 표면의 요철부에도 부착이 가능하고 소비자가 잘못 부착시키더라도 몇 번이나 다시 분리하고 다시 부착시킬 수 있어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며, 다양한 규격의 두께와 넓이로 생산이 가능하여 가공성 및 제품다양성이 크게 향상되는 압축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점착식 벽면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무납 성분이고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를 원료로 하지 않거나 함유를 하고 있지 않은 친환경 가소제를 사용하여 두께가 1~3mm이며 경질 염화비닐 발포패널인 압축플라스틱 패널을 생산하는 단계;
친환경 합성수지인 PET, PP, PVC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다양한 무늬를 라미네이팅한 친환경 데코시트를 얻는 단계;
상기 압축플라스틱 패널의 일측면에 상기 친환경 데코시트를 접착부재로 합지하는 단계;
두께 1~3mm인 PE폼시트(PE Foam Sheet)를 얻는 단계;
상기 PE폼시트의 일측면에 접착부재가 도포된 접착면을 형성하고 상기 접착면에 접착면이형지를 붙여 마무리하는 PE폼시트 접착면형성단계;
상기 PE폼시트의 타측면에 점착부재가 도포된 점착면을 형성하고 상기 점착면에 점착면이형지를 붙여 마무리하는 PE폼시트 점착면형성단계;
일측면에 상기 데코시트가 합지된 상기 압축플라스틱 패널의 타측면에 접착면이형지가 제거된 접착면을 통해 상기 PE폼시트의 일측면을 합지시키는 단계; 및
일측에는 데코시트가 합지되고 타측에는 PE폼시트가 합지된 상기 압축플라스틱 패널을 일정 크기로 규격화하여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 경질 염화비닐 발포패널인 압축플라스틱 패널을 생산하는 단계는,
원재가 압출기의 호퍼로 공급되어 150~195℃로 가열된 배럴과 평(Flat)다이 중 메니폴드(Manifold)형 다이와 T-다이 및 코오트 행거(Coat Hanger)형 다이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한 다음 냉각수조나 두 개 이상의 냉각 롤을 거쳐 가공됨으로써 균일하게 분포된 독립기포를 갖고 표면이 매끄러우며 발포율 30~60%이고 비중 0.7~0.8(DIN53479 시험법)이며 인장강도 150~170 Kg/Cm2(DIN53455)이고 신율 30~40%(DIN53452)이며 굴곡탄성율 8000~9000Kg/Cm2(DIN53452)이고 충격강도(Charpy) 11~19 Kgf·Cm/Cm2(DIN53453)이며 경도(Shore Hardness) 20~30 N/M·M2(DIN53456)인 경질 염화비닐 발포패널을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압축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점착식 벽면마감재의 다른 제조방법은, 무납 성분이고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를 원료로 하지 않거나 함유를 하고 있지 않은 친환경 가소제를 사용하여 두께가 1~3mm이며 경질 염화비닐 발포패널인 압축플라스틱 패널을 생산하는 단계;
친환경 합성수지인 PET, PP, PVC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다양한 무늬를 라미네이팅한 친환경 데코시트를 얻는 단계;
상기 압축플라스틱 패널의 일측면에 상기 친환경 데코시트를 접착부재로 합지시키는 단계;
두께 1~3mm인 PE폼시트(PE Foam Sheet)를 얻는 단계;
일측에는 데코시트가 합지된 상기 압축플라스틱 패널의 타측면에 접착부재를 도포하고 상기 PE폼시트의 일측면을 합지시키는 단계;
상기 압축플라스틱 패널의 타측면에 합지된 상기 PE폼시트의 타측면에 점착부재를 도포하여 점착면을 형성하고 상기 점착면을 점착면이형지를 붙여 마무리하는 PE폼시트 점착면형성단계;
일측에는 데코시트가 합지되고 타측에는 PE폼시트가 합지된 상기 압축플라스틱 패널을 일정 크기로 규격화하여 절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특징이 있다.
상기 일정 크기로 규격화하여 절단하는 단계 이후에 직각인 모서리를 사선으로 샌딩하여 깍아내거나 프레싱하여 점착식 벽면마감재를 맞대었을 때 V자홈이 형성되어 입체감이 부여되도록 하는 모따기단계를 각각 더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압축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점착식 벽면마감재은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소비자가 직접 손쉽게 벽면마감재로 사용할 수 있고, 경질로 날카로운 물체에 의해 손쉽게 파손되지 않으며, 경질 염화비닐 발포패널인 압축플라스틱 패널을 사용하여 강한 내습성과 제품의 유연성을 확보하여 잘 깨지지 않아 가공성을 유지하면서도 강도 또한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압축플라스틱 패널의 제작시 프탈산계 가소제가 아닌 친환경 가소재를 사용하여 친환경적이며, 합성수지로 표면을 라미네이팅한 데코시트를 제공하여 벽면마감재로 다양한 색상과 무늬의 구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점착면을 갖는 PE폼시트를 사용하여 벽면 표면의 요철부에도 부착이 가능하고 소비자가 잘못 부착시키더라도 몇 번이나 다시 분리하고 다시 부착시킬 수 있어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지며, 다양한 규격의 두께와 넓이로 생산이 가능하여 가공성 및 제품다양성이 크게 향상되고, 절단 및 가공이 용이하여 시공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지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 실시 예인 압축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점착식 벽면마감재의 친환경 데코시트와 압축플라스틱 패널 및 PE폼시트로 분리된 모습을 보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압축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점착식 벽면마감재의 친환경 데코시트와 압축플라스틱 패널 및 PE폼시트가 결합된 모습을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 예인 압축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점착식 벽면마감재의 제조방법을 보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 다른 실시 예인 압축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점착식 벽면마감재의 제조방법을 보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 실시 예인 압축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점착식 벽면마감재의 벽면 시공시의 모습을 보인 요부확대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였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영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임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압축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점착식 벽면마감재의 제조방법은, 무납 성분이고 두께가 1~3mm이며 경질 염화비닐 발포패널인 압축플라스틱 패널(10)을 생산하는 단계(100)와, 다양한 무늬(21)를 라미네이팅한 친환경 데코시트(20)를 얻는 단계(110)와, 상기 압축플라스틱 패널(10)의 일측면에 상기 친환경 데코시트(20)를 접착부재로 합지하는 단계(120)와, 두께 1~3mm인 PE폼시트(PE Foam Sheet)(30)를 얻는 단계(130)와, 상기 PE폼시트(30)의 일측면에 접착부재(31a)가 도포된 접착면(31)을 형성하고 상기 접착면(31)에 접착면이형지(31b)를 붙여 마무리하는 PE폼시트 접착면형성단계(140)와, 상기 PE폼시트(30)의 타측면에 점착부재(32a)가 도포된 점착면(32)을 형성하고 상기 점착면(32)에 점착면이형지(32b)를 붙여 마무리하는 PE폼시트 점착면형성단계(150)와, 일측면에 상기 데코시트(20)가 합지된 상기 압축플라스틱 패널(10)의 타측면에 접착면이형지(31b)가 제거된 접착면(31)을 통해 상기 PE폼시트(30)의 일측면을 합지시키는 단계(160)와 일측에는 데코시트(20)가 합지되고 타측에는 PE폼시트(30)가 합지된 상기 압축플라스틱 패널(10)을 일정 크기로 규격화하여 절단하는 단계(170)와, 직각인 모서리를 사선으로 샌딩하여 깍아내거나 프레싱하여 점착식 벽면마감재(1)를 맞대었을 때 V자홈이 형성되도록 하는 모따기단계(180)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진다.
상기 경질 염화비닐(rigid vinyl chloride)은 가소제를 전혀 첨가하지 않거나 소량밖에 첨가하지 않은 염화비닐 수지를 말한다. 연질 또는 가소화 염화비닐 수지에 대한 말이다. 경질 염화비닐은 내충격성을 제외하고 기계적 성질에 뛰어나고 내약품성도 좋기 때문에 파이프, 약품탱크나 화학공업용 탱크의 라이닝, 냉장고의 문짝팩, 간판, 아이스크림용 컵 등에 쓰인다.
상기 경질 연화비닐 발포패널인 압축플라스틱 패널(10)을 생산하는 단계(100)는, 염화비닐계 수지, 발포제, 발포 조제, 내열안정제, 활제, 가공 조제, 충격 보강제, 가소제, 안료, 충진제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재료가 호퍼를 통해 압출기의 실린더로 공급되면, 가열된 배럴의 150~195℃ 온도의 열과 스크류 압력으로 용융된 후, 평(Flat)다이 중 메니폴드(Manifold)형 다이와 T-다이 및 코오트 행거(Coat Hanger)형 다이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하여 압출기 외부로 판체로 압출되고, 압출된 판체는 냉각수조나 두 개 이상의 냉각 롤을 거쳐서 냉각됨에 따라 경질 염화비닐 발포패널인 압축플라스틱 패널(10)이 가공됨으로써 균일하게 분포된 독립기포를 갖고 표면이 매끄러우며 발포율 30~60%이고 비중 0.7~0.8(시험법: DIN53479)이며, 인장강도 150~170Kg/Cm2(DIN53455)이고, 신율 30~40%(DIN53452)이며, 굴곡탄성율 8000~9000Kg/Cm2(DIN53452)이고, 충격강도(Charpy) 11~19Kgf·Cm/Cm2(DIN53453)이며, 경도(Shore Hardness) 20~30N/M·M2(DIN53456)이고, Vicat 연화온도 80℃(DIN53460)이며, 영변형온도(HDT) 60℃(DIN53467)이고, 열전도도 두께: 10mm 일때 0.081W/mK이고 20~30mm 일때 0.045~0.062W/mK(DIN52616) 이며, 흡수율 <1%(DIN53495)이고, 내연성 UL94V_0이며, 흡음성 11mm 일때 31dB이고 19mm 일때 34dB(DIN52210)인 경질 염화비닐 발포패널인 압축플라스틱 패널(10)을 연속적으로 생산하게 된다.
이때, 상기 염화비닐계 수지는 염화비닐 단독 중합체이고, 상기 발포제는 아조 디카본아마이드이며, 상기 발포 조제는 파라톨루엔 징크 설페이트이고, 상기 내열안정제는 징크 스테아레이트이며, 상기 활제는 디베이직 레드 스테아레이트와 상승효과를 위해 첨가하는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왁스이고, 상기 가공 조제는 메틸 메타크릴레이트이며, 상기 충격 보강제는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타이렌 공중합체이고, 상기 가소제로는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를 사용하지 않고, 음식에 적용이 가능하게 FDA의 승인을 이미 받은 에폭시화 아마인 오일(epoxidized linseed oil (ELO)) 또는 친환경 가소제인 DOTP(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이며, 상기 안료는 백색 안료인 루타일 타입의 이산화티탄이고, 상기 충진제는 탄산칼슘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압축플라스틱 패널(10)을 생산하는 단계(100)에서 방염제를 섞어서 생산함으로써 방염(난연3급) 제품의 생산이 가능하여 방염 처리된 벽면 마감재로 사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에폭시화 아마인유(W-109, Oxirane산소: 4.8%)는 에폭시계 가소제로 아마인유 등의 유지나 그 에스텔화합물의 이중결합을 peracetic acid, per formic acid로서 반응시켜 생성한 에폭시기를 가진 에폭시계 가소제는 내열성, 내한성이 우수하고 안정제로서의 기능을 가지며, pvc와의 상용성이 높고, 간접식품첨가물로 무독성을 필요로 하는 용도로 널리 사용하고 있는 가소제이다.
상기 친환경 가소제라고 불리는 제품은 환경 호르몬 의심물질이라고 하는 프탈레이트(phthalate)를 원료로 하지 않거나 함유를 하고 있지 않은 제품으로, 국내의 대표적인 친환경 가소재로는, 애경유화의 NEO-T, NEO-T3, NEO-S, PYROCIZER, OLICIZER-10N, OLICIZER-20N, OLI-3, LG화학의 GL-100, GL-300, EBN, BET, EASTMAN KODAK의 DOTP, 송원산업의 P series, 그 외에 WRAPCIZER(애경유화), CITROCIZER-A(ATBC)(애경유화), CITROCIZER-W(애경유화), NEO-A(애경유화), NEO-E(애경유화), LGflex EBN-W(N)(LG화학), AMG(애경유화, 일신웰스, 리켄(일본)) 등이 있다.
이중 친환경 가소제로 사용량이 많아지고 있는 DOTP(디옥틸테레프탈레이트)의 가장 큰 장점은 무엇보다도 친환경적이라는 점이다. DOTP는 현재까지 발표된 각종 독성시험자료에서 발암성을 비롯한 인체 독성 등의 영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고 있다. 또한 끓는점과 어는점, 밀도 등이 DOP(프탈산디옥틸(dioctyl phthalate)의 약칭으로 일본, 미국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폴리염화비닐용 가소제의 이름으로 통용된다; 환경호르몬 의심물질 유발)와 비슷한 수준이기 때문에 내휘발성과 전기절연 측면에서 우수하다는 장점을 보이고 있다.
이런 압축플라스틱 패널(10)을 생산하는 단계(100)를 거쳐 생산된 두께 1~3mm인 압축플라스틱 패널(10)은, 비중 0.7~0.8(DIN53479 시험법)이며 인장강도 150~170 Kg/Cm2(DIN53455)이고 신율 30~40%(DIN53452)이며 굴곡탄성율 8000~9000Kg/Cm2(DIN53452)이고 충격강도(Charpy) 11~19 Kgf·Cm/Cm2(DIN53453)이며 경도(Shore Hardness) 20~30 N/M·M2(DIN53456)인 특성을 갖는 것으로, 종래 유연성이 높은 대신 강도가 낮고 열에 의한 수축 팽창이 심한 종래 PVC 타일 제품과 대비하여서, 강한 내습성을 갖고 적당한 유연성을 확보하여 가공성을 유지하면서도 강도가 높은 특징을 갖는다.
이런 본 발명은, 압축플라스틱 패널을 생산하는 단계(100)를 거친 후 다양한 무늬(21)를 갖도록 라미네이팅하여 데코시트(20)를 얻는 단계(110)를 거친 다음, 생산된 두께 1~3mm인 압축플라스틱 패널(10) 일측면에 접착부재에 의해 데코시트(20)를 합지하는 단계(120)를 거친다.
그 다음, 두께 1~3mm를 갖는 PE폼시트(30)를 얻는 단계(130)를 거치고, PE폼시트(30)의 일측면에 접착부재(31a)를 도포시켜 접착면(31)을 형성시킨 다음, 접착면(31)에 접착면이형지(31b)를 붙이는 PE폼시트 접착면형성단계(140)를 거치며, 다시 PE폼시트(30)의 타측면에 점착부재(32a)를 도포시켜서 점착면(32)을 형성시킨 다음, 점착면(32)에 점착면이형지(32b)를 붙이는 PE폼시트 점착면형성단계(150)를 거친다.
이 상태에서 일측면에 데코시트(20)가 합지된 압축플라스틱 패널(10)의 타측면에 접착면이형지(31b)가 제거된 PE폼시트(30)의 접착면(31)을 붙임으로써 PE폼시트(30)의 일측면을 압축플라스틱 패널(10) 타측면에 합지시키는 단계(160)를 거치고, 이렇게 일측에 데코시트(20)가 합지되고 타측에 PE폼시트(30)가 합지된 압축플라스틱 패널(10)을 일정 크기로 규격화하여 절단하는 단계(170)를 거치고 다시, 직각인 모서리를 사선으로 샌딩하여 깍아내거나 프레싱하여 점착식 벽면마감재(1)를 맞대었을 때 V자홈이 형성되어 입체감이 부여되도록 하는 모따기단계(180)(270)를 더 거쳐서 일측면에 무늬(21)가 라미네이팅된 데코시트(20)을 갖는 다양한 크기의 점착식 벽면마감재(1)을 얻게 된다.
이렇게 압축플라스틱 패널(10)의 일측면에 무늬(21)가 라미네이팅된 데코시트(20)을 형성시킴으로써 압축플라스틱 패널(10)이 일측방향으로 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점착식 벽면마감재(1)을 얻게 된다.
이런 점착식 벽면마감재(1)은 사용자가 압축플라스틱 패널(10) 하부에 위치된 PE폼시트(30)의 점착면이형지(32a)를 제거한 상태에서 드러난 점착면(32)을 통해 건물 내부의 원하는 벽면에 순차적으로 붙여 점착식 벽면마감재(1)을 완강히 고정되도록 시공하면 된다.
이때, 점착식 벽면마감재(1)의 점착면(32)은 소비자가 잘못 붙였을 경우에 손쉽게 분리되어 다시 시공할 수 있게 된다.
또한, PE폼시트(30)에 의해서 점착식 벽면마감재(1)의 점착시 요철이 형성된 벽면에도 손쉽게 부착고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압축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점착식 벽면마감재의 제조방법의 또 다른 제조방법은, 무납 성분이고 두께가 1~3mm이며 경질 염화비닐 발포패널인 압축플라스틱 패널(10)을 생산하는 단계(200)와, 다양한 무늬(21)를 라미네이팅한 친환경 데코시트(20)를 얻는 단계(210)와, 상기 압축플라스틱 패널(10)의 일측면에 상기 친환경 데코시트(20)를 접착부재로 합지시키는 단계(220)와, 두께 1~3mm인 PE폼시트(PE Foam Sheet)(30)를 얻는 단계(230)와, 일측에는 데코시트(20)가 합지된 상기 압축플라스틱 패널(10)의 타측면에 접착부재(31a)를 도포하고 상기 PE폼시트(30)의 일측면을 합지시키는 단계(240)와, 상기 압축플라스틱 패널(10)의 타측면에 합지된 상기 PE폼시트(30)의 타측면에 점착부재(32a)를 도포하여 점착면(32)을 형성하고 상기 점착면(32)을 점착면이형지(32b)를 붙여 마무리하는 PE폼시트 점착면형성단계(250)와, 일측에는 데코시트(20)가 합지되고 타측에는 PE폼시트(30)가 합지된 상기 압축플라스틱 패널(10)을 일정 크기로 규격화하여 절단하는 단계(260)와, 직각인 모서리를 사선으로 샌딩하여 깍아내거나 프레싱하여 점착식 벽면마감재(1)를 맞대었을 때 V자홈이 형성되어 입체감이 부여되도록 하는 모따기단계(180)(270)를 포함하여서 이루어진다.
이런 본 발명의 점착식 벽면마감재(1)은, 환경 호르몬 의심물질이라고 하는 프탈레이트(phthalate)를 원료로 하지 않거나 함유를 하고 있지 않은 친환경 가소제를 사용함으로써, 친환경 제품으로 건물의 벽면 마감재로 사용되더라도 환경 호르몬과 관련하여 인체에 아무런 문제를 야기하지 않게 되며, 강한 내습성과 유연성 및 방음성을 갖을 뿐만 아니라, 가공성을 유지하면서도 강도가 높아 소비자가 직접 절단 및 가공시에도 손쉽게 작업이 이루어져 전체적인 시공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게 된다.
이런 본 발명의 점착식 벽면마감재(1)과 기존 PVC 타일과의 물성을 대비하여 비교하면 아래의 표1과 같다.
시험항목 단위 SPEC. 기존PVC
타일
본 발명 접착식 타일
#1 #2 #3 평균
잔류압입율 % 8이하 2.8~5.7 32.44 30.56 29.28 30.76
압입량 20℃ mm 0.25이상 0.33~0.36 0.78 0.80 0.76 0.78
45℃ mm 1.20이하 0.45~0.65 0.92 0.92 0.92 0.92
가열감량율 % 0.50이하 0.10~0.19 1.54 1.17 1.17 1.29
가열길이
변화율
MD % 0.25이하 0.04~0.07 -2.62
CD % 0.25이하 0.04~0.07 0.86
즉, 이러한 본 발명의 점착식 벽면마감재(1)는, 경질 염화비닐 발포 보드를 사용하여 제품의 강도와 유연성 및 가공성이 확보되고, 경질이지만 발표 소재이므로 소비자가 필요에 의해 컷터칼이나 가위로 손쉽게 절단이 가능하며, 유연성이 있으나 연질이 아니어서 표면이 편평하게 유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식 벽면마감재(1)는, 스티커 형태의 제품이기에 소비자가 직접 저렴하고 빠르며 간편하게 원하는 벽면의 인테리어 시공이 가능하고, 후면 점착을 PE폼으로 하여 벽면의 부착면이 고르지 않아도 잘 붙어 시공이 가능하며, 완제품이 패널 또는 타일 형태이므로 3D 입체감을 부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점착식 벽면마감재(1)는, 합성수지 소재이므로 강한 내습성을 가지면서 발표 제품이므로 높지는 않지만 일정 수준의 방음효과를 발휘할 수 있고, 합성수지로 표면을 라미네이팅함으로써 다양한 색상과 무늬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1 : 점착식 벽면마감재
10 : 압축플라스틱 패널
20 : 데코시트 21 : 무늬
30 : PE폼시트 31 : 접착면
31a : 접착부재 31b : 접착면이형지
32 : 점착면 32a : 점착부재
32b : 점착면이형지
100 : 압축플라스틱 패널을 생산하는 단계
110 : 무늬를 라미네이팅하여 데코시트를 얻는 단계
120 : 데코시트를 합지하는 단계
130 : PE폼시트를 얻는 단계
140 : PE폼시트 접착면형성단계
150 : PE폼시트 점착면형성단계
160 : PE폼시트를 합지하는 단계
170 : 규격화하여 절단하는 단계
180 : 모따기단계
200 : 압축플라스틱 패널을 생산하는 단계
210 : 무늬를 라미네이팅하여 데코시트를 얻는 단계
220 : 데코시트를 합지하는 단계
230 : PE폼시트를 얻는 단계
240 : PE폼시트를 합지하는 단계
250 : PE폼시트 점착면형성단계
260 : 규격화하여 절단하는 단계
270 : 모따기단계

Claims (5)

  1. 무납 성분이고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를 원료로 하지 않거나 함유를 하고 있지 않은 친환경 가소제를 사용하여 두께가 1~3mm이며 경질 염화비닐 발포패널인 압축플라스틱 패널(10)을 생산하는 단계(100);
    친환경 합성수지인 PET, PP, PVC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다양한 무늬(21)를 라미네이팅한 친환경 데코시트(20)를 얻는 단계(110);
    상기 압축플라스틱 패널(10)의 일측면에 상기 친환경 데코시트(20)를 접착부재로 합지하는 단계(120);
    두께 1~3mm인 PE폼시트(PE Foam Sheet)(30)를 얻는 단계(130);
    상기 PE폼시트(30)의 일측면에 접착부재(31a)가 도포된 접착면(31)을 형성하고 상기 접착면(31)에 접착면이형지(31b)를 붙여 마무리하는 PE폼시트 접착면형성단계(140);
    상기 PE폼시트(30)의 타측면에 점착부재(32a)가 도포된 점착면(32)을 형성하고 상기 점착면(32)에 점착면이형지(32b)를 붙여 마무리하는 PE폼시트 점착면형성단계(150);
    일측면에 상기 데코시트(20)가 합지된 상기 압축플라스틱 패널(10)의 타측면에 접착면이형지(31b)가 제거된 접착면(31)을 통해 상기 PE폼시트(30)의 일측면을 합지시키는 단계(160); 및
    일측에는 데코시트(20)가 합지되고 타측에는 PE폼시트(30)가 합지된 상기 압축플라스틱 패널(10)을 일정 크기로 규격화하여 절단하는 단계(17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점착식 벽면마감재의 제조방법.
  2. 무납 성분이고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를 원료로 하지 않거나 함유를 하고 있지 않은 친환경 가소제를 사용하여 두께가 1~3mm이며 경질 염화비닐 발포패널인 압축플라스틱 패널(10)을 생산하는 단계(200);
    친환경 합성수지인 PET, PP, PVC 중 하나를 선택적으로 사용하여 다양한 무늬(21)를 라미네이팅한 친환경 데코시트(20)를 얻는 단계(210);
    상기 압축플라스틱 패널(10)의 일측면에 상기 친환경 데코시트(20)를 접착부재로 합지시키는 단계(220);
    두께 1~3mm인 PE폼시트(PE Foam Sheet)(30)를 얻는 단계(230);
    일측에는 데코시트(20)가 합지된 상기 압축플라스틱 패널(10)의 타측면에 접착부재(31a)를 도포하고 상기 PE폼시트(30)의 일측면을 합지시키는 단계(240);
    상기 압축플라스틱 패널(10)의 타측면에 합지된 상기 PE폼시트(30)의 타측면에 점착부재(32a)를 도포하여 점착면(32)을 형성하고 상기 점착면(32)을 점착면이형지(32b)를 붙여 마무리하는 PE폼시트 점착면형성단계(250); 및
    일측에는 데코시트(20)가 합지되고 타측에는 PE폼시트(30)가 합지된 상기 압축플라스틱 패널(10)을 일정 크기로 규격화하여 절단하는 단계(2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점착식 벽면마감재의 제조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 염화비닐 발포패널인 압축플라스틱 패널(10)을 생산하는 단계(100,200)는,
    원재가 압출기의 호퍼로 공급되어 150~195℃로 가열된 배럴과 평(Flat)다이 중 메니폴드(Manifold)형 다이와 T-다이 및 코오트 행거(Coat Hanger)형 다이 중 어느 하나를 통과한 다음 냉각수조나 두 개 이상의 냉각 롤을 거쳐 가공됨으로써 균일하게 분포된 독립기포를 갖고 표면이 매끄러우며 발포율 30~60%이고 비중 0.7~0.8(DIN53479 시험법)이며 인장강도 150~170 Kg/Cm2(DIN53455)이고 신율 30~40%(DIN53452)이며 굴곡탄성율 8000~9000Kg/Cm2(DIN53452)이고 충격강도(Charpy) 11~19 Kgf·Cm/Cm2(DIN53453)이며 경도(Shore Hardness) 20~30 N/M·M2(DIN53456)인 압축플라스틱 패널(10)을 연속적으로 생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축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점착식 벽면마감재의 제조방법.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일정 크기로 규격화하여 절단하는 단계(170)(260) 이후에 직각인 모서리를 사선으로 샌딩하여 깍아내거나 프레싱함으로써 점착식 벽면마감재(1)를 맞대었을 때 V자홈이 형성되어 입체감이 부여되도록 하는 모따기단계(180)(270)를 각각 더 포함하여서 이루어지는 압축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점착식 벽면마감재의 제조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2 항에 따른 제조방법에 따라서 제조된 압축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점착식 벽면마감재.
KR1020170036935A 2017-03-23 2017-03-23 압축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점착식 벽면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9588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935A KR101958883B1 (ko) 2017-03-23 2017-03-23 압축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점착식 벽면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6935A KR101958883B1 (ko) 2017-03-23 2017-03-23 압축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점착식 벽면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950A true KR20180107950A (ko) 2018-10-04
KR101958883B1 KR101958883B1 (ko) 2019-03-15

Family

ID=63862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6935A KR101958883B1 (ko) 2017-03-23 2017-03-23 압축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점착식 벽면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888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87098A1 (de) * 2018-06-25 2020-01-01 Hubertus Pohlmann Wandabdeckung für eine küche
KR102399031B1 (ko) * 2021-04-30 2022-05-18 주식회사 한서마이크론 건축 마감용 단프라 데코보드
KR102454314B1 (ko) * 2021-09-30 2022-10-12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셀프 인테리어가 가능한 다층구조의 diy 벽체용 패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00095776A1 (en) * 2018-09-25 2020-03-26 Yoon Hwan Kim Adhesive Wall Finish Using Compressed Plastic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00666B1 (ko) 2019-12-31 2021-09-10 주식회사 리인테리어 폐목재를 활용한 실내외 인테리어 마감재의 제작 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된 실내외 인테리어 마감재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3843B2 (ja) * 1985-11-08 1994-09-21 株式会社蓼科製作所 建築用飾り枠体の製造法
JPH08259722A (ja) * 1995-03-28 1996-10-08 Sekisui Chem Co Ltd 発泡成形用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KR200308787Y1 (ko) * 2003-01-02 2003-03-28 김명희 피이티와 피브이씨 시트가 합지되어진 건축용 장식바닥제 비닐장판
KR200432622Y1 (ko) 2006-09-04 2006-12-05 민건우 콘크리트 바닥에 접착되는 바닥재
KR20150007496A (ko) * 2013-07-11 2015-01-21 박래형 안전사고 예방용 발포시트
JP6073843B2 (ja) * 2014-09-10 2017-02-01 佐藤製薬株式会社 硬度及び崩壊性に優れた口腔内崩壊錠の製造方法及び該製造方法により製造される口腔内崩壊錠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3843B2 (ja) * 1985-11-08 1994-09-21 株式会社蓼科製作所 建築用飾り枠体の製造法
JPH08259722A (ja) * 1995-03-28 1996-10-08 Sekisui Chem Co Ltd 発泡成形用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KR200308787Y1 (ko) * 2003-01-02 2003-03-28 김명희 피이티와 피브이씨 시트가 합지되어진 건축용 장식바닥제 비닐장판
KR200432622Y1 (ko) 2006-09-04 2006-12-05 민건우 콘크리트 바닥에 접착되는 바닥재
KR20150007496A (ko) * 2013-07-11 2015-01-21 박래형 안전사고 예방용 발포시트
JP6073843B2 (ja) * 2014-09-10 2017-02-01 佐藤製薬株式会社 硬度及び崩壊性に優れた口腔内崩壊錠の製造方法及び該製造方法により製造される口腔内崩壊錠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587098A1 (de) * 2018-06-25 2020-01-01 Hubertus Pohlmann Wandabdeckung für eine küche
KR102399031B1 (ko) * 2021-04-30 2022-05-18 주식회사 한서마이크론 건축 마감용 단프라 데코보드
KR102454314B1 (ko) * 2021-09-30 2022-10-12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셀프 인테리어가 가능한 다층구조의 diy 벽체용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58883B1 (ko) 2019-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8883B1 (ko) 압축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점착식 벽면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US20170136735A1 (en) Engineered Plank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EP2855595B1 (en) Polymeric composites, resulting panel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8613824B2 (en) Multi-layer, substantially polyvinyl chloride- and polyolefin-free composite film
EP2923815A1 (en) Method for preparing an adhesive polyolefin, adhesive polyolefin, use thereof, and manufactured article
WO2020068976A1 (en) Adhesive wall finish using compressed plastic pane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US11975510B2 (en) Engineered plank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US10543626B2 (en) Poly(vinyl chloride) substrate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U628441B2 (en) Composite paper reinforced thermoplastic article
JPH03130134A (ja) 輸送車両の内装向け熱成形可能な硬質化粧ラミナ
JP3835278B2 (ja) 床材
US5188888A (en) Composite paper reinforced thermoplastic article
US20180178487A1 (en) Engineered Plank and its Manufacturing Method
WO1990005634A1 (en) Composite paper reinforced thermoplastic article
JP3359017B2 (ja) 加飾性熱可塑性樹脂シート
JP4148006B2 (ja) 床材の補間部材
JP4897383B2 (ja) 加飾性多層共押出成形体
JP2000301586A (ja) 押出し装飾製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3157046B2 (ja) 積層体
JP2002019051A (ja) フッ素系樹脂積層体及びそれからなる成形体
JP2005232828A (ja) 床材
JP2008036831A (ja) 加飾性多層共押出成形体
JP2005041130A (ja) 化粧パネ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4758088B2 (ja) 加飾性多層共押出成形体
KR20040055091A (ko) 경질층 및 발포층으로 구성된 폴리염화비닐 시트의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