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54314B1 - 셀프 인테리어가 가능한 다층구조의 diy 벽체용 패널 - Google Patents

셀프 인테리어가 가능한 다층구조의 diy 벽체용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54314B1
KR102454314B1 KR1020210129608A KR20210129608A KR102454314B1 KR 102454314 B1 KR102454314 B1 KR 102454314B1 KR 1020210129608 A KR1020210129608 A KR 1020210129608A KR 20210129608 A KR20210129608 A KR 20210129608A KR 102454314 B1 KR102454314 B1 KR 102454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layer
diy
laminated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96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현대엘앤씨
Priority to KR10202101296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43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4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4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6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1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synthetic resin layer or on natural or synthetic rubb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5Polyolef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10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Landscapes

  • Finishing Wal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셀프 인테리어가 가능한 다층구조의 DIY 벽체용 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넌 피브이씨(Non-PVC)인 폴리올레핀계 소재를 사용하여 친환경성을 부여함은 물론, 표면의 데코시트는 UV코팅처리하여 내스크래치성과 내오염성을 증대시키고, 후면에는 폴리에틸렌폼층을 형성하여 유연하고 푹신하여 거친표면에도 시공이 가능하게 하여 시공범위가 넓고 소비자가 손쉽게 시공할 수 있도록 개선된 셀프 인테리어가 가능한 다층구조의 DIY 벽체용 패널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셀프 인테리어가 가능한 다층구조의 DIY 벽체용 패널{A multi-layered DIY wall panel that can be decorated by itself}
본 발명은 셀프 인테리어가 가능한 다층구조의 DIY 벽체용 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넌 피브이씨(Non-PVC)인 폴리올레핀계 소재를 사용하여 친환경성을 부여함은 물론, 표면의 데코시트는 UV코팅처리하여 내스크래치성과 내오염성을 증대시키고, 후면에는 폴리에틸렌폼층을 형성하여 유연하고 푹신하여 거친표면에도 시공이 가능하게 하여 시공범위가 넓고 소비자가 손쉽게 시공할 수 있도록 개선된 셀프 인테리어가 가능한 다층구조의 DIY 벽체용 패널에 관한 것이다.
DIY(Do It Yourself), 즉 셀프 인테리어가 가능한 대표적인 마감재로 벽지를 들 수 있다.
그런데, 최근에는 소비자들의 취향에 따라 다양한 인테리어가 가능하도록 폼시트를 비롯하여 벽체용 패널까지 여러종류의 벽면마감재들이 시판되고 있다.
하지만, 시판되고 있는 종래 대부분의 벽면마감재들은 후면에 폼층(Foam Layer)이 존재하지 않아 거친 표면에는 시공하기 어렵고 시공하더라도 쉽게 탈락되는 등 시공부위가 제한적이고, 자연스러운 마감이 어려운 한계를 안고 있었다.
또한, 대표적인 벽면마감재인 등록특허 제10-1958883호의 경우에는 코어층으로 PVC 발포패널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연소시 염화수소가스를 발생시키므로 환경오염의 원인이 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의 추세는 넌 피브이씨(Non-PVC) 벽면마감재를 개발하려는 움직임이 지속되고 있으며, 이와 함께 환경규제물질인 프탈레이트계 가소제의 사용도 제한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상기 등록특허의 경우 벽면마감재의 물성중 비중이 0.6 이상으로 높고, 굴곡탄성율도 9,500kg/㎠ 이하로서 셀프 인테리어시 거친면에 대한 고정안정성(즉, 부착력)이 떨어지며, 충격강도의 경우에도 20kgf·㎝/㎠ 이하로서 내충격성이 떨어져 쉽게 파손될 수 있는 위험을 안고 있을 뿐만 아니라, 경도의 경우에도 35N/m·㎡ 미만으로써 내구성도 떨어지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958883호(2019.03.11.) 압축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점착식 벽면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들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넌 피브이씨(Non-PVC)인 폴리올레핀계 소재를 사용하여 친환경성을 부여함은 물론, 표면의 데코시트는 UV코팅처리하여 내스크래치성과 내오염성을 증대시키고, 후면에는 폴리에틸렌폼층을 형성하여 유연하고 푹신하여 거친표면에도 시공이 가능하게 하여 시공범위가 넓고 소비자가 손쉽게 시공할 수 있도록 개선된 셀프 인테리어가 가능한 다층구조의 DIY 벽체용 패널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기재필름(100)과, 상기 기재필름(100) 위에 합지되어 내충격성을 확보하는 완충시트(200)와, 상기 완충시트(200) 위에 점착된 가교필름(300)과, 상기 가교필름(300) 위에 합지되어 패널의 형태성을 유지하고 지지력을 제공하는 코어보드(400)와, 상기 코어보드(400) 위에 합지되어 패널의 표면을 보호하는 데코시트(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인테리어가 가능한 다층구조의 DIY 벽체용 패널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기재필름(100)은 형태성을 유지하면서 피착면에 대한 부착력을 높이기 위해 마감필름층(110)과, 상기 마감필름층(110) 하부에 아크릴수지로 코팅된 점착층(120)과, 상기 점착층(120) 아래에 합지된 이형필름(13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마감필름층(110)은 50-100㎛의 두께를 가지며, 폴리에틸렌필름의 하면에만 폴리프로필렌수지가 코팅된 형태를 갖도록 하여 아크릴수지로 된 점착층(120)과의 교합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완충시트(200)는 완충점착층(210)과 폴리에틸렌폼층(220)을 갖되, 상기 완충점착층(210)은 아크릴수지로 형성되며, 폴리에틸렌폼층(220)은 폴리에틸렌수지를 20-40배의 발포배율로 발포하여 1-3mm의 두께를 갖도록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교필름(300)은 친환경적인 올레핀계 수지인 폴리프로필렌수지로 제조되며, 30-80㎛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데코시트(500)는 상기 코어보드(400)에 열합지될 수 있도록 폴리프로필렌수지로 형성된 50-150㎛ 두께의 유색하지필름(510)과, 상기 유색하지필름(510) 위에 대리석무늬나 나무무늬를 포함한 여러 디자인을 인쇄하여 심미성을 제공하는 인쇄층(520)과, 상기 인쇄층(520)을 보호하도록 50-150㎛ 두께의 폴리프로필렌수지로 구성된 투명상지층(530)과, 상기 투명상지층(530) 위에 코팅되고 자외선 경화되어 표면 스크래치나 내오염성을 유지하도록 5㎛ 이하의 두께로 코팅되는 UV코팅층(5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넌 피브이씨(Non-PVC)인 폴리올레핀계 소재를 사용하여 친환경성을 부여함은 물론, 표면의 데코시트는 UV코팅처리하여 내스크래치성과 내오염성을 증대시키고, 후면에는 폴리에틸렌폼층을 형성하여 유연하고 푹신하여 거친표면에도 시공이 가능하게 하여 시공범위가 넓고 소비자가 손쉽게 시공할 수 있도록 개선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벽체용 패널의 층구조를 보인 예시적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용 패널의 실 사용예를 보인 샘플 사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용 패널의 물성확인을 위해 검증기관에 의뢰하여 받은 시험성적서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에 따른 셀프 인테리어가 가능한 다층구조의 DIY 벽체용 패널은 넌 피브이씨(Non-PVC)인 폴리올레핀계 소재를 사용하여 벽체용 패널을 폐기할 때 연소처분하여도 환경호르몬을 비롯한 염화수소가스가 발생할 염려가 없기 때문에 친환경성을 갖는다.
특히, 벽체용 패널의 표면에 데코시트를 형성한 후 이 데코시트 표면을 자외선으로 코팅하고 경화처리함으로써 내스크래치성은 물론 내오염성, 즉 방오성을 강화시킨 특징도 가진다.
뿐만 아니라, 본 발명에 따른 벽체용 패널은 후면에 폴리에틸렌폼층을 형성하여 유연하고 푹신하기 때문에 내충격성은 물론, 굴곡탄성율이 높아 거친표면에 시공하여도 고정안정성이 뛰어나며, 규정치 이상의 경도값을 갖추어 내구성도 우수한 특징을 갖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벽체용 패널은 도 1의 예시와 같이, 기재필름(100)과, 상기 기재필름(100) 위에 열합지된 완충시트(200)와, 상기 완충시트(200) 위에 점착된 가교필름(300)과, 상기 가교필름(300) 위에 열합지된 코어보드(400)와, 상기 코어보드(400) 위에 열합지된 데코시트(50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기재필름(100)은 형태성을 유지하면서 피착면에 대한 부착력을 높이기 위해 마감필름층(110)과, 상기 마감필름층(110) 하부에 아크릴수지로 코팅된 점착층(120)과, 상기 점착층(120) 아래에 합지된 이형필름(130)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마감필름층(110)은 50-100㎛의 두께를 가지며, 폴리에틸렌필름의 하면에만 폴리프로필렌수지가 코팅된 형태를 갖도록 하여 아크릴수지로 된 점착층(120)과의 교합성을 높여 형태성을 유지하면서 피착면에 잘 붙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PVC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그리고, 상기 이형필름(130)은 쉽게 잘 분리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지만, 평상시에는 점착층(120)을 보호해야 한다. 때문에, 이형전에는 어느 정도 점착력을 갖고 상기 점착층(120)에 붙어 있어야 하므로 이를 위해 본 발명에서는 폴리에틸렌수지와 실리콘수지를 1:1의 중량비로 혼합한 혼합수지를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필름에 도포한 상태에서 이를 점착층(120)에 부착하는 형태로 구비되며, 두께는 10-50㎛를 갖는다.
아울러, 상기 완충시트(200)는 본 발명에 따른 벽체용 패널이 거친면에도 잘 부착되어 고정안정성을 갖추도록 굴곡탄성율이 9,500kg/㎠ 이상의 물성을 갖도록 구현된다.
이를 위해, 상기 완충시트(200)는 완충점착층(210)과 폴리에틸렌폼층(220)을 갖는다.
이때, 완충점착층(210)은 아크릴수지로 형성되며, 폴리에틸렌폼층(220)은 폴리에틸렌수지를 20-40배의 발포배율로 발포하여 1-3mm의 두께를 갖도록 제조한 것으로 폴리에틸렌수지를 사용하는 이유는 상기 마감필름층(110)의 표면이 폴리에틸렌수지이기 때문에 이와의 교합성, 즉 열합지를 통한 부착력을 높이기 위함이다.
이와 같은 완충시트(200)를 구비함으로써 본 발명에서는 충격강도를 20kgf·㎝/㎠ 이상으로 유지하여 내충격성을 증대시키는 특징도 있다.
그리고, 상기 가교필름(300)은 코어보드(400)와 완충시트(200)가 쉽게 계면분리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견고한 부착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가교시키는 필름이다.
이를 위해, 상기 가교필름(300)은 친환경적인 올레핀계 수지인 폴리프로필렌수지로 제조되며, 30-80㎛의 두께를 갖고 코어보드(400)와는 열합지, 완충시트(200)와는 점착되는 특성을 갖는다.
뿐만 아니라, 상기 코어보드(400)는 폴리프로필렌수지를 1-3배의 발포배율로 발포하여 1-3mm 두께를 갖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코어보드(400)는 패널의 형상유지 및 층구조의 지지점으로서 비중을 0.6 이하로 낮추면서 경도는 35N/m·㎡ 이상으로 유지하여 내구성도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특히, PVC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친환경성을 강화시키는 특징이 있다.
한편, 데코시트(500)는 표면을 보호하면서 장식미를 제공하는 부재로서, 상기 코어보드(400)에 열합지될 수 있도록 폴리프로필렌수지로 형성된 50-150㎛ 두께의 유색하지필름(510)과, 상기 유색하지필름(510) 위에 대리석무늬나 나무무늬를 포함한 여러 디자인을 인쇄하여 심미성을 제공하는 인쇄층(520)과, 상기 인쇄층(520)을 보호하도록 50-150㎛ 두께의 폴리프로필렌수지로 구성된 투명상지층(530)과, 상기 투명상지층(530) 위에 코팅되고 자외선 경화되어 표면 스크래치나 내오염성을 유지하도록 5㎛ 이하의 두께로 코팅되는 UV코팅층(540)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벽체용 패널의 물성을 테스트하여 본 발명이 목적하는 특성을 갖추었는지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 1 및 도 3,4에 도시하였다.
특히, 주요 물성의 경우에는 한국건설생활환경시험연구원에 의뢰하여 검증하였다.
아울러, 본 발명이 목적하는 기본 물성의 범위는 비중이 0.6 이하, 굴곡탄성율도 9,500kg/㎠ 이상, 충격강도 20kgf·㎝/㎠ 이상, 35N/m·㎡ 이상이다.
Figure 112021112457692-pat00001
상기 표 1 및 도 3,4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벽체용 패널은 비중이 0.579로서 규정치인 0.6 이하를 만족하고 있으며; 굴곡탄성율의 경우에도 9,565kg/㎠로서 규정치인 9,500kg/㎠ 이상을 만족하고 있고; 충격강도의 경우에도 24kgf·㎝/㎠로서 규정치인 20kgf·㎝/㎠ 이상을 만족하고 있으며; 경도의 경우에도 54N/m·㎡로서 규정치인 35N/m·㎡ 이상 보다 현저히 높아 모든 특성을 만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100: 기재필름
200: 완충시트
300: 가교필름
400: 코어보드
500: 데코시트

Claims (6)

  1. 삭제
  2. 기재필름(100)과, 상기 기재필름(100) 위에 합지되어 내충격성을 확보하는 완충시트(200)와, 상기 완충시트(200) 위에 점착된 가교필름(300)과, 상기 가교필름(300) 위에 합지되어 패널의 형태성을 유지하고 지지력을 제공하는 코어보드(400)와, 상기 코어보드(400) 위에 합지되어 패널의 표면을 보호하는 데코시트(500)를 포함하는 셀프 인테리어가 가능한 다층구조의 DIY 벽체용 패널에 있어서;
    상기 기재필름(100)은 형태성을 유지하면서 피착면에 대한 부착력을 높이기 위해 마감필름층(110)과, 상기 마감필름층(110) 하부에 아크릴수지로 코팅된 점착층(120)과, 상기 점착층(120) 아래에 합지된 이형필름(13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인테리어가 가능한 다층구조의 DIY 벽체용 패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감필름층(110)은 50-100㎛의 두께를 가지며, 폴리에틸렌필름의 하면에만 폴리프로필렌수지가 코팅된 형태를 갖도록 하여 아크릴수지로 된 점착층(120)과의 교합성을 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인테리어가 가능한 다층구조의 DIY 벽체용 패널.
  4. 기재필름(100)과, 상기 기재필름(100) 위에 합지되어 내충격성을 확보하는 완충시트(200)와, 상기 완충시트(200) 위에 점착된 가교필름(300)과, 상기 가교필름(300) 위에 합지되어 패널의 형태성을 유지하고 지지력을 제공하는 코어보드(400)와, 상기 코어보드(400) 위에 합지되어 패널의 표면을 보호하는 데코시트(500)를 포함하는 셀프 인테리어가 가능한 다층구조의 DIY 벽체용 패널에 있어서;
    상기 완충시트(200)는 완충점착층(210)과 폴리에틸렌폼층(220)을 갖되, 상기 완충점착층(210)은 아크릴수지로 형성되며, 폴리에틸렌폼층(220)은 폴리에틸렌수지를 20-40배의 발포배율로 발포하여 1-3mm의 두께를 갖도록 제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인테리어가 가능한 다층구조의 DIY 벽체용 패널.
  5. 기재필름(100)과, 상기 기재필름(100) 위에 합지되어 내충격성을 확보하는 완충시트(200)와, 상기 완충시트(200) 위에 점착된 가교필름(300)과, 상기 가교필름(300) 위에 합지되어 패널의 형태성을 유지하고 지지력을 제공하는 코어보드(400)와, 상기 코어보드(400) 위에 합지되어 패널의 표면을 보호하는 데코시트(500)를 포함하는 셀프 인테리어가 가능한 다층구조의 DIY 벽체용 패널에 있어서;
    상기 가교필름(300)은 친환경적인 올레핀계 수지인 폴리프로필렌수지로 제조되며, 30-80㎛의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셀프 인테리어가 가능한 다층구조의 DIY 벽체용 패널.
  6. 삭제
KR1020210129608A 2021-09-30 2021-09-30 셀프 인테리어가 가능한 다층구조의 diy 벽체용 패널 KR1024543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608A KR102454314B1 (ko) 2021-09-30 2021-09-30 셀프 인테리어가 가능한 다층구조의 diy 벽체용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608A KR102454314B1 (ko) 2021-09-30 2021-09-30 셀프 인테리어가 가능한 다층구조의 diy 벽체용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4314B1 true KR102454314B1 (ko) 2022-10-12

Family

ID=835982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9608A KR102454314B1 (ko) 2021-09-30 2021-09-30 셀프 인테리어가 가능한 다층구조의 diy 벽체용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431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1664A (ko) * 2002-01-15 2003-07-22 박창현 횡방향의 찢김성과 투명성이 증가된 점착테이프
KR20050097592A (ko) * 2004-04-01 2005-10-10 주식회사 마프로 무해성 인테리어시트
KR20130003434A (ko) * 2011-06-30 2013-01-09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발포층이 형성된 데코시트
KR20130020183A (ko) * 2011-08-19 2013-02-27 장상준 방수재층을 구비한 문구 또는 광고용 발포보드 패널
KR20160030124A (ko) * 2013-07-04 2016-03-16 레놀리트 에스이 다중레이어 패널
KR20180107950A (ko) * 2017-03-23 2018-10-04 김윤환 압축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점착식 벽면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1664A (ko) * 2002-01-15 2003-07-22 박창현 횡방향의 찢김성과 투명성이 증가된 점착테이프
KR20050097592A (ko) * 2004-04-01 2005-10-10 주식회사 마프로 무해성 인테리어시트
KR20130003434A (ko) * 2011-06-30 2013-01-09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발포층이 형성된 데코시트
KR20130020183A (ko) * 2011-08-19 2013-02-27 장상준 방수재층을 구비한 문구 또는 광고용 발포보드 패널
KR20160030124A (ko) * 2013-07-04 2016-03-16 레놀리트 에스이 다중레이어 패널
KR20180107950A (ko) * 2017-03-23 2018-10-04 김윤환 압축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점착식 벽면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958883B1 (ko) 2017-03-23 2019-03-15 김윤환 압축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점착식 벽면마감재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33369B1 (ko) 화장 시트, 및 이것을 사용한 화장 부재
US7678466B2 (en) Flooring having surface layer of synthetic resin and wood-based board
TWI613079B (zh) 具有彈性塑膠之外部薄膜層之覆蓋層
PT2039530E (pt) Painéis de soalho, de parede ou de tecto e processo para o seu fabrico
CN111556916B (zh) 具有声学部分的表面覆盖物
KR102454314B1 (ko) 셀프 인테리어가 가능한 다층구조의 diy 벽체용 패널
JP2008115657A (ja) 床用化粧シート
JP2010082918A (ja) 化粧シートおよびこれを用いた化粧板
JP2007107241A (ja) 床用化粧材
KR101211762B1 (ko) 인쇄 필름을 이용한 건축 내장재 및 그 제조 방법
JP5953928B2 (ja) 防滑性化粧シートの製造方法
JP6064335B2 (ja) 床材表面用積層体
JP2009127298A (ja) 床用化粧材
JP2004017617A (ja) 耐汚染化粧材
JP2015197010A (ja) 化粧ボードの製造方法、化粧ボード、壁および治具
KR102364755B1 (ko) 화장재 및 화장재의 제조 방법
JP2009297896A (ja) 床用化粧材
KR102348390B1 (ko) 논슬립 발포폼을 포함하는 타일형 바닥장식재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7077602A (ja) 床用化粧材
JP2007105964A (ja) 床用化粧材
JP2007098855A (ja) 床用化粧材
ATE235541T1 (de) Selbstklebefolie
JP6720496B2 (ja) 不燃性防湿化粧板及び建具
KR20190111251A (ko) 건축 자재 및 그 제조 방법
KR101142680B1 (ko) 종이재 모양지 양면에 수지 함침층을 갖는 장식용 시트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