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7170A - 치과용 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를 위한 삽입 도구, 및 치과용 임플란트와 삽입 도구의 조합체 - Google Patents

치과용 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를 위한 삽입 도구, 및 치과용 임플란트와 삽입 도구의 조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7170A
KR20180107170A KR1020187024307A KR20187024307A KR20180107170A KR 20180107170 A KR20180107170 A KR 20180107170A KR 1020187024307 A KR1020187024307 A KR 1020187024307A KR 20187024307 A KR20187024307 A KR 20187024307A KR 20180107170 A KR20180107170 A KR 201801071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lant
region
cross
section
thr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43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외르크 베이트젤
앤토니 쿼리
스테판 본빌러
니키 피스테르
에드먼드 버크
세리프 아메티
데이비드 솔베르거
니콜라이 베른하르트
Original Assignee
노벨 바이오케어 서비시스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벨 바이오케어 서비시스 아게 filed Critical 노벨 바이오케어 서비시스 아게
Publication of KR201801071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71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89Implanting tools or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3/00Dental prostheses; Making sam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22Self-screwing
    • A61C8/0024Self-screwing with self-boring cutting ed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8/00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 A61C8/0018Means to be fixed to the jaw-bone for consolidating natural teeth or for fixing dental prostheses thereon; Dental implants; Implanting too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C8/0037Details of the shape
    • A61C8/0039Details of the shape in the form of hollow cylinder with an open botto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Dental Prosthetics (AREA)
  • Prostheses (AREA)

Abstract

치근 단부(4), 치관 단부(6), 및 상기 치근 단부(4)와 상기 치관 단부(6) 사이에서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외부 표면(8)을 갖는 코어 몸체(2); 및 상기 외부 표면(8)의 적어도 나사산 부분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12)을 포함하는, 특히 환자의 뼈 조직 내로 삽입하기 위한 치과용 임플란트(1)는 1차 및 2차 안정성에 관해 우수한 특성을 가져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것은, 상기 코어 몸체(2)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치관 단부(6)에 인접한 코어 형성 영역(22)으로서, 상기 코어 형성 영역(22)에서 상기 코어 몸체(2)의 단면은 상기 단면의 중심(50)과 그 외부 윤곽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반경이 이웃한 배향에서보다 상대적인 최대 값 및 그리하여 더 높은 값을 취하는 다수의 주 방향을 갖는, 상기 코어 형성 영역; 바람직하게는 상기 치근 단부(4)에 인접한 코어 원형 영역(20)으로서, 상기 코어 원형 영역(20)에서 상기 코어 몸체(2)의 단면은 기본적으로 원형 형상인, 상기 코어 원형 영역; 및 상기 길이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코어 형성 영역(22)과 상기 코어 원형 영역(20) 사이에 위치된 전이 영역(26)으로서, 상기 전이 영역(26)에서 상기 코어 몸체(2)의 단면의 기하학적인 형상은, 상기 길이방향의 좌표에 대한 파라미터 특성의 함수로서, 상기 코어 원형 영역(20)에 인접한 기본적으로 원형인 형상으로부터, 상기 코어 몸체(2)의 단면이 상기 코어 형성 영역(32)의 단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연속적으로 변하는, 상기 전이 영역을 포함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또한 환자의 뼈 조직 내로 치과용 임플란트(1, 201, 401)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도구(200)에 관한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은 이러한 치과용 임플란트(1, 201, 401)와 이러한 삽입 도구(200)의 조합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치과용 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를 위한 삽입 도구, 및 치과용 임플란트와 삽입 도구의 조합체
본 발명은, 특히 환자의 뼈 조직 내로 삽입하기 위한 치과용 임플란트로서, 치근(apical) 단부, 치관(coronal) 단부, 및 상기 치관 단부와 상기 치관 단부 사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외부 표면을 갖는 코어 몸체(core body), 및 상기 외부 표면의 적어도 나사산 부분 상에 위치되고 상기 코어 몸체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을 포함하는,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환자의 뼈 조직 내로 삽입하기 위한 치과용 임플란트로서, 치근 단부와 치관 단부를 갖는 코어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 몸체는, 상기 치관 단부로 개방되고 상기 치관 단부로부터 상기 치근 단부를 향해 상기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채널을 포함하는,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환자의 뼈 조직 내로 치과용 임플란트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도구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임플란트와 이러한 삽입 도구의 조합체에 관한 것이다.
치과용 임플란트는 치아 손실을 보완하기 위해 재건 요법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이 치과용 임플란트는 통상 추출되거나 뽑힌 치아 자리에서 턱뼈 내로 삽입되고 약 4주 내지 12주의 치유 단계 후에 대개 치과용 보철이나 크라운으로 기능하는 보철 부품이 거기에 유지된다. 이를 위해, 이러한 치과용 임플란트는 의도된 자리에서 나사 결합하는 것에 의해 턱뼈 또는 뼈 조직 내로 삽입되는 적절히 성형된 금속 몸체로서 통상 구성된다. 대체로, 치과용 임플란트의 치근 단부는 나사 나사산, 대부분의 경우 자가 절삭식(self-cutting) 나사 나사산을 포함하며, 이를 통해 치과용 임플란트가 대응하게 제조된 임플란트 베드(bed) 내로 삽입된다.
치과용 임플란트는 치과용 보철이 턱 뼈 내로 삽입된 후에 임플란트에 직접 부착되는 일체형 설계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특히 환자의 구강 내로 용이하게 삽입하기 위해, 특히 환자의 치료 전에 임플란트에 고정되기 전에, 예를 들어 치과 기공소에서 특히 광범위한 보철 준비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은 또한 다수의 부품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일반적으로 두 개의 부품으로 된 구조가 제공될 수 있으며, 여기서 치과용-임플란트 시스템은 턱뼈 내로 삽입되도록 제공된 실제 임플란트 또는 포스트 부품이라고도 하는 제1 임플란트 부품, 및 이에 더하여 이 제1 임플란트 부품과 결합되고 보철 등으로서 제공된 치과용 보철물이 장착될 수 있는 장착 부품 또는 지대주(abutment)라고도 하는 제2 임플란트 부품을 포함한다.
실제 임플란트 또는 포스트 부품의 외부 표면에는 통상 자가 절삭식 나사산으로 설계되거나 또는 자가 절삭식 나사산이 아닌 나사산으로 설계될 수 있는 나사산이 제공된다. 임플란트 또는 포스트 부품은 통상 턱뼈에 대응하여 준비된 임플란트 베드에 고정된다. 치과용 임플란트의 외부 영역에 제공되는 나사산의 구조는 통상 배열체의 높은 1차 안정성을 위해 및 치과용 임플란트의 저작 부하(chewing load) 하에서 발생하는 힘을 턱뼈 내로 균일하게 전달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해, 특히 임플란트를 뼈 조직 내로 삽입한 후에 높은 1차 안정성을 위해, 나사산 및 임플란트 몸체를 구성하는 다양한 접근법이 종래 기술에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임플란트 몸체의 상이한 영역에서 상이한 나사산 유형 또는 상이한 나사산 파라미터의 나사산을 형성하는, 다양한 나사산 기하 형상 및 이 기하 형상의 조합이 제공될 수 있다. WO 2008/128757 A2로부터, 각각의 나사산의 외부 표면 상에 및/또는 직접 2개의 인접한 나사산 사이의 임플란트 몸체 상에 추가적인 나선형 그루브(groove)를 특징으로 하는 전술한 유형의 임플란트가 알려져 있다. 다른 시스템에서 좁은 그루브를 특징으로 하는 압축 유형 나사산이 제공될 수 있다. 높은 1차 안정성은 또한 임플란트에 제공된 부위에서 환자의 뼈에 천공된 구멍을 작게 하여 제공된 나사산으로 임플란트의 코어 몸체에 임플란트가 나사 결합될 때 주위의 뼈 물질을 압축하도록 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너무 강한 압축은 뼈 내 혈관을 붕괴시켜, 삽입 후 뼈가 치유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임플란트 및 임플란트에 제공된 나사산을 특정 방식으로 설계하는 또 다른 널리 보급된 목표는 임플란트 표면에 직접 접촉하는 뼈 물질이 재생하는 것인 소위 2차 안정성 또는 골 유착(osseointegration)이다.
US 2007/0190491 A1은 임플란트 몸체의 비-둥근 단면의 기하 형상을 갖는 임플란트 설계를 개시한다. 이 설계에서는 대부분의 자연 치아의 단면이 또한 둥글지 않다는 것을 인식하고 뼈 조직 내 혈관의 원래 위치와 더 잘 일치시켜 우수하고 빠른 골 유착을 지원하도록 임플란트 몸체의 것과 유사한 단면 구조를 취한다.
전술한 것과 같은 치과용 임플란트는 일반적으로 삽입 도구, 예를 들어, 임플란트 구동기에 의해 환자의 뼈 조직 내로 삽입된다. 이를 위해, 삽입 도구의 원위 부분은 임플란트의 치관 부분에 제공된 소켓(socket) 내로 도입된다. 이러한 원위 부분은 임플란트 소켓과 협력하며, 삽입 도구가 길이 방향 축 주위로 회전할 때, 임플란트는 뼈 조직 내로 나사 결합되게 한다.
뼈 조직 내에 임플란트가 신뢰성 있고 정확히 배치되기 위해, 삽입 도구는 임플란트에 적절히 안착되어야 하는데, 즉, 완전히 맞물려야 한다. 삽입 도구와 치과용 임플란트 사이에 임의의 부적합이나 오정렬이 있으면 임플란트를 뼈 조직 내로 삽입하는 과정이 복잡해지고 임플란트를 잘못 배치할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더욱이, 삽입 도구는 임플란트를 픽업하여 이를, 뼈 조직 내로 삽입될 임플란트 부위로 운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도구와 임플란트 사이에 부적합 또는 오정렬이 발생하면 임플란트가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임플란트가 삽입 도구로부터 떨어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환자가 임플란트를 삼키거나 흡입할 경우 환자의 건강에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도 있다.
삽입 도구와 임플란트 사이에 마찰 끼워 맞춤을 달성하기 위해, US 7,131,840 B2는 임플란트 구동기의 원위 부분에서 O-링을 사용하는 것을 개시한다. 그러나, 이 문헌에 개시된 구성으로는 임상의(clinician)가 삽입 도구 및 임플란트가 서로 적절히 맞물리는지 여부를 신뢰성 있게 평가할 수 없다.
삽입 도구를 임플란트에 연결하기 위해 유지 부재를 사용하여 삽입부와 임플란트 사이의 연결을 개선하는 또 다른 방법이 US 8,864,494 B2에 개시되어 있다. 임플란트가 뼈 조직 내로 삽입된 후, 유지 부재는 임플란트로부터 제거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접근법은 유지 부재의 형태로 추가적인 치과용 부품을 사용할 것을 필요로 하고 임상의로부터 추가적인 단계를 수행할 것을 필요로 하여, 임플란트 삽입 공정을 복잡하고 번거롭게 한다.
따라서, 삽입 도구와 치과용 임플란트가 서로 적절히 부착되었는지를 나타내는 명확한 표시를 제공하는, 임플란트 구동기와 같은 삽입 도구를 치과용 임플란트에 부착하는, 신뢰성 있고 효율적이며 간단한 접근법이 필요하다.
또한, 임플란트, 특히 그 소켓이 손상되거나 또는 파손되는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임플란트를 뼈 조직 내로 신뢰성 있게 삽입할 수 있는 삽입 도구가 여전히 필요하다.
또한, 임플란트, 특히 소켓 또는 채널이 손상되거나 또는 파손되는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뼈 조직 내로 신뢰성 있게 삽입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가 여전히 필요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치과용 임플란트는 통상 의도된 자리에서 나사 결합하는 것에 의해 환자의 턱뼈 또는 뼈 조직 내로 삽입된다. 이를 위해, 치과용 임플란트의 치근 단부는 나사 나사산, 대부분의 경우 자가 절삭식 나사 나사산을 포함하며, 이를 통해 치과용 임플란트가 대응하게 제조된 임플란트 베드 내로 삽입된다.
나사 나사산은 턱뼈 또는 뼈 조직 내로 임플란트를 신뢰성 있고 정확히 배치하고 결합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특히, 나사 나사산은 턱뼈 또는 뼈 조직 내로 임플란트를 원활하고 정확히 삽입할 수 있어야 하고, 삽입 후에 임플란트와 턱뼈 또는 뼈 조직이 안정적으로 맞물리는 것을 보장해야 한다.
이를 위해, WO 2016/125171 A1은 나사산의 치근 표면이 나사산의 치관 표면을 향해 근위쪽으로 연장되는 치근 표면 리세스(recess)를 갖는 나사산 형성된 치과용 임플란트를 사용하는 것을 개시한다. 그러나, 이 문헌에 개시된 구성은 제한된 범위의 나사산 각도, 즉 약 15°를 넘는 나사산 각도에 대해서만 임플란트 배치 및 안정성이 개선되는 것을 제공한다.
그리하여, 광범위한 임플란트 나사산 각도, 특히 작은 나사산 각도에 대해 턱뼈 또는 뼈 조직 내로 신뢰성 있고 정확히 배치되고 결합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가 여전히 필요하다.
전술한 측면들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1차 및 2차 안정성에 관해 우수한 특성을 갖는 전술한 유형의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임플란트, 특히 소켓 또는 채널이 손상되거나 또는 파손되는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턱뼈 또는 뼈 조직 내로 신뢰성 있게 삽입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광범위한 임플란트 나사산 각도, 특히 작은 임플란트 나사산 각도에 대해 턱뼈 또는 뼈 조직 내로 신뢰성 있고 정확히 배치되고 결합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삽입 도구와 치과용 임플란트가 서로 적절히 부착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뢰성 있는 표시를 효율적으로 제공하는, 환자의 뼈 조직 내로 치과용 임플란트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임플란트, 특히 소켓 또는 채널이 손상되거나 또는 파손되는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신뢰성 있게 삽입될 수 있는, 환자의 뼈 조직 내로 치과용 임플란트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도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삽입 도구와 치과용 임플란트의 조합체를 제공한다.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의 기술적 특징을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에 의해, 청구항 4의 기술적 특징을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에 의해, 청구항 8의 기술적 특징을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에 의해, 청구항 8의 기술적 특징을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에 의해, 청구항 24의 기술적 특징을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에 의해, 청구항 32의 기술적 특징을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에 의해, 청구항 41의 기술적 특징을 갖는 삽입 도구에 의해, 청구항 42의 기술적 특징을 갖는 삽입 도구에 의해, 청구항 43의 기술적 특징을 갖는 삽입 도구에 의해, 및 청구항 54의 기술적 특징을 갖는 조합체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에 따른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 실시예에서, 이러한 목적은, 특히 환자의 뼈 조직 내로 삽입하기 위한 치과용 임플란트(1)로서,
- 치근 단부(4), 치관 단부(6), 및 상기 치근 단부(4)와 상기 치관 단부(6) 사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외부 표면(8)을 갖는 코어 몸체(2);
- 상기 코어 몸체(2)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12); 및
- 상기 코어 몸체(2)에 의해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나사산(12)에 의해 한정된 나사산 외부 볼륨(volume)(28)에 의해 형성된 특징적인 임플란트 볼륨(characteristic implant volume)으로서, 상기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의 좌표에 대한 파라미터 특성의 각각의 값에 대해 상기 특징적인 임플란트 볼륨의 단면은 상기 중심으로부터 상기 단면의 윤곽의 최대 거리 대 상기 중심으로부터 상기 단면의 윤곽의 최소 거리의 비로 정의되는 편심률(eccentricity) 파라미터를 특징으로 하는, 상기 특징적인 임플란트 볼륨을 포함하고;
상기 특징적인 볼륨은,
- 상기 편심률 파라미터가 최대 값,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값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치관 영역으로서, 상기 치관 영역은 상기 임플란트의 전체 길이의 적어도 10%의 치관 영역 길이에 걸쳐 상기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관 영역;
- 상기 편심률 파라미터가 최소 값,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값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치근 영역으로서, 상기 치근 영역은 상기 임플란트의 전체 길이의 적어도 30%의 치근 영역 길이에 걸쳐 상기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근 영역; 및
- 상기 치관 영역과 상기 치근 영역 사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전이 영역으로서, 상기 편심률 파라미터는, 상기 길이 방향의 좌표에 대한 파라미터 특성의 함수로서, 상기 치근 영역에 인접한 최소 값으로부터, 상기 치관 영역에 인접한 최대 값으로 연속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선형 방식으로 변하고, 상기 전이 영역은 상기 임플란트의 전체 길이의 적어도 10%의 전이 영역 길이에 걸쳐 상기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이 영역을 포함하는,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1)에 의해 달성된다.
다시 말해, 이 실시예에서, 코어 몸체 또는 나사산 외부 볼륨에 의해 형성된 임플란트는 적어도 3개의 기능 섹터(sector)를 포함하고, 각각의 기능 섹터는 할당된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특정 최소 기능 길이를 갖는다. 이러한 기능 영역 또는 섹터들 중 제1 기능 영역 또는 섹터는 코어 몸체 및/또는 나사산 외부 볼륨이 그 기하 형상에서 특정 편심률을 가져서 단면으로 보았을 때 다수의 최대 및 최소 반경을 제공하는 치관 영역이다. 제2 기능 영역 또는 섹터는 코어 몸체 및/또는 나사산 외부 볼륨이 최소 편심률, 바람직하게는 심지어 대략 원형 단면을 갖는 치근 영역이다.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에 위치된 제3 기능 영역은 제1 영역과 제2 영역 사이의 길이에 걸쳐 편심률의 원활한 전이(및 그리하여 단면 대칭)를 제공하는 전이 영역이다. 이러한 설계에 의해, 치근 단부에서 임플란트의 편심률이 낮고 단면이 바람직하게는 심지어 원형인 것으로 인해, 임플란트가 뼈 물질 내로 원활하고 용이하게 삽입되는 것을 지원할 수 있는 반면, 최종 삽입 단계에서 임플란트가 뼈 물질 내에 이미 깊이 고정될 때에는, 편심률을 갖는 것으로 인해 임플란트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편심을 갖는 치관 영역이 나사 결합될 때 주변 뼈 물질에 교대로 압축 및 이완 단계를 제공한다. 이어서 전이 영역은 높은 바람직한 원활한 전이를 제공하고, 그리하여 삽입 시에 뼈 물질에 교대로 압축/이완하는 단계의 원활한 증가를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편심 부분에서, 상기 임플란트는 나사 결합될 때 상기 뼈 물질의 압축과 이완 단계 사이에 특히 원활히 맥동하도록 설계된다. 이를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치관 영역 및/또는 상기 형성 영역 및/또는 상기 전이 영역에서, 상기 특징적인 임플란트 볼륨의 단면은, 상기 단면의 중심과 그 외부 윤곽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반경이 이웃한 배향에서보다 상대적인 최대 값 및 그리하여 더 높은 값을 갖는 다수의 주 방향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일 실시예에서, 본 목적은, 상기 임플란트의 코어 몸체가 특히 코어 형성 영역으로 설계된 적어도 제1 코어 영역을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1 코어 영역에서 상기 코어 몸체의 단면은 상기 단면의 중심과 그 외부 윤곽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반경이 이웃한 배향에서보다 상대적인 최대 값 및 그리하여 더 높은 값을 갖는 다수의 주 방향을 갖는 것으로 설계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상기 코어 몸체는 제2 코어 영역, 특히 원형 코어 영역으로서, 이 제2 코어 영역에서 상기 코어 몸체의 단면은 기본적으로 원형 형상인, 상기 제2 코어 영역; 및 상기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제1 형성 영역과 상기 제2 원형 영역 사이에 위치된 전이 영역으로서, 상기 전이 영역에서, 상기 코어 몸체의 단면의 기하학적 형상은, 길이 방향의 좌표에 대한 파라미터 특성의 함수로서, 상기 제2 원형 영역에 인접한 기본적으로 원형인 형상으로부터, 특히 상기 단면의 일반적인 기하학적 형상에 대해 및/또는 그 특성 파라미터의 값에 대해 상기 코어 몸체의 단면이 상기 제1 또는 형성 영역의 단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변하는, 상기 전이 영역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임플란트의 치근 단부에 인접하거나 이웃하여 위치된 원형 단면 또는 기본적으로 원형 단면을 갖는 원형 영역을 포함한다. 이러한 상황에서 및 또한 아래에 언급된 상황에서, "기본적으로 원형"이란, 제조 공차 등으로 인해 최소 왜곡이나 편차, 예를 들어 약간의 편심률을 허용하면서 고도로 원형 형상에 근접한 형상을 정의한다. 원형 단면으로 인한 이 원형 영역은 임플란트가 뼈 물질에 나사 결합되는 첫 순간 동안 뼈 조직에 너무 많은 응력을 가하지 않으면서 나사산을 뼈 물질과 비교적 쉽게 맞물릴 수 있게 한다. 대조적으로, 임플란트의 다른 영역에서, 임플란트의 중심 구역에 더 가깝게 또는 심지어 임플란트의 다른 단부 부근에 위치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코어 몸체는 다수의 엽(lobe) 또는 국부적인 최대 반경을 특징으로 하는 비-둥근 단면을 갖게 설계된다. 이 구역에서, 임플란트 몸체가 뼈 조직 내로 나사 결합될 때, 뼈 조직에 가해지는 압축력은 (임플란트 몸체의 회전 운동으로 인해) 단면의 국부적인 반경이 최대가 될 때 최대 압축되는 힘과, 단면의 국부적인 반경이 최소가 될 때 최소 압축되는 힘 사이에서 진동하는 방식으로 변한다. 특히 비교적 단단한 뼈 조직을 특징으로 하는 크레스탈 영역(crestal zone)에서, 삽입 후, 국부 최소점을 특징으로 하는 이 형상 윤곽은 최소점 부근에서 낮은 뼈 응력 지역을 형성할 것이며, 이에 의해 뼈 물질의 재생을 향상시키고 혈관을 과도하게 압박하는 부정적인 영향을 현저하게 최소화할 수 있다.
이들 2개의 상이한 영역 사이에서 원활하고 유익한 전이를 허용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는 한 쌍을 이루는 하나의 원형 영역과 하나의 비-원형 영역 사이에 위치된, 상기 코어 몸체의 추가적인 영역을 제공한다. 이 전이 영역은, (길이 방향으로 보았을 때), 각각의 원형 영역에 가까운 범위에서 각각의 원형 영역의 단면과 일치하는 원형 단면으로부터, 이 영역에 가까운 범위에서 비-둥근 단면의 각각의 영역의 단면과 일치하는 비-둥근 엽을 갖는 단면으로 변하는 과도적인 단면을 갖는다. 이러한 전이 영역으로 인해 기하학적 형상의 즉각적이고 갑작스러운 변화, 뼈 조직에 대한 전단 효과, 및 뼈 조직에 대한 다른 손상 효과를 방지할 수 있다.
조합하여 특히 원형 영역이 임플란트의 치근 단부에 인접하거나 또는 부근에 위치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임플란트는, 나사 결합의 제1 단계에서 뼈 조직과 나사산이 비교적 쉽게 맞물리는 것을 제공하여 나중 단계에서 뼈 조직에 진동하는 압축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유사하거나 동등한 효과는 원형 영역과 형성 영역 사이에 전이를 단계적으로 수행하는 코어 몸체를 설계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대안적인 실시예는 그 자체로서 발명으로 고려되며, 제1 실시예와 별도로 또는 이와 조합하여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식별된 목적은, 임플란트의 코어 몸체가 적어도 제1 코어 형성 영역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1 코어 형성 영역에서 코어 몸체의 단면은 이 단면의 중심과 그 외부 윤곽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반경이 이웃한 배향에서보다 상대적인 최대 값 및 그리하여 더 높은 값을 갖는 다수의 주 방향을 갖는 것으로 설계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코어 몸체는, 제2 코어 영역, 특히 원형 코어 영역으로서, 이 제2 영역에서 상기 코어 몸체의 단면은 기본적으로 원형 형상이고,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임플란트의 치근 단부에 가까이 또는 인접하여 위치된, 상기 제2 코어 영역; 및 제2 코어 형성 영역으로서, 상기 제2 코어 형성 영역에서 코어 몸체의 단면은, 이 단면의 중심과 그 외부 윤곽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반경이 이웃한 배향에서보다 상대적인 최대 값 및 그리하여 더 높은 값을 갖는 다수의 주 방향을 갖는, 상기 제2 코어 형성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어 형성 영역에서 상기 코어 몸체의 단면의 최대 반경 대 최소 반경의 비로서 정의된 코어 편심률 파라미터는 상기 제2 코어 형성 영역에서보다 더 크다. 다시 말해, 이 실시예에서, 기본적으로 원형 또는 둥근 기하 형상으로부터 형성 또는 비-둥근 기하 형상으로 전이하는 것은 상이한 편심률 파라미터를 갖는 2개 이상의 비-둥근 형성 영역을 제공함으로써 단계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유사하거나 동등한 효과는 코어에 대해 전술한 실시예들 중 하나 또는 모두의 실시예의 설계와 유사하게 나사산의 외형 윤곽을 설계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대안적인 실시예는 그 자체로 발명으로 고려되고, 제1 실시예와는 별도로 또는 이와 조합하여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설명을 위해, 나사산의 외부 윤곽은 나사산에 의해 한정된 외부 볼륨 또는 포락선 볼륨의 도움에 의해 기술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전술한 목적은, 임플란트의 나사산이 특히 제1 나사산 형성 영역으로 설계된 제1 나사산 영역을 포함하고, 이 제1 나사산 형성 영역에서 나사산에 포락선을 형성하는 외부 볼륨의 단면은 이 단면의 중심과 그 외부 윤곽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반경이 이웃한 배향에서보다 상대적인 최대 값 및 그리하여 더 높은 값을 갖는 다수의 주 방향을 갖는 것으로 설계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나사산은, 임플란트의 치근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나사산 원형 영역으로서, 상기 나사산 원형 영역에서 상기 외부 포락선 볼륨의 단면은 기본적으로 원형 형상인, 상기 나사산 원형 영역; 및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제1 형성 영역과 상기 원형 영역 사이에 위치된 전이 영역으로서, 상기 전이 영역에서, 상기 나사산에 포락선을 형성하는 상기 외부 볼륨의 단면의 기하학적 형상은, 상기 길이 방향의 좌표에 대해 파라미터 특성의 함수로서, 상기 나사산 원형 영역에 인접한 기본적으로 원형인 형상으로부터, 특히 상기 단면의 일반적인 기하학적 형상에 대해 및/또는 그 특성 파라미터의 값에 대해 상기 포락선 볼륨의 단면이 상기 제1 형성 영역의 단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변하는, 상기 전이 영역을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제1 나사산 형성 영역과는 상이한 편심률을 갖는 제2 나사산 형성 영역을 제공함으로써 단계적 전이가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의 주제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코어 몸체 및/또는 나사산의 제1 또는 형성 영역은 크레스탈 플랫폼 영역으로 구성되고, 임플란트의 치관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특히, 크레스탈 플랫폼 영역은 임플란트의 일체형 형태를 위해 치과용 보철과 직접 연결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또는 임플란트의 2-부품 또는 다중-부품 형태를 위해 치과용 보철을 지지하는 지대주와 연결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그 자체로 독립적인 발명으로 고려되는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코어 몸체 및/또는 나사산의 외부 윤곽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형성된 크레스탈 플랫폼 영역은,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으로 보았을 때, 적어도 2.5㎜,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의 길이를 갖는다. 놀랍게도 발견된 바와 같이, 원형 형상의 윤곽에 비해 형성된 비-둥근 영역은 국부적인 최소점에서 뼈 조직에 더 적은 또는 감소된 응력을 유도하여, 결과적으로 임플란트 삽입 후 더 적은 세포 사멸 및 더 적은 뼈 리모델링 작용을 초래하여, 크레스탈 플레이트(crestal plate), 협측 벽 및 설측 벽으로 정의된 중요한 뼈 구조물을 보다 신속히 뼈들 간에 배치하고 개선된 유지를 제공한다. 그 결과, 뼈 물질의 재생 및 또한 골 유착이 중요한 뼈 구조물의 지역에서 형성 영역에 국부적인 최소점을 제공함으로써 현저하게 향상되며, 크레스탈 플레이트에서 적어도 2.5㎜, 또는 훨씬 더 좋게는 적어도 3㎜의 상부 층에 대해 이러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 골 유착을 위해 매우 유익한 것으로 고려된다.
코어 몸체의 단면 및/또는 나사산에 포락선을 형성하는 외부 볼륨은 원형 형상으로부터 각각의 단면이 벗어나는 편차에 대한 편심률 파라미터 특성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설명 및 개시를 위해 및 본 발명에 따르면, 이 편심률 파라미터는 편심률 파라미터가 원형 형상에 대해 값 1을 채택하도록 단면의 최대 반경 대 최소 반경의 비로 정의된다. 이 편심률 파라미터는 상기 길이 방향의 좌표, 예를 들어, 임플란트 길이 방향 축(y)에 대한 파라미터 특성의 각각의 값에 대해 평가될 수 있다. 팁 단부 영역(= 원형 단면, 편심률 파라미터 = 1)과, 제1 또는 형성 영역(= 엽을 갖는 또는 비-둥근 단면, 편심률 파라미터 > 1) 사이에서 특히 원활한 전이를 제공하기 위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코어 몸체의 상기 전이 영역에서 및/또는 외부 나사산에서 편심률 파라미터는 길이 방향의 좌표 파라미터에 선형 종속성을 갖는다.
단면의 각각의 반경이 국부적인 최대값을 갖는, 코어 몸체 및/또는 나사산의 제1 또는 형성 영역에서 및/또는 전이 영역에서 주 방향들은, 회전 방향으로, 특히 개별적으로 선택된 각도로 뼈 조직에 원하는 효과에 따라 위치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주 방향들은 상기 코어 몸체 또는 상기 외부 포락선 볼륨의 중심 길이방향 축에 대해 대칭(축 대칭)으로 각각 위치된다. 이러한 설계는 나사 결합 공정의 결과 주변 뼈 조직에 가해지는 압축의 정도를 비교적 원활하고 규칙적으로 변하게 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 고려되는 실시예에서, 상기 코어 몸체의 길이 방향 중심 축에 대해 및 국부적인 최대점 또는 최소점에 대해 - 나사산의 외부 윤곽 또는 포락선 볼륨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 임플란트의 외부 유곽은 상기 코어 몸체의 외부 윤곽과 일치한다. 다시 말해, 이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코어 몸체의 반경이 국부적인 최대값을 갖는 길이방향 축에 대한 배향에서, 나사산에 포락선을 형성하는 외부 볼륨의 외부 윤곽은 또한 국부적인 최대점을 채택한다. 이러한 윤곽의 일치는 바람직하게는 +/- 20°의 공차 범위 내에서 각각의 주 방향이 중첩하는 것에 의해 구현될 수 있고,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정확할 수 있다. "일치하는" 설계는 특히, 임플란트를 뼈 조직 내로 삽입하는 동안, 뼈가 임플란트의 외부 기하학적 형상에 따라 코어 몸체의 외부 표면으로 및 나사산의 외부 표면으로 압축되고 이완되는 특정 장점을 갖는다. 뼈 조직이 주 방향들 사이의 최소 반경으로 (코어 몸체의 외부 표면으로 및 나사산의 외부 표면으로) 이완되는 것은 특히 높은 뼈-임플란트 접촉 및 향상된 초기 안정성을 제공한다.
유리하게는, 전이 영역 및/또는 형성 영역에서 주 방향의 수는 3개이고, 즉 형성 영역 및/또는 전이 영역에서 코어 몸체는 트라이오벌형(trioval) 단면을 갖는다. 길이 방향에 대해 주 방향들이 대칭으로 위치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조합하여, 이 트라이오벌형 형상(triovality)은 120°의 2개의 이웃하는 주 방향들 사이의 회전 오프셋 각도를 형성한다.
임플란트는 전이 영역으로 인해 특히 (원형 영역의) 나사산이 뼈 조직에 먼저 맞물리고 부분과, (형성 영역에서, 바람직하게는 크레스탈 플랫폼 영역에서) 압축을 가변시키는 것에 의해 뼈 조직이 형성되고 직접 치료되는 부분 사이에 (나사 결합 공정 동안) 원활하고 유익한 전이를 제공하도록 설계되었다. 이들 영역 사이에 원활한 전이는, 전이 영역에서 코어 몸체가 원추형 또는 테이퍼진,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2°,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의 원추형/테이퍼 각도로 원추형 또는 테이퍼진 특히 유리한 실시예에서 더욱 향상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원추형/테이퍼 각도는 임플란트의 전체 길이 및 직경에 따라 선택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뼈 환경에서 요구되는 조건에 관한 임플란트의 적절하고 편리한 치수를 고려하면, 전이 영역은, 길이 방향으로 보았을 때, 임플란트의 치근 단부로부터 약 2㎜ 내지 4㎜의 거리에서 시작한다. 다시 말해, 대안적인 또는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임플란트의 치근 부분에서 원형 코어 및/또는 나사산 영역을 위치시키는 것은 높은 1차 안정성의 가능성을 최대화하기에 매우 유익한 것으로 고려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유익하지만, 보다 구체적으로 즉각적인 부하 프로토콜이 선호될 수 있는 추출 소켓에 유용하다. 상당한 치근 맞물림을 제공하기 위해, 원형 영역은,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으로 보았을 때,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5㎜의 길이를 갖는다.
코어 몸체의 기하학적 설계에 더하여,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나사산 그 자체는 특히 높은 1차 안정성으로 뼈 조직과 신뢰성 있는 맞물림을 지원하도록 또한 설계된다. 이를 위해 나사산은 바람직하게는 편평한 나사산이다. 더욱 유리하게는, 편평한 나사산의 자유 폭은,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의 좌표 파라미터에 의존하고 코어 몸체의 치근 단부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치근 단부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연속적으로 증가한다. 이 설계에서, 치근 단부에 가까운 영역에서 나사산은 비교적 날카로운 작은 외부 폭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해 나사산이 뼈 조직에 진입할 때 높은 절삭 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임플란트의 나사 결합이 계속 진행됨(즉, 임플란트가 뼈 조직으로 더 들어감)에 따라, 뼈 조직 내 주어진 위치에서 편평한 나사산의 폭이 연속적으로 증가하여 뼈 조직 내 각각의 국부적인 갭이 연속적으로 넓어져서, 뼈 조직과 임플란트 사이의 접촉 영역을 끊임 없이 향상시킨다.
대안적인 또는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나사산 프로파일을 보완적으로 수정하는 것에 의해 임플란트의 특성을 추가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얻어질 수 있다. 또한 그 자체가 본 발명으로 고려되는, 특히 독립적인 발명으로 고려되는 이러한 수정에서, 나사산은 바람직하게는 치근 면 및 치관 면을 갖는 프로파일을 갖고, 여기서 치근 면은 임플란트의 길이방향 축에 기본적으로 직교하게 배향되는데, 즉 치근 면의 평면 법선은 임플란트의 길이방향 축과 기본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된다. 이러한 설계에 의해, 외부 윤곽이 비-둥근 결과, 나사산의 치근 면의 측방향 연장이 최소 반경과 최대 반경 사이에서 변하는 경우에도, 주변 뼈 물질과 치근 면이 신뢰성 있게 접촉하는 것이 유지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치관 면의 배향은 바람직하게는 주위의 뼈 구조물의 요구에 따라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이 치관 면은 길이 방향 축에 대해 각지게, 바람직하게는 약 60°의 각도로 배향되고, 즉, 크레스탈 면의 평면 법선은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 축에 대해 각지게, 바람직하게는 약 30°의 각도로 배향되고, 이에 나사산은 전체적으로 톱니 나사산(buttress thread)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기하학적 형상, 특히 치근 면의 배향으로 인해, 치근 면은 저작력(biting force)의 부하를 매우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다. 이러한 기하학적 형상에서 크레스탈 면은 비교적 작고 날카로운 자유 에지를 제공하여, 뼈를 절삭하는 과정을 개선하고, 보다 견고한 나사산을 위한 비교적 넓고 큰 베이스를 제공하고, 임플란트가 삽입될 때 압축을 제공한다.
특히, 나사산의 프로파일을 이렇게 설계하는 것은 코어 몸체의 외부 윤곽의 단면의 형상 및/또는 나사산에 포락선을 형성하는 외부 볼륨과 조합하여 유익하다. 이렇게 형성된 윤곽, 특히 트라이오벌 단면은 임플란트가 뼈 물질에 나사 결합될 때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으로 뼈를 진동하며 압축하는 효과를 발생시키며, 이 효과는 치근 면의 배향을 사용함으로써 제한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대안적인 또는 추가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주 방향의 수와 같은 수의 절삭 홈이 임플란트의 전이 영역에 및/또는 형성 영역에 제공된다. 이러한 절삭 홈은 나사 결합 동안 임플란트 몸체의 절삭 능력을 향상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이들 절삭 홈은 코어 몸체의 중심 길이 방향 축에 대해 대칭으로 위치된다. 특히, 독립적인 발명으로 고려되고 본 발명에 따라 다른 절삭 홈 시스템을 개선하는데 또한 사용될 수 있는 일 실시예에서, 코어 몸체의 중심 길이 방향 축 주위의 배향 방향으로 보았을 때 각각의 절삭 홈은 이웃한 주 방향에 대해 주어진 회전 오프셋에 위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임플란트의 나사 결합 시 주 방향과 관련된 국부적인 최대점이 뼈 물질에 최대 압축을 초래하고, 최대점을 지난 후에 이완되면 뼈 물질이 임플란트의 중심 축을 향해 다시 어느 정도 되향하는 것을 고려하여 배향 방향에서 절삭 홈은 코어 몸체 및/또는 외부 나사산의 이웃한 주 방향과 관련하여 위치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양태에 따른 이러한 이완은 절삭 홈의 절삭 효과를 선택적으로 개선시키는데 사용된다. 바람직하게는, 국부적인 최대점에 대해 절삭 홈의 위치는 뼈의 정상화 효과가 달성되도록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 절삭 홈을 회전 방향으로 위치시킴으로써, 경질 뼈를 절삭할 때는 이완되는 뼈 물질이 특히 높은 효율로 절삭 홈에 의해 맞물리게 하고, 연질 뼈의 경우에는 맞물리지 않게 하여 연한 뼈 품질에서는 임플란트 안정성을 보존한다.
바람직한 발명의 실시예에서, 이것은 각각의 주 방향에 대해 오프셋 각도(α)로 절삭 홈을 위치시킴으로써 달성된다. 이 실시예에서, 각도(α)는 그 자체로 독립적인 발명으로 고려되는 선택 기준에 따라 선택된다. 이 선택 기준에 따라, 절삭 에지(48)는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 축으로부터 절삭 에지의 반경 방향 연장의 외부 한계에 의해 한정되는 절삭 에지 반경이 대응하는 주 방향에서의 최대 반경보다 20㎛ 내지 75㎛ 더 적도록 위치되어야 한다. 이 기준은 밀도에 따라 압축 후 약 이 정도만큼 반동하는 또는 이완하는 뼈의 특정 탄성 특성을 고려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절삭 에지 반경은 코어 몸체의 나머지 기하학적 파라미터에 따라 약 106°의 바람직한 오프셋 각도(α)로 변환되는 최대 반경보다 약 35㎛ 더 적도록 선택된다. 전형적으로 뼈 조직의 특성 및 턱뼈 내로 임플란트를 나사 결합할 때 전형적인 치수 및 회전 속력과 관련하여, 이웃한 주 방향에 대해 홈의 위치의 회전 오프셋은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20°이고, 특히 약 108°이다.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는 장점은 높은 1차 안정성뿐만 아니라 높은 2차 안정성이 특정 기하학적 설계에 의해 특히 모두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는 코어 몸체 및/또는 나사산에 대해 기본적으로 원형인 단면을 갖는 원형 영역을 특징으로 하며, 임플란트의 감소된 텀블링 또는 흔들림으로 나사산이 뼈 조직과 원활히 결합될 수 있게 하여, 비-둥근 단면, 바람직하게는 트라이오벌형 단면을 갖는 형성 영역과 조합하여, 뼈 조직을 순차적으로 압축 및 이완시켜 크레스탈 또는 치관 구역에서 협측 뼈를 보유하도록 돕는다. 영역들 사이에 상이한 편심률이 제공된 전이 영역 및/또는 추가적인 형성 영역은 원활한 전이를 가능하게 하여 뼈 조직이 압축 효과에 부드럽게 적응되게 하고 뼈들이 마찰하고 원치 않게 연마되거나 또는 절삭되는 것을 감소시킨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치과용 임플란트,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를 환자의 뼈 조직 내로 삽입하기 위한 삽입 도구가 제공된다. 상기 삽입 도구는 근위 부분 및 원위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원위 부분은 상기 임플란트와 협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원위 부분은 보유 요소(retention element)를 구비하고 상기 보유 요소는 상기 삽입 도구를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보유 요소는 적어도 상기 삽입 도구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모든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다. 상기 부착 부분은 상기 삽입 도구의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projection)를 포함한다.
상기 보유 요소는 상기 삽입 도구, 예를 들어, 상기 삽입 도구의 나머지 부분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이에 일체로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삽입 도구의 전체 보유 요소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다. 상기 보유 요소는 전체 길이를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다. 상기 보유 요소의 길이는 길이 방향, 즉 그 축방향, 즉 상기 삽입 도구의 길이 방향, 즉 상기 삽입 도구의 근위 부분으로부터 상기 삽입 도구의 원위 부분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상기 삽입 도구의 근위 부분은 상기 삽입 도구의 사용 시 임상의에 더 가까운 부분이다. 상기 삽입 도구의 원위 부분은 상기 삽입 도구의 사용 시 이식 부위에 더 가까운 부분이다.
상기 삽입 도구의 원위 부분은 임플란트와 협력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상기 원위 부분은 소켓과 같은 임플란트의 치관 부분의 대응하는 부분과 협력할 수 있다. 상기 원위 부분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소켓 내로 도입될 수 있다. 상기 삽입 도구의 원위 부분은 임플란트, 예를 들어, 임플란트 소켓과 협력하며, 상기 삽입 도구를 그 길이 방향 축 주위로 회전시킬 때, 임플란트가 뼈 조직 내로 나사 결합되게 한다. 원위 도구 부분과 임플란트 사이에 협력하거나 또는 상호 작용하는 것으로 인해, 예를 들어, 수동으로 또는 모터를 사용하여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삽입 도구에 가해지는 회전력은 임플란트를 뼈 조직 내로 나사 결합하기 위해 임플란트에 전달된다.
상기 삽입 도구의 원위 부분은 임플란트와 협력하는 부분으로서 구동 파트를 가질 수 있다. 구동 파트는 회전 방지 구조물을 포함하거나 또는 회전 방지 구조물일 수 있다. 회전 방지 구조물은, 예를 들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도구의 원위 부분을 임플란트 소켓에 도입함으로써, 삽입 도구와 임플란트가 서로 맞물릴 때, 도구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삽입 도구와 임플란트 사이에 상대적인 회전이 일어나는 것을 회피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길이방향 축 주위로 삽입 도구에 가해지는 회전력이 임플란트에 전달된다. 삽입 도구의 회전 방지 구조물은 예를 들어, 비-원형인, 회전 대칭이 아닌, 삽입 도구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 즉 외부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삽입 도구의 원위 부분의 회전 방지 구조물은 임플란트의 대응하는 회전 방지 구조물과 협력할 수 있다. 임플란트의 회전 방지 구조물은 예를 들어, 비-원형인, 회전 대칭이 아닌,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 예를 들어 내부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도구 및 임플란트의 회전 방지 구조물의 단면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일 수 있고 또는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삽입 도구의 원위 부분의 구동 파트는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구동 구역 및/또는 구동 구획일 수 있다. 상기 삽입 도구의 구동 구역 및/또는 구동 구획은 임플란트의 구동 부분 및/또는 구동 영역과 각각 협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전체 보유 요소는 적어도 삽입 도구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적어도 모든 방향으로, 즉 보유 요소의 모든 횡방향으로, 즉 보유 요소의 모든 반경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될 수 있다.
상기 삽입 도구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삽입 도구의 원위 부분의 나머지 부분의 탄성 변형 가능성은 상기 보유 요소의 것보다 더 작을 수 있다. 상기 삽입 도구의 원위 부분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삽입 도구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보유 요소는 상기 삽입 요소, 예를 들어, 삽입 도구의 나머지 부분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일체로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유 요소는 상기 삽입 도구의 일체형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보유 요소의 부착 부분은 상기 삽입 도구의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상기 보유 요소의 나머지 부분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또는 돌기부(protrusion)를 포함한다.
상기 부착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또는 돌기부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치관 부분에 형성된 대응하는 공동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삽입 도구는 상기 보유 요소의 부착 부분을 치과용 임플란트에 부착함으로써 치과용 임플란트에 부착된다.
상기 보유 요소의 부착 부분을 치과용 임플란트에 부착할 때, 상기 보유 요소는 초기에, 상기 보유 요소의 횡방향으로, 즉 반경 방향으로 탄성 변형되고, 즉 탄성적으로 압축되고, 이후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또는 돌기부가 상기 보유 요소의 복원력으로 인해 치과용 임플란트의 대응하는 공동에 수용될 때 초기 형상으로 복원된다. 따라서, 상기 부착 부분은 신뢰성 있고 효율적으로 스냅 결합하는 것에 의해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부착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또는 돌기부와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의 대응하는 공동이 맞물리면 예를 들어 치과 기공소에서 임상의 또는 기술자와 같은 사용자에게 가청 및/또는 촉각 피드백을 제공하고, 보유 요소 및 그리하여 또한 삽입 도구가 치과용 임플란트에 적절히 부착된 것을 나타내는 분명하고 명확한 표시를 제공할 수 있다.
보유 요소의 일부만이 아니라 보유 요소의 전부가 횡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보유 요소의 특히 고도의 가요성이 달성된다. 또한, 삽입 도구를 치과용 임플란트에 부착할 때 보유 요소 전부가 탄성적으로 변형되어서, 보유 요소가 상이한 치과용 임플란트와 반복적으로 결합되고 제거되는 경우에도 보유 요소가 마모되거나 또는 파손되는 위험을 최소화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삽입 도구는 삽입 도구가 치과용 임플란트에 적절히 부착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명확하고 신뢰성 있고 효율적인 표시를 제공한다.
상기 보유 요소는 삽입 도구, 예를 들어, 삽입 도구의 나머지 부분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일체로 형성된"이라는 용어는 보유 요소 및 삽입 도구, 예를 들어, 삽입 도구의 나머지 부분이 일체형 부재 형태로 형성된 것을 나타낸다.
보유 요소와 삽입 도구를 일체형 부재 형태로 형성하면, 삽입 도구는 사출 성형, 밀링, 예를 들어, CNC 밀링 등에 의해 특히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보유 요소는 삽입 도구, 예를 들어, 삽입 도구의 나머지 부분에 일체로 부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일체형으로 부착된"이라는 용어는 보유 요소 및/또는 삽입 도구를 손상시키거나 파괴하지 않으면서 보유 요소가 삽입 도구로부터 분리되거나 이탈될 수 없는 방식으로 보유 요소가 삽입 도구에 부착된 것을 나타낸다.
보유 요소가 삽입 도구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삽입 도구에 일체로 부착되면, 삽입 도구의 특히 견고하고 안정적인 형태가 달성된다.
보유 요소는 예를 들어 삽입 도구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실질적으로 원형 단면을 갖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유 요소의 부착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또는 돌기부는 삽입 도구의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즉 하나 이상의 횡 방향으로 연장된다. 특히, 부착 부분은, 보유 요소의 복수의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즉 보유 요소의 원주 방향으로 보유 요소의 나머지 부분의 외부 표면의 일부를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또는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또는 돌기부는 보유 요소의 나머지 부분의 외부 원주의 1% 이상, 1.5% 이상, 2% 이상, 5% 이상, 10% 이상, 20% 이상 또는 30% 이상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삽입 도구는 예를 들어, 스테인리스 스틸, 중합체 또는 복합 재료와 같은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보유 요소 및 삽입 도구의 나머지 부분은 동일한 재료 또는 상이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보유 요소가 삽입 도구의 나머지 부분과 다른 재료로 제조되는 경우, 보유 요소에 의해 제공되는 보유력은 특히 간단한 방식으로 설정될 수 있다.
보유 요소는 보유 요소의 원위 단부로부터 보유 요소의 근위 단부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가질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부분은 보유 요소의 나머지 부분보다 더 가요성이다. 보유 요소의 이러한 가요성 부분은 보유 요소의 탄성 변형 가능성에 기여하거나 심지어는 탄성 변형 가능성을 제공한다. 그리하여, 보유 요소는 간단하고 효율적으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유 요소의 원위 단부로부터 보유 요소의 근위 단부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은 보유 요소의 나머지 부분의 재료보다 더 가요성인 재료로 제조되거나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부분은 보유 요소의 나머지 부분의 형태 또는 구조보다 더 높은 가요성을 갖는 형태 또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부분은 예를 들어, 천공, 리세스, 개구 등을 내부에 제공함으로써 보다 가요성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부분은 보유 요소의 나머지 부분보다 더 작은 두께, 즉 벽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보유 요소는 보유 요소의 원위 단부로부터 보유 요소의 근위 단부로 연장되는 2개 이상, 3개 이상 또는 4개 이상의 부분을 가질 수 있고, 이들 부분은 보유 요소의 나머지 부분보다 더 유연하다.
보유 요소는 보유 요소의 원위 단부로부터 보유 요소의 근위 단부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결된(cut-out) 또는 리세스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절결된 또는 리세스 부분은 보유 요소의 탄성 변형 가능성에 기여하거나 또는 심지어 탄성 변형 가능성을 제공한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절결된 또는 리세스 부분을 갖는 보유 요소를 형성하면 보유 요소에 특히 유연한 형태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보유 요소는 특히 간단한 구조를 갖는다.
보유 요소는 중공 및/또는 관형 몸체일 수 있고,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절결된 또는 리세스 부분은 보유 요소의 외부 벽을 관통한다. 보유 요소는, 보유 요소의 길이 방향, 즉 삽입 도구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단면에서, 개방 링 형상 또는 개방 환형 형상, 즉 원주에 개구를 갖는 링의 형상 또는 실질적으로 C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유 요소는 폐쇄된 링 형상 또는 폐쇄된 환형 형상, 즉 원주에 개구가 없는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보유 요소는 보유 요소와 삽입 도구, 예를 들어, 나머지 부분 사이에 배열된 하나 이상의 링크 부분을 통해 삽입 도구, 예를 들어, 삽입 도구의 나머지 부분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일체로 부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링크 부분은 보유 요소의 길이 방향으로 보유 요소와 삽입 도구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링크 부분 각각은 보유 요소의 원주 방향으로 보유 요소의 일부만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보유 요소는 특히 간단하고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삽입 도구와 통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링크 부분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일부는 보유 요소의 원주의 1% 이상, 1.5% 이상, 2% 이상, 5% 이상, 10% 이상, 20% 이상, 30% 이상, 또는 40% 이상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링크 부분 각각은 보유 요소의 원주의 10% 이상, 20% 이상, 30% 이상 또는 40% 이상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보유 요소는 복수의 링크 부분, 예를 들어, 2개의 링크 부분, 3개의 링크 부분, 4개의 링크 부분 또는 5개의 링크 부분을 통해 삽입 도구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일체로 부착될 수 있으며, 이 링크 부분은 보유 요소와 삽입 도구, 예를 들어, 나머지 부분 사이에 배열된다. 링크 부분은 보유 요소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분리될 수 있으며, 즉 보유 요소의 원주 방향으로 인접한 링크 부분들 사이에 갭이 있도록 각각 배열될 수 있다. 링크 부분들은 보유 요소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거나 또는 보유 요소의 원주 방향으로 상이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링크 부분들은 보유 요소의 원주를 따라, 즉 보유 요소의 원주 방향으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연장을 가질 수 있다.
보유 요소는 단일 링크 부분을 통해 삽입 도구, 예를 들어, 나머지 부분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일체로 부착될 수 있다. 보유 요소는 보유 요소의 원위 단부로부터 보유 요소의 근위 단부로 연장되는 단일 부분을 가질 수 있으며, 이 단일 부분은 보유 요소의 나머지 부분보다 더 유연하다. 단일 링크 부분은 보유 요소의 반경 방향으로 단일 부분과 반대쪽에 배열되거나 또는 보유 요소의 원주 방향으로 단일 부분에 인접하여 배열될 수 있다.
보유 요소는 단일 링크 부분을 통해 삽입 도구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삽입 도구에 일체로 부착될 수 있다. 보유 요소는 보유 요소의 원위 단부로부터 보유 요소의 근위 단부로 연장되는 단일 절결된 또는 리세스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이 단일 링크 부분은 보유 요소의 반경 방향으로 절결된 또는 리세스 부분과 반대쪽 배열되거나 또는 상기 보유 요소의 원주 방향으로 절결된 또는 리세스 부분에 인접하여 배열될 수 있다.
보유 요소는 단일 링크 부분을 통해 삽입 도구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삽입 도구에 일체로 부착될 수 있다. 단일 링크 부분은 상기 보유 요소의 반경 방향으로 상기 부착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또는 돌기부와 반대쪽에 배열되거나 또는 상기 보유 요소의 원주 방향으로 상기 부착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또는 돌기부에 인접하여 배열될 수 있다.
보유 요소는 적어도 2개의 링크 부분을 통해 삽입 도구와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삽입 도구에 일체로 부착될 수 있다. 적어도 2개의 링크 부분은 보유 요소의 반경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여 배열될 수 있다.
삽입 도구의 부착 부분은 복수의, 예를 들어, 2개 이상, 3개 이상, 4개 이상 또는 5개 이상의 돌출부 또는 돌기부를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돌출부 또는 돌기부는 삽입 도구의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복수의 돌출부 또는 돌기부는 보유 요소의 원주 방향으로 동일하거나 상이한 연장을 가질 수 있다. 복수의 돌출부 또는 돌기부는 보유 요소의 나머지 부분의 외부 표면으로부터 동일하거나 상이한 돌기 높이, 즉 삽입 도구의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이 외부 표면으로부터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부착 부분의 복수의 돌출부 또는 돌기부는 보유 요소의 원주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배열될 수 있는데, 즉 하나의 것이 이 원주 방향으로 다른 것 뒤에 정렬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돌출부 또는 돌기부는 서로 등간격으로 이격되거나 또는 보유 요소의 원주 방향으로 서로 다른 간격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부착 부분의 복수의 돌출부 또는 돌기부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치관 부분에 형성된 대응하는 공동 또는 대응하는 공동들에 수용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보유 요소는 보유 요소의 원위 단부로부터 보유 요소의 근위 단부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분을 가질 수 있으며, 이 적어도 하나의 부분은 보유 요소의 나머지 부분보다 더 유연하다. 보유 요소는 보유 요소의 원위 단부로부터 보유 요소의 근위 단부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결된 또는 리세스 부분을 가질 수 있거나 또는 이 적어도 하나의 절결된 또는 리세스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삽입 도구의 부착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또는 돌기부는 보유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보다 가요성인 부분 또는 적어도 하나의 절결된 또는 리세스 부분에 인접하여 배열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보유 요소와 치과용 임플란트 사이에 특히 신뢰성 있고 효율적인 스냅 결합이 보장될 수 있다.
삽입 도구는 삽입 도구와 치과용 임플란트가 서로 적절히 부착되었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추가적인 표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마킹과 같은 시각적 표시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시각적 표시기는 코팅, 레이저 마크, 그루브 등을 포함하거나 또는 이 코팅, 레이저 마크, 그루브 등일 수 있다. 시각적 지시기는 삽입 도구의 원위 부분에 제공될 수 있다.
보유 요소는 단일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보유 요소는 예를 들어 티타늄, 티타늄 합금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 중합체 또는 복합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보유 요소는 특히 간단하고 신뢰성 있는 방식으로 탄 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보유 요소의 재료는 금속, 초탄성, 비정질 등일 수 있다.
보유 요소는 예를 들어, 사출 성형, 몰딩, 밀링, 예를 들어, CNC 밀링 등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보유 요소는 예를 들어 마킹과 같은 컬러 코드를 제공하도록 컬러 플라스틱을 사용하여 사출 성형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보유 요소가 티타늄, 티타늄 합금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으로 제조되는 경우, 보유 요소는 양극 산화 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치과용 임플란트,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를 환자의 뼈 조직 내로 삽입하기 위한 삽입 도구가 제공된다. 상기 삽입 도구는 근위 부분 및 원위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원위 부분은 상기 임플란트와 협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원위 단부는 구동 구역을 갖고, 상기 구동 구역에서 삽입 도구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원위 부분의 단면은, 상기 단면의 중심과 그 외부 윤곽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반경이 이웃한 배향에서보다 상대적인 최대 값 및 그리하여 더 높은 값을 갖는 다수의 주 방향을 갖는다.
상기 삽입 도구의 원위 부분의 구동 구역은 임플란트와 협력한다. 상기 구동 구역은 회전 방지 구조물, 예를 들어, 전술된 바와 같은 회전 방지 구조물을 구성한다. 상기 구동 구역은, 예를 들어, 도구의 원위 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임플란트 소켓에 도입함으로써, 삽입 도구와 임플란트가 서로 맞물릴 때, 도구의 길이 방향 축 주위로 삽입 도구와 임플란트 사이에 상대적인 회전이 일어나는 것을 회피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 구역의 단면 형상은 삽입 도구에 가해지는 회전력을 길이방향 축 주위로 임플란트에 효율적으로 신뢰성 있게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삽입 도구는 임플란트, 특히 그 소켓이 손상되거나 또는 파손되는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환자의 뼈 조직 내로 임플란트를 신뢰성 있게 삽입할 수 있게 한다.
삽입 도구의 원위 부분의 구동 구역은 임플란트의 대응하는 회전 방지 구조물, 특히 구동 부분과 협력하도록 구성된다. 임플란트의 구동 부분에서,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임플란트의 소켓 또는 채널의 단면, 즉 내부 단면은 상기 단면의 중심과 그 외부 윤곽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반경이 이웃한 배향에서보다 상대적인 최대 값 및 그리하여 더 높은 값을 갖는 다수의 주 방향을 갖는다. 삽입 도구의 구동 구역과 임플란트의 구동 부분의 단면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삽입 도구의 구동 구역의 단면은 원형 단면으로부터 각각의 단면이 벗어나는 편차에 대한 편심률 파라미터 특성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설명 및 개시를 위해 및 본 발명에 따라, 이 편심률 파라미터는 편심률 파라미터가 원형 형상에 대해 값 1을 채택하도록 단면의 최대 반경 대 최소 반경의 비로서 정의된다. 삽입 도구의 구동 구역의 단면의 편심률 파라미터는 1보다 더 크다. 편심률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1.1 내지 1.6, 1.2 내지 1.5 또는 1.3 내지 1.4의 범위일 수 있다.
이 편심률 파라미터는 삽입 도구의 길이 방향의 좌표에 대한 파라미터 특성의 각각의 값에 대해 평가될 수 있다. 구동 구역의 편심률 파라미터는 삽입 도구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구동 구역의 편심률 파라미터는 삽입 도구의 길이 방향으로 변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도구의 근위 단부로부터 도구의 원위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감소할 수 있다. 구동 구역의 편심률 파라미터는 삽입 도구의 길이 방향의 좌표 파라미터에 선형 종속성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단면의 각각의 반경이 국부적인 최대값을 갖는, 삽입 도구의 구동 구역에서 주 방향들은 삽입 도구의 중심 길이 방향 축에 대해 대칭으로, 특히 축 대칭으로 위치된다.
삽입 도구의 구동 구역에서 주 방향의 수는 3개 이상, 4개 이상, 5개 이상, 또는 6개 이상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삽입 도구의 구동 구역에서 주 방향의 수는 3개이고, 즉 구동 구역은 트라이오벌형 단면을 갖는다. 전술된 바와 같이, 삽입 도구의 길이 방향에 대해 주 방향들이 대칭으로 위치된 것과 함께, 이 트라이오벌형 형상은 120°의 2개의 이웃하는 주 방향 사이의 회전 오프셋 각도를 형성한다.
구동 구역은 구동 구역에서 삽입 도구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원위 부분의 단면의 측방향 치수 또는 연장이 삽입 도구의 근위 단부로부터 삽입 도구의 원위 단부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감소하도록 테이퍼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동 구역에서, 삽입 도구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원위 부분의 단면 영역, 즉 원위 부분의 단면 영역은 삽입 도구의 근위 단부로부터 삽입 도구의 원위 단부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감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치과용 임플란트,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를 환자의 뼈 조직 내로 삽입하기 위한 삽입 도구가 제공된다. 상기 삽입 도구는 근위 부분 및 원위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원위 부분은 상기 임플란트와 협력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원위 부분은 구동 구획을 갖는다. 상기 구동 구획에서, 상기 삽입 도구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상기 원위 부분의 단면은 단면의 원주를 따라 교대로 배열된 복수의 반경 방향 볼록 부분 및 복수의 반경 방향 오목 부분을 갖는다. 상기 반경 방향 볼록 부분들의 반경 방향 최외측 지점들 각각은 상기 단면의 중심 주위의 각각의 원 상에 놓인다. 상기 원들 중 적어도 2개의 원은 서로 다른 반경을 가진다.
상기 삽입 도구의 원위 부분의 구동 구획은 상기 임플란트와 협력한다. 상기 구동 구획은 회전 방지 구조물, 예를 들어 전술된 바와 같은 회전 방지 구조물을 구성한다. 상기 구동 구획은, 예를 들어, 상기 도구의 원위 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임플란트 소켓에 도입함으로써, 상기 삽입 도구와 임플란트가 서로 맞물릴 때, 상기 도구의 길이 방향 축 주위로 상기 삽입 도구와 임플란트 사이에 상대적인 회전이 일어나는 것을 회피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 구획의 단면 형상은 상기 삽입 도구에 가해지는 회전력을 길이방향 축 주위로 상기 임플란트에 효율적으로, 신뢰성 있고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삽입 도구는 임플란트, 특히 그 소켓이 손상되거나 또는 파손되는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환자의 뼈 조직 내로 임플란트를 신뢰성 있게 삽입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삽입 도구의 원위 부분의 구동 구획은 상기 임플란트의 대응하는 회전 방지 구조물, 특히 구동 영역과 협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임플란트의 구동 영역에서, 상기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임플란트의 소켓 또는 채널의 단면, 즉 내부 단면은 상기 단면의 원주를 따라 교대로 배열된 복수의 반경 방향 볼록 부분과 복수의 반경 방향 오목 부분을 갖고, 상기 반경 방향 볼록 부분들의 반경 방향 최외측 지점 각각은 상기 단면의 중심 주위의 각각의 원 상에 놓이고, 상기 원들 중 적어도 2개의 원은 서로 상이한 반경을 갖는다. 상기 삽입 도구의 구동 구획과 상기 임플란트의 구동 영역의 단면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서로 대응할 수 있다.
상기 반경 방향 오목 부분들의 반경 방향 최내측 지점들은 상기 단면의 중심 주위의 단일 원 상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반경 방향 오목 부분들의 모든 반경 방향 최내측 지점은 상기 단면의 중심 주위의 동일한 원 상에 놓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반경 방향 오목 부분들의 반경 방향 최내측 지점들 중 적어도 2개는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상기 단면의 중심 주위의 상이한 원 상에 놓일 수 있다.
상기 구동 구획에서 상기 삽입 도구의 원위 부분의 단면은 동일한 수의 반경 방향 볼록 부분 및 반경 방향 오목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반경 방향 볼록 부분 및/또는 반경 방향 오목 부분의 수는 2 이상, 3 이상, 4 이상, 5 이상, 6 이상, 7 이상, 8 이상 또는 9 이상일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단면은 6개의 반경 방향 볼록 부분 및 6개의 반경 방향 오목 부분을 갖는다.
상기 반경 방향 볼록 부분은 하나 이상의 제1 반경 방향 볼록 부분 및 하나 이상의 제2 반경 방향 볼록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반경 방향 볼록 부분의 하나 이상의 반경 방향 최외측 지점은 모두 상기 단면의 중심 주위의 단일 제1 원 상에 놓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반경 방향 볼록 부분의 하나 이상의 반경 방향 최외측 지점은 모두 상기 단면의 중심 주위의 단일 제2 원 상에 놓인다.
상기 제2 원은 상기 제1 원보다 더 작은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반경 방향 볼록 부분과 상기 제2 반경 방향 볼록 부분은 각각의 반경 방향 오목 부분을 그 사이에 두고 상기 단면의 원주를 따라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1 반경 방향 볼록 부분의 수는 상기 제2 반경 방향 볼록 부분의 수와 동일할 수 있다.
상기 구동 구획에서 상기 삽입 도구의 원위 부분의 단면의 반경 방향 볼록 부분은 상기 제1 반경 방향 볼록 부분 및 상기 제2 반경 방향 볼록 부분만을 포함할 수 있고, 즉 상기 제1 및 제2 반경 방향 볼록 부분을 제외하고는 상기 단면에 더 존재하는 추가적으로 반경 방향 볼록 부분은 없을 수 있다.
상기 구동 구획의 단면의 반경 방향 볼록 부분 및/또는 반경 방향 오목 부분 각각은 만곡된 형상, 예를 들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형 형상, 적어도 부분적으로 타원 형상, 적어도 부분적으로 달걀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구동 구획의 단면의 반경 방향 볼록 부분 및 반경 방향 오목 부분은 서로 직접 또는 바로 인접하여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반경 방향 볼록 부분은 2개의 반경 방향 오목 부분에 의해 직접 또는 바로 인접하게 배열될 수 있고 그 반대로도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삽입 도구의 원위 부분은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 구역 및 구동 구획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구동 구역은 상기 구동 구획의 근위쪽에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구동 구역과 상기 구동 구획을 갖는 상기 삽입 도구의 원위 부분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임플란트를 뼈 조직 내로 삽입 시에 상기 임플란트, 특히 소켓이 손상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특히 신뢰성 있게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임플란트 상의 2개의 대응하는 회전 방지 구조물, 예를 들어, 구동 부분과 구동 영역과 협력할 수 있는, 상기 삽입 도구의 원위 부분 상의 2개의 회전 방지 구조물, 즉 구동 구역 및 구동 구획이 존재하는 것으로 인해, 상기 임플란트가 뼈 조직 내로 삽입될 때 상기 임플란트에 가해지는 회전력 또는 부하는 두 구조물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임플란트에서 이들 두 구조물 중 어느 것에 임의의 손상이 일어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임플란트에서 이들 구조물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상기 임플란트를 뼈 조직 내로 삽입한 후에 지대주, 스캔 포스트, 압인 포스트 등을 위한 인덱스로서 신뢰성 있고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삽입 도구의 원위 부분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보유 요소 및 구동 구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구동 구역은 상기 보유 요소의 근위쪽에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삽입 도구의 원위 부분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보유 요소 및 구동 구획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구동 구획은 상기 보유 요소의 원위쪽에 배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삽입 도구의 원위 부분은 전술한 바와 같이 보유 요소, 구동 구역 및 구동 구획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구동 구획은 상기 보유 요소의 원위쪽에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구동 구역은 상기 보유 요소의 근위쪽에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구동 구획, 상기 보유 요소 및 상기 구동 구역은 상기 삽입 도구의 원위 단부로부터 상기 삽입 도구의 근위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 순서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삽입 도구는 단일 재료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삽입 도구의 모든 구성 요소는 서로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삽입 도구는 서로에 부착되는, 특히 서로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는 2개의 개별 파트, 예를 들어, 원위 파트 및 근위 파트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 도구의 두 개의 개별 파트는 서로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삽입 도구의 원위 파트는 상기 삽입 도구의 근위 파트의 대응하는 리세스에 끼워지는 돌기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원위 파트와 상기 근위 파트는 상기 돌기부를 상기 리세스에 삽입함으로써 서로 부착될 수 있고, 특히 서로 분리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 및 상기 리세스는 상기 삽입 도구의 길이 방향 축을 중심으로 상기 원위 파트 및 상기 근위 파트가 서로에 대해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대응하는 회전 방지 특징부 또는 구조물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원위 파트의 회전 방지 구조물은 예를 들어, 비-원형, 예를 들어, 타원형, 달걀형, 다각형, 예를 들어, 직사각형, 정사각형 또는 육각형 등인, 회전 대칭이 아닌, 삽입 도구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돌기부의 단면, 예를 들어, 외부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삽입 도구의 원위 파트의 회전 방지 구조물은 상기 삽입 도구의 근위 파트의 대응하는 회전 방지 구조물과 협력할 수 있다. 상기 삽입 도구의 근위 파트의 회전 방지 구조물은, 예를 들어, 비-원형, 예를 들어, 타원형, 달걀형, 다각형, 예를 들어, 직사각형, 정사각형 또는 육각형 등인, 회전 대칭이 아닌, 삽입 도구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리세스의 단면, 예를 들어, 내부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원위 파트와 상기 근위 파트의 회전 방지 구조물의 단면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삽입 도구를 2개의 별개의 파트,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은 원위 파트 및 근위 파트의 형태로 제공하면, 상기 삽입 도구의 생산, 특히 상기 보유 요소의 생산을 보다 간단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상기 보유 요소가 상기 삽입 도구의 근위 파트에 제공되는 경우에 적용된다. 예를 들어, 상기 보유 요소의 생산은 밀링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삽입 도구의 2개의 별개의 파트 중 하나의 파트, 특히 원위 파트는 구동 구획을 포함할 수 있고, 2개의 별개의 파트 중 다른 하나의 파트, 특히 근위 파트는 보유 요소 및 구동 구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삽입 도구의 생산, 특히 상기 보유 요소의 생산이 더욱 단순화될 수 있다.
상기 보유 요소는 2개의 별개의 파트 중 다른 하나의 파트, 특히 근위 파트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유 요소는 2개의 별개의 파트 중 다른 하나의 파트, 특히 근위 파트에 일체로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와 본 발명에 따른 삽입 도구의 조합체를 더 제공한다.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와 삽입 도구에 대해 전술된 설명, 특징 및 정의는 본 발명의 조합체에 완전히 적용된다.
본 발명의 조합체는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와 삽입 도구에 대해 이미 전술한 효과 및 장점을 제공한다.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는 상기 보유 요소의 부착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 또는 돌기부를 수용하기 위해 치관 부분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공동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치근 단부와 치관 단부를 갖는 코어 몸체를 포함하는, 특히 환자의 뼈 조직 내로 삽입하기 위한 치과용 임플란트가 제공된다. 상기 코어 몸체는, 상기 치관 단부로 개방되고 상기 치관 단부로부터 상기 치근 단부를 향해 상기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채널 또는 소켓을 포함한다. 상기 코어 몸체는 구동 영역을 갖고, 상기 구동 영역에서 상기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채널의 단면이 상기 단면의 원주를 따라 배열된 복수의 반경 방향 볼록 부분을 갖는다. 상기 반경 방향 볼록 부분들의 반경 방향 최외측 지점 각각은 상기 단면의 중심 주위의 각각의 원 상에 놓인다. 이들 원들 중 적어도 2개의 원은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다. 상기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임플란트의 소켓 또는 채널의 내부 단면은 상기 단면의 원주를 따라 교대로 배열된 복수의 반경 방향 볼록 부분 및 복수의 반경 방향 오목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은 상기 임플란트의 치관 단부로부터 임플란트의 치근 단부를 향해 연장된다. 상기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채널의 단면은 채널의 내부 단면이다.
상기 임플란트의 코어 몸체의 구동 영역은 삽입 도구,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삽입 도구, 즉 그 구동 구획과 협력한다. 상기 구동 영역은 회전 방지 구조물,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은 회전 방지 구조물을 구성한다. 상기 구동 영역은, 예를 들어, 도구의 원위 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임플란트의 채널 또는 소켓에 도입함으로써, 도구와 임플란트가 서로 맞물릴 때, 도구의 길이 방향 축 주위로 삽입 도구와 임플란트 사이에 상대적인 회전이 일어나는 것을 회피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구동 영역의 단면 형상은 삽입 도구에 가해지는 회전력을 길이방향 축 주위로 임플란트로 효율적이고 신뢰성 있고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임플란트는 임플란트, 특히 채널 또는 소켓이 손상되거나 또는 파손되는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환자의 턱뼈 또는 뼈 조직 내로 임플란트를 신뢰성 있게 삽입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임플란트의 구동 영역은 상기 삽입 도구의 원위 부분의 대응하는 회전 방지 구조물, 특히 구동 구획과 협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임플란트의 구동 영역과 삽입 도구의 구동 구획의 단면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영역에서 채널 단면의 반경 방향 오목 부분들의 반경 방향 최내측 지점들은 단면의 중심 주위의 단일 원 상에 놓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반경 방향 오목 부분들의 모든 반경 방향 최내측 지점은 상기 단면의 중심 주위의 동일한 원 상에 놓일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반경 방향 오목 부분들의 반경 방향 최내측 지점 중 적어도 2개는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상기 단면의 중심 주위의 상이한 원 상에 놓일 수 있다.
상기 구동 영역에서 채널의 단면은 동일한 수의 반경 방향 볼록 부분 및 반경 방향 오목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반경 방향 볼록 부분 및/또는 반경 방향 오목 부분의 수는 2 이상, 3 이상, 4 이상, 5 이상, 6 이상, 7 이상 또는 8 이상일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단면은 6개의 반경 방향 볼록 부분 및 6개의 반경 방향 오목 부분을 갖는다.
상기 반경 방향 볼록 부분은 하나 이상의 제1 반경 방향 볼록 부분 및 하나 이상의 제2 반경 방향 볼록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반경 방향 볼록 부분의 하나 이상의 반경 방향 최외측 지점은 모두 상기 단면의 중심 주위의 단일 제1 원 상에 놓이고,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반경 방향 볼록 부분의 하나 이상의 반경 방향 최외측 지점은 모두 상기 단면의 중심 주위의 단일 제2 원 상에 놓인다.
상기 제2 원은 상기 제1 원보다 더 작은 반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반경 방향 볼록 부분의 하나 이상의 반경 방향 최외측 지점 중 적어도 하나는 각도 공차 범위 내에서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의 코어의 상대적인 최대 각도 위치와 일치하는 각도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공차 범위는 약 +- 10°, 바람직하게는 약 +- 5°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제1 반경 방향 볼록 부분의 반경 방향 최외측 지점은 치과용 임플란트의 코어의 상대적인 최대 각도 위치와 동일한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각도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반경 방향 볼록 부분의 반경 방향 최외측 지점의 수는 상기 임플란트 코어 몸체의 상대적인 최대점의 수와 같을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반경 방향 볼록 부분의 하나 이상의 반경 방향 최외측 지점 중 적어도 하나는 각도 공차 범위 내에서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 코어의 최소 각도 위치와 일치하는 각도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공차 범위는 약 +- 10°, 바람직하게는 약 +- 5°일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제2 반경 방향 볼록 부분의 반경 방향 최외측 지점은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의 코어의 상대적인 최대점과 동일한 (또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각도 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영역의 최외측 지점의 전술된 구성은 주어진 단면에서 임플란트의 코어 몸체의 외주와 상기 최외측 지점들 사이에 재료의 최대점이 존재하는 것을 보장한다.
상기 제1 반경 방향 볼록 부분과 상기 제2 반경 방향 볼록 부분은 각각의 반경 방향 오목 부분을 그 사이에 두고 상기 단면의 원주를 따라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제1 반경 방향 볼록 부분의 수는 상기 제2 반경 방향 볼록 부분의 수와 같을 수 있다.
상기 구동 영역에서 채널의 단면의 반경 방향 볼록 부분은 제1 반경 방향 볼록 부분 및 제2 반경 방향 볼록 부분만을 포함할 수 있으며, 즉 상기 제1 및 제2 반경 방향 볼록 부분을 제외하고는 단면에 존재하는 추가적인 반경 방향 볼록 부분은 없을 수 있다.
상기 구동 영역에서 채널의 단면의 반경 방향 볼록 부분 및/또는 반경 방향 오목 부분 각각은 만곡된 형상, 예를 들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형 형상, 적어도 부분적으로 타원 형상, 적어도 부분적으로 달걀 형상 등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구동 영역에서 채널의 횡단면의 반경 방향 볼록 부분 및 반경 방향 오목 부분은 서로 직접 또는 바로 인접하여 배열될 수 있다. 반경 방향 볼록 부분은 2개의 반경 방향 오목 부분에 의해 직접 또는 바로 인접하여 배열될 수 있고 그 반대로도 배열될 수 있다.
상기 코어 몸체는 구동 부분을 더 가질 수 있으며, 상기 구동 부분에서 상기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채널의 단면은 상기 단면의 중심과 그 외부 윤곽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반경이 이웃한 배향에서보다 상대적인 최대 값 및 그리하여 더 높은 값을 갖는 다수의 주 방향을 갖는다.
상기 임플란트의 코어 몸체의 구동 부분은 삽입 도구, 특히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삽입 도구, 즉 그 구동 구역과 협력한다. 상기 구동 부분은 회전 방지 구조물, 예를 들어, 전술된 바와 같은 회전 방지 구조물을 구성한다. 상기 구동 부분은, 예를 들어, 도구의 원위 부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임플란트 채널 또는 소켓에 도입함으로써, 도구와 임플란트가 서로 맞물릴 때, 도구의 길이 방향 축 주위로 삽입 도구와 임플란트 사이에 상대적인 회전이 일어나는 것을 회피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구동 부분의 단면 형상은 삽입 도구에 가해지는 회전력을 길이방향 축 주위로 임플란트에 효율적으로, 신뢰성 있고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임플란트는 임플란트, 특히 채널 또는 소켓이 손상되거나 또는 파손되는 위험을 최소화하면서 환자의 턱뼈 또는 뼈 조직 내로 임플란트를 신뢰성 있게 삽입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임플란트의 구동 부분은 상기 삽입 도구의 원위 부분의 대응하는 회전 방지 구조물, 특히 구동 구역과 협력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임플란트의 구동 부분과 삽입 도구의 구동 구역의 단면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임플란트의 구동 부분의 단면은 원형 형상으로부터 각각의 단면이 벗어나는 편차에 대한 편심률 파라미터 특성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설명 및 개시를 위해 및 본 발명에 따라, 이 편심률 파라미터는 편심률 파라미터가 원형 형상에 대해 값 1을 채택하도록 단면의 최대 반경 대 최소 반경에 대한 비로서 정의된다. 임플란트의 구동 부분의 단면의 편심률 파라미터는 1보다 더 크다. 편심률 파라미터는 예를 들어, 1.1 내지 1.6, 1.2 내지 1.5 또는 1.3 내지 1.4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편심률 파라미터는 치과용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의 좌표에 대한 파라미터 특성의 각각의 값에 대해 평가될 수 있다. 상기 구동 부분의 편심률 파라미터는 상기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으로 일정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상기 구동 부분의 편심률 파라미터는 상기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으로 변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상기 임플란트의 치관 단부로부터 상기 임플란트의 치근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감소할 수 있다. 상기 구동 부분의 편심률 파라미터는 상기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의 좌표 파라미터에 선형 종속성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단면의 각각의 반경이 국부적인 최대점을 갖는, 상기 임플란트의 구동 부분의 주 방향들은 상기 임플란트의 중심 길이방향 축에 대해 대칭으로, 특히 축 대칭으로 위치된다.
상기 임플란트의 구동 부분에서 주 방향의 수는 3개 이상, 4개 이상, 5개 이상 또는 6개 이상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임플란트의 구동 부분에서 주 방향의 수는 3개이고, 즉 상기 구동 부분은 트라이오벌형 단면을 갖는다. 상기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에 대해 주 방향들이 대칭으로 위치된 것과 함께, 상기 트라이오벌형 형상은 120°의 2개의 이웃한 주 방향 사이의 회전 오프셋 각도를 형성한다.
상기 구동 부분은 상기 구동 부분에서 상기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상기 채널의 단면의 측방향 치수 또는 연장은 상기 코어 몸체의 치관 단부로부터 상기 코어 몸체의 치근 단부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감소하도록 테이퍼진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구동 부분에서, 상기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채널의 단면 영역, 즉 채널의 단면 영역은 상기 코어 몸체의 치관 단부로부터 상기 코어 몸체의 치근 단부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임플란트의 코어 몸체는 상기에서 상세히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 영역과 구동 부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구동 영역은 상기 구동 부분의 치근쪽에 배열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영역과 구동 부분을 갖는 상기 임플란트의 코어 몸체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임플란트를 턱뼈 또는 뼈 조직 내로 삽입할 때 임플란트, 특히 채널 또는 소켓이 손상되거나 또는 파손되는 것이 특히 신뢰성 있게 방지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삽입 도구의 원위 부분 상의 2개의 대응하는 회전 방지 구조물, 예를 들어, 구동 구획과 구동 구역과 협력할 수 있는, 상기 임플란트의 코어 몸체 상의 2개의 회전 방지 구조물, 즉, 구동 영역과 구동 부분이 존재하는 것으로 인해, 상기 임플란트가 뼈 조직 내로 삽입될 때 상기 임플란트에 가해지는 회전력 또는 부하는 두 구조물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임플란트에서 이들 두 구조물 중 어느 하나에 손상이 일어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임플란트에서 이들 구조물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상기 임플란트를 턱뼈 또는 뼈 조직 내로 삽입한 후에 지대주, 스캔 포스트, 압인 포스트 등을 위한 인덱스로서 신뢰성 있고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코어 몸체는 상기 치근 단부와 치관 단부 사이에서 상기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외부 표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는 상기 코어 몸체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나사산은 상기 코어 몸체의 치근 단부를 향하는 치근 표면, 및 상기 코어 몸체의 치관 단부를 향하는 치관 표면을 갖는다.
상기 나사산은 내부에 형성된 홈, 즉 절삭 홈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홈은 상기 나사산의 치근 단부로부터 나사산의 치관 단부로 연장된다.
상기 나사산은 치관 표면에 형성된 리세스를 치근 부분에 가질 수 있고, 상기 리세스는 상기 나사산의 두께의 일부를 따라 치관 표면으로부터 치근 표면 쪽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리세스는 상기 홈으로 개방되고, 즉 홈으로 개방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특히, 환자의 뼈 조직 내로 삽입하기 위한 치과용 임플란트로서, 치근 단부, 치관 단부, 및 상기 치근 단부와 상기 치관 단부 사이에서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외부 표면을 갖는 코어 몸체를 포함하는,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가 제공된다. 상기 임플란트는 상기 코어 몸체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을 더 포함한다. 상기 나사산은 상기 코어 몸체의 치근 단부를 향하는 치근 표면, 및 상기 코어 몸체의 치관 단부를 향하는 치관 표면을 갖는다. 상기 나사산은 내부에 형성된 홈, 즉 절삭 홈을 형성한다. 상기 홈은 상기 나사산의 치근 단부로부터 나사산의 치관 단부로 연장된다. 상기 나사산은 치관 표면에 형성된 리세스를 치근 부분에 갖고, 상기 리세스는 상기 나사산의 두께의 일부를 따라 치관 표면으로부터 치근 표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리세스는 상기 홈으로 개방되고, 즉 홈으로 개방된다.
상기 나사산의 두께는 상기 나사산의 치관 표면으로부터 나사산의 치근 표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나사산의 폭은 상기 코어 몸체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나사산의 길이는 상기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된 바와 같이 상기 홈 및 리세스를 갖는 나사산을 제공함으로써, 상기 임플란트는 자가 절삭 기능을 갖게 제공된다. 또한, 상기 홈 및 리세스를 배열하면 상기 임플란트를 턱뼈 또는 뼈 조직 내로 삽입하는데 필요한 삽입 토크 또는 회전력을 감소시키는 것을 돕는다. 이것은 단단한 뼈의 경우에 특히 유리하다. 상기 임플란트를 삽입할 때, 상기 임플란트에 축방향 압력을 가하는 것이 필요치 않다. 오히려, 상기 임플란트가 회전 시에 상기 임플란트는 이식 부위로 효율적으로 그리고 신뢰성 있게 당겨진다.
상기 리세스는 절삭 기능, 즉 뼈 조직을 절삭하는 기능을 갖는다. 따라서, 상기 리세스는 뼈 물질을 효율적으로 절삭 및 제거하고 나아가 제거된 뼈 물질을 코어 몸체의 치관 단부를 향해 운반하는 것을 돕는다.
특히, 상기 임플란트를, 이식 부위, 예를 들어, 상기 임플란트가 측방으로 절삭되어야 하는 추출 부위에 삽입할 때, 예를 들어, 상기 임플란트와 뼈 조직 사이에 기울어지게 또는 경사지게 배열된 것으로 인해, 본 발명의 임플란트는 임플란트가 뼈 내로 원활하고 정확히 배치되는 것을 보장한다. 더욱이, 상기 리세스는, 뼈 벽이 균일하지 않아서 통상적으로 천공으로부터 기인하는 원통형 형상의 절골부(osteotomy)를 생성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은 뼈 조직 내 준비가 덜 된(underprepared) 구멍 내로 임플란트를 삽입하거나 또는 치아 추출 소켓 내로 임플란트를 삽입하는 것을 크게 도와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임플란트는 감소된 힘 및 고도의 정확도로 임플란트가 뼈 조직 내로 삽입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임플란트와 뼈 조직이 특히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연결되거나 또는 결합되는 것, 즉 높은 임플란트 안정성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산의 치관 표면에 상기 리세스가 배열되는 것으로 인해, 광범위한 임플란트 나사산 각도에 걸쳐, 즉, 실질적으로 모든 임플란트 나사산 각도에 대해, 특히 작은 임플란트 나사산 각도에 대해 전술한 유리한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다양한 임플란트 나사산 각도, 특히 작은 임플란트 나사산 각도에 대해 턱뼈 또는 뼈 조직에 신뢰성 있고 정확히 배치되고 결합될 수 있는 치과용 임플란트를 제공한다.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을 포함한다.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는 복수의 나사산, 예를 들어, 2개 이상의 나사산, 3개 이상의 나사산 또는 4개 이상의 나사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은 내부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홈, 즉 적어도 하나의 절삭 홈을 갖는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은, 적어도 하나의 홈의 길이 방향으로, 나사산의 치근 단부로부터 나사산의 치관 단부를 향해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은 상기 나사산의 치근 단부에서 시작하여 상기 나사산의 치관 단부를 향해 연장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은 나사산의 길이의 20% 이상, 30% 이상, 40% 이상, 50% 이상 또는 60% 이상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은 상기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또는 상기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또는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의 연장 방향과 상기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 사이의 각도는 2° 내지 20°, 5° 내지 15° 또는 8° 내지 12°의 범위일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은 상기 코어 몸체의 원주의 일부를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홈은 상기 코어 몸체의 원주의 10% 내지 30%, 15% 내지 25%, 또는 18% 내지 22%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상기 나사산은 내부에 형성된 복수의 홈, 즉 복수의 절삭 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홈 중 하나의 홈은 나사산의 치근 단부로부터 나사산의 치관 단부를 향해 연장된다. 상기 나사산은 내부에 형성된 2개 이상의 홈, 3개 이상의 홈 또는 4개 이상의 홈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홈은 나사산의 길이를 따라 및/또는 나사산의 원주, 즉 코어 몸체의 원주를 따라 스태거된(staggered) 또는 시프트된(shifted) 배열로 배열될 수 있다.
상기 나사선은 치관 표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갖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는 나사선의 두께의 일부를 따라 치관 표면으로부터 치근 표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는 치관 표면에서 시작하여 거기서부터 치근 표면을 향해 연장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는 나사산의 두께 방향으로 나사산을 완전히 관통하지 않는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는 나사산의 치관 표면으로 개방된다.
또한, 상기 리세스는 상기 홈으로 개방되고, 즉 홈으로 개방된다. 상기 리세스는 홈에 인접하여 제공되고, 즉 직접 또는 바로 인접하게 제공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는 나사산의 두께의 20% 내지 90%, 30% 내지 80%, 40% 내지 70%, 또는 50% 내지 60%를 따라 치관 표면으로부터 치근 표면 쪽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임플란트에 충분한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리세스가 뼈 절삭 프로세스에 효율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이용 가능한 뼈(예를 들어, 추출 소켓)의 볼륨이 작은 경우, 제1 나사산이 뼈 안으로 절삭하는 것이 허용되면, 천공된 구멍은 크기가 작아져서 팁으로부터 얻어지는 임플란트의 안정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치관 표면으로부터 치근 표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의 연장, 즉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의 깊이는 치관 표면 또는 치근 표면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일정할 수 있다.
치관 표면으로부터 치근 표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의 연장, 즉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의 깊이는 치관 표면 또는 치근 표면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변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치관 표면으로부터 치근 표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의 최대 연장은 나사산의 두께의 20% 내지 90%, 30% 내지 80%, 40% 내지 70%, 또는 50% 내지 60% 범위에 걸쳐 이를 수 있다. 치관 표면으로부터 치근 표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의 최대 연장은 홈에 직접 인접하게 배열된 리세스 부분에 존재할 수 있다.
치관 표면으로부터 치근 표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의 연장은 리세스가 개방되는 홈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감소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기 리세스의 특히 효율적인 절삭 기능이 달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는 만곡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는 구형 또는 타원형의 일부 또는 단편, 예를 들어, 1/4 구형 또는 1/4 타원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의 이러한 만곡된 형상은 리세스 및 그리하여 또한 임플란트가 특히 간단하고 경제적인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게 한다.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는 리세스의 폭 방향으로 나사산의 폭의 50% 내지 90%, 60% 내지 80% 또는 65% 내지 75%에 걸쳐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는 상기 임플란트의 회전 방향으로 홈의 상류 측에 배열될 수 있다. 임플란트의 회전 방향은 임플란트가 뼈 조직 내로 나사 결합되는 방향이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는 나사산이 첫 1회 또는 1바퀴 선회하는 지점에서 나사산의 치관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나사산이 첫 1회 또는 1바퀴 선회하는 것은 1회 선회하는 것이 나사산의 치근 단부로부터 시작하여 나사산의 치관 단부를 향해 가면서 카운트될 때 첫 1회 선회하는 것이다. 따라서 나사산이 첫 1회 선회하는 것은 나사산이 최치근에서 1회 선회하는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의 이러한 배열은 임플란트가 턱뼈 또는 뼈 조직과 특히 안정적이고 견고히 결합될 수 있게 한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는 나사산이 두 번째 1회 또는 1바퀴 선회하는 지점에서 나사산의 치관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는 나사산이 세 번째 1회 또는 1바퀴 선회하는 지점에서 나사산의 치관 표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나사산은 치관 표면에 형성된 복수의 리세스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리세스 중 하나는 나사산이 첫 번째 및 두 번째 1회 또는 1바퀴 선회하는 지점에서 나사산의 치관 표면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리세스 중 하나의 리세스는 나사산이 첫 번째, 두 번째 및 세 번째 1회 또는 1바퀴 선회하는 지점에서 나사산의 치관 표면 각각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평면에 대해 나사산의 각도, 즉 나사산의 경사각은 25° 이하, 20° 이하, 15° 이하, 12° 이하 또는 10° 이하일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나사산의 각도는 10° 이하이다.
이러한 작은 나사산의 각도는 임플란트가 뼈 조직 내로 보다 천천히 도입되어, 즉 임플란트의 1선회당 전방 이동량이 더 적어 임플란트가 특히 원활하고 정확히 배치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임플란트의 리세스는 이러한 작은 나사산 각도를 갖는 나사산과 조합하여 특히 잘 작동한다. 특히, 나사산의 치관 표면에 리세스를 배열하면 리세스가 존재하는 것으로 인해 나사산의 각도가 국부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나사산의 각도는 20°내지 40°로 또는 25° 내지 35°로 국부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리세스는 뼈 조직을 절삭하는데 크게 기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전술한 특징 및 다른 특징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하여 다음의 설명 및 첨부된 청구범위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들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일부 실시예를 도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고려되어서는 안 되는 것으로 이해하면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추가적으로 구체적으로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측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대안적인 치과용 임플란트의 측면 사시도,
도 3은 구별된 영역들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일 실시예의 측면도,
도 4는 도 3의 임플란트의 길이방향 단면도,
도 5는 도 2의 임플란트의 길이방향 단면도,
도 6 내지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의 상이한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 내지 도 18은 절삭 홈들이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의 상이한 실시예의 측면도,
도 19는 도 11의 임플란트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치관 구획의 측면 사시도,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측면도,
도 21은 도 20의 임플란트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2는 도 1, 도 2, 도 11의 임플란트의 길이방향 단면도,
도 23은 도 22의 일부 확대도,
도 24는 뼈 물질 내로 삽입된 후 도 1, 도 2, 도 11의 임플란트의 일부의 길이방향 단면도,
도 25는 도 1, 도 2, 도 11의 임플란트의 2개의 상부 사시도,
도 26은 도 1, 도 2 및 도 11의 임플란트의 길이방향 단면 사시도,
도 27은 내부 연결을 보여주는, 도 1, 도 2, 도 11의 임플란트의 상부 구획의 길이방향 단면 사시도,
도 28은 임플란트의 대안적인 내부 연결을 보여주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상부 구획의 길이방향 단면 사시도,
도 2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치관 구획의 측면 사시도,
도 30은 도 29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측면 사시도,
도 31은 도 29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측면도,
도 3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팁 부분의 측면도,
도 3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저면 사시도,
도 3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의 측면 사시도,
도 35는 임플란트의 길이방향 축을 따라 임플란트의 특정 부분들에 대한 편심률의 가능한 변화를 도시하는 그래프,
도 3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삽입 도구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36(a)는 전체 삽입 도구의 측면도, 도 36(b)는 삽입 도구의 원위 부분의 확대 측면도, 도 36(c)는 삽입 도구의 원위 부분의 사시도,
도 3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삽입 도구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37(a)는 삽입 도구의 원위 부분의 분해 사시도, 도 37(b)는 삽입 도구의 원위 부분의 분해 측면도, 도 37(c)는 삽입 도구의 원위 부분의 분해 단면도, 도 37(d)는 삽입 도구의 원위 부분의 일부가 치과용 임플란트에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삽입 도구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38(a)는 전체 삽입 도구의 측면도, 도 38(b)는 도 38(a)의 라인(C-C)에 따라 취해진 삽입 도구의 원위 부분의 단면도, 도 38(c)는 삽입 도구의 원위 부분의 측면도, 도 38(d)는 도 38(c)의 라인(A-A)을 따라 취해진 삽입 도구의 원위 부분의 단면도, 도 38(e)는 삽입 도구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서 도 38(c)의 라인(A-A)을 따라 취해진 삽입 도구의 원위 부분의 단면도, 도 38(f)는 도 38(c)의 라인(B-B)을 따라 취해진 삽입 도구의 원위 부분의 단면도,
도 3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1 실시예에 따른 삽입 도구와 치과용 임플란트의 조합체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39(a)는 삽입 도구가 임플란트에 부착된 상태의 조합체의 측면도, 도 39(b)는 도 39(a)의 라인(D-D)을 따라 취해진 임플란트의 치관 부분 및 삽입 도구의 원위 부분의 단면도, 도 39(c)는 도 39(b)의 라인(E-E)을 따라 취해진 임플란트의 치관 부분의 단면도,
도 4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삽입 도구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0(a) 및 (b)는 상이한 각도에서 취해진 삽입 도구의 원위 부분의 사시도,
도 4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1(a)는 임플란트의 측면도, 도 41(b)는 임플란트의 저면도, 도 41(c)는 도 41(b)의 라인(H-H)을 따라 취해진 임플란트의 단면도,
도 4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42(a)는 도 41(c)에 도시된 화살표(K) 방향의 임플란트의 치근 부분의 측면도, 도 42(b)는 도 41(c)에 도시된 화살표(J)의 방향의 임플란트의 치근 부분의 측면도, 도 42(c)는 도 41(c)에 도시된 둘러싸인 영역(M)의 확대도, 도 42(d)는 도 41(b)에 도시된 둘러싸인 영역(G)의 확대도이며,
도 4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3(a)는 임플란트의 측면도, 도 43(b)는 도 43(a)의 라인(B-B)을 따라 취해진 임플란트의 단면도, 도 43(c)는 임플란트의 상면도.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동일한 참조 부호는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부분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은 개별적인 특징들은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되는 추가적인 변형예에서 결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치과용 임플란트(1)는 치과용 보철 또는 크라운 역할을 하는 보철 부품을 유지하기 위해 추출된 또는 뽑힌 치아 자리에 환자의 턱뼈에 사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치과용 임플란트(1)는 소위 다중 부품 구성으로 사용되도록 설계되고, 환자의 뼈 조직에 삽입하기 위한 소위 포스트 부품으로 구성된다. 치과용 임플란트(1)가 사용되도록 의도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은 임플란트(1)와 협력할 수 있는 치과용 보철물 또는 임의의 다른 보철 부품을 고정하기 위해 제공되는, 장착 부품 또는 지대주라고도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와 결합되는 제2 임플란트 부품(도시되지 않음)을 더 포함한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본 발명에 따라 치과용 임플란트(1)는 또한 상부 구역 상에 치과용 임플란트(1)가 또한 치과용 보철물 또는 보철 부품을 직접 부착하기 위한 수단을 운반하는 하나의 부재의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에 사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임플란트(1)는 치근 단부(4), 치관 단부(6), 및 이 치근 단부(4)와 치관 단부(6) 사이에서 코어(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외부 표면(8)을 갖는 코어 몸체(2)를 주 몸체로서 포함한다. 하나의 부재의 구성에서, 코어 몸체(2)의 치관 단부(6)는 치과용 보철이 적절하게 그리고 높은 기계적 안정성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적절하게 설계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예에서, 치과용 임플란트 시스템의 다중 부품 구성으로 인해, 치관 단부(6)는 제2 임플란트 부품 또는 지대주와 높은 기계적 안정성으로 연결을 형성하도록 설계된다. 이러한 높은 기계적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해, 장착 부품 또는 지대주 상에 치과용 보철물 또는 보철을 적절하게 고정시킨 후에, 임플란트(1)는 지대주의 대응하는 연결 핀이 삽입될 수 있는 수용 채널(10)을 특징으로 한다. 연결 핀을 수용 채널(10) 내로 푸시함으로써, 임플란트(1)와 지대주는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임플란트(1)와 지대주의 기계적 연결은 관련된 연결 나사를 통해 수행되고, 나사의 외부 나사산은 임플란트(1)에 제공된 내부 나사산에 나사 결합되며, 이에 의해 연결 나사의 나사 머리가 지대주를 임플란트(1)로 가압한다.
임플란트(1)의 코어 몸체(2)는 코어 몸체(2)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외부 나사산(12)을 외부 표면(8)에 구비한다. 나사산(12)은 특히 치근 단부(4)에 가까운 영역에서 자가 절삭식 나사 나사산으로 구성되고, 이에 의해 임플란트(1)가 의도된 자리에 나사 결합함으로써 턱뼈 안으로 삽입될 수 있다. 나사산(12)의 피치(pitch)는 균일하거나 또는 가변적일 수 있다.
나사산(12)을 포함하는 임플란트(1)는 특히 바람직한 높은 1차 및 2차 안정성 면에서 및 저작 부하 하에서 치과용 임플란트(1)에 발생하는 힘을 턱뼈로 균일하게 전달하도록 특별히 설계된다. 이를 위해, 임플란트는 높은 1차 안정성 또는 높은 2차 안정성에 특히 기여하도록 각각 지정된 다수의 특화된 영역 또는 구획을 포함한다.
첫 번째로, 치과용 임플란트(1)의 코어 몸체(2)는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치근 단부(4)에 인접하여 위치된 것으로 도시된 원형 영역(20)을 포함한다. 코어 원형 영역(20)에서, 임플란트(1)의 코어 몸체(2)는 임플란트(1)가 뼈 물질 내로 나사 결합되는 첫 순간 동안 뼈 조직에 너무 많은 응력을 가하지 않으면서 나사산(12)을 뼈 물질과 비교적 용이하게 맞물리도록 설계된다. 이를 위해, 코어 원형 영역(20)에서 코어 몸체(2)는 원형 단면을 갖는다. 임플란트(1)의 치근 부분에 코어 원형 영역(20)을 위치시키는 것은 높은 1차 안정성의 가능성을 최대화하기 위해 매우 유익한 것으로 고려된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유익하지만 또한 보다 구체적으로 즉각적인 부하 프로토콜이 바람직할 수 있는 추출 소켓에 유용하다. 상당한 치근 맞물림을 제공하기 위해, 도시된 실시예에서, 원형 영역(20)은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으로 보았을 때, 적어도 2.5㎜의 길이를 갖는다.
대조적으로 두 번째로, 코어 몸체(2)는 코어 형성 영역(22)을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코어 형성 영역(22)은 임플란트(2)의 다른 단부 부근, 즉 치관 단부(6)에 인접하여 위치되고, 이에 의해 크레스탈 플랫폼 영역(24)을 구성하지만, 대안적으로 코어 몸체(2)의 일부 중간 또는 중간 범위에 위치된다. 이 영역(22)에서, 치과용 보철을 지탱하는 지대주에 연결되도록 설계된 치관 단부(6)에 인접하여 도시된 실시예에서, 코어 몸체(2)는 단면의 중심과 그 외부 윤곽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반경이 이웃하는 배향에서보다 상대적인 최대 값 및 그리하여 더 높은 값을 갖는 다수의 주 방향을 특징으로 하는 비-둥근 단면을 갖게 설계된다.
이러한 코어 형성 영역(22)의 단면을 이렇게 설계하는 것으로 인해, 코어 몸체(2)가 뼈 조직 내로 나사 결합될 때, 뼈 조직에 가해지는 압축력은, (임플란트 몸체의 회전 운동으로 인해) 단면의 국부적 반경이 최대가 되는 최대 압축과, 단면의 국부적 반경이 최소가 되는 최소 압축 사이에 진동하는 방식으로 변한다. 그리하여 임플란트 몸체가 나사 결합될 때, 이 영역에서 주위의 뼈 조직은 변동하는 압축 하에 놓여, 압축이 높아지는 기간과 압축이 낮아지는 이완 기간 사이에서 변한다.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형성 영역(22)은 임플란트(1)의 크레스탈 단부에 위치된다. 그리하여, 임플란트(1)의 삽입 후에, 형성 영역(22)은 비교적 단단한 뼈 조직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의 턱의 크레스탈 영역 내에 놓이게 된다. 삽입 후 국부적 최소점을 특징으로 하는 이 형성 윤곽은 최소점 부근에서 낮은 뼈 응력 지역을 초래하여 뼈 물질의 재생을 향상시키고 혈관에 과도한 압축이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크게 최소화할 수 있다. 그 결과, 뼈 물질의 재생 및 또한 골 유착은 중요한 뼈 구조물 지역에 형성 영역(22)의 국부적 최소점을 제공함으로써 현저히 개선되며, 골 유착을 위해, 크레스탈 플레이트에서 적어도 2.5㎜ 또는 훨씬 더 양호하게는 적어도 3㎜의 상부 층에 이들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 매우 유익한 것으로 고려된다. 따라서, 도시된 실시예에서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으로 보았을 때 제1 형성 영역(22)은 적어도 2.5㎜의 길이를 갖는다.
세 번째로, 임플란트(1)의 코어 몸체(2)는, 임플란트(1)의 길이 방향으로 보았을 때, 코어 원형 영역(20)과 코어 형성 영역(22) 사이에 위치된 전이 영역(26)을 포함한다. 영역(20, 22)들 사이에서 원활하고 유익한 전이를 허용하기 위해, 전이 영역(26)은 (길이 방향으로 보았을 때) 코어 원형 영역(20)에 가까운 범위에서 코어 원형 영역(20)의 단면과 일치하는 원형 단면으로부터, 형성 영역(22)에 가까운 범위에서 형성 영역(22)의 단면과 일치하는 비-둥근 엽을 갖는 단면으로 변하는 과도적인 단면을 갖는다. 이러한 전이 영역(26)으로 인해 기하학적 형상의 즉각적이고 갑작스러운 변화, 뼈 조직에 대한 전단 효과, 및 뼈 조직에 대한 다른 손상 효과가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대안적인 실시예가 도 2에 도시된다. 이 실시예는 도 1의 실시예와 별도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도 1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치과용 임플란트(1')는 또한 코어 원형 영역(20) 및 코어 형성 영역(22)을 포함하는 코어 몸체(2)를 갖는다. 그러나, 전이 영역(26) 대신에 또는 전이 영역에 더하여, 치과용 임플란트(1')는 제2 코어 형성 영역(26')을 포함하며, 이 제2 코어 형성 영역(26')에서, 제1 코어 형성 영역(22)에서와 같이, 코어 몸체(2)의 단면은 단면의 중심과 그 외부 윤곽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반경이 이웃하는 배향에서보다 상대적인 최대 값 및 그리하여 더 높은 값을 갖는 다수의 주 방향을 갖는다. 제2 코어 형성 영역(26')은, 임플란트(1)의 길이 방향으로 보았을 때, 영역(20, 22)들 사이에 위치된다. 영역(20, 22)들 사이에 원하는 원활하고 유익한 전이를 허용하기 위해, 이 실시예에서, 제1 코어 형성 영역(22)에서, 코어 몸체(2)의 단면의 최대 반경 대 최소 반경의 비로 정의되는 코어 편심률 파라미터는 제2 코어 형성 영역(26')에서보다 더 크다. 분명히, 추가적인 옵션으로서, 이 제2 형성 영역(26')은 또한 그 자체로 상이한 편심률을 갖는 이러한 유형의 시퀀스 또는 다수의 개별 형성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영역(20, 22, 26, 26')이 구별 가능하게 식별된 도 1, 도 2의 임플란트(1, 1')의 개략도를 도시한다. 도시된 예에서, 전이 영역(26)은, 길이 방향으로 보았을 때, 임플란트(1)의 치근 단부(4)로부터 약 2㎜ 내지 3㎜의 거리에서 시작한다.
코어 몸체(2)를 이렇게 설계하는 개념, 즉 각각 3개의 영역(20, 22 및 26 또는 26')을 제공하는 설계 개념은 본 발명의 개념에 대해 하나의 제1 가능한 실시예 그룹으로 고려된다. 제1 그룹의 실시예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개념에 대한 대안적인 독립적인 제2 실시예 그룹에서, 유익한 절삭 특성 및 뼈 치료에 있어 유사하거나 동등한 효과는 코어 몸체(2)에 대해 전술된 설계와 유사하게 나사산(12)의 외부 윤곽을 설계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도 4에서, 본 발명의 이들 대안적인 실시예 그룹을 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임플란트(1)의 일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이들은 또한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나사산(12)의 외부 윤곽의 설계를 더 잘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 이 외부 윤곽은 도 4에 따른 길이방향 단면도에 명시적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나사산(12)의 외부 윤곽에 의해 정의되는 "외부 볼륨" 또는 포락선 볼륨(28)이라고 언급된다.
도시된 조합된 실시예에서, 임플란트(1)의 나사산(12)은, 나사산(12)에 포락선을 형성하는 외부 볼륨(28)의 단면이 이 단면의 중심과 그 외부 윤곽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반경이 이웃하는 배향에서보다 상대적인 최대 값 및 그리하여 더 높은 값을 갖는 다수의 주 방향을 갖는 제1 또는 나사산 형성 영역(30)을 더 포함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나사산(12)은, 또한 임플란트(1)의 치근 단부(4)에 인접하여 위치된 것으로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나사산 원형 영역(32)으로서, 외부 포락선 볼륨(28)의 단면은 기본적으로 원형 형성인, 상기 나사산 원형 영역; 및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제1 형성 영역(30)과 상기 제2 원형 영역(32) 사이에 위치된 나사산 전이 영역(34)으로서, 이 나사산 전이 영역에서, 나사산(12)에 포락선을 형성하는 상기 외부 볼륨(28)의 단면의 기하학적 형상은, 길이 방향의 좌표에 대한 파라미터 특성의 함수로서, 상기 원형 영역(32)에 인접한 기본적으로 원형인 형상으로부터, 특히 단면의 일반적인 기하학적 형상에 대해 및/또는 그 특성 파라미터의 값에 대해 상기 포락선 볼륨(28)의 단면이 상기 제1 또는 형성 영역(30)의 단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변하는, 상기 나사산 전이 영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이러한 실시예 그룹의 대안적인 실시예가 도 5에 도시된다. 이 실시예는 도 4의 실시예와 별도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도 4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치과용 임플란트(1')는 나사산 원형 영역(32) 및 나사산 형성 영역(30)을 포함하는 나사산(12)의 포락선 볼륨(28)을 더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나사산 전이 영역(34) 대신에 또는 이에 더하여, 치과용 임플란트(1')는 제2 나사산 형성 영역(34')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2 나사산 형성 영역(34')에서 - 제1 나사산 형성 영역(30)에서와 같이 - 외부 볼륨(28)의 단면은 이 단면의 중심과 그 외부 윤곽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반경이 이웃하는 배향에서보다 상대적인 최대 값 및 그리하여 더 높은 값을 취하는 다수의 주 방향을 갖는다. 제2 나사산 형성 영역(34')은, 임플란트(1)의 길이 방향으로 보았을 때, 영역(30, 32)들 사이에 위치된다. 이 실시예에서 제1 나사산 형성 영역(30)에서 영역(30, 32)들 사이에 원하는 원활하고 유익한 전이를 허용하기 위해, 외부 볼륨(28)의 단면의 최대 반경 대 최소 반경의 비로서 정의되는 나사산 편심률 파라미터는 제2 나사산 형성 영역(34')에서보다 더 크다. 분명히, 또 다른 옵션으로서, 이 제2 형성 영역(34')은 또한 그 자체로 상이한 편심률을 갖는 이러한 유형의 시퀀스의 또는 다수의 개별 형성 영역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전이 영역(26, 26', 34, 34')으로 인해 임플란트(1, 1')는 (코어 원형 영역(20) 및/또는 나사산 원형 영역(32)에서) 나사산(12)이 뼈 조직에 제일 먼저 맞물리고 나서 (형성 영역(22, 30)에서) 압축을 변화시킴으로써 뼈 조직을 형성하고 직접 치료하는 것으로 (나사 결합 공정 동안) 원활하고 유익한 전이를 하도록 특별히 설계된다. 이들 영역 사이에 원활한 전이를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 전이 영역(26)에서 코어 몸체(2)는, 특히 1° 내지 12°, 바람직하게는 4° 내지 8°의 원추형/테이퍼 각도로 원추형이거나 테이퍼진다.
코어 몸체(2)의 단면은 단면의 최대 반경 대 최소 반경의 비로 정의되는 편심률 파라미터를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원형 형상에 대해 값 1을 채택하는 이 편심률 파라미터는 원형 형상으로부터 각각의 단면이 벗어나는 편차에 대한 특성이다. 원형 단면을 갖는 코어 원형 영역(20)과 비-둥근 단면을 갖는 코어 형성 영역(22) 사이에서 특히 원활한 전이를 제공하기 위해, 전이 영역(26)에서 이 편심률 파라미터는 길이 방향으로 임플란트(1)의 좌표 파라미터에 선형 종속성을 갖는다. 도시된 예에서, 코어 형성 영역(22)에서 코어 몸체(2)는 약 1.1의 편심률 값을 갖는다. 동일한 개념이 나사산(12)의 전이 영역(34)에 사용되고, 나사산 형성 영역(30)에서 외부 볼륨(28)의 편심률 파라미터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 임플란트(1, 1')의 개개의 요소 및 구성 요소에 관한 다양한 고려 사항 및 그 기하학적 파라미터는 임플란트(1)에 따른 실시예 그룹을 참조하여 논의된다. 명백히, 이들은 또한 임플란트(1')에 따른 실시예 그룹에 또는 이들 실시예 그룹의 조합체에 적용될 수 있다.
임플란트(1)의 길이 방향으로 다양한 코어 영역(20, 22, 26)(또는 각각 26') 및 다양한 나사산 영역(30, 32, 34)(또는 각각 34')의 위치 및 경계는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이할 수 있으며, 이들 중 7개가 도 6 내지 도 9의 일반적인 예로서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들 각각에서, 도 6a, 도 7a, 도 8a, 도 9a는 각각의 임플란트(1)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6b, 도 7b, 도 8b 및 도 9b는 각각의 임플란트(1)의 길이방향 단면도를 도시하며, 및 도 6c 내지 도 6e, 도 7c 내지 도 7e, 도 8c 내지 도 8e, 및 도 9c 내지 도 9e는 코어 몸체(2)의 외부 윤곽과 포락선 볼륨(28)의 외부 윤곽의 단면을 도시한다.
도 6의 실시예에서, 코어 몸체(2) 및 포락선 볼륨(28)은 그 단면이 협측 뼈를 증가시키고 뼈의 정상화를 돕기 위해 크레스탈-중간 부분으로부터 치관 단부(6)로 트라이오벌형이다.
도 7의 실시예에서, 대조적으로, 전이 라인(4) 위의 크레스탈 영역(42)에서, 코어 몸체(2)의 단면은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둥글고, 포락선 볼륨(28)의 외부 윤곽은 트라이오벌형이다. 이것은 골 정상화 효과와 협측 뼈의 증가를 위해 외부 트라이오벌형 형상을 유지하면서 삽입 동안 토크와 초기 안정성 및 임플란트 강도를 개선하기 위해 수행된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코어 몸체(2)의 단면은 임플란트(1)의 전체 길이에 걸쳐 둥글고, 포락선 볼륨(28)의 외부 윤곽만이 치근 단부(4)에 인접한 둥근 형상으로부터 치관 단부(6)에 인접한 트라이오벌형으로 변한다.
도 9는 코어 몸체(2)의 단면이 임플란트(1)의 중간에서는 둥글고(도 9d) 크레스탈 영역(42)에서는 트라이오벌형인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중간 범위에서,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몸체(2)의 둥근 단면을 갖는 구역은 포락선 볼륨(28)의 트라이오벌형 단면의 구역과 중첩된다.
도 10은 각각의 형상의 CNC 가공을 위해 가능한 입력 데이터와 함께 임플란트(1)의 일 실시예를 예로서 도시한다. 도 10a는 임플란트(1)의 길이방향 단면도를 도시하는 반면, 도 10b는 임플란트(1)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0c는 임플란트(1)의 일 실시예의 나사산의 외부 볼륨(28)의 길이방향 단면도이며, 여기서 상기 임플란트는 최소 반경 측에 놓인다. 외부 볼륨(28)의 프로파일은 도 10c에 도시된 라인 중 적어도 하나와 일치하는 도구의 프로파일을 갖게 CNC 가공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원래의 재료를 이 형태로 가공한 후에, 나사산(12)은 도 10d에 도시된 바와 같은 프로파일에 의해 주어진 깊이를 갖게 나사산 그루브를 새김으로써 가공된다. 이것은 전술한 바와 같은 코어 몸체(2)의 최종 형상을 형성한다.
임플란트(1)의 설계의 트라이오벌형 형상은 도 10f에 도시된 원형 형태를 CNC 가공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도 10f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코어 몸체(2)/외부 볼륨(28)의 형상에 대한 대안적인 정의이고 단면의 최대 반경과 최소 반경 사이의 차이에 의해 정의되는 차동 난형도(differential ovality) 파라미터(e)는 바람직하게는 약 4㎜의 전형적인 직경에 대해 약 0.23㎜가 되도록 선택된다.
도 10c는 또한 축(y)(임플란트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영역을 한정하는 축(y)을 따른 복수의 길이 방향 좌표/점(Y01 내지 Y05)을 도시한다. Y01은 좌표 0㎜를 갖는 점이다. 도 10c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난형도 파라미터(e)의 값은 상기 축을 따른 좌표(y)에 따라 변한다. 예를 들어, 제1 영역(Y01-Y02)에서, 난형도 파라미터(e)는 0.10㎜ 내지 0.50㎜, 보다 바람직하게는 0.20㎜ 내지 0.25㎜에 포함된/선택된 일정한 값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역(Y1-Y2)(외부 영역(1) 또는 제1 외부 영역)은 일정한 편심률을 갖는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영역(Y1-Y2)에서, 외부 볼륨(28)의 최대 직경(ØD)은 일정하고 4 ㎜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영역(Y2-Y3)(외부 영역(2) 또는 제2 외부 영역) 내에서, 난형도 파라미터(e)는 점(Y2)에서 0.20㎜ 내지 0.30㎜에 포함된/선택된 값으로부터 변하는 값 및 점(Y03)에서 0㎜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영역(Y02-Y03)에서 외부 볼륨(28)의 최대 직경(ØD)은 4㎜ 내지 3.54㎜에서 변할 수 있다. 상기 정의된 난형도 파라미터의 변화 및/또는 편심률의 변화는 상기 영역(Y2-Y3)에서 선형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난형도 파라미터(e)는 점(Y03) 내지 점(Y05)에서 0㎜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외부 볼륨(28)은 점(Y03)과 점(Y04)(외부 영역(3) 또는 제3 외부 영역) 사이에 원추형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직경은 3.54㎜ 내지 3.40㎜에서 변한다. 외부 볼륨(28)은 또한 점(Y04)과 점(Y05)(외부 영역(4) 또는 제4 외부 영역) 사이에 원추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여기서 직경은 3.40㎜ 내지 1.80㎜에서 변한다.
분명히 각각의 영역의 길이는 임플란트의 총 길이에 의존하지만 총 길이가 13㎜인 임플란트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서, Y2는 Y1로부터 2.30㎜에 위치될 수 있고, Y3은 Y1로부터 5㎜에 위치될 수 있고, Y4는 Y1로부터 11.70㎜에 위치될 수 있고, Y5는 Y1로부터 13㎜에 위치될 수 있다.
도 10d는 도 10a의 임플란트(1)의 코어 몸체(2)의 길이방향 단면을 도시한다. 도 10d는 또한 축(y)을 따라 위치된 복수의 길이 방향 좌표/점(Y6 내지 Y09)을 도시한다. 상기 점들은 또한 상기 축(y)을 따른 영역들을 한정한다. Y1은 좌표 0㎜를 갖는 점이다. 도 10d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난형도 파라미터(e)의 값은 상기 축을 따른 좌표(y)에 따라 변한다. 예를 들어, 제1 영역(Y1-Y6)에서, 난형도 파라미터(e)는 0.10㎜ 내지 0.50㎜에 포함된/선택된 일정한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에서, 최대 코어 직경(ØD)은 길이방향 축을 따라 4㎜ 내지 3.60㎜에서 변할 수 있다. 상기 영역(Y1-Y6)(코어 영역(1) 또는 제1 코어 영역)은 일정한 편심률을 가질 수 있다. 영역(Y6-Y7)(코어 영역(2) 또는 제2 코어 영역) 내에서, 난형도 파라미터(e)는 점(Y6)에서 0.10㎜ 내지 0.50㎜에 포함된/선택된 일정한 값으로부터 변하는 값 및 점(Y7)에서 0㎜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 난형도 파라미터의 변화는 상기 영역(Y6-Y7)에서 선형일 수 있다. 상기 영역(Y6-Y7)에서 최대 코어 직경(ØD)은 3.30㎜ 내지 2.70㎜에서 변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난형도 파라미터(e)는 점(Y07)과 점(Y09) 사이에서 0㎜의 값을 가질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코어 몸체(2)는, 2.70㎜ 내지 2.2㎜(코어 영역(3) 또는 제3 코어 영역)에서 변하는 코어 직경을 갖는, 점(Y07)과 점(Y08) 사이에서 원추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2.2㎜ 내지 1.6㎜에서 변하는 코어 직경을 갖는, 점(Y08)과 점(Y09)(코어 영역(4) 또는 제4 코어 영역) 사이에서 원추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분명히 각각의 영역의 길이는 임플란트의 총 길이에 의존하지만 총 길이가 13㎜인 임플란트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서, Y6은 Y1로부터 2.30㎜에 위치될 수 있고, Y7은 Y1로부터 5㎜에 위치될 수 있고, Y8은 Y1로부터 11.70㎜에 위치될 수 있고, Y9는 Y1로부터 13㎜에 위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는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이 실시예는 도 1 및/또는 도 2의 실시예와 별도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도 1 및/또는 도 2의 실시예와 유사하게 치과용 임플란트(1'')는 또한 코어 원형 영역(20), 코어 형성 영역(22), 원형 나사산 영역(32) 및 나사산 형성 영역(30)을 포함하는 코어 몸체(2)를 갖지만, 이러한 대안적인 실시예는 또한 하나 이상의 이들 영역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이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치관 구획에서 나사산(12)은 나사산(12)의 외부 폭 또는 면에 형성된 추가적인 그루브(38)에 의해 중첩된다. 이 추가적인 그루브는 임플란트에 뼈가 부착되는 것을 촉진한다. 그루브 깊이에 따라 이 그루브(38)는 하부에서 하부 레벨을 한정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의 설계를 더 잘 설명하기 위해, 이하에서는 이것은 나사산(12)에서 그루브(38)의 하부 레벨에 의해 한정된 "하부 볼륨"이라고 언급된다. 다시 말해, (또한 "그루브 코어 볼륨"이라고 불리우는) 이 "하부" 볼륨은 그루브의 모든 가장 내부 점을 통과하거나 또는 임플란트(1'')의 길이 방향 축에 가장 가까운 그루브의 모든 점을 통과하는 볼륨이다. 도 11에 도시된 조합된 실시예에서, 임플란트(1)의 나사산(12)에서 그루브(38)는 나사산(12)의 하부 볼륨의 단면이 이 단면의 중심과 그 외부 윤곽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반경이 이웃한 배향에서보다 상대적인 최대 값 및 그리하여 더 높은 값을 갖는 다수의 주 방향을 갖는 제1 또는 형성 그루브 영역(40)을 더 포함한다.
도 10과 유사하게, 도 12는 임플란트(1'')의 각각의 형상을 CNC 가공하기 위한 가능한 입력 데이터를 도시한다. 특히, 도 12a는 외부 볼륨(28)의 우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12b는 외부 볼륨(28)의 프로파일을 도시하며, 도 12c는 외부 볼륨(28)의 좌측면도를 도시한다. 도 12d는 코어 몸체(2)의 우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12e는 코어 몸체(2)의 프로파일을 도시하며, 도 12f는 코어 몸체(2)의 좌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12g는 하부 볼륨의 우측면도를 도시하며, 도 12h는 하부 볼륨의 프로파일을 도시하고, 도 12i는 하부 볼륨의 좌측면도이며, 도 12j는 CNC 가공을 위한 원형 형태를 도시한다. 도 12j로부터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코어 몸체(2)/외부 볼륨(28)/하부 볼륨의 형상에 대한 대안적인 정의이고, 단면의 최대 반경 대 최소 반경 사이의 차이에 의해 정의되는 차동 난형도 파라미터(e)는 약 4,20㎜의 일반적인 최대 직경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0.10 내지 0.50으로 선택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0.23㎜일 수 있다.
도 12의 실시예에서, 임플란트의 길이방향 축(y)을 따른 코어 몸체(2)/외부 볼륨(28)/하부 볼륨에 대한 난형도 파라미터(e)의 변화 및 그리하여 편심률 파라미터의 변화는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된 것과 유사하여서 상기 설명이 참조된다. 도 10 및 도 12의 실시예 사이의 주된 차이는 도 12의 실시예에서 임플란트의 길이 및 그루브의 존재이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도 12의 임플란트는 총 길이가 9㎜이고 Y01로부터 다음 좌표를 갖는 점을 가질 수 있다:
- 외부 볼륨(28)(도 12b 참조)에 대해, 2.30㎜에 Y02, 4.5㎜에 Y03, 8.10㎜에 Y04, 및 9㎜에 Y05
- 코어 몸체에 대해, 2.30㎜에 Y07, 5㎜에 Y08, 7㎜에 Y09, 및 9㎜에 Y10
- "하부" 볼륨 또는 "그루브 코어 볼륨"에 대해, 0.75㎜에 Y11, 2.30㎜에 Y12, 4.50㎜에 Y13, 및 7.90㎜에 Y14.
비-제한적인 예로서, 점(Y01)과 점(Y02) 사이에서 임플란트는 4.20㎜의 최대 외부 직경(ØD)을 가질 수 있다. 점(Y02)과 점(Y03) 사이에서 임플란트는 4.20㎜ 내지 3.80㎜에서 변하는 최대 외부 직경(ØD)을 가질 수 있다. 점(Y03)과 점(Y04) 사이에서 임플란트는 3.80㎜ 내지 3.57㎜에서 변하는 외부 직경을 갖는 원추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점(Y04)과 점(Y05) 사이에서 임플란트는 3.57㎜ 내지 1.90㎜에서 변하는 외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비-제한적인 예로서, 점(Y01)과 점(Y07) 사이에서 임플란트는 4.20㎜ 내지 3.78㎜ 사이에서 변하는 최대 코어 직경(ØD)을 가질 수 있다. 점(Y07)과 점(Y08) 사이에서 임플란트는 3.78㎜ 내지 2.84㎜에서 변하는 최대 코어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점(Y08)과 점(Y09) 사이에서 임플란트는 2.84㎜ 내지 2.31㎜에서 변하는 외부 직경을 가질 수 있고, 점(Y09)과 점(Y10) 사이에서 임플란트는 2.31㎜ 내지 1.68㎜에서 변하는 외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하부" 볼륨 또는 "그루브 코어 볼륨"은 y 축을 따라 변하는 차동 난형도 파라미터(e)를 가질 수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난형도 파라미터(e)는 0.10㎜ 내지 0.50㎜에 포함된/선택된 일정한 값 또는 변하는 값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하부" 볼륨 또는 "그루브 코어 볼륨"은 다음과 같이 변하는 파라미터를 가질 수 있다:
- Y1로부터 Y11(제1 하부 볼륨 영역)에서, 차동 난형도 파라미터(e)는 0.10㎜ 내지 0.50㎜에 포함된 값, 예를 들어, 상수 값을 가질 수 있고 편심률은 일정할 수 있으며,
- Y11로부터 Y12(제2 하부 볼륨 영역)에서, 난형도 파라미터(e)는 0.20㎜ 내지 0.30㎜에서 선택된 시작 값 및 0㎜의 최종 값으로 변할 수 있으며, 변화는 선형일 수 있고 편심률도 선형적으로 변화할 수 있으며,
- Y12로부터 Y13(제3 하부 볼륨 영역)에서, 난형도 파라미터(e)는 0㎜의 값을 가질 수 있고, "하부"볼륨" 또는 "그루브 코어 볼륨"은 축(y)을 향해 아래로 테이퍼지는 원추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 Y13으로부터 Y14(제4 하부 볼륨 영역)에서, 난형도 파라미터(e)는 0㎜의 값을 가질 수 있고, "하부" 볼륨 또는 "그루브 코어 볼륨"은 원추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코어 몸체(2), 외부 볼륨(28) 및/또는 하부 볼륨의 각각에 대해, 주어진 단면에서, 차동 난형도 파라미터(e)(및 그리하여 편심률 값)가 상이할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이 난형도 파라미터(e)는 0.10㎜ 내지 0.50㎜에 포함된/선택된 값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난형도 파라미터(e)는 0.15㎜, 0.20㎜, 0.23㎜ 또는 0.30㎜의 값을 가질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는 포락선 볼륨(21) 및/또는 코어 몸체(2) 및/또는 그루브 코어 볼륨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그루브 코어 볼륨은,
- 최대 편심률, 예를 들어, 상수 편심률을 갖는,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 축(y)을 따라 최대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치관 영역(이는 제1 형성 영역이라고도 함) 또는 부분으로서, 상기 최대 편심률은 1.05 내지 1.2에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임플란트의 총 길이의 0% 내지 80%에서 연장될 수 있고, 일부 실시예에서, 치관 영역은 임플란트의 전체 길이의 약 30%, 45%, 60% 또는 70%에서 연장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관 영역 또는 부분;
- 상기 최대 편심률과 최소 편심률 사이에서 변하는 편심률을 갖는,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 축(y)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이 영역 또는 부분으로서, 상기 변화는 선형일 수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이 영역 또는 부분; 및
- 상기 최소 상수 편심률을 갖는,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 축(y)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치근 영역(이는 원형 영역이라고도 함) 또는 부분을 갖는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는 포락선 볼륨(21) 및/또는 코어 몸체(2) 및/또는 그루브 코어 볼륨을 포함할 수 있고, 이 그루브 코어 볼륨은,
- 최대 편심률, 예를 들어, 상수 편심률을 갖는,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 축(y)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치관 영역(이는 제1 형성 영역이라고도 함) 또는 부분으로서, 상기 최대 편심률은 1.05 내지 1.2에 포함될 수 있고, 상기 치관 영역은 임플란트의 전체 길이의 적어도 10%, 적어도 15%, 적어도 20%, 또는 적어도 25%에서 연장될 수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관 영역 또는 부분;
- 상기 최대 편심률과 최소 편심률 사이에서 변하는 편심률을 갖는,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 축(y)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전이 영역 또는 부분으로서, 상기 변화는 선형일 수 있고, 상기 전이 영역은 임플란트의 총 길이의 적어도 10%, 적어도 15%, 적어도 20%, 또는 적어도 25%에서 연장될 수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이 영역 또는 부분; 및
- 상기 최소 상수 편심률을 갖는,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 축(y)을 따라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치근 영역(이는 원형 영역이라고도 함) 또는 부분으로서, 상기 치근 영역은 임플란트의 전체 길이의 적어도 30%, 적어도 35%, 적어도 40%, 적어도 45% 또는 적어도 50%에서 연장될 수 있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근 영역 또는 부분을 갖는다.
아래 표는 임플란트의 총 길이에 따라 임플란트의 각각의 영역의 길이에 가능한 상이한 비-제한적인 값을 제공한다.
Figure pct00001
도 35는 특정 실시예에서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 축을 따른 위치에 따라 코어 몸체(2)의 편심률 및/또는 나사산 포락선 볼륨(28) 및/또는 그루브 형성 영역(40)의 상이한 값(변화 또는 진화)을 제공하는 그래프이다. 도 3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코어 몸체(2) 및/또는 나사산 포락선 볼륨(28) 및/또는 그루브 형성 영역(40)의 치근 영역은 점(A)과 점(B) 사이에서 1과 같은 일정한 최소 편심률을 가질 수 있다. 코어 몸체(2) 및/또는 나사산 포락선 볼륨(28) 및/또는 그루브 형성 영역(40)은 점(B)에서 시작하는 전이 영역을 더 가질 수 있으며, 이 편심률은 상기 일정한 최소 편심률로부터 점(C)에서의 최대 편심률 값까지 변한다. 점(C) 이후에, 코어 몸체(2) 및/또는 나사산 포락선 볼륨(28) 및/또는 그루브 형성 영역(40)은 편심률이 일정한 최대 값을 갖는 치관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일정한 최대 편심률 값은 1.05 내지 1.2에 포함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특히 코어 몸체(2) 및/또는 나사산 포락선 볼륨(28)에 대해, 점(A)는 임플란트의 치근 단부를 나타내고 점(D)는 임플란트의 치관 단부를 나타낼 수 있다. 점(A, B, C 및 D)은 코어 몸체(2), 나사산 포락선 볼륨(28) 또는 그루브 형성 영역(40)에 대해 항상 동일한 좌표를 갖는 것은 아니다. 점(A)는 코어 몸체(2), 나사산 포락선 볼륨(28) 또는 그루브 형성 영역(40)의 최치근 점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3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편심률 곡선의 형상은 날카로운 코너를 갖지 않아서 이것은 모든 점에서 단 하나의 접선만을 갖는 연속선이다.
전술한 바와 같은 코어 몸체(2) 및/또는 나사산(12)의 기하학적 설계에 더하여, 또한 그 상세 사항들이 독립적인 발명으로 고려되는 바람직한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높은 1차 안정성으로 뼈 조직과 신뢰성 있는 맞물림을 지원하기 위해 추가적인 수단이 제공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도 13 내지 도 1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절삭 홈(46)은 임플란트(1, 1', 1'')의 나사산 부분에 제공된다. 도 13 내지 도 18은 다양한 코어/나사산 영역(20, 22, 26, 30, 32, 34)이 해칭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표시된 각각의 임플란트의 사시도를 각각 도시한다. 이들 실시예에서, 선택된 단편 또는 전체 코어 몸체(2) 및 나사산(12)에서, 바람직하게는 코어 몸체(2) 및/또는 나사산(12)의 주 방향의 수와 같은 수의 절삭 홈(46)이 임플란트(1)의 전이 영역(26) 및/또는 다른 영역(20, 22)에 제공될 수 있다. 이들 절삭 홈(46)은 절삭 에지(48)(도 19 참조)를 각각 특징으로 하며, 이는 임플란트(1)의 나사 결합시 뼈 물질을 제거함으로써, 나사 결합 동안 임플란트(1)의 절삭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명백히, 비록 그루브(38)는 도 13 내지 도 18의 실시예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도시된 것들 중 임의의 것이 또한 그루브(38)를 구비할 수 있다. 배열 및/또는 설계와 관련하여, 절삭 홈(46)은 독립적인 발명으로 고려되는 특정 특징을 갖고,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설명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1) 및/또는 임플란트(1') 및/또는 임플란트(1'')의 특징들과 함께 또는 다른 종래의 임플란트 또는 나사 시스템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는 절삭 홈의 위치 및/또는 길이가 바람직하게는 개별 임플란트 설계의 특정 요구에 따라 변하는 도 1의 임플란트(1)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들 실시예는 전이 영역(28, 34)의 부분 및 형성 영역(22, 30)의 부분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절삭 홈(46)을 갖는 변형을 형성한다.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코어 몸체(2) 및 외부 나사산은 코어 원형 영역(20)과 나사산 원형 영역(32)이 위치된 치근 단부(4)에 인접하여 일치하는 외부 윤곽을 갖도록 구성된다. 이들에 인접하여, 코어 전이 영역(26) 및 나사산 전이 영역(34)은 서로 중첩되는 방식으로 위치된다. 치관 단부(6)에 인접하여, 코어 형성 영역(22)은 트라이오벌형 단면을 갖는 이 실시예에서 나사산 형성 영역(30)과 함께 위치된다.
이와 달리 도 14는 다른 유형 및 단면의 영역들이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특히, 치근 단부(4)에 인접하여, 코어 원형 영역(20) 및 나사산 원형 영역(32)이 위치되고 각각은 치근 단부(4)에서 시작된다. 해칭을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코어(2)에 대해 - 길이 방향으로 보았을 때 - 코어 원형 영역(20)으로부터 코어 전이 영역(26)으로 전이하는 부분은 교차 위치(43)에 위치되는 반면, 나사산(12)은 여전히 원형 영역(32)에 있다. 교차 위치(43a)에서, 코어 전이 영역(26)은 종료되고 코어 형성 영역(22)이 시작되고, 코어 형성 영역(22) 내의 위치에서 나사산 원형 영역(32)은 나사산 전이 영역(34)으로 교차한다. 교차 위치(43b)에서 치관 단부(10) 쪽 더 먼 위치에서, 코어 형성 영역(22)은 다시 종료되고 다른 전이 영역(26)으로 전이한다. 동일한 교차 위치(43b)에서, 나사산 전이 영역(34)은 나사산 형성 영역(30)으로 전이한다. 따라서, 이 실시예에서, 코어 및 나사산에 대한 다양한 영역은 다양한 조합으로 부분적으로 서로 중첩된다.
도 15는, 코어 원형 영역(20) 및 나사산 원형 영역(32)이 위치된 치근 단부(4)에 인접한 곳에서 코어 몸체(2)와 외부 나사산(12)이 일치하는 외부 윤곽을 갖도록 구성된 일 실시예를 다시 도시한다. 이들에 인접하여, 코어 전이 영역(26) 및 나사산 전이 영역(34)은 서로 중첩되는 방식으로 위치된다. 치관 단부(10)에 인접하여, 코어 형성 영역(22)은 나사산 형성 영역(30)과 함께 위치되고, 이들은 이 실시예에서 모두 트라이오벌형 단면을 갖는다.
도 16 내지 도 18에 따른 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삭 홈(46)은 임플란트(1)의 길이 방향 축에 기본적으로 평행한 배향(도 16의 예), 임플란트(1)의 길이 방향 축에 대해 경사진 배향(도 17에 도시된 것), 또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몸체(2)의 외부 표면(8) 둘레로 만곡되어 감기는 배향과 같은 다양한 배향을 가질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임플란트(1'')의 기본 임플란트 설계에 기초하여, 도 19에 도시된다. 도 19는 임플란트(1'')의 상부 또는 치관 구획의 측면도를 도시한다. 분명히, 절삭 홈(46)의 수 및 위치에 관하여, 도시된 개념은 또한 바람직한 임플란트 개념의 임의의 다른 것에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심지어 종래의 임플란트/나사 설계에도 사용될 수 있다. 그 자체로 또한 독립적인 발명인 것으로 고려되는 도 1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절삭 홈(46)은 임플란트(1'')의 나사산 구역에 위치된다. "z-방향", 즉 임플란트(1'')의 길이 방향으로 이들의 위치와 관련하여, 이들은 그 위치에서 절삭 홈(46)이 나사산(12)의 피치를 따르도록 이웃한 절삭 홈(46)에 대해 변위되어 위치된다. 이러한 설계에 의해, 임플란트(1'')를 뼈 조직 내로 나사 결합할 때, 개별 나사산(12)이 뼈 물질과 맞물려 연속적인 절삭 에지(46)에 의해 동일한 뼈 영역에 절삭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도 20은 전이 영역(28, 34)의 부분 및 형성 영역(22, 30)의 부분을 따라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다수의 절삭 홈(46)을 갖는 변형예의 도 1의 임플란트(1)를 도시한다. 도 21은 도 20에 표시된 위치에서 도 20의 임플란트(1)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21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코어 몸체(2) 및 그 외부 표면(8)의 단면은 트라이오벌형 형상을 갖는다. 다시 말해, 코어 형성 영역(22)에서 코어 몸체(2)의 단면(및 나사산(12)의 포락선 볼륨(28)의 단면)은 단면의 중심(50)과 그 외부 윤곽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반경이 이웃한 방향에서보다 상대적인 최대 값("최대 반경") 및 그리하여 더 높은 값을 갖는 다수(즉, 3개)의 주 방향을 갖는다. 도 21의 도면에서, 이 주 방향들 중 하나의 주 방향은 라인(52)으로 나타낸 바와 같은 수직 상향 방향과 평행하게 배향된다. 이 주 방향에서의 코어 몸체(2)의 외부 윤곽의 국부적인 최대 반경은 점(54)에 있다. 중심(50)에 대해 주 방향이 대칭적으로 위치된 것으로 인해 다른 2개의 주 방향은 라인(52)에 대해 120°의 각도에 있다.
이 예에서 절삭 홈(46)들은 또한 중심(50) 둘레에 대칭으로 위치되는데, 즉, 2개의 이웃하는 절삭 홈 사이의 각도는 또한 120°이다. 회전 배향으로 절삭 홈(46)은 나사 공정 동안 국부적인 최대 반경을 통과한 후 뼈 조직에서 이완 효과를 고려하여 뼈 물질을 절삭하는 효율을 최대화하기 위해 적절히 위치된다. 이를 위해, 각각의 절삭 홈(46)은, 코어 몸체(2)의 중심 길이방향 축 또는 중심(50) 주위의 배향 방향으로 보았을 때, 이웃한 주 방향에 대해 주어진 회전 오프셋으로 위치된다. 도 21에서, 코어 몸체(2)는 상면도로 도시되고(그래서 삽입 시에 코어 몸체는 우측 방향(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회전 오프셋은 라인(52)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선두 최대점과, 절삭 홈(46)의 각각의 절삭 에지(48)를 가리키는 점선(56)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그 다음 후미 절삭 홈(46) 사이의 각도(α)로 표시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 각도(α)는 그 자체로 독립적인 발명인 것으로 고려되는 선택 기준에 따라 선택된다. 이 선택 기준에 따라, 절삭 에지(48)는, 점선(56)과 외부 표면(8)의 교차점, 즉 중심(50)으로부터 절삭 에지(48)의 반경 방향 연장의 외부 한계에 의해 한정된 절삭 에지 반경이, 최대 반경보다 20㎛ 내지 75㎛ 더 작도록 위치되어야 한다. 이 기준은, 밀도에 따라 압축 후 약 이 정도만큼 반동하거나 이완하는 뼈의 특정 탄성 특성을 고려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절삭 에지 반경은 최대 반경보다 약 35㎛ 더 적도록 선택되고, 이는 코어 몸체(2)의 나머지 기하학적 파라미터에 따라 약 106°의 바람직한 각도(α)로 변환된다.
이 바람직한 오프셋 각도는 또한 뼈 물질의 탄성 특성을 신뢰성 있게 고려하기 위해 최대 반경의 값에 따라 변할 수 있다. 코어 몸체(2) 및/또는 외부 볼륨(28)이 바람직하게는 테이퍼진 향태로 설계되는 것으로 인해, 이 최대 반경은 임플란트(1)의 길이 방향의 좌표의 함수로서 변할 수 있고, 이에 의해 바람직한 오프셋 각도가 길이 방향의 좌표에 의존하도록 한다. 그 결과, 생성되는 절삭 홈(46)은 임플란트(1)의 코어 몸체(2) 둘레에 감길 수 있다.
일반적으로, 나사산(12)은 임의의 편리한 나사산 프로파일, 특히 편평한 나사산일 수 있다. 임플란트(1)의 길이 방향에서의 각각의 위치에 따라 나사산(12)의 자유 폭(58)은 치근 단부(4)로부터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연속적으로 증가한다. 이 설계에서, 치근 단부(4)에 가까운 구역에서 나사산(12)은 비교적 날카로운 작은 외부 폭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해 나사산(12)이 뼈 조직에 진입할 때 높은 절삭 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 임플란트(1)의 나사 결합이 진행될 때(즉, 임플란트가 뼈 조직으로 더 진입할 때) 뼈 조직 내 주어진 위치에서, 나사산(12)의 폭(58)은 연속적으로 증가하여, 이에 의해 뼈 조직 내의 각각의 국부적인 갭을 연속적으로 확장시키고, 뼈 조직과 임플란트 사이의 접촉 영역을 끊임 없이 향상시킨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나사산(12)은 코어 몸체(2) 및/또는 나사산(12)의 비-둥근 단면과 유리하게 상호 작용하기 위해 특정 프로파일을 갖도록 설계된다. 또한 그 자체로 본 발명인 것으로 고려되는, 특히 독립적인 발명인 것으로 고려되는 이 변형예에서, 도 2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및 도 23의 확대도에서, 나사산(12)은 치근 면(60) 및 치관 면(62)을 갖는 프로파일을 갖고, 여기서 치근 면(60)은 임플란트(1)의 길이방향 축(64)과 기본적으로 직교하도록 배향되고, 즉 치근 면(60)의 평면 법선은 임플란트(1)의 길이방향 축(64)에 기본적으로 평행하게 배향된다. 또한, 치관 면(62)은 길이방향 축(64)에 대해 약 60°의 각도로 배향되고, 즉 치관 표면(62)의 평면 법선은 임플란트(1)의 길이 방향 축(64)에 대해 약 30°의 각도로 배향된다. 이 각도는 라인(66)으로 표시된다. 다시 말해, 전체적으로 나사산(12)은 소위 톱니 나사산을 형성한다.
그 자체가 독립적인 발명으로 고려되는 치근 면(60)의 배향을 특정 배향으로 선택하는 것으로 인해, 예를 들어 트라이오벌형 형상과 같은 비-둥근 형상의 잠재적 효과가 보상될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나사산(12)이 삽입될 때 나사산(12)이 접촉하는 뼈가 진동한다는 것이다. 이것은 임플란트(1)가 삽입될 때 나사산(12)이 단지 간격을 두고 뼈와 접촉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나사산(12)의 치근 측을 길이 방향 축에 대해 90°로 만듦으로써, 삽입된 후 전체 나사산 길이에 걸쳐 치근 면이 개선된 접촉을 할 것이다. 이것은 도 24에 따른 확대된 단편에 도시되어 있다. 도 24는 뼈 물질(70) 내로 삽입된 후에 임플란트(1)의 단편의 길이방향 단면도를 도시한다.
또한 그 자체가 독립적인 발명으로 고려되는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치근 면(60)에서 나사산(12)의 깊이는 삽입 후 개선된 1차 안정성을 위해 선택된다. 이를 위해, 이 바람직한 실시예는, 코어 및/또는 나사산 형성 영역(22, 30) 및/또는 코어 및/또는 나사산 전이 영역(26, 34)에서, 삽입 후, 저작력을 흡수하기 위해, 이상적으로 나사산의 치근 면(60)이 가능한 한 최대 크기로 뼈 물질(70)과 물리적으로 접촉해야 할 것을 고려한다. 이와 관련하여, 형성 영역/전이 영역에서 최소 반경 영역은 삽입 후 선행하는 최대점이 통과하여 뼈 조직이 밀려 공극(72)을 생성하는 최종 위치를 갖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나사산의 치근 면(60)이 뼈 물질(70)의 일부 상에 놓일 수 있는 뼈 물질에서 신뢰성 있는 플랫폼(74)을 제공하기 위해, 치근 면(60)에서 나사산(12)의 깊이는 바람직하게는 포락선 볼륨(28)의 외부 윤곽의 최대 반경과 최소 반경의 차이보다 더 크도록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두 배 더 크도록 선택된다.
또한 그 자체로 독립적인 발명인 것으로 고려되는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임플란트(1)(및 임플란트(1', 1'')는 임플란트(1)와 관련 지대주를 서로 기계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진보된 연결 시스템(80)을 구비한다. 이하에서, 진보된 연결 시스템(80)에 대한 다양한 실시예가 임플란트(1)에 기초하여 설명된다. 명백히, 모든 실시예는 또한 위에 설명된, 예를 들어, 임플란트(1'', 1''')에 따라 임의의 다른 임플란트 유형에도 유리하게 사용될 수 있다.
연결 시스템(80)은 지대주의 대응하는 연결 핀이 삽입될 수 있는 수용 채널(10)을 포함한다. 도 25a 및 도 25b는 도 4에 화살표(82)로 표시된 방향으로부터 임플란트(1)를 본 것을 도시한다. 도 25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임플란트(1)의 비-둥근 영역(22, 30)에서의 단면 또는 외부 윤곽은 트라이오벌형이고, 이에 의해 전이 영역(26, 34) 및 형성 영역(22, 30)에 3개의 주 방향을 각각 제공한다. 단면의 각각의 반경이 국부적인 최대점을 갖는 이들 주 방향은 코어 몸체(2)의 중심 길이 방향 축에 대하여 대칭으로 위치된다. 또한 도 25의 도시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나사산(12)의 외부 윤곽에 의해 한정되는 임플란트(1)의 외부 프로파일은 코어 몸체(2)의 외부 윤곽과 일치하거나 "추종"된다. 따라서, 코어 몸체(2)의 반경이 국부적인 최대 값을 갖는 배향에서, 나사산(12)의 외부 윤곽은 또한 국부적인 최대 값을 채택한다. 또한, 전이 영역(26)에서 코어 몸체(2)는 원추형 또는 테이퍼진 형상인 것으로 인해, 형성 영역(22)에서 코어 몸체(2)의 최소 반경은 원형 영역(20)에서 나사산(12)의 외부 윤곽의 반경보다 더 크다.
또한, 수용 채널(10)은 나사산(12)의 외부 윤곽 및 임플란트(1)의 코어 몸체(2)의 외부 윤곽 모두와 일치하거나 이를 "추종"하는 외부 프로파일 또는 윤곽을 또한 갖는다. 따라서, 코어 몸체(2)의 반경 및 나사산(12)의 외부 윤곽이 국부적인 최대 값을 갖는 배향에서, 수용 채널(10)의 윤곽은 또한 국부적인 최대점을 채택하는데, 즉, 또한 트라이오벌형이다. 또한, 수용 채널(10)은 또한 테이퍼져서 그 단면이 그 하부 단부(84)에 접근하면서 아래로 좁아진다.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 지대주의 관련 커넥터 핀과 함께 수용 채널(10)은 삽입될 때 지대주의 정확한 회전 정렬을 보장하는 소위 인덱싱 구조를 제공한다. 도 25에서 및 또한 도 26 및 도 27에 따른 임플란트(1)의 길이방향 단면도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지대주를 적절히 조립하기 위해, 수용 채널(10)은 하측 또는 하부 단부(84)에 인덱싱 윤곽(86)이 제공된다. 도 26,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톡스형(Torx-like) 단면을 갖는 이 "제2 인덱싱"은 적절한 도구를 삽입함으로써 임플란트를 삽입하는데 필요한 토크를 전달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인덱싱 윤곽(86)으로 인해, 이러한 토크는 실제 수용 채널(10)의 인덱싱 윤곽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적용될 수 있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인덱싱을 갖는 임플란트(1''')의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제2 인덱싱 윤곽은 그 비-둥근 단면을 갖는 수용 채널(10)에 의해 제공되는 제1 인덱싱 윤곽과 통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이것은 수용 채널(10)의 테이퍼진 측벽에서 절삭된 다수의 슬롯(88)에 의해 달성된다. 임플란트(1''')를 뼈 물질 내로 삽입하는데 필요한 토크를 가하기 위해, 나사 구동기 방식으로 대응하는 도구가 슬롯(88)과 결합하도록 적용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수용 채널(10)의 내부 표면이 부하를 받지 않아서 삽입 동안 손상되지 않도록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수용 채널(10)의 트라이오벌형 단면과 관련하여, 슬롯(88)은 단면과 "일치"하게 위치되는데, 즉 슬롯은 국부적인 최대 반경을 특징으로 하는 주 방향으로 위치될 수 있고, 또는 슬롯은 주 방향에 대해 특정 오프셋으로 위치될 수 있다.
도 26 내지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임플란트(1, 1', 1'', 1''')는 또한 그 자체로 또는 위에 개시된 임의의 수의 특징들과 조합하여 독립적인 발명인 것으로 고려되는 추가적인 매우 유익한 특징을 갖는다. 이 특징에 따르면, 그 내부 연결 시스템(80)의 일부인 임플란트(1, 1', 1'', 1''')는 관련된 제2 임플란트 부품(예를 들어, 지대주)의 연결 핀 등이 임플란트(1, 1', 1'')의 수용 채널 내에 적절하고 완전히 삽입된 후에 사용자에게 피드백을 제공하는 피드백 구조물(90)을 포함한다. 이러한 피드백을 제공하기 위해, 피드백 시스템(90)은 수용 채널(10)을 원형으로 둘러싸는 그 하부 단부(8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수용 채널의 내부 표면 상에 위치된 슬롯 또는 그루브(92)를 포함한다. 이 원형 그루브(92)는 특허 출원 EP16151231.4에 기술된 치과용 고정구와 같은 치과용 고정구의 하나 이상의 대응하는 돌출부(들) 및/또는 동일한 출원인에 의한 특허 출원 EP15178180.4에 기술된 것과 같은 보유 요소의 돌출부와 상호 작용하거나 이 돌출부를 수용할 수 있으며, 이들 출원 문헌은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병합된다. 연결 핀이 수용 채널(10)에 완전히 그리고 정확히 삽입되는 즉시, 이러한 돌출부는 가청 "클릭" 소리와 함께 그루브(92) 내로 스냅 결합되어, 접촉 핀이 수용 채널(10)에 적절히 삽입 완료되었다는 것을 사용자에게 확인해 준다.
도 29, 도 30 및 도 31(측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임플란트(1'''')의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치관 단부(6)는 특정 형상의 디자인을 갖는다. 또한 그 자체로 또는 위에 기술된 임의의 수의 특징과 조합하여 독립적인 발명인 것으로 고려되는 이 특징은 개선된 전체 시스템 강도와 함께 삽입시 임플란트(1'''')의 향상된 위치 배향을 제공한다. 이것은 임플란트(1'''')의 상부/상측 또는 치관 표면(100)의 폭, 즉 임플란트(1'''')의 벽 폭이 역 테이퍼의 결과 및 산과 골로 변한다는 사실에 의해 실현되고, 여기서 도 29 및 도 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 큰 폭은 골에 있고 더 낮은 폭은 산에 있다.
구체적으로, 임플란트(1'''')의 치관 표면(100)은 파형 윤곽, 물결 윤곽 또는 사인파 윤곽을 갖고, 여기서 치관 표면(100)의 최대점 및 최소점, 즉 임플란트(1'''')의 길이 방향으로 최대 높이 및 최소 높이는 임플란트(1'''')의 치관 단부(6)의 원주를 따라 교대로 배열된다. 치관 표면(100)의 최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이들 최대점 부근에서, 임플란트(1'''')의 치관 단부(6)는 테이퍼진 형상 또는 형태, 즉, 역 테이퍼진 형상 또는 형태를 가져서, 임플란트(1'''')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치관 단부(6)의 단면의 측방향 치수 또는 연장은 임플란트(1'''')의 치근 단부(4)로부터 임플란트(1'''')의 치관 단부(6)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감소한다(도 29 및 도 30 참조).
임플란트(1'''')의 이 파형 윤곽, 물결 윤곽 또는 사인파 윤곽과 역 테이퍼진 형상 또는 형태로 인해 치관 단부(6)에서 임플란트(1'''')의 벽 폭, 즉 임플란트(1'''')의 벽의 폭이 또한 변한다. 구체적으로, 벽의 폭은 치관 표면(100)의 최소점에서 더 크고, 치관 표면(100)의 최대점에서 더 작다.
치관 표면(100)의 전술된 특징들은 그 자체로 또는 상기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 임의의 수의 특징과 조합하여 독립적인 발명으로 고려된다. 이러한 특징은 임플란트의 배향을 특히 신뢰성 있고 간단히 식별할 수 있게 한다.
도 2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코어 형성 영역(22)에서 및 - "윤곽과 일치하는" 바람직한 설계로 인해 - 또한 나사산 형성 영역(30)에서 임플란트(1'''')는 트라이오벌형 단면을 갖고, 즉 각각의 단면은 반경이 국부적인 최대 값을 갖는 3개의 주 방향을 특징으로 한다. 이 단면 형상과 동기화하여, 이러한 주 방향과 일치하는 위치에서 치관 단부(6)는, 임플란트(1'''')의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한 방향으로 보았을 때, 또한 국부적인 최대 값을 갖는다. 다시 말해, 임플란트(1'''')의 치관 표면(100)은 편평한 표면이 아니며, 오히려, 전술한 바와 같이, 물결 구조, 사인파 구조를 갖고, 여기서 그 최대 값은 형성 영역(22, 30)에 의해 한정된 주 방향에 위치된다.
임플란트(1'''')의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특히 이 구획에서 외부 나사산(12)에 대한 팁 또는 치근 단부(4)는 뼈 물질 내로 용이하게 삽입할 수 있도록 특별히 설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나사산(12)의 적어도 치근 부분은 도 32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톱니형이다. 이 실시예에서 적어도 절삭 에지를 갖는 복수의 그루브(102)가 나사산(12)의 치근 면 및/또는 치관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3은 나사산(12)의 적어도 치근 절반에 한정(또는 밀링 또는 절단)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불연속적인 치근 절삭 홈(104)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임플란트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3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절삭 홈은 임플란트의 코어 내로 연장되지 않는다. 이 실시예에 따른 임플란트는 또한 이 절삭 홈을 2개 이상 가질 수 있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나사산은 톱니형 나사산으로 고려될 수 있다.
상기 톱니형 나사산은 환자의 추출 소켓에 사용될 때 구멍 안으로 임플란트를 삽입하는 것을 도와준다. 소켓 벽의 각도가 임플란트 축에 수직이 아니므로 벽의 일측은 먼저 임플란트와 접촉하여 임플란트를 위치시키는데 영향을 줄 것이다. 이 영향을 줄이는 것을 돕기 위해 톱니형 나사산은 임플란트 측에 있는 뼈를 절삭한다.
이러한 특징은 또한 그 자체로 또는 위에 개시된 임의의 수의 특징과 조합하여 독립적인 발명으로 고려된다.
위에 설명된 실시예들 중 임의의 것에서 또는 총 전체 길이에서 임의의 조합에서 임의의 조합에서 임플란트(1, 1', 1'', 1''', 1'''', 1''''')는 바람직하게는 환자를 개별 치료하는 것에 의해 주어진 특정 요구 사항에 따라 설계된다. 위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임플란트의 전체 길이의 전형적인 "표준" 값은 약 13㎜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임플란트는 예를 들어 약 7㎜의 전체 길이를 가진 "짧은 형태"로 설계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일례가 도 34에 도시되어 있다.
도 3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삽입 도구(200)를 도시한다.
삽입 도구(200)는 환자의 뼈 조직 내로 치과용 임플란트를 삽입하기 위한 삽입 도구이다. 삽입 도구(200)는 도 3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근위 부분(202) 및 원위 부분(204)을 포함한다. 원위 부분(204)은 임플란트를 뼈 조직 내로 나사 결합하기 위해 임플란트와 협력하도록 구성된다.
원위 부분(204)은 보유 요소(206)를 갖는다. 보유 요소(206)는 삽입 도구(200)를 치과용 임플란트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부분(208)을 포함한다. 보유 요소(206)는 적어도 삽입 도구(200)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모든 방향, 즉 보유 요소(206)의 모든 횡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다. 부착 부분(208)은, 삽입 도구(200)의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복수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즉, 보유 요소(206)의 복수의 횡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하나의 돌출부(210)(도 36(b) 참조)를 포함한다.
보유 요소(206)는 삽입 도구(200)의 두 파트 중 하나의 파트, 즉 근위 파트와 일체로 형성된다(도 37(a) 및 (b) 참조). 구체적으로, 보유 요소(206)는 보유 요소(206)의 길이 방향으로 근위 파트와 보유 요소(206) 사이에 배열된 두 개의 링크 부분(212)을 통해 삽입 도구(200)의 근위 파트와 일체로 형성된다(도 36(c) 및 도 37(a) 참조). 링크 부분(212)들은 예를 들어 도 37(a) 및 (b)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보유 요소(206)의 원주 방향으로 보유 요소(206)의 일부만을 따라 각각 연장된다. 링크 부분(212)들은 보유 요소(206)의 반경 방향으로 서로 실질적으로 대향하도록 배열된다.
보유 요소(206)는 보유 요소(206)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실질적으로 원형인 단면을 갖는 실질적으로 원통형 형상을 갖는다(도 37(a) 참조). 보유 요소(206)는 중공의 관형 몸체로 형성된다. 보유 요소(206)는 폐쇄된 링 형상 또는 폐쇄된 환형 형상, 즉 원주에 개구가 없는 링 형상을 갖는다. 모든 횡 방향으로 보유 요소(206)가 탄성 변형될 가능성은 보유 요소(206)의 재료 및 벽 두께를 적절하게 선택함으로써 제공된다.
보유 요소(206)는 예를 들어, 티타늄, 티타늄 합금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은 금속, 중합체 또는 복합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보유 요소(206)는 삽입 도구(200)를 치과용 임플란트에 부착할 때, 횡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압축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37(d) 및 도 39).
부착 부분(208)의 돌출부(210)는 도 37(d) 및 도 39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삽입 도구(200)가 스냅 끼워 맞춤에 의해 치과용 임플란트에 부착될 수 있게 한다.
도 3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착 부분(208)의 돌출부(210)는 두 개의 링크 부분(212) 사이에 제공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부착 부분(208)과 치과용 임플란트가 특히 신뢰성 있고 효율적으로 보장될 수 있다.
삽입 도구(200)의 원위 부분(204)은 구동 구역(214)을 갖는다(예를 들어, 도 36 내지 도 38 참조). 구동 구역(214)에서, 삽입 기구(200)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원위 부분(204)의 단면은 단면의 중심과 그 외부 윤곽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반경이 이웃한 배향에서보다 상대적인 최대 값 및 그리하여 더 높은 값을 갖는 다수의 주 방향을 갖는다(도 38(d) 참조).
삽입 도구(200)의 원위 부분(204)의 구동 구역(214)은 임플란트와 협력한다. 구동 구역(214)은 회전 방지 구조물을 구성한다. 구동 구역(214)은, 예를 들어, 도구(200)의 원위 부분(204)을 임플란트 소켓 내로 부분적으로 도입함으로써, 삽입 도구(200)와 임플란트가 서로 맞물릴 때, 삽입 도구(200)의 길이 방향 축 주위로 삽입 도구(200)와 임플란트 사이에 상대적인 회전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구동 구역(214)은 임플란트의 대응하는 회전 방지 구조물, 즉 구동 부분과 협력하도록 구성되고(도 37(d) 및 도 39 참조), 이는 이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단면의 각각의 반경이 국부적인 최대 값을 갖는, 삽입 도구(200)의 구동 구역(214)의 주 방향은 삽입 도구(200)의 중심 길이방향 축에 대해 축 대칭으로 위치된다(도 38(d) 참조). 구동 구역(214)의 주 방향의 수는 3개이고, 즉 구동 구역(214)은 도 3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라이오벌형 단면을 갖는다. 삽입 도구(20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주 방향들이 대칭으로 위치됨과 함께, 이 트라이오벌형 형상은 120°의 두 개의 이웃한 주 방향 사이의 회전 오프셋 각도를 형성한다.
구동 구역(214)은, 구동 구역(214)에서, 삽입 도구(200)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원위 부분(204)의 단면의 측방향 치수 또는 연장이 삽입 도구(200)의 근위 단부로부터 삽입 도구(200)의 원위 단부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감소하도록 테이퍼진 형태를 갖는다(도 36, 도 37 및 도 38 참조).
구동 구역(214)은 보유 요소(206)의 근위쪽에 배열된다.
구동 구역(214)의 단면 형상은 삽입 도구(200)에 인가되는 회전력을 길이방향 축 주위로 임플란트에 효율적이고 신뢰성 있고 균일하게 전달할 수 있게 한다.
도 38(e)에 도시된 삽입 도구(200)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에서, 도구(200)는 구동 구역을 갖지 않는다. 오히려, 도 3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38(c)의 라인(A-A)을 따라 취해진 단면은 원형 형상을 갖는다.
삽입 도구(200)의 원위 부분(204)은 구동 구획(216)을 더 갖는다. 구동 구획(216)에서는, 삽입 도구(200)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원위 부분(204)의 단면은 단면의 원주를 따라 교대로 배열된 복수의 반경 방향 볼록 부분(218) 및 복수의 반경 방향 오목 부분(220)을 갖는다(도 38(f) 참조). 반경 방향 볼록 부분(218)의 반경 방향 최외측 지점(222, 224)들 각각은, 도 3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의 중심 주위의 각각의 원 상에 놓인다.
구동 구획(216)에서 삽입 도구(200)의 원위 부분(204)의 단면은 동일한 개수의 반경 방향 볼록 부분(218) 및 반경 방향 오목 부분(220)을 갖는데, 즉 각각 6개를 갖는다.
반경 방향 볼록 부분(218)은 제1 반경 방향 볼록 부분 및 제2 반경 방향 볼록 부분을 포함하고, 여기서 제1 반경 방향 볼록 부분들의 반경 방향 최외측 지점(222)들은 단면의 중심 주위의 단일 제1 원 상에 모두 놓이고, 제2 반경 방향 볼록 부분들의 반경 방향 최외측 지점(224)들은 단면의 중심 주위의 단일 제2 원 상에 모두 놓인다. 제2 원은 제1 원보다 더 작은 반경을 가진다(도 38(f) 참조). 제1 반경 방향 볼록 부분 및 제2 반경 방향 볼록 부분은 각각의 반경 방향 오목 부분(220)을 그 사이에 두고 단면의 원주를 따라 교대로 배열된다. 제1 반경 방향 볼록 부분의 개수는 제2 반경 방향 볼록 부분의 개수와 동일하다.
구동 구획(216)의 단면의 반경 방향 볼록 부분(218) 및 반경 방향 오목 부분(220)은 각각 만곡된 형상, 예를 들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형인 형상, 적어도 부분적으로 타원형인 형상, 적어도 부분적으로 달걀형인 형상 등을 갖는다. 반경 방향 볼록 부분(218) 및 반경 방향 오목 부분(220)은 서로 직접 인접하여 배열된다.
반경 방향 오목 부분(220)들의 반경 방향 최내측 지점(226)들은 단면의 중심 주위의 단일 원(228) 상에 놓인다. 따라서, 반경 방향 오목 부분(220)들의 모든 반경 방향 최내측 지점(226)들은 단면의 중심 주위의 동일한 원(228) 상에 놓인다.
구동 구획(216)은 0.5㎜ 내지 1.2㎜ 범위의 삽입 도구의 길이 방향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삽입 도구(200)의 원위 부분(204)의 구동 구획(216)은 임플란트와 협력한다. 구동 구획(216)은 회전 방지 구조물을 구성한다. 구동 구획(216)은, 예를 들어, 도구(200)의 원위 부분(204)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임플란트 소켓 내로 삽입함으로써, 삽입 도구(200)와 임플란트가 서로 결합될 때, 삽입 도구(200)의 길이 방향 축 주위로 삽입 도구(200)와 임플란트 사이에 상대적인 회전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구동 구획(216)은 임플란트의 대응하는 회전 방지 구조물, 즉 구동 영역과 협력하도록 구성되고(도 37(d) 및 도 39 참조), 이는 아래에서 더 상세히 설명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삽입 도구(200)의 원위 부분(204)은 구동 구역(214) 및 구동 구획(216)을 갖는다. 구동 구역(214)은 구동 구획(216)의 근위쪽에 배열된다(도 36 내지 도 38 참조).
임플란트 상의 2개의 대응하는 회전 방지 구조물, 즉, 구동 부분 및 구동 영역과 협력할 수 있는 삽입 도구(200)의 원위 부분(204) 상의 2개의 회전 방지 구조물, 즉 구동 구역(214) 및 구동 구획(216)이 존재하는 것으로 인해, 임플란트를 뼈 조직 내로 삽입될 때 임플란트에 가해지는 회전력 또는 부하는 두 구조물에 의해 공유될 수 있다. 따라서, 임플란트에서 이들 두 구조물 중 어느 하나에 손상이 일어나는 것이 최소화될 수 있다. 그리하여, 임플란트 내 이들 구조물 중 하나 또는 둘 모두는 임플란트를 뼈 조직 내로 삽입한 후에 지대주, 스캔 포스트, 압인 포스트 등의 인덱스로서 신뢰성 있고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구동 구역(214) 및 구동 구획(216)은 임플란트에 대해 삽입 도구(200)를 정확하게 위치시키는 것을 더 도와준다. 이들 요소의 단면 형상으로 인해, 도구(200)와 임플란트 사이에 단 3개의 상대적인 회전 위치만이 가능하다.
삽입 도구(200)의 원위 단부(204)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보유 요소(206)를 더 갖는다. 구동 구획(216), 보유 요소(206) 및 구동 구역(214)은 삽입 도구(200)의 원위 단부로부터 삽입 도구(200)의 근위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 순서로 배열된다.
삽입 도구(200)는 도 37(a) 내지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부착된 2개의 별개의 파트, 즉 원위 파트(230) 및 근위 파트(232)로 구성된다.
삽입 도구의 원위 파트(230)는 삽입 도구(200)의 근위 파트(232)의 대응하는 리세스에 끼워지는 돌출부를 갖는다(도 37(c) 및 (d) 참조). 원위 파트(230)와 근위 파트(232)는 돌기부를 리세스에 삽입함으로써 서로 부착된다. 돌기부는 돌기부의 원위쪽에 배열된 원위 파트(230)의 압입 숄더(234)에 의한 마찰 끼워 맞춤에 의해 리세스 내 제 위치에 유지된다(도 37(b) 참조). 압입 숄더(234)는 액체에 대해 밀봉 기능을 더 갖는다.
돌기부와 리세스는 삽입 도구(200)의 길이 방향 축 주위로 서로에 대해 원위 파트(230)와 근위 파트(232)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대응하는 회전 방지 구조물을 갖는다. 원위 파트(230)의 회전 방지 구조물은, 비-원형, 즉 실질적으로 정사각형인, 삽입 도구(200)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돌기부의 단면, 즉 외부 단면을 갖는다(도 37(a) 참조). 삽입 도구(200)의 원위 파트(230)의 회전 방지 구조물은 삽입 도구(200)의 근위 파트(232)의 대응하는 회전 방지 구조물과 협력할 수 있다. 삽입 도구(200)의 근위 파트(232)의 회전 방지 구조물은, 비 원형, 즉 실질적으로 정사각형인, 삽입 도구(200)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리세스의 단면, 즉 내부 단면을 갖는다. 원위 파트(230)와 근위 파트(232)의 회전 방지 구조물의 단면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원위 파트(230)는 구동 구획(216)을 포함하고 근위 파트(232)는 보유 요소(206)와 구동 구역(214)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삽입 도구(200)의 생산, 특히 보유 요소(206)의 생산이 상당히 단순화될 수 있다.
보유 요소(206)는 근위 파트(232)와 일체로 형성된다.
도 37(d) 및 도 39는 삽입 도구(200)의 원위 부분(204)의 일부가 임플란트(201) 내로 삽입되는 상태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삽입 도구(200)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201)의 조합체를 도시한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상태에서, 삽입 도구(200)는 임플란트(201)와 완전히 맞물려 있다.
치과용 임플란트(201)는 금속, 예를 들어, 티타늄, 티타늄 합금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조된다.
치과용 임플란트(201)는 환자의 뼈 조직 내로 삽입하기 위한 것이다. 치과용 임플란트(201)는 도 3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근 단부(207) 및 치관 단부(209)를 갖는 코어 몸체(205)를 포함한다.
치과용 임플란트(201)는 보유 요소(206)를 포함한 삽입 도구(200)의 원위 부분(204)의 일부를 수용하기 위해 임플란트(201)의 치관 부분에 형성된 소켓 또는 채널(236)(도 37(d) 및 도 39(b) 참조)을 가진다. 코어 몸체(205)는 채널(236)을 포함한다. 채널(236)은 치관 단부(209)로 개방되고, 치관 단부(209)로부터 치근 단부(207)를 향해 임플란트(2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도 39(a) 및 (b) 참조).
임플란트(201)의 치관 부분은 보유 요소(206)의 부착 부분(208)의 돌출부(210)를 수용하기 위한 환형 공동(238)(도 37(d) 및 도 39(b) 참조)을 갖게 형성된다. 그리하여, 보유 요소(206)의 부착 부분(208)은 스냅 결합에 의해 임플란트(201)의 치관 부분 내에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치과용 임플란트(201)는 임플란트(201)를 환자의 턱뼈 조직 내에 나사 결합하기 위한 외부 나사산 부분(203)을 갖는다(도 39(a) 및 (b) 참조).
삽입 도구(200)를 치과용 임플란트(201)에 부착할 때, 삽입 도구(200)의 원위 부분(204)의 일부는 임플란트(201)의 채널(236) 내로 삽입되어, 보유 요소(206)의 부착 부분(208)의 돌기부(210)가 임플란트(201)의 치관 부분에 형성된 환형 공동(238) 내에 수용된다. 그리하여, 보유 요소(206)는 스냅 결합으로 이 치관 부분 내에 견고하게 유지되어, 삽입 도구(200)를 임플란트(201)에 신뢰성 있게 부착한다.
삽입 도구(200)를 임플란트(201)에 부착하는 과정에서, 보유 요소(206)를 채널(236)에 삽입할 때 보유 요소(206)는 먼저 탄성 변형되는데, 즉 횡방향으로 탄성 압축되고 나서, 돌출부(210)가 환형 공동(238) 내에 수용되면 그 초기 형상으로 복원된다. 돌출부(210)의 이러한 "스냅 결합" 공정은 예를 들어 치과 기공소에서 임상의 또는 기술자와 같은 삽입 도구(200)의 사용자에게 가청 및 촉각 피드백을 제공하여, 삽입 도구가 임플란트(201)에 적절하게 안착된 것을 나타낸다(도 37(d) 및 도 39 참조).
삽입 도구(200)가 이렇게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 삽입 도구(200)는 임플란트(201)를 픽업하여 이를 뼈 조직 내로 삽입하기 위한 임플란트 부위로 운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도구(200)가 임플란트(201)와 신뢰성 있게 맞물리는 것으로 인해, 임플란트가 원하는 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임플란트(201)가 삽입 도구(200)로부터 떨어질 위험이 신뢰성 있게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삽입 도구(200)가 이렇게 완전히 결합된 상태에서, 삽입 도구(200)의 원위 부분(204)의 구동 구역(214) 및 구동 구획(216)은 도 39(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플란트(201)의 구동 부분(240) 및 구동 영역(242)과 각각 결합된다. 임플란트(201)의 코어 몸체(205)는 구동 부분(240) 및 구동 영역(242)을 갖는다. 구동 영역(242)은 도 3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부분(240)의 치근쪽에 배열된다.
임플란트(201)의 구동 부분(240)에서, 임플란트(201)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임플란트(201)의 채널(236)의 단면, 즉 내부 단면은, 이 단면의 중심과 그 외부 윤곽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반경이 이웃한 배향에서보다 상대적인 최대 값 및 그리하여 더 높은 값을 갖는 다수의 주 방향을 갖는다. 삽입 도구(200)의 구동 구역(214)과 임플란트(201)의 구동 부분(240)의 단면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구동 부분(240)은, 구동 부분(240)에서, 임플란트(201)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채널(236)의 단면의 측방향 치수가 도 3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관 단부(209)로부터 치근 단부(207)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감소하도록 테이퍼진 형태를 갖는다.
임플란트(201)의 구동 영역(242)에서, 임플란트(201)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임플란트(201)의 채널(236)의 단면, 즉 내부 단면은 단면의 원주를 따라 교대로 배열된 복수의 반경 방향 볼록 부분 및 복수의 반경 방향 오목 부분을 가질 수 있고, 반경 방향 볼록 부분들의 반경 방향 최외측 지점들 각각은 도 3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의 중심 주위의 각각의 원에 놓인다.
구동 영역(242)에서 임플란트(201)의 채널(236)의 단면은 동일한 수의 반경 방향 볼록 부분 및 반경 방향 오목 부분을 갖는데, 즉 각각 6개를 갖는다(도 39(c) 참조).
구동 영역(242)의 반경 방향 볼록 부분은 제1 반경 방향 볼록 부분 및 제2 반경 방향 볼록 부분을 포함하고, 제1 반경 방향 볼록 부분들의 반경 방향 최외측 지점들은 단면의 중심 주위의 단일 제1 원 상에 모두 놓이고, 제2 반경 방향 볼록 부분들의 반경 방향 최외측 지점들은 단면의 중심 주위의 단일 제2 원 상에 모두 놓인다. 제2 원의 반경은 제1 원의 반경보다 더 작다. 제1 반경 방향 볼록 부분 및 제2 반경 방향 볼록 부분은 각각 반경 방향 오목 부분들을 그 사이에 두고 구동 영역(242)의 단면의 원주를 따라 교대로 배열된다. 제1 반경 방향 볼록 부분의 개수는 제2 반경 방향 볼록 부분의 개수와 동일하다.
구동 영역(242)의 단면의 반경 방향 볼록 부분 및 반경 방향 오목 부분 각각은 만곡된 형상, 예를 들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원형인 형상, 적어도 부분적으로 타원인 형상, 적어도 부분적으로 달걀형인 형상 등을 갖는다. 반경 방향 볼록 부분 및 반경 방향 오목 부분은 서로 직접 인접하여 배열된다.
반경 방향 오목 부분들의 반경 방향 최내측 지점들은 단면의 중심 주위의 단일 원 상에 놓여 있다. 따라서, 반경 방향 오목 부분들의 모든 반경 방향 최내측 지점들은 단면의 중심 주위의 동일한 원 상에 놓인다.
구동 영역(242)은 0.5㎜ 내지 1.2㎜ 범위의 치과용 임플란트(201)의 길이 방향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삽입 도구(200)의 구동 구획(216)과 임플란트(201)의 구동 영역(242)의 단면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그리하여, 삽입 도구(200)의 원위 부분(204)의 구동 구역(214) 및 구동 구획(216)과, 임플란트(201)의 구동 부분(240) 및 구동 영역(242) 사이가 각각 협력하거나 또는 상호 작용하는 것에 의해 임플란트(201)는 뼈 조직 내로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동 부분(240) 및 구동 영역(242)과 협력할 수 있는 구동 구역(214) 및 구동 구획(216)이 존재하는 것으로 인해, 임플란트(201)가 뼈 조직 내로 삽입될 때 임플란트에 적용되는 회전력 또는 부하는 두 구조물에 의해 공유될 수 있으며, 따라서 임플란트(201)에 손상이 일어날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4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삽입 도구(300)를 도시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삽입 도구(300)는 특히 삽입 도구(300)가 단일 재료 부재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삽입 도구(200)와 다르다. 따라서, 삽입 도구(300)의 모든 구성 요소는 서로 일체형으로 형성된다.
삽입 도구(300)의 일반적인 구조 및 기능은 삽입 도구(200)의 것들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삽입 도구(300)는 근위 부분(도시되지 않음) 및 원위 부분(304)을 갖는다. 원위 부분(304)은, 도 40(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 도구(300)의 원위 단부로부터 삽입 도구(300)의 근위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 순서로 배열된, 구동 구획(316), 보유 요소(306) 및 구동 구역(314)을 갖는다. 또한, 삽입 도구(300)는 구동 구획(316)에 절결 부분(320)을 갖고, 이는 특히 보유 요소(306)의 제조와 관련하여 삽입 도구(300)를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게 한다.
도 41 및 도 4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401)를 도시한다.
치과용 임플란트(401)는 환자의 턱뼈 또는 뼈 조직에 삽입하기 위한 자가 절삭식 치과용 임플란트이다. 치과용 임플란트(401)는, 도 4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근 단부(404), 치관 단부(406), 및 이 치근 단부(404)와 치관 단부(406) 사이에서 임플란트(4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외부 표면(408)을 갖는 코어 몸체(402)를 포함한다.
치과용 임플란트(401)는 금속, 예를 들어, 티타늄, 티타늄 합금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조된다.
임플란트(401)는 코어 몸체(402)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나사산(412)을 더 포함한다(도 41(a) 및 (c) 및 도 42(a) 및 (b) 참조). 나사산(412)은 약 10°의 나사산 각도를 갖는다.
나사산(412)은 코어 몸체(402)의 치근 단부(404)를 향하는 치근 표면(414), 및 코어 몸체(402)의 치관 단부(406)를 향하는 치관 표면(416)을 갖는다. 나사산(412)은 내부에 형성된 제1 홈(418), 즉 제1 절삭 홈(418)을 갖는다(도 41(a) 및 (b) 및 도 42(b) 참조). 제1 홈(418)은 나사산(412)의 치근 단부로부터 나사산(412)의 치관 단부를 향하여 연장된다. 도 4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홈(418)은 나사산(412)이 처음 3회 선회하는 지점에 걸쳐 연장된다.
나사산(412)은 치관 표면(416)에 형성된 리세스(420)를 치근 부분에 갖고, 리세스(420)는 나사산(412)의 두께의 일부를 따라 치관 표면(416)으로부터 치근 표면(414)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리세스(420)는 도 41(a) 및 도 4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홈(418)으로 개방된다. 리세스(420)는 제1 홈(418)에 인접하게, 즉 바로 인접하게 제공된다. 리세스(420)는 절삭 기능, 즉 뼈 조직을 절삭하는 기능을 갖는다.
나사산(412)은 제2 홈(418') 및 제3 홈(418'')을 추가로 갖는다(도 41(a) 및 (b) 및 도 42(a) 및 (d) 참조). 제1 내지 제3 홈(418, 418', 418'')은 나사산(412)의 길이를 따라 그리고 나사산(412)의 원주를 따라 스태거된 또는 시프트된 배열로 배열된다. 구체적으로, 제2 홈(418')는, 도 4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산(412)의 길이 및 원주를 따라 제1 홈(418)에 대해 스태거되거나 또는 시프트된다. 제3 홈(418'')은 임플란트(401)의 반경 방향으로 제1 홈(418)과 반대쪽 배열되고, 나사산(412)의 실질적으로 동일한 높이 또는 길이 위치에 배치된다(도 41(b) 및 도 42(a) 및 (b) 참조). 제1 내지 제3 홈(418, 418', 418'') 및 리세스(420)는 임플란트(401)가 자가 절삭 기능을 갖게 한다.
제1 및 제3 홈(418, 418")은 임플란트(401)의 길이 방향에 대해 경사진 또는 기울어진 방향으로 연장된다(도 42(a) 및 (b) 참조). 제2 홈(418')은 임플란트(401)의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된다(도 41(a) 참조).
제1 내지 제3 홈(418, 418', 418")는 코어 몸체(402)의 원주의 일부를 따라 홈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다.
치관 표면(416)으로부터 치근 표면(414)을 향하는 방향으로 리세스(420)의 연장, 즉 리세스(420)의 깊이는 치관 표면(416)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변한다(도 41(c) 및 도 42(b) 및 (c) 참조). 특히, 리세스(420)의 깊이는, 도 4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홈(418)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감소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리세스(420)의 특히 효율적인 절삭 기능이 달성된다.
따라서, 리세스(420)의 최대 깊이는 제1 홈(418)에 바로 인접하게 배열된 리세스(420) 부분에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리세스(420)는 도 41(c) 및 도 42(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1/4의 구형 형상을 갖는다. 리세스(420)의 이러한 형상은 리세스(420) 및 그리하여 또한 임플란트(401)가 특히 간단하고 경제적인 방식으로 제조될 수 있게 한다.
리세스(420)는 임플란트(401)의 회전 방향으로 제1 홈(418)의 상류 측에 배열된다(도 42(b) 참조).
리세스(420)는, 도 41(a) 및 (c) 및 도 4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산(412)이 첫 1회 선회하는 지점, 즉, 나사산(412)이 최치근에서 1회 선회하는 지점에서 나사산(412)의 치관 표면(416)에 형성된다. 리세스(420)의 이러한 배열은 임플란트(401)를 턱뼈 또는 뼈 조직과 특히 안정적으로 견고하게 맞물리게 한다.
리세스(420)는 뼈 물질을 효율적으로 절삭 및 제거하고 또한 제거된 뼈 물질을 코어 몸체(402)의 치관 단부(406) 쪽으로 운반하는 것을 도와준다.
본 실시예의 임플란트(401)는 감소된 힘 및 고도의 정확도로 임플란트가 뼈 조직 내로 삽입될 수 있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임플란트(401)가 뼈 조직과 특히 안정하고 견고하게 연결되거나 또는 맞물리는 것, 즉 높은 임플란트 안정성이 달성될 수 있다.
나사산(412)의 치관 표면(416)에 리세스(420)가 배열되는 것으로 인해, 이러한 유리한 효과는 실질적으로 모든 임플란트 나사산 각도에 대해, 특히 나사산(412)의 대략 10°의 나사산 각도와 같은 작은 임플란트 나사산 각도에 대해 달성될 수 있다.
도 4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501)를 도시한다.
치과용 임플란트(501)는 환자의 턱뼈 또는 뼈 조직 내로 삽입하기 위한 자가 절삭식 치과용 임플란트이다. 치과용 임플란트(501)는, 도 4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치근 단부(504), 치관 단부(506), 및 이 치근 단부(504)와 치관 단부(506) 사이에서 임플란트(5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외부 표면(508)을 갖는 코어 몸체(502)를 포함한다. 임플란트(501)는 코어 몸체(502)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나사산(512)을 더 포함한다(도 43(a) 및 (b) 참조).
치과용 임플란트(501)는 금속, 예를 들어 티타늄, 티타늄 합금 또는 스테인레스 스틸로 제조된다.
치과용 임플란트(501)의 외부 형태는 전술한 치과용 임플란트들 중 임의의 하나의 것, 예를 들어, 도 1, 도 3,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치과용 임플란트(1)의 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치과용 임플란트(501)는 코어 몸체(502)의 단면이 이 단면의 중심과 그 외부 윤곽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반경이 이웃한 배향에서보다 상대적 최대 값 및 그리하여 더 높은 값을 갖는 다수의 주 방향을 갖는 제1 코어 형성 영역을 가질 수 있다. 특히, 제1 코어 형성 영역에서 코어 몸체(502)는 트라이오벌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도 43(c) 참조).
치과용 임플란트(501)는 코어 몸체(502)의 단면이 기본적으로 원형 형상인 코어 원형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치과용 임플란트(501)는 코어 형성 영역과 코어 원형 영역 사이에 위치된 코어 전이 영역을 가질 수 있으며, 상기 코어 전이 영역에서 코어 몸체(502)의 단면의 기하학적 형상은, 길이방향의 좌표에 대한 파라미터 특성의 함수로서, 코어 원형 영역에 인접한 기본적으로 원형인 형상으로부터, 코어 몸체(502)의 단면이 제1 코어 형성 영역의 단면 형상과 일치하는 형상으로 연속적으로 변한다. 특히, 코어 전이 영역에서 코어 몸체(502)는 트라이오벌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치과용 임플란트(501)는 임플란트(501)의 치관 부분에 형성된 소켓 또는 채널(510)을 갖는다(도 43(a) 내지 (c) 참조). 채널(510)은 임플란트(501)의 치관 단부(506)로 개방되고, 치관 단부(506)로부터 치근 단부(504)를 향해 임플란트(5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코어 몸체(502)는 임플란트(501)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채널(510)의 단면이 실질적으로 육각형 형상을 갖는 육각형 맞물림 리세스(515)를 갖는다.
채널(510)은 임플란트(501)의 치관 단부(506)로부터 임플란트(501)의 치근 단부(504)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 순서로 배열된, 원추형 부분(514), 육각형 맞물림 리세스(515) 및 내부 나사산 부분(516)을 포함한다(도 43(b) 및 (c) 참조). 원추형 부분(514) 및 육각형 맞물림 리세스(515)는 삽입 도구(200, 300)의 지대주 및 팁 부분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내부 나사산 부분(516)은 치과용 임플란트(501)에 지대주를 고정시키기 위한 결합 나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원추형 부분(514)은 임플란트(501)의 치관 단부(506)에서 채널(510)에 대해 더 넓은 초기 개구를 제공하는, 치과용 임플란트(501)의 길이 방향 축에 대해 내측으로 테이퍼진 측벽을 갖는다. 원추형 부분(514)의 특정 기하학적 형상은 치과용 임플란트(501)의 길이 방향 축에 대해 원추형 반각(half angle)을 한정한다. 이 원추형 반각은 약 10° 내지 약 20°일 수 있다. 즉, 원추형 부분(514)의 내부 벽과 치과용 임플란트(501)의 길이 방향 중심선 사이의 각도는 약 10° 내지 약 20°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원추형 반각은 약 12°이다.
임플란트(501)의 길이 방향으로 원추형 부분(514)의 길이와 임플란트(501)의 길이 방향으로 육각형 맞물림 리세스(515)의 길이 사이의 비는 약 1:1일 수 있다. 원추형 부분(514)의 길이는 적어도 약 1㎜일 수 있고, 육각형 맞물림 리세스(515)의 길이는 적어도 약 1㎜일 수 있다. 원추형 부분(514)의 길이는 임플란트(501)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원추형 부분(514)의 테이퍼진 표면이 종료하는 채널(510) 부분으로 수직 방향으로 측정된 거리이다. 육각형 맞물림 리세스(515)의 길이는 원추형 부분(514)의 단부로부터 육각형 맞물림 리세스(515)의 단부로 수직 방향으로 측정된다.
원추형 부분(514) 및 육각형 맞물림 리세스(515)의 비 및 길이는 충분한 밀봉을 제공할 만큼 충분히 긴 테이퍼진 연결의 장점과, 임플란트(501)가 환자의 턱뼈 내로 구동될 때 충분한 구동 토크가 임플란트(501)에 전달될 수 있게 할 만큼 충분히 긴 육각형 맞물림 리세스(515)의 장점을 유리하게 조합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치과용 임플란트의 모든 실시예의 특징들은 서로 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전술된 본 발명의 삽입 도구의 모든 실시예의 특징들은 서로 결합되거나 서로 분리될 수 있다.
1, 1', 1'',
1''', 1'''',
201, 401,
501: 치과용 임플란트
2, 205,
402, 502: 코어 몸체
4, 207,
404, 504: 치근 단부
6, 209,
406, 506: 치관 단부
8, 408,
508: 외부 표면
10, 236,
510: 수용 채널
12, 203,
412, 512: 나사산
20: 코어 원형 영역
22: 코어 형성 영역
24: 크레스탈 플랫폼 영역
26: 코어 전이 영역
26': 제2 코어 형성 영역
28: 포락선 볼륨
30: 나사산 형성 영역
32: 나사산 원형 영역
34: 나사산 전이 영역
34': 제2 나사산 형성 영역
38: 그루브
40: 그루브 형성 영역
42: 크레스탈 영역
43: 교차 위치
44: 전이 라인
46: 절삭 홈
48: 절삭 에지
50: 단면 중심
52: 라인
54: 점
56: 점선
58: 자유 폭
60: 치근 면
62: 치관 면
64: 길이방향 축
66: 라인
70: 뼈 조직
72: 공극
74: 플랫폼
80: 연결 시스템
82: 화살표
84: 하부 단부
86: 인덱싱 윤곽
88: 슬롯
90: 피드백 구조물
92: 그루브
100: 치관 표면
102: 그루브
104: 치근 절삭 홈
200, 300: 삽입 도구
202: 근위 부분
204, 304: 원위 부분
206, 306: 보유 요소
208: 부착 부분
210: 돌출부
212: 링크 부분
214, 314: 구동 구역
216, 316: 구동 구획
218: 반경 방향 볼록 부분
220: 반경 방향 오목 부분
222, 224: 반경 방향 볼록 부분의 반경 방향 최외측 지점
226: 반경 방향 오목 부분의 반경 방향의 최내측 지점
228: 단면의 중심 주위의 원
230: 원위 파트
232: 근위 파트
234: 압입 숄더
238: 환형 공동
240: 구동 부분
242: 구동 영역
320: 절결된 부분
414: 치근 나사산 표면
416: 치관 나사산 표면
418, 418'
418'': 홈
420: 리세스
514: 원추형 부분
515: 육각형 맞물림 리세스
516: 내부 나사산 형성된 부분

Claims (54)

  1. 특히 환자의 뼈 조직 내로 삽입하기 위한 치과용 임플란트(1)로서,
    - 치근 단부(4), 치관 단부(6), 및 상기 치근 단부(4)와 상기 치관 단부(6) 사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외부 표면(8)을 갖는 코어 몸체(2);
    - 상기 코어 몸체(2)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12); 및
    - 상기 코어 몸체(2)에 의해 형성되거나 또는 상기 나사산(12)에 의해 한정된 나사산 외부 볼륨(28)에 의해 형성된 특징적인 임플란트 볼륨(characteristic implant volume)으로서, 상기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의 좌표에 대한 파라미터 특성의 각각의 값에 대해 상기 특징적인 임플란트 볼륨의 단면은 그 중심으로부터 상기 단면의 윤곽의 최대 거리 대 상기 중심으로부터 상기 단면의 윤곽의 최소 거리의 비로 정의되는 편심률(eccentricity) 파라미터를 특징으로 하는, 상기 특징적인 임플란트 볼륨을 포함하되;
    상기 특징적인 볼륨은,
    - 상기 편심률 파라미터가 최대 값,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값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치관 영역으로서, 상기 치관 영역은 상기 임플란트의 전체 길이의 적어도 10%의 치관 영역 길이에 걸쳐 상기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관 영역;
    - 상기 편심률 파라미터가 최소 값, 바람직하게는 일정한 값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치근 영역으로서, 상기 치근 영역은 상기 임플란트의 전체 길이의 적어도 30%의 치근 영역 길이에 걸쳐 상기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치근 영역; 및
    - 상기 치관 영역과 상기 치근 영역 사이에 위치된 적어도 하나의 전이 영역으로서, 상기 편심률 파라미터는, 상기 길이 방향의 좌표에 대한 파라미터 특성의 함수로서, 상기 치근 영역에 인접한 최소 값으로부터, 상기 치관 영역에 인접한 최대 값으로 연속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선형 방식으로 변하고, 상기 전이 영역은 상기 임플란트의 전체 길이의 적어도 10%의 전이 영역 길이에 걸쳐 상기 임플란트의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전이 영역을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치근 영역에서 상기 특징적인 임플란트 볼륨의 단면은 기본적으로 원형 형상을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치관 영역 및/또는 상기 형성 영역에서, 상기 특징적인 임플란트 볼륨의 단면은 상기 단면의 중심과 그 외부 윤곽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반경이 이웃한 배향에서보다 상대적인 최대 값 및 그리하여 더 높은 값을 갖는 다수의 주 방향을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1).
  4. 특히 환자의 뼈 조직 내로 삽입하기 위한 치과용 임플란트(1)로서,
    - 치근 단부(4), 치관 단부(6), 및 상기 치근 단부(4)와 상기 치관 단부(6) 사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외부 표면(8)을 갖는 코어 몸체(2); 및
    - 상기 코어 몸체(2)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12)을 포함하되,
    상기 코어 몸체(2)는,
    - 제1 코어 형성 영역(22)으로서, 상기 제1 코어 형성 영역(22)에서 상기 코어 몸체(2)의 단면은 상기 단면의 중심(50)과 그 외부 윤곽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반경이 이웃한 배향에서보다 상대적인 최대 값 및 그리하여 더 높은 값을 갖는 다수의 주 방향을 갖는, 상기 제1 코어 형성 영역;
    - 코어 원형 영역(20)으로서, 상기 코어 원형 영역(20)에서, 상기 코어 몸체(2)의 단면은 기본적으로 원형 형상인, 상기 코어 원형 영역; 및
    - 상기 코어 형성 영역(22)과 상기 코어 원형 영역(20) 사이에 위치된 코어 전이 영역(26)으로서, 상기 코어 전이 영역(26)에서 상기 코어 몸체(2)의 단면의 기하학적 형상은, 상기 길이 방향의 좌표에 대한 파라미터 특성의 함수로서, 상기 코어 원형 영역(20)에 인접한 기본적으로 원형인 형상으로부터, 상기 코어 몸체(2)의 단면이 상기 코어 형성 영역(22)의 단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연속적으로 변하는, 상기 코어 전이 영역을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1).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의 좌표에 대한 파라미터 특성의 각각의 값에 대해 상기 코어 몸체(2)의 단면은 상기 단면의 최대 반경 대 최소 반경의 비로 정의된 코어 편심률 파라미터를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1).
  6. 특히 제3항에 따른, 특히 환자의 뼈 조직 내로 삽입하기 위한, 치과용 임플란트(1)로서,
    - 치근 단부(4), 치관 단부(6), 및 상기 치근 단부(4)와 상기 치관 단부(6) 사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외부 표면(8)을 갖는 코어 몸체(2); 및
    - 상기 코어 몸체(2)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12)을 포함하되,
    상기 코어 몸체(2)는,
    - 제1 코어 형성 영역(22)으로서, 상기 제1 코어 형성 영역(22)에서 상기 코어 몸체(2)의 단면은, 상기 단면의 중심(50)과 그 외부 윤곽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반경이 이웃한 배향에서보다 상대적인 최대 값 및 그리하여 더 높은 값을 갖는 다수의 주 방향을 갖는, 상기 제1 코어 형성 영역;
    - 코어 원형 영역(20)으로서, 상기 코어 원형 영역(20)에서, 상기 코어 몸체(2)의 단면은 기본적으로 원형 형상인, 상기 코어 원형 영역; 및
    - 제2 코어 형성 영역(26')으로서, 상기 제2 코어 형성 영역(26')에서, 상기 코어 몸체(2)의 단면은, 상기 단면의 중심(50)과 그 외부 윤곽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반경이 이웃한 배향에서보다 상대적인 최대 값 및 그리하여 더 높은 값을 갖는 다수의 주 방향을 갖는, 상기 제2 코어 형성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코어 형성 영역(22)에서 상기 코어 몸체(2)의 단면의 최대 반경 대 최소 반경의 비로 정의되는 코어 편심률 파라미터는 상기 제2 코어 형성 영역(26')에서보다 더 큰, 치과용 임플란트(1).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코어 원형 영역(20)은 상기 치근 단부(4)에 인접하여 위치된, 치과용 임플란트(1).
  8. 특히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환자의 뼈 조직 내로 삽입하기 위한 치과용 임플란트(1)로서,
    - 치근 단부(4), 치관 단부(6), 및 상기 치근 단부(4)와 상기 치관 단부(6) 사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외부 표면(8)을 갖는 코어 몸체(2); 및
    - 상기 코어 몸체(2)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12)으로서, 상기 나사산(12)은 나사산 외부 볼륨(28)을 한정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12)을 포함하되;
    상기 나사산(12)은,
    - 제1 나사산 형성 영역(30)으로서, 상기 제1 나사산 형성 영역(30)에서 상기 나사산 외부 볼륨(28)의 외부 단면은 상기 단면의 중심과 그 외부 윤곽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반경이 이웃한 방향에서보다 상대적인 최대 값 및 그리하여 더 높은 값을 갖는 다수의 주 방향을 갖는, 상기 제1 나사산 형성 영역;
    - 바람직하게는 상기 치근 단부(4)에 인접한 나사산 원형 영역(32)으로서, 상기 나사산 원형 영역(32)에서 상기 나사산 외부 볼륨(28)의 외부 단면은 기본적으로 원형 형상인, 상기 나사산 원형 영역; 및
    - 상기 나사산 형성 영역(30)과 상기 나사산 원형 영역(32) 사이에 위치된 나사산 전이 영역(34)으로서, 상기 나사산 전이 영역(34)에서 상기 나사산 외부 볼륨(28)의 외부 단면의 기하학적인 형상은, 상기 길이 방향의 좌표에 대한 파라미터 특성의 함수로서, 상기 나사산 원형 영역(32)에 인접한 기본적으로 원형인 형상으로부터, 상기 나사산 외부 볼륨(28)의 외부 단면이 상기 나사산 형성 영역(30)의 외부 단면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연속적으로 변하는, 상기 나사산 전이 영역을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1).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의 좌표에 대한 파라미터 특성의 각각의 값에 대해 상기 나사산 외부 볼륨(28)의 외부 단면은 상기 외부 단면의 최대 반경 대 최소 반경의 비로 정의된 나사산 편심률 파라미터를 특징으로 하는, 치과용 임플란트(1).
  10. 특히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특히 환자의 뼈 조직 내로 삽입하기 위한, 치과용 임플란트(1)로서,
    - 치근 단부(4), 치관 단부(6), 및 상기 치근 단부(4)와 상기 치관 단부(6) 사이에서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외부 표면(8)을 갖는 코어 몸체(2); 및
    - 상기 코어 몸체(2)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고 나사산 외부 볼륨(28)을 한정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12)을 포함하되;
    상기 나사산(12)은,
    - 제1 나사산 형성 영역(30)으로서, 상기 제1 나사산 형성 영역(30)에서 상기 나사산 외부 볼륨(28)의 외부 단면은 상기 단면의 중심과 그 외부 윤곽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반경이 이웃하는 배향에서보다 상대적인 최대 값 및 그리하여 더 높은 값을 갖는 다수의 주 방향을 갖는, 상기 제1 나사산 형성 영역;
    - 바람직하게는 상기 치근 단부(4)에 인접한 나사산 원형 영역(32)으로서, 상기 나사산 원형 영역(32)에서 상기 나사산 외부 볼륨(28)의 외부 단면은 기본적으로 원형 형상인, 상기 나사산 원형 영역; 및
    - 제2 나사산 형성 영역(34')으로서, 상기 제2 나사산 형성 영역(34')에서 상기 나사산 외부 볼륨(28)의 외부 단면은 상기 단면의 중심과 그 외부 윤곽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반경이 이웃하는 배향에서보다 상대적인 최대 값 및 그리하여 더 높은 값을 갖는 다수의 주 방향을 갖는, 상기 제2 나사산 형성 영역을 포함하고,
    - 상기 제1 나사산 형성 영역(30)에서 상기 나사산 외부 볼륨(28)의 외부 단면의 최대 반경 대 최소 반경의 비로 정의되는 코어 편심률 파라미터는 상기 제2 코어 형성 영역(34')에서보다 더 큰, 치과용 임플란트(1).
  11. 제4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형성 영역(22) 및/또는 상기 나사산 형성 영역(30)은 상기 치관 단부(6)에 인접한 크레스탈 플랫폼 영역(24)인, 치과용 임플란트(1).
  12. 제3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 방향들은 상기 코어 몸체(2)의 중심 길이방향 축(64)에 대해 대칭으로 위치된, 치과용 임플란트(1).
  13. 제3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몸체(2)의 길이 방향의 중심 축에 대해 및 국부적인 최대점 또는 최소점에 대해 상기 나사산 외부 볼륨(28)의 외부 윤곽은 상기 코어 몸체(2)의 외부 윤곽과 일치하는, 치과용 임플란트(1).
  14. 제3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형성 영역(22)에서 및/또는 상기 전이 영역(26)의 적어도 일부에서 상기 코어 몸체(2)는 트라이오벌형(trioval) 단면을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1).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영역(26)에서 상기 코어 몸체(2)는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2°의 간격의 원추형 각도로 테이퍼진, 치과용 임플란트(1).
  16. 제1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이 영역(26)은 상기 길이 방향으로 보았을 때 상기 치근 단부(4)로부터 약 2㎜ 내지 4㎜의 거리에서 시작하는, 치과용 임플란트(1).
  17.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12)은 편평한 나사산인, 치과용 임플란트(1).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길이 방향의 좌표 파라미터에 따라 상기 코어 몸체(2)의 상기 치근 단부(4)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편평한 나사산의 자유 폭(58)은 상기 치근 단부(4)로부터의 거리가 증가함에 따라 연속적으로 증가하는, 치과용 임플란트(1).
  19. 제1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수의 절삭 홈(46)이 적어도 상기 전이 영역(26)에 제공되는, 치과용 임플란트(1).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 홈(46)의 수는 상기 주 방향의 수와 동일한, 치과용 임플란트(1).
  21. 제1항 내지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삭 홈(46)은 상기 코어 몸체(2)의 중심 길이방향 축에 대해 대칭으로 위치된, 치과용 임플란트(1).
  22. 제19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몸체(2)의 중심 길이방향 축 주위 배향 방향으로 보았을 때, 각각의 절삭 홈(46)은 이웃한 주 방향에 대해 주어진 회전 오프셋에 위치된, 치과용 임플란트(1).
  23. 제1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몸체(2)는, 상기 치관 단부(6)로 개방되고 상기 치관 단부(6)로부터 상기 치근 단부(4)를 향하여 상기 임플란트(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채널(10)을 포함하고,
    상기 코어 몸체(2)는 구동 영역을 갖고, 상기 구동 영역에서, 상기 임플란트(1)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상기 채널(10)의 단면은 상기 단면의 원주를 따라 배열된 복수의 반경 방향 볼록 부분을 갖고, 상기 반경 방향 볼록 부분들의 반경 방향 최외측 지점들 각각은 상기 단면의 중심(50) 둘레로 각각의 원 상에 놓이고, 상기 원들 중 적어도 2개의 원은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1).
  24. 특히 환자의 뼈 조직 내로 삽입하기 위한 치과용 임플란트(201)로서,
    - 치근 단부(207) 및 치관 단부(209)를 갖는 코어 몸체(205)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 몸체(205)는, 상기 치관 단부(209)로 개방되고 상기 치관 단부(209)로부터 상기 치근 단부(207)를 향하여 상기 임플란트(2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채널(236)을 포함하되,
    상기 코어 몸체(205)는 구동 영역(242)을 갖고, 상기 구동 영역(242)에서 상기 임플란트(201)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상기 채널(236)의 단면은 상기 단면의 원주를 따라 배열된 복수의 반경 방향 볼록 부분을 갖고, 상기 반경 방향 볼록 부분들의 반경방향 최외측 지점들 각각은 상기 단면의 중심 주위의 각각의 원 상에 놓이고, 상기 원들 중 적어도 2개는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201).
  25. 제23항 또는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몸체(205)는 구동 부분(240)을 더 갖고, 상기 구동 부분(240)에서 상기 임플란트(201)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상기 채널(236)의 단면은 상기 단면의 중심과 그 외부 윤곽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반경이 이웃한 배향에서보다 상대적인 최대 값 및 그리하여 더 높은 값을 갖는 다수의 주 방향을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201).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영역(242)은 상기 구동 부분(240)의 치근쪽에 배열된, 치과용 임플란트(201).
  27.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부분(240)은, 상기 구동 부분(240)에서 상기 임플란트(201)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상기 채널(236)의 단면의 측방향 치수가 상기 치관 단부(209)로부터 상기 치근 단부(207)를 향한 방향을 따라 감소하도록 테이퍼진 형태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201).
  28. 제25항 또는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주 방향의 수는 3 이상인, 치과용 임플란트(201).
  29. 제23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경 방향 오목 부분들의 반경방향 최내측 지점들은 상기 단면의 중심 주위의 단일 원 상에 놓이는, 치과용 임플란트(201).
  30. 제23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 방향 볼록 부분들은 제1 반경 방향 볼록 부분들 및 제2 반경 방향 볼록 부분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반경 방향 볼록 부분들의 반경 방향 최외측 지점들은 모두 상기 단면의 중심 주위의 단일 제1 원 상에 놓이고,
    상기 제2 반경 방향 볼록 부분들의 반경 방향 최외측 지점들은 모두 상기 단면의 중심 주위의 단일 제2 원 상에 놓이고,
    상기 제2 원은 상기 제1 원보다 더 작은 반경을 갖고,
    상기 제1 반경 방향 볼록 부분들 및 상기 제2 반경 방향 볼록 부분들은 각각의 반경 방향 오목 부분들을 그 사이에 두고 상기 단면의 원주를 따라 교대로 배열된, 치과용 임플란트(201).
  31. 제23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몸체(205)는 상기 치근 단부(207)와 상기 치관 단부(209) 사이에서 상기 임플란트(2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외부 표면을 갖고,
    상기 임플란트(201)는 상기 코어 몸체(205)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203)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나사산(203)은 상기 코어 몸체(205)의 상기 치근 단부(207)를 향하는 치근 표면, 및 상기 코어 몸체(205)의 상기 치관 단부(209)를 향하는 치관 표면을 갖고,
    상기 나사산(203)은 내부에 형성된 홈(flute)을 갖고, 상기 홈은 상기 나사산(203)의 치근 단부로부터 상기 나사산(203)의 치관 단부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나사산(203)은 상기 치관 표면에 형성된 리세스를 치근 부분에 갖고, 상기 리세스는 상기 나사산(203)의 두께의 일부를 따라 상기 치관 표면으로부터 상기 치근 표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리세스는 상기 홈으로 개방된, 치과용 임플란트(201).
  32. 특히 환자의 뼈 조직 내로 삽입하기 위한 치과용 임플란트(401)로서,
    - 치근 단부(404), 치관 단부(406), 및 상기 치근 단부(404)와 상기 치관 단부(406) 사이에서 상기 임플란트(4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외부 표면(408)을 갖는 코어 몸체(402); 및
    - 상기 코어 몸체(402)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나사산(412)을 포함하되,
    상기 나사산(412)은 상기 코어 몸체(402)의 상기 치근 단부(404)를 향하는 치근 표면(414), 및 상기 코어 몸체(402)의 상기 치관 단부(406)를 향하는 치관 표면(416)을 갖고,
    상기 나사산(412)은 내부에 형성된 홈(418)을 갖고, 상기 홈(418)은 상기 나사산(412)의 치근 단부로부터 상기 나사산(412)의 관부 단부를 향해 연장되고,
    상기 나사산(412)은 상기 치관 표면(416)에 형성된 리세스(420)를 치근 부분에 갖고, 상기 리세스(420)는 상기 나사산(412)의 두께의 일부를 따라 상기 치관 표면(416)으로부터 상기 치근 표면(414)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리세스(420)는 상기 홈(418)으로 개방된, 치과용 임플란트(401).
  33. 제31항 또는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420)는 상기 나사산(412)의 두께의 20% 내지 90%를 따라 상기 치관 표면(416)으로부터 상기 치근 표면(414)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치과용 임플란트(401).
  34. 제3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관 표면(416)으로부터 상기 치근 표면(414)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리세스(420)의 연장은 상기 리세스(420)가 개방된 상기 홈(418)으로부터 원주 방향으로 멀어지는 방향을 따라 감소하는, 치과용 임플란트(401).
  35. 제3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는, 상기 리세스(420)의 폭 방향으로, 상기 나사산(412)의 폭의 50% 내지 90%에 걸쳐 연장되는, 치과용 임플란트(401).
  36. 제28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420)는 상기 나사산(412)이 최치근에서 1회 선회하는 지점에서 상기 나사산(412)의 치관 표면(416)에 형성되는, 치과용 임플란트(401).
  37. 제3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산의 각도는 15° 이하인, 치과용 임플란트(401).
  38. 제1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임플란트(1'''')의 치관 표면(100)은 파형 윤곽을 갖고, 상기 치관 표면(100)의 최대점 및 최소점은 상기 임플란트(1'''')의 치관 단부(6)의 원주를 따라 교대로 배열되고,
    상기 치관 표면(100)의 최대점에서, 상기 임플란트(1'''')의 상기 치관 단부(6)는, 상기 임플란트(1'''')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상기 치관 단부(6)의 단면의 측방향 치수가 상기 임플란트(1'''')의 치근 단부(4)로부터 상기 임플란트(1'''')의 치관 단부(6)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감소하도록 테이퍼진 형태를 갖는, 치과용 임플란트(1'''').
  39. 제1항 내지 제3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몸체(502)는, 상기 치관 단부(506)로 개방되고 상기 치관 단부(506)로부터 상기 치근 단부(504)를 향해 상기 임플란트(5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채널(510)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510)은 원추형 부분(514)을 포함하는, 치과용 임플란트(501).
  40.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원추형 부분(514)은 상기 임플란트(501)의 상기 치관 단부(506)로부터 상기 임플란트(50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열된, 치과용 임플란트(501).
  41. 치과용 임플란트, 특히 제1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1, 201, 401)를 환자의 뼈 조직 내로 삽입하기 위한 삽입 도구(200)로서,
    상기 삽입 도구(200)는 근위 부분(202) 및 원위 부분(204)을 포함하고, 상기 원위 부분(204)은 상기 임플란트(1, 201, 401)와 협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원위 부분(204)은 보유 요소(206)를 갖고,
    상기 보유 요소(206)는 상기 삽입 도구(200)를 상기 치과용 임플란트(1, 201, 401)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부분(208)을 포함하고,
    상기 보유 요소(206)는 상기 삽입 도구(200)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적어도 모든 방향으로 탄성 변형 가능하고,
    상기 부착 부분(208)은 상기 삽입 도구(200)의 길이 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210)를 포함하는, 삽입 도구(200).
  42. 치과용 임플란트, 특히 제1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1, 201, 401)를 환자의 뼈 조직 내로 삽입하기 위한 삽입 도구(200)로서,
    상기 삽입 도구(200)는 근위 부분(202) 및 원위 부분(204)을 포함하고, 상기 원위 부분(204)은 상기 임플란트(1, 201, 401)와 협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원위 부분(204)은 구동 구역(214)을 갖고, 상기 구동 구역(214)에서 상기 삽입 도구(200)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상기 원위 부분(204)의 단면은 상기 단면의 중심과 그 외부 윤곽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반경이 이웃한 배향에서보다 상대적인 최대 값 및 그리하여 더 높은 값을 갖는 다수의 주 방향을 갖는, 삽입 도구(200).
  43. 치과용 임플란트, 특히 제1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1, 201, 401)를 환자의 뼈 조직 내로 삽입하기 위한 삽입 도구(200)로서,
    상기 삽입 도구(200)는 근위 부분(202) 및 원위 부분(204)을 포함하고, 상기 원위 부분(204)은 상기 임플란트(1, 201, 401)와 협력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원위 부분(204)은 구동 구획(216)을 갖고, 상기 구동 구획(216)에서 삽입 도구(200)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상기 원위 부분(204)의 단면은 상기 단면의 원주를 따라 교대로 배열된 복수의 반경 방향 볼록 부분(218) 및 복수의 반경 방향 오목 부분(220)을 포함하고, 상기 반경 방향 볼록 부분(218)들의 반경 방향 최외측 지점(222, 224) 각각은 상기 단면의 중심 주위의 각각의 원 상에 놓이고, 상기 원들 중 적어도 2개의 원은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삽입 도구(200).
  44.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부분(204)은 구동 구역(214)을 더 갖고, 상기 구동 구역(214)에서 상기 삽입 도구(200)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상기 원위 부분(204)의 단면은 상기 단면의 중심과 그 외부 윤곽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반경이 이웃한 배향에서보다 상대적인 최대 값 및 그리하여 더 높은 값을 갖는 다수의 주 방향을 갖는, 삽입 도구(200).
  45. 제42항 또는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구역(214)은, 상기 구동 구역(214)에서 상기 삽입 도구(200)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상기 원위 부분(204)의 단면의 측방향 치수가 상기 삽입 도구(200)의 근위 단부로부터 상기 삽입 도구(200)의 원위 단부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감소하도록 테이퍼진 형태를 갖는, 삽입 도구(200).
  46. 제42항, 제44항 및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 방향의 수는 3 이상인, 삽입 도구(200).
  47. 제41항 및 제44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부분(204)은 구동 구획(216)을 더 갖고, 상기 구동 구획(216)에서 상기 삽입 도구(200)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상기 원위 부분(204)의 단면은 상기 단면의 원주를 따라 교대로 배열된 복수의 반경 방향 볼록 부분(218) 및 복수의 반경 방향 오목 부분(220)을 갖고, 상기 반경 방향 볼록 부분(218)들의 반경 방향 최외측 지점(222, 224) 각각은 상기 단면의 중심 주위의 각각의 원 상에 놓이고, 상기 원들 중 적어도 2개의 원은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삽입 도구(200).
  48. 제41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을 인용하는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구획(216), 상기 보유 요소(206), 및 상기 구동 구역(214)은 상기 삽입 도구(200)의 원위 단부로부터 상기 삽입 도구(200)의 근위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이 순서로 배열되는, 삽입 도구(200).
  49. 제42항, 제45항 및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위 부분(204)은 구동 구획(216)을 더 갖고, 상기 구동 구획(216)에서 상기 삽입 도구(200)의 길이 방향에 수직인 상기 원위 부분(204)의 단면은 상기 단면의 원주를 따라 교대로 배열된 복수의 반경 방향 볼록 부분(218) 및 복수의 반경 방향 오목 부분(220)을 갖고, 상기 반경 방향 볼록 부분(218)들의 반경 방향 최외측 지점(222, 224) 각각은 상기 단면의 중심 주위의 각각의 원 상에 놓이고, 상기 원들 중 적어도 2개의 원은 서로 다른 반경을 갖는, 삽입 도구(200).
  50. 제41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 도구(200)는, 서로 부착되고, 특히 서로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 2개의 별개의 파트(230, 232)로 구성된, 삽입 도구(200).
  51. 제47항 또는 제45항을 인용하는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2개의 별개의 파트 중 하나(230)는 상기 구동 구획(216)을 포함하고, 상기 2개의 별개의 파트 중 다른 하나(232)는 상기 보유 요소(206) 및 상기 구동 구역(214)을 포함하는, 삽입 도구(200).
  52. 제41항 및 제44항 내지 제5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요소(206)는 상기 보유 요소(206)의 원위 단부로부터 상기 보유 요소(206)의 근위 단부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절결 부분(cut-out portion)(206)을 갖는, 삽입 도구(200).
  53.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보유 요소(206)는 중공 몸체이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절결 부분은 상기 보유 요소(206)의 외부 벽을 관통하는, 삽입 도구(200).
  54. 제1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치과용 임플란트(1, 201, 401)와, 제41항 내지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삽입 도구(200)의 조합체.
KR1020187024307A 2016-01-29 2017-01-30 치과용 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를 위한 삽입 도구, 및 치과용 임플란트와 삽입 도구의 조합체 KR201801071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53466 2016-01-29
EP16153466.4 2016-01-29
EP16190958.5 2016-09-27
EP16190958 2016-09-27
EP16206385 2016-12-22
EP16206385.3 2016-12-22
PCT/EP2017/051953 WO2017129826A2 (en) 2016-01-29 2017-01-30 Dental implant, insertion tool for dental implant and combination of dental implant and insertion too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7170A true KR20180107170A (ko) 2018-10-01

Family

ID=57956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4307A KR20180107170A (ko) 2016-01-29 2017-01-30 치과용 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를 위한 삽입 도구, 및 치과용 임플란트와 삽입 도구의 조합체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2) US11602417B2 (ko)
EP (2) EP3563795B1 (ko)
JP (3) JP6921089B2 (ko)
KR (1) KR20180107170A (ko)
CN (3) CN113952053B (ko)
AU (2) AU2017213174B2 (ko)
BR (1) BR112018015411B1 (ko)
CA (2) CA3077471C (ko)
IL (1) IL260810B (ko)
RU (1) RU2687575C1 (ko)
WO (1) WO2017129826A2 (ko)
ZA (1) ZA20180478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398553A1 (en) * 2017-05-02 2018-11-07 Ophir Fromovich Improved dental implant system
IT201700068034A1 (it) * 2017-06-19 2018-12-19 Plan 1 Health Srl Impianto dentale endosseo
CN111601569B (zh) * 2017-12-22 2021-12-17 医乐世医疗技术皮诺公司 牙科植入模拟物
US10772709B2 (en) * 2018-04-19 2020-09-15 Charles Buist, DMD, PA Dental implant having split fins
BR202019001133U2 (pt) * 2019-01-21 2020-08-04 Jjgc Indústria E Comércio De Materiais Dentários S.A. Implante zigomático com porção rosqueada parcialmente interrompida
LU101149B1 (en) * 2019-03-11 2020-09-18 Jade Finance S A R L Tool assembly for mounting of a dental prosthesis an method of mounting
ES2899424T3 (es) 2019-07-08 2022-03-11 Anthogyr Sa Implante dental con roscado mejorado
JP7305283B2 (ja) * 2019-11-28 2023-07-10 株式会社松風 スレッド溝深さが漸減するインプラントフィクスチャ
KR20220081547A (ko) * 2020-12-09 2022-06-16 주식회사 메가젠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츄어
CN113367819A (zh) * 2021-06-04 2021-09-10 青岛卓美康医疗科技有限公司 人工牙种植体
RU207415U1 (ru) * 2021-08-12 2021-10-27 Олег Юрьевич Трусков Дентальный имплантат
CN114893434A (zh) * 2022-05-12 2022-08-12 鞍钢集团北京研究院有限公司 一种低压旋转流体泵用非接触式密封方法
CN116158875A (zh) * 2022-12-28 2023-05-26 山东大学 一种新型牙科种植体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1531697A (en) 1996-01-18 1997-08-11 Implant Innovations, Inc. Reduced friction screw-type dental implant
US5785525A (en) 1996-05-17 1998-07-28 Weissman; Bernard Dental implant system
SE516917C2 (sv) * 1997-11-11 2002-03-19 Nobel Biocare Ab Anordning för att åstadkomma tillförlitlig förankring av gängförsett implantat i ben
DE19753577A1 (de) * 1997-12-03 1999-06-17 Ralf Dr Schroeder Atraumatisches, geschlossenes Kieferschraubenimplantat
SE514142C2 (sv) * 1999-03-09 2001-01-08 Nobel Biocare Ab Självgängande implantat
ATE424781T1 (de) 2000-01-04 2009-03-15 Straumann Holding Ag Enossales dentalimplantat
TWI258135B (en) * 2002-01-25 2006-07-11 Sony Corp Information recording device and method, information reproducing device and method, recording medium, and disc recording medium
US7131840B2 (en) 2002-06-03 2006-11-07 Aziz Constantino Dental implant installation method and device
US7179088B2 (en) 2003-03-18 2007-02-20 Cagenix, Inc. Lobed dental implant
IL156033A0 (en) * 2003-05-21 2004-03-28 Ophir Fromovich Ophir Fromovic Dental implant
US20050136380A1 (en) * 2003-12-19 2005-06-23 Niznick Gerald A. Endosseous dental implant
RU2384307C2 (ru) 2004-06-04 2010-03-20 Штефан НОЙМЕЙЕР Зубной имплантат
US20070190491A1 (en) 2006-02-01 2007-08-16 Southern Implants (Pty) Ltd. Out-of-round implant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US7806693B2 (en) 2007-04-23 2010-10-05 Nobel Biocare Services Ag Dental implant
DE102008063397B4 (de) 2008-12-30 2019-02-21 Holger Zipprich Dentalimplantatsschraube
EP2279708B1 (de) 2009-07-27 2013-05-15 Straumann Holding AG Behälter für ein medizinisches Instrument oder Implantat, insbesondere ein dentalmedizinisches Instrument oder ein Dentalimplantat
AU2010288519A1 (en) * 2009-08-26 2012-03-15 Straumann Holding Ag Dental implant and kit including said dental implant
EP2407120A1 (en) * 2010-07-14 2012-01-18 Nobel Biocare Services AG Implant system
EP2444023A1 (en) 2010-10-20 2012-04-25 Astra Tech AB A dental component, a dental fixture, a dental implant assembly and a dental implant system
DE202010013168U1 (de) * 2010-12-20 2011-02-17 Spahn, Frank-Peter, Dr. Crestales Implantat
RU2612487C2 (ru) 2011-06-02 2017-03-09 Мис Имплантс Текнолоджис Лтд. Зубной имплантат
US10064707B2 (en) 2011-07-20 2018-09-04 Parsa T. Zadeh Self-osteotomizing bone implant and related method
US20130022942A1 (en) 2011-07-20 2013-01-24 Zadeh Parsa T Self-osteotomizing and grafting bone implant
WO2014083614A1 (ja) * 2012-11-27 2014-06-05 日東精工株式会社 インプラントねじ
WO2015010067A1 (en) 2013-07-19 2015-01-22 Zadeh Parsa T Self-osteotomizing bone implant and related method
CN103550003B (zh) * 2013-11-18 2015-12-23 大连三生科技发展有限公司 易取出的种植体装置及其旋出工具
IL230833A0 (en) * 2014-02-05 2014-09-30 Ophir Fromovich bone graft
AU2015220389B2 (en) * 2014-02-20 2019-09-26 MIS Implants Technologies Ltd. Dental implant
IL237117A (en) 2015-02-05 2017-07-31 Alpha Bio Tec Ltd Dental implant to stabilize and facilitate insertion into the implant site
EP3407827B1 (en) 2016-01-29 2019-12-18 Nobel Biocare Services AG Dental impl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63795C0 (en) 2024-03-27
ZA201804781B (en) 2019-09-25
BR112018015411A2 (pt) 2018-12-18
WO2017129826A2 (en) 2017-08-03
AU2017213174B2 (en) 2022-03-03
CN113952053A (zh) 2022-01-21
CA3077471C (en) 2024-01-02
AU2022203681A1 (en) 2022-06-16
JP2023075291A (ja) 2023-05-30
WO2017129826A9 (en) 2017-10-26
CN118000937A (zh) 2024-05-10
JP6921089B2 (ja) 2021-08-18
CA3012891A1 (en) 2017-08-03
RU2019112429A (ru) 2019-05-17
CN108601635A (zh) 2018-09-28
CN108601635B (zh) 2021-10-08
US20230157794A1 (en) 2023-05-25
JP7289877B2 (ja) 2023-06-12
JP2021176564A (ja) 2021-11-11
BR112018015411B1 (pt) 2022-09-20
US20190008614A1 (en) 2019-01-10
CA3077471A1 (en) 2017-08-03
AU2017213174A1 (en) 2018-08-16
JP2019503236A (ja) 2019-02-07
WO2017129826A3 (en) 2017-09-08
US11602417B2 (en) 2023-03-14
CA3012891C (en) 2020-05-12
RU2687575C1 (ru) 2019-05-15
EP3563795B1 (en) 2024-03-27
IL260810B (en) 2020-11-30
AU2022203681B2 (en) 2024-05-30
CN113952053B (zh) 2024-03-05
EP3563795A1 (en) 2019-11-06
EP3847997A1 (en) 2021-07-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07170A (ko) 치과용 임플란트, 치과용 임플란트를 위한 삽입 도구, 및 치과용 임플란트와 삽입 도구의 조합체
KR100931996B1 (ko) 치과용 임플란트 픽스쳐
KR101646603B1 (ko) 소형 치과 임플란트
EP2853228B1 (en) Connection of a prosthesis structure with an implant structure
US11083549B2 (en) Dental implant
CN110944598B (zh) 牙科连接系统
JP3185186U (ja) インプラントシステム
JP4276538B2 (ja) インプラント
JP2019510577A (ja) 骨組織に非円形空洞を形成する工具及び方法、ならびに前記工具を含むキット
EP3407827B1 (en) Dental implant
RU2791007C2 (ru) Зубной имплантат, инструмент для вставки зубного имплантата и комбинация зубного имплантата и инструмента для вставки
JP7465620B2 (ja) セルフタッピング式インプラントフィクスチャ
KR20180127858A (ko) 임플란트용 인공 치근
WO2020242979A1 (en) Dental implant system
KR200346034Y1 (ko) 로킹테이퍼형 임플란트의 픽스쳐 고정용 임시 어버트먼트
BR112021006915A2 (pt) rosca de implante dentário
WO2004080326A1 (en) Dental implant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