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6828A - 쿨링 팬 및 이를 구비한 시트 쿨링장치 - Google Patents

쿨링 팬 및 이를 구비한 시트 쿨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6828A
KR20180106828A KR1020170144650A KR20170144650A KR20180106828A KR 20180106828 A KR20180106828 A KR 20180106828A KR 1020170144650 A KR1020170144650 A KR 1020170144650A KR 20170144650 A KR20170144650 A KR 20170144650A KR 20180106828 A KR20180106828 A KR 20180106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ypass passage
bypass
edg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4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90108B1 (ko
Inventor
김병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텍
Priority to CN201880009018.4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0291296B/zh
Priority to US16/480,763 priority patent/US11420544B2/en
Priority to PCT/KR2018/003022 priority patent/WO2018169316A1/ko
Priority to EP18768303.2A priority patent/EP3597929B1/en
Publication of KR20180106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901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901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8Sealings
    • F04D29/16Sealings between pressure and suction sides
    • F04D29/161Sealings between pressure and suction sid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162Sealings between pressure and suction side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of a centrifugal flow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5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blown towards the seat surfa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7/00Radial-flow pumps, e.g. centrifugal pumps;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17/08Centrifugal pumps
    • F04D17/16Centrifugal pumps for displacing without appreciable compress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25/06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the electric motor being specially adapted for integration in the pump
    • F04D25/0613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the electric motor being specially adapted for integration in the pump the electric motor being of the inside-out type, i.e. the rotor is arranged radially outside a central st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13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suction por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Discharge tongu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4226Fan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66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 F04D29/661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667Combating cavitation, whirls, noise, vibration or the like; Balanc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by influencing the flow pattern, e.g. suppression of turbulen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40/00Components
    • F05B2240/10Stators
    • F05B2240/14Casings, housings, nacelles, gondels or the like, protecting or supporting assemblies there with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50/00Geometry
    • F05B2250/50Inlet or outlet
    • F05B2250/501In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5INDEXING SCHEMES RELATING TO ENGINES OR PUMPS IN VARIOUS SUBCLASSES OF CLASSES F01-F04
    • F05BINDEXING SCHEME RELATING TO WIND, 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TO 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COVERED BY SUBCLASSES F03B, F03D AND F03G
    • F05B2260/00Function
    • F05B2260/96Preventing, counteracting or reducing vibration or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쿨링 팬은 전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측면에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는 팬 하우징과, 상기 팬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어 축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되고 반경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임펠러를 포함하고, 상기 팬 하우징에는 상기 공기 토출구의 역방향으로 진행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바이패스 통로가 형성되어, 쿨링 팬의 고출력시 역방향으로 진행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고 송풍 효율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쿨링 팬 및 이를 구비한 시트 쿨링장치{A COOLING FAN AND SEAT COOLING SYSTEM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출력시 또는 공기 토출구 측의 부하에 의해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쿨링팬 및 이를 구비한 시트 쿨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차량용 시트는 여름철 시트를 냉각하는 쿨링 시트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쿨링 시트에는 쿨링팬을 포함하는 시트 쿨링장치가 설치된다.
그리고, 전자제품의 과열방지 또는 조명기구의 과열방지를 위해 주로 쿨링팬이 사용되고 있는데, 쿨링팬은 모터 구동에 따른 블레이드가 회전되면서 공기를 송풍하여 냉각을 실시하는데 고출력시 공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량이 급격하게 증가하거나 공기의 흐름을 막는 부하가 발생될 경우 풍압이 높아지고 이에 따라 소음이 발생되고 모터에 과부하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소음문제를 해결하고자 종래의 원심 송풍기는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32249(2003년 10월 27일)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공기흡입구와 공기배출구를 갖춘 케이싱 내에 회전축에 연결된 날개차를 갖추게 되며, 이 회전축은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풀리와 연동되도록 연결되어 회전하게 되고, 회전축에 원추형의 공기유인콘이 배치되고, 회전차와 공기흡입구 사이의 상단에 역풍방지판이 설치되고, 회전차와 공기흡입구의 연결공간에 역풍 방지링이 설치되어 역풍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여 소음을 저감한다.
이러한 종래의 원심 송풍기는 저출력시에는 반경방향으로 토출되는 공기가 공기 배출구를 통해 원활하게 배출되고 역풍방지판에 의해 역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고출력시 토출되는 공기량이 증가하거나 공기 유동에 저항이 발생될 경우 일부 공기는 공기배출구로 배출되지 못하여 공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공기와 유동저항에 의해 역방향으로 흐르는 공기가 서로 부딪히면서 소음이 발생되고 송풍 효율이 저하되며, 모터에 과부하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등록실용신안공보 20-0332249(2003년 10월 27일)
본 발명의 목적은 고출력 또는 공기 유동에 저항이 발생되어 공기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 중 역방향으로 진행되는 공기를 외부로 바이패스하여 소음을 최소화하고, 모터의 과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쿨링 팬 및 이를 구비한 시트 쿨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 흡입구에 형성되는 벨 마우스를 제거하고, 공기 흡입구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공기 토출통로와 연통되는 바이패스 통로를 형성하여 소음을 최소화하면서 송풍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쿨링 팬 및 이를 구비한 시트 쿨링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쿨링 팬은 전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측면에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는 팬 하우징과, 상기 팬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어 축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되고 반경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임펠러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유입구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공기 토출구의 역방향으로 진행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바이패스 통로가 형성된다.
상기 팬 하우징의 내부는 임펠러의 내측에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통로가 형성되고, 임펠러의 외측에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바이패스 통로는 상기 공기 토출통로와 연통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 통로는 상기 공기 유입구의 가장자리에서 외측방향으로 확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공기 토출통로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 통로는 공기 유입구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리브가 연결되어 복수의 구역을 분할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 통로는 상기 공기 유입구의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 토출구와 가까운 90~180도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 통로는 상기 공기 유입구의 가장자리에 일정 간격으로 360도 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 통로는 상기 공기 토출구와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고 공기 토출통로가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바이패스 통로부와, 상기 공기 유입구의 원주방향 가장자리 중 제1바이패스 통로부를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 토출통로가 노출되지 않도록 제1바이패스 통로부에 비해 면적이 작게 형성되는 제2바이패스 통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 통로는 상기 공기 토출구와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고 공기 토출통로가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제1바이패스 통로부와, 상기 공기 유입구의 원주방향 가장자리 중 제1바이패스 통로부를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공기 토출통로가 노출되도록 상기 제1바이패스 통로부에 비해 면적이 크게 형성되는 제2바이패스 통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 통로는 상기 공기 유입구의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2~6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이패스 통로는 상기 공기 유입구의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제1바이패스 통로와, 상기 제1바이패스 통로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제1바이패스 통로에 비해 면적이 작게 형성되는 제2바이패스 통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쿨링 팬은 팬 하우징의 공기 유입구 가장자리에 바이패스 통로를 형성하여 고출력시 역방향으로 진행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공기의 흐름 저항에 의해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송풍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공기 흡입구에 형성되는 벨 마우스를 제거하고, 공기 흡입구의 둘레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공기 토출통로와 연통되는 바이패스 통로를 형성하여 소음을 최소화하면서 송풍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각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냉각팬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통로를 나타낸 팬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통로를 나타낸 팬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통로를 나타낸 팬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통로를 나타낸 팬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통로를 나타낸 팬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통로를 나타낸 팬 하우징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쿨링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쿨링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송풍팬과 일반 송풍팬의 RPM 대비 송풍량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쿨링팬은 전면(12)에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14)가 형성되고 측면(16)에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18)가 형성되는 팬 하우징(10)과, 팬 하우징(10)의 내부에 장착되어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팬 유닛(20)을 포함한다.
팬 유닛(20)은 축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되고, 반경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팬으로, 팬 하우징(10)에 형성된 지지부(4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회전축(42)과, 지지부(40)의 외주면에 고정되고 전원이 인가되는 스테이터(50)와, 회전축(42)에 고정되어 회전축(42)과 같이 회전되는 로터(60)와, 로터(60) 및 회전축(42)과 일체로 축방향으로 공기가 흡입되고 반경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임펠러(70)를 포함한다.
스테이터(50)는 지지부(40)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스테이터 코어(52)와, 스테이터 코어(52)에 권선되고 전원이 인가되는 코일(54)을 포함한다.
로터(60)는 스테이터(50)의 외주면에 일정 갭을 두고 환형으로 형성되는 마그넷(62)과, 마그넷(62)이 고정되고 회전축(42) 및 임펠러(70)가 일체로 형성되는 로터 지지체(64)를 포함한다.
지지부(40)의 내부에는 제1베어링(44) 및 제2베어링(46)이 장착되어 회전축(4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임펠러(70)는 로터 지지체(64)와 일체로 형성되는 허브(72)와, 허브(72)의 외주면에 둘레방향으로 형성되어 송풍력을 발생시키는 회전날개(74)와, 회전날개(74)의 가장자리에 링 형태로 형성되어 공기가 배출되는 링부(76)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임펠러(70)는 회전되면 축방향으로 공기가 흡입되고, 링부(76)를 통해 반경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된다.
팬 하우징(10)의 전면(12)에 형성되는 공기 흡입구(14)에는 방사상으로 보호리브(16)가 형성되어 임펠러(70)를 보호한다. 그리고, 팬 하우징(10)의 측면(16)에는 반경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18)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쿨링 팬은 임펠러(70)가 회전되면 공기 유입구(14)를 통해 축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되고, 임펠러(70)의 반향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된다. 따라서, 팬 하우징(10) 내부는 임펠러 내측 부분에 해당되고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통로(80)와, 임펠러 외측부분에 해당되고 공기 토출되는 공기 토출통로(82)로 구분된다.
이러한 쿨링 팬은 공기 유입구(14)를 통해 공기가 축방향으로 흡입되고 공기 토출구(18)를 통해 반경방향으로 토출된다. 이때, 쿨링 팬의 저출력시에는 공기의 흐름이 많지 않기 때문에 공기의 흐름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고 공기의 유동 저항에 따른 소음이 발생되지 않는다.
하지만, 쿨링 팬의 고출력 또는 공기의 흐름에 저항이 발생될 경우 공기 유입구(14)로 유입되는 공기량이 증가하지만 공기 토출구(18)로 토출되는 공기량이 줄어들어 공기의 유동저항에 의해 일부 공기가 역방향으로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공기 토출구(18)를 통해 토출되는 공기와 공기 토출구(18)의 역방향으로 진행되는 공기가 서로 부딪히면서 소음이 발생되고 송풍 효율이 저하된다. 특히, 현재 차량의 쿨링시트에 쿨링 팬이 설치될 경우 쿨링 팬에 의해 송풍되는 공기가 섬유시트로 송풍되는 과정 또는 필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저항이 발생되고, 이러한 공기 흐름 저항에 의해 소음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저출력시에는 공기 토출구(18)를 통해 모든 공기가 배출되도록 하여 송풍량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고, 고출력 또는 공기의 흐름에 저항이 발생될 경우 역방향으로 진행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송풍 성능은 유지하면서 소음 발생을 최소화하도록 팬 하우징(10)의 공기 흡입구(14)의 가장자리에 바이패스 통로(90)가 형성된다.
본 발명의 바이패스 통로(90)는 쿨링 팬의 저출력에는 공기 토출구(18)로 배출되는 공기가 바이패스 통로(90)로 유입되지 않도록 하여 송풍 성능을 유지할 수 있고, 역방향으로 진행되는 공기만 바이패스 통로(90)를 통해 배출되도록 하여 소음을 저감한다.
바이패스 통로(90)는 팬 하우징(10)의 전면(12)에 팬 하우징(10)의 공기 토출통로(82)와 연통되도록 형성되어 역방향으로 진행되는 공기가 축방향으로 바이패스되도록 한다.
바이패스 통로(90)는 공기 유입구(14)의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팬 하우징(10)의 공기 토출통로(82)와 연통되도록 임펠러(70)의 외면에서 간격(L)만큼 형성되어 공기 토출통로(8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한다. 즉, 바이패스 통로(90)는 임펠러(70)의 외면에서 외측방향으로 형성되어 공기 토출통로(82)가 노출되도록 하여 역방향으로 진행되는 공기가 바이패스 통로(9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바이패스 통로(90)는 공기 유입구(14)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리브(16)가 연결되어 복수의 구역을 분할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쿨링 팬은 팬 하우징(10)의 전면(12)에 형성된 공기 유입구(14)를 통해 축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되고, 팬 하우징(10)의 측면(14)에 형성된 공기 배출구(16)를 통해 반경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된다. 따라서, 저출력시에는 팬 하우징(10)의 정압 지역(82)의 공기는 반경방향으로 토출되는 힘이 작용하여 팬 하우징(10)의 축방향으로 형성되는 바이패스 통로(90)로는 공기가 토출되지 않고 공기가 토출되더라도 그 양이 송풍량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정도로 작다.
쿨링 팬의 고출력시에는 많은 양의 공기가 한꺼번에 공기 토출구(18)로 몰리면서 공기 토출구(18)에 유동저항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공기 토출구(18)로 토출되는 공기의 일부가 역방향으로 팬 하우징(10) 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역방향으로 진행되는 공기는 팬 하우징(10)의 전면(12)에 형성되는 바이패스 통로(90)를 통해 축방향으로 배출되어 공기 토출구(18)의 정방향으로 이동되는 공기와 서로 부딪히면서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하고 유동저항에 따른 풍량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통로(9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유입구(14)의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공기 토출구(18)와 가까운 90~180도 범위로 형성된다.
즉, 제1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통로(90)는 공기 흡입구(14)의 가장자리에서 외측방향으로 확장되게 형성되어 팬 하우징(10)의 공기 토출통로(8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통로(90)는 공기 토출구(18)의 가까운 위치에만 형성되어 공기 토출구에서 역방향으로 진행되는 공기가 배출되도록 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통로(92,9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토출구(18)와 가까운 위치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공기 토출통로(8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바이패스 통로부(94)와, 공기 유입구(14)의 원주방향 가장자리 중 제1바이패스 통로부(94)를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공기 토출통로(82)가 노출되지 않도록 제1바이패스 통로부(94)에 비해 면적이 작게 형성되는 제2바이패스 통로부(92)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1바이패스 통로부(94)는 공기 토출구(18)와 가까운 90~180도 범위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바이패스 통로부(94)는 위의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이패스 통로(90)와 동일한 역할을 하고, 제2바이패스 통로부(92)는 그 면적이 제1바이패스 통로부(94)에 비해 작게 형성되어 공기의 흡입면적을 확장함과 아울러 제1바이패스 통로(94)로 배출되지 못하고 팬 하우징(10)의 공기 흡입통로(80)로 넘어간 공기가 2차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제3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통로(96)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유입구(14)의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360도 전체에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어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이패스 통로(90)의 면적을 확장하여 역방향으로 진행되는 공기의 바이패스 효율을 향상시킨다.
제4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통로(102,104)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토출구(18)와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고 공기 토출통로(82)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제1바이패스 통로부(104)와, 공기 유입구(14)의 원주방향 가장자리 중 제1바이패스 통로부(104)를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에 형성되고, 공기 토출통로(8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제1바이패스 통로부(104)에 비해 면적이 크게 형성되는 제2바이패스 통로부(102)를 포함한다.
제5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통로(1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유입구(14)의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등 간격으로 2~6개로 형성된다. 바이패스 통로(150)는 제1실시에에서 설명한 바이패스 통로(90)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된다.
그리고, 공기 유입구(14)의 가장자리는 벨 마우스 형태와 같은 곡면 형태가 아닌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소음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즉, 기존의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에 정압을 높이기 위해 곡면 형태로 형성되는 벨 마우스를 제거하여 벨 마우스로 인하여 발생되는 소음을 최소화한다.
바이패스 통로(150)가 2개 이하일 경우 역방향으로 진행되는 공기 배출량이 적어 소음 저감 역할을 수행하기 어렵고, 6개 이상이 되면 토출되는 공기에 누수가 발생되어 송풍량이 줄어드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바이패스 통로(150)는 2개일 경우 공기 유입구의 원주방향으로 180도 간격으로 형성되고, 3개일 경우 120도 간격으로 형성되며, 4개일 경우 90도 간격으로 형성되고, 5개일 경우 72도 간격으로 형성되며, 6개일 경우 60도의 간격으로 형성된다. 바이패스 통로(150)는 원주방향으로 등 간격으로 배열되어 역방향으로 진행되는 공기가 순차적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바이패스 통로(15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120도의 간격으로 형성되는 제1바이패스 통로부(152), 제1바이패스 통로부(154) 및 제3바이패스 통로부(156)로 구성되면 소음을 최소화하면서 송풍량을 유지할 수 있는 조건을 만족시킬 수 있다.
제6실시예에 따른 바이패스 통로(17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 유입구(14)의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등 간격으로 형성되는 제1바이패스 통로부(172)와, 상기 제1바이패스 통로부(172) 사이에 배치되고 제1바이패스 통로부(172)에 비해 면적이 작게 형성되는 제2바이패스 통로부(174)를 포함한다.
제1바이패스 통로부(172)는 공기 토출통로(82)가 외부로 노출되도록 면적이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바이패스 통로부(174)는 공기 토출통로(82)가 노출되지 않도록 제1바이패스 통로부(172)에 비해 면적이 작게 형성된다.
제1바이패스 통로(172)는 등 간격으로 2~6개로 형성되고, 제2바이패스 통로부(174) 역시 등 간격으로 2~6개로 형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1바이패스 통로(172)는 등 간격으로 3개로 형성되고, 제2바이패스 통로부(174) 역시 등 간격으로 3개로 형성되면 소음저감 및 송풍량 저하방지의 최적의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시트 쿨링장치가 설치된 쿨링시트의 측면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 쿨링장치의 단면도이다.
시트 쿨링장치는 시트 냉각에 필요한 공기를 송풍하는 냉각팬(200)과, 냉각팬(200)과 시트(220) 사이를 연결하여 냉각팬(200)에서 발생되는 공기를 시트(220)로 공급하는 덕트(210)를 포함한다. 시트 내부에는 덕트를 통해 공급되는 공기를 시트 전체에 고르게 분포하는 공기 통로가 형성된다.
냉각팬은 위의 실시예들에서 설명한 냉각팬과 동일한 냉각팬이 적용된다.
덕트(210)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되어 냉각팬의 공기 배출구(18)가 연결되는 제1연결부(212)와, 수직방향으로 배치되어 시트(220)의 공기 통로와 연결되는 제2연결부(214)와, 냉각팬(200)에서 토출되는 공기가 수직방향으로 안내되는 제1수직 가이드부(230)와, 제1수직 가이드부(230)로 안내된 공기를 수평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수평 가이드부(232)와, 수평 가이드부(232)로 안내된 공기를 수직방향으로 가이드하는 제2수직 가이드부(234)를 포함한다.
그리고, 덕트(210)에는 냉각팬에서 토출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기 위한 필터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시트 쿨링장치는 시트를 쿨링하는 특성상 덕트의 유로가 복잡하고, 쿨링 시트는 공기가 배출되는 공기통로가 작고 복잡하기 때문에 송풍팬에서 토출되는 공기에 저항이 많이 발생된다. 따라서, 송풍팬의 토출구로 토출되는 공기 중 일부가 역방향으로 송풍팬 내부로 유입되면서 송풍팬에서 토출되는 공기와 부딪히면서 소음이 발생되고, 모터에 과부하가 발생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송풍팬을 시트 쿨링장치에 적용하게 되면 소음을 최소화하면서 송풍량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바이패스 통로가 형성되는 송풍팬과 기존의 송풍팬의 RPM 대비 풍량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기존의 송풍팬의 RPM 대비 풍량을 나타낸 것을 A 선이고, 본 발명의 송풍팬의 RPM 대비 풍량을 나타낸 것은 B 선이다.
도 11의 그래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송풍팬과 기존의 송풍팬이 실사용 대역에서는 동일한 RPM에서 거의 동일한 풍량이 발생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송풍팬은 실사용 대역에서 기존의 송풍팬과 동일한 풍량을 발생하면서 소음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 팬 하우징 12: 전면
14: 공기 유입구 16: 측면
18: 공기 토출구 20: 팬 유닛
70: 임펠러 80: 공기 흡입통로
82: 공기 토출통로 90: 바이패스 통로

Claims (14)

  1. 전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공기 유입구가 형성되고 측면에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구가 형성되는 팬 하우징; 및
    상기 팬 하우징의 내부에 장착되어 축방향으로 공기가 유입되고 반경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는 임펠러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 유입구의 가장자리에는 상기 공기 토출구의 역방향으로 진행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바이패스 통로가 형성되는 쿨링 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팬 하우징의 내부는 임펠러의 내측에 공기가 흡입되는 공기 흡입통로가 형성되고, 임펠러의 외측에 공기가 토출되는 공기 토출통로가 형성되며,
    상기 바이패스 통로는 상기 공기 토출통로와 연통되게 형성되는 쿨링 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통로는 상기 공기 유입구의 가장자리에서 외측방향으로 확장되게 형성되어 상기 공기 토출통로가 외부로 노출되는 쿨링 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통로는 공기 유입구에 방사상으로 형성되는 지지리브가 연결되어 복수의 구역을 분할되는 쿨링 팬.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통로는 상기 공기 유입구의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 토출구와 가까운 90~180도 범위로 형성되는 쿨링 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통로는 상기 공기 유입구의 가장자리에 일정 간격으로 360도 로 형성되는 쿨링 팬.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통로는 상기 공기 토출구와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고 공기 토출통로가 노출되도록 형성되는 제1바이패스 통로부; 및
    상기 공기 유입구의 원주방향 가장자리 중 제1바이패스 통로부를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상기 공기 토출통로가 노출되지 않도록 제1바이패스 통로부에 비해 면적이 작게 형성되는 제2바이패스 통로부를 포함하는 쿨링 팬.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통로는 상기 공기 토출구와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고 공기 토출통로가 노출되지 않도록 형성되는 제1바이패스 통로부; 및
    상기 공기 유입구의 원주방향 가장자리 중 제1바이패스 통로부를 제외한 나머지 가장자리에 배치되고, 공기 토출통로가 노출되도록 상기 제1바이패스 통로부에 비해 면적이 크게 형성되는 제2바이패스 통로부를 포함하는 쿨링 팬.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통로는 상기 공기 유입구의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배열되는 쿨링 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통로는 2~6개로 형성되는 쿨링 팬.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패스 통로는 상기 공기 유입구의 가장자리에 원주방향으로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제1바이패스 통로와,
    상기 제1바이패스 통로 사이에 배열되고 상기 제1바이패스 통로에 비해 면적이 작게 형성되는 제2바이패스 통로를 포함하는 쿨링 팬.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이패스 통로는 2~6개로 형성되고, 상기 제2바이패스 통로는 제1바이패스 통로와 동일한 개수로 형성되는 쿨링 팬. `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유입구의 가장자리는 벨 마우스가 없는 평면 형태로 형성되는 쿨링 팬.
  14. 내부에 공기가 통과하는 공기통로가 형성되는 시트;
    상기 시트의 냉각에 필요한 공기를 발생하는 송풍팬; 및
    상기 송풍팬과 시트 사이를 연결하는 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송풍팬은 청구항 1 내지 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송풍팬인 시트 쿨링장치.
KR1020170144650A 2017-03-17 2017-11-01 쿨링 팬 및 이를 구비한 시트 쿨링장치 KR1019901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880009018.4A CN110291296B (zh) 2017-03-17 2018-03-15 冷却风扇及具有其的座椅冷却装置
US16/480,763 US11420544B2 (en) 2017-03-17 2018-03-15 Cooling fan and seat cooling device comprising same
PCT/KR2018/003022 WO2018169316A1 (ko) 2017-03-17 2018-03-15 쿨링 팬 및 이를 구비한 시트 쿨링장치
EP18768303.2A EP3597929B1 (en) 2017-03-17 2018-03-15 Cooling fan and seat cooling device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034020 2017-03-17
KR1020170034020 2017-03-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828A true KR20180106828A (ko) 2018-10-01
KR101990108B1 KR101990108B1 (ko) 2019-06-18

Family

ID=638775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650A KR101990108B1 (ko) 2017-03-17 2017-11-01 쿨링 팬 및 이를 구비한 시트 쿨링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420544B2 (ko)
EP (1) EP3597929B1 (ko)
KR (1) KR1019901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99444A1 (ja) * 2016-05-20 2017-11-23 三菱電機株式会社 遠心送風機、空気調和装置および冷凍サイクル装置
KR101990108B1 (ko) * 2017-03-17 2019-06-18 주식회사 아모텍 쿨링 팬 및 이를 구비한 시트 쿨링장치
USD938010S1 (en) 2019-12-10 2021-12-07 Regal Beloit America, Inc. Fan hub
US11859634B2 (en) 2019-12-10 2024-01-02 Regal Beloit America, Inc. Fan hub configuration for an electric motor assembly
US11371517B2 (en) * 2019-12-10 2022-06-28 Regal Beloit America, Inc. Hub inlet surface for an electric motor assembly
USD952830S1 (en) 2019-12-10 2022-05-24 Regal Beloit America, Inc. Fan shroud
USD938011S1 (en) 2019-12-10 2021-12-07 Regal Beloit America, Inc. Fan blade
USD938009S1 (en) 2019-12-10 2021-12-07 Regal Beloit America, Inc. Fan hub
US11555508B2 (en) 2019-12-10 2023-01-17 Regal Beloit America, Inc. Fan shroud for an electric motor assembly
CN114542490A (zh) * 2020-11-24 2022-05-27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离心风扇
KR20220123995A (ko) * 2021-03-02 2022-09-13 현대두산인프라코어(주) 건설 기계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249Y1 (ko) 2003-08-12 2003-11-05 석 서문 소음이 줄어드는 고효율 원심송풍기
KR20150045901A (ko) * 2013-10-21 2015-04-2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원심식 팬
WO2016132757A1 (ja) * 2015-02-16 2016-08-25 株式会社デンソー 送風ユニット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8128B2 (ja) 1991-08-28 1995-07-26 徳二 横関 止痒、鎮痒、消炎剤
JP2879206B2 (ja) * 1996-02-19 1999-04-05 ミネベア株式会社 軸流ファンモータ
US6119463A (en) * 1998-05-12 2000-09-19 Amerigon Thermoelectric heat exchanger
US6719534B2 (en) * 2001-04-11 2004-04-13 Denso Corporation Vehicle seat blower unit with a motor mounted within a scroll housing and a cooling motor attachment bracket
CN1186535C (zh) * 2001-08-08 2005-01-26 台达电子工业股份有限公司 侧吹式散热装置
JP3861674B2 (ja) * 2001-11-30 2006-12-20 株式会社デンソー 車両用シート空調装置および空調装置内蔵型車両用シート
JP4865497B2 (ja) 2006-10-19 2012-02-01 三菱重工業株式会社 遠心式送風装置
US9061617B2 (en) * 2011-05-17 2015-06-23 Igb Automotive Ltd. Thin ventilated seat for a vehicle and items of furniture
DE102012012511A1 (de) * 2011-07-22 2013-01-2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Gebläse, vorzugsweise für ein Hausgerät
DE102011121980A1 (de) * 2011-12-26 2013-06-27 W.E.T. Automotive Systems Ag Luftfördereinrichtung
US9854915B2 (en) * 2014-07-17 2018-01-02 Gentherm Gmbh Fluid distribution insert with an integral blower
JP2015028341A (ja) 2014-08-19 2015-02-12 三菱電機株式会社 電動遠心送風機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掃除機
CN107709888B (zh) * 2015-07-21 2021-05-11 捷温汽车系统(中国)有限公司 用于氛围控制支撑装置的连接器
KR101990108B1 (ko) * 2017-03-17 2019-06-18 주식회사 아모텍 쿨링 팬 및 이를 구비한 시트 쿨링장치
US10710480B2 (en) * 2017-06-14 2020-07-14 Gentherm Gmbh Conditioning system with blower connection assembly including a distribution member and method of attachment
JP2019006373A (ja) * 2017-06-20 2019-01-17 株式会社デンソー シート空調装置
KR20190056047A (ko) * 2017-11-16 2019-05-24 주식회사 아모텍 냉각 팬
KR102001004B1 (ko) * 2017-12-06 2019-07-17 주식회사 아모텍 냉각 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2249Y1 (ko) 2003-08-12 2003-11-05 석 서문 소음이 줄어드는 고효율 원심송풍기
KR20150045901A (ko) * 2013-10-21 2015-04-2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원심식 팬
WO2016132757A1 (ja) * 2015-02-16 2016-08-25 株式会社デンソー 送風ユニ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97929A4 (en) 2020-12-16
EP3597929B1 (en) 2022-11-09
EP3597929A1 (en) 2020-01-22
US20190389345A1 (en) 2019-12-26
US11420544B2 (en) 2022-08-23
KR101990108B1 (ko) 201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90108B1 (ko) 쿨링 팬 및 이를 구비한 시트 쿨링장치
JP2013164070A (ja) ブロワアセンブリ
EP3085962B1 (en) Bidirectional axial fan device
EP0651161B1 (en) Device for cooling en electric motor for a turbo-fan
KR20130058605A (ko) 축류팬
KR20210114300A (ko) 에어 서큘레이터
EP2943726A1 (en) Fan coil unit with shrouded fan
CN110291296B (zh) 冷却风扇及具有其的座椅冷却装置
KR20180080148A (ko) 냉각홀이 형성된 터보블로워 모터
US10644363B2 (en) Temperature conditioning unit, temperature conditioning system, and vehicle
JP2004218450A (ja) 遠心式送風機
KR20140054655A (ko) 차량용 공조장치의 송풍기
KR102043213B1 (ko) 환기장치
CN105090122A (zh) 一种离心式风机及其无叶扩压器
JP2017180094A (ja) 送風ファンおよびこれを用いた送風ユニット
KR20200037945A (ko) 팬 어셈블리
JP2000314394A (ja) 送風機
WO2017154151A1 (ja) 電動送風機および電気掃除機
KR20170124291A (ko) 팬 모터 및 이를 갖춘 진공 청소기
KR20200116301A (ko) 팬 어셈블리
JP2001173596A (ja) 多翼送風機
CN103629160A (zh) 串联型轴流风机
KR102642459B1 (ko) 고효율 원심형 송풍기
JPH06101696A (ja) 遠心送風機
JPH08135596A (ja) 遠心送風機用羽根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