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80148A - 냉각홀이 형성된 터보블로워 모터 - Google Patents

냉각홀이 형성된 터보블로워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80148A
KR20180080148A KR1020180070084A KR20180070084A KR20180080148A KR 20180080148 A KR20180080148 A KR 20180080148A KR 1020180070084 A KR1020180070084 A KR 1020180070084A KR 20180070084 A KR20180070084 A KR 20180070084A KR 20180080148 A KR20180080148 A KR 201800801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casing
cooling
motor
bearing hous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00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정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삭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삭
Priority to KR10201800700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080148A/ko
Publication of KR201800801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01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0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 H02K9/04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 H02K9/06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with fans or impellers driven by the machine shaf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02K5/161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 H02K7/0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4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loads, e.g. with hand-held machine tools or f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5/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2205/09Machines characterised by drain passages or by venting, breathing or pressure compensa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보블로워의 내부를 냉각시키기 위한 기체유통공 및 냉각홀을 통해 공기의 유통을 원활하게 하여 효과적인 냉각이 가능한 터보블로워에 관한 것으로, 내면이 원통형을 이루는 모터케이싱(100); 상기 모터케이싱(100)의 내부에 수용되는 스테이터(200); 상기 스테이터(200)의 내부에 함입되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위치되는 로터(300); 상기 모터케이싱(100)의 양측이 밀폐되도록 각각 형성되며, 중심부에 상기 로터(300)가 관통되는 중심홀이 형성되는 제1 베어링하우징(400) 및 제2 베어링하우징(500); 상기 모터케이싱(100)의 외주연에 통공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기체유통공(110); 상기 스테이터(200)의 일측 외주연에 위치되며, 다수의 통기구가 형성되는 코어링(210); 상기 제2 베어링하우징(50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연장 형성되는 상기 로터에 형성되는 쿨링팬; 및 상기 제2 베어링하우징(500)의 중심부와 인접한 위치에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쿨링팬의 회전에 의해 기체가 유통되는 냉각홀(520); 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이에 의하면, 모터케이싱(100)에 형성되는 기체유통공의 형태로 인하여, 모터케이싱(1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저하시키고, 유속을 상승시켜 모터케이싱(100) 내부의 각 구성들을 효과적으로 균일하게 냉각 시킬수 있으며, 특히 베어링하우징 냉각홀(520)을 감싸면서 냉각 공기가 통과하기 때문에 베어링 냉각 효과가 우수하다.

Description

냉각홀이 형성된 터보블로워 모터{A TURBO BLOWER MOTOR COMPRISING COOLING HOLE}
본 발명은 냉각홀이 형성된 터보블로워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터보블로워의 내부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기체유통공과 공기홀에 의해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냉각 효율을 증대시킨 터보블로워 모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송풍기(블로워; blower)는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임펠러, 임펠러로 들어가고 나오는 유동을 안내하는 케이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송풍기의 분류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날개차를 통과하는 유동의 특성에 따라, 축류형 송풍기(Axial Blower), 반경류형 송풍기(Radial Blower), 혼합류형 송풍기(Mixed Blower)로 구분된다.
이중, 원심형 송풍기는 보통 임펠러 입구 유동은 회전축 방향이나 출구 유동은 회.전축의 직각 방향이 되도록 나선형의 케이싱을 사용하는 경우와, 임펠러 입구 유동과 출구 유동이 둘 다 회전축 방향이 되도록 튜브형 케이싱을 사용하는 경우로 크게 구별된다.
이러한 원심 송풍기의 일종인 터보블로워(Turbo Blower)는 비교적 압력비가 큰 원심 송풍기를 말하는 것으로, 임펠러를 용기 속에서 고속 회전시켜 기체를 방사상으로 흐르게 하고, 원심력을 이용하는 원심송풍기중에서 압력비가 작은 것을 원심형 통풍기, 터보통풍기라 하고, 압력비가 그 이상의 것을 원심형 송풍기, 터보송풍기라고 한다.
이러한 터보블로워는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 본체 내부에 마련되어 실질적으로 공기의 가압이 이루어지는 구동부, 구동부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본체에 형성된 공기 유입구를 통해 본체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구동부를 통해 일정 압력 이상으로 가압된 후 배출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가 내부 구동부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외부로 크게 전달되었으며, 구동부의 내부 구성품을 적절하게 냉각하기 위한 내부 구조가 마련되어 있지 않아 내부 구성품의 수명이 감소하여 전체 구동부의 내구성이 저감하는 단점이 발생하였다.
블로워의 냉각은 대개 임펠러로 유입되는 흡입 공기 또는 가스를 이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거나, 회전자와 고정자 사이에 형성되는 에어갭이나 고정자에 형성되는 냉각구멍 등을 통해 다량의 공기를 불어 넣는 방식이 사용된다.
그러나, 전자의 방식은, 냉각에 소요되는 동력이 작지만 냉각시스템 자체가 임펠러와 밀접하게 연동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임펠러에 대한 민감도가 매우 크다는 단점을 갖는다.
즉 임펠러의 설계 형상에 따라 냉각시스템의 구조가 변경되므로 설계 자유도에 많은 제약을 받는다.
게다가 냉각시스템의 특성상 터보기기의 전체적인 크기가 커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그리고, 후자의 방식은, 냉각팬을 이용하여 다량의 공기를 상당한 압력으로 불어넣는 구조이기 때문에 냉각효율이 매우 낮은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냉각팬에 의존하는 냉각시스템은 적정한 수준의 냉각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상대적으로 많은 동력을 소모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유입된 공기가 내부 전체를 냉각하기 때문에 부품마다 일정한 냉각을 제공하기에는 역부족이어서 냉각 효율을 저감시킬 수 밖에 없었다.
이에, 특허문헌 1에는 모터케이싱의 일측에 다수의 구멍부를 형성하여 로터의 회전에 의하여 공기를 구멍부로 유입시켜 모터케이싱 내부의 냉각을 행하는 블로워가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블로워는 단순히 모터케이싱에 흡기를 위한 구멍부를 형성하여 흡기하는 것으로 구멍부의 형상이나 구조에 대한 고찰이 부족하여,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이 낮고 유동이 원활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이에, 제1구멍부, 제2구멍부와 같이 다수의 구멍부를 모터케이싱의 원통 외주연 및 축방향을 따라 형성함으로써 유입되는 공기의 유동을 확보해야만 한다.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84535호(2017. 09. 13.)
본원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터보블로워의 모터케이싱 내부의 각 구성을 균일하고 효과적으로 냉각하고 고속회전하는 베어링의 냉각효율을 향상시키는 냉각홀이 형성된 베어링하우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원발명은 터보블로워의 모터케이싱 내부를 냉각하기 위한 냉각홀이 형성된 터보블로워 모터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원발명은 내면이 원통형을 이루는 모터케이싱(100); 상기 모터케이싱(100)의 내부에 수용되는 스테이터(200); 상기 스테이터(200)의 내부에 함입되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위치되는 로터(300); 상기 모터케이싱(100)의 양측이 밀폐되도록 각각 형성되며, 중심부에 상기 로터(300)가 관통되는 중심구멍이 형성되는 제1 베어링하우징(400) 및 제2 베어링하우징(500); 상기 모터케이싱(100)의 외주연에 통공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기체유통공(110); 상기 스테이터(200)의 일측 외주연에 위치되며, 다수의 통기구가 형성되는 코어링(210); 상기 제2 베어링하우징(50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연장 형성되는 상기 로터에 형성되는 쿨링팬; 및 상기 제2 베어링하우징(500)의 중심부와 인접한 위치에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쿨링팬의 회전에 의해 기체가 유통되는 냉각홀(520); 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냉각홀(520)은 상기 모터케이싱(100)의 내부 방향을 향하는 직경보다 상기 모터케이싱(100)의 외부 방향을 향하는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중심부를 중심으로 나선상으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터보블로워 모터는 상기 쿨링팬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모터케이싱(100) 외부의 공기가 상기 기체유통공을 통하여 유속이 상승되어 상기 모터케이스 내부로 유입되어 유통된 후 상기 냉각홀(520)을 통하여 유출되거나, 외부의 공기가 상기 냉각홀(520)을 통하여 상기 모터케이싱(100) 내부로 유입되어 유통된 후 상기 기체유통공을 통하여 유출된다.
본원발명은 터보블로워 내부로 흡입되는 공기의 유로가 단순하기 때문에 유입되는 공기의 저항을 줄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터보블로워 및 내부 모터의 냉각효율을 크게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유입공기가 냉각홀을 감싸면서 유입 통과하기 때문에 레이디얼베어링의 냉각효과가 크게 증진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터보블로워 모터의 사시도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터보블로워 모터의 정면도의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베어링하우징 사시도와 상세도 및 단면도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원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은 발명의 설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발명의 내용 및 범위를 한정하거나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터보불로워를 이루는 각 구성요소들은 필요에 따라 일체형으로 사용되거나 각각 분리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사용 형태에 따라 일부 구성요소를 생략하여 사용이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터보블로워 모터는 모터케이싱(100), 상기 모터케이싱(100) 내부에 설치되는 스테이터(200), 상기 스테이터(200)의 일측에 형성되는 코어링(210), 상기 스테이터(200)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함입되는 로터(300), 상기 모터케이싱(100)의 일측이 밀폐되도록 결합되는 제1 베어링하우징(400) 및 상기 모터케이싱(100)의 타측이 밀폐되도록 결합되는 제2 베어링 하우징(500)으로 구성된다.
모터케이싱(100)은 그 내부면이 원통형으로 이루어지는 중공의 구조로서, 바람직하게는 내외부면이 모두 원통형이다. 또한, 모터케이싱(100)에는, 그 외주연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가 통공되는 기체유통공(110)이 형성되며, 상기 다수의 기체유통공(110)의 형상은 모터케이싱(100)의 내측을 향하여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테이퍼 형상을 갖는다. 반대로, 상기 기체유통공(110)의 형상은 모터케이싱(100)의 외측을 향하여 직경이 점차 작아지도록 테이퍼 형상을 갖을 수도 있다.
공기는 기체유통공(110)을 통하여 모터케이싱(100) 외부에서 내부로 공기가 유입될 수도 있고, 내부에서 외부로 유출될 수도 있다. 상기 기체유통공(110)은 모터케이싱(100)의 외주연을 따라 형성됨으로써, 공기가 기체유통공(110)을 통하여 모터케이싱(100) 내부로 유통된다.
또한, 다수의 기체유통공(110)은 모터케이싱(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위치될 수 있어, 흡입되는 공기가 모터케이싱(100) 내부에서 원활한 유동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기체유통공(110)이 나선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유입되는 공기가 보다 효과적으로 와류를 이루며 모터케이싱(100) 내를 유동할 수 있다.
스테이터(200)는 상기 모터케이싱(100)의 내부에 수용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스테이터(200)는 모터케이싱(100)의 내부에 상기 모터케이싱(100)의 내주면에 근접하게 위치하며, 그 내부에 소정공간이 마련된다. 또한, 상기 스테이터(200)는 코일부가 감겨져 있어, 코일부로 인가되는 전류에 의해 발생하는 자력을 통하여 회전자를 회전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고정자이다.
상기 로터(300)는 상기 스테이터(22)의 내부에 함입되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위치된다. 이러한 상기 로터(300)는 스테이터(200)의 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위치하여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자이다.
코어링(210)은 상기 스테이터(200)의 일측 외주연에 위치하며, 상기 스테이터(200)와 모터케이싱(100) 사이에 공기가 통과하기 위한 통기구가 다수 형성된다.
상기 모터케이싱(100)의 양측에는 제1 베어링하우징(400) 및 제2 베어링하우징(500)이 각각 밀폐되도록 결합된다.
제1 베어링하우징(400)은 상기 모터케이싱(100)의 일측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1 베어링하우징(400)은 밀폐를 향상시키기 위한 라이렌스씰(41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제1 베어링하우징(400)은 라비렌스씰(410)에 의해 밀착 고정되며, 상기 라비렌스씰(410)의 외측에는 임펠러(410)가 형성되며, 상기 임펠러(410)는 스크롤볼루트(420)의 공기를 유입시키게 되며, 상기 임펠러(410)는 노즐(440)이 형성된 쉬라우드(430) 내부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베어링하우징(400)는 모터케이싱(100)의 일측에 위치하며, 로터(300)의 일측이 중심부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제1 베어링하우징(400)의 일면에 라비렌스씰(410)이 결합되어 위치한다. 상기 라비렌스씰(410)에는 모터케이싱(100)을 밀폐하기 위한 실링부재(미도시)가 더 구비되기도 한다. 상기 라비렌스씰(410)의 타측은 스크롤볼루트(420)에 결합되어 발생된 유체가 새지 않도록 막아주는 막음판의 역할을 한다.
상기 임펠러(410)는 라비렌스씰(410)의 일측에 위치하되, 상기 임펠러(410)는 라비렌스씰(410)의 일측에서 그 외주면이 스크롤볼루트(420)에 의해 감싸지듯이 위치한다.
상기 쉬라우드(430)는 임펠러(410)의 주위를 감싸도록 스크롤볼루트(420)의 일측에 결합될 수 있고, 이로써, 임펠러(410)가 고속 회전시 공기 흐름을 원활히 하여 유압을 발생시키도록 한다. 상기 노즐(440)은 공기가 유입되는 흡입구로서, 쉬라우드(430)의 일측과 결합된다.
스크롤 볼루트(430)와 임펠러(410) 사이에 디퓨저(450)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디퓨저(450)는 그 일측이 스크롤 볼루트(430)에 결합되어 유체의 유속을 원활하게 줄이고, 정압을 상승시키는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제2 베어링하우징(500)은 상기 모터케이싱(100)의 타측에 밀착되어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제2 베어링하우징(500)의 외면에는 상기 로터(300)가 상기 제2 베어링하우징(50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연장 형성되는 부분에 쿨링팬(510)이 형성된다. 상기 쿨링팬(510)은 팬스크롤(530)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팬스크롤(530)의 바깥쪽에는 팬커버(540)가 형성된다. 상기 팬커버(540)는 쿨링팬과 팬스크롤 사이에 위치하여 쿨링팬을 덮고 있는 하우징으로서, 냉각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제2 베어링하우징(500)는 모터케이싱(100)의 오른쪽에서 모터케이싱(100)과 쿨링팬(510)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제2 베어링하우징(500)의 중앙 부위에도 로터(300)의 타측이 위치하도록 중앙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로터(300)는 모터케이싱(100)내부에서 회전가능하게 위치한다. 또한, 상기 제2 베어링하우징(500)은 로터(300)의 회전을 지지하기 위한 베어링이 구비되기도 한다. 또한, 상기 제2 베어링하우징(500)에는 쿨링팬 및 쿨링팬을 감싸는 팬스크롤이 연통되어 모터케이싱(100)내의 유체를 외부로 토출시키게 된다.
상기 제2 베어링하우징(500)에는 모터케이싱(100)의 내부에 착설되는 모터 등 발열되는 장치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베어링하우징에 일정한 크기의 냉각홀(520)이 형성된다. 상기 냉각홀(520)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중심부와 인접한 위치에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쿨링팬의 회전에 의해 기체가 유통된다. 상기 냉각홀(520)은 상기 팬스크롤의 공기가 상기 냉각홀(520)을 통하여 원활하게 유동된다.
상기와 같이 베어링하우징(200)에 냉각홀(520)을 형성시키게 되면 냉각공기가 베어링하우징 위로 돌아서 지나가지 않고 베어링하우징에 설치된 레이디얼베어링을 감싸며 통과하기 때문에 베어링 냉각효과가 좋아지며, 냉각공기유로가 개선이 되어 유속이 빨라져 냉각성능이 향상된다.
상기 베어링하우징에 냉각홀(520)을 형성하게 되면, 냉각팬 방향을 바꿔서 모터쪽 공기를 베어링하우징에 통로를 만들어 직접흡입하는 구조가 된다.
상기 베어링하우징에 형성된 냉각홀(520)의 크기는 내경은 60~250mm, 외경은 110~300mm로 형성하며, 냉각홀(520) 구멍의 전체 면적은 4,000~12,000㎟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냉각홀(520) 구멍의 면적이 크게 되어 공기가 흡입하거나 유동할 때 저항 및 손실이 적어진다.
또한 모터쪽 공기를 흡입하는 냉각팬의 외경을 110~500mm로 하고, 블레이드 내경은 60~250mm, 블레이드 외경은 90~300mm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냉각홀(520)은 상기 모터케이싱(100)의 내부 방향을 향하는 직경보다 상기 모터케이싱(100)의 외부 방향을 향하는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중심부를 중심으로 나선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기 냉각홀(520)은 공기가 모터케이싱(100) 내부에서 외부로 유출될 때, 유속이 감소하여 회전하는 쿨링팬(510)의 회전에 대한 영향을 감소시킨다. 또한, 상기 냉각홀(520)은 외부의 공기가 모터케이싱(100) 내부로 유입될 때는 유속이 증가된다.
상기 터보블로워 모터는 상기 쿨링팬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모터케이싱(100) 외부의 공기가 상기 기체유통공을 통하여 유속이 상승되어 상기 모터케이스 내부로 유입되어 유통된 후 상기 냉각홀(520)을 통하여 유출되거나, 외부의 공기가 상기 냉각홀(520)을 통하여 상기 모터케이싱(100) 내부로 유입되어 유통된 후 상기 기체유통공을 통하여 유출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터보블로워 모터의 작동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스테이터(200)에 전류가 인가됨으로써 로터(300)가 회전하게 되면 로터(300)의 양측에 위치하는 임펠러(410)와 쿨링팬(510)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임펠러(410)의 회전으로 인하여 노즐(440)로 흡입되는 공기는 스크롤 볼루트(420)를 통하여 토출된다.
한편, 모터케이싱(100) 외부의 공기는 상기 쿨링팬(510)의 회전방향 또는 블레이드의 각도 및 설치 방향에 따라 공기의 유입 및 유출되는 구멍이 다르다.
예를 들어 설명하면, 상기 쿨링팬(510)이 일측(왼쪽)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모터케이싱(100) 내부의 공기는 냉각홀(520)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되고, 외부이 공기는 기체유통공(110)을 통하여 자연흡기되어 상기 모터케이싱(100) 내부로 유입된다.
반대로, 상기 쿨링팬(510)이 타측(오른쪽)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쿨링팬(510)에 의해 외부의 공기가 상기 냉각홀(520)을 통해 모터케이싱(100) 내부로 유입되고, 상기 모터케이싱(100) 내부의 공기는 기체유통공(110)을 통하여 외부로 유출된다.
이때, 각 기체유통공의 형상에 의하여 흡기되어 모터케이싱(1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이 상승하고 및 온도가 저하되게 된다. 유속이 상승한 공기는 모터케이싱(100) 내부를 유동하며 냉각시킨다.
구체적으로, 스테이터(200)에 위치한 통기구를 통하여 스테이터(200)의 외주면을 따라 유동하여, 스테이터(200)와 로터(300)의 사이를 지나 쿨링팬을 통하여 팬스크롤을 통하여 외부로 토출된다.
각 기체유통공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속이 상승함에 따라, 온도가 저하되며 유입된 공기가 모터케이싱(100)의 내부 전체를 원활히 유동하게 되며, 따라서, 터보블로워 내부의 각 구성들이 균등하게 냉각됨으로써 열적 균형을 이룰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터보블로워와 비교예(특허문헌 1)의 터보블로워를 비교한다.
비교 실험 조건은 동일한 체적을 갖도록 비교예와 실시예의 터보블로워를 제작하고, 상압 및 상온에서, 모터케이싱(100)의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은 10㎥/min, 유속은 4m/s가 되도록 설정하였다.
기체유통공을 통하여 모터케이싱(1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나타낸 것으로, 본 실시예에의 경우 기체유통공의 끝단 부분에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가 급격히 떨어짐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터보블로워에 의하면, 모터케이싱(100)에 형성되는 기체유통공의 형태로 인하여, 모터케이싱(10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온도를 저하시키고, 유속을 상승시켜 모터케이싱(100) 매부의 각 구성들을 효과적으로 균일하게 냉각 시킬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라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주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하며,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경 및 수정의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모터케이싱
110 : 기체유통공
200 : 스테이터
210 : 코어링
300 : 로터
400 : 제1 베어링하우징
410 : 임펠러
420 : 스크롤볼루트
430 : 쉬라우드
440 : 노즐
450 : 디퓨저
500 : 제2 베어링하우징
510 : 쿨링팬
520 : 냉각홀
530 : 팬스크롤
540 : 팬커버

Claims (3)

  1. 내면이 원통형을 이루는 모터케이싱(100);
    상기 모터케이싱(100)의 내부에 수용되는 스테이터(200);
    상기 스테이터(200)의 내부에 함입되어,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위치되는 로터(300);
    상기 모터케이싱(100)의 양측이 밀폐되도록 각각 형성되며, 중심부에 상기 로터(300)가 관통되는 중심구멍이 형성되는 제1 베어링하우징(400) 및 제2 베어링하우징(500);
    상기 모터케이싱(100)의 외주연에 통공되어 형성되는 다수의 기체유통공;
    상기 스테이터(200)의 일측 외주연에 위치되며, 다수의 통기구가 형성되는 코어링(210);
    상기 제2 베어링하우징(50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연장 형성되는 상기 로터에 형성되는 쿨링팬; 및
    상기 제2 베어링하우징(500)의 중심부와 인접한 위치에 상기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다수개 형성되며, 상기 쿨링팬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모터케이싱(100) 외부의 공기가 상기 기체유통공을 통하여 유속이 상승되어 상기 모터케이스 내부로 유입되어 유통된 후 상기 냉각홀(520)을 통하여 유출되는 냉각홀(5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블로워 모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터보블로워 모터는
    상기 쿨링팬의 회전 방향에 따라 외부의 공기가 상기 냉각홀(520)을 통하여 상기 모터케이싱(100) 내부로 유입되어 유통된 후 상기 기체유통공을 통하여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블로워 모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홀(520)은
    상기 모터케이싱(100)의 내부 방향을 향하는 직경보다 상기 모터케이싱(100)의 외부 방향을 향하는 직경이 더 크게 형성되며, 상기 중심부를 중심으로 나선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보블로워 모터.
KR1020180070084A 2018-06-19 2018-06-19 냉각홀이 형성된 터보블로워 모터 KR201800801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084A KR20180080148A (ko) 2018-06-19 2018-06-19 냉각홀이 형성된 터보블로워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0084A KR20180080148A (ko) 2018-06-19 2018-06-19 냉각홀이 형성된 터보블로워 모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0148A true KR20180080148A (ko) 2018-07-11

Family

ID=629175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0084A KR20180080148A (ko) 2018-06-19 2018-06-19 냉각홀이 형성된 터보블로워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080148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8472B1 (ko) 2018-12-24 2019-04-11 유한회사 아르젠터보 자연냉각 기능을 갖는 터보 블로워 장치
CN110270930A (zh) * 2019-07-11 2019-09-24 浙江承康机电制造有限公司 一种抛光机
KR102460715B1 (ko) 2022-01-25 2022-10-28 이일희 터보 블로워의 냉각구조
CN115822999A (zh) * 2022-12-17 2023-03-21 大庆特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高速涡轮曝气风机的密封冷却结构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8472B1 (ko) 2018-12-24 2019-04-11 유한회사 아르젠터보 자연냉각 기능을 갖는 터보 블로워 장치
CN110270930A (zh) * 2019-07-11 2019-09-24 浙江承康机电制造有限公司 一种抛光机
KR102460715B1 (ko) 2022-01-25 2022-10-28 이일희 터보 블로워의 냉각구조
CN115822999A (zh) * 2022-12-17 2023-03-21 大庆特博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高速涡轮曝气风机的密封冷却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7492B1 (ko) 직결 구동형 듀얼 터보 블로워 냉각 구조
KR101580877B1 (ko) 직결 구동형 터보 블로워 냉각 구조
KR200484535Y1 (ko) 흡기공을 포함하는 터보 블로워
KR101990108B1 (ko) 쿨링 팬 및 이를 구비한 시트 쿨링장치
KR20180080148A (ko) 냉각홀이 형성된 터보블로워 모터
KR100572849B1 (ko) 간단한 구조로 효율적인 모터 냉각이 가능한 터보 블로워
JP6122012B2 (ja) 遠心ファン
US20120045323A1 (en) Fan
KR20130058605A (ko) 축류팬
KR20210114300A (ko) 에어 서큘레이터
JP2014528042A5 (ko)
KR101920988B1 (ko) 원심 압축기
US7217087B2 (en) Centrifugal fan
CN110291296B (zh) 冷却风扇及具有其的座椅冷却装置
KR102284994B1 (ko) 터보 송풍기의 냉각 시스템
KR20150037589A (ko) 원심 임펠러 및 원심 송풍기
KR102113426B1 (ko) 터보송풍기의 모터케이싱 내부에 착설되는 쿨링팬
JP2005171987A (ja) 小型斜流ファンモータ
JP2001295788A (ja) ファンモータ一体型送風機
JP6364329B2 (ja) 送風装置
JP2001173596A (ja) 多翼送風機
JP2014088772A (ja) 軸流送風機
KR102420181B1 (ko) 무냉매 냉방장치용 냉각터빈장치
JPH09215271A (ja) 可変速モータの冷却装置
US20240060509A1 (en) Axial fa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