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6715A - Retaining Wall Block System - Google Patents

Retaining Wall Block System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6715A
KR20180106715A KR1020170035449A KR20170035449A KR20180106715A KR 20180106715 A KR20180106715 A KR 20180106715A KR 1020170035449 A KR1020170035449 A KR 1020170035449A KR 20170035449 A KR20170035449 A KR 20170035449A KR 20180106715 A KR20180106715 A KR 20180106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fixing pin
retaining wall
groov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544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영철
김종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코탑플러스
김종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코탑플러스, 김종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코탑플러스
Priority to KR1020170035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6715A/en
Priority to CN201880030871.4A priority patent/CN110678609A/en
Priority to PCT/KR2018/002706 priority patent/WO2018174436A1/en
Publication of KR20180106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715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made up of similar modular elements stacked without morta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aining wall construction block having a coupling protrusion and a coupling groove provided on a side surface, and pertains to a prefabricated seismic retaining wall block system, comprising: a coupling protrusion (110, 120) and a coupling groove (130, 140) formed together with each surface of a main block (100); a fixing pin (230) for connecting and fixing an upper block and a lower block when stacking the main blocks (100)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top surface fixing pin groove (210,220) provided on the top surface of the main block (100) such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pin (230) can enter thereinto and a bottom surface fixing pin groove (160) provid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main block (100) such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pin (230) can be fixed, the top surface fixing pin groove (210,220) and the bottom surface fixing pin groove (160) connecting and fixing the upper block and the lower block when stacking the main blocks (100) in the vertical direction, wherein the upper block (320) of the two blocks successively stacked is stacked to be indented more than the lower block (310) of the two blocks successively stacked by the predetermined distance of one tenth of the height of the main block (100) so as to be prevented from being pushed and enable the construction of a stable and solid retaining wall.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relates to a method for constructing a prefabricated seismic retaining wall block by using the system.

Description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Retaining Wall Block System}Retaining wall block system {

본 발명은 조립식 내진 옹벽블럭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블록간의 결속력이 증대되도록 개선된 맞물림 방식으로 조립하되 조금씩 들여쌓기가 가능한 보다 견고하고 신속하게 옹벽을 축조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조립식 내진 옹벽 블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anti-seismic retaining wall block system.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anti-seismic retaining wall system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for building a retaining wall that can be assembled in an improved meshing manner, Block system.

최근 전 지구적인 환경변화와 잦은 지진 발생으로 옹벽이 무너져 내려 많은 인명 피해와 재산피해를 가져 오고 있어 건축물의 내진 설계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Recent global environmental changes and frequent earthquakes have resulted in the collapse of the retaining wall, which has caused many casualties and damage to property, thus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seismic design of buildings.

빌딩건설, 도로, 철도와 같은 건축(토목) 공사에 있어서, 주위보다도 높은 지반을 굴삭하는 이른바 절토(flattening)라는 것과, 지반에 토사를 쌓아 올려 지반의 높이를 크게 하는 성토(embankment)라는 구축이 실시된다. 절토와 성토에 의해 형성되는 급경사면의 경우에는, 강우나 지진에 의해 쉽게 파괴되며 급경사면이 붕락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이러한 경사면 즉 법면(slope)에는 붕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벽 모양의 건축 구축물인 옹벽이 설치된다.In construction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such as building construction, road and railroad, it is called "flattening" which excavates the ground higher than the surrounding area, and the construction of embankment which increases the height of the ground by accumulating soil on the ground . In the case of a steep slope formed by cuts and embankments, it is easily broken by rainfall or earthquakes, and the steep slope becomes more likely to collapse. Therefore, in order to prevent collapse, a retaining wall, which is a wall-like building structure, is installed on the inclined surface, that is, the slope.

이러한 옹벽은 토압력에 저항하여 흙이 무너지지 않도록 한 벽체 구조물을 말하는 것으로, 낮은 곳의 지반에 보강토를 쌓고 보강토가 무너지지 않도록 하는데 많이 사용하며, 콘크리트 옹벽이나 옹벽 블록을 이용하여 옹벽을 축조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콘크리트 옹벽은 습식공법이므로 시공기간 단축 등이 어려우며, 인건비가 많이 들어 시공비용이 많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Such a wall is a wall structure that prevents the earth from falling due to the pressure of the soil. It is widely used to build a reinforced soil on a low ground and to prevent the reinforcement soil from falling down. It is common to construct a retaining wall by using a concrete retaining wall or a retaining wall block However, since concrete retaining walls are wet, it is difficult to shorten the construction perio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construction cost is increased due to a large labor cost.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는 대안으로, 경사면, 즉 법면(slope)에는 붕락을 방지하기 위하여 벽 모양의 건축 구축물인 옹벽을 설치한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5520호(이하 '선행기술문헌'이라 한다)에는 블록식 보강토 옹벽용 연결구조가 제안되었다.As an alternative to this problem, a slope, that is, a slope, is provided with a retaining wall that is a wall-like building structure to prevent collapse. In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25520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ocument"), a connection structure for a block type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has been proposed.

상기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보강토 옹벽은, 보강토 블록을 상부로 적층함에 있어, 지오그리드 보강재의 선단이 상하로 적층된 보강토 블록 사이에 끼워진다. 그리고, 보강토 블록의 상하면에 끼움홈이 각각 형성되고, 끼움홈에 연결수단이 끼워진 상태에서 상하부 보강토 블록을 연결수단으로 연결하여 적층하며, 연결수단이 지오그리드 보강재의 선단을 관통하여 구비되어 있는데, 보강토 블록은 적층된 상하의 보강토 블록은 연결수단에 의해 지오그리드 보강재에 고정될 수 있지만, 수평 방향으로 이웃하는 보강토 블록은 서로 결합되지 못하고 단순히 일렬로 정렬된 상태로 구비되기 때문에, 지진의 발생시 옹벽의 수평 방향으로 작용하는 충격에 대해서는 옹벽 구조물이 쉽게 원위치를 벗어나 밀릴 수 있고, 밀린 옹벽 구조물은 적층 상태가 불량하여 결국에는 무너지게 되는 문제가 있어 이를 개선하는 블록시스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The reinforcing earth retaining wall disclosed in the above prior art document is sandwiched between reinforcing soil blocks in which the top ends of the geogrid reinforcements are stacked one above the other in stacking the reinforcing soil blocks. The upper and lower reinforcing soil blocks are connected and stacked by connecting means in a state where the fitting grooves ar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reinforcing soil block and the connecting means is sandwiched between the fitting grooves and the connecting means is provided through the tip of the geogrid reinforcement. Since the upper and lower reinforced soil blocks stacked on the block can be fixed to the geogrid reinforcement by the connecting means but the adjacent reinforcing soil block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can not be coupled to each other and are simply arranged in a line,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can be easily moved out of its original position, and the pushed-in retaining wall structure is inferior in the lamination state, and eventually collapses. Therefore, it is required to develop a block system for improving the impact.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10-1264920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0-1264920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25520호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2552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안된 것으로 특히 블록간의 결속력이 증대되도록 개선된 맞물림 방식으로 조립하되, 조금씩 들여쌓기가 가능한 보다 견고하고 신속하게 옹벽을 축조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갖는 조립식 내진 옹벽 블록 시스템 및 축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is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related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improved structure capable of assembling the improved locking mechanism so as to increase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blocks, And to provide a prefabricated earthquake-resistant wall block system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측면에 결합용 돌기와 결합홈을 구비한 옹벽 축조용 블록에 있어서, 메인 블록(100)의 사각 측면의 4면의 각 면에 함께 형성되는 제1결합용 돌기(110)와 제2결합용 돌기(120) 및 상기 제1결합용 돌기와 체결되는 제1 결합홈(130)과 상기 제2결합용 돌기(120)와 체결되는 제2결합홈(140); 상기 메인 블록(100)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 블록(100)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관통홈(170); 상기 메인 블록(100)의 상부면에 십자형으로 형성된 배수홈(150); 상기 메인 블록(100)들을 상하로 적층할 때 상부 블록과 하부 블록을 이어주고 고정해 주는 고정핀(230)의 아래 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블록(100)의 상면에 마련된 2개의 상면 고정핀 홈(210,220); 및 상기 메인 블록(100)의 하면에 상기 2개의 상면 고정핀 홈(210,220)을 잇는 직선과 평행을 이루도록 일직선의 사각홈을 형성하되, 상기 사각홈의 중심선이 평면도를 기준으로 상기 2개의 상면 고정핀 홈을 잇는 직선보다 블록(100)의 안쪽으로 더 가깝게 위치하고 또 상기 고정핀(230)의 윗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 하면 고정핀 홈(160); 을 구비하여, 연속되어 적층되는 옹벽 블록 중 상부 블록(320)이 하부 블록(310)보다 옹벽의 뒤로 위치하도록 들여쌓기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을 제공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block for building a retaining wall having a coupling protrusion and a coupling groove on a side surface thereof, the block having a first coupling protrusion formed on each side of four sides of a square side of the main block, (110), a second coupling protrusion (120), a first coupling groove (130) engaged with the first coupling projection and a second coupling groove (140) coupled with the second coupling projection (120); A through groove 170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main block 100 and vertically penetrating the main block 100; A drain groove 150 formed in a cross shape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lock 100;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lock 100 is fixed to the top surface of the main block 100 so that a lower portion of the fixing pin 230 connecting and fixing the upper block and the lower block when the main blocks 100 are stacked up and down can be inserted, Pin grooves 210 and 220; And a straight rectangular groove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main block so as to be parallel to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two upper surface fixing pin grooves 210 and 220. The center line of the rectangular groove is fixed to the two upper surface fixing A lower fixing pin groove 160 positioned closer to the inside of the block 100 than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pin grooves and capable of inserting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pin 230; And the upper block 320 of the continuously-stacking retaining wall blocks can be installed to be positioned behind the retaining wall than the lower block 310. FIG.

또한 바람직한 구현예로서, 상기 고정핀(230)의 길이는 9.5~10cm이고, 상기 고정핀(230)의 두께 또는 직경은 1cm이며, 상면 고정핀 홈(210,220)의 직경은 1.2~1.5cm이며, 깊이는 8cm이고, 상기 하면 고정핀 홈(160)의 높이는 3cm이하, 폭은 2~2.5cm으로 구성한다. In addition, as a preferred embodiment, the length of the fixing pin 230 is 9.5 to 10 cm, the thickness or the diameter of the fixing pin 230 is 1 cm, the diameter of the upper surface fixing pin grooves 210 and 220 is 1.2 to 1.5 cm, The depth of the fixing pin groove 160 is 3 cm or less, and the width of the fixing pin groove 160 is 2 to 2.5 cm.

또한, 상기 연속되어 적층되는 옹벽 블록 중 상부 블록(320)이 하부 블록(310)보다 상기 메인 블록(100) 높이의 1/10 만큼 뒤에 위치하도록 들여쌓기가 가능하도록 한다.In addition, the upper block 320 among the continuously stacked retaining blocks can be installed to be positioned behind the lower block 310 by 1/10 of the height of the main block 100.

또한, 상기 결합용 돌기(110,120)와 상기 결합홈(130,140)을 통하여 상기 메인 블록(100)이 좌우로 체결될 때, 상기 메인 블록(100)의 측면 체결이 이루어지지 않는 옹벽의 외부 벽면 부분은 측면이 상기 결합용 돌기(110,120) 및 결합용 홈(130,140) 대신 평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된 마감블록(250)으로 구성한다. When the main block 100 is fastened to the left and right through the coupling protrusions 110 and 120 and the coupling grooves 130 and 140, the outer wall portion of the retaining wall, to which side closure of the main block 100 is not performed, And a finishing block 250 having a side surface formed in a flat or curved surface instead of the coupling protrusions 110 and 120 and the coupling grooves 130 and 140.

또한, 상기 연속되어 적층되는 옹벽 블록들의 층과 층 사이에 지오그리드(400)를 삽입하여 옹벽 후방으로 연장 배치하고, 상기 지오그리드(400) 망 사이를 상기 고정핀(230)이 통과하도록 하여 지오그리드를 고정하여 설치한다. 또한 상기 연속되어 적층되는 각 층이 상기 마감블록(250)의 1열로 구성될 수도 있다. In addition, the geogrid 400 is inserted between the layers of the continuous wall blocks and extended to the rear of the retaining wall, and the fixing pin 230 passes between the meshes of the geogrid 400 to fix the geogrid . Further, each of the layers stacked successively may be constituted by one row of the finishing block 250.

또한, 상기 들여쌓기가 이루어지는 들여쌓기 부분, 즉 들여쌓기 모듈(600)의 상하 또는 좌우측에, 들여쌓기를 하지 않는 수직옹벽 모듈(500)을 지형에 맞게 결합하여 설치하되, 상기 수직옹벽 모듈은 직렬로 블록(100,250)을 적층하고 옹벽블록(100, 250)들의 반장 규격을 더 구비하여 각각을 적층하였을 때 이웃하는 블록들의 길이 차이에 따라 서로 분리되지 않고 견고하게 체결이 이루어지게 되는 직렬 교차 적층 부분을 구비한다. In addition, a vertical retention wall module 500, which is not indentified, is installed on top of the indentation module 600, that is, above or below the indentation module 600, A plurality of blocks 100 and 250 are stacked and a plurality of blocks of the retaining wall blocks 100 and 250 are laminated. When the blocks 100 and 250 are stacked, Respectively.

본 발명은 이상의 구성에 따라 좌우로 결합용 돌기와 결함 홈에 의하여 좌우로 체결이 이루어지고, 또한 고정핀을 사용하여 상하로 결합함으로서 지진의 발생시 수평 방향으로 작용하는 충격에 대해서 옹벽 구조물이 원위치를 벗어나 밀리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적층 상태가 견고하게 이루어져서 쉽게 무너지지 않는 효과가 있다. 또한 블록 본체의 구조에 따라 상하 적층시 뒤로 들여쌓기가 가능해짐으로써 수직으로 쌓는 것에 비해 더욱 자연스럽고 안정적이 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eft and right coupling protrusions and the defect grooves are fastened to the right and left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and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are coupled using the fixing pin,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is displaced from the original position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the substrate from being pushed, and the laminated state is firmly formed, so that it is not easily broken. Further, according to the structure of the block body, it is possible to stack the blocks vertically in the stacking direction, which is more natural and stable than stacking them vertically.

또한, 들여쌓기가 이루어지는 들여쌓기 부분, 즉 들여쌓기 모듈(600)의 상하 또는 좌우측에, 들여쌓기를 하지 않는 수직옹벽 모듈(500)을 지형에 맞게 결합하여 설치함으로써 암반 등 장애물이 있는 환경에서도 유연하게 대처하면서 옹벽블록을 설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vertical retaining wall module 500, which does not perform indentation, is installed on top of the indentation module 600, that is, above and below the indentation module 600, It is advantageous that the retaining wall block can be install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을 이루는 옹벽블록의 사시도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을 이루는 옹벽블록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을 이루는 옹벽블록의 배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을 이루는 옹벽블록의 좌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을 이루는 옹벽블록의 우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을 이루는 옹벽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을 이루는 옹벽블록의 저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의 사용상태도로서 측면의 적층 개념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의 사용상태도로서 위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의 사용상태도로서 도 6의 A-A' 라인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로서 적층 상태에서의 형태를 보여준다.
도 11, 12, 13은 마감블록과 지오그리드를 사용하여 들여쌓기를 하는 경우에 대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1은 마감블록으로 들여쌓기를 할 때 블록의 층과 층 사이에 지오그리드를 넣기 전의 평면도이며, 도12는 도 11과 같은 마감블록의 위에 지오그리드를 설치한 상태를 예시한 것이며, 도 12는 상기 마감블록의 층과 층 사이에 지오그리드를 설치하였을 때의 측면의 모습을 예시로 보여주는 개념도이다.
도 14, 15는 암반 등이 있을 때 암반이 있는 부분은 메인 블록을 들여쌓기를 하지 않고 직렬로 교차 적층하여 블록의 좌우 맞물림으로 구조를 견고하게 하는 수직옹벽 모듈(500)의 상부에 블록의 들여쌓기를 하는 들여 쌓기 모듈(600)을 적층하는 경우의 측면의 모습을 보여 준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taining wall block constituting an assembled earthquake-resistant retaining wall block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front view of a retaining wall block constituting the assembled earthquake-resistant retaining wall block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rear view of a retaining wall block constituting the assembled earthquake-resistant retaining wall block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left side view of a retaining wall block constituting the assembled earthquake-resistant retaining wall block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right side view of a retaining wall block constituting the assembled earthquake-resistant retaining wall block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lan view of a retaining wall block constituting the assembled earthquake-resistant retaining wall block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bottom view of a retaining wall block constituting the assembled earthquake-resistant retaining wall block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conceptual diagram of a side stacking structure as a state-of-use of the assembled earthquake-resistant retaining wall block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of use of the assembled earthquake-resistant retaining wall block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viewed from above.
FIG. 10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6 as a state diagram of the assembled earthquake-resistant retaining wall block system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12, and 13 are use state diagrams for a case where indentation is performed using a finishing block and a geoid. FIG. 11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where a geogrid is installed between a layer and a layer of a block when the block is stacked in a finishing block, FIG. 12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where a geogrid is installed on a finish block like FIG. FIG. 8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ide view of a case where a geogrid is installed between a floor and a floor of a finishing block.
FIGS. 14 and 15 show that when the rock mass is present, the portions where the rocks are located are cross-laminated in series without stacking the main blocks, so that the vertical retention wall module 500, Stacking module 600 for stacking the stacked layers.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시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옹벽 축조의 기본 단위가 되는 블록은 메인 블록(100)의 사각 측면의 4면의 각 면에 함께 형성되는 제1결합용 돌기(110) 및 제2결합용 돌기(110), 그리고 제1결합 홈(130,140) 및 제2결합 홈(140); 상기 메인 블록(100)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 블록(100)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관통홈(170); 상기 메인 블록(100)의 상부면에 십자형으로 형성된 배수홈(150); 상기 메인 블록(100)의 상면에 상기 메인 블록(100)들을 상하로 적층할 때 상부 블록과 하부 블록을 이어주고 고정해 주는 고정핀(230)의 아래 부분이 들어갈 수 있도록 상면으로부터 일정한 깊이까지 마련된 상면 고정핀 홈(210,220); 및 상기 메인 블록(100)의 하면에 상기 2개의 상면 고정핀 홈(210,220)을 잇는 직선과 평행을 이루도록 일직선의 사각홈을 형성하되, 상기 사각홈의 중심선이 평면도를 기준으로 상기 2개의 상면 고정핀 홈을 잇는 직선보다 블록(100)의 안쪽으로 더 가깝게 위치하고 또 상기 고정핀(230)의 윗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 하면 고정핀 홈(160)이 형성된다. 상기 제1결합용 돌기(110) 및 상기 제2결합용 돌기(120)는 결합용 돌기(110,120)으로 통칭하고, 상기 제1결합홈(130) 및 상기 제2결합홈(140)은 결합홈(130,140)으로 통칭한다. 1, a block serving as a basic unit of a retaining wall constru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coupling protrusion 110 and a second coupling protrusion 110 formed on four sides of four sides of a square side of the main block 100, (110), and first and second coupling grooves (130, 140) and a second coupling groove (140); A through groove 170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main block 100 and vertically penetrating the main block 100; A drain groove 150 formed in a cross shape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lock 100; The upper and lower blocks are stacked vertical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lock 100 so that the lower portion of the fixing pin 230 connecting the upper block and the lower block can be inserted. Upper surface fixing pin grooves 210 and 220; And a straight rectangular groove is formed on a lower surface of the main block so as to be parallel to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two upper surface fixing pin grooves 210 and 220. The center line of the rectangular groove is fixed to the two upper surface fixing A lower fixing pin groove 160 is formed which is positioned closer to the inside of the block 100 than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pin grooves and in which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pin 230 can be inserted. The first engaging protrusion 110 and the second engaging protrusion 120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engaging protrusions 110 and 120. The first engaging recess 130 and the second engaging recess 140 are referred to as engaging protrusions 110 and 120, (130, 140).

도2는 정면도로서 상기 배수홈(150)과 상기 하면 고정핀 홈(160)이 횡으로 보여지는 형태를 보여 준다.2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rain groove 150 and the lower surface fixing pin groove 160 are viewed laterally.

도 3은 배면도로서 상기 배수홈(150)의 위치를 보여준다. 3 is a rear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drain groove 150. As shown in FIG.

도 4는 좌측면도로서 상기 배수홈(150)의 위치와 상기 하면 고정핀 홈(160)의 형태와 위치를 보여주는데, 상기 하면 고정핀 홈(160)의 단면이 위로 사각형 형태로 파여져서 상기 고정핀(230)의 윗부분이 고정될 수 있게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4 is a left side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drainage groove 150 and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lower surface fixing pin groove 160.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fixing pin groove 160 is cut in a rectangular shape, So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base 230 can be fixed.

도5는 우측면도로서 상기 배수홈(150)의 위치와 상기 하면 고정핀 홈(160)의 형태와 위치를 보여주는데, 역시 상기 하면 고정핀 홈(160)의 단면이 위로 사각형 형태로 파여져서 상기 고정핀(230)의 윗부분이 고정될 수 있게 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5 is a right side view showing the position of the drainage groove 150 and the shape and position of the lower surface fixing pin groove 160. The end surface of the lower surface fixing pin groove 160 is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It can be seen that the upper portion of the pin 230 can be fixed.

도6은 평면도로서, 상기 배수홈(150)이 십자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관통홈(170)이 중앙부에 형성되어 있으며, 각 상기 메인 블록(100)의 사각 측면의 4면의 각 면에 함께 형성되는 상기 결합용 돌기(110,120)와 상기 결합홈(130,140)들의 형태를 보여 준다. 이 때 상기 사각 측면의 4면이라고 하는 것은 상기 결합용 돌기(110,120)의 바깥쪽 면을 포함하는 사각형을 기준으로 하는 것으로 상기 좌측면도, 우측면도, 정면도, 배면도를 위한 각도와는 다르다.6 is a plan view of the main block 100. The drain groove 150 is formed in a cross shape and the through groove 170 is formed at a central portion. And the shapes of the coupling protrusions 110 and 120 and the coupling grooves 130 and 140 formed together are shown. In this case, the four sides of the square side are based on a quadrangle including the outer side of the coupling protrusions 110 and 120, and are different from the angles for the left side view, the right side view, the front view, and the rear view.

도7은 저면도로서 상기 하면 고정핀 홈(160)이 좌우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볼 수 있다.7 is a bottom view showing that the lower surface fixing pin groove 160 is formed to the left and right.

도8은 메인 블록(100)이 상하로 적층될 때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블록 높이의 1/10씩 뒤로 들여쌓기가 되도록 상기 상면 고정핀 홈(210,220)과 상기 하면 고정핀 홈(160)이 상기 고정핀(230)으로 연결되어 있다.8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 state of use when the main block 100 is stacked up and down. The upper surface fixing pin grooves 210 and 220 and the lower fixing pin groove 160 are connected to the fixing pin 230 so as to be piled up by 1/10 of the block height.

이 때 상기 고정핀(230)의 길이는 9.5 ~ 10 c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고정핀(230)이 들어가는 상기 상면 고정핀 홈(210,220)은 2개로서, 각각 원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직경은 1.2 ~ 1.5 cm인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하면 고정핀 홈(160)은 단면이 직사각형이며, 단면으로 볼 때 직사각형의 하단을 이루는 쪽이 개방된 형태, 즉 'ㄷ' 자를 우측으로 90도 회전시킨 형태를 가지게 되어 이 홈으로 상기 고정핀(230)의 윗부분이 들어가게 된다. 상기 하면 고정핀 홈(160)의 높이는 3cm이내가 바람직하고, 상기 하면 고정핀 홈(160)의 폭은 2~2.5 c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치들은 상기 고정핀(230)의 두께 또는 직경이 1cm일 때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상면 고정핀 홈(210,220)의 깊이는 8cm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length of the fixing pin 230 is preferably about 9.5 to 10 cm. The upper surface fixing pin grooves 210 and 220 into which the fixing pins 230 are inserted are preferably two in number and circular in diameter and preferably 1.2 to 1.5 cm in diameter,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in 23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so that the lower end of the rectangle is opened. That is, the upper end of the fixing pin 230 is inserted into the groove, do. The height of the fixing pin groove 160 is preferably 3 cm or less, and the width of the lower fixing pin groove 160 is preferably 2 to 2.5 cm. These values are based on a case where the thickness or diameter of the fixing pin 230 is 1 cm. The depth of the upper surface fixing pin grooves 210 and 220 is preferably about 8 cm.

상기 메인 블록(100)의 상면 고정핀 홈(210,220)과 상기 하면 고정핀 홈(160)의 상대적 위치는 상기 메인 블록(100)의 하면에 상기 2개의 상면 고정핀 홈(210,220)을 잇는 직선과 평행을 이루도록 일직선의 사각홈을 형성하도록 하며, 상기 사각홈의 중심선이 평면도를 기준으로 상기 2개의 상면 고정핀 홈을 잇는 직선보다 블록(100)의 안쪽, 곧 블록(100)의 중심부에 더 가깝게 위치하고 또 상기 고정핀(230)의 윗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다.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upper surface fixing pin grooves 210 and 220 and the lower surface fixing pin groove 160 of the main block 100 are determined by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two upper surface fixing pin grooves 210 and 220 to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lock 100 And the center line of the rectangular groove is located closer to the inside of the block 100 than the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two upper surface fixing pin grooves with respect to the plane view, that is, closer to the center of the block 100 And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pin 230 can be inserted.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고정핀 홈(210,220)과 상기 하면 고정핀 홈(160)의 위치를 잡는 데 있어서, 연속되어 적층되는 2개의 블록 중 상부 블록(320)이 상기 연속되어 적층되는 2개의 블록 중 하부 블록(310)보다 상기 메인 블록(100) 높이의 10분의 1의 거리만큼 옹벽의 후면으로 들여쌓기가 되도록 상기 상면 고정핀 홈(210,220)과 상기 하면 고정핀 홈(160)의 위치가 설정된다.More specifically, in positioning the fixing pin grooves 210 and 220 and the lower fixing pin groove 160, an upper block 320 among the two blocks successively stacked is positioned between the two blocks The positions of the upper surface fixing pin grooves 210 and 220 and the lower fixing pin groove 160 are set so as to be greater than the height of the main block 100 by a distance corresponding to one tenth of the height of the middle block 310, Respectively.

도9는 사용상태도로서 메인 블록(100)이 횡으로 체결된 상태를 보여 준다. 위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구성이 구비된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에 있어서, 측면으로는 블록 간의 결속력이 증대되도록 인접한 블록과 블록이 상기 제1결합용 돌기(110)와 상기 제2 결합용 돌기(120)이 상기 제1결합홈(130) 및 상기 제2결합홈(140)과 각각 맞물리는 방식으로 조립된다. 즉 상기 제1결합용 돌기(110)와 상기 제1결합홈(130)이 맞물리고, 상기 제2결합용 돌기(130)와 상기 제2결합홈(140)이 맞물리게 되는 것이다. 상기 제1결합용 돌기(110)와 상기 제2결합용 돌기(120)은 결합용 돌기(110,120)으로 통칭되며, 상기 제1결합홈(130)과 상기 제2결합홈(140)은 결합홈(130,140)으로 통칭된다. 이 때 제 1결합용 돌기와 제2결합용 돌기의 모양은 동일하지 않고, 상기 제1결합용 돌기(110)는 상기 제2결합용 돌기(120)보다 돌출된 부분이 더 많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1결합용 돌기(110)는 상기 메인 블록(100)의 평면도를 기준으로 사각 측면의 모서리부에 형성된 상기 제1결합홈(130)에 결합되고, 상기 제2결합용 돌기(120)는 상기 사각측면의 측면부에 호의 형태로 형성된 상기 제2결합홈(140)에 결합된다.9 shows a state in which the main block 100 is laterally fastened as a state diagram of use. In the prefabricated anti-seizure retaining wall block having the structure as described above, the adjacent blocks and the blocks are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coupling protrusions 110 and 120 so that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blocks increases. The first engaging groove 130 and the second engaging groove 140, respectively. That is,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110 and the first coupling groove 13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and the second coupling projection 130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14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first engaging protrusion 110 and the second engaging protrusion 120 are collectively referred to as engaging protrusions 110 and 120. The first engaging recess 130 and the second engaging recess 140 are engaged with each other, (130, 140). At this time, the shapes of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s and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s are not the same, and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s 110 are formed so as to have more protruded portions than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s 120,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110 is coupled to the first coupling groove 130 formed at a corner of a square side with reference to a top view of the main block 100, And is coupled to the second coupling groove 140 formed in the shape of a arc on the side surface of the square side.

도 10은 사용상태도로서 도6의 A-A'라인의 절단 단면도인데 메인 블록(100)이 조립된 상태에서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메인 블록(100)들이 상하로 적층될 때 하부 블록(310) 상면에 형성된 상기 상면 고정핀 홈(210,220)에 상기 고정핀(230)을 박고, 상기 고정핀(230)의 윗부분에 상부 블록(320) 하면에 형성된 하면 고정핀 홈(160)이 걸리도록 하여 밀려남을 방지하고, 또한 상기 상면 고정핀 홈(210,220)과 상기 하면 고정핀 홈을 통하여 상기 메인 블록(100)들을 상하로 적층하여 상기 고정핀(230)으로 결합하였을 때 상기 상부 블록(320)이 상기 하부 블록(310)보다 상기 메인 블록(100) 높이의 10분의 1의 일정한 거리만큼 뒤로 들여쌓기가 되도록 함으로써, 밀려남을 방지하고 안전성 있는 견고한 옹벽을 구축할 수 있는 시스템이 형성된다. 10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6 as a state diagram of use,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in a state where the main block 100 is assembled. When the main blocks 100 are vertically stacked, the fixing pins 230 are inserted into the upper surface fixing pin grooves 210 and 220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block 310, And the main block 100 is stacked up and down through the upper surface fixing pin grooves 210 and 220 and the lower fixing pin groove When the upper block 320 is coupled with the fixing pin 230, the upper block 320 is moved backward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at is one tenth of the height of the main block 100 from the lower block 310, And a system that can form a stable solid retaining wall is formed.

또한, 상기 제1결합용 돌기(110), 상기 제2결합용 돌기(120) 및 상기 제1 결합홈(130), 상기 제2결합홈(140)을 통하여 상기 메인 블록(100)이 좌우로 체결되고, 또 상기 상면 고정핀 홈(210,220)과 상기 하면 고정핀 홈(160) 및 고정핀(230)을 통하여 상하로 체결됨으로써 옹벽이 축조될 때, 측면 체결이 이루어지지 않는 옹벽의 외부 벽면 부분은 측면이 상기 결합용 돌기(110,120) 및 결합용 홈(130,140) 대신 평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된 마감블록(250)으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마감블록 역시 상기 상면 고정핀 홈(210,220)과 상기 하면 고정핀 홈(160)을 구비하여 상기 메인 블록(100)과 같은 방식으로 상기 상부 블록(320)이 상기 하부 블록(310)보다 상기 메인 블록(100) 높이의 10분의 1의 일정한 거리만큼 뒤로 들여쌓기가 되도록 할 수 있다. The main block 100 is moved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through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110, the second coupling protrusion 120, the first coupling groove 130, and the second coupling groove 140 And the upper surface fixing pin grooves 210 and 220 and the lower surface fixing pin groove 160 and the fixing pin 230 so that when the retaining wall is assembled, the outer wall surface portion of the retaining wall, And a finishing block 250 having a side surface formed in a flat or curved surface instead of the coupling protrusions 110 and 120 and the coupling grooves 130 and 140. The finishing block also includes the upper surface fixing pin grooves 210 and 220 and the lower fixing pin grooves 160 so that the upper block 320 is positioned closer to the main block 100 than the lower block 310, And may be stacked back by a certain distance of one-tenth of the height of the block 100.

도 11, 도 12, 도 13은 마감블록(250)과 옹벽보강을 위한 지오그리드(400)를 사용하여 들여쌓기를 하는 경우에 대한 사용 상태도이다. 도 11은 상기 마감블록(250)으로 들여쌓기를 할 때 블록의 층과 층 사이에 지오그리드를 넣기 전의 평면도이며, 도12는 도 11과 같은 마감블록(250)의 위에 상기 지오그리드(400)를 설치한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즉 도12는 상기 지오그리드(400)가 옹벽이 축조되는 사용상태에서 배치되는 형태에 대한 평면도를 보여 주는 것으로, 상기 마감블록(250)을 한 층 쌓고 그 위에 다른 층을 적층하기 전에 상기 지오그리드(400)를 설치하고 그 위에 다른 층을 적층할 수 있다. 도 13은 상기 마감블록(250)의 층과 층 사이에 상기 지오그리드(400)를 설치하였을 때의 측면의 모습을 예시로 보여주는 사용상태도이다. 즉 도 13에서와 같이 연속되어 적층되는 옹벽 블록들의 층과 층 사이에 지오그리드(400)를 삽입하여 옹벽 후방으로 연장 배치하고, 상기 지오그리드(400) 망 사이를 상기 고정핀(230)이 통과하도록 하여 지오그리드를 고정하여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지오그리드(400)를 설치하는 것은 옹벽 후방에 있는 흙으로부터 옹벽을 향해 가해지는 힘, 곧 흙으로부터 옹벽을 이탈시키려는 힘을 옹벽이 이겨낼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지오그리드(400)는 블록이 적층되는 층과 층 사이에 매번 설치할 필요는 없으며, 3개 내지 4개 층 마다 설치하여도 된다. FIGS. 11, 12 and 13 are views illustrating the use of the finishing block 250 and the geogrid 400 for reinforcing a retaining wall. FIG. 11 is a plan view showing a state where the geogrid 400 is installed on the finishing block 250 as shown in FIG. 11, and FIG. As shown in FIG. That is, FIG. 12 is a plan view of the geogrid 400 disposed in a use state in which a retaining wall is formed, and the geogrid 400 is disposed before the finishing block 250 is stacked and another layer is stacked thereon. ) And another layer may be stacked thereon. FIG. 13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ide view of the case where the geogrid 400 is installed between layers of the finishing block 250. FIG. That is, as shown in FIG. 13, the geogrid 400 is inserted between the layers of the retaining wall blocks continuously stacked and extended to the rear of the retaining wall, and the fixing pin 230 passes between the meshes of the geogrid 400 The geogrid can be fixed and installed. The installation of the geogrid 400 is intended to allow the retaining wall to overcome the force applied from the soil behind the retaining wall toward the retaining wall, that is, the force for releasing the retaining wall from the soil. The geogrid 400 is not necessarily installed between the layers in which the blocks are stacked and the layers, but may be installed every three to four layers.

도 14, 도 15는 암반 등이 있을 때 암반이 있는 부분은 메인 블록을 들여쌓기를 하지 않고 수직용벽 부분 즉 수직옹벽 모듈(500)을 지형에 맞게 설치하되, 상기 수직옹벽 모듈에 대해서는 옹벽블록(100, 250)들의 반장 규격을 더 구비하여 각각을 적층하였을 때 이웃하는 블록들의 길이 차이에 따라 서로 분리되지 않고 견고하게 체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FIGS. 14 and 15 show that, when there is a rock or the like, the portion where the rock is located is installed in the vertical wall portion, that is, the vertical retaining wall module 500, 100, and 250, respectively, so that when they are laminated, they are firmly fastened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difference in length of the neighboring blocks.

도14의 구성이 보여 주는 이러한 수직옹벽 구성, 즉 도 15에서의 수직옹벽 모듈(500)이 하부 모듈을 구성한다. 도 15의 수직옹벽 모듈(500), 즉 직렬 교차 적층 모듈에서 옹벽의 바깥부분을 구성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상기 마무리 블록(250)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수직옹벽 부분(500)에서 블록의 전장 규격과 반장 규격의 교차 적층을 위하여 상기 마무리 블록(250)의 전장 규격과 반장 규격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This vertical retaining wall configuration shown in FIG. 14, that is, the vertical retaining wall module 500 in FIG. 15, constitutes a lower module. 15, the finishing block 250 can be used for the portion constituting the outer portion of the retaining wall in the serial cross lamination module, For the cross-lamination of half-size specifications, both the full-length and half-size specifications of the finishing block 250 can be used.

도 15의 상부 모듈인 들여쌓기 모듈(600)은 도 9, 도 10이 보여 주는 들여쌓기를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도 11, 도 12, 도 13이 보여 주는 지오그리드(400)를 사용한 들여쌓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The indentation module 600, the upper module of FIG. 15, may use the indentation shown in FIGS. 9 and 10, or may use indentation using the geogrid 400 shown in FIGS. 11, 12, It is possible.

또한 도15에서는 상기 들여쌓기 모듈(600)이 상기 수직옹벽 모듈(500)의 상부에 적층되는 것을 보여주고 있으나, 지형 또는 환경에 따라 상기 들여 쌓기 모듈(600)과 상기 수직옹벽 모듈(500)을 결합하되 상하좌우 등 모든 방향으로 서로 결합하여 옹벽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수직옹벽 모듈(500)의 상부, 하부, 또는 기타 필요한 경우에 블록(100, 250)의 반장 규격을 사용하여 모듈의 경계면이 평면이 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직옹벽 모듈(500)의 상부에 상기 들여쌓기 모듈(600)이 적층되는 경우, 상기 수직옹벽 모듈(500)의 윗면이 편명이 되도록 블록(100, 250)의 반장규격을 사용할 필요가 있다. 15, the indwelling module 600 is stacked on the vertical retention wall module 500, but the indwelling module 600 and the vertical retention wall module 500 may be stacked according to the terrain or environment. It is possible to construct a retaining wall system by joining together in all directions such as up, down, left and right. At this time, it is necessary to make the interface of the module flat by using the half-size specifications of the blocks 100, 250 when the upper, lower, or other necessary portions of the vertical retention wall module 500 are used. For example, when the indwelling module 600 is stacked on the upper part of the vertical retention wall module 500, the upper side of the vertical retention wall module 500 may be used as a counterweight of the blocks 100 and 250 There is a need.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drawings disclos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lthough specific terms are used, they are merely used in a general sense to easily describe the technical cont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invention ,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100: 메인 블록 110: 제1결합용 돌기
120: 제2결합용 돌기 130: 제1결합 홈
140: 제2결합 홈 150: 배수홈
160: 하면 고정핀 홈 170: 관통 홈
210, 220: 상면 고정핀 홈 230: 고정핀
250: 마감블록 310: 하부 블록
320: 상부 블록 400: 지오그리드
500: 수직 옹벽 모듈 600: 들여쌓기 모듈
100: main block 110: first coupling projection
120: second coupling projection 130: first coupling groove
140: second coupling groove 150: drainage groove
160: lower fixing pin groove 170: through groove
210, 220: upper surface fixing pin groove 230: fixing pin
250: Finishing block 310: Lower block
320: upper block 400: geogrid
500: vertical retaining wall module 600: indenting module

Claims (7)

측면에 결합용 돌기와 결합홈을 구비한 옹벽 축조용 블록에 있어서,
메인 블록(100)의 사각 측면의 4면의 각 면에 함께 형성되는 제1결합용 돌기(110)와 제2결합용 돌기 및 상기 제1결합용 돌기와 체결되는 제1 결합홈(130)과 상기 제2결합용 돌기와 체결되는 제2결합홈(140);
상기 메인 블록(100)의 중앙부에 형성되고 상기 메인 블록(100)를 수직으로 관통하는 관통홈(170);
상기 메인 블록(100)의 상부면에 십자형으로 형성된 배수홈(150);
상기 메인 블록(100)들을 상하로 적층할 때 상부 블록과 하부 블록을 이어주고 고정해 주는 고정핀(230)의 아래 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메인 블록(100)의 상면에 마련된 2개의 상면 고정핀 홈(210,220); 및
상기 메인 블록(100)의 하면에 상기 2개의 상면 고정핀 홈(210,220)을 잇는 직선과 평행을 이루도록 일직선의 사각홈을 형성하되, 상기 사각홈의 중심선이 상기 2개의 상면 고정핀 홈을 잇는 직선보다 상기 메인 블록(100)의 안쪽으로 더 가깝게 위치하고, 상기 고정핀(230)의 윗부분이 삽입될 수 있도록 마련된 하면 고정핀 홈(160); 을 구비하여,
연속되어 적층되는 옹벽 블록 중 상부 블록(320)이 하부 블록(310)보다 옹벽의 뒤쪽으로 위치하도록 들여쌓기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
A retaining wall building block having a coupling projection and a coupling groove on a side surface,
A first coupling protrusion 110 formed on each side of four sides of the square block of the main block 100, a second coupling protrusion, a first coupling groove 130 coupled with the first coupling protrusion, A second coupling groove (140) engaged with the second coupling projection;
A through groove 170 formed at a central portion of the main block 100 and vertically penetrating the main block 100;
A drain groove 150 formed in a cross shape on an upper surface of the main block 100;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lock 100 is fixed to the top surface of the main block 100 so that a lower portion of the fixing pin 230 connecting and fixing the upper block and the lower block when the main blocks 100 are stacked up and down can be inserted, Pin grooves 210 and 220; And
A rectangular straight groove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block 100 so as to be parallel to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two upper surface fixing pin grooves 210 and 220. A center line of the square groove is formed in a straight line connecting the two upper surface fixing pin grooves A lower fixing pin groove 160 positioned closer to an inner side of the main block 100 than the lower fixing pin groove 160 and inserted into the upper portion of the fixing pin 230; And,
Characterized in that the upper block (320) of the retaining wall blocks successively stacked is capable of being built in such that the lower block (310) is positioned behind the retaining wal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230)의 길이는 9.5~10cm이고, 상기 고정핀(230)의 두께 또는 직경은 1cm이며, 상면 고정핀 홈(210,220)의 직경은 1.2~1.5cm이며, 깊이는 8cm이고, 상기 하면 고정핀 홈(160)의 높이는 3cm이하, 폭은 2~2.5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xing pin 230 has a length of 9.5 to 10 cm and the fixing pin 230 has a thickness of 1 cm and a diameter of 1.2 to 1.5 cm and a depth of 8 cm. And the lower pin groove 160 has a height of 3 cm or less and a width of 2 to 2.5 cm.
제1항에 있어서,
연속되어 적층되는 옹벽 블록 중 상부 블록(320)이 하부 블록(310)보다 상기 메인 블록(100) 높이의 1/10 만큼 뒤에 위치하도록 들여쌓기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upper block (320) of the retaining wall blocks successively stacked is capable of being installed so as to be positioned behind the lower block (310) by 1/10 of the height of the main block (10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용 돌기(110,120)와 상기 결합홈(130,140)을 통하여 상기 메인 블록(100)가 좌우로 체결될 때, 측면 체결이 이루어지지 않는 메인 블록(100)의 측면 체결이 이루어지지 않는 옹벽의 외부 벽면 부분은 측면이 상기 결합용 돌기(110,120) 및 결합용 홈(130,140) 대신 평면 또는 곡면으로 형성된 마감블록(250)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n the main block 100 is fastened to the left and right through the coupling protrusions 110 and 120 and the coupling grooves 130 and 140, the main block 100, which is not side- Wherein the wall portion comprises a finishing block (250) having a side surface formed in a flat or curved surface instead of the coupling protrusions (110,120) and the coupling grooves (130,14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되어 적층되는 옹벽 블록들의 층과 층 사이에 지오그리드(400)를 삽입하여 옹벽 후방으로 연장 배치하고, 상기 지오그리드(400) 망 사이를 상기 고정핀(230)이 통과하도록 하여 지오그리드를 고정하여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geogrid 400 is inserted between the layers of the continuous wall blocks and extended to the rear of the retaining wall so that the fixing pin 230 passes between the walls of the geogrid 400 to fix the geogrid. Wherein the resilient retaining wall block system comprise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되어 적층되는 각 층이 상기 마감블록(250)의 1열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
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each successive stack of layers comprises one row of the finishing block (25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들여쌓기가 이루어지는 들여쌓기 모듈(600)의 상하 또는 좌우측에,
들여쌓기를 하지 않는 수직옹벽 모듈(500)을 지형에 맞게 결합하여 설치하되,
상기 수직옹벽은 직렬로 블록(100,250)을 적층하고 옹벽블록(100, 250)들의 반장 규격을 더 구비하여 각각을 적층하였을 때 이웃하는 블록들의 길이 차이에 따라 서로 분리되지 않고 견고하게 체결이 이루어지게 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내진 옹벽블록 시스템.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the top, bottom, left, and right sides of the indenting module 600 where the indenting is performed,
A vertical retaining wall module 500 that does not include the indentation is installed to be fitted to the topography,
The vertical retaining walls are stacked in series with the blocks 100 and 250, and further have a half size standard of the retaining wall blocks 100 and 250. When they are stacked, the vertical retaining walls are firmly fastened Wherein the resilient retaining wall block system comprises:
KR1020170035449A 2017-03-21 2017-03-21 Retaining Wall Block System KR20180106715A (en)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449A KR20180106715A (en) 2017-03-21 2017-03-21 Retaining Wall Block System
CN201880030871.4A CN110678609A (en) 2017-03-21 2018-03-07 Assembled type earthquake-proof retaining wall building block system
PCT/KR2018/002706 WO2018174436A1 (en) 2017-03-21 2018-03-07 Assembly-type earthquake-resistance retaining wall block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449A KR20180106715A (en) 2017-03-21 2017-03-21 Retaining Wall Block System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2761A Division KR102135594B1 (en) 2019-04-11 2019-04-11 Retaining Wall Block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715A true KR20180106715A (en) 2018-10-01

Family

ID=635846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5449A KR20180106715A (en) 2017-03-21 2017-03-21 Retaining Wall Block System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80106715A (en)
CN (1) CN110678609A (en)
WO (1) WO2018174436A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411B1 (en) * 2018-10-30 2019-10-30 주식회사 대흥미래기술 Block assembly for anti-erosion
KR20200105199A (en) * 2019-02-28 2020-09-07 최현석 Retaining wall block system to improve water permeablit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03111B (en) * 2021-09-02 2022-10-25 北京科技大学 Masonry type water filtering filling retaining wall building block structure and building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84235A (en) * 1994-06-02 1996-01-16 Hilfiker; William K. Retaining wall system
KR200268824Y1 (en) * 2001-12-05 2002-03-18 이상은 Vegetation block
KR100481160B1 (en) * 2004-02-02 2005-04-06 송기도 The retaining wall for a block
KR200381301Y1 (en) * 2005-01-12 2005-04-14 강연익 fabricate block for constructing breast wall
KR100647071B1 (en) * 2006-03-06 2006-11-23 대명콘텍 주식회사 The method of constructing bloclk for wall
KR100856817B1 (en) * 2006-04-17 2008-09-05 이명오 Method of conctruction of retaining wall for reinforced earth using concrete block
KR20140002530U (en) * 2012-10-22 2014-05-02 (주)명지보강토건설 Retaining wall block
KR102255652B1 (en) * 2014-07-08 2021-05-26 주식회사 에코탑 Retaining wall block and the construction method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411B1 (en) * 2018-10-30 2019-10-30 주식회사 대흥미래기술 Block assembly for anti-erosion
KR20200105199A (en) * 2019-02-28 2020-09-07 최현석 Retaining wall block system to improve water permeablit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74436A1 (en) 2018-09-27
CN110678609A (en) 2020-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7208A (en) Retaining Wall Block System
KR101103142B1 (en)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KR20180106715A (en) Retaining Wall Block System
KR100764135B1 (en) Reinforced soil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erof
KR100632966B1 (en) A corner block for constructing reinforced earth wall
JP6207949B2 (en) Retaining wall structure
KR101633853B1 (en) An eco-friendly gabibolck for retaining wall with modular retaining wall
KR100505127B1 (en) Segmental Block-faced Retaining Wall System
KR100644795B1 (en) the revetment of prefabricated panel
KR100878716B1 (en) Coupling Block for Revetment Construction with Vegetation
CN104220679B (en) For the structure member of rainwater storage layers lamination structural body
JP4614928B2 (en) Lightweight embankment method
KR101072286B1 (en)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KR101065726B1 (en)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KR101328027B1 (en) Cutting the ground area breast wall and slant safe-guard structure
KR100574830B1 (en) A block for revetment and assembly and revetment construction method
KR100574778B1 (en) Block for reinforcement or vegetation
KR200387146Y1 (en) Coupling Block for Revetment Construction
KR101201796B1 (en) Rain-storage tank
KR101647089B1 (en) Breast wall block
KR102510481B1 (en) Slurry wall connection structure and slurry wall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200334296Y1 (en)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Blocks
JP2002220834A (en) Reinforced earth structure and reinforced earth block
KR100872999B1 (en) The reinforced earth block equipped with the fastening device
KR200433699Y1 (en) A Retaining Wal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