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28049B1 - Self-retained wall sructure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 Google Patents

Self-retained wall sructure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28049B1
KR101628049B1 KR1020150063269A KR20150063269A KR101628049B1 KR 101628049 B1 KR101628049 B1 KR 101628049B1 KR 1020150063269 A KR1020150063269 A KR 1020150063269A KR 20150063269 A KR20150063269 A KR 20150063269A KR 101628049 B1 KR101628049 B1 KR 101628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fixed
slope
fitting
suppor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326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628049B9 (en
KR20150136004A (en
Inventor
문제환
김선학
Original Assignee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4006310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528302B1/en
Application filed by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063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28049B1/en
Publication of KR201501360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6004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28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8049B1/en
Publication of KR101628049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28049B9/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3/00Engineering works in connection with control or use of streams, rivers, coasts, or other marine sites; Sealings or joints for engineering works in general
    • E02B3/04Structures or apparatus for, or methods of, protecting banks, coasts, or harbours
    • E02B3/12Revetment of banks, dams, watercourses, or the like, e.g. the sea-floor
    • E02B3/14Preformed blocks or slabs for forming essentially continuous surfaces; Arrangement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8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mixed type

Abstract

본 발명은 지지 블럭의 배열 구조를 개량하여 자체 지지력을 높이고, 강제 빔과 같은 지지 부재의 사용을 최대한 절감시킨 새로운 형태의 자립식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자립식 옹벽 구조물은, 성토 사면 또는 절토 사면에 지지 블럭을 축조하여 만들어지는 옹벽 구조물로서, 상기 사면(10)을 따라 축조되는 지지 블럭은 상하로 관통된 삽입홀(50)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고정 블럭(20,40)과, 상기 고정 블럭(20,40)의 사이에 위치하는 끼움 블럭(3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블럭(20,40)의 삽입홀(50)에는 고정빔(60)이 통과하여 지반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고정빔(60)에는 끼움 날개부(6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 블럭(20,40)에는 상기 끼움 날개부(62)가 끼워지도록 날개 수용홈(52)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 블럭(30)의 양측에는 상기 사면(10)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인접하는 상기 고정 블럭(20,40)의 일측과 걸림 결합되는 걸림턱(32)이 형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ain purpose to provide a new type of self supporting type retaining wall structure which improves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supporting blocks to increase the self supporting force and to reduce the use of supporting members such as forcible beams as much as possibl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lf supporting type retaining wall structure comprising a supporting block formed on a slope slope or a slope slope, the supporting block being formed along the slope, A fixing block 20,40 having at least one hole 50 formed therein and a fitting block 30 positioned between the fixing blocks 20,40, The fixing beam 60 is inserted into the hole 50 and inserted and fixed in the ground. The fixing beam 60 is formed with a fitting wing 62 and the fixing block 20, 40 is provided with the fitting wing 62 The fitting block 30 is formed with a wing receiving groove 52 on one side of the adjacent fixed blocks 20 and 40 so as to withstand the pressure applied from the slope 10 on both sides of the fitting block 30, The engaging protrusion 32 is formed.

Description

자립식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SELF-RETAINED WALL SRUCTURE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0001] SELF-RETAINED WALL SRUCTURE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0002]

본 발명은 자립식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지용 블럭과 끼움용 블럭이 교대로 설치된 자립식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elf supporting type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a method of construction thereof, and more particularly, to a self supporting type retaining wall structure in which a support block and a fitting block are alternately installed,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새로운 도로, 다리, 항만, 공장부지, 주택단지 등을 조성할 때에는 기존의 지반을 절개하거나 지반 위에 토사를 쌓아 올려 새로운 사면을 형성하는 경우가 있다. 새로이 생성된 인공 절토 사면이나 성토 사면이 강우 등의 외부 요인으로 인해 붕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지지 구조로 쌓아 올린 옹벽 구조물을 설치하게 된다.When constructing new roads, bridges, harbors, factory sites, housing complexes, etc., there are cases where existing slopes are cut or new slopes are formed by accumulating soil on the ground. In order to prevent the newly created artificial slope or embankment slope from collapsing due to external factors such as rainfall, The structure of the retaining walls piled up is installed.

도 1은 성토 사면에 많이 설치되는 고정 그리드(3)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1의 (a)는 옹벽 구조물의 단면도이고, 도 1의 (b)는 옹벽 구조물의 시공 장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성토 사면(1)에 옹벽 구조물을 시공하기 위해서는, 먼저 동일한 형태의 지지 블럭(2)을 복수개의 층을 이루도록 적층하고, 각각의 층이 완성될 때마다 지지 블럭(2)에서부터 성토 사면(1) 쪽으로 연장되도록 고정 그리드(3)를 깔아서 배열한다. 성토 사면(1)의 내부로 연장되도록 깔려진 고정 그리드(3)는 토양과의 마찰력을 이용해 사면으로부터 상기 지지 블럭(2)에 가해지는 압력을 견딜 수 있는 지지력을 만들어준다.1 schematically shows a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using a fixed grid 3, which is installed on many embankment slopes. FIG. 1 (a) is a sectional view of a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FIG. 1 (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struction view of a retaining wall structure. In order to construct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on the embankment slope 1, the supporting blocks 2 of the same shape are first laminated so as to form a plurality of layers, and the embankment surface 1 is formed from the supporting block 2 each time each layer is completed. The fixed grid 3 is laid out and arranged. The stationary grid 3 laid to extend into the interior of the embankment slope 1 makes use of the frictional force with the soil to create a bearing force capable of withstanding the pressure applied to the support block 2 from the slope.

이러한 옹벽 구조물에 있어서 상기 지지 블럭(2)은 단순히 자중에 의한 힘만으로 지지력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실제 성토 사면(1)으로부터 전달되는 압력을 견디기에 충분하지 않다. 따라서, 각 지지 블럭(2)의 층과 층 사이에 삽입 배치되는 고정 그리드(3)가 마치 철근 콘트리트 구조물에 있어서 철근과 같은 역할을 수행하여 옹벽 구조물의 지지력을 발생시킨다. 고정 그리드(3)와 성토 사면(1)과의 마찰력을 높이기 위하여 각 층을 축조할 때마다 성토 사면(1)의 다짐도가 95% 이상이 되도록 다짐 롤러 등을 이용하여 성토 사면을 단단히 다지면서 쌓아 올려야 한다. 그 결과, 작업 시간이 오래 걸렸을 뿐만 아니라, 옹벽의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고정 그리드(3)의 길이도 증가되어야 하므로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점도 있었다. In such a retaining wall structure, the support block 2 is not sufficient to withstand the pressure transmitted from the actual embankment surface 1 because it simply generates a supporting force by its own weight. Therefore, the fixed grid 3 interposed between the layers of the respective supporting blocks 2 acts like a reinforcing bar in a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thereby generating a supporting force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In order to increase the frictional force between the stationary grid 3 and the embossed surface 1, the embossed surface of the embossed surface 1 is piled up tightly using a compaction roller or the like so that the degree of compaction of the embossed surface 1 becomes 95% Should be raised. As a result, not only is the operation time long, but also the height of the retaining wall is increased and the length of the fixed grid 3 is also increased, thus complicating the process.

도 2는 절토 사면에 많이 시공되는 고정 앵커(5)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도 2의 (a)는 옹벽 구조물의 단면도이고, 도 2의 (b)는 옹벽 구조물의 시공 장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지반을 깍아서 만든 절토 사면(1)에 동일한 형태의 지지 블럭(4)을 쌓아 올린 후에 각각의 지지 블럭(4)에 일정한 길이를 가진 금속재의 고정 앵커(5)를 절토 사면(1)의 내부로 일정한 경사를 갖도록 삽입 시공한다. 2 schematically shows a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a fixed anchor 5 widely applied to a cut slop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of. 2 (a) is a sectional view of a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FIG. 2 (b)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struction view of a retaining wall structure. A support block 4 of the same shape is piled up on a cut slope 1 made by cutting ground and then a fixed anchor 5 of a metal material having a predetermined length is inserted into each support block 4 into the cut slope 1 It is inserted so as to have a constant inclination.

절토 사면(1)은 오랜 세월 동안 다져져온 자연 지반이므로 다짐도가 매우 높다. 따라서, 이 절토 사면(1) 내에 경사지게 삽입 설치되는 고정 앵커(5)에 의해 지지 블럭(4)은 일정 수준 이상의 지지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 공법의 경우에도 지지 블럭(4)은 자체 자중에 의한 지지력만 있기 때문에 충분한 지지력을 얻기 위해서는 반드시 각각의 지지 블럭(4)마다 고정 앵커(5)를 설치하여야 했으므로 공정이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점이 있었다.The cut slope (1) is a natural ground that has been built for many years, so it has a very high degree of compaction. Therefore, the support block 4 can have a holding force of a certain level or more by the fixed anchor 5 inserted obliquely into the cut slope 1. However, in the case of this method, since the support block 4 has only a supporting force by its own weight, the fixing anchor 5 must be provided for each support block 4 in order to obtain a sufficient supporting force, There was a problem.

도 3은 지지력을 높이기 위해 개발된 또 다른 옹벽 구조물의 시공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이 공법은 성토 사면 또는 절토 사면에 모두 설치될 수 있다. 지지 블럭(6)은 전체적으로 사각형을 이루고 그 양측에는 "ㄷ"자 형태로 이루어져, 2 개의 인접하는 지지 블럭(6)을 맞대어 진 상태로 적층하면 지지 블럭(6)의 양측에 고정빔(8)을 삽입시킬 수 있는 고정 홈(7)이 형성된다. Fig. 3 shows a method of constructing another retaining wall structure developed to increase the supporting force. This method can be installed on both inclined slopes or cut slopes. The supporting block 6 has a rectangular shape and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upporting block 6. When the two adjacent supporting blocks 6 are stacked on each other, A fixing groove 7 is formed.

상기 고정빔(8)이 수직하게 관통하여 지반에 삽입되면, 상기 고정 홈(7) 내에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를 타설하여 고정빔(8)을 단단히 고정시킨다. 상기 고정빔(8)은 인접하는 2개의 지지 블럭(6)을 결합시키는 결합 부재 및 각 지지 블럭(6)에 사면(1)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견딜 수 있는 지지력을 제공하는 1차 지지 부재로 작용한다. 일부 지지 블럭(6)에는 고정 앵커(9)가 추가로 설치되고, 이 고정 앵커(9)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반 내에 경사지게 삽입 고정된다. 상기 고정 앵커(9)는 지지 블럭(6)에 지지력을 추가로 제공하는 2차 지지 부재로서 작용한다.When the fixed beam 8 penetrates vertically and is inserted into the ground, concrete or mortar is installed in the fixing groove 7 to firmly fix the fixed beam 8. The fixed beam 8 comprises a coupling member for coupling the two adjoining support blocks 6 and a primary support member for providing support forces to the respective support blocks 6 to withstand the pressure exerted from the slope 1 . A part of the support block 6 is further provided with a fixed anchor 9 which is inserted and fixed in an inclined manner in the ground as shown in Fig. The fixed anchor 9 serves as a secondary supporting member which further provides a supporting force to the supporting block 6. [

그러나, 이러한 공법에 따르면 사면이 구조 역학적으로 매우 유동적이어서 높은 지지력이 요구되는 경우에는 적합할 수 있으나, 일반적인 사면에 대해서는 과 보강의 단점이 있고, 2개의 지지 부재를 동시에 사용하기 때문에 공정이 매우 번거롭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더욱이, 이 공법에 있어서도 지지 블럭(6)은 자중에 의한 지지력만을 발생시키기 때문에 지지 블럭(6) 자체가 지지력에 기여하는 비중에 높지 않다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다.However, according to this method, the slope is very fluid due to the structural dynamics, so it may be suitable when high bearing capacity is required. However, in general slope, there are disadvantages of over-reinforcement and two supporting members are used at the same time, Has a problem. Moreover, in this method, since the support block 6 generates only the support force due to its own weight, it also has a problem that the support block 6 itself does not have a high specific gravity contributing to the support force.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지지 블럭의 배열 구조를 개량하여 자체 지지력을 높이고, 강제 빔과 같은 지지 부재의 사용을 최대한 절감시킨 새로운 형태의 자립식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veloped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new type of self supporting type retaining wall structure which improves the arrangement structure of the supporting blocks to increase the self supporting force, The main purpose is to provide a method.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립식 옹벽 구조물은, 성토 사면 또는 절토 사면에 지지 블럭을 축조하여 만들어지는 옹벽 구조물로서, 상기 사면을 따라 축조되는 지지 블럭은 상하로 관통된 삽입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고정 블럭과, 상기 고정 블럭의 사이에 위치하는 끼움 블럭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블럭의 삽입홀에는 고정빔이 통과하여 지반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고정빔에는 끼움 날개부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 블럭에는 상기 끼움 날개부가 끼워지도록 날개 수용홈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 블럭의 양측에는 상기 사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인접하는 상기 고정 블럭의 일측과 걸림 결합되는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lf supporting type retaining wall structure comprising a support block formed on a slope slope or slope slope, and a support block formed along the slope includes an insertion hole Wherein the fixing block includes at least one fixed block and a fitting block located between the fixed blocks, the fixed beam passing through the insertion hole of the fixed block and being inserted and fixed in the ground, The fixing block may be formed with a wing receiving groove so as to fit the fitting wing portion and a locking protrusion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tting block so as to engage with one side of the adjacent fixing block so as to withstand the pressure applied from the slant face .

또한, 상기 고정 블럭 내에 2개 이상의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블럭 내에 형성된 인접하는 2개의 삽입홀 사이의 거리와, 상기 고정 블럭 내에 형성된 삽입홀과 상기 끼움 블럭을 매개로 인접하는 다른 상기 고정 블럭 내에 형성된 삽입홀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wo or more insertion holes are formed in the fixed block, the distance between two adjacent insertion holes formed in the fixed block,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fixed block and the other fixed The distance between the insertion holes formed in the block may be set to be constant.

또한, 상기 고정 블럭의 양측에는 상기 끼움 블럭의 걸림턱이 맞물리도록 걸림 수용홈이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 locking receiving groove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xed block so that the engaging jaws of the fitting block engage with each other.

또한, 상기 고정 블럭 및 끼움 블럭은 여러 개의 층으로 적층되고, 각각의 층이 서로 하나씩 대응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Also, the fixed block and the fitting block may be stacked in a plurality of layers, and the layers may be arranged so that the layers correspond to each other one by one.

또한, 상기 고정 블럭 및 끼움 블럭은 여러 개의 층으로 적층되고, 상기 끼움 블럭의 하나의 층이 상기 고정 블럭의 둘 이상 층과 대응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xed block and the fitting block may be stacked in several layers, and one layer of the fitting block may correspond to two or more layers of the fixed block.

또한, 상기 고정 블럭 내에 형성된 삽입홀에는 상기 고정빔이 삽입된 후에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가 타설될 수 있다.Also, concrete or mortar may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fixed block after the fixed beam is inserted.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립식 옹벽 구조물의 시공 방법은, 성토 사면 또는 절토 사면에 지지 블럭을 축조하여 옹벽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하로 관통된 삽입홀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고정 블럭과 상기 고정 블럭의 사이에 위치하는 끼움 블럭을 교대로 배열하여 축조하는 단계; 상기 고정 블럭의 삽입홀에 고정빔을 통과시킨 후 지반에 삽입 고정시킬 때, 상기 고정빔에 형성된 끼움 날개부를 상기 고정 블럭에 형성된 날개 수용홈에 끼워지도록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 블럭 내에 형성된 삽입홀에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ethod for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structure by constructing a supporting block on a slope slope or slope slope, comprising the steps of: A step of alternately arranging the fixed block and the fixed block located between the fixed block and the fixed block and constructing the fixed block; Inserting the fitting blade formed in the fixed beam into the wing receiving groove formed in the fixing block when the fixing beam passes through the insertion hole of the fixing block and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ground; And pouring concrete or mortar into the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fixed block.

또한, 상기 축조 단계는, 상기 고정 블럭 내에 2개 이상의 삽입홀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블럭 내에 형성된 인접하는 2개의 삽입홀 사이의 거리와, 상기 고정 블럭 내에 형성된 삽입홀과 상기 끼움 블럭을 매개로 인접하는 다른 상기 고정 블럭 내에 형성된 삽입홀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축조할 수 있다.The fixing step may include at least two insertion holes formed in the fixing block, the distance between two adjacent insertion holes formed in the fixing block,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insertion hole formed in the fixing block and the fitting block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insertion holes formed in the other adjacent fixed blocks is constant.

또한, 상기 축조 단계는, 상기 사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상기 끼움 블럭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턱이 인접하는 상기 고정 블럭의 일측에 걸림 결합되도록 축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uilding step may be constructed such that the engagement protrusio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tting block are engaged with one side of the adjacent fixed block so as to withstand the pressure applied from the slope.

또한, 상기 축조 단계는, 상기 끼움 블럭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턱이 상기 고정 블럭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 수용홈에 걸림 결합되도록 축조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building step may be constructed so that the engagement protrusion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tting block are engaged with the engagement receiving groove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xed block.

또한, 상기 축조 단계는, 상기 고정 블럭 및 끼움 블럭을 여러 개의 층으로 적층하고, 각각의 층이 서로 하나씩 대응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Also, the building step may include stacking the fixed block and the fitting block into a plurality of layers, and the layers may correspond to each other one by one.

또한, 상기 축조 단계는, 상기 고정 블럭 및 끼움 블럭을 여러 개의 층으로 적층되고, 상기 끼움 블럭의 하나의 층이 상기 고정 블럭의 둘 이상 층과 대응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Also, in the building step, the fixed block and the fitting block may be laminated in a plurality of layers, and one layer of the fitting block may correspond to two or more layers of the fixed block.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립식 옹벽 구조물 및 그 시공 방법에 따르면, 고정 블럭과 끼움 블럭이 상호 걸림 결합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사면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지탱할 수 있는 블럭 자체의 지지력을 향상시켜 준다. According to the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the construction method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fixed block and the fitting block are engaged with each other, the supporting force of the block itself capable of supporting the pressure applied from the slope can be improved.

또한, 상기 고정 블럭을 통해 지반으로 삽입 고정되는 고정빔의 간격을 상기 끼움 블럭을 이용하여 일정하게 유지함으로써, 옹벽의 길이 방향 중 어느 지점에서도 일정한 지지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해줄 뿐만 아니라 고정빔의 간격이 일정치 않음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과 보강의 문제점도 해결할 수 있다.In addition, by keeping the interval of the fixed beams inserted and fixed to the ground through the fixed block constant using the fitting block, it is possible to have a constant supporting force at any poi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taining wall, It is also possible to solve the problem of over-reinforcement that may occur due to non-uniformity.

또한, 상기 고정빔에 끼움 날개부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 블럭 내에 형성된 삽입홈에 상기 끼움 날개부를 수용할 수 있는 날개 수용홈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고정빔이 상기 삽입홈에 수직한 상태로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해 준다. 또한, 상기 고정빔이 삽입홈에 삽입된 상태로 유동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여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가 양생될 때 완전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해준다. In addition, by forming a wing receiving groove in the fixing beam and accommodating the fitting wing in the insertion groove formed in the fixing block, the fixing beam can be accurately inserted in a state perpendicular to the insertion groove It is. In addition, it minimizes the flow of the fixed beam in a state of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thereby allowing the concrete or the mortar to be completely engaged when cured.

도 1은 종래의 고정 그리드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고정 앵커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종래의 고정빔 및 고정 앵커를 이용한 옹벽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립식 옹벽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립식 옹벽 구조물을 나타낸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식 옹벽 구조물을 나타낸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식 옹벽 구조물을 나타낸 측단면도.
도 8은 끼움 블럭이 없는 자립식 옹벽 구조물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여러 가지 고정빔의 형태를 나타낸 도면.
1 is a view showing a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a conventional fixed grid;
2 is a view showing a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a conventional fixed anchor.
3 is a view showing a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a conventional fixed beam and a fixed anchor.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lf supporting type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plan view of a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front view showing a self supporting type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side sectional view showing a self supporting type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view of a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tructure without a shim block.
9 is a view showing various fixed beam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The embodiments are described in sufficient detail to enable those skilled in the art to practice the inven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ifferent, but need not be mutually exclusive. For example, certain features, structures, and characteristics described herein may be implemented in other embodiment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in connection with an embodiment.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It is also to be understood that the position or arrangement of the individual components within each disclosed embodiment may be vari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is, therefore, not to be taken in a limiting sense,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be limited only by the appended claims, along with the full scope of equivalents to which the claims are entitled, if properly explained. In the drawing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the same or similar functions throughout the several views.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립식 옹벽 구조물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립식 옹벽 구조물을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식 옹벽 구조물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자립식 옹벽 구조물을 나타낸 측단면도이다.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elf-supporting type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lan view showing a self-supporting type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ront view showing a self- Sectional side view showing a self-supporting type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에 따른 자립식 옹벽 구조물은 토양을 쌓아서 만드는 성토 사면뿐만 아니라 기존의 지반을 절개하여 만드는 절토 사면 모두에 적용 가능하다.The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cable not only to embankment slopes formed by stacking soil, but also to cut slope slopes formed by cutting an existing ground.

도 1 내지 도 3을 참조로 설명한 종래의 옹벽 구조물은 사면에 대한 지지력을 높이기 위하여 모든 지지 블럭에 고정 그리드, 고정 앵커, 고정빔 등을 설치하여 구조 자체가 복잡해졌을 뿐만 아니라, 필요 이상으로 과 보강되는 문제점이 있었음을 이미 설명한 바와 같다. In the conventional retaining wall structur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a fixed grid, a fixed anchor, and a fixed beam are installed on all the supporting blocks to increase the supporting force against the slope, thereby complicating the structure itself, As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자립식 옹벽 구조물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부 지지 블럭(고정 블럭)만을 고정빔에 의해 고정시키고, 나머지 지지 블럭(끼움 블럭)은 고정빔에 의해 고정된 지지 블럭에 걸림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별도의 지지 수단 없이도 자립식으로 지지력을 가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자립식"의 의미를 지지 블럭이 고정 그리드, 고정 앵커, 고정빔과 같은 별도의 지지 수단에 직접적으로 의지하지 않고 지지력을 가질 수 있도록 축조된다는 의미로 사용한다. In order to solve such a conventional problem, the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xes only a part of a supporting block (fixed block) by a fixed beam and the remaining supporting block (fitting block) is engaged with a fixed supporting block So that it is possible to have a supporting force in a self-supporting manner without a separate supporting means. Thus,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term "self-supporting type " is used to mean that the supporting block is constructed so as to have a supporting force without directly depending on a separate supporting means such as a fixed grid, a fixed anchor and a fixed beam.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자립식 옹벽 구조물은 크게 사면(10)을 따라 축조되는 지지 블럭과 이 지지 블럭 중 일부 지지 블럭을 관통하여 지반에 삽입 고정되는 고정빔(60)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 블럭은 상하로 관통된 삽입홀(50)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고정 블럭(20,40)과, 상기 고정 블럭(20,40)의 사이에 위치하는 끼움 블럭(30)을 포함한다. To this end, the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supporting block formed along the slope 10 and a fixed beam 60 penetrating through some of the supporting blocks to be inserted and fixed in the ground. The supporting block includes a fixing block 20,40 having at least one insertion hole 50 penetrating vertically and a fitting block 30 positioned between the fixing blocks 20,40.

상기 고정 블럭(20,40)은 그 형태상으로 볼 때 옹벽 구조물의 양 끝단에 설치되고 일측에만 상기 끼움 블럭(30)의 걸림턱(32)을 수용하는 걸림 수용홈(22)이 형성된 마감용 고정 블럭(20)과 옹벽 구조물의 중앙에 설치되고 양측 모두에 상기 끼움 블럭(30)의 걸림턱(32)을 수용하는 걸림 수용홈(42)이 형성된 연장용 고정 블럭(40)으로 구분된다. 이 2 종류의 고정 블럭은 형태상의 차이는 있지만, 고정빔(60)에 의해 고정되어 인접하는 끼움 블럭(30)에 까지 지지력을 전달하는 기능은 동일하다.The fixing blocks 20 and 40 are provided at both ends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in terms of the shape thereof and are provided with a latch receiving groove 22 for receiving the latching jaws 32 of the fitting block 30 only on one side thereof. The fixing block 20 is divided into a fixing block 40 provided at the center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formed with a retaining groove 42 for receiving the retaining wall 32 of the fitting block 30 on both sides thereof. Although the two types of fixed blocks are different in shape, they are fixed by the fixed beam 60 and have the same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supporting force to the adjacent fitting block 30.

상기 고정 블럭(20,40)의 삽입홀(50)에는 상기 고정빔(60)이 통과하여 고정 블럭(20,40)이 축조되는 지반 속으로 삽입 고정된다. 도 3에 도시된 고정빔(8)이 2개의 인접하는 지지 블럭(6) 사이에 설치되어 이들을 결합시키는 부재로서 주로 작용하는 것과 달리 본 발명에 따른 고정빔(60)은 고정 블럭(20,40) 자체에 설치되어 이를 지지하는 부재로서 주로 작용한다는 점에서 기능 상 완전히 상이하다.The fixed beam 60 passes through the insertion hole 50 of the fixed block 20 or 40 and is inserted and fixed into the ground where the fixed blocks 20 and 40 are formed. Unlike the fixed beam 8 shown in FIG. 3, which is installed between two adjacent support blocks 6 and functions mainly as a member for engaging them, the fixed beam 6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ixed to the fixed blocks 20, ) Is installed in itself and functions as a supporting member.

상기 끼움 블럭(30)의 양측에는 상기 사면(10)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인접하는 상기 고정 블럭(20,40)의 일측과 걸림 결합되는 걸림턱(32)이 형성된다. 상기 걸림턱(3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면(10)과 대향되는 면에 형성되고, 사면(10)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힘을 받을 수 있도록 상기 고정 블럭(20,40)에 걸림 결합된다. 그 결과, 끼움 블럭(30)에 고정빔, 고정 앵커와 같은 지지 수단을 직접 설치하지 않고도 인접하는 고정 블럭(20,40)에 걸림 결합되는 것만으로 끼움 블럭(30)이 사면(10)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저항할 수 있는 지지력을 가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On both sides of the fitting block 30, a locking protrusion 32 is formed to engage with one side of the adjacent fixed block 20 or 40 so as to withstand the pressure applied from the slope 10. As shown in FIG. 4, the locking protrusion 32 is formed on a surface opposite to the slope surface 10, and is fixed to the fixing block 20, 20 so as to receive a for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pressure applied from the slope 10, 40). As a result, the fitting block 30 is engaged with the slope 10 only by being engaged with the adjacent fixed blocks 20 and 40 without directly supporting means such as a fixed beam and a fixed anchor to the fitting block 30 It is possible to have a supporting force capable of resisting pressure.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 블럭(20,40)의 양측에는 상기 끼움 블럭(30)의 걸림턱(32)이 맞물리도록 걸림 수용홈(22,42)이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끼움 블럭(30)의 걸림턱(32)이 상기 고정 블럭(20,40)의 걸림 수용홈(22,42)과 완전히 맞물리는 형식으로 끼워짐으로써 걸림 결합되는 부분이 돌출되지 않고 매끄러운 표면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해준다.The engaging grooves 22 and 42 may b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xed block 20 and 40 so that the engaging protrusions 32 of the fitting block 30 engage with each other. As a result, the engaging jaws 32 of the fitting block 30 are fitted in the engaging grooves 22, 42 of the fixed blocks 20, 40 in a completely engaged manner, Allows a smooth surface to be maintained.

한편, 상기 끼움 블럭(30)은 상기 고정 블럭(20,40)에 고정되는 고정빔(60)이 상기 끼움 블럭(30)에 의해 옹벽 구조물의 전체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옹벽 전체가 균일한 지지력을 가지도록 해줄 뿐만 아니라 과 보강의 문제점도 해결해 준다. In the meantime, the fitting block 30 allows the fixed beams 60 fixed to the fixed blocks 20 and 40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certain distance in the entir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by the fitting block 30, Not only does the whole have a uniform bearing capacity, but also solves the problem of reinforcement.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 블럭(20,40) 내에 2개 이상의 삽입홀(5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블럭(20,40) 내에 형성된 인접하는 2개의 삽입홀(50) 사이의 거리(L2)와, 상기 고정 블럭(20,40) 내에 형성된 삽입홀(50)과 상기 끼움 블럭(30)을 매개로 인접하는 다른 상기 고정 블럭(20,40) 내에 형성된 삽입홀(50) 사이의 거리(L1)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형성한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5, two or more insertion holes 50 are formed in the fixed blocks 20 and 40, and two adjacent insertion holes 50 formed in the fixed blocks 20 and 40 are formed. (50) and an insertion hole (50) formed in the fixed block (20, 40) and an insertion hole (50) formed in another fixed block (20, 40) adjacent thereto via the fitting block (30) So that the distance L1 between the holes 50 is kept constant.

여기서, 삽입홀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한다는 것은 수학적 의미에서 거리가 완전히 동일하도록 유지한다는 것이 아니라, 삽입홀(50)이 없는 끼움 블럭(30)에 의해 삽입홀(50)의 간격이 큰 편차 없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해줌으로써 옹벽 구조물의 전체 길이에 걸쳐 균일한 지지력을 나타낼 수 있도록 해준다는 의미로 사용된다. Here, maintaining the distance of the insertion holes to be "constant " means not maintaining the distance in the mathematical sense to be completely the same, but the distance between the insertion holes 50 by the fitting block 30, This means that it is possible to show uniform bearing capacity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끼움 블럭(30)을 사용하지 않아 삽입홀의 거리가 일정하지 않게 되는 경우를 예시한 것이다. 2개의 삽입홀(120)이 형성된 제1 고정 블럭(100)과 2 개의 삽입홀(122)이 형성된 제2 고정 블럭(110)이 상호 인접하게 설치된다. 이 때, 각각의 고정 블럭(100,110) 내에 형성된 2개의 삽입홀 사이의 거리(L2)는 일정하게 유지되지만, 제1 고정 블럭(100) 및 제2 고정 블럭(110)의 사이에 위치한 2개의 삽입홀 사이의 거리(L3)는 상대적으로 짧아진다. FIG. 8 illustrates the case where the fitting block 3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used,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insertion holes becomes uneven. A first fixing block 100 having two insertion holes 120 and a second fixing block 110 having two insertion holes 122 are installed adjacent to each other. At this time, the distance L2 between the two insertion holes formed in each of the fixed blocks 100 and 110 is kept constant, but the distance between the two inserted holes located between the first fixed block 100 and the second fixed block 110 The distance L3 between the holes becomes relatively short.

따라서, 거리가 짧은 2개의 고정 블럭(100,110) 사이의 삽입홀을 통해 고정빔이 관통 삽입되면 구조 역학적으로 필요 이상의 지지력을 나타내는 등 과 보강이 될 수 있다. 또한, 옹벽 구조물의 전체 길이에 걸쳐 지지력의 편차가 발생하여 사면으로부터 압력이 가해질 경우 상대적으로 지지력이 약한 부분에서 붕괴가 쉽게 발생할 수도 있다. Therefore, when the fixed beam is inserted through the insertion hole between the two fixed blocks 100 and 110 having short distances, it can be mechanically dynamically shown to exhibit more than necessary supporting force and the like. Also, when the pressure is applied from the slope due to the variation of the supporting force over the entire length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collapse may easily occur in the portion where the supporting force is relatively weak.

상기 고정 블럭(20,40) 및 끼움 블럭(30)은 여러 개의 층으로 적층되고, 각각의 층이 서로 하나씩 대응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고정 블럭(20,40) 및 끼움 블럭(30)의 높이를 동일하게 함으로써, 하나의 층을 만들 때에 고정 블럭(20,40) 및 끼움 블럭(30)을 교대로 사용하여 축조할 수 있다. 이는 축조 공정을 단순화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켜준다.The fixed blocks 20 and 40 and the fitting block 30 may be stacked in a plurality of layers, and the layers may be arranged to correspond one to another. In other words, by making the heights of the fixed blocks 20, 40 and the fitting block 30 the same, the fixed blocks 20, 40 and the fitting block 30 are alternately used for constructing one layer . This simplifies the construction process and improves the efficiency of the work.

한편, 상기 고정 블럭(20,40) 및 끼움 블럭(30)은 여러 개의 층으로 적층되고, 상기 끼움 블럭(30)의 하나의 층이 상기 고정 블럭(20,40)의 둘 이상 층과 대응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도 4 및 도 6에는 하나의 끼움 블럭(30)의 높이를 3개의 고정 블럭(20,40)의 높이와 동일하게 만들어 옹벽을 축조한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끼움 블럭(30)의 하나의 층이 상기 고정 블럭(20,40)의 둘 이상의 층과 대응되도록 설치하게 되면, 고정빔과 같은 별도의 지지 수단이 없는 끼움 블럭(30)의 자중이 그 만큼 증가하게 된다. 그 결과 자중에 의한 지지력이 높아지기 때문에 더욱 안정적인 옹벽 구조물의 축조가 가능하게 된다.The fixed blocks 20 and 40 and the fitting block 30 are stacked in a plurality of layers so that one layer of the fitting block 30 corresponds to two or more layers of the fixed blocks 20 and 40. [ Can be installed. 4 and 6 show an embodiment in which a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by making the height of one fitting block 30 the same as the height of the three fixing blocks 20 and 40. [ When one layer of the fitting block 30 is installed so as to correspond to two or more layers of the fixing blocks 20 and 40, the weight of the fitting block 30, which has no separate supporting means such as a fixed beam, Is increased by that amount. As a result, the supporting force due to its own weight is increased, so that a more stable retaining wall structure can be constructed.

미 설명부호인 34는 고정핀을 의미한 것으로서, 끼움 블럭(30)을 다층으로 축조할 때 상,하에 위치한 끼움 블럭(30)이 정확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해준다. Reference numeral 34 denotes a fixing pin, which allows the fitting block 30 located above and below to be correctly engaged when the fitting block 30 is constructed in multiple layers.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고정빔의 여러 가지 형태를 나타낸다.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빔(60)은 원형 파이프 형태로 구성되고, 원형의 삽입홀(50)에 삽입된 후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70)가 타설되어 상기 고정빔(60)을 고정 블럭에 견고하게 고정시킨다. 또한, 상기 고정빔(60)은 구조재로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H 형강을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다.9 shows various forms of the fixed bea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9 (a), the fixed beam 60 is formed in the shape of a circular pipe, inserted into the circular insertion hole 50, and then inserted into the concrete or mortar 70 to form the fixed beam 60, To the fixed block. In addition, the fixed beam 60 may be an H-shaped steel which is most widely used as a structural member.

또한, 도 9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고정빔(60)은 기본적으로 원형 단면을 이루나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끼움 날개부(6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 블럭(20,40)에는 상기 끼움 날개부(62)가 끼워지도록 날개 수용홈(52)이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고정빔(60)이 상기 삽입홈(50)에 수직한 상태로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도록 해 준다. 나아가, 상기 고정빔(60)이 삽입홈(50)에 삽입된 상태로 유동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여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70)가 양생될 때 완전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해준다. 9 (b), the fixed beam 60 has a circular cross section, but has a wing 62 in a vertical or horizontal direction, and the fixed block 20 And a wing receiving groove 52 may be formed to fit the fitting wing portion 62. As a result, the fixed beam 60 can be accurately inserted perpendicular to the insertion groove 50. 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flow of the fixed beam 60 while being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50 as much as possible so that the concrete or the mortar 70 can be completely engaged when cured.

이하에서 본 발명에 따른 자립식 옹벽 구조물의 시공 방법에 대하여 간단히 설명한다. Hereinafter, a construction method of the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described.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자립식 옹벽 구조물의 시공 방법은, 성토 사면 또는 절토 사면에 지지 블럭을 축조하여 옹벽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하로 관통된 삽입홀(50)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 고정 블럭(20,40)과 상기 고정 블럭(20,40)의 사이에 위치하는 끼움 블럭(30)을 교대로 배열하여 축조하는 단계; 상기 고정 블럭(20,40)의 삽입홀(50)에 고정빔(60)을 통과시킨 후 지반에 삽입 고정시키는 단계; 및 상기 고정 블럭(20,40) 내에 형성된 삽입홀(50)에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를 타설하는 단계;로 구성된다.A method for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structure by constructing a supporting block on a slope slope or a slope slope surface comprises the steps of: forming at least one insertion hole (50) (20, 40) and the fixing block (20, 40) are alternately arranged; Passing the fixing beam (60) through the insertion hole (50) of the fixed block (20, 40) and inserting it into the ground; And placing the concrete or mortar in the insertion hole (50) formed in the fixed block (20, 40).

이 때, 상기 축조 단계는, 상기 고정 블럭(20,40) 내에 2개 이상의 삽입홀(5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블럭(20,40) 내에 형성된 인접하는 2개의 삽입홀(50) 사이의 거리와, 상기 고정 블럭(20,40) 내에 형성된 삽입홀(50)과 상기 끼움 블럭(30)을 매개로 인접하는 다른 상기 고정 블럭(20,40) 내에 형성된 삽입홀(50)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축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in the building step, two or more insertion holes 50 are formed in the fixed blocks 20 and 40, and between the adjacent two insertion holes 50 formed in the fixed blocks 20 and 40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insertion hole 50 formed in the fixed block 20 and 40 and the insertion hole 50 formed in the adjacent fixed block 20 or 40 via the fitting block 30 It is desirable to construct it so as to be constant.

그 결과, 상기 끼움 블럭(30)은 상기 고정 블럭(20,40)에 고정되는 고정빔(60)이 상기 끼움 블럭(30)에 의해 옹벽 구조물의 전체 길이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옹벽 전체가 균일한 지지력을 가지도록 해줄 뿐만 아니라 과 보강의 문제점도 해결해 준다.As a result, the fitting block 30 allows the fixed beams 60 fixed to the fixed blocks 20 and 40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the fitting block 30 in the entir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Not only does the whole retaining wall have a uniform bearing capacity, it also solves the problem of reinforcement.

또한, 상기 축조 단계는, 상기 사면(10)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상기 끼움 블럭(30)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턱(32)이 인접하는 상기 고정 블럭(20,40)의 일측에 걸림 결합되도록 축조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끼움 블럭(30)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턱(32)이 상기 고정 블럭(20,40)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 수용홈(22,42)에 걸림 결합되도록 축조할 수 있다.The fixing step may include a step of stopping the fixing block 20 or 40 adjacent to the engaging protrusion 3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tting block 30 so as to withstand the pressure applied from the slope 10, To be assembled. More preferably, the engaging protrusions 32 formed at both sides of the fitting block 30 are engaged with the engaging receiving grooves 22 and 4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xed blocks 20 and 40.

그 결과, 상기 끼움 블럭(30)은 고정빔, 고정 앵커와 같은 지지 수단이 직접 설치되지 않고도 인접하는 고정 블럭(20,40)에 걸림 결합되는 것만으로 사면(10)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저항할 수 있는 지지력을 가질 수 있게 된다. As a result, the fitting block 30 can be prevented from being pressurized by the slope 10 only by being engaged with the adjacent fixed blocks 20 and 40 without directly supporting means such as a fixed beam or a fixed anchor It is possible to have a supporting force.

상기 축조 단계는, 상기 고정 블럭(20,40) 및 끼움 블럭(30)을 여러 개의 층으로 적층하고, 각각의 층이 서로 하나씩 대응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고정 블럭(20,40) 및 끼움 블럭(30)을 여러 개의 층으로 적층하고, 상기 끼움 블럭(30)의 하나의 층이 상기 고정 블럭(20,40)의 둘 이상 층과 대응되도록 설치할 수도 있다. 전자의 경우에는 블럭을 축조하는 공정을 단순화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후자의 경우에는 고정빔과 같이 별도의 지지수단이 설치되지 않는 끼움 블럭(30)의 자중을 증가시켜 자랍식 지지력을 더욱 향상시켜 준다. In the building step, the fixed blocks 20 and 40 and the fitting block 30 may be laminated in a plurality of layers, and the layers may correspond to each other. In another embodiment, the fixed blocks 20 and 40 and the fitting block 30 are laminated in multiple layers, and one layer of the fitting block 30 is laminated on at least two layers of the fixed blocks 20, As shown in FIG. In the former case, the process of constructing the block can be simplified and the efficiency of the work can be improved. In the latter case, the self-weight of the fitting block 30, which is not provided with a separate supporting means such as a fixed beam, .

마지막으로, 상기 고정빔(60)은 원형의 파이프나 H 형강과 같은 일반적인 구조재를 사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상기 고정빔(60)에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끼움 날개부(62)를 형성하고, 이 끼움 날개부(62)를 상기 고정 블럭(20,40)에 형성된 날개 수용홈(52)에 끼워지도록 삽입할 수도 있다. 그 결과, 고정빔(60)을 삽입할 때 수직도를 담보할 수 있고, 고정빔(60)이 삽입홀(50)에 삽입된 상태에서 유동되는 것을 최대한 억제하여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70)가 양생될 때 완전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해준다. Lastly, the fixed beam 60 may be a general structural member such as a circular pipe or an H-shaped beam. In another embodiment, the fixed beam 60 is formed with the wing portions 62 in the vertical and horizontal directions and the wing portions 62 are formed in the wing receiving grooves 52 formed in the fixed blocks 20, As shown in Fig. As a result, when the fixed beam 60 is inserted, it is possible to secure a vertical degree and to suppress the flow of the fixed beam 60 in a state where the fixed beam 6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50, It can be combined perfectly.

10: 사면 20,40: 고정 블럭
30: 끼움 블럭 50: 삽입홀
60: 고정빔 70: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
10: slope 20,40: fixed block
30: insertion block 50: insertion hole
60: Fixed beam 70: Concrete or mortar

Claims (12)

성토 사면 또는 절토 사면에 지지 블럭을 축조하여 만들어지는 옹벽 구조물로서,
상기 사면(10)을 따라 축조되는 지지 블럭은 상하로 관통된 삽입홀(50)이 2개 이상 형성된 고정 블럭(20,40)과, 상기 고정 블럭(20,40)의 사이에 위치하는 끼움 블럭(30)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 블럭(20,40)의 삽입홀(50)에는 고정빔(60)이 통과하여 지반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고정빔(60)에는 끼움 날개부(62)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 블럭(20,40)에는 상기 끼움 날개부(62)가 끼워지도록 날개 수용홈(52)이 형성되며,
상기 끼움 블럭(30)의 양측에는 상기 사면(10)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인접하는 상기 고정 블럭(20,40)의 일측과 걸림 결합되는 걸림턱(32)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블럭(20,40) 내에 2개 이상의 삽입홀(5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블럭(20,40) 내에 형성된 인접하는 2개의 삽입홀(50) 사이의 거리와, 상기 고정 블럭(20,40) 내에 형성된 삽입홀(50)과 상기 끼움 블럭(30)을 매개로 인접하는 다른 상기 고정 블럭(20,40) 내에 형성된 삽입홀(50)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식 옹벽 구조물.
A retaining wall structure formed by constructing a supporting block on a slope slope or slope slope,
The supporting block formed along the slope 10 includes a fixed block 20 or 40 formed with two or more insertion holes 50 penetrating vertically and a fitting block 20 positioned between the fixed blocks 20 and 40, (30)
The fixed beam 60 is inserted and fixed in the ground through the insertion hole 50 of the fixed block 20 or 40. The fixed beam 60 has a fitting wing 62 formed therein, 40 are formed with a wing receiving groove 52 for fitting the fitting wing portion 62,
On both sides of the fitting block 30, a locking protrusion 32 is formed to engage with one side of the adjacent fixed blocks 20 and 40 so as to withstand the pressure applied from the slope 10,
Two or more insertion holes 50 are formed in the fixed blocks 20 and 40 and the distance between two adjacent insertion holes 50 formed in the fixed blocks 20 and 40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fixed blocks 20 and 40 The distance between the insertion hole 50 formed in the fixed block 20 and the insertion hole 50 formed in the adjacent fixed block 20 or 40 via the fitting block 30 is kept constant. A self - supporting retaining wall structur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럭(20,40)의 양측에는 상기 끼움 블럭(30)의 걸림턱(32)이 맞물리도록 걸림 수용홈(22,4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식 옹벽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retaining grooves (22, 42) are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xed blocks (20, 40) so that the retaining jaws (32) of the fitting block (30) engage with each oth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럭(20,40) 및 끼움 블럭(30)은 여러 개의 층으로 적층되고, 각각의 층이 서로 하나씩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식 옹벽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Characterized in that the fixed blocks (20, 40) and the fitting block (30) are laminated in several layers and each layer is arranged to correspond to each other one by on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럭(20,40) 및 끼움 블럭(30)은 여러 개의 층으로 적층되고, 상기 끼움 블럭(30)의 하나의 층이 상기 고정 블럭(20,40)의 둘 이상 층과 대응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식 옹벽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fixed blocks 20 and 40 and the fitting block 30 are stacked in a plurality of layers and one layer of the fitting block 30 is installed to correspond to two or more layers of the fixed blocks 20 and 40 Wherein the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structure is characterized in tha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럭(20,40) 내에 형성된 삽입홀(50)에는 상기 고정빔(60)이 삽입된 후에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가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식 옹벽 구조물.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 concrete or mortar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50) formed in the fixed block (20, 40) after the fixed beam (60) is inserted.
성토 사면 또는 절토 사면에 지지 블럭을 축조하여 옹벽 구조물을 시공하는 방법으로서,
상하로 관통된 삽입홀(50)이 2개 이상 형성된 고정 블럭(20,40)과 상기 고정 블럭(20,40)의 사이에 위치하는 끼움 블럭(30)을 교대로 배열하여 축조하는 단계;
상기 고정 블럭(20,40)의 삽입홀(50)에 고정빔(60)을 통과시킨 후 지반에 삽입 고정시킬 때, 상기 고정빔(60)에 형성된 끼움 날개부(62)를 상기 고정 블럭(20,40)에 형성된 날개 수용홈(52)에 끼워지도록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고정 블럭(20,40) 내에 형성된 삽입홀(50)에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를 타설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축조 단계는, 상기 고정 블럭(20,40) 내에 2개 이상의 삽입홀(50)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 블럭(20,40) 내에 형성된 인접하는 2개의 삽입홀(50) 사이의 거리와, 상기 고정 블럭(20,40) 내에 형성된 삽입홀(50)과 상기 끼움 블럭(30)을 매개로 인접하는 다른 상기 고정 블럭(20,40) 내에 형성된 삽입홀(50) 사이의 거리가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축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식 옹벽 구조물의 시공 방법.
A method for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structure by constructing a supporting block on a slope slope or slope slope,
(20, 40) having two or more insertion holes (50) penetrating vertically, and a fitting block (30) located between the fixing blocks (20, 40);
When the fixed beam 6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50 of the fixed block 20 or 40 and inserted into the ground after the fixed beam 60 is inserted into the insertion hole 50 of the fixed block 20 or 40, Inserting the wings into the wing receiving grooves (52) formed in the first and second wings (20, 40); And
And placing concrete or mortar in the insertion hole (50) formed in the fixed block (20, 40)
In the step of constructing, two or more insertion holes (50) are formed in the fixed blocks (20, 40), and a distance between two adjacent insertion holes (50) formed in the fixed blocks (20, 40) The distance between the insertion hole 50 formed in the fixed block 20 and the insertion hole 50 formed in the adjacent fixed block 20 or 40 via the fitting block 30 is maintained constant Wherein said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삭제delet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축조 단계는, 상기 사면(10)으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을 견딜 수 있도록 상기 끼움 블럭(30)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턱(32)이 인접하는 상기 고정 블럭(20,40)의 일측에 걸림 결합되도록 축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식 옹벽 구조물의 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The fixing step is performed such that the engaging protrusions 3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tting block 30 are engaged with one side of the adjacent fixed block 20 or 40 so as to withstand the pressure applied from the slope 10 Wherein the method comprises the steps of: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축조 단계는, 상기 끼움 블럭(30)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턱(32)이 상기 고정 블럭(20,40)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 수용홈(22,42)에 걸림 결합되도록 축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식 옹벽 구조물의 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9,
The fixing step is performed such that the engaging protrusions 3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tting block 30 are engaged with the engaging receiving grooves 22 and 42 formed on both sides of the fixed blocks 20 and 40 A method of constructing a self - supporting retaining wall structure.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축조 단계는, 상기 고정 블럭(20,40) 및 끼움 블럭(30)을 여러 개의 층으로 적층하고, 각각의 층이 서로 하나씩 대응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식 옹벽 구조물의 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step of constructing comprises the steps of: stacking the fixed blocks (20, 40) and the fitting block (30) in multiple layers;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축조 단계는, 상기 고정 블럭(20,40) 및 끼움 블럭(30)을 여러 개의 층으로 적층하고, 상기 끼움 블럭(30)의 하나의 층이 상기 고정 블럭(20,40)의 둘 이상 층과 대응되도록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식 옹벽 구조물의 시공 방법.
The method of claim 7,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step of constructing comprises: stacking the fixed blocks (20, 40) and the fitting block (30) And a plurality of the retaining wall structures are installed so as to correspond to the plurality of retaining wall structures.
KR1020150063269A 2014-05-26 2015-05-06 Self-retained wall sructure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62804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3269A KR101628049B1 (en) 2014-05-26 2015-05-06 Self-retained wall sructure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63107A KR101528302B1 (en) 2014-05-26 2014-05-26 Self-retained wall sructure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0150063269A KR101628049B1 (en) 2014-05-26 2015-05-06 Self-retained wall sructure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63107A Division KR101528302B1 (en) 2014-05-26 2014-05-26 Self-retained wall sructure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6004A KR20150136004A (en) 2015-12-04
KR101628049B1 true KR101628049B1 (en) 2016-06-08
KR101628049B9 KR101628049B9 (en) 2023-03-13

Family

ID=85570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3269A KR101628049B1 (en) 2014-05-26 2015-05-06 Self-retained wall sructure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28049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8148A (en) 2019-10-23 2021-05-03 전상배 Self-retained wall sructure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610495B1 (en) 2022-10-04 2023-12-05 임주은 Construction method of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1917B1 (en) * 2012-03-20 2012-11-15 이상헌 Panel, Fence using the panel, Construction method of the fence using the panel, and Mounding method of mixture soil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52848A (en) * 1996-11-21 1998-06-09 Modern Mateiriaru:Kk Retaining wall block
KR20090021708A (en) * 2007-08-28 2009-03-04 (주)다음기술단 Precast retaining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of the same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01917B1 (en) * 2012-03-20 2012-11-15 이상헌 Panel, Fence using the panel, Construction method of the fence using the panel, and Mounding method of mixture soil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8148A (en) 2019-10-23 2021-05-03 전상배 Self-retained wall sructure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610495B1 (en) 2022-10-04 2023-12-05 임주은 Construction method of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28049B9 (en) 2023-03-13
KR20150136004A (en) 2015-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0795B1 (en) Furlable earth retaining structure for provisional facilitie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572561B1 (en) Steel assembly for Pile
KR102276610B1 (en) Precast Structure for Straigt Retaining Wall using Temporary Sheating Wall after Constructing Temporary Sheat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reof
US10337162B2 (en) Anchoring systems and methods for mechanically stabilized earthen walls
US9695558B2 (en) Foundation system for bridges and other structures
US11761204B2 (en) Insulated concrete form construction method and system
US20130008125A1 (en) Construction method for new underground structure
KR101700830B1 (en) The Constructing Block and Method Of Constructing Block For Wall
KR100627891B1 (en) A sliding earth plate using architecture
KR101628049B1 (en) Self-retained wall sructure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774952B1 (en) The precast concrete structure for eco-friendly rainwater storage bath
KR101528302B1 (en) Self-retained wall sructure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US20170247843A1 (en) Foundation system for bridges and other structures
KR20120131693A (en) Prefabricated block for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KR20180106715A (en) Retaining Wall Block System
KR101542602B1 (en) Equipment of temporary earth protection for building works
KR102616011B1 (en) Reinforced wall panel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2482690B1 (en) Bridge foundation construction method using formwork integrated PC panels
KR20200006648A (en) An Earth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JP4997207B2 (en) Construction method for underground structures
KR102124772B1 (en) Self-supporting retaining wall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it
JP2014169551A (en) Block for foundation construction of structure
KR101696552B1 (en) Underwater concrete wall using precast wall panel and method of constructing the same
RU2775925C2 (en) Flange type plate for support structure
KR102638704B1 (en) Continuous steel diaphragm wall technology for underground space wall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3

Year of fee payment: 4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G170 Re-publication after modification of scope of protection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