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7089B1 - Breast wall block - Google Patents

Breast wall block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7089B1
KR101647089B1 KR1020140091114A KR20140091114A KR101647089B1 KR 101647089 B1 KR101647089 B1 KR 101647089B1 KR 1020140091114 A KR1020140091114 A KR 1020140091114A KR 20140091114 A KR20140091114 A KR 20140091114A KR 101647089 B1 KR101647089 B1 KR 1016470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block
block body
retaining wall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911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010140A (en
Inventor
이종훈
Original Assignee
이종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훈 filed Critical 이종훈
Priority to KR1020140091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7089B1/en
Publication of KR20160010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1014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0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089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20Securing of slopes or inc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Retaining Walls (AREA)

Abstract

4각 틀 형상을 가지며 상하로 관통형성되며 상단으로부터 인입형성된 조립용 홈을 가지는 블록 몸체, 블록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블록 몸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는 지지벽, 블록 몸체의 상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이웃하여 적층되는 옹벽블록에 형성되는 조립용 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리부재, 블록 몸체의 하단의 양측 각각에 대칭되게 설치되며 하부에 위치하는 옹벽블록의 지지벽의 상면에 놓여져 지지되는 한 쌍의 하부 받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강토 옹벽블록이 게시된다.A block body having a four-sided cross-section and vertically penetratingly formed and having an assembling groove formed at an upper end thereof; a support wall provided inside the block body and having a lower height than the block body; A pair of retaining members disposed on both sides of a lower end of the block body to be symmetrically disposed and supported on an upper surface of a support wall of a lower retaining wall block, The prefabricated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lower supporting member.

Description

조립식 보강토 옹벽블록{BREAST WALL BLOCK}Prefabricated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BREAST WALL BLOCK}

본 발명은 조립식 보강토 옹벽블록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기초위에 토사가 무너지지 않도록 조립하여 설치하는데 사용하는 조립식 보강토 옹벽블록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refabricated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and more particularly, to a prefabricated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used to assemble and install the prefabricated concrete on a concrete foundation without collapsing.

일반적으로 성토지, 절개지 등에는 한쪽 면의 토압을 지지하거나 사면의 붕괴를 방지하는 옹벽을 시공하여 옹벽에 작용하는 토압을 견디게 하고 있다.In general, castle land, cutout, etc., are supported by earth pressure acting on the retaining wall by supporting the earth pressure on one side or preventing the collapse of the slope.

종래의 옹벽은, 성토면이나 절개면에 옹벽의 골격을 형성하는 철근을 일정한 형태로 배열 설치하고, 철근을 거푸집으로 감싼 다음, 거푸집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함으로써 벽체를 형성한 후, 벽체의 배면에 토사, 쇄석, 잡석 등을 포함하는 보강토를 채우는 방식으로 축조되었다.In the conventional retaining wall, reinforcing bars forming a retaining wall skeleton are embedded on a buried surface or a cut surface, the reinforcing bars are wrapped in a form, the concrete is laid in the form to cure the wall, It was constructed in such a way that it was filled with reinforcing soil including soil, crushed stones, and rubble.

이와 같이 철근 및 콘크리트로 축조되는 철근콘크리트 옹벽은 시공과정이 매우 복잡하고 시공기간이 오래 걸려서 막대한 시공비용이 소요되는 단점이 있었다.As described above, the reinforced concrete retaining wall constructed of reinforced concrete and concrete has a disadvantage that the construction process is very complicated and the construction period is long, which requires a large construction cost.

상기 철근콘크리트 옹벽이 갖는 여러 가지 문제점 들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에는 옹벽블록이 옹벽시공에 널리 이용되고 있으며, 옹벽블록으로 옹벽을 축조하는 방법은 다수의 옹벽블록을 횡 방향으로 적층하여 쌓은 다음 그 배면에 잡석 등을 채우는 옹벽블록이 다양하게 제안된 바 있다.In order to solve the various problems of the reinforced concrete retaining wall, a retaining wall block is widely used for retaining wall construction, and a method of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by a retaining wall block includes stacking a plurality of retaining wall blocks in a lateral direction, There have been various proposals for retaining wall blocks that fill the rubble.

그런데 종래의 옹벽블록들 대부분은 옹벽을 적층시 그 조립력을 강화하기 위해서 별도의 구성요소들이 필요한 것이 대부분이므로, 구조가 복잡해지게 되어 설비비용이 증가하고, 설비시간이 오래 걸리게 되며, 숙련공이 수작업으로 작업해야 하므로 옹벽을 축조하는데 인건비가 증대되고, 공사기간이 지연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ince most of the conventional retaining wall blocks require additional components in order to strengthen the retaining walls when stacking the retaining walls, the structure becomes complicated, resulting in an increase in facility cost, a long installation time, The construction cost of the retaining wall is increased and the construction period is delayed.

또한, 종래에는 블록측조 후에는 도 10과 같이, 연직선과 블록경사선(1) 사이의 안전각이 유지되어야 하나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도 11과 같이, 배면토압 및 수압에 의해서 블록의 선형이 휘고, 비틀어지며, 블록이 전면부로 튀어나옴(밀림)과 동시에 블록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는 변형이 발생하게 된다. 결국 도 12와 같이, 블록경사선(1)이 블록경사선(2)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런 현상은 점점 가속화되어 결국 블록의 전도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10, the safety angle between the vertical line and the block inclined line 1 must be maintained. However, as shown in Fig. 11, the linearity of the block is warped by the back earth pressure and the water pressure , And the block is protruded (pushed) to the front portion, and at the same time, a deformation that causes a gap between the blocks occurs. As a result, as shown in FIG. 12, the block sloping line 1 is moved to the block sloping line 2, and this phenomenon gradually accelerates, resulting in the problem of conduction of the block.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5-18368호Korean Utility Model Registration Application 2005-18368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50940호Korean Patent No. 10-075094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간단한 작업으로 견고하게 옹벽을 적층 할 수 있으며, 비 숙련공도 쉽게 작업할 수 있는 조립식 보강토 옹벽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efabricated reinforced concrete retaining wall block which can firmly hold a retaining wall by a simple operation and can easily work even for an unskilled worker.

또한, 본 발명은 축조 후에도 블록경사선의 변형이 발생하지 않고, 틈새가 발생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축조할 수 있는 조립식 보강토 옹벽블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prefabricated reinforced concrete retaining wall block which can be rigidly constructed without causing deformation of a block inclined line even after building and without generating gaps.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조립식 보강토 옹벽블록은, 4각 틀 형상을 가지며, 상하로 관통형성되며, 상단으로부터 인입형성된 조립용 홈을 가지는 블록 몸체; 상기 블록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블록 몸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는 지지벽; 상기 블록 몸체의 상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이웃하여 적층되는 옹벽블록에 형성되는 조립용 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리부재; 상기 블록 몸체의 하단의 양측 각각에 대칭되게 설치되며, 하부에 위치하는 옹벽블록의 지지벽의 상면에 놓여져 지지되는 한 쌍의 하부 받침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refabricated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comprising: a block body having a quadrangular frame shape and penetratingly formed vertically; A support wall installed inside the block body and having a lower height than the block body; An annular member protruding outwardly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block body and fitted into an assembling groove formed in a retaining wall block stacked adjacent to the block body; And a pair of lower supporting members symmetrical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lower end of the block body and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ing wall of the lower retaining wall block.

이로써, 비 숙련자도 옹벽을 쉽게 적층하여 시공할 수 있고,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As a result, the skilled artisan can easily construct the retaining wall by laminating it, and the construction time can be shortened.

여기서, 상기 블록 몸체는, 전면벽; 상기 전면벽에 대응되며, 상기 전면벽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벽보다 작은 좌우 폭을 가지는 후방벽; 상기 전면벽과 후방벽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며,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제1측벽 및 제2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측벽에 상기 조립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측벽에는 상기 조립용 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고리부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block body may include a front wall; A rear wall corresponding to the front wall and having the same height as the front wall, the rear wall being smaller in width than the front wall; And a first sidewall and a second sidewall which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ront wall and the rear wall and formed at the same height, wherein the assembly groove is formed in the first sidewall, and the assembly It is preferable that the loop member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groove for the sake of convenience.

이로써, 동일 높이에 적층되는 옹벽블록들 간에 견고하게 조립하여 시공할 수 있어, 내구성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This makes it possible to firmly assemble the retaining wall blocks stacked at the same height, thereby improving durability and stability.

또한, 상기 지지벽은 양단이 상기 전면벽과 상기 후방벽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측벽 사이의 중앙부분에 배치되는 것이 좋다.It is also preferable that both ends of the support wall are connected to the front wall and the rear wall, and are disposed at a central por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s.

이로써, 옹벽블록을 서로 교번하여 견고하게 적층 할 수 있다.Thus, the retaining wall blocks can be stacked alternately and firmly.

또한, 상기 지지벽의 하면의 좌우 폭은 상면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벽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블록 몸체의 상면 사이의 높이는 상기 받침부재의 높이에 대응되게 형성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벽의 상면의 좌우 폭은 상기 받침부재의 하단의 두께의 2배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The width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wall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upper surface. The height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wall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 body corresponds to the height of the support member, And the left and right width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wall is formed to be twice or more the thickness of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member.

이로써, 상부 옹벽블록의 받침부재를 하부의 옹벽블록의 지지벽에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적층시공 할 수 있다.Thereby, it is possible to stack the supporting member of the upper retaining block to stably support the retaining member of the upper retaining block on the supporting wall of the lower retaining wall block.

또한, 상기 조립용 홈과 상기 고리부재는 상기 전면벽과 후방벽 사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전면벽 측으로 치우치게 위치되는 것이 좋다.It is preferable that the assembly groove and the loop member are biased toward the front wall side with respect to the center between the front wall and the rear wall.

이로써, 옹벽의 외부로 노출되는 부분 쪽에서 더욱 견고하게 조립하여 시공할 수 있어서, 내구성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This makes it possible to assemble more firmly on the part of the retaining wall exposed to the outside, thereby improving durability and stability.

또한, 상기 한 쌍의 받침부재는 상기 전면벽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것이 좋다.It is preferable that the pair of support members protrude forward from the front wall.

이로써, 옹벽블록을 하부에서 상부로 적층 할수록 원하는 경사로 기울어지게 옹벽을 시공할 수 있게 되어,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Thus, as the retaining wall block is stacked from the lower part to the upper part, the retaining wall can be constructed so as to be inclined at a desired inclination, thereby improving the stability.

본 발명의 조립식 보강토 옹벽블록에 따르면, 옹벽블록을 별도의 조립수단이나 결합수단 없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조립용 홈, 고리부재, 지지벽, 받침부재)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조립하여 적층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fabricated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firmly assemble and stack the retaining wall blocks by using a structure (an assembling groove, a loop member, a support wall, a support member) formed integrally without any separate assembling means or coupling means .

따라서, 비 숙련자도 용이하게 시공할 수 있게 되어, 시공시간을 단축하고 비용을 줄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Therefore, the non-skilled person can easily construct the construction, thereby shortening the construction time and reducing the cost.

또한, 규격화되어 있는 구성으로서, 받침부재의 길이를 적절히 선택하여 제조함으로써 옹벽의 적층경사도를 결정하여 시공할 수 있으며, 그 경사각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적층시공 할 수 있다.In addition, as a standardized structure,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lamination inclination of the retaining wall by making the length of the retaining member appropriately selected and to construct the laminated structure so that the inclination angle can be kept constant.

또한, 본 발명의 조립식 보강토 옹벽블록은 사면(상, 하, 좌, 우)의 블록이 서로 체결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조립되어 적층 후에는 배면토압이나 수압에 의해 적층된 상태의 경사각이 그대로 유지되고, 전방으로 밀리거나 벌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In addition, the prefabricated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slope (upper, lower, left, right) blocks so that they can be fastened to each other so that the slope angle And can be prevented from being pushed forward or widened forward.

도 1은 조립식 보강토 옹벽블록을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2a는 도 1의 조립식 보강토 옹벽블록의 정면도이다.
도 2b는 도 1의 조립식 보강토 옹벽블록의 배면도이다.
도 2c는 도 1의 조립식 보강토 옹벽블록의 좌측면도이다.
도 2d는 도 1의 조립식 보강토 옹벽블록의 우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조립식 보강토 옹벽블록의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조립식 보강토 옹벽블록의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I-I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조립식 보강토 옹벽블록을 적층한 상태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과 같이 조립식 보강토 옹벽블록을 적층한 상태에서의 저면을 보인 도면이다.
도 8은 도 6과 같이, 조립식 보강토 옹벽블록을 적층한 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이다.
도 9는 조립식 보강토 옹벽블록의 내부에 내부 골조 프레임이 설치된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종래의 옹벽블록의 적층시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prefabricated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FIG. 2A is a front view of the assembled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of FIG. 1; FIG.
FIG. 2B is a rear view of the prefabricated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of FIG. 1. FIG.
2C is a left side view of the prefabricated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of FIG.
FIG. 2D is a right side view of the assembled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of FIG. 1; FIG.
3 is a plan view of the prefabricated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of FIG.
4 is a bottom view of the prefabricated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of FIG.
5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I-I in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fabricated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of FIG. 1 is laminated.
Fig. 7 is a bottom view of the prefabricated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in a stacked state as shown in Fig. 6. Fig.
8 is a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prefabricated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s are stacked as shown in FIG.
9 is a view for explaining an example in which an inner frame frame is installed inside a prefabricated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FIGS. 10 and 11 are views for explaining problems in stacking a conventional retaining wall block.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보강토 옹벽블록을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a prefabricated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립식 보강토 옹벽블록(100)은, 4각 틀 형상의 블록 몸체(110)와, 블록 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는 지지벽(120), 블록 몸체(110)의 상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는 고리부재(130), 블록 몸체(110)의 하단의 양측 각각에 대칭되게 설치되는 한 쌍의 하부 받침부재(140)를 구비한다.1 to 9, a prefabricated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block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lock body 110 having a quadrangular frame shape, a support wall (not shown) provided inside the block body 110, And a pair of lower supporting members 140 disposed symmetrically on both sides of a lower end of the block body 110. The upper and lower supporting members 140 and 120 are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block body 110, .

상기 블록 몸체(110)는 그 평면 형상이 4각 틀 형상을 가지며, 상하로 관통된 구조를 갖는다. 블록 몸체(110)는 정사각형의 평면 구조를 가질 수도 있고, 바람직하게는 사다리꼴 평면구조를 갖는 것이 좋다. 구체적으로 보면, 블록 몸체(110)는 옹벽을 적층하여 시공시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벽(111)과, 전면벽(111)에 마주하는 후방벽(112), 전면벽(111)과 후방벽(112)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는 제1 및 제2측벽(113,114)을 구비한다. 전면벽(111)과 후방벽(112) 및 제1 및 제2측벽(113,114)은 동일한 높이와 동일한 두께를 가진다. 상기 전면벽(111)의 좌우 폭(w1)은 후방벽(112)의 좌우 폭(w2)보다 크게 형성되어, 결국 블록 몸체(110)의 평면구조는 사다리꼴 형상을 갖게 된다.The block body 110 has a quadrangular frame shape in plan view and has a vertically penetrating structure. The block body 110 may have a square planar structure, and preferably has a trapezoidal planar structure. Specifically, the block body 110 includes a front wall 111, which is exposed to the outside when the retaining wall is constructed, a rear wall 112 facing the front wall 111, a front wall 111, 112 for connecting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s 113, 114, respectively. The front wall 111 and the rear wall 112 and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s 113 and 114 have the same height and the same thickness. The lateral width w1 of the front wall 111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lateral width w2 of the rear wall 112 so that the planar structure of the block body 110 has a trapezoidal shape.

여기서, 블록 몸체(110)의 제1측벽(113)의 상단에는 조립용 홈(115)이 소정 깊이로 형성된다. 상기 조립용 홈(115)은 제1측벽(113)의 내면 및 외면 각각으로 개방된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조립용 홈(115)은 제1측벽(113)에서 전면벽(111)에 더 치우치는 위치에 형성되며, 구체적으로는 제1측벽(113)의 전면벽(111)과 후방벽(112) 사이의 중심선(C)과 전면벽(111) 사이의 중심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립용 홈(115)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그 조립용 홈(115)에 조립되는 고리부재(130)는 조립용 홈(115)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Here, an assembling groove 115 is formed at an upper end of the first side wall 113 of the block body 110 to a predetermined depth. The assembling groove 115 has a structure that is opened to the inner and outer surfaces of the first side wall 113, respectively. The assembly groove 115 is formed at a position more inclined to the front wall 111 than the first side wall 113 and specifically between the front wall 111 and the rear wall 112 of the first side wall 113. [ The center line C of the front wall 111 and the center line C of the front wall 111. [ The shape of the assembling groove 115 may be variously formed and the annular member 130 assembled in the assembling groove 115 may be formed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assembling groove 115 .

상기 지지벽(120)은 블록 몸체(110)의 내부에 설치되며, 구체적으로는 블록몸체(110)의 하면과 동일한 높이로부터 블록 몸체(110)의 상면보다는 낮은 높이로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지지벽(120)의 높이(h1)는 블록 몸체(110)의 높이(h2)의 1/2 이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지지벽(120)의 상면과 블록 몸체(110)의 상면 사이의 높이(h3)는 상기 하부 받침부재(140)의 높이(h3)에 대응되는 높이로 형성된다.The support wall 120 is installed inside the block body 110 and specifically at a height lower than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 body 110 from the same height as the lower surface of the block body 110. More specifically, the height h1 of the support wall 120 is formed to be not less than half of the height h2 of the block body 110. The height h3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wall 120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 body 110 is set to a height corresponding to the height h3 of the lower support member 140. [

또한, 지지벽(120)은 하면(121)의 폭(w3)이 상면(122)의 폭(w4)보다 크게 형성되어, 그 종단면 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지지벽(120)의 양측면(123,124) 각각은 상부에서 하부로 서로 동일한 기울기로 경사지게 형성된다. 상기 지지벽(120)의 상면(122)에 블록 몸체(110)의 상부에 적층되는 다른 옹벽블록들(100')의 하부 받침부재(140)가 놓여져 지지된다. 이를 위해, 상면(122)의 폭(w2)은 하부 받침부재(140)의 두께(t1)의 2배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받침부재(140)의 상면(122)에 적층되는 옹벽블록들(100',100")의 우측 및 좌측 받침부재(140',140")가 안정적으로 지지 될 수 있게 된다.
The width w3 of the lower surface 121 of the support wall 12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width w4 of the upper surface 122 so that its longitudinal section has a trapezoidal shape. Each of the opposite side surfaces 123 and 124 of the support wall 120 is inclined at an equal slope from top to bottom. The lower supporting member 140 of the other retaining wall blocks 100 'stacked on the block body 110 is placed and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122 of the supporting wall 120. To this end, the width w2 of the upper surface 122 is preferably at least twice the thickness t1 of the lower supporting member 140. 8, the right and left supporting members 140 ', 140 "of the retaining wall blocks 100', 100" stacked on the upper surface 122 of the lower supporting member 140 are stably It can be supported.

상기 고리부재(130)는 블록 몸체(110)의 제2측벽(114)의 상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이웃하여 동일한 높이로 적층되는 옹벽블록(100')의 조립용 홈(115)에 대응되는 위치에 설치된다. 이러한 고리부재(130)는 제2측벽(114)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조림용 홈(115)에 끼워지는 끼움돌기부(131)와, 끼움돌기부(131)에서 하방향으로 절곡되어 연장되는 고리부(133)를 가진다. 끼움돌기부(131)는 제2측벽(114)의 상면과 동일한 높이로부터 형성되며, 그 상하 두께(t2)는 조립용 홈(115)의 깊이(d1) 이하로 형성된다. 그리고 고리부(133)는 끼움돌기부(131)의 끝단에서 하방향으로 90도 각도로 절곡되어 연장되며, 상기 두께(t2)에 대응되는 길이로 연장된다. 그리고 고리부(133)와 제1측벽(114) 사이의 간격(d2)은 후방벽(112) 쪽으로 갈수록 증가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고리부재(130)가 이웃한 옹벽블록(100')의 조립용 홈(115)에 안정적이고 견고하게 조립결합될 수 있게 된다.
The annular member 130 is installed to protrude outward from the upper portion of the second side wall 114 of the block body 110 and is disposed in the assembling groove 115 of the retaining wall block 100 ' And is install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The loop member 130 includes a fitting protrusion 131 projecting outward from the second side wall 114 and fitted into the stowing groove 115 and a hook portion 131 extending downwardly from the fitting protrusion 131 133). The fitting protrusion 131 is formed at the same height as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ide wall 114 and the upper and lower thickness t2 thereof is formed to be equal to or less than the depth d1 of the assembling groove 115. [ The hook 133 is bent at an angle of 90 degrees downward from the end of the fitting protrusion 131 and extends to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t2. The distance d2 between the ring 133 and the first sidewall 114 is increased toward the rear wall 112. Therefore, the annular member 130 can be stably and firmly assembled to the assembling groove 115 of the adjacent retaining wall block 100 '.

상기 받침부재(140)는 한 쌍이 블록 몸체(110)의 양측 하단에 각각 서로 대칭되게 설치된다. 받침부재(140)는 블록 몸체(110)의 제1 및 제2측벽(113,114)과는 서로 어긋나도록 즉, 평행하지 않고 교차하는 자세로 배치되며, 지지벽(120)과는 나란하게 배치된다. The pair of support members 140 are install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each other at the lower ends of both sides of the block body 110. The support member 140 is disposed in a position that is opposite to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s 113 and 114 of the block body 110 so as to be opposite to each other and parallel to the support wall 120,

또한, 받침부재(140)는 블록 몸체(110)의 전면벽(111)보다 전방으로 돌출되고, 후방벽(112)으로부터는 이격되는 위치에 즉, 전면벽(111) 쪽으로 치우치게 설치된다. 그리고 받침부재(140)의 전방에서 후방까지의 길이(d3)는 지지벽(120)의 길이(d4) 즉, 전면벽(111)과 후방벽(112) 사이의 거리(d3)에 대응되는 길이(d3≤d4)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따라서, 옹벽블록(100)을 적층시, 상부의 받침부재(140)가 하부 옹벽블록(110)의 블록 몸체(110)의 내부에 진입하여 지지벽(120)의 상부에 안정적이면서도 견고하게 안착되어 조립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140 protrudes forward from the front wall 111 of the block body 110 and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rear wall 112 toward the front wall 111. [ The length d3 from the front to the rear of the receiving member 140 is equal to the length d4 of the supporting wall 120 or the distance d3 between the front wall 111 and the rear wall 112 (d3? d4). Therefore, when the retaining wall block 100 is stacked, the upper retaining member 140 enters the inside of the block body 110 of the lower retaining wall block 110 and stably and firmly seats on the upper portion of the retaining wall 120 Can be assembled.

여기서, 상기 받침부재(140)가 전면벽(111)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길이(d5)에 따라서 옹벽블록(100)의 적층시 전체 시공되는 옹벽의 기울기가 결정된다. 따라서, 시공하고자 하는 옹벽의 높이와, 주변환경, 지형 및 토지의 형태에 따라서 받침부재(140)의 돌출되는 길이(d5)를 다양하게 선택하여 적용할 수 있다. 즉, 받침부재(140) 전체 길이(d3)는 지지벽(120)의 길이에 대응되는 길이로 그대로 유지하면서, 돌출되는 길이(d5)만을 조정하여 제작 사용할 수 있다.
The slope of the retaining wall that is formed when the retaining wall block 100 is stacked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length d5 of the receiving member 140 protruding forward of the front wall 111. [ Therefore, the protruding length d5 of the support member 140 can be variously selected according to the height of the retaining wall to be installe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e topography, and the shape of the land. That is, the entire length d3 of the supporting member 140 can be manufactured by adjusting the protruding length d5 while maintaining the same length as the length of the supporting wall 120. [

상기 구성을 가지는 옹벽블록(100)은 바람직하게는 콘크리트구조물로 형성되며, 블록 몸체(110)와, 지지벽(120), 고리부재(130) 및 받침부재(140) 모두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물론, 콘크리트로 제작시, 강도 등을 높일 수 있도록 자갈 등이 적절한 비율로 추가될 수 있다.The retaining wall block 100 having the above structure is preferably formed of a concrete structure and the block body 110 and the supporting wall 120, the loop member 130 and the receiving member 140 are integrally formed . Of course, in the case of concrete, gravel may be added at an appropriate rate to increase the strength.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옹벽블록(100)의 주요 부분에 내부 골조프레임(150)이 더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내부 골조 프레임(150)은 철근 등을 옹벽블록(100)에 대응되는 형태로 엮어서 형성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골조 프레임(150)을 기초로 하여 콘크리트로 옹벽블록(100)을 제조함으로써, 강도를 높이고, 중량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옹벽을 적층하여 시공시, 강도를 높이고 중량을 높일 수 있게 됨은 물론, 조립을 견고하게 할 수 있게 되어 시공이 용이하고, 시공 후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 내구성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Further, as shown in FIG. 10, it is preferable that an inner frame frame 150 is further installed in a main portion of the retaining wall block 100. The inner frame frame 150 may be formed by weaving reinforcing bars or the like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retaining wall block 100. By constructing the retaining wall block 100 with concrete based on the frame frame 150 as described above, the strength and weight can be increased. Accordingly, when the retaining wall is laminated,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strength and the weight of the building, and also to strengthen the assembly, thereby facilitating the construction, improving the stability after the construction and increasing the durability.

상기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옹벽블록(100)을 이용하여 옹벽을 적층하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A method of laminating a retaining wall using the retaining wall block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옹벽을 시공하기 위한 지역에 바닥의 콘크리트로 바닥기초(10)를 하고, 그 콘크리트 바닥기초(10)로부터 옹벽블록(100)을 적층하여 시공한다.First, a bottom foundation 10 is formed of a bottom concrete in an area for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and the retaining wall block 100 is laminated from the concrete foundation 10.

이때, 도 6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일 높이의 옹벽블록(100)은 그 전면벽(111)이 동일선상에 위치하도록 정렬시켜 배치한 후에, 그 상부에 옹벽블록(100',100")을 하부의 옹벽블록(100)과 서로 겹쳐지도록 교번되게 적층한다.6 and 8, the retaining wall blocks 100 of the same height are arranged in such a manner that the front walls 111 thereof are aligned on the same line, and then the retaining wall blocks 100 ', 100 ") Are alternately stacked so as to overlap with the lower retaining wall block 100.

또한, 동일선상의 옹벽블록(100)들은 직선형으로 배치되거나, 곡선형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즉, 옹벽블록(100)의 평면형상이 사다리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서로 이웃한 옹벽블록들(100)의 측벽을 서로 밀착시켜서 옹벽블록을 곡선형으로 시공할 수도 있고, 도 6과 같이 직선형으로 배치하여 적층 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retaining wall blocks 100 on the same line may be arranged in a straight line or arranged in a curved line. That is, since the planar shape of the retaining wall block 100 is formed in a trapezoidal shape, the retaining wall blocks 100 may be closely contacted with each other to form a curved wall.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o arrange and stack them.

옹벽블록(100)의 적층시,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옹벽블록(100)의 블록 몸체(110)의 내부에 적층 할 옹벽블록(100',100")의 받침부재(140',140")가 삽입되어, 지지벽(120)의 상면에 놓이도록 하고, 고리부재(130)는 이웃한 옹벽블록(100)의 조립용 홈(115)에 안착되어 끼워져 조립되도록 적층하여 조립하면, 옹벽을 용이하게 적층하여 시공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옹벽블록(100)을 적층하는 과정에서, 하부의 옹벽블록(100)의 내부의 공간에 토사를 채워 넣으면서 적층하게 되면, 옹벽블록(100)과 함께 하중을 높일 수 있게 되어 견고하게 시공할 수 있다.The supporting members 140 'and 140' 'of the retaining wall blocks 100' and 100 '' to be stacked inside the block body 110 of the retaining wall block 100 The retaining wall 130 is inserted and stack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wall 120 so that the annular member 130 is seated in the assembling groove 115 of the adjacent retaining wall block 100 and assembled. It is possible to laminate and construct. In this case, when the inner wall of the lower retaining wall block 100 is filled with the gravel in the process of laminating the retaining wall block 100, the load can be increased together with the retaining wall block 100, .

또한, 옹벽블록(100)을 단순히 좌우로 교번되게(엇갈리게) 반복하여 적층하는 방법에 의해 적층하여 시공할 수 있기 때문에, 비 숙련자도 쉽게 작업할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etaining wall block 100 can be stacked and laminated by simply repeating alternately (left and right) alternately (stacked) repeatedly, it is possible to work easily with unskilled persons.

또한, 옹벽블록(100) 단일부품으로 구성되어 조립하여 적층하도록 하는 구성을 가짐으로써, 부품이 적어 제조비용이 절감되고, 조립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비하여 시공비용을 줄이고, 시공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retaining wall block 100 is constituted by a single part and assembled and laminated,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manufacturing cost is reduced and the assembling time is shortened because there are few parts. Therefore,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onstruction cost can be reduced and the construction time can be shortened compared with the prior art.

또한, 적층하여 시공후에도, 옹벽블록들(100)이 서로 견고하게 조립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배변토압이나, 수압에 의해 옹벽들 사이의 틈이 벌어지거나, 그 경사각이 변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되어, 옹벽의 전도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Further, since the retaining wall blocks 100 are firmly assembled to each other even after lamination and construc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gap between the retaining walls from spreading due to the bowing earth pressure or the water pressure and changing the inclination angle thereof, The conduction of the retaining wall can be fundamentally prevented.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readily appreciate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100',100"..옹벽블록 110..블록 몸체
120..지지벽 130..고리부재
140..받침부재 150..내부 골조 프레임
100, 100 ', 100 ".. Retaining wall block 110 .. Block body
120 .. support wall 130 .. ring member
140. Support member 150 .. Internal frame frame

Claims (7)

4각 틀 형상을 가지며, 상하로 관통형성되며, 상단으로부터 인입형성된 조립용 홈을 가지는 블록 몸체;
상기 블록 몸체의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블록 몸체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는 지지벽;
상기 블록 몸체의 상부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이웃하여 적층되는 옹벽블록에 형성되는 조립용 홈에 끼워져 결합되는 고리부재;
상기 블록 몸체의 하단의 양측 각각에 대칭되게 설치되며, 하부에 위치하는 옹벽블록의 지지벽의 상면에 놓여져 지지되는 한 쌍의 하부 받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받침부재는 상기 블록 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한 쌍의 받침부재가 상기 블록 몸체의 전방으로 돌출되는 길이에 따라 상기 블록 몸체가 복수로 적층된 옹벽의 기울기를 변화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강토 옹벽블록.
A block body having four frame shapes, vertically penetratingly formed, and having an assembling groove formed by being drawn from an upper end thereof;
A support wall installed inside the block body and having a lower height than the block body;
An annular member protruding outwardly from an upper portion of the block body and fitted into an assembling groove formed in a retaining wall block stacked adjacent to the block body;
And a pair of lower supporting members symmetrically disposed on both sides of a lower end of the block body and supported on upper surfaces of supporting walls of the lower retaining wall block,
Wherein the pair of support members protrude forward of the block body,
Wherein a slope of the retaining wall in which the block bodies are stacked in plurality can be changed according to a length of the pair of supporting members protruding forward of the block bod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몸체는,
전면벽;
상기 전면벽에 대응되며, 상기 전면벽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고, 상기 전면벽보다 작은 좌우 폭을 가지는 후방벽;
상기 전면벽과 후방벽의 양단을 각각 연결하며, 동일한 높이로 형성되는 제1측벽 및 제2측벽;을 포함하고,
상기 제1측벽에 상기 조립용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측벽에는 상기 조립용 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상기 고리부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강토 옹벽블록.
The apparatus of claim 1, wherein the block body comprises:
Front wall;
A rear wall corresponding to the front wall and having the same height as the front wall, the rear wall being smaller in width than the front wall;
A first sidewall and a second sidewall which are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front wall and the rear wall and formed at the same height,
Wherein the assembling groove is formed on the first side wall and the loop member is provided on the second side wall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assembling groov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벽은 양단이 상기 전면벽과 상기 후방벽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및 제2측벽 사이의 중앙부분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강토 옹벽블록.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support wall is connected at both ends to the front wall and the rear wall, and is disposed at a central portio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side wall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벽의 하면의 좌우 폭은 상면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감소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지지벽의 상면으로부터 상기 블록 몸체의 상면 사이의 높이는 상기 받침부재의 높이에 대응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강토 옹벽블록.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width of the lower surface of the support wall gradually decreases from the upper surfac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wall and the height between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wall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block body corresponds to the height of the support member. block.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벽의 상면의 좌우 폭은 상기 받침부재의 하단의 두께의 2배 이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강토 옹벽블록.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left and right width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support wall are two times or more the thickness of the lower end of the support member.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조립용 홈과 상기 고리부재는 상기 전면벽과 후방벽 사이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전면벽 측으로 치우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립식 보강토 옹벽블록.
6.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to 5,
Wherein the assembling groove and the loop member are biased toward the front wall side with respect to a center between the front wall and the rear wall.
삭제delete
KR1020140091114A 2014-07-18 2014-07-18 Breast wall block KR101647089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1114A KR101647089B1 (en) 2014-07-18 2014-07-18 Breast wall bloc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91114A KR101647089B1 (en) 2014-07-18 2014-07-18 Breast wall block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0140A KR20160010140A (en) 2016-01-27
KR101647089B1 true KR101647089B1 (en) 2016-08-09

Family

ID=55309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91114A KR101647089B1 (en) 2014-07-18 2014-07-18 Breast wall block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708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108941A (en) * 2021-12-20 2022-03-01 宋献磊 Assembled building wallboard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5773B1 (en) 2003-08-12 2005-04-28 주식회사 로템 Device for controlling an extension power supply in train
KR20070053922A (en) * 2005-11-22 2007-05-28 임종덕 Fabricate breast wall block for environment and it's manufacture method
KR100750940B1 (en) 2006-01-11 2007-08-22 신현수 Retaining Wall Block
KR101089798B1 (en) * 2009-03-26 2011-12-12 합자회사 동서콘크리트 Reveting wall bloc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10140A (en) 2016-0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7523B1 (en) Precast concrete block for cascade retaining wall for slope protection And method of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KR101283550B1 (en) Precast Panel, Wall Structure using such Precast Panel,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1652163B1 (en) Concrerte pannel for retaining wall and method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using the same
US20180112400A1 (en) Insulated concrete form construction method and system
KR20170032826A (en) Precast concrete dual wall structur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2060746B1 (en) Stackable Concrete Block and Formwork for the Same
KR101284122B1 (en)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retaining wall block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KR101647089B1 (en) Breast wall block
KR100644795B1 (en) the revetment of prefabricated panel
CN110678609A (en) Assembled type earthquake-proof retaining wall building block system
GB2522886A (en) Shuttering system
JP4812135B2 (en) Tools for laminating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s
JP6240625B2 (en) Retaining wall, creation site and creation method of creation site
KR101542602B1 (en) Equipment of temporary earth protection for building works
JP4596548B2 (en) Reinforced earth retaining wall structure.
KR100791804B1 (en) Iron retaining wall of reinforce soil
KR101146757B1 (en) Stackable retaining walls and th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1005352B1 (en) Retaining wall using geogrid
KR101677431B1 (en) Large concrete retaining wall and method of construction
KR101628049B1 (en) Self-retained wall sructures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KR101059433B1 (en) Gusset retaining wall structure
KR102132470B1 (en) Methods for top-down constructing panel type retaining wall structure
KR102112678B1 (en) Retaining wall with connected block and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KR102638704B1 (en) Continuous steel diaphragm wall technology for underground space wall structur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KR102016974B1 (en) Retaining Wall using Continuous Precast Panels,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