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34296Y1 -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Blocks - Google Patents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Block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34296Y1
KR200334296Y1 KR20-2003-0027522U KR20030027522U KR200334296Y1 KR 200334296 Y1 KR200334296 Y1 KR 200334296Y1 KR 20030027522 U KR20030027522 U KR 20030027522U KR 200334296 Y1 KR200334296 Y1 KR 20033429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main body
retaining wall
stacked
inter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27522U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근호
유성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흥콘크리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흥콘크리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흥콘크리트
Priority to KR20-2003-00275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34296Y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3429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34296Y1/en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58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 E02D29/0266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made up of preformed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9/00Independent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Retaining walls
    • E02D29/02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 E02D29/0225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 E02D29/0233Retaining or protecting walls comprising retention means in the backfill the retention means being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92Shapes conical or convex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Abstract

본 고안은 시공이 간편하고 견고하게 인터록킹되어 적층될 수 있으며 블록 자체의 자중만으로도 배면 토압을 견딜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블록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옹벽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taining wall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and firmly interlocked and stacked, and is formed using a block of a new structure that can withstand the back earth pressure only by its own weight.

본 고안에서는,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본체(11)와 그 전면에 구비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부(12)로 구성되며, 상부에 적층되는 블록과의 인터록킹을 위하여 상기 본체(11)의 상면에는 전면부(12)에 가까운 측에 인터록킹 돌기(13)가 형성되어 있는 바닥 블록(1)과;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본체(21)와 그 전면에 구비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부(22)로 구성되며, 상부에 적층되는 블록과의 인터록킹을 위하여 상기 본체(21)의 상면에는 전면부(22)에 가까운 측에 인터록킹 돌기(23)가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는 아래 층 블록의 인터록킹 돌기가 삽입되며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오목부(24)가 형성되어 있는 중간 블록(2)과;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본체(31)와 그 전면에 구비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부(32)로 구성되며, 하부에 적층된 중간 블록(2)과의 인터록킹을 위하여 상기 중간 블록(2)의 돌기(23)가 삽입되며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오목부(34)가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 블록(3)으로 구성되며; 상기 바닥 블록(1), 다수 개의 중간 블록(2) 및 상부 블록(3)의 순서로 적층되어 블록의 자중을 이용하여 옹벽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가 제공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body 11 having a hexahedral shape and the front portion 12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1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 for interlocking with the blocks stacked on the upper side. A bottom block 1 on which an interlocking protrusion 13 is formed on a side close to the front part 12; It consists of a main body 21 having a hexahedral shape and a front portion 22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21 and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front portion 2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 for interlocking with a block stacked on the top. An intermediate block (2) having an interlocking protrusion (23) formed on the side close to the bottom face), and having an interlocking protrusion of the lower layer block inserted therein and having a concave portion (24) form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t consists of a main body 31 having a hexahedral shape and a front portion 32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31 exposed to the outside, the projection of the intermediate block 2 for interlocking with the intermediate block 2 stacked below 23 is inserted and the recessed part 34 form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consists of the upper block 3 formed in the lower surface; A retaining wall structure is provided, which is stacked in the order of the bottom block 1, the plurality of intermediate blocks 2 and the upper block 3 to form a retaining wall using the weight of the block.

Description

옹벽 블록을 이용한 응벽구조{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Blocks}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Blocks}

본 고안은 옹벽 블록을 이용한 응벽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시공이 간편하고 견고하게 인터록킹되어 적층될 수 있으며 블록 자체의 자중만으로도배면 토압을 견딜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블록을 이용하여 형성하는 옹벽구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olid wall structure using a retaining wall block, and specifically, a retaining wall formed by using a block of a new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interlocked and laminated with a simple construction and can endure back ground pressure only by its own weight. It's about structure.

옹벽 시공방법 중의 하나로서, 현장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옹벽을 시공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거푸집을 설치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함에 따른 시공불량 가능성이 매우 높다.As one of the retaining wall construction methods,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retaining wall by placing concrete on the site, in which case there is not only inconvenience to install the formwork, but also the possibility of poor construction due to the concrete in the field is very high.

이러한 대안으로서 블록을 이용하여 옹벽을 시공하는 방안이 새로이 주목을 받고 있다. 도 3에는 종래에 블록을 이용하여 시공된 옹벽구조의 단면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는데, 종래에는 크기가 작은 소형의 육면체 블록(100)을 수직하게 적층하고, 그 배면의 토사에는 섬유로 이루어진 그리드(101)를 수평하게 매립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즉, 종래의 경우, 블록(100)이 그 크기가 작고 자중도 작기 때문에 단순히 수직하게 적층되는 것만으로는 배면 토사에 의한 토압을 지탱할 수 없다. 따라서, 일종의 지중앵커 기능을 하게 되는 섬유로 이루어진 그리드(101)를 배면 토사내에 수평하게 매립하여, 적층된 블록(100)에 가해지는 배면 토사에 의한 토압을 지탱하는 구조를 가지게 된다.As an alternative, a method of constructing a retaining wall using blocks has received new attention. 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retaining wall structure constructed using a block in the related art. In the related art, a small hexahedral block 100 having a small size is vertically stacked, and the earth and sand on the rear thereof has a grid made of fiber ( 101) to bury the structure horizontally. That is, in the conventional case, since the block 100 is small in size and low in self-weight, simply stacking vertically cannot support the earth pressure by the back soil. Therefore, the grid 101 made of fibers that function as a kind of underground anchor is embedded horizontally in the rear soil, and thus has a structure that supports the earth pressure by the rear soil applied to the stacked blocks 100.

그러나, 위와 같이 배면 토사에 그리드(101)를 설치하는데는 상당한 비용과 공기가 소요되므로, 위와 같이 통상의 블록(100)을 적층하여 옹벽을 시공할 수 있는 경우는 극히 제한되어 있으며, 실제 시공되는 경우도 많지 않다.However, since the installation of the grid 101 on the back soil as described above takes a considerable cost and air, it is extremely limited in the case that the retaining wall can be constructed by stacking the conventional block 100 as described above, the actual construction Not many cases.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그리드를 사용하지 않는 간편한 방법으로 시공되어 견고한 구조를 이룰 수 있으며, 우수한 외관을 가질 수 있는 새로운 옹벽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overcom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specifically, it is constructed in a simple way without using a grid to achieve a robust structure, and to provide a new retaining wall structure that can have an excellent appearance It is done.

도 1a 내지 도 1d는 본 고안에 따른 옹벽구조에 사용되는 블록의 개략적인 사시도로서, 도 1a는 옹벽의 바닥에 위치하게 되는 바닥 블록의 사시도이며, 도 1b는 옹벽의 중간에 위치하게 되는 중간 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1c는 도 1b에 도시된 중간 블록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1d는 옹벽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상부 블록의 사시도이다.Figure 1a to 1d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block used in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ttom block is located on the bottom of the retaining wall, Figure 1b is an intermediate block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retaining wall 1C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mediate block shown in FIG. 1B, and FIG. 1D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block to be placed on top of the retaining wall.

도 2는 도 1a 내지 도 1d에 도시된 블록에 의하여 형성된 본 고안에 따른 옹벽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다.Figure 2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a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ormed by the block shown in Figures 1a to 1d.

도 3은 종래의 블록을 이용하여 시공된 옹벽구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3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retaining wall structure constructed using a conventional block.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Explanation of symbols for the main parts of the drawings>

1 : 바닥 블록 2 : 중간 블록1: floor block 2: middle block

3 : 상부 블록3: upper block

본 고안에서는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본체와 그 전면에 구비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부로 구성되며, 상부에 적층되는 블록과의 인터록킹을 위하여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전면부에 가까운 측에 인터록킹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바닥 블록과;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본체와 그 전면에 구비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부로 구성되며, 상부에 적층되는 블록과의 인터록킹을 위하여 상기 본체의 상면에는 전면부에 가까운 측에 인터록킹 돌기가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는 아래 층 블록의 인터록킹 돌기가 삽입되며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중간 블록과;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본체와 그 전면에 구비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부로 구성되며, 하부에 적층된 중간 블록과의 인터록킹을 위하여 상기 중간 블록의 돌기가 삽입되며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오목부가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 블록으로 구성되며; 상기 바닥 블록, 다수 개의 중간 블록 및 상부 블록의 순서로 적층되어 블록의 자중을 이용하여 옹벽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가 제공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it is composed of a main body having a hexahedron shape and the front portion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and exposed to the outside,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for interlocking with the block stacked on the upper portion A bottom block having an interlocking protrusion formed on a near side thereof; It consists of a main body having a hexahedron shape and a front portion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exposed to the outside, and an interlocking protrusion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near the front side for interlocking with a block stacked on the upper side. An intermediate block into which an interlocking protrusion of a lower layer block is inserted and a recess form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is formed; It is composed of a main body having a hexahedron shape and a front part provided on the front side and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protrusion of the middle block is inserted in the interlocking portion formed in the lower side for interlocking with the middle block stacked below. Consisting of an upper block; A retaining wall structure is provided, which is stacked in the order of the bottom block, the plurality of intermediate blocks, and the upper block to form the retaining wall using the own weight of the block.

또한, 본 고안에서는 위의 옹벽구조에 있어서, 상기 블록의 전면부는, 각각의 본체와 분리된 형태로 제작되어 본체에 부착되며, 자연석 형상의 장식을 가지고 있고, 안료에 의하여 소정의 색깔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가 제공된다.In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above retaining wall structure, the front part of the block is manufactured in a form separated from each main body, attached to the main body, has a natural stone shape decoration, and has a predetermined color by a pigment. A retaining wall structure is provided.

다음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살펴보므로써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The following describes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by looking at specific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a 내지 도 1d는 본 고안에 따른 옹벽구조에 사용되는 블록의 개략적인 사시도인데, 도 1a는 옹벽의 바닥에 위치하게 되는 바닥 블록(1)의 사시도이며, 도 1b는 옹벽의 중간에 위치하게 되는 중간 블록(2)의 사시도이고, 도 1c는 도 1b에 도시된 중간 블록(2)의 배면 사시도이며, 도 1d는 옹벽의 상부에 위치하게 되는 상부 블록(3)의 사시도이다.Figures 1a to 1d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the block used in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a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bottom block (1) which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retaining wall, Figure 1b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 retaining wall 1C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intermediate block 2 shown in FIG. 1B, and FIG. 1D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upper block 3 positioned above the retaining wall.

우선, 바닥 블록(1)의 구성을 살펴보면,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본체(11)와 그 전면에 구비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부(12)로 구성된다. 상부에 적층되는 블록과의 인터록킹을 위하여 상기 본체(11)의 상면에는 전면부(12)에 가까운 측에 인터록킹 돌기(13)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기(13)는 반구(半球) 형상을 가지는데, 도면에는 단지 2개만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한개 또는 2개 이상의 복수 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First, looking at the configuration of the bottom block 1, it consists of a main body 11 having a hexahedral shape and a front portion 12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and exposed to the outside. An interlocking protrusion 13 is formed on a side close to the front part 1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 for interlocking with the blocks stacked on the upper side. The protrusion 13 has a hemispherical shape, but it is illustrated that only two are formed in the drawing,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protrusion 13 may be formed of one or more than two.

본체(11)의 전면에 형성되는 전면부(12)는 본체(11)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으나, 별도의 부재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전면부(12)는 별도의 판 형상의 부재로 제작되어, 앵커볼트 등과 같은 통상의 연결부재 또는 접착제 등에 의하여 본체(11)의 전면에 부착될 수도 있는 것이다. 특히, 일체로 형성되거나 또는 별도로 제작되든지 간에 상기 전면부(12)는 자연석과 같이 가공하여 보는 사람으로 자연스러움을 느끼도록 제작할 수 있다.The front part 12 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1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main body 11, or may be formed as a separate member. That is, the front portion 12 is made of a separate plate-shaped member, it may be attached to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1 by a conventional connecting member such as anchor bolt or the like. In particular, whether integrally formed or separately manufactured, the front portion 12 can be manufactured to feel natural to the viewer by processing like natural stone.

또한, 상기 전면부(12)는 본체(11)와 마찬가지로 콘크리트로 제작될 수 있으며, 그 이외에 자연석, 합성수지와 같은 다양한 공지의 토목/건축재료를 이용하여 제작될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안료를 첨가하여 소정의 색깔을 갖도록 제작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front portion 12 may be made of concrete, similar to the main body 11, and may also be manufactured using various known civil / building materials such as natural stones and synthetic resins. In addition, it may be manufactured to have a predetermined color.

상기한 바닥 블록(1)이 지면에 설치된 후, 그 상부로는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중간 블록(2)이 차례로 적층된다. 상기 중간 블록(2)은, 그 하면에 오목부(24)가 형성되어 있다는 점을 제외하고는, 앞서 살펴본 바닥 블록(1)과 마찬가지로 본체(21), 전면부(22), 돌기(23)를 구비하고 있으며, 그 크기와 형상에 있어서도 바닥 블록(1)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After the bottom block 1 is installed on the ground, the intermediate block 2 as shown in FIG. 1B is sequentially stacked on top thereof. The intermediate block 2 has a main body 21, a front portion 22, and a protrusion 23 similarly to the bottom block 1 described above, except that the recess 24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thereof. It is provided and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e floor block 1 also in the size and shape.

상기 중간 블록(2)의 하면에 형성된 오목부(24)는 도 1c에 도시된 것과 같이, 상기 바닥 블록(1)의 상면에 형성된 돌기(13)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중간 블록(2)의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중간 블록(2)이 바닥 블록(1) 위에 적층되면, 바닥 블록(1) 상면의 돌기(13)가 상기 오목부(24) 내에 위치하게 되어 서로 인터록킹 작용을 하게 된다. 특히, 본 고안에서 상기 중간 블록(2)의 상면에 형성된 오목부(24)가 중간 블록(2)의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돌기(13)가 중간 블록(2)의 횡방향으로 어느 위치에나 있을 수 있다. 이는 바닥 블록(1) 위에 중간 블록(2)을 지그재그로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도록 한다.The recess 24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block 2 has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rotrusion 13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ottom block 1, as shown in FIG. 1C. It is formed long in the lateral direction of. Accordingly, when the intermediate block 2 is stacked on the bottom block 1, the protrusions 13 on the top surface of the bottom block 1 are positioned in the recesses 24 to interlock with each other. In particular, since the concave portion 24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block 2 in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lo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intermediate block 2, the projection 13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intermediate block 2 It can be in any position. This makes it possible to freely arrange the intermediate block 2 in a zigzag manner over the bottom block 1.

상기 중간 블록(2)의 상면에 형성된 돌기(23)는 마찬가지로 그 위에 적층되는 중간 블록(2)의 하면에 형성된 오목부에 삽입되어 인터록킹 되므로써 적층되는 중간 블록(2)을 견고하게 맞물리게 한다. 그 이외에 중간 블록(2)에 구비된본체(21) 및 전면부(22)는, 앞서 설명한 바닥 블록(1)의 본체(11) 및 전면부(12)와 동일한 바, 그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The protrusions 23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block 2 likewise are inserted into the recesse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block 2 stacked thereon, thereby interlocking and firmly engaging the intermediate blocks 2 to be stacked. In addition, the main body 21 and the front part 22 provided in the intermediate block 2 are the same as the main body 11 and the front part 12 of the bottom block 1 described above, and the repeated description thereof is omitted. do.

도 1d에는 적층된 블록의 최상부에 놓이게 되는 상부 블록(3)이 도시되어 있는데, 마찬가지로 본체(31)와 전면부(32)로 구성되어 있다. 상부 블록(3)에 구비된 본체(31) 및 전면부(32)는, 앞서 설명한 바닥 블록(1)의 본체(11) 및 전면부(12)와 동일한 바, 그에 대한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1d shows an upper block 3 which is placed on top of the stacked blocks, which likewise consists of a main body 31 and a front part 32. The main body 31 and the front part 32 provided in the upper block 3 are the same as the main body 11 and the front part 12 of the bottom block 1 described above, and a repeat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상부 블록(3)의 하면에는, 상기한 중간 블록(2)의 하면에 형성된 오목부(24)와 같이, 중간 블록(2)의 돌기(23)가 삽입되는 오목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상부 블록(3)의 하면에 형성된 오목부(34)도 상기 중간 블록(2)의 상면에 형성된 돌기(23)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상부 블록(3)의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중간 블록(2) 위로 상부 블록(3)이 적층되면, 중간 블록(2) 상면의 돌기(23)가 상기 오목부(34) 내에 위치하게 되어 서로 인터록킹 작용을 하게 된다.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lock 3, like the recessed portion 24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block 2, a recessed portion 34 into which the protrusions 23 of the intermediate block 2 are inserted is formed. have. The concave portion 34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block 3 is also formed long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upper block 3 in a shape corresponding to the shape of the protrusion 23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block 2. . Accordingly, when the upper block 3 is stacked on the intermediate block 2, the protrusions 23 on the upp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block 2 are positioned in the recess 34 to interlock with each other.

중간 블록(2)과 마찬가지로 상기 오목부(34)가 상부 블록(3)의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중간 블록(2)의 돌기(23)가 횡방향으로 어느 위치에나 있을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중간 블록(2) 위에 상부 블록(3)을 지그재그로 자유롭게 배치할 수 있도록 한다.Like the intermediate block 2, the recess 34 is formed to be elongat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of the upper block 3, so that the protrusion 23 of the intermediate block 2 may be at any position in the transverse direction. Accordingly, the upper block 3 can be freely arranged zigzag on the middle block 2.

상기 상부 블록(3)의 상면은, 옹벽 시공 후 표면 토사가 덮일 수 있도록 전면부(32) 보다 낮은 높이를 가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lock (3), it is preferable to have a height lower than the front portion 32 so that the surface soil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retaining wall.

위에서 설명한 블록(1, 2, 3)은 종래의 블록에 비하여 그 크기가 크며 자중이 크다. 따라서, 이러한 블록을 적층하는 것만으로도 옹벽을 시공할 수 있게 되는데, 도 2에는 이러한 블록을 이용하여 시공된 본 고안에 따른 옹벽구조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The blocks 1, 2, and 3 described above are larger in size and have a larger weight than the conventional blocks. Therefore,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retaining wall only by stacking such blocks, and FIG. 2 show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using such a block.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면에는 상기한 바닥 블록(1)을 배치한 후 그 위로 중간 블록(2)을 적층한다. 이때, 바닥 블록(1)의 돌기(13)가 상면으로 오도록 하여 그 위에 적층되는 중간 블록(2) 하면의 오목부(24)에 삽입되도록 한다. 시공하고자 하는 옹벽의 높이에 맞추어 다수 개의 중간 블록(2)을 적층한 후 최상부에는 상부 블록(3)을 위치한 후, 상부 블록(3)의 상면에 마무리 토사(5)를 덮는다. 물론, 블록(1, 2, 3)을 쌓아 가면서 그 배면으로는 배면 토사를 완전히 채운다. 도 2에서 바닥 블록(1)의 내측에 구비된 것은 배면 토사내의 배수를 위한 배수관 장치(4)이다.As shown in FIG. 2, the bottom block 1 is disposed on the bottom surface, and the intermediate block 2 is stacked thereon. At this time, the projection 13 of the bottom block 1 is to be brought to the upper surface to be inserted into the recessed portion 24 of the lower surface of the intermediate block 2 stacked thereon. After stacking a plurality of intermediate blocks (2) in accordance with the height of the retaining wall to be constructed, the upper block (3) is positioned on the top, and then the finishing soil (5) is cover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upper block (3). Of course, while stacking the blocks (1, 2, 3), the back soil is completely filled with the back soil. In FIG. 2, the inside of the bottom block 1 is a drain pipe device 4 for drainage in the rear soil.

도 2에서는 상기 블록(1, 2, 3)이 수직하게 적층되어 옹벽을 형성하는 구조만이 도시되어 있는데, 필요에 따라서는 옹벽을 배면 토사 방향으로 경사지도록 형성할 수 도 있다.In FIG. 2, only the structure in which the blocks 1, 2, and 3 are vertically stacked to form the retaining wall is illustrated. If necessary, the retaining wall may be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rear soil direction.

즉, 각각의 블록을 제작함에 있어서, 예를 들면 오목부를 전방부에 가까이 형성하고 상면의 돌기를 그보다 더 후방에 가까이 형성하는 것과 같이 돌기와 오목부의 위치를 서로 어긋나게 위치하도록 제작하게 되면 각 블록을 적층하였을 때, 적층된 옹벽이 후방 또는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된다.That is, in manufacturing each block, if each of the blocks is fabricated so that the positions of the projections and the recesses are shifted from each other, for example, the recesses are formed closer to the front part and the upper projections are formed closer to the rear. In this case, the laminated retaining wall is inclined backward or forward.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옹벽 구조에 있어서는,각각의 블록(1, 2, 3)이 충분한 자중을 가지고 있고, 각각 상면과 하면에 인터록킹을 위한 구조(돌기와 오목부)가 구비되어 있으므로, 블록을 적층하는 것만으로도 배면 토사에 의한 토압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옹벽이 형성된다. 따라서, 종래에 블록을 이용한 옹벽 구조와는 달리, 적층된 블록을 지지하기 위하여 배면 토사에 그리드 등을 매립할 필요가 없으며, 그에 따라 시공이 간편하고 시공비가 절감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ach of the blocks 1, 2, and 3 has a sufficient self-weight, and structures (protrusions and recesses) for interlocking are provid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respectively. Therefore, the retaining wall which can withstand the earth pressure by the back soil is formed only by laminating | stacking a block. Therefore, unlike the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a block in the related art, it is not necessary to embed a grid or the like on the back soil to support the stacked blocks, thereby simplifying construction and reducing construction costs.

특히, 각 블록의 전면부(12, 22, 32)는 본체와 별개로 제작되어 부착될 수 있으므로, 원하는 장식을 용이하게 부여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안료를 이용하여 원하는 색을 가지도록 할 수 있으므로, 옹벽의 미관을 현저히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the front portion 12, 22, 32 of each block can be made separately and attached to the main body, it can easily give the desired decoration, if necessary to have a desired color using a pigment Therefore, the aesthetics of the retaining wall can be remarkably improved.

Claims (2)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본체(11)와 그 전면에 구비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부(12)로 구성되며, 상부에 적층되는 블록과의 인터록킹을 위하여 상기 본체(11)의 상면에는 전면부(12)에 가까운 측에 인터록킹 돌기(13)가 형성되어 있는 바닥 블록(1)과;It consists of a main body 11 having a hexahedron shape and a front part 12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11 and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front part 1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11 for interlocking with a block stacked on the top. A bottom block (1) having an interlocking protrusion (13) formed on the side close to);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본체(21)와 그 전면에 구비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부(22)로 구성되며, 상부에 적층되는 블록과의 인터록킹을 위하여 상기 본체(21)의 상면에는 전면부(22)에 가까운 측에 인터록킹 돌기(23)가 형성되어 있고 하면에는 하래 층 블록의 인터록킹 돌기가 삽입되며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오목부(24)가 형성되어 있는 중간 블록(2)과;It consists of a main body 21 having a hexahedral shape and a front portion 22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21 and exposed to the outside, and the front portion 22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ain body 21 for interlocking with a block stacked on the top. An intermediate block (2) having an interlocking protrusion (23) formed on a side close to the bottom face), and having an interlocking protrusion of a lower layer block inserted therein and having a concave portion (24) form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본체(31)와 그 전면에 구비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전면부(32)로 구성되며, 하부에 적층된 중간 블록(2)과의 인터록킹을 위하여 상기 중간 블록(2)의 돌기(23)가 삽입되며 횡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오목부(34)가 하면에 형성되어 있는 상부 블록(3)으로 구성되며;It consists of a main body 31 having a hexahedral shape and a front portion 32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31 exposed to the outside, the projection of the intermediate block 2 for interlocking with the intermediate block 2 stacked below 23 is inserted and the recessed part 34 form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consists of the upper block 3 formed in the lower surface; 상기 바닥 블록(1), 다수 개의 중간 블록(2) 및 상부 블록(3)의 순서로 적층되어 블록의 자중을 이용하여 옹벽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Retaining wall structure, characterized in that the bottom block (1), a plurality of intermediate blocks (2) and the upper block (3) are stacked in order to form a retaining wall using the weight of the block. 제1항에 있어서,The method of claim 1, 상기 블록(1, 2, 3)의 전면부(12, 22, 32)는, 각각의 본체(11, 21, 31)와 분리된 형태로 제작되어 본체(11, 21, 31)에 부착되며, 자연석 형상의 장식을 가지고 있고, 안료에 의하여 소정의 색깔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옹벽구조.The front parts 12, 22, 32 of the blocks 1, 2, 3 are manufactured in a form separated from the main bodies 11, 21, and 31 and attached to the main bodies 11, 21, 31, A retaining wall structure having a natural stone decoration and having a predetermined color by a pigment.
KR20-2003-0027522U 2003-08-27 2003-08-27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Blocks KR200334296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522U KR200334296Y1 (en) 2003-08-27 2003-08-27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Block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27522U KR200334296Y1 (en) 2003-08-27 2003-08-27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Block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34296Y1 true KR200334296Y1 (en) 2003-11-21

Family

ID=494199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27522U KR200334296Y1 (en) 2003-08-27 2003-08-27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Block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34296Y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6587A (en) 2019-07-09 2021-01-19 최원옥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KR20210006588A (en) 2019-07-09 2021-01-19 최원옥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using assembly typ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6587A (en) 2019-07-09 2021-01-19 최원옥 Construction Method of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KR20210006588A (en) 2019-07-09 2021-01-19 최원옥 Retaining wall block structure using assembly typ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X2010006059A (en) Concrete block for wall, walls having such blocks, and methods.
KR102135594B1 (en) Retaining Wall Block System
JP2011144615A (en) Assembly vegetation block compatible with environment
CA1286123C (en) Structural assembly for producing walls
KR101807504B1 (en) Retaining wall block assembly for plants with easy installation
KR100644795B1 (en) the revetment of prefabricated panel
KR100290257B1 (en) Assembly block for construction of retaining wall
KR200334296Y1 (en) Retaining Wall Structure Using Blocks
KR20180106715A (en) Retaining Wall Block System
CN210858228U (en) Assembled imitative stone enclosure that gives sound insulation
KR101212619B1 (en) Cavity box type foundation
KR100401122B1 (en) Retaining block
KR100797766B1 (en) Revetment-block structure using natural stones
KR100401121B1 (en) Retaining block
KR101569789B1 (en) Prefabricated block for engineering works
KR200342292Y1 (en) Open sea slope covering block of breakwater
KR101065726B1 (en) Prefabricated retaining wall
KR100467042B1 (en) fabricate block for breast wall
KR100593181B1 (en) A terrace-revetment unit and a process of construction unsing the same
KR100719281B1 (en) A Block assembly for retaining wall
CN219157752U (en) Retaining wall assembly block with replaceable decorative surface layer
JP2001115508A (en) Water storage block and rainwater storage structure making use thereof
KR200389239Y1 (en) the revetment of prefabricated panel
JP5620850B2 (en) Rainwater storage and infiltration facilities
KR101201796B1 (en) Rain-storage tank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0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