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6525A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와 철골 지붕 구조체가 결합된 방음 터널 - Google Patents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와 철골 지붕 구조체가 결합된 방음 터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6525A
KR20180106525A KR1020170034960A KR20170034960A KR20180106525A KR 20180106525 A KR20180106525 A KR 20180106525A KR 1020170034960 A KR1020170034960 A KR 1020170034960A KR 20170034960 A KR20170034960 A KR 20170034960A KR 20180106525 A KR20180106525 A KR 201801065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nnel
unit
roof structure
steel
cei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4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제
김성진
이석
황성호
조정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경시스템
이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경시스템, 이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경시스템
Priority to KR1020170034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06525A/ko
Publication of KR201801065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5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01F8/0005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used in a wall type arrangement
    • E01F8/0023Details, e.g.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8/00Arrangements for absorbing or reflecting air-transmitted noise from road or railway traff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02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 E04B1/04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06Structures consisting primarily of load-supporting, block-shaped, or slab-shaped elements the elemen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the elements being prestress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1/3205Structures with a longitudinal horizontal axis, e.g. cylindrical or prismatic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7/00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 E04B7/02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 E04B7/04Roofs; Roof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with plane sloping surfaces, e.g. saddle roofs supported by horizontal beams or the equivalent resting on the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00Ventilation of mines or tunnels; Distribution of ventilating currents
    • E21F1/003Ventilation of traffic tunnel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FSAFETY DEVICES, TRANSPORT, FILLING-UP, RESCUE, VENTILATION, OR DRAINING IN OR OF MINES OR TUNNELS
    • E21F11/00Rescue devices or other safety devices, e.g. safety chambers or escape w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 F24F11/33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 F24F11/34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to fire, excessive heat or smoke by opening air pass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2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 E04B2001/327Arched structures; Vaulted structures; Folded structures comprised of a number of panels or blocs connected together forming a self-supporting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Ge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ulmo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면 방음판 및 철골 지붕 구조체의 시공이 간편하며, 측면 방음판 자체로도 방음이 가능토록 하고, 내진 성능이 우수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와 철골 지붕 구조체가 결합된 방음 터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터널 바닥의 폭 방향 양측에 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기초와; PC로 제작된 후 상기 기초에 각기 입설되어 터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이웃한 것끼리 상호 결합되어 있는 단위 PC 측면판과; 터널 폭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양측 단위 PC 측면판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는 철골 지붕 구조체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와 철골 지붕 구조체가 결합된 방음 터널{Soundproof tunnel with precast concrete and steel combinded frame}
본 발명은 방음터널에 관한 것으로, 특히 측면 방음판 및 철골 지붕 구조체의 시공이 간편하고, 내진 성능이 우수하며, 화재시 배연을 신속히 실시할 수 있도록 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와 철골 지붕 구조체가 결합된 방음 터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음벽은 일종의 거리감쇠의 개념으로서 음이 회절하면서 발생되는 경로차에 의해 소음을 저감하는 방식이므로 고층 건물의 경우 매우 높은 방음벽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수음점이 소음원보다 높게 위치할 경우 방음벽에 의한 저감효과는 심각한 한계를 갖게 되며, 고층부의 경우 소음원에서 발생되는 직접음에 그대로 노출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음터널은 소음원으로부터 발생하는 직접음의 완벽한 차단으로 소음공해로부터 해방되고, 저층지역에서도 음의 회절을 차단함으로 만족스러운 방음효과를 확보할 수 있고, 높이의 저감으로 경관 저해 요인이 최소화되고 구조적인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이같이 방음터널은 기존 수직 일자형 방음벽에서 고층부와 저층부 전반에 걸쳐 발생되는 회절음의 영향을 최소화 하여 완벽한 소음방지를 할 수 있는 대표적 방법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712833호로서, '소음저감용 방음터널 및 이의 시공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 여기서 소음저감용 방음터널은 가운데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소정의 높이 및 폭으로 이루어지며, 콘크리트가 타설 양생된 한 쌍의 기초콘크리트층과; 상기 각각의 기초콘크리트층에 앵커볼트로 고정 설치되는 기초판과; 상기 각각의 기초판 상을 가로질러 볼트 및 너트로 고정 설치되는 H빔과; 상기 H빔의 상단부에 볼트 및 너트로 고정 설치되는 지붕재패널과; 상기 지붕재패널의 하단부에 위치된 H빔에 볼트 및 너트로 고정 설치되는 벽체패널과; 상기 H빔에 볼트 및 너트로 고정 설치되는 내장패널 및 소음차폐판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전자의 배경기술은 구조물의 경량화로 경제성을 추구하며, 내외장 패널의 부분교체가 가능한 장점을 갖는데 반해, 터널의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H빔을 하나씩 시공한 후, 이웃한 H빔의 사이에 내장패널을 설치해야 하므로, 많은 노동력이 필요하고 공기가 길어지는 단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다른 배경기술로는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389111호로서, '방음터널'이 제안되어 있다. 이는 도로의 좌우양측을 따라 연속하여 설치되는 좌우한쌍의 기초콘트리트에 일정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한쌍의 하부지주; 상기 한쌍의 하부지주의 각 상단과 결합부재를 매개로 일단이 연결되는 한쌍의 폭가변형 프레임 ; 및 상기 한쌍의 폭가변형 프레임의 각 타단과 다른 결합부재를 매개로 연결되어 상기 도로를 가로지르는 상부천정을 형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천정 프레임;을 포함한 것이다. 그러나 후자의 배경기술도 하부지주가 H 빔으로 제작된 것으로, 하부지주에 방음판을 설치하기 위해 수평부재가 추가적으로 설치되어야 하므로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어 공기가 길어지고, 별도의 방음판이 설치되어야 하는 공수가 추가되는 단점을 갖는다.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0712833호 한국 등록특허 등록번호 제10-1389111호
본 발명은 측면 방음판 및 철골 지붕 구조체의 시공이 간편하고, 내진 성능이 우수하며, 화재시 배연을 신속히 실시할 수 있도록 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와 철골 지붕 구조체가 결합된 방음 터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터널 바닥의 폭 방향 양측에 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기초와; PC로 제작된 후 상기 기초에 각기 입설되어 터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이웃한 것끼리 상호 결합되어 있는 단위 PC 측면판과; 터널 폭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양측 단위 PC 측면판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는 철골 지붕 구조체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초는 현장에서 타설되거나 공장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위 PC 측면판은 각기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긴장재에 의해 상호 결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철골 지붕 구조체는 터널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터널의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단부가 단위 PC 측면판의 상단에 각기 설치된 지붕 지지 브라켓에 거치 고정되어 있는 아치형 강재 가로빔과; 아치형 강재 가로빔에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어 일정 간격마다 지지 고정되어 있는 강재 세로빔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초의 상면에는 각기 단위 PC 측면판의 하단을 끼움 결합시키기 위한 측면판 결합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단위 PC 측면판에는 터널내 채광을 확보하기 위해 투명한 창호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터널내 화재를 감지하여 천정으로 배연을 실시하기 위해, 상기 철골 지붕 구조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와; 상기 철골 지붕 구조체의 천정 배기구측에 위치하여 회전용 힌지를 통해 일방으로 회전 및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천정개폐용 도어와; 상기 천정개폐용 도어의 일단에 설치되어 천정개폐용 도어를 일방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중량으로 발생시키는 회전용 질량체와; 상기 회전용 질량체에 근접하여 상기 천정 배기구측에 가까이 설치되고, 상기 화재감지센서의 전기적 신호의 오프시 자력을 발생시켜 회전용 질량체를 흡착하여 천정개폐용 도어를 닫아 천정 배기구를 폐쇄시키고, 반대로 상기 화재감지센서의 전기적 신호의 온시 자력을 잃어 천정개폐용 도어를 회전시켜 천정 배기구를 개방시키는 도어 전자석;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터널내 화재를 감지하여 천정으로 배연을 실시하기 위해, 상기 철골 지붕 구조체의 내측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와; 상기 철골 지붕 구조체에 천정 배기구측으로 가까이 배치되어 화재감지센서의 화재감지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배연용 서보모터와; 상기 배연용 서보모터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천정 배기구를 개폐하는 천정개폐용 도어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위 PC 측면판에 형성된 환기구에 연결된 환기용 덕트와; 상기 환기용 덕트의 상부토출구측에 가까이 설치되어 상기 화재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환기팬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환기용 덕트의 외부측면에는 터널 내부 소음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부 공기유입을 돕는 미세타공판이 설치되고, 상기 미세타공판에는 외부 햇빛의 열을 흡수하여 환기용 덕트 내부의 공기온도를 상승시켜 환기용 덕트의 상부토출구를 통한 공기 순환 및 원할한 배기를 위한 블랙코팅이 더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와 철골 지붕 구조체가 결합된 방음 터널의 시공방법은, 터널이 시공될 위치에 터널 바닥의 폭 방향 양측으로 각기 길이 방향을 따라 기초를 시공하는 단계와; PC로 제작된 단위 PC 측면판을 상기 기초에 각기 입설시켜서 터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한 후,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긴장재를 통해 단위 PC 측면판을 각기 상호 일체되게 결합시키는 단계와; 터널 폭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양측 단위 PC 측면판의 상단에 지지되어 있는 철골 지붕 구조체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철골 지붕 구조체의 설치시에는 지붕 지지브라켓을 각기 단위 PC 측면판의 상단에 앵커볼트로 접합시킨 후, 강재 가로빔의 양단을 지붕 지지브라켓에 지지시켜 고정하고, 강재 세로빔을 강재 가로빔에 지지시켜 고정하는 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단위 PC 측면판의 주근에 슬리브를 설치하여 기초에 입설된 기초철근과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와 철골 지붕 구조체가 결합된 방음 터널은, 단위 PC 측면 방음판이 프리캐스트 콘크리트로 공장 제작된 후 기초에 조립 시공하는 구조이므로 시공이 간편하여 공기가 단축됨은 물로이고 자체로도 방음이 가능한 장점을 갖는다. 또한 단위 PC 측면 방음판은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긴장재에 의해 일체된 결합을 갖게 되어 내진에 저항하는 우수한 성능을 갖게 된다.
또한, 철골 지붕 구조체에 포함된 강재 가로빔은 단위 PC 측면 방음판에 지붕 지지브라켓을 통해 거치 지지되어 철골 지붕 구조체의 시공이 간편해진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방음 터널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정면도.
도 3은 도 2의 'A'부 확대도.
도 4는 도 1의 'B'부 확대도.
도 5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단위 PC 측면판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
도 5b는 도 5a의 단위 PC 측면판을 적용한 방음터널의 사시도.
도 6a는 본 발명의 방음터널을 시공하기 위한 기초의 설치 상태도.
도 6b는 도 7a의 기초에 단위 PC 측면판이 설치된 시공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른 방음 터널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단위 PC 측면판과 기초의 결합상태 예시도.
도 9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일 형태의 천정개폐용 도어 및 환기용 덕트의 설치예시도.
도 9b는 도 9a의 'B'부 확대도.
도 9c는 도 9a의 'C'부 확대도.
도 10a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다른 형태의 천정개폐용 도어의 설치예시도.
도 10b는 도 10a의 'D'부 확대도.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방음 터널(1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널 바닥(12)의 폭 방향 양측에 각기 길이 방향을 따라 기초(14a,14b)가 설치된다. 기초(14a,14b)는 현장에서 타설되거나 공장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로 제작된 것이 될 수 있다.
기초(14a,14b)에 각기 단위 PC 측면판(16a,16b)이 입설되어 있다. 단위 PC 측면판(16a,16b)은 기초(14a,14b)에 각기 입설된 상태로 터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이웃한 것끼리 상호 결합되어 있다. 단위 PC 측면판(16a,16b)은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로 제작된다. 단위 PC 측면판(16a,16b)은 각기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긴장재(18a,18b)에 의해 상호 결속되어 있다. 각기 긴장재(18a,18b)는 단위 PC 측면판(16a,16b)에 일정 간격을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 긴장재(18a,18b)는 피복 강연선 또는 피복 강선이 될 수 있고, 프리스트레스의 도입은 예로 유압잭으로 긴장재(18a,18b)를 긴장시킨 후 정착구(19)에 고정시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같이 단위 PC 측면판(16a,16b)은 긴장재(18a,18b)에 의해 결속되어 일체됨으로써 강성이 증대되어 내진에 우수한 성능을 발휘한다.
여기서, 상기 기초(14a,14b)의 상면에는 각기 단위 PC 측면판(16a,16b)의 하단을 끼움 결합시키기 위한 측면판 결합골(141)이 형성되어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단위 PC 측면판(16a,16b)의 하단은 측면판 결합골(141)에 끼워진 후 무수축몰탈로 접합될 수 있다.
또한, 단위 PC 측면판(16a,16b)은 도 5a와 같이 하단에 하부플랜지(162)를 구성하여 도 5b와 같이 시공될 수도 있다.
터널 폭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양측 단위 PC 측면판(16a,16b)의 상단에 철골 지붕 구조체(20)이 설치되어 있다. 철골 지붕 구조체(20)는 터널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터널의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단부가 단위 PC 측면판(16a,16b)의 상단에 각기 설치된 지붕 지지브라켓(50)에 거치 고정되어 있는 아치형 강재 가로빔(21)과, 아치형 강재 가로빔(21)에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어 일정 간격마다 지지 고정되어 있는 강재 세로빔(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아치형 강재 가로빔(21)과 강재 세로빔(22)은 H형 단면을 갖는 형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강재 세로빔(22)은 각파이프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단위 PC 측면판(16a,16b)에는 터널내 채광을 확보하기 위해 투명한 창호(165)가 더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창호(165)는 예시된 원형이나 사각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방음터널(10)의 시공 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도 6a와 같이 터널이 시공될 위치에 터널 바닥(12)의 폭 방향 양측으로 각기 길이 방향을 따라 기초(14a,14b)를 시공한다.
이때 도 8과 같이 단위 PC 측면판(16a,16b)의 주근(165)에 슬리브(17)를 설치하여 기초(14a,14b)에 입설된 기초철근(145)과 연결시킬 수 있다.
그 다음, 도 6b와 같이 PC로 제작된 단위 PC 측면판(16a,16b)을 상기 기초(14a,14b)에 각기 입설시켜서 터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한 후,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긴장재(18a,18b)를 통해 단위 PC 측면판(16a,16b)을 각기 상호 일체되게 결합시킨다.
그 다음, 도 1과 같이 터널 폭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양측 단위 PC 측면판(16a,16b)의 상단에 지지되어 있는 철골 지붕 구조체(20)이 설치된다.
철골 지붕 구조체(20)의 시공시에는 지붕 지지브라켓(50)을 도 4와 같이 각기 단위 PC 측면판(16a,16b)의 상단에 앵커볼트(52)로 접합시킨 후, 강재 가로빔(21)의 양단을 지붕 지지브라켓(50)에 지지시켜 고정하고, 강재 세로빔(22)을 강재 가로빔(21)에 지지시켜 고정하는 작업으로 이루어진다. 이후 강재 가로빔(21)과 강재 세로빔(22)으로 구획되는 영역에 도시안된 투명창이 설치된다.
한편, 본 발명은 터널내 화재를 감지하여 천정으로 배연을 실시하기 위해, 일 형태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골 지붕 구조체(20)의 내측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210)와, 철골 지붕 구조체(20)의 천정 배기구(201)측에 위치하여 회전용 힌지(212)를 통해 일방으로 회전 및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천정개폐용 도어(214)와, 천정개폐용 도어(214)의 일단에 설치되어 천정개폐용 도어(214)를 일방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중량으로 발생시키는 회전용 질량체(216)와, 회전용 질량체(216)에 근접하여 천정 배기구(201)측에 가까이 설치되어 천정개폐용 도어(214)의 회전 조작으로 천정 배기구(201)를 개방시키는 도어 전자석(218)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어 전자석(218)은 화재감지센서(210)의 전기적 신호의 오프(off)시 자력을 발생시켜 회전용 질량체(216)를 흡착하여 천정개폐용 도어(214)를 닫아 천정 배기구(201)를 폐쇄시키고, 반대로 화재감지센서(210)의 전기적 신호의 온(on)시 자력을 잃어 천정개폐용 도어(214)를 회전시켜 천정 배기구(201)를 개방시킨다.
천정개폐용 도어(214)에는 양단에 천정 배기구(201)를 닫음시 철골 지붕 구조체(20)와 닿는 부분에 위치하여 빗물의 유입을 방지하는 빗물유입방지 가스켓(215)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빗물유입방지 가스켓(215)은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제작된 것이 될 수 있다.
따라서 터널내 화재 발생시 화재감지센서(210)에서 화재 감지신호가 발생되고, 화재감지센서(210)의 전기적 신호의 온(on)시 도어 전자석(218)은 자력을 잃고, 회전용 질량체(216)의 중량으로 천정개폐용 도어(214)가 회전되어 천정 배기구(201)를 개방시킴으로서 신속한 배연이 일어난다.
또한, 본 발명은 터널내 화재를 감지하여 천정으로 배연을 실시하기 위해, 다른 형태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골 지붕 구조체(20)의 내측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210)와, 철골 지붕 구조체(20)에 천정 배기구(201)측으로 가까이 배치되어 화재감지센서(210)의 화재감지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배연용 서보모터(213)와, 배연용 서보모터(213)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천정 배기구(201)를 개폐하는 천정개폐용 도어(2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터널내 화재 발생시 화재감지센서(210)에서 화재 감지신호가 발생되고, 배연용 서보모터(213)의 구동으로 천정개폐용 도어(214)가 회전하여 천정 배기구(201)가 개방됨으로써 배연을 실시하게 된다.
이때 천정개폐용 도어(214)에는 빗물유입방지 마감재(217)를 설치하여 천정 배기구(201)를 닫을 시 빗물유입이 방지되로록 함이 바람직하다. 빗물유입방지 마감재(217)는 고무 또는 실리콘으로 제작된 것이 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화재 및 연기 발생시 단위 PC 측면판(16a,16b)측으로 배연을 실시하고, 평상시에는 원활한 환기를 위해, 단위 PC 측면판(16a,16b)에 형성된 환기구(165)에 연결된 환기용 덕트(302)와, 환기용 덕트(300)의 상부토출구측에 가까이 설치되어 화재감지센서(210)의 감지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환기팬(30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화재감지센서(210)에 의해 화재감지되면, 즉시 환기팬(304)이 구동하여 환기용 덕트(300)를 통해 신속히 배연을 수행하게 된다.
여기서, 환기용 덕트(302)의 외부측면에는 터널 내부 소음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부 공기유입을 돕는 미세타공판(306)이 설치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미세타공판(306)에는 외부 햇빛의 열을 흡수하여 환기용 덕트(302) 내부의 공기온도를 상승시켜 환기용 덕트(302)의 상부토출구를 통한 공기 순환 및 원할한 배기를 위한 블랙코팅(Black coating)이 더 이루어질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4a,14b: 기초
16a,16b: 단위 PC 측면판
18a,18b; 긴장재
20: 철골 지붕 구조체

Claims (13)

  1. 터널 바닥(12)의 폭 방향 양측에 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설치되어 있는 기초(14a,14b)와;
    PC로 제작된 후 상기 기초(14a,14b)에 각기 입설되어 터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어 이웃한 것끼리 상호 결합되어 있는 단위 PC 측면판(16a,16b)과;
    터널 폭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양측 단위 PC 측면판(16a,16b)의 상단에 연결되어 있는 철골 지붕 구조체(2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와 철골 지붕 구조체가 결합된 방음 터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14a,14b)는 현장에서 타설되거나 공장에서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와 철골 지붕 구조체가 결합된 방음 터널.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PC 측면판(16a,16b)은 각기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긴장재(18a,18b)에 의해 상호 결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와 철골 지붕 구조체가 결합된 방음 터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철골 지붕 구조체(20)는
    터널 길이방향으로 일정 간격마다 터널의 횡방향으로 배치되고, 단부가 단위 PC 측면판(16a,16b)의 상단에 각기 설치된 지붕 지지 브라켓(50)에 거치 고정되어 있는 아치형 강재 가로빔(21)과;
    아치형 강재 가로빔(21)에 직각 방향으로 배치되어 일정 간격마다 지지 고정되어 있는 강재 세로빔(22);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와 철골 지붕 구조체가 결합된 방음 터널.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초(14a,14b)의 상면에는 각기 단위 PC 측면판(16a,16b)의 하단을 끼움 결합시키기 위한 측면판 결합골(141)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와 철골 지붕 구조체가 결합된 방음 터널.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PC 측면판(16a,16b)에는 터널내 채광을 확보하기 위해 투명한 창호(165)가 더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와 철골 지붕 구조체가 결합된 방음 터널.
  7. 제 1항에 있어서,
    터널내 화재를 감지하여 천정으로 배연을 실시하기 위해,
    상기 철골 지붕 구조체(20)의 내측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210)와;
    상기 철골 지붕 구조체(20)의 천정 배기구(201)측에 위치하여 회전용 힌지(212)를 통해 일방으로 회전 및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 천정개폐용 도어(214)와;
    상기 천정개폐용 도어(214)의 일단에 설치되어 천정개폐용 도어(214)를 일방으로 회전시키는 회전력을 중량으로 발생시키는 회전용 질량체(216)와;
    상기 회전용 질량체(216)에 근접하여 상기 천정 배기구(201)측에 가까이 설치되고, 상기 화재감지센서(210)의 전기적 신호의 오프(off)시 자력을 발생시켜 회전용 질량체(216)를 흡착하여 천정개폐용 도어(214)를 닫아 천정 배기구(201)를 폐쇄시키고, 반대로 상기 화재감지센서(210)의 전기적 신호의 온(on)시 자력을 잃어 천정개폐용 도어(214)를 회전시켜 천정 배기구(201)를 개방시키는 도어 전자석(218);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와 철골 지붕 구조체가 결합된 방음 터널.
  8. 제 1항에 있어서,
    터널내 화재를 감지하여 천정으로 배연을 실시하기 위해,
    상기 철골 지붕 구조체(20)의 내측에 설치되어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감지센서(210)와;
    상기 철골 지붕 구조체(20)에 천정 배기구(201)측으로 가까이 배치되어 화재감지센서(210)의 화재감지신호에 의해 구동하는 배연용 서보모터(213)와;
    상기 배연용 서보모터(213)의 출력축에 연결되어 천정 배기구(201)를 개폐하는 천정개폐용 도어(214);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와 철골 지붕 구조체가 결합된 방음 터널.
  9. 제 7항 또는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 PC 측면판(16a,16b)에 형성된 환기구(165)에 연결된 환기용 덕트(302)와;
    상기 환기용 덕트(300)의 상부토출구측에 가까이 설치되어 상기 화재감지센서(210)의 감지신호에 의해 구동되는 환기팬(304)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와 철골 지붕 구조체가 결합된 방음 터널.
  10. 제 9에 있어서,
    상기 환기용 덕트(302)의 외부측면에는 터널 내부 소음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외부 공기유입을 돕는 미세타공판(306)이 설치되고, 상기 미세타공판(306)에는 외부 햇빛의 열을 흡수하여 환기용 덕트(302) 내부의 공기온도를 상승시켜 환기용 덕트(302)의 상부토출구를 통한 공기 순환 및 원할한 배기를 위한 블랙코팅이 더 이루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와 철골 지붕 구조체가 결합된 방음 터널.
  11. 터널이 시공될 위치에 터널 바닥(12)의 폭 방향 양측으로 각기 길이 방향을 따라 기초(14a,14b)를 시공하는 단계와;
    PC로 제작된 단위 PC 측면판(16a,16b)을 상기 기초(14a,14b)에 각기 입설시켜서 터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한 후, 프리스트레스가 도입된 긴장재(18a,18b)를 통해 단위 PC 측면판(16a,16b)을 각기 상호 일체되게 결합시키는 단계와;
    터널 폭방향으로 서로 마주하는 양측 단위 PC 측면판(16a,16b)의 상단에 지지되어 있는 철골 지붕 구조체(20)을 설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와 철골 지붕 구조체가 결합된 방음 터널의 시공 방법.
  12. 제 11항에 있어서,
    철골 지붕 구조체(20)의 설치시에는 지붕 지지브라켓(50)을 각기 단위 PC 측면판(16a,16b)의 상단에 앵커볼트(52)로 접합시킨 후, 강재 가로빔(21)의 양단을 지붕 지지브라켓(19)에 지지시켜 고정하고, 강재 세로빔(22)을 강재 가로빔(21)에 지지시켜 고정하는 작업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와 철골 지붕 구조체가 결합된 방음 터널의 시공 방법.
  13. 제 11항에 있어서,
    단위 PC 측면판(16a,16b)의 주근(165)에 슬리브(17)를 설치하여 기초(14a,14b)에 입설된 기초철근(145)과 연결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와 철골 지붕 구조체가 결합된 방음 터널의 시공 방법.
KR1020170034960A 2017-03-20 2017-03-20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와 철골 지붕 구조체가 결합된 방음 터널 KR2018010652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960A KR20180106525A (ko) 2017-03-20 2017-03-20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와 철골 지붕 구조체가 결합된 방음 터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960A KR20180106525A (ko) 2017-03-20 2017-03-20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와 철골 지붕 구조체가 결합된 방음 터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525A true KR20180106525A (ko) 2018-10-01

Family

ID=638776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4960A KR20180106525A (ko) 2017-03-20 2017-03-20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와 철골 지붕 구조체가 결합된 방음 터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06525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5987A (ko) * 2018-11-14 2020-05-22 주식회사 그린우전 자가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융복합기능 도로 인공터널
CN113005931A (zh) * 2021-04-08 2021-06-22 交通运输部公路科学研究所 一种高原耐久型装配式uhpc棚洞结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5987A (ko) * 2018-11-14 2020-05-22 주식회사 그린우전 자가발전 시스템을 포함하는 융복합기능 도로 인공터널
CN113005931A (zh) * 2021-04-08 2021-06-22 交通运输部公路科学研究所 一种高原耐久型装配式uhpc棚洞结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81230A1 (en) Dynamic, fire-resistance-rated thermally insulating and sealing system having a f-rating of 120 min for use with curtain wall structures
FI101407B (fi) Ulkopuolen eristys- ja päällystysjärjestelmä
KR20180106525A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와 철골 지붕 구조체가 결합된 방음 터널
KR101849173B1 (ko) 방수 기능을 구비한 아치형 조립식 터널형 방음벽
RU2642745C1 (ru) Стеновая панель с установленным оконным блоком
TWI784477B (zh) 壁面構造體及建物
JP4077763B2 (ja) 建物の壁構造及び建物
KR100650500B1 (ko) 시공이 용이한 공동주택의 기초부 외단열구조
JP4120820B2 (ja) 防火区画壁の構造および施工方法
JP7054888B2 (ja) 壁面構造体
KR200331602Y1 (ko) 공기층을 구비한 방음천장이 설치된 터널형 방음시설
JP6994333B2 (ja) カーテンウォールおよび建物
JP3308421B2 (ja) 地下室の防水装置
JP4268742B2 (ja) 壁パネル及びユニット建物
JP4403890B2 (ja) セットバック窓構造
JP2823981B2 (ja) 外壁用制振壁
JP3022831U (ja) トンネル工事の為の防音設備
JP2005195776A (ja) トンネル用防音ハウス
JP6386855B2 (ja) 外壁材の取付構造
KR20050068121A (ko) 멤브레인 복합적층 흡음막 지붕을 이용하는 방음벽
JP3495617B2 (ja) 遮断壁構造
RU1794153C (ru) Крупнопанельное здание
KR200361591Y1 (ko) 방음벽용 소음 감소기
JP2021042524A (ja) 設置構造及び設置構造の施工方法
JPH09159235A (ja) ガラリユニットにおける止水パネルのシール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