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6280A -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염화비닐 필름 - Google Patents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염화비닐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6280A
KR20180106280A KR1020170034359A KR20170034359A KR20180106280A KR 20180106280 A KR20180106280 A KR 20180106280A KR 1020170034359 A KR1020170034359 A KR 1020170034359A KR 20170034359 A KR20170034359 A KR 20170034359A KR 20180106280 A KR20180106280 A KR 2018010628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vinyl chloride
methacrylate
acrylate
chloride resin
resin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4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67870B1 (ko
Inventor
장우경
고해승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70034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67870B1/ko
Publication of KR201801062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2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67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678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7/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7/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7/04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L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4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r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16Plasticis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08L33/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esters containing only carbon, hydrogen and oxygen, which oxygen atoms are present only as part of the carboxyl radical
    • C08L33/0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rylic acid 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염화비닐 필름에 관한 것으로, 아크릴 수지로 필름으로 제작하거나 폴리염화비닐 필름 상에 높은 내마모성을 가지는 UV도료층을 추가로 형성하여 내마모성을 보완하지 않더라도 내마모성이 강화된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염화비닐 필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염화비닐 필름{POLY VINYL CHLORIDE RESIN COMPOSITION AND POLY VINYL CHLORIDE FILM THEREFROM}
본 발명은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염화비닐 필름에 관한 것으로, 아크릴 수지로 필름으로 제작하거나 폴리염화비닐 필름 상에 높은 내마모성을 가지는 UV도료층을 추가로 형성하여 내마모성을 보완하지 않더라도 내마모성이 강화된 폴리염화비닐 필름을 제조할 수 있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염화비닐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염화비닐계 수지는 염화비닐을 50%이상 함유하는 수지로서, 가격이 저렴하고 경도 조절이 용이하며, 대부분의 가공기기에 적용 가능하여 응용 분야가 다양하다. 게다가, 물리적, 화학적 성질, 예컨대 기계적 강도, 내후성, 내약품성 등이 우수하여 건축자재, 생활용품, 자동차 내장재, 장식재 등 여러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폴리염화비닐 필름은 가소제를 사용하여 제조되기 때문에 유연하여 이러한 폴리염화비닐 필름을 바닥재로 사용할 경우 생활마모, 외부마찰 등에 오래 견디지 못하고 쉽게 마모되어 폴리염화비닐 필름 자체만으로는 내마모성이 좋지 못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로 인해 내마모성이 필요한 경우 아크릴 수지로 필름으로 제작하거나 폴리염화비닐 필름 상에 높은 내마모성을 가지는 UV도료층을 형성하여 그 내마모성을 보완하였다. 구체적으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37670과 같이 상층 및 하층을 포함하면서 상층은 우레탄-아크릴 하이브리드 폴리머이고, 하층은 비 폴리염화비닐계 폴리머인 것과 같이 아크릴 수지를 사용하여 내마모성을 보완하였다.
이러한 아크릴 수지의 경우 내마모 테스트 시 유연하게 마모휠을 따라 유동적으로 움직일뿐만 아니라, 수지자체의 결합력이 강해 아크릴 수지가 쉽게 떨어져 나가지 않아 내마모성이 높지만, 폴리염화비닐 수지에 비하여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어, 폴리염화비닐 수지를 사용하면서도 내마모성이 높은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염화비닐 필름의 요구가 있어 왔다.
KR 10-2013-0037670 A (2013.04.16)
본 발명은 내마모성을 위하여 고가의 아크릴 수지로 필름을 제조하거나 UV 도료로 내마모성을 보완하지 않아도 내마모성이 우수한 폴리염화비닐 필름을 제조할 수 있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염화비닐 필름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및 선형 공중합체인 아크릴계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은 발포체, 필름, 프로파일등 다양하게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필름용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는 폴리염화비닐 단독체 또는 폴리염화비닐에 스티렌, 알파-메틸 스티렌 및 아크릴-스티렌 공중합체,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및 스티렌-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혼합한 것일 수 있다.
상기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는 중합도가 300 - 1200, 바람직하게는 400-1100, 더욱 바람직하게는 500-1000 일 수 있다. 중합도가 300보다 낮으면 오히려 본 발명의 내마모성을 구현하기 어렵고 중합도가 1200 초과하면 점도가 높아져 가공 용이성이 떨어져 제대로 된 필름을 형성하기 힘들다.
본 발명의 상기 아크릴계 가공조제는 아크릴계 공중합 수지로서 알킬 메타크릴레이트 및 알킬아크릴레이트의 랜덤 공중합체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알킬메타크릴레이트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i-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t-부틸메타크릴레이트, 펜틸메타크릴레이트, 헥실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헵틸메타크릴레이트, 옥틸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클로펜틸메타크릴레이트, 3-비닐사이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및 사이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가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알킬아크릴레이트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아크릴레이트, i-프로필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t-부틸아크릴레이트, 펜틸아크릴레이트, 헥실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헵틸아크릴레이트, 옥틸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펜틸아크릴레이트, 3-비닐사이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및 사이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있고, 바람직하게는 n-부틸아크릴레이트가 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가공조제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100 중량부 대비 5 내지 10중량부, 바람직하게는 6 내지 9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아크릴계 가공조제가 5 중량부 미만 포함될 경우 폴리염화비닐 필름의 가공성이 떨어지고 내마모성이 향상되지 않으며, 10 중량부 초과하여 포함될 경우 폴리염화비닐 필름의 내마모성, 공정경제성 및 가격경쟁력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아크릴계 가공조제의 유리전이온도는 80 내지 120℃,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115℃,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10℃일 수 있다. 상기 온도 범위 외의 유리전이온도를 가질 경우 상기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와의 혼합이 용이하지 않아 공정경제성이 떨어진다.
상기 아크릴계 가공조제는 1,000,000g/mole 초과 5,000,000g/mole 미만, 바람직하게는 1,500,000~4,000,000g/mole,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0,000~3,500,000g/mole의 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가공조제의 분자량이 1,000,000g/mole 보다 작을 경우 폴리염화비닐계 수지와 혼합되더라도 가공조제의 역할을 발현하기 어렵고 내마모성이 향상되지 않으며, 분자량이 5,000,000g/mole보다 클 경우 필름 표면이 고르지 않고, 투명도가 좋지 않으며, 얇은 두께의 필름의 양산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은 가소제, 안정제 또는 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가소제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의 물성 및 기능을 개선하는 물질로서, 폴리염화비닐용 가소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폴리염화비닐용 가소제의 비제한적인 예시로 프탈레이트계, 벤조에이트계, 시트레이트계, 포스페이트계 가소제 등을 하나 이상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프탈레이트계 가소제로서는 디옥틸프탈레이트(DOP), 디이소데실프탈레이트(DIDP), 디이소노닐프탈레이트(DINP), 디에틸헥실프탈레이트 (DEHP), 디-n-옥틸프탈레이트(DNOP), 디부틸프탈레이트(DBP), 부틸벤질프탈레이트(BBP)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 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디에틸헥실테레프탈레이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벤조에이트계 가소제는 2-(2-(2-페닐카르보닐옥시에톡시)에톡시)에틸 벤조에이트, 글리세릴 트리벤조에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 벤조에이트, 이소노닐 벤조에이트, 1-메틸-2-(2-페닐카보닐옥시프로폭시)에틸 벤조에이트, 2, 2, 4-트리메틸-1, 3-펜탄디올 디벤조에이트, n-헥실 벤조에이트 및 트리메틸올 프로판트리벤조에이트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시트레이트계 가소제는 트리에틸시트레이트, 아세틸트리-n-부틸시트레이트, 트리-n-부틸시트레이트, 아세칠트리에틸시트레이트, 아세틸 트리-(2-에틸헥실)시트레이트 중에 선택된 하나 이상이고, 본 발명의 포스페이트계 가소제는 디-2-에틸헥실아젤레이트(DOZ), 트리크레질포스페이트(TCP), 트리-2-에틸헥실포스페이트(TOP)중에 선택된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100중량부 대비 0 초과 50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40중량부 사용될 수 있다. 가소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의 성형 용이성이 떨어지고 50 중량부 초과하여 사용될 경우 폴리염화비닐 필름의 내마모성이 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안정제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의 내열성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안정제의 비제한적인 예시로 카드뮴-바륨-아연계, 카드뮴-바륨계, 바륨-아연계, 칼슘-아연계, 소듐-아연계, 주석계, 남계, 카드뮴계, 아연계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안정제로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바륨-아연계일 수 있다.
상기 안정제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100중량부 대비 0 초과 10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중량부 사용될 수 있다. 안정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의 내열성이 떨어지고, 10 중량부 초과하여 사용될 경우 필요이상의 안정제가 과다 사용되므로 폴리염화비닐 필름의 가격 경쟁력이 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활제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의 가공과정에서 수지가 제조장치에 들러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활제의 비제한적인 예시로 탄화수소계, 지방산계, 지방산 아미드계, 에스테르계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과 다가알코올의 에스테르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스테아린산, 왁스, 탄화수소, 실리콘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스테아린산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활제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100중량부 대비 0 초과 2중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중량부가 포함될 수 있다. 활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폴리염화비닐 필름이 제조장치에 붙을 수 있고, 2 중량부 초과하여 사용될 경우 블리딩 현상으로 가공성이 떨어지고, 본 발명의 폴리염화비닐 필름이 다른 필름에 적층되어 사용될 경우 다른 필름과의 부착력이 떨어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은 선택적으로 가공성이나 기계적 물성 조절을 위해 산화방지제, 대전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난연제 및 착색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의 종류 및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필름을 제공한다.
상기 폴리염화비닐 필름은 1)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아크릴계 가공조제, 가소제, 안정제 및 활제를 혼합하여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제조하는 단계 2)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필름으로 성형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여기서 필름으로 성형하는 방법은 T-die 압출성형, 블로우 성형, 또는 캘린더 성형일 수 있다. T-die 압출성형은 기재의 표면에 열가소성 플라스틱 재료를 압출기 사용하여 가열 용융하여 유동상태로 한 뒤 T-die에서 필름 상으로 압출하는 동시에 연속으로 압착하는 성형방법이고, 블로우 성형은 열가소성 수지를 가열 용융하여 압출기에서 튜브상으로 연속적으로 압출한 파리손 1개 또는 2개 이상의 금형에 끼워 넣어 닫고 그 상하를 봉한 뒤 맨드렐에서 파리손 안에 공기를 불어넣어서 팽창시키면 파리손은 그 금형 내벽에 밀착시켜서 중공 용기제품을 만드는 성형방법이며, 캘린더 성형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2개 이상의 롤(roll) 사이에 원료를 압연시켜 시트 또는 필름을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성형방법이다. 캘린더 성형의 경우, 여타의 제조방법에 비하여, 첨가제 등의 성분의 함량의 자유로운 제어가 가능하고, 이에 따라 우수한 유연성, 내충격성, 기계적 강도, 가공성, 안착성 및 용융 효율을 가지는 바닥재를 제공할 수 있으며, 추가로 원재료비의 절감도 가능하므로, 캘린더 성형공법을 이용하여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제조된 상기 폴리염화비닐 필름의 두께는 0.1 ~ 0.5mm일 수 있다. 필름의 두께가 0.1mm 미만일 경우 폴리염화비닐 필름의 내구성이 떨어지고, 0.5mm 초과할 경우 필름 제작 비용이 높아지고, 권취량이 적어져 제품 생산 시 손실이 다량 발생한다.
상기 폴리염화비닐 필름은 평균 부피손실이 0 초과 2.0mm3/100반복 이하일 수 있어 표 3에 따른 내마모성 기준으로 T등급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을 통하여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를 사용하면서도 아크릴 수지 필름처럼 내마모성이 높은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및 폴리염화비닐 필름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위한 예시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실시예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폴리염화비닐 필름 제조
800의 중합도를 가지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LS080, LG화학, 분자량 100,000 내지 130,000g/mol) 100중량부, 아크릴계 가공조제 (PA828, LG화학,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및 부틸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의 선형 램덤 공중합체, 유리전이 온도 100℃,, 분자량 3,000,000g/mol) 5~10 중량부, 가소제로서 디에틸헥실테레프탈레이트 20~40 중량부, 바륨-아연계 안정제 2~5 중량부 및 스테아린산 1~1.5 중량부를 밴베리 혼합기 (Banbury mixer)로 혼련한 다음 2本롤을 이용하여 1차 및 2차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140 ~ 180℃의 온도에서 캘린더 성형하여 두께가 0.1 ~ 0.5mm인 폴리염화비닐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아크릴계 가공조제를 포함하지 않는 폴리염화비닐 필름 제조
아크릴계 가공조제를 포함하지 않는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제조방법으로 비교예 1의 폴리염화비닐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실시예 1의 아크릴계 가공조제 조성범위 외 폴리염화비닐 필름 제조
아크릴계 가공조제를 0초과 5중량부 미만 포함하는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제조방법으로 비교예 2의 폴리염화비닐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1의 아크릴계 가공조제 조성범위 외 폴리염화비닐 필름 제조
아크릴계 가공조제를 10~20중량부 포함하는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제조방법으로 비교예 3의 폴리염화비닐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4: 아크릴 수지 필름 제조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 대신 아크릴 수지(BA611, LG MMA, 분자량 40,000 내지 60,000g/mol, MI(230℃/3.8kg 80, 200℃/3.8kg 8, 170℃/3.8kg 0.4)) 100중량부를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제조방법으로 비교예 4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5: 실시예 1의 아크릴계 가공조제 분자량 범위 외 폴리염화비닐 필름 제조
아크릴계 가공조제로 분자량이 1,000,000 g/mol인 아크릴계 가공조제(PA910, LG화학,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및 부틸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의 공중합체)를 이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성 및 제조방법으로 비교예 5의 폴리염화비닐 필름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6: 실시예 1의 아크릴계 가공조제 분자량 범위 외 폴리염화비닐 필름 제조
아크릴계 가공조제로 분자량이 5,000,000 g/mol인 아크릴계 가공조제(PA930, LG화학,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및 부틸아크릴레이트(butyl acrylate)의 공중합체)를 이용하였다는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한 제조방법으로 비교예 6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내마모성이 개선된 폴리염화비닐 필름의 내마모성 측정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6의 필름을 내마모성 측정 기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내마모성 측정 기기는 규격 EN660-2를 따르는 마모휠 S-39(Leather Wheel)을 사용하는 Taber社의 내마모측정기를 이용하였다. 그리고 S-41(Abrasivbe Grit)를 뿌려주는 Taber社의 Grit Feeder (Model 255)를 추가 장착하여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1 및 표 2에 나타내었다. 그리고 필름의 측정 결과를 표 3과 같은 측정 기준으로 내마모 등급을 판단하였다.
아크릴계 가공조제 함량에 따른 필름의 내마모성 측정 결과 비교
항목 실시예1
(비중 1.271mg/mm3)
비교예1
(비중 1.282mg/mm3)
비교예2
(비중 1.284mg/mm3)
비교예3
(비중 1.283mg/mm3)
감량
(mg)
평균 부피 손실 (mm3)/100반복 감량
(mg)
평균 부피 손실 (mm3)/100반복 감량
(mg)
평균 부피 손실 (mm3)/100반복 감량
(mg)
평균 부피 손실 (mm3)/100반복


1000 21.1 1.81 47.7 2.91



45.2 2.79

51.2 3.14

2000 22.1 32.9 31.5 41.9
3000 21.9 37.3 38.1 35.2
4000 24.3 32.9 31.5 34.9
5000 25.8 35.7 34.6 35.4
5000회
총 감량
115.2 186.5 179.2 201.6
100회 평균 2.30 3.73 3.55 4.03
베이스 수지 및 아크릴계 가공조제 종류에 따른 필름의 내마모성 측정 결과 비교
항목 실시예1
(비중 1.271mg/mm3)
비교예4
(비중 1.275mg/mm3)
비교예5
(비중 1.292mg/mm3)
비교예6
(비중 1.288mg/mm3)
감량
(mg)
평균 부피 손실 (mm3)/100반복 감량
(mg)
평균 부피 손실 (mm3)/100반복 감량
(mg)
평균 부피 손실 (mm3)/100반복 감량
(mg)
평균 부피 손실 (mm3)/100반복


1000 21.1 1.81 31.0 2.64 50.7 2.99 27.1 2.09
2000 22.1 39.7 34.9 25.2
3000 21.9 28.3 38.3 28.7
4000 24.3 37.0 33.1 26.4
5000 25.8 32.5 36.2 27.5
5000회
총 감량
115.2 168.5 193.2 134.9
100회 평균 2.30 3.37 3.86 2.70
내마모 등급표
특성 내마모 등급
T P M F
평균 부피손실 Fv(mm3)/100반복 Fv≤2.0 2.0<Fv≤4.0 4.0<Fv≤7.5 7.5<Fv≤15.0
표 1과 관련하여 아크릴계 가공조제의 함량에 따른 필름의 내마모성을 판단하였을 때 아크릴계 가공조제를 사용하지 않거나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 대비 5 중량부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비교예 1 및 2) 및 아크릴계 가공조제를 폴리염화비닐 수지 100 중량부 대비 10-20 중량부 포함할 경우 내마모성이 모두 P등급인 것인데 비하여 본 발명의 폴리염화비닐 필름 (실시예 1)의 경우 내마모성 등급이 최고 등급인 T등급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표 2와 관련하여 아크릴 수지를 베이스 수지로 사용하거나 다른 분자량을 가지는 아크릴계 가공조제의 사용에 따른 필름의 내마모성을 판단하였을 때, 아크릴 수지를 베이스 수지로 사용하거나 (비교예 4) 다른 분자량을 가지는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필름 (비교예 5 및 6) 모두 내마모성 등급이 P등급인데 비하여 본 발명의 필름 (실시예 1)의 경우 내마모성 등급이 최고 등급인 T등급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분자량이 500만인 아크릴계 가공조제 (비교예 6)를 사용한 경우 내마모성은 향상되나 가공성이 떨어져 필름 표면이 고르지 않고, 투명도가 좋지 않으며, 얇은 두께의 필름의 양산이 불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5)

  1.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및 선형 공중합체인 아크릴계 가공조제를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은 필름용인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염화비닐계 수지는 중합도가 300 - 1200인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가공조제는 알킬 메타크릴레이트와 알킬아크릴레이트의 랜덤 공중합체인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 메타크릴레이트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에틸메타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i-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n-부틸메타크릴레이트, t-부틸메타크릴레이트, 펜틸메타크릴레이트, 헥실메타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 헵틸메타크릴레이트, 옥틸메타크릴레이트, 사이클로펜틸메타크릴레이트, 3-비닐사이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 및 사이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중에 선택된 하나 이상인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아크릴레이트는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아크릴레이트, i-프로필아크릴레이트, n-부틸아크릴레이트, t-부틸아크릴레이트, 펜틸아크릴레이트, 헥실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헵틸아크릴레이트, 옥틸아크릴레이트, 사이클로펜틸아크릴레이트, 3-비닐사이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 및 사이클로헥실아크릴레이트중에 선택된 하나 이상인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가공조제는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100 중량부 대비 5 내지 10중량부로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가공조제는 80 내지 120℃의 범위의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계 가공조제는 1,000,000 초과 5,000,000g/mole 미만의 분자량을 가지는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은 프탈레이트계 가소제, 벤조에이트계 가소제, 시트레이트계 가소제 및 포스페이트계 가소제 중에 선택된 하나 이상의 가소제;
    카드뮴-바륨-아연계, 카드뮴-바륨계, 바륨-아연계, 칼슘-아연계, 소듐-아연계, 주석계, 남계, 카드뮴계 및 아연계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안정제; 및
    탄화수소계, 지방산계, 지방산 아미드계, 에스테르계 지방족 알코올 및 지방산과 다가알코올의 에스테르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활제 중에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하는 것인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100중량부 대비 상기 가소제 0 초과 50중량부 이하, 상기 안정제 0 초과 10중량부 이하, 상기 활제 0 초과 2중량부 이하를 포함하는 것인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은 산화방지제, 대전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난연제 및 착색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하는 것인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하나의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을 포함하는 폴리염화비닐 필름.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염화비닐 필름은 평균 부피손실량이 0 초과 2.00(mm3)/100반복 이하인 폴리염화비닐 필름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염화비닐 필름의 두께는 0.1 ~ 0.5mm인 폴리염화비닐 필름.
KR1020170034359A 2017-03-20 2017-03-20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염화비닐 필름 KR102067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359A KR102067870B1 (ko) 2017-03-20 2017-03-20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염화비닐 필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4359A KR102067870B1 (ko) 2017-03-20 2017-03-20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염화비닐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280A true KR20180106280A (ko) 2018-10-01
KR102067870B1 KR102067870B1 (ko) 2020-01-17

Family

ID=638779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4359A KR102067870B1 (ko) 2017-03-20 2017-03-20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염화비닐 필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678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574783A (zh) * 2020-05-20 2020-08-25 江苏大海塑料股份有限公司 一种抗紫外线耐老化pvc膜及其制备方法
CN111484690A (zh) * 2020-05-25 2020-08-04 江苏大海塑料股份有限公司 一种低气味环保快速复合型的装饰材料膜以及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7730A (ko) * 2005-06-07 2006-12-13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층구조의 고분자 활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00057182A (ko) * 2008-11-21 2010-05-31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JP2010168409A (ja) * 2009-01-20 2010-08-05 Riken Technos Corp 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KR20130037670A (ko) 2010-03-04 2013-04-16 애버리 데니슨 코포레이션 비pvc 필름 및 비pvc 필름 라미네이트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127730A (ko) * 2005-06-07 2006-12-13 주식회사 엘지화학 다층구조의 고분자 활제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00057182A (ko) * 2008-11-21 2010-05-31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공중합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JP2010168409A (ja) * 2009-01-20 2010-08-05 Riken Technos Corp 塩化ビニル系樹脂組成物
KR20130037670A (ko) 2010-03-04 2013-04-16 애버리 데니슨 코포레이션 비pvc 필름 및 비pvc 필름 라미네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67870B1 (ko) 2020-0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626027B (zh) 一种共挤spc发泡地板及其制备方法
US10265929B2 (en) Cushion flooring material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101961866B1 (ko) 내후성이 우수한 2층 구조의 수지 시트
KR20140132683A (ko) 압출 또는 사출용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KR101535943B1 (ko) Pvc계 컴파운드 조성물
CN101583654A (zh) 具有与pvc相似的成型能力的基于petg的装饰板
CN106003950A (zh) 高抗冲、高抗折、高尺寸稳定性的纤维内增强木塑制品及其制备方法
KR102015692B1 (ko)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아크릴계 수지의 혼합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실내 내장재용 보드
CN104672737A (zh) 耐候性asa基复合材料、共挤成型塑料制品和塑料制品
TWI651333B (zh) 樹脂組成物及其成形品
KR102067870B1 (ko)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염화비닐 필름
US20160046800A1 (en) Rigid ipvc pipe resin composition exhibiting excellent strength and hydrostatic pressure resistance and rigid ipvc pipe
JP2019044009A (ja) ポリ塩化ビニル系樹脂成形物の製造方法
JP6679562B2 (ja) 樹脂組成物、成形品および積層体
KR102080985B1 (ko) 폴리염화비닐 수지와 아크릴계 수지가 혼합된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실내 내장재용 보드
KR20200140084A (ko) 가소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염화비닐계 수지 조성물
KR101943341B1 (ko) 캘린더링 공정용 평활도 향상 첨가제
JP7334740B2 (ja) 塩化ビニル樹脂積層シート、塩化ビニル樹脂積層シートの製造方法、及び積層体
TWI778152B (zh) 氯乙烯樹脂用之塑化劑、氯乙烯樹脂組成物、電線及車輛內裝材料
JP6953138B2 (ja) 加飾フィルム及び加飾成形品
JP2021037751A (ja) 多層フィルム及び多層フィルムの製造方法
KR102014572B1 (ko) 폴리에스터 섬유를 포함하는 pvc 타일
JP3839011B2 (ja) 真空成形用塩化ビニル系樹脂フィルム及び真空成形方法
JP6520570B2 (ja) 1,2−シクロヘキサンジカルボン酸ジエステルを含有する塩化ビニル系樹脂用可塑剤
KR102449112B1 (ko) 복합 가소제, 및 이를 이용한 폴리염화비닐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