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4773A - 페이스트 기반의 윤활 시스템 - Google Patents

페이스트 기반의 윤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4773A
KR20180104773A KR1020187026365A KR20187026365A KR20180104773A KR 20180104773 A KR20180104773 A KR 20180104773A KR 1020187026365 A KR1020187026365 A KR 1020187026365A KR 20187026365 A KR20187026365 A KR 20187026365A KR 20180104773 A KR20180104773 A KR 20180104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bricant
temperature
quot
controller
reservo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63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도날드 그레이엄 스트레이티프
베리 앨런 클라크
로렌스 제이. 로슨
조슈아 제임스 힉스
로버트 리스
데이비드 헨리 라르손
Original Assignee
안드로이드 인더스트리즈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15/046,221 external-priority patent/US10143983B2/en
Application filed by 안드로이드 인더스트리즈 엘엘씨 filed Critical 안드로이드 인더스트리즈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80104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47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3/00Other mixers; 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33/80Mixing plants; Combinations of mixers
    • B01F13/1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5/00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 B60C25/01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for removing tyres from or mounting tyres on wheels
    • B60C25/05Machines
    • B60C25/0596Soaping devices
    • B01F11/0094
    • B01F15/00396
    • B01F15/0278
    • B01F15/065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1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rope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1/00Mixers with shak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echanisms
    • B01F31/60Mixers with shak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echanisms with a vibrating recepta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21Control or regulation of operational parameters, e.g. level of material in the mixer, temperature or pressure
    • B01F35/2215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5Discharge mechanisms
    • B01F35/754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 B01F35/75425Discharge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discharging the components from the mixer using pistons or plung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90Heating or cooling systems
    • B01F35/92Heating or cooling systems for heating the outside of the receptacle, e.g. heated jackets or burners
    • B01F7/2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25/00Apparatus or tools adapted for mounting, removing or inspecting ty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39/00Arrangements for conditioning of lubricants in the lubricating system
    • F16N39/04Arrangements for conditioning of lubricants in the lubricating system by hea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5/00Apparatus with hand-positioned nozzle supplied with lubricant under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NLUBRICATING
    • F16N7/00Arrangements for supplying oil or unspecified lubricant from a stationary reservoir or the equivalent in or on the machine or member to be lubric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 Lubricants (AREA)
  • Mixers With Rotating Receptacles And Mixers With Vibration Mechanisms (AREA)
  • Mixers Of The Rotary Stirring Type (AREA)

Abstract

시스템은 프로세싱 스테이션 및 프로세싱 스테이션과 유체 연통되는 윤활제 공급 시스템을 포함한다. 프로세싱 스테이션은, 타이어-휠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해서 타이어 및 휠을 결합하기에 앞서서, 타이어 및 휠 중 적어도 하나를 프로세스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프로세싱 스테이션은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 또는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윤활제 공급 시스템은 윤활제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 용기, 및 윤활제 용기에 의해서 수용되고 윤활제를 반-고체 상태로부터 거품화된 상태로 거품화 또는 블렌딩하도록 동작될 수 있는 거품화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윤활제 공급 시스템은 또한 윤활제를 거품화된 상태로 저장 용기의 외부로 펌핑하도록 동작 가능한 펌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페이스트 기반의 윤활 시스템
본 개시 내용은 타이어-휠 조립체 및 타이어-휠 조립체를 조립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타이어-휠 조립체를 몇 개의 단계로 조립하는 것이 당업계에 알려져 있다. 일반적으로, 그러한 단계를 실시하는 통상적인 방법은 상당한 자본 투자 및 인간의 감독을 필요로 한다.
본 발명은, 타이어-휠 조립체를 조립하기 위한 단순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종래 기술과 연관된 단점을 극복한다.
이제, 단지 예로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 내용을 설명할 것이다.
도 1a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및 휠을 프로세스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및 휠을 프로세스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및 휠을 프로세스하기 위한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a는 제1 물질 상태로 배열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lubrication conditioning system) 및 윤활제의 도면이다.
도 2c는 도 2a의 라인 2A'을 따른 윤활제의 확대도이다.
도 2b는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을 작동한 후의 제1 물질 상태와 상이한 제2 물질 상태로 배열된 도 2a의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 및 윤활제의 도면이다.
도 2d는 도 2b의 라인 2b'을 따른 윤활제의 확대도이다.
도 3a는 제1 물질 상태로 배열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 및 윤활제의 도면이다.
도 3b는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을 작동한 후의 제1 물질 상태와 상이한 제2 물질 상태로 배열된 도 3a의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 및 윤활제의 도면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윤활제 저장부에 의해서 수용된 윤활제를 직접적으로 가열하기 위한 윤활 온도 제어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윤활제 저장부에 의해서 수용된 윤활제를 직접적으로 가열하기 위한 윤활 온도 제어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윤활제 저장부에 의해서 수용된 윤활제를 간접적으로 가열하기 위한 윤활 온도 제어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윤활제 저장부에 의해서 수용된 윤활제를 간접적으로 가열하기 위한 윤활 온도 제어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5c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윤활제 저장부에 의해서 수용된 윤활제를 간접적으로 가열하기 위한 윤활 온도 제어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5d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윤활제 저장부에 의해서 수용된 윤활제를 간접적으로 가열하기 위한 윤활 온도 제어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5e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윤활제 저장부에 의해서 수용된 윤활제를 간접적으로 가열하기 위한 윤활 온도 제어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5f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윤활제 저장부에 의해서 수용된 윤활제를 간접적으로 가열하기 위한 윤활 온도 제어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5g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윤활제 저장부에 의해서 수용된 윤활제를 간접적으로 가열하기 위한 윤활 온도 제어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휠의 상부 비트 시트(upper beat seat) 및 하부 비트 시트를 윤활하기 위한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sub-station)에 유체적으로 연결된 도 4a 내지 도 5g의 윤활 온도 제어 시스템 중 임의의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상부 비트 및 하부 비트를 윤활하기 위한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에 유체적으로 연결된 도 4a 내지 도 5g의 윤활 온도 제어 시스템 중 임의의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휠의 상부 비트 시트 및 하부 비트 시트를 윤활하기 위한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에 유체적으로 연결된 도 4a 내지 도 5g의 윤활 온도 제어 시스템 중 임의의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상부 비트 및 하부 비트를 윤활하기 위한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에 유체적으로 연결된 도 4a 내지 도 5g의 윤활 온도 제어 시스템 중 임의의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휠의 상부 비트 시트 및 하부 비트 시트를 윤활하기 위한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의 도면이다.
도 6d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상부 비트 및 하부 비트를 윤활하기 위한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의 도면이다.
도 7c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휠의 상부 비트 시트 및 하부 비트 시트를 윤활하기 위한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의 도면이다.
도 7d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상부 비트 및 하부 비트를 윤활하기 위한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의 도면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윤활제 저장부에 의해서 수용된 윤활제를 직접적으로 가열하기 위한 윤활 온도 제어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8b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윤활제 저장부에 의해서 수용된 윤활제를 직접적으로 가열하기 위한 윤활 온도 제어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윤활제 저장부에 의해서 수용된 윤활제를 간접적으로 가열하기 위한 윤활 온도 제어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윤활제 저장부에 의해서 수용된 윤활제를 간접적으로 가열하기 위한 윤활 온도 제어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9c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윤활제 저장부에 의해서 수용된 윤활제를 간접적으로 가열하기 위한 윤활 온도 제어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9d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윤활제 저장부에 의해서 수용된 윤활제를 간접적으로 가열하기 위한 윤활 온도 제어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9e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윤활제 저장부에 의해서 수용된 윤활제를 간접적으로 가열하기 위한 윤활 온도 제어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9f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윤활제 저장부에 의해서 수용된 윤활제를 간접적으로 가열하기 위한 윤활 온도 제어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9g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윤활제 저장부에 의해서 수용된 윤활제를 간접적으로 가열하기 위한 윤활 온도 제어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10a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휠의 상부 비트 시트 및 하부 비트 시트를 윤활하기 위한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에 유체적으로 연결된 도 8a 내지 도 9g의 윤활 온도 제어 시스템 중 임의의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10b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상부 비트 및 하부 비트를 윤활하기 위한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에 유체적으로 연결된 도 8a 내지 도 9g의 윤활 온도 제어 시스템 중 임의의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11a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휠의 상부 비트 시트 및 하부 비트 시트를 윤활하기 위한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에 유체적으로 연결된 도 8a 내지 도 9g의 윤활 온도 제어 시스템 중 임의의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11b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상부 비트 및 하부 비트를 윤활하기 위한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에 유체적으로 연결된 도 8a 내지 도 9g의 윤활 온도 제어 시스템 중 임의의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10c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휠의 상부 비트 시트 및 하부 비트 시트를 윤활하기 위한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의 도면이다.
도 10d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상부 비트 및 하부 비트를 윤활하기 위한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의 도면이다.
도 11c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휠의 상부 비트 시트 및 하부 비트 시트를 윤활하기 위한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의 도면이다.
도 11d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의 상부 비트 및 하부 비트를 윤활하기 위한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의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휠의 상부 비트 시트 및 하부 비트 시트를 윤활하기 위한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에 유체적으로 연결된 윤활제 저장부에 의해서 수용된 윤활제를 직접적으로 가열하기 위한 윤활 온도 제어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13은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의 동작 사이클을 도시한 예시적인 그래프이다.
도 14는 윤활 하위-스테이션에 의해서 실시된 복수의 윤활된 영역을 포함하는 휠의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휠 조립체를 프로세스하기 위한 장치의 도면을 도시한다.
도 16a는 예시적인 타이어의 상면도이다.
도 16b는 도 16a의 라인 16B-16B를 따른 타이어의 횡단면도이다.
도 16c는 도 16a의 타이어의 측면도이다.
도 16d는 도 16a의 타이어의 저면도이다.
도 17a는 예시적인 휠의 상면도이다.
도 17b는 도 17a의 휠의 측면도이다.
도 18a는 저장 용기 및 윤활제를 반-고체 상태로부터 거품화된 상태(whipped state)로 혼합하도록 동작될 수 있는 혼합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윤활제 공급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18b는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과 유체 연통되는 도 18a의 저장 용기를 포함하는 윤활제 공급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19는 휠 또는 타이어를 윤활하기 위해서 윤활 공급 시스템 및 윤활 하위-스테이션과 유체 연통되는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의 도면이다.
개시 내용의 일 양태는 프로세싱 스테이션 및 프로세싱 스테이션과 유체 연통되는 윤활제 공급 시스템을 제공한다. 프로세싱 스테이션은, 타이어-휠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해서 타이어 및 휠을 결합하기에 앞서서, 타이어 및 휠 중 적어도 하나를 프로세스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프로세싱 스테이션은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 또는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윤활제 공급 시스템은 윤활제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 용기, 및 윤활제 용기에 의해서 수용되고 윤활제를 반-고체 상태로부터 거품화된 상태로 거품화 또는 블렌딩(blend)하도록 동작될 수 있는 거품화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윤활제 공급 시스템은 또한 윤활제를 거품화된 상태로 저장 용기의 외부로 펌핑하도록 동작 가능한 펌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시스템은 또한 윤활제 공급 시스템 및 프로세싱 스테이션과 유체 연통되는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은 저장 용기로부터 거품화된 상태의 윤활제를 수용하도록 동작 가능한 윤활제 저장부; 윤활제 저장부에 근접 배열된 윤활제 온도 조절기(modifier); 윤활제 저장부 내에 배열되고 윤활제 저장부 내에 수용된 윤활제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동작 가능한 윤활제 온도 센서; 및 윤활제 온도 조절기 및 윤활제 온도 센서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된 제어기를 포함한다. 제어기는, 윤활제 온도 센서에 의해서 측정된 윤활제의 온도를 기초로, 윤활제의 온도를 제1 온도로부터 제1 온도 보다 높은 제2 온도로 변화시키도록 윤활제 온도 조절기를 제어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윤활제 공급 시스템의 펌프는 윤활제가 제1 온도에 있을 때 거품화된 상태의 윤활제를 저장 용기의 외부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의 윤활제 저장부로 펌핑한다. 온도는 상온 또는 실온을 포함할 수 있고, 윤활제 저장부는 저장 용기에 의해서 형성된 부피보다 작은 부피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구성에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은 또한 윤활제 저장부 내에 배열되고 제어기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윤활제 이동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윤활제 이동 디바이스는, 윤활제가 제2 온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때, 윤활제 저장부로부터 프로세싱 시스템으로 윤활제를 운송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거품화 디바이스는, 윤활제와 접촉되는, 저장 용기 내로 삽입되는 샤프트의 제1 단부에 부착된 임펠러, 및 샤프트의 제2 단부에 부착되고 임펠러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되는 모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모터는 임펠러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임펠러가 샤프트 주위를 회전하여 윤활제를 거품화된 상태로 거품화 또는 블렌딩하게 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거품화 디바이스는 저장 용기를 보유 및 지지하도록 구성된 요동 장치(shaking apparatus)를 포함하고, 요동 장치는 진동 또는 요동 운동되도록 동작되어 윤활제를 거품화된 상태로 거품화 또는 블렌딩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거품화 디바이스는 윤활제를 거품화된 상태로 거품화 또는 블렌딩하기에 적합한 기계적 교반장치, 블렌더, 교반기, 초음파 디바이스, 또는 공기 기포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구성에서, 윤활제 공급 시스템의 펌프는 엔진 또는 모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피스톤-유형의 펌프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저장 용기는 원통형 드럼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윤활제 공급 시스템의 펌프는 윤활제의 상단 표면 상에서 저장 용기 내에 수용되는 원주방향 디스크를 포함하고, 원주방향 디스크는 저장 용기에 대해서 병진운동되도록 동작되어 윤활제를 윤활제 공급 도관을 통해서 저장 용기의 외부로 펌핑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원주방향 디스크는 저장 용기의 내부 원주방향 표면과 함께 유밀 밀봉부(fluid-tight seal)를 생성하도록 동작될 수 있는 직경을 포함한다.
개시 내용의 다른 양태는 윤활제를 미리-거품화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한다. 그러한 방법은 거품화 디바이스를 소정량의 윤활제를 포함하는 저장 용기 내로 삽입하는 단계; 윤활제를 반-고체 상태로부터 거품화된 상태로 거품화 또는 블렌딩하기 위해서 거품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단계; 및 펌프를 이용하여 소정량의 윤활제의 일부를 거품화된 상태로 저장 용기로부터 외부로 펌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펌프는 저장 용기 내로 삽입되고 소정량의 윤활제와 유체 연통된다. 방법은 또한, 타이어-휠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해서 타이어 및 휠을 결합하기에 앞서서, 타이어 및 휠 중 적어도 하나를 프로세스하도록 동작될 수 있는 프로세싱 스테이션에 윤활제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스테이션은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 또는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방법은 또한, 윤활제를 프로세싱 스테이션에 제공하기에 앞서서, 소정량의 윤활제의 펌핑된 부분을 거품화된 상태로 윤활제 저장부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윤활제 저장부는 윤활제 저장부 내에 배치된 윤활제 온도 조절기를 이용하여 윤활제의 온도를 제1 온도로부터 제1 온도보다 높은 제2 온도로 높이도록, 그리고 윤활제를 프로세싱 시스템에 제공하도록 동작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거품화된 상태로 소정량의 윤활제의 일부를 외부로 펌핑하는 것은, 윤활제가 제1 온도에 있을 때, 소정량의 윤활제의 일부를 거품화된 상태로 저장 용기로부터 윤활제 저장부로 외부로 펌핑하는 것을 포함한다. 부가적으로, 윤활제 저장부는 저장 용기에 의해서 형성된 부피보다 작은 부피를 형성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거품화 디바이스는, 윤활제와 접촉되는, 저장 용기 내로 삽입되는 샤프트의 제1 단부에 부착된 임펠러, 및 샤프트의 제2 단부에 부착되고 임펠러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되는 모터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현예에서, 모터는 임펠러를 구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임펠러가 샤프트 주위를 회전하여 윤활제를 거품화된 상태로 거품화 또는 블렌딩하게 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거품화 디바이스는 윤활제를 거품화된 상태로 거품화 또는 블렌딩하기에 적합한 기계적 교반장치, 블렌더, 교반기, 요동 디바이스, 초음파 디바이스, 또는 공기 기포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예에서, 소정량의 윤활제의 일부를 거품화된 상태로 외부로 펌핑하는 것은, 펌프와 연관되고 거품화된 상태의 소정량의 윤활제의 상단에서 저장 용기 내로 삽입되는 원주방향 디스크를 병진운동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원주방향 디스크를 병진운동시키는 것은 소정량의 윤활제의 일부가 거품화된 상태로 윤활제 공급 도관을 통해서 저장 용기의 외부로 유동되게 한다.
도면은 타이어-휠 조립체를 조립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시한다. 전술한 내용을 기초로, 본원에서 사용된 명명법이 단순히 편의를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서 이용된 용어는 당업자에게 가장 넓은 의미로 주어져야 한다는 것이 일반적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서, 예시적인 타이어(T)를 도시한 도 16a 내지 도 16d를 참조한다. 본 개시 내용에서, 타이어(T)의 "상부", "하부", "좌측", "우측" 및 "측면"이 언급될 수 있고; 그러한 명명법은 타이어(T)의 특별한 부분 또는 양태를 설명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으나, 그러한 명명법은, 타이어(T)를 지지하는 구조물과 관련한 타이어(T)의 배향에 기인하여 채택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명명법은 청구된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서 이용되지 않아야 하고, 본원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서 이용된다.
실시예에서, 타이어(T)는 상부 측벽 표면(TSU)(예를 들어, 도 16a 참조), 하부 측벽 표면(TSL)(예를 들어, 도 16d 참조), 및 상부 측벽 표면(TSU)을 하부 측벽 표면(TSL)에 결합시키는 트레드 표면(TT)(예를 들어, 도 16b 및 16c 참조)을 포함한다. 도 16b를 참조하면, 상부 측벽 표면(TSU)은 트레드 표면(TT)으로부터, 정점까지 상승할 수 있고 이어서 경사를 가지고 하강되어 원주방향 상부 비드(TBU)에서 종료되고 원주방향 상부 비드를 형성할 수 있고; 유사하게, 하부 측벽 표면(TSL)은 트레드 표면(TT)으로부터 정점까지 상승할 수 있고 이어서 경사를 가지고 원주방향 하부 비드(TBL)에서 종료될 수 있고 원주방향 하부 비드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어(T)가 이완되고, 편향되지 않은 상태에서, 상부 비드(TBU)는 원형, 상부 타이어 개구부(TOU)를 형성하고; 유사하게, 타이어(T)가 이완되고, 편향되지 않은 상태에서, 하부 비드(TBL)는 원형, 하부 타이어 개구부(TOL)를 형성한다. 외부 힘이 타이어(T)에 인가될 때, 타이어(T)가 물리적으로 조작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상부 타이어 개구부(TOU), 및 하부 타이어 개구부(TOL) 중 하나 이상이 일시적으로 뒤틀릴(upset) 수 있고, 그에 따라 상부 타이어 개구부(TOU), 및 하부 타이어 개구부(TOL) 중 하나 이상이 전체적으로 원형이 아니게 되고, 예를 들어 타원형 형상을 포함하도록 조작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16b를 참조하면, 이완되고, 편향되지 않은 상태일 때, 상부 타이어 개구부(TOU), 및 하부 타이어 개구부(TOL)의 각각은, 상부 타이어 개구부 직경(TOU-D), 및 하부 타이어 개구부 직경(TOL-D)을 각각 형성한다. 또한,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완되고, 편향되지 않은 상태일 때, 상부 측벽 표면(TSU), 및 하부 측벽 표면(TSL)은, 타이어 직경(TD)을 포함하도록, 타이어(T)를 형성한다.
도 16a, 도 16b 및 도 16d를 참조하면, 타이어(T)는 통로(TP)를 또한 포함한다. 통로(TP)에 대한 접근은, 상부 타이어 개구부(TOU), 및 하부 타이어 개구부(TOL) 중 어느 하나에 의해서 허용된다. 도 16b를 참조하면, 타이어(T)가 이완되고, 편향되지 않은 상태일 때, 상부 타이어 개구부(TOU) 및 하부 타이어 개구부(TOL)는, 직경(TP-D)을 포함하도록, 통로(TP)를 형성한다. 도 16b를 참조하면, 타이어(T)는, 통로(TP)와 연통되는 원주방향 공기 공동(TAC)를 포함한다. 타이어(T)를 휠(W)에 결합한 후에, 타이어(T)를 팽창시키기 위해서 가압 공기가 원주방향 공기 공동(TAC) 내로 배치된다.
타이어(T)가 구조물 또는 휠(W)에 인접하여 배열될 때(예를 들어, 도 17a 및 도 17b 참조), 이하의 개시 내용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기술된 설명은 타이어(T)의 "좌측" 부분 또는 "우측" 부분을 참조할 수 있다. 도 16c를 참조하면, 타이어(T)는 지지 부재(S)에 대해서 도시되어 있고; 지지 부재(S)는 타이어(T)의 "좌측" 부분 및 "우측" 부분에 대한 기준 프레임을 구축하기 위해서 제공된다(그리고 점선으로 도시된다). 도 16c에서, 타이어(T)는 "비-롤링(non-rolling)" 배향으로 배열되며, 그에 따라, 트레드 표면(TT)은 점선 지지 부재(S)에 인접하여 배치되지 않고, 그 대신에, 하부 측벽 표면(TSL)이 점선 지지 부재(S)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중심 분할 라인(DL)은 타이어(T)의 "비-롤링" 배향을 동일하게 분할하여, 타이어(T)의 "좌측" 부분 및 타이어(T)의 "우측" 부분을 전반적으로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타이어(T)의 몇 개의 직경(TP-D, TOU-D, TOL-D)을 참조한다. 기하형태적 이론에 따라, 직경은 원의 중심, 또는, 본 개시 내용에서, 타이어(T)의 회전 축으로 달리 지칭될 수 있는 타이어(T)의 축방향 중심을 통과한다. 기하형태적 이론은 또한, 종료점 모두가 원의 원주 상에 놓이는 라인 단편인 코드(chord)의 개념을 포함하고; 기하형태적 이론에 따라, 직경은 원의 가장 긴 코드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타이어(T)는 구조물에 대해서 이동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일부 경우에,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서, 타이어(T)의 코드가 참조될 수 있다. 도 16a를 참조하면, 타이어(T)의 몇 개의 코드가 TC1, TC2(즉, 타이어 직경(TD)) 및 TC3에 전반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코드(TC1)는 "좌측" 타이어 코드로서 지칭될 수 있다. 코드(TC3)는 "우측" 타이어 코드로서 지칭될 수 있다. 코드(TC2)는 타이어 직경(TD)과 같을 수 있고, "중앙" 코드로 지칭될 수 있다. 좌측 및 우측 타이어 코드(TC1, TC3) 모두는 중앙 코드(TC2)/타이어 직경(TD) 미만인 기하형태를 포함한다.
좌측 코드(TC1) 및 우측 코드(TC3)의 위치를 참조하기 위해서, 좌측 타이어 접선(TTAN-L) 및 우측 타이어 접선(TTAN-R)을 참조한다. 좌측 코드(TC1)는 좌측 타이어 접선(TTAN-L)로부터 타이어 직경(TD)의 약 4분의 1(1/4)로 이격된다. 우측 코드(TC3)는 우측 타이어 접선(TTAN-R)로부터 타이어 직경(TD)의 약 4분의 1(1/4)로 이격된다. 각각의 좌측 및 우측 타이어 코드(TC1, TC3)는 중앙 코드(TC2)로부터 타이어 직경(TD)의 약 4분의 1(1/4)의 비율로 이격될 수 있다. 타이어 직경(TD)으로부터의 언급된 전술한 간격은 예시적인 것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약 4분의 1(1/4)의 비율로 제한하는 것을 의미하지 않아야 하며; 그에 따라 다른 비율이 희망에 따라 규정될 수 있다.
또한, 이하의 개시 내용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타이어(T)는 구조물에 대해서 이동될 수 있다. 도 16c를 참조하면, 상향 이동을 나타내기 위한 화살표(U) 또는 하향 이동을 나타내기 위한 화살표(D)에 의해서 이동이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좌측 또는 후방 이동을 나타내기 위한 화살표(L) 또는 우측 또는 전방 이동을 나타내기 위한 화살표(R)에 의해서 이동이 지칭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에 앞서서, 예시적인 휠(W)을 도시한 도 17a 및 도 17b를 참조한다. 본 개시 내용에서, 휠(W)의 "상부", "하부", "좌측", "우측" 및 "측면"이 언급될 수 있고; 그러한 명명법은 휠(W)의 특별한 부분 또는 양태를 설명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으나, 그러한 명명법은, 휠(W)를 지지하는 구조물과 관련한 휠(W)의 배향에 기인하여 채택될 수 있다. 따라서, 전술한 명명법은 청구된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해서 이용되지 않아야 하고, 본원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의 설명에서 예시적인 목적을 위해서 이용된다.
실시예에서, 휠(W)은 상부 림 표면(WRU), 하부 림 표면(WRL), 및 상부 림 표면(WRU)을 하부 림 표면(WRL)에 결합시키는 외부 원주방향 표면(WC)을 포함한다. 도 17b를 참조하면, 상부 림 표면(WRU)은 휠 직경(WD)을 형성한다. 휠 직경(WD)은 상부 림 표면(WRU)으로부터 하부 림 표면(WRL)까지 원주(WC) 주위에서 일정하지 않을 수 있다. 상부 림 표면(WRU)에 의해서 형성된 휠 직경(WD)은 상부 림 표면(WRU)으로부터 하부 림 표면(WRL)까지의 원주(WC) 주위의 일정하지 않은 직경 중 가장 큰 직경일 수 있다. 휠 직경(WD)은 타이어(T)의 통로(TP)의 직경(TP-D)과 대략적으로 동일하나 그보다 약간 더 크고; 그에 따라, 휠(W)이 통로(TP) 내에 배치되면, 타이어(T)의 통로(TP)의 직경(TP-D)과 대략적으로 동일하나 그보다 약간 더 큰 휠 직경(WD)의 결과로서, 타이어(T)가 휘어질 수 있고 휠(W)에 마찰-고정될 수 있다.
휠(W)의 외부 원주방향 표면(WC)은 상부 비드 시트(WSU) 및 하부 비드 시트(WSL)를 더 포함한다. 상부 비드 시트(WSU)는 원주방향 첨단부, 모서리 또는 상부 림 표면(WRU)에 근접하여 위치된 함몰부를 형성한다. 하부 비드 시트(WSL)는 원주방향 첨단부, 모서리 또는 하부 림 표면(WRL)에 근접하여 위치된 함몰부를 형성한다. 타이어(T) 팽창 시에, 가압 공기는 상부 비드(TBU)가 상부 비드 시트(WSU)에 인접하고 그 내부에 "안착" 배치되게 하고; 유사하게, 타이어(T)의 팽창 시에, 가압 공기는 하부 비드(TBL)가 하부 비드 시트(WSL)에 인접하고 그 내부에 "안착" 배치되게 한다.
휠(W)의 외부 원주(WC)의 일정하지 않은 직경은 휠 "드롭 중심(drop center)"(WDC)을 더 형성한다. 휠 드롭 중심(WDC)은 휠(W)의 외부 원주(WC)의 일정하지 않은 직경 중 가장 작은 직경을 포함할 수 있다. 기능적으로, 휠 드롭 중심(WDC)은 휠(W)에 타이어(T)를 장착하는 것을 보조할 수 있다.
휠(W)의 외부 원주(WC)의 일정하지 않은 직경은 상부 "안전 비드"(WSB)를 더 형성한다. 실시예에서, 상부 안전 비드는 상부 비드 시트(WSU)에 근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타이어(T)의 원주방향 공기 공동(TAC) 내의 가압 공기가 대기로 빠져 나가는 경우에, 상부 비드(TBU)는 상부 비드 시트(WSU)로부터 "이격(unseat)"시킬 수 있고; 안전 비드(WSB)의 근접성으로 인해서, 상부 비드 시트(WSU)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안착된 배향으로 상부 비드(TBU)를 보유하는 것을 보조함으로써, 안전 비드(WSB)는 상부 비드 시트(WSU)로부터의 상부 비드(TBU)의 "이격"의 완화를 도울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휠(W)은 하부 안전 비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상부 및/또는 하부 안전 비드는, 희망에 따라, 휠(W)과 함께 포함될 수 있고, 이하의 개시 내용에서 설명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도 1a, 도 1b, 도 1c 및 도 15를 참조하면, (예를 들어, 도 15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은) 타이어-휠 조립체(TW)를 프로세스하기 위한 단일 셀 워크스테이션(10, 10' 및 10'')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단일 셀 워크스테이션(10, 10' 및 10'') 각각은 복수의 프로세싱 하위-스테이션(12 내지 24, 12' 내지 24', 12'' 내지 24'')을 포함한다. 각각의 프로세싱 하위-스테이션(12 내지 24, 12' 내지 24', 12'' 내지 24'')에 의해서 실시되는 "프로세싱"은, 타이어-휠 조립체(TW)를 형성하기 위해서 타이어(T)를 휠(W)에 "결합" 또는 "장착"하는 행위에 기여할 수 있다. "결합" 또는 "장착" 행위는, 휠(W)이 암형 부분인 타이어(T)의 통로(TP) 내로 삽입되는 수형 부분으로 지칭될 수 있도록, 타이어(T)와 휠(W)을 물리적으로 커플링, 연결 또는 결합시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단일-셀 워크스테이션(10, 10' 및 10'')의 복수의 프로세싱 하위-스테이션(12 내지 24, 12' 내지 24', 12'' 내지 24'')은, 예를 들어: 휠 저장소 하위-스테이션(12, 12', 12''), 타이어 저장소 하위-스테이션(14, 14', 14''),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 장착 하위-스테이션(18, 18', 18''), 팽창 하위-스테이션(20, 20', 20''), 안착 하위-스테이션(22, 22', 22'')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희망하는 경우에, 단일 셀 워크스테이션(10, 10' 및 10'')은 타이어-휠 조립체(TW)를 더 프로세스하기 위한 다른 하위-스테이션(24, 24', 24'')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추가적인 프로세싱 하위-스테이션(24, 24', 24'')은, 예를 들어, 균형 하위-스테이션, 중량 인가 하위-스테이션, 스테밍(stemming) 하위-스테이션, 정합-마킹 하위-스테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단일-셀"이라는 용어는, 부분적으로-조립된 타이어-휠 조립체(TW)가 조립 라인을 따라 "전달"되도록(즉, "전달"은, 부분적으로-조립된 타이어-휠 조립체(TW)가 그러한 조립 라인의 제1 워크스테이션에 의해서 보유되고, 작업되고, 그리고 추가적인 프로세싱을 위해서 조립 라인 내의 후속 워크스테이션으로 방출될 것이, 조립 라인에서 요구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통상적인 조립 라인 내에 달리 배열될 수 있는 복수의 연속적이고 구분된 워크스테이션을 필요로 하지 않고, 하위-스테이션이 타이어-휠 조립체(TW)의 생산에 기여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 대신에, 단일 셀 워크스테이션은, 타이어-휠 조립체(TW)를 조립하는 프로세스에서 특정 과제를 각각 실시하는 복수의 하위-스테이션을 가지는 하나의 워크스테이션을 제공한다. 이러한 조립 프로세스가 이루어지고, 타이어 및/또는 휠 "전달"이 최소화되거나 완전히 제거된다. 따라서, 단일-셀 워크스테이션은, 통상적인 타이어-휠 조립체 라인과 연관된 부동산 풋프린트(footprint)를 소유/대여하는 것, 또한 조립 라인을 형성하는 각각의 개별적인 워크스테이션을 위한 유지보수를 제공하여야 하는 것과 연관된 비용 및 투자를 상당히 감소시킨다. 따라서, 단일 셀 워크스테이션이 타이어-휠 조립체(TW)의 제조에서 이용될 때, 자본 투자 및 인간의 감독이 상당히 감소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예에서, 타이어(T) 및/또는 휠(W)의 "전달"의 최소화 또는 제거는, 복수의 하위-스테이션(12 내지 24, 12' 내지 24', 12'' 내지 24'')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중앙 위치에 위치될 수 있는 로봇 아암(50)을 포함하는 것으로부터 초래될 수 있고; 로봇 아암(50)은, 타이어-휠 조립체(TW)를 조립하는 프로세스 동안, 휠(W) 및 타이어(T)의 하나 또는 둘 모두와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인터페이스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도 1a, 도 1b, 도 1c 및 도 15에 전반적으로 도면부호 100으로 도시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이다. 도 4a 내지 도 9g에서 도시되고 설명된 임의의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a, 100a', 100b, 100b', 100b'', 100b''', 100b'''', 100b''''', 100b'''''', 100c, 100c', 100d, 100d', 100d'', 100d''', 100d'''', 100d''''', 100d'''''')은 도 1a, 도 1b, 도 1c 및 도 15의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의 위치에 배열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임의의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a, 100a', 100b, 100b', 100b'', 100b''', 100b'''', 100b''''', 100b'''''', 100c, 100c', 100d, 100d', 100d'', 100d''', 100d'''', 100d''''', 100d'''''')은 단일 셀 워크스테이션(10, 10', 10'')의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 및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 중 하나 이상에 유체적으로-연결될 수 있다. 기능적으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은 단일 셀 워크스테이션(10, 10' 및 10'')의 조작자가 수동적으로 또는 자동적으로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 및/또는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으로 공급되는 윤활제(L)의 온도(예를 들어, 도 2a 및 도 2b 그리고 도 3a 및 도 3b 참조)를 선택적으로 조정할 수 있게 한다.
윤활제(L)의 온도의 선택적인 조정은, 단일 셀 워크스테이션(10, 10' 및 10'')에 의해서 실시되는 바와 같은, 타이어(T)를 휠(W)에 결합하는 목적을 위한 몇 가지 이점을 실현한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제1 예에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에 의한 윤활제(L)의 온도의 선택적인 조정은, 높은 점도(예를 들어, 도 2a, 도 2c 참조)로부터 낮은 점도(예를 들어, 도 2b, 도 2d 참조)로의 윤활제(L)의 점도의 변화를 허용한다. 따라서, 제1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에서 (예를 들어, 도 2a,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은) 높은 점도를 가지는 윤활제(L)가 단일 셀 워크스테이션(10, 10' 및 10'')의 동작에서의 이용을 위해서 선택되는 경우에,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로의 윤활제(L)의 온도의 변화(예를 들어, 증가)는 (예를 들어, 도 2b,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윤활제(L)의 점도를 감소시킬 수 있고, 결과적으로, 제1 온도로부터 제2 온도로의 윤활제(L)의 온도 변화는, 예를 들어, 윤활제(L) 내의, 공기 기포 포획물(entrapment)(E)(예를 들어, 도 2c, 도 2d 참조)을 허용할 수 있고, 그에 따라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 중 하나 이상에서, 윤활제(L)가 타이어(T) 및 휠(W) 중 하나 이상에 도포되기 전에, 윤활제(L)가 (도 2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기(A)로 더 용이하게 빠져나갈 수 있다. 그에 따라, 윤활제(L) 내의 기포 포획물(E)의 수/양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윤활제(L)의 점도를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서, 휠(W)의 비드 시트(WSU, WSL)에 직접적으로 인접한 타이어(T)의 비드(TBU, TBL)의 안착의 개선이 실현될 수 있는데, 이는 타이어(T)가 휠(W)에 결합된 후에 타이어(T)의 비드(TBU, TBL)와 휠(W)의 비드 시트(WSU, WSL) 사이에 개재식으로-배열될 수 있는 공기 기포 포획물(E)의 결여 때문이다(즉, 공기 기포 포획물(E)이 타이어(T)의 비드(TBU, TBL)와 휠(W)의 비드 시트(WSU, WSL) 사이에 개재식으로-배열되는 경우에, 타이어(T)의 비드(TBU, TBL)가 휠(W)의 비드 시트(WSU, WSL)에 직접적으로 인접하여 안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고, 그렇게 직접적으로 인접한 안착은 타이어-휠 조립체(TW)를 형성하기 위해서 타이어(T)를 휠(W)에 결합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다른 예에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에 의한 윤활제(L)의 온도의 선택적인 조정은 윤활제(L)의 상 전이(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반-고체 윤활제(L) 물질 상태로부터 실질적으로 액체 윤활제(L) 물질 상태로의 변화)를 허용할 수 있다. 예에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윤활제(L)가,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 중 하나 이상에서의, 타이어(T) 및 휠(W) 중 하나 이상에 대한 특별한 침착(예를 들어, "분무") 도포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는 제1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의 실질적으로 반-고체(예를 들어, "페이스트") 물질 상태에 있는 경우에,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에 의한 제1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로부터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로의 윤활제(L)의 실질적으로 반-고체(예를 들어, "페이스트") 상태의 온도의 선택적인 변화(예를 들어, 증가)는, 윤활제(L)의 실질적으로 반-고체(예를 들어, "페이스트") 상태가 (예를 들어,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질적으로 반-고체 상태로부터 (예를 들어,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실질적으로 액체 상태로 변화될 수 있게 하고, 실질적으로 액체 상태는,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 타이어 하위-스테이션(16b', 16b'') 중 하나 이상에서 타이어(T) 및 휠(W) 중 하나 이상에 대한 특별한 침착(예를 들어, "분무") 도포의 도포기(S)(예를 들어, 분무 노즐)로부터의 토출에 더 적합하다. 그에 따라, 윤활제(L)의 상 전이가 발생될 수 있게 함으로써, 분무 노즐(S)로부터의 윤활제(L) 분무를 위해서 구비된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 및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 중 하나 이상은, 제1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에서 배열된 특별한(예를 들어, 액체 물질 상태) 윤활제(L)로 제한되지 않을 수 있고; 따라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의 포함의 결과로서 윤활제(L)의 상 전이의 발생을 허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제1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에서 (예를 들어, 반-고체 페이스트 윤활제와 같은) 비-액체 물질 상태를 가지는 윤활제(L)가, 윤활제(L) 분무를 위해서 구비된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 및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 중 하나 이상에 의해서 이용될 수 있다.
비록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의 포함에 의해서 실현된 2가지 이점을 전술하였지만,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은 또한 본 개시 내용에서 설명되지 않은 다른 이점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2가지 이점을 분리하여 전술하였지만, 2개의 이점 모두는 동시에 실현될 수 있고, 즉 선택된 윤활제(L)가 반-고체 페이스트 형태인 경우에, 반-고체 페이스트-형태 윤활제(L)의 온도의 선택적인 변화(예를 들어, 증가)는 전술한 상 전이가 발생될 수 있게 하는 한편, 또한 점도 변화를 허용할 수 있고, 그러한 점도 변화는, 그에 의해서, 또한 페이스트-형태의 윤활제(L) 내의 기포 포획물(E)이 대기(A)로 더 용이하게 빠져나가게 할 수 있다. 또한 더 추가적으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은 많은 유형의 윤활제(L)가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 중 하나 이상에 의해서 이용될 수 있게 하는 것이 이해될 것이고; 예를 들어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 및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 중 하나 이상에 의해서 이용되는 윤활제(L)가, 비제한적으로: 실질적으로 반-고체 페이스트 윤활제, 실질적으로 반-고체 석유계 윤활제, 실질적으로 액체 물-비누 윤활제, 또는 기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 도 5a 내지 도 5g, 도 8a 및 도 8b, 그리고 도 9a 내지 도 9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a 내지 100a', 100b 내지 100b'''''', 100c 내지 100c' 및 100d 내지 100d'''''')의 실시예가 설명된다. 도 4a 및 도 4b 그리고 도 8a 및 도 8b 기능의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a 내지 100a' 및 100c 내지 100c')는 윤활제(L)의 온도를 직접적으로 높이는 것에 의해서 기능하고; 도 5a 내지 도 5g 그리고 도 9a 내지 도 9g의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 내지 100b'''''' 및 100d 내지 100d'''''')는 윤활제(L)의 온도를 간접적으로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서 열교환기로서 기능한다. 일부 경우에,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a 내지 100d'''''')은 윤활제(L)의 온도를 약 130 ℉ 내지 145 ℉ 사이에서 증가시킨다. 도 4a 및 도 4b, 도 5a 내지 도 5g, 도 8a 및 도 8b, 그리고 도 9a 내지 도 9g에 도시된 임의의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a 내지 100a', 100b 내지 100b'''''', 100c 내지 100c' 및 100d 내지 100d'''''')가 도 1a, 도 1b, 도 1c 및 도 15에서 설명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의 위치에서 상호 교환 가능하게-배열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적어도 타이어(T)의 비드(TBU, TBL) 및 휠(W)의 비드 시트(WSU, WSL) 중 하나 이상에서, 윤활제(L)를 침착시키기 위해서,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 및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 중 하나 이상에 유체적으로-연결될 수 있다.
도 4a를 참조하면,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a)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a)은 윤활제(L)의 온도를 제1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로부터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까지 직접적으로 변화(예를 들어, 증가)시킨다.
예에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a)은 윤활제 저장부(102a),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a), 윤활제 온도 센서(106a) 및 제어기(108a)를 포함한다. 윤활제 저장부(102a)는 윤활제(L)를 포함한다.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a)가 윤활제(L)와 직접적으로 연통되게 하기 위해서,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a)는 윤활제 저장부(102a)에 의해서 형성된 개구부(103a)에 대해서 (예를 들어, 위에) 배열된다. 윤활제 온도 센서(106a)는 윤활제 저장부(102a)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105a) 내에 배열될 수 있고 윤활제(L)의 온도 검출을 위해서 윤활제(L) 내에 침잠될 수 있다. 제어기(108a)는,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a)를 비작동/작동시켜 윤활제(L)의 온도를 유지,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서 윤활제 온도 센서(106a)로부터의 온도 판독값을 수신하도록,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a) 및 윤활제 온도 센서(106a)에 통신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구현예에서,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a)는, 파장에 의해서 규정된 광을 방출하는 광원일 수 있다. 광원(104a)은, 예를 들어, 백열 광원, 적외선 광원, 레이저 광원, 또는 기타와 같은, 임의의 희망 광원일 수 있다. 광원(104a)으로부터 방출된 광은, 광이 광원(104a)으로부터 윤활제(L) 상에 직접적으로 충돌/진입할 수 있도록, 윤활제 저장부(102a)에 의해서 형성된 개구부(103a)를 통과하고; 광이 윤활제(L)에 충돌/진입하면, 광은 윤활제(L)를 직접적으로 가열하고, 그에 의해서 윤활 온도를 제1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로부터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까지 상승시킨다.
예에서, 제어기(108a)는 광원(104a)의 수동 온/오프 스위칭을 허용하기 위한 수동-동작형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108a)는 또한, 윤활제 온도 센서(106a)에 의해서 결정되는 윤활제(L)의 온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윤활제(L)의 온도는, 윤활제 온도 센서(106a)로부터 제어기(108a)로 송신되는 신호의 형태로 통신될 수 있다. 따라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a)의 조작자가 윤활제 저장부(102a) 내에 배열된 윤활제(L)의 유형을 아는 경우에, 그리고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a)의 조작자가, 윤활제(L)가 가지고 배열되어야 하는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를 아는 경우에, 조작자는 제어기(108a)에 의해서 제공된 온/오프 스위치를 비작동/작동시켜 윤활제(L)의 온도에 대한 제어를 수동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어기(108a)는,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a)에 대한 자동 제어를 허용하는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제어기(108a)에 의해서 제공된 프로세서가, 윤활제(L)의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a)의 작동 후에, 윤활제(L)의 온도는, 윤활제 온도 센서(106a)로부터 제어기(108a)로 송신되는 신호 형태로 통신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108a)는, 윤활제(L)의 온도가 제2 온도로 증가될 때까지, 광원(104a)을 '온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윤활제(L)가 제2 온도에 도달하면, 제어기(108a)는 광원(104a)을 '오프 상태'로 자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a)에 대한 자동 제어는, 특별한 윤활제(L)(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반-고체 페이스트 윤활제, 실질적으로 반-고체 석유계 윤활제, 실질적으로 액체 비누 윤활제, 또는 기타)를 선택된 윤활제(L)의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와 연계시키는 데이터 참조표를 구비한 제어기(108a)를 제공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예에서, 제어기(108a)는, 어떠한 유형의 윤활제(L)가 윤활제 저장부(102a) 내에 채워졌는지를 조작자가 제어기(108a)에 알릴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어떠한 유형의 윤활제(L)가 윤활제 저장부(102a) 내에 채워졌는지를 조작자가 제어기(108a)에 알리면, 제어기(108a)는 데이터 참조표를 참조할 것이고, 제어기(108a)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조작자에 의해서 입력된/선택된 윤활제(L)와 연관된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를 자동적으로 선택할 것이다. 따라서, 조작자가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을 작동시킬 때, 윤활제(L)의 온도가 데이터 참조표 내의 윤활제(L)와 연관된 온도로 조정될 때까지, 광원(104a)은 '온 상태'로 유지될 것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a')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a')은 윤활제(L)의 온도를 제1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로부터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까지 직접적으로 변화(예를 들어, 증가)시킨다.
예에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a')은 윤활제 저장부(102a'),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a'), 윤활제 온도 센서(106a') 및 제어기(108a')를 포함한다. 윤활제 저장부(102a')는 윤활제(L)를 포함한다.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a')의 적어도 일부(예를 들어, 104a2' 참조)가, 윤활제 저장부(102a')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105a') 내에 배열되고,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a')가 윤활제(L)와 직접적으로 연통될 수 있도록, 윤활제(L) 내로 침잠된다. 윤활제 온도 센서(106a')는 윤활제 저장부(102a')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105a') 내에 배열될 수 있고 윤활제(L)의 온도 검출을 위해서 윤활제(L) 내에 침잠될 수 있다. 제어기(108a')는,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a')를 비작동/작동시켜 윤활제(L)의 온도를 유지,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서 윤활제 온도 센서(106a')로부터의 온도 판독값을 수신하도록,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a') 및 윤활제 온도 센서(106a')에 통신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구현예에서,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a')는 가열 코일(104a2')에 연결된 전기 공급원(예를 들어, 전류 공급원)(104a1')을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제어기(108a')는 가열 코일(104a2')에 연결된 전기 공급원(104a1')의 수동 온/오프 스위칭을 허용하기 위한 수동-동작형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108a')는 또한 윤활제(L)의 온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윤활제(L)의 온도는, 윤활제 온도 센서(106a')로부터 제어기(108a')로 송신되는 신호의 형태로 통신될 수 있다. 따라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a')의 조작자가 윤활제 저장부(102a') 내에 배열된 윤활제(L)의 유형을 아는 경우에, 그리고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a')의 조작자가, 윤활제(L)가 가지고 배열되어야 하는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를 아는 경우에, 조작자는 제어기(108a')에 의해서 제공된 온/오프 스위치를 비작동/작동시켜 윤활제(L)의 온도에 대한 제어를 수동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전기 공급원(104a1')이 작동되면, 전기 공급원(104a1')은 가열 코일(104a2')이 가열되게 할 수 있고; 윤활제(L)가 가열 코일(104a2')과 직접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가열 코일(104a2')은 윤활제(L)를 직접 가열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윤활의 온도를 제1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로부터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까지 상승시킬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어기(108a')는,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a')에 대한 자동 제어를 허용하는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제어기(108a')에 의해서 제공된 프로세서가, 윤활제(L)의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a')의 작동 후에, 윤활제(L)의 온도는, 윤활제 온도 센서(106a')로부터 제어기(108a')로 송신되는 신호 형태로 통신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108a')는, 윤활제(L)의 온도가 제2 온도로 증가될 때까지, 가열 코일(104a2')에 연결된 전기 공급원(104a1')을 '온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윤활제(L)가 제2 온도에 도달하면, 제어기(108a')는 가열 코일(104a2')에 연결된 전기 공급원(104a1')을 '오프 상태'로 자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a')에 대한 자동 제어는, 특별한 윤활제(L)(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반-고체 페이스트 윤활제, 실질적으로 반-고체 석유계 윤활제, 실질적으로 액체 비누 윤활제, 또는 기타)를 선택된 윤활제(L)의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와 연계시키는 데이터 참조표를 구비한 제어기(108a')를 제공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예에서, 제어기(108a')는, 어떠한 유형의 윤활제(L)가 윤활제 저장부(102a') 내에 채워졌는지를 조작자가 제어기(108a')에 알릴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어떠한 유형의 윤활제(L)가 윤활제 저장부(102a') 내에 채워졌는지를 조작자가 제어기(108a')에 알리면, 제어기(108a')는 데이터 참조표를 참조할 것이고, 제어기(108a')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조작자에 의해서 입력된/선택된 윤활제(L)와 연관된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를 자동적으로 선택할 것이다. 따라서, 조작자가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을 작동시킬 때, 윤활제(L)의 온도가 데이터 참조표 내의 윤활제(L)와 연관된 온도로 조정될 때까지, 가열 코일(104a2')에 연결된 전기 공급원(104a1')은 '온 상태'로 유지될 것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은 윤활제(L)의 온도를 제1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로부터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까지 간접적으로 변화(예를 들어, 증가)시킨다.
예에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은 윤활제 저장부(102b),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b), 윤활제 온도 센서(106b) 및 제어기(108b)를 포함한다. 윤활제 저장부(102b)는 윤활제(L)를 포함한다.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b)가 윤활제 저장부(L)에 수용된 윤활제(L)와 간접적으로 연통되게 하기 위해서,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b)는 윤활제 저장부(102b)에 대해서 (예를 들어, 위에) 배열된다. 윤활제 온도 센서(106b)는 윤활제 저장부(102b)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105b) 내에 배열될 수 있고 윤활제(L)의 온도 검출을 위해서 윤활제(L) 내에 침잠될 수 있다. 제어기(108b)는,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b)를 비작동/작동시켜 윤활제(L)의 온도를 유지,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서 윤활제 온도 센서(106b)로부터의 온도 판독값을 수신하도록,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b) 및 윤활제 온도 센서(106b)에 통신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구현예에서,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b)는, 파장에 의해서 규정된 광을 방출하는 광원일 수 있다. 광원(104b)은, 예를 들어, 백열 광원, 적외선 광원, 레이저 광원, 또는 기타와 같은, 임의의 희망 광원일 수 있다. 도 4a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광원(104b)으로부터 방출된 광은 윤활제 저장부(102b)에 의해서 형성된 개구부(예를 들어, 도 4a의 개구부(103a) 참조)를 통과하지 않고, 그 대신에, 광은 윤활제 저장부(102b)를 형성하는 재료 자체에 충돌하고, 그에 의해서 윤활제 저장부(102b)의 온도를 높인다. 윤활제(L)가 윤활제 저장부(102b)에 의해서 수용되고 그와 접촉되기 때문에, 그에 의해서, 윤활제 저장부(102b)를 형성하는 재료를 가열하는 광원(104b)에 의해서 방출된 광은, 윤활제 저장부(102b)에 의해서 수용되고 그와 접촉되는 윤활제(L)를 간접적으로 가열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윤활제(L)의 온도는 제1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로부터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까지 높아진다.
예에서, 제어기(108b)는 광원(104b)의 수동 온/오프 스위칭을 허용하기 위한 수동-동작형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108b)는 또한 윤활제(L)의 온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윤활제(L)의 온도는, 윤활제 온도 센서(106b)로부터 제어기(108b)로 송신되는 신호의 형태로 통신될 수 있다. 따라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의 조작자가 윤활제 저장부(102b) 내에 배열된 윤활제(L)의 유형을 아는 경우에, 그리고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의 조작자가, 윤활제(L)가 가지고 배열되어야 하는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를 아는 경우에, 조작자는 제어기(108b)에 의해서 제공된 온/오프 스위치를 비작동/작동시켜 윤활제(L)의 온도에 대한 제어를 수동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어기(108b)는,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에 대한 자동 제어를 허용하는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제어기(108b)에 의해서 제공된 프로세서가, 윤활제(L)의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의 작동 후에, 윤활제(L)의 온도는, 윤활제 온도 센서(106b)로부터 제어기(108b)로 송신되는 신호 형태로 통신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108b)는, 윤활제(L)의 온도가 제2 온도로 증가될 때까지, 광원(104b)을 '온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윤활제(L)가 제2 온도에 도달하면, 제어기(108b)는 광원(104b)을 '오프 상태'로 자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에 대한 자동 제어는, 특별한 윤활제(L)(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반-고체 페이스트 윤활제, 실질적으로 반-고체 석유계 윤활제, 실질적으로 액체 비누 윤활제, 또는 기타)를 선택된 윤활제(L)의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와 연계시키는 데이터 참조표를 구비한 제어기(108b)를 제공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예에서, 제어기(108b)는, 어떠한 유형의 윤활제(L)가 윤활제 저장부(102b) 내에 채워졌는지를 조작자가 제어기(108b)에 알릴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어떠한 유형의 윤활제(L)가 윤활제 저장부(102b) 내에 채워졌는지를 조작자가 제어기(108b)에 알리면, 제어기(108b)는 데이터 참조표를 참조할 것이고, 제어기(108b)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조작자에 의해서 입력된/선택된 윤활제(L)와 연관된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를 자동적으로 선택할 것이다. 따라서, 조작자가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을 작동시킬 때, 윤활제(L)의 온도가 데이터 참조표 내의 윤활제(L)와 연관된 온도로 조정될 때까지, 광원(104b)은 '온 상태'로 유지될 것이다.
도 5b를 참조하면,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은 윤활제(L)의 온도를 제1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로부터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까지 간접적으로 변화(예를 들어, 증가)시킨다.
예에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은 윤활제 저장부(102b'),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b'), 윤활제 온도 센서(106b'), 제어기(108b'), 유체 용기(110b'), 및 유체 온도 센서(112b')를 포함한다. 윤활제 저장부(102b')는 윤활제(L)를 포함한다.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b')는,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b')가 윤활제 저장부(L)에 의해서 수용된 윤활제(L)와 간접적으로 연통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윤활제 저장부(102b') 및 유체 용기(110b')에 대해서 (예를 들어, 위에) 배열되고;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b')와 윤활제(L)의 간접적인 연통은, 윤활제 저장부(102b')를 유체 용기(110b') 내에 수용된 유체(F) 내에 침잠시키는 것에 의해서 달성된다.
윤활제 온도 센서(106b')는 윤활제 저장부(102b')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105b') 내에 배열될 수 있고 윤활제(L)의 온도 검출을 위해서 윤활제(L) 내에 침잠될 수 있다. 유체 온도 센서(112b')는 유체 용기(110b')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113b') 내에 배열될 수 있고 유체(F)의 온도 검출을 위해서 유체(F) 내에 침잠될 수 있다. 제어기(108b')는,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b')를 비작동/작동시켜 윤활제(L)의 온도를 유지,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서 윤활제 온도 센서(106b') 및 유체 온도 센서(112b')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의 온도 판독값을 수신하도록,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b'), 윤활제 온도 센서(106b') 및 유체 온도 센서(112b')에 통신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구현예에서,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b')는, 파장에 의해서 규정된 광을 방출하는 광원일 수 있다. 광원(104b')은, 예를 들어, 백열 광원, 적외선 광원, 레이저 광원, 또는 기타와 같은, 임의의 희망 광원일 수 있다. 도 4a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광원(104b')으로부터 방출된 광은 윤활제 저장부(102b')에 의해서 형성된 개구부(예를 들어, 도 4a의 개구부(103a) 참조)를 통과하지 않고, 그 대신에, 광은 유체 용기(110b') 내에 배열된 유체(F)에 충돌/진입하고, 그에 의해서, 윤활제 저장부(102b')를 둘러싸는 유체(F)의 온도를 높인다. 윤활제(L)가 윤활제 저장부(102b')에 의해서 수용되고 그 내부 표면과 직접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그리고 윤활제 저장부(102b')의 외부 표면이 유체(F)와 직접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그에 의해서, 유체(F)를 가열하는 광원(104b')에 의해서 방출된 광은 윤활제 저장부(102b')에 의해서 수용되고 그와 접촉되는 윤활제(L)를 간접적으로 가열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윤활제(L)의 온도는 제1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로부터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까지 높아진다.
예에서, 제어기(108b')는 광원(104b')의 수동 온/오프 스위칭을 허용하기 위한 수동-동작형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108b')는 또한 윤활제(L) 및 유체(F) 중 하나 이상의 온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윤활제(L) 및 유체(F) 중 하나 이상의 온도는, 윤활제 온도 센서(106b') 및 유체 온도 센서(112b')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제어기(108b')로 송신되는 신호의 형태로 통신될 수 있다. 따라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의 조작자가 윤활제 저장부(102b') 내에 배열된 윤활제(L)의 유형을 아는 경우에, 그리고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의 조작자가, 윤활제(L)가 가지고 배열되어야 하는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를 아는 경우에, 조작자는 제어기(108b')에 의해서 제공된 온/오프 스위치를 비작동/작동시켜 윤활제(L)의 온도에 대한 제어를 수동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어기(108b')는,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에 대한 자동 제어를 허용하는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제어기(108b')에 의해서 제공된 프로세서가, 윤활제(L)의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의 작동 후에, 윤활제(L)의 온도는, 윤활제 온도 센서(106b') 및 유체 온도 센서(112b')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제어기(108b')로 송신되는 신호 형태로 통신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108b')는, 윤활제(L)의 온도가 제2 온도로 증가될 때까지, 광원(104b')을 '온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윤활제(L)가 제2 온도에 도달하면, 제어기(108b')는 광원(104b')을 '오프 상태'로 자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에 대한 자동 제어는, 특별한 윤활제(L)(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반-고체 페이스트 윤활제, 실질적으로 반-고체 석유계 윤활제, 실질적으로 액체 비누 윤활제, 또는 기타)를 선택된 윤활제(L)의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와 연계시키는 데이터 참조표를 구비한 제어기(108b')를 제공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예에서, 제어기(108b')는, 어떠한 유형의 윤활제(L)가 윤활제 저장부(102b') 내에 채워졌는지를 조작자가 제어기(108b')에 알릴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어떠한 유형의 윤활제(L)가 윤활제 저장부(102b') 내에 채워졌는지를 조작자가 제어기(108b')에 알리면, 제어기(108b')는 데이터 참조표를 참조할 것이고, 제어기(108b')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조작자에 의해서 입력된/선택된 윤활제(L)와 연관된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를 자동적으로 선택할 것이다. 따라서, 조작자가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을 작동시킬 때, 윤활제(L)의 온도가 데이터 참조표 내의 윤활제(L)와 연관된 온도로 조정될 때까지, 광원(104b')은 '온 상태'로 유지될 것이다.
도 5c를 참조하면,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은 윤활제(L)의 온도를 제1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로부터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까지 간접적으로 변화(예를 들어, 증가)시킨다.
예에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은 윤활제 저장부(102b''),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b''), 윤활제 온도 센서(106b''), 제어기(108b''), 유체 용기(110b''), 및 유체 온도 센서(112b'')를 포함한다. 윤활제 저장부(102b'')는 윤활제(L)를 포함한다.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b'')가 윤활제(L)와 간접적으로 연통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b')의 적어도 일부(참조, 예를 들어, 104b2'')는 유체 용기(110b'')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113b'') 내에 배열되고 유체 용기(110b'')에 의해서 수용된 유체(F) 내에 침잠되며;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b'')와 윤활제(L)의 간접적인 연통은, 윤활제(L)를 함유한 윤활제 저장부(102b'')를 유체 용기(110b'')의 공동(113b'') 내에 수용된 유체(F) 내에 침잠시키는 것에 의해서 달성된다.
윤활제 온도 센서(106b'')는 윤활제 저장부(102b'')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105b'') 내에 배열될 수 있고 윤활제(L)의 온도 검출을 위해서 윤활제(L) 내에 침잠될 수 있다. 유체 온도 센서(112b'')는 유체 용기(110b'')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113b'') 내에 배열될 수 있고 유체(F)의 온도 검출을 위해서 유체(F) 내에 침잠될 수 있다.
제어기(108b'')는,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b'')를 비작동/작동시켜 윤활제(L)의 온도를 유지,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서 윤활제 온도 센서(106b'') 및 유체 온도 센서(112b'')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의 온도 판독값을 수신하도록,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b''), 윤활제 온도 센서(106b'') 및 유체 온도 센서(112b'')에 통신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구현예에서,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b'')는 가열 코일(104b2'')에 연결된 전기 공급원(예를 들어, 전류 공급원)(104b1'')을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제어기(108b'')는 가열 코일(104b2'')에 연결된 전기 공급원(104b1'')의 수동 온/오프 스위칭을 허용하기 위한 수동-동작형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108b'')는 또한 윤활제(L) 및 유체(F) 중 하나 이상의 온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윤활제(L) 및 유체(F) 중 하나 이상의 온도는, 윤활제 온도 센서(106b'') 및 유체 온도 센서(112b'')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제어기(108b'')로 송신되는 신호의 형태로 통신될 수 있다. 따라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의 조작자가 윤활제 저장부(102b'') 내에 배열된 윤활제(L)의 유형을 아는 경우에, 그리고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의 조작자가, 윤활제(L)가 가지고 배열되어야 하는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를 아는 경우에, 조작자는 제어기(108b'')에 의해서 제공된 온/오프 스위치를 비작동/작동시켜 윤활제(L)의 온도에 대한 제어를 수동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전기 공급원(104b1'')이 작동되면, 전기 공급원(104b1'')은 가열 코일(104b2'')이 가열되게 할 수 있고; 유체(F)가 가열 코일(104b2'')과 직접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가열 코일(104b2'')은 유체(F)를 직접 가열할 수 있다. 윤활제 저장부(102b'')가 유체(F)와 직접 접촉되기 때문에, 윤활제 저장부(102b'') 내에 포함된 윤활제(L)가 또한 가열되고, 그에 의해서 윤활제(L)의 온도를 제1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로부터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로 높인다.
다른 예에서, 제어기(108b'')는,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에 대한 자동 제어를 허용하는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제어기(108b'')에 의해서 제공된 프로세서가, 윤활제(L)의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의 작동 후에, 윤활제(L)의 온도는, 윤활제 온도 센서(106b'') 및 유체 온도 센서(112b'')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제어기(108b'')로 송신되는 신호 형태로 통신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108b'')는, 윤활제(L)의 온도가 제2 온도로 증가될 때까지, 가열 코일(104b2'')에 연결된 전기 공급원(104b1'')을 '온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윤활제(L)가 제2 온도에 도달하면, 제어기(108b'')는 가열 코일(104b2'')에 연결된 전기 공급원(104b1'')을 '오프 상태'로 자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에 대한 자동 제어는, 특별한 윤활제(L)(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반-고체 페이스트 윤활제, 실질적으로 반-고체 석유계 윤활제, 실질적으로 액체 비누 윤활제, 또는 기타)를 선택된 윤활제(L)의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와 연계시키는 데이터 참조표를 구비한 제어기(108b'')를 제공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예에서, 제어기(108b'')는, 어떠한 유형의 윤활제(L)가 윤활제 저장부(102b'') 내에 채워졌는지를 조작자가 제어기(108b'')에 알릴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어떠한 유형의 윤활제(L)가 윤활제 저장부(102b'') 내에 채워졌는지를 조작자가 제어기(108b'')에 알리면, 제어기(108b'')는 데이터 참조표를 참조할 것이고, 제어기(108b'')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조작자에 의해서 입력된/선택된 윤활제(L)와 연관된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를 자동적으로 선택할 것이다. 따라서, 조작자가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을 작동시킬 때, 윤활제(L)의 온도가 데이터 참조표 내의 윤활제(L)와 연관된 온도로 조정될 때까지, 가열 코일(104b2'')에 연결된 전기 공급원(104b1'')은 '온 상태'로 유지될 것이다.
도 5d를 참조하면,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은 윤활제(L)의 온도를 제1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로부터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까지 간접적으로 변화(예를 들어, 증가)시킨다.
예에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은 윤활제 저장부(102b'''),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b'''), 윤활제 온도 센서(106b''') 및 제어기(108b''')를 포함한다. 윤활제 저장부(102b''')는 윤활제(L)를 포함한다. 전술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a, 100a', 100b, 100b', 100b'')과 달리,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b''')는 윤활제(L) 또는 유체(F) 내에 침잠되지 않고,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b''')는 윤활제 저장부(102a, 102a', 102b, 102b', 102b'') 및/또는 유체 용기(102b', 102b'')에 대해서 이격된 관계로 배열되지 않고; 그 대신에,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b''')의 일부(예를 들어, 104b2''' 참조)는 윤활제 저장부(102b''')의 외부 표면(114b''')에 직접 인접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b''')가 윤활제 저장부(102b''')의 외부 표면(114b''')에 직접 인접하여 배열되는 것의 결과로서,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b''')의 부분(104b2''')은, 윤활제 저장부(102b''')에 의해서 형성된 재료에 의해서,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b''')가 윤활제(L)와 간접적으로 연통될 수 있게 한다.
윤활제 온도 센서(106b''')는 윤활제 저장부(102b''')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105b''') 내에 배열될 수 있고 윤활제(L)의 온도 검출을 위해서 윤활제(L) 내에 침잠될 수 있다. 제어기(108b''')는,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b''')를 비작동/작동시켜 윤활제(L)의 온도를 유지,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서 윤활제 온도 센서(106b''')로부터의 온도 판독값을 수신하도록,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b''') 및 윤활제 온도 센서(106b''')에 통신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구현예에서,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b''')는 고온 판(104b2''')에 연결된 전기 공급원(예를 들어, 전류 공급원)(104b1''')을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제어기(108b''')는 고온 판(104b2''')에 연결된 전기 공급원(104b1''')의 수동 온/오프 스위칭을 허용하기 위한 수동-동작형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108b''')는 또한 윤활제(L)의 온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윤활제(L)의 온도는, 윤활제 온도 센서(106b''')로부터 제어기(108b''')로 송신되는 신호의 형태로 통신될 수 있다. 따라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의 조작자가 윤활제 저장부(102b''') 내에 배열된 윤활제(L)의 유형을 아는 경우에, 그리고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의 조작자가, 윤활제(L)가 가지고 배열되어야 하는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를 아는 경우에, 조작자는 제어기(108b''')에 의해서 제공된 온/오프 스위치를 비작동/작동시켜 윤활제(L)의 온도에 대한 제어를 수동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전기 공급원(104b1''')이 작동되면, 전기 공급원(104b1''')은 고온 판(104b2''')이 가열되게 할 수 있고; 윤활제 저장부(102b''')의 외부 표면(114b''')이 고온 판(104b2''')과 직접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고온 판(104b2''')은 윤활제 저장부(102b''')를 형성하는 재료를 직접적으로 가열할 수 있고; 윤활제 저장부(102b''')가 윤활제(L)와 직접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윤활제(L)가 또한 가열되고, 그에 의해서 윤활제(L)의 온도를 제1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로부터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까지 상승시킬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어기(108b''')는,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에 대한 자동 제어를 허용하는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제어기(108b''')에 의해서 제공된 프로세서가, 윤활제(L)의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의 작동 후에, 윤활제(L)의 온도는, 윤활제 온도 센서(106b''')로부터 제어기(108b''')로 송신되는 신호 형태로 통신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108b''')는, 윤활제(L)의 온도가 제2 온도로 증가될 때까지, 고온 판(104b2''')에 연결된 전기 공급원(104b1''')을 '온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윤활제(L)가 제2 온도에 도달하면, 제어기(108b''')는 고온 판(104b''')을 '오프 상태'로 자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에 대한 자동 제어는, 특별한 윤활제(L)(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반-고체 페이스트 윤활제, 실질적으로 반-고체 석유계 윤활제, 실질적으로 액체 비누 윤활제, 또는 기타)를 선택된 윤활제(L)의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와 연계시키는 데이터 참조표를 구비한 제어기(108b''')를 제공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예에서, 제어기(108b''')는, 어떠한 유형의 윤활제(L)가 윤활제 저장부(102b''') 내에 채워졌는지를 조작자가 제어기(108b''')에 알릴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어떠한 유형의 윤활제(L)가 윤활제 저장부(102b''') 내에 채워졌는지를 조작자가 제어기(108b''')에 알리면, 제어기(108b''')는 데이터 참조표를 참조할 것이고, 제어기(108b''')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조작자에 의해서 입력된/선택된 윤활제(L)와 연관된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를 자동적으로 선택할 것이다. 따라서, 조작자가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을 작동시킬 때, 윤활제(L)의 온도가 데이터 참조표 내의 윤활제(L)와 연관된 온도로 조정될 때까지, 고온 판(104b2''')에 연결된 전기 공급원(104b1''')은 '온 상태'로 유지될 것이다.
도 5e를 참조하면,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은 윤활제(L)의 온도를 제1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로부터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까지 간접적으로 변화(예를 들어, 증가)시킨다.
예에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은 윤활제 저장부(102b''''),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b''''), 윤활제 온도 센서(106b''''), 제어기(108b''''), 유체 용기(110b''''), 및 유체 온도 센서(112b'''')를 포함한다. 윤활제 저장부(102b'''')는 윤활제(L)를 포함하고 유체 용기(110b'''')는 유체(F)를 포함한다. 전술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a, 100a', 100b, 100b', 100b'')과 달리,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b''')는 윤활제(L) 또는 유체(F) 내에 침잠되지 않고,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b''')는 윤활제 저장부(102a, 102a', 102b, 102b', 102b'') 및/또는 유체 용기(102b', 102b'')에 대해서 이격된 관계로 배열되지 않고; 그 대신에,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b'''')의 일부(예를 들어, 104b2''' 참조)는 유체 용기(110b'''')의 외부 표면(116b'''')에 직접 인접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온도 조절기(104b'''')의 부분(104b2'''')이 유체 용기(110b'''')의 외부 표면(116b'''')에 직접 인접하여 배열되는 것의 결과로서,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b'''')의 부분(104b2'''')은,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b'''')가: 윤활제 저장부(102b'''')를 형성하는 재료, 유체 용기(110b'''')를 형성하는 재료 그리고 윤활제 저장부(102b'''')를 둘러싸는 유체 용기(110b'''')에 의해서 수용된 유체(F)에 의해서, 윤활제(L)와 간접적으로 연통될 수 있게 한다.
윤활제 온도 센서(106b'''')는 윤활제 저장부(102b'''')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105b'''') 내에 배열될 수 있고 윤활제(L)의 온도 검출을 위해서 윤활제(L) 내에 침잠될 수 있다. 유체 온도 센서(112b'''')는 유체 용기(110b'''')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113b'''') 내에 배열될 수 있고 유체(F)의 온도 검출을 위해서 유체(F) 내에 침잠될 수 있다.
제어기(108b'''')는,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b'''')를 비작동/작동시켜 윤활제(L)의 온도를 유지,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서 윤활제 온도 센서(106b'''') 및 유체 온도 센서(112b'''')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의 온도 판독값을 수신하도록,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b''''), 윤활제 온도 센서(106b'''') 및 유체 온도 센서(112b'''')에 통신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구현예에서,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b'''')는 고온 판(104b2'''')에 연결된 전기 공급원(예를 들어, 전류 공급원)(104b1'''')을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제어기(108b'''')는 고온 판(104b2'''')에 연결된 전기 공급원(104b1'''')의 수동 온/오프 스위칭을 허용하기 위한 수동-동작형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108b'''')는 또한 윤활제(L) 및 유체(F) 중 하나 이상의 온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윤활제(L) 및 유체(F) 중 하나 이상의 온도는, 윤활제 온도 센서(106b'''') 및 유체 온도 센서(112b'''')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제어기(108b'''')로 송신되는 신호의 형태로 통신될 수 있다. 따라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의 조작자가 윤활제 저장부(102b'''') 내에 배열된 윤활제(L)의 유형을 아는 경우에, 그리고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의 조작자가, 윤활제(L)가 가지고 배열되어야 하는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를 아는 경우에, 조작자는 제어기(108b'''')에 의해서 제공된 온/오프 스위치를 비작동/작동시켜 윤활제(L)의 온도에 대한 제어를 수동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전기 공급원(104b1'''')이 작동되면, 전기 공급원(104b1'''')은 고온 판(104b2'''')이 가열되게 할 수 있고; 유체 용기(110b'''')의 외부 표면(116b'''')이 고온 판(104b2'''')과 직접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고온 판(104b2'''')은 유체(F)를 직접 가열할 수 있다. 윤활제 저장부(102b'''')가, 유체(F)를 포함하는 유체 용기(110b'''')의 외부 표면(116b'''')과 직접 접촉되기 때문에, 윤활제 저장부(102b'''') 내에 포함되고 유체(F) 내에 침잠된 윤활제(L)가 또한 가열되고, 그에 의해서 윤활제(L)의 온도를 제1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로부터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로 높인다.
다른 예에서, 제어기(108b'''')는,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에 대한 자동 제어를 허용하는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제어기(108b'''')에 의해서 제공된 프로세서가, 윤활제(L)의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의 작동 후에, 윤활제(L)의 온도는, 윤활제 온도 센서(106b'''') 및 유체 온도 센서(112b'''')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제어기(108b'''')로 송신되는 신호 형태로 통신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108b'''')는, 윤활제(L)의 온도가 제2 온도로 증가될 때까지, 고온 판(104b2'''')에 연결된 전기 공급원(104b1'''')을 '온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윤활제(L)가 제2 온도에 도달하면, 제어기(108b'''')는 고온 판(104b'''')을 '오프 상태'로 자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에 대한 자동 제어는, 특별한 윤활제(L)(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반-고체 페이스트 윤활제, 실질적으로 반-고체 석유계 윤활제, 실질적으로 액체 비누 윤활제, 또는 기타)를 선택된 윤활제(L)의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와 연계시키는 데이터 참조표를 구비한 제어기(108b'''')를 제공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예에서, 제어기(108b'''')는, 어떠한 유형의 윤활제(L)가 윤활제 저장부(102b'''') 내에 채워졌는지를 조작자가 제어기(108b'''')에 알릴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어떠한 유형의 윤활제(L)가 윤활제 저장부(102b'''') 내에 채워졌는지를 조작자가 제어기(108b'''')에 알리면, 제어기(108b'''')는 데이터 참조표를 참조할 것이고, 제어기(108b'''')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조작자에 의해서 입력된/선택된 윤활제(L)와 연관된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를 자동적으로 선택할 것이다. 따라서, 조작자가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을 작동시킬 때, 윤활제(L)의 온도가 데이터 참조표 내의 윤활제(L)와 연관된 온도로 조정될 때까지, 고온 판(104b2'''')에 연결된 전기 공급원(104b1'''')은 '온 상태'로 유지될 것이다.
도 5f를 참조하면,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은 윤활제(L)의 온도를 제1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로부터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까지 간접적으로 변화(예를 들어, 증가)시킨다.
예에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은 윤활제 저장부(102b'''''),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b'''''), 윤활제 온도 센서(106b'''''), 제어기(108b'''''), 및 폐쇄된 하우징(118b''''')를 포함한다. 윤활제 저장부(102b''''')는 윤활제(L)를 포함한다.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b''''')가 윤활제 저장부(L)에 수용된 윤활제(L)와 간접적으로 연통되게 하기 위해서,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b''''')는 윤활제 저장부(102b''''')를 따라서 윤활제 저장부(102b''''')에 대해서(예를 들어, 그 옆에 또는 그에 근접하여) 그리고 폐쇄된 하우징(118b''''') 내에 배열된다. 윤활제 온도 센서(106b''''')는 윤활제 저장부(102b''''')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105b''''') 내에 배열될 수 있고 윤활제(L)의 온도 검출을 위해서 윤활제(L) 내에 침잠될 수 있다. 제어기(108b''''')는,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b''''')를 비작동/작동시켜 윤활제(L)의 온도를 유지,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서 윤활제 온도 센서(106b''''')로부터의 온도 판독값을 수신하도록,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b''''') 및 윤활제 온도 센서(106b''''')에 통신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구현예에서,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b''''')는, 불꽃을 생성하기 위해서 연료(예를 들어, 가스)를 연소시키는 버너일 수 있다. 불꽃은 폐쇄된 하우징(118b''''') 내의 주변 공기를 가열하고, 그에 의해서 폐쇄된 하우징(118b''''') 내에 배열된 윤활제 저장부(102b''''') 및 윤활제(L) 중 하나 이상의 온도를 높인다. 윤활제(L)가 폐쇄된 하우징(118b''''') 내에 배열되기 때문에, 폐쇄된 하우징(118b''''') 내의 유체(즉, 주변 공기(A))가 윤활제 저장부(102b''''') 및 윤활제 저장부(102b''''')에 의해서 수용되고 그와 접촉되는 윤활제(L) 중 하나 이상을 간접적으로 가열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윤활제(L)의 온도는 제1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로부터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까지 높아진다.
예에서, 제어기(108b''''')는 버너(104b''''')의 수동 온/오프 스위칭을 허용하기 위한 수동-동작형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108b''''')는 또한 윤활제(L)의 온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윤활제(L)의 온도는, 윤활제 온도 센서(106b''''')로부터 제어기(108b''''')로 송신되는 신호의 형태로 통신될 수 있다. 따라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의 조작자가 윤활제 저장부(102b''''') 내에 배열된 윤활제(L)의 유형을 아는 경우에, 그리고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의 조작자가, 윤활제(L)가 가지고 배열되어야 하는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를 아는 경우에, 조작자는 제어기(108b''''')에 의해서 제공된 온/오프 스위치를 비작동/작동시켜 윤활제(L)의 온도에 대한 제어를 수동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어기(108b''''')는,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에 대한 자동 제어를 허용하는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제어기(108b''''')에 의해서 제공된 프로세서가, 윤활제(L)의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의 작동 후에, 윤활제(L)의 온도는, 윤활제 온도 센서(106b''''')로부터 제어기(108b''''')로 송신되는 신호 형태로 통신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108b''''')는, 윤활제(L)의 온도가 제2 온도로 증가될 때까지, 버너(104b''''')를 '온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윤활제(L)가 제2 온도에 도달하면, 제어기(108b''''')는 버너(104b''''')를 '오프 상태'로 자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에 대한 자동 제어는, 특별한 윤활제(L)(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반-고체 페이스트 윤활제, 실질적으로 반-고체 석유계 윤활제, 실질적으로 액체 비누 윤활제, 또는 기타)를 선택된 윤활제(L)의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와 연계시키는 데이터 참조표를 구비한 제어기(108b''''')를 제공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예에서, 제어기(108b''''')는, 어떠한 유형의 윤활제(L)가 윤활제 저장부(102b''''') 내에 채워졌는지를 조작자가 제어기(108b''''')에 알릴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어떠한 유형의 윤활제(L)가 윤활제 저장부(102b''''') 내에 채워졌는지를 조작자가 제어기(108b''''')에 알리면, 제어기(108b''''')는 데이터 참조표를 참조할 것이고, 제어기(108b''''')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조작자에 의해서 입력된/선택된 윤활제(L)와 연관된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를 자동적으로 선택할 것이다. 따라서, 조작자가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을 작동시킬 때, 윤활제(L)의 온도가 데이터 참조표 내의 윤활제(L)와 연관된 온도로 조정될 때까지, 버너(104b''''')는 '온 상태'로 유지될 것이다.
도 5g를 참조하면,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은 윤활제(L)의 온도를 제1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로부터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까지 간접적으로 변화(예를 들어, 증가)시킨다.
예에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은 윤활제 저장부(102b''''''),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b''''''), 윤활제 온도 센서(106b''''''), 제어기(108b''''''), 유체 용기(110b''''''), 유체 온도 센서(112b''''''), 및 폐쇄된 하우징(118b'''''')을 포함한다. 윤활제 저장부(102b'''''')는 윤활제(L)를 포함한다.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b'''''')는,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b'''''')가 윤활제 저장부(L)에 의해서 수용된 윤활제(L)와 간접적으로 연통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폐쇄된 하우징(118b'''''') 내의 윤활제 저장부(102b'''''') 및 유체 용기(110b'''''')에 대해서 (예를 들어, 옆에 또는 그에 근접하여) 배열되고;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b'''''')와 윤활제(L)의 간접적인 연통은, 윤활제 저장부(102b'''''')를 유체 용기(110b'''''')에 의해서 수용된 유체(F)로 침잠시키는 것에 의해서 달성된다.
윤활제 온도 센서(106b'''''')는 윤활제 저장부(102b'''''')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105b'''''') 내에 배열될 수 있고 윤활제(L)의 온도 검출을 위해서 윤활제(L) 내에 침잠될 수 있다. 유체 온도 센서(112b'''''')는 유체 용기(110b'''''')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113b'''''') 내에 배열될 수 있고 유체(F)의 온도 검출을 위해서 유체(F) 내에 침잠될 수 있다.
제어기(108b'''''')는,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b'''''')를 비작동/작동시켜 윤활제(L)의 온도를 유지,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서 윤활제 온도 센서(106b'''''') 및 유체 온도 센서(112b'''''')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의 온도 판독값을 수신하도록,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b''''''), 윤활제 온도 센서(106b'''''') 및 유체 온도 센서(112b'''''')에 통신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구현예에서,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b'''''')는, 불꽃을 생성하기 위해서 연료(예를 들어, 가스)를 연소시키는 버너일 수 있다. 불꽃은 폐쇄된 하우징(118b'''''') 내의 주변 공기(A)를 가열하고, 그에 의해서 폐쇄된 하우징(118b'''''') 내에 또한 배열된 윤활제 저장부(102b'''''', 윤활제(L), 유체 용기(110b'''''', 유체(F) 중 하나 이상의 온도를 높인다. 윤활제(L)가 폐쇄된 하우징(118b'''''') 내에 배열되기 때문에, 폐쇄된 하우징(118b'''''') 내의 유체(즉, 주변 공기(A))가 유체 용기(110b''''''), 유체 용기(110b'''''')에 의해서 수용된 유체(F), 및 윤활제 저장부(102b'''''')에 의해서 수용되고 그와 접촉되는 윤활제(L) 중 하나 이상을 간접적으로 가열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윤활제(L)의 온도는 제1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로부터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까지 높아진다.
예에서, 제어기(108b'''''')는 버너(104b'''''')의 수동 온/오프 스위칭을 허용하기 위한 수동-동작형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108b'''''')는 또한 윤활제(L) 및 유체(F) 중 하나 이상의 온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윤활제(L) 및 유체(F) 중 하나 이상의 온도는, 윤활제 온도 센서(106b'''''') 및 유체 온도 센서(112b'''''')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제어기(108b'''''')로 송신되는 신호의 형태로 통신될 수 있다. 따라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의 조작자가 윤활제 저장부(102b'''''') 내에 배열된 윤활제(L)의 유형을 아는 경우에, 그리고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의 조작자가, 윤활제(L)가 가지고 배열되어야 하는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를 아는 경우에, 조작자는 제어기(108b'''''')에 의해서 제공된 온/오프 스위치를 비작동/작동시켜 윤활제(L)의 온도에 대한 제어를 수동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어기(108b'''''')는,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에 대한 자동 제어를 허용하는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제어기(108b'''''')에 의해서 제공된 프로세서가, 윤활제(L)의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의 작동 후에, 윤활제(L)의 온도는, 윤활제 온도 센서(106b'''''') 및 유체 온도 센서(112b'''''')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제어기(108b'''''')로 송신되는 신호 형태로 통신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108b'''''')는, 윤활제(L)의 온도가 제2 온도로 증가될 때까지, 버너(104b'''''')를 '온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윤활제(L)가 제2 온도에 도달하면, 제어기(108b'''''')는 버너(104b'''''')를 '오프 상태'로 자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b'''''')에 대한 자동 제어는, 특별한 윤활제(L)(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반-고체 페이스트 윤활제, 실질적으로 반-고체 석유계 윤활제, 실질적으로 액체 비누 윤활제, 또는 기타)를 선택된 윤활제(L)의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와 연계시키는 데이터 참조표를 구비한 제어기(108b'''''')를 제공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예에서, 제어기(108b'''''')는, 어떠한 유형의 윤활제(L)가 윤활제 저장부(102b'''''') 내에 채워졌는지를 조작자가 제어기(108b'''''')에 알릴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어떠한 유형의 윤활제(L)가 윤활제 저장부(102b'''''') 내에 채워졌는지를 조작자가 제어기(108b'''''')에 알리면, 제어기(108b'''''')는 데이터 참조표를 참조할 것이고, 제어기(108b'''''')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조작자에 의해서 입력된/선택된 윤활제(L)와 연관된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를 자동적으로 선택할 것이다. 따라서, 조작자가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을 작동시킬 때, 윤활제(L)의 온도가 데이터 참조표 내의 윤활제(L)와 연관된 온도로 조정될 때까지, 버너(104b'''''')는 '온 상태'로 유지될 것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에 연결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이 실시예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도 4a 내지 도 5g에서 도시되고 설명된 임의의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a, 100a', 100b, 100b', 100b'', 100b''', 100b'''', 100b''''', 100b'''''')은 도 6a의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의 위치에 배열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임의의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a, 100a', 100b, 100b', 100b'', 100b''', 100b'''', 100b''''', 100b'''''')은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에 유체적으로-커플링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으로부터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으로 유체를 끌어 당기기 위해서, 유체-이동 디바이스(예를 들어, 펌프)(150)가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과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유체-이동 디바이스(150)는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 및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 중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유체-이동 디바이스(150)는 또한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의 도포기(S)로부터 윤활제(L)를 분배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도포기(S)는 휠(W) 상에 윤활제(L)를 분무/비산(misting)시키기 위한 분무 노즐일 수 있다. 도포기(S)로부터 분배될 때, 윤활제(L)가 휠(W)의 상부 및 하부 비드 시트(WSU, WSL)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침착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에 연결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이 실시예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도 4a 내지 도 5g에서 도시되고 설명된 임의의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a, 100a', 100b, 100b', 100b'', 100b''', 100b'''', 100b''''', 100b'''''')은 도 6b의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의 위치에 배열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임의의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a, 100a', 100b, 100b', 100b'', 100b''', 100b'''', 100b''''', 100b'''''')은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에 유체적으로-커플링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으로부터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으로 유체를 끌어 당기기 위해서, 유체-이동 디바이스(예를 들어, 펌프)(150)가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과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유체-이동 디바이스(150)는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 및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 중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유체-이동 디바이스(150)는 또한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의 도포기(S)로부터 윤활제(L)를 분배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도포기(S)는 타이어(T) 상에 윤활제(L)를 분무/비산시키기 위한 분무 노즐일 수 있다. 도포기(S)로부터 분배될 때, 윤활제(L)가 타이어(T)의 상부 및 하부 비드(TBU, TBL)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침착될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에 연결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이 실시예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도 4a 내지 도 5g에서 도시되고 설명된 임의의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a, 100a', 100b, 100b', 100b'', 100b''', 100b'''', 100b''''', 100b'''''')은 도 7a의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의 위치에 배열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임의의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a, 100a', 100b, 100b', 100b'', 100b''', 100b'''', 100b''''', 100b'''''')은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에 유체적으로-커플링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으로부터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으로 유체를 끌어 당기기 위해서, 유체-이동 디바이스(예를 들어, 펌프)(150)가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과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유체-이동 디바이스(150)는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 및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 중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유체-이동 디바이스(150)는 또한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의 도포기(R)로부터 윤활제(L)를 분배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도포기(R)는 휠(W) 상에서 윤활제(L)를 와이핑(wiping)하기 위한 롤러일 수 있다. 도포기(R)로부터 분배될 때, 윤활제(L)가 휠(W)의 상부 및 하부 비드 시트(WSU, WSL)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침착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에 연결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이 실시예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도 4a 내지 도 5g에서 도시되고 설명된 임의의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a, 100a', 100b, 100b', 100b'', 100b''', 100b'''', 100b''''', 100b'''''')은 도 7b의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의 위치에 배열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임의의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a, 100a', 100b, 100b', 100b'', 100b''', 100b'''', 100b''''', 100b'''''')은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에 유체적으로-커플링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으로부터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으로 유체를 끌어 당기기 위해서, 유체-이동 디바이스(예를 들어, 펌프)(150)가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과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유체-이동 디바이스(150)는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 및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 중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유체-이동 디바이스(150)는 또한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의 도포기(R)로부터 윤활제(L)를 분배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도포기(R)는 타이어(T) 상에서 윤활제(L)를 와이핑하기 위한 롤러일 수 있다. 도포기(R)로부터 분배될 때, 윤활제(L)가 타이어(T)의 상부 및 하부 비드(TBU, TBL)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침착될 수 있다.
도 6c, 도 6d, 도 7c 및 도 7d를 참조하면, 휠(W)(예를 들어, 도 6c, 도 7c 참조) 및 타이어(T)(예를 들어, 도 6d, 도 7d 참조)를 윤활하기 위한 예시적인 대안적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도 6a, 도 6b, 도 7a 및 도 7b에서 도시되고 전술된 시스템과 달리, 도 6c, 도 6d, 도 7c 및 도 7d에 도시되고 설명된 시스템은 윤활제(L)의 온도를 높이는 전용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을 포함하지 않고; 대신 도 6c, 도 6d, 도 7c 및 도 7d에 도시되고 설명된 시스템은, 윤활제(L)가 고압 펌프(150')를 통해서 끌어 당겨질 때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 16b', 16b'')에서 타이어(T) 및/또는 휠(W) 상으로 윤활제를 토출하는 프로세스 중에, 윤활제를 가압하는 것에 의해서, 윤활제(L)의 온도를 내재적으로 증가시키는 고압 펌프(150')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윤활제(L)의 온도가 상승될 때, 윤활제(L)는 점도 전이(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페이스트 윤활제(L)로부터의 실질적으로 액체 윤활제(L)로의 변화)를 겪으며, 그에 따라, 윤활제(L)를,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 중 하나 이상에서 타이어(T) 및 휠(W) 중 하나 이상에의 특별한 침착(예를 들어, "분무") 도포의 도포기(S)(예를 들어, 분무 노즐)로부터 토출되기에 더 적합한 상태가 되게 한다. 그에 따라, 윤활제(L)의 점도 전이가 발생될 수 있게 함으로써, 분무 노즐(S)로부터의 윤활제(L) 분무를 위해서 구비된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 및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 중 하나 이상은, 제1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에서 배열된 특별한(예를 들어, 점도) 윤활제(L)로 제한되지 않을 수 있고; 따라서, 고압 펌프(150')의 포함의 결과로서 윤활제(L)의 점도 전이의 발생을 허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제1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에서 (예를 들어, 반-고체 페이스트 윤활제와 같은) 비-액체 물질 상태를 가지는 윤활제(L)가, 윤활제(L) 분무를 위해서 구비된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 및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 중 하나 이상에 의해서 이용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c)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c)은 윤활제(L)의 온도를 제1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로부터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까지 직접적으로 변화(예를 들어, 증가)시킨다.
예에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c)은 윤활제 저장부(102c),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c), 윤활제 온도 센서(106c) 및 제어기(108c)를 포함한다. 윤활제 저장부(102c)는 윤활제(L)를 포함한다.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c)가 윤활제(L)와 직접적으로 연통되게 하기 위해서,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c)는 윤활제 저장부(102c)에 의해서 형성된 개구부(103c)에 대해서 (예를 들어, 위에) 배열된다. 윤활제 온도 센서(106c)는 윤활제 저장부(102c)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105c) 내에 배열될 수 있고 윤활제(L)의 온도 검출을 위해서 윤활제(L) 내에 침잠될 수 있다. 제어기(108c)는,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c)를 비작동/작동시켜 윤활제(L)의 온도를 유지,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서 윤활제 온도 센서(106c)로부터의 온도 판독값을 수신하도록,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c) 및 윤활제 온도 센서(106c)에 통신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구현예에서,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c)는, 파장에 의해서 규정된 광을 방출하는 광원일 수 있다. 광원(104c)은, 예를 들어, 백열 광원, 적외선 광원, 레이저 광원, 또는 기타와 같은, 임의의 희망 광원일 수 있다. 광원(104c)으로부터 방출된 광은, 광이 광원(104c)으로부터 윤활제(L) 상에 직접적으로 충돌/진입할 수 있도록, 윤활제 저장부(102c)에 의해서 형성된 개구부(103c)를 통과하고; 광이 윤활제(L)에 충돌/진입하면, 광은 윤활제(L)를 직접적으로 가열하고, 그에 의해서 윤활 온도를 제1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으로부터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까지 상승시킨다.
예에서, 제어기(108c)는 광원(104c)의 수동 온/오프 스위칭을 허용하기 위한 수동-동작형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108c)는 또한, 윤활제 온도 센서(106c)에 의해서 결정되는 윤활제(L)의 온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윤활제(L)의 온도는, 윤활제 온도 센서(106c)로부터 제어기(108c)로 송신되는 신호의 형태로 통신될 수 있다. 따라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c)의 조작자가 윤활제 저장부(102c) 내에 배열된 윤활제(L)의 유형을 아는 경우에, 그리고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c)의 조작자가, 윤활제(L)가 가지고 배열되어야 하는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를 아는 경우에, 조작자는 제어기(108c)에 의해서 제공된 온/오프 스위치를 비작동/작동시켜 윤활제(L)의 온도에 대한 제어를 수동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어기(108c)는,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c)에 대한 자동 제어를 허용하는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제어기(108c)에 의해서 제공된 프로세서가, 윤활제(L)의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c)의 작동 후에, 윤활제(L)의 온도는, 윤활제 온도 센서(106c)로부터 제어기(108c)로 송신되는 신호 형태로 통신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108c)는, 윤활제(L)의 온도가 제2 온도로 증가될 때까지, 광원(104c)을 '온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윤활제(L)가 제2 온도에 도달하면, 제어기(108c)는 광원(104c)을 '오프 상태'로 자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c)에 대한 자동 제어는, 특별한 윤활제(L)(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반-고체 페이스트 윤활제, 실질적으로 반-고체 석유계 윤활제, 실질적으로 액체 비누 윤활제, 또는 기타)를 선택된 윤활제(L)의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와 연계시키는 데이터 참조표를 구비한 제어기(108c)를 제공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예에서, 제어기(108c)는, 어떠한 유형의 윤활제(L)가 윤활제 저장부(102c) 내에 채워졌는지를 조작자가 제어기(108c)에 알릴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어떠한 유형의 윤활제(L)가 윤활제 저장부(102c) 내에 채워졌는지를 조작자가 제어기(108c)에 알리면, 제어기(108c)는 데이터 참조표를 참조할 것이고, 제어기(108c)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조작자에 의해서 입력된/선택된 윤활제(L)와 연관된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를 자동적으로 선택할 것이다. 따라서, 조작자가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을 작동시킬 때, 윤활제(L)의 온도가 데이터 참조표 내의 윤활제(L)와 연관된 온도로 조정될 때까지, 광원(104c)은 '온 상태'로 유지될 것이다.
도 4a에서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와 달리, 도 8a에서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윤활제 저장부(102c)는, 윤활제(L)가 주위 대기(A)와 직접 연통되게 하는 대기로의 분출구와 같은 개구부(예를 들어, 도 4a의 103a 참조)를 포함하지 않고; 그 대신에, 윤활제 저장부(102c)는, 윤활제(L)가 주위 대기(A)와 직접 연통하도록 허용하지 않는 외장에 의해서 형성된다.
비록 윤활제(L)가 주위 대기(A)와 직접 연통하도록 허용하지 않는 외장에 의해서 윤활제 저장부(102c)가 형성될 수 있지만, 윤활제 저장부(102c)는, 하나 이상의 유체 연통 포트로서 지칭될 수 있는 몇 개의 포트(120c, 122c 및 124c)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유체 연통 포트(120c)는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c)이 윤활제 저장부(102c)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105c)을 가압할 수 있게 하고;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c)으로부터 가압 유체의 공동(105c)으로의 이동은, 유동 제어 밸브(128c)가 개방 배향으로 배열될 때, 허용된다. 다른 경우에, 유체 연통 포트(122c)는, 압력 센서(130c)가 윤활제 저장부(102c)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105c)의 가압 레벨을 검출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유체 연통 포트(124c)는 공동(105c) 내에 수용된 윤활제(L)가 윤활제 저장부(102c)로부터 배출되게 할 수 있다. 도관 부재(132c)의 근위 단부(132c1)가 유체 연통 포트(124c)에 유체적으로-연결될 수 있고, 도관 부재(132c)의 원위 단부(132c2)가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 및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 중 하나 이상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도관 부재(132c)의 온도를 선택적으로 조정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134c)가 도관 부재(132c)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도관 부재(132c)의 온도를 결정하기 위해서, 온도 센서(136c)가 도관 부재(132c)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108c)는 또한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c), 유동 제어 밸브(128c), 압력 센서(130c),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134c), 및 온도 센서(136c) 중 하나 이상에 연통 가능하게-커플링될 수 있다. 예에서, 제어기(108c)는 이하와 같이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c), 유동 제어 밸브(128c), 압력 센서(130c),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134c), 및 온도 센서(136c) 중 하나 이상에 대해서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제어기(108c)는, 유동 제어 밸브(128c)를 폐쇄 배향으로 배열하고 그에 의해서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c)에 의해서 수용된 가압 유체가 유체 연통 포트(124c)에 의해서 공동(105c)과 연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유동 제어 밸브(128c)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유동 제어 밸브(128c)를 개방 배향으로 배열하기 위해서 제어기(108c)가 유동 제어 밸브(128c)에 신호를 송신할 때,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c)에 의해서 수용된 가압 유체가 공동(105c) 내로 지향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압력 센서(130c)에 의해서 검출되는 공동(105c) 내의 압력의 양을 등록(registering)할 수 있으며; 압력 센서(130c)는 신호를 제어기(108c)에 통신하여 공동(105c) 내의 압력의 양을 나타낼 수 있다.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c)에 의해서 수용된 가압 유체로 공동(105c)을 가압한 후에, 그리고,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 및/또는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의 도포기(S)(예를 들어, 분무 노즐)의 작동 시에, 윤활제(L)가, 윤활제(L)를 미는 가압 유체에 의해서 공동(105c)으로부터, 유체 연통 포트(124c) 외부로 그리고 도관 부재(132c)를 통해서 추방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공동(105c)이 불충분하게 가압되어 도포기(S)로부터 추방되는 유체의 희망량을 손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예를 들어, 압력 센서(130c)로부터 송신된 신호로부터) 제어기(108c)가 학습한 경우에, 제어기(108c)는, 유체 연통 포트(120c)를 통해서 공동(105c)에 제공되는 가압 유체의 양 또는 유량을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c)이 증가시키게 한다. 다른 예에서, 도관 부재(132c)가 충분히 가열되지 않고(이는 온도 센서(136c)로부터 제어기(108c)로 송신된 온도 신호를 통해서 제어기(108c)에 의해서 결정된다), 그리고 그에 의해서 통과 유동하는 윤활제(L)를 냉각시키는 경우에, 제어기(108c)는 도관 부재(132c)의 온도를 높이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134c)를 작동시킬 수 있고; 도관 부재(132c)의 온도 증가 시에, 도포기(S)를 빠져 나가기 전에, 윤활제(L)가 공동(105c)으로부터 그리고 도관 부재(132c) 내로 추방될 때, 윤활제(L)의 온도가 유지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c')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c')은 윤활제(L)의 온도를 제1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로부터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까지 직접적으로 변화(예를 들어, 증가)시킨다.
예에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c')은 윤활제 저장부(102c'),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c'), 윤활제 온도 센서(106c') 및 제어기(108c')를 포함한다. 윤활제 저장부(102c')는 윤활제(L)를 포함한다.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c')의 적어도 일부(예를 들어, 104c2' 참조)가, 윤활제 저장부(102c')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105c') 내에 배열되고,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c')가 윤활제(L)와 직접적으로 연통될 수 있도록, 윤활제(L) 내로 침잠된다. 윤활제 온도 센서(106c')는 윤활제 저장부(102c')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105c') 내에 배열될 수 있고 윤활제(L)의 온도 검출을 위해서 윤활제(L) 내에 침잠될 수 있다. 제어기(108c')는,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c')를 비작동/작동시켜 윤활제(L)의 온도를 유지,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서 윤활제 온도 센서(106c')로부터의 온도 판독값을 수신하도록,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c') 및 윤활제 온도 센서(106c')에 통신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구현예에서,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c')는 가열 코일(104c2')에 연결된 전기 공급원(예를 들어, 전류 공급원)(104c1')을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제어기(108c')는 가열 코일(104c2')에 연결된 전기 공급원(104c1')의 수동 온/오프 스위칭을 허용하기 위한 수동-동작형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108c')는 또한 윤활제(L)의 온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윤활제(L)의 온도는, 윤활제 온도 센서(106c')로부터 제어기(108c')로 송신되는 신호의 형태로 통신될 수 있다. 따라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c')의 조작자가 윤활제 저장부(102c') 내에 배열된 윤활제(L)의 유형을 아는 경우에, 그리고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c')의 조작자가, 윤활제(L)가 가지고 배열되어야 하는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를 아는 경우에, 조작자는 제어기(108c')에 의해서 제공된 온/오프 스위치를 비작동/작동시켜 윤활제(L)의 온도에 대한 제어를 수동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전기 공급원(104c1')이 작동되면, 전기 공급원(104c1')은 가열 코일(104c2')이 가열되게 할 수 있고; 윤활제(L)가 가열 코일(104c2')과 직접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가열 코일(104c2')은 윤활제(L)를 직접 가열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윤활의 온도를 제1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로부터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까지 상승시킬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어기(108c')는,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c')에 대한 자동 제어를 허용하는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제어기(108c')에 의해서 제공된 프로세서가, 윤활제(L)의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c')의 작동 후에, 윤활제(L)의 온도는, 윤활제 온도 센서(106c')로부터 제어기(108c')로 송신되는 신호 형태로 통신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108c')는, 윤활제(L)의 온도가 제2 온도로 증가될 때까지, 가열 코일(104c2')에 연결된 전기 공급원(104c1')을 '온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윤활제(L)가 제2 온도에 도달하면, 제어기(108c')는 가열 코일(104c2')에 연결된 전기 공급원(104c1')을 '오프 상태'로 자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c')에 대한 자동 제어는, 특별한 윤활제(L)(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반-고체 페이스트 윤활제, 실질적으로 반-고체 석유계 윤활제, 실질적으로 액체 비누 윤활제, 또는 기타)를 선택된 윤활제(L)의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와 연계시키는 데이터 참조표를 구비한 제어기(108c')를 제공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예에서, 제어기(108c')는, 어떠한 유형의 윤활제(L)가 윤활제 저장부(102c') 내에 채워졌는지를 조작자가 제어기(108c')에 알릴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어떠한 유형의 윤활제(L)가 윤활제 저장부(102c') 내에 채워졌는지를 조작자가 제어기(108c')에 알리면, 제어기(108c')는 데이터 참조표를 참조할 것이고, 제어기(108c')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조작자에 의해서 입력된/선택된 윤활제(L)와 연관된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를 자동적으로 선택할 것이다. 따라서, 조작자가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을 작동시킬 때, 윤활제(L)의 온도가 데이터 참조표 내의 윤활제(L)와 연관된 온도로 조정될 때까지, 가열 코일(104c2')에 연결된 전기 공급원(104c1')은 '온 상태'로 유지될 것이다.
도 4b에서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와 다소 유사한 방식으로, 도 8b에서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윤활제 저장부(102c')는, 윤활제(L)가 주위 대기(A)와 직접 연통되게 하는 (대기로의 분출구와 같은) 개구부를 포함하지 않는다. 그에 따라, 윤활제 저장부(102c')는, 윤활제(L)가 주위 대기(A)와 직접 연통하도록 허용하지 않는 외장에 의해서 형성된다.
비록 윤활제(L)가 주위 대기(A)와 직접 연통하도록 허용하지 않는 외장에 의해서 윤활제 저장부(102c')가 형성될 수 있지만, 윤활제 저장부(102c')는, 하나 이상의 유체 연통 포트로서 지칭될 수 있는 몇 개의 포트(120c', 122c' 및 124c')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유체 연통 포트(120c')는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c')이 윤활제 저장부(102c')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105c')을 가압할 수 있게 하고;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c')으로부터 가압 유체의 공동(105c')으로의 이동은, 유동 제어 밸브(128c')가 개방 배향으로 배열될 때, 허용된다. 다른 경우에, 유체 연통 포트(122c')는, 압력 센서(130c')가 윤활제 저장부(102c')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105c')의 가압 레벨을 검출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유체 연통 포트(124c')는 공동(105c') 내에 수용된 윤활제(L)가 윤활제 저장부(102c')로부터 배출되게 할 수 있다. 도관 부재(132c')의 근위 단부(132c1')가 유체 연통 포트(124c')에 유체적으로-연결될 수 있고, 도관 부재(132c')의 원위 단부(132c2')가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 및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 중 하나 이상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도관 부재(132c')의 온도를 선택적으로 조정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134c')가 도관 부재(132c')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도관 부재(132c')의 온도를 결정하기 위해서, 온도 센서(136c')가 도관 부재(132c')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108c')는 또한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c'), 유동 제어 밸브(128c'), 압력 센서(130c'),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134c'), 및 온도 센서(136c') 중 하나 이상에 연통 가능하게-커플링될 수 있다. 예에서, 제어기(108c')는 이하와 같이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c'), 유동 제어 밸브(128c'), 압력 센서(130c'),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134c'), 및 온도 센서(136c') 중 하나 이상에 대해서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제어기(108c')는, 유동 제어 밸브(128c')를 폐쇄 배향으로 배열하고 그에 의해서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c')에 의해서 수용된 가압 유체가 유체 연통 포트(124c')에 의해서 공동(105c')과 연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유동 제어 밸브(128c')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유동 제어 밸브(128c')를 개방 배향으로 배열하기 위해서 제어기(108c')가 유동 제어 밸브(128c')에 신호를 송신할 때,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c')에 의해서 수용된 가압 유체가 공동(105c') 내로 지향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압력 센서(130c')에 의해서 검출되는 공동(105c') 내의 압력의 양을 등록할 수 있으며; 압력 센서(130c')는 신호를 제어기(108c')에 통신하여 공동(105c') 내의 압력의 양을 나타낼 수 있다.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c')에 의해서 수용된 가압 유체로 공동(105c')을 가압한 후에, 그리고,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 및/또는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의 도포기(S)(예를 들어, 분무 노즐)의 작동 시에, 윤활제(L)가, 윤활제(L)를 미는 가압 유체에 의해서 공동(105c')으로부터, 유체 연통 포트(124c') 외부로 그리고 도관 부재(132c')를 통해서 추방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공동(105c')이 불충분하게 가압되어 도포기(S)로부터 추방되는 유체의 희망량을 손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예를 들어, 압력 센서(130c')로부터 송신된 신호로부터) 제어기(108c')가 학습한 경우에, 제어기(108c')는, 유체 연통 포트(120c')를 통해서 공동(105c')에 제공되는 가압 유체의 양 또는 유량을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c')이 증가시키게 한다. 다른 예에서, 도관 부재(132c')가 충분히 가열되지 않고(이는 온도 센서(136c')로부터 제어기(108c')로 송신된 온도 신호를 통해서 제어기(108c')에 의해서 결정된다), 그리고 그에 의해서 통과 유동하는 윤활제(L)를 냉각시키는 경우에, 제어기(108c')는 도관 부재(132c')의 온도를 높이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134c')를 작동시킬 수 있고; 도관 부재(132c')의 온도 증가 시에, 도포기(S)를 빠져 나가기 전에, 윤활제(L)가 공동(105c')으로부터 그리고 도관 부재(132c') 내로 추방될 때, 윤활제(L)의 온도가 유지될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은 윤활제(L)의 온도를 제1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로부터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까지 간접적으로 변화(예를 들어, 증가)시킨다.
예에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은 윤활제 저장부(102d),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d), 윤활제 온도 센서(106d) 및 제어기(108d)를 포함한다. 윤활제 저장부(102d)는 윤활제(L)를 포함한다.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d)가 윤활제 저장부(L)에 수용된 윤활제(L)와 간접적으로 연통되게 하기 위해서,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d)는 윤활제 저장부(102d)에 대해서 (예를 들어, 위에) 배열된다. 윤활제 온도 센서(106d)는 윤활제 저장부(102d)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105d) 내에 배열될 수 있고 윤활제(L)의 온도 검출을 위해서 윤활제(L) 내에 침잠될 수 있다. 제어기(108d)는,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d)를 비작동/작동시켜 윤활제(L)의 온도를 유지,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서 윤활제 온도 센서(106d)로부터의 온도 판독값을 수신하도록,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d) 및 윤활제 온도 센서(106d)에 통신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구현예에서,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d)는, 파장에 의해서 규정된 광을 방출하는 광원일 수 있다. 광원(104d)은, 예를 들어, 백열 광원, 적외선 광원, 레이저 광원, 또는 기타와 같은, 임의의 희망 광원일 수 있다. 도 8a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광원(104d)으로부터 방출된 광은 윤활제 저장부(102d)에 의해서 형성된 개구부(예를 들어, 도 8a의 개구부(103c) 참조)를 통과하지 않고, 그 대신에, 광은 윤활제 저장부(102d)를 형성하는 재료 자체에 충돌하고, 그에 의해서 윤활제 저장부(102d)의 온도를 높인다. 윤활제(L)가 윤활제 저장부(102d)에 의해서 수용되고 그와 접촉되기 때문에, 그에 의해서, 윤활제 저장부(102d)를 형성하는 재료를 가열하는 광원(104d)에 의해서 방출된 광은, 윤활제 저장부(102d)에 의해서 수용되고 그와 접촉되는 윤활제(L)를 간접적으로 가열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윤활제(L)의 온도는 제1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로부터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까지 높아진다.
예에서, 제어기(108d)는 광원(104d)의 수동 온/오프 스위칭을 허용하기 위한 수동-동작형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108d)는 또한 윤활제(L)의 온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윤활제(L)의 온도는, 윤활제 온도 센서(106d)로부터 제어기(108d)로 송신되는 신호의 형태로 통신될 수 있다. 따라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의 조작자가 윤활제 저장부(102d) 내에 배열된 윤활제(L)의 유형을 아는 경우에, 그리고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의 조작자가, 윤활제(L)가 가지고 배열되어야 하는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를 아는 경우에, 조작자는 제어기(108d)에 의해서 제공된 온/오프 스위치를 비작동/작동시켜 윤활제(L)의 온도에 대한 제어를 수동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어기(108d)는,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에 대한 자동 제어를 허용하는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제어기(108d)에 의해서 제공된 프로세서가, 윤활제(L)의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의 작동 후에, 윤활제(L)의 온도는, 윤활제 온도 센서(106d)로부터 제어기(108d)로 송신되는 신호 형태로 통신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108d)는, 윤활제(L)의 온도가 제2 온도로 증가될 때까지, 광원(104d)을 '온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윤활제(L)가 제2 온도에 도달하면, 제어기(108d)는 광원(104d)을 '오프 상태'로 자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에 대한 자동 제어는, 특별한 윤활제(L)(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반-고체 페이스트 윤활제, 실질적으로 반-고체 석유계 윤활제, 실질적으로 액체 비누 윤활제, 또는 기타)를 선택된 윤활제(L)의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와 연계시키는 데이터 참조표를 구비한 제어기(108d)를 제공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예에서, 제어기(108d)는, 어떠한 유형의 윤활제(L)가 윤활제 저장부(102d) 내에 채워졌는지를 조작자가 제어기(108d)에 알릴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어떠한 유형의 윤활제(L)가 윤활제 저장부(102d) 내에 채워졌는지를 조작자가 제어기(108d)에 알리면, 제어기(108d)는 데이터 참조표를 참조할 것이고, 제어기(108d)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조작자에 의해서 입력된/선택된 윤활제(L)와 연관된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를 자동적으로 선택할 것이다. 따라서, 조작자가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을 작동시킬 때, 윤활제(L)의 온도가 데이터 참조표 내의 윤활제(L)와 연관된 온도로 조정될 때까지, 광원(104d)은 '온 상태'로 유지될 것이다.
도 5a에서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와 다소 유사한 방식으로, 도 9a에서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윤활제 저장부(102d)는, 윤활제(L)가 주위 대기(A)와 직접 연통되게 하는 (대기로의 분출구와 같은) 개구부를 포함하지 않는다. 그에 따라, 윤활제 저장부(102d)는, 윤활제(L)가 주위 대기(A)와 직접 연통하도록 허용하지 않는 외장에 의해서 형성된다.
비록 윤활제(L)가 주위 대기(A)와 직접 연통하도록 허용하지 않는 외장에 의해서 윤활제 저장부(102d)가 형성될 수 있지만, 윤활제 저장부(102d)는, 하나 이상의 유체 연통 포트로서 지칭될 수 있는 몇 개의 포트(120d, 122d 및 124d)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유체 연통 포트(120d)는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이 윤활제 저장부(102d)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105d)을 가압할 수 있게 하고;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으로부터 가압 유체의 공동(105d)으로의 이동은, 유동 제어 밸브(128d)가 개방 배향으로 배열될 때, 허용된다. 다른 경우에, 유체 연통 포트(122d)는, 압력 센서(130d)가 윤활제 저장부(102d)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105d)의 가압 레벨을 검출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유체 연통 포트(124d)는 공동(105d) 내에 수용된 윤활제(L)가 윤활제 저장부(102d)로부터 배출되게 할 수 있다. 도관 부재(132d)의 근위 단부(132d1)가 유체 연통 포트(124d)에 유체적으로-연결될 수 있고, 도관 부재(132d)의 원위 단부(132d2)가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 및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 중 하나 이상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도관 부재(132d)의 온도를 선택적으로 조정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134d)가 도관 부재(132d)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도관 부재(132d)의 온도를 결정하기 위해서, 온도 센서(136d)가 도관 부재(132d)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108d)는 또한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 유동 제어 밸브(128d), 압력 센서(130d),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134d), 및 온도 센서(136d) 중 하나 이상에 연통 가능하게-커플링될 수 있다. 예에서, 제어기(108d)는 이하와 같이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 유동 제어 밸브(128d), 압력 센서(130d),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134d), 및 온도 센서(136d) 중 하나 이상에 대해서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제어기(108d)는, 유동 제어 밸브(128d)를 폐쇄 배향으로 배열하고 그에 의해서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에 의해서 수용된 가압 유체가 유체 연통 포트(124d)에 의해서 공동(105d)과 연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유동 제어 밸브(128d)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유동 제어 밸브(128d)를 개방 배향으로 배열하기 위해서 제어기(108d)가 유동 제어 밸브(128d)에 신호를 송신할 때,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에 의해서 수용된 가압 유체가 공동(105d) 내로 지향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압력 센서(130d)에 의해서 검출되는 공동(105d) 내의 압력의 양을 등록할 수 있으며; 압력 센서(130d)는 신호를 제어기(108d)에 통신하여 공동(105d) 내의 압력의 양을 나타낼 수 있다.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에 의해서 수용된 가압 유체로 공동(105d)을 가압한 후에, 그리고,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 및/또는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의 도포기(S)(예를 들어, 분무 노즐)의 작동 시에, 윤활제(L)가, 윤활제(L)를 미는 가압 유체에 의해서 공동(105d)으로부터, 유체 연통 포트(124d) 외부로 그리고 도관 부재(132d)를 통해서 추방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공동(105d)이 불충분하게 가압되어 도포기(S)로부터 추방되는 유체의 희망량을 손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예를 들어, 압력 센서(130d)로부터 송신된 신호로부터) 제어기(108d)가 학습한 경우에, 제어기(108d)는, 유체 연통 포트(120d)를 통해서 공동(105d)에 제공되는 가압 유체의 양 또는 유량을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이 증가시키게 한다. 다른 예에서, 도관 부재(132d)가 충분히 가열되지 않고(이는 온도 센서(136d)로부터 제어기(108d)로 송신된 온도 신호를 통해서 제어기(108d)에 의해서 결정된다), 그리고 그에 의해서 통과 유동하는 윤활제(L)를 냉각시키는 경우에, 제어기(108d)는 도관 부재(132d)의 온도를 높이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134d)를 작동시킬 수 있고; 도관 부재(132d)의 온도 증가 시에, 도포기(S)를 빠져 나가기 전에, 윤활제(L)가 공동(105d)으로부터 그리고 도관 부재(132d) 내로 추방될 때, 윤활제(L)의 온도가 유지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은 윤활제(L)의 온도를 제1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로부터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까지 간접적으로 변화(예를 들어, 증가)시킨다.
예에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은 윤활제 저장부(102d'),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d'), 윤활제 온도 센서(106d'), 제어기(108d'), 유체 용기(110d'), 및 유체 온도 센서(112d')를 포함한다. 윤활제 저장부(102d')는 윤활제(L)를 포함한다.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d')는,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d')가 윤활제 저장부(L)에 의해서 수용된 윤활제(L)와 간접적으로 연통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윤활제 저장부(102d') 및 유체 용기(110d')에 대해서 (예를 들어, 위에) 배열되고;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d')와 윤활제(L)의 간접적인 연통은, 윤활제 저장부(102d')를 유체 용기(110d') 내에 수용된 유체(F) 내에 침잠시키는 것에 의해서 달성된다.
윤활제 온도 센서(106d')는 윤활제 저장부(102d')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105d') 내에 배열될 수 있고 윤활제(L)의 온도 검출을 위해서 윤활제(L) 내에 침잠될 수 있다. 유체 온도 센서(112d')는 유체 용기(110d')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113d') 내에 배열될 수 있고 유체(F)의 온도 검출을 위해서 유체(F) 내에 침잠될 수 있다. 제어기(108d)는,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d')를 비작동/작동시켜 윤활제(L)의 온도를 유지,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서 윤활제 온도 센서(106d') 및 유체 온도 센서(112d')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의 온도 판독값을 수신하도록,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d'), 윤활제 온도 센서(106d') 및 유체 온도 센서(112d')에 통신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구현예에서,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d')는, 파장에 의해서 규정된 광을 방출하는 광원일 수 있다. 광원(104d')은, 예를 들어, 백열 광원, 적외선 광원, 레이저 광원, 또는 기타와 같은, 임의의 희망 광원일 수 있다. 도 8a에서 전술한 실시예와 달리, 광원(104d')으로부터 방출된 광은 윤활제 저장부(102d')에 의해서 형성된 개구부(예를 들어, 도 8a의 개구부(103c) 참조)를 통과하지 않고, 그 대신에, 광은 유체 용기(110d') 내에 배열된 유체(F)에 충돌/진입하고, 그에 의해서, 윤활제 저장부(102d')를 둘러싸는 유체(F)의 온도를 높인다. 윤활제(L)가 윤활제 저장부(102d')에 의해서 수용되고 그 내부 표면과 직접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그리고 윤활제 저장부(102d')의 외부 표면이 유체(F)와 직접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그에 의해서, 유체(F)를 가열하는 광원(104d')에 의해서 방출된 광은 윤활제 저장부(102d')에 의해서 수용되고 그와 접촉되는 윤활제(L)를 간접적으로 가열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윤활제(L)의 온도는 제1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로부터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까지 높아진다.
예에서, 제어기(108d')는 광원(104d')의 수동 온/오프 스위칭을 허용하기 위한 수동-동작형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108d')는 또한 윤활제(L) 및 유체(F) 중 하나 이상의 온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윤활제(L) 및 유체(F) 중 하나 이상의 온도는, 윤활제 온도 센서(106d') 및 유체 온도 센서(112d')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제어기(108d')로 송신되는 신호의 형태로 통신될 수 있다. 따라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의 조작자가 윤활제 저장부(102d') 내에 배열된 윤활제(L)의 유형을 아는 경우에, 그리고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의 조작자가, 윤활제(L)가 가지고 배열되어야 하는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를 아는 경우에, 조작자는 제어기(108d')에 의해서 제공된 온/오프 스위치를 비작동/작동시켜 윤활제(L)의 온도에 대한 제어를 수동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어기(108d')는,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에 대한 자동 제어를 허용하는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제어기(108d')에 의해서 제공된 프로세서가, 윤활제(L)의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의 작동 후에, 윤활제(L)의 온도는, 윤활제 온도 센서(106d') 및 유체 온도 센서(112d')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제어기(108d')로 송신되는 신호 형태로 통신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108d')는, 윤활제(L)의 온도가 제2 온도로 증가될 때까지, 광원(104d')을 '온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윤활제(L)가 제2 온도에 도달하면, 제어기(108d')는 광원(104d')을 '오프 상태'로 자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에 대한 자동 제어는, 특별한 윤활제(L)(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반-고체 페이스트 윤활제, 실질적으로 반-고체 석유계 윤활제, 실질적으로 액체 비누 윤활제, 또는 기타)를 선택된 윤활제(L)의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와 연계시키는 데이터 참조표를 구비한 제어기(108d')를 제공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예에서, 제어기(108d')는, 어떠한 유형의 윤활제(L)가 윤활제 저장부(102d') 내에 채워졌는지를 조작자가 제어기(108d')에 알릴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어떠한 유형의 윤활제(L)가 윤활제 저장부(102d') 내에 채워졌는지를 조작자가 제어기(108d')에 알리면, 제어기(108d')는 데이터 참조표를 참조할 것이고, 제어기(108d')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조작자에 의해서 입력된/선택된 윤활제(L)와 연관된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를 자동적으로 선택할 것이다. 따라서, 조작자가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을 작동시킬 때, 윤활제(L)의 온도가 데이터 참조표 내의 윤활제(L)와 연관된 온도로 조정될 때까지, 광원(104d')은 '온 상태'로 유지될 것이다.
도 5b에서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와 다소 유사한 방식으로, 도 9b에서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윤활제 저장부(102d')는, 윤활제(L)가 주위 대기(A)와 직접 연통되게 하는 (대기로의 분출구와 같은) 개구부를 포함하지 않는다. 그에 따라, 윤활제 저장부(102d')는, 윤활제(L)가 주위 대기(A)와 직접 연통하도록 허용하지 않는 외장에 의해서 형성된다.
비록 윤활제(L)가 주위 대기(A)와 직접 연통하도록 허용하지 않는 외장에 의해서 윤활제 저장부(102d')가 형성될 수 있지만, 윤활제 저장부(102d')는, 하나 이상의 유체 연통 포트로서 지칭될 수 있는 몇 개의 포트(120d', 122d' 및 124d')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유체 연통 포트(120d')는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이 윤활제 저장부(102d')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105d')을 가압할 수 있게 하고;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으로부터 가압 유체의 공동(105d')으로의 이동은, 유동 제어 밸브(128d')가 개방 배향으로 배열될 때, 허용된다. 다른 경우에, 유체 연통 포트(122d')는, 압력 센서(130d')가 윤활제 저장부(102d')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105d')의 가압 레벨을 검출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유체 연통 포트(124d')는 공동(105d') 내에 수용된 윤활제(L)가 윤활제 저장부(102d')로부터 배출되게 할 수 있다. 도관 부재(132d')의 근위 단부(132d1')가 유체 연통 포트(124d')에 유체적으로-연결될 수 있고, 도관 부재(132d')의 원위 단부(132d2')가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 및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 중 하나 이상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도관 부재(132d')의 온도를 선택적으로 조정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134d')가 도관 부재(132d')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도관 부재(132d')의 온도를 결정하기 위해서, 온도 센서(136d')가 도관 부재(132d')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108d')는 또한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 유동 제어 밸브(128d'), 압력 센서(130d'),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134d'), 및 온도 센서(136d') 중 하나 이상에 연통 가능하게-커플링될 수 있다. 예에서, 제어기(108d')는 이하와 같이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 유동 제어 밸브(128d'), 압력 센서(130d'),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134d'), 및 온도 센서(136d') 중 하나 이상에 대해서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제어기(108d')는, 유동 제어 밸브(128d')를 폐쇄 배향으로 배열하고 그에 의해서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에 의해서 수용된 가압 유체가 유체 연통 포트(124d')에 의해서 공동(105d')과 연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유동 제어 밸브(128d')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유동 제어 밸브(128d')를 개방 배향으로 배열하기 위해서 제어기(108d')가 유동 제어 밸브(128d')에 신호를 송신할 때,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에 의해서 수용된 가압 유체가 공동(105d') 내로 지향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압력 센서(130d')에 의해서 검출되는 공동(105d') 내의 압력의 양을 등록할 수 있으며; 압력 센서(130d')는 신호를 제어기(108d')에 통신하여 공동(105d') 내의 압력의 양을 나타낼 수 있다.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에 의해서 수용된 가압 유체로 공동(105d')을 가압한 후에, 그리고,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 및/또는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의 도포기(S)(예를 들어, 분무 노즐)의 작동 시에, 윤활제(L)가, 윤활제(L)를 미는 가압 유체에 의해서 공동(105d')으로부터, 유체 연통 포트(124d') 외부로 그리고 도관 부재(132d')를 통해서 추방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공동(105d')이 불충분하게 가압되어 도포기(S)로부터 추방되는 유체의 희망량을 손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예를 들어, 압력 센서(130d')로부터 송신된 신호로부터) 제어기(108d')가 학습한 경우에, 제어기(108d')는, 유체 연통 포트(120d')를 통해서 공동(105d')에 제공되는 가압 유체의 양 또는 유량을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이 증가시키게 한다. 다른 예에서, 도관 부재(132d')가 충분히 가열되지 않고(이는 온도 센서(136d')로부터 제어기(108d')로 송신된 온도 신호를 통해서 제어기(108d')에 의해서 결정된다), 그리고 그에 의해서 통과 유동하는 윤활제(L)를 냉각시키는 경우에, 제어기(108d')는 도관 부재(132d')의 온도를 높이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134d')를 작동시킬 수 있고; 도관 부재(132d')의 온도 증가 시에, 도포기(S)를 빠져 나가기 전에, 윤활제(L)가 공동(105d')으로부터 그리고 도관 부재(132d') 내로 추방될 때, 윤활제(L)의 온도가 유지될 수 있다.
도 9c를 참조하면,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은 윤활제(L)의 온도를 제1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로부터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까지 간접적으로 변화(예를 들어, 증가)시킨다.
예에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은 윤활제 저장부(102d''),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d''), 윤활제 온도 센서(106d''), 제어기(108d''), 유체 용기(110d''), 및 유체 온도 센서(112d'')를 포함한다. 윤활제 저장부(102d'')는 윤활제(L)를 포함한다.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d'')가 윤활제(L)와 간접적으로 연통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d'')의 적어도 일부(참조, 예를 들어, 104d2'')는 유체 용기(110d'')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113d'') 내에 배열되고 유체 용기(110d'')에 의해서 수용된 유체(F) 내에 침잠되며;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d'')와 윤활제(L)의 간접적인 연통은, 윤활제(L)를 함유한 윤활제 저장부(102d'')를 유체 용기(110d'')의 공동(113d'') 내에 수용된 유체(F) 내에 침잠시키는 것에 의해서 달성된다.
윤활제 온도 센서(106d'')는 윤활제 저장부(102d'')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105d'') 내에 배열될 수 있고 윤활제(L)의 온도 검출을 위해서 윤활제(L) 내에 침잠될 수 있다. 유체 온도 센서(112d'')는 유체 용기(110d'')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113d'') 내에 배열될 수 있고 유체(F)의 온도 검출을 위해서 유체(F) 내에 침잠될 수 있다.
제어기(108d'')는,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d'')를 비작동/작동시켜 윤활제(L)의 온도를 유지,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서 윤활제 온도 센서(106d'') 및 유체 온도 센서(112d'')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의 온도 판독값을 수신하도록,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d''), 윤활제 온도 센서(106d'') 및 유체 온도 센서(112d'')에 통신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구현예에서,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d'')는 가열 코일(104d2'')에 연결된 전기 공급원(예를 들어, 전류 공급원)(104d1'')을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제어기(108d'')는 가열 코일(104d2'')에 연결된 전기 공급원(104d1'')의 수동 온/오프 스위칭을 허용하기 위한 수동-동작형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108d'')는 또한 윤활제(L) 및 유체(F) 중 하나 이상의 온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윤활제(L) 및 유체(F) 중 하나 이상의 온도는, 윤활제 온도 센서(106d'') 및 유체 온도 센서(112d'')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제어기(108d'')로 송신되는 신호의 형태로 통신될 수 있다. 따라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의 조작자가 윤활제 저장부(102d'') 내에 배열된 윤활제(L)의 유형을 아는 경우에, 그리고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의 조작자가, 윤활제(L)가 가지고 배열되어야 하는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를 아는 경우에, 조작자는 제어기(108d'')에 의해서 제공된 온/오프 스위치를 비작동/작동시켜 윤활제(L)의 온도에 대한 제어를 수동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전기 공급원(104d1'')이 작동되면, 전기 공급원(104d1'')은 가열 코일(104d2'')이 가열되게 할 수 있고; 유체(F)가 가열 코일(104d2'')과 직접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가열 코일(104d2'')은 유체(F)를 직접 가열할 수 있다. 윤활제 저장부(102d'')가 유체(F)와 직접 접촉되기 때문에, 윤활제 저장부(102d'') 내에 포함된 윤활제(L)가 또한 가열되고, 그에 의해서 윤활제(L)의 온도를 제1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로부터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로 높인다.
다른 예에서, 제어기(108d'')는,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에 대한 자동 제어를 허용하는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제어기(108d'')에 의해서 제공된 프로세서가, 윤활제(L)의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의 작동 후에, 윤활제(L)의 온도는, 윤활제 온도 센서(106d'') 및 유체 온도 센서(112d'')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제어기(108d'')로 송신되는 신호 형태로 통신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108d'')는, 윤활제(L)의 온도가 제2 온도로 증가될 때까지, 가열 코일(104d2'')에 연결된 전기 공급원(104d1'')을 '온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윤활제(L)가 제2 온도에 도달하면, 제어기(108d'')는 가열 코일(104d2'')에 연결된 전기 공급원(104d1'')을 '오프 상태'로 자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에 대한 자동 제어는, 특별한 윤활제(L)(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반-고체 페이스트 윤활제, 실질적으로 반-고체 석유계 윤활제, 실질적으로 액체 비누 윤활제, 또는 기타)를 선택된 윤활제(L)의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와 연계시키는 데이터 참조표를 구비한 제어기(108d'')를 제공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예에서, 제어기(108d'')는, 어떠한 유형의 윤활제(L)가 윤활제 저장부(102d'') 내에 채워졌는지를 조작자가 제어기(108d'')에 알릴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어떠한 유형의 윤활제(L)가 윤활제 저장부(102d'') 내에 채워졌는지를 조작자가 제어기(108d'')에 알리면, 제어기(108d'')는 데이터 참조표를 참조할 것이고, 제어기(108d'')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조작자에 의해서 입력된/선택된 윤활제(L)와 연관된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를 자동적으로 선택할 것이다. 따라서, 조작자가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을 작동시킬 때, 윤활제(L)의 온도가 데이터 참조표 내의 윤활제(L)와 연관된 온도로 조정될 때까지, 가열 코일(104d2'')에 연결된 전기 공급원(104d1'')은 '온 상태'로 유지될 것이다.
도 5c에서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와 다소 유사한 방식으로, 도 9c에서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윤활제 저장부(102d'')는, 윤활제(L)가 주위 대기(A)와 직접 연통되게 하는 (대기로의 분출구와 같은) 개구부를 포함하지 않는다. 그에 따라, 윤활제 저장부(102d'')는, 윤활제(L)가 주위 대기(A)와 직접 연통하도록 허용하지 않는 외장에 의해서 형성된다.
비록 윤활제(L)가 주위 대기(A)와 직접 연통하도록 허용하지 않는 외장에 의해서 윤활제 저장부(102d'')가 형성될 수 있지만, 윤활제 저장부(102d'')는, 하나 이상의 유체 연통 포트로서 지칭될 수 있는 몇 개의 포트(120d'', 122d'' 및 124d'')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유체 연통 포트(120d'')는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이 윤활제 저장부(102d'')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105d'')을 가압할 수 있게 하고;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으로부터 가압 유체의 공동(105d'')으로의 이동은, 유동 제어 밸브(128d'')가 개방 배향으로 배열될 때, 허용된다. 다른 경우에, 유체 연통 포트(122d'')는, 압력 센서(130d'')가 윤활제 저장부(102d'')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105d'')의 가압 레벨을 검출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유체 연통 포트(124d'')는 공동(105d'') 내에 수용된 윤활제(L)가 윤활제 저장부(102d'')로부터 배출되게 할 수 있다. 도관 부재(132d'')의 근위 단부(132d1'')가 유체 연통 포트(124d'')에 유체적으로-연결될 수 있고, 도관 부재(132d'')의 원위 단부(132d2'')가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 및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 중 하나 이상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도관 부재(132d'')의 온도를 선택적으로 조정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134d'')가 도관 부재(132d'')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도관 부재(132d'')의 온도를 결정하기 위해서, 온도 센서(136d'')가 도관 부재(132d'')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108d'')는 또한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 유동 제어 밸브(128d''), 압력 센서(130d''),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134d''), 및 온도 센서(136d'') 중 하나 이상에 연통 가능하게-커플링될 수 있다. 예에서, 제어기(108d'')는 이하와 같이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 유동 제어 밸브(128d''), 압력 센서(130d''),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134d''), 및 온도 센서(136d'') 중 하나 이상에 대해서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제어기(108d'')는, 유동 제어 밸브(128d'')를 폐쇄 배향으로 배열하고 그에 의해서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에 의해서 수용된 가압 유체가 유체 연통 포트(124d'')에 의해서 공동(105d'')과 연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유동 제어 밸브(128d'')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유동 제어 밸브(128d'')를 개방 배향으로 배열하기 위해서 제어기(108d'')가 유동 제어 밸브(128d'')에 신호를 송신할 때,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에 의해서 수용된 가압 유체가 공동(105d'') 내로 지향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압력 센서(130d'')에 의해서 검출되는 공동(105d'') 내의 압력의 양을 등록할 수 있으며; 압력 센서(130d'')는 신호를 제어기(108d'')에 통신하여 공동(105d'') 내의 압력의 양을 나타낼 수 있다.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에 의해서 수용된 가압 유체로 공동(105d'')을 가압한 후에, 그리고,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 및/또는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의 도포기(S)(예를 들어, 분무 노즐)의 작동 시에, 윤활제(L)가, 윤활제(L)를 미는 가압 유체에 의해서 공동(105d'')으로부터, 유체 연통 포트(124d'') 외부로 그리고 도관 부재(132d'')를 통해서 추방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공동(105d'')이 불충분하게 가압되어 도포기(S)로부터 추방되는 유체의 희망량을 손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예를 들어, 압력 센서(130d'')로부터 송신된 신호로부터) 제어기(108d'')가 학습한 경우에, 제어기(108d'')는, 유체 연통 포트(120d'')를 통해서 공동(105d'')에 제공되는 가압 유체의 양 또는 유량을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이 증가시키게 한다. 다른 예에서, 도관 부재(132d'')가 충분히 가열되지 않고(이는 온도 센서(136d'')로부터 제어기(108d'')로 송신된 온도 신호를 통해서 제어기(108d'')에 의해서 결정된다), 그리고 그에 의해서 통과 유동하는 윤활제(L)를 냉각시키는 경우에, 제어기(108d'')는 도관 부재(132d'')의 온도를 높이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134d'')를 작동시킬 수 있고; 도관 부재(132d'')의 온도 증가 시에, 도포기(S)를 빠져 나가기 전에, 윤활제(L)가 공동(105d'')으로부터 그리고 도관 부재(132d'') 내로 추방될 때, 윤활제(L)의 온도가 유지될 수 있다.
도 9d를 참조하면,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은 윤활제(L)의 온도를 제1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로부터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까지 간접적으로 변화(예를 들어, 증가)시킨다.
예에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은 윤활제 저장부(102d'''),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d'''), 윤활제 온도 센서(106d''') 및 제어기(108d''')를 포함한다. 윤활제 저장부(102d''')는 윤활제(L)를 포함한다. 전술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c, 100c', 100d, 100d', 100d'')과 달리,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d''')는 윤활제(L) 또는 유체(F) 내에 침잠되지 않고,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d''')는 윤활제 저장부(102c, 102c', 102d, 102d', 102d'') 및/또는 유체 용기(102d', 102d'')에 대해서 이격된 관계로 배열되지 않고; 그 대신에,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d''')의 일부(예를 들어, 104d2''' 참조)는 윤활제 저장부(102d''')의 외부 표면(114d''')에 직접 인접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d''')가 윤활제 저장부(102d''')의 외부 표면(114d''')에 직접 인접하여 배열되는 것의 결과로서,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d''')의 부분(104d2''')은, 윤활제 저장부(102d''')에 의해서 형성된 재료에 의해서,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d''')가 윤활제(L)와 간접적으로 연통될 수 있게 한다.
윤활제 온도 센서(106d''')는 윤활제 저장부(102d''')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105d''') 내에 배열될 수 있고 윤활제(L)의 온도 검출을 위해서 윤활제(L) 내에 침잠될 수 있다. 제어기(108d''')는,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d''')를 비작동/작동시켜 윤활제(L)의 온도를 유지,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서 윤활제 온도 센서(106d''')로부터의 온도 판독값을 수신하도록,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d''') 및 윤활제 온도 센서(106d''')에 통신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구현예에서,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d''')는 고온 판(104d2''')에 연결된 전기 공급원(예를 들어, 전류 공급원)(104d1''')을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제어기(108d''')는 고온 판(104d2''')에 연결된 전기 공급원(104d1''')의 수동 온/오프 스위칭을 허용하기 위한 수동-동작형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108d''')는 또한 윤활제(L)의 온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윤활제(L)의 온도는, 윤활제 온도 센서(106d''')로부터 제어기(108d''')로 송신되는 신호의 형태로 통신될 수 있다. 따라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의 조작자가 윤활제 저장부(102d''') 내에 배열된 윤활제(L)의 유형을 아는 경우에, 그리고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의 조작자가, 윤활제(L)가 가지고 배열되어야 하는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를 아는 경우에, 조작자는 제어기(108d''')에 의해서 제공된 온/오프 스위치를 비작동/작동시켜 윤활제(L)의 온도에 대한 제어를 수동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전기 공급원(104d1''')이 작동되면, 전기 공급원(104d1''')은 고온 판(104d2''')이 가열되게 할 수 있고; 윤활제 저장부(102d''')의 외부 표면(114d''')이 고온 판(104d2''')과 직접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고온 판(104d2''')은 윤활제 저장부(102d''')를 형성하는 재료를 직접적으로 가열할 수 있고; 윤활제 저장부(102d''')가 윤활제(L)와 직접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윤활제(L)가 또한 가열되고, 그에 의해서 윤활제(L)의 온도를 제1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로부터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까지 상승시킬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어기(108d''')는,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에 대한 자동 제어를 허용하는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제어기(108d''')에 의해서 제공된 프로세서가, 윤활제(L)의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의 작동 후에, 윤활제(L)의 온도는, 윤활제 온도 센서(106d''')로부터 제어기(108d''')로 송신되는 신호 형태로 통신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108d''')는, 윤활제(L)의 온도가 제2 온도로 증가될 때까지, 고온 판(104d2''')에 연결된 전기 공급원(104d1''')을 '온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윤활제(L)가 제2 온도에 도달하면, 제어기(108d''')는 고온 판(104d''')을 '오프 상태'로 자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에 대한 자동 제어는, 특별한 윤활제(L)(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반-고체 페이스트 윤활제, 실질적으로 반-고체 석유계 윤활제, 실질적으로 액체 비누 윤활제, 또는 기타)를 선택된 윤활제(L)의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와 연계시키는 데이터 참조표를 구비한 제어기(108d''')를 제공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예에서, 제어기(108d''')는, 어떠한 유형의 윤활제(L)가 윤활제 저장부(102d''') 내에 채워졌는지를 조작자가 제어기(108d''')에 알릴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어떠한 유형의 윤활제(L)가 윤활제 저장부(102d''') 내에 채워졌는지를 조작자가 제어기(108d''')에 알리면, 제어기(108d'')는 데이터 참조표를 참조할 것이고, 제어기(108d''')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조작자에 의해서 입력된/선택된 윤활제(L)와 연관된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를 자동적으로 선택할 것이다. 따라서, 조작자가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을 작동시킬 때, 윤활제(L)의 온도가 데이터 참조표 내의 윤활제(L)와 연관된 온도로 조정될 때까지, 고온 판(104d2''')에 연결된 전기 공급원(104d1''')은 '온 상태'로 유지될 것이다.
도 5d에서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와 다소 유사한 방식으로, 도 9d에서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윤활제 저장부(102d''')는, 윤활제(L)가 주위 대기(A)와 직접 연통되게 하는 (대기로의 분출구와 같은) 개구부를 포함하지 않는다. 그에 따라, 윤활제 저장부(102d''')는, 윤활제(L)가 주위 대기(A)와 직접 연통하도록 허용하지 않는 외장에 의해서 형성된다.
비록 윤활제(L)가 주위 대기(A)와 직접 연통하도록 허용하지 않는 외장에 의해서 윤활제 저장부(102d''')가 형성될 수 있지만, 윤활제 저장부(102d''')는, 하나 이상의 유체 연통 포트로서 지칭될 수 있는 몇 개의 포트(120d''', 122d''' 및 124d''')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유체 연통 포트(120d''')는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이 윤활제 저장부(102d''')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105d''')을 가압할 수 있게 하고;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으로부터 가압 유체의 공동(105d''')으로의 이동은, 유동 제어 밸브(128d''')가 개방 배향으로 배열될 때, 허용된다. 다른 경우에, 유체 연통 포트(122d''')는, 압력 센서(130d''')가 윤활제 저장부(102d''')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105d''')의 가압 레벨을 검출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유체 연통 포트(124d''')는 공동(105d''') 내에 수용된 윤활제(L)가 윤활제 저장부(102d''')로부터 배출되게 할 수 있다. 도관 부재(132d''')의 근위 단부(132d1''')가 유체 연통 포트(124d''')에 유체적으로-연결될 수 있고, 도관 부재(132d''')의 원위 단부(132d2''')가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 및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 중 하나 이상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도관 부재(132d''')의 온도를 선택적으로 조정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134d''')가 도관 부재(132d''')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도관 부재(132d''')의 온도를 결정하기 위해서, 온도 센서(136d''')가 도관 부재(132d''')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108d''')는 또한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 유동 제어 밸브(128d'''), 압력 센서(130d'''),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134d'''), 및 온도 센서(136d''') 중 하나 이상에 연통 가능하게-커플링될 수 있다. 예에서, 제어기(108d''')는 이하와 같이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 유동 제어 밸브(128d'''), 압력 센서(130d'''),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134d'''), 및 온도 센서(136d''') 중 하나 이상에 대해서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제어기(108d''')는, 유동 제어 밸브(128d''')를 폐쇄 배향으로 배열하고 그에 의해서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에 의해서 수용된 가압 유체가 유체 연통 포트(124d''')에 의해서 공동(105d''')과 연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유동 제어 밸브(128d''')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유동 제어 밸브(128d''')를 개방 배향으로 배열하기 위해서 제어기(108d''')가 유동 제어 밸브(128d''')에 신호를 송신할 때,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에 의해서 수용된 가압 유체가 공동(105d''') 내로 지향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압력 센서(130d''')에 의해서 검출되는 공동(105d''') 내의 압력의 양을 등록할 수 있으며; 압력 센서(130d''')는 신호를 제어기(108d''')에 통신하여 공동(105d''') 내의 압력의 양을 나타낼 수 있다.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에 의해서 수용된 가압 유체로 공동(105d''')을 가압한 후에, 그리고,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 및/또는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의 도포기(S)(예를 들어, 분무 노즐)의 작동 시에, 윤활제(L)가, 윤활제(L)를 미는 가압 유체에 의해서 공동(105d''')으로부터, 유체 연통 포트(124d''') 외부로 그리고 도관 부재(132d''')를 통해서 추방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공동(105d''')이 불충분하게 가압되어 도포기(S)로부터 추방되는 유체의 희망량을 손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예를 들어, 압력 센서(130d''')로부터 송신된 신호로부터) 제어기(108d''')가 학습한 경우에, 제어기(108d''')는, 유체 연통 포트(120d''')를 통해서 공동(105d''')에 제공되는 가압 유체의 양 또는 유량을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이 증가시키게 한다. 다른 예에서, 도관 부재(132d''')가 충분히 가열되지 않고(이는 온도 센서(136d''')로부터 제어기(108d''')로 송신된 온도 신호를 통해서 제어기(108d''')에 의해서 결정된다), 그리고 그에 의해서 통과 유동하는 윤활제(L)를 냉각시키는 경우에, 제어기(108d''')는 도관 부재(132d''')의 온도를 높이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134d''')를 작동시킬 수 있고; 도관 부재(132d''')의 온도 증가 시에, 도포기(S)를 빠져 나가기 전에, 윤활제(L)가 공동(105d''')으로부터 그리고 도관 부재(132d''') 내로 추방될 때, 윤활제(L)의 온도가 유지될 수 있다.
도 9e를 참조하면,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은 윤활제(L)의 온도를 제1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로부터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까지 간접적으로 변화(예를 들어, 증가)시킨다.
예에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은 윤활제 저장부(102d''''),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d''''), 윤활제 온도 센서(106d''''), 제어기(108d''''), 유체 용기(110d''''), 및 유체 온도 센서(112d'''')를 포함한다. 윤활제 저장부(102d'''')는 윤활제(L)를 포함하고 유체 용기(110d'''')는 유체(F)를 포함한다. 전술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c, 100c', 100d, 100d', 100d'')과 달리,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d'''')는 윤활제(L) 또는 유체(F) 내에 침잠되지 않고,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d'''')는 윤활제 저장부(102c, 102c', 102d, 102d', 102d'') 및/또는 유체 용기(102d', 102d'')에 대해서 이격된 관계로 배열되지 않고; 그 대신에,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d'''')의 일부(예를 들어, 104d2'''' 참조)는 유체 용기(110d'''')의 외부 표면(116d'''')에 직접 인접하여 배치된다. 따라서, 온도 조절기(104d'''')의 부분(104d2'''')이 유체 용기(110d'''')의 외부 표면(116d'''')에 직접 인접하여 배열되는 것의 결과로서,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d'''')의 부분(104d2'''')은,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d'''')가: 윤활제 저장부(102d'''')를 형성하는 재료, 유체 용기(110d'''')를 형성하는 재료 그리고 윤활제 저장부(102d'''')를 둘러싸는 유체 용기(110d'''')에 의해서 수용된 유체(F)에 의해서, 윤활제(L)와 간접적으로 연통될 수 있게 한다.
윤활제 온도 센서(106d'''')는 윤활제 저장부(102d'''')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105d'''') 내에 배열될 수 있고 윤활제(L)의 온도 검출을 위해서 윤활제(L) 내에 침잠될 수 있다. 유체 온도 센서(112d'''')는 유체 용기(110d'''')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113d'''') 내에 배열될 수 있고 유체(F)의 온도 검출을 위해서 유체(F) 내에 침잠될 수 있다.
제어기(108d'''')는,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d'''')를 비작동/작동시켜 윤활제(L)의 온도를 유지,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서 윤활제 온도 센서(106d'''') 및 유체 온도 센서(112d'''')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의 온도 판독값을 수신하도록,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d''''), 윤활제 온도 센서(106d'''') 및 유체 온도 센서(112d'''')에 통신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구현예에서,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d'''')는 고온 판(104d2'''')에 연결된 전기 공급원(예를 들어, 전류 공급원)(104d1'''')을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제어기(108d'''')는 고온 판(104d2'''')에 연결된 전기 공급원(104d1'''')의 수동 온/오프 스위칭을 허용하기 위한 수동-동작형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108d'''')는 또한 윤활제(L) 및 유체(F) 중 하나 이상의 온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윤활제(L) 및 유체(F) 중 하나 이상의 온도는, 윤활제 온도 센서(106d'''') 및 유체 온도 센서(112d'''')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제어기(108d'''')로 송신되는 신호의 형태로 통신될 수 있다. 따라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의 조작자가 윤활제 저장부(102d'''') 내에 배열된 윤활제(L)의 유형을 아는 경우에, 그리고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의 조작자가, 윤활제(L)가 가지고 배열되어야 하는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를 아는 경우에, 조작자는 제어기(108d'''')에 의해서 제공된 온/오프 스위치를 비작동/작동시켜 윤활제(L)의 온도에 대한 제어를 수동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전기 공급원(104d1'''')이 작동되면, 전기 공급원(104d1'''')은 고온 판(104d2'''')이 가열되게 할 수 있고; 유체 용기(110d'''')의 외부 표면(116d'''')이 고온 판(104d2'''')과 직접적으로 접촉되기 때문에, 고온 판(104d2'''')은 유체(F)를 직접 가열할 수 있다. 윤활제 저장부(102d'''')가, 유체(F)를 포함하는 유체 용기(110d'''')의 외부 표면(116d'''')과 직접 접촉되기 때문에, 윤활제 저장부(102d'''') 내에 포함되고 유체(F) 내에 침잠된 윤활제(L)가 또한 가열되고, 그에 의해서 윤활제(L)의 온도를 제1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로부터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로 높인다.
다른 예에서, 제어기(108d'''')는,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에 대한 자동 제어를 허용하는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제어기(108d'''')에 의해서 제공된 프로세서가, 윤활제(L)의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의 작동 후에, 윤활제(L)의 온도는, 윤활제 온도 센서(106d'''') 및 유체 온도 센서(112d'''')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제어기(108d'''')로 송신되는 신호 형태로 통신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108d'''')는, 윤활제(L)의 온도가 제2 온도로 증가될 때까지, 고온 판(104d2'''')에 연결된 전기 공급원(104d1'''')을 '온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윤활제(L)가 제2 온도에 도달하면, 제어기(108d'''')는 고온 판(104d'''')을 '오프 상태'로 자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에 대한 자동 제어는, 특별한 윤활제(L)(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반-고체 페이스트 윤활제, 실질적으로 반-고체 석유계 윤활제, 실질적으로 액체 비누 윤활제, 또는 기타)를 선택된 윤활제(L)의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와 연계시키는 데이터 참조표를 구비한 제어기(108d'''')를 제공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예에서, 제어기(108d'''')는, 어떠한 유형의 윤활제(L)가 윤활제 저장부(102d'''') 내에 채워졌는지를 조작자가 제어기(108d'''')에 알릴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어떠한 유형의 윤활제(L)가 윤활제 저장부(102d'''') 내에 채워졌는지를 조작자가 제어기(108d'''')에 알리면, 제어기(108d'''')는 데이터 참조표를 참조할 것이고, 제어기(108d'''')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조작자에 의해서 입력된/선택된 윤활제(L)와 연관된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를 자동적으로 선택할 것이다. 따라서, 조작자가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을 작동시킬 때, 윤활제(L)의 온도가 데이터 참조표 내의 윤활제(L)와 연관된 온도로 조정될 때까지, 고온 판(104d2'''')에 연결된 전기 공급원(104d1'''')은 '온 상태'로 유지될 것이다.
도 5e에서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와 다소 유사한 방식으로, 도 9e에서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윤활제 저장부(102d'''')는, 윤활제(L)가 주위 대기(A)와 직접 연통되게 하는 (대기로의 분출구와 같은) 개구부를 포함하지 않는다. 그에 따라, 윤활제 저장부(102d'''')는, 윤활제(L)가 주위 대기(A)와 직접 연통하도록 허용하지 않는 외장에 의해서 형성된다.
비록 윤활제(L)가 주위 대기(A)와 직접 연통하도록 허용하지 않는 외장에 의해서 윤활제 저장부(102d'''')가 형성될 수 있지만, 윤활제 저장부(102d'''')는, 하나 이상의 유체 연통 포트로서 지칭될 수 있는 몇 개의 포트(120d'''', 122d'''' 및 124d'''')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유체 연통 포트(120d'''')는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이 윤활제 저장부(102d'''')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105d'''')을 가압할 수 있게 하고;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으로부터 가압 유체의 공동(105d'''')으로의 이동은, 유동 제어 밸브(128d'''')가 개방 배향으로 배열될 때, 허용된다. 다른 경우에, 유체 연통 포트(122d'''')는, 압력 센서(130d'''')가 윤활제 저장부(102d'''')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105d'''')의 가압 레벨을 검출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유체 연통 포트(124d'''')는 공동(105d'''') 내에 수용된 윤활제(L)가 윤활제 저장부(102d'''')로부터 배출되게 할 수 있다. 도관 부재(132d'''')의 근위 단부(132d1'''')가 유체 연통 포트(124d'''')에 유체적으로-연결될 수 있고, 도관 부재(132d'''')의 원위 단부(132d2'''')가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 및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 중 하나 이상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도관 부재(132d'''')의 온도를 선택적으로 조정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134d'''')가 도관 부재(132d'''')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도관 부재(132d'''')의 온도를 결정하기 위해서, 온도 센서(136d'''')가 도관 부재(132d'''')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108d'''')는 또한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 유동 제어 밸브(128d''''), 압력 센서(130d''''),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134d''''), 및 온도 센서(136d'''') 중 하나 이상에 연통 가능하게-커플링될 수 있다. 예에서, 제어기(108d'''')는 이하와 같이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 유동 제어 밸브(128d''''), 압력 센서(130d''''),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134d''''), 및 온도 센서(136d'''') 중 하나 이상에 대해서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제어기(108d'''')는, 유동 제어 밸브(128d'''')를 폐쇄 배향으로 배열하고 그에 의해서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에 의해서 수용된 가압 유체가 유체 연통 포트(124d'''')에 의해서 공동(105d'''')과 연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유동 제어 밸브(128d'''')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유동 제어 밸브(128d'''')를 개방 배향으로 배열하기 위해서 제어기(108d'''')가 유동 제어 밸브(128d'''')에 신호를 송신할 때,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에 의해서 수용된 가압 유체가 공동(105d'''') 내로 지향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압력 센서(130d'''')에 의해서 검출되는 공동(105d'''') 내의 압력의 양을 등록할 수 있으며; 압력 센서(130d'''')는 신호를 제어기(108d'''')에 통신하여 공동(105d'''') 내의 압력의 양을 나타낼 수 있다.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에 의해서 수용된 가압 유체로 공동(105d'''')을 가압한 후에, 그리고,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 및/또는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의 도포기(S)(예를 들어, 분무 노즐)의 작동 시에, 윤활제(L)가, 윤활제(L)를 미는 가압 유체에 의해서 공동(105d'''')으로부터, 유체 연통 포트(124d'''') 외부로 그리고 도관 부재(132d'''')를 통해서 추방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공동(105d'''')이 불충분하게 가압되어 도포기(S)로부터 추방되는 유체의 희망량을 손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예를 들어, 압력 센서(130d'''')로부터 송신된 신호로부터) 제어기(108d'''')가 학습한 경우에, 제어기(108d'''')는, 유체 연통 포트(120d'''')를 통해서 공동(105d'''')에 제공되는 가압 유체의 양 또는 유량을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이 증가시키게 한다. 다른 예에서, 도관 부재(132d'''')가 충분히 가열되지 않고(이는 온도 센서(136d'''')로부터 제어기(108d'''')로 송신된 온도 신호를 통해서 제어기(108d'''')에 의해서 결정된다), 그리고 그에 의해서 통과 유동하는 윤활제(L)를 냉각시키는 경우에, 제어기(108d'''')는 도관 부재(132d'''')의 온도를 높이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134d'''')를 작동시킬 수 있고; 도관 부재(132d'''')의 온도 증가 시에, 도포기(S)를 빠져 나가기 전에, 윤활제(L)가 공동(105d'''')으로부터 그리고 도관 부재(132d'''') 내로 추방될 때, 윤활제(L)의 온도가 유지될 수 있다.
도 9f를 참조하면,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은 윤활제(L)의 온도를 제1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로부터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까지 간접적으로 변화(예를 들어, 증가)시킨다.
예에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은 윤활제 저장부(102d'''''),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d'''''), 윤활제 온도 센서(106d'''''), 제어기(108d'''''), 및 폐쇄된 하우징(118d''''')를 포함한다. 윤활제 저장부(102d''''')는 윤활제(L)를 포함한다.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d''''')가 윤활제 저장부(L)에 수용된 윤활제(L)와 간접적으로 연통되게 하기 위해서,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d''''')는 윤활제 저장부(102d''''')를 따라서 윤활제 저장부(102d''''')에 대해서(예를 들어, 그 옆에 또는 그에 근접하여) 그리고 폐쇄된 하우징(118d''''') 내에 배열된다. 윤활제 온도 센서(106d''''')는 윤활제 저장부(102d''''')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105d''''') 내에 배열될 수 있고 윤활제(L)의 온도 검출을 위해서 윤활제(L) 내에 침잠될 수 있다. 제어기(108d''''')는,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d''''')를 비작동/작동시켜 윤활제(L)의 온도를 유지,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서 윤활제 온도 센서(106d''''')로부터의 온도 판독값을 수신하도록,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d''''') 및 윤활제 온도 센서(106d''''')에 통신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구현예에서,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d''''')는, 불꽃을 생성하기 위해서 연료(예를 들어, 가스)를 연소시키는 버너일 수 있다. 불꽃은 폐쇄된 하우징(118d''''') 내의 주변 공기를 가열하고, 그에 의해서 폐쇄된 하우징(118d''''') 내에 배열된 윤활제 저장부(102d''''') 및 윤활제(L) 중 하나 이상의 온도를 높인다. 윤활제(L)가 폐쇄된 하우징(118d''''') 내에 배열되기 때문에, 폐쇄된 하우징(118d''''') 내의 유체(즉, 주변 공기(A))가 윤활제 저장부(102d''''') 및 윤활제 저장부(102d''''')에 의해서 수용되고 그와 접촉되는 윤활제(L) 중 하나 이상을 간접적으로 가열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윤활제(L)의 온도는 제1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로부터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까지 높아진다.
예에서, 제어기(108d''''')는 버너(104d''''')의 수동 온/오프 스위칭을 허용하기 위한 수동-동작형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108d''''')는 또한 윤활제(L)의 온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윤활제(L)의 온도는, 윤활제 온도 센서(106d''''')로부터 제어기(108d''''')로 송신되는 신호의 형태로 통신될 수 있다. 따라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의 조작자가 윤활제 저장부(102d''''') 내에 배열된 윤활제(L)의 유형을 아는 경우에, 그리고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의 조작자가, 윤활제(L)가 가지고 배열되어야 하는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를 아는 경우에, 조작자는 제어기(108d''''')에 의해서 제공된 온/오프 스위치를 비작동/작동시켜 윤활제(L)의 온도에 대한 제어를 수동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어기(108d''''')는,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에 대한 자동 제어를 허용하는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제어기(108d''''')에 의해서 제공된 프로세서가, 윤활제(L)의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의 작동 후에, 윤활제(L)의 온도는, 윤활제 온도 센서(106d''''')로부터 제어기(108d''''')로 송신되는 신호 형태로 통신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108d''''')는, 윤활제(L)의 온도가 제2 온도로 증가될 때까지, 버너(104d''''')를 '온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윤활제(L)가 제2 온도에 도달하면, 제어기(108d''''')는 버너(104d''''')를 '오프 상태'로 자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에 대한 자동 제어는, 특별한 윤활제(L)(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반-고체 페이스트 윤활제, 실질적으로 반-고체 석유계 윤활제, 실질적으로 액체 비누 윤활제, 또는 기타)를 선택된 윤활제(L)의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와 연계시키는 데이터 참조표를 구비한 제어기(108d''''')를 제공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예에서, 제어기(108d''''')는, 어떠한 유형의 윤활제(L)가 윤활제 저장부(102d''''') 내에 채워졌는지를 조작자가 제어기(108d''''')에 알릴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어떠한 유형의 윤활제(L)가 윤활제 저장부(102d''''') 내에 채워졌는지를 조작자가 제어기(108d''''')에 알리면, 제어기(108d''''')는 데이터 참조표를 참조할 것이고, 제어기(108d''''')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조작자에 의해서 입력된/선택된 윤활제(L)와 연관된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를 자동적으로 선택할 것이다. 따라서, 조작자가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을 작동시킬 때, 윤활제(L)의 온도가 데이터 참조표 내의 윤활제(L)와 연관된 온도로 조정될 때까지, 버너(104d''''')는 '온 상태'로 유지될 것이다.
도 5f에서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와 다소 유사한 방식으로, 도 9f에서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윤활제 저장부(102d''''')는, 윤활제(L)가 주위 대기(A)와 직접 연통되게 하는 (대기로의 분출구와 같은) 개구부를 포함하지 않는다. 그에 따라, 윤활제 저장부(102d''''')는, 윤활제(L)가 주위 대기(A)와 직접 연통하도록 허용하지 않는 외장에 의해서 형성된다.
비록 윤활제(L)가 주위 대기(A)와 직접 연통하도록 허용하지 않는 외장에 의해서 윤활제 저장부(102d''''')가 형성될 수 있지만, 윤활제 저장부(102d''''')는, 하나 이상의 유체 연통 포트로서 지칭될 수 있는 몇 개의 포트(120d''''', 122d''''' 및 124d''''')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유체 연통 포트(120d''''')는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이 윤활제 저장부(102d''''')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105d''''')을 가압할 수 있게 하고;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으로부터 가압 유체의 공동(105d''''')으로의 이동은, 유동 제어 밸브(128d''''')가 개방 배향으로 배열될 때, 허용된다. 다른 경우에, 유체 연통 포트(122d''''')는, 압력 센서(130d''''')가 윤활제 저장부(102d''''')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105d''''')의 가압 레벨을 검출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유체 연통 포트(124d''''')는 공동(105d''''') 내에 수용된 윤활제(L)가 윤활제 저장부(102d''''')로부터 배출되게 할 수 있다. 도관 부재(132d''''')의 근위 단부(132d1''''')가 유체 연통 포트(124d''''')에 유체적으로-연결될 수 있고, 도관 부재(132d''''')의 원위 단부(132d2''''')가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 및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 중 하나 이상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도관 부재(132d''''')의 온도를 선택적으로 조정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134d''''')가 도관 부재(132d''''')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도관 부재(132d''''')의 온도를 결정하기 위해서, 온도 센서(136d''''')가 도관 부재(132d''''')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108d''''')는 또한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 유동 제어 밸브(128d'''''), 압력 센서(130d'''''),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134d'''''), 및 온도 센서(136d''''') 중 하나 이상에 연통 가능하게-커플링될 수 있다. 예에서, 제어기(108d''''')는 이하와 같이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 유동 제어 밸브(128d'''''), 압력 센서(130d'''''),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134d'''''), 및 온도 센서(136d''''') 중 하나 이상에 대해서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제어기(108d''''')는, 유동 제어 밸브(128d''''')를 폐쇄 배향으로 배열하고 그에 의해서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에 의해서 수용된 가압 유체가 유체 연통 포트(124d''''')에 의해서 공동(105d''''')과 연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유동 제어 밸브(128d''''')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유동 제어 밸브(128d''''')를 개방 배향으로 배열하기 위해서 제어기(108d''''')가 유동 제어 밸브(128d''''')에 신호를 송신할 때,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에 의해서 수용된 가압 유체가 공동(105d''''') 내로 지향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압력 센서(130d''''')에 의해서 검출되는 공동(105d''''') 내의 압력의 양을 등록할 수 있으며; 압력 센서(130d''''')는 신호를 제어기(108d''''')에 통신하여 공동(105d''''') 내의 압력의 양을 나타낼 수 있다.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에 의해서 수용된 가압 유체로 공동(105d''''')을 가압한 후에, 그리고,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 및/또는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의 도포기(S)(예를 들어, 분무 노즐)의 작동 시에, 윤활제(L)가, 윤활제(L)를 미는 가압 유체에 의해서 공동(105d''''')으로부터, 유체 연통 포트(124d''''') 외부로 그리고 도관 부재(132d''''')를 통해서 추방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공동(105d''''')이 불충분하게 가압되어 도포기(S)로부터 추방되는 유체의 희망량을 손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예를 들어, 압력 센서(130d''''')로부터 송신된 신호로부터) 제어기(108d''''')가 학습한 경우에, 제어기(108d''''')는, 유체 연통 포트(120d''''')를 통해서 공동(105d''''')에 제공되는 가압 유체의 양 또는 유량을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이 증가시키게 한다. 다른 예에서, 도관 부재(132d''''')가 충분히 가열되지 않고(이는 온도 센서(136d''''')로부터 제어기(108d''''')로 송신된 온도 신호를 통해서 제어기(108d''''')에 의해서 결정된다), 그리고 그에 의해서 통과 유동하는 윤활제(L)를 냉각시키는 경우에, 제어기(108d''''')는 도관 부재(132d''''')의 온도를 높이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134d''''')를 작동시킬 수 있고; 도관 부재(132d''''')의 온도 증가 시에, 도포기(S)를 빠져 나가기 전에, 윤활제(L)가 공동(105d''''')으로부터 그리고 도관 부재(132d''''') 내로 추방될 때, 윤활제(L)의 온도가 유지될 수 있다.
도 9g를 참조하면,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은 윤활제(L)의 온도를 제1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로부터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까지 간접적으로 변화(예를 들어, 증가)시킨다.
예에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은 윤활제 저장부(102d''''''),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d''''''), 윤활제 온도 센서(106d''''''), 제어기(108d''''''), 유체 용기(110d''''''), 유체 온도 센서(112d''''''), 및 폐쇄된 하우징(118d'''''')을 포함한다. 윤활제 저장부(102d'''''')는 윤활제(L)를 포함한다.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d'''''')는,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d'''''')가 윤활제 저장부(L)에 의해서 수용된 윤활제(L)와 간접적으로 연통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폐쇄된 하우징(118d'''''') 내의 윤활제 저장부(102d'''''') 및 유체 용기(110d'''''')에 대해서 (예를 들어, 옆에 또는 그에 근접하여) 배열되고;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d'''''')와 윤활제(L)의 간접적인 연통은, 윤활제 저장부(102d'''''')를 유체 용기(110d'''''')에 의해서 수용된 유체(F)로 침잠시키는 것에 의해서 달성된다.
윤활제 온도 센서(106d'''''')는 윤활제 저장부(102d'''''')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105d'''''') 내에 배열될 수 있고 윤활제(L)의 온도 검출을 위해서 윤활제(L) 내에 침잠될 수 있다. 유체 온도 센서(112d'''''')는 유체 용기(110d'''''')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113d'''''') 내에 배열될 수 있고 유체(F)의 온도 검출을 위해서 유체(F) 내에 침잠될 수 있다.
제어기(108d'''''')는,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d'''''')를 비작동/작동시켜 윤활제(L)의 온도를 유지,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해서 윤활제 온도 센서(106d'''''') 및 유체 온도 센서(112d'''''')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의 온도 판독값을 수신하도록,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d''''''), 윤활제 온도 센서(106d'''''') 및 유체 온도 센서(112d'''''')에 통신 가능하게 커플링될 수 있다.
구현예에서,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d'''''')는, 불꽃을 생성하기 위해서 연료(예를 들어, 가스)를 연소시키는 버너일 수 있다. 불꽃은 폐쇄된 하우징(118d'''''') 내의 주변 공기(A)를 가열하고, 그에 의해서 폐쇄된 하우징(118d'''''') 내에 또한 배열된 윤활제 저장부(102d'''''', 윤활제(L), 유체 용기(110d'''''', 유체(F) 중 하나 이상의 온도를 높인다. 윤활제(L)가 폐쇄된 하우징(118d'''''') 내에 배열되기 때문에, 폐쇄된 하우징(118d'''''') 내의 유체(즉, 주변 공기(A))가 유체 용기(110d''''''), 유체 용기(110d'''''')에 의해서 수용된 유체(F), 및 윤활제 저장부(102d'''''') 그리고 윤활제 저장부(102d'''''')에 의해서 수용되고 그와 접촉되는 윤활제(L) 중 하나 이상을 간접적으로 가열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윤활제(L)의 온도는 제1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로부터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까지 높아진다.
예에서, 제어기(108d'''''')는 버너(104d'''''')의 수동 온/오프 스위칭을 허용하기 위한 수동-동작형 온/오프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108d'''''')는 또한 윤활제(L) 및 유체(F) 중 하나 이상의 온도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고; 윤활제(L) 및 유체(F) 중 하나 이상의 온도는, 윤활제 온도 센서(106d'''''') 및 유체 온도 센서(112d'''''')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제어기(108d'''''')로 송신되는 신호의 형태로 통신될 수 있다. 따라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의 조작자가 윤활제 저장부(102d'''''') 내에 배열된 윤활제(L)의 유형을 아는 경우에, 그리고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의 조작자가, 윤활제(L)가 가지고 배열되어야 하는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를 아는 경우에, 조작자는 제어기(108d'''''')에 의해서 제공된 온/오프 스위치를 비작동/작동시켜 윤활제(L)의 온도에 대한 제어를 수동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제어기(108d'''''')는,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에 대한 자동 제어를 허용하는 로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제어기(108d'''''')에 의해서 제공된 프로세서가, 윤활제(L)의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로 프로그래밍될 수 있다.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의 작동 후에, 윤활제(L)의 온도는, 윤활제 온도 센서(106d'''''') 및 유체 온도 센서(112d'''''') 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제어기(108d'''''')로 송신되는 신호 형태로 통신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기(108d'''''')는, 윤활제(L)의 온도가 제2 온도로 증가될 때까지, 버너(104d'''''')를 '온 상태'로 유지할 수 있고; 윤활제(L)가 제2 온도에 도달하면, 제어기(108d'''''')는 버너(104d'''''')를 '오프 상태'로 자동적으로 스위칭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d'''''')에 대한 자동 제어는, 특별한 윤활제(L)(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반-고체 페이스트 윤활제, 실질적으로 반-고체 석유계 윤활제, 실질적으로 액체 비누 윤활제, 또는 기타)를 선택된 윤활제(L)의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와 연계시키는 데이터 참조표를 구비한 제어기(108d'''''')를 제공함으로써, 실행될 수 있다. 예에서, 제어기(108d'''''')는, 어떠한 유형의 윤활제(L)가 윤활제 저장부(102d'''''') 내에 채워졌는지를 조작자가 제어기(108d'''''')에 알릴 수 있게 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어떠한 유형의 윤활제(L)가 윤활제 저장부(102d'''''') 내에 채워졌는지를 조작자가 제어기(108d'''''')에 알리면, 제어기(108d'''''')는 데이터 참조표를 참조할 것이고, 제어기(108d'''''')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조작자에 의해서 입력된/선택된 윤활제(L)와 연관된 희망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를 자동적으로 선택할 것이다. 따라서, 조작자가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을 작동시킬 때, 윤활제(L)의 온도가 데이터 참조표 내의 윤활제(L)와 연관된 온도로 조정될 때까지, 버너(104d'''''')는 '온 상태'로 유지될 것이다.
도 5g에서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와 다소 유사한 방식으로, 도 9g에서 전술된 예시적인 실시예의 윤활제 저장부(102d'''''')는, 윤활제(L)가 주위 대기(A)와 직접 연통되게 하는 (대기로의 분출구와 같은) 개구부를 포함하지 않는다. 그에 따라, 윤활제 저장부(102d'''''')는, 윤활제(L)가 주위 대기(A)와 직접 연통하도록 허용하지 않는 외장에 의해서 형성된다.
비록 윤활제(L)가 주위 대기(A)와 직접 연통하도록 허용하지 않는 외장에 의해서 윤활제 저장부(102d'''''')가 형성될 수 있지만, 윤활제 저장부(102d'''''')는, 하나 이상의 유체 연통 포트로서 지칭될 수 있는 몇 개의 포트(120d'''''', 122d'''''' 및 124d'''''')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유체 연통 포트(120d'''''')는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이 윤활제 저장부(102d'''''')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105d'''''')을 가압할 수 있게 하고;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으로부터 가압 유체의 공동(105d'''''')으로의 이동은, 유동 제어 밸브(128d'''''')가 개방 배향으로 배열될 때, 허용된다. 다른 경우에, 유체 연통 포트(122d'''''')는, 압력 센서(130d'''''')가 윤활제 저장부(102d'''''')에 의해서 형성된 공동(105d'''''')의 가압 레벨을 검출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유체 연통 포트(124d'''''')는 공동(105d'''''') 내에 수용된 윤활제(L)가 윤활제 저장부(102d'''''')로부터 배출되게 할 수 있다. 도관 부재(132d'''''')의 근위 단부(132d1'''''')가 유체 연통 포트(124d'''''')에 유체적으로-연결될 수 있고, 도관 부재(132d'''''')의 원위 단부(132d2'''''')가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 및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 중 하나 이상에 연결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도관 부재(132d'''''')의 온도를 선택적으로 조정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134d'''''')가 도관 부재(132d'''''')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도관 부재(132d'''''')의 온도를 결정하기 위해서, 온도 센서(136d'''''')가 도관 부재(132d'''''')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9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기(108d'''''')는 또한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 유동 제어 밸브(128d''''''), 압력 센서(130d''''''),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134d''''''), 및 온도 센서(136d'''''') 중 하나 이상에 연통 가능하게-커플링될 수 있다. 예에서, 제어기(108d'''''')는 이하와 같이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 유동 제어 밸브(128d''''''), 압력 센서(130d''''''),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134d''''''), 및 온도 센서(136d'''''') 중 하나 이상에 대해서 신호를 송신 및/또는 수신할 수 있다.
제어기(108d'''''')는, 유동 제어 밸브(128d'''''')를 폐쇄 배향으로 배열하고 그에 의해서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에 의해서 수용된 가압 유체가 유체 연통 포트(124d'''''')에 의해서 공동(105d'''''')과 연통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유동 제어 밸브(128d'''''')에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유동 제어 밸브(128d'''''')를 개방 배향으로 배열하기 위해서 제어기(108d'''''')가 유동 제어 밸브(128d'''''')에 신호를 송신할 때,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에 의해서 수용된 가압 유체가 공동(105d'''''') 내로 지향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압력 센서(130d'''''')에 의해서 검출되는 공동(105d'''''') 내의 압력의 양을 등록할 수 있으며; 압력 센서(130d'''''')는 신호를 제어기(108d'''''')에 통신하여 공동(105d'''''') 내의 압력의 양을 나타낼 수 있다.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에 의해서 수용된 가압 유체로 공동(105d'''''')을 가압한 후에, 그리고,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 및/또는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의 도포기(S)(예를 들어, 분무 노즐)의 작동 시에, 윤활제(L)가, 윤활제(L)를 미는 가압 유체에 의해서 공동(105d'''''')으로부터, 유체 연통 포트(124d'''''') 외부로 그리고 도관 부재(132d'''''')를 통해서 추방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공동(105d'''''')이 불충분하게 가압되어 도포기(S)로부터 추방되는 유체의 희망량을 손상시킬 수 있다는 것을 (예를 들어, 압력 센서(130d'''''')로부터 송신된 신호로부터) 제어기(108d'''''')가 학습한 경우에, 제어기(108d'''''')는, 유체 연통 포트(120d'''''')를 통해서 공동(105d'''''')에 제공되는 가압 유체의 양 또는 유량을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d'''''')이 증가시키게 한다. 다른 예에서, 도관 부재(132d'''''')가 충분히 가열되지 않고(이는 온도 센서(136d'''''')로부터 제어기(108d'''''')로 송신된 온도 신호를 통해서 제어기(108d'''''')에 의해서 결정된다), 그리고 그에 의해서 통과 유동하는 윤활제(L)를 냉각시키는 경우에, 제어기(108d'''''')는 도관 부재(132d'''''')의 온도를 높이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134d'''''')를 작동시킬 수 있고; 도관 부재(132d'''''')의 온도 증가 시에, 도포기(S)를 빠져 나가기 전에, 윤활제(L)가 공동(105d'''''')으로부터 그리고 도관 부재(132d'''''') 내로 추방될 때, 윤활제(L)의 온도가 유지될 수 있다.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c 내지 126d'''''')은, 윤활제(L)를 공동(105c 내지 105d'''''')의 외부로 그리고 도관 부재(132c 내지 132d'''''') 내로 그리고 도포기(S)의 외부로 밀기 위해서, 공동(105c 내지 105d'''''') 내의 윤활제(L)를 가압하는 임의의 바람직한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c 내지 126d'''''')은 약 25psi 내지 30psi의 압력까지 공동(105c 내지 105d'''''')을 가압할 수 있다. 일부 예에서,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c 내지 126d'''''')은 가압 공기 공급원, 불활성 가스 공급원 또는 기타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c 내지 126d'''''')은 피스톤, 공기 실린더 또는 기타일 수 있다.
도 10a를 참조하면,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에 연결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이 실시예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도 8a 내지 도 9g에서 도시되고 설명된 임의의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c, 100c', 100d, 100d', 100d'', 100d''', 100d'''', 100d''''', 100d'''''')은 도 10a의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의 위치에 배열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임의의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c, 100c', 100d, 100d', 100d'', 100d''', 100d'''', 100d''''', 100d'''''')은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에 유체적으로-커플링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으로부터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으로 유체를 끌어 당기기 위해서, 유체-이동 디바이스(예를 들어, 펌프)(150)가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과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유체-이동 디바이스(150)는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 및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 중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유체-이동 디바이스(150)는 또한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의 도포기(S)로부터 윤활제(L)를 분배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도포기(S)는 휠(W) 상에 윤활제(L)를 분무/비산시키기 위한 분무 노즐일 수 있다. 도포기(S)로부터 분배될 때, 윤활제(L)가 휠(W)의 상부 및 하부 비드 시트(WSU, WSL)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침착될 수 있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을 유체-이동 디바이스(150)에 유체적으로-연결하는 도관이 도시되어 있고, 유체-이동 디바이스(150)를 도포기(S)에 유체적으로-연결하는 도관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도관의 각각은, 도관이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134c 내지 134d'''''')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 및 제어기(108c 내지 108d'''''')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136c 내지 136d'''''')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윤활제(L)가 도관을 통해서 이동될 때 윤활제(L)의 온도가 유지될 수 있다는 점에서, 도관 부재(132c 내지 132d'''''')와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도 10b를 참조하면,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에 연결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이 실시예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도 8a 내지 도 9g에서 도시되고 설명된 임의의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c, 100c', 100d, 100d', 100d'', 100d''', 100d'''', 100d''''', 100d'''''')은 도 10b의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의 위치에 배열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임의의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c, 100c', 100d, 100d', 100d'', 100d''', 100d'''', 100d''''', 100d'''''')은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에 유체적으로-커플링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으로부터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으로 유체를 끌어 당기기 위해서, 유체-이동 디바이스(예를 들어, 펌프)(150)가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과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유체-이동 디바이스(150)는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 및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 중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유체-이동 디바이스(150)는 또한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의 도포기(S)로부터 윤활제(L)를 분배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도포기(S)는 타이어(T) 상에 윤활제(L)를 분무/비산시키기 위한 분무 노즐일 수 있다. 도포기(S)로부터 분배될 때, 윤활제(L)가 타이어(T)의 상부 및 하부 비드(TBU, TBL)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침착될 수 있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을 유체-이동 디바이스(150)에 유체적으로-연결하는 도관이 도시되어 있고, 유체-이동 디바이스(150)를 도포기(S)에 유체적으로-연결하는 도관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도관의 각각은, 도관이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134c 내지 134d'''''')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 및 제어기(108c 내지 108d'''''')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136c 내지 136d'''''')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윤활제(L)가 도관을 통해서 이동될 때 윤활제(L)의 온도가 유지될 수 있다는 점에서, 도관 부재(132c 내지 132d'''''')와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도 11a를 참조하면,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에 연결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이 실시예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도 8a 내지 도 9g에서 도시되고 설명된 임의의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c, 100c', 100d, 100d', 100d'', 100d''', 100d'''', 100d''''', 100d'''''')은 도 11a의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의 위치에 배열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임의의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c, 100c', 100d, 100d', 100d'', 100d''', 100d'''', 100d''''', 100d'''''')은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에 유체적으로-커플링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으로부터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으로 유체를 끌어 당기기 위해서, 유체-이동 디바이스(예를 들어, 펌프)(150)가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과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유체-이동 디바이스(150)는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 및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 중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유체-이동 디바이스(150)는 또한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의 도포기(R)로부터 윤활제(L)를 분배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도포기(R)는 휠(W) 상에서 윤활제(L)를 와이핑하기 위한 롤러일 수 있다. 도포기(R)로부터 분배될 때, 윤활제(L)가 휠(W)의 상부 및 하부 비드 시트(WSU, WSL)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침착될 수 있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을 유체-이동 디바이스(150)에 유체적으로-연결하는 도관이 도시되어 있고, 유체-이동 디바이스(150)를 도포기(S)에 유체적으로-연결하는 도관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도관의 각각은, 도관이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134c 내지 134d'''''')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 및 제어기(108c 내지 108d'''''')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136c 내지 136d'''''')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윤활제(L)가 도관을 통해서 이동될 때 윤활제(L)의 온도가 유지될 수 있다는 점에서, 도관 부재(132c 내지 132d'''''')와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에 연결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이 실시예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도 8a 내지 도 9g에서 도시되고 설명된 임의의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c, 100c', 100d, 100d', 100d'', 100d''', 100d'''', 100d''''', 100d'''''')은 도 11b의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의 위치에 배열될 수 있고, 그에 따라 임의의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c, 100c', 100d, 100d', 100d'', 100d''', 100d'''', 100d''''', 100d'''''')은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에 유체적으로-커플링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으로부터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으로 유체를 끌어 당기기 위해서, 유체-이동 디바이스(예를 들어, 펌프)(150)가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과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유체-이동 디바이스(150)는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 및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 중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유체-이동 디바이스(150)는 또한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의 도포기(R)로부터 윤활제(L)를 분배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도포기(R)는 타이어(T) 상에서 윤활제(L)를 와이핑하기 위한 롤러일 수 있다. 도포기(R)로부터 분배될 때, 윤활제(L)가 타이어(T)의 상부 및 하부 비드(TBU, TBL)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침착될 수 있다.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을 유체-이동 디바이스(150)에 유체적으로-연결하는 도관이 도시되어 있고, 유체-이동 디바이스(150)를 도포기(S)에 유체적으로-연결하는 도관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도관의 각각은, 도관이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134c 내지 134d'''''')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 및 제어기(108c 내지 108d'''''')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136c 내지 136d'''''')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윤활제(L)가 도관을 통해서 이동될 때 윤활제(L)의 온도가 유지될 수 있다는 점에서, 도관 부재(132c 내지 132d'''''')와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도 10c, 도 10d, 도 11c 및 도 11d를 참조하면, 휠(W)(예를 들어, 도 10c, 도 11c 참조) 및 타이어(T)(예를 들어, 도 10d, 도 11d 참조)를 윤활하기 위한 예시적인 대안적 시스템이 도시되어 있다. 도 10a, 도 10b, 도 11a 및 도 11b에서 도시되고 전술된 시스템과 달리, 도 10c, 도 10d, 도 11c 및 도 11d에 도시되고 설명된 시스템은 윤활제(L)의 온도를 높이는 전용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을 포함하지 않고; 대신 도 10c, 도 10d, 도 11c 및 도 11d에 도시되고 설명된 시스템은, 윤활제(L)가 고압 펌프(150')를 통해서 끌어 당겨질 때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 16b', 16b'')에서 타이어(T) 및/또는 휠(W) 상으로 윤활제를 토출하는 프로세스 중에, 윤활제를 가압하는 것에 의해서, 윤활제(L)의 온도를 내재적으로 증가시키는 고압 펌프(150')를 포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윤활제(L)의 온도가 상승될 때, 윤활제(L)는 점도 전이(예를 들어, 실질적으로 페이스트 윤활제(L)로부터의 실질적으로 액체 윤활제(L)로의 변화)를 겪으며, 그에 따라, 윤활제(L)를,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 중 하나 이상에서 타이어(T) 및 휠(W) 중 하나 이상에의 특별한 침착(예를 들어, "분무") 도포의 도포기(S)(예를 들어, 분무 노즐)로부터 토출되기에 더 적합한 상태가 되게 한다. 그에 따라, 윤활제(L)의 점도 전이가 발생될 수 있게 함으로써, 분무 노즐(S)로부터의 윤활제(L) 분무를 위해서 구비된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 및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 중 하나 이상은, 제1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에서 배열된 특별한(예를 들어, 점도) 윤활제(L)로 제한되지 않을 수 있고; 따라서, 고압 펌프(150')의 포함의 결과로서 윤활제(L)의 점도 전이의 발생을 허용함으로써, 예를 들어, 제1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에서 (예를 들어, 반-고체 페이스트 윤활제와 같은) 비-액체 물질 상태를 가지는 윤활제(L)가, 윤활제(L) 분무를 위해서 구비된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 및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 중 하나 이상에 의해서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0c, 도 10d, 도 11c 및 도 11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체-이동 디바이스(150')를 도포기(S)에 유체적으로-연결하는 도관이 도시되어 있고; 그러한 도관은, 도관이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134c 내지 134d'''''')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하나 이상의 가열 요소 및 제어기(108c 내지 108d'''''')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온도 센서(136c 내지 136d'''''')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윤활제(L)가 도관을 통해서 이동될 때 윤활제(L)의 온도가 유지될 수 있다는 점에서, 도관 부재(132c 내지 132d'''''')와 실질적으로 유사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임의의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c 내지 100d'''''')을 포함하는 유체 회로(200)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도시되어 있다. 유체 회로(200)는 일반적으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c 내지 100d'''''')의 상류에 연결된 윤활제 공급 시스템(150),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c 내지 100d'''''')의 하류 및 도포기(S)의 상류에 연결된 윤활제 퍼지 시스템(175)을 포함한다. 유체 회로(200)는 또한 도포기(S)에 근접 배열된 윤활제 출력 검출 부분(185)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의 개시 내용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윤활제 공급 시스템(150), 윤활제 퍼지 시스템(175) 및 윤활제 출력 검출 부분(185)의 각각은 제어기(108c 내지 108d'''''')에 통신 가능하게-커플링된다.
윤활제 공급 시스템(150)은 윤활제 공급 용기(152), 및 윤활제 공급 용기(152)를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c 내지 100d'''''')의 윤활제 저장부(102c 내지 102d'''''')에 의해서 형성된 윤활제 공급 포트(138)에 유체적으로 연결하는 윤활제 공급 도관(154)을 포함한다. 윤활제 공급 도관(154)은, 윤활제 공급 용기(152) 내에 수용된 윤활제(L)가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c 내지 100d'''''')의 윤활제 저장부(102c 내지 102d'''''')의 공동(105c 내지 105d'''''')에 이송될 수 있게 하는 펌프(156)를 포함한다. 일부 경우에, 윤활제량 검출 디바이스(140)가 공동(105c 내지 105d'''''')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윤활제량 검출 디바이스(140)에 통신 가능하게-커플링된 제어기(108c 내지 108d'''''')의 결과로서) 공동(105c 내지 105d'''''') 내에 배치된 윤활제(L)의 양이 미리 결정된 레벨까지 떨어졌다는 것을 제어기(108c 내지 108d'''''')가 결정할 때, 제어기(108c 내지 108d'''''')는 펌프(156)에 신호를 전송하여, 윤활제 공급 용기(152) 내에 수용된 윤활제(L)가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c 내지 100d'''''')의 윤활제 저장부(102c 내지 102d'''''')의 공동(105c 내지 105d'''''')으로 전송되게 할 수 있다.
전술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c 내지 100d'''''')의 임의의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c 내지 104d'''''')와 유사하게, 윤활제 공급 시스템(150)은 또한, 윤활제 공급 용기(152) 내에 배치된 윤활제(L)의 온도를 유지, 증가 또는 감소시키기 위한 윤활제 온도 조절기(158)를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윤활제 온도 조절기(158)는 윤활제 공급 용기(152) 내에 배치될 수 있고 윤활제 공급 용기(152) 내에 배치된 윤활제(L)와 직접 접촉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윤활제 공급 시스템(150)은 또한, 윤활제 공급 용기(152) 내에 배치된 윤활제(L)의 양을 검출하는 윤활제량 검출 디바이스(160)를 포함할 수 있다. 윤활제량 검출 디바이스(160)는 제어기(108c 내지 108d'''''')에 통신 가능하게-커플링될 수 있고, (윤활제량 검출 디바이스(160)에 통신 가능하게-커플링된 제어기(108c 내지 108d'''''')의 결과로서) 윤활제 공급 용기(152) 내에 배치된 윤활제(L)의 양이 미리 결정된 레벨까지 떨어졌다는 것을 제어기(108c 내지 108d'''''')가 결정할 때, 제어기(108c 내지 108d'''''')는 (예를 들어, 가청 소리, 점등 조명, 등을 생성하는) 경고 디바이스를 작동시켜, 윤활제 공급 용기(152)를 부가적인 윤활제(L)로 재충진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조작자에게 알릴 수 있다.
윤활제 퍼지 시스템(175)은,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c 내지 126d'''''') 및 윤활제 저장부(102c 내지 102d'''''')에 의해서 형성된 유체 연통 포트(124c 내지 124d'''''')에 유체적으로-연결된 도관 부재(132c 내지 132d'''''') 모두에 유체적으로-연결된 퍼지 도관 부재(178)를 포함한다. 퍼지 도관 부재(178)는, 퍼지 도관 부재(178)가 도관 부재(132c 내지 132d'''''')의 근위 단부(132c1 내지 132d1'''''')의 하류에 그리고 도관 부재(132c 내지 132d'''''')의 원위 단부(132c2 내지 132d2'''''')의 상류에 배열되도록, 도관 부재(132c 내지 132d'''''')에 유체적으로-연결된다.
퍼지 도관 부재(178)는, 제어기(108c 내지 108d'''''')에 통신 가능하게-커플링된 복수의 밸브(180, 182, 184)를 포함한다. 밸브(180)는 퍼지 도관 부재 가압 밸브로서 지칭될 수 있다. 밸브(182)는 윤활제 퍼지 저장부 접근 밸브로서 지칭될 수 있다. 밸브(184)는 도포기 접근 밸브로서 지칭될 수 있다.
퍼지 도관 부재 가압 밸브(180)는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c 내지 126d'''''')의 하류에 배열되고,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c 내지 126d'''''')으로부터 퍼지 도관 부재(178) 내로의 가압 유체의 이동을 허용하거나 방지할 것이다. 윤활제 퍼지 저장부 접근 밸브(182)는 도관 부재(132c 내지 132d'''''')의 근위 단부(132c1 내지 132d1'''''') 및 퍼지 도관 부재 가압 밸브(180) 모두의 하류에 배열된다. 윤활제 퍼지 저장부 접근 밸브(182)는 또한 윤활제 퍼지 저장부(176)의 상류에 배열된다. 도포기 접근 밸브(184)는 도관 부재(132c 내지 132d'''''')의 근위 단부(132c1 내지 132d1'''''') 및 퍼지 도관 부재 가압 밸브(180) 모두의 하류에 배열된다.
윤활제 퍼지 시스템(175)은 이하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기능할 수 있다. 일부 상황에서, 유체 회로(200)의 이전의 사용 후에 이전에 온도-조절된 윤활제가 도관 부재(132c 내지 132d'''''') 내에 남아 있는 경우에, 이전에 온도-조절된 윤활제는 대략적으로 실온으로 복귀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도관 부재(132c 내지 132d'''''') 내의 장애 또는 막힘을 생성할 가능성이 있다. 그에 따라, 유체 회로(200)의 이전의 이용 이후에, 이전에 온도-조절된 윤활제를 도관 부재(132c 내지 132d'''''')로부터 그리고 윤활제 퍼지 저장부(176) 내로 배출하기 위해서, 그에 의해서 후속 장애 또는 막힘 가능성을 제거하기 위해서, 윤활제 퍼지 시스템(175)이 작동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도관 부재(132c 내지 132d'''''') 내에 남아 있는 윤활제를 퍼지하는 것이 요구되는 상황에서, 제어기(108c 내지 108d'''''')는 밸브(180, 182, 184)의 배향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에서, 윤활제 퍼지 시스템(175)이 다음과 같이 동작될 수 있다. 첫 번째로, 제어기(108c 내지 108d'''''')는 (1) 퍼지 도관 부재 가압 밸브(180)를 폐쇄 배향으로, (2) 윤활제 퍼지 저장부 접근 밸브(182)를 개방 배향으로, 그리고 (3) 도포기 접근 밸브(184)를 폐쇄 배향으로 배열할 수 있다. 이어서, 제어기(108c 내지 108d'''''')는 퍼지 도관 부재 가압 밸브(180)를 개방 배향으로 배열하여, 도관 부재(132c 내지 132d'''''') (및 그 내부에 배치된 이전에 온도-조절된 윤활제)를, 가압 유체의 공급원(126c 내지 126d'''''')으로부터 발생된 가압 유체에 노출시킬 수 있다. 가압 유체는 먼저 퍼지 도관 부재(178)에 진입하고 후속하여 도관 부재(132c 내지 132d'''''') 내로 진입하며, 그에 따라, 개방 배향으로 배열된 윤활제 퍼지 저장부 접근 밸브(182)의 결과로서, 도관 부재(132c 내지 132d'''''') 내에 배치된 이전에 온도-조절된 윤활제가 윤활제 퍼지 저장부(176) 내로 배출된다. 도포기 접근 밸브(184)가 폐쇄 배향으로 배열되기 때문에, 도관 부재(132c 내지 132d'''''') 내에 배치된 이전에 온도-조절된 윤활제가 도포기(S)를 향해 이동되는 것이 방지되나; 일부 경우에, 조작자가 도포기(S)를 개방 배향으로 선택적으로 배열하고 그에 의해서, 이전에 온도-조절된 윤활제를 윤활제 퍼지 저장부(176) 내로 방출하는 것에 더하여, 이전에 온도-조절된 윤활제를 도포기(S)의 외부로 퍼지하게 선택할 수 있도록, (윤활제 퍼지 저장부 접근 밸브(182)와 실질적으로 유사한 방식으로) 도포기 접근 밸브(184)를 개방 배향으로 배열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할 수 있다. 전술한 윤활제-퍼징 프로세스의 완료 시에, 이어서 제어기(108c 내지 108d'''''')는: 유체 회로(200)의 후속 이용을 위해서, (1) 퍼지 도관 부재 가압 밸브(180)를 폐쇄 배향으로 복귀시킬 수 있고, (2) 윤활제 퍼지 저장부 접근 밸브(182)를 폐쇄 배향으로 배열할 수 있고, 그리고 (3) 도포기 접근 밸브(184)를 개방 배향으로 배열할 수 있다. 윤활제 퍼지 저장부 접근 밸브(182)를 폐쇄 배향으로 배열하는 것에 의해서, 유체 회로(200)의 후속 이용 중에, 온도 조절된 윤활제는 윤활제 퍼지 저장부(176) 내로 유동되는 것이 방지되고, 그 대신에, 개방 배향으로 배열된 도포기 접근 밸브(184)의 결과로서, 도포기(S)를 향해서 유동된다.
도 12를 계속 참조하면, 윤활제 출력 검출 부분(185)은 제어기(108c 내지 108d'''''')에 통신 가능하게-커플링된 윤활제 분무 센서(186)를 포함한다. 윤활제 분무 센서(186)는, 도포기(S)가 휠(W) 상에 윤활제를 분무하는 지의 여부, 및, 일부 경우에,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a, 100a', 100b, 100b', 100b'', 100b''', 100b'''', 100b''''', 100b'''''', 100c, 100c', 100d, 100d', 100d'', 100d''', 100d'''', 100d''''', 100d'''''')에서 윤활제가 고갈되었는지의 여부, 또는, 도포기(S)가 윤활제에 의해서 막혀 도포기(S)로부터의 윤활제의 완전한 유동을 효과와 관련하여 중단 또는 방지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고, 윤활제 분무 센서(186)는 윤활제 분무의 결여 또는 부재를 검출할 것이고 검출된 조건을 제어기(108c 내지 108d'''''')에 통신할 것이다. 그러한 신호를 제어기(108c 내지 108d'''''')에서 수신할 때, 제어기(108c 내지 108d'''''')는, 조작자가 분무 문제를 해결할 때까지, 분무 동작을 중단시킬 수 있다.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임의의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a, 100a', 100b, 100b', 100b'', 100b''', 100b'''', 100b''''', 100b'''''', 100c, 100c', 100d, 100d', 100d'', 100d''', 100d'''', 100d''''', 100d'''''')에 유체적으로-연결된 도포기(S)를 이용하는 방법이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라 설명되고; 일부 경우에, 도포기(S)는 이하와 같이 제어기(108c 내지 108d'''''')에 통신 가능하게-연결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자동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도포기(S)는, 주기를 기반으로 솔레노이드 밸브를 자동적으로 개방 및 폐쇄하는 전기 펄스(300)(예를 들어, 도 13의 듀티 사이클 펄스 참조)를 수신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듀티 사이클(300)은, 약 10 밀리초의 온 및 약 30 밀리초의 오프와 같은, 듀티 사이클 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의 주기적인 개방 및 폐쇄는,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휠(W)의 원주의 적어도 일부 상에 배치된 윤활제의 주기적 분무 패턴(325)을 초래한다. 예에서, 분무 패터(spray patter)(325)는 복수의 대각선 방향으로-배열된(예를 들어, 도 14의 각도(θ) 참조) 타원형 지역(350)을 포함하고, 각각의 타원형 지역(350)은 장축(X1) 및 단축(Y1)에 의해서 형성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타원형 지역들(350)의 후행 연부(350a) 및 선행 연부(350b)가 약간 중첩된다. 각각의 타원형 지역(350)의 형상 및 휠(W)의 전체 원주 상의 각각의 타원형 지역(350)의 배치의 목적은, 휠(W)에 대한 윤활제의 '과다-도포'가 없이, 휠(W)에 도포되는 윤활제 양의 감소에 기여하기 위한 것이다. 일부 경우에, 윤활제가 과다-도포되는 경우에, 폐기되는 윤활제 재료로부터 바람직하지 못한 비용이 발생될 수 있고; 또한 윤활제가 과다-도포된 경우에, 부가적인 윤활제가 추후에 휠(W)의 비드 시트(WSU, WSL)와 타이어(T)의 비드(TBU, TBL) 사이에 포획될 수 있고, 그에 의해서 포획된 윤활제를 제거하기 위한 후속 프로세싱 과정이 요구되고, 이는 생산 시간을 연장시켜 생산비 증가에 기여한다. 그에 따라, 타이어(T)를 휠(W)에 결합하기 위해서 타이어(T)가 휠(W)을 가로질러 활주될 때, 타이어(T)를 휠(W)에 윤활 장착하는 것을 돕기 위해서, 타이어(T)의 비드(TBU, TBL)가 예를 들어 휠(W)의 전체 원주를 가로질러 윤활제를 와이핑함에 따라, 타이어(T)의 비드(TBU, TBL)는 최소량의 윤활제로 적절하게 윤활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타이어(T)의 비드(TBU, TBL)가 휠(W)을 가로질러 윤활제를 와이핑함에 따라, 타원형 패턴(350)의 이웃하는 후행 연부(350a) 및 선행 연부(350b)의 중첩 배열은, 타이어-휠 윤활 장착 과정 중에 윤활되는 휠(W)의 원주 주위의 각각의 타원 패턴(350) 사이에 간극을 초래한다. 또한, 타원형 지역(350)의 대각선 방향-배열(θ)은, 타이어(T)의 비드(TBU, TBL)가 휠(W)을 가로질러 윤활제를 와이핑할 때, 휠(W)에 걸친 윤활제의 와이핑에 대해서 개선된 균일성을 제공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일부 예에서, 타원형 패턴(350)의 대각선 방향 배열을 형성하는 각도(θ)는 약 30°내지 약 45°사이의 임의 각도일 수 있다.
분무 패턴(325)은 예를 들어: (1) 휠(W)을 회전시키고 도포기(S)를 공간적으로 제 위치에서 유지하는 것, (2) 휠(W)을 공간적으로 제 위치에서 유지하고 도포기(S)를 휠(W)의 원주 주위로 이동시키는 것, 그리고 (3) 휠(W)을 회전시키고 도포기(S)를 휠(W)의 원주 주위로, 그러나 반대 방향으로, 공간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휠(W)의 원주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도포기(S)에 의해서 분무되는 동안 휠(W)이 회전된다면, 예를 들어 휠의 전체 원주가 윤활제로 분무되는 경우에, 휠(W)의 회전량이 도포기(S)의 수에 의해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도포기(S)가 포함된다면, 휠(W)은 360°회전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2개의 도포기(S)가 포함된다면(, 그리고 도포기가 서로에 대해 바로 맞은편에 배열된다면) 휠(W)은 180°회전될 수 있다.
도 18a 및 도 18b를 참조하면, 일부 구현예에서, 임의의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 100c 내지 100d'''''')의 상류에 유체적으로 연결된 윤활제 공급 시스템(1500)은, 윤활제(L)를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에 분배하기 전에, 윤활제(L)를 거품화 또는 교반시키도록 동작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윤활제(L)는 일반적으로 제1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의 저온에 있는 동안 실질적으로 반-고체(예를 들어, "페이스트") 물질 상태이고, 그에 따라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에 분배하기에(예를 들어, 펌프(1560)를 통해서 펌핑하기에) 적합하지 않다. 도 12에 도시된 윤활제 온도 조절기(158)가, 윤활제(L)를 윤활제 공급 시스템(1500)으로부터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으로 분배할 수 있도록 윤활제의 온도를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서, 윤활제(L)의 점도를 낮추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방식으로 윤활제(L)를 예열하는 것은, 윤활제(L)를 예열하는데 필요한 에너지 소비로 인해서 비용 증가를 유발할 뿐만 아니라, 윤활제(L)를 윤활제 공급 시스템(1500)으로부터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으로 운송(예를 들어, 펌핑)하기에 적합한 온도까지 윤활제(L)의 온도를 높이는데 필요한 시간량의 증가를 유발한다. 예를 들어, 윤활제 공급 시스템(1500)에서 윤활제(L)를 예열하는 것은, 윤활제(L)가 분배에 적합한 온도에 도달할 때까지, 타이어-휠 조립체(TW)를 형성하는 다른 하위-스테이션(12 내지 24, 12' 내지 24', 12'' 내지 24'') 중 하나 이상이 공회전하게 할 수 있다.
윤활제 공급 시스템(1500)은,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에 분배되는 소정량의 윤활제(L)를 저장하는 용기(1502)를 포함한다. 용기(1502)는 공급자로부터의 윤활제(L)를 수용하는 금속 드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기(1502)는 15 갤런의 원통형 스틸 드럼을 포함할 수 있다. 윤활제(L)가 저온(예를 들어, "상온") 용기로부터 분배될 수 있게 하기 위해서, 윤활제(L)를 거품화 또는 블렌딩하기 위해서 거품화 디바이스(1510)가 용기(1502) 내로 삽입되고, 그에 따라 윤활제(L)는 실질적으로 반-고체(예를 들어, "페이스트") 상태로부터 거품화-전 상태보다 덜 점성적인 거품화된 상태로 변환된다. 거품화 디바이스(1510)는, 용기(1502) 내에 저장되어 있는 동안 윤활제(L)를 거품화 또는 블렌딩하기에 충분한, 기계적 교반장치, 블렌더, 교반기, 또는 공기 기포기와 같은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a를 참조하면, (교반이라고도 알려진) 거품화 디바이스(1510)는 저온 윤활제(L)를 반-고체(예를 들어, "페이스트") 상태로부터 거품화된 상태로 거품화 또는 블렌딩하기 위해서 모터(1514)에 의해서 구동되는 임펠러(1512)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임펠러(1512)는 용기(1502)의 하단에 근접하여 삽입된 샤프트(1516)의 단부에 연결될 수 있는 한편, 샤프트(1516)의 타단부에 연결된 모터(1514)는 임펠러(1512)를 구동시킬 수 있고, 그에 의해서 임펠러(1512)가 윤활제(L)와 접촉되게 하여, 윤활제(L)를 거품화된 상태로 적절하게 거품화 또는 블렌딩하는 방식으로 격렬하게 회전시킨다. 다른 구성에서, 거품화 디바이스(1510)는, 윤활제(L)의 상태가 거품화된 상태로 변환되도록 용기(1502) 내에 저장된 윤활제(L)를 거품화, 블렌딩, 또는 달리 상당히 교반하기 위해서 진동 또는 요동 운동되도록 동작될 수 있으면서 용기(1502)를 지지 및 보유하는 요동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거품화 디바이스(1510)는, 용기(1502) 내로 삽입되고 윤활제(L)를 반-고체 상태로부터 거품화된 상태로 거품화 또는 블렌딩하기 위해서 윤활제(L)를 통해서 초음파 충격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초음파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거품화 디바이스(1510)는 수동적으로 동작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거품화 디바이스(1510)는, 용기(1502) 내로 삽입되도록 그리고 용기(1502)가 윤활제 공급 스테이션(1500)에 수용될 때 윤활제(L)를 거품화된 상태로 거품화하도록, 자동화될 수 있다.
용기(1502) 내에 저장된 윤활제(L)를 거품화된 상태로 거품화할 때, 저온 윤활제(L)의 점도가 낮아지고 용기(1502)로부터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으로의 분배에 적합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이 윤활제(L)를 제1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로부터 제2 온도(예를 들어, "상온"보다 높은 온도)로 가열하여,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의 하나 이상에서 타이어(T) 및 휠(W) 중 하나 이상에, 윤활제(L)를 분무 노즐(S)로부터 침착("예를 들어, 분무")하기에 더 적합한 실질적으로 액체인 상태로, 윤활제(L)를 변환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비-거품화된 윤활제(L)의 일부가, 배치식으로(batch) 또는 (예를 들어, 전기 펌핑에 의해서) 연속적으로, 윤활제 공급 시스템(1500)의 용기(1502)로부터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 100c 내지 100d'''''')의 임의의 윤활제 저장부(102, 102c 내지 102d'''''')로 직접적으로, 운송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윤활제 저장부(102)는, 윤활제 공급 시스템(1500)에서 용기(1502)에 의해서 형성된 부피보다 작은, 윤활제(L)를 유지하기 위한 부피를 형성한다. 따라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은, 윤활제(L)의 온도를 제1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로부터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까지 변화(예를 들어, 증가)시키기 위해서, 적절한 윤활제 온도 조절기(예를 들어, "가열기")(104c, 104d'''''')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8b를 참조하면, 일부 구현예에서, 윤활제 공급 시스템(1500)은, 윤활제(L)를 예열하지 않고, 윤활제(L)의 일부를 거품화된 상태로 용기(1502)로부터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으로 분배하도록 구성된 펌프(1560)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윤활제(L)를 반-고체 상태로부터 거품화된 상태로 변환하기 위해서 거품화 디바이스(1510)로 윤활제(L)를 블렌딩 또는 거품화하는 것은, 윤활제(L)가 저온(예를 들어, "상온")의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 내로 펌핑될 수 있게 한다. 펌프(1560)는, 용기(1502) 내로 삽입된 제1 단부 및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c 내지 100d'''''')의 윤활제 저장부(102c 내지 102d'''''')에 의해서 형성된 (도 12에 또한 도시된) 윤활제 공급 포트(138)에 유체적으로 커플링된 제2 단부를 포함하는, (도 12에 또한 도시된) 윤활제 공급 도관(154)과 연관된다. 펌프(1560)의 동작 중에, 거품화된 상태의 윤활제(L)의 일부가 용기(1502)의 외부로 펌핑되고 윤활제 공급 도관(154)을 통해서 윤활제 저장부(102c 내지 102d'''''')로 분배 또는 운송된다. 일부 구현예에서, 펌프(1560)는, 윤활제(L)의 상단 표면 상에서 저장 용기(1502) 내에 수용되는 원주방향 디스크(1564)를 포함하는 피스톤-유형의 펌프이고, 그러한 원주방향 디스크는 윤활제 공급 도관(154)(및 용기(1502)에 대해서) 하향 병진운동되어, 거품화된 상태의 윤활제(L)의 적어도 일부가 윤활제 공급 도관(154) 내로 그리고 용기(1502)의 외부로 유동되어 윤활제 저장부(102c 내지 102d'''''')로 분배되게 한다. 일부 예에서, 펌프(1560)는, 윤활제(L)를 용기(1502) 외부로 펌핑하기 위해서 원주방향 디스크(1564)가 윤활제 공급 도관(154)에 대해서 병진운동되게 하는 원동기를 포함한다. 다른 예에서, 펌프(1560)는, 윤활제(L)를 용기(1502) 외부로 펌핑하기 위해서 원주방향 디스크(1564)가 윤활제 공급 도관(154)에 대해서 병진운동되게 하는, 외부 전원 또는 배터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기 모터를 포함한다. 원주방향 디스크(1564)는 용기(1502)의 내부 원주방향 표면과 함께 유밀 밀봉부를 생성하는 직경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성에서, 윤활제 공급 시스템(1500)은 윤활제(L)를 용기(1502)의 외부로 끌어 당기는데 적합한 하나 이상의 다른 유형의 펌프 이외의 디바이스를 이용할 수 있다. 윤활제 공급 시스템(1500)은 또한, 용기(1502) 내에 저장된 윤활제(L)의 양을 검출하는 도 12의 윤활제량 검출 디바이스(1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8b는 용기(1502)의 부피보다 작은 부피를 형성하는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 100c 내지 100d'''''')의 윤활제 저장부(102, 102c 내지 102d'''''')를 도시하고, 그에 따라 윤활제 저장부(102, 102c 내지 102d'''''')는, 용기(1502) 내에 저장된 윤활제(L)의 양보다 적은 양의, 용기(1502)로부터 수용된, 윤활제(L)의 양을 포함한다. 따라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 100c 내지 100d'''''')은, 윤활제 저장부(102, 102c 내지 102d'''''') 내의 윤활제(L)의 온도를 제1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로부터 제2 온도(예를 들어, "실온"/"상온"보다 높은 온도)까지 변화시키기 위해서, 윤활제 온도 조절기(104c 내지 104d'''''')(예를 들어, "가열기")를 이용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도 12의 유체 회로(200)는 윤활제 공급 시스템(150)을 윤활제 공급 시스템(1500)으로 교체하며, 그러한 윤활제 공급 시스템(1500)은, 윤활제(L)가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으로 분배되기 전에, 윤활제(L)를 거품화된 상태로 예비-거품화 또는 블렌딩하기 위한 거품화 디바이스(1510)를 이용한다.
도 19를 참조하면, 개략도(1900)는,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과 유체 연통되는 윤활제 공급 시스템(1500), 및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a'') 및/또는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16b', 16b'')과 유체 연통되는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을 도시한다. 윤활제 공급 시스템(1500)은 소정량의 윤활제(L)를 저장 용기(1502) 내에서 실질적으로 반-고체(예를 들어, "페이스트") 상태로 저장하고, 거품화 디바이스(1510)가 용기(1502) 내로 삽입되고, 그에 의해서 거품화 디바이스(1510)는 소정량의 윤활제(L)를 실질적으로 반-고체 상태로부터 거품화된 상태로 예비-거품화 또는 블렌딩하도록 제어된다. 그 후에, 윤활제 공급 시스템(1500)의 펌프(1560)는 저온(예를 들어, "상온")의 소정량의 윤활제(L)의 일부를 용기(1502)의 외부로 펌핑하고, 윤활제(L)를 윤활제 공급 도관(154)을 통해서 윤활제 공급 시스템(1500)에 제공한다.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은 전술한 가열 기술 중 임의의 기술을 이용하여 제1 온도로부터 제2 온도까지 윤활제(L)의 온도를 높일 수 있다. 이제 실질적으로 액체화된 윤활제(L)를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으로부터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 16b', 16")으로 끌어 당기기 위해서, 유체-이동 디바이스(예를 들어, 펌프)(150)가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100)과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 16b', 16") 사이에 배열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유체-이동 디바이스(150)는 윤활 하위-스테이션(16a, 16", 16b', 16")의 도포기(S)로부터 윤활제(L)를 분배한다. 일부 예에서, 도포기(S)는 휠(W) 및/또는 타이어(T) 상에 윤활제(L)를 분무/비산시키도록 동작 가능한 분무 노즐을 포함한다.
본 발명이 특정 예시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을 전술한 예시적인 실시예의 형태와 다른 특정 형태로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쉽게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이러한 것이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에서 도시된 모든 실시예는 (로봇 아암을 이용한) 휠 결합 및 휠에 타이어를 장착하기 위한 휠의 조작을 도시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범위를 휠에 타이어를 장착하기 위한 휠의 조작만으로 제한하는 것으로 본원에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예시적인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고, 어떠한 방식으로도 제한적인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에 의해서가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 및 그 균등물에 의해서 규정된다.

Claims (20)

  1. 시스템이며:
    타이어-휠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해서 타이어 및 휠을 결합하기에 앞서서, 타이어 및 휠 중 적어도 하나를 프로세스하도록 동작될 수 있고,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 또는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스테이션; 및
    프로세싱 스테이션과 유체 연통되는 윤활제 공급 시스템을 포함하고, 윤활제 공급 시스템은:
    윤활제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저장 용기;
    저장 용기에 의해서 수용되고 윤활제를 교반시켜 윤활제를 반-고체 상태로부터 덜 점성적인 상태로 변화시키도록 동작 가능한 교반 디바이스; 및
    윤활제를 덜 점성적인 상태로 저장 용기의 외부로 펌핑하도록 동작 가능한 펌프를 포함하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윤활제 공급 시스템 및 프로세싱 스테이션과 유체 연통되는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을 더 포함하고,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은:
    저장 용기로부터 거품화된 상태의 윤활제를 수용하도록 동작 가능한 윤활제 저장부;
    윤활제 저장부에 근접 배열된 윤활제 온도 조절기;
    윤활제 저장부 내에 배열되고 윤활제 저장부 내에 수용된 윤활제의 온도를 측정하도록 동작 가능한 윤활제 온도 센서; 및
    윤활제 온도 조절기 및 윤활제 온도 센서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된 제어기로서, 제어기는, 윤활제 온도 센서에 의해서 측정된 윤활제의 온도를 기초로, 윤활제의 온도를 제1 온도로부터 제1 온도 보다 높은 제2 온도로 변화시키기 위해서 윤활제 온도 조절기를 제어하도록 동작될 수 있는, 제어기를 포함하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윤활제 공급 시스템의 펌프는, 윤활제가 제1 온도에 있을 때, 거품화된 상태의 윤활제를 저장 용기의 외부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의 윤활제 저장부로 펌핑하는,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제1 온도가 상온 또는 실온을 포함하는, 시스템.
  5. 제2항에 있어서,
    윤활제 저장부는 저장 용기에 의해서 형성된 부피보다 작은 부피를 형성하는,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윤활 컨디셔닝 시스템은, 윤활제 저장부 내에 배열되고 제어기에 동작 가능하게 커플링되는 윤활제 이동 디바이스를 더 포함하고, 윤활제 이동 디바이스는, 윤활제가 제2 온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때, 윤활제 저장부로부터 프로세싱 시스템으로 윤활제를 운송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거품화 디바이스가:
    윤활제와 접촉되는, 저장 용기 내로 삽입되는 샤프트의 제1 단부에 부착된 임펠러;
    샤프트의 제2 단부에 부착되고 임펠러에 기계적으로 커플링되는 모터로서, 임펠러를 구동시켜 윤활제의 거품화 또는 블렌딩을 유발하도록 구성되는, 모터를 포함하는,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거품화 디바이스는 저장 용기를 보유 및 지지하도록 구성된 요동 장치를 포함하고, 요동 장치는 진동 또는 요동 운동되도록 동작되어 윤활제를 거품화된 상태로 거품화 또는 블렌딩하는, 시스템.
  9. 제1항에 있어서,
    거품화 디바이스는 윤활제를 거품화된 상태로 거품화 또는 블렌딩하기에 적합한 기계적 교반장치, 블렌더, 교반기, 초음파 디바이스, 또는 공기 기포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시스템.
  10. 제1항에 있어서,
    윤활제 공급 시스템의 펌프는 엔진 또는 모터에 의해서 구동되는 피스톤-유형의 펌프를 포함하는, 시스템.
  11. 제1항에 있어서,
    저장 용기가 원통형 드럼을 포함하는, 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윤활제 공급 시스템의 펌프는 윤활제의 상단 표면 상에서 저장 용기 내에 수용되는 원주방향 디스크를 포함하고, 원주방향 디스크는 저장 용기에 대해서 병진운동되도록 동작되어 윤활제를 윤활제 공급 도관을 통해서 저장 용기의 외부로 펌핑할 수 있는,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원주방향 디스크는 저장 용기의 내부 원주방향 표면과 함께 유밀 밀봉부를 생성하도록 동작될 수 있는 직경을 포함하는, 시스템.
  14. 윤활제를 미리-거품화하기 위한 방법이며:
    거품화 디바이스를 소정량의 윤활제를 포함하는 저장 용기 내로 삽입하는 단계;
    윤활제를 반-고체 상태로부터 거품화된 상태로 거품화 또는 블렌딩하기 위해서 거품화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단계;
    펌프를 이용하여 소정량의 윤활제의 일부를 거품화된 상태로 저장 용기로부터 외부로 펌핑하는 단계로서, 펌프는 저장 용기 내로 삽입되고 소정량의 윤활제와 유체 연통되는, 단계; 및
    타이어-휠 조립체를 형성하기 위해서 타이어 및 휠을 결합하기에 앞서서, 타이어 및 휠 중 적어도 하나를 프로세스하도록 동작될 수 있는 프로세싱 스테이션에 윤활제를 제공하는 단계로서, 프로세싱 스테이션은 타이어 윤활 하위-스테이션 또는 휠 윤활 하위-스테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윤활제를 프로세싱 스테이션에 제공하기에 앞서서, 소정량의 윤활제의 외부로 펌핑된 부분을 거품화된 상태로 윤활제 저장부에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윤활제 저장부는:
    윤활제 저장부 내에 배치된 윤활제 온도 조절기를 이용하여 윤활제의 온도를 제1 온도로부터 제1 온도보다 높은 제2 온도로 높이도록; 그리고
    윤활제를 프로세싱 시스템에 제공하도록 동작될 수 있는,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거품화된 상태로 소정량의 윤활제의 일부를 외부로 펌핑하는 단계는, 윤활제가 제1 온도에 있을 때, 소정량의 윤활제의 일부를 거품화된 상태로 저장 용기로부터 윤활제 저장부로 외부로 펌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7. 제15항에 있어서,
    윤활제 저장부는 저장 용기에 의해서 형성된 부피보다 작은 부피를 형성하는, 방법
  18. 제14항에 있어서,
    거품화 디바이스는:
    소정량의 윤활제와 접촉되는, 저장 용기 내로 삽입되는 샤프트의 제1 단부에 부착된 임펠러; 및
    샤프트의 제2 단부에 부착되고, 임펠러를 구동시켜 윤활제의 거품화 또는 블렌딩을 유발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방법.
  19. 제14항에 있어서,
    거품화 디바이스는 윤활제를 거품화된 상태로 거품화 또는 블렌딩하기에 적합한 기계적 교반장치, 블렌더, 교반기, 요동 디바이스, 초음파 디바이스, 또는 공기 기포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소정량의 윤활제의 일부를 거품화된 상태로 외부로 펌핑하는 단계는, 펌프와 연관되고 거품화된 상태의 소정량의 윤활제의 상단에서 저장 용기 내로 삽입되는 원주방향 디스크를 병진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원주방향 디스크를 병진운동시키는 단계는 소정량의 윤활제의 일부가 거품화된 상태로 윤활제 공급 도관을 통해서 저장 용기의 외부로 유동되게 하는, 방법.
KR1020187026365A 2016-02-17 2017-02-14 페이스트 기반의 윤활 시스템 KR201801047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046,221 2016-02-17
US15/046,221 US10143983B2 (en) 2013-06-07 2016-02-17 Paste based lubricating system
PCT/US2017/017782 WO2017142865A1 (en) 2016-02-17 2017-02-14 Paste based lubricating 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4773A true KR20180104773A (ko) 2018-09-21

Family

ID=596253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6365A KR20180104773A (ko) 2016-02-17 2017-02-14 페이스트 기반의 윤활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3416739A4 (ko)
JP (1) JP2019511683A (ko)
KR (1) KR20180104773A (ko)
CN (1) CN109070030A (ko)
BR (1) BR112018016716A2 (ko)
CA (1) CA3014642A1 (ko)
MX (1) MX2018009974A (ko)
WO (1) WO2017142865A1 (ko)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93655A (en) * 1972-07-10 1975-07-08 Union Oil Co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rsing solid particles in a liquid
JPS6044804U (ja) * 1983-08-29 1985-03-29 マツダ株式会社 石けん水塗布装置
AT3682U1 (de) * 1999-01-13 2000-06-26 Steyr Daimler Puch Ag Anordnung mit konzentrisch zueinander angeordneten und relativ zueinander rotierbaren bauteilen und verwendung dieser anordnung bei einer reifenfüllanlage
US6758250B2 (en) * 2002-05-31 2004-07-06 Michelin Recherche Et Technique S.A. Lubricant release system
US20040218463A1 (en) * 2003-04-30 2004-11-04 Allen Thomas E. Gel mixing system
DE102008018109B4 (de) * 2008-04-09 2010-07-01 Schenck Rotec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gesteuerten Befüllen von montierten Fahrzeugreifen
CA2787729A1 (en) * 2010-01-21 2011-07-28 Rhino Linings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processing and dispensing filled multi-component material
US9140407B2 (en) * 2010-11-29 2015-09-22 Lincoln Industrial Corporation Pump having stirrer and direct feed
US9086186B2 (en) * 2011-10-14 2015-07-21 Lincoln Industrial Corporation System having removable lubricant reservoir and lubricant refilling station
GB201204247D0 (en) * 2012-03-10 2012-04-25 Romax Technology Ltd Overhead tank
US9821615B2 (en) * 2013-06-07 2017-11-21 Android Industries Llc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a lubricating paste to a wheel
CN105268599A (zh) * 2014-07-21 2016-01-27 势威科技(上海)有限公司 轮胎加工设备及利用其实现的轮胎生产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511683A (ja) 2019-04-25
CA3014642A1 (en) 2017-08-24
EP3416739A1 (en) 2018-12-26
BR112018016716A2 (pt) 2018-12-26
EP3416739A4 (en) 2019-09-25
MX2018009974A (es) 2019-01-21
CN109070030A (zh) 2018-12-21
WO2017142865A1 (en) 2017-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33095A1 (en) Foaming soap dispensers
JP5425075B2 (ja) モジュール式飲料分配システム用モジュール
US10675927B2 (en) System and method for applying a lubricating paste to a wheel
TWI504371B (zh) 具有選擇性被加壓匣的泡沫分配器
US20160256016A1 (en) Foaming soap dispensers
US11685343B2 (en) Product metering system
US482814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ensing warm liquid foods
US10143983B2 (en) Paste based lubricating system
KR20180104773A (ko) 페이스트 기반의 윤활 시스템
CN114127007A (zh) 用于分配饮料的系统和方法
JP4166578B2 (ja) バーナーアセンブリの使用方法
JP2004528170A5 (ko)
JP2005007252A (ja) 塗布装置
JP2021505209A (ja) 界面活性剤供給システム
WO2021023224A1 (zh) 用于制冷电器的模块化饮料分配组件
JP4798435B2 (ja) 酵素水生成装置
JP2002079149A (ja) 塗料供給装置
JP4436745B2 (ja) 飲料ディスペンサ
CN208194813U (zh) 一种点胶机
WO2015190942A1 (en) Process of simultaneously dispensing, mixing and transferring liquids and apparatus for the application of the process
MXPA00006335A (es) Metodos y aparatos de dosificacion para productos de acabado de automoviles.
MXPA03009504A (es) Metodo y aparato, con redundancias para tratar partes plasticas de substratos para aceptar pinturas sin usar promotores de adhes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