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2006A - 이동식 장치용 공기 흡입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식 장치용 공기 흡입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2006A
KR20180102006A KR1020180021191A KR20180021191A KR20180102006A KR 20180102006 A KR20180102006 A KR 20180102006A KR 1020180021191 A KR1020180021191 A KR 1020180021191A KR 20180021191 A KR20180021191 A KR 20180021191A KR 20180102006 A KR20180102006 A KR 201801020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filter element
air
air guide
intake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1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토비아스 숄츠
올리버 쿠르츠
울리히 슈탈
아네트 아놀드
볼커 브래운린크
유디스 헤머린크
Original Assignee
칼 프로이덴베르크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칼 프로이덴베르크 카게 filed Critical 칼 프로이덴베르크 카게
Publication of KR20180102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200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 B60H3/0641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near ventilating openings in the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02Casings; Housings; Frame constructions
    • B01D46/0005Mounting of filtering elements within casings, housings or frames
    • B01D46/0008Two or more filter elements not fluidly connected positioned in the same housing
    • B01D46/0019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by adsorption or absorp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B01D46/2403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shape or structur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46/2418Honeycomb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 B01D46/521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filters embodying folded corrugated or wound sheet material using folded, pleat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46/6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connected in s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 B01D53/04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adsorption, e.g. preparative gas chromatography with stationary adsorbents
    • B01D53/0407Constructional details of adsorb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08Filter arrangements in the air stre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58Filt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arrangement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2Carb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10Inorganic adsorbents
    • B01D2253/106Silica or silicates
    • B01D2253/108Zeoli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3/00Adsorbents used in seperation treatment of gases and vapours
    • B01D2253/30Physical properties of adsorbents
    • B01D2253/34Specific shapes
    • B01D2253/342Monoliths
    • B01D2253/3425Honeycomb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30Sulfur compounds
    • B01D2257/302Sulfur ox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40Nitrogen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40Nitrogen compounds
    • B01D2257/406Ammoni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7/00Components to be removed
    • B01D2257/70Organic compou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B01D2257/00 - B01D2257/602
    • B01D2257/708Volatile organic compounds V.O.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59/00Type of treatment
    • B01D2259/45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B01D2259/4566Gas separation or purification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for use in transport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79/0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 B01D2279/40Filters adapt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specially modified for specific uses for cleaning of environmental air, e.g. by filters installed on vehicles or on str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3/0658Filt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arrangement in vehicles
    • B60H2003/0666Filter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arrangement in vehicles the filter element having non-rectangul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6Filtering
    • B60H2003/0691Adsorption filters, e.g. activated carbon

Abstract

본 발명은 이동식 장치용 공기 흡입 시스템(10)에 관한 것이며, 상기 공기 흡입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13), 적어도 하나의 공기 가이드부(4),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14) 및 적어도 2개의 필터 소자(filter element)(1, 2)를 구비한 필터 시스템을 포함하고, 이때 제 1 필터 소자(1) 및 상기 제 1 필터 소자에 대해 별도로 형성된 제 2 필터 소자(2)는 상기 공기 가이드부(4) 내에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이동식 장치용 공기 흡입 시스템{AIR INTAKE SYSTEM FOR MOBILE DEVICE}
본 발명은 이동식 장치용 공기 흡입 시스템에 관한 것이며, 상기 공기 흡입 시스템은 유입구, 적어도 하나의 공기 가이드부, 배출구 및 적어도 2개의 필터 소자(filter element)를 구비한 필터 시스템을 포함한다.
자동차들의 캐빈 공기(cabin air)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 시스템들을 사용하는 것은 공지되어 있다. 유럽 특허 출원서 EP 3 015 155 A1호에는, 흡착 여과 및 입자 여과의 필터 과제들이 하나의 필터 내에 통합되어 있는 필터 시스템이 공지되어 있다. 이 경우, 입자 필터로서 형성된 필터층은 입자 형태의 구성 성분들, 예컨대 먼지 및 꽃가루를 흡입 공기로부터 거른다. 흡착 필터로서 형성된 필터층은 바람직하지 않은 가스 형태의 구성 성분들, 예컨대 오염 가스, 악취, 벤젠 또는 오존을 흡입 공기로부터 거른다.
그에 따라, 이동식 장치용 내부 공간 필터로서 필터 소자의 형성 예에서는 지금까지 필터 기능들이 단 하나의 부품 내에 결합 되었다. 이 경우, 구조적 형태와 관련하여 단 하나의 필터 소자 내에 배치될 수 있는 필터 기능들만이 결합 될 수 있다는 사실이 단점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다양한 여과 과제들에 대하여 다양한 필터 소자들이 최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이동식 장치용 필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제는 청구항 제 1 항의 특징들에 의해 해결된다. 바람직한 형성 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이 인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식 장치용 공기 흡입 시스템은 유입구, 적어도 하나의 공기 가이드부, 배출구 및 적어도 2개의 필터 소자를 구비한 필터 시스템을 포함하고, 이때 제 1 필터 소자 및 상기 제 1 필터 소자에 대해 별도로 형성된 제 2 필터 소자는 상기 공기 가이드부 내에 배치되어 있다.
그럼으로써 상기 공기 가이드부 내에 배치된 필터 소자들의 기능 분리가 이루어짐으로써, 결과적으로 각각의 필터 소자는 상기 필터 소자에 할당된 필터 과제에 최적으로 적응할 수 있다. 상기 필터 소자들이 직렬로 연결됨으로써, 상기 필터 시스템에 의해 흡입 공기의 매우 효율적인 정화가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 시스템은 적어도 3개의 필터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일 형성 예에 따르면, 필터 시스템은 적어도 4개의 필터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사실은 공기 가이드부 내에 전문화된 필터 소자들을 삽입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서로 완전히 다른 다수의 필터 과제가 상기 필터 시스템에 의해 해결될 수 있다. 이 경우, 특히 상기 필터 소자들이 공동으로 장착되거나, 공통의 설치 공간 내에 배치될 필요가 없다. 상기 필터 소자들은 오히려 상기 공기 가이드부 내에 분포하여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필터 소자들은 제공되어 있는 설치 공간에 적응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예를 들어 몇몇 필터 소자들은 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필터 소자는 입자 필터로서 형성될 수 있다. 입자 필터는 서로 다른 크기의 입자 형태의 동반 물질들을 거른다. 본 발명의 개념에서 입자 필터들은 굵은-입자 필터 및/또는 미세-입자 필터일 수 있다.
미세-입자 필터는 작은, 그리고 가장 작은 입자들에 대하여 특히 높은 분리 효율을 갖는 주름 필터(folded filter)이다. 상기 작은, 그리고 가장 작은 입자들에는 예를 들어 분류 PM1 및 PM2.5의 입자 부분들이 포함된다. 미세 먼지(PM1)로서 언급된 먼지 부분 또는 입자 부분은 1.0㎛의 지름을 갖는 50%의 미립자를 함유하고, 더 높은 비율의 더 작은 미립자를 함유하며, 그리고 더 낮은 비율의 더 큰 미립자를 함유한다. 미세 먼지(PM2.5)로서 언급된 먼지 부분 또는 입자 부분은 2.5㎛의 지름을 갖는 50%의 미립자를 함유하고, 더 높은 비율의 더 작은 미립자를 함유하며, 그리고 더 낮은 비율의 더 큰 미립자를 포함한다. 상기 미세-입자 필터는 먼지 부분들(PM1 및 PM2.5)의 입자들을 분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유형의 입자 필터들의 경우, 굵은 입자들이 앞서 예비 필터에 의해 걸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경우에 미세 먼지와 같은 미세 입자들은, 효율적인 여과 성능을 위해 특수하게 설계되어 있는 주름 필터에 의해 걸러질 수 있다.
주름 필터의 바람직한 별도의 형성 예에 의해 압력 손실은 최소로 감소할 수 있고, 동시에 여과 성능은 향상될 수 있다. 흡착 필터와 분리된 미세-입자 필터의 형성 예에 의해 차량 캐빈 내의 공기 질이 현저히 개선되고, 이는 특히 알레르기 환자에게 큰 장점으로 작용한다.
예비 필터와 미세-입자 필터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 미세-입자 필터의 유효 수명이 상당히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예비 필터는 굵은 입자들에 노출되어 있는 반면, 상기 미세-입자 필터는 단지 작고 미세한 입자들에만 노출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미세-입자 필터에 부하가 걸리지 않고, 유효 수명은 연장된다.
이 경우, 바람직한 일 입자 필터는 주름 필터로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주름 필터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층을 포함한다. 부직포로부터 형성된 주름 필터들은 비용 저렴하고 비율적으로 큰 필터 표면으로 인해 높은 여과 성능을 갖는다.
적어도 하나의 필터 소자는 흡착 필터로서 형성될 수 있다. 흡착 필터는 바람직하지 않은 가스 형태의 구성 성분들, 예컨대 오염 가스, 악취, 벤젠 또는 오존을 흡입 공기로부터 거른다.
본 발명의 개념에서 흡착 필터들은 결합 필터, 허니콤 필터(honeycomb filter), 흡착성 퇴적물들, 함침 폼(impregnated foam) 및/또는 제올라이트들일 수 있다.
흡착 필터로서 특히, 잠재적인 입자 여과 특성들 이외에 뛰어난 흡착 특성들을 가질 수 있는 주름진 결합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결합 필터로는 일반적으로, 추가적인 활성탄 층을 갖춘 필터 섬유 층들이 언급된다. 안정화를 위해, 추가 일 필터 섬유 층이 덮개 층으로서 제공되는 경우가 빈번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활성탄 층은 필터층들 사이에 샌드위치 형태로 결합 되어 있다.
높은 흡착 용량에서 특히 낮은 압력 손실이 달성되어야 하는 경우, 허니콤들로도 언급되는 허니콤 필터들이 흡착 필터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채널들이 제공된 상기 유형의 허니콤 필터들은 추가로 흡음 소자들로서 기능 할 수 있다. 상기 유형의 필터는 특히 낮은 공기 저항을 갖는다. 동시에, 채널 벽들에 의해 제한된 다수의 채널에 의해 큰 여과 표면이 주어지고, 상기 큰 여과 표면은 특히 높은 가스 여과 성능을 야기한다. 허니콤 필터는 목표한 공기 저항 및 목표한 가스 흡착 용량의 관점에서 적용 예에 따라 특히 우수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 치수들, 채널들의 길이 및 개수, 그리고 채널들의 횡단 표면이 변경될 수 있다.
상기 허니콤 필터는 세그먼트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다수의 세그먼트가 허니콤 몸체들의 형태로 고정 프레임 내에 고정되어 있고, 허니콤 필터로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허니콤 필터는 바람직하게 활성탄을 포함한다. 상기 허니콤 필터는 완전히 활성탄으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활성탄을 다른 흡착성 재료들과 혼합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특히 이산화규소를 사용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활성탄 또는 활성탄과 이산화규소로 이루어진 혼합물들은 결합제와 혼합되고, 허니콤 필터로 형성된다. 상기 유형의 필터는 바람직하지 않은 가스 형태의 구성 성분들을 제거하기 위해 높은 여과 성능을 갖는다.
바람직한 일 허니콤 몸체 또는 허니콤 필터는 적어도 55중량%의 활성탄을 포함한다. 계속해서 상기 허니콤 필터는 동반 물질들을 함유할 수 있다. 바람직한 동반 물질들은 예를 들어 유리 탄소 및/또는 규산알루미늄이다. 허니콤 몸체의 셀 밀도, 다시 말해 단위 면적당 채널들의 개수는 바람직하게 10 내지 120셀/㎠, 특히 바람직하게 40 내지 95셀/㎠이다.
추가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흡착 필터는 흡착성 퇴적물로도 구현될 수 있다. 이는 특히, 이용 가능한 체적이 다른 구조적 형태에 의해서는 단지 어렵게 채워지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흡착성 퇴적물은 한편으로 관류 되지 않은 수동적인 흡착 화합물로 이용될 수 있고, 이는 압력차의 현저한 증가를 저지한다. 대안적으로 흡착성 퇴적물은 종래의 허니콤 필터에 필적하게 능동적으로 관류 될 수 있다.
상기 흡착 필터는 추가로 함침 폼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성 예는 특히, 설치 공간과 관련하여 단지 평평한 필터 소자만 설치될 수 있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이 경우, 비교적 낮은 압력 손실에서 흡착 특성들 이외에 함침 수단의 장점이 제공될 수 있다.
높은 습도의 영역들 또는 온도 및 습도의 변동이 강한 영역들에서 사용하는 경우, 상기 흡착 필터를 제올라이트-구조로서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형성 예에서 흡착제로부터 바람직하지 않은 가스들의 탈착이 감소하고, 이동식 장치의 내부 공간 환경의 안정화가 달성된다.
일 필터 소자는 예비 필터로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예비 필터는 바람직하게 입자 필터와 직렬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예비 필터에 의해 필터 시스템의 성능이 향상된다. 이 경우, 상기 예비 필터는 굵은-입자 필터, 필터 매트(filter mat), 눈 분리기, 관성 집진 장치(inertial separator), 방충망 또는 낙엽망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예비 필터로서 주름진 굵은-입자 필터들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주름진 굵은-입자 필터들은 굵은 먼지 입자들을 분리하고, 이와 같은 방식으로 굵은 먼지 입자들이 뒤에 연결된 필터 소자들에 지나치게 일찍 부가되는 상황을 방지한다.
주름진 굵은-입자 필터를 위해 충분한 공간을 제공하지 않는 좁은 설치 공간들의 경우, 예비 필터로서, 굵은 먼지 분리 기능을 담당하는 평평한 필터 매트들이 사용될 수도 있다.
폭설이 잦은 영역들에서 사용하는 경우, 상기 예비 필터가 눈 분리기로서 구현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형의 예비 필터는 공기 가이드부 내로, 그리고 그에 따라 후속하는 추가 필터 소자들 내로 눈과 얼음이 유입되는 상황을 방지한다. 눈 분리기로서 형성된 예비 필터에 의해, 강한 폭설 시에도 캐빈의 환기가 충분한 정도로 이루어지도록 보장될 수 있다.
추가 일 실시 형태에서 예비 필터는 관성 집진 장치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는 특히, 흡입 공기 내에 높은 비율의 굵은 먼지가 추정되는 경우에 바람직하다. 상기 관성 집진 장치는 압력차의 현저한 증가를 야기하지 않으면서, 굵은 먼지 입자들을 확실하게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예비 필터는 방충망 또는 낙엽망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이는, 더 큰 예비 필터를 위한 설치 공간이 제공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바람직하다. 방충망 또는 낙엽망은 바람직하게, 공기 가이드부 내에 직접 통합되어 있고, 그에 따라 추가적인 설치 공간을 요구하지 않는 사출 성형 부품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 필터 소자는 기능성 필터로서 형성될 수 있다. 위에 기술된 필터 소자들 중 하나 또는 다수의 필터 소자에 대해 추가적으로 이동식 장치에 적합하게 맞추어진 여과 해결책이 주어진다.
본 발명의 개념에서 기능성 필터 소자들은 항-알레르겐 필터(anti-allergen filter), 방향성 필터, VOC-필터, NOx-필터, SO2-필터, NH3-필터, 알데히드-필터, HEPA 필터, 정전기 필터(electrostatic filter) 또는 전기 필터일 수 있다.
일 기능성 필터는 바람직하게, 과일 산(fruit acid)에 의한 함침 공정에 의해 자체 항-알레르기 효과를 얻는 항-알레르겐 필터로서 구현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형성 예에 따르면, 함침 공정은 섬유 층 상에, 예를 들어 캐리어 층 또는 결합 필터의 덮개 층 상에 제공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필터는 주름 필터로서 형성될 수 있다.
추가 일 실시 형태에서 기능성 필터는 방향 효과를 갖는 필터로서 구현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방향 효과는 강한 향의 첨가제들을 사용함으로써 달성된다. 상기 방향 효과는 개별적인 고객의 요구 사항들에 대응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기능성 필터는 특히 특수 흡착제를 사용함으로써 VOC(휘발성 유기 화합물, volatile organic compound), 말하자면 가스 형태의 유기 탄화수소에 대하여 향상된 흡착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이를 위해 특히, 제올라이트들 또는 활성탄 입자들을 함유하는, 큰 내부 표면을 구비한 재료들이 적합하다.
그 밖에 일 기능성 필터는 흡착제의 특수 함침 공정에 의해 산화질소(NOx)에 대하여 향상된 흡착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일 기능성 필터는 알칼리성 흡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예컨대 SO2와 같은 산성 가스들(acid gases)에 대하여 향상된 흡착 용량을 가질 수도 있다.
추가 일 기능성 필터는 흡착제를 사용함으로써 인산 함침 공정 또는 황산 함침 공정을 하도록 제공될 수 있고, 그럼으로써 상기 기능성 필터는 암모니아(NH3)에 대하여 향상된 흡착 용량을 갖는다.
일 기능성 필터는 알데히드에 대하여 향상된 흡착 용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는데, 상기 향상된 흡착 용량은 특수 흡착제에 의해 달성된다.
추가 일 실시 형태에서 기능성 필터는 HEPA-필터 재료로부터 제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는데, 상기 HEPA-필터 재료는 최고 분리율을 달성하면서, 흡입 공기로부터 에어로졸을 제거하도록 한다.
추가 일 실시 형태에서 기능성 필터는 정전기 필터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전기 필터에서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입자들을 전기적으로 충전시키고, 그에 따라 입자 분리 공정을 향상시키는 전기장이 발생한다.
추가 일 실시 형태에서 기능성 필터는 전기 필터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전기 필터에서 전압이 인가됨으로써, 입자들을 전기적으로 충전시키고, 후속하여 전극들의 방향으로 편향시키고 분리하는 전기장이 발생한다.
상기 기능성 필터는 채널들을 구비한 허니콤 필터로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비 필터, 입자 필터, 흡착 필터 및 기능성 필터로 다양한 필터 소자들을 의도적으로 기능 분리함으로써, 여과 성능을 개별적이고 구체적인 필터 과제들에 대하여 정확하게 적응시킬 수 있고, 개별 단계들의 요구 조건들을 최적으로 설계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필터 소자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공기 가이드부 내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있다. 4개의 필터 소자를 구비한 바람직한 일 필터 시스템은,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공기 가이드부 내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있는 예비 필터, 입자 필터, 흡착 필터 및 기능성 필터를 포함한다. 그럼으로써 다양한 여과 과제들의 기능 분리가 이루어짐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필터 소자들은 서로 독립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 이 경우, 특히 흡착 필터로서 형성된 필터 소자는, 입자 필터로서 형성된 필터 소자와 함께 단 하나의 필터 소자로 결합 되도록 설계될 필요가 없다. 이러한 관점에서, 제 2 필터 소자는, 낮은 압력 손실에서 통과하는 공기 유동의 높은 여과 성능을 달성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상기 공기 가이드부는 적어도 하나의 환기구를 포함할 수 있고, 이때 일 필터 소자, 바람직하게는 흡착성 필터로서 형성된 필터 소자가 상기 환기구에 할당되어 있다. 이 경우, 불쾌한 악취를 야기할 수 있는 가스 형태의 구성 성분들이 상기 환기구 직전에서 제거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이동식 장치 내부에서 비로소 방출되는 가스 형태의 구성 성분들도 제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필터 소자는 유동 교정기(flow straightener)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허니콤 필터로서 필터 소자의 형성 예에서, 허니콤 필터의 비율적으로 긴 채널들을 통과할 때, 흡입 공기의 균일성이 주어진다. 유동을 교정함으로써, 소음이 감소하고, 그 결과 흡입 공기 가이드부의 소음 발생이 감소한다.
상기 공기 가이드부 내에는 공기 공급 유닛이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필터 시스템의 필터 소자들은 유동 방향으로 볼 때, 상기 공기 공급 유닛 앞 및/또는 뒤에서 개별적으로, 또는 그룹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성 예에서는, 먼지 및 꽃가루와 같은 흡입 공기 내에서 운반되는 입자들이 제 1 필터 소자에 의해 걸러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 일 필터 소자는 가스 형태의 구성 성분들을 흡입 공기로부터 제거한다. 여기에는 상기 공기 공급 유닛에 의해 방출되는 가스 형태의 구성 성분들도 포함된다. 이는 예를 들어 공기 공급 유닛의 전기 모터에 의해 발생하는 오존일 수 있다. 바람직한 일 공기 가이드부에서 제 1 필터 소자는 유동 방향으로 볼 때, 공기 공급 유닛 앞에 배치되어 있고, 제 2 필터 소자는 공기 공급 유닛 뒤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필터 소자는 입자 필터로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필터 소자는 흡착 필터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공기 가이드부 내에는 냉난방 장치의 증발기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적어도 하나의 필터 소자는 유동 방향으로 볼 때, 상기 증발기 앞에 배치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필터 소자는 상기 공기 가이드부 내에서 유동 방향으로 볼 때, 상기 증발기 다음에 배치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예를 들어 상기 증발기에 의해 경우에 따라 방출되는 동반 물질들을 여과할 수 있다. 또한, 증발기 앞에 배치된 필터 소자들은 상기 증발기에 바람직하지 않은 물질들이 축적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공기 가이드부는 흡입 공기용 제 1 공기 가이드부 및 순환 공기용 제 2 공기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공기 가이드부를 위해 개별적인, 또는 독립된 다수의 필터 소자가 제공될 수 있다. 그 밖에, 2개의 공기 가이드부에 대해 동시에 여과를 실시하는 필터 소자들이 제공될 수 있다. 순환 공기를 여과하는 경우, 특히 이동식 장치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방출되는 물질들을 제거하는 것이 중요한 반면, 흡입 공기를 여과하는 경우, 오염 가스를 제거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제 2 필터 소자와 관련한 바람직한 일 형성 예에서는 흡입 공기 및 순환 공기를 위해 서로 다른 필터 소자들이 제공되어 있다.
상기 필터 시스템은 추가로 이동식 장치의 캐빈 내에 배치된 필터 소자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특히 상기 캐빈 내에 배치된 필터 소자가 수동식 필터 소자라는 사실을 고려할 수 있다. 수동식 필터 소자는 능동식 필터 소자들과 다르게 능동적으로 관류 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형성 예에서 공기 유동은 상기 캐빈을 관류한 이후에 비로소 공기 가이드부의 배출구에 도달한다.
상기 이동식 장치는 자동차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성 예에서 공기 흡입 시스템은, 자동차 캐빈을 환기시키기 위해 정화된 흡입 공기를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 흡입 시스템의 몇몇 형성 예들은 다음에서 도면들의 참조하에 더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2단 필터 시스템을 구비한 공기 흡입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2는 2단 필터 시스템을 구비한 공기 흡입 시스템의 개략도이며;
도 3은 3단 필터 시스템을 구비한 공기 흡입 시스템의 개략도이고;
도 4는 4단 필터 시스템을 구비한 공기 흡입 시스템의 개략도이며;
도 5는 순환 공기 가이드부를 구비한 공기 흡입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은 공기 공급 유닛(7)을 구비한 이동식 장치의 공기 흡입 시스템(10)을 도시하고, 상기 공기 흡입 시스템은 이동식 장치의 공기 가이드부(4)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필터 소자(1) 및 제 2 필터 소자(2)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필터 소자(1)는 주름 필터 형태의 입자 필터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주름 필터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층(11)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필터 소자(1)는 공기 가이드부(4)의 부분인 필터 하우징(12) 내에서 교체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 2 필터 소자(2)는 흡착 필터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2 필터 소자(2)는 이와 같은 형성 예에서 마찬가지로, 부직포로 이루어진 덮개 층들(21) 및 활성탄 층(22)을 포함하는 주름 필터이다. 상기 제 2 필터 소자(2)는 공기 가이드부(4)의 부분인 제 2 필터 하우징(23) 내에서 교체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필터 소자(1) 및 상기 제 2 필터 소자(2)는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기 가이드부(4) 내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장착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필터 소자(1)는 상기 공기 가이드부(4) 내에서 유입 측에 배치되어 있고, 입자 형태의 불순물들이 공기 가이드부(4) 내로, 그리고 이동식 장치의 캐빈 내로 도달하는 상황을 방지한다. 상기 제 2 필터 소자(2)는 상기 공기 가이드부(4) 내에서 유출 측에 배치되어 있고, 바람직하지 않은 가스 형태의 동반 물질들이 이동식 장치의 캐빈 내로 도달하는 상황을 방지한다.
상기 이동식 장치는 이와 같은 형성 예에서 자동차이다.
도 2는 이동식 장치용 공기 흡입 시스템(10)을 도시하고, 상기 공기 흡입 시스템은 유입구(13), 공기 가이드부(4), 배출구(14), 그리고 제 1 필터 소자(1) 및 제 2 필터 소자(2)를 구비한 필터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제 1 필터 소자(1) 및 상기 제 2 필터 소자(2)는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기 가이드부(4) 내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필터 소자(1)는 입자 필터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필터 소자(1)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층(11)을 포함하는 주름 필터이다. 상기 제 1 필터 소자(1)는 공기 가이드부(4)의 부분인 필터 하우징(12) 내에서 교체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 2 필터 소자(2)는 흡착 필터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2 필터 소자(2)는 허니콤 필터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허니콤 필터는, 채널 벽들(9)에 의해 제한되어 있는 다수의 채널(8)을 포함하는 하나 또는 다수의 허니콤 몸체를 포함한다. 본 도면의 허니콤 필터는 다수의 허니콤 몸체로 세그먼트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허니콤 몸체들은 고정 프레임 내에 고정되어 있고, 이때 상기 고정 프레임은, 필터 하우징에 대해 밀봉 표면을 형성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대안적인 일 형성 예에서 허니콤 몸체들은 서로 재료 결합 방식으로 결합 됨으로써 허니콤 필터로 구성될 수 있다. 그 밖에 밀봉 표면이 대안적으로 공기 가이드부(4) 내에 제공될 수 있다.
본 형성 예에서 상기 제 2 필터 소자(2)는 활성탄을 포함한다. 제조를 위해, 활성탄이 압출 성형 공정에 의해 허니콤의 형상으로 제공된다. 상기 제 2 필터 소자(2)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삽입부로서 관 형태의 공기 가이드부 내에 삽입되어 있다.
바람직한 일 형성 예에서 고정 프레임은 관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냉난방 장치, 특히 이동식 냉난방 장치의 관 형태의 공기 가이드부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공기 가이드부는 원형 또는 직사각형의 횡단면을 갖는 경우가 빈번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응하게 원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설계되어 있다.
상기 제 1 필터 소자(1)는 상기 공기 가이드부(4) 내에서 유입 측에 배치되어 있고, 입자 형태의 불순물들이 공기 가이드부 내로, 그리고 이동식 장치의 캐빈 내로 도달하는 상황을 방지한다. 상기 제 2 필터 소자(2)는 상기 공기 가이드부(4) 내에서 유출 측에 배치되어 있고, 바람직하지 않은 가스 형태의 동반 물질들이 이동식 장치의 캐빈 내로 도달하는 상황을 방지한다.
이동식 장치의 캐빈을 환기시키기 위해, 상기 공기 가이드부(4)는 배출구(14)로서 다수의 환기구를 포함한다. 이 경우, 각각의 환기구에 제 2 필터 소자(2)가 할당되어 있다. 허니콤 필터로서 형성된 상기 제 2 필터 소자(2)는 유동 교정기를 형성하고, 공기 가이드부(4)의 환기 소음을 감소시킨다.
상기 제 2 필터 소자(2)는 마찬가지로 상기 공기 가이드부(4) 내에서 교체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대안적인 일 형성 예에서 제 2 필터 소자(2)는 특히 허니콤 필터로서의 형성 예에서 환기구와 함께 일체형 유닛을 형성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이동식 장치의 수명에 대해 설계될 수 있다.
도 3은 공기 공급 유닛(7)을 구비한 이동식 장치용 냉난방 장치(6)를 구비한 공기 흡입 시스템(10)을 도시하고, 상기 공기 흡입 시스템은, 이동식 장치의 공기 가이드부(4)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필터 소자(1), 제 2 필터 소자(2) 및 제 3 필터 소자(3)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필터 소자(1)는 유동 방향으로 볼 때, 상기 공기 공급 유닛(7) 앞에 배치되어 있는 반면, 상기 제 2 필터 소자(2) 및 상기 제 3 필터 소자(3)는 유동 방향으로 볼 때, 상기 공기 공급 유닛(7) 다음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필터 소자(1)와 제 2 필터 소자(2) 사이에는 추가로 냉난방 장치(6)의 증발기가 더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 1 필터 소자(1)는 입자 필터로서 형성되어 있다. 유동 방향으로 볼 때, 상기 제 2 필터 소자(2) 다음에는 제 3 필터 소자(3)가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1 필터 소자(1)는 미세 입자 필터를 형성하고, 상기 제 2 필터 소자(2)는 흡착 필터를 형성하며, 그리고 상기 제 3 필터 소자(3)는 기능성 필터를 형성한다. 상기 제 3 필터 소자(3)도 상기 제 1 필터 소자(1)와 마찬가지로 주름 필터로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공기 가이드부(4) 내에서 교체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흡착 필터로서 설계된 상기 제 2 필터 소자(2)도 마찬가지로 상기 공기 가이드부(4) 내에서 교체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상기 제 2 필터 소자(2)는 허니콤 필터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허니콤 필터는 적어도 하나의 허니콤 몸체로 구성되지만, 다수의 허니콤 몸체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일 허니콤 몸체는 채널 벽들에 의해 제한되어 있는 다수의 채널을 포함한다. 상기 허니콤 몸체는 재차 부분 세그먼트들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허니콤 몸체들은 고정 프레임 내에 고정되어 있고, 이때 상기 고정 프레임은, 필터 하우징에 대해 밀봉 표면을 형성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적합하게 설계된 일 공기 가이드부 내에서 허니콤 필터는 고정 프레임 없이도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성 예에서 밀봉 수단이 상기 공기 가이드부에 할당되어 있다.
본 형성 예에서 상기 제 2 필터 소자(2)는 활성탄을 포함한다. 제조를 위해, 활성탄이 압출 성형 공정에 의해 허니콤의 형상으로 제공된다. 상기 제 2 필터 소자(2)는 삽입부로서 관 형태의 공기 가이드부 내에 삽입되어 있다.
바람직한 일 형성 예에서 고정 프레임은 관 형태로 형성되어 있고, 냉난방 장치, 특히 이동식 냉난방 장치의 관 형태의 공기 가이드부 내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공기 가이드부는 원형 또는 직사각형의 횡단면을 갖는 경우가 빈번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상응하게 원형 또는 직사각형으로 설계되어 있다.
상기 제 3 필터 소자(3)는 본 적용 예에서 항-알레르겐 필터이고, 주름 필터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필터 소자는 부직포로 이루어진 적어도 하나의 제 1 층 및 적어도 하나의 활성탄 층을 포함하고, 이때 항-알레르기 효과는 과일 산에 의한 부직포로 이루어진 제 1 층의 함침 공정에 의해 야기된다.
도 4는 4개의 필터 소자(1, 2, 3, 5)를 구비한 도 3에 따른 공기 흡입 시스템(10)을 도시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도 4에 따른 필터 시스템은, 이동식 장치의 공기 가이드부(4)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제 1 필터 소자(1), 제 2 필터 소자(2), 제 3 필터 소자(3) 및 제 4 필터 소자(5)를 포함한다.
도 4에 따른 형성 예에서 상기 제 1 필터 소자(1)는 미세 입자 필터로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필터 소자(2)는 허니콤 필터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제 3 필터 소자(3)는 항-알레르겐 필터로서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필터 시스템은, 유동 방향으로 볼 때, 상기 제 1 필터 소자(1) 앞에 배치되어 있는 상기 제 4 필터 소자(5)에 의해 보완된다.
상기 제 4 필터 소자(5)는 본 형성 예에서 예비 필터의 기능을 담당하고, 눈 분리기로서 형성되어 있다.
눈 분리기를 추가적으로 사용함으로써, 상기 시스템은 제 1 필터 소자(1)까지 밀려 들어오지 못하도록 흡인된 눈에 대하여 신뢰할 만하게 보호된다. 그에 따라, 후속하는 필터 소자들 중 하나의 필터 소자가 용융하는 눈에 의해 자체 기능에 악영향을 받을 위험성이 발생하지 않는다.
도 5는 공기 공급 유닛(7)을 구비한 냉난방 장치(6)를 포함하는 이동식 장치용 공기 흡입 시스템(10)을 도시하고, 상기 공기 흡입 시스템은 이동식 장치의 공기 가이드부(4) 내에 배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필터 소자(1) 및 제 2 필터 소자(2)를 포함한다. 추가로, 상기 제 1 필터 소자(1) 다음에서, 그리고 상기 공기 공급 유닛(7) 앞에서 상기 공기 가이드부(4) 내로 맞물리는 순환 공기 가이드부(15) 내에 제 3 필터 소자(3)가 존재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도 5에 따른 공기 흡입 시스템(10)은 2개의 유동 가이드부를 포함한다. 공기 가이드부(4)는 외부 공기를 이동식 장치의 내부 공간 내로 안내한다. 순환 공기 가이드부(15)는 이동식 장치의 내부 공간으로부터 흡인된 공기를 다시 상기 내부 공간 내로 안내한다.
도 2에 따른 형성 예에서와 같이, 상기 제 1 필터 소자(1)는 주름 필터로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2 필터 소자(2)는 결합 필터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관점에서, 상기 제 1 필터 소자(1)는 이와 같은 형성 예에서 입자 필터이다. 이와 달리 상기 제 2 필터 소자(2)는 결합 된 입자 필터 및 흡착 필터이다. 상기 순환 공기 가이드부(15) 내에 배치된 상기 제 3 필터 소자(3)는 미세 입자 필터로서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상기 제 3 필터 소자(3)는 상기 순환 공기 가이드부(15) 내에 배치되어 있고, 냉난방 장치(6)의 순환 공기 모드에서 차량 내부 공간 또는 이동식 장치의 캐빈 내에 존재하는 입자들을 감소시킨다. 이와 같은 실시 예에서 상기 제 2 필터 소자(2)는, 일차적으로 상기 제 1 필터 소자(1)에 의해 이루어지는 정규 공기 가이드부(4)를 위한 여과 기능뿐만 아니라, 일차적으로 상기 제 3 필터 소자(3)에 의해 이루어진 순환 공기 가이드부(15)를 위한 여과 기능도 담당한다.

Claims (17)

  1. 이동식 장치용 공기 흡입 시스템(10)으로서,
    적어도 하나의 유입구(13), 적어도 하나의 공기 가이드부(4), 적어도 하나의 배출구(14) 및 적어도 2개의 필터 소자(filter element)(1, 2)를 구비한 필터 시스템을 포함하고, 제 1 필터 소자(1) 및 상기 제 1 필터 소자에 대해 별도로 형성된 제 2 필터 소자(2)는 상기 공기 가이드부(4) 내에 배치되어 있는,
    이동식 장치용 공기 흡입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시스템은 적어도 3개의 필터 소자(1, 2, 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장치용 공기 흡입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 시스템은 적어도 4개의 필터 소자(1, 2, 3, 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장치용 공기 흡입 시스템.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필터 소자는 입자 필터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장치용 공기 흡입 시스템.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필터 소자는 흡착 필터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장치용 공기 흡입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필터 소자는 기능성 필터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장치용 공기 흡입 시스템.
  7.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필터 소자는 채널들(8) 및 채널 벽들(9)을 구비한 허니콤 필터(honeycomb filter)로서 구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장치용 공기 흡입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필터 소자는 예비 필터로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장치용 공기 흡입 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필터 소자(1), 상기 제 2 필터 소자(2), 상기 제 3 필터 소자(3) 및 상기 제 4 필터 소자(5)는 상기 공기 가이드부(4) 내에서 서로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장치용 공기 흡입 시스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가이드부(4) 내에 공기 공급 유닛(7)이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장치용 공기 흡입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필터 소자는 상기 공기 가이드부(4) 내에서 유동 방향으로 볼 때, 상기 공기 공급 유닛(7) 앞에 배치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필터 소자는 상기 공기 가이드부(4) 내에서 유동 방향으로 볼 때, 상기 공기 공급 유닛(7) 다음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장치용 공기 흡입 시스템.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 가이드부(4) 내에 냉난방 장치의 증발기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장치용 공기 흡입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필터 소자는 상기 공기 가이드부(4) 내에서 유동 방향으로 볼 때, 상기 증발기 앞에 배치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필터 소자는 상기 공기 가이드부(4) 내에서 유동 방향으로 볼 때, 상기 증발기 다음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장치용 공기 흡입 시스템.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필터 소자는 공기 가이드부(4)의 유입구(13)에 할당되어 있고, 적어도 하나의 필터 소자는 공기 가이드부(4)의 배출구(14)에 할당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장치용 공기 흡입 시스템.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공기 가이드부(4)는 흡입 공기를 위해 제공되어 있고, 순환 공기 가이드부(15)는 순환 공기를 위해 제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장치용 공기 흡입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필터 소자는 상기 순환 공기 가이드부(15)에 할당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장치용 공기 흡입 시스템.
  17. 제 1 항 내지 제 1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식 장치는 자동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식 장치용 공기 흡입 시스템.
KR1020180021191A 2017-03-06 2018-02-22 이동식 장치용 공기 흡입 시스템 KR2018010200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7159370.0 2017-03-06
EP17159370.0A EP3372295A1 (de) 2017-03-06 2017-03-06 Zuluftanordnung für eine mobile einrichtun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2006A true KR20180102006A (ko) 2018-09-14

Family

ID=58448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191A KR20180102006A (ko) 2017-03-06 2018-02-22 이동식 장치용 공기 흡입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780383B2 (ko)
EP (1) EP3372295A1 (ko)
KR (1) KR20180102006A (ko)
CN (1) CN10852540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29286B3 (de) * 2018-11-21 2019-08-14 Mann+Hummel Gmbh Stationäre Umgebungsluftreinigungsvorrichtung und Betriebsverfahren
GB2586664B (en) * 2019-08-30 2022-03-02 Indufil BV Flow optimized filter
CN112590503B (zh) * 2021-03-02 2021-05-14 宁波宏诺汽车零部件科技有限公司 一种汽车空调通风净化装置
DE102021209825A1 (de) * 2021-09-06 2023-03-09 Mahle International Gmbh Klimatisierungsanlage und zugehöriges Betriebsverfahren
EP4260930A1 (en) 2022-04-13 2023-10-18 MANN+HUMMEL GmbH Cabin air filter system for a vehicle and method for cleaning air to be supplied to a cabin
JP2023177972A (ja) * 2022-06-03 2023-12-14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微粒子の捕集装置と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179369B (it) * 1984-05-15 1987-09-16 Ital Idee Srl Gruppo filtrante multiplo, particolarmente per impianti di aerazione e condizionamento per autoveicoli e ambienti chiusi, munito di mezzi di controllo dell'efficienza
JP2847714B2 (ja) 1987-10-14 1999-01-20 株式会社デンソー 通風濾過装置
DE4105724C2 (de) 1991-02-23 1993-10-21 Daimler Benz Ag Belüftungseinrichtung für den Innenraum eines Fahrzeugs, insbesondere Heizungs- bzw. Klimaanlage für ein Kraftfahrzeug
JP2628144B2 (ja) * 1994-05-25 1997-07-0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空調装置のエアフィルタ着脱構造
US5562407A (en) * 1995-06-07 1996-10-08 Cielo; Kevin K. Hand-held odor dissipating and removing device
US6152990A (en) * 1999-02-04 2000-11-28 Engelhard Corporation Device for removing and retaining volatile compounds and method of employing the same
JP4385439B2 (ja) 1999-05-18 2009-12-16 株式会社エクォス・リサーチ 車載用活性炭フィルタ
JP4850990B2 (ja) * 1999-09-01 2012-01-11 株式会社エクォス・リサーチ 車載用空気清浄フィルタ
US6464761B1 (en) * 1999-12-22 2002-10-15 Visteon Global Technologies, Inc. Air induction filter assembly
CA2390060C (en) * 2000-03-09 2007-07-17 Marie Deharpport Lindsay Portable motor vehicle cabin air purifier
US20020139251A1 (en) * 2001-03-29 2002-10-03 Simmons Brenda Joyce Vehicular air cleaner
JP2003120445A (ja) * 2001-10-05 2003-04-23 Tokyo Roki Co Ltd エアクリーナ
JP2004305395A (ja) 2003-04-04 2004-11-04 Toshiba Corp ガス浄化システムおよびガス浄化方法並びにガス浄化システムを利用したエアコン
DE20306250U1 (de) * 2003-04-17 2004-05-19 BLüCHER GMBH Luftfiltereinheit mit mehreren Filterelementen
DE102005031182A1 (de) * 2005-07-01 2007-01-04 Carl Freudenberg Kg Filteranordnung
JP2008025504A (ja) * 2006-07-24 2008-02-07 Toyo Roki Mfg Co Ltd エアクリーナ
FR3016954A1 (fr) * 2014-01-30 2015-07-31 Division Tecnologias Inversion S L Purificateur d'air pour vehicules de transport d'animaux
EP3015155B1 (de) 2014-10-29 2019-12-04 Carl Freudenberg KG Filterelement mit aktivkohleschich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72295A1 (de) 2018-09-12
US10780383B2 (en) 2020-09-22
US20180250621A1 (en) 2018-09-06
CN108525402A (zh) 2018-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02006A (ko) 이동식 장치용 공기 흡입 시스템
US9776121B2 (en) Filter element, particularly air filter element, and filter system having a filter element
CA2390060C (en) Portable motor vehicle cabin air purifier
EP1349638B1 (en) Filter assembly for fuel cell
KR101366597B1 (ko) 질소산화물 저감 기능을 갖는 지하시설 공조기용 공기정화 필터
KR101719671B1 (ko) 필터 엘리먼트
CN112384291A (zh) 车辆车厢过滤器组件
US10843114B2 (en) Filter arrangement for a mobile device
JP2006035215A (ja) フィルタ装置
US20170128870A1 (en) Mobile purif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purifying indoor air and/or fresh air
CN112368061A (zh) 车辆车厢过滤器组件
KR101363333B1 (ko) 공기청정용 복합필터
KR100743396B1 (ko) 공기 정화용 필터 구조체
CN211864270U (zh) 一种可随意组合滤材的空调滤清器组件
WO2020008212A1 (en) Vehicle cabin filter assembly
CN211987529U (zh) 汽车空调滤芯
CN210126411U (zh) 一种汽车电子空调格
KR0145808B1 (ko) 차량용 공기 정화 장치 및 방법
KR102018575B1 (ko) 공조장치용 필터조립체
WO2020008213A1 (en) Vehicle cabin filter assembly
CN202410407U (zh) 安装有空气过滤器的空气净化设备
CN112218699A (zh) 空气过滤器及其制造方法
GB2575323A (en) Vehicle cabin filte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