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1398A - 종이제 덮개재 및 수납 용기 - Google Patents

종이제 덮개재 및 수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1398A
KR20180101398A KR1020187020380A KR20187020380A KR20180101398A KR 20180101398 A KR20180101398 A KR 20180101398A KR 1020187020380 A KR1020187020380 A KR 1020187020380A KR 20187020380 A KR20187020380 A KR 20187020380A KR 20180101398 A KR20180101398 A KR 20180101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opening
paper
lines
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03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15362B1 (ko
Inventor
기요토 후루세
겐지 도야마
준페이 오무라
마코토 야마구치
나오코 고바야시
유카 시바타
Original Assignee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가부시키가이샤 롯데 filed Critical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80101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1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15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153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65D77/2024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the cover being welded or adhered to th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adjacent sides interconnected by gusset fo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2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adjacent sides interconnected by gusset folds
    • B65D5/244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adjacent sides interconnected by gusset folds and the gussets fold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body
    • B65D5/246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adjacent sides interconnected by gusset folds and the gussets folds connected to the outside of the container body the container body comprising a continuous rim or flang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2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 B65D5/3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by folding-up portions connected to a central panel from all sides to form a container body, e.g. of tray-like form with tongue-and-slot or like connections between sides and extensions of other s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64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7/00Packages formed by enclosing articles or materials in preformed containers, e.g. boxes, cartons, sacks or bags
    • B65D77/1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 B65D77/20Container closures formed after filling by applying separate lids or covers, i.e. flexible membrane or foil-like cov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 B65D85/78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for ice-c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tons (AREA)
  • Packages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Abstract

덮개재 (20) 는, 용기 본체의 플랜지부에 접착 가능한 종이제의 덮개재로서, 손잡이부 (25) 와, 손잡이부 (25) 로부터 서로 멀어지도록 외측을 향하여 종이결 방향 (K) 에 대해 예각이 되도록 연장되는 이측 반절선 (35a, 36a) 과, 이측 반절선 (35a, 36a) 의 외측 선단으로부터 종이결 방향 (K) 을 따라 연장되는 이측 반절선 (37a, 38a) 과, 이측 반절선 (35a, 36a) 에 대해 폭 (W) 을 갖고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이측 반절선 (35a, 36a) 을 따라 종이결 방향 (K) 에 대해 예각이 되도록 연장되는 표측 반절선 (35b, 36b) 과, 이측 반절선 (37a, 38a) 에 대해 폭 (W) 을 갖고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이측 반절선 (37a, 38a) 및 종이결 방향 (K) 을 따라 연장되는 표측 반절선 (37b, 38b) 을 구비하고 있다.

Description

종이제 덮개재 및 수납 용기
본 발명은, 종이제 덮개재, 및 당해 종이제 덮개재를 구비한 수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아이스크림을 수납하는 용기로서, 용기 본체의 플랜지부에 종이제 덮개재를 접착하여 봉하는 구성의 수납 용기가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특허문헌 1, 2 참조). 이 수납 용기에서는, 종이제 덮개재 중 플랜지부에 접착되어 있지 않은 중앙 부분이 개봉됨으로써, 아이스크림 등의 내용물을 꺼낼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종이제 덮개재에서는, 수납 용기의 개봉을 개시하기 위한 손잡이부를 모서리부에 형성하고, 그곳으로부터 플랜지부의 주연 (周緣) 을 따라 세로 방향 및 가로 방향으로 종이제 덮개재를 층간 박리에 의해 접착 부분과 중앙 부분 (덮개 부분) 으로 분리하고, 수납 용기의 덮개재가 개봉되도록 되어 있다. 종이제 덮개재의 개봉은, 덮개재의 이측 (裏側) 으로부터 반절 (半切) 로 한 이측 반절선과, 그것을 둘러싸고 덮개재의 표측 (表側) 으로부터 반절로 한 표측 반절선을 플랜지부의 내주를 따라 형성하고, 이들 반절선 사이에서 종이 기재의 층간 박리를 일으킴으로써 실현되고 있다.
일본 특허공보 제3924986호 일본 특허공보 제5743618호
그러나,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래의 종이제 덮개재 (100) 에서는, 종이결 방향을 고려한 이측 반절선 (101) 및 표측 반절선 (102) 으로는 반드시 되어 있는 것은 아니었다. 즉, 종이결 방향을 따른 방향 (예를 들어 도 10 의 가로 방향) 으로 연장되는 양측 반절선 (101a, 102a) 과, 종이결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예를 들어 도 10 의 세로 방향) 으로 연장되는 양측 반절선 (101b, 102b) 이 혼재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수납 용기의 덮개재 (100) 를 개봉할 때, 종이결 방향을 따른 반절선 (101a, 102a) 사이에서는 층간 박리가 비교적 순조롭게 이루어지지만, 종이결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반절선 (101b, 102b) 사이에서는 층간 박리가 반드시 반절선 (101b, 102b) 을 따라 이루어지지 않고, 종이 남음이나 반절선의 도중에서의 찢어짐이 발생하여, 수납 용기에 있어서의 덮개재의 확실한 개봉이 이루어지지 않을 우려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용기 본체에 접착된 종이제 덮개재의 개봉을 보다 확실하게 실현시키는 것이 가능한 종이제 덮개재, 및 당해 종이제 덮개재를 구비한 수납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그 일 측면으로서, 소정의 내용물을 수용 가능한 용기 본체의 플랜지부에 이면이 접착 가능한 종이제 덮개재에 관한 것이다. 이 종이제 덮개재는, 종이제 덮개재의 종이결 방향의 일단측에 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손잡이부로부터 서로 멀어지도록 외측을 향하여 종이결 방향에 대해 예각이 되도록 연장되는 제 1 개봉용 이측 반절선과, 제 1 개봉용 이측 반절선의 외측 선단 각각으로부터 종이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 2 개봉용 이측 반절선과, 제 1 개봉용 이측 반절선에 대해 일정한 폭을 갖고 그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당해 개봉용 이측 반절선을 따라 종이결 방향에 대해 예각이 되도록 연장되는 제 1 개봉용 표측 반절선과, 제 2 개봉용 이측 반절선에 대해 일정한 폭을 갖고 그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당해 개봉용 이측 반절선 및 종이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 2 개봉용 표측 반절선을 구비하고 있다.
이 종이제 덮개재에서는, 개봉 개시 후에 층간 박리를 일으키게 하는 제 1 및 제 2 개봉용 표측 반절선과 제 1 및 제 2 개봉용 이측 반절선 중 어느 것도 종이결 방향에 대해 직교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게다가, 층간 박리를 일으키게 할 때에 손잡이부로부터 멀어져 있어 힘이 균등하게 전해지기 어려운 제 2 개봉용 표측 반절선과 제 2 개봉용 이측 반절선이 종이결 방향을 따라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종이제 덮개재에 의하면, 용기 본체에 접착된 종이제 덮개재의 개봉을 종이결 방향을 따라 혹은 종이결 방향의 직교 방향을 따르지 않고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개봉 도중에서의 종이 찢어짐나 종이 남음 등이 발생하기 어려워져, 덮개재의 개봉을 보다 확실하게 실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종이결 방향을 따른다」란, 종이결 방향에 대해 대략 평행인 경우도 포함하며, 종이결 방향에 대해 ±5 도의 어긋남도 포함하는 취지이다. 또, 상기 종이제 덮개재에서 사용한「표측 반절선」이란, 종이제 덮개재의 표면으로부터 절입을 넣고 또한 이면까지 도달하지 않은 절입선이고,「이측 반절선」이란, 종이제 덮개재의 이면으로부터 절입을 넣고 또한 표면까지 도달하지 않은 절입선이다.
상기 종이제 덮개재에서는, 손잡이부는, 플랜지부에 접착되는 내측 부분의 폭이 외측 부분의 폭보다 좁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플랜지부에 접착되는 영역을 작게 할 수 있기 때문에, 초기 개봉을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상기 종이제 덮개재에서는, 제 1 개봉용 표측 반절선 및 제 1 개봉용 이측 반절선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은, 종이결 방향에 대해 80 도보다 작은 각도가 되도록 종이결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경사 각도임으로써, 초기 단계의 층간 박리를 보다 확실하게 실현시킬 수 있다.
상기 종이제 덮개재는, 손잡이부의 양측에 형성되고, 종이제 덮개재의 중심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절입선과, 절입선의 중심측의 선단 각각으로부터 더욱 연장되는 개봉 확인용 이측 반절선을 추가로 구비하고, 제 1 개봉용 이측 반절선이 개봉 확인용 이측 반절선의 중심측의 선단 각각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절입선 등에 의해, 덮개재의 분리를 보다 순조롭게 실시할 수 있다. 또, 상기 경우에 있어서, 종이제 덮개재는, 절입선 각각의 외측에 있어서 종이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예비 절입선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은 예비 절입선을 형성해 둠으로써, 본래의 절입선에 의한 분리가 잘 되지 않아 그곳으로부터 어긋난 경우에도, 예비 절입선에 의해 교정되어, 제 1 개봉용 표측 반절선으로 유도할 수 있으므로, 초기 개봉을 보다 확실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종이제 덮개재에서는, 제 1 개봉용 표측 반절선 및 제 1 개봉용 이측 반절선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이 파형 형상 또는 지퍼 형상이어도 된다. 이 경우, 종이제 덮개재를 개봉하여 덮개를 열었을 때, 그 개봉된 변이 완만한 요철 형상이 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가락 등을 상처 나게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종이제 덮개재는, 제 2 개봉용 표측 반절선의 종이결 방향의 타단측의 선단끼리를 연결하는 제 3 개봉용 표측 반절선, 및 제 2 개봉용 이측 반절선의 종이결 방향의 타단측의 선단끼리를 연결하는 제 3 개봉용 이측 반절선의 적어도 일방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제 3 개봉용 표측 반절선 및 이측 반절선의 일방을 구비함으로써, 종이결 방향의 타단측을 축으로 하여 그 이외가 분리된 덮개부를 개봉 상태인 채로 유지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덮개부를 닫거나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 제 3 개봉용 표측 반절선 및 이측 반절선의 양방을 구비한 경우에는, 종이결 방향의 타단측의 부분도 층간 박리에 의해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분리된 덮개부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이 제 3 개봉용 표측 반절선 및 이측 반절선은, 종이결 방향에 대해 직교하여 연장되는 경우도 있지만, 개봉의 최종 부분으로서, 만일 종이 남음 등이 발생하였다고 해도, 실용상 문제가 되는 경우는 적다.
상기 종이제 덮개재에서는, 손잡이부는, 종이결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에 있어서 대략 중앙에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덮개재의 개봉을 중앙부에서 좌우를 향하여 대략 균등하게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용기 본체에 접착된 덮개재의 개봉을 보다 균형 있게 또한 확실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본 발명은, 다른 측면으로서, 상기 어느 종이제 덮개재와, 이 종이제 덮개재가 접착되는 플랜지부를 갖는 용기 본체를 구비한 수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이 수납 용기에 의하면, 상기 서술한 어느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상기 수납 용기에서는, 용기 본체의 플랜지부는, 종이제 덮개재의 손잡이부와 접착되는 접착 영역을 갖고, 당해 접착 영역은, 손잡이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절입선을 따라 연장되는 개봉 보조 반절선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개봉 보조 반절선이 용기 본체측에 형성됨으로써, 용기 본체의 플랜지부에 있어서 접착 영역에서 층간 박리를 용이하게 일으킬 수 있어, 손잡이부의 보다 확실한 개봉을 실현시킬 수 있다.
또, 상기 수납 용기에서는, 개봉 보조 반절선은, 절입선과 대략 일치하는 제 1 개봉 보조 반절선과, 제 1 개봉 보조 반절선과 평행하게 신장되고 또한 당해 제 1 개봉 보조 반절선에 대해 그 내측 및 외측에 위치하는 제 2 및 제 3 개봉 보조 반절선을 포함해도 된다. 이 경우, 용기 본체의 플랜지와 덮개의 접착을 실시할 때에 그 위치 맞춤에서 다소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였다고 해도, 어느 개봉 보조 반절선이 덮개재의 절입선과 일치할 가능성을 높게 유지할 수 있어, 수납 용기를 대량으로 제조한 경우에도, 그 개봉 기능을 보다 확실하게 실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 본체에 접착된 종이제 덮개재의 개봉을 보다 확실하게 실현시키는 것이 가능한 종이제 덮개재, 및 당해 종이제 덮개재를 구비한 수납 용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수납 용기의 사시도로서, (a) 는 분해 사시도이고, (b) 는 종이제 덮개재를 용기 본체에 접착하여 봉하였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b) 에 나타내는 수납 용기의 Ⅱ-Ⅱ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3(a) 는 도 1 에 나타내는 수납 용기의 용기 본체를 블랭크로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3(b) 는 그 일부 확대 평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에 나타내는 수납 용기를 구성하는 종이제 덮개재를 표면측에서 보았을 때의 평면도이다.
도 5 는 도 4 에 나타내는 종이제 덮개재의 손잡이부의 주변을 확대한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도 6 은 도 4 에 나타내는 덮개재의 Ⅵ-Ⅵ 선을 따른 일부 단면도로서, 층간 박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은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종이제 덮개재를 표면측에서 보았을 때의 평면도이다.
도 8 은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종이제 덮개재를 표면측에서 보았을 때의 평면도이다.
도 9 는 실시예에 있어서의 종이제 덮개재의 치수 지점을 나타내는 참고도이다.
도 10 은 종래의 종이제 덮개재를 표면측에서 보았을 때의 평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관련된 종이제 덮개재 및 당해 종이제 덮개재를 구비한 수납 용기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설명에 있어서, 동일 요소 또는 동일 기능을 갖는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사용하는 경우가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제 1 실시형태]
도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수납 용기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a) 는 분해 사시도이고, (b) 는 종이제 덮개재를 용기 본체에 접착하여 봉하였을 때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도 1(b) 에 나타내는 수납 용기의 Ⅱ-Ⅱ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 용기 (1) 는, 사각형 형상의 개구부를 갖는 용기 본체 (10) 와, 전체가 사각형 형상인 덮개재 (20) 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용기 본체 (10) 는, 예를 들어 종이제 또는 플라스틱제의 용기로서, 내부에 수납부 (11) 를 구비한다. 수납부 (11) 에는, 예를 들어 아이스크림 등이 수납된다. 용기 본체 (10) 는, 수납부 (11) 의 상부 주연에 소정의 폭을 갖는 플랜지부 (12) 를 추가로 구비한다. 용기 본체 (10) 의 개구부나 덮개재 (20) 의 형상은 사각형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원형 등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용기 본체 (10) 는, 박스상의 용기이며, 예를 들어 도 3 의 (a) 에 나타내는 블랭크 (10a) 로 구성된다. 블랭크 (10a) 는, 방형의 바닥면판 (13) 과, 바닥면판 (13) 의 도시 상하에 위치하는 측변에 각각 산접기선을 개재하여 연접되는 2 개의 측면판 (14) 과, 각 측면판 (14) 의 외측에 골접기선을 개재하여 연접되는 연편 (緣片) (15, 16) 과, 바닥면판 (13) 의 도시 좌우에 위치하는 측변에 각각 산접기선을 개재하여 연접되는 2 개의 측면판 (17) 과, 각 측면판 (17) 의 외측에 골접기선을 개재하여 연접되는 연편 (18) 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블랭크 (10a) 의 연편 (15, 16) 의 좌우단에는, 각각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는 설편 (舌片) (15a, 16a) 이 형성되어 있다. 또, 블랭크 (10a) 의 연편 (18) 의 상하단에는, 각각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설편 (18a) 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연편 (15, 16, 18) 은, 도 1 의 (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블랭크 (10a) 가 박스상 (용기 본체 (10)) 으로 조립되었을 때, 상기 서술한 플랜지부 (12) 를 구성한다.
블랭크 (10a) 에서는, 또한, 측면판 (14) 의 좌우 측변에 각각 산접기선을 개재하여 역삼각 형상의 접합판 (14a) 이 연접되고, 접합판 (14a) 의 외측에는 골접기선을 개재하여 접합 연편 (14b) 이 또한 연접되어 있다. 접합 연편 (14b) 은 절입 (14c) 을 개재한 상태에서 설편 (15a) 과 동일 평면을 형성하고 있다. 또, 블랭크 (10a) 에서는, 측면판 (17) 의 상하 측변에 각각 산접기선을 개재하여 역삼각 형상의 접합판 (17a) 이 연접되어 있다. 이들 접합판 (14a, 17a) 은 골접기선을 개재하여 동일 평면을 형성하고 있다. 블랭크 (10a) 는, 접합판 (14a, 17a) 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그 사이를 외측으로 접어 구부림과 함께, 연편 (15, 16, 18) 을 하측으로 되접어 꺾어 플랜지부 (12) 로 하도록 하여 짜 올려, 도 1 의 (a) 에 나타내는 박스 형상의 용기 본체 (10) 를 구성한다. 외측으로 접어 구부러진 접합판 (14a, 17a) 은, 접합판 (17a) 의 외표면이 측면판 (17) 의 외표면과 접착됨으로써, 박스상으로 짜 올려진다. 또한, 이와 같은 용기 본체 (10) 의 기본적인 구조는 종래 기술로서,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188159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또,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용기 본체 (10) 를 구성하는 블랭크 (10a) 의 연편 (16) (플랜지부 (12) 의 일부) 에는, 또한, 도 3 의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중앙부 외측에 절결부 (16b) 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절결부 (16b) 에 의해 폭이 좁게 된 영역이 덮개재 (20) 의 손잡이부 (25) 와 접착되는 접착 영역 (16c) 으로 되어 있다 (도 1 의 (a) 참조). 또, 접착 영역 (16c) 에는, 블랭크 (10a) 의 도시 표측 (용기 본체 (10) 의 수납 내부측) 에, 3 개의 개봉 보조 반절선 (16d ∼ 16f) 이 서로 평행이 되도록, 좌우 1 쌍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 개봉 보조 반절선 (16d ∼ 16f) 의 측면판 (14) 측의 선단을 연결하도록 개봉 보조 반절선 (16g) 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도 2 로 돌아와, 설명을 계속한다. 덮개재 (20) 는, 종이제의 덮개재로서, 도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종이 기재 (21) 와, 그 이면측에 얇게 적층되는 접착층 (22) 으로 구성된다. 덮개재 (20) 는, 용기 본체 (10) 의 플랜지부 (12) 에 대해 접착층 (22) 을 개재하여 그 주연부 (24) 가 접착되고, 덮개부 (23) 에 의해 수납부 (11) 를 가리도록 되어 있다. 접착층 (22) 은, 종이 기재 (21) 의 이면 전체에 적층되어도 되고, 플랜지부 (12) 에 접착되는 주연부 (24) 에 대응하는 지점에만 적층되어도 된다. 또한, 이하, 설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도 2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재 (20) 의 상측의 면을 표면 (20a) 으로, 수납부 (11) 측의 면을 이면 (20b) 으로 하여 설명을 계속한다.
덮개재 (20) 를 주로 구성하는 종이 기재 (21) 는, 예를 들어 미평량 200 g/㎡ ∼ 500 g/㎡ 의 판지로 구성된다. 종이 기재 (21) 는, 표면 (20a) 측에 소정의 인쇄를 실시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적어도 편면이 하얀 코트 마닐라, 코트 골판지 또는 아이보리 등의 종이를 사용할 수 있다. 또, 덮개재 (20) 의 이면 (20b) 측에서는, 용기 본체 (10) 의 플랜지부 (12) 에 접착시킬 필요가 있기 때문에, 접착층 (22) 으로서, 예를 들어 두께 15 ㎛ ∼ 80 ㎛ 의 얇은 폴리에틸렌 필름 또는 폴리프로필렌 필름 등의 시일 적성이 우수한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수납 용기 (1) 에서는, 이와 같은 필름을 종이 기재 (21) 에 라미네이트하여, 덮개재 (20) 로 한다. 또, 라미네이트를 대신하여, 종이 기재 (21) 에 접착제를 개재하여 폴리에틸렌 수지 등 (접착층 (22)) 을 압출하여 덮개재 (20) 로 해도 된다. 또한, 접착층 (22) 을 구성하는 필름은, 내용물이 식품인 경우, 위생성이나 방습성 등의 기능을 발휘하도록 해도 된다.
상기와 같은 층 구성을 갖는 덮개재 (20) 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 방향에 있어서, 3 개의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즉, 덮개재 (20) 는, 중앙부에 위치하여 용기 본체 (10) 의 수납부 (11) 를 가리는 덮개부 (23) 와, 덮개재 (20) 를 용기 본체 (10) 의 플랜지부 (12) 에 접착 고정시키기 위한 주연부 (24) 와, 덮개부 (23) 의 봉을 개봉하기 위한 개시편이 되는 손잡이부 (25) 를 갖고 있다. 손잡이부 (25) 는, 덮개재 (20) 의 평면 방향의 일단측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에 배치되어 있다. 덮개부 (23) 와 손잡이부 (25) 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덮개부 (23) 및 손잡이부 (25) 와 주연부 (24) 사이에는, 상세한 것은 후술하지만, 각종 절입선 (31, 32) 이나 반절선 (35 ∼ 39) 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덮개재 (20) 를 갖는 수납 용기 (1) 에서는, 손잡이부 (25) 를 손으로 잡아 도시 우하 (右下) 로부터 좌상 (左上) 을 향하여 상방으로 잡아당겨 올림으로써, 손잡이부 (25) 가 플랜지부 (12) 로부터 박리되고, 그 후, 덮개부 (23) 및 손잡이부 (25) 와 주연부 (24) 사이가 분리되어, 덮개부 (23) 를 개봉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4 및 도 5 를 참조하여, 덮개재 (20) 의 구성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는 도 1 에 나타내는 수납 용기를 구성하는 종이제 덮개재를 표면 (20a) 측에서 보았을 때의 평면도이다. 도 5 는 도 4 에 나타내는 종이제 덮개재의 손잡이부의 주변을 확대한 부분 확대 평면도이다. 또한, 도 4 및 도 5 에 있어서, 점선은 이면 (20b) 측에 형성되는 이측 반절선을 나타내고 있고, 이점 쇄선은 표면 (20a) 측에 형성되는 표측 반절선을 나타내고 있다. 이측 반절선은, 덮개재 (20) 의 이면 (20b) 으로부터 표면 (20a) 측을 향하여 절입을 넣은 절단 보조선으로서, 표면 (20a) 까지는 관통하고 있지 않은 선을 나타내고, 표측 반절선은, 덮개재 (20) 의 표면 (20a) 으로부터 이면 (20b) 측을 향하여 절입을 넣은 절단 보조선으로서, 이면 (20b) 까지는 관통하고 있지 않은 선을 나타낸다.
덮개재 (20) 에는, 도 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부 (23) 및 손잡이부 (25) 와 주연부 (24) 사이에, 손잡이부 (25) 가 설치되는 종이결 방향 (K) 의 일단으로부터 순서대로, 개봉 개시용의 절입선 (31, 32), 개봉 확인용의 이측 반절선 (33, 34), 제 1 개봉용 이측 반절선 (35a, 36a), 제 1 개봉용 표측 반절선 (35b, 36b), 제 2 개봉용 이측 반절선 (37a, 38a), 제 2 개봉용 표측 반절선 (37b, 38b), 제 3 개봉용 이측 반절선 (39a), 및 제 3 개봉용 표측 반절선 (39b) 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덮개재 (20) 의 개봉단이 되는 손잡이부 (25) 는,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에 폭이 넓은 폭광부 (25a) 를 갖고, 내측에 폭광부 (25a) 보다 그 가로폭이 좁은 폭협부 (25b) 를 갖고 구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 (10) 의 플랜지부 (12) (연편 (16)) 에서는 이 폭광부 (25a) 에 대응하는 지점에 절결부 (16b) 가 형성되어 서로가 비접촉 상태가 되는 한편, 폭협부 (25b) 에서는 플랜지부 (12) (연편 (16) 의 접착 영역 (16c)) 와 접착되도록 되어 있다. 도 5 의 영역 S 로 나타내는 지점이, 예를 들어, 플랜지부 (12) (연편 (16) 의 접착 영역 (16c)) 와 손잡이부 (25) (폭협부 (25b)) 가 접착되어 있는 영역이다. 또, 손잡이부 (25) 의 외측에는, 개봉을 보다 실시하기 쉽도록 절결 (27, 28) 이 형성되어 있지만,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절입선 (31, 32) 은,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서술한 폭광부 (25a) 와 폭협부 (25b) 로 구성되는 손잡이부 (25) 의 양측에 형성되고, 일부가 종이결 방향 (K) 을 따라 종이 기재 (21) 의 평면 방향의 중앙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개봉 개시용의 절단선이다. 또한, 여기서 말하는「종이결 방향 (K) 을 따라」란, 종이결 방향 (K) 과 대략 평행인 경우를 포함하며, 완전히 평행인 경우뿐만 아니라, 종이결 방향 (K) 에 대해 ±5 도 어긋나는 경우도 포함하는 취지이며, 이하의 경우도 동일하다. 절입선 (31, 32) 은, 덮개재 (20) 의 표면 (20a) 으로부터 이면 (20b) 까지 관통하고 있는 절단선이다. 또, 절입선 (31, 32) 의 중심측의 선단 각각으로부터는, 추가로 중심 방향 (종이결 방향 (K) 의 타단측) 으로 연장되는 개봉 확인용의 이측 반절선 (33, 34) 이 형성되어 있다. 이측 반절선 (33, 34) 은, 종이결 방향 (K) 을 따라 덮개재 (20) 의 평면 방향 중앙부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후술하는 제 1 개봉용 이측 반절선 (35a, 36a) 의 내측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다. 이측 반절선 (33, 34) 은, 덮개재 (20) 의 이면 (20b) 측으로부터 표면 (20a) 을 향하여 절입을 넣은 절단 보조선으로서, 표면 (20a) 까지는 관통하고 있지 않은 선이다. 또한, 덮개재 (20) 의 개봉이 이 이측 반절선 (33, 34) 부근까지 이루어지면, 덮개재 (20) 의 대응하는 표면이 찢어지기 때문에, 개봉한 형적을 남길 수 있어, 사용자에 대해 부정 개봉이 이루어졌는지의 여부를 알릴 수 있다.
제 1 개봉용 이측 반절선 (35a, 36a) 은, 이측 반절선 (33, 34) 의 중심측의 선단 각각으로부터 (요컨대, 손잡이부 (25) 로부터) 서로 멀어지도록 외측을 향하고, 덮개재 (20) 의 종이결 방향 (K) 에 대해 소정의 각도 (예각) 를 형성하도록 경사져 연장되어 있다. 요컨대, 이측 반절선 (35a, 36a) 은, 종이결 방향 (K) 에 대해 직교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측 반절선 (35a, 36a) 과 종이결 방향 (K) 이 이루는 각도는 예각이며, 예를 들어 45 도 ∼ 85 도의 범위 내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도 ∼ 80 도의 범위 내이다. 이측 반절선 (35a, 36a) 은, 이측 반절선 (33, 34) 과 마찬가지로, 덮개재 (20) 의 이면 (20b) 측으로부터 표면 (20a) 을 향하여 절입을 넣은 절단 보조선으로서, 표면 (20a) 까지는 관통하고 있지 않은 선이다. 또한, 후술하는 제 2 및 제 3 개봉용 이측 반절선 (37a, 38a, 39a) 도 동일한 구성의 절단 보조선이다. 이측 반절선 (35a, 36a) 의 각각은, 외측으로 연장된 선단 (타단) 에 있어서, 후술하는 제 2 개봉용 이측 반절선 (37a, 38a) 각각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다.
제 1 개봉용 표측 반절선 (35b, 36b) 은, 제 1 개봉용 이측 반절선 (35a, 36a) 에 대해 일정한 폭 (W) 을 갖고 그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선이며, 제 1 개봉용 이측 반절선 (35a, 36a) 각각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폭 (W) 은, 예를 들어 1 ㎜ ∼ 3 ㎜ 정도이다. 표측 반절선 (35b, 36b) 은, 이측 반절선 (35a, 36a) 과 대략 평행이고, 표측 반절선 (35b, 36b) 과 종이결 방향 (K) 이 이루는 각도는 마찬가지로 예각이며, 예를 들어 45 도 ∼ 85 도의 범위 내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도 ∼ 80 도의 범위 내이다. 또, 표측 반절선 (35b, 36b) 은, 그 내측의 일단이 이측 반절선 (33, 34) 에 연결되어 있고, 타단이 후술하는 제 2 개봉용 표측 반절선 (37b, 38b) 의 일단에 연결되어 있다. 표측 반절선 (35b, 36b) 은, 덮개재 (20) 의 표면 (20a) 측으로부터 이면 (20b) 을 향하여 절입을 넣은 절단 보조선으로서, 이면 (20b) 까지는 관통하고 있지 않은 선이다. 또한, 후술하는 제 2 및 제 3 개봉용 표측 반절선 (37b, 38b, 39b) 도 동일한 구성의 절단 보조선이다.
제 2 개봉용 이측 반절선 (37a, 38a) 은, 제 1 개봉용 이측 반절선 (35a, 36a) 의 외측 선단 각각으로부터 종이결 방향 (K) 을 따라 연장되는 선이다. 이측 반절선 (37a, 38a) 은, 종이결 방향 (K) 을 따라 연장되고, 그 선단 (타단) 이 후술하는 제 3 개봉용 이측 반절선 (39a) 의 도시 좌단 또는 우단에 연결되어 있다.
제 2 개봉용 표측 반절선 (37b, 38b) 은, 제 2 개봉용 이측 반절선 (37a, 38a) 에 대해 일정한 폭 (W) 을 갖고 그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선이며, 이측 반절선 (37a, 38a) 각각을 따라 연장되도록 되어 있다. 즉, 표측 반절선 (37b, 38b) 은, 표측 반절선 (35b, 36b) 의 외측 선단 각각으로부터 종이결 방향 (K) 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표측 반절선 (37b, 38b) 은, 종이결 방향 (K) 을 따라 연장되고, 그 선단이 후술하는 제 3 개봉용 표측 반절선 (39b) 의 도시 좌단 또는 우단에 연결되어 있다.
제 3 개봉용 이측 반절선 (39a) 은, 제 2 개봉용 이측 반절선 (37a, 38a) 의 선단을 연결하고, 종이결 방향 (K) 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선이다. 또, 제 3 표측 반절선 (39b) 은, 이측 반절선 (39a) 에 대해 일정한 폭 (W) 을 갖고 그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선이며, 이측 반절선 (39a) 을 따라 연장되도록 되어 있다. 즉, 표측 반절선 (39b) 은, 표측 반절선 (37b, 38b) 의 선단 각각으로부터 종이결 방향 (K) 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여기서, 도 4 ∼ 도 6 을 참조하여, 덮개재 (20) 가 용기 본체 (10) 의 플랜지부 (12) 에 접착되어 덮개가 덮인 수납 용기 (1) 의 개봉의 흐름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수납 용기 (1) 에서는, 손잡이부 (25) 의 측면에 형성된 절입선 (31, 32) 이, 용기 본체 (10) 의 연편 (16) 에 형성된 개봉 보조 반절선 (16d) (도 3 참조) 과 대략 일치하도록 양자가 접착되어 있고, 손잡이부 (25) 의 개봉을 보조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절입선 (31, 32) 을 따라 연장되는 개봉 보조 반절선 (16d) 의 내측과 외측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그것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개봉 보조 반절선 (16e, 16f) 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고, 덮개재 (20) 와 용기 본체 (10) 의 접착이 다소 어긋나도, 이들 개봉 보조 반절선 (16e, 16f) 중 어느 것에 의해 동일하게 개봉이 보조된다. 또한, 용기 본체 (10) 의 연편 (16) 에는, 개봉 보조 반절선 (16g) 이 추가로 형성되어 있고, 개봉 보조 반절선 (16d ∼ 16f) 의 보조에 의한 종이의 층간 박리가 용기 본체 (10) 의 내부까지 연장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먼저, 수납 용기 (1) 의 개봉을 실시할 때, 사용자는, 손잡이부 (25) 의 일단측을 잡는다. 그리고, 잡은 손잡이부 (25) 를 도시 상방으로 잡아당겨 올리면, 절입선 (31, 32) 및 개봉 보조 반절선 (16d) 을 따라, 덮개재 (20) 의 주연부 (24) 와 손잡이부 (25) 사이가 분리된다. 그 후, 더욱 손잡이부 (25) 를 잡아당겨 올리면, 이측 반절선 (33, 34) 을 따라 표면 (20a) 측도 포함하여 종이 기재 (21) 의 절단이 더욱 진행된다. 이 때, 플랜지부 (12) 에 접착되어 있는 종이 기재 (21) 의 이면 (20b) 측의 부분과 표면 (20a) 의 부분 사이에서 층간 박리가 일어난다.
계속해서, 손잡이부 (25) 를 계속 잡아당기면, 이측 반절선 (33, 34) 을 따른 절단이 우선 제 1 개봉용 표측 반절선 (35b, 36b) 을 따른 절단으로 이어지고, 더욱 진행하면, 제 1 개봉용 이측 반절선 (35a, 36a) 을 따른 절단으로 이어진다. 여기서, 표측 반절선 (35b) 과 이측 반절선 (35a) 사이에서의 층간 박리에 의한 절단에 대해, 도 6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a)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 (20a) 측으로부터 형성되는 반절선 (35b) 과, 이면 (20b) 측으로부터 형성되는 반절선 (35a) 은, 평면 방향에 있어서, 일정한 폭 (W) 을 갖고 이간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의 덮개재 (20) 에 대해, 개봉하기 위한 힘이 가해지면, 도 6(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부 (23) 에 대해, 상방을 향하는 힘이 가해지면, 종이의 상방으로의 파단 강도와 비교하여, 층간의 박리 강도 쪽이 대폭 약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직선상의 찢어짐이 발생하지 않고, 상향의 힘이 경사 방향이나 가로 방향으로 확산되어, 층간에서의 박리를 일으키게 한다. 그러면, 반절선 (35a) 의 선단 부근과 반절선 (35b) 의 선단 부근 사이에서 종이 기재 (21) 의 층간 박리 (H) 가 일어나 주연부 (24) 와 덮개부 (23) 사이가 분리되게 된다. 또한, 반절선 (36a, 36b) 사이나, 후술하는 반절선 (37a, 37b) 사이, (38a, 38b) 사이, 및 (39a, 39b) 사이에서도 동일한 층간 박리가 일어나 분리되게 된다.
계속해서, 표측 및 이측 반절선 (35a, 35b, 36a, 36b) 을 따른 절단이 진행되면, 제 2 표측 및 이측 반절선 (37a, 37b, 38a, 38b) 을 따른 층간 박리에 의한 절단이 진행된다. 여기까지의 절단에 의해, 종이결 방향 (K) 의 타단측에 위치하는 표측 및 이측 반절선 (39a, 39b) 을 축으로 한 덮개부 (23) 의 개봉이 가능해진다. 그리고, 또한, 손잡이부 (25) 를 잡아당김으로써, 제 3 표측 및 이측 반절선 (39a, 39b) 을 따른 층간 박리에 의한 절단이 진행되어, 덮개부 (23) 가 주연부 (24) 로부터 완전히 분리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덮개재 (20) 에서는, 개봉 개시 후에 층간 박리를 일으키게 하는 제 1 및 제 2 개봉용 표측 반절선 (35b ∼ 38b) 과 제 1 및 제 2 개봉용 이측 반절선 (35a ∼ 38a) 중 어느 것도 종이결 방향 (K) 에 대해 직교하지 않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게다가, 층간 박리를 일으키게 할 때에 손잡이부 (25) 로부터 멀어져 있어 힘이 균등하게 전해지기 힘든 제 2 개봉용 표측 반절선 (37b, 38b) 과 제 2 개봉용 이측 반절선 (37a, 38a) 이 종이결 방향 (K) 을 따라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이 덮개재 (20) 에 의하면, 용기 본체 (10) 에 접착된 덮개재 (20) 의 개봉을 종이결 방향 (K) 을 따라 혹은 종이결 방향 (K) 의 직교 방향을 따르지 않고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개봉 도중에서의 종이 찢어짐이나 종이 남음 등이 발생하기 어려워져, 덮개재 (20) 의 개봉을 보다 확실하게 실현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덮개재 (20) 에서는, 제 1 개봉용 표측 반절선 (35b, 36b) 및 제 1 개봉용 이측 반절선 (35a, 36a) 이, 종이결 방향 (K) 에 대해 80 도보다 작은 각도가 되도록 종이결 방향 (K) 에 대해 경사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경사 각도임으로써, 초기 단계의 층간 박리를 보다 확실하게 실현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덮개재 (20) 는, 제 3 개봉용 표측 반절선 (39b) 및 제 3 개봉용 이측 반절선 (39a) 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표측 및 이측 반절선 (39b, 39a) 을 구비함으로써, 종이결 방향 (K) 의 타단측을 축으로 하여 그 이외가 분리된 덮개부 (23) 를 개봉 상태인 채로 유지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덮개부 (23) 를 닫거나 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 종이결 방향 (K) 의 타단측의 부분도 층간 박리에 의해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분리된 덮개부 (23) 를 완전히 제거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또한, 표측 및 이측 반절선 (39b, 39a) 은, 종이결 방향 (K) 에 대해 직교하여 연장되는 경우도 있지만, 개봉의 최종 부분으로서, 만일 종이 남음 등이 발생하였다고 해도, 실용상 문제가 되는 경우는 적다.
또,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덮개재 (20) 에서는, 손잡이부 (25) 는, 종이결 방향 (K) 과 직교하는 폭 방향에 있어서 대략 중앙에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덮개재 (20) 의 개봉을 중앙부로부터 좌우를 향하여 대략 균등하게 진행할 수 있기 때문에, 용기 본체 (10) 에 접착된 덮개재 (20) 의 개봉을 보다 균형 있게 또한 확실하게 실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2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도 7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 은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종이제 덮개재를 표면측에서 보았을 때의 평면도이다. 제 2 실시형태에 관련된 덮개재 (40) 는, 손잡이부의 형상이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덮개재 (20) 와 상이하고, 또 예비 절입선 등을 형성하고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덮개재 (40) 의 다른 구성이나 덮개재 (40) 가 접착되는 용기 본체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덮개재 (40) 의 손잡이부 (25c) 는, 제 1 실시형태의 손잡이부 (25) 와 달리, 그 폭이 일정하게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절입선 (31c, 32c) 도 직선 형상으로 되어 있어, 종이결 방향 (K) 을 전체가 따르고 있다.
또, 덮개재 (40) 에는, 개봉 개시용의 절입선 (31c, 32c) 의 외측에, 개봉 개시용의 예비 절입선 (41, 42), 개봉 개시용의 예비 이측 반절선 (43, 44), 및 개봉 개시용의 예비 절입선 (45, 46) 이 형성되어 있다. 표측 반절선 (35b, 36b) 은, 손잡이부 (25c) 측의 일단 부근에 있어서, 이측 반절선 (43, 44) 을 개재하여, 개봉 개시용의 예비 절입선 (41, 42) 에 연결되어 있다.
개봉 개시용의 예비 절입선 (41, 42) 은, 개봉 개시용의 절입선 (31c, 32c) 의 외측에 대략 평행하게 형성된 절단선이며, 절입선 (31c, 32c) 을 따른 분리가 잘 되지 않은 경우의 보조적인 절입선이다. 예비 절입선 (41, 42) 을 형성해 둠으로써, 본래의 절입선 (31c, 32c) 에 의한 분리가 잘 되지 않아 그곳으로부터 어긋난 경우에도, 예비 절입선 (41, 42) 에 의해 교정되어, 이측 반절선 (43, 44) 을 개재하여 제 1 개봉용 표측 반절선 (35b, 36b) 으로 분리를 유도할 수 있다.
개봉 개시용의 예비 절입선 (45, 46) 은, 예비 절입선 (41, 42) 과 마찬가지로, 절입선 (31c, 32c) 을 따른 분리가 잘 되지 않은 경우의 보조적인 절입선이다. 이 예비 절입선 (45, 46) 을 형성함으로써, 제조시의 오차 등에 의해, 절입선 (31c, 32c) 과 이측 반절선 (33, 34) 사이에 어긋남이 발생한 경우에도, 덮개재 (40) 의 개봉시에, 예비 절입선 (45, 46) 과 이측 반절선 (33, 34) 의 연장선으로부터 절단이 되므로, 개봉을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덮개재 (40) 에서는, 절입선 (31c, 32c) 의 외측에 있어서 연장되는 예비 절입선 (41, 42) 을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 이 때문에, 덮개재 (40) 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에 더하여, 예비 절입선 (41, 42) 을 형성해 둠으로써, 본래의 절입선 (31c, 32c) 에 의한 분리가 잘 되지 않아 그곳으로부터 어긋난 경우에도, 예비 절입선 (41, 42) 에 의해 교정되어, 제 1 개봉용 표측 반절선 (35b, 36b) 으로 유도할 수 있으므로, 초기 개봉을 보다 확실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 3 실시형태]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해, 도 8 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 은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종이제 덮개재를 표면측에서 보았을 때의 평면도이다. 제 3 실시형태에 관련된 덮개재 (50) 는, 손잡이부의 형상이 제 1 실시형태에 관련된 덮개재 (20) 와 동일하지만, 제 2 실시형태와 같이 예비 절입선 등을 형성하고 있는 점에서 상이하다. 덮개재 (50) 의 다른 구성이나 덮개재 (50) 가 접착되는 용기 본체는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하기 때문에,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덮개재 (50) 의 손잡이부 (25) 의 양측에는, 예비 절입선 (41, 42) 및 예비 절입선 (41, 42) 으로부터 연장되는 이측 반절선 (43, 44) 이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덮개재 (50) 에 의하면, 제 1 실시형태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에 더하여, 예비 절입선 (41, 42) 을 형성해 둠으로써, 본래의 절입선 (31, 32) 에 의한 분리가 잘 되지 않아 그곳으로부터 어긋난 경우에도, 예비 절입선 (41, 42) 에 의해 교정되어, 제 1 개봉용 표측 반절선 (35b, 36b) 으로 유도할 수 있으므로, 초기 개봉을 보다 확실하게 실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종이제 덮개재 및 당해 덮개재를 구비한 수납 용기에 대해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에 관련된 종이제 덮개재 및 당해 종이제 덮개재를 구비한 수납 용기는,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 가지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제 1 개봉용 이측 반절선 (35a, 36a) 이나 제 1 개봉용 표측 반절선 (35b, 36b) 이 직선상인 경우의 예를 나타내었지만, 이들 반절선은 직선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어도 일방이 파형 형상이나 지퍼 형상 등이어도 된다. 분리면을 이와 같은 형상으로 함으로써, 종이제 덮개재를 개봉하여 덮개를 열었을 때, 그 개봉한 변이 완만한 요철 형상이 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손가락 등을 상처 나게 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먼저, 실시예 1 로서, 평량 310 g/㎡ 의 종이 (코트 골판지) 를 준비하고, 그 코트면측에 인쇄 후, 폴리에틸렌 수지를 45 ㎛ 두께로 압출하여 자재를 제조하였다. 이 제조한 자재로부터, 도 7 (도 9(a)) 에 나타내는 형상을 타발하여 덮개재를 제조하고, 당해 덮개재에 대응하는 용기 본체에 대해 히트 시일을 실시하여, 수납 용기의 각 샘플 No.1 ∼ No.3 (각 샘플마다 N = 3) 을 제조하였다. 또한, 각 샘플 No.1 ∼ No.3 에서는, 손잡이부의 폭 P [㎜] 와, 종이결 방향 (K) 에 대한 제 1 반절선의 경사 각도 Q [°] 를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들 각 샘플의 수납 용기에 있어서 덮개재의 개봉 시험을 실시하고, 이하의 4 점의 평가 항목 및 그 종합 판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표 1 에 나타내는 4 점의 평가 항목의 값은, 각 샘플에서의 평균값이다.
[잡기 용이성]
손잡이부의 잡기 용이성을,「1」∼「5」의 5 단계로 평가하였다. 「1」은, 잡을 수 없거나 또는 개봉의 힘을 가하기 어려운 단계이고,「5」로 진행됨에 따라, 손잡이부에 힘을 가함에 있어서 일절의 문제가 없는 평가 항목이다.
[초기 개봉]
개봉 초기에 플랜지가 들어올려지지 않고 층간부터 개봉되는지의 여부지를,「1」∼「5」의 5 단계로 평가하였다. 「1」은, 플랜지가 들어올려져 트레이층간으로부터 개봉되지 않는 단계이고,「5」로 진행됨에 따라, 플랜지가 일절 들려올려지지 않고 트레이층간으로부터 깔끔하게 개봉되는 평가 항목이다.
[분리]
플랜지 단부에서 덮개재와 수납 용기가 분리되는지를,「1」∼「5」의 5 단계로 평가하였다. 「1」은, 수납 용기와 덮개재가 분리되지 않는 (덮개재가 찢어지는, 2 중 덮개가 되는) 단계이고,「5」로 진행됨에 따라, 수납 용기와 덮개재의 분리에 있어서 문제가 없고 또한 초기 개봉으로부터의 일련의 흐름으로 개봉할 수 있는, 즉 여분의 힘이 불필요한 평가 항목이다.
[반절 추종]
반절 형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개봉이 이루어지는지의 여부를,「1」∼「5」의 5 단계로 평가하였다. 「1」은, 반절 형상으로부터 벗어간 개봉이 이루어지는 단계이고,「5」로 진행됨에 따라, 개봉시에 반절 형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또한 분리로부터의 일련의 흐름으로 개봉할 수 있는, 즉 여분의 힘이 불필요한 평가 항목이다.
또한, 종합 판정은,
잡기 용이성 : 초기 개봉 : 분리 : 반절 추종 = 1 : 1 : 4 : 2
의 가중치를 부여하여 판정하였다.
Figure pct00001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9(a) 에 나타내는 형태의 덮개체에 의하면, 잡기 용이성 등에 다소의 어려움이 있거나, 초기 개봉시에 힘이 조금 많이 필요한 점은 있지만, 반절선을 따라 덮개재의 개봉을 보다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다음으로, 실시예 2 로서,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평량 310 g/㎡ 의 종이 (코트 골판지) 를 준비하고, 그 코트면측에 인쇄 후, 폴리에틸렌 수지를 45 ㎛ 두께로 압출하여 자재를 제조하였다. 이 제조한 자재로부터, 도 8 (도 9(b)) 에 나타내는 형상을 타발하여 덮개재를 제조하고, 당해 덮개재에 대응하는 용기 본체에 대해 히트 시일을 실시하여, 수납 용기의 각 샘플 No.1 ∼ No.6 (각 샘플마다 N = 6) 을 제조하였다. 또한, 각 샘플 No.1 ∼ No.6 에서는, 손잡이부의 폭 P [㎜] 와, 종이결 방향 (K) 에 대한 제 1 반절선의 경사 각도 Q [°] 와, 손잡이부의 폭광부의 길이 R [㎜] 을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설정하였다. 그리고, 이들 각 샘플의 수납 용기에 있어서 덮개재의 개봉 시험을 실시하고, 실시예 1 과 마찬가지로 4 점의 평가 항목 및 그 종합 판정을 실시하였다. 표 2 에 나타내는 4 점의 평가 항목의 값은, 표 1 과 마찬가지로 각 샘플에서의 평균값이다.
Figure pct00002
표 2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9(b) 에 나타내는 형태의 덮개체에 의하면, 잡기 용이성 등의 평가가 실시예 1 보다 대폭 향상되어 있고, 또 초기 개봉, 분리, 반절 추종의 평가 항목도 실시예 1 보다 향상시킬 수 있어, 덮개재의 개봉을 보다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또, 비교예로서, 실시예 1, 2 와 마찬가지로, 평량 310 g/㎡ 의 종이 (코트 골판지) 를 준비하고, 그 코트면측에 인쇄 후, 폴리에틸렌 수지를 45 ㎛ 두께로 압출하여 자재를 제조하였다. 이 제조한 자재로부터, 도 10 에 나타내는 형상을 타발하여 덮개재를 제조하고, 당해 덮개재에 대응하는 용기 본체에 대해 히트 시일을 실시하여, 수납 용기의 샘플 (N = 6) 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2 와 마찬가지로 4 점의 평가 항목 및 그 종합 판정을 실시하였다. 표 3 에 나타내는 4 점의 평가 항목의 값은, 표 1 및 표 2 와 마찬가지로 비교예의 샘플 (N = 6) 에서의 평균값이다.
Figure pct00003
표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도 10 (종래) 에 나타내는 형상에서는, 잡기 용이성 및 초기 개봉에서는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지만, 수납 용기와 덮개재의 분리에 어려움이 있어, 분리가 이루어진 경우에도 반절 추종이 만족스럽게 이루어지지 않아, 실시예 1 및 실시예 2 보다 떨어지는 결과였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소정의 내용물 (예를 들어 아이스크림 등) 을 수용하기 위한 수납 용기의 덮개재, 및 당해 덮개재를 구비한 수납 용기에 적용할 수 있다.
1 : 수납 용기
10 : 용기 본체
12 : 플랜지부
16 : 연편
16c : 접착 영역
16d ∼ 16f : 개봉 보조 반절선
20, 40, 50 : 덮개재
25, 25c : 손잡이부
25a : 폭광부
25b : 폭협부
31, 32, 31c, 32c : 절입선
33, 34, 35a ∼ 39a : 이측 반절선
35b ∼ 39b : 표측 반절선
41, 42 : 예비 절입선
K : 종이결 방향
W : 폭

Claims (11)

  1. 소정의 내용물을 수용 가능한 용기 본체의 플랜지부에 이면이 접착 가능한 종이제 덮개재로서,
    상기 종이제 덮개재의 종이결 방향의 일단측에 형성되는 손잡이부와,
    상기 손잡이부로부터 서로 멀어지도록 외측을 향하여 상기 종이결 방향에 대해 예각이 되도록 연장되는 제 1 개봉용 이측 반절선과,
    상기 제 1 개봉용 이측 반절선의 외측 선단 각각으로부터 상기 종이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 2 개봉용 이측 반절선과,
    상기 제 1 개봉용 이측 반절선에 대해 일정한 폭을 갖고 그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당해 개봉용 이측 반절선을 따라 상기 종이결 방향에 대해 예각이 되도록 연장되는 제 1 개봉용 표측 반절선과,
    상기 제 2 개봉용 이측 반절선에 대해 일정한 폭을 갖고 그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당해 개봉용 이측 반절선 및 상기 종이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제 2 개봉용 표측 반절선을 구비하고 있는, 종이제 덮개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플랜지부에 접착되는 내측 부분의 폭이 외측 부분의 폭보다 좁은, 종이제 덮개재.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개봉용 표측 반절선 및 상기 제 1 개봉용 이측 반절선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은, 상기 종이결 방향에 대해 80 도보다 작은 각도가 되도록 상기 종이결 방향에 대해 경사져 있는, 종이제 덮개재.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의 양측에 형성되고, 상기 종이제 덮개재의 중심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절입선과,
    상기 절입선의 상기 중심측의 선단 각각으로부터 더욱 연장되는 개봉 확인용 이측 반절선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 1 개봉용 이측 반절선은, 상기 개봉 확인용 이측 반절선의 상기 중심측의 선단 각각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는, 종이제 덮개재.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절입선 각각의 외측에 있어서 상기 종이결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예비 절입선을 추가로 구비하는, 종이제 덮개재.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개봉용 표측 반절선 및 상기 제 1 개봉용 이측 반절선 중 적어도 어느 일방이 파형 형상 또는 지퍼 형상인, 종이제 덮개재.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개봉용 표측 반절선의 상기 종이결 방향의 타단측의 선단끼리를 연결하는 제 3 개봉용 표측 반절선, 및 상기 제 2 개봉용 이측 반절선의 상기 종이결 방향의 타단측의 선단끼리를 연결하는 제 3 개봉용 이측 반절선 중 적어도 일방을 추가로 구비하는, 종이제 덮개재.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종이결 방향과 직교하는 폭 방향에 있어서 대략 중앙에 형성되어 있는, 종이제 덮개재.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종이제 덮개재와,
    상기 종이제 덮개재가 접착되는 플랜지부를 갖는 용기 본체를 구비하고 있는, 수납 용기.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본체의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종이제 덮개재의 상기 손잡이부와 접착되는 접착 영역을 갖고,
    당해 접착 영역은, 상기 손잡이부의 양측에 위치하는 절입선을 따라 연장되는 개봉 보조 반절선을 갖고 있는, 수납 용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개봉 보조 반절선은, 상기 절입선과 대략 일치하는 제 1 개봉 보조 반절선과, 상기 제 1 개봉 보조 반절선과 평행하게 신장되고 또한 당해 제 1 개봉 보조 반절선에 대해 그 내측 및 외측에 위치하는 제 2 및 제 3 개봉 보조 반절선을 포함하는, 수납 용기.
KR1020187020380A 2016-01-08 2016-12-27 종이제 덮개재 및 수납 용기 KR1026153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002919A JP6659362B2 (ja) 2016-01-08 2016-01-08 紙製蓋材及び収納容器
JPJP-P-2016-002919 2016-01-08
PCT/JP2016/088882 WO2017119360A1 (ja) 2016-01-08 2016-12-27 紙製蓋材及び収納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1398A true KR20180101398A (ko) 2018-09-12
KR102615362B1 KR102615362B1 (ko) 2023-12-18

Family

ID=59273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0380A KR102615362B1 (ko) 2016-01-08 2016-12-27 종이제 덮개재 및 수납 용기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0654636B2 (ko)
JP (1) JP6659362B2 (ko)
KR (1) KR102615362B1 (ko)
CN (1) CN108602604B (ko)
AU (1) AU2016385214B2 (ko)
CA (1) CA3010094A1 (ko)
MY (1) MY195200A (ko)
NZ (1) NZ743717A (ko)
PH (1) PH12018501445A1 (ko)
SG (1) SG11201805274TA (ko)
TW (1) TWI701197B (ko)
WO (1) WO20171193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026888B1 (en) * 2020-11-13 2022-06-30 Van De Velde Packaging a cardboard tray, an assembly of the cardboard tray and a foil, a sheet of cardboard arranged for being folded into the cardboard tray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9375A (ja) * 1999-04-23 2000-11-07 Toppan Printing Co Ltd 紙製蓋
KR200206832Y1 (ko) * 2000-07-06 2000-12-15 현진제업주식회사 개봉이 용이한 포장용기의 종이재 뚜껑
JP2002347840A (ja) * 2001-05-30 2002-12-04 Dainippon Printing Co Ltd 包装容器
JP2009057061A (ja) * 2007-08-30 2009-03-19 Toppan Printing Co Ltd 蓋材
JP2014012561A (ja) * 2007-03-30 2014-01-23 Intercontinental Great Brands Llc パッケージの完全性を表示する閉じ構造
JP5743618B2 (ja) 2011-03-14 2015-07-01 凸版印刷株式会社 フランジ付き紙容器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00266A (en) * 1953-12-14 1957-07-23 Waldorf Paper Products Co Ice cream container
US3159303A (en) * 1961-08-04 1964-12-01 Acme Plate & Mat Company Tear-open sealed containers
US3298593A (en) * 1965-02-12 1967-01-17 Brown Co Laminated closure for food trays and trays closed with same
US3580478A (en) * 1969-07-24 1971-05-25 Robert P Bemiss Packaging
US3931925A (en) * 1974-04-05 1976-01-13 Ruff Stanley L Paperboard container lid convertible into a spoon
SE412044B (sv) * 1976-07-08 1980-02-18 Ziristor Ab Oppningsanordning for forpackningsbehallare
US4308985A (en) * 1980-05-12 1982-01-05 Federal Paper Board Company, Inc. Tray container with reinforced sidewalls
US4351473A (en) * 1980-11-17 1982-09-28 Federal Paper Board Co., Inc. Tray container with tear out cover
US4531668A (en) * 1984-06-06 1985-07-30 Westvaco Corporation Ovenable carton with removable lid
DE3901503A1 (de) * 1989-01-19 1990-08-02 Schmalbach Lubeca Leicht zu oeffnende verpackung
JPH0450662U (ko) * 1990-09-04 1992-04-28
JP2002104486A (ja) * 2000-10-04 2002-04-10 Toppan Printing Co Ltd トレー状容器蓋材
JP4068943B2 (ja) * 2001-11-28 2008-03-26 共同印刷株式会社 蓋付紙容器
CN1795128A (zh) * 2003-05-29 2006-06-28 加川敦子 方便食品用容器以及使用该容器的方便食品
WO2005009868A1 (ja) * 2003-07-25 2005-02-03 Kagawa, Atsuko 開封保持性に優れた容器密封用蓋体
JP4815978B2 (ja) * 2005-09-30 2011-11-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湯切り孔付き蓋材
RU2507141C2 (ru) 2009-04-23 2014-02-20 Х. Дж. ХАЙНЦ КОМПАНИ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контейнер
CA2846021C (en) 2013-03-15 2021-06-08 Selig Sealing Products, Inc. Inner seal with an overlapping partial tab layer
TWI724992B (zh) 2014-07-23 2021-04-21 日商凸版印刷股份有限公司 蓋體
JP6492697B2 (ja) 2015-01-28 2019-04-03 凸版印刷株式会社 紙製蓋、及びそれを融着した容器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09375A (ja) * 1999-04-23 2000-11-07 Toppan Printing Co Ltd 紙製蓋
JP3924986B2 (ja) 1999-04-23 2007-06-06 凸版印刷株式会社 紙製蓋
KR200206832Y1 (ko) * 2000-07-06 2000-12-15 현진제업주식회사 개봉이 용이한 포장용기의 종이재 뚜껑
JP2002347840A (ja) * 2001-05-30 2002-12-04 Dainippon Printing Co Ltd 包装容器
JP2014012561A (ja) * 2007-03-30 2014-01-23 Intercontinental Great Brands Llc パッケージの完全性を表示する閉じ構造
JP2009057061A (ja) * 2007-08-30 2009-03-19 Toppan Printing Co Ltd 蓋材
JP5743618B2 (ja) 2011-03-14 2015-07-01 凸版印刷株式会社 フランジ付き紙容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659362B2 (ja) 2020-03-04
KR102615362B1 (ko) 2023-12-18
CA3010094A1 (en) 2017-07-13
TW201730058A (zh) 2017-09-01
MY195200A (en) 2023-01-11
US10654636B2 (en) 2020-05-19
CN108602604A (zh) 2018-09-28
JP2017121964A (ja) 2017-07-13
CN108602604B (zh) 2019-11-05
SG11201805274TA (en) 2018-07-30
WO2017119360A1 (ja) 2017-07-13
PH12018501445A1 (en) 2019-03-11
AU2016385214B2 (en) 2022-02-17
AU2016385214A1 (en) 2018-07-12
NZ743717A (en) 2023-11-24
US20190023471A1 (en) 2019-01-24
TWI701197B (zh) 2020-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67526A1 (en) A packing container for liquid contents
EP2441696A1 (en) Packaging for modified atmosphere packaging
US10479547B2 (en) Packing
JPH04502299A (ja) 口縁部にヒートシールされた多層蓋部材を部分的に剥して開封される熱可塑性樹脂容器及び多層蓋部材用の複合バンド
CA2362317C (en) Non-round composite container with inverse curvature
JPH07257546A (ja) 厚紙箱用素材と厚紙箱
EP4190713A1 (en) Push-and-pull sealing disc for packaging container
HU217244B (hu) Hasáb alakú, lapos tetejű csomagolóeszköz és eljárás ennek előállítására
JP5653446B2 (ja) 小分け可能な食品用の包装
EP0208207A2 (en) A pouring edge on packing containers
JPH0667317U (ja) 易開封性カートン
WO2018002033A1 (en) Container with embossed cover member
US20070063001A1 (en) Packaging for a food product
KR20180101398A (ko) 종이제 덮개재 및 수납 용기
EP4041644B1 (en) Container having outer sleeve and inner tray with locking mechanism
JP6888335B2 (ja) 紙容器
KR102649825B1 (ko) 인서트를 포함하는 재밀봉식 용기 및 제조 방법
JP4549574B2 (ja) 包装容器
US4796760A (en) Packing container provided with opening arrangement
RU2765023C2 (ru) Укупороч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упаковочный контейнер, содержащий укупорочное средство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и способ удаления укупорочного средства для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с упаковочного контейнера
JP6849463B2 (ja) 箱用シート
EP0533457A1 (en) Containers and blanks
PL175094B1 (pl) Sposób wytwarzania pojemników rozkładanych
JP6702150B2 (ja) 収納箱
JP5929976B2 (ja) 飲料用紙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