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0962A - 도어 클로저 설치용 이동 브라켓 - Google Patents

도어 클로저 설치용 이동 브라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0962A
KR20180100962A KR1020170027542A KR20170027542A KR20180100962A KR 20180100962 A KR20180100962 A KR 20180100962A KR 1020170027542 A KR1020170027542 A KR 1020170027542A KR 20170027542 A KR20170027542 A KR 20170027542A KR 20180100962 A KR20180100962 A KR 201801009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frame
link
door
door 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75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00597B1 (ko
Inventor
김동준
Original Assignee
김동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준 filed Critical 김동준
Priority to KR10201700275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0597B1/ko
Publication of KR20180100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0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05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05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22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 E05F3/227Additional arrangements for closers, e.g. for holding the wing in opened or other position mounted at the top of wings, e.g. details related to closer housings, covers, end caps or rail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40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 E05Y2600/45Mounting location; Visibility of the elements in or on the fixed fram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Landscapes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클로저(1)의 링크(2)와 연결하여 위치이동이 가능한 브라켓에 관련되며, 그 구성에 있어서 문턱(M)의 상단에 결합하도록 위치하고, 좌우 한 쌍으로 제1프레임(11)을 수용하면서 일측으로 개방단턱(12a)이 형성된 제2프레임(12)과, 제2프레임(12)을 결합하는 제3프레임(13)을 구비하는 고정프레임(10); 상기 고정프레임(10) 상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장방향 양측으로 각각의 돌출판(21)과, 돌출판(21)의 일측 인접부에 돌출수용홈(23)을 구비하는 브라켓(20); 상기 브라켓(20)의 돌출판(21)과 인접하게 위치하고, 제2프레임(12)의 개방단턱(12a)에 브라켓(20)을 수용한 상태로 위치 이동하도록 구비하는 이동수단(30); 및 상기 브라켓(20)과 인접하게 위치하고, 도어클로저(1)의 링크(2)와 연결하여 상하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하는 링크연결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도어클로저의 설치시 링크와 결합하면서 도어클로저나 링크의 위치변화에 따라 브라켓을 고정결합 방식이 아닌 조임-풀림 방식을 적용하여 위치이동에 즉시 대응할 수 있고, 문턱의 높이에 따라 링크와의 연결축을 자유자재로 상하 높이조절이 가능하여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도어 클로저 설치용 이동 브라켓{Moving Brackets For door closure installation}
본 발명은 도어 클로저 설치용 이동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어클로저의 설치시 링크와 결합하면서 도어클로저나 링크의 위치변화에 따라 브라켓을 고정결합 방식이 아닌 조임-풀림 방식을 적용하여 위치이동에 즉시 대응할 수 있고, 문턱의 높이에 따라 링크와의 연결축을 자유자재로 상하 높이조절이 가능하여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도어 클로저 설치용 이동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
통상, 도어클로저는 건축물에서 도어에 해당하는 문의 여닫이 등에 설치되어 반복 축적되는 장력과 링크운동으로 도어의 열림 또는 닫히는 개폐동작을 부드럽게 수행하는 역할뿐만 아니라 축적된 장력에 의해 상시로 도어가 닫힌 상태를 유지하여 건물내의 화재시 연기, 유독가스 또는 다른 비상상황에 따라서 도어의 통로를 통해 다른 구역으로 피해가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현재 사용하는 도어클로저는 본체에 해당하는 바디를 도어(문)의 상측에 설치하고, 바디에 연결된 링크가 도어틀(문틀) 상측에 연결하도록 브라켓을 고정설치하여 사용한다.
일예로,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5-0027153호는 내부에 삽설된 스프링의 탄성력과 완충기능을 주기위한 유압작동 피스톤의 직선 왕복운동을 회전운동으로 바꾸어 주어 문의 닫힘기능을 하도록 하는 동체로 구성된 유압클로우져에 있어서, 상기 동체(300)의 상부측에 돌출된 상부회동축(310)에 연동되는 작동아암(210)에 힌지부(220)로 연결되어 힘을 전달하는 것으로 쉽게 절곡되는 굴절아암(230)으로 된 작동부재(200)와; 상기 동체(300)의 하부회동축(320)에 연결되어 작동되며 멈춤부재(110)와 스프링(120)과 작동축(140)이 내설된 케이스(150)를 구성요소로 하는 도어멈춤장치부(100)로 구성됨을 제안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문헌에 따르면, 문의 일정각도 개폐후 원하는 위치에 용이하게 멈춤 기능을 갖도록 하며, 또한 임의 각도 멈춤 상태에서 도어클로우져의 탄성력에 관계없이 문을 자유자재로 여닫을 수 있도록 한 도어멈춤기능과 회동자재기능을 갖는다고 설명하고 있다.
하지만, 작동부재(200)의 구성 중 고정브라켓트(250)가 나사결합에 따른 고정결합방식을 적용하고 있어서 동체(300)와 작동부재(200)의 나머지 구성들이 모두 연계하여 작동하기에 선행문헌의 발명을 설치하는 과정이 굉장히 까다롭고 정확한 위치를 지정한 상태에서 설치 및 작동을 할 수 있는 불편함이 발생한다. 다시 말해, 선행문헌의 구성 모두가 분리방식이 아닌 일체형 방식을 고수하고 있기 때문에 동체(300)의 설치위치와 작동부재(200)의 고정브라켓트(250)의 설치위치가 상호 연동하는 것으로 위치 및 높이조절을 완료한 다음, 실제 사용과정에서 동체(300) 또는 고정브라켓트(250)의 위치 변동시 고정결합중인 나사를 탈착하여 다시 고정결합하는 작업에서 나사구멍을 타공하고 위치 변동하여 작업시간이 추가적으로 발생하고, 초기에 뚫려있는 나사구멍의 존재로 미관상 깔끔하지 못하여 심미감의 저하와 같은 또 다른 문제점이 발생한다.
한국 공개특허공보 제10-1995-0027153호 "도어멈춤기능과 회동자재 기능을 갖는 도어클로우져"(공개일자: 1995. 10. 16.)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어클로저의 설치시 링크와 결합하면서 도어클로저나 링크의 위치변화에 따라 브라켓을 고정결합 방식이 아닌 조임-풀림 방식을 적용하여 위치이동에 즉시 대응할 수 있고, 문턱의 높이에 따라 링크와의 연결축을 자유자재로 상하 높이조절이 가능하여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도어 클로저 설치용 이동 브라켓을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도어클로저의 링크와 연결하여 위치이동이 가능한 브라켓에 있어서: 문턱의 상단에 결합하도록 위치하고, 좌우 한 쌍으로 제1프레임을 수용하면서 일측으로 개방단턱이 형성된 제2프레임과, 제2프레임을 결합하는 제3프레임을 구비하는 고정프레임; 상기 고정프레임 상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장방향 양측으로 각각의 돌출판과, 돌출판의 일측 인접부에 돌출수용홈을 구비하는 브라켓; 상기 브라켓의 돌출판과 인접하게 위치하고, 제2프레임의 개방단턱에 브라켓을 수용한 상태로 위치 이동하도록 구비하는 이동수단; 및 상기 브라켓과 인접하게 위치하고, 도어클로저의 링크와 연결하여 상하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하는 링크연결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동수단은 돌출판 상부에 접하는 가이드판을 구비하고, 돌출판과 가이드판을 관통하는 이동조절나사의 회전작동으로 제2프레임의 개방단턱 상에 브라켓을 수용한 상태로 고정하거나 위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링크연결수단은 브라켓의 상부 중앙에 돌출된 고정축, 고정축에 수용한 상태로 상하로 움직이는 이송핀, 이송핀의 상하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나사, 이송핀의 끝단에 삽설하여 돌출수용홈을 통하여 링크와 결합하는 이송축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도어 클로저 설치용 이동 브라켓는 도어클로저의 설치시 링크와 결합하면서 도어클로저나 링크의 위치변화에 따라 브라켓을 고정결합 방식이 아닌 조임-풀림 방식을 적용하여 위치이동에 즉시 대응할 수 있고, 문턱의 높이에 따라 링크와의 연결축을 자유자재로 상하 높이조절이 가능하여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클로저 설치용 이동 브라켓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클로저 설치용 이동 브라켓의 분해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클로저 설치용 이동 브라켓의 주요부를 분해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클로저 설치용 이동 브라켓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클로저 설치용 이동 브라켓의 내부 결합상태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도어 클로저 설치용 이동 브라켓의 작동 상태를 단면 처리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도어클로저(1)의 링크(2)와 연결하여 위치이동이 가능한 브라켓에 관련되며, 고정프레임(10), 브라켓(20), 이동수단(30), 링크연결수단(40)을 주요 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프레임(10)은 문턱(M)의 상단에 결합하도록 위치하고, 좌우 한 쌍으로 제1프레임(11)을 수용하면서 일측으로 개방단턱(12a)이 형성된 제2프레임(12)과, 제2프레임(12)을 결합하는 제3프레임(13)을 구비한다. 고정프레임(10)은 본 발명인 도어클로저 링크연결 이동 브라켓의 구성 중 외형의 뼈대역할을 수행한다. 고정프레임(10)은 크게 제1프레임(11), 제2프레임(12), 제3프레임(13)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문턱(M)의 상단에 결합하도록 좌우 한 쌍으로 대칭형성하는 제1프레임(11)과 제2프레임(12)을 구비한다. 제1프레임(11)은 제2프레임(12)의 내부에 수용하여 제3프레임(13)의 측면부와 접하거나 미세하게 대치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제2프레임(12)은 제1프레임(11)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로 구성하고, 일단이 개방되면서 개방끝단부가 단턱지는 개방단턱(12a)을 구비한다. 개방단턱(12a)은 후술하는 브라켓(20), 이동수단(30)과 연계하여 좌우이동 및 고정기능을 수행하기 때문에 필요한 구성이다. 이러한 제2프레임(12)을 좌우 대칭하도록 한 쌍으로 구비하고, 브라켓(20)을 개방단턱(12a)에 연결하여 좌우로 위치이동을 할 수 있고, 이동한 위치에서 고정하도록 이동수단(30)을 사용한 고정작업을 수행한다. 도면상에서는 생략하였으나, 제2프레임(12)의 상단부에 구멍을 형성하여 문턱(M)의 상단과 나사결합 또는 이와 유사한 방식의 결합수단을 사용하여 문턱(M)의 상단에 고정 결합한다.
그리고 좌우 대칭하는 한 쌍의 제2프레임(12)을 연결하는 구성으로 개방단턱(12a)의 일부구간을 수용하여 고정하는 제3프레임(13)을 구비한다. 다시 말해서, 중앙부에 제3프레임(13)의 좌우 양측으로 제1프레임(11)을 수요한 제2프레임(12)을 한 쌍으로 구비하면서 제2프레임(12)의 개방단턱(12a)을 제1프레임(11)의 결합부에 수용하여 결합하는 것으로 고정프레임(10)을 일체화할 수 있다. 제3프레임(13)은 제2프레임(12)의 개방단턱(12a)의 전체길이 중 일부에만 수용하여 결합하는데, 이는 제3프레임(13)이 제2프레임(12)과 결합한 상태에서 후술하는 브라켓(20)이 제2프레임(12)의 개방단턱(12a)에 수용하면서 길이방향으로 좌우 위치이동을 할 수 있는 이동범위(거리)를 최대한 확보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 따른 브라켓(20)은 상기 고정프레임(10) 상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장방향 양측으로 각각의 돌출판(21)과, 돌출판(21)의 일측 인접부에 돌출수용홈(23)을 구비한다. 브라켓(20)은 고정프레임(10)의 제2프레임(12)에 형성된 개방단턱(12a) 상에 인접하게 위치하는 것으로, 완정체인 고정프레임(10)에서 제2프레임(12)의 개방단턱(12a)에 길이방향을 기준하여 장방향 양측으로 돌출판(21)을 각각 구비하고, 돌출판(21)의 일측 인접부에 내부가 통공되어 상부로 돌출하는 돌출수용홈(23)을 구비한다. 브라켓(20)의 양측으로 돌출판(21)을 구비하는 이유는 고정프레임(10)의 제2프레임(12)에 형성된 개방단턱(12a)의 단턱진 높이에 따라 하방으로 인접하면서 수용하는 브라켓(20)의 하단부가 제2프레임(12)의 하단부와 평행선상에 위치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즉, 제3프레임(13)의 양측으로 결합하는 제2프레임(12)의 하단부와, 개방단턱(12a)에 인접하게 수용하는 브라켓(20)의 하단부가 동일선상에 평행하게 구성하기 위하여 양측에 상부방향으로 돌출하는 돌출판(21)을 구비하는 것이다. 고정프레임(10)의 구성들 간의 크기 및 제2프레임(12)의 개방단턱(12a)의 단턱높이에 따라 브라켓(20)의 돌출판(21) 또한 높이(두께)를 조절하여 구성하면 되고, 여기서 가장 중요한 것은 제2프레임(12)의 하단부와 브라켓(20)의 하단부가 동일선상에서 평행하게 위치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관건이기에 상호 구성간의 높이나 두께 등이 변하더라도 하단의 동일선상으로 평행하게 구성하면 사용하는데 큰 문제는 없다.
그리고 돌출판(21)의 일측 인접부에 돌출수용홈(23)을 구비하는데, 이 돌출수용홈(23)은 후술하는 링크연결수단(40) 중 이송축(44)을 수용하는데 필요한 구성으로서 브라켓(20)의 상부 양측에 구비하는 돌출판(21) 중 어느 하나와 인접하게 돌출형성하면서 내부가 통공하여 이송축(44)의 상하이동이 가능하게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수단(30)은 상기 브라켓(20)의 돌출판(21)과 인접하게 위치하고, 제2프레임(12)의 개방단턱(12a)에 브라켓(20)을 수용한 상태로 위치 이동하도록 구비한다. 이동수단(30)은 브라켓(20)을 고정프레임(10)의 제2프레임(12)에 형성된 개방단턱(12a)을 따라 좌우로 위치를 이동할 수 있도록 돌출판(21)과 인접하는 위치에 구비한다. 통상적으로 상용화하는 도어클로저는 문턱(M)의 상단에 링크를 고정, 결합하는 것으로 위치를 이동하기 위해서는 체결된 나사를 풀어서 위치를 이동한 다음 문턱(M)의 상단에 다시 체결하는 방식을 적용하고 있기 때문에 위치 변동시 구멍을 다시 타공하는 불편함, 위치이동에 따른 타공된 흔적이 그대로 노출되어 미관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고정프레임(10)을 문턱(M)의 상단에 고정, 결합한 상태에서 제2프레임(12)의 개방단턱(12a)에 인접하게 수용하는 브라켓(20) 상에 이동수단(30)을 구비하여 개방단턱(12a)의 길이방향으로 자유롭게 위치이동을 하는 동시에 이동지점에서 개방단턱(12a)과 고정 결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 미관상의 깔끔함까지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따르면 상기 이동수단(30)은 돌출판(21) 상부에 접하는 가이드판(31)을 구비하고, 돌출판(21)과 가이드판(31)을 관통하는 이동조절나사(33)의 회전작동으로 제2프레임(12)의 개방단턱(12a) 상에 브라켓(20)을 수용한 상태로 고정하거나 위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고정프레임(10)의 제2프레임(12) 상에 브라켓(20)을 수용하면서 좌우로 이동하도록 구비하는 이동수단(30)의 구성으로는 가이드판(31)과 이동조절나사(33)로 이루어진다. 가이드판(31)은 브라켓(20)의 돌출판(21) 상부에 인접하게 구비하는 구성으로 돌출판(21)이 브라켓(20) 상에 일체로 결합되는 것과는 다르게 탈부착이 되는 분리형식의 판을 말한다.
그리고 가이드판(31) 또한 돌출판(21)과 동일, 유사한 재질을 사용하여 조성하고, 크기 또한 돌출판(21)과 동일한 가로, 세로의 폭과 너비를 가지되, 높이는 돌출판(21)의 절반 정도로 형성하면 가장 적절한 가이드판(31)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그리고 돌출판(21)의 상부에 접하는 가이드판(31)을 상하이동하면서 제2프레임(12)의 개발단턱(12a)을 따라 좌우로 위치이동 및 고정작업을 수행하도록 돌출판(21)과 가이드판(31)의 중앙을 관통하여 연결하는 이동조절나사(33)를 구비한다. 이동조절나사(33)는 브라켓(20)의 돌출판(21) 중앙부를 지나 상부에 위치하는 가이드판(31)까지 연결하는 구조인데, 돌출판(21)은 브라켓(20)과 일체로 형성하고 있기에 고정된 상태이고, 상부의 가이드판(31)은 돌출판(21)과는 반대로 이동조절나사(33)와 연계하여 상하로 높이조절이 가능하게 유동적인 구성으로, 가이드판(31)과 돌출판(21) 사이의 공간으로 개방단턱(12a)이 삽설, 수용하여 가이드판(31)과 돌출판(21)이 연결된 브라켓(20)을 개방단턱(12a)의 레일을 따라 좌우로 이동할 수 있고, 위치이동 후 이동조절나사(33)로 가이드판(31)을 조여주면 하방의 돌출판(21)과 함께 개방단턱(12a)의 상하공간을 소멸하여 브라켓(20)이 개방단턱(12a)에 접하면서 완전고정이 된다.
또한, 이동조절나사(33)를 브라켓(20)의 돌출판(21)과 이동수단(30)의 가이드판(31)의 중앙으로 수용하는 과정에서 돌출판(21)은 브라켓(20)의 일부가 상부로 고정 돌출된 형상이고, 돌출판(21)의 상부로 상하높이조절이 가능한 가이드판(31)을 구비하기 때문에 돌출판(21)의 중앙부로 이동조절나사(33)를 수용하는 통공의 크기는 이동조절나사(33)의 원주보다 약간 크게 잡아주어 가이드판(31)과의 나사결합에 따른 결합-분리작업이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링크연결수단(40)은 상기 브라켓(20)과 인접하게 위치하고, 도어클로저(1)의 링크(2)와 연결하여 상하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한다. 링크연결수단(40)은 도어클로저(1)의 끝단부에 해당하는 링크(2)와 연결하여 문의 상단에 구비하는 도어클로저(1)와 문턱(M)의 상단에 구비하는 본 발명이 서로 연동하여 문의 개폐작업을 수행하는 브릿지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이다. 종래의 링크연결수단(40)에 해당하는 구성은 문턱(M)의 상단에 브라켓(본원발명의 구성과는 다름)을 나사 결합하여 완전 고정한 상태에서 도어클로저(1)의 링크(2) 끝단과 단순 결합하는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 종래방식을 고수하다보니 도어클로저(1)를 설치할 때 문턱(M)에 설치하는 브라켓과의 높이조절을 처음부터 최대한 정확하게 설정하여 이들 구성을 설치하는 어려움이 발생한다. 본 발명에서는 설치의 어려움과 불편함을 해소하고자 브라켓(20) 상에 링크연결수단(40)을 구비하면서 링크(2)와의 연결시 상하높이조절이 가능하여 설치작업을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세부 구성에 따르면 상기 링크연결수단(40)은 브라켓(20)의 상부 중앙에 돌출된 고정축(41), 고정축(41)에 수용한 상태로 상하로 움직이는 이송핀(42), 이송핀(42)의 상하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나사(43), 이송핀(42)의 끝단에 삽설하여 돌출수용홈(23)을 통하여 링크(2)와 결합하는 이송축(44)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링크연결수단(40)의 구성은 고정축(41), 이송핀(42), 높이조절나사(43), 이송축(44)으로 이루어지며, 고정축(41)은 브라켓(20)의 상부 중앙에 위치하면서 일정길이로 돌출된 구성이고, 이송핀(42)은 고정축(41)의 돌출부에 수용한 상태에서 상하로 움직이는 구성이고, 높이조절나사(43)는 고정축(41)에 수용된 이송핀(42)의 후단부에 삽설 결합하여 나사의 회전에 따라 이송핀(42)의 상하높이를 일정하게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고, 이송축(44)은 이송핀(42)의 끝단이 일부 수용한 상태에서 브라켓(20)의 돌출수용홈(23)상에 통공된 내부를 통하여 상하로 이동하면서 도어클로저(1)의 링크(2)와 결합하여 연결하는 구성이다.
다시 한 번 정리하면, 브라켓(20)의 상부에 일체로 돌출 형성하는 고정축(41)으로 이송핀(42)을 수용하고, 고정축(41)과 인접하면서 브라켓(20)을 지나 이송핀(42)의 후단으로 나사 결합하는 높이조절나사(43)를 구비하며, 이송핀(42)의 전면 끝단으로 내부 일부가 홈파진 이송축(44)을 삽설하여 브라켓(20)의 돌출수용홈(23)에 수용한 상태에서 높이조절나사(43)의 회전에 따라 상하로 높이조절이 가능하여 도어클로저(1)의 링크(2)와 용이하게 결합하여 도어의 개폐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어클로저의 설치시 링크와 결합하면서 도어클로저나 링크의 위치변화에 따라 브라켓을 고정결합 방식이 아닌 조임-풀림 방식을 적용하여 위치이동에 즉시 대응할 수 있고, 문턱의 높이에 따라 링크와의 연결축을 자유자재로 상하 높이조절이 가능하여 교체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 도어클로저 2: 링크
10: 고정프레임 11: 제1프레임
12: 제2프레임 12a: 개방단턱
13: 제3프레임 20: 브라켓
21: 돌출판 23: 돌출수용홈
30: 이동수단 31: 가이드판
33: 이동조절나사 40: 링크연결수단
41: 고정축 42: 이송핀
43: 높이조절나사 44: 이송축
M: 문턱

Claims (3)

  1. 도어클로저(1)의 링크(2)와 연결하여 위치이동이 가능한 브라켓에 있어서:
    문턱(M)의 상단에 결합하도록 위치하고, 좌우 한 쌍으로 제1프레임(11)을 수용하면서 일측으로 개방단턱(12a)이 형성된 제2프레임(12)과, 제2프레임(12)을 결합하는 제3프레임(13)을 구비하는 고정프레임(10);
    상기 고정프레임(10) 상에 인접하게 위치하고, 장방향 양측으로 각각의 돌출판(21)과, 돌출판(21)의 일측 인접부에 돌출수용홈(23)을 구비하는 브라켓(20);
    상기 브라켓(20)의 돌출판(21)과 인접하게 위치하고, 제2프레임(12)의 개방단턱(12a)에 브라켓(20)을 수용한 상태로 위치 이동하도록 구비하는 이동수단(30); 및
    상기 브라켓(20)과 인접하게 위치하고, 도어클로저(1)의 링크(2)와 연결하여 상하높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하는 링크연결수단(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클로저 설치용 이동 브라켓.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30)은 돌출판(21) 상부에 접하는 가이드판(31)을 구비하고, 돌출판(21)과 가이드판(31)을 관통하는 이동조절나사(33)의 회전작동으로 제2프레임(12)의 개방단턱(12a) 상에 브라켓(20)을 수용한 상태로 고정하거나 위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클로저 설치용 이동 브라켓.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연결수단(40)은 브라켓(20)의 상부 중앙에 돌출된 고정축(41), 고정축(41)에 수용한 상태로 상하로 움직이는 이송핀(42), 이송핀(42)의 상하높이를 조절하는 높이조절나사(43), 이송핀(42)의 끝단에 삽설하여 돌출수용홈(23)을 통하여 링크(2)와 결합하는 이송축(44)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 클로저 설치용 이동 브라켓.
KR1020170027542A 2017-03-03 2017-03-03 도어 클로저 설치용 이동 브라켓 KR1019005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542A KR101900597B1 (ko) 2017-03-03 2017-03-03 도어 클로저 설치용 이동 브라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542A KR101900597B1 (ko) 2017-03-03 2017-03-03 도어 클로저 설치용 이동 브라켓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0962A true KR20180100962A (ko) 2018-09-12
KR101900597B1 KR101900597B1 (ko) 2018-09-19

Family

ID=63593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542A KR101900597B1 (ko) 2017-03-03 2017-03-03 도어 클로저 설치용 이동 브라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05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25687B1 (ko) 2023-01-18 2023-04-26 (주)윈마스터 도어클로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6350B1 (ko) 2006-07-18 2007-09-10 김두선 강화유리 도어용 힌지구 고정장치
KR101460599B1 (ko) * 2013-10-25 2014-11-11 임식규 플로어 힌지의 상부피벗이 적용된 창호용 단열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0597B1 (ko) 2018-09-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20905A (en) Closure hardware
US5491930A (en) Adjustable track and hinge for casement windows
AU2017260678B2 (en) Sealing device for a sliding door
AU2016405471B2 (en) Sealing device
US20090301821A1 (en) Elevator entrance apparatus
US5762123A (en) Door system
KR101900597B1 (ko) 도어 클로저 설치용 이동 브라켓
KR20110030258A (ko) 안전문
KR102124708B1 (ko) 도어 클로저
EP1331338A3 (de) Band für Türen, Fenster und dergleichen
PT1266115E (pt) Unidade de ferragem para uma janela ou uma porta
EP1736630B1 (en) Retractable safety edge mechanism, installation method and resultant door system
KR200399182Y1 (ko) 창문 개방각도 조절장치
KR101897988B1 (ko) 모듈 타입 유니버셜 도어
US11542738B2 (en) Door closers
JP4837621B2 (ja) 扉保持装置
CA3039757A1 (en) Door driving mechanism for a swing door
KR20190033232A (ko) 슬라이딩 도어
JP4907363B2 (ja) すべり出し窓用のステー
US2953809A (en) Door aligning device
JP6403343B2 (ja) 建具の開度調整装置及び開閉窓装置
JP3602873B2 (ja) 機能ブロックの取付機構
WO2022145220A1 (ja) 開閉装置用の安全装置の取付構造
KR20060044589A (ko) 양 여닫이식 롤링도어
JP2005145589A (ja) エレベータ乗場のドア開閉部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