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100891A - 무선 물걸레 청소기 - Google Patents

무선 물걸레 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00891A
KR20180100891A KR1020170027314A KR20170027314A KR20180100891A KR 20180100891 A KR20180100891 A KR 20180100891A KR 1020170027314 A KR1020170027314 A KR 1020170027314A KR 20170027314 A KR20170027314 A KR 20170027314A KR 20180100891 A KR20180100891 A KR 201801008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dle
head
joint member
shaft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7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3747B1 (ko
Inventor
홍기남
Original Assignee
홍기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기남 filed Critical 홍기남
Priority to KR1020170027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3747B1/ko
Publication of KR201801008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08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37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37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10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 A47L11/14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with rotating tools
    • A47L11/16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motor-driven with rotating tools the tools being disc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75Handles; le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1/00Pivots; Pivotal connections
    • F16C11/04Pivotal connections
    • F16C11/06Ball-joints; Other joints having more than one degree of angular freedom, i.e. universal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Implements For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잡이를 수직으로 세우면 자동 록킹되고 좌우로 회동시키면 해제되어서 임의로 손잡이를 기울여 물걸레질할 수 있으며, 가구의 하측 공간이 상당히 좁아도 손잡이를 접어 고정할 수 있는 무선 물걸레 청소기를 제공하고자,
손잡이(10)와 헤드(6) 사이를 조인트부재(16)로 접속 연결하고, 상기 조인트부재(16)의 내부에 형성된 슬롯(124)으로 연결축(18)을 관통 수납하여 내측 축수부(126)에 원통축(182)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 되도록 연결함과 아울러 상기 조인트부재(16)에 록킹부재(20)를 동축 설치하여 상기 원통축(182)의 록킹 돌기(184)가 활동면에 형성된 탄성 훅(206)으로 구속되도록 함과 아울러 상기 조인트부재(16)와 록킹부재(20)에는 각각 절결(130)(210)이 형성된 플랜지(122)(202)를 설치하고, 상기 헤드(6)의 내부에서 상기 양 절결(130)(210)을 축 지지하는 하측 축수부(62)에 스프링(22)으로 탄성 지지 되는 플런저(24)를 배치하여, 그 상단이 상기 양 절결(130)(210)에 끼워져 구속되도록 함으로써 전후방향의 이동은 상기 탄성 훅(206)에 의한 구속으로 억제되고, 좌우방향의 이동은 플런저(24)에 의한 간섭으로 억제되도록 하고, 상기 헤드(6)의 상면에는 가이더(16)를 설치하여 손잡이(10)의 좌우방향 회동을 안내할 때 상기 탄성 훅(206)으로부터 연결축(18)의 록킹 돌기(184)가 해방되도록 함과 아울러 절결(130)(210)이 플런저(24)와 어긋나게 구성한 것이다.

Description

무선 물걸레 청소기{wireless electrical cleaner with damp cloth}
본 발명은 바닥을 청소하는 청소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내장된 충전 배터리의 동력으로 모터를 구동시키는 것에 의해 1쌍의 물걸레가 상호 외측 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바닥 청소를 하게 되어 있는 무선 물걸레 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신축 가능하도록 다단구조로 되고 충전 배터리가 내장된 손잡이의 끝으로 케이싱을 연결하고, 이 케이싱에는 모터가 내장되는 한편, 밑면에는 상기 모터에 의해 상호 외측 방향으로 구동되는 회전판을 쌍으로 설치하고, 여기에 원형의 물걸레를 떼고 붙일 수 있게 부착한 구성의 무선 물걸레 청소기는 공지되어 있다.
예로서 특허문헌 1은 커버부재와 지지판 사이로 모터가 내장되어 있고, 이 모터의 출력으로 지지판 하측에 설치된 1쌍의 걸레회전판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에 의해 물걸레질을 하게 되어 있다.
상기의 물걸레 청소기에서, 손잡이를 형성하는 다단스틱은 그 끝 부분의 볼 조인트부가 커버부재의 상면에서 볼 조인트 가이드로 구획되는 공간에 접속 연결되는 한편, 록킹핀이 끼워질 수 있는 록킹함몰부를 갖추고 있어서, 보관 중에 상기 다단스틱은 기립자세로 유지될 수 있으며, 또 사용 시 가구 밑의 바닥부를 걸레질하려 할 때에는 기립 되어있는 다단스틱을 후방으로 기울여 볼 조인트 가이드 사이로 끼워지게 하면, 흔들림 없이 지지판을 조종할 수 있으나, 이 경우 지지판은 다단스틱에 직교하는 자세로 고정되기 때문에 폭이 넓어지게 되어 간격이 좁은 곳의 걸레질은 할 수 없는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다.
또, 특허문헌 2는 밑면에 1쌍의 회전판이 장착되고 모터가 내장된 본체에 볼 조인트부재를 중심에 수납하여, 손잡이의 끝 부분에 형성된 볼 조인트를 접속 연결시킨 구성을 개시하고 있다. 여기서 볼 조인트부재는 T자형 통로를 정의하는 지지부로 이루어지고, 또한 볼 조인트의 소정 위치에는 돌기가 설치되어서 상기 지지부의 가로방향 유동홈으로 끼워지도록 연결된다.
이에 따라 상기 손잡이는 돌기가 가로방향 유동홈에 제약되는 것에 의해 좌우로 흔들림 없이 조종될 수 있고, 또 후방으로 기울일 때는 세로방향 유동홈에 따르게 되어 걸레질을 전후 좌우방향으로 진행할 수 있는 구성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상기의 물걸레 청소기는 볼 조인트와 지지부 사이의 접속 연결은 구조적으로 긴밀하게 되지 않는 것이므로 본체는 손잡이를 쥐고 전 후진시킬 때 약간의 흔들림을 일으키게 되는 문제가 있고, 이 역시도 손잡이를 본체의 폭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기울일 수 있어서 가구 밑 부분의 폭이 본체 폭보다 좁은 장소의 걸레질은 할 수 없게 된다.
또, 특허문헌 3에 개시된 물걸레 청소기는, 손잡이를 구성하는 하우징의 끝 부분에서 제1 힌지결합부재를 개재하여 제2 힌지결합부재가 축 연결됨과 동시에, 이 제2 힌지결합부재는 다시 물걸레가 장착되는 헤드의 결속부재로 끼워져서 축 연결되는 한편, 상기 제2 힌지결합부재의 끝 면은 결속부재의 내측에 장착되는 판 스프링에 의해 상방으로 탄압되는 구조를 갖추어서 상기 제1 힌지결합부재와 제2 힌지결합부재가 상호 직교 배치된 유니버셜 조인트로 접속된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그리고 제1 힌지결합부재와 제2 분체 사이에는 각각 결합돌기와 고정홈으로 되는 회전방지부재가 설치되어서 상기 하우징을 기립자세로 세워 둘 수 있고, 또 제2 힌지부재의 양측 상부에는 결속부재의 스토핑 홈으로 끼워지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있어서, 하우징을 내리눌러야만 제2 힌지부재의 끝 면이 판 스프링을 가압하면서 걸림돌기가 스토핑 홈에서 벗겨져 비스듬히 기울인 자세로 변환시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물걸레 청소기는 하우징을 헤드의 폭 방향에 나란하게 접은 자세로 변환시킬 수 있어서 가구 밑 부분의 폭이 좁은 경우에도 밀어 넣어 물걸레질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렇지만, 하우징의 자세를 변환시키려면 먼저 밑으로 내리눌러야만 록킹이 해제되는 구조이므로 사용방식이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물걸레 청소기는 가정에서 주로 힘 약한 노인이나, 여성이 취급하는 비품이므로 될 수 있는 대로 사용방식이 간편한 구조로 하는 것이 좋다.
등록 특허 제10-0956737호, 등록 특허 제10-665569호, 등록 특허 제10-1505932호,
본 발명은 무선 물걸레 청소기로서, 가구 밑 부분의 협소한 공간에도 밀어 넣을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를 헤드의 폭 방향에 나란하게 접을 수 있고, 사용 시에 단순히 손잡이를 기울이는 간편한 조작으로 손잡이와 헤드 사이가 록킹 또는 해제되는 구조를 포함하고 있는 무선 물걸레 청소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상술한 목적을 구현하는 본 발명은, 1쌍의 물걸레가 장착되는 회전판이 밑면에 설치되고 상면 한쪽에는 가이더와 축공이 형성된 헤드와 충전 배터리가 수납되는 배터리실과 신축 조절되는 손잡이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와 손잡이 사이가 전후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무선 물걸레 청소기로서, 사용 시에는 손잡이를 헤드에 대하여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와 헤드 사이를 연결 접속하는 구조와, 보관 시에는 손잡이를 헤드에 대해 수직으로 세워 둔 자세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손잡이를 구속하는 구조와, 손잡이를 헤드의 폭 방향에 나란하게 접어 둘 수 있고 그 상태가 변화되지 않도록 구속하는 구조를 포함한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무선 물걸레 청소기는, 손잡이를 헤드에 대하여 수직으로 세워 놓으면 연결축의 록킹 돌기가 록킹부재의 탄성 훅에 끼워져 구속됨과 동시에 조인트부재와 록킹부재의 각 플랜지에 형성된 절결에는 플런저의 상단이 끼워져 구속하게 됨으로써 상기 손잡이는 전후 좌우로 회동할 수 없는 상태로 되어 보관 중에 손잡이가 전도되거나 할 염려가 없이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에 관련된 무선 물걸레 청소기는, 손잡이를 좌우방향으로 회동시키면 그 외주 면이 상부 커버의 가이더를 따라 이동되는 것에 의해 전 후진방향으로도 이동되면서 연결축의 록킹 돌기가 록킹부재의 탄성 훅에서 이탈되게 작용하는 것에 의해 노약자라도 어렵지 않게 손잡이의 록킹상태를 가볍게 해제시키고 임의 각도로 변환시키면서 물걸레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무선 물걸레 청소기는 해방된 손잡이를 헤드의 폭 방향에 나란하게 접어 붙일 수 있어서 가구 하측의 공간이 상당히 좁더라도 밀어 넣어 물걸레질할 수 있고, 이 경우에 손잡이와 연결된 연결축의 록킹 돌기가 록킹부재의 탄성 훅에 끼워져 구속됨에 따라, 헤드에 대하여 상기 손잡이는 조금의 흔들림이 없이 견고하게 고정되어 물걸레질을 의도하는 바에 따라 힘들이지 않고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무선 물걸레 청소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무선 물걸레 청소기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발췌하여 확대한 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무선 물걸레 청소기에서 손잡이가 기립자세로 록킹된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5는 손잡이의 회동 조작 예를 설명하는 도면.
도 6은 손잡이의 회동 시에 나타나는 손잡이의 자동 해제작용을 설명하는 평면도.
도 7은 손잡이의 록킹 해제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8은 손잡이를 헤드의 폭 방향에 나란하게 접은 상태의 평면도.
이하 본 발명을 첨부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무선 물걸레 청소기는 도 1로 나타낸 바와 같이, 1쌍의 물걸레(2)가 장착되는 1쌍의 회전판(4)이 밑면에 설치되고 이들 회전판(4)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가 내장되는 헤드(6)와, 배터리실(8)이 구비되고 길이 조절 가능하게 신축되는 손잡이(10)가 전후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상기 헤드(6)에 접속 연결된 구성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헤드(6)와 손잡이(10) 사이는 조인트부재(12)를 개재하여 전후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접속 연결된다.
조인트부재(12)는 상기 헤드(6)에 형성되는 축공(14)을 통해 내부에서 외부로 연장되도록 접속 연결되는 것이며, 또한 좌우방향으로의 회동 중에는 상기 헤드(6)의 상면에 설치되는 가이더(16)를 따라 이동하게 되어 있다.
헤드(6)의 내부 구조는 도 2를 통해 상세하게 도시하고 있으나, 여기에는 회전판(4)을 구동시키기 위한 모터와 동력연결을 위한 구성물은 기존의 물걸레 청소기와 동일한 것이므로 도시하지 않고 있다.
상기 헤드(6)는 1쌍의 캐스터(60)를 갖추고 내부에 하측 축수부(62)를 갖춘 하부 커버(64), 그리고 상기 가이더(16)와 축공(14)을 일체로 구비하고 내부에는 상기 하측 축수부(62)에 합체되는 상측 축수부(66)가 형성된 상부 커버(68)로 이루어진다.
축공(14)에는 상기 조인트부재(12)가 관통 설치되어서 외부로 노출된다.
또, 조인트부재(12)의 중심에는 손잡이(10)에 일체로 접속되는 연결축(18)이 관통 연장되고, 이어서 록킹부재(20)가 동축 설치되며, 상기 조인트부재(12)와 록킹부재(20)는 하측 축수부(80)의 중심에서 스프링(22)으로 배치되는 플런저(22)에 간섭되도록 설치된다.
상술한 조인트부재(12)와 연결축(18), 그리고 록킹부재(20) 및 플런저(24)의 상세 구조는 도 3의 도시와 같다.
먼저, 조인트부재(12)는 몸체(120)의 한쪽 끝 부분에 플랜지(122)를 구비하고 있고, 또한 몸체(120)의 길이방향으로 슬롯(124)이 연장 형성되는 한편, 이 슬롯(124)의 끝 부분은 내측 축수부(126)로 형성됨과 아울러 내주면에는 하나의 돌기(128)가 돌출되고, 상기 플랜지(122)에는 절결(130)이 형성된 구조이다.
그리고 연결축(18)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연결부(180)의 한쪽 끝 부분에 원통축(182)이 직교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원통축(182)의 외주면에는 록킹 돌기(184)가 돌출된 구조이다.
또, 록킹부재(20)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통체(200)의 한쪽 끝 부분에 플랜지(202)가 형성되고, 반대쪽은 상기 원통축(182)의 외주면과 맞접촉되는 활동면(204)을 이루면서 그 중심에는 탄성 훅(206)이 설치됨과 아울러 그 측방으로는 상기 돌기(128)가 수용되는 홈(208)이 구비되고, 상기 플랜지(202)에도 조인트부재(12)와 마찬가지로 절결(210)이 형성된 구조이다.
상기 조인트부재(12)의 절결(130)과 록킹부재(20)의 절결(210)에는 플런저(24)의 상단이 끼워져서 스프링(22)의 탄성력으로 밀착되어 간섭하도록 조립된다.
상술한 구성에 따라, 조인트부재(12)의 몸체(120) 내측으로 연결축(18)의 연결부(18)가 관통되면서 끝 부분의 원통축(182)이 내측 축수부(126)에 지지되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또한 록킹부재(20)의 통체(200)가 삽입되면서 탄성 훅(206)이 상기 원통축(182)의 록킹 돌기(184)와 맞물림과 동시에 측방의 홈(208)이 상기 몸체(120)의 돌기(128)와 맞물려져 일체로 합체된다.
이와 같이 조인트부재(12)와 록킹부재(20)가 합체되면 양 플랜지(122)(202)의 절결(120)(210)도 일치되고, 이들이 도 2에 도시한 상부커버(66)의 상측 축수부(66)로 끼워지면서 조인트부재(12)는 연결축(18)을 포함한 채로 축공(14)을 관통하여 외부로 연장되고, 이어서 하부커버(64)의 하측 축수부(62)와의 사이에서 축 지지되는 한편, 상기 연결축(18)은 손잡이(10)에 동축으로 연결되어서 상기 조인트부재(12)는 도 1의 도시에서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그리고 손잡이(10)는 전후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손잡이(10)가 헤드(6)에 대하여 직각으로 위치하면, 연결축(18)의 록킹 돌기(184)가 록킹부재(20)의 탄성 훅(206)에 끼워져 구속되고, 플런저(122)의 상단은 양 플랜지(122)(202)의 절결(130)(210)에 끼워져 구속함에 따라, 상기 손잡이(10)는 전후방향과 좌우방향으로의 회동이 억제되어 보관하기 적합한 상태로 된다.
그런데 사용자가 손잡이(10)를 도 5의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동시키면, 상기 손잡이(10)는 좌우방향으로 회동하면서 양 절결(202(122)이 플런저(122)로부터 벗어나 해방되면서 도 6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더(16)를 타고 안내되어 간격(P)만큼 전후방향으로도 동시 이동하게 된다.
이와 같은 손잡이(10)의 좌우 및 전후방향 이동으로 조인트부재(12)의 내측에서는 도 7의 도시와 같이, 연결축(18)의 원통축(182)이 회동하면서 그 외주에 형성된 록킹 돌기(184)가 록킹부재(20)의 탄성 훅(206)으로부터 벗겨져 해방됨으로써 해방된다.
사용자는 이렇게 해방된 손잡이(10)를 헤드(6)에 대하여 의도한 바에 따라 경사지게 변환시키면서 물걸레 청소를 수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무선 물걸레 청소기는 자유롭게 해방된 손잡이(10)를 도 8의 도시와 같이 헤드(6)에 나란한 방향으로 접어 붙일 수 있으며, 이 경우에 조인트부재(12)의 내부에서는 다시 연결축(18)의 원통축(182)에 형성된 록킹 돌기(184)가 록킹부재(20)의 탄성 훅(206)에 끼워져 구속됨에 따라, 헤드(6)에 대하여 상기 손잡이(10)는 조금의 흔들림이 없이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로 변환된다.
이 상태는 가구의 하측 바닥 면을 물걸레질하는 경우에 특히 유용하고, 또한 손잡이(10)가 헤드(6)의 폭 방향에 나란하게 자세 변환됨으로써 좁은 공간까지 밀어 넣을 수 있게 되어 사용의 편리성이 배가된다.
상기와 같은 손잡이(10)의 자세 변환 후의 록킹 상태도 역시 상기 손잡이(10)를 좌우방향으로 회동시켜서 가이더(16)를 타고 넘게 하는 것으로 간단하게 해제됨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에 관련된 무선 물걸레 청소기에서 손잡이(10)는 헤드(6)에 대하여 360도 회전되도록 할 필요는 없고, 이 경우에 그 회전각도를 일정 범위로 제한하려면 도 2에 도시한 록킹부재(20)의 플랜지(202)에서 축 방향의 외측으로 1쌍의 스토퍼(212)를 대칭 위치로 배치하고, 하부 커버(64)의 하측 축수부(62)의 일부를 변형하여 상기 스토퍼(212)의 회동범위를 제약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어렵지 않게 구현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무선 물걸레 청소기는 손잡이가 가이더를 타고 이동할 때 록킹이 해제되는 것이므로, 힘들이지 않고 손잡이를 헤드에 대하여 전후 및 좌우방향으로 경사지게 변환시킬 수 있어서 노약자도 록킹-해제 조작을 힘들이지 않고 할 수 있고, 또한 손잡이의 자세 변환에 아무런 제약이 없는 구조이므로 가구의 밑부분 좁은 공간까지 용이하게 물걸레질할 수 있는 편리성을 갖추고 있으며, 물걸레질할 때에는 캐스터에 의해 헤드의 전 후진 조작도 수월하게 할 수 있다.
2: 물걸레 4: 회전판
6: 헤드
60: 캐스터 62: 하측 축수부
64: 하부 커버 66: 상측 축수부
68: 상부 커버
8: 배터리실 10: 손잡이
12: 조인트부재
120: 몸체 122: 플랜지
124: 슬롯 126: 내측 축수부
128: 돌기 130: 절결
14: 축공 16: 가이더
18: 연결축
180: 연결부 182: 원통축
184: 록킹 돌기
20: 록킹부재
200: 통체 202: 플랜지
204: 활동면 206: 탄성 훅
208: 홈 210: 절결
212: 스토퍼
22: 스프링 24: 플런저

Claims (3)

1쌍의 물걸레(2)가 장착되는 회전판(4)이 밑면에 설치되고 상면 한쪽에는 가이더(16)와 축공(14)이 형성된 헤드(6), 그리고 배터리실(12)과 길이 조절 가능하게 신축되는 손잡이(10)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6)와 손잡이(10) 사이가 전후 좌우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무선 물걸레 청소기로서,
내부에 하측 축수부(62)를 구비하고 상기 회전판(4)의 후방으로 설치되는 1쌍의 캐스터(60)를 갖춘 하부 커버(64)와, 상기 하측 축수부(62)에 합체되는 상측 축수부(66)가 내측에 설치된 상부 커버(68)로 이루어지는 헤드(6)와;
끝 부분이 내측 축수부(126)로 형성된 슬롯(124)이 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내측 축수부(126)의 반대쪽 끝 부분에는 상기 상 하측 축수부(66)(60) 사이로 축 지지 되고 하측에 절결(130)이 형성된 플랜지(122)를 갖춘 조인트부재(12)와;
상기 상부 커버(68)에 형성되어서 상기 조인트부재(12)가 관통되는 축공(14)과;
상기 손잡이(10)의 좌우방향 회동을 안내하도록 상기 상부 커버(68)의 외부 상면에 설치되는 가이더(16)와;
상기 조인트부재(12)의 슬롯(124)을 관통하여 상기 손잡이(10)에 접속 연결되도록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180)와, 상기 내측 축수부(126)로 지지 되도록 상기 연결부(180)에 직교 배치되고 외주 면에는 록킹 돌기(184)가 돌출된 원통축(182)으로 이루어진 연결축(18)과;
절결(210)을 갖춘 플랜지(202)가 한쪽 끝에 형성된 통체(200)와, 상기 플랜지(202)의 반대쪽으로 형성되어서 원통축(182)의 외주면과 맞접촉되고 중심에는 상기 원통축(182)의 록킹 돌기(184)를 구속하는 탄성 훅(206)이 형성된 활동면(204)을 갖춘 록킹부재(20)와;
상기 하부 커버(64)의 하측 축수부(62)에서 스프링(22)으로 지지 되도록 배치되어서 상기 양 절결(13)(120)로 상단부를 끼워 맞추어 구속하는 플런저(24);
로 구성되는 무선 물걸레 청소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인트부재(12)의 슬롯(124)에서 내주면에는 돌기(128)가 형성되고, 상기 록킹부재(20)의 통체(200)는 외주 면에 상기 돌기(128)가 끼워지는 홈(208)이 형성되어서 상호 일체로 합체되게 한 구성으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물걸레 청소기.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6)의 하부커버(64)는 밑면에 캐스터(60)를 갖춘 구성으로 되어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물걸레 청소기.
KR1020170027314A 2017-03-02 2017-03-02 무선 물걸레 청소기 KR1019837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314A KR101983747B1 (ko) 2017-03-02 2017-03-02 무선 물걸레 청소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7314A KR101983747B1 (ko) 2017-03-02 2017-03-02 무선 물걸레 청소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0891A true KR20180100891A (ko) 2018-09-12
KR101983747B1 KR101983747B1 (ko) 2019-05-29

Family

ID=635933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7314A KR101983747B1 (ko) 2017-03-02 2017-03-02 무선 물걸레 청소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3747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361Y1 (ko) 2018-11-02 2019-06-13 주식회사 길 물걸레 청소기 헤드
KR20200000647U (ko) 2018-09-17 2020-03-25 티아이피인터내셔날 주식회사 물걸레 청소기용 걸레포 부착판
KR20200001393U (ko) 2018-12-18 2020-06-26 주식회사 길 물걸레 청소기 헤드
KR20200001988U (ko) 2019-03-04 2020-09-14 김흥길 물걸레 청소기 헤드
KR20210100877A (ko) 2020-02-07 2021-08-18 티아이피인터내셔날 주식회사 물걸레 청소기용 걸레포 부착패드
KR20210155484A (ko) * 2020-06-16 2021-12-23 문재화 바닥 청소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412399A1 (en) * 2021-06-26 2022-12-29 Tennant Company Torque transmitting ball joi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350U (ja) * 1991-07-25 1993-02-23 花王株式会社 清掃具
JPH07148090A (ja) * 1993-12-02 1995-06-13 Tec Corp 電気掃除機の吸込みヘッド
CN1149954C (zh) * 2000-04-08 2004-05-19 维斯尔-韦克有限公司 地面真空吸尘器的吸尘嘴
JP2005168972A (ja) * 2003-12-15 2005-06-30 Sanpack:Kk モップヘッド
US6973695B1 (en) * 2002-04-25 2005-12-13 Nesler Todd G Apparatus for cleaning or otherwise engaging glass or another surfac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KR100665569B1 (ko) 2004-09-09 2007-01-09 엔에이치엔(주) 게임 아이템 맞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7054339A (ja) * 2005-08-25 2007-03-08 Yamazaki Corp 清掃用具
KR200441236Y1 (ko) * 2007-05-17 2008-08-01 주충열 청소용 브러쉬의 자루 결합구조
KR100956737B1 (ko) 2009-07-08 2010-05-06 정철화 회전식걸레 청소기
JP2010264096A (ja) * 2009-05-15 2010-11-25 Kao Corp 清掃具
KR101505932B1 (ko) 2014-10-30 2015-03-25 (주)스피드일렉 전기 바닥 청소기

Patent Citation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13350U (ja) * 1991-07-25 1993-02-23 花王株式会社 清掃具
JPH07148090A (ja) * 1993-12-02 1995-06-13 Tec Corp 電気掃除機の吸込みヘッド
CN1149954C (zh) * 2000-04-08 2004-05-19 维斯尔-韦克有限公司 地面真空吸尘器的吸尘嘴
US6973695B1 (en) * 2002-04-25 2005-12-13 Nesler Todd G Apparatus for cleaning or otherwise engaging glass or another surface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JP2005168972A (ja) * 2003-12-15 2005-06-30 Sanpack:Kk モップヘッド
KR100665569B1 (ko) 2004-09-09 2007-01-09 엔에이치엔(주) 게임 아이템 맞춤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
JP2007054339A (ja) * 2005-08-25 2007-03-08 Yamazaki Corp 清掃用具
KR200441236Y1 (ko) * 2007-05-17 2008-08-01 주충열 청소용 브러쉬의 자루 결합구조
JP2010264096A (ja) * 2009-05-15 2010-11-25 Kao Corp 清掃具
KR100956737B1 (ko) 2009-07-08 2010-05-06 정철화 회전식걸레 청소기
KR101505932B1 (ko) 2014-10-30 2015-03-25 (주)스피드일렉 전기 바닥 청소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00647U (ko) 2018-09-17 2020-03-25 티아이피인터내셔날 주식회사 물걸레 청소기용 걸레포 부착판
KR200489361Y1 (ko) 2018-11-02 2019-06-13 주식회사 길 물걸레 청소기 헤드
KR20200001393U (ko) 2018-12-18 2020-06-26 주식회사 길 물걸레 청소기 헤드
KR20200001988U (ko) 2019-03-04 2020-09-14 김흥길 물걸레 청소기 헤드
KR20210100877A (ko) 2020-02-07 2021-08-18 티아이피인터내셔날 주식회사 물걸레 청소기용 걸레포 부착패드
KR20210155484A (ko) * 2020-06-16 2021-12-23 문재화 바닥 청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3747B1 (ko) 201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3747B1 (ko) 무선 물걸레 청소기
KR100429113B1 (ko) 전기 진공 청소기
KR100670595B1 (ko) 업라이트 청소기
US7740193B2 (en) Cleaning device with preset lockable swivel head
US9414723B2 (en) Portable toilet device for a small child
US8752241B2 (en) Vacuum cleaner nozzle with magnetic lock
CA2659731A1 (en) Floor care appliance equipped with break-over protected latch assembly
KR101996272B1 (ko) 회전식 걸레 청소기
US20130315653A1 (en) Floor treatment appliance arrangement
CN218682517U (zh) 一种伞架
KR101187078B1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JP4241966B2 (ja) テーブル
RU2719514C1 (ru) Коленчатая рукоятка в сборе
CN219878053U (zh) 地刷组件及清洁设备
CN219008032U (zh) 折叠把横总成和代步车
CN212438470U (zh) 一种可靠的电动清洁装置
CN219565204U (zh) 婴儿车
JP2019048038A (ja) モータ駆動される揺動プレートを備えた掃除装置
US8720003B2 (en) Upright type vacuum cleaner
CN216876217U (zh) 地刷组件及清洁设备
CN213940623U (zh) 一种电源开关保护装置及清洁机器人
JPS6142255Y2 (ko)
CN218899330U (zh) 清洁设备及用于清洁设备的地刷装置
KR20120004103A (ko)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KR20220140231A (ko) 청소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