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9874A - 구강 관련 압력 측정용 프로브 - Google Patents

구강 관련 압력 측정용 프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9874A
KR20180099874A KR1020187022579A KR20187022579A KR20180099874A KR 20180099874 A KR20180099874 A KR 20180099874A KR 1020187022579 A KR1020187022579 A KR 1020187022579A KR 20187022579 A KR20187022579 A KR 20187022579A KR 20180099874 A KR20180099874 A KR 201800998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oon
tube portion
pressure
connection tube
hollow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2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06903B1 (ko
Inventor
코이치로 토요타
아사미 우에다
타쿠미 미야자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Publication of KR201800998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8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6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6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2Ergometry; Measuring muscular strength or the force of a muscular blow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Force Measurement Appropriate To Specific Purposes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구강 관련 압력 측정용 프로브(1)는, 탄성재로 이루어진 벌룬(2)과 중공관부(3)를 구비한다. 벌룬(2)의 접속통부(21)의 단면 형상이 편평하게 되어 있다. 벌룬(2)의 악부(23)에는 계합부(23a)가 형성된다. 중공관부(3)는, 벌룬(2)의 악부(23)를 두께방향 일측 및 타측으로부터 사이에 끼워 유지하는 외통부재(30) 및 내통부재(40)를 갖는다. 외통부재(30)에는, 벌룬(2)의 계합부(23a)가 감합된다.

Description

구강 관련 압력 측정용 프로브
본 발명은, 예를들어, 설압(舌壓), 설하근압(舌下筋壓), 구순압(口脣壓), 협압력(頰壓力) 등의 구강 관련 압력 측정 시 사용하는 구강 관련 압력 측정용 프로브에 관한 것이며, 특히 구강 내로 삽입하는 벌룬에 압압력(押壓力)을 가함으로써 상기 압력을 측정 가능하게 하는 구조의 기술 분야에 속한 것이다.
최근, 고령자의 QOL(Quality of Life) 향상을 위해 섭식·연하 기능의 유지·회복이 요구되고 있으며, 그 기능의 해명이 필요해지고 있다. 섭식·연하 기능에는 혀의 움직임이 크게 관여하는데, 식괴 형성 및 인두로 보내기 위해서는 소정의 설압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설압 측정과 그 해석은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또한, 설압뿐만 아니라, 설하근압, 구순압, 협압력 등의 구강 관련 압력 측정도 동일하게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으며, 이들 구강 관련 압력의 피측정자로서는 고령자 이외에도 장애인 등도 대상이 된다.구강 관련 압력 측정방법으로는, 구강 내로 삽입하는 벌룬에 압압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압력을 측정 가능하게 하는 이른바 벌룬식 프로브를 이용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3 참조) 특허문헌 1∼3에 개시된 구강 관련 압력 측정장치에서는, 구강 내로 삽입된 벌룬을 피측정자가 혀로 누르면, 벌룬과 연통된 압력 검지부에서 벌룬 내 공기압 변화가 검출된다.이 공기압 변화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킴으로써 설압을 측정할 수 있다.
특허문헌 2의 프로브는, 벌룬과, 당해 벌룬에 연통되는 중공관부와, 중공관부 외측에 배치된 슬라이딩부재를 구비한다.슬라이딩부재는 프로브 사용 시 치아나 입술 사이에 끼워 유지하는 것으로, 구강으로 삽입할 프로브의 삽입 길이에 맞추어 위치를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슬라이딩부재의 형상으로는, 편평한 단면(斷面)을 갖는 형상이 복수 종 개시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서는, 프로브의 벌룬의 기단부(基端部)에, 외방으로 돌출하는 악부(鍔部)를 형성하도록 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특허공개 2001-275994호 공보 특허문헌 2 : 일본 특허공개 2013-135728호 공보 특허문헌 3 : 일본 특허공개 2008-237366호 공보
그런데, 구강 관련 압력의 측정 정밀도를 높이기 위해서나 구강 관련 압력을 쉽게 측정하기 위해, 구강 내에서 벌룬을 가능한 한 안정시키고자 하는 요구가 있다.그래서, 특허문헌 1이나 3의 벌룬의 기단측 단면 형상을, 특허문헌 2의 슬라이딩부재의 단면 형상에 가까워지는 편평한 단면 형상으로 하고, 이 편평한 형상 부분을 치아나 입술 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유지하는 것이 생각된다.이로써, 벌룬의 기단측이 원형 단면인 것에 비해 벌룬을 안정시킬 수 있게 된다.
여기서, 특허문헌 2, 3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벌룬과, 당해 벌룬에 접속하는 중공관부는 다른 부재로서 구성되어 있고, 각 부재 성형 후에 조립시켜 일체화시킬 필요가 있다.이때, 특허문헌 3에 나타내는 악부를 벌룬에 형성해 두고, 이 악부를 두께방향으로 사이에 끼우도록 하여 벌룬을 중공관부에 조립시키는 것이 예상된다.
그러나, 벌룬의 기단측 단면이 편평하면, 그 기단측의 주벽부에는, 만곡부분과 평탄부분이 생기게 된다.이 주벽부의 단부에 특허문헌 3과 같은 악부를 형성한 경우, 그 악부에도 만곡부분과 평탄부분이 생긴다.악부가 이와 같은 형상으로 된 경우에 문제가 되는 것이, 벌룬의 인발강도(pull-out strength)이다. 즉, 프로브 사용 중 등에는 벌룬에 인발력이 작용하는 경우가 있다. 본 발명자는, 벌룬의 악부에 만곡부분과 평탄부분이 생기면 벌룬에 인발력이 작용했을 때, 악부의 만곡부분과 평탄부분에서는 내인발성에 큰 차이가 생기는 것을 발견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악부의 평탄부분 쪽이 만곡부분에 비해 내인발성이 크게 저하되어 평탄부분을 기점으로 악부가 빠져 나와, 더 나아가 벌룬의 내인발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구강 관련 압력 측정 시의 벌룬을 안정시킬 수 있도록 함과 함께, 중공관부로부터 벌룬이 빠지는 것을 억제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벌룬의 접속통부의 단면 형상을 편평하게 하여 치아나 입술 사이에 쉽게 끼울 수 있게 함과 함께, 이 접속통부에 형성한 악부에 계합부를 형성하여, 중공관부를 구성하는 부재에 계합부를 감합시킴으로써 벌룬의 내인발성을 향상시키도록 하였다.
제 1 발명은, 구강 관련 압력을 측정하는 피측정자의 구강 내로 삽입되는 탄성재로 이루어진 벌룬과, 상기 벌룬이 접속되는 중공관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공관부가, 상기 벌룬 내 기체의 압력 변화를 검지하는 압력 검지부를 갖는 구강 관련 압력 측정장치에 접속되어 사용되는 구강 관련 압력 측정용 프로브로서, 상기 벌룬은, 구강 내에서 압압력을 받는 수압부와, 상기 중공관부에 접속되는 접속통부를 구비하며, 상기 벌룬의 상기 접속통부는, 편평한 단면 형상을 가짐과 함께, 외방으로 돌출하는 악부를 갖고, 상기 벌룬의 상기 악부는, 당해 악부의 두께방향 일측을 향해 돌출하는 계합부를 가지며, 상기 중공관부는, 상기 벌룬의 악부를 두께방향 일측 및 타측으로부터 사이에 끼워 유지하는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를 갖고, 상기 제 1 부재에는, 상기 벌룬의 상기 계합부가 감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벌룬의 접속통부의 단면 형상이 편평하게 되므로, 벌룬의 수압부를 구강 내로 삽입한 상태에서 프로브를 치아나 입술에 의해 용이하고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구강 관련 압력 측정 시의 벌룬이 안정된다.
그리고, 벌룬의 접속통부의 악부가, 중공관부를 구성하는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에 의해 두께방향 양측으로부터 사이에 끼여, 이로써, 벌룬이 중공부재와 일체화한다. 이때, 벌룬의 악부의 계합부가 중공관부의 제 1 부재에 감합되므로, 벌룬에 인발력이 작용한 경우에, 벌룬의 계합부가 제 1 부재로부터 이탈하기 어려워지고, 이로써, 벌룬의 악부가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 사이로부터 빠지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벌룬의 내인발성이 향상된다.
제 2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벌룬의 상기 계합부는, 상기 악부의 둘레방향으로 연속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벌룬의 악부가 전체 둘레에 걸쳐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 사이로부터 빠지기 어려워지므로 벌룬의 내인발성이 한층 더 향상된다.
제 3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악부는, 상기 벌룬의 상기 접속통부의 단부(端部)에 형성되고, 상기 중공관부의 상기 제 1 부재는, 상기 접속통부의 단부가 삽입되는 외측통부를 갖고, 상기 중공관부의 상기 제 2 부재는, 상기 접속통부의 단부의 내방으로 삽입되는 내측통부를 갖고, 상기 접속통부의 단부는, 상기 외측통부 및 상기 내측통부에 의해 두께방향으로 눌려 탄성 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벌룬의 접속통부의 단부가, 중공관부의 제 1 부재의 외측통부와 중공관부의 제 2 부재의 내측통부에 의해 두께방향으로 눌려 탄성 변형하므로 접속통부의 단부가 강고히 유지된다. 이 접속통부의 단부에 악부가 형성되므로 벌룬에 인발력이 작용했을 때 악부가 움직이기 어려워져 결과적으로 악부의 계합부가 제 1 부재로부터 한층 더 이탈하기 어려워진다.
제 4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재에는, 상기 벌룬의 상기 접속통부의 단면(端面)에 당접하는 당접면이 형성되고, 상기 당접면은, 상기 벌룬의 장기 접속통부의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중공관부의 제 2 부재의 당접면이 벌룬의 접속통부의 단면에 당접한다.이 당접면이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로 악부를 확실히 사이에 끼워 유지할 수 있게 되어, 악부의 계합부가 제 1 부재로부터 한층 더 이탈하기 어려워진다.
제 5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에는, 상기 벌룬의 상기 접속통부의 직경방향으로 확대되는 단부(段部)가 형성되고, 당해 단부 내면에 상기 벌룬의 상기 계합부가 감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벌룬의 악부가 제 1 부재의 단부 내면에 계합하므로 벌룬의 내인발성이 한층 더 향상된다.
제 6 발명은, 제 1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에는, 상기 벌룬의 상기 접속통부를 덮도록 형성되며 상기 벌룬을 구성하는 탄성재보다.경질의 재료로 이루어진 경질 커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벌룬의 접속통부가 경질 커버부에 의해 덮이므로, 치아나 입술 사이에 끼워 유지할 경우에 접속통부의 변형이 억제된다.
제 1 발명에 의하면, 벌룬의 접속통부의 단면 형상을 편평하게 하였으므로 프로브를 치아나 입술 사이에 쉽게 끼울 수 있어 구강 관련 압력 측정 시의 벌룬을 안정시킬 수 있다.그리고, 벌룬의 접속통부에 형성한 악부에 계합부를 형성하여, 중공관부를 구성하는 제 1 부재에 계합부를 감합시키도록 하였으므로 벌룬의 내인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2 발명에 의하면, 벌룬의 계합부를 악부의 둘레방향으로 연속 형성하였으므로 벌룬의 내인발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제 3 발명에 의하면, 벌룬의 접속통부의 단부를, 중공관부의 제 1 부재의 외측통부와, 제 2 부재의 내측통부에 의해 두께방향으로 눌러 탄성 변형시키므로, 접속통부의 단부를 강고히 유지할 수 있고, 이로써, 벌룬에 인발력이 작용했을 때 악부가 움직이기 어려워진다. 결과적으로, 악부의 계합부가 제 1 부재로부터 한층 더 이탈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제 4 발명에 의하면, 중공관부의 제 2 부재의 당접면이 벌룬의 접속통부의 단면에 당접했을 때, 그 당접면이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로 악부를 확실하게 사이에 끼워 유지할 수 있다.이로써, 악부의 계합부가 제 1 부재로부터 한층 더 이탈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제 5 발명에 의하면, 중공관부의 제 1 부재에, 벌룬의 접속통부의 직경방향으로 확대되는 단부를 형성하고, 당해 단부 내면에 벌룬을 감합시키도록 하였으므로 벌룬의 내인발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제 6 발명에 의하면, 벌룬의 접속통부를 경질 커버부에 의해 덮을 수 있으므로 치아나 입술 사이에 끼워 유지할 경우에 접속통부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구강 관련 압력 측정용 프로브의 평면도이다.
도 2는 구강 관련 압력 측정용 프로브를 구강 관련 압력 측정장치에 접속한 상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구강 관련 압력 측정용 프로브의 측면도이다.
도 4는 구강 관련 압력 측정용 프로브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의 V-V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VI-VI선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VII-VII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벌룬의 인발시험의 요령을 설명하는 도이다.
도 9는 본 발명과 비교예 1, 2의 벌룬의 인발력을 비교하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그리고,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의 설명은 본질적으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 그 적용물 또는 그 용도 제한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구강 관련 압력 측정용 프로브(1)의 평면도이다.구강 관련 압력 측정용 프로브(1)는, 구강 관련 압력을 측정하는 피측정자의 구강 내로 삽입되는 탄성재로 이루어진 벌룬(2)과, 벌룬(2)이 접속되는 중공관부(3)를 구비한다.구강 관련 압력이란, 예를 들어, 설압, 설하근압, 구순압, 협압력 등이 있으나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강 관련의 각종 압력을 측정할 때 사용할 수 있다.설압이란 혀를 구개에 누르는 힘이고, 설하근압이란 혀를 밑으로 누르는 힘이며, 구순압이란 윗입술과 아랫입술을 닫는 힘이고, 협압력이란 볼을 구강 내측을 향해 누르는 힘이다.또한, 피측정자로는, 예를 들어 고령자, 장애인 등을 들 수 있으나 건강한 자여도 된다.또한, 구강 관련 압력 측정용 프로브(1)는, 구강 기능 회복을 위한 훈련 용구로서도 이용할 수 있다.
구강 관련 압력 측정용 프로브(1)는, 중공관부(3)가 구강 관련 압력 측정장치(100)(도 2에 도시)에 접속되어 사용된다.구강 관련 압력 측정장치(100)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1∼3에 개시되어 있는 장치를 이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압력검지부(101)와, 표시부(102)와, 전원부(103)와, 이들을 수용하는 케이싱(104)을 구비한다.압력검지부(101)는 주지의 압력센서 등으로 구성되고, 공기압을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표시부(102)는 예를 들어 액정 표시 패널이나 LED 등으로 구성할 수 있으며, 압력검지부(101)에서 얻어진 공기압을 구체적으로 수치로 표시하거나 압력검지부(101)에서 얻어진 공기압을 고, 중, 저 등으로 다단계로 표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전원부(103)는, 예를 들어 전지 등이고, 상기 압력검지부(101)와 표시부(102)에 전력을 공급한다. 또한, 케이싱(104)은, 구강 관련 압력 측정용 프로브(1)의 중공관부(3)가 접속되는 접속관(105)을 구비한다.접속관(105)은 압력검지부(101)에 연통된다.
(벌룬의 구성)
도 4, 도 5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벌룬(2)은, 피측정자의 구강 내에서 압압력을 받는 수압부(20)와, 중공관부(3)에 접속되는 접속통부(21)를 구비하고, 수압부(20) 및 접속통부(21)는 일체 성형된다. 벌룬(2)을 구성하는 탄성재로는, 예를 들어, 천연 고무, 합성 고무, 실리콘 고무 등의 고무나 엘라스토머 등의 기밀성 및 수밀성을 갖는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수압부(20)는 피측정자의 구강 내로 삽입되는 부분이고, 구강 내에서 측정하고 싶은 부위에 배치된다. 수압부(20)의 형상은, 도 1, 도 2 및 도 5 등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원형에 가까운 단면을 갖는 중공 형상을 이루며, 전체적으로 도 1의 좌우방향, 즉, 피측정자의 구강으로의 삽입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수압부(20)를 눌러 탄성 변형시킴으로써 구강 관련 압력을 측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누른 후, 외력을 제거하면 원래 형상으로 복원하는 형상 복원성을 갖는다. 여기서, 접속통부(21)를 개방한 상태에서 수압부(20)를 눌렀을 경우 수압부(20)를 매우 작은 힘으로 탄성 변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탄성재의 경도가 저경도로 설정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통부(21)는, 수압부(20)의 길이방향 일측(구강으로의 삽입방향 기단측)의 단부로부터 당해 수압부(20)의 외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접속통부(21)의 돌출방향은 수압부(20)의 길이방향을 따르는 방향이다. 접속통부(21)의 내부는 수압부(20)의 내부와 연통한다. 도 1, 도 2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속통부(21)는, 편평한 단면 형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접속통부(21)의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의 단면은, 구강 관련 압력 측정용 프로브(1)의 폭방향(도 1, 도 2, 도 6, 도 7 등의 상하방향)으로 긴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접속통부(21)는, 그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평탄벽부(21a, 21a)와, 평탄벽부(21a, 21a)에 연속되는 만곡벽부(21b, 21b)로 구성된다. 평탄벽부(21a, 21a)는, 구강 관련 압력 측정용 프로브(1)의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상호 거의 평행하다. 한편, 만곡벽부(21b, 21b)는, 접속통부(21)의 외방을 향해 만곡한 벽부이다. 여기서, 평탄벽부(21a, 21a) 대신에, 접속통부(21)의 외방을 향해 완만하게 만곡한 벽부여도 되고, 예를 들어, 타원 형상 등이어도 된다.
벌룬(2)의 접속통부(21)의 단부에는, 당해 접속통부(21)의 직경방향 외방으로 돌출하여 둘레방향으로 연속 연장되는 악부(23)가 형성된다. 편평한 형상인 접속통부(21)의 단면 형상에 대응하도록, 악부(23)는 접속통부(21)의 단면 형상과 거의 닮은꼴로 되어 있다. 악부(23)의 두께방향은, 접속통부(21)의 길이방향이고, 이 실시형태에서는, 악부(23)의 두께방향 일측을 도 5, 도 7 등의 좌측으로 하고, 악부(23)의 두께방향 타측을 도 5, 도 7 등의 우측으로 정의한다.
벌룬(2)의 악부(23)에는 계합부(23a)가 형성된다. 즉, 계합부(23a)는, 악부(23)의 두께방향 일측 면으로부터 당해 두께방향 일측을 향해 돌출하고, 또한, 악부(23)의 둘레방향의 전체 둘레에 걸쳐 연속되는 돌조를 이루도록 형성된다. 계합부(23a)는, 악부(23)의 최외주부에 위치하고, 이 계합부(23a)와, 접속통부(21)의 외주면과의 사이에는 간극이 생겨, 이 간극이, 계합부(23a)와, 접속통부(21)의 외주면과의 사이에서 홈을 구성하게 된다.
(중공관부의 구성)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공관부(3)는, 외통부재(제 1 부재)(30)와, 내통부재(제 2 부재)(40)를 갖고, 외통부재(30)와 내통부재(40)로 벌룬(2)의 악부(23)를 당해 악부(23)의 두께방향 일측 및 타측으로부터 사이에 끼워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외통부재(30)는, 벌룬(2)을 구성하는 탄성재보다.경질의 수지 재료로 이루어진 것이고, 당해 수지 재료에 의한 일체 성형품이다. 외통부재(30)를 구성하는 경질의 수지 재료로는,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내통부재(40)도 벌룬(2)을 구성하는 탄성재보다.경질의 수지 재료로 이루어진 것이고, 당해 수지 재료에 의한 일체 성형품이다. 내통부재(40)를 구성하는 경질의 수지 재료로는, 예를 들어 폴리카보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구강으로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했을 때, 외통부재(30)의 기단부에는 플랜지(31)가 형성된다. 외통부재(30)의 선단부에는, 벌룬(2)의 접속통부(21)가 삽입되는 외측통부(32)가 형성된다. 외측통부(32)의 단면 형상은, 벌룬(2)의 접속통부(21)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게 길이방향 양단에 걸친 전체가 편평한 형상이다. 외측통부(32)는, 그 기단측을 구성하는 기단측 통부(32a)와, 선단측을 구성하는 선단측 통부(32b)를 갖는다. 기단측 통부(32a)는 선단측 통부(32b)보다.큰 직경으로 형성되고, 따라서, 외측통부(32)에는, 기단측 통부(32a)와 선단측 통부(32b)와의 경계 부분에, 벌룬(2)의 접속통부(21)의 직경방향으로 확대되는 단부(32c)가 형성된다. 선단측 통부(32b)는, 벌룬(2)의 접속통부(21)를 덮도록 형성된 경질 커버부이고, 이 선단측 통부(32b)의 내주면은, 벌룬(2)의 접속통부(21)의 외주면에 대해 전체 둘레에 걸쳐 밀착하도록 형성된다. 선단측 통부(32b)는, 후술하는 사용 시에 피측정자가 치아나 입술 사이에 끼웠을 때 찌부러지지 않도록, 소정 이상의 강성을 갖는다.
도 5에만 도시하나, 선단측 통부(32b)의 선단부는, 벌룬(2)의 접속통부(21)에서의 수압부(20)측의 단부 근방에 위치하고, 접속통부(21)의 대부분이 선단측 통부(32b)에 의해 덮이도록 되어 있다. 선단측 통부(32b)의 선단부에는 고리형 볼록부(32d)가 형성된다. 고리형 볼록부(32d)는, 선단측 통부(32b)의 외주면으로부터 직경방향 외방으로 돌출하며 당해 선단측 통부(32b)의 둘레방향으로 연속 연장된다. 고리형 볼록부(32d)는, 구강 관련 압력 측정용 프로브(1) 사용 시에 피측정자의 치아나 입술이 걸리도록 형성되어 구강 관련 압력 측정용 프로브(1)의 탈락 방지용 볼록부이다. 그리고, 고리형 볼록부(32d)의 돌출 높이는 낮게 설정되어 구강 내로 삽입 시에 방해되지 않도록 설정된다.
기단측 통부(32a)에는, 벌룬(2)의 접속통부(21)의 악부(23)가 삽입되게 되어 있다. 기단측 통부(32a)의 내주면은, 악부(23)의 외주면에 대해 전체 둘레에 걸쳐 밀착하도록 형성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측통부(32)의 단부(32c) 내면에는, 벌룬(2)의 계합부(23a)가 감합되는 감합 오목부(32e)가 형성된다. 감합 오목부(32e)는, 외측통부(32) 내면의 둘레방향 전체 둘레에 걸쳐 고리형으로 연장된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구강으로의 삽입방향을 기준으로 했을 때, 내통부재(40)의 기단부에는, 구강 관련 압력 측정장치(100)의 접속관(105)에 접속되는 통형상의 기단측 접속부(41)가 형성된다. 내통부재(40)의 기단측 접속부(41)보다도 선단측에는, 직경방향 외방으로 돌출하는 돌출판부(42)가 형성된다. 내통부재(40)의 선단부에는, 벌룬(2)의 접속통부(21)의 내방으로 삽입되는 내측통부(43)가 형성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측통부(43)의 길이는, 외측통부(32)의 선단측 통부(32b)의 길이보다.짧게 설정되고, 내측통부(43)의 선단부는, 벌룬(2)의 접속통부(21)의 길이방향 중앙부 근방에 위치한다. 내측통부(43)의 단면 형상은, 벌룬(2)의 접속통부(21)의 단면 형상과 동일하게 편평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내측통부(43)의 외경은, 벌룬(2)의 접속통부(21)의 내경보다.크게 설정되고, 이로써, 내측통부(43)의 외주면의 전체 둘레가 벌룬(2)의 접속통부(21)의 내주면을 전체 둘레에 걸쳐 직경방향 외방으로 누른다. 따라서, 접속통부(21)의 적어도 단부는, 외측통부(32) 및 내측통부(43)에 의해 두께방향으로 눌려 탄성 변형하게 된다.
내통부재(40)의 외주면에는, 벌룬(2)의 접속통부(21)의 단면에 당접하는 당접면(44)이 형성된다. 당접면(44)은, 내통부재(40)의 둘레방향 전체 둘레에 걸쳐 형성되고, 벌룬(2)의 접속통부(21)의 직경방향으로 연장된다.
내통부재(40)의 당접면(44)보다도 기단측은, 내측통부(43)보다.큰 직경인 대경부(45)가 형성된다. 이 대경부(45)는, 외통부재(30)의 기단측 통부(32a)에 삽입되어 당해 기단측 통부(32a)의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로 고정된다.
(구강 관련 압력 측정용 프로브의 조립 요령)
상기와 같이 구성된 구강 관련 압력 측정용 프로브(1)를 조립할 때에는, 먼저, 벌룬(2)의 접속통부(21)를, 외통부재(30)의 외측통부(32)에 삽입한다. 이때, 벌룬(2)의 접속통부(21)를 탄성 변형시키면서 외통부재(30)의 외측통부(32)로 밀어 넣도록 하면 된다. 그리고, 벌룬(2)의 악부(23)를 외통부재(30)의 외측통부(32)의 기단측 통부(32a)에 삽입하고, 벌룬(2)의 계합부(23a)를 외통부재(30)의 감합 오목부(32e)에 감합시켜 계합부(23a)와 감합 오목부(32e)를 계합한다.
그 후, 내통부재(40)를 외통부재(30)에 삽입하고, 내통부재(40)의 대경부(45)를 외통부재(30)의 기단측 통부(32a)에 삽입함과 함께, 내측통부(43)를 벌룬(2)의 접속통부(21)에 삽입한다. 이로써, 벌룬(2)의 접속통부(21)의 단부로부터 길이방향 중앙부 근방까지의 범위가, 외측통부(32) 및 내측통부(43)에 의해 두께방향으로 눌려 탄성 변형하고, 다른 부분에 비해 박육화되고, 충분한 실링성이 얻어진다.
내통부재(40)를 외통부재(30)에 완전히 삽입하면, 내통부재(40)의 당접면(44)이 벌룬(2)의 접속통부(21)의 단면에 당접한다. 따라서, 벌룬(2)의 악부(23)가, 외통부재(30) 및 내통부재(40)에 의해 두께방향 일측 및 타측으로부터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유지된다.
(실시형태의 작용 효과)
이상과 같이 하여 얻어진 구강 관련 압력 측정용 프로브(1)를 사용할 때에는, 구강 관련 압력 측정용 프로브(1)를 구강 관련 압력 측정장치(100)에 접속시킨 후, 구강 관련 압력 측정용 프로브(1)의 벌룬(2)을 피측정자의 구강 내로 삽입한다. 이때, 구강 관련 압력 측정용 프로브(1)의 폭방향이 측정자의 좌우방향과 일치하도록, 구강 관련 압력 측정용 프로브(1)의 자세를 설정해둔다. 피측정자의 치아나 입술이 벌룬(2)의 접속통부(21)와 대응하는 위치로 되기까지 수압부(20)를 삽입한다. 그리고, 피측정자의 치아나 입술로 구강 관련 압력 측정용 프로브(1)의 접속통부(21)에 대응하는 부위, 즉, 선단측 통부(32b)를 상하방향으로 사이에 끼워 유지한다. 이때, 프로브(1)의 접속통부(21)의 단면 형상 및 선단측 통부(32b)의 단면 형상이 편평한 형상이고, 선단측 통부(32b)의 상면 및 하면이 거의 평탄하므로, 치아나 입술 사이에 쉽게 끼울 수 있어 구강 관련 압력 측정 시의 벌룬(2)을 안정시킬 수 있다.
또한, 구강 관련 압력 측정용 프로브(1)에 대해 벌룬(2)의 인발시험을 실시하면, 벌룬(2)의 내인발성이 충분히 높은 수준에 있다고 실증되었다. 벌룬(2)의 인발시험 요령에 대해 도 8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벌룬(2)의 인발시험 시, 인장시험기(200)와, 지지 지그(201)를 준비한다. 인장시험기(200)는, 종래부터 주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로드셀(202)과 척(203)을 적어도 갖고, 로드셀(202)에 의해 인장 하중을 실시간으로 얻을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최대 인장 하중을 기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척(203)은, 벌룬(2)을 잡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또한, 지지 지그(201)는, 구강 관련 압력 측정용 프로브(1)의 중공관부(3)를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세로 고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지지 지그(201)를 고정한 채, 척(203)을 흰색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방으로 이동시키고, 벌룬(2)을 빼내는 방향으로 당겨 부하를 가하고, 벌룬(2)이 파단 또는 중공관부(3)로부터 빠지기 직전의 최대 인장 하중을 얻는다.
도 9는 본 발명 및 비교예 1, 2의 최대 인장 하중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와 같이 구성된 구강 관련 압력 측정용 프로브(1)이다. 한편, 비교예 1은, 벌룬의 접속통부가 원형 단면으로 되어 있고,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에서 계합부(23a) 및 감합 오목부(32e)를 생략한 구조의 경우이고, 비교예 2는, 상기 실시형태의 구성에서 계합부(23a) 및 감합 오목부(32e)를 생략한 구조의 경우이다. 도 9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의 것으로는, 비교예 1, 2에 비해 인장 하중이 대폭 향상되어 있다. 즉, 벌룬(2)의 내인발성이 향상되어 있다.
즉, 벌룬(2)의 접속통부(21)에 형성한 악부(23)에 계합부(23a)를 형성하고, 중공관부(3)를 구성하는 외통부재(30)의 감합 오목부(32e)에 계합부(23a)를 감합시키도록 하였으므로, 벌룬(2)의 내인발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벌룬(2)의 계합부(23a)를 악부(23)의 둘레방향으로 연속형성하였으므로, 벌룬(2)의 내인발성을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벌룬(2)의 접속통부(21)의 단부를, 외측통부(32) 및 내측통부(43)에 의해 두께방향으로 눌러 탄성 변형시키므로, 접속통부(21)의 단부를 강고히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벌룬(2)에 인발력이 작용했을 때 악부(23)가 움직이기 어려워지므로, 악부(23)의 계합부(23a)가 감합 오목부(32e)로부터 한층 더 이탈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중공관부(3)의 내통부재(40)의 당접면(44)이 벌룬(2)의 접속통부(21)의 단면에 당접했을 때, 그 당접면(44)이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므로, 외통부재(30)와 내통부재(40)로 악부(23)를 확실하게 사이에 끼워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악부(23)의 계합부(23a)가 감합 오목부(32e)로부터 한층 더 이탈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형태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에 해당한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구강 관련 압력 측정용 프로브는, 예를 들어, 설압, 설하근압, 구순압, 협압력 등의 구강 관련 압력을 측정할 때 사용할 수 있다.
1 : 구강 관련 압력 측정용 프로브
2 : 벌룬
3 : 중공관부
20 : 수압부
21 : 접속통부
23 : 악부
23a : 계합부
30 : 외통부재(제 1 부재)
32 : 외측통부
32b : 선단측 통부(경질 커버부)
32c : 단부
40 : 내통부재(제 2 부재)
43 : 내측통부
44 : 당접면

Claims (6)

  1. 구강 관련 압력을 측정하는 피측정자의 구강 내로 삽입되는 탄성재로 이루어진 벌룬과,
    상기 벌룬이 접속되는 중공관부를 구비하고,
    상기 중공관부가, 상기 벌룬 내 기체의 압력 변화를 검지하는 압력 검지부를 갖는 구강 관련 압력 측정장치에 접속되어 사용되는 구강 관련 압력 측정용 프로브로서,
    상기 벌룬은, 구강 내에서 압압력(押壓力)을 받는 수압부와, 상기 중공관부에 접속되는 접속통부를 구비하며,
    상기 벌룬의 상기 접속통부는, 편평한 단면(斷面) 형상을 가짐과 함께, 외방으로 돌출하는 악부(鍔部)를 갖고,
    상기 벌룬의 상기 악부는, 당해 악부의 두께방향 일측을 향해 돌출하는 계합부를 가지며,
    상기 중공관부는, 상기 벌룬의 악부를 두께방향 일측 및 타측으로부터 사이에 끼워 유지하는 제 1 부재 및 제 2 부재를 갖고,
    상기 제 1 부재에는, 상기 벌룬의 상기 계합부가 감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련 압력 측정용 프로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벌룬의 상기 계합부는, 상기 악부의 둘레방향으로 연속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련 압력 측정용 프로브.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악부는, 상기 벌룬의 상기 접속통부의 단부(端部)에 형성되고,
    상기 중공관부의 상기 제 1 부재는, 상기 접속통부의 단부가 삽입되는 외측통부를 갖고,
    상기 중공관부의 상기 제 2 부재는, 상기 접속통부의 단부의 내방으로 삽입되는 내측통부를 갖고,
    상기 접속통부의 단부는, 상기 외측통부 및 상기 내측통부에 의해 두께방향으로 눌려 탄성 변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련 압력 측정용 프로브.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2 부재에는, 상기 벌룬의 상기 접속통부의 단면(端面)에 당접하는 당접면이 형성되고,
    상기 당접면은, 상기 벌룬의 상기 접속통부의 직경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련 압력 측정용 프로브.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에는, 상기 벌룬의 상기 접속통부의 직경방향으로 확대되는 단부(段部)가 형성되고, 당해 단부 내면에 상기 벌룬의 상기 계합부가 감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련 압력 측정용 프로브.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 1 부재에는, 상기 벌룬의 상기 접속통부를 덮도록 형성되며 상기 벌룬을 구성하는 탄성재보다.경질의 재료로 이루어진 경질 커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관련 압력 측정용 프로브.
KR1020187022579A 2016-02-26 2017-02-27 구강 관련 압력 측정용 프로브 KR10220690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035011 2016-02-26
JP2016035011A JP6772481B2 (ja) 2016-02-26 2016-02-26 口腔関連圧力測定用プローブ
PCT/JP2017/007528 WO2017146255A1 (ja) 2016-02-26 2017-02-27 口腔関連圧力測定用プローブ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874A true KR20180099874A (ko) 2018-09-05
KR102206903B1 KR102206903B1 (ko) 2021-01-22

Family

ID=596853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2579A KR102206903B1 (ko) 2016-02-26 2017-02-27 구강 관련 압력 측정용 프로브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772481B2 (ko)
KR (1) KR102206903B1 (ko)
CN (1) CN108697394B (ko)
WO (1) WO201714625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234700B2 (ja) * 2019-03-05 2023-03-08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圧力測定用プローブ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5994A (ja) 2000-03-28 2001-10-09 Jms Co Ltd 口腔関連圧力測定装置および口腔関連圧力測定用プローブ
JP2002503519A (ja) * 1998-02-21 2002-02-05 ステリボトル・リミテッド 乳児用哺乳瓶
JP2007090054A (ja) * 2005-08-31 2007-04-12 Jms Co Ltd 口腔関連圧力測定用プローブおよびこれを用いた口腔関連圧力測定装置
JP2008237366A (ja) 2007-03-26 2008-10-09 Jms Co Ltd 口腔関連圧力測定用バルー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20302924A1 (en) * 2011-05-27 2012-11-29 Ccb Research Group Llc Tongue strength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JP2013135728A (ja) 2011-12-28 2013-07-11 Jms Co Ltd 口腔関連圧力測定用プローブ
KR20140001872A (ko) * 2010-10-04 2014-01-07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구강 관련 압력 측정 장치 및 압력 측정 프로브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52727A (en) * 1994-01-21 1995-09-26 Tura; Ronald E. Orofacial myographic measurement apparatus
WO2004016314A1 (ja) * 2002-08-13 2004-02-26 Jms Co.,Ltd. 流体制御装置
JP2007206000A (ja) * 2006-02-03 2007-08-16 Kenji Mogi 口唇圧測定装置
DE102010054397A1 (de) * 2010-12-08 2012-06-14 Aerocrine Ab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Gasprobensammlung
US8387620B1 (en) * 2012-08-23 2013-03-05 Apnicure, Inc. Oral device for anterior advancement and medial constraint of the tongue
CN203379470U (zh) * 2013-05-31 2014-01-08 南京明基医院有限公司 一种膀胱压力扩张器
CN103592075A (zh) * 2013-11-14 2014-02-19 邹德伟 压力指示器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503519A (ja) * 1998-02-21 2002-02-05 ステリボトル・リミテッド 乳児用哺乳瓶
JP2001275994A (ja) 2000-03-28 2001-10-09 Jms Co Ltd 口腔関連圧力測定装置および口腔関連圧力測定用プローブ
JP2007090054A (ja) * 2005-08-31 2007-04-12 Jms Co Ltd 口腔関連圧力測定用プローブおよびこれを用いた口腔関連圧力測定装置
JP2008237366A (ja) 2007-03-26 2008-10-09 Jms Co Ltd 口腔関連圧力測定用バルーン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20140001872A (ko) * 2010-10-04 2014-01-07 가부시끼가이샤 제이엠에스 구강 관련 압력 측정 장치 및 압력 측정 프로브
US20120302924A1 (en) * 2011-05-27 2012-11-29 Ccb Research Group Llc Tongue strength evaluation system and method
JP2013135728A (ja) 2011-12-28 2013-07-11 Jms Co Ltd 口腔関連圧力測定用プロー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46255A1 (ja) 2017-08-31
CN108697394A (zh) 2018-10-23
JP2017148325A (ja) 2017-08-31
CN108697394B (zh) 2021-04-23
JP6772481B2 (ja) 2020-10-21
KR102206903B1 (ko) 2021-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35552B1 (en) Balloon for measuring pressure related to oral cavit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20100222706A1 (en) Probe for measuring oral pressure, device for measuring oral pressure using the same, and training tool for restoring oral function
CN109069806A (zh) 压力导管装置
JP5674011B2 (ja) 口腔関連圧力測定装置及び圧力測定プローブ
CY1108739T1 (el) Συσκευη αρσενικου συνδεσμου αυτοματης στεγανοποιησης με πτυσσομενο σωμα
KR20180099874A (ko) 구강 관련 압력 측정용 프로브
EP3534773B1 (en) Aspiration device and method for determining viscoelastic properties of biological tissues and synthetic materials
JP5938900B2 (ja) 口腔関連圧力測定用プローブ
JP4416695B2 (ja) 網膜電位計用角膜電極
US20150265169A1 (en) End caps for blood pressure cuffs and blood pressure cuffs therewith
JP2007090054A (ja) 口腔関連圧力測定用プローブおよびこれを用いた口腔関連圧力測定装置
JP7166120B2 (ja) 脈波センサ及び脈波測定方法
JP6510853B2 (ja) 口唇閉鎖力測定用プローブ
JP2018068875A (ja) 嚥下時舌圧測定用プローブ及び嚥下時舌圧測定装置
JP6690263B2 (ja) 口腔関連圧力測定用プローブ
WO2016042767A1 (ja) 口腔関連機能判定器具
JP7234700B2 (ja) 圧力測定用プローブ
JP7415672B2 (ja) 接続構造
JP6554879B2 (ja) 圧力測定用プローブの接続構造
KR200484020Y1 (ko) 정밀 폐활량 검사장치
JP2005073896A (ja) 口輪筋鍛錬装置及び口輪筋力測定装置
CN219538232U (zh) 一种内窥镜钳道帽
KR101864044B1 (ko) 의료용 주사기
EP1723905A3 (en) Device for non-invasive measurement of the pressure of a fluid, particularly for measuring blood pressure in medical equipment
JP2016059467A (ja) 口腔関連機能判定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