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9527A - 배수 플러그 - Google Patents

배수 플러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9527A
KR20180099527A KR1020180022987A KR20180022987A KR20180099527A KR 20180099527 A KR20180099527 A KR 20180099527A KR 1020180022987 A KR1020180022987 A KR 1020180022987A KR 20180022987 A KR20180022987 A KR 20180022987A KR 20180099527 A KR20180099527 A KR 201800995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portion
drain hole
flange
engaging leg
th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29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21228B1 (ko
Inventor
겐스케 후지와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180099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9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12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12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24Superstructure sub-units with access or drainage openings having movable or removable closures; Sealing mean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Pressure Vessels And Lids Thereof (AREA)

Abstract

(과제) 배수구멍을 가진 피장착부와 플러그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 가능하게 한 배수 플러그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배수 플러그(10)는, 피장착부가 가지는 배수구멍을 덮는 플랜지부(11)와 이 플랜지부(11)의 이면(11R)에서 연장되며 배수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걸어맞춰지는 복수의 걸어맞춤 다리부(12, 13)를 구비한다. 각 걸어맞춤 다리부(12, 13)는 플랜지부(11)의 이면(11R)에 있어서 별개의 위치에서 연장되고, 플랜지부(11)는 이 플랜지부(11) 내에서 각 걸어맞춤 다리부(12, 13)가 접속하는 부분인 접속부(21a, 22a)와, 이 접속부(21a, 22a)보다도 두께가 얇으며 적어도 접속부(21a, 22a) 간에 위치하는 제 1 박육부(23)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수 플러그{DRAIN PLUG}
본 발명은 자동차 등의 패널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장착되는 배수 플러그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가 구비하는 리어게이트, 트렁크 리드, 프런트 도어 및 리어 도어 등은 외측 패널과 내측 패널로 구성되는 차체 패널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다. 내측 패널과 외측 패널은 선단에 있어서 서로 용접되고, 또한 내측 패널과 외측 패널의 사이에 소정의 간극이 형성됨으로써, 차체 패널이 소정의 두께를 가지고 있다. 내측 패널과 외측 패널의 사이에는 빗물이나 차체를 세정하기 위한 물이 들어가는 일이 있기 때문에, 내측 패널에는 차체 패널 내의 물을 차체 패널의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배수구멍에는 배기가스나 먼지 등이 차체 패널의 내부로 들어가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 플러그가 장착되어 있다. 플러그는 배수구멍을 덮는 머리부와 이 머리부에서 연장되는 1개의 걸림 다리를 구비하고 있다. 걸림 다리가 배수구멍에 삽입되면, 머리부와 걸림 다리가 내측 패널을 끼워 넣음으로써, 플러그가 배수구멍에 장착된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 일본국 특허 제5374311호
그런데, 내측 패널은 이 내측 패널과 외측 패널의 사이를 소정의 간격으로 하기 때문에, 내측 패널과 외측 패널의 용접부의 근방에 있어서 만곡한 형상을 가지는 것이 많다. 또, 배수구멍은 이 배수구멍에서의 배수의 효율을 높일 목적으로, 용접부의 근방, 즉 내측 패널의 내에서 만곡한 형상을 가진 부분으로 형성되는 것이 많다. 그렇기 때문에, 플러그에는, 이러한 내측 패널에 있어서의 용접부의 근방 등의 피장착부의 형상을 따름으로써, 피장착부와 플러그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이 가능한 구성인 것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배수구멍을 가진 피장착부와 플러그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 가능하게 한 배수 플러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배수 플러그는, 피장착부가 가지는 배수구멍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이면에서 연장되며 상기 배수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걸어맞춰지는 복수의 걸어맞춤 다리부를 구비하는 배수 플러그이다. 상기 각 걸어맞춤 다리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이면에 있어서 별개의 위치에서 연장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플랜지부 내에서 상기 각 걸어맞춤 다리부가 접속하는 부분인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보다도 두께가 얇으며 적어도 상기 접속부 간에 위치하는 박육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접속부 간에 위치하는 박육부를 절곡위치로 함으로써 플랜지부가 구부러지기 쉽다. 결과적으로, 배수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와 걸어맞춤 다리부의 걸어맞춤에 적절한 형상으로 플랜지부가 변형하기 쉽기 때문에, 배수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와 걸어맞춤 다리부가 걸어맞춰지는 상태에 있어서, 배수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와 플랜지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 나아가서는 배수구멍과 플랜지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이 억제된다.
상기 배수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박육부는 홈의 저부이며, 상기 홈은 1개의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1개의 방향을 따라서 플랜지부가 휘어지기 쉽다.
상기 배수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걸어맞춤 다리부는 제 1 걸어맞춤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플랜지부 내에서 상기 제 1 걸어맞춤 다리부가 접속하는 부분인 제 1 접속부를 구비한다. 상기 제 1 걸어맞춤 다리부는 상기 제 1 접속부에서 상기 플랜지부의 단부로 향해서 연장되고, 상기 제 1 걸어맞춤 다리부가 상기 배수구멍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 1 걸어맞춤 다리부와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배수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사이에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제 1 걸어맞춤 다리부를 배수구멍 내에 삽입했을 때에, 제 1 걸어맞춤 다리부와 플랜지부가 배수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사이에 두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 1 걸어맞춤 다리부와 배수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걸어맞춤의 강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배수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단부에 상기 배수구멍으로 통하는 오목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플랜지부에 의해서 배수구멍을 덮음으로써, 배수구멍에 대해서 외부로부터 물 등이 들어가는 것을 억제하면서, 배수구멍으로부터 물이 배출되기 쉽다.
상기 배수 플러그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이면과 대향하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이하 "평면시(平面視)"라고 한다}, 상기 접속부 중 적어도 1개와 상기 플랜지부의 단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박육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플랜지부의 휘어짐의 기점이 되는 박육부를 접속부의 주위에 복수개 가지기 때문에, 플랜지부가 박육부를 1개만 가지는 구성에 비해서, 플랜지부가 보다 변형하기 쉬워지고, 나아가서는 플랜지부의 변형이 피장착부의 형상에 의해서 추종되기 쉬워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배수구멍을 가진 피장착부와 배수 플러그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배수 플러그의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배수 플러그의 측면 구조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2는 배수 플러그의 단면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플랜지부의 표면과 대향하는 평면시에 있어서의 플랜지부의 상면 구조를 나타내는 상면도.
도 4는 플랜지부의 이면과 대향하는 방향에서 본 배수 플러그의 사시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플랜지부의 이면과 대향하는 방향에서 본 배수 플러그의 사시 구조에 있어서 일부를 파단한 파단 사시도.
도 6은 배수 플러그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작용도.
도 7은 배수 플러그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작용도.
도 8은 배수 플러그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작용도.
도 1~도 8을 참조하여, 배수 플러그를 구체화한 일 실시형태로서 자동차가 구비하는 차체 패널 중 리어게이트를 구성하는 차체 패널이 가지는 배수구멍에 장착되는 배수 플러그를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배수 플러그의 구성 및 배수 플러그의 작용을 순서대로 설명한다.
〈배수 플러그의 구성〉
도 1~도 5를 참조하여 배수 플러그의 구성을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수 플러그(10)는 플랜지부(11),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 및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를 구비하고 있다. 플랜지부(11)는 배수 플러그(10)의 장착 대상인 피장착부가 가지는 배수구멍을 덮는다.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 및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의 각각은 플랜지부(11)의 이면에서 연장되어 배수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걸어맞춰진다. 플랜지부(11),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 및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는, 예를 들면 사출 성형에 의해서 일체로 성형된다. 배수 플러그(10)의 형성 재료는 예를 들면 일래스터머이며, 올레핀계 열가소성 일래스터머(TPO)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부(11)는 표면(11F)과 이 표면(11F)과는 반대측의 면인 이면(11R)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 및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의 각각은, 플랜지부(11)의 이면(11R)에 있어서의 별개의 위치에서 이면(11R)으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플랜지부(11)는 이 플랜지부(11) 내에서 각 걸어맞춤 다리부(12, 13)가 접속하는 부분인 접속부(21a, 22a)를 포함하고, 2개의 접속부(21a, 22a) 중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가 접속하는 접속부는 제 1 접속부(21a)이며,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가 접속하는 접속부는 제 2 접속부(22a)이다. 플랜지부(11)는 제 1 박육부(23)를 포함하고, 제 1 박육부(23)가 가지는 두께의 평균값은 제 1 접속부(21a) 및 제 2 접속부(22a)가 가지는 두께의 평균값보다도 얇고, 또한 제 1 박육부(23)는 제 1 접속부(21a)와 제 2 접속부(22a)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박육부(23)는 표면(11F)에서 이면(11R)으로 향해서 오목한 제 1 홈(11a)의 저부이다.
플랜지부(11)는 제 2 박육부(24)를 더 포함하고, 제 2 박육부(24)는 플랜지부(11)의 이면(11R)과 대향하는 평면시에 있어서,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와 플랜지부(11)의 가장자리인 단부(11E)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제 2 박육부(24)는 표면(11F)에서 이면(11R)으로 향해서 오목한 제 2 홈(11b)의 저부이다. 플랜지부(11)의 두께는, 플랜지부(11) 내에서 제 1 접속부(21a)에 대해서 제 1 박육부(23)와는 반대측의 부분에 있어서, 제 1 접속부(21a)에서 단부(11E)로 향해서 점차 얇아지고, 제 2 박육부(24)에 대해서 제 2 접속부(22a)와는 반대측의 부분에 있어서, 단부(11E)로 향해서 점차 얇아진다.
이와 같이, 플랜지부(11)에서는 단부(11E)의 근방에 있어서 두께가 얇기 때문에, 플랜지부(11)가 배수구멍에 장착되었을 때에, 플랜지부(11)의 단부(11E)가 배수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형상을 추종하기 쉽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접속부(21a) 및 제 2 접속부(22a)는 각 걸어맞춤 다리부(12, 13)가 접속하는 부분이다. 이러한 제 1 접속부(21a) 및 제 2 접속부(22a)는 배수구멍에 대해서 플랜지부(11)를 위치 결정한 후에, 플랜지부(11) 내에 있어서 높은 강성이 요구되는 부분이다. 한편, 제 1 박육부(23) 및 제 2 박육부(24)는 플랜지부(11)의 단부(11E)를 배수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형상으로 추종시킨 후에, 플랜지부(11) 내에 있어서 높은 가요성이 요구되는 부분이다.
이 점에 대해서, 상기 플랜지부(11)에서는 이 플랜지부(11)에 대해서 외력이 작용했을 때에, 플랜지부(11) 내에서 제 1 접속부(21a) 및 제 2 접속부(22a)보다도 휘어지게 하고 싶은 부분인 제 1 박육부(23) 및 제 2 박육부(24)에 있어서, 제 1 접속부(21a) 및 제 2 접속부(22a)보다도 두께를 얇게 하고 있다. 환언하면, 플랜지부(11)에서는 이 플랜지부(11)에 대해서 외력이 작용했을 때에, 플랜지부(11) 내에서 제 1 박육부(23) 및 제 2 박육부(24)보다도 휘어지게 하고 싶지 않은 부분인 제 1 접속부(21a) 및 제 2 접속부(22a)에 있어서, 제 1 박육부(23) 및 제 2 박육부(24)보다도 두께를 두껍게 하고 있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부(11)의 표면(11F)과 대향하는 평면시에 있어서, 제 1 홈(11a)은 1개의 방향인 X방향을 따라서 연장되어 있다. 표면(11F)과 대향하는 평면시에 있어서, 제 2 홈(11b)은 제 1 홈(11a)과 마찬가지로 X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또한 X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인 Y방향에 있어서, 제 1 홈(11a)과 제 2 홈(11b)이 간격을 두고 병설되어 있다. 제 1 홈(11a) 및 제 2 홈(11b)의 각각은 Y방향에 있어서의 플랜지부(11)의 대략 전체에 걸쳐서 연장되어 있다. 환언하면, 플랜지부(11)의 표면(11F)과 대향하는 평면시에 있어서, 제 1 박육부(23) 및 제 2 박육부(24)가 X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고, 또한 Y방향에 있어서 간격을 두고 병설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1 박육부(23)는 X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 1 홈(11a)의 저부이기 때문에, X방향을 따라서 플랜지부(11)가 휘어지기 쉽다. 또, 제 2 박육부(24)도 X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 2 홈(11b)의 저부이기 때문에, X방향을 따라서 플랜지부(11)가 휘어지기 쉽다. 또, 플랜지부(11)는 이 플랜지부(11)의 휘어짐의 기점이 되는 박육부로서 제 1 박육부(23)에 더하여 제 2 박육부(24)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플랜지부(11)가 제 1 박육부(23)만을 가지는 구성에 비해서, 플랜지부(11)가 보다 변형하기 쉬워진다. 그렇기 때문에, 플랜지부(11)의 변형이 피장착부에 의해서 추종되기 쉬워진다.
플랜지부(11)는 제 1 후육부(21), 제 2 후육부(22) 및 제 3 후육부(25)를 포함하고, Y방향에 있어서 제 1 후육부(21), 제 1 박육부(23), 제 2 후육부(22), 제 2 박육부(24) 및 제 3 후육부(25)가 기재의 순서대로 병설되어 있다. 제 1 후육부(21), 제 2 후육부(22) 및 제 3 후육부(25)는 제 1 박육부(23) 및 제 2 박육부(24)보다도 두꺼운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제 1 후육부(21)는 상술한 제 1 접속부(21a)를 포함하며, 제 2 후육부(22)는 상술한 제 2 접속부(22a)를 포함하고 있다.
표면(11F)과 대향하는 평면시에 있어서, 플랜지부(11)는 Y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2개의 제 3 홈(11c)을 가지며, 각 제 3 홈(11c)은 플랜지부(11)의 단부(11E) 내에서 Y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부분을 따르는 부분과 단부(11E)의 코너부를 따르는 부분을 가지고 있다. 각 제 3 홈(11c)은 이 제 3 홈(11c) 내의 Y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부분에 있어서, 제 1 홈(11a) 및 제 2 홈(11b)에 접속하고 있다. 플랜지부(11) 중 각 제 3 홈(11c)이 위치하는 부분에서는, 제 3 홈(11c)을 가지지 않는 구성에 비해서 두께가 얇다. 그렇기 때문에, 플랜지부(11)에 있어서의 단부(11E)의 근방에 위치하는 부분이 피장착부의 형상을 추종하기 쉬워진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플랜지부(11)는 이 플랜지부(11)의 이면(11R)과 대향하는 방향에서 보았을 때, 플랜지부(11)의 중앙부로 향해서 오목한 그릇형상을 가지고 있다. 플랜지부(11)는 이 플랜지부(11)의 둘레방향의 전체에 걸쳐서 단부(11E)를 포함하는 테이퍼부이며, 플랜지부(11)의 중앙부로 향해서 가늘어져가는 테이퍼부를 가지고 있다. 제 1 후육부(21), 제 2 후육부(22) 및 제 3 후육부(25)의 각각에는 테이퍼부의 일부가 포함된다. 테이퍼부에 있어서, 플랜지부(11)의 단부(11E)로부터의 거리가 작은 부위일수록 두께가 얇다.
플랜지부(11)는 이 플랜지부(11)의 단부(11E)에 배수구멍으로 통하는 오목부(11d)를 가지고 있다. 오목부(11d)는 플랜지부(11) 내에서 제 3 후육부(25)에 포함되는 단부(11E)에 위치하고 있다. 플랜지부(11)가 배수구멍을 덮을 때, 플랜지부(11)는 배수구멍에 대해서 외부로부터 물 등이 들어가는 것을 억제하면서, 오목부(11d)를 통해서 배수구멍으로부터 물을 배출하기 쉽도록 할 수 있다.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는 플랜지부(11)의 이면(11R)에서 멀어지도록 XY평면과 교차하는 평면을 따라서 연장되고, 또한 Y방향에 있어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형상을 하고 있다. X방향에 있어서의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의 길이는 X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박육부(23)의 길이보다도 짧다.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에 있어서 플랜지부(11)의 이면(11R)에 접속하는 단부가 기단이며, 이 기단과는 반대측의 단부가 선단이다. 플랜지부(11)에 있어서, X방향에 있어서의 제 2 접속부(22a)의 길이는 X방향에 있어서의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의 기단의 길이와 같고, Y방향에 있어서의 제 2 접속부(22a)의 길이는 Y방향을 따르는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의 기단의 두께와 같다. 즉, 플랜지부(11) 내에서,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의 기단이 플랜지부(11)에 투영된 부분은 플랜지부(11)에 있어서의 제 2 접속부(22a)이다.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의 외주면 중 X방향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면에는,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향해서 돌출된 걸어맞춤 돌출부(13a)가 위치하고 있다. 배수 플러그(10)가 배수구멍에 장착되었을 때, 걸어맞춤 돌출부(13a)는 배수구멍의 가장자리보다도 배수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로 향해서 돌출된다. 그렇기 때문에, 배수 플러그(10)가 배수구멍으로부터 빗나가는 방향의 힘이 배수 플러그(10)에 불필요하게 작용했을 때, 걸어맞춤 돌출부(13a)가 배수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맞닿음으로써, 배수 플러그(10)가 배수구멍으로부터 빠지는 것이 억제된다.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는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와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가 병설되는 방향을 따라서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를 관통하는 2개의 두께 경감부(13b)를 가지고 있다. 2개의 두께 경감부(13b)는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와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가 병설되는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병설되어 있다. 각 두께 경감부(13b)는 플랜지부(11)의 이면(11R)에서부터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의 선단보다도 바로 앞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가 2개의 두께 경감부(13b)를 가지기 때문에, 2개의 두께 경감부(13b)가 병설되는 방향을 따르는 힘으로서, 각 두께 경감부(13b)를 타방의 두께 경감부(13b)로 향해서 오목하게 하는 힘이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에 작용했을 때에,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가 휘어지기 쉽다. 그렇기 때문에,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를 배수구멍에 삽입할 때에,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의 형상이 변하기 쉽고, 나아가서는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가 걸어맞춤 돌출부(13a)를 가지고 있더라도,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가 배수구멍 내로 진입하기 쉽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는 제 1 접속부(21a)에서 플랜지부(11)의 단부(11E)로 향해서 연장되고,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가 배수구멍에 삽입되었을 때에,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와 플랜지부(11)가 배수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사이에 두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와 둘레 가장자리부의 걸어맞춤의 강도를 높일 수 있다.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에 있어서, 플랜지부(11)의 이면(11R)에 접속하는 단부가 기단이며, 이 기단과는 반대측의 단부가 선단이다. X방향에 있어서,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의 기단의 길이는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의 기단의 길이보다도 짧고, 또한 제 1 박육부(23)의 길이보다도 짧다.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는 플랜지부(11)의 이면(11R)에서 돌출되는 대략 갈고리형상을 가지며, 기단을 포함하는 기단 요소와 선단을 포함하는 선단 요소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의 기단 요소는 이면(11R)에서 멀어지도록 연장되고,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의 선단 요소는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의 기단 요소에서 플랜지부(11)의 단부(11E)로 향해서 연장된다. 이와 같이,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의 선단 요소가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와는 다른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기 때문에, 배수구멍을 가진 피장착부가 만곡한 형상을 가지고 있을 때에,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와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의 양방이 배수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각각 다른 위치에 걸어맞춰지기 쉽다.
플랜지부(11)에 있어서, X방향에 있어서의 제 1 접속부(21a)의 길이는 X방향에 있어서의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의 기단의 길이와 같고, Y방향에 있어서의 제 1 접속부(21a)의 길이는 Y방향을 따르는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의 기단의 두께와 같다. 즉,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의 기단이 플랜지부(11)에 투영된 부분은 플랜지부(11)에 있어서의 제 1 접속부(21a)이다.
〈배수 플러그의 작용〉
도 6~도 8을 참조하여 배수 플러그(10)의 작용을 설명한다. 또한, 도 6 및 도 8에 있어서, 배수 플러그(10)를 배수구멍에 삽입했을 때의 형상으로서, 배수구멍에 대한 배수 플러그(10)의 장착을 개시했을 때의 배수 플러그(10)의 형상이 이점 쇄선으로 나타나 있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수 플러그(10)의 장착 대상인 차체 패널(30)은 내측 패널(31)과 외측 패널(32)을 구비하고 있다. 차체 패널(30)은, 예를 들면 일방의 단부에 있어서 내측 패널(31)과 외측 패널(32)이 용접된 용접부(30a)를 포함하고 있다.
내측 패널(31)은, 용접부(30a)의 근방에 있어서, 외측 패널(32)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만곡한 후, 외측 패널(32)과의 사이의 거리를 소정의 값으로 유지하도록 외측 패널(32)과 평행한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내측 패널(31)에는 이 내측 패널(31)에 있어서의 만곡한 부분을 넘도록 배수구멍(31a)이 형성되고, 내측 패널(31) 내에서 배수구멍(31a)을 포함하는 부분이 피장착부(31b)이다. 피장착부(31b)는 배수구멍(31a)을 구획하는 둘레 가장자리부(31b1)를 포함하고 있다.
배수구멍(31a)에 배수 플러그(10)가 장착될 때에는, 먼저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가 배수구멍(31a)에 삽입됨으로써,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의 선단과, 플랜지부(11) 내에서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의 선단과 대향하는 부위가 배수구멍(31a)의 둘레 가장자리부(31b1)를 사이에 둔다. 그 다음에, 플랜지부(11)의 표면(11F)으로부터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를 배수구멍(31a)의 내부로 압입하는 방향의 힘이 더해짐으로써,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가 배수구멍(31a)의 내부로 압입된다.
이렇게 하여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가 배수구멍(31a)의 둘레 가장자리부(31b1)에 걸어맞춰질 때에는, 각 걸어맞춤 다리부를 배수구멍(31a) 내로 압입하기 위한 힘이 플랜지부(11)에 더해짐으로써, 제 1 접속부(21a)와 제 2 접속부(22a)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박육부(23)를 절곡위치로 하여 플랜지부(11)가 구부러지기 쉽다. 이것에 의해서, 배수구멍(31a)의 둘레 가장자리부(31b1)와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의 걸어맞춤 및 둘레 가장자리부(31b1)와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의 걸어맞춤에 적절한 형상으로 플랜지부(11)가 변형하기 쉽다. 그렇기 때문에, 배수구멍(31a)의 둘레 가장자리부(31b1)와 각 걸어맞춤 다리부가 걸어맞춰지는 상태에 있어서, 둘레 가장자리부(31b1)와 플랜지부(11)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 나아가서는 배수구멍(31a)과 플랜지부(11)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이 억제된다.
배수 플러그(10)가 배수구멍(31a)에 장착되면, 플랜지부(11)가 배수구멍(31a)의 전체를 덮는다. 또한, 배수구멍(31a)에 배수 플러그(10)가 장착되면, 플랜지부(11)가 배수구멍(31a)의 둘레 가장자리부(31b1)를 추종하도록 변형하기 쉽기 때문에, 플랜지부(11)가 가지는 오목부(11d)는 둘레 가장자리부(31b1)를 통해서 배수구멍(31a)으로 통한다. 이것에 의해서, 배수구멍(31a)에서 이 배수구멍(31a)의 외부로 배출된 물은 배수구멍(31a)의 둘레 가장자리부(31b1)로 이동한 후, 오목부(11d)에서 배수 플러그(10)의 외부로 배출된다.
또,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수구멍(31a)에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가 삽입되면, 두께 경감부(13b)가 변형함으로써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의 걸어맞춤 돌출부(13a)가 내측 패널(31)과 외측 패널(32)의 사이까지 압입된다. 이것에 의해서, 플랜지부(11)와 걸어맞춤 돌출부(13a)가 피장착부(31b)를 사이에 둠으로써, 배수 플러그(10)가 배수구멍(31a)을 덮도록 피장착부(31b)에 장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플랜지부(11)의 단부(11E)를 따르도록 제 3 홈(11c)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플랜지부(11)의 단부(11E)에 있어서의 변형이 피장착부(31b)의 형상을 추종하기 쉽다. 결과적으로, 플랜지부(11)와 피장착부(31b)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수 플러그(10)가 장착되는 차체 패널(40)에서는 내측 패널(41)과 외측 패널(42)의 사이의 거리가 크기 때문에, 도 7에 나타낸 예보다도 더 크게 만곡한 내측 패널(41)에 배수구멍(41a)의 전체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외측 패널(42)에 대해서 용접부(40a)를 기점으로 하여 내측 패널(41)이 만곡하고, 피장착부(41b)에 있어서 이 피장착부(41b)와 외측 패널(42)이 형성하는 각도가 45°정도인 경우도 있다.
배수 플러그(10)가 이러한 차체 패널(40)에 장착될 때라도,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와 플랜지부(11)가 배수구멍(41a)의 둘레 가장자리부(41b1)를 사이에 두는 상태에서,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가 배수구멍(41a)에 압입될 때에는, 제 1 박육부(23)를 기점으로 하여 플랜지부(11)가 구부러지기 쉽다. 그렇기 때문에, 배수구멍(41a)의 둘레 가장자리부(41b1)와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의 걸어맞춤 및 둘레 가장자리부(41b1)와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의 걸어맞춤에 적절한 형상으로 플랜지부(11)가 변형하기 쉽다.
또한, 플랜지부(11)는 제 1 박육부(23)에 더하여 제 2 박육부(24)를 가지기 때문에, 내측 패널(41)의 기립이 급준하더라도 제 2 박육부(24)를 기점으로 하여 플랜지부(11)가 구부러지기 쉽기 때문에, 플랜지부(11)가 배수구멍(41a)의 둘레 가장자리부(41b1)의 형상을 따라서 변형하기 쉽다. 그렇기 때문에, 플랜지부(11)의 변형이 둘레 가장자리부(41b1)의 형상을 추종하기 쉽고, 나아가서는 플랜지부(11)와 배수구멍(41a)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이 억제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수 플러그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이하에 열거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 제 1 접속부(21a)와 제 2 접속부(22a)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 1 박육부(23)를 절곡위치로 함으로써 플랜지부(11)가 구부러지기 쉽다. 이것에 의해서, 배수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와 각 걸어맞춤 다리부의 걸어맞춤에 적절한 형상으로 플랜지부(11)가 변형하기 쉽다. 그렇기 때문에, 배수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와 각 걸어맞춤 다리부가 걸어맞춰지는 상태에 있어서, 배수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와 플랜지부(11)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 나아가서는 배수구멍과 플랜지부(11)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이 억제된다.
(2) 제 1 박육부(23)가 X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 1 홈(11a)의 저부이기 때문에, X방향을 따라서 플랜지부(11)가 휘어지기 쉽다.
(3)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를 배수구멍 내에 삽입했을 때에,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와 플랜지부(11)가 배수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사이에 두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와 배수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의 걸어맞춤의 강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4) 플랜지부(11)에 의해서 배수구멍의 일부를 덮음으로써, 배수구멍에 대해서 외부로부터 물 등이 들어가는 것을 억제하면서, 배수구멍으로부터 물이 배출되기 쉽다.
(5) 플랜지부(11)가 이 플랜지부(11)의 휘어짐의 기점이 되는 박육부를 2개의 접속부의 주위에 복수개 가지기 때문에, 플랜지부(11)가 제 1 박육부(23)만을 가지는 구성에 비해서, 플랜지부(11)가 보다 변형하기 쉬워지고, 나아가서는 플랜지부(11)의 변형이 피장착부의 형상에 의해서 추종되기 쉬워진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는, 이하와 같이 적당히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다.
·플랜지부(11)의 크기는 배수 플러그(10)가 배수구멍에 장착되었을 때에 배수구멍의 전체를 덮는 크기를 가지고 있지만, 배수구멍의 일부를 덮는 크기여도 좋다. 이러한 구성이라도, 배수 플러그(10)가 배수구멍에 장착되었을 때에는 플랜지부(11)가 배수구멍의 일부를 덮기 때문에, 배수구멍이 전혀 덮이지 않은 상태에 비해서, 배수구멍 내로 물이나 먼지가 들어가는 것이 억제된다.
·플랜지부(11)는 상술한 그릇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평판형상을 가져도 좋다. 이러한 구성이라도, 플랜지부(11)가 걸어맞춤 다리부 간에 박육부를 가지고 있으면, 플랜지부(11)는 걸어맞춤 다리부와 배수구멍의 걸어맞춤에 적절한 형상으로 적잖이 변형하기 때문에, 상술한 (1)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의 걸어맞춤 돌출부(13a)가 내측 패널과 외측 패널의 사이에 압입되는 정도로 휘어지는 것이 가능하면, 제 2 걸어맞춤 다리부(13)에 있어서의 2개의 두께 경감부(13b)는 생략되어도 좋다.
·플랜지부(11)가 가지는 제 3 홈(11c)은 생략되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제 3 홈(11c)이 생략된 부위에 있어서 플랜지부(11)의 두께가 두꺼워지기 때문에, 플랜지부(11)의 기계적인 강도를 높일 수 있다.
·플랜지부(11)는 제 2 박육부(24)에 더하여, 플랜지부(11)의 표면(11F)과 대향하는 평면시에 있어서,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와 플랜지부(11)의 단부(11E)의 사이에 위치하는 다른 박육부를 포함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플랜지부(11)가 가지는 박육부의 수가 증가한 만큼, 플랜지부(11)가 걸어맞춤 다리부와 배수구멍의 걸어맞춤에 적절한 형상으로 변형하기 쉬워진다.
·플랜지부(11)는 제 2 박육부(24)를 가지지 않는 한편, 플랜지부(11)의 표면(11F)과 대향하는 평면시에 있어서,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와 플랜지부(11)의 단부(11E)의 사이에 위치하는 다른 박육부를 포함해도 좋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플랜지부(11)가 다른 박육부를 가짐으로써, 플랜지부(11)가 걸어맞춤 다리부와 배수구멍의 형상에 적절한 형상으로 변형하기 쉬워진다.
·제 1 홈(11a) 및 제 2 홈(11b)의 적어도 일방은, 플랜지부(11)의 표면(11F)에서 이면(11R)으로 향해서 오목한 홈이 아니라, 플랜지부(11)의 이면(11R)에서 표면(11F)으로 향해서 오목한 홈이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이라도, 플랜지부(11)가 걸어맞춤 다리부 간에 위치하는 박육부를 가지는 이상은, 상술한 (1)과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1 박육부(23)는 X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 1 홈(11a)의 저부가 아니어도 좋고, X방향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복수의 오목부에 있어서, 각 오목부의 저부여도 좋다. 각 오목부는, 플랜지부(11)의 표면(11F)에서 이면(11R)으로 향해서 오목한 오목부, 혹은 이면(11R)에서 표면(11F)으로 향해서 오목한 오목부이면 좋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X방향을 따라서 병설되는 복수의 오목부에 의해서, 1개의 박육부가 구성되어 있다.
요점은, 상술한 박육부는 이 박육부가 가지는 두께의 평균값이 접속부가 가지는 두께의 평균값보다도 작고, 수지 힌지로서 기능하는 구성이면 좋다. 예를 들면, 1개의 박육부가 복수의 오목부로 구성될 때에는, 박육부 내에 접속부보다도 두꺼운 부분이 포함되어도 좋고, 표면(11F)과 대향하는 평면시에 있어서 각 오목부가 구획하는 영역이 직사각형상을 가져도 좋고, 원형상을 가져도 좋다. 이러한 구성이라도, 박육부를 기점으로 하여 플랜지부(11)가 변형하기 쉬워지기 때문에, 상술한 (1)과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2 박육부(24)는 제 1 박육부(23)와 마찬가지로 X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 2 홈(11b)의 저부가 아니어도 좋고, 예를 들면 X방향을 따라서 간격을 두고 위치하는 복수의 오목부에 있어서, 각 오목부의 저부여도 좋다.
·제 1 박육부(23)는 X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전체에 위치하고 있지 않아도 좋고, 적어도 제 1 접속부(21a)와 제 2 접속부(22a)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면 좋다. 즉, 상술한 실시형태에서는, X방향을 따르는 제 1 박육부(23)의 길이가 제 1 걸어맞춤 다리부(12)의 기단에 있어서의 X방향을 따르는 길이와 같고, 또한 제 1 접속부(21a)와 제 2 접속부(22a)의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면 좋다. 이러한 구성이라도, 적어도 걸어맞춤 다리부 간에 박육부가 위치하고 있으면, 플랜지부(11)가 걸어맞춤 다리부와 배수구멍의 걸어맞춤에 적절한 형상으로 변형하기 쉬워진다. 즉, 상술한 (1)과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 2 박육부(24)는 제 1 박육부(23)와 마찬가지로 X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전체에 위치하고 있지 않아도 좋고, 제 2 접속부(22a)와 플랜지부(11)의 단부(11E)의 사이에 있어서, X방향에 있어서의 적어도 일부에 위치하고 있으면 좋다.
·배수 플러그(10)가 가지는 걸어맞춤 다리부의 개수는 상술한 2개에 한정되지 않고, 3개 이상이어도 좋다. 이러한 구성이라도, 플랜지부가 걸어맞춤 다리부 간의 전체에 박육부를 가지고 있으면, 상술한 (1)과 동등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배수 플러그(10)의 장착 대상은 리어게이트를 구성하는 차체 패널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트렁크 리드, 프런트 도어 및 리어 도어 등을 구성하는 차체 패널이어도 좋다. 배수 플러그(10)가 이러한 도어를 구성하는 차체 패널에 장착되었을 때에도, 배수 플러그(10)는 리어게이트를 구성하는 차체 패널에 장착되었을 때와 동등한 효과를 가진다.
·배수 플러그(10)는, 차체 패널에 형성된 배수구멍에 장착되는 플러그로서 뿐만 아니라, 다른 판부재에 배수 이외의 목적으로 형성된 관통구멍, 예를 들면 통기구멍 등에 장착되는 플러그로서 이용되어도 좋다.
상기 실시형태 및 변형예로부터 도출되는 기술적 사상을 부기한다.
〈부기 1〉
피장착부가 가지는 관통구멍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이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관통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걸어맞춰지는 복수의 걸어맞춤 다리부를 구비하는 플러그로서,
상기 각 걸어맞춤 다리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이면에 있어서 별개의 위치에서 연장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플랜지부 내에서 상기 각 걸어맞춤 다리부가 접속하는 부분인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보다도 두께가 얇으며 적어도 상기 접속부 간에 위치하는 박육부를 포함하는 플러그.
〈부기 2〉
피장착부가 가지는 관통구멍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이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관통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걸어맞춰지는 복수의 걸어맞춤 다리부를 구비하는 플러그로서,
상기 각 걸어맞춤 다리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이면에 있어서 별개의 위치에서 연장되고,
상기 플랜지부에서는, 상기 플랜지부 내에서 상기 각 걸어맞춤 다리부가 접속하는 부분인 접속부의 두께의 평균값이 상기 접속부 간에 있어서의 두께의 평균값보다도 두꺼운 플러그.
상기 각 부기에 의하면, 접속부 간을 절곡위치로 함으로써 플랜지부가 구부러지기 쉽다. 결과적으로, 관통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와 걸어맞춤 다리부의 걸어맞춤에 적절한 형상으로 플랜지부가 변형하기 쉽기 때문에, 배수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와 걸어맞춤 다리부가 걸어맞춰지는 상태에 있어서, 배수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와 플랜지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 나아가서는 배수구멍과 플랜지부의 사이에 간극이 형성되는 것이 억제된다.
10 : 배수 플러그 11 : 플랜지부
11a : 제 1 홈 11b : 제 2 홈
11c : 제 3 홈 11d : 오목부
11E : 단부 11F : 표면
11R : 이면 12 : 제 1 걸어맞춤 다리부
13 : 제 2 걸어맞춤 다리부 13a : 걸어맞춤 돌출부
13b : 두께 경감부 21 : 제 1 후육부
21a : 제 1 접속부 22 : 제 2 후육부
22a : 제 2 접속부 23 : 제 1 박육부
24 : 제 2 박육부 25 : 제 3 후육부
30, 40 : 차체 패널 30a, 40a : 용접부
31, 41 : 내측 패널 31a, 41a : 배수구멍
31b, 41b : 피장착부 31b1, 41b1 : 둘레 가장자리부
32, 42 : 외측 패널

Claims (7)

  1. 피장착부가 가지는 배수구멍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플랜지부와,
    상기 플랜지부의 이면에서 연장되고, 상기 배수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에 걸어맞춰지는 복수의 걸어맞춤 다리부를 구비하는 배수 플러그로서,
    상기 각 걸어맞춤 다리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이면에 있어서 별개의 위치에서 연장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플랜지부 내에서 상기 각 걸어맞춤 다리부가 접속하는 부분인 접속부와, 상기 접속부보다도 두께가 얇으며 적어도 상기 접속부 간에 위치하는 박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플러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박육부는 홈의 저부이며,
    상기 홈이 1개의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플러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걸어맞춤 다리부는 제 1 걸어맞춤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플랜지부 내에서 상기 제 1 걸어맞춤 다리부가 접속하는 부분인 제 1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걸어맞춤 다리부는 상기 제 1 접속부에서 상기 플랜지부의 단부로 향해서 연장되고, 상기 제 1 걸어맞춤 다리부가 상기 배수구멍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 1 걸어맞춤 다리부와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배수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사이에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플러그.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걸어맞춤 다리부는 제 1 걸어맞춤 다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플랜지부 내에서 상기 제 1 걸어맞춤 다리부가 접속하는 부분인 제 1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걸어맞춤 다리부는 상기 제 1 접속부에서 상기 플랜지부의 단부로 향해서 연장되고, 상기 제 1 걸어맞춤 다리부가 상기 배수구멍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제 1 걸어맞춤 다리부와 상기 플랜지부가 상기 배수구멍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사이에 두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플러그.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단부에 상기 배수구멍으로 통하는 오목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플러그.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이면과 대향하는 평면시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 중 적어도 1개와 상기 플랜지부의 단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박육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플러그.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는 상기 플랜지부의 상기 이면과 대향하는 평면시에 있어서, 상기 접속부 중 적어도 1개와 상기 플랜지부의 단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박육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 플러그.
KR1020180022987A 2017-02-28 2018-02-26 배수 플러그 KR10202122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036246 2017-02-28
JP2017036246A JP2018141526A (ja) 2017-02-28 2017-02-28 排水プラ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9527A true KR20180099527A (ko) 2018-09-05
KR102021228B1 KR102021228B1 (ko) 2019-09-11

Family

ID=635278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2987A KR102021228B1 (ko) 2017-02-28 2018-02-26 배수 플러그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018141526A (ko)
KR (1) KR1020212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46428A (zh) * 2020-07-08 2020-10-09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汽车侧门排水机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131762B2 (ja) * 2019-03-20 2022-09-06 トヨタ車体株式会社 ホールプラ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74311A (en) 1976-12-15 1978-07-01 Iwatsu Electric Co Ltd Facsimile unit
DE3442109A1 (de) * 1984-11-17 1986-05-22 Itw-Ateco Gmbh, 2000 Norderstedt Abdeckteil zum verschliessen von blechoeffnunge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74311A (en) 1976-12-15 1978-07-01 Iwatsu Electric Co Ltd Facsimile unit
DE3442109A1 (de) * 1984-11-17 1986-05-22 Itw-Ateco Gmbh, 2000 Norderstedt Abdeckteil zum verschliessen von blechoeffnung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46428A (zh) * 2020-07-08 2020-10-09 东风柳州汽车有限公司 汽车侧门排水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1228B1 (ko) 2019-09-11
JP2018141526A (ja) 2018-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4335B2 (ja) ホールプラグ
JP5937147B2 (ja) アンテナユニット
US10144363B2 (en) Mounting assembly of vehicular utility part mounting member and vehicular interior part
KR20180099527A (ko) 배수 플러그
US20190379191A1 (en) Liquid-proof structure of fitting body, electrical connection box, and wire harness
US20190111869A1 (en) Grommet
JP2005047410A (ja) ウェザーストリップの取り付け部のシール構造
WO2012161033A1 (ja) ホールプラグ
US8485593B2 (en) Drain plug
JP2019040687A (ja) ゴム栓及び防水コネクタ
US8776325B2 (en) Trim fastening system
CN104296473B (zh) 用于冰箱门的端盖及具有它的冰箱门
JP7154825B2 (ja) カバーユニット
US11585440B2 (en) Hole plug attachment structure
US20180313240A1 (en) Oil pan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oil pan
JP2009150283A (ja) 合成樹脂製部品のシール構造
JP5911790B2 (ja) ホールプラグ
JP6795366B2 (ja) プラグ
JP6275894B2 (ja) 電磁波遮蔽容器
JP2015032784A (ja) ターミナル保護構造
JP6080558B2 (ja) ホールプラグ
JP6054703B2 (ja) 中空部品の組付構造
KR102343923B1 (ko) 인슐레이터용 모듈클립
JP4349214B2 (ja) グロメット
KR101629090B1 (ko) 클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