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98856A -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 및 그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 및 그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98856A
KR20180098856A KR1020170025520A KR20170025520A KR20180098856A KR 20180098856 A KR20180098856 A KR 20180098856A KR 1020170025520 A KR1020170025520 A KR 1020170025520A KR 20170025520 A KR20170025520 A KR 20170025520A KR 20180098856 A KR20180098856 A KR 201800988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rine
unit
container
level sensor
water le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55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7602B1 (ko
Inventor
이경중
강동원
강창훈
김형곤
명현석
박종욱
Original Assignee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255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7602B1/ko
Publication of KR201800988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988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7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76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48Biological material, e.g. blood, urine; Haemocytometers
    • G01N33/48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 G01N33/487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 G01N33/493Physical analysis of biological material of liquid biological material uri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2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 G01F23/26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measuring physical variables, other than linear dimensions, pressure or weight, dependent on the level to be measured, e.g. by difference of heat transfer of steam or water by measuring variations of capacity or inductance of capacitors or inductors arising from the presence of liquid or fluent solid material in the electr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5/00Investigating characteristics of particles; Investigating permeability, pore-volume or surface-area of porous materials
    • G01N15/06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 G01N15/075Investigating concentration of particle suspensions by optical means
    • G01N2015/0693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He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Biological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면의 중앙에 막대형 수위 센서부가 장착되고 상면에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소변 측정부와, 피검자의 소변을 저장하되, 일측에 소변 측정부의 막대형 수위 센서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수위센서 삽입부를 구비하는 소변 용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소변 측정부의 막대형 수위 센서부가 소변 용기부의 소변량을 측정하도록 이루어지되, 장소에 제한 없이 정확한 소변량을 측정할 수 있는,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는, 정면부의 중앙에 막대형으로 이루어진 수위 센서부가 장착되고 상면에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소변 측정부; 피검자의 소변을 저장하되, 후면부의 중앙에 소변 측정부의 수위 센서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게 하는 수위센서 삽입부를 구비하는 소변 용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수위 센서부는 정전용량 수위센서로 이루어지며, 수위센서 삽입부에 삽입되어, 소변 용기부의 소변량을 비접촉식으로 측정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 및 그 구동방법{Portable automatic urine measurement apparatus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면의 중앙에 막대형 수위 센서부가 장착되고 상면에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소변 측정부와, 피검자의 소변을 저장하되, 일측에 소변 측정부의 막대형 수위 센서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수위센서 삽입부를 구비하는 소변 용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소변 측정부의 막대형 수위 센서부가 소변 용기부의 소변량을 측정하도록 이루어지되, 장소에 제한 없이 정확한 소변량을 측정할 수 있는,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는 점차 고령화 사회로 접어들고 있으며, 특히, 고령인들에게 비뇨기계통의 질환이 증가 하고 있다.
체내에서 비뇨기계통에 가장 영향을 주는 장기는 신장으로, 신장은 노폐물을 배설하고 산, 염기 및 전해질 대사 등 체내 항상성을 유지하는 기능을 하는 중요한 장기 중 하나이다. 신장의 기능이 심하게 저하되거나 소실되면 급성 신부전증, 사구체신염, 신장염 등의 다양한 질환에 걸릴 수 있다.
또한, 고령인들에게 전립선의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다. 전립선이 세균에 의해 염증이 생겨 점점 커지는 질환을 전립성 비대증이라고 하며, 60~70대 남성의 70 ~ 80%에서 발병하는 대표적인 만성질환 중 하나이다. 전립선의 이상 유무와 더불어 신장의 이상 유무를 판단하는 방법은 배뇨 시에 매 시간당 소변량을 측정하는 방법이다. 상기와 같은 방법은 전립선 비대증 또는 신장의 이상유무의 진단 시 필수적인 생체계측검사이다.
종래에, 소변 주머니(Urine Bag)을 사용하는 환자의 소변량을 측정하기 위해서, 간호사 또는 간병인 등이 매일 정해진 시간마다 소변 주머니에 표시되어 있는 눈금을 읽고 검사기록지에 수기로 작성하는 방법을 사용했다. 이와 같은 방법의 경우에는 관측자의 주관적인 판단이 들어가게 되어, 객관적인 평가를 할 수 없으므로 매우 부정확할 뿐만 아니라 단위 시간당 소변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즉, 사용하기 간편하면서도 장소에 상관없이 측정이 가능하며, 소변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소변을 저장하는 부분은 일회용 용기로 이루어진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가 요망된다.
선행기술로, 국내 등록특허 제10-1016371호 '소변 배출량 자동 측정 장치 및 방법이 있다.
국내 등록특허 제10-1016371호는 드롭센서, 수위센서, 계량용 소변탱크, 저장용 소변탱크, 모터, 제어부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소변이 계량용 소변탱크에 채워지면, 이 소변은 저장용 소변탱크로 보내도록 되어 있다. 또한, 수위센서는 계량용 소변탱크에 구비되어, 계량용 소변탱크의 소변 수위를 인지하며, 소변의 드롭 수와 수위 센서에 의해 감지된 계량용 소변탱크의 소변 수위를 참조하여 유량 변화량을 측정하여, 이를 소변의 총량, 유량 속도, 유량의 증가/감소의 계산에 이용한다.
따라서, 국내 등록특허 제10-1016371호는 드롭센서, 수위센서, 계량용 소변탱크, 저장용 소변탱크, 모터, 제어부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휴대용으로 사용이 어려우며, 또한, 드롭센서, 모터 등을 포함하여 가격도 고가일 수밖에 없으며, 더군다나, 계량용 소변탱크에 수위센서가 장착되어, 계량용 소변탱크를 일회용으로 하기에는 고가이고, 여러 사람이 사용하기에는 위생 등에 문제가 있다. 또한, 드롭센서와 수위센서 둘다를 사용하여 소변량 등을 계산하는 것으로, 소프트웨어가 보다 복잡하여 지고, 이에 따라 단가는 높아질 수 밖에 없다.
일반인이 사용하기에, 휴대가 용이하고, 간단하면서, 사용하기 편리하고, 위생적이며, 가격이 저렴한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 및 그 구동방법이 요망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전면의 중앙에 막대형 수위 센서부가 장착되고 상면에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소변 측정부와, 소변 측정부의 막대형 수위 센서부가, 일측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이루어진 수위센서 삽입부를 구비하는 소변 용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소변 측정부의 막대형 수위 센서부가,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소변 용기부의 소변량을 측정하도록 이루어진,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소변 측정부의 막대형 수위 센서부가 소변 용기부의 수위센서 삽입부에 결합될 때, 소변 용기부 일측면의 상부 양측에 있는 고리부가, 소변 측정부의 전면부의 상부 양측에 있는 고리 고정부와 결합하여, 소변 측정부와 소변 측정부를 결합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소변 측정부의 후면에는 소변 측정부를 기둥 등에 고정하기 위한 기둥 고정부를 구비하여, 소변 용기부가 흔들림에 의해, 잘못 측정되지 않도록 이루어져 있는,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소변 용기부 일측면에 탁도 검출센서 장착부를 구비하며, 탁도 검출센서 장착부에는 소변 측정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탁도 검출센서가 장착되어, 탁도를 검출하도록 이루어진,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소변 용기부의 저부에 소변검사용 스틱을 삽입하는 스틱삽입부를 구비하여, 소변성분을 검사할 수 있게 하는,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는, 정면부의 중앙에 막대형으로 이루어진 수위 센서부가 장착되고 상면에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소변 측정부; 피검자의 소변을 저장하되, 후면부의 중앙에 소변 측정부의 수위 센서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게 하는 수위센서 삽입부를 구비하는 소변 용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수위 센서부는 정전용량 수위센서로 이루어지며, 수위센서 삽입부에 삽입되어, 소변 용기부의 소변량을 비접촉식으로 측정하도록 이루어진다.
소변 용기부의 후면부의 상부에서, 수위센서 삽입부의 좌우 양측에 고리를 구비하며, 소변 측정부의 정면부의 상부 양측에, 상기 고리부와 결합하기 위한 고리 고정부를 구비하여, 소변 측정부의 수위 센서부가 소변 용기부의 센서고정부에 결합될 때, 상기 고리부는, 상기 고리 고정부와 결합되도록 이루어진다.
소변 측정부의 후면부에는, 기둥에 고정하기 위한 기둥 고정부를 구비한다.
소변 측정부의 연산처리부는, 수위 센서부로부터 수신된 수위신호와, 기 저장된 부피가중치를 이용하여, 소변량을 구한다.
소변 용기부 내의 소변의 탁도를 검출하여, 소변 측정부로 전송하는 탁도검출부를 더 포함한다.
탁도검출부는, 소변 측정부 몸체의 외측에 위치되되, 소변 측정부 몸체와 전선으로 연결되며, 발광부와 수광부를 포함하며, 소변용기부의 외측에 장착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소변용기부는 탁도검출부가 장착된 부분에 투명창을 구비할 수 있다.
탁도검출부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포함하며, 소변 용기부 몸체에 내장되되, 발광부와 수광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내장되며, 수광부에서 검출된 탁도신호는, 소변 측정부와 전선으로 연결된 커넥터를, 소변용기부에 구비된 포트에 연결함에 의해, 소변 측정부로 전달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소변 측정부의 연산처리부는, 검출된 탁도신호의 역수를 구하여, 소변의 현탁물질 농도로 한다.
소변 용기부의 일측에 검사용 스틱삽입구를 구비하며, 소변 용기부의 내측 하단에 소변성분 검사 스틱을 삽입하여, 소변 성분을 검사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소변 용기부는, 소변 용기부의 내측 하부에 위치되며 다수의 하부막 통공을 구비하는, 하부막; 하부막의 밑에 위치되며, 다수의 이동막 통공을 가진 이동막을 포함하며, 일측에 소변성분 검사용 단자를 구비하는, 이동막부; 이동막의 밑에 위치되어, 수직의 다수의 유로관을 구비하는 막인, 소변 통로 가이드부; 검사용 스틱삽입구를 통해 삽입되어, 소변 통로 가이드부의 밑에 위치되되, 소변 용기부의 하단의 위에 위치되는 소변성분 검사 스틱;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동막부는 이동막과 소변성분 검사용 단자의 사이에 스프링 지지대를 구비하며, 스프링 지지대에는 스프링이 끼워지고, 스프링과 소변성분 검사용 단자는 소변 용기부의 외측에 위치되며, 소변성분 검사용 단자를 누름에 의해 하부막 통공과 이동막 통공이 일치하여, 하부막 상부의 소변이, 소변 통로 가이드부의 유로관을 통해, 소변성분 검사 스틱에 떨어지도록 이루어진다.
소변성분 검사 스틱은 약품처리부 또는 항체 처리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약품처리부 또는 항체 처리부는, 소변성분 따라 또는 소변성분 농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도록 이루어진다.
소변성분 검사 스틱은, 서로 다른 소변 성분을 검출하는 다수개의 약품처리부 또는 항체 처리부를 구비하며, 약품처리부 또는 항체 처리부의 각각은, 소변 통로 가이드부의 각 유로관에 대응되도록, 소변성분 검사 스틱에 배치된다.
또한, 본 발명은, 소변을 저장하는 소변 용기부와, 소변 용기부의 소변을 측정하는 소변 측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에 있어서, 소변 용기부는, 소변 용기부의 내측 하부에 위치되며 다수의 하부막 통공을 구비하는, 하부막;하부막의 밑에 위치되며, 다수의 이동막 통공을 가진 이동막을 포함하며, 일측에 소변성분 검사용 단자를 구비하는, 이동막부; 이동막의 밑에 위치되어, 수직의 다수의 유로관을 구비하는 막인, 소변 통로 가이드부; 검사용 스틱삽입구를 통해 삽입되어, 소변 통로 가이드부의 밑에 위치되되, 소변 용기부의 하단의 위에 위치되는 소변성분 검사 스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는, 전면의 중앙에 막대형 수위 센서부가 장착되고 상면에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소변 측정부와, 소변 측정부의 막대형 수위 센서부가, 일측에, 삽입되어 고정되도록 이루어진 수위센서 삽입부를 구비하는 소변 용기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소변 측정부의 막대형 수위 센서부가, 일회용으로 사용되는 소변 용기부의 소변량을 측정하도록 이루어져, 휴대하거나 사용하기에 간편하면서도 장소에 상관없이 측정이 가능하며, 소변량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있으며, 소변을 저장하는 부분은 일회용 용기로 이루어져, 위생적이며, 저가이다.
또한, 본 발명은, 소변 측정부의 막대형 수위 센서부가 소변 용기부의 수위센서 삽입부에 결합될 때, 소변 용기부 일측면의 상부 양측에 있는 고리부가, 소변 측정부의 전면부의 상부 양측에 있는 고리 고정부와 결합하여, 소변 측정부와 소변 측정부를 결합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며, 소변 측정부의 후면에는 소변 측정부를 기둥 등에 고정하기 위한 기둥 고정부를 구비하여, 소변 용기부가 흔들림에 의해, 잘못 측정되지 않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변 용기부 일측면에 탁도 검출센서 장착부를 구비하며, 탁도 검출센서 장착부에는 소변 측정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탁도 검출센서가 장착되어, 탁도를 검출하도록 이루어져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소변 용기부의 저부에 소변검사용 스틱을 삽입하는 스틱삽입부를 구비하여, 소변성분을 검사할 수 있게 한다.
도 1은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의 제1실시예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도 1의 소변 측정부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1의 소변 용기부를 나타낸다.
도 4는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의 제2실시예로, 탁도검출부(170)를 포함하는 소변 측정부를 나타낸다.
도 5은 도 4의 탁도검출부가 장착되는 탁도검출부 삽입부(227)를 구비한 소변 용기부를 나타낸다.
도 6은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의 제3실시예로, 탁도검출부(170)를 내장한 소변 용기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6의 탁도검출부로부터 탁도신호를 수신하는 소변 측정부를 나타낸다.
도 8는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의 제4실시예로, 소변성분 검사 스틱을 장착하여 소변을 검사하게 하는 소변 용기부를 나타낸다.
도 9는 도 8의 소변 용기부 내 장착되는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0은 도 8의 소변 용기부에서, 소변성분 검사 스틱을 이용한 소변을 검사를 하지 않을 때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1는 도 10의 소변성분 검사 스틱을 이용한 소변을 검사를 하지 않을 때의 소변 용기부의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2는 도 8의 소변 용기부에서, 소변성분 검사 스틱을 이용한 소변을 검사를 실시할 때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3는 도 12의 소변성분 검사 스틱을 이용한 소변을 검사를 하지 않을 때의 소변 용기부의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4는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의 제5실시예로, 스틱 촬영부(133)를 구비한 소변 측정부(100)를 나타낸다.
도 15는 본 발명의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도 16은 도 15의 소변 측정부의 연산처리부에서 소변량을 검출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 및 그 구동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의 제1실시예의 사용상태도를 나타내며, 도 2는 도 1의 소변 측정부를 나타내고, 도 3은 도 1의 소변 용기부를 나타낸다.
도 2의 (a)는 도 1의 소변 측정부의 정면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2의 (b)는 도 1의 소변 측정부의 후면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3의 (a)는 도 1의 소변 용기부의 후면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3의 (b)는 도 1의 소변 용기부의 정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에서와 같이,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10)는 소변 측정부(100)와 소변 용기부(2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소변 측정부(100)와 소변 용기부(200)는 서로 착탈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소변 측정부(100)는 침대, 또는 폴대 등의 기둥(60)에 장착된다. 소변 용기부(200)에는 방광에 삽입된 소변선 또는 요도에 삽입된 소변선 등의 소변선(70)으로부터의 소변을 저장한다.
소변 측정부(100)는 수위센서(127)로부터 검출된 수위신호로부터 소변량을 검출하는 수단으로, 제어회로(미도시)를 내장하고 있다.
도 2의 (a)에서와 같이, 소변 측정부(100)의 정면부(120)의 중앙부에 막대형으로 이루어진 수위센서부(127)가 장착되고, 수위센서부(127)는 소변 용기부(200)의 수위센서 삽입부(225)에 삽입되어 소변 용기부(200) 내의 소변의 수위를 비접촉식으로 검출한다. 수위센서부(127)는 정전용량 수위센서(capacitive level sensor)로 이루어질 수 있다.
소변 측정부(100)의 정면부(120)에서, 수위센서부(127)의 상부에는, 수위센서 지지턱부(115)가 구비되어, 수위센서부(127)가 수위센서 삽입부(225)에 삽입될 때, 그 끝단이 삽입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수단이다.
소변 측정부(100)의 정면부(120)의 좌우 양측에는 고리 고정부(125)를 구비하되, 고리 고정부(125)에는 고리고정용 통공(126)을 구비한다. 즉, 소변 측정부(100)와 소변 용기부(200)의 결합시, 수위센서부(127)를 수위센서 삽입부(225)에 삽입하고, 소변 용기부(200)의 고리(221)를, 고리 고정부(125)의 고리고정용 통공(126)에 삽입한다. 이렇게 함에 의해, 소변 용기부(200)만이 따로 흔들리거나 하지 않도록 고정할 수 있다.
소변 측정부(100)의 상면부(110)에는 디스플레이부(117)가 구비된다.
도 2의 (b)에서와 같이, 소변 측정부(100)의 후면부(130)의 중앙에는 기둥 고정부(131)을 구비하며, 기둥 고정부(131)는 일측이 개방된 원형으로 이루어지며, 개방된 부분을 나사(232)로 고정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3에서와 같이, 소변 용기부(200)의 상면부(210)의 일측에는 소변선 삽입공(217)을 구비하여, 소변선(70)이 삽입된다. 소변 용기부(200)의 후면부(220)의 중앙부에는 수위센서 삽입부(225)를 구비하며, 수위센서 삽입부(225)는 수위센서부(127)를 삽입하여 고정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소변 용기부(200)의 후면부(220)의 상부의 좌우 양측에는 고리(221)을 구비하며, 고리(221)는, 소변 측정부(100)와 소변 용기부(200)의 결합시, 수위센서부(127)의 고리 고정부(125)의 고리고정용 통공(126)에 삽입된다.
도 4는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의 제2실시예로, 탁도검출부(170)를 포함하는 소변 측정부를 나타내며, 도 5는 도 4의 탁도검출부가 장착되는 탁도검출부 삽입부(227)를 구비한 소변 용기부를 나타낸다.
도 5의 (a)는 제2실시예의 소변 용기부의 후면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5의 (b)는 도 5의 (a)의 소변 용기부의 정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의 소변 측정부(100)는 소변 측정부(100) 몸체의 외측에 위치되되, 소변 측정부(100) 몸체와 전선(150)으로 연결되는, 탁도검출부(17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탁도검출부(170)는 발광다이오드 등으로 이루어진 발광부(171)와, 포토센서 등으로 이루어진 수광부(17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발광부(171)에서 광원을 조사한 후 반대편에 위치되는 수광부(172)에서 투과된 광을 측정하여, 투과된 광의 감쇄정도로 소변이 탁한 정도(즉, 소변의 농도)를 검출한다.
탁도검출부(170)의 발광부(171)는 소변 용기부(200)의 정면부(215)와 후면부(220)에 위치되는 탁도검출부 삽입부(227) 중 하나에 삽입되며, 수광부(172)는 소변 용기부(200)의 정면부(215)와 후면부(220)에 위치되는 탁도검출부 삽입부(227) 중 다른 하나에 삽입된다.
소변 용기부(200)의 정면부(215)와 후면부(220)에서, 탁도검출부 삽입부(227)가 구비된 부분에는 투명창(226)이 구비되거나, 소변 용기부(200)는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즉, 발광부(171)의 광이 일측 투명창(226)을 거쳐 소변(미도시)으로 출사되며, 소변(미도시)을 투과된 광은 다른 일측 투명창(226)을 거쳐 수광부(172)에서 검출된다.
일반적으로, 소변의 탁도는 건강상태를 체크할 수 있는 지표로서, 소변의 탁도에 따라 요로 감염증, 백혈구의 배설 정도, 농뇨(고름이 배출되는 현상), 염의 포함 정도, 단백질의 함량 정도 등을 알 수 있다. 탁도 센서는 투과광을 이용한 방법으로 발광부에서 광원을 조사한 후 반대편의 수광부에서 측정된 통과한 광의 양을 측정하는 방식으로 투과된 광의 감쇄정도는 액중의 현탁물질 농도와 반비례 관계가 있다. 이는 인체의 수분이 부족하거나 간질환 또는 신장의 이상, 과다한 당류 섭취 등으로 인해 소변이 탁해지게 된다. 이를 측정하여 인체의 이상 발생 여부를 예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즉, 도 4 및 도 5)의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는 탁도검출부(170), 탁도검출부 삽입부(227)를 구비한 것이외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즉, 도 1 내지 도 4)의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와 동일하다.
도 4의 탁도검출부(170)는 'ㄷ'자 형태로 이루어지나, 이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함이 아님을 밝혀둔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서는, 탁도검출부(170)가 소변 측정부(100) 몸체의 외측에 위치되되, 소변 측정부(100) 몸체와 전선(150)으로 연결되어 탁도를 검출하는 것을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이를 위해 탁도검출부(170)가 어떠한 형태로 이루어지더라도 상관없다.
도 6은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의 제3실시예로, 탁도검출부(170)를 내장한 소변 용기를 나타내며, 도 7은 도 6의 탁도검출부로부터 탁도신호를 수신하는 소변 측정부를 나타낸다.
도 6의 (a)는 제3실시예의 소변 용기부의 후면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7의 (b)는 도 6의 (a)의 소변 용기부의 정면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6의 소변 용기부(200)의 정면부(215)에는 탁도검출부(170)의 발광부(171)이 내장되어 있으며, 소변 용기부(200)의 후면부(220)에는 탁도검출부(170)의 수광부(172)이 내장되어 있다.
탁도신호 검출을 위해, 소변 측정부(100)의 커넥터(160)는 소변 용기부(200)의 연결포트(256)와 결합된다.
발광부(171)와 수광부(172)를 구동하기 위한 전원은, 소변 측정부(100)로 부터, 전선(150), 커넥터(160)), 연결포트(256)를 통해, 소변 용기부(200)의 발광부(171) 및 수광부(172)로 전송되며, 소변 용기부(200)의 수광부(172)에서 측정된 탁도신호는, 연결포트(256), 커넥터(160)), 전선(150)을 통해 소변 측정부(100)로 전달된다.
도 6 및 도 7에서는 소변 용기부(200)의 정면부(215)에는 탁도검출부(170)의 발광부(171)이 내장되어 있으며, 소변 용기부(200)의 후면부(220)에는 탁도검출부(170)의 수광부(172)이 내장되어 있음을 설명하고 있으나, 반대로, 소변 용기부(200)의 후면부(220)에는 발광부(171)가 내장되어 있으며, 소변 용기부(200)의 정면부(215)에는 탁도검출부(170)의 수광부(172)가 내장되어도 상관없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즉, 도 6 및 도 7)의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는 탁도검출부(170), 연결포트(256), 커넥터(160))를 구비한 것 이외에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즉, 도 1 내지 도 4)의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와 동일하다.
일반적으로 발광다이오드와 수광센서는 저렴하기 때문에 탁도검출부(170)의의 발광부(171)과 수광부(172)가 소변 용기부(200)에 내장되어도, 소변 용기부(200)의 가격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는다.
도 8는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의 제4실시예로, 소변성분 검사 스틱을 장착하여 소변을 검사하게 하는 소변 용기부를 나타내며, 도 9는 도 8의 소변 용기부 내 장착되는 구성요소들을 나타내며, 도 10은 도 8의 소변 용기부에서, 소변성분 검사 스틱을 이용한 소변을 검사를 하지 않을 때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11는 도 10의 소변성분 검사 스틱을 이용한 소변을 검사를 하지 않을 때의 소변 용기부의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12는 도 8의 소변 용기부에서, 소변성분 검사 스틱을 이용한 소변을 검사를 실시할 때를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고, 도 13는 도 12의 소변성분 검사 스틱을 이용한 소변을 검사를 하지 않을 때의 소변 용기부의 단면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8에서와같이, 소변 용기부(200)의 일측면 하단에 구비된 검사용 스틱삽입구(271)에 소변성분 검사 스틱(277)을 삽입하고, 소변성분 검사용 단자(262)를 일시적으로 눌러, 일시적으로 소변성분 검사 스틱(277)에 소변이 묻혀지게 하여, 소변성분 검사 스틱(277)의 색깔이 변화하는 것으로, 소변성분을 검출한다.
도 9의 (a)는 소변 용기부(200)의 하부에 위치되는 막으로, 즉, 소변 용기부 하부막(230)을 나타낸다. 소변 용기부 하부막(230)에는 다수의 하부막 통공(235)를 구비한다.
도 9의 (b)는 소변 용기부(200)의 하부막(230)의 아래에 삽입되는 이동막부(260)을 나타낸다. 이동막부(260)는 이동막(263)과 스프링 지지대(268)와 스프링(266)과 소변성분 검사용 단자(26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동막(263)은 다수의 이동막 통공(265)를 가진 판형 막으로, 소변성분 검사용 단자(262)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소변 용기부 하부막(230)의 하부막 통공(235)을 막아 소변이 밑으로 새지 않도록 하며, 소변성분 검사용 단자(262)를 누른 상태에서는, 소변 용기부 하부막(230)의 하부막 통공(235)과, 이동막(263)의 이동막 통공(265)이 일치하게 되어, 밑으로 소변이 떨어지게 된다.
이동막(263)은 소변 용기부(200)의 내측에 삽입되며, 스프링 지지대(268)는 소변 용기부(200)의 지지대 통공(261)를 통해 외부에 노출되며, 이 노출된 스프링 지지대(268)에 스프링(266)이 끼워지게 되고, 그 후, 스프링 지지대(268)의 단부에 소변성분 검사용 단자(262)가 삽입, 고정된다. 스프링 지지대(268)는 소변성분 검사용 단자(262)가 눌러짐 여부에 따라, 지지대 통공(261)을 통해, 소변 용기부(200)의 내측과 외측 사이를 이동하게 된다. 지지대 통공(261)은 소변 용기부(200)의 측면에서, 소변 용기부 하부막(230)의 밑에 위치된다.
또한, 소변성분 검사용 단자(262)를 손으로 눌렀다 손을 떼면, 스프링(266)에 의해 이동막(263)은 다시 원상태로 복원되어, 소변 용기부 하부막(230)의 하부막 통공(235)을 막는 상태로 된다.
도 9의 (c)는 소변 통로 가이드부(270)를 나타낸다.
소변 통로 가이드부(270)는, 소변 용기부(200)에서 이동막(263)의 밑에 위치되어, 소변 용기부 하부막(230)의 하부막 통공(235)과, 이동막(263)의 이동막 통공(265)을 통해 들어오는 소변을, 소변성분 검사 스틱(277)의 소정 위치에 떨어뜨리기 위한 가이드 역할을 하는 수단으로 다수의 수직의 유로관(272)을 구비한다. 유로관(272)은 내측에 유로관 통공(275)를 구비한다. 유로관(272), 즉, 유로관 통공(275)을 제외한 부분은 막혀있다.
도 9의 (d)는 소변성분 검사 스틱(277)을 나타내며, 소변성분 검사 스틱(277)는 검사용 스틱삽입구(271)를 통해 소변 용기부(200)에 삽입된다. 검사용 스틱삽입구(271)는 소변 용기부(200)의 측면에서 소변 통로 가이드부(270)의 밑에 위치된다.
소변성분 검사 스틱(277)은 다수의 소변성분을 검사하기 위해, 다수의 약품처리부(또는 항체 처리부)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소변성분 검사 스틱(277)은 시작부분을 나타내는 표시부(278)를 일단에 구비한다. 즉, 표시부(278)로부터 몇 번째는 어떠한 약품처리부(또는 항체 처리부)인지를 알 수 있다.
즉, 소변 통로 가이드부(270)의 유로관(272)을 통해, 소변성분 검사 스틱(277)의 소정 약품처리부(또는 항체 처리부)에 소변을 떨어트린다.
도 10 및 도 11에서와 같이, 소변성분 검사용 단자(262)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스프링은 확장된(늘어난) 상태로, 소변 용기부 하부막(230)의 하부막 통공(235)과, 이동막(263)의 이동막 통공(265)이 서로 엇갈리게 위치되어, 결과적으로, 이동막(263)이 소변 용기부 하부막(230)의 하부막 통공(235)을 막은 상태가 된다. 따라서, 이동막(263)의 밑으로 떨어지지 않는다.
도 12 및 도 13에서와 같이, 소변성분 검사용 단자(262)를 누른 상태에서는, 스프링이 축소되어, 이동막(263)의 스프링 지지대(268)는 소변 용기부(200)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소변 용기부 하부막(230)의 하부막 통공(235)과, 이동막(263)의 이동막 통공(265)이 겹쳐지게 되며, 따라서, 하부막 통공(235)과 이동막 통공(265)을 통해 소변이 밑으로 떨어져, 소변 통로 가이드부(270)의 유로관(272)을 통해, 소변성분 검사 스틱(277)의 약품처리부(또는 항체 처리부)에 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소변성분 검사 스틱(277)의 각 약품처리부(또는 항체 처리부)는 소변이 가지고 있는 각 성분의 농도에 따라 색깔이 변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서, 사용자(피검자) 또는 의료전문가가 이를 눈으로 육안으로 읽어 분석하고, 그 결과를 키입력부(510)를 통해 입력하여 소변 측정부(100)의 메모리부(550)에 저장하거나, 또는 소변성분 검사 스틱(277)을 그대로 차트 등에 넣어 보관 사용하거나, 또는 후술되는 스틱 촬영부(133)에 삽입하여 촬영하여 소변 측정부(100)에서 분석하고, 그 결과를 소변 측정부(100)의 메모리부(55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14는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의 제5실시예로, 스틱 촬영부(133)를 구비한 소변 측정부(100)를 나타낸다.
스틱 촬영부(133)는 카메라 또는 이미지 센서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소변 용기부(200)의 검사용 스틱삽입구(271)로부터 소변이 묻혀진 소변성분 검사 스틱(277)을 꺼내어, 소변 측정부(100)의 촬상용 스틱삽입구(134)를 통해 스틱 촬영부(133)에 삽입하고, 키입력부(510)의 촬상버튼(미도시)를 눌러 스틱(277)을 촬상한다. 이에 따라, 소변 측정부(100)의 연산처리부(500)는 스틱(277)의 표시부(278)로부터, 차례대로, 약품처리부의 색상변화(발색 정도)를 읽어 들이고, 이를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피검자의 각 소변 성분의 농도 정도를 검사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수위 센서부(127)는 수위신호를 검출하여 전기적 신호로 출력한다.
수위신호 전처리부(137)은 수위 센서부(127)로부터 수신된 수위신호를 증폭하고 잡음을 제거하는 전처리를 행한다.
탁도 검출부(170에서는, 발광부(171)에서 광을 발생하여 소변 용기부(200) 내의 소변으로 출사하고, 소변에서 반사되거나 투과된 광을 수광부(172)에서 검출된 광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여 탁도 신호로써 출력한다.
탁도신호 전처리부(175)는 수광부(172)로부터 수신된 탁도신호를 증폭하고 잡음을 제거하는 전처리를 행한다.
A/D변환부(350)는 수위신호 전처리부(137)로부터 수신한 수위신호를 디지탈 신호로변환하여 연산처리부(500)로 전송하고, 탁도신호 전처리부(175)로부터 수신한 탁도신호를 디지탈 신호로변환하여 연산처리부(500)로 전송한다.
카메라부(310)는 스틱 촬영부(133)에 삽입된 소변성분검사용 스틱을 촬상한다.
영상신호 전처리부(320)는 카메라부(310)로부터 수신한 소변성분검사용 스틱의 영상신호를 디지탈 신호로변환하여 연산처리부(500)로 전송한다.
연산처리부(500)는 A/D변환부(350)로부터 수위신호, 탁도신호, 소변성분검사용 스틱의 영상신호를 수신하고, 수위신호에 따라, 기저장된 부피가중치를 읽어들여, 수위신호와 부피가중치를 곱하여, 소변량을 구한다. 소변량은 mL단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연산처리부(500)는 수신된 탁도신호의 역수를 구하여, 이를 소변의 현탁물질 농도로 한다. 또한, 연산처리부(500)는 소변성분검사용 스틱(277)의 영상신호에서, 표시부(278)로부터, 차례대로, 약품처리부의 색상변화(발색 정도)를 읽어 들이고, 이를 기준 데이터와 비교하여, 피검자의 각 소변 성분의 농도 정도를 검사한다.
연산처리부(500)는 구하여진 소변량, 소변의 현탁물질 농도, 각 소변 성분의 농도 정도를 메모리 부(550)에 저장하고, 디스플레이부(117)로 출력한다.
또한, 연산처리부(500)는 검사중 피검자가 움직이는 지를 판단하여 움직이는 경우는 스피커부(560)을 통해 움직이지 말라는 음향을 출력한다.
키입력부(510)은 전원 온(on)/오프(off) 스위치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키입력부(510)는 소변 측정부(100)의 외측 어디에도 위치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키입력부(510)는 각 소변 성분의 농도를 입력할 수 있는 키 패드 또는 터치패드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6은 도 15의 소변 측정부의 연산처리부에서 소변량을 검출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움직임여부 판단단계로서, 연산처리부(500)는 사용자(피검자)가 움직이고 있는 지 여부를 판단하되, 현재의 수위신호와, 전의 수위신호와의 차가(즉, 수위신호의 변이), 기 설정된 움직임 문턱치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고(S110), 크거나 같다면, 사용자(피검자)가 움직임이고 있는 중이라 판단하고, 정지 알림단계(S120)으로 간다. 사용자(피검자)가 움직일 경우, 소변 용기부(200)의 소변이 큰폭으로 유동하여 수위를 측정할 수 없다.
정지 알림단계로, 연산처리부(500)는 사용자(피검자)에게, 움직이지 말라고 하는(즉, 정지하라는) 음향을 스피커부(560) 또는 알람부(미도시)를 통해 출력한다(S120).
재차 움직임여부 판단단계로서, 연산처리부(500)는, 정지 알림단계 후, 사용자(피검자)가 아직도 계속 움직이고 있는 지 여부를 재차 판단하되, 현재의 수위신호와, 전의 수위신호와의 차가(즉, 수위신호의 변이), 기 설정된 움직임 문턱치보다 크거나 같은지를 판단하고(S130), 여전히 크거나 같다면, 정지 알림단계(S120)으로 간다.
수위측정단계로, 연산처리부(500)는, 움직임여부 판단단계 또는 재차 움직임여부 판단단계에서, 현재의 수위신호와, 전의 수위신호와의 차가(즉, 수위신호의 변이), 기 설정된 움직임 문턱치보다 작다면, 사용자(피검자)가 움직이고 있지 않는 상태로, 현재의 수위신호를 소변량 검출용 수위신호로 한다(S150).
부피가중치 승산단계로, 메모리부(550)로 부터 부피가중치를 읽어들이고, 소변량 검출용 수위신호에, 읽어들인 부피가중치를 곱하여, 소변량을 검출한다(S160).
위험여부 판단단계로, 연산처리부(500)는, 검출된 소변량이, 기설정된 소변량 문턱치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고(S170), 작다면, 위험 상태임을 나타내는 음향을 스피커부(560) 또는 알람부(미도시)를 통해 출력한다(S180).
연산처리부(500)는 검출된 소변량을 메모리부(550)에 저장하고(S200), 디스플레이부(117)로 출력한다(S210).
제1실시예는 소변량을 검출하는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고, 제2실시예와 제3실시예는 소변량 및 탁도를 검출하는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고, 제4실시예 및 제5실시예는 소변량 및 소변성분의 농도를 검출하는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에 관한 것이나, 이들로 본 발명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경우에 따라서는, 소변량, 탁도, 소변성분의 농도를 전부 검출하는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 사상은 아래에 기재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만 파악되어야 하고, 이의 균등 또는 등가적 변형 모두는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휴대형 자동 소변량 측정 장치 60 : 기둥
70 : 소변선 100 : 소변 측정부
110 : 소변 측정부의 상면부 115 : 지지턱부
117 : 디스플레이부 120 : 소변측정부의 정면부
125 : 고리 고정부 126 : 고리고정용 통공
127 : 수위센서부 130 : 소변측정부의 후면부
131 : 기둥 고정부 133 : 스틱 촬영부
134 : 촬상용 스틱삽입구 137 : 수위신호 전처리부
150 : 몸체와 전선 160 : 소변측정부의 커넥터
170 : 탁도검출부 171 : 발광부
172 : 수광부 175 : 탁도신호 전처리부
200 : 소변 용기부 210 : 소변 용기부의 상면부
215 : 소면 용기부의 정면부 217 : 소변선 삽입공
220 : 소변 용기부의 후면부 221 : 고리
225 : 수위센서 삽입부 226 : 투명창
227 : 탁도검출부 삽입부 230 : 소변 용기부 하부막
232 : 나사 235 : 하부막 통공
256 : 소변 용기부의 연결포트 260 : 이동막부
261 : 지지대 통공 262 : 소변성분 검사용 단자
263 : 이동막 265 : 이동막 통공
266 : 스프링 268 : 스프링 지지대
270 : 소변 통로 가이드부 271 : 검사용 스틱삽입구
272 : 유로관 275 : 유로관 통공
277 : 소변성분 검사 스틱 278 : 표시부
310 : 카메라부 320 : 영상신호 전처리부
350 : A/D변환부 500 : 연산처리부
510 : 키입력부 550 : 메모리부
560 : 스피커부

Claims (20)

  1. 정면부의 중앙에 막대형으로 이루어진 수위 센서부가 장착되고 상면에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소변 측정부;
    피검자의 소변을 저장하되, 후면부의 중앙에 소변 측정부의 수위 센서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게 하는 수위센서 삽입부를 구비하는 소변 용기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수위 센서부는 정전용량 수위센서로 이루어지며, 수위센서 삽입부에 삽입되어, 소변 용기부의 소변량을 비접촉식으로 측정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소변 용기부의 후면부의 상부에서, 수위센서 삽입부의 좌우 양측에 고리를 구비하며,
    소변 측정부의 정면부의 상부 양측에, 상기 고리부와 결합하기 위한 고리 고정부를 구비하여,
    소변 측정부의 수위 센서부가 소변 용기부의 센서고정부에 결합될 때, 상기 고리부는, 상기 고리 고정부와 결합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소변 측정부의 후면부에는, 기둥에 고정하기 위한 기둥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소변 측정부의 연산처리부는, 수위 센서부로부터 수신된 수위신호와, 기 저장된 부피가중치를 이용하여, 소변량을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변 용기부 내의 소변의 탁도를 검출하여, 소변 측정부로 전송하는 탁도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탁도검출부는, 소변 측정부 몸체의 외측에 위치되되, 소변 측정부 몸체와 전선으로 연결되며, 발광부와 수광부를 포함하며, 소변용기부의 외측에 장착하도록 이루어지며,
    소변용기부는 탁도검출부가 장착된 부분에 투명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탁도검출부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포함하며, 소변 용기부 몸체에 내장되되, 발광부와 수광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내장되며,
    수광부에서 검출된 탁도신호는, 소변 측정부와 전선으로 연결된 커넥터를, 소변용기부에 구비된 포트에 연결함에 의해, 소변 측정부로 전달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소변 측정부의 연산처리부는, 검출된 탁도신호의 역수를 구하여, 소변의 현탁물질 농도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
  10.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소변 용기부의 일측에 검사용 스틱삽입구를 구비하며, 소변 용기부의 내측 하단에 소변성분 검사 스틱을 삽입하여, 소변 성분을 검사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소변 용기부는,
    소변 용기부의 내측 하부에 위치되며 다수의 하부막 통공을 구비하는, 하부막;
    하부막의 밑에 위치되며, 다수의 이동막 통공을 가진 이동막을 포함하며, 일측에 소변성분 검사용 단자를 구비하는, 이동막부;
    이동막의 밑에 위치되어, 수직의 다수의 유로관을 구비하는 막인, 소변 통로 가이드부;
    검사용 스틱삽입구를 통해 삽입되어, 소변 통로 가이드부의 밑에 위치되되, 소변 용기부의 하단의 위에 위치되는 소변성분 검사 스틱;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이동막부는 이동막과 소변성분 검사용 단자의 사이에 스프링 지지대를 구비하며, 스프링 지지대에는 스프링이 끼워지고, 스프링과 소변성분 검사용 단자는 소변 용기부의 외측에 위치되며,
    소변성분 검사용 단자를 누름에 의해 하부막 통공과 이동막 통공이 일치하여, 하부막 상부의 소변이, 소변 통로 가이드부의 유로관을 통해, 소변성분 검사 스틱에 떨어지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소변성분 검사 스틱은 약품처리부 또는 항체 처리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약품처리부 또는 항체 처리부는, 소변성분 따라 또는 소변성분 농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소변성분 검사 스틱은, 서로 다른 소변 성분을 검출하는 다수개의 약품처리부 또는 항체 처리부를 구비하며,
    약품처리부 또는 항체 처리부의 각각은, 소변 통로 가이드부의 각 유로관에 대응되도록, 소변성분 검사 스틱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
  15. 소변을 저장하는 소변 용기부와, 소변 용기부의 소변을 측정하는 소변 측정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에 있어서,
    소변 용기부는,
    소변 용기부의 내측 하부에 위치되며 다수의 하부막 통공을 구비하는, 하부막;
    하부막의 밑에 위치되며, 다수의 이동막 통공을 가진 이동막을 포함하며, 일측에 소변성분 검사용 단자를 구비하는, 이동막부;
    이동막의 밑에 위치되어, 수직의 다수의 유로관을 구비하는 막인, 소변 통로 가이드부;
    검사용 스틱삽입구를 통해 삽입되어, 소변 통로 가이드부의 밑에 위치되되, 소변 용기부의 하단의 위에 위치되는 소변성분 검사 스틱;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이동막부는 이동막과 소변성분 검사용 단자의 사이에 스프링 지지대를 구비하며, 스프링 지지대에는 스프링이 끼워지고, 스프링과 소변성분 검사용 단자는 소변 용기부의 외측에 위치되며,
    소변성분 검사용 단자를 누름에 의해 하부막 통공과 이동막 통공이 일치하여, 하부막 상부의 소변이, 소변 통로 가이드부의 유로관을 통해, 소변성분 검사 스틱에 떨어지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소변성분 검사 스틱은 약품처리부 또는 항체 처리부가 구비되어 있으며, 약품처리부 또는 항체 처리부는, 소변성분 따라 또는 소변성분 농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소변성분 검사 스틱은, 서로 다른 소변 성분을 검출하는 다수개의 약품처리부 또는 항체 처리부를 구비하며,
    약품처리부 또는 항체 처리부의 각각은, 소변 통로 가이드부의 각 유로관에 대응되도록, 소변성분 검사 스틱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소변 용기부 내의 소변의 탁도를 검출하여, 소변 측정부로 전송하는 탁도검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소변 측정부는, 정면부의 중앙에 막대형으로 이루어진 수위 센서부가 장착되고 상면에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며,
    소변 용기부는, 피검자의 소변을 저장하되, 후면부의 중앙에 소변 측정부의 수위 센서부가 삽입되어 고정되게 하는 수위센서 삽입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
KR1020170025520A 2017-02-27 2017-02-27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101897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520A KR101897602B1 (ko) 2017-02-27 2017-02-27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 및 그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5520A KR101897602B1 (ko) 2017-02-27 2017-02-27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 및 그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98856A true KR20180098856A (ko) 2018-09-05
KR101897602B1 KR101897602B1 (ko) 2018-11-28

Family

ID=635943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5520A KR101897602B1 (ko) 2017-02-27 2017-02-27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 및 그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760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9004A (ko) 2018-10-31 2020-05-08 서울대학교병원 환자 배설량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환자 정보 관리 시스템
KR20200098306A (ko) * 2019-02-12 2020-08-20 주식회사 스마일랩 자가진단기기의 결과를 분석하는 방법 및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46755A1 (fr) * 2000-12-04 2002-06-13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Procede pour determiner la concentration d'une solution et procede d'analyse de l'urine
SE534493C2 (sv) * 2009-06-23 2011-09-06 Observe Medical Aps Anordning och metod för mätning av urinproduktionen hos patienter bärande urinkateter
CN106232233B (zh) * 2014-04-25 2018-07-10 西门子医疗保健诊断公司 样本收集单元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9004A (ko) 2018-10-31 2020-05-08 서울대학교병원 환자 배설량 측정기 및 이를 이용한 환자 정보 관리 시스템
KR20200098306A (ko) * 2019-02-12 2020-08-20 주식회사 스마일랩 자가진단기기의 결과를 분석하는 방법 및 장치
WO2020166851A3 (ko) * 2019-02-12 2020-11-05 주식회사 스마일랩 자가진단기기의 결과를 분석하는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7602B1 (ko) 2018-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473958B2 (en) Capacitive measurement device with minimized sensitivity to manufacturing variability and environmental changes
KR101634541B1 (ko) 스트레스, 우울증 측정을 위한 스트립 센서 및 스마트폰 연동 스트립 센서 측정시스템
KR200470398Y1 (ko) 소변검사용 스트립
KR101897602B1 (ko) 휴대형 자동 소변 측정 장치 및 그 구동방법
JP2009270951A (ja) 腸内状態測定装置
US20230025333A1 (en) Urine Output Collection and Monitoring Systems, Devices, and Methods
WO2009142508A1 (en) System for real time long-term recording and/or real time spectroscopy of a discharged urine amount from a patient
CN111343905A (zh) 用于收集和分析尿液样本的方法和装置
JP3911519B2 (ja) 腸内ガス中の有毒ガスの測定方法及び装置
KR20180131367A (ko) 의류 물품의 습기를 검출하여 통지하기 위한 습기 통지 시스템
KR102225262B1 (ko) 대소변 정보 수집을 통한 건강관리 서비스 장치 및 시스템
KR102158347B1 (ko) 소변 정보 수집 및 제공 방법
CN106908414B (zh) 基于光纤传感器的尿液比重测量系统和测量方法
JP3124103B2 (ja) 尿分析装置
KR200385778Y1 (ko) 윗몸일으키기 측정기
CN209653065U (zh) 一种适用于临床上方便准确的检测尿量的马桶
JP5596558B2 (ja) 早期の腹膜炎検出及び体液の生体内検査のための装置
JP2016008453A (ja) 便器取付型健康チェックセンサーシステム
KR20110098566A (ko) 센서와 모니터가 설치된 소변기
KR20230032543A (ko) 실시간 소변량 측정 및 검뇨장치
WO2020056808A1 (zh) 血液中吲哚氰绿的检测装置及系统
US11119100B2 (en) Reagent strips reader for analytes measurement in body fluids connected to a smartphone with emergency function
CN212622235U (zh) 一种智能全自动无人操控拉曼光谱分析设备
CN115413995B (zh) 宫腔镜进出水监测用可语音报警留液量的计量装置及方法
Padilla et al. A monitoring device for urine volume and turbidity using continuity flow and beer-Lambert’s Law for post-operative pati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